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56회 국회(정기회) |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 |
2005년도
주요업무현황
2005. 9.
대전지방기상청
목 차
Ⅰ. 일 반 현 황1
1. 주요연혁1
2 임 무1
3. 조직 및 정원2
4. 예산현황2
Ⅱ. 2005년도 주요업무 추진현황3
1. 변화와 혁신 실천을 위한 인프라 구축4
2 수요자를 위한 열린 기상업무체계 구축5
3. 시대요구에 부응하는 전문인력 양성6
4. 방재기상지원시스템 최적 운영7
5. 기상관측 수행기반 강화 및 효율성 제고8
6. 기상과학 활용문화 대중화 추진9
7. 기상기술 교류 및 협력 강화10
Ⅲ. 개선 및 건의사항11
o 서해 종합해양기상 관측기지 운영 개선 11
Ⅰ. 일 반 현 황 |
1. 주요 연혁
1968 |
대전측후소 신설(중구 문화동) |
|
1987 |
대전지방기상대 승격(중구 문화동) |
|
1992 |
대전지방기상청으로 명칭변경 |
|
1995 |
청사신축 이전(유성구 구성동) |
2. 임 무
□ 관할지역의 기상감시‧관측, 경보 및 예보의 발표
□ 관할지역 기상특성 조사 분석 및 기술의 증진
□ 기상기술의 보급 및 지역 기상과학 활용문화의 진흥
- 1 -
3. 조직 및 정원
□ 조 직
지방기상청장 |
|||||||||||||||||||||||||||||||||||||||||||||||||||||||||||||
※ 3과 9기상대 10관측소 |
|||||||||||||||||||||||||||||||||||||||||||||||||||||||||||||
과 |
서무과 |
예보과 |
기후정보과 |
||||||||||||||||||||||||||||||||||||||||||||||||||||||||||
기상대 |
인천 |
수원 |
동두천 |
문산 |
청주 |
충주 |
추풍령 |
서산 |
백령도 |
||||||||||||||||||||||||||||||||||||||||||||||||||||
관측소 |
강화 |
양 평 |
이 천 |
보 은 |
제 천 |
보 령 |
관악산 |
금산 |
부여 |
천안 |
□ 정 원
구분 |
3급 |
4급 |
5급 |
6급 |
7급 |
8급 |
9급 |
기능직 |
계 |
정원 |
1 |
6 |
13 |
22 |
30 |
31 |
20 |
28 |
151 |
4. 예산현황
(일반회계) (단위 : 백만원)
구 분 |
2005년 예산(A) |
2004년 예산(B) |
증 감 (A- B) |
증가율 (%) |
||
예 산 |
구성비 (%) |
예 산 |
구성비 (%) |
|||
계 |
7,557 |
100.0 |
7,021 |
100.0 |
536 |
7.1 |
1. 인 건 비 |
5,496 |
72.7 |
5,079 |
72.3 |
417 |
7.6 |
2. 사 업 비 |
2,061 |
27.3 |
1,942 |
27.7 |
119 |
5.8 |
ꋫ 주요사업비 |
116 |
1.6 |
157 |
2.3 |
△41 |
△26.1 |
ꋫ 기본사업비 |
1,945 |
25.7 |
1,785 |
25.4 |
160 |
8.2 |
※ 2005. 8월말 현재 67.5%(5,099백만원) 집행
- 인건비:3,701백만원, 주요사업비:82백만원, 기본사업비:1,316백만원
- 2 -
Ⅱ. 2005년도 주요업무 추진현황 |
기상청 미션 |
||||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품질 기상정보 제공 |
대전지방기상청 비전 |
||||
지역경제 활력을 도모하는“일류지방청 건설” |
2005년도 기본목표 |
||||
국민에게 다가가는, 국민을 위한 기상업무 수행 |
2005년도 중점 추진과제 |
||
