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창선 위원
- 507 -
- 508 -
1. 황사예측관련 가. 최근 3년간 황사특보(주의보, 경보 포함)의 발령 횟수 및 사후 분 석한 결과, 특보의 정확도 통계 나. 최근 3년간 중국 황사관측망으로 부터 관련정보 제공받은 현황 다. 4월 황사대란 후속대책 점검 - 네이멍구 및 황토고원 등 5개 황사관측소의 증설 계획 및 추진현황 - 강원 중‧남부 및 경상도 지역 미세먼지 농도 측정을 위한 관측장비 보강 추진현황 - 개성공단, 금강산 지역에 설치 예정인 자동기상관측장비(AWS) 및 황사관측소 설치 계획 및 추진현황 - 황사전문위원회의 내용 및 결과 - 기타 황사예보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기상청의 노력 라. 황사특보(주의보, 경보 포함)의 기준 조정 필요성에 대한 기상청 의 입장 마. 황사에 포함된 중금속 측정과 이를 알리는 업무와 관련하여 환경부와 기상청 업무의 차이 |
<최근 3년간 황사 특보>
□ 황사 특보의 발령횟수 및 정확도
황사특보명 |
2004 |
2005 |
2006 |
비 고 |
황사주의보 |
19건 |
17건 |
26건 |
|
황사경보 |
- |
1건 |
8건 |
|
특보정확도 |
100% |
58.8% |
75.0% |
□ 사후분석 결과
◦ 몽골, 중국의 급속한 사막화 영향으로 황사 이동경로 상에 있는 우리나라에서는 황사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농도가 짙어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
◦ 최근 2~3차례의 극심한 황사의 내습으로 국민 건강과 사회 전반에 심각한 영향을
- 509 -
초래하는 등 만주지방에서 발생한 황사가 우리나라에 강하게 영향을 주는 특징이 있음.(2006. 4. 8. 최고황사농도 2,370㎍/㎥(백령도))
◦ 만주‧북한지역의 황사에 대한 실시간 관측자료 부재 및 국내 중부내륙 등의 황사 관측자료 부족과 황사 예보모델이 취약하여 강도, 이동경로 및 지속시간을 정확히 예측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음.
작성자 |
기상사무관 |
박광호 |
확인자 |
기상통보관 |
허 은 |
연락처 |
<최근 3년간 중국 황사관측망으로 부터 관련정보 제공받은 현황>
⃞ 지난 2002년 극심한 황사 피해 이후 한국국제협력단(KOICA)의 자금지원을 받아 2003~2005년까지 중국대륙 5개소에 황사공동관측망을 설치하였음.
○ 이곳에는 미세먼지농도 측정장비(PM10, TSP), 라이더, 시정계, 태양복사측정장비(썬포터미터)가 설치되어 있음.
○ 이들 5개 관측소(황사발원지 2소, 이동경로상 3소) 자료는 2005년 3월부터 실시간(1시간 간격) 입수하여 황사예보에 활용하고 있음.
장비 지점 |
PM10 |
TSP |
라이더 |
Sun - photometer |
시정계 |
주일화 |
○ |
○ |
- |
- |
- |
유세 |
○ |
○ |
- |
○ |
○ |
통료 |
○ |
○ |
- |
- |
- |
대련 |
○ |
○ |
○ |
- |
- |
혜민 |
○ |
○ |
- |
- |
- |
※ PM10 : 직경 10㎛이하의 부유분진의 농도를 측정하는 기기
TSP : 대기중의 총부유분진 농도를 측정하는 기기
라이더 : 레이저를 이용하여 상층의 황사분포를 측정하는 기기
⃞ 중국에서 입수된 황사 관측자료는 중국기상청의 동의하에 환경부에 실시간 제공하여 공동 활용하고 있음.
작성자 |
기상사무관 |
김 성 헌 |
확인자 |
관측황사정책과장 |
이 희 훈 |
연락처 |
< 4월 황사대란 후속대책 점검>
□ 네이멍구 및 황토고원 등 5개 황사관측소의 증설 계획 및 추진현황
◦ 사업개요
- 중국의 황사발원지와 이동경로상 한・중 공동황사관측소 5개소 추가설치
- 510 -
- 소요예산은 한국국제협력단(KOICA)자금 약72만불(중국측은 부대비용 75만불 부담)
◦ 세부사업내용
- 설치예정지점(5개소) : 칭다오, 단둥, 얼롄하오터, 츠펑, 시핑
- 설치 장비 : 황사관측장비(PM10) 5조(PM2.5와 PM1을 측정하는 기능 포함)와 시정계 5조
- 자료수집 및 수신방법
‧ 세계기상기구(WMO)의 세계기상통신망(GTS)을 통해 매1시간마다 5분 간격으로 관측자료 수신
- 관측망 운영 및 관리
‧ 설치장비의 운영 및 관리는 중국기상청이 책임운영
‧ 향후 5년간 운영할 수 있는 부품과 소모품 제공
◦ 추진현황
- 기상청 협력조사단이 중국을 방문(4.13.~17.)하여 5개 황사관측소를 추가 설치하기로 합의
- KOICA 지원으로 추진하기 위해 중국기상청에 사업제안서 송부(5.20.)
- 관측국장을 단장으로 하는 실무협상단을 파견(7.12.~14.)하여 양국간 분담내역 등 세부사항 협의 완료
‧ 중국측은 5개소에 대한 전력, 통신, 인력을 부담(약 75만불)
‧ 한국측은 KOICA 자금범위 내에서 장비 설치, 훈련, 소모품, 보호장비 등 부담(약 72만불)
◦ 향후 추진일정
- 설치지점 현지 환경조사 실시(8월말)
- 관측장비 구매 발주(9~10월)
- 관측장비 현장설치(11~12월)
- 황사공동 세미나 개최(12월)
- 관측장비 안정화 및 시험운영(‘07년 1~2월)
- 정상운영 및 예보활용(‘07년 3월)
□ 강원 중‧남부 및 경상도 지역 미세먼지 농도 측정을 위한 관측장비 보강 추진현황
◦ 사업개요
- 국내 황사관측공백지역인 강원도 및 경상도 내륙지역 6소에 황사관측장비(PM10) 확대 설치
- 511 -
- 설치 예정장소 : 속초, 춘천, 원주, 안동, 대구, 진주
◦ 추진현황
- 국내 관측망 추가 설치계획 수립(5.23.)
- 2007년도 국내 황사관측망 확충 예산(230백만원) 확보(6월)
- 설치 예정지점 현지 환경조사 실시(7.26.~8.3.)
- 국내 황사관측장비 설치방법 확정(7.31.)
‧ 금년 10월까지 잔여예산을 활용하여 강원지역 2소 우선 설치하고, 2007년도 예산을 활용하여 내년 1월까지 4소 설치 완료
◦ 향후 추진일정
- 황사전문가단 및 관련부서 회의를 통해 설치지점 확정(8월 중순)
- 1차분(2대) 관측장비 구매 발주(9월)
- 현장설치 및 현업운영 (10월)
- 2차분(6대) 관측장비 조기발주(12월)
- 현장설치 및 현업운영(‘07. 1월)
□ 개성공단, 금강산 지역에 설치 예정인 자동기상관측장비(AWS) 및 황사관측소 설치 계획 및 추진현황
◦ 사업개요
- 개성공단, 금강산 지역에 자동기상관측장비와 병행하여 황사관측장비를 설치 추진하고, 향후 3개소 추가설치를 관계당국과 추진 협의
◦ 추진현황
- 통일부와 북한내 황사관측망 설치 관련사업 추진 협의(4.13., 5.4.)
- 제18차 남북장관급회담(4.24.) 및 제12차 남북경제협력추진위원회 회담에서 남북 자연재해방지 사업 추진 합의(6.6.)
- 기상청 내 남북 기상협력 추진 T/F 구성 및 1차 회의 개최(7.12.)
- 남북 자연재해 방지 실무접촉 대비 남북 기상협력 T/F 2차 회의 개최(7.25.)
‧ 북한내 황사관측망 설치 세부추진계획 작성
※ 제 12차 남북경제협력추진위원회 회담 합의사항 이행을 위해 제1차 「남북자연재해방지 실무접촉」을 7월중 개성해서 개최키로 하였으나, 북한 미사일 문제로 인해 연기되고 있음.
- 512 -
◦ 향후 추진계획
- 「제1차 남북 자연재해방지 실무접촉」북한측과 세부사항 협의
- ‘07년에 개성과 금강산 지역에 우선 설치하고 ’08년 3개소(백두산, 평양, 함흥) 추가설치 추진
□ 황사전문위원회의 내용 및 결과
◦ 목적
- 대국민 황사피해방지를 위한 기상청 황사 관련 정책 및 기술에 대하여 전문적이고 종합적인 자문 역할을 담당
◦ 전문위원회 운영
- 정기회의 : 연 2회 범위 내에서 개최
- 부정기회의 : 황사 관련 전문위원의 자문이 필요시 추가 전문 위원회 개최
◦ 전문위원 구성
- 대상 : 황사관련분야의 전문지식과 경험이 풍부한 자 중에서 선정 및 위촉함
- 구성 : 외부 10인, 내부 5인으로 구성
- 임기 : 위촉일로부터 2년
◦ 주요 임무
- 황사 예보정확도 향상을 위한 종합대책에 대한 기술‧정책 자문
- 한‧중 황사 공동관측망 구축사업 전반에 대한 기술‧정책 자문
- 황사관련 제도 개선안 의견 제시 및 교환
- 황사정책연구 및 황사분석결과 보고서에 대한 기술‧정책 자문
- 황사관련 주요 현안 보고시 기술‧정책 자문
◦ 위원회 활동내용
- 전문위원회 구성 및 1차 회의 개최(4.25)
‧ 4.8일 황사 사례 분석보고 및 황사 예보정확도 향상 종합대책 자문
- 황사전문위원회 운영규정 제정(5.30.)
- 황사 전문위원회 제 2차 회의 개최(6.16.)
