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선 위원
- 143 -
- 144 -
1. 인사 관련 가. 서기관이상 직원 최근 3년간 이‧경력 나. 각 부서 인원 |
<가. 서기관이상 직원 최근 3년간 이‧경력>
직위 |
직급 |
성명 |
최근 3년간 이‧경력 |
기상청장 |
차관급 |
이만기 |
기상청장 한국과학기술자문회의상임감사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
차장 |
별정직고위공무원 |
구본제 |
차장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파견 과기부 기초연구국장 국방대학교 파견 |
정책홍보관리관 |
일반직고위공무원 |
정순갑 |
정책홍보관리관 예보국장 중공교 교육파견 정보화관리관 |
예보국장 |
〃 |
박광준 |
예보국장, 관측국장 기후국장, 관측관리관 |
관측국장 |
〃 |
이성재 |
관측국장, 정책홍보관리관 광주지방기상청장 부산지방기상청장 |
기후국장 |
〃 |
홍 윤 |
기후국장, 중공교 교육파견 예보국장, 예보관리과장 |
정보화관리관 |
〃 |
진기범 |
정보화관리관, 예보정책과장 디지털예보개발과장(직대) 예보관 |
예보총괄관 |
〃 |
이우진 |
예보총괄관, 대전지방기상청장 수치예보과장 |
기상연구소장 |
연구직고위공무원 |
정효상 |
기상연구소장 |
부산지방 기상청장 |
일반직고위공무원 |
엄원근 |
부산지방기상청장, 관측관리관 원격탐사과(대기발령) 중앙공무원교육원 파견 |
광주지방 기상청장 |
“ |
정연앙 |
광주지방기상청장, 관측황사정책과장 기후정책과장, 국제협력담당관 예보관 |
- 145 -
직위 |
직급 |
성명 |
최근 3년간 이‧경력 |
대전지방기상청장 |
일반직고위공무원 |
윤석환 |
대전지방기상청장 예보총괄관 예보정책과장 기상홍보과장 |
강원지방기상청장 |
“ |
조하만 |
강원지방기상청장 기획과장 예보관 |
혁신인사기획관 |
부이사관 |
조주영 |
혁신인사기획관 관측황사정책과장 |
재정기획관 |
〃 |
최치영 |
재정기획관 예보관 |
기상교육담당관 |
〃 |
박관영 |
기상교육담당관 예보관 세종연구소 교육파견 예보관 |
예보정책과장 |
“ |
조영순 |
예보정책과장 지진기획과장 기상통보관(직대) 예보관 산업교통기상과장 |
관측황사정책과장 |
〃 |
이희훈 |
관측황사정책과장 기상위성과장 원격탐사과장 예보관 |
기후정책과장 |
〃 |
신순호 |
기후정책과장 혁신인사기획관 총무과장 과기부 기술개발지원과장 과기부 감사담당관 |
부산지방기상청 기후정보과장 |
“ |
이현 |
부산(청) 기후정보과장 정보화담당관 |
제주지방기상청장 |
기술서기관 |
전상식 |
제주지방기상청장 예보관 강원(청) 기후정보과장 |
항공기상대장 |
일반계약직4호 |
김상조 |
항공기상대장 |
국제협력담당관 |
기술서기관 |
남재철 |
국제협력담당관 예보연구실장 원격탐사연구실장 응용기상연구실장 원격탐사연구실장 |
정보화담당관 |
〃 |
이희구 |
정보화담당관 부산(청)해양기상과장 정보통신담당관 |
정보통신담당관 |
〃 |
박원우 |
정보통신담당관 부산(청)해양기상과장 |
직위 |
직급 |
성명 |
최근 3년간 이‧경력 |
총무과장 |
서기관 |
김인태 |
총무과장 기상교육담당관 |
수치예보과장 |
기술서기관 |
이희상 |
수치예보과장 |
기상위성과장 |
〃 |
서애숙 |
기상위성과장 수원기상대장 예보관 국제협력과장 |
디지털예보 개발과장 |
〃 |
양진관 |
디지털예보개발과장 관측담당관실 연구기획관리과 |
기상통보관 |
〃 |
허 은 |
기상통보관 김포공항기상대장 산업교통기상과장 세종연구소 교육파견 |
예보관 |
“ |
육명렬 |
예보관 예보관실 예보관리과 |
〃 |
〃 |
임병숙 |
예보관 포항기상대장 대전(청)예보과 |
〃 |
〃 |
김동호 |
예보관 제주(청)예보과장 예보관실 부산(청)예보과 |
“ |
“ |
김남길 |
예보관 철원기상대 강원(청) 예보과 |
측기관리과장 |