◇ 변화와 혁신 실천을 위한 인프라 구축 ◇ 수요자를 위한 열린 기상업무체계 구축 ◇ 시대요구에 부응하는 전문인력 양성 ◇ 방재기상지원시스템 최적 운영 ◇ 기상관측 수행기반 강화 및 효율성 제고 ◇ 기상과학 활용문화 대중화 추진 ◇ 기상기술 교류 및 협력 강화 |
- 3 -
1. 변화와 혁신 실천을 위한 인프라 구축 |
【목표】국민을 위한 일류 기상서비스 구현
【’05년】기상업무 혁신 실행 단계로의 발전
□ 직원의 혁신역량 강화를 위한 브랜드구축운동 확산
◦ iBRAND 업그레이드로 분야별 전문인력 양성
- 전직원의 브랜드 관리(164개) 및 ‘iBRAND 캠페인’ 코너 운영을 통해 개인의 잠재력 발굴 및 역량 강화
◦ 'iBRAND Festival'을 개최하여 브랜드 파워 선정‧시상(12월)
□ 혁신활동 활성화 및 지속체계 구축
◦ 혁신활동 촉진을 위한 기상업무혁신반/팀 운영(14개 반/팀, 44명)
◦ 혁신마인드 제고와 혁신체계 재구축 등을 위한 혁신연찬회 개최 및 혁신전문가 특강 실시(6.13~14, 73명/ 유성유스호스텔)
◦ 2004년도 자체 혁신마일리지제 우수자 선정‧포상을 통해 정부혁신에 대한 공감대 형성 및 혁신활동 유도(2.25, 4명)
□ 업무혁신 프로세스 강화
◦ 뉴패러다임의 행정서비스 구현을 위한 3Q정신 추진전략 재정립
- 3Q정신 4대 핵심과제별 성과지표 및 성과관리 매뉴얼 개발 운영(2.23)
- 각 분야별 성과평가를 통한 Quality Power 선정‧시상(12월, 3명)
◦ 기상업무혁신 사례 발굴
- 인트라넷 혁신아이디어방 운영(4.13) 및 부서별 혁신추진사례 발표(6.13)
- 기상업무개선 자체 발표회 개최(9. 5)
‧ 업무프로세스개선 IDAMS 구축 등 3과제 선정
- 4 -
2. 수요자를 위한 열린 기상업무체계 구축 |
【목 표】고객감동을 창출하는 열린 기상서비스 구현
【’05년】기상서비스 컨텐츠 개발 및 서비스 확대 추진
□ 열린 기상청 구현을 위한 콘텐츠 개발
◦ 서비스 확대를 위한 기관별 홈페이지 구축(10월, 10소)
- 예보오차에 대한 분석을 인터넷 홈페이지에 서비스(5.15)
◦ 지역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아마추어예보사제 운영(7. 1~8.26)
- 예보업무개선 방안 도출 및 기상업무 홍보
◦ e- book 카달로그를 통한 기상업무 홍보 교육(10월)
□ 고품격 응용기상서비스 개발 지원
◦ 지역특화산업 기상지원 성공 사례집(’04~’05) 발간
◦ 금산인삼 GAP시스템구축, 기상지원 마케팅 협정 체결(9. 8, 첨성대)
◦ 농작물 가뭄 분석사례 WEB서비스 실시(6.29)
□ 디지털예보체계에 대비한 예보기술 축적
◦ 국지예보 기술력 향상을 위한 기상특성 연구
- FAS를 이용한 계절‧현상별 프로시저 개발·활용 세미나(3회)
◦ 강설현상에 대한 통계적 분석과 메커니즘 연구를 통한 충청서해안 지방의 적설량 예측기법 조사
- 최근 10년간 충청서해안지방 패턴별 적설분포 특성 분석
□ 민원인 고객만족도 개선
◦ 설문조사 및 고객의견 수렴용 우편엽서 제작·배포(3.31, 1,000부)
- 고객의견 수렴결과 분석 및 개선 추진(12월)
◦ 대전(청) 및 소속기관 민원실 환경 개선(10월)
- 5 -
3. 시대요구에 부응하는 전문인력 양성 |
【목 표】지역을 이끌어 갈 미래 인재양성
【’05년】프로급 인재육성 프로그램 발굴‧추진
□ 예보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예보 마이스터」제 운영
◦ 6급이하 일반직 직원에 대한 전문인력관리 및 학습동기 부여
- 사이버 일기예보 시스템을 활용한 온라인 평가 실시(56명)
◦ 온라인‧집합평가 우수직원을「예보 마이스터」로 인증(12월)
◦ 지방청간 예보기술 교류 및 방재기상업무 협력 강화
- 광주청 예보관 등 교류근무(4.25~28, 2명)
□ 프로급 인재육성 프로그램 적극 발굴‧추진
