광주지방기상청, 적극행정 우수사례, 시민과 함께하는 라디오 기상 소통관, 광주의 생생한 기후변화 이야기 시민과 소통:사례1, 급변하는 날씨, 예보관이 직접 전달한다면? 기후위기 시대, 정확한 기상정보의 생산만큼 신속하고 명확한 전달도 중요! 난관 기상정보 이해하기 쉬운 접근 방법이 있을까?- 기존기상정보 전달방법보다 더 효율적인 방식으로 정보 제공 필요, - 위험기상 사전 인지 한계에 따른 지역민 안전 위협 대안 필요, - 자연재해 예방 켐페인 필요성은 높지만, 한정된 예산 문제 해결 필요 국민곁의 기상청, 비용은 줄이고, 효과를 극대화 하는 접근과 협업 전략, 매주 월~금9(07:15~07:25) tbn 광주 교통방송 라디오 생방송 고정 출연, 날씨브리핑, 기상 기후 상식 등 코너로 시민과 소통중, - 지역민 참여형 양방향 소통 시스템 활용=?실시간 위험기상 대응체계 확보,- 매일 캠페인 방송운영=>재해 대응에 대한 지역민의 신뢰도 향상 접점소통, 큰 변화, 재해는 줄고, 신뢰는 쌓인다!, 대중 친화적 기상기후과학문화 확산, 1. 평균 청취률 17.8%, 2. 협업이 만든 안전망, 3. 예산절감, 성과 up 생생한 기후변화, 광주의 진짜 기후변화 이야기를 만들어 활용하자! 지역민이 기후위기의 심각성을 자각하고 탄소중립 실천을 위한 행동을 실천하도록 보다 혁신적인 지역민 체감형 기후변화 교육 자료 필요, 지역민이 재미있게 읽기 쉬운 기후변화 책, 만들수 있을까? - 과거 기후재해기록 부재, 사진 및 기사자료 저작권 문제, 탈 공무원 식 글쓰기의 어려움 공감가는 기후위기, 기후위기 체감도 향상을 위한 협업, -전국 최초, 기후변화 역사 총정리 사업진행, 기후 관련 기사 총 531건 발굴, -개인보유자료, 기사 및 사진자료 예산 마련으로 저작권 및 플랫폼 합법 사용,-최신 트렌드 연구, 기상전문가 검토, 유명동화작가 교정,교열 참여,-전문 일러스터의 친근한 그림 표지 및 본문 활용, 지역 체감형 기후변화 도서 발간, -도서발간 사업 TFT 구성(23.8.)-지역의 이야기를 담은 공모전 운영(기후변화관련 시진, 수기, 인터뷰 공모)-기후로 바라본 광주 그리고 우리 발간(24.11.), - 리디오 프로그램 활용 홍보 및 학생, 교사 대상 도서 교육 실시 지역의 이야기를 담다, 지역 기후변화 공감 확산, 1, 학생,교사 필수 도서, 2, 생생하게 와닿다, 3, 탄소 중립 실천 약소, 지역의 기후위기 심각성 인식 확산 역할, -24년 탄소중립 기여부분 업무 유공 <광주광역시> 표창, 도서의 각 에피소드를 주제로 매주 리다오 진행, => 시민들의 경각심 유발, 기후위기 심각성 인식 제고 여러분이 필요하신 적극행정이 있다면 언제든 제안해 주세요 kdh2625@korea.kr 광주지방기상청은 지역사회의 안전과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하여 적극행정을 실현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