‧ 제1차 황사전문위원회 의견에 대한 추진내용 설명
- 513 -
‧ 황사 예보정확도 향상 종합대책의 그동안 추진사항 설명
‧ 황사 정책연구과제 제안서(RFP) 검토
‧ 황사 이름 명명방안 의견수렴
□ 기타 황사예보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기상청의 노력
◦ 황사 예보모델 개선 등 예보기술력 제고
- 모델 입력자료 확대를 통한 황사 예보정확도 제고
‧ 몽골 토양자료 등을 활용한 모델 초기조건 개선
‧ 발원지 3개소의 황사연구관측탑 정보를 활용하여 모델 결과 개선
‧ 황사연구관측탑 2개소(만주, 몽골) 추가증설 예산 확보
‧ 계절별 식생정보 DB를 구축하여 4계절용 황사예보모델 실현
- 한반도 지역의 상세 황사 예보모델 연구개발(‘08년 까지)
‧ 1일 4회의 예측자료 생산으로 보다 상세하게 황사농도와 이동경로 예측
‧ 황사 상세모델 개발 전문가 채용 추진(7~8월)
◦ 황사 운영체제 개선
- 황사 조기경보센터 설립 추진
‧ 황사의 24시간 감시, 종합분석, 예‧경보 생산 및 발표, 기술개발 등의 제 기능을 종합적으로 수행
‧ 1단계로 ‘06년 10월까지 예보국내 황사조기경보팀(5인)을 발족하고, 2단계로 황사 조기경보센터로 확대(5인→21인) 추진(’07년 소요정원 요구중)
- 기상연구소의 황사연구체제 강화
‧ 1단계로 황사연구팀을 발족(6.7.)하였으며, 2단계로 황사연구실(10인)로 확대 개편 추진(‘07년 소요정원 요구중)
- 황사특보 기준 및 명칭 개정 검토(’06년)
‧ 현재 2단계(주의보, 경보)로 운영되는 황사 특보기준을 국민생활여건 변화와 체감도 등을 고려하여 합리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기획연구 실시(6~10월)
‧ 황사 특보 개선안 마련(’06. 11월)하여 ’07년부터 시행 추진
◦ 황사 관련 국제협력 강화
- 황사 발원지 공동조사 실시
‧매년초 황사발원지의 토양 및 적설상태, 기류변화 등 현지 방문조사
- 한‧중 양국간 황사발생기간(4개월)중 전문가 상호교류
- 한‧중 공동 황사관측소(10개소)의 유지관리 및 기술지도 강화
- 514 -
‧관측소 현지 방문을 통한 정기 성능검사 실시 및 기술지도
- 한‧중 기상청간 기상협력관 상주 파견근무 추진
작성자 |
기상사무관 |
김 성 헌 |
확인자 |
관측황사정책과장 |
이 희 훈 |
연락처 |
<황사특보(주의보, 경보 포함)의 기준 조정 필요성에 대한 기상청의 입장〉
〔 현 황 〕
□ 황사특보 발표의 기준
◦ 황사특보는 주의보와 경보로 구분되며, 특보의 발표는 미세먼지(PM10) 농도와 지속시간을 기준으로 함.
구 분 |
주의보 |
경 보 |
황 사 |
황사로 인해 1시간 평균 미세먼지(PM10) 농도 500㎍/㎥ 이상이 2시간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 |
황사로 인해 1시간 평균 미세 먼지(PM10) 농도 1000㎍/㎥ 이상이 2시간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 |
◦ 국민의 악기상 대비를 위해 황사특보 이외 기상정보, 기상속보 등을 통하여 황사에 대한정보를 제공하고 있음
〔황사특보의 기준 조정 필요성〕
□ 황사특보 기준 개선
◦ 현재 황사특보(주의보, 경보) 기준을 국민의 생활여건 변화와 체감도 등을 고려한 합리적 개선 방안이 있는지를 검토 중임.
- 예를 들면, 미세먼지 농도가 현재 기준(주의보 500㎍/㎥ 이상, 경보 1,000㎍/㎥ 이상) 보다 낮은 농도에서 장시간 지속될 경우 등을 검토하고 있음.
◦ 이와 관련, 기상특보 개선에 관한 기획연구 용역사업으로 추진
- 사업기간 : 2006. 7. 20. ~ 11. 30.
- 이 사업은 설문조사, 공청회 등을 포함
작성자 |
기상사무관 |
신동현 |
확인자 |
예보정책과장 |
조영순 |
연락처 |
- 515 -
<황사에 포함된 중금속 측정과 이를 알리는 업무와 관련하여 환경부와 기상청 업무의 차이>
□ 기상청의 황사 중금속 측정업무
◦ 기상연구소 지구대기감시관측소(안면도)에서 기후변화감시를 목적으로 온실가스, 미량가스, 강수화학, 에어러솔 등에 관한 물리적/화학적 특성 변화를 모니터링 하고 있으며,
- 기후변화감시 업무 수행 중 특이 사항 발생시 원인 분석과 해석을 위한 연구목적으로 황사 중금속 측정업무를 수행하고 있음
- 채집된 시료는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에 의뢰하여 분석하고 있으며, 대국민 공표용으로는 사용하고 있지 않음.
※ 분석항목 : Al(알루미늄), Ca(칼슘), Fe(철), Na(나트륨), Mg(마그네슘), Mn(망간), Zn(아연), Pb(납), Cu(구리), Cr(크롬), Ni(니켈), Cd(카드뮴), Co(코발트)
□ 환경부의 황사 중금속 측정업무
◦ 황사 중금속의 측정 및 대국민 공표업무는 환경부에서 수행하고 있으며,
- 「황사피해방지 정부 종합대책」에 의하면 2007년부터 유해중금속 실시간 측정‧분석 시스템을 도입할 예정임
작성자 |
기상사무관 |
김 성 헌 |
확인자 |
관측황사정책과장 |
이 희 훈 |
연락처 |
- 516 -
[ 별첨 ]
국내외 황사관측망 구축현황 및 계획
- 517 -
2. 태풍관련 가. 최근 3년간 전체 기상재해로 인한 경제적‧인적 피해규모 대비 태풍으로 인한 경제적‧인적 피해규모 나. 미‧일 등 기상선진국과의 태풍예보능력 비교표 다. 태풍업무 기본계획(경보발령 시 유관기관, 지자체와의 업무 협조 흐름도 포함) 라. 제주 태풍센터 관련 - 제주 태풍센터 건설 추진현황 - 제주 태풍센터 설치로 인한 기대효과(태풍발생 발표주기의 단측 가능성 여부, 태풍진로 예측기간 연장 가능성 여부, 총체적인 태풍관리기관으로서 재해대책 유관기관과의 협조 가능성 여부 등 포함) - 미‧일 등의 기상선진국 태풍센터 현황 비교표(인력, 장비, 예산 등 기준) |
가. 최근 3년간 전체 기상재해로 인한 경제적‧인적 피해규모 대비 태풍으로 인한 경제적‧인적 피해규모
□ 최근 3년간(2003년~2005년) 재산피해 및 인적 피해
◦ 최근 3년간의 경제적인 재산피해 현황은 약 6조 7천억원 중 태풍으로 인한 피해액은 약 4조 7천억원으로 전체 대비 70.5%를 차지하였음. 인명피해(사망, 실종)는 총 214명으로 이 중에서 태풍으로 인한 피해가 148명으로 전체 대비 69.2%를 차지하였음. 특히 2003년에 발생한 태풍 매미는 많은 인명과 재산피해를 가져왔음.
◦ 재산피해 현황(소방방재청 자료 인용)
(단위 : 백만원)
구 분 |
합 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
피해액 |
비율(%) |
피해액 |
비율(%) |
피해액 |
비율(%) |
피해액 |
비율(%) |
|
태 풍 |
4,713,456 |
70.5 |
4,233,391 |
96.0 |
341,562 |
27.8 |
138,503 |
13.2 |
집중호우, 대설 기타 |
1,975,060 |
29.5 |
174,850 |
4.0 |
888,874 |
72.2 |
911,336 |
86.8 |
합 계 |
6,688,516 |
100 |
4,408,241 |
100 |
1,230,436 |
100 |
1,049,839 |
100 |
※ 2003년 태풍 “매미”로 인하여 많은 인명과 재산피해 발생
- 518 -
◦ 인명피해(사망, 실종) 현황
(단위 : 명)
구 분 |
합 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
인명피해 |
비율(%) |
인명피해 |
비율(%) |
인명피해 |
비율(%) |
인명피해 |
비율(%) |
|
태 풍 |
148 |
69.2 |
133 |
89.9 |
9 |
64.3 |
6 |
11.5 |
집중호우, 대설, 기타 |
66 |
30.8 |
15 |
10.1 |
5 |
35.7 |
46 |
88.5 |
합 계 |
214 |
100 |
148 |
100 |
14 |
100 |
52 |
100 |
나. 미‧일 등 기상선진국과의 태풍예보능력 비교표
□ 미‧일 등 태풍예보 오차 비교(24~48시간)
◦ 최근 5년 동안의 한국(KMA), 미국(JTWC)과 일본(RSMC)의 태풍진로 오차는 아래의 표와 같이 미국이 126.6km로 제일 우수하고, 다음은 일본으로 127.8km 이며, 한국은 129.8km를 나타냈음.
◦ 한국의 예측능력은 선진국에 비해 다소 떨어지고 있으나, 태풍전담팀이 운영된 2004년부터 예보정확도가 향상되고 있음.
◦ 주요 국가별 오차 비교(24시간~48시간)
예보시간 |
연도 |
한국 KMA(km) |
일본 RSMC(km) |
미국 JTWC(km) |
24시간 |
2001 |
150.1 |
155.0 |
135.2 |
2002 |
136.2 |
138.0 |
122.2 |
|
2003 |
137.3 |
120.0 |
135.2 |
|
2004 |
122.8 |
125.0 |
127.8 |
|
2005 |
102.9 |
101.0 |
112.7 |
|
평 균 |
129.8 |
127.8 |
126.6 |
|
48시간 |
2001 |
268.2 |
274.0 |
225.9 |
2002 |
231.3 |
239.0 |
213.0 |
|
2003 |
239.8 |
222.0 |
237.1 |
|
2004 |
230.9 |
243.0 |
229.6 |
|
2005 |
181.1 |
176.0 |
188.9 |
|
평 균 |
230.2 |
230.8 |
218.9 |
※ 2005년도 일본(JMA) 태풍진로 오차는 일본기상청 홈페이지 자료로서 향후 상세 분석에 의해서 변경될 수 있음.
- 519 -
□ 향후 목표
◦ 우리나라의 태풍예측 능력을 2008년 태풍센터 설립이후에는 선진국 수준으로 향상하여 태풍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이 최대 목표임.
다. 태풍업무 기본계획(경보발령 시 유관기관, 지자체와의 업무 협조 흐름도 포함)
□ 태풍 특보의 기준
종 류 |
주 의 보 |
경 보 |
태풍 |
태풍으로 인하여 강풍, 풍랑, 호우 현상 등이 주의보 기준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될 때 |
태풍으로 인하여 풍속이 17m/s 이상, 또는 강우량이 100mm 이상 예상될 때 |
※ 태풍경보는 예상되는 바람과 비의 정도에 따라 아래와 같이 세분함.
3급 |
2급 |
1급 |
|
바람(m/s) |
17~24 |
25~32 |
33 이상 |
비(mm) |
100~249 |
250~399 |
400 이상 |
□ 태풍업무 개요
【2006년 대표 성과지표】48시간 태풍 진로예보 오차: 230 → 220km
◦ 태풍예보 체계 개선으로 조기경보 및 재해 경감
- 재해경감을 위한 실시간 태풍정보 서비스
- 조기 태풍 경계를 위한 실시간 정보발표 주기 단축
‧ 태풍 발생시 발표 주기를 현재 24시간 이내 → 12시간 이내로 단축
‧ 우리나라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될 때 1~3시간 간격
- 태풍 대응시간 확보 및 재해경감을 위한 홍보 강화
◦ 조기경보를 위한 태풍예보 시스템 확장
- 3일 → 5일 태풍예보 체계 기반 구축
◦ 국제협력을 통한 태풍예측 능력 향상
- 태풍위원회 활동('06년 12월, 필리핀 마닐라), 일본 태풍센터와 자료 교환
◦ 태풍에 대한 대응은 우리나라를 중심으로 하여 비상구역, 경계구역, 감시구역으로 나눔.
