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석현 위원










- 381 -


- 382 -

1. 최근 2년간 감사원 감사 및 자체감사 결과보고서 및 조치내용


“ 공통자료 ”




2. 2005년 국정감사 지적사항 및 처리결과


“ 공통자료 ”


- 383 -

3. 2005~2006년 8월 현재 기상청 연구용역 관련

구분

과제명

내용

수행기관

(팀장포함)

수행기간

금액

계약형태

정책홍보

관리관

성과지표 개발

기상인력 경력개발프로그램 구축

서울행정학회

2005.8- 11

20백만원

수의계약

행정서비스 혁신능력 개발

기상청 성과관리시스템 구축

러스디오비즈니스컨설팅

(주)엔다인

2005.11- 12

219백만원

공개입찰

행정서비스 혁신능력 개발

기상청 책임운영기관화 타당성에 대한 연구

한국규제학회

2005. 10- 12

30백만원

수의계약

21세기 기상행정혁신을 위한 기상청 조직진단

21세기 기상행정혁신을 위한 기상청 조직진단

서울행정학회

2006.3- 5

30백만원

수의계약

종합기상정보시스템구축

종합성과관리시스템 구축

LG CNS

(주)엔다인

2006.5- 12

80백만원

공개입찰

열린기상청 홈페이지 구축

기상예보해설 동영상 콘텐츠 개발용역 사업

선우영상

2005.5.16- 2005.6.16

18,700

입찰공개를 통한 수의계약

기상예보해설동영상 제작용 장비구매

선우영상

2005.5.26

17,800

예보근거자료,

메인화면, 각콘텐츠 개발

첨성대(주)

2005.10.14- 12.10

27,400

예보해설동영삭 제작

1일 2회 제작, 악기상시 특별제작 등

웨더프리

2006.4.1-

12.31

113,000

조달청 구매

구분

과제명

내용

수행기관

(팀장포함)

수행기간

금액

계약형태

정보화관리관실

슈퍼컴퓨터 최적화 및 효율화(Ⅱ)

슈퍼컴퓨터 2호기 수치예보시스템 지원을 위한 최적화 설계

(주)이아이랩

오재호

2004.4.23.

2004.12.1.

88,000천원

일반경쟁

(조달)

슈퍼컴퓨터 최적화 및 효율화(Ⅲ)

슈퍼컴퓨터 2호기 안정적 운영을 위한 수치예보 현업운영 시스템 모니터링 프로그램 구축 및 교육 

(주)나래시스템

이맹우

2005.7.6.

2005.11.30.

93,500천원

일반경쟁

(조달)

세계기상정보망고도화(Ⅰ)

그리드기술을 기반으로 한 가상세계센터 프로토타입 개발

(주)내셔날그리드

김기환

2005.7.29.

2005.11.30.

135,000천원

일반경쟁

(조달)

슈퍼컴퓨터 최적화 및 효율화(Ⅳ)

슈퍼컴퓨터 최적 활용을 위한 공동 활용 정책 개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조민수

2006.6.15.

2006.11.30.

90,000천원

일반경쟁

(조달)

세계기상정보망고도화(Ⅱ)

WIS의 GISC/DCPC

 위한 주요 기능 구현, WIS 시범사업과의 인터페이스 개발

(주)로이츠

허의남

2006.7.26.

2006.11.30.

123,000천원

일반경쟁

(조달)


- 384 -

구분

과제명

내용

수행기관

(팀장포함)

수행기간

금액

계약형태

관측국

기상관측표준화의 적용을 위한 최적방안

- 최적의 기상관측표준화 적용을 위한 추진방안 제시

- 기상관측표준화의 최적 적용을 위한 외국의 적용사례, 입법사례 조사 및 국내 관계기관 등의 의견수렴

- 관측표준화 적용 최적방안과 기상업무법과의 연계 추진

한국법제

연구원

(김두진)

’04. 6. 28.

11. 25.

45,000천원

수의계약

기상관측시설 및 자료등급 평가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 관측목적의 구분 및 관측목적에 따른 관측시설의 종류‧규모‧수준에 관한 등급평가 기준에 대한 연구

- 기상관측 및 측기환경의 등급평가 기준에 대한 연구

- 관측자료생산 및 현장 품질관리 등급평가 기준에 대한 연구

- 관측자료교환 및 관측시각 등급평가 기준에 대한 연구

- 관측범위가 중복되게 설치된 측기현황 파악 및 관측요소별 등급에 따른 최적관측망 구축 기준에 관한 연구

(주)

진양공업

(이천우)

’06. 5. 30.

9. 27.

27,000천원

조달청

일반 경쟁

기상측기검정대행기관지정을

위한 연구용역

- 기상측기검정대행기관 지정을 위한 대안 및 관리운영체계 조사

- 기상측기검정대행기관 활성화 및 중장기 발전방안

한국기상

산업진흥원

(봉종헌)

’06. 5. 2. 

~ 

8. 30.


47,300천원

조달청 

일반경쟁(규격가격분리입찰)

기상관측자료 실시간 품질관리

시스템(I)

- 기상관측자료 실시간 표준화처리를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 용역(지상, 고층, 해양관측자료 등)

(주)

에스이랩

(오승준)

’05. 6. 13.

12. 10.   

144,900천원

조달청 일반경쟁

(협상에 의한 입찰)

기상관측자료 실시간 품질관리

시스템(II)

- 기상관측자료 실시간 표준화처리를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 용역 (일사,일조,황사 등의 기상관측자료 등)

(주)

에스이랩

(이종혁)

’06. 5. 18.

12. 10.

144,900천원

조달청 일반경쟁

(협상에 의한 입찰)


- 385 -

구분

과제명

내용

수행기관

(팀장포함)

수행기간

금액

계약형태

관측국

레이더자료의 

최적화시스템 개발

- 레이더 사이트의 자료를 이용하여 최단 시간 합성 시스템 구축

제아

정보통신

(이충기)

’04. 6. 12.

11. 30.

95,000천원

조달청

일반경쟁

레이더자료의 최적화시스템 개발

- 합성영상의 확대축소 기능 등 분석시스템 구축

케이웨더

(김우규)

’05. 5. 14.

11. 30.

91,000천원

조달청

일반경쟁

레이더자료의 최적화시스템 개발

- 바람장 분석환경구축 및 레이더 자료품질관리 개선

케이웨더

(김우규)

’06. 4. 28.

11. 30.

96,500천원

조달청

일반경쟁

해저지진계 설치에 관한 연구

- 해저지진계의 설치 필요성과 전망에 대한 자료조사

세종대학교

정태웅 

’05. 11. 18. ~

12. 27.

9,950천원

수의계약


구  분

과제명

내  용

수행기관

(팀장 포함)

수행기간

금액(천원)

계약형태

예보국

기상정보서비스 만족도 조사

예보.특보의 발표구역 및 발표기준 세분화추진, 디지털 예보 추진등


(주)리서치앤인터렉티브

(최규갑)

2004.10.12.

~2004.11.12

12,900

일반경쟁

기상자료해석 영상표출시스템 구축 용역

기상자료해석 영상표출시스템 구축

선우영상

(김태영)

2004.11.12.

~2004.12.12

24,300

일반경쟁

AQUA 위성 센서관측자료 분석활용시스템 개발

위성자료를 이용한 대기환경정보시스템 구축(2차년도) 

한국과학기술원

인공위성센터

(김문규)

2004.05.12.

~2004.11.30

177,000

조달

레이더자료의 합성 최적화시스템 개발용역

레이더자료의 합성 최적화시스템 개발

제아정보통신(주)

(이충기)

2004.06.11.

~2004.11.30

95,000

조달

3시간예보시스템 개선용역

3시간예보시스템 개선용역

케이웨더(주)

(김우규)

2004.08.20.

~2004.12.15

92,000

조달

예보전문가 및 가상훈련시스템 구축용역 

예보전문가 및 가상훈련시스템 구축용역 

(주)첨성대

(성성철)

2004.08.21.

~2004.12.15

76,000

조달

열린 일기예보 지향 예보점검 웹서비스 향상 용역

열린 일기예보 지향 예보점검 웹서비스 향상 용역

(사)한국기상전문인협회

(남기현)

2004.11.02.

~2004.12.20

9,800

일반경쟁

독자수치예보시스템 개발과 3/4차원 변분자료동화기술 개발

전지구 지역 통합 3차원변분자료 

동화 체계 개발

서울대학교

(미국대기과학연구소와 공동)

(이동규)

2004.04.01.

~2004.12.15

520,000

수의계약

중기확률예측시스템 개선

중기확률예측시스템 개선

공주대학교

(권혁조)

2004.04.08.

~2004.12,15

226,500

조달

국지연안파랑예측시스템 개선

국지연안파랑예측시스템 개선

한국해양연구원,

(변상경)

2006.05.28.

~2006.12.15

93,100

조달

대화형일기도 편집 및 분석시스템 개선

대화형일기도 편집 및 분석시스템 개선

(주)비앤디소프트

(이건용)

2006.06.21.

~2006.11.30

146,500

조달

태풍기준 세분화방안

태풍기준 세분화

(사)한국기상전문인협회

(남기현)

2004.08.12.

~2004.12.27

19,800

일반경쟁

- 386 -

구  분

과제명

내  용

수행기관

(팀장 포함)

수행기간

금액(천원)

계약형태

예보국

열린기상청 홈페이지 구축

예보근거자료,메인화면,각콘테츠개발

㈜첨성대

(조순영)

2005.10.14.

~2005.12.10

27,400

일반경쟁

기상예보동영상 컨텐트 개발

기상예보동영상 컨텐트 개발

선우영상

(김태영)

2005.05.16.

~2005.06.16.

18,700

일반경쟁

독자수치예보 시스템 개발과 3_4차원 변분자료동화기술 개발

전지구 지역 통합 3차원 변분자료동화 체계 개발

서울대

(이동규)

2005.03.03.

~2005.12.15

552,000

조달

중기확률예보시스템 구축

중기확률예측시스템 개선

공주대

(권혁조)

2005.03.03.

~2005.12.15

193,000

조달

국지연안파랑예측시스템 구축

국지연안파랑예측시스템 시범 구축

한국해양연구원

(전기천)

2005.03.03.

~2005.12.15

96,000

조달

대화형일기도 편집 및 분석시스템 개발

대화형일기도 편집 및 분석시스템 개발

가이아쓰리디㈜

(신상희)

2005.02.17.

~2005.11.30

120,000

조달

디지털예보 웹서비스 시스템 구축

디지털예보 웹서비스 시스템 구축

㈜만도맵앤소프트

하늘미디어넷(주)

(김기영)

2005.04.06.

~2005.11.30

223,000

조달

태풍분석 및 예보시스템 개선

태풍분석 및 예보시스템 개선

㈜첨성대

(양정민)

2005.05.13.

~2005.07.13

6,900

수의계약

정지기상위성자료 전처리 및 분석활용시스템 개발

위성자료를 이용한 대기환경정보시스템구축(3차년도)

솔탑㈜

(김태훈)

2005.04.26.

~2005.11.30

188,500

조달

레이더자료의 합성최적화 시스템 개발

레이더자료의 합성최적화 시스템 개발

㈜케이웨더

(이정훈)

2005.05.11.