◦ 소속 직원의 역량평가를 위한 보직평가회의를 개최(5.13~14)
◦ 지역을 이끌어 갈 미래인재 양성
- 금년 4명 진학/ 현재 석‧박사과정 26명(박사3, 석사23명) 재학중
- 어학연수(5명) 및 1인1자격증 취득(36개 자격증 신규 취득)
□ 연구 클러스터 조직 등 지식공유의 장 확대
◦ 분야별(자격증) 스타디그룹 활성화 및 원격강좌 운영
- FAS를 활용한 예보기술 교육 및 기상역학 강의(9. 5~9)
◦ Webinar 시스템을 이용한 원격회의 및 세미나 활성화
- 주·월간회의(주 1회), 관측업무지도 교육 등(13회)
□ 전문교육훈련 강화 및 각종 경진대회 개최
◦ 예보분석시스템(FAS)의 활용을 위한 국외파견(10.23~11. 5)
◦ 전문성 강화를 위한 세미나(1회, 외부 전문가) 및 지경노 발표(2회)
◦ 관측소장 및 여직원 기상장비 활용능력 배양 교육(6.20)
◦ 정보화능력 및 지역특화산업 기상정보서비스 경진대회 개최(3회)
4. 방재기상지원시스템 최적 운영 |
- 6 -
【목 표】최적의 방재기상체계 구축으로 기상재해 최소화
【’05년】지역방재기상 협력 및 지원체계 강화
□ 지역 방재기상협력 네트워크 구축
◦ 24시간 상근기관 대상 적설감시 네트워크 구축‧운영(경찰청 등 70소)
- 겨울철 적설감시 및 상시 지형 모니터링
◦ 방재기상협의회 구성(충청남도 등 11개 기관)
- 방재담당관 초청 방재기상업무협의회 개최(5.13)
□ 방재기상 지원체계 강화
◦ 방재기상대책회의 및 평가회의 개최(6.30)
- 방재업무 및 소속기관 재난대응체제 검검
◦ 악기상 경보 전달실명제 실시 및 131기동기상지원팀 운영(6. 8~)
◦ 재난방송협의회 구성(8. 9) 및 기자간담회 개최(5.25, KBS 등 5소)
- 보도기관과의 긴밀한 협조체제 구축
◦ 악기상 테마별 날씨 리플릿 시리즈 제작 및 배포(6.28)
- 장마의 정의 및 장마‧호우시 안전관리 등
◦ 무선통신망(위성전화기, SSB, HAM) 활용 기술훈련(상시)
◦ 대전(청) 및 소속기관 HAM 공개 운영(기상의 날 기념)
□ 기상정보 전달체계 확립 및 다양한 통신매체 활용
◦ 기상정보서비스의 대상 및 방법의 다양화
- E- mail, 휴대폰 문자메세지 등 맞춤형서비스 제공
- 인터뷰(270회), 자막방송(6회), 정기방송(일 2회/ 극동방송, CMB)
- 상주 기상리포터(교통방송) 활용
◦ 본청- 지방청간 광대역통합망(BcN) 연계 라우터 설치(8.16)
◦ 아마무선연맹(까치넷트)에 햄 동호인 가입·활동(6. 9)
- 7 -
5. 기상관측 수행기반 강화 및 효율성 제고 |
【목 표】기상장비 안정적 운영 기반조성 고품질 기상자료 생산
【’05년】노후장비의 연차적 교체로 자료품질 향상 및 장비안정성 확보
□ 선도 기상관측망 운영 및 관측환경 개선
◦ 서해종합해양기상관측기지(북격렬비도)의 안정적 운영
- 대산지방해양수산청과 MOU 체결 추진(9.13)
◦ 기상관측소 무인 기상감시시스템 구축(12월)
◦ 대형증발계 구조개선을 위한 비교 관측·분석(4. 1~, 공주대학교 협력)
□ 관측지도사제 운영
◦ 관측지도사제 운영을 위한 관련 규정 제정(9월)
◦ 지방기상청에 ‘종관관측지도사’ 지정 운영(10월, 상담·지도·교육)
□ 기상관측장비의 성능 보강
◦ 노후 종관자동기상관측장비(ASOS) 교체(대전, 인천, 서산)
◦ 덕적도‧서수도 해양기상관측장비 교체(4.22) 및 정비(8.30)
◦ 관악산 기상레이더 교체에 따른 조기 정상 가동(10월)
□ 장비 유지‧관리 효율성 제고
◦ 주요장비(기상레이더 등 7건) 유지보수 계약 체결(1.21)
◦ 기상측기 검‧교정 정례화 및 검정장비 보호 케이스 제작(11월)
◦ 주요 예비부품 조기확보 및 장비 장애 긴급복구반 운영
□ 관측환경 보존 및 기후자료 관리 강화
◦ 관측환경 저해요소 발굴, 유관기관 협조체제 강화