- 520 -
※ 태풍 구역의 구분
비상구역은 북위 28° 북쪽, 동경 132° 서쪽, 경계구역은 북위 25° 북쪽, 동경 135° 서쪽, 감시구역은 북위 25° 남쪽, 동경 135° 동쪽의 북서태평양 구역을 의미함.
□ 태풍의 한반도 상륙 시 업무체계
◦ 태풍 상륙 및 통과 지역에 대한 신속한 기상정보 파악 및 전파
◦ 태풍상륙과 내륙 통과에 따른 피해지역 및 강수량을 신속히 파악하고, 태풍정보, 태풍특보, 기상정보 및 기상속보 발표
◦ 태풍상륙 및 통과 지역에 대한 기상상황을 신속한 파악하고, 태풍전문가단의 자문과 전문지식을 활용
◦ 태풍상륙 및 통과 시 131 기동기상지원팀 운영으로 신속한 태풍예보의 전파
◦ 태풍의 영향범위에 따라 태풍특보를 발표
◦ 태풍상륙 및 통과 지역에 대한 자세한 기상상황 파악
- 521 -
라. 제주 태풍센터 관련
□ 제주 태풍센터 건설 추진현황
일 자 |
주요추진 업무 |
비 고 |
2005. 12. 20 |
태풍센터 부지선정을 위한 주요정책 협의회 심의 - 위 치 : 남원읍 한남리 산 76- 2번지 - 면 적 : 241,751㎡(73,129평)중 약 20,000평 |
|
2006. 2. 10 |
태풍센터 설립 기본계획(안) 수립 |
|
2006. 3. 17 |
태풍센터 건축 설계지침 마련 |
|
2006. 3. 21 |
태풍센터 건축을 위한 설계경기 공모 |
|
2006. 3. 23 |
태풍센터 부지확보를 위한 사업설명회 개최 |
제주도 남제주군 |
2006. 4. 21 |
태풍센터 건축설계경기 작품심사위원회 구성 및 동 위원회 개최 |
|
2006. 5. 26 |
태풍센터 신축공사 설계용역 계약 체결 |
당선작 :(주)한기엔지니어링 건축사무소 |
2006. 7. 4 |
태풍센터 신축공사에 따른 사전 환경성 검토서 제출 |
서귀포시 |
2006. 7. 24 |
태풍센터 청사 신축부지 분묘이장 등 업무협조 요청 |
서귀포시 |
□ 제주 태풍센터 설치로 인한 기대효과
◦ 24시간 연중 태풍 감시체계 구축과 태풍 자료의 분석/예보/분배 등 독자적 태풍예보기능 구현
◦ 태풍위원회(TC/WMO)와 미국, 일본, 중국의 태풍센터를 연계하여 국제 태풍센터로 업무강화
◦ 태풍정보 발표 주기의 단축 및 태풍진로 기간 연장
- 북서 태평양에서 발생하는 모든 태풍의 집중 추적‧감시와 태풍의 진로 및 강도에 대한 5일(120시간) 예보 가능
- 우리나라 접근 예상 시 3시간마다 태풍정보 생산 및 비상상황 시에는 1시간마다 태풍관련 정보 생산 가능
- 523 -
◦ 재해대책 유관기관과의 협조
- 태풍에 수반되는 재해분야 전문성을 높여, 재해관련기관의 대응능력 향상을 통한 재해 경감
- 태풍으로 인한 기상재해 예상 시 각 부처 유관기관과의 화상회의와 긴밀한 협의 등을 통해 재해 및 방재대책 강화
- 태풍에 의한 피해 예상 시에는 태풍센터를 중심으로 한 방재네트워크 구축
‧ 효율적 재해경감 프로그램 구동 가능
- 태풍센터를 중심으로 인접 국가와의 태풍정보 실시간 교환을 통한 각국의 재해경감 효과 유도
□ 미‧일 등의 기상선진국 태풍센터 현황 비교표
구분 |
센터명 |
소 속 |
임 무 |
역 할 |
조직 및 인원 |
위치 |
미국 |
열대예보센터 (Tropical Prediction Center) |
미 기상청 환경예보센터 |
위험한 열대기상에 대한 감시, 경보와 분석 |
WMO의 지역센터 역할 |
3개과, 1전문가단 1조종그룹 총 52인 |
Miami, Florida |
태평양허리케인센터(Central Pacific Hurricane center |
미 기상청 태평양지역본부 |
중앙태평양상의 열대저기압에 대한 경보생산 |
RA- Ⅲ RSMC 역할 수행 |
20명 (15- 20인 정도가 태풍업무 전담으로 추정) |
Honolulu |
|
합동태풍경보센터 (JTWC:Joint Typhoon Warning Center) |
국방성 산하 |
태평양과 인도양의 태풍경보 생산 |
WMO 회원국 및 미 기상청의 태풍경보 제공 |
미공군 및 해군 32인 근무 |
Pearl Harbor, Hawaii |
|
일본 |
태평양태풍예보센터 (RSMC) |
기상청 예보부 예보과 |
북서태평양지역의 태풍 및 열대 저기압 예보에 관한 사무를 주관 |
WMO의 지역태풍센터 역할 |
소장 1인과 3명의 주임예보관 |
Tokyo |
태풍연구부 (Typhoon Research Department) |
기상연구소 |
태풍 및 태풍관련 제 현상의 연구 |
태풍업무관련 수치모델과 태풍관측 기술 개발 지원 |
2개 연구실 총 12명 |
Tsukuba- shi,Ibaraki- ken |
|
분석과 (Data Analysis Division) |
기상위성센터 자료처리부 |
북서태평양 태풍 발생 및 위치 및 강도 분석 생산 (SAREP) |
ESCAP 태풍위원회 회원국들에게 태풍정보제공 |
총 15인 근무 |
kiyose, Tokyo |
|
중국 |
태풍해양과 |
중국 기상국 국가기상중심(NMC) 천기예보실 |
책임해역 내 태풍생성 감시, 종합 분석 및 예보 수행 |
국가태풍센터 역할 |
7인(천기예보실 7개 부서 총 60명) |
|
상해태풍연구소 |
중국기상과학연구원 (7개연구소) |
열대저기압에 대한 연구 |
열대저기압 정보 센터 (연구중심) |
총 50인(소장 1, 집행소장 1, 부소장 1 등) |
Sanghai |
- 524 -
□ 태풍센터 관련 예산현황 및 계획
(단위 : 백만원)
구 분 |
합 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o 태풍센터 신축 및 장비 도입 |
6,594 |
1,025 |
3,534 |
2,035 |
□ 태풍센터 관련 연차별 인원확보 계획
(단위 : 명)
구분 |
합 계 |
2006 |
2007 |
2008 |
비고 |
태풍예보과 |
16 |
9 |
5 |
2 |
|
기획과 |
10 |
8 |
2 |
||
연구개발과 |
9 |
6 |
2 |
1 |
|
계 |
35 |
15 |
15 |
5 |
◦ 태풍센터 내에는 예산확보를 통하여 태풍접근에 따른 풍속 강도변화 분석, 움직이는 유체 속에 놓인 물체에 작용하는 힘과 여러 가지 현상을 해석 및 분석할 수 있는 풍동, 수조 장치 및 관측타워 등을 설치할 계획임.
작성자 |
기상사무관 |
하 창환 |
확인자 |
예보정책과장 |
조 영순 |
연락처 |
- 525 -
3. 지진관련 가. 최근 10년간 지진 통계자료표(연도별 회수, 규모, 발생지역, 강도 등) 나. 지진관측장비 현황(구입계획 포함), 구입시기 및 교체연도 다. 2006년 7월 26일 지진감시종합상황표시장치에 기록된 현황 라. 지진 및 지진해일 업무 기본계획(경보발령시 유관기관, 지자체와의 업무협조 흐름도 포함) 마. 최근 3년간 지진관련 기상청이 발주한 연구용역 과제물 |
<최근 10년간 지진 통계자료표(연도별 회수, 규모, 발생지역, 강도 등)>
□ 규모별 지진발생현황(1996년~ 2006년 8월)
규모 연도 |
2.0~3.0미만 |
3.0~4.0미만 |
4.0~5.0미만 |
5.0~6.0이상 |
계 |
1996 |
25 |
12 |
2 |
- |
39 |
1997 |
13 |
7 |
1 |
- |
21 |
1998 |
25 |
6 |
1 |
- |
32 |
1999 |
21 |
15 |
1 |
- |
37 |
2000 |
21 |
8 |
- |
- |
29 |
2001 |
34 |
6 |
1 |
- |
41 |
2002 |
38 |
10 |
1 |
- |
49 |
2003 |
29 |
6 |
2 |
1 |
38 |
2004 |
36 |
5 |
- |
1 |
42 |
2005 |
22 |
14 |
1 |
- |
37 |
2006(8월) |
27 |
6 |
- |
- |
33 |
계 |
291 |
95 |
10 |
2 |
398 |
◦ 일별 지진발생현황 (1996년~2006년 8월) : 별첨자료1
작성자 |
사무관 |
박종찬 |
확인자 |
과장 |
이덕기 |
연락처 |
- 526 -
〈지진관측장비 현황(구입계획 포함), 구입시기 및 교체연도〉
□ 연도별 지진관측장비 도입 현황
년도 장 비 |
‘99 |
‘00 |
‘01 |
‘02 |
‘03 |
‘04 |
‘05 |
‘06 |
‘07 |
계 |
초광대역 지진계 |
1 |
- |
- |
- |
- |
- |
- |
- |
- |
1 |
광대역 지진계 |
11 |
- |
1 |
- |
- |
- |
- |
- |
- |
12 |
단주기 지진계 |
7 |
9 |
1 |
2 |
2 |
1 |
1 |
4 |
4 |
31 |
가속도 지진계 |
18 |
45 |
7 |
5 |
- |
- |
- |
10 |
20 |
105 |
해일파고계 |
1 |
- |
- |
- |
- |
- |
- |
1 (교체) |
- |
2 |
해저지진계 |
- |
- |
- |
- |
- |
- |
- |
1 |
- |
1 |
시추공지진계 |
- |
- |
- |
- |
- |
- |
- |
1 |
- |
1 |
지진분석시스템 |
1 |
1 |
||||||||
계 |
39 |
54 |
9 |
7 |
2 |
1 |
1 |
17 |
24 |
154 |
작성자 |
기상사무관 |
이전희 |
확인자 |
지진기획과장 |
김영신 |
연락처 |
〈2006년 7월 26일 지진감시종합상황표시장치에 기록된 현황〉
□ 지진감시 종합상황시스템에 기록된 지진목록
구분 |
국내지진 |
국내미소지진 |
일본지진 |
국외지진 |
합계 |
회수 |
4 |
3 |
81 |
28 |
116 |
◦ 지진감시 종합상황시스템에 기록된 지진현황 (2006.06.09~07.27) : 별첨자료 2
작성자 |
사무관 |
박 종찬 |
확인자 |
과장 |
이 덕기 |
연락처 |
- 527 -
〈지진 및 지진해일 업무 기본계획(경보발령시 유관기관, 지자체와의 업무협조 흐름도 포함〉
□ 지진 및 지진해일 업무 기본계획
◦ 동해 지진‧지진해일 관측망 확충