~2005.11.30

91,000

조달


- 387 -

구  분

과제명

내  용

수행기관

(팀장 포함)

수행기간

금액(천원)

계약형태

예보국

웹기반 위성자료처리시스템개발 

위성자료를 이용한 대기환경정보시스템 구축

(주)GI소프트

(홍성은)

2006.05.10.

~2006.11.30.

181,500

조달

지상국 통합시스템 상세설계

기상위성센터 지상국시스템 기본설계

(주)새아소프트

(이종범)

2006.07.03.

~2006.11.30.

114,400

조달

대화형 디지털예보 편집기용 그래픽 편집모듈 개발 및 개선

디지털예보 그래픽편집모듈 개발

가이아쓰리디(주)

(신상희)

2006.03.02.

~2006.11.30.

386,000

조달

웹서비스 개선 및 후처리모듈 개발

디지털예보 웹 서비스 모듈 개발

오픈스카이파트너스(주) 등

(백국실, 손성호)

2006.04.07.

~2006.11.30.

150,500

조달

디지털예보자료처리 기술개발

한반도 지형 및 지표면 특성자료 생산 및 지리기후자료 DB 구축

(사)한국기상학회,

공주대학교

(서명석)

2006.05.08.

~2006.12.15.

130,000

조달

차세대 수치예보모델 개발

차세대 수치예보모델 개발

서울대학교

(이동규)

2006.05.04.

~2006.12.15.

485,000

조달

중기확률예보시스템 구축 

중기확률예보시스템 구축 

(사)한국기상학회,

서울대학교

(임규호)

2006.04.26.

~2006.12.15.

260,000

조달

기상청 수치예보 발전방향

기상청 수치예보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사)한국기상학회,

이화여대

(박선기)

2006.06.21.

~2006.10.20

26,800

수의계약

전지구 수치예보모델 중력파 항력 영향평가에 대한 연구

전지구 수치예보모델 중력파 항력 영향평가에 대한 연구

(사)한국기상학회,

연세대학교

(전혜영)

2006.07.03.

~2006.11.30

18,000

수의계약

기상 예‧특보 개선에관한 기획연구

기상 예‧특보 개선에관한 기획연구

한국과학기술평가원

(오해영)

2006.07.20.

~2006.11.30.

28,500

수의계약


- 388 -

구분

과제명

내용

수행기관

(팀장포함)

수행기간

금액

계약형태

기후국

온실가스 측정용 국가표준가스 개발

(5차년도)

온실가스 상시 측정시스템 구축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김진석)

‘06. 7. 14.

~‘06. 11. 30.

115,000,000

일반경쟁

온실가스 측정용 국가표준가스 개발

(4차년도)

PFCs(과불화황) 표준가스 개발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김진석)

‘05. 6. 1.

~‘06. 12. 10.

134,000,000

일반경쟁

온실가스 측정용 국가표준가스 개발

(3차년도)

CFCs(염화불화탄소) 표준가스 개발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김진석)

‘04. 3. 23.

~‘06. 12. 10.

130,000,000

일반경쟁

APEC 기후센터 설립 및 운영에 관한 연구

APEC 기후센터 설립 추진과 운영을 위한 로드맵 제시

과학기술정책연구원(박명수)

‘04. 5. 3

~‘04. 12. 17

50,000,000

수의계약

보건기상정보산출기술개발(Ⅰ)

기상요소와 질병과의 상관관계 분석에 따른 질병발생 가능성 정보 개발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김재용)

‘04. 5. 2.

~‘04. 12. 6.

74,000,000

일반경쟁

기상산업육성을 위한 정책과제 발굴에 관한 연구

기상산업육성정책연구

(사)한국기상학회

‘04. 11. 9.

~‘04. 12. 18.

8,041,000

수의계약

보건기상정보산출기술개발(Ⅱ)

기상요소와 질병과의 상관관계 분석에 따른 질병발생 가능성 정보 개발

인제대학교 대기환경정보연구센터(박종길)

‘05. 8. 2.

~‘05. 12. 15.

7,000,000

일반경쟁

산업기상정보산출기술개발(Ⅰ)

황사영향지수개발

(사)한‧중대기과학연구센터

(정용승)

‘05. 9. 2.

~‘05. 12. 15.

56,000,000

일반경쟁

기상선진국 마케팅현황 및 분석 연구

기상선진국 마케팅현황 분석 연구

(사)한국기상전문인협회

‘05. 10. 17.

~‘05. 12. 15.

11,500,000

수의계약

기상정보 이용 활성화 연구

기상정보 이용 활성화 연구

정보통신시스템공제조합

‘05. 9. 28.

~‘05. 12. 15.

27,900,000

수의계약

기상산업 활성화를 위한 홍보 방안 연구

기상산업활성화를 위한 홍보 방안 연구

(재)한국기상산업진흥원

‘06. 3. 2.

~‘06. 6. 1.

29,000,000

수의계약

기상산업 활성화를 위한 홍보 및 결과분석 연구

기상산업 홍보 및 결과분석

(재)한국기상산업진흥원

‘06. 3. 20.

~‘06. 9. 19.

30,000,000

수의계약

보건기상정보산출기술개발(Ⅲ)

열환경에 따른 한국형 활동지수 개발

케이웨더(주)

‘06. 7. 27.

~‘06. 12. 24.

74,500,000

일반경쟁

기상산업진흥법 최적 적용체계 방안 연구

기상산업진흥법 최적 적용체계 방안

계약추진 중

일반경쟁

구분

과제명

내용

수행기관

(팀장포함)

수행기간

금액

계약형태

기상교육담당관실

기상 전문자료관 시스템 구축

DB구축

(주)나노비트 

‘04. 06.~ 12.

40,000,000원

공개경쟁입찰

기상교육 사이버 컨텐츠 개발

사이버컨텐츠

(일반기상학)

(주)알파인터넷

‘04. 05.~ 09.

24,300,000원 

수의계약

사이버컨텐츠

(레이더영상분석)

(주)키즈닷컴

‘04. 08.~ 12.

24,600,000원

기상교육훈련 

관리시스템 개발

(주)세동데이타시스템

‘04. 08.~ 12.

47,074,210원

공개경쟁입찰

기상교육 e- learning체제 구축

개방형 지식관리시스템 구축

(주)진스시스템컨소시엄

‘05. 03.~ 06.

30,000,000원

사이버콘텐츠 개발

(COMET 활용)

(사)한국 기상학회

‘05. 05.~ 12.

57,121,500원

기상교육 e- learning체제 구축

사이버콘텐츠 개발

(대기대순환외4과목)

테크빌닷컴(주)

‘06. 04.~ 09.

133,724,000원


- 389 -

4. 보유중인 기상관측 장비현황

(단위:천원)

번호

장   비   명

보유장소

구입년도

사용연한

구입방식

(구입/리스)

구입가격

월임차료

(평균)

총임차료

임차기간

비 고

1

기상레이더

동해

1991

2001

구입

275,853

-

-

-

백령도

2000

2010

리스

3,294,174

58,945

4,244,057

72개월

재리스

기간 포함

진도

2001

2011

3,287,015

64,374

3,862,484

60개월

광덕산(화천)

2003

2013

4,578,000

81,227

4,873,669

면봉산(청송)

2004

2014

2,123,281

39,105

2,346,353

관악산

2005

2015

2,707,040

52,246

3,134,771

구덕산

2005

2015

2,707,040

52,246

3,134,771

고산(제주)

2006

2016

2,606,533

50,421

3,025,313

성산포

2006

2016

2,695,968

50,421

3,025,313

인천공항

2001

2011

구입

7,026,243

-

-

-

2

기상위성수신장비

(MESDAS- II)

본청

1998

2008

구입

2,789,922

-

-

-

3

기상위성수신장비

(MODIS)

본청

2001

2011

538,168

-

-

-

4

기상위성수신장비

(Meteosat- 5)

본청

2001

2011

98,030

-

-

-


- 390 -

(단위:천원)

번호

장   비   명

보유장소

구입년도

사용연한

구입방식

(구입/리스)

구입가격

월임차료

(평균)

총임차료

임차기간

비 고

5

저층난류경보장비

(LLWAS)

인천공항

2001

2011

구입

1,005,878

-

-

-

제주공항

2001

2011

1,347,247

-

-

-

양양공항

2003

2013

1,054,516

-

-

-

울산공항

2005

2015

1,206,896

-

-

-

6

항공기상관측장비

(AMOS)

인천공항

2001

2009

2,007,976

-

-

-

목포공항

1996

2004

146,435

-

-

-

김포공항

1999

2007

933,664

-

-

-

제주공항

2001

2009

631,573

-

-

-

양양공항

2001

2009

362,850

-

-

-

여수공항

2005

2013

372,716

-

-

-

울산공항

2005

2013

251,596

-

-

-

7

고층기상관측장비

포항

1997

2007

84,538

-

-

-

고산(제주)

1997

2007

84,538

-

-

-

백령도

1999

2009

82,317

-

-

-

속초

2001

2011

51,065

-

-

-

흑산도

2003

2013

81,076

-

-

-


- 391 -

(단위:천원)

번호

장   비   명

보유장소

구입년도

사용연한

구입방식

(구입/리스)

구입가격

월임차료

(평균)

총임차료

임차기간

비 고

8

윈드프로파일러

문산

2003

2013

구입

468,025

-

-

-

강릉

2003

2013

479,500

-

-

-

해남

(연구소)

2003

2013

리스

711,401

24,877

746,313

30개월

군산

2004

2014

구입

721,297

-

-

-

마산

2005

2015

755,281

-

-

-

9

오토존데관측장비

해남

(연구소)

2002

2012

리스

649,352

15,669

752,148

48개월

10

자동기상관측장비

(방재/도서/산악용462조,관서용77조,농관용 7조,연구용1조,이동식10조)

전국

(557조)

-

-

구입

-

-

-

-

11

기상관측부이

(BUOY)

거문도

(여수)

1997

2002

129,332

-

-

-

거제도

(통영)

1998

2003

314,999

-

-

-

동해

2001

2006

514,219

-

-

-

덕적도

(인천)

2005

2010

377,039

-

-

-

칠발도

(목포)

2005

2010

377,039

-

-

-

12

파고계

- 레이더식

고산

(제주)

2001

2011

118,132

-

-

-

격렬비도

2004

2014

365,473

-

-

-

- 392 -

(단위:천원)

번호

장   비   명

보유장소

구입년도

사용연한

구입방식

(구입/리스)

구입가격

월임차료

(평균)

총임차료

임차기간

비 고

13

낙뢰관측장비

(본청(※ 센서:수원등 24소))

본청

2001

2011

리스

1,093,789

21,409

1,284,550

60개월

14

라이더(LIDAR)

- 오존

지구대기

(연구소)

2001

2011

구입

372,755

-

-

-

- 에어러솔

지구대기

(연구소)

2000

2010

125,042

-

-

-

- 황사

군산

2003

2013

132,948

-

-

-

강화

2003

2013

132,948

-

-

-

백령도

2004

2014

146,874

-

-

-

15

지진관측장비

(본청(※광주 등 35소))

본청

1999

2009

403,432

-

-

-

16

황사관측장비

(PM10)

군산

2003

2013

18,724

-

-

-

흑산도

2003

2013

18,724

-

-

-

백령도

2003

2013

18,724

-

-

-

대전

2003

2013

20,850

-

-

-

인천

2003

2013

18,724

-

-

-

고산(제주)

2003

2013

18,724

-

-

-

본청

2003

2013

22,400

-

-

-

광주

2004

2014

21,476

-

-

-

- 393 -

(단위:천원)

번호

장   비   명

보유장소

구입년도

사용연한

구입방식

(구입/리스)

구입가격

월임차료

(평균)

총임차료

임차기간

비고

황사관측장비

(PM10)

추풍령

2004

2014

구입

21,476

-

-

-

천안

2004

2014

21,476

-

-

-

광덕산

2004

2014

21,476

-

-

-

격렬비도

2004

2014

43,680

-

-

-

대관령

2005

2015

22,649

-

-

-

울릉도

2005

2015

22,649

-

-

-

영덕

2005

2015

22,649

-

-

-

구덕산

2005

2015

22,649

-

-

-


※자동기상관측장비는 내구연한이 5년으로 초과‧노후된 중요 부속품을 지속적으로 교체하고 있어 구입년도 및 사용연한 기재를 생략함.