〃 |
김진국 |
측기관리과장 총무과 |
기상레이더과장 |
기상연구관 |
이종호 |
기상레이더과장 원격탐사과 |
지진기획과장 |
서기관 |
김영신 |
지진기획과장 혁신인사기획관실 예보관리과 기상교육과 KDI국제정책대학원 기획과 |
기후예측과장 |
기술서기관 |
윤원태 |
기후예측과장 기후예측과 고용휴직 |
기상산업진흥과장 |
서기관 |
양일규 |
기상산업진흥과장 기상교육담당관 혁신인사기획관실(직대) 혁신인사과 |
기상연구소 연구기획관리과장 |
“ |
최웅렬 |
연구기획관리과장 |
직위 |
직급 |
성명 |
최근 3년간 이‧경력 |
부산지방기상청 예보과장 |
기술서기관 |
김성진 |
부산(청) 예보과장 세종연구소 파견 광주(청) 기후정보과장 예보관리과 |
부산지방기상청 해양기상과장 |
“ |
우덕모 |
부산(청) 해양기상과장 정보화담당관 지진담당관 |
대구기상대장 |
“ |
김기락 |
대구기상대장 부산(청) 서무과장 총무과 제주(청) 예보과장 안동기상대장 |
포항기상대장 |
“ |
김경식 |
포항기상대장 정책홍보담당관 김포공항기상대장 |
울산기상대장 |
“ |
이동한 |
울산기상대장 정책홍보담당관 부산(청) 예보과장 |
마산기상대장 |
“ |
김명수 |
마산기상대장 전주기상대장 대전(청) 예보과 |
광주지방기상청 예보과장 |
기술서기관 |
박경우 |
광주(청) 예보과장 전주기상대장 |
광주지방기상청 기후정보과장 |
“ |
이미자 |
광주(청) 기후정보과장 정보화담당관실 |
전주기상대장 |
“ |
김병갑 |
전주기상대장 울산기상대장 부산(청) 서무과장 광주(청) 예보과 |
대전지방기상청 예보과장 |
“ |
유혁기 |
대전(청) 예보과장 예보관실 항공(기) 예보과장 |
대전지방기상청 기후정보과장 |
“ |
김진배 |
대전(청) 기후정보과장 부산(청) 서무과장 예보관리과 제주(청) 예보과장 |
인천기상대장 |
“ |
김식영 |
인천기상대장 기상산업진흥과장 광주(청) 예보과장 |
청주기상대장 |
“ |
최진택 |
청주기상대장 대구기상대장 대전(청) 기후정보과장 |
강원지방기상청 기후정보과장 |
“ |
이정호 |
강원(청) 기후정보과장 측기관리과 |
춘천기상대장 |
“ |
정태천 |
춘천기상대장 대전(청) 예보과장 |
직위 |
직급 |
성명 |
최근 3년간 이‧경력 |
김포공항기상대장 |
기술서기관 |
정해순 |
김포공항기상대장 대전(청) 기후정보과장 청주기상대장 |
기상레이더과장 |
기상연구관 |
이종호 |
기상레이더과장, 원격탐사과 |
지진감시과장 |
“ |
이덕기 |
지진감시과장 해양기상지진연구실 |
기상연구소 해양지진연구실장 |
“ |
윤용훈 |
해양지진연구실장 |
기상연구소 원격탐사연구실장 |
“ |
오성남 |
원격탐사연구실장 환경부 국립환경연구원 (타기관 파견) 원격탐사연구실장, 응용기상연구실장 |
기상연구소 응용기상연구실장 |
“ |
최병철 |
응용기상연구실장 지구대기감시관측소장 |
기상연구소 기후연구실장 |
“ |
권원태 |
기후연구실장 |
기상연구소 지구대기감시관측소장 |
“ |
조천호 |
지구대기감시관측소장 예보연구실장 |
재정기획관실 |
기술서기관 |
김성균 |
재정기획관실 기후정책실 |
정책홍보담당관실 |
계약직4호 |
김문배 |
정책홍보담당관실 |
정보화담당관실 |
기술서기관 |
이미선 |
정보화담당관실, 수치예보과 국외훈련 |
총무과 |
서기관 |
정건교 |
총무과 |
총무과 |
“ |
이명수 |
총무과, 재정기획관실 부산(청) 서무과장 |
예보관실 |
기술서기관 |
이재병 |
예보관실 광주(청) 예보과 |
태풍예보담당관 |
“ |
유희동 |
태풍예보담당관 수치예보과 |
측기관리과 |
“ |
박병권 |
측기관리과, 정보화담당관실 정보통신담당관실 |
부산지방기상청 기후정보과 |
“ |
손철희 |
부산(청) 기후정보과 총무과, 기상통신소장 장비담당관실 |
광주지방기상청 서무과장 |
서기관 |
곽동수 |
광주(청) 서무과장, 기획과 광주(청) 서무과장 |
대전지방기상청 예보과 |
기술서기관 |
김용수 |
