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지방기상청에서 제공하는 수욘예측정보 활용 수온예측정보는 왜 필요할까요? 2024년 고수온 현상으로 1,430억여원의 양식생물 피해 발생, 2024년 이상고수온 발생일수는 최근 10년(51.0일)대비, 서해(253.4일)는 5배 증가, 남해(164.2일)는 3배 증가, 9월 한반도 주변해역 이상고수온 5일 이상 지속일수는 24.4일, 각 해역에서도 9월에 가장 많이 발생, 수온 등 해양기상 정보가 매우 중요하게 작용됨에 따라 여름철 고수온/겨울철 저수온 피해에 대비하기 위해 맞춤형 수온예측정보가 필요해졌어요! 수온예측정보는 어떤 정보를 제공할까요? 전남 28개 지점 주요어장 수심 0m, 10m의 +87시간 수온예측자료 수온예측정보는 어디서 볼 수 있을까요? 제공방법, 광주지방기상청 홈페이지 맞춤형 해양기상정보에서 확인하실수 있습니다. 수온예측정보 이렇게 활용해 보세요, 참고하고 싶은 어장 맞춤형 정보 클릭,>수온예측정보, 맞춤형 기상정보 확인(바람, 강수, 시정 등),현재 참고하고 싶은 관측장비 클릭! >수온관측값 확인, 참고:위치, 수심에 따라 수온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에 수온 관측자료와 예측값 차이 존재, 따라서 수온의 상승-하강 경향성 참고, 예시)8월15일 09시 완도 소안 양식장 부근 수온은 23.9도로 관측됐는데, 수온이 계속 상승하여 25도가 넘을 것으로 예상되는군, 먹이공급을 중단하고 차광막을 설치해서 대비해야겠다! 수온예측정보 이렇게 활용해보세요, 실시간어장관측정보 시스템-전남 양식해역(106개소)에 실치된 어장관측장비를 통해 실시간 해황정보제공, 현재의 실시간 수온관측 정보, 주용어장 수온예측정보-전남 양식해역(28개소)의 그글피까지의 수온예측정보 제공, 미래의 수온예측정보. 광주지방기상청에서 제공하는 수온예측정보와 전라남도에서 제공하는 관측값을 활용하여 고수온/저수온으로 인한 피해에 대바히세요! 지역민을 위한 적극행정, 광주지방기상청이 함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