작성자

기술서기관

박 병 권

확인자

측기관리과장

김 진 국

연락처

02 -  2181 -  0713

- 394 -

5. 각 지방청 현황 관련 자료(예산, 예보관수, 장비보유 현황 등)


<부산지방기상청 현황>

□ 예산

(단위 : 백만원)

구  분

2005년도

2006년도

증감액

증감률

(%)

예산액

구성비

예산액

구성비

‧인  건  비

6,715

64.3

7,007

64.9

292

4.3

‧주요사업비

1,834

17.6

1,734

16.0

△100

△5.4

‧기본사업비

1,891

18.1

2,056

19.0

165

8.7

10,440

100

10,797

100

357

3.4


□ 예보관수 : 예보과 4명


□ 장비보유현황

품      명

수 량 

용     도 

o 기상레이더

2식

강수 이동 및 변화 감시

o 지상기상관측시스템(ASOS)

10식

기온‧강수량‧기압 등 관측

o 자동기상관측장비(AWS)

129식

기온‧강수량 등 관측

o 기상관측선

1척

해양기상의 관측

o Buoy

1식

파고, 풍향ㆍ풍속 등 관측(거제도)

o 해양기상관측탑

1식

파고, 풍향ㆍ풍속 등 관측(부산 수영만)

o 악기상감시시스템(CCTV)


12대


강수, 적설, 해상감시(거창, 산청, 합천 문경, 영주, 구미, 봉화, 영덕, 밀양, 부산, 통영, 울진)

o 고층기상관측장비

1식

고층대기상태 관측(포항)

o 오존측정장비

1식

오존관측(포항)

o 자외선측정장비

2대

UV- A, UV- B(포항)

o 산성비측정장비

1식

산성비 분석을 위한 채수(울진)

o 지진관측장비(수감부)


30대


지진관측(광대역 : 3소, 단주기 : 5소, 

가속도 : 22소)

o 종합기상정보시스템

1식

기상정보 송수신

o 위성수신장비


5조


정지기상위성자료 수신

(부산, 대구, 포항, 마산, 통영)

o 낙뢰관측장비

5조

낙뢰강도 관측

(울진, 안동, 진주 2, 포항)

o 수직측풍장비

(윈드프로파일러)

1조

고층기상관측(마산)

o 황사관측장비(PM10)

(부유분진분석기)

2조

황사농도 측정(구덕산, 영덕)

17종  205점

- 395 -


<광주지방기상청 현황>

□ 예산현황(8,830,841천원)

◦ 인건비(60.9%) : 5,377,871천원

◦ 기본기관운영비(19.5%) : 1,727,971천원

◦ 주요사업비(19.6%) : 1,727,999천원


□ 예보관수 : 예보과  4명


□ 장비 보유 현황

품    명

수량

장비 보유 장소

기상레이더

1조

진도(S- band)

지상기상관측시스템(ASOS)

18조

지방청‧기상대 9조, 관측소 9조

자동기상관측시스템(AWS)

108조

방재용 106대, 이동식 2대

고층기상관측장비 

1조

1조

흑산도 (라디오존데)

군  산 (수직측풍장치)

해양기상관측용 BUOY

2조

목포(칠발도), 여수(거문도)

등표용 자동기상관측장비

4대

십이동파도‧해수서‧갈매여‧간여암

황사관측장비  PM- 10

Lidar

3대

1대

광주‧군산‧흑산도

군산

낙뢰관측장비

6대

구름방전 5, 대지방전 1

지진관측장비

25대

초광대역 1, 광대역 1, 단주기 7, 가속도계 16

ATM 통신장비

18조

지방청‧기상대‧관측소

위성전화장비(글로벌스타)

5대

광주‧흑산도‧군산‧목포‧여수

무선통신장비(SSB)

2대

광주‧흑산도

아마추어무선통신장비(HAM)

7대

지방청‧기상대(흑산도 제외)




작성자

행정주사

범은희

확인자

서무과장

곽동수

연락처

062- 519- 0221

- 396 -

<대전지방기상청>

□ 예산현황

(단위 : 백만원)

구    분

2006년(A)

2005년(B)

증감

(A- B)

증가율 (%)

금 액

구성비(%)

금 액

구성비(%)

8,631

100

7,557

100

1,074

14.2

1. 인건비

5,822

68

5,496

73

326

5.9

2. 기본 사업비

2,171

25

1,945

26

226

11.6

o 기본경비

1,747

20

1,548

21

199

o 전산운영

101

1

95

1

6

o 시설개선 및 장비보강

245

3

237

3

8

o 공익근무요원 운용

73

1

60

1

13

o 혁신과제추진

5

-

5

-

-

3. 주요사업비

638

7

116

1

522

450.0

o 기상관서 비상전원

-

-

35

-

△35

o 자동기상관측장비 교체

131

1

-

-

131

o 방재기간고층 특별관측

58

1

-

-

58

o 관악산레이더 기본운영

164

2

18

-

146

o 등표기상장비 운영

63

1

63

1

-

o 황사관측장비 운영

34

-

-

-

34

o 백령도레이더 기본운영

48

-

-

-

48

o 기상정보시스템 운영

140

2

-

-

140


□ 예보관수

(단위 : 명)

기  관  명

예보관수

비    고

대전지방기상청

4



- 397 -

□ 장비보유 현황

품      명

수량

용        도

o 지상기상관측장비(ASOS)

19조

기온‧기압 등 종관기상관측

o자동기상관측장비(AWS)

113조

기온‧강수량‧바람 등 관측

o 농업기상관측장비

2조

기온‧순복사 등 농업기상요소 관측

o 자동기상관측장비(등표용)

2조

파고‧기온‧바람‧기압‧수온

o 기상레이더

2조

기상현상 감시‧관측(백령도, 관악산)

o 고층기상관측장비

1조

상층기상요소 관측(백령도)

o 부이(BUOY)

1조

해상기상요소 관측(덕적도)

o 지진계

19조

지진강도 관측

o 낙뢰감지기(센서)

8조

낙뢰현상 관측

o 종합기상정보시스템

1식

기상정보 송‧수신 및 자료처리

o 영상회의시스템

1조

영상회의

o 한밭단시간 예측시스템

1조

충청지방 수치예보

o 기상분석시스템(FAS)

1조

일기도, 보조자료 등 기상분석 표출

o 부유분진 분석기(PM10)

6조

황사관측

(관악산, 인천, 백령도, 추풍령, 천안, 격렬비도)

o 라이더

2조

황사관측(백령도, 강화)

o 수직측풍장비

1조

상층대기의 바람관측(문산)



작성자

행정주사

김재욱

확인자

서무과장

김영동

연락처

042 -  862 -  8143



- 398 -

<강원지방기상청 현황>

□ 예산 현황 

(단위 : 백만원)

구    분

2006년(A)

2005년(B)

증 감

(A- B)

증가율

(%)

금 액

구성비(%)

금 액

구성비(%)

합 계

8,946

100

7,052

100

1,894

27.5

1. 기관 운영비

6,949

77

6,225

88

724

11.6

∘인건비

∘기본경비

∘전산운영

시설개선 및 장비보강

4,931

1,537

99

336

4,652

1,127

104

342

279

410

△5

△6

2. 사업비

2,043

23

827

12

1,216

147

∘강원청 청사개선

∘대관령(기) 청사이전

∘광덕산 운영

∘관측‧전산장비운영

252

1,300

166

325

614

76

71

66

△362

1,224

95

259


□ 예보관수 : 4명(예보과)


□ 주요 장비

품  명

수량

비  고

∘기상레이더

2식

동해, 광덕산

∘고층기상관측장비

1식

속초

∘종관기상관측장비

13식

강원청2, 기상대8, 관측소3

∘자동기상관측장비

77식

∘영상적설관측시스템

14식

∘지진계

12대

강원청1, 기상대8, 관측소3

∘해양기상관측부이

1식

동해

∘농업기상관측장비

1식

철원

∘낙뢰감지기

3식

춘천, 동해, 대관령

∘부유분진분석기

3식

대관령, 울릉도, 광덕산

∘수직측풍장비

1식

강원청(강릉대)

∘자외선측정계

1대

강원청

∘수위측정계

1식

울릉도

작성자

행정주사보

최 돈 영

확인자

과장

정 길 운

연락처

033 -  643 -  0364

- 399 -


<제주지방기상청>

□ ‘06년 예산 : 4,228,616천원

o 인건비 : 2,328,260천원

o 기본사업비 : 1,020,803천원

o 주요사업비 : 879,553천원


□ 예보관수 : 4명(예보과)


□ 주요장비 보유 현황

품  명

수량

비  고

∘기상레이더

3식

고산(C- band 1식,S- band 1식), 성산

∘고층기상관측장비

1식

고산

∘자동기상관측장비

24식

(관서용 5식 포함)

∘영상적설관측시스템

1식

제주청

∘지진관측장비

4대

제주청1, 기상대2, 관측소1

∘등표용 해양기상관측장비

1식

지귀도

∘레이더식 파고계

1식

고산

∘낙뢰감지기

2식

제주청, 서귀포

∘황사관측장비

1식

고산

∘초음파식 적설관측장비

1식

제주청



작성자

사 무 원

김 영 수

확인자

서무과장

박 정 수

연락처

064 -  722 -  0365

- 400 -

<항공기상대>


□ 예산

(단위:백만원)

구 분

2006년 예산(A)

예산

구성비(%)

6,358

100.0

1. 인건비

3,822

60.1

2. 주요사업비

1,096

17.2

3. 기본사업비

1,440

22.7



□ 예보관수

부서명

직급

예보관 수

예보과

기상사무관

2



□ 장비보유현황

(단위:백만원)

운용관서

장비명

도  입

설치일

가격

설치장소

항공기상대

AMOS(공항기상관측장비)

LLWAS(저층바람시어경보장치)

TDWR(공항기상레이더)

WAFS(세계공역예보수신시스템)

2001.07.13

2001.07.13

2001.07.13

2001.12.27

2,008

1,006

7,026

112

활주로

공항주변

왕산

항공기상대

김포공항(기)

AMOS(공항기상관측장비)

1999.01.12

934

활주로

제주공항(기)

AMOS(공항기상관측장비)

LLWAS(저층바람시어경보장치)

2001.05.10

2001.05.02

633

1,347

활주로

공항주변

울산공항(기)

AMOS(공항기상관측장비)

윈드프로파일러(바람시어탐지장비)