◦ 대전지방 AWS 지점별 관측자료 분석
◦ 대전‧충청지역 기후 특성집 발간(11월)
- 8 -
6. 기상과학 활용문화 대중화 추진 |
【목 표】지역 기상과학문화 증진
【’05년】다양한 대중매체를 통한 기상과학문화 확산
□ 고객 섬김 서비스로의 전환
◦ 지역 문화축제, 동호인회 활동 등을 위한 특별기상지원
- 대전 사이언스 페스티벌, 금산인삼축제 등(4회)
- 열기구 등 각종 레저를 위한 동호인회에 기상정보 제공
◦ 맞춤형 기상정보 제공
- 일기쉬운 기상용어 인터넷 게재
- 웰빙 주말기상정보 및 여름철 불쾌지수 서비스 실시
- 지구촌 기상정보 실시간 제공 사이트 운영
□ 기상문화 활용 아카데미 운영
◦ 사이버날씨백일장 개최(3.23)
- e- book 발간(인터넷 홈페이지/ 초등생 350편, 직원가족 27편)
◦ 기상교실 및 날씨체험학습 운영(21회, 760명)
□ ON/OFF라인을 통한 기상홍보 극대화
◦ 대중 매체를 활용한 기상문화 확산
- 신나라과학나라 아인쉬타인 ‘퀴즈왕’ 공개녹화(3.24, KBS)
- 충청 네트워크 ‘리포터가 간다’ 녹화(7.13, KBS 라디오)
- 올여름 기록적으로 더울까? 등 기고(대전일보 등 6회)
◦ 지역방송사의 비전공 기상리포터 교육 실시(7. 7)
◦ 내‧외국인 대상 홍보 팜플릿(한‧영)제작 배부(5.12, 2,000부)
- 9 -
7. 기상기술 교류 및 협력 강화 |
【목 표】기상기술 지역 협력 클러스터 구축
【’05년】충청지역 기상기술 협력 네트워크 운영
□ 학‧관‧군 기상교류 협력 강화
◦ 학‧관 협동연구사업 공동 추진(공주대학교와 연계)
- 충청지방 악기상 예측기술 개발 워크샵 및 회의(2회)
◦ 기상학 전공학생 대상 인재양성 및 기상기사 자격증 취득 지원
- FAS 세미나(1회) 및 기상기술 실무교육(5회)
◦ 공군기상전대와의 예보기술 협력회의 및 세미나(4.20)
- 봄철 강풍예보기법 및 뇌우 예측을 위한 안정도 지수 등
□ 현장연구과제 수행
◦ 신설 서해종합해양기지 바람관측 자료를 이용한 해상풍 연구
- 업무협의 및 관련 자료조사(2~3월/ 서산·보령·격렬비도)
- 현장연구원 회의(3.16) 및 해양기상 워크샵(7.27~28)
◦ 단시간 예측시스템을 활용한 국지기상 연구(Ⅲ)
- 워크샵(5.19~20) 및 FAS의 연동교육 참석(2회)
□ 국제기상협력의 내실화
◦ 한중기상협력을 위한 중국 천진시기상국 대표단 방한(5.23~28, 8명)
- 서해종합기지 구축 현황 및 디지털예보(대전청)
- 황사, 실황기법 및 해상 예보서비스(천진시기상국)
◦ 중국 천진시기상국과의 정기적 정보교류 추진
- Focal Point를 활용한 상호 관심사항 교류(2회)
- 10 -
Ⅲ. 개선 및 건의사항 |
서해 종합해양기상 관측기지 운영 개선 |
□ 현 황
◦ 태안군 근흥면 가의도리 산 27번지(안흥 부두에서 약 64㎞)
◦ 고가 장비와 시설을 무인관리
- 전기시설 : 태양광발전장치 1식, 디젤발전기 3대
- 통신시설 : 위성통신장비 1식, 정보통신장비(라우터, 허브 각 2조)
- 관측장비 : 파고계, 황사장비, AOOS 등
◦ 운영기관 및 요원
- 운영기관 : 대전지방기상청(기후정보과, 서산기상대)
- 운영요원 : 서산기상대 1명 배정
□ 문제점
◦ 관측기지의(해상거리 약 64㎞) 신속이동 어려움
◦ CCTV로 실시간 감시와 태양해양경찰서 등과 협조체제가 구축되어 있으나, 사고발생시 조기처리 가능한 것을 대형사고로 발전시킬 여지가 있음
□ 개선사항
◦ 선박 임차료(년) 증액 : 36,000천원(36회×1,000천원)
◦ 인원 증원 : 6명(청원경찰)
◦ 근무형태 : 10일씩 교대 근무(2명)
□ 기대효과
◦ 돌발적인 사고 및 우발적인 사고 등에 신속히 대처
◦ 시설장비의 효율적 운영으로 자료 수집률 향상
-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