- 해저지진계 및 시추공지진계 신설, 해일파고계 교체
◦ 내륙 지진관측망 확충
- 단주기지진계 신설과 이전 각 4소
- 지진가속도계 신설과 이설 각 10소
◦ 국내 지진‧지진해일 기술 교류 및 협력 증진
- 지진전문가 풀(Pool) 운영
- 지진관측망 운영기관 협의회 참가
- 정부업무(지진분야) 심사평가소위원회 운영
- 지진관련 유관기관과의 협력
- 지진관리관(3급) 신설 및 지진전문인력 보강 추진
◦ 국제협력 강화
- 지진과학 국제협력회의 및 워크숍 참가
- 일본과의 지진정보 및 자료교환 활성화
- 지진분야 국제기구 협력 : PTWS, ISC, PTWC, NWPTAC 등
- 태평양 지진해일 경보체제(PTWS) 주관의 국제 지진해일 모의 훈련 참여
- 태평양 연안 28개 국가 대상 합동 훈련
◦ 지진 및 지진해일업무 홍보 강화
- 지진업무지침 개정판 발간 배포
- 『지진업무 현황』브로셔 발간 배포
- 대국민 지진 이해의 확산
◦ 통합감시표출시스템 구축
◦ 훈련용 시스템 구축
◦ 지진방재용 분석‧통보 S/W 개발
◦ 지진‧지진해일 대비 모의훈련
◦ 지진‧지진해일 대비 자체 불시 모의훈련
- 528 -
□ 경보발령시 유관기관, 지자체와의 업무협조 흐름도
작성자 |
기상사무관 |
이전희 |
확인자 |
지진기획과장 |
김영신 |
연락처 |
〈최근 3년간 지진관련 기상청이 발주한 연구용역 과제물〉
※ 별도제출 : 해저지진계의 설치에 관한 연구
작성자 |
사무관 |
이전희 |
확인자 |
과장 |
김영신 |
연락처 |
- 529 -
<별첨자료1>
<일자별 지진발생 현황(1996년~2006년8월>
연번 (No.) |
진 원 시 |
진 앙 |
규 모 (M) |
비 고 (진도는 MM단위) |
|||
월 |
일 |
시- 분- 초 |
북위(N) |
동경(E) |
|||
1996년 |
|||||||
1 |
1 |
24 |
05- 09- 55.4 |
37.9 |
129.6 |
4.2 |
강원도 양양 동쪽 약 80km 해역 진도Ⅳ:양양, 동해, 강릉 진도Ⅲ:삼척, 태백, 울진, 영월, 춘천,울릉도 진도Ⅱ:안동, 양평, 제천 진도Ⅰ:청주, 충주 |
2 |
2 |
9 |
08- 51- 52.1 |
39.2 |
126.4 |
3.1 |
평남 성천 남동쪽 약 20km 지역 |
3 |
2 |
27 |
04- 39- 33.7 |
35.9 |
129.6 |
2.6 |
경북 구룡포 남동쪽 약 10km 해역 |
4 |
3 |
2 |
21- 42- 06.7 |
36.4 |
127.8 |
2.2 |
충북 보은 남동쪽 약 15km 지역 |
5 |
3 |
20 |
04- 54- 16.2 |
36.6 |
128.1 |
2.5 |
경북 점촌시 서쪽 약 10km 지역 |
6 |
4 |
14 |
02- 20- 47.4 |
35.8 |
127.9 |
2.3 |
경남 거창군 덕유산(소백산맥) |
7 |
4 |
14 |
05- 22- 11.8 |
35.9 |
127.9 |
3.1 |
경북-전북 도계 대덕산(소백산맥) |
8 |
4 |
19 |
02- 39- 51.1 |
36.3 |
127.0 |
2.8 |
충남 부여 동쪽 약 7km 지역 |
9 |
5 |
6 |
21- 02- 56.7 |
35.9 |
127.7 |
2.1 |
전북 무주 남동쪽 약 15km 지역 |
10 |
5 |
7 |
00- 12- 59.8 |
34.7 |
127.3 |
2.9 |
전남 고흥 북쪽 약 10km 지역 진도Ⅱ:고흥, 여수 |
11 |
5 |
13 |
00- 49- 39.0 |
35.8 |
130.2 |
3.0 |
경북 포항 남동쪽 약 80km 해역 |
12 |
5 |
14 |
13- 36- 01.0 |
36.5 |
127.5 |
2.1 |
충북 청주시 남쪽 약 30km 지역 |
13 |
5 |
16 |
11- 05- 40.0 |
35.3 |
129.1 |
2.8 |
부산 금정산 진도Ⅱ:부산 |
14 |
5 |
21 |
17- 15- 57.8 |
38.8 |
125.6 |
3.1 |
평남 남포 북동쪽 약 20km 지역 |
15 |
5 |
26 |
08- 34- 55.3 |
33.5 |
126.0 |
2.5 |
제주도 한림 북서쪽 약 30km 해역 |
- 530 -
연번 (No.) |
진 원 시 |
진 앙 |
규모 (M) |
비 고 (진도는 MM단위) |
|||
월 일 |
시- 분- 초 |
북위(N) |
동경(E) |
||||
16 |
5 |
26 |
19- 58- 34.6 |
36.4 |
125.5 |
3.5 |
서해 격렬비열도 남쪽 약 20km 해역 |
17 |
6 |
4 |
01- 14- 54.3 |
39.3 |
126.3 |
2.6 |
평남 성천 북동쪽 약 10km 지역 |
18 |
6 |
4 |
18- 33- 23.4 |
36.8 |
129.1 |
2.4 |
경북 울진군 통고산 |
19 |
6 |
15 |
06- 05- 14.4 |
38.9 |
125.9 |
2.8 |
평남 평양 남동쪽 약 15km 지역 |
20 |
6 |
18 |
16- 33- 36.6 |
39.5 |
126.3 |
2.7 |
평남 성천 북쪽 약 30km 지역 |
21 |
6 |
21 |
01- 04- 08.5 |
36.1 |
126.9 |
2.8 |
전북 익산 북쪽 약 15km 지역 진도Ⅱ:군산, 대전일부 |
22 |
6 |
27 |
21- 35- 42.3 |
38.2 |
126.3 |
2.1 |
황해도 금천 서쪽 약 20km 지역 |
23 |
7 |
15 |
04- 58- 32.2 |
36.9 |
126.5 |
2.8 |
충남 서산 북쪽 약 15km 지역 |
24 |
7 |
27 |
01- 22- 44.4 |
34.2 |
123.3 |
3.0 |
전남 소흑산도 서쪽 약 150km 해역 |
25 |
8 |
3 |
00- 06- 59.3 |
37.4 |
129.5 |
2.7 |
강원도 삼척시 동쪽 약 35km 해역 |
26 |
8 |
14 |
18- 10- 03.8 |
36.7 |
128.0 |
3.0 |
경북 문경 북서쪽 약 20km 지역 진도Ⅱ:문경 |
27 |
9 |
14 |
22- 38- 58.4 |
39.0 |
126.0 |
3.6 |
평남 평양시 동쪽 약 20km 지역 |
28 |
9 |
27 |
19- 32- 23.3 |
35.6 |
129.9 |
2.4 |
경남 울산시 동쪽 약 50km 해역 |
29 |
10 |
16 |
04- 45- 32.3 |
36.1 |
128.3 |
3.3 |
경상북도 구미시 부근 진도Ⅱ:구미, 선산, 김천 진도Ⅰ:상주, 문경 |
30 |
11 |
10 |
21- 33- 21.0 |
36.7 |
125.4 |
3.5 |
충남 격렬비열도 북서쪽 약 20km 해역 진도Ⅱ:충남일원 |
31 |
11 |
17 |
08- 49- 15.1 |
39.0 |
127.6 |
3.6 |
함남 원산 남동쪽 약 30km 지역 진도Ⅲ:속초, 인제, 홍천, 화천, 철원 등 강원북부 진도Ⅱ:춘천, 서울 진도Ⅰ:부천, 인천 |
연번 (No.) |
진 원 시 |
진 앙 |
규 모 (M) |
비 고 (진도는 MM단위) |
|||
월 일 |
시- 분- 초 |
북위(N) |
동경(E) |
||||
32 |
11 |
22 |
10- 09- 41.7 |
32.8 |
127.2 |
2.9 |
제주도 서귀포 남동쪽 약 80km 해역 |
33 |
11 |
25 |
00- 27- 50.5 |
35.6 |
129.3 |
2.3 |
경남 울산시 북쪽 약 15km 지역 |
34 |
12 |
13 |
13- 10- 17.3 |
37.2 |
128.8 |
4.5 |
강원도 영월 동쪽 약 20km 지역 진도Ⅲ:영월, 정선 진도Ⅱ:춘천, 강릉, 속초, 홍천, 인제,안동, 대구, 부산, 동해, 울진, 대전, 부여, 추풍령, 아산, 구미, 영천, 진주, 합천, 거창, 산청, 포항, 군산 진도Ⅰ:서울, 철원, 인천, 안산, 부천, 수원, 양평, 이천, 여수, 장흥, 보성, 광주, 무안, 서산, 홍성, 울산, 마산, 통영, 제주 |
35 |
12 |
13 |
13- 27- 08.0 |
37.3 |
128.8 |
3.0 |
강원도 영월 동쪽 약 20km 지역 |
36 |
12 |
14 |
15- 17- 57.3 |
37.3 |
128.8 |
2.7 |
강원도 영월 동쪽 약 20km 지역 진도Ⅱ:영월, 정선군 일부지역 |
37 |
12 |
15 |
16- 20- 40.1 |
37.2 |
128.8 |
2.5 |
강원도 영월 동쪽 약 20km 지역 진도Ⅱ:영월, 정선군 일부지역 |
38 |
12 |
18 |
17- 23- 30.5 |
37.3 |
128.6 |
2.7 |
강원도 영월 동쪽 약 20km 지역 진도Ⅱ:영월, 정선군 일부지역 |
39 |
12 |
21 |
07- 45- 36.0 |
37.3 |
128.6 |
2.8 |
강원도 영월 동쪽 약 20km 지역 진도Ⅱ:영월, 정선군 일부지역 |
1997년 |
|||||||
1 |
1 |
3 |
20- 34- 29.1 |
35.0 |
125.2 |
2.9 |
전남 홍도 북쪽 약 60km 해역 |
2 |
1 |
15 |
05- 34- 14.7 |
38.3 |
128.7 |
3.2 |
강원도 속초 북동쪽 약 20km 해역 |
3 |
3 |
9 |
23- 40- 53.9 |
39.0 |
127.3 |
2.8 |
함남 원산 남서쪽 약 20km 지역 |
4 |
4 |
23 |
01- 39- 14.0 |
36.2 |
126.0 |
2.5 |
충남 대천 서남서쪽 약 60km 해역 |
5 |
5 |
9 |
21- 40- 03.8 |
35.2 |
126.0 |
3.2 |
전남 영광 남서쪽 약 37km 해역 진도Ⅱ:부안, 광주, 여수, 담양 진도Ⅰ:정주, 남원, 익산, 고창, 대전, 전주 |
연번 (No.) |
진 원 시 |
진 앙 |
규 모 (M) |
비 고 (진도는 MM단위) |
|||
월 일 |
시- 분- 초 |
북위(N) |
동경(E) |
||||
6 |
5 |
9 |
21- 43- 40.8 |