2005.11.08

2005.11.08

252

1,207

활주로

활주로

양양공항(관)

AMOS(공항기상관측장비)

LLWAS(저층바람시어경보장치)

2003.04.01

2003.12.11

363

1,055

활주로

공항주변

목포공항(관)

AMOS(공항기상관측장비)

1996.02.27

146

활주로

여수공항(관)

AMOS(공항기상관측장비)

2005.02.05

373

활주로

작성자

행정주사

차준학

확인자

기획운영과장

박호문

연락처

032 -  740 -  2802


- 401 -


6. 기상관측장비 노후화 관련


<부산지방기상청>


□ 2004년~2006년 8월 현재 기상관측장비 고장 발생건수


○ 기상관측장비 고장 발생건수

구  분

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

2004년

26

40

40

32

138

2005년

33

25

53

18

129

2006년 8월

10

26

19

55


○ 기상관측장비 고장 및 수리 내역 : 붙임참조


□ 노후장비교체계획 및 소요예산


○ 노후장비 교체 및 소요예산

장 비 명

수  량

소 요 예 산

비고

온도검정장비(챔버)

1

50,000천원

수조식검정장비

1

50,000천원

습도검정장비

1

50,000천원

기압검정장비

1

50,000천원

ASOS관측장비

7

350,000천원

11

550,000천원

작성자

전무주사

변 동 철

확인자

기술서기관

손 철 희

연락처

051- 600- 0221

- 402 -

<광주지방기상청>


□ 2004~2006년 8월 현재 기상관측장비 고장 발생건수

구    분

2004년

2005년

2006년 8월

비  고

고장횟수

70

81

69



□ 노후장비 교체계획 및 소요예산

단위 : 백만원

사 업 명

장   비   명

계 획 기 간 중

2006

2007

2008

2009

’10~’14

검정장비

보강 등

온도검정장비

30

30

습도검정장비(챔버)

30

기압검정장비(챔버)

30

AWS 검정차량

100

노후장비 교체

BUOY

410

3000

전자교환기

50

고층기상관측장치

90

ASOS

90

136

136

45

405

AWS (관측소)

160

AWS(방재)

100

300

350

250

1060

등표용 AWS

450

150

레이더 장비 

스펙트럼 아날리져

2/100

630

726

666

775

4705


작성자

통신사무관

황창연

확인자

기후정보과장

이미자

연락처

062 -  519 -  0428

- 403 -

<대전지방기상청>


□ 2004~2006년 8월 현재 각 지방기상청별 기상관측장비 고장 발생건수

구    분

2004년

2005년

2006년

비  고

고장횟수

160

179

68



□ 노후장비 교체계획 및 소요예산

(단위 : 천원)

장  비  명

수량

단  가

합  계

교체지점

무정전전원장치

1

24,970

24,970

대전청(교체)

자동적설관측장비

4

30,662

122,648

인천, 백령도, 문산, 동두천(신설)

지진계가속도계

1

25,000

25,000

공주(9월 신설)

단주기지진계

1

51,000

51,000

보은(9월 신설)

자동기상관측장비

(AWS)

10

8,500

85,000

용유도, 장봉도, 청양, 성거, 구즉, 속리산, 가곡, 목덕도, 전곡, 옹도

(9월 교체)

자동기상관측장비

(ASOS)

1

45,000

45,000

수원(9월 교체)



작성자

전무주사

이 종 제

확인자

기후정보과장

김 진 배

연락처

042 -  862 -  0372


- 404 -

<강원지방기상청>

□ 기상관측장비 고장 발생건수(2004~2006년 현재)

품  명

수량

2004

2005

2006현재

∘기상레이더

2식

2

1

1

4

∘고층기상관측장비

1식

0

∘종관기상관측장비

13식

13

12

4

29

∘자동기상관측장비

77식

30

31

13

74

∘영상적설관측시스템

14식

4

2

6

∘지진계

12대

2

2

∘해양기상관측부이

1식

3

1

1

5

∘농업기상관측장비

1식

0

∘낙뢰감지기

3식

0

∘부유분진분석기

3식

1

1

∘수직측풍장비

1식

1

1

2

∘자외선측정계

1대

0

∘수위측정계

1식

3

3

49

52

21

122


□ 노후장비 교체계획 및 소요 예산

o 자동기상관측장비 11소 교체(소요예산 : 118,789천원)

-  종관기상관측장비(춘천기상대 1소)

‧관측요소 : 기온, 풍향, 풍속, 습도, 기압, 강수량(0.1 ,0.5), 강우감지, 공기순환기, 초상온도, 지면온도, 일조, 일사, 지중온도

 -  방재용 자동기상관측장비(울릉도 천부 등 10소)

‧ 관측요소 : 기온, 풍향, 풍속, 강수량, 강우감지


작성자

사무관

전 광 용

확인자

과장

이 정 호

연락처

033 -  642 -  0368


- 405 -

<제주지방기상청>

□ 기상관측장비 고장 발생건수(2004~2006년 현재)

품  명

2004

2005

2006

∘기상레이더

4

2

1

7

∘고층기상관측장비

0

∘자동기상관측장비

39

40

36

115

∘영상적설관측시스템

0

∘지진관측장비

2

2

∘등표용 해양기상관측장비

0

∘레이더식 파고계

1

1

2

∘낙뢰감지기

0

∘황사관측장비

2

2

4

∘초음파식 적설관측장비

0


□ ‘06년 노후장비 교체계획 및 소요 예산

o 자동기상관측장비 11소 교체(소요예산 : 130,000천원)

-  종관기상관측장비(고산기상대 1소) 소요예산 : 45,000천원

‧관측요소 : 기온, 풍향, 풍속, 습도, 기압, 강수량(0.1 ,0.5), 강우감지, 초상온도,

지면온도, 일조, 일사, 

 -  방재용 자동기상관측장비(추자도 등 10소) 소요예산 : 85,000천원

‧ 관측요소 : 기온, 풍향, 풍속, 강수량, 강우감지


작성자

사 무 원

김 영 수

확인자

서무과장

박 정 수

연락처

064 -  722 -  0365

- 406 -

<항공기상대>

□ 소속기관별 기상관측장비 고장 발생건수(2004년~2006년 8월 현재)

운용관서

장비명

고장발생건수

항공기상대(인천)

AMOS(공항기상관측장비)

2004년

4

2005년

8

2006년 8월 현재

4

LLWAS(저층바람시어경보장치)

2004년

0

2005년

5

2006년 8월 현재

0

TDWR(공항기상레이더)

2004년

0

2005년

15

2006년 8월 현재

0

김포공항(기)

AMOS(공항기상관측장비)

2004년

7

2005년

6

2006년 8월 현재

2

제주공항(기)

AMOS(공항기상관측장비)

2004년

3

2005년

0

2006년 8월 현재

0

LLWAS(저층바람시어경보장치)

2004년

2

2005년

0

2006년 8월 현재

1

울산공항(기)

AMOS(공항기상관측장비)

2004년

3

2005년

6

2006년 8월 현재

1

Wind- profiler(저층바람시어경보장치)

2005년

1

2006년 8월 현재

0

양양공항(관)

AMOS(공항기상관측장비)

2004년

7

2005년

8

2006년 8월 현재

1

LLWAS(저층바람시어경보장치)

2004년

0

2005년

10

2006년 8월 현재

0

목포공항(관)

AMOS(공항기상관측장비)

2004년

11

2005년

5

2006년 8월 현재

0

여수공항(관)

AMOS(공항기상관측장비)

2004년

5

2005년

11

2006년 8월 현재

3

□ 노후장비 교체계획 및 소요예산

○ 연차별 투자계획(‘06~’10)

(백만원)

사업내용

‘06예산

‘07

요구

‘08

‘09

‘10

○ 인천공항 제1,2활주로 AMOS교체 1조

1,000

-

-

-

1,000

-

○ 제주공항(기) AMOS 교체

550

-

-

-

-

550

○ 김포공항(기) AMOS 교체

1,000

-

-

1,000

-

-

2,550

1,000

1,000

550

※ 항공기상관측장비 정비보수용역 예산은 ‘08년부터 기본사업으로 전환

작성자

기상주사

김용석

확인자

정보지원과장

박진석

연락처

032-  740 -  2840

- 407 -

7. 슈퍼컴퓨터 운영관련

-  호별 인원현황(운영관리인력, 소프트웨어 개발인력)

-  2002~2006년 현재, 년도별 충원내역 및 향후 추진계획

-  슈퍼컴퓨터 운영 적정인원 대비 현원 및 적정인원 산출근거


<호별 인원현황>

□ 슈퍼컴 1, 2호기 운영관리인력 및 소프트웨어 개발인력(현원)

구  분

기상청 운영관리인력

유지보수 지원인력

소프트웨어 개발인력

슈퍼컴 1호기

(2005년)

11인

3인

22인

슈퍼컴 2호기

(2006년)

12인

8인

22인


<2002~2006년 현재, 년도별 충원내역 및 향후 추진계획>

□ 연도별 충원내역(증원/정원)

구  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시스템 운영관리인력

- /8

- /8

- /8

3/11

2/13

* 2006년 현원은 12인(1인 결원)


□ 향후 충원계획(증원/정원)

구  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시스템 운영관리인력

- /13

5/18

6/24

2/26


<슈퍼컴퓨터 운영 적정인원 대비 현원 및 적정인원 산출근거>

□ 기상선진국 대비 운영인력 비교

구  분

미국

일본

유럽(ECMWF)

중국

한국

시스템 운영인력(인)

74

59

69

40

13

실제성능(Tflops)

8.7

23

18.4

10.3

15.7

※ 적정인력 2010년까지 26명


작성자

기상주사보

장은해

확인자

슈퍼컴팀장

이동일

연락처

02 -  2181 -  0456

- 408 -

8. 2004~2006. 7 현재, 기상대별 예보정확도 내역

< 2004~2006. 7 최고/최저기온 평방근오차, 강수유무 정확도, 백분율 평가 결과 >

구분


지점

2004년

2005년

2006.1~7월

최고기온

RMSE

최저기온

RMSE

강수유무

정확도

백분율

최고기온

RMSE

최저기온

RMSE

강수유무

정확도

백분율

최고기온

RMSE

최저기온

RMSE

강수유무

정확도

백분율

동두천

2.0 

1.8 

86.6 

88.4 

1.9 

1.9 

84.9 

86.6 

2.4 

1.7 

85.0 

85.9 

문산

1.9 

2.0 

86.1 

87.0 

1.8 

2.1 

85.5 

85.7 

2.1 

1.8 

87.7 

86.6 

서울

1.8 

1.5 

83.1 

88.1 

1.7 

1.5 

83.4 

87.7 

1.9 

1.4 

85.7 

86.8 

인천

2.0 

1.5 

83.6 

87.4 

2.0 

1.6 

81.0 

86.6 

2.1 

1.4 

84.4 

87.6 

수원

1.8 

1.8 

85.6 

87.2 

1.7 

1.7 

85.2 

87.1 

2.0 

1.6 

86.9 

87.1 

백령도

2.2 

1.7 

83.7 

88.0 

2.0 

1.7 

86.1 

86.6 

2.5 

1.7 

81.7 

82.0 

서산

2.1 

2.1 

84.3 

86.7 

1.9 

2.0 

83.0 

86.5 

2.1 

1.8 

78.8 

86.5 

대전

2.0 

1.9 

83.1 

87.2 

1.8 

1.7 

84.3 

86.6 

2.0 

1.6 

86.0 

87.5 

충주

2.0 

2.0 

86.0 

86.9 

1.8 

2.0 

84.2 

86.4 

2.1 

1.9 

88.3 

87.1 

청주

1.9 

1.9 

86.5 

88.0 

1.7 

1.8 

85.8 

86.4 

2.1 

1.7 

82.2 

86.8 

추풍령

2.2 

2.1 

87.4 

87.5 

2.1 

2.1 

87.5 

85.4 

2.3 

1.9 

86.7 

84.6 

철원

1.7 

2.0 

86.0 

87.9 

1.8 

2.1 

83.5 

86.7 

2.3 

2.0 

82.1 

85.0 

춘천

2.0 

2.0 

85.0 

86.4 

2.0 

2.0 

85.2 

86.3 

2.2 

1.8 

85.4 

86.5 

원주

2.1 

1.9 

85.9 

85.4 

1.9 

2.0 

85.0 

86.2 

2.2 

1.9 

84.4 

85.6 

영월

2.2 

2.1 

85.1 

84.4 

2.0 

2.2 

86.8 

86.4 

2.2 

2.1 

85.6 

85.7 

속초

2.3 

2.1 

86.3 

84.9 

2.3 

2.1 

88.3 

85.3 

2.7 

2.0 

80.1 

81.3 

대관령

2.2 

2.3 

83.8 

83.6 

2.3 

2.3 

86.4 

84.9 

2.5 

2.1 

86.0 

83.7 

강릉

2.1 

2.1 

82.9 

84.9 

2.2 

2.0 

89.3 

85.4 

2.7 

2.0 

86.2 

83.7 

동해

2.1 

2.1 

83.3 

84.1 

2.2 

1.9 

86.9 

85.1 

2.6 

1.9 

86.3 

83.2 

울릉도

2.0 

1.6 

82.6 

87.4 

2.1 

1.7 

82.3 

85.8 

2.1 

1.6 

86.1 

87.1 

광주

1.8 

1.7 

87.1 

89.1 

1.8 

1.6 

84.2 

87.2 

1.9 

1.7 

84.4 

86.8 

목포

1.8 

1.6 

86.9 

90.1 

1.8 

1.7 

84.5 

88.1 

1.7 

1.5 

85.8 

87.6 

여수

1.7 

1.5 

84.3 

88.4 

1.8 

1.4 

81.5 

86.8 

1.7 

1.3 

87.4 

89.5 

흑산도

2.1 

1.4 

87.5 

89.5 

2.0 

1.3 

85.1 

88.3 

2.1 

1.4 

84.9 

87.0 

완도

2.0 

1.8 

86.8 

87.5 

1.9 

1.7 

83.8 

86.7 

1.9 

1.7 

85.0 

87.9 

진도

2.4 

1.8 

86.2 

87.2 

2.3 

1.8 

84.9 

86.1 

2.3 

1.8 

82.6 

85.5 

군산

1.8 

1.7 

87.3 

90.9 

1.8 

1.6 

88.3 

88.9 

2.0 

1.6 

87.5 

88.3 

전주

2.0 

1.8 

88.7 

88.3 

1.9 

1.8 

83.7 

86.7 

2.1 

1.9 

85.8 

86.5 

울산

1.9 

1.9 

90.2 

88.9 

2.1 

1.8 

86.8 

86.3 

2.2 

1.8 

89.4 

86.7 

마산

1.8 

1.6 

88.9 

89.3 

2.0 

1.5 

90.5 

88.5 

1.9 

1.6 

90.0 

88.4 

부산

1.8 

1.5 

89.2 

89.4 

1.9 

1.4 

88.3 

87.5 

1.9 

1.5 

88.9 

87.4 

통영

1.7 

1.6 

88.5 

90.0 

1.7 

1.4 

88.7 

89.2 

1.8 

1.4 

86.5 

89.1 

진주

1.9 

2.1 

86.2 

86.4 

2.0 

2.1 

88.2 

86.1 

1.9 

2.0 

86.9 

86.5 

울진

2.0 

2.0 

84.3 

86.6 

2.1 

1.8 

89.0 

87.6 

2.4 

1.8 

84.7 

84.6 

안동

2.0 

1.8 

86.2 

88.3 

1.9 

2.0 

86.1 

87.3 

2.1 

1.9 

85.8 

87.1 

상주

2.1 

2.1 

83.8 

87.0 

2.0 

2.0 

86.5 

87.8 

2.4 

1.9 

87.3 

86.0 

포항

2.1 

1.7 

85.8 

86.6 

2.1 

1.7 

86.0 

86.7 

2.3 

1.7 

87.4 

85.7 

대구

1.9 

1.7 

87.2 

89.0 

1.9 

1.6 

85.6 

86.9 

2.0 

1.7 

86.3 

87.3 

제주

1.9 

1.4 

83.9 

87.9 

1.8 

1.6 

83.6 

88.2 

1.9 

1.5 

86.0 

87.0 

고산

1.9 

1.6 

85.4 

87.1 

1.9 

1.6 

81.7 

87.4 

1.9 

1.5 

82.5 

87.8 

서귀포

1.7 

1.6 

84.1 

87.4 

1.7 

1.5 

81.9 

87.8 

1.6 

1.6 

84.6 

87.4 

평균

2.0 

1.8 

85.4 

87.5 

1.9 

1.8 

85.5 

86.8 

2.1 

1.7 

85.5 

86.3 

- 409 -

< 평가지수와 백분율 평가의 설명 >

□ 평가대상 예보

구 분

평가지수

백분율 평가

평가대상

05시 발표 오늘, 내일 예보

17시 발표 오늘, 내일 예보

05시 발표 오늘, 내일 예보

17시 발표 내일 예보


□ 기온 평방근오차(RMSE, Root Mean Square Error) 

 예보값,  관측값


전체적인 예보의 정확도를 측정하는 요소의 하나. 오차의 평균적인 크기를 제공함.

평균절대오차(MAE)에 비해서 큰 오차에 대해 민감하게 작용함.

값은 0에서 무한대의 값을 가지며 0에 가까울수록 예보의 오차가 작음. 


□ 강수유무 정확도(Accuracy, %) 

 × 100

H는 Hits, M은 Misses, F는 False alarm, C는 Correct negatives

예     보

yes

no

관측

yes

H (맞힘)

M (미예측)

no

F (미발생)

C (부의 정확)


□ 백분율 평가(%) 

○ 예보요소별 배점

발표시각

예보범위

기  온 

강수유무

하늘상태

합  계

최고기온

최저기온

05시 발표

오늘예보

20

-

50

30

100

내일예보

20

20

30

30

100

17시 발표

내일예보

20

20

30

30

100


- 410 -

○ 기온오차 범위별 배점

오차범위

|F -  O| ≤ 2℃

2℃ < |F -  O| ≤ 4℃

|F -  O| > 4℃ 

배    점

20

10

0

○ 강수유무 : 예보와 실황이 일치할 경우에 오늘예보 50점, 내일예보 30점으로 평가하며, 예보와 실황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0점 처리.

○ 하늘상태 : 10단계로 구분하며 평가배점 분류표는 다음과 같음.

실황

예보

◯ 

→◎

→◎

◎→

◎→◯ 

◯ 

◯ 

30

25

10

0

25

15

5

5

15

25

25

30

25

10

25

25

15

15

25

25

10

25

30

25

15

25

25

25

25

15

0

10

25

30

5

15

25

25

15

5

25

25

15

5

30

25

20

10

10

10

→◎

15

25

25

15

25

30

25

5

0

5

→◎

5

15

25

25

20

25

30

5

5

5

◎→

5

15

25

25

10

5

5

30

25

20

◎→◯ 

15

25

25

15

10

0

5

25

30

25

◯ 

25

25

15

5

10

5

5

20

25

30

* ◯ 맑음,  구름조금,  구름많음, ◎ 흐림, ◯→ 맑은 후 구름많음, ◯→◎ 맑은 후 흐림. →◎ 차차 흐림, ◎⇒ 흐린 후 갬, ◎→◯ 흐린 후 맑음, →◯ 차차 맑음


□ 예보정확도는 당해연도 및 월별 이상기상 발생빈도 등의 요인에 의해 일시적으로 약간의 편차가 있을 수 있음.


작성자

기상사무관

하창환

확인자

예보정책과장

조영순

연락처

02 -  2181 -  0492


9.  2005년 8월~2006년 8월 현재, 부패방지위원회, 공정거래 위원회 등 정부 각종 위원회로부터 시정조치 및 제재 받은 내역 및 조치내역

“해당사항 없음”

- 411 -

10. 일반현황

-  직제 및 인원편성 현황(행정직, 기술직 구분)

-  지방기상청 조직, 인력(행정직, 기술직 구분) 현황

-  중‧장기 인력운영계획 등 기상업무 수요예측에 따른 적정인력 추산 관련자료


<가. 본청 직제 및 인원편성 현황(행정직, 기술직 구분)>


□ 본청 인원 편성 현황(2006년 8월 현재)

o 정원(1,230명 / 행정직 66명, 기술직 859명, 정무직 1명, 연구직 101명, 

별정직 2명, 계약직 3명, 기능직 198명)

-  본청(379명)

□ 기상청(본청) 직제(2006년 8월 현재)

국‧실 단위

과 단위

정원수 

기상청장

(4)

4

차장

(3)

3

정책홍보관리관

(51)

혁신인사기획관

17

재정기획관

17

정책홍보담당관

9

국제협력담당관

8

정보화관리관

(43)

정보화담당관

13

정보통신담당관

17

슈퍼컴팀

13

기상교육담당관(10)

10

총무과(31)

31

예보국

(91)

예보정책과

9

수치예보과

34

기상위성과

33

디지털예보개발과

15

예보총괄관

(38)

기상통보관

13

예보관(4)

16

태풍예보담당관

9

관측국

(68)

관측황사정책과

12

측기관리과

19

기상레이더과

10

지진기획과

7

지진감시과

13

고층해양팀

7

기후국

(40)

기후정책과

9

기후예측과

15

기상산업진흥과

10

기후자료팀

6

379

- 412 -


소속명

정원

행정직

기술직

정무직

연구직

별정직

계약직

기능직

379

40

254

1

42

2

1

39

청          장

4

1

1

1

1

차          장

3

1

2

정책홍보

관리관실

51

16

29

1

1

4

혁신인사기획관

17

8

8

1

재정기획관

17

6

10

1

정책홍보담당관

9

1

6

1

1

국제협력담당관

8

1

5

1

1

정보화

관리관실

43

1

34

4

4

정보화담당관

13

1

8

3

1

정보통신담당관

17

14

3

슈퍼컴팀

13

12

1

기상교육담당관

10

2

6

2

총    무    과

31

11

6

1

13

예보국

129

3

96

25

5

예보정책과

9

1

7

1

수치예보과

34

23

10

1

기상위성과

33

2

20

10

1

디지털예보개발과

15

11

3

1

예보

총괄관실

소계

38

35

2

1

기상통보관

13

12

1

예  보  관

16

16

태풍예보

담당관

9

7

2

관측국

68

3

56

5

4

괸측황사정책과

12

1

10

1

측기관리과

19

1

16

2

기상레이더과

10

7

3

지진기획과

7

1

6

지진감시과

13

10

2

1

고층해양기상팀

7

7

기후국

40

4

26

6

4

기후정책과

9

2

5

1

1

기후예측과

15

10

4

1

기상산업진흥과

10

2

7

1

기후자료팀

6

4

1

1


작성자

행정사무관

권 혁 신

확인자

혁신인사기획관

조 주 영

연락처

02 -  2181 -  0313


- 413 -

<나. 지방기상청 조직, 인력 현황(행정직, 기술직 구분)>

□ 소속기관 직제(2006년 8월 현재)