35.2 |
126.0 |
3.0 |
전남 영광 남서쪽 약 37km 해역 |
7 |
5 |
10 |
00- 56- 44.1 |
37.3 |
128.5 |
2.5 |
강원도 삼척 남서쪽 약 9km 지역 |
8 |
5 |
22 |
07- 47- 37.9 |
36.0 |
126.8 |
3.5 |
전북 익산 북쪽 약 19km 지역 진도Ⅱ:전주, 대전, 서산 진도Ⅰ:청주, 군산, 장흥, 전주 |
9 |
6 |
15 |
08- 45- 24.4 |
37.4 |
126.2 |
2.8 |
경기도 시흥 서쪽 약 50km 해역 |
10 |
6 |
15 |
12- 46- 32.0 |
37.4 |
126.2 |
2.7 |
경기도 시흥 서쪽 약 50km 해역 |
11 |
6 |
16 |
22- 51- 06.6 |
35.3 |
129.1 |
2.7 |
경남 울산 남쪽 약 10km 지역 |
12 |
6 |
26 |
03- 50- 21.8 |
35.8 |
129.3 |
4.2 |
경북 경주 남동쪽 약 9km 지역 진도Ⅳ:경주 진도Ⅲ:포항, 울산, 대구, 밀양, 부산 진도Ⅱ:김해, 마산, 구미, 추풍령,대전, 청주 진도Ⅰ:강릉, 울진, 서산, 광양, 여수 |
13 |
6 |
30 |
23- 48- 43.6 |
36.1 |
127.7 |
2.8 |
충북 영동 남서쪽 약 5km 지역 |
14 |
8 |
5 |
04- 47- 24.9 |
37.2 |
128.7 |
2.3 |
강원도 정선 남동쪽 약 30km 지역 진도Ⅰ:정선 |
15 |
8 |
5 |
12- 45- 52.8 |
36.7 |
128.4 |
2.8 |
경상북도 예천 북쪽 약 10km 지역 진도Ⅱ:영주 진도Ⅰ:문경, 예천 |
16 |
9 |
26 |
08- 35- 07.0 |
37.9 |
129.7 |
2.5 |
강원도 강릉 동쪽 약 70km 해역 |
17 |
10 |
2 |
23- 47- 19.2 |
35.0 |
128.0 |
2.4 |
경남 진주 남서쪽 약 20km 지역 |
18 |
10 |
11 |
19- 50- 25.3 |
35.9 |
128.7 |
3.2 |
대구광역시 동쪽 약 15km 지역 진도Ⅱ:대구, 영천 |
19 |
10 |
18 |
19- 35- 31.0 |
37.3 |
128.8 |
3.0 |
강원도 태백 북서쪽 약 25km 지역 진도Ⅱ:태백, 영월, 정선 |
20 |
11 |
9 |
18- 16- 07.2 |
37.8 |
126.8 |
2.5 |
경기도 파주 북쪽 약 5km 지역 진도Ⅰ:파주, 문산 |
연번 (No.) |
진 원 시 |
진 앙 |
규 모 (M) |
비 고 (진도는 MM단위) |
||||
월 일 |
시- 분- 초 |
북위(N) |
동경(E) |
|||||
21 |
11 |
10 |
18- 26- 36.4 |
37.8 |
125.4 |
3.0 |
황해도 옹진 남쪽 약 15km 지역 |
|
1998년 |
||||||||
1 |
1 |
18 |
01- 16- 05.3 |
35.6 |
129.9 |
3.9 |
울산광역시 동쪽 약 60km 해역 진도Ⅲ:울산 진도Ⅱ:포항, 경주, 대구, 거제, 밀양, 부산, 통영 진도Ⅰ:마산, 창원, 진해 |
|
2 |
2 |
10 |
21- 11- 25.2 |
37.8 |
123.6 |
4.1 |
서해 백령도 서남서쪽 약 90km 해역 |
|
3 |
2 |
12 |
03- 36- 56.0 |
38.4 |
128.5 |
2.9 |
강원도 고성 동북동쪽 약 21km 해역 |
|
4 |
4 |
2 |
09- 34- 04.8 |
36.3 |
127.4 |
2.3 |
대전광역시 남쪽 약 12km 지역 진도Ⅰ:대전 |
|
5 |
4 |
16 |
03- 58- 10.1 |
38.4 |
126.3 |
3.5 |
황해도 사리원 동쪽 약 45km 지역 |
|
6 |
4 |
30 |
21- 57- 26.9 |
36.6 |
128.4 |
2.3 |
경북 예천 북쪽 약 13km 지역 |
|
7 |
5 |
1 |
07- 16- 55.7 |
36.1 |
128.0 |
2.5 |
경북 김천 서남서쪽 약 10km 지역 진도Ⅰ:김천 |
|
8 |
5 |
14 |
14- 23- 09.4 |
36.7 |
128.4 |
2.2 |
경북 영주 서쪽 약 10km 지역 |
|
9 |
5 |
20 |
00- 34- 19.3 |
35.5 |
126.2 |
2.3 |
전남 영광 북서쪽 약 45km 해역 |
|
10 |
5 |
25 |
11- 19- 10.8 |
37.6 |
129.7 |
2.4 |
강원도 동해시 동쪽 약 55km 해역 |
|
11 |
6 |
5 |
19- 42- 12.4 |
35.9 |
123.9 |
2.9 |
충남 격렬비열도 서남서쪽 약 165km 해역 |
|
12 |
6 |
6 |
15- 04- 57.4 |
38.9 |
126.0 |
2.8 |
평안남도 평양 동남동쪽 약 25km 지역 |
|
13 |
6 |
7 |
17- 39- 26.3 |
34.4 |
129.0 |
2.8 |
부산광역시 남쪽 약 75km 해역 |
|
14 |
6 |
8 |
11- 45- 09.5 |
38.5 |
124.3 |
3.7 |
평남 남포시 서남서쪽 약 90km 해역 |
|
15 |
6 |
8 |
19- 55- 24.1 |
36.0 |
125.2 |
2.8 |
충남 격렬비열도 남남서쪽 약 70km 해역 |
|
16 |
6 |
13 |
18- 24- 03.4 |
36.7 |
130.0 |
2.4 |
경북 울진 동남동쪽 약 60km 해역 |
|
17 |
6 |
13 |
23- 29- 49.4 |
36.7 |
130.1 |
2.4 |
경북 울진 동남동쪽 약 70km 해역 |
|
18 |
6 |
19 |
06- 19- 46.3 |
36.7 |
128.4 |
2.3 |
경북 영주 서북서쪽 약 10km 지역 |
연번 (No.) |
진 원 시 |
진 앙 |
규 모 (M) |
비 고 (진도는 MM단위) |
|||
월 일 |
시- 분- 초 |
북위(N) |
동경(E) |
||||
19 |
7 |
1 |
17- 09- 18.3 |
36.8 |
127.8 |
2.0 |
충북 충주 남남서쪽 약 10km 지역 |
20 |
7 |
7 |
00- 13- 38.4 |
38.8 |
126.1 |
2.7 |
평양시 남동쪽 약 40km 지역 |
21 |
7 |
7 |
17- 37- 12.3 |
36.0 |
129.9 |
2.7 |
경북 포항시 동쪽 약 50km 해역 |
22 |
8 |
4 |
21- 43- 34.4 |
35.5 |
128.8 |
2.9 |
경남 밀양시 북동쪽 약 9km 지역 진도Ⅰ:밀양, 울주 |
23 |
9 |
3 |
16- 52- 47.8 |
36.6 |
125.7 |
3.8 |
충남 격렬비열도 주변 해역 진도Ⅱ:태안, 서산, 홍성, 아산 진도Ⅰ:서울, 수원, 인천, 오산, 청주, 보령, 청원, 부여, 대전, 제천, 전주 |
24 |
9 |
9 |
19- 53- 03.5 |
36.1 |
128.5 |
2.1 |
경북 왜관 북동쪽 약 10km 지역 |
25 |
9 |
12 |
23- 08- 09.4 |
35.9 |
129.3 |
2.3 |
경북 포항시 남쪽 약 12km 지역 |
26 |
9 |
13 |
20- 42- 13.3 |
36.1 |
126.9 |
3.6 |
전북 익산 북쪽 약 20km 지역 진도Ⅲ:부여, 청양, 논산, 서산, 태안, 보령, 서천, 대전, 금산, 공주, 군산, 김제, 부안, 익산, 고창, 전주, 신탄진 진도Ⅱ:청주, 충주, 증평, 괴산, 정읍, 광주, 장성, 목포, 대구, 구미, 산청, 거창 진도Ⅰ:서울, 수원, 이천, 평택, 진주, 부산, 밀양 |
27 |
9 |
30 |
22- 29- 02.8 |
35.8 |
126.9 |
3.3 |
전북 김제 남서쪽 약 5km 지역 진도Ⅱ:김제, 군산, 정읍, 전주, 남원, 부안, 임실 진도Ⅰ:담양 |
28 |
10 |
2 |
20- 09- 02.8 |
37.3 |
128.8 |
2.5 |
강원도 정선 남동쪽 약 15km 지역 진도 I:정선, 영월 |
29 |
10 |
14 |
03- 50- 31.2 |
35.8 |
128.3 |
2.5 |
경북 성주 남쪽 약 10km 지역 |
연번 (No.) |
진 원 시 |
진 앙 |
규 모 (M) |
비 고 (진도는 MM단위) |
||||
월 일 |
시- 분- 초 |
북위(N) |
동경(E) |
|||||
30 |
10 |
22 |
17- 34- 21.2 |
36.6 |
125.5 |
2.8 |
충남 태안군 격렬비열도 주변 해역 |
|
31 |
11 |
30 |
08- 57- 55.9 |
37.2 |
128.7 |
2.8 |
강원 정선 남동쪽 약 20km 지역 진도Ⅰ:정선 |
|
32 |
12 |
9 |
06- 42- 56.0 |
37.5 |
129.1 |
2.7 |
강원도 동해 동쪽 약 10km 해역 |
|
1999년 |
||||||||
1 |
1 |
11 |
13- 07- 14.1 |
38.3 |
128.7 |
4.2 |
강원도 속초 북동쪽 약 15km 해역 진도Ⅳ:속초, 간성 진도Ⅲ:양양, 고성 진도Ⅱ:대관령, 인제, 강릉 진도Ⅰ:서울, 수원, 성남, 동해, 춘천 |
|
2 |
1 |
12 |
21- 51- 04.4 |
38.3 |
128.6 |
2.9 |
강원 속초 북서쪽 약 10km 지역 진도Ⅰ:속초, 간성 |
|
3 |
1 |
24 |
01- 01- 52.1 |
37.0 |
128.8 |
3.3 |
강원도 태백 남서쪽 약 20km 지역 진도Ⅲ:태백 진도Ⅱ:영월 진도Ⅰ:춘양, 울진, 안양 |
|
4 |
1 |
24 |
02- 43- 07.2 |
37.4 |
130.3 |
2.9 |
경북 울릉 서남서쪽 약 55km 해역 |
|
5 |
2 |
3 |
03- 21- 16.0 |
38.5 |
127.8 |
2.9 |
강원도 양구 북북서쪽 약 45km 지역 |
|
6 |
2 |
8 |
06- 36- 32.5 |
37.1 |
128.9 |
2.5 |
강원도 태백 서쪽 약 6km 지역 |
|
7 |
2 |
24 |
02- 14- 32.2 |
37.3 |
126.0 |
3.5 |
인천광역시 서남서쪽 약 55km 해역 진도Ⅲ:안산, 인천, 광명, 부천, 강화 진도Ⅱ:서울, 서산(대산) 진도Ⅰ:대전, 신탄진 |
|
8 |
3 |
5 |
23- 41- 22.4 |
40.5 |
126.3 |
3.5 |
평북 희천 북쪽 약 35km 지역 |
|
9 |
3 |
14 |
20- 31- 05.6 |
37.5 |
130.4 |
3.2 |
경북 울릉 서쪽 약 25km 해역 진도Ⅱ:울릉도 |
|
10 |
3 |
15 |
16- 11- 17.4 |
37.5 |
130.4 |
2.7 |
경북 울릉 서쪽 약 25km 해역 |
|
11 |
3 |
15 |
22- 08- 23.1 |
37.5 |
130.4 |
2.4 |
경북 울릉 서쪽 약 25km 해역 |
|
12 |
3 |
28 |
12- 39- 42.1 |
37.5 |
130.2 |
3.0 |
경북 울릉 서북서쪽 약 60km 해역 진도Ⅱ:울릉도 |
연번 (No.) |
진 원 시 |
진 앙 |
규 모 (M) |
비 고 (진도는 MM단위) |
|||
월 일 |
시- 분- 초 |
북위(N) |
동경(E) |
||||
13 |
4 |
4 |
11- 29- 52.5 |
36.4 |
124.0 |
3.1 |
충남 태안 서남서쪽 약 200km 해역 |
14 |
4 |
7 |
23- 43- 19.1 |
37.2 |
128.9 |
3.3 |
강원도 태백 북서쪽 약 10km 지역 진도Ⅱ:태백, 영월, 정선 진도Ⅰ:수원, 울진, 영주 |
15 |
4 |
8 |
00- 40- 23.6 |
37.2 |
128.9 |
2.9 |
강원도 태백 북서쪽 약 10km 지역 진도Ⅰ:태백, 영월, 정선 |
16 |
4 |
8 |
01- 09- 30.8 |
37.2 |
128.9 |
2.6 |
강원도 태백 북서쪽 약 10km 지역 진도Ⅰ:태백 |
17 |
4 |
9 |
20- 48- 12.3 |
37.3 |
128.9 |
2.8 |
강원도 태백 북서쪽 약 12km 지역 진도Ⅰ:태백, 정선 |
18 |
4 |
21 |
11- 24- 11.6 |
36.7 |
127.1 |
2.1 |
충남 천안 남남서쪽 약 15km 지역 |
19 |
4 |
22 |
01- 27- 06.6 |
36.5 |
127.8 |
2.0 |
충북 보은 동쪽 약 6km 지역 |
20 |
4 |
23 |
12- 41- 37.0 |
37.3 |
128.9 |
2.2 |
강원 태백 북서쪽 약 21km 지역 |
21 |
4 |
24 |
01- 35- 14.0 |
36.0 |
129.3 |
3.2 |
경북 포항 남서쪽 약 8km 지역 진도Ⅱ:경주 진도Ⅰ:포항 |
22 |
4 |
25 |
18- 35- 56.1 |
35.8 |
127.1 |
2.8 |
전북 전주시 지역 진도Ⅰ:전주 |
23 |
5 |
4 |
03- 09- 50.2 |
37.3 |
129.4 |
2.5 |
강원 삼척 남동쪽 약 23km 해역 |
24 |
5 |
9 |
08- 11- 45.9 |
37.7 |
130.5 |
3.1 |
경북 울릉 북서쪽 약 40km 해역 진도Ⅰ:울릉도 |
25 |
5 |
9 |
08- 17- 18.4 |
36.2 |
123.7 |
3.5 |
충남 격렬비열도 남서쪽 약 200km 해역 |
26 |
5 |
15 |
14- 41- 50.8 |
35.5 |
126.2 |
3.1 |
전남 영광 북서쪽 약 35km 해역 진도Ⅱ:영광 진도Ⅰ:광주, 화순, 무안 |
27 |
6 |
2 |
18- 12- 23.3 |
35.9 |
129.3 |
3.4 |
경북 경주 북동쪽 약 10km 지역 진도Ⅲ:경주, 포항, 부산, 울산 진도Ⅱ:울진, 대구, 경산, 마산, 창원, 김해, 하양 진도Ⅰ:진주, 거제, 김제(전북) |
연번 (No.) |
진 원 시 |
진 앙 |
규 모 (M) |
비 고 (진도는 MM단위) |
|||
월 일 |
시- 분- 초 |
북위(N) |
동경(E) |
||||
28 |
6 |
9 |
02- 15- 27.0 |
37.7 |
125.8 |
2.6 |
경기 대연평도 북동쪽 약 10km 해역 |
29 |
6 |
17 |
22- 33- 15.6 |
33.2 |
126.4 |
2.6 |
제주 서귀포 서쪽 약 15km 지역 진도Ⅰ:제주, 서귀포 |
30 |
6 |
19 |
20- 58- 51.6 |
36.3 |
127.8 |
2.7 |
충북 보은 남쪽 약 22km 지역 진도Ⅰ:보은 |
31 |
7 |
17 |
15- 22- 00.7 |
36.2 |
127.0 |
2.9 |
충남 논산 서쪽 약 10km 지역 진도 I:청양, 부여, 서천 |
32 |
9 |
11 |
03- 17- 50.0 |
36.1 |
123.7 |
3.4 |
충남 격렬비열도 서남서쪽 약 180km 해역 |
33 |
9 |
12 |
05- 56- 53.0 |
35.9 |
129.3 |
3.2 |
경북 경주 북동쪽 약 10km 지역 진도Ⅱ:경주, 포항 |
34 |
9 |
24 |
01- 59- 49.8 |
38.2 |
128.8 |
2.7 |
강원도 속초 동쪽 약 20km 해역 |
35 |
12 |
14 |
14- 46- 57.1 |
36.7 |
127.3 |
2.8 |
충남 조치원 북쪽 약 10km 지역 진도Ⅰ:대전 |
36 |
12 |
20 |
13- 28- 45.6 |
36.0 |
128.4 |
2.5 |
대구광역시 북서쪽 약 20km 지역 진도Ⅰ:대구 |
37 |
12 |
27 |
12- 29- 19.9 |
36.8 |
128.2 |
3.0 |
경북 문경 북쪽 약 20km 지역 진도Ⅰ:문경, 예천 |
2000년 |
|||||||
1 |
1 |
18 |
15- 08- 49.5 |
38.7 |
127.9 |
3.0 |
강원도 고성 서쪽 약 35km 지역 |
2 |
2 |
21 |
01- 06- 30.5 |
35.8 |
128.2 |
2.1 |
경북 고령 북서쪽 약 6km 지역 |
3 |
3 |
15 |
01- 10- 52.3 |
36.3 |
125.9 |
2.5 |
충남 보령 서남서쪽 약 70km 해역 |
4 |
3 |
21 |
13- 43- 56.2 |
36.5 |
126.0 |
2.3 |
충남 보령 서북서쪽 약 55km 해역 |
5 |
4 |
12 |
04- 44- 01.4 |
36.9 |
125.3 |
3.5 |
충남 격렬비열도 북서쪽 약 40km 해역 |
6 |
4 |
15 |
08- 05- 19.3 |
36.6 |
128.3 |
2.3 |
경북 문경 동쪽 약 10km 지역 |
7 |
4 |
29 |
08- 53- 26.8 |
35.8 |
125.7 |
3.3 |
전북 군산 서쪽 약 90km 해역 진도Ⅰ:서산 |
연번 (No.) |
진 원 시 |
진 앙 |
규 모 (M) |
비 고 (진도는 MM단위) |
|||
월 일 |
시- 분- 초 |
북위(N) |
동경(E) |
||||
8 |
5 |
9 |
06- 55- 36.3 |
35.2 |
128.1 |
2.3 |
경남 진주 북동쪽 약 10km 지역 |
9 |
5 |
11 |
10- 51- 17.6 |
33.3 |
125.9 |
3.1 |
제주도 고산 서쪽 약 30km 해역 |
10 |
5 |
11 |
15- 01- 08.4 |
38.6 |
127.8 |
2.9 |
강원도 회양 남동쪽 약 20km 지역 |
11 |
5 |
11 |
16- 00- 34.1 |
38.6 |
127.8 |
2.9 |
강원도 회양 남동쪽 약 20km 지역 |
12 |
5 |
19 |
01- 44- 23.9 |
36.6 |
128.5 |
2.7 |
경북 구미 북동쪽 약 25km 지역 |
13 |
5 |
26 |
21- 41- 41.0 |
36.2 |
127.1 |
2.4 |
충남 논산 지역 진도Ⅰ:대전 |
14 |
7 |
24 |
07- 00- 00.1 |
38.5 |
127.8 |
3.0 |
강원도 회양 남동쪽 약 30km 지역 |
15 |
8 |
5 |
21- 02- 58.5 |
35.1 |
124.9 |
2.7 |
전남 무안 서북서쪽 약 140km 해역 |
16 |
8 |
6 |
19- 35- 09.3 |
36.3 |
128.4 |
2.2 |
경북 군위 북쪽 약 15km 지역 |
17 |
8 |
15 |
01- 36- 30.4 |
35.3 |
125.9 |
2.2 |
전남 영광 서쪽 약 55km 해역 |
18 |
8 |
21 |
19- 43- 45.0 |
38.9 |
125.9 |
3.4 |
평양 남동쪽 약 20km 지역 |
19 |
9 |
13 |
20- 38- 21.8 |
35.7 |
127.1 |
2.4 |
전북 전주 남서쪽 약 10km 지역 |
20 |
9 |
23 |
10- 07- 44.8 |
35.6 |
128.4 |
2.4 |
경남 창녕 북서쪽 약 15km 지역 |
21 |
10 |
3 |
00- 01- 39.2 |
36.7 |
127.2 |
2.0 |
충남 천안 남남동쪽 약 15km 지역 |
22 |
10 |
8 |
07- 46- 36.8 |
37.3 |
128.8 |
2.6 |
강원도 정선 남동쪽 약 15km 지역 |
23 |
10 |
23 |
11- 35- 24.2 |
37.7 |
125.7 |
2.6 |
황해도 해주 남쪽 약 24km 해역 |
24 |
10 |
28 |
07- 10- 11.8 |
37.1 |
126.7 |
2.7 |
경기도 수원 남서쪽 약 30km 해역 |
25 |
11 |
5 |
21- 39- 41.0 |
36.2 |
127.2 |
2.2 |
충남 논산 동쪽 약 10km 지역 |
26 |
11 |
14 |
17- 41- 52.2 |
38.8 |
125.8 |
2.9 |
평양 남쪽 약 25km 지역 |
27 |
12 |
2 |
16- 53- 40.0 |
34.6 |
126.9 |
3.1 |
전남 장흥 남쪽 약 10km 지역 진도Ⅱ:장흥 진도Ⅰ:강진, 완도, 목포 |
28 |
12 |