국‧실 단위

과 단위

정원수 

기상연구소

(80)

연구실(8실)

68

지구대기감시관측소(1소)

12

기상통신소(9)

9

항공기상대

(100)

기획운영과

11

예보과

22

정보지원과

11

공항기상대(3소)

32

공항기상관측소(6소)

24

부산지방기상청

(182)

서무과

9

예보과

21

기후정보과

16

해양기상과

17

기상대(9소)

94

기상레이더관측소(2소)

12

기상관측소(13소)

13

광주지방기상청

(136)

서무과

10

예보과

21

기후정보과

15

기상대(7소)

75

기상레이더관측소(1)

6

기상관측소(9소)

9

대전지방기상청

(152)

서무과

9

예보과

21

기후정보과

15

기상대(9소)

91

기상레이더관측소(1)

6

기상관측소(9소)

10

강원지방기상청

(130)

서무과

8

예보과

21

기후정보과

16

기상대(8소)

76

기상레이더관측소(1소)

6

기상관측소(3소)

3

제주지방기상청

(62)

서무과

7

예보과

18

기후정보과

12

기상대(2소)

20

기상관측소(1소)

5

851




- 414 -

□ 소속기관 인원 현황(2006년 8월 현재)

기관명

정원

행정직

기술직

연구직

기능직

계약직

851

26

605

59

159

2

기상연구소

80

4

11

58

7

기상통신소

9

6

3

부산지방기상청

182

3

132

47

광주지방기상청

136

4

103

29

대전지방기상청

152

4

119

1

28

강원지방기상청

130

4

105

21

제주지방기상청

62

3

48

11

항공기상대

100

4

81

13

2



작성자

행정사무관

권 혁 신

확인자

혁신인사기획관

조 주 영

연락처

02 -  2181 -  0313



<다. 중‧장기 인력운영계획 등 기상업무 수요예측에 따른 적정인력 추산 관련자료>

□ 2006년 기상청 중기인력 운영계획 요약

년 도

구 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총계

우선

순위

총    계

49명

222명

112명

59명

442명

1

디지털예보 서비스

(기상대 신설 및 보강)

28명

68명

-

-

96명

2

태풍센터 신설

3명

14명

5명

3명

25명

3

기상위성센터 신설

5명

25명

24명

-

54명

4

지방기상청 신설

(경북→경기→전북→충북)

-

25명

25명

25명

75명

5

국가 지진센터 신설

-

9명

8명

7명

24명

- 415 -

년 도

구 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총계

6

기상관측표준화과 신설

(국가기상자료센터 신설)

6명

8명

-

-

14명

7

첨단관측 장비의 운영

(황사, 고층, 레이더 등)

5명

12명

11명

6명

34명

8

국가대기과학연구원 설립

(연구인력 포함)

2명

21명

24명

13명

60명

9

제2지구대기감시관측소 신설

-

12명

1명

-

13명

10

항공기상대 신설

-

8명

-

-

8명

11

엘리뇨 등 장기예보 강화

-

6명

3명

-

9명

12

슈퍼컴 운영(3호기 도입)

-

6명

2명

-

8명

13

기상과학관 신설

-

5명

6명

2명

13명

14

방재기상 전담 서비스 요원

(광역지자체)

-

3명

3명

3명

9명

※ 동 계획은 기상청 자체에서 수립한 계획이며, 2006년 3월에 행정자치부에 제출한 자료를 기준으로 작성한 것이며, 행정 여건 변화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 2007년 인력은 행정자치부에서 인정한 인력임




작성자

기상사무관

정 종 운

확인자

혁신인사기획관

조 주 영

연락처

02 -  2181 -  0313

- 416 -

11. 기상관측표준화위원회와 관련

-  위원회 개요(설치취지, 설치근거, 위원명단)

-  설립부터 현재까지 상정안건, 안건처리결과 등


<위원회 개요>

◦설치취지

-  「기상관측표준화법」에 따라 기상관측업무가 관측기관으로 확대되고 법을 이행하는데 있어 기상관측기관간의 업무협조가 매우 중요한 사안으로 대두되고 있음.

-  특히 관측시설의 등급, 관측자료의 품질관리, 자료의 공동활용 등 관측기관간의 이해가 상충되는 경우가 발생할 소지가 있으므로 이를 협의 조정하는 위원회를 구성하여 해결하는 방안이 가장 합리적이며 이를 통해 기상관측표준화를 추진하는데 있어 발생할 수 있는 제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임.


◦설치근거

-  「기상관측표준화법」 제20조~제22조 및 동법 시행령 제9조~제11조(붙임1 참조)


◦위원명단

-  기상관측표준화위원회(붙임2 참조)

‧위원장 : 기상청장

‧위  원 : 행정자치부, 해양수산부 등 15개 관련부처 국장급

‧간  사 : 기상청 관측국장

-  기상관측표준화실무위원회(붙임3 참조)

‧위원장 : 기상청 관측국장

‧위  원 : 환경부, 해양수산부 등 14개 관련부처 과장급

‧간  사 : 기상청 관측황사정책과장


<설립부터 현재까지 상정안건, 안건처리결과>

◦제1차 기상관측표준화위원회 회의 개최(2004. 7. 28.)

-  상정안건 및 처리결과 : 기관별 기상관측 측기교체 및 신규설치 계획, 기상관측표준화 등에 대한 의견 개진(붙임4 참조)


◦제2차 기상관측표준화위원회 회의 개최(2005. 12. 23.)

-  상정안건 및 처리결과 : 지상 자동기상관측장비의 표준규격 및 관측기관 사이의 통신 송‧수신방식, “국가기상관측환경정보시스템” 등에 대한 검토 및 의견 개진(붙임5 참조)

- 417 -

◦제1차 기상관측표준화실무위원회 회의 개최(2004. 9. 16.)

-  상정안건 및 처리결과 : 기상청표준규격(안)에 대한 의견 개진(붙임6 참조)


◦제2차 기상관측표준화실무위원회 회의 개최(2004. 10. 7.)

-  상정안건 및 처리결과 : 지상관측용 자동기상관측환경 및 통신운영시스템 표준화에 대한 각 부처별 현황 설명 및 의견 개진(붙임7 참조)


◦제3차 기상관측표준화실무위원회 회의 개최(2005. 11. 8.)

-  상정안건 및 처리결과 : 지상 자동기상관측의 표준규격 설명 및 의견 개진(붙임8 참조)


◦제4차 기상관측표준화실무위원회 회의 개최(2005. 12. 22.)

-  상정안건 및 처리결과 : “국가기상관측환경정보시스템” 시연 및 공동활용 방안에 대한 의견 개진(붙임9 참조)


◦제5차 기상관측표준화실무위원회 회의 개최(2006. 4. 13.)

-  상정안건 및 처리결과 : 「기상관측표준화법」 하위법령안 관계부처 의견수렴 및 입법예고 결과, “국가기상자료 공동활용 DB" 구축 등에 대한 설명 및 의견 개진(붙임10 참조)


※ 붙 임 : 1. 「기상관측표준화법」 제20조~제22조 및 동법 시행령 제9조~제11조

2. 기상관측표준화위원회 위원명단

3. 기상관측표준화실무위원회 위원명단

4. 기상관측표준화위원회 제1차 회의 개최결과

5. 기상관측표준화위원회 제2차 회의 개최결과

6. 기상관측표준화실무위원회 제1차 회의 개최결과

7. 기상관측표준화실무위원회 제2차 회의 개최결과

8. 기상관측표준화실무위원회 제3차 회의 개최결과

9. 기상관측표준화실무위원회 제4차 회의 개최결과

10. 기상관측표준화실무위원회 제5차 회의 개최결과



작성자

기상사무관

이 선 기

확인자

관측황사정책과장

이 희 훈

연락처

02 -  2181 -  0693

- 418 -

붙임 1


「기상관측표준화법」 제20조~제22조 및  동법 시행령 제9조~제11조


□ 「기상관측표준화법」 제20조~제22조


제6장 기상관측표준화위원회


제20조(기상관측표준화위원회의 설치) ①기상관측의 표준화에 관한 중요 사항을 심의하기 위하여 기상청장 소속하에 기상관측표준화위원회(이하 "위원회"라 한다)를 둔다.

②위원회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심의한다.

1. 기상관측의 표준화시책, 기상관측의 표준화 확립사업 등 기상관측의 표준화 제도의 확립·유지와 발전을 위한 정책의 수립 및 종합조정에 관한 사항

2. 기상관측방법의 설정 및 변경에 관한 사항

3. 기상관측업무 종사자의 기준과 교육·훈련에 관한 사항

4. 기상측기의 종류·규격 및 수량에 관한 기준의 결정

5. 기상측기의 검정 및 사후관리에 관한 사항

6. 최적 기상관측환경의 확보·유지를 위한 사항

7. 기상관측자료의 표준화와 품질관리에 관한 사항

8. 관측시설의 조정·협의·등급부여·지원 등에 관한 사항

9. 기상관측자료의 처리와 전송방식 등 기상관측자료의 상호교환 및 공동활용에 관한 사항

10. 국제기상관측표준관련기구 및 각 국의 기상관측표준관련기관과의 협력에 관한 사항

11. 그 밖에 기상관측의 표준화에 관한 중요한 사항으로서 기상청장이 위원회에 부의하는 사항

제21조(위원회의 구성) ①위원회는 위원장을 포함한 20인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②위원장은 기상청장으로 하고, 위원은 다음 각 호의 자로 한다.

1. 산업자원부, 다른 관측기관인 중앙행정기관 및 지방자치단체 중 대통령령이 정하는 기관에 근무하는 3급 이상의 공무원 중에서 그 기관의 장이 지명하는 자

2. 「국가표준기본법」 제13조제2항의 규정에 따른 국가측정표준대표기관에 속하는 자 또는 기상관측업무에 관한 학식과 경험이 풍부한 자 중에서 기상청장이 위촉하는 자(이하 "위촉위원"이라 한다)

③위원회에 간사위원 1인을 두되, 간사위원은 기상청에 근무하는 3급 이상의 공무원 중에서 기상청장이 임명하는 자로 한다.

- 419 -

④위촉위원의 임기는 2년으로 한다.

⑤위원회에 상정할 안건에 관한 전문적인 검토 및 사전조정을 위하여 실무위원회를 둔다.

⑥위원회 및 실무위원회의 구성·운영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제22조(의결사항의 추진 등) ①기상청장은 기상관측의 표준화시책을 추진함에 있어 위원회의 심의 결과를 적극 반영하여야 한다.

②위원장은 위원회에서 의결한 사항을 관측기관에 통보하여야 한다.

③관측기관의 장은 제2항의 규정에 따라 통보받은 사항을 관측시설의 운영에 적극 반영하여야 하며, 그 반영 결과를 위원회에 보고하여야 한다.