9 |
18- 51- 00.0 |
36.5 |
130.0 |
3.7 |
경북 영덕 동쪽 약 60km 해역 진도Ⅲ:포항, 울진, 영덕 진도Ⅱ:대구, 구미, 안동, 삼척 진도Ⅰ:충주 |
연번 (No.) |
진 원 시 |
진 앙 |
규 모 (M) |
비 고 (진도는 MM단위) |
||||
월 일 |
시- 분- 초 |
북위(N) |
동경(E) |
|||||
29 |
12 |
22 |
08- 19- 38.5 |
36.3 |
127.4 |
2.7 |
대전광역시 지역 진도Ⅰ:대전, 청주, 공주 |
|
2001년 |
||||||||
1 |
1 |
29 |
11- 44- 07.1 |
35.7 |
126.6 |
3.0 |
전북 부안 서쪽 약 10km 지역 진도Ⅲ:부안 진도Ⅱ:군산, 정읍, 영광 |
|
2 |
2 |
8 |
16- 59- 52.2 |
38.4 |
127.9 |
2.3 |
강원 양구 북쪽 약 30km 지역 |
|
3 |
2 |
10 |
17- 47- 36.3 |
37.1 |
127.6 |
2.0 |
경기 여주 남쪽 약 20km 지역 |
|
4 |
2 |
14 |
01- 02- 07.5 |
36.0 |
128.2 |
2.2 |
경북 김천 남동쪽 약 10km 지역 |
|
5 |
2 |
19 |
08- 27- 08.6 |
37.4 |
128.4 |
2.0 |
강원 평창 지역 |
|
6 |
2 |
28 |
12- 46- 34.6 |
35.3 |
127.9 |
2.9 |
경남 산청 남쪽 약 10km 지역 |
|
7 |
3 |
6 |
00- 23- 04.7 |
35.3 |
125.7 |
2.3 |
전남 영광 서쪽 약 70km 해역 |
|
8 |
3 |
7 |
08- 27- 20.9 |
35.1 |
127.8 |
2.5 |
경남 하동 북동쪽 약 10km 지역 |
|
9 |
3 |
19 |
22- 16- 50.3 |
37.6 |
124.6 |
2.8 |
백령도 남쪽 약 35km 해역 |
|
10 |
4 |
16 |
22- 50- 32.5 |
35.9 |
129.7 |
2.2 |
경북 포항 동남동쪽 약 35km 해역 |
|
11 |
4 |
17 |
02- 42- 50.3 |
35.4 |
126.1 |
2.5 |
전북 고창 서쪽 약 60km 해역 |
|
12 |
4 |
21 |
02- 30- 45.8 |
35.9 |
125.3 |
2.1 |
전북 군산 서쪽 약 130km 해역 |
|
13 |
5 |
5 |
11- 21- 19.9 |
37.8 |
124.5 |
3.3 |
백령도 남남서쪽 약 30km 해역 |
|
14 |
5 |
5 |
19- 23- 45.9 |
34.4 |
127.4 |
1.7 |
전남 고흥 남남동쪽 약 20km 해역 |
|
15 |
5 |
16 |
01- 09- 03.7 |
36.0 |
126.7 |
2.0 |
전북 군산 지역 |
|
16 |
5 |
25 |
00- 06- 25.4 |
33.6 |
126.8 |
2.6 |
제주 성산 북쪽 약 25km 해역 |
|
17 |
5 |
27 |
15- 25- 37.5 |
34.1 |
127.6 |
2.6 |
전남 고흥 남동쪽 약 60km 해역 |
|
18 |
5 |
27 |
20- 24- 02.3 |
35.8 |
129.7 |
2.5 |
경북 포항 남동쪽 약 40km 해역 |
|
19 |
5 |
28 |
07- 25- 05.7 |
36.4 |
127.8 |
2.1 |
충북 보은 남동쪽 약 10km 지역 |
|
20 |
6 |
9 |
00- 36- 12.3 |
36.7 |
128.8 |
2.3 |
경북 안동 북북동쪽 약 15km 지역 |
|
21 |
6 |
13 |
13- 53- 36.1 |
34.8 |
127.3 |
2.9 |
전남 순천 남서쪽 약 20km 지역 |
|
22 |
6 |
16 |
21- 26- 02.0 |
36.0 |
127.9 |
2.2 |
경북 김천 남서쪽 약 20km 지역 |
연번 (No.) |
진 원 시 |
진 앙 |
규 모 (M) |
비 고 (진도는 MM단위) |
|||
월 일 |
시- 분- 초 |
북위(N) |
동경(E) |
||||
23 |
6 |
17 |
01- 04- 25.3 |
35.7 |
126.4 |
2.3 |
전북 부안 서쪽 약 30km 해역 |
24 |
6 |
29 |
11- 21- 07.8 |
35.8 |
126.6 |
3.6 |
전북 군산 남남서쪽 약 20km 해역 진도Ⅲ:군산 진도Ⅱ:부안 |
25 |
7 |
15 |
20- 01- 46.9 |
36.7 |
127.0 |
2.3 |
충남 아산 남쪽 약 10km 지역 |
26 |
7 |
23 |
17- 29- 14.2 |
36.4 |
128.0 |
3.5 |
경북 상주 서쪽 약 15km 지역 진도Ⅲ:상주, 문경 진도Ⅱ:대전, 청주, 충주, 추풍령, 보은 진도Ⅰ:군산 |
27 |
7 |
26 |
19- 55- 12.8 |
36.2 |
127.4 |
2.0 |
충남 금산 북서쪽 약 15km 지역 |
28 |
7 |
27 |
10- 04- 38.2 |
36.5 |
128.0 |
2.2 |
경북 상주 북서쪽 약 20km 지역 |
29 |
8 |
6 |
23- 46- 43.0 |
36.7 |
128.3 |
2.3 |
경북 문경 북동쪽 약 15km 지역 |
30 |
8 |
20 |
21- 04- 21.6 |
34.0 |
125.5 |
2.5 |
전남 소흑산도 동쪽 약 35km 해역 |
31 |
8 |
24 |
11- 12- 03.0 |
35.9 |
128.2 |
3.1 |
경북 성주 서쪽 약 10km 지역 진도 Ⅱ:합천 |
32 |
9 |
7 |
08- 42- 32.4 |
34.8 |
127.4 |
2.8 |
전남 순천 남서쪽 약 15km 지역 |
33 |
9 |
13 |
06- 07- 14.8 |
36.4 |
127.0 |
2.2 |
충남 부여 북동쪽 약 15km 지역 |
34 |
9 |
15 |
02- 32- 41.8 |
35.6 |
125.9 |
2.2 |
전북 부안 서쪽 약 70km 해역 |
35 |
9 |
19 |
08- 47- 57.2 |
36.6 |
126.9 |
2.6 |
충남 예산 남동쪽 약 10km 지역 |
36 |
9 |
24 |
09- 33- 31.5 |
35.5 |
127.5 |
2.6 |
전북 남원 북동쪽 약 15km 지역 |
37 |
10 |
1 |
03- 35- 52.2 |
36.0 |
127.7 |
2.6 |
전북 무주 동쪽 약 5km 지역 |
38 |
10 |
28 |
22- 27- 08.7 |
37.1 |
129.0 |
2.1 |
강원 태백 남쪽 약 5km 지역 |
39 |
11 |
9 |
13- 54- 46.7 |
34.7 |
126.9 |
2.6 |
전남 장흥 지역 |
40 |
11 |
13 |
06- 15- 19.8 |
36.5 |
127.9 |
1.9 |
충북 보은 동쪽 약 15km 지역 |
41 |
11 |
21 |
10- 49- 10.9 |
36.7 |
128.3 |
3.5 |
경북 문경 북쪽 약 15km 지역 진도 III:문경 진도 Ⅱ:예천, 안동, 영주, 괴산 |
42 |
11 |
24 |
16- 10- 31.6 |
36.7 |
129.9 |
4.1 |
경북 울진 동남동쪽 약 50km 해역 진도 III:울진, 포항 진도 Ⅱ:대구, 강릉, 태백, 삼척, 동해 |
연번 (No.) |
진 원 시 |
진 앙 |
규 모 (M) |
비 고 (진도는 MM단위) |
||||
월 일 |
시- 분- 초 |
북위(N) |
동경(E) |
|||||
43 |
11 |
30 |
11- 18- 31.7 |
35.9 |
127.5 |
2.4 |
전북 진안 북북동쪽 약 10km 지역 |
|
2002년 |
||||||||
1 |
1 |
4 |
00- 33- 21.6 |
34.8 |
127.4 |
2.3 |
전남 순천 남서쪽 약 20km 지역 |
|
2 |
1 |
7 |
17- 10- 00.4 |
35.4 |
128.8 |
3.1 |
경남 밀양 남남동쪽 약 10km 지역 진도Ⅱ:부산, 마산 |
|
3 |
1 |
8 |
08- 18- 30.8 |
35.8 |
128.2 |
2.8 |
경북 고령 북서쪽 약 5km 지역 |
|
4 |
1 |
17 |
06- 28- 27.2 |
36.2 |
126.2 |
2.8 |
충남 보령 남서쪽 약 35km 해역 |
|
5 |
1 |
17 |
20- 16- 23.6 |
35.1 |
125.0 |
2.9 |
전남 홍도 북북서쪽 약 50km 해역 |
|
6 |
2 |
3 |
22- 44- 08.4 |
35.0 |
125.0 |
2.6 |
전남 홍도 북북서쪽 약 40km 해역 |
|
7 |
2 |
7 |
09- 31- 16.2 |
36.1 |
129.2 |
2.4 |
경북 포항 북서쪽 약 15km 지역 |
|
8 |
2 |
28 |
22- 26- 49.0 |
36.7 |
128.1 |
2.1 |
경북 문경 북서쪽 약 15km 지역 |
|
9 |
3 |
7 |
23- 30- 55.0 |
36.5 |
126.6 |
3.0 |
충남 홍성 남서쪽 약 15km 지역 진도Ⅱ:홍성, 보령 |
|
10 |
3 |
8 |
02- 09- 32.5 |
35.5 |
126.1 |
2.4 |
전북 고창 서북서쪽 약 55km 해역 |
|
11 |
3 |
12 |
20- 04- 37.1 |
34.9 |
127.4 |
2.4 |
전남 순천 남서쪽 약 10km 지역 |
|
12 |
3 |
17 |
09- 26- 31.6 |
38.1 |
124.3 |
3.9 |
인천광역시 백령도 서북서쪽 약 35km 해역 진도Ⅲ:백령도 |
|
13 |
3 |
22 |
11- 28- 51.8 |
38.3 |
124.5 |
3.5 |
인천광역시 백령도 북쪽 약 40km 해역 진도Ⅲ:백령도 |
|
14 |
3 |
25 |
05- 31- 05.6 |
37.4 |
129.2 |
2.4 |
강원 삼척 지역 |
|
15 |
3 |
25 |
18- 10- 26.4 |
37.1 |
127.2 |
2.4 |
경기 용인 남쪽 약 10km 지역 |
|
16 |
4 |
1 |
07- 46- 01.9 |
37.3 |
128.1 |
2.5 |
강원 원주 남동쪽 약 15km 지역 진도Ⅱ:원주, 횡성 |
|
17 |
4 |
14 |
12- 29- 58.9 |
35.1 |
125.0 |
2.4 |
전남 흑산도 북서쪽 약 60km 해역 |
|
18 |
4 |
17 |
07- 52- 40.8 |
40.5 |
128.5 |
3.9 |
함경남도 북청 북동쪽 약 30km 지역 |
|
19 |
5 |
29 |
18- 22- 16.6 |
34.7 |
127.9 |
2.4 |
전남 여수 동쪽 약 15km 해역 |
|
20 |
6 |
7 |
22- 24- 14.6 |
38.4 |
125.3 |
2.8 |
황해도 남포 남쪽 약 40km 지역 |
연번 (No.) |
진 원 시 |
진 앙 |
규 모 (M) |
비 고 (진도는 MM단위) |
|||
월 일 |
시- 분- 초 |
북위(N) |
동경(E) |
||||
21 |
6 |
23 |
11- 12- 57.3 |
34.7 |
126.6 |
2.0 |
전남 영암 남서쪽 약 15km 지역 |
22 |
7 |
2 |
01- 49- 06.5 |
35.8 |
128.0 |
2.3 |
경남 거창 북동쪽 약 15km 지역 |
23 |
7 |
9 |
04- 01- 51.2 |
35.9 |
129.6 |
3.8 |
경북 포항 남동쪽 약 25km 해역 진도Ⅲ:포항 진도Ⅱ:울산 |
24 |
7 |
12 |
08- 17- 37.4 |
35.9 |
129.8 |
2.1 |
경북 포항 동남동쪽 약 40km 해역 |
25 |
7 |
17 |
06- 50- 25.6 |
38.0 |
124.4 |
3.3 |
인천광역시 백령도 서쪽 약 25km 해역 |
26 |
8 |
6 |
07- 32- 39.4 |
34.7 |
127.4 |
3.0 |
전남 고흥 북동쪽 약 15km 지역 |
27 |
8 |
6 |
21- 37- 57.8. |
35.7 |
127.6 |
2.5 |
전북 장수 북동쪽 약 5km 지역 |
28 |
8 |
10 |
21- 47- 35.4 |
35.1 |
123.4 |
4.0 |
전남 흑산도 서북서쪽 약 195km 해역 |
29 |
8 |
13 |
16- 07- 18.2 |
35.1 |
125.2 |
2.7 |
전남 흑산도 북북서쪽 약 50km 해역 |
30 |
9 |
15 |
16- 40- 00.3 |
35.9 |
129.7 |
2.5 |
경북 포항 동남동쪽 약 30km 해역 |
31 |
9 |
16 |
07- 36- 06.8 |
36.1 |
128.3 |
2.8 |
경북 구미 지역 |
32 |
9 |
19 |
03- 10- 12.8 |
35.6 |
125.4 |
2.9 |
전남 영광 서북서쪽 약 95km 해역 |
33 |
10 |
4 |
02- 06- 31.2 |
38.1 |
126.4 |
2.4 |
북한 개성 북서쪽 약 15km 지역 |
34 |
10 |
16 |
19- 48- 58.9 |
36.6 |
127.6 |
2.4 |
충북 청주 남동쪽 약 10km 지역 |
35 |
10 |
19 |
21- 31- 54.7 |
36.2 |
127.6 |
2.7 |
충남 금산 북동쪽 약 15km 지역 |
36 |
10 |
20 |
04- 22- 07.6 |
35.2 |
127.7 |
3.0 |
경남 하동 북북서쪽 약 15km 지역 |
37 |
10 |
23 |
10- 30- 53.5 |
34.9 |
128.4 |
2.8 |
경남 통영 북서쪽 약 5km 지역 진도Ⅱ:통영 |
38 |
10 |
25 |
04- 06- 47.7 |
33.9 |
127.1 |
2.4 |
전남 완도 남동쪽 약 55km 해역 |
39 |
10 |
28 |
11- 50- 52.8 |
35.1 |
126.6 |
2.8 |
전남 나주 북서쪽 약 10km 지역 |
40 |
11 |
6 |
21- 48- 07.1 |
36.4 |
127.7 |
2.5 |
충북 보은 남서쪽 약 10km 지역 |
41 |
11 |
13 |
21- 46- 26.4 |
35.8 |
127.9 |
2.4 |
경남 거창 북쪽 약 15km 지역 |
42 |
12 |
5 |
10- 05- 46.5 |
36.7 |
126.3 |
2.0 |
충남 서산 남서쪽 약 15km 지역 |
43 |
12 |
5 |
11- 01- 15.9 |
36.7 |
126.2 |
2.1 |
충남 서산 서남서쪽 약 25km 지역 |
연번 (No.) |
진 원 시 |
진 앙 |
규 모 (M) |
비 고 (진도는 MM단위) |
|||
월 일 |
시- 분- 초 |
북위(N) |
동경(E) |
||||
44 |
12 |
7 |
16- 43- 38.7 |
37.4 |
129.4 |
2.7 |
강원 삼척 동쪽 약 20km 해역 |
45 |
12 |
10 |
07- 42- 50.9 |
38.8 |
127.2 |
3.8 |
강원 철원 북쪽 약 60km 지역 진도Ⅲ:철원 진도Ⅱ:동두천, 안산, 서울 |
46 |
12 |
12 |
21- 42- 21.7 |
37.1 |
126.4 |
2.3 |
충남 서산 북쪽 약 35km 해역 |
47 |
12 |
16 |
18- 21- 36.9 |
36.7 |
130.2 |
2.4 |
경북 울진 동남동쪽 약 75km 해역 |
48 |
12 |
17 |
08- 44- 55.4 |
37.1 |
126.4 |
2.1 |
충남 서산 북쪽 약 35km 해역 |
49 |
12 |
26 |
23- 41- 50.0 |
36.5 |
127.0 |
2.7 |
충남 공주 서북서쪽 약 10km 지역 진도Ⅱ:부여 |
2003년 |
|||||||
1 |
1 |
9 |
17- 33- 17.3 |
37.4 |
124.2 |
3.9 |
인천 백령도 남서쪽 약 60km 해역 |
2 |
1 |
10 |
07- 56- 04.8 |
35.9 |
129.2 |
2.7 |
경북 경주 북쪽 10km 지역 진도Ⅱ:경주 |
3 |
1 |
13 |
22- 03- 24.7 |
35.8 |
129.4 |
2.8 |
경북 경주 동쪽 약 20km 지역 진도Ⅱ:경주, 월성 |
4 |
1 |
16 |
14- 02- 58.1 |
33.6 |
127.3 |
2.2 |
제주도 성산포 동북동쪽 약 40km 해역 |
5 |
2 |
8 |
23- 46- 33.0 |
35.3 |
126.6 |
2.9 |
전남 영광 동쪽 약 10km 지역 진도Ⅱ:함평, 장성, 고창 |
6 |
2 |
9 |
22- 28- 45.2 |
36.0 |
127.9 |
2.3 |
경북 김천 남서쪽 약 20km 지역 |
7 |
2 |
14 |
16- 42- 42.6 |
38.0 |
124.5 |
2.9 |
인천 백령도 서북서쪽 약 15km 해역 |
8 |
3 |
1 |
21- 07- 20.6 |
37.6 |
124.6 |
2.5 |
인천 백령도 남쪽 약 40km 해역 |
9 |
3 |
1 |
23- 33- 28.5 |
35.8 |
129.3 |
3.0 |
경북 경주 남동쪽 약 10km 지역 진도Ⅲ:경주 진도Ⅱ:울산 |
10 |
3 |
4 |
12- 44- 25.1 |
38.3 |
128.6 |
2.9 |
강원 속초 북쪽 약 10km 해역 진도Ⅱ:속초, 고성 |
11 |
3 |
10 |
03- 28- 03.1 |
36.1 |
128.4 |
3.1 |
경북 구미 동쪽 약 10km 지역 진도Ⅲ:구미 |
12 |
3 |
14 |
04- 06- 11.6 |
36.2 |
128.7 |
2.1 |
경북 의성 남쪽 약 15km 지역 |
13 |
3 |
19 |
23- 05- 18.4 |
36.5 |
129.6 |
2.3 |
경북 영덕 북동쪽 약 20km 해역 |
연번 (No.) |
진 원 시 |
진 앙 |
규 모 (M) |
비 고 (진도는 MM단위) |
|||
월 일 |
시- 분- 초 |
북위(N) |
동경(E) |
||||
14 |
3 |
23 |
05- 38- 41.0 |
35.0 |
124.6 |
4.9 |
전남 홍도 북서쪽 약 50km 해역 진도Ⅳ:흑산도, 목포 진도Ⅲ:완도, 보성, 순천, 여수, 광주, 나주, 부안, 군산, 고흥, 화순, 진도, 장흥, 해남 진도Ⅱ:서울, 인천, 충주, 청주, 안양, 수원, 부천, 구리, 예산, 평택, 대전, 전주, 진주, 제주, 서산, 천안, 홍성, 부산 |
15 |
3 |
30 |
20- 10- 52.8 |
37.8 |
123.7 |
5.0 |
인천 백령도 서남서쪽 약 80km 해역 진도 Ⅳ:백령도 진도Ⅲ:영종도 진도Ⅱ:문산, 의정부, 서울, 인천, 수원, 천안, 서산, 대전 진도Ⅰ:군산, 전주, 광주 |
16 |
4 |
1 |
22- 26- 37.6 |
36.4 |
127.8 |
2.1 |
충북 보은 남동쪽 약 10km 지역 |
17 |
4 |
5 |
00- 25- 08.1 |
36.2 |
127.3 |
2.5 |
충남 금산 북서쪽 약 20km 지역 진도Ⅱ:금산, 대전, 옥천, 논산 |
18 |
4 |
5 |
00- 31- 32.0 |
36.2 |
127.3 |
2.9 |
충남 금산 북서쪽 약 20km 지역 진도Ⅱ:금산, 대전, 옥천, 논산 |
19 |
4 |
5 |
00- 56- 09.4 |
36.2 |
127.3 |
2.4 |
충남 금산 북서쪽 약 20km 지역 |
20 |
4 |
16 |
02- 55- 25.3 |
36.4 |
126.3 |
3.3 |
충남 안면도 남서쪽 약 10km 해역 |
21 |
6 |
4 |
03- 34- 09.9 |
35.2 |
125.2 |
2.7 |
전남 흑산도 북북서쪽 약 60km 해역 |
22 |
6 |
8 |
02- 07- 56.6 |
36.5 |
125.1 |
2.6 |
충남 격렬비역도 서남서쪽 약 40km 해역 |
23 |
6 |
9 |
10- 14- 04.1 |
36.0 |
123.6 |
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