□ 「기상관측표준화법 시행령」 제9조~제11조


제9조(기상관측표준화위원회의 구성) 법 제21조제2항제1호에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기관”이라 함은 다음 각 호의 기관을 말한다.

1. 중앙행정기관 : 국방부‧환경부‧건설교통부‧해양수산부‧소방방재청‧농촌진흥청‧산림청 및 해양경찰청

2. 지방자치단체 : 특별시‧광역시‧도 및 특별자치도

제10조(기상관측표준화위원회의 운영) ①법 제20조제1항에 따른 기상관측표준화위원회(이하 “위원회”라 한다)의 위원장은 위원회의 회의를 소집하고 그 의장이 된다. 

②위원장이 회의를 소집하고자 하는 때에는 회의의 일시‧장소 및 안건을 회의개최 7일 전까지 각 위원에게 알려야 한다. 다만, 긴급한 사정이나 그 밖에 부득이한 사유가 있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③위원회의 회의는 재적위원 과반수의 출석으로 개의하고, 출석위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한다. 

④위원회는 효율적인 업무수행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관계 기관 및 전문가 등에 대하여 자료의 제출 또는 의견의 진술 그 밖에 필요한 협조를 요청할 수 있다.

⑤위원회에 출석한 위원과 관계 전문가에 대하여는 예산의 범위 안에서 수당과 여비를 지급할 수 있다. 다만, 공무원인 위원이 그 소관업무와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위원회에 출석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⑥위원회의 운영에 관하여 그 밖에 필요한 사항은 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위원장이 정한다.

제11조(실무위원회의 구성 및 운영) ①법 제21조제5항에 따른 실무위원회는 위원장 1인을 포함한 40인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②실무위원회의 위원장은 법 제21조제3항에 따른 위원회의 간사위원으로 하고, 위원은 다음 각 호의 자로 한다.

- 420 -

1. 법 제21조제2항제1호의 위원이 소속된 관계 행정기관에 근무하는 3급 또는 4급 공무원

2. 기상관측분야에 관한 전문지식과 경험이 풍부한 자 중에서 실무위원회의 위원장이 위촉하는 자

③제2항제2호에 따라 위촉된 위원의 임기는 2년으로 하며, 연임할 수 있다.

④실무위원회의 사무를 처리하기 위하여 간사 1인을 두되, 간사는 기상청에 근무하는 공무원 중에서 실무위원회의 위원장이 지명한다.

⑤제10조의 규정은 실무위원회의 운영에 관하여 이를 준용한다. 이 경우 “위원회”는 “실무위원회”로 본다.

























- 421 -

붙임 2

기상관측표준화위원회 위원

구    분

부처(기관)명

직    위

위 원 장

기  상  청

청    장 

위    원

국  방  부

국방정보과장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

기술표준기획부장

환  경  부

대기보전국장

건설교통부 

수자원기획관

해양수산부 

해양정책국장

소방방재청

복구지원본부장

농촌진흥청 

농촌지원국장

산  림  청

산림보호국장

한국철도공사

시설기술단장

한국농촌공사

수자원관리처장

한국수자원공사

물관리센터실장

국립공원관리공단

탐방지원처장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선임연구부장

간    사

기  상  청

관측국장

옵 저 버

청와대 NSC

행  정  관



- 422 -

붙임 3

기상관측표준화실무위원회 위원


구  분

부처(기관)명

직  위

위원장

기  상  청

관측국장

위  원

국  방  부

국방정보본부 기상기획담당

산업자원부

산업기술국 계량측정표준과장

환  경  부

대기보전국 대기정책과장

건설교통부

수자원기획관 하천관리과장

해양수산부

해양정책국 해양개발과장

소방방재청

복구지원본부 방재대책기획팀장

농촌진흥청

농촌지원국 친환경기술과장

산  림  청

산림보호국 산불방지과장

한국철도공사

시설기술단 토목시설팀장

한국농촌공사

수자원관리처 용수서비스팀장

한국수자원공사

물관리센터과장

국립공원관리공단 

탐방지원처 재난관리팀장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물리표준부장

간  사

기  상  청

관측황사정책과장


- 423 -

붙임 4

제 1차 기상관측표준화위원회 개최결과


2004. 8. 12.

기  상  청


1. 회의 개요


가. 일시 / 장소 : 2004. 7. 28(수) 15:00 / 기상청 국제회의실


나. 참석자

o 기상관측표준화위원 16명

-  기상청장(위원장) 등 16개 관련부처 국장급

-  간  사 : 기상청 관측관리관

※ 16개 관련부처

청와대 NSC, 국방부, 행정자치부, 산업자원부, 환경부, 건설교통부, 해양수산부, 소방방재청, 농촌진흥청, 산림청, 철도청, 기상청, 한국수자원공사, 농업기반공사, 국립공원관리공단,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다. 회의 진행순서

o 15:00~15:10   회의개회 및 인사말 : 안명환 기상청장

o 15:10~16:00   주제발표 : 기상청 박광준 관측관리관

-  기상관측표준화 실시계획(안)

- 「기상관측표준화법(안)」입법화


o 16:00~16:50    종합토론

-  기관별 기상관측 측기교체 및 신규설치 계획,

기상관측표준화 등에 대한 의견

o 16:50~17:00    회의결과 요약 및 폐회

- 424 -

2. 종합 토론 : 부처별 의견 및 기상청 답변


부처명

해당부처 의견

기상청 답변

청와대

NSC

o 기상관측표준화는 국가적으로 기상측기의 중복투자 문제 해결과 관측 자료의 효율적 공동활용을 위해 상당히 중요하여, NSC에서 추진하여 왔음

o 각 부처가 열린 마음으로 참여한다면 상당한 효과가 기대됨 

국방부

o 국방부도 기존의 재해통제시스템을 재 구축하여 NSC와 연계 운영 중임

o 군의 특성이 있으나, 국가적인 재난 방지차원에서 군의 관측자료 공동 활용도 예외는 아님 

o 현재 공동활용 중인 공군과 해군자료 뿐만 아니라, 육군의 관측자료도 공동 활용할 수 있도록 방안강구 예정임

o 공군과 긴밀하게 업무협력하고 있으나, 육군의 작전상 특성을 고려하여 제외시켰음

o 육군까지의 확대참여는 고무적임. 적극협조해 주시기 바람


행정

자치부

o 지방자치단체의 기상관측장비 설치 지원부서가 소방방재청 복구지원국 수습대책과로 이관되었음

o 제 2차 표준화위원회 개최 시부터 반영예정


산업

자원부

o 중복투자 방지와 관측자료의 정확도 확보에 기상관측표준화 추진은 타당

o 계측장비의 검정시 국제 인증 기관인 한국교정시험기관인정기구(KOLAS)에 가입하여 공신력 확보 필요

o 기상청이 각 기관의 설치계획과 장비의 적정장소와 설치여부를 검증할 수 있도록 기상관측표준화법에 반영 필요

o 기상관측표준화법(안)에 검교정 사항이 이미 반영됨 

o 기상청과 표준과학연구원

등이 협력하여,  이에 대한 장치를 마련 예정임


- 425 -

부처명

해당부처 의견

기상청 답변

환경부

o 기상관측표준화 추진은 시의 적절함

o 환경부 운영중인 기상관측장비의 정도관리 및 정도검사에 대한 기상청의 협조가 필요함

o 적극 협조하겠음




건설

교통부

o 기상관측표준화법 제정에 동의함

o 관측자료의 전송방법도 표준화에 포함되는지 여부

o 기상청의 위탁기상관측자 정기교육(연 2회 실시) 외에, 전문가 파견하여 교육실시가 필요함

o 전문가 파견교육에 적극 협조하겠음

o 전송방법(유선 또는 무선)은 기상관측표준화 사항에 포함 안 됨

해양

수산부

o 우리부는 수로어로법을 기준하여 조석, 파랑, 적조 등의 해양관측과 관측망 구성을 추진 중임

o 외국에 기상관측표준화법과 같은 입법 사례가 있으며, 일반기상과 해양 기상간의 차이 조정을 어떻게 반영하는지 설명요망




o 미국에 유사한 법률 있음

o 미국은 장비 현대화시 NASA, 국방부, 기상청이 상호 협조하여 실시

o 해양기상관측자료 표준화는 좀 더 전문적인 연구가 필요함

o 해양기상관측망 확충 시, 기상청과 협의 필요

소방

방재청

o 자연재해와 기상간의 밀접한 관련으로 상호협조 체계가 잘 되고 있음

o 기상관측표준화도 이미 동의함

o 관측장비 확충계획에 따른 예산확보방안을 기상관측표준화법 제정시에 반영하는 것이 좋겠음




o 부처별 자체목적에 따른  기상장비 설치는 자체 예산확보로 설치 후, 관측자료의 공동 활용이 바람직함

o 단, 각 기관의 교체 및 신규설치계획을 제시하면, 기술지원을 적극 협조하겠음

- 426 -

부처명

해당부처 의견

기상청 답변

농촌

진흥청

o 농업관측은 일부요소가 기상관측과 다르므로, 설치장소가 중복되더라도 허용해야 됨

o 관측장비의 A/S 문제가 어려우니 해결방안 강구도 필요함



o 특수목적의 관측은 중복에 포함되지 않음

o 기상청도 동일한 A/S 문제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기상표준화 시행 시, A/S 수요 증가로 자연적 해결이 예상됨

산림청

o 최근 산불, 산사태, 수해분제 등 산림재해의 빈발로 산악 기상관측소 증설이 필요함. 특히, 주 5일제 근무제 시행으로 레저활동, 산림생태연구에도 큰 도움이 될 것임

o 향후, 관측장비의 설치 및 교체계획 수립 시, 기상청의 확충계획과 연계하는 것이 바람직함

o 기상관측표준화법에 ‘기상관측망 기본 구축계획’을 담아 전체적인 수립 계획을 기상청이 기획하는 것이 좋겠음

o 정보화예산의 예처럼 기상관련 관측장비 등은 기상청에서 통합해 추진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됨


o 산악지방의 관측망 단계적 확충방안을 마련 중임

o 산림청도 휴양림, 산림욕장에 설치권장함

o 향후 관측망 시책 등을 부처협의를 통해 수립후, 각 기관에 송부예정임

o 향후 실시될 디지털 예보를 위해, 현재보다 조밀한 관측망이 필요하여 타기관의 관측망 활용과 자료의 공동활용을 추진하고 있음

철도청

o 집중호우로 인한 철도붕괴, 산비탈 유실로 인한 피해 예방책으로,  철도 주변에 우량계를 203개 설치 완료하였고, 올해 207개 설치 중임

o 실시간 철도운행 경계경보 발령, 열차운행기준 마련, 자료 공동활용 등 기상청과의 협력을 희망함 

o 철도청의 요청으로 우량계 설치장소의 현장방문 및 기술자문 예정임

o 협조 요청시, 적극 협력하겠음


- 427 -

부처명

해당부처 의견

기상청 답변

농업

기반공사

o 기상재해로 인해 농산물의 피해가 크므로, 농림부 본부의 관련 부서를 기상관측표준화위원회에 포함시키는 것이 좋겠음

o 향후 반영하겠음




한국

수자원

공사

o 기상청과 자료공유 및 기상관측자료 표준화는 우리 사에게 좋은 기회임

o 댐상류에 200개의 우량계를 설치하여, 수위계측과 홍수예‧경보 발령에 사용중임

o 향후 우량계 교체시 AWS로 바꾸어야 하며, QC문제에 대한 방안이 있으면 제시 요망

o 우량계 교체시 AWS로 교체는 필요시 수행

o QC 방안은 2단계로 시행할 것임. 즉, 현장의 기계적 오차제거 방법과 기상학적 방법임


국립공원

관리공단

o 국립공원의 안전관리, 생태계 연구 등에 기상관측 필요

o 기상청 협력과 유지보수위해 기상전문가 채용예정임

한국

표준과학연구원

o 기상측기 운영에 관해서는 WMO(세계기상기구)의 기준을 따라야 함

o 측기정확도 향상을 위해 교정서비스의 활성화가 필요하므로, 향후 기상청과 공동연구 의제가 많을 것으로 생각됨

o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등과 협력하여 검교정을 위한 장치마련을 계획 하겠음 


3. 회의결과 종합 및 향후 계획


o 각 부처(기관) 모두 기상관측표준화 추진 합의

o 기상관측표준화의 실무 추진을 위해 9월 초에 “기상관측표준화실무위원회” (16개 부처로 구성) 개최


- 428 -

붙임 5

제2차 기상관측표준화위원회 개최결과


2006. 1. 6.

기  상  청


1. 회의 개요


가. 일시 / 장소 : 2005. 12. 23.(금) 15:00~17:00 / 기상청 5층 회의실


나. 참석자

o 기상관측표준화실무위원 15명 중 9명 참석

-  참석자 : 위원장 및 기상청 등 15개 관련부처 국장급

※ 청와대 NSC, 국방부, 산업자원부, 기상청, 농촌진흥청, 산림청, 한국철도공사, 농업기반공사,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환경부(불참), 건설교통부(불참), 해양수산부(불참), 소방방재청(불참), 국립공원관리공단(불참), 한국수자원공사(불참),


다. 회의 진행순서

o 15:00~15:05   회의개회 및 인사말(위원장 : 신경섭 기상청장)

o 15:05~15:15   경과보고(간사 : 박광준 기상청 관측국장)

o 15:15~16:20   주제발표 : 기상청 관측황사정책과장 조주영

-  “지상 자동기상관측장비의 표준규격” 및 “관측기관 사이의 통신 송‧수신방식” 발표

-  “국가기상관측환경정보 시스템” 시연

o 16:20~16:50   종합토론

-  의견발표 및 토의

o 16:50~17:00   회의결과 요약 및 폐회

- 429 -

2. 종합 토론 : 부처별 의견 및 기상청 답변


부처명

해당부처 의견

기상청 답변

청와대 NSC

o 기상관측표준화법이 2년여의 추진 끝에 이번 12월 정기국회에서 통과되었으나 앞으로의 추진이 더욱 중요함.

o 기상관측표준화는 대통령께서 상당한 관심을 갖고 계시는 일이며, 부처별로 개별 추진하던 사항이 일원화되어 추진 상 번거로움이 있으리라 예상되지만, 국가적인 일이므로 적극 협조 바람.

국방부

o 기상관측표준화의 지속적인 유지‧발전을 위해서는 관측자료를 DB화해서 공유하는 차원을 넘어 각 기관별로 활용할 수 있는 2차적인 기상자료의 생산을 위한 연구개발이 필요함.






o 각 기관별로 기상측기를 유지‧보수하기가 어려움. 국가적인 차원에서 기상측기들의 유지‧보수를 위한 예산, 조직 등의 확보를 위한 검토가 필요함.

o 기상관측표준화는 자료의 공동활용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더 좋은 생산물을 만드는 계기가 되어야 함.

o 기상청에서는 2006년에 지상, 고층, 레이더 등 모든 관측자료를 동화하여 3차원 관측자료 동화시스템을 구축하려고 추진 중에 있으며, 이에 따라 2차적인 기상자료의 생산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됨.

o 현재로는 각 기관별로 유지‧보수를 위한 예산을 확보하여야 할 것이며, 건의한 사항은 추후 상의하여 검토하도록 하겠음.

- 430 -

부처명

해당부처 의견

기상청 답변

산업

자원부

o 산업자원부에서는 표준 단위와 이를 규정에 맞게 사용하도록 홍보를 많이 하고 있음. 기상청에서 국가교정기관을 신청했기 때문에 이러한 부분에서 교육이 이루어질 것이며, 기상관측의 표준 규격에 대해 자문을 요청하면 이를 적극 지원하도록 하겠음.

o 앞으로 많은 협조 바람.









농촌

진흥청

o 농진청에서는 2000~2004년까지 5년간에 걸쳐 약 120소의 기상관측지점을 설치하였으나, 국정감사 시 기상청에서 기상관측표준화를 추진하고 있으므로, 이와 연계하여 관측장비를 설치하라는 지적에 따라 신규장비설치관련 예산을 확보하지 못했음.

o 이에 따라 5년이 경과한 현재 관측장비의 유지‧보수를 위한 예산도 확보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므로 유지‧보수를 위한 해결방안이 필요함.





o 이를 지원하기 위해 「기상관측표준화법」의 조항 중 하나로 법안에 반영하였으나, 기획예산처의 「재정법」에 따라 부서간의 예산지원은 불가하다는 지적으로 삭제되었음.

o 기본적으로는 각 기관에서 유지‧보수를 위한 예산을 확보하여야 하며, 제4차 실무위원회에서 토론된 바와 같이 각 기관에서 확보한 예산을 통합하여 공동으로 유지‧보수를 할 경우 경비가 절감될 수 있을 것임.

o 이에 필요한 사항을 강구하여 구체적인 사항을 향후 실무위원회에서 협의하도록 하겠음.

부처명

해당부처 의견

기상청 답변

산림청

o 산림청에서는 산악기상에 대한기상관측자료(특히 산림 내에서의 습도)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관측장비의 대부분이 산림 안에 설치되어 있음. 이러한 특수목적을 위한 관측환경도 고려해 주시기 바람.



o 초음파식 관측장비는 습도에 대한 정확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이에 대한 검토가 필요함.



o 현재 산불, 풍수해 등과 같은 산림재해 예방을 위해 기상청의 자료를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으며, 앞으로 기상청과 산림청간의 자료 공동활용이 이루어지기 바람.

o 강원청에 설치된 ‘산악기상센터’ 등과 같이 기상청에서 산악에 장비를 설치하는 등 산악기상에 대한 관심을 가져주셨으면 함.


o 외국의 경우 산불이 나면 기상청에서 나와 브리핑 등을 하며 지원을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제도적인 뒷받침이 있어야 할 것임.

o 각 기관에서 관측장비 유지‧보수를 위한 예산을 확보하기 어려우며, 국가적인 기상관측의 유지관리를 위해 정보통신부에서 관리하는 정보화기금을 사용하는 것을 검토해 주시기 바람.

o 관측환경 등급을 구분하였기 때문에 크게 문제가 없을 것이나 관측장비의 주변 환경이 나아지도록 관리를 잘 해 주시기 바람. 특수목적에 대한 장비 설치는 5 km 반경 내에 설치하여도 무방함. 그러나 보편적인 목적이라면 중복설치를 피해야 할 것임.

o 초음파식 관측장비는 풍향‧풍속 측정을 위한 것이면 습도 관측용은 아님. 겨울철 바람측정용 프로펠러 동축의 동결 방지를 위해 산악용으로 초음파 풍향풍속계를 설치하는 것임.

o 기상관측표준화법의 시행이 되면 자료의 공동활용이 이루어질 것임.



o 기상청에서는 산악기상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앞으로 산악에 기상관측장비를 설치할 때 기상청과 산림청이 협조하여 관측망을 구축하여 관측자료를 공동활용하도록 하겠음.

o 현재 산불 화재 시 인근 기상관서에서 기상청 직원이 나가 브리핑을 하는 등 지원을 하고 있음.

o 향후 검토하여 추진하도록 하겠음.





- 431 -

부처명

해당부처 의견

기상청 답변

한국표준과학연구원

o 국제단위 규격에는 모든 숫자와 단위는 띄어 쓰도록 되어 있으므로 이의 준수가 필요함.

o 기온센서의 KS 표준규격에는 class A와 class B로 되어 있으므로, 기온센서의 규격을 ‘100 Ω 백금 4선식, class A, 혹은 0.15 ℃(class A) 이상’으로 하시기 바람.

o 기압센서의 측정방식이 실리콘 정전용량으로 되어 있는데, resonance, quartz, resistance 타입의 기압센서들도 사용할 수 있도록 고려해 주시기 바람. 물론 가격 차이는 있으나 사전에 이를 막을 필요는 없는 것으로 판단됨.

o 일사, 일조센서의 경우 각각 민감도와 불확도가 특정한 값으로 정해져 있는 것 같음. 이 값이 WMO 규정에 명시되지 않은 것이라면 검토가 필요함.





o 기상측기의 규격에 ‘측정 불확도’를 규정하고 있으며, 따라서 기상청에서 하는 검정에 불확도라는 개념이 접목되어야 할 것임.



o 반영하겠음.



o 반영하겠음






o 기압센서의 측정방식을 실리콘 정전용량으로 한 것은 가장 보편적이고 정확도가 있는 것이기 때문임. 지적하신 방식들에 의한 센서들도 적용 타당성 여부를 검토해 보겠음.



o 일사센서의 민감도는 그동안 일사센서를 운영하면서 가장 우수한 센서의 사양에 해당하는 것으로, 현재 시판되는 장비들 중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있는지를 검토하도록 하겠음. 일조센서의 불확도는 WMO에서 추천하는 상황을 반영한 것임. 

o 기상청은 기존의 WMO에서 규정된 사항에 따라 검정을 해 오고 있으며, 현재 국가교정기관으로 지정받을 수 있도록 준비를 하고 있음. 이에 따라 불확도에 관련된 문제도 감안이 될 것임.

부처명

해당부처 의견

기상청 답변

한국표준과학연구원

o 기상청은 WMO의 규정과 권유를 따르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으며,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은 국가표준기관으로 국가도량형국(BIPM)과 같이 일을 하고 있음. WMO/CIMO(측기관리위원회)와 BIPM간에는 WMO에 소속되어 있는 각 국의 기상측정기관은 그 나라에 속해있는 표준기관과 측정과 관련된 체계를 공유해야 한다는 양해각서가 교환되어 있음. 

o 기상청에서 국가교정기관으로 지정받으려고 하는 것은 상당히 고무적이며, 기상청에서 그와 관련된 협조를 원하시면 적극 도와 드리도록 하겠음.

o 현재 기상청과 한국표준과학연구원과 협력이 많이 되고 있으며, 앞으로 기상측기의 불확도, 표준규격 설정 등과 관련하여 더욱 협력을 강화하도록 하겠음.












3. 회의결과 종합 및 향후 계획


가. “지상 자동기상관측장비의 표준규격” 및 “관측기관 사이의 통신 송‧수신방식”

o 15개 관련기관은 “지상 자동기상관측장비의 표준규격” 및 “관측기관 사이의 통신 송‧수신방식”에 대한 최종 검토를 하고 이를 기상청장 고시사항으로 입법화할 것을 합의함.

o 종합토론 시 제시된 의견들은 충분히 검토하여 고시안에 반영하기로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