대전(청) 예보과, 예보관실 대전(청) 예보과, 관측담당관실 |
제주지방기상청 예보과장 |
“ |
김학송 |
제주(청) 예보과장, 대전(청) 예보과장 기상홍보과, 대전(청) 예보과 |
항공기상대 예보과장 |
“ |
이충태 |
항공(기) 예보과장 기획과 |
작성자 |
행정사무관 |
권 혁 신 |
확인자 |
혁신인사기획관 |
조 주 영 |
연락처 |
- 146 -
<나. 각 부서 인원(정원)>
□ 기상청(본청) 직제(2006년 8월 현재)
국‧실 단위 |
과 단위 |
정원수 |
|
기상청장 (4) |
4 |
||
차장 (3) |
3 |
||
정책홍보관리관 (51) |
혁신인사기획관 |
17 |
|
재정기획관 |
17 |
||
정책홍보담당관 |
9 |
||
국제협력담당관 |
8 |
||
정보화관리관 (43) |
정보화담당관 |
13 |
|
정보통신담당관 |
17 |
||
슈퍼컴팀 |
13 |
||
기상교육담당관(10) |
10 |
||
총무과(31) |
31 |
||
예보국 (91) |
예보정책과 |
9 |
|
수치예보과 |
34 |
||
기상위성과 |
33 |
||
디지털예보개발과 |
15 |
||
예보총괄관 (38) |
기상통보관 |
13 |
|
예보관(4) |
16 |
||
태풍예보담당관 |
9 |
||
관측국 (68) |
관측황사정책과 |
12 |
|
측기관리과 |
19 |
||
기상레이더과 |
10 |
||
지진기획과 |
7 |
||
지진감시과 |
13 |
||
고층해양팀 |
7 |
||
기후국 (40) |
기후정책과 |
9 |
|
기후예측과 |
15 |
||
기상산업진흥과 |
10 |
||
기후자료팀 |
6 |
||
계 |
379 |
- 147 -
□ 소속기관 직제(2006년 8월 현재)
국‧실 단위 |
과 단위 |
정원수 |
기상연구소 (80) |
연구실(8실) |
68 |
지구대기감시관측소(1소) |
12 |
|
기상통신소(9) |
9 |
|
항공기상대 (100) |
기획운영과 |
11 |
예보과 |
22 |
|
정보지원과 |
11 |
|
공항기상대(3소) |
32 |
|
공항기상관측소(6소) |
24 |
|
부산지방기상청 (182) |
서무과 |
9 |
예보과 |
21 |
|
기후정보과 |
16 |
|
해양기상과 |
17 |
|
기상대(9소) |
94 |
|
기상레이더관측소(2소) |
12 |
|
기상관측소(13소) |
13 |
|
광주지방기상청 (136) |
서무과 |
10 |
예보과 |
21 |
|
기후정보과 |
15 |
|
기상대(7소) |
75 |
|
기상레이더관측소(1) |
6 |
|
기상관측소(9소) |
9 |
|
대전지방기상청 (152) |
서무과 |
9 |
예보과 |
21 |
|
기후정보과 |
15 |
|
기상대(9소) |
91 |
|
기상레이더관측소(1) |
6 |
|
기상관측소(9소) |
10 |
|
강원지방기상청 (130) |
서무과 |
8 |
예보과 |
21 |
|
기후정보과 |
16 |
|
기상대(8소) |
76 |
|
기상레이더관측소(1소) |
6 |
|
기상관측소(3소) |
3 |
|
제주지방기상청 (62) |
서무과 |
7 |
예보과 |
18 |
|
기후정보과 |
12 |
|
기상대(2소) |
20 |
|
기상관측소(1소) |
5 |
|
계 |
851 |
작성자 |
행정사무관 |
권혁신 |
확인자 |
혁신인사기획관 |
조주영 |
연락처 |
- 148 -
2. 태풍예보관련 |
<가. 예보정확도(세계순위표기 및 해당국가 슈퍼컴퓨터 보유 현황)>
□ 예보정확도
○ 최근 5년 동안 한국(KMA), 일본(RSMC), 미국(JTWC)의 태풍진로 예보오차는
미국이 126.6km, 일본은 127.8km, 한국은 129.8km를 나타냈음(표 1참조).
○ 한국의 태풍 예측능력은 선진국에 비해 다소 떨어지고 있으나, 그동안 점진적으로
개선되어 왔으며, 앞으로 꾸준한 기술개발을 통해 태풍센터가 개소되는 2008년에는
선진국에 더욱 근접할 것으로 전망됨.
○ 각국의 슈퍼컴퓨터 보유현황(부록 1 참조)
표 1. 주요 국가별 오차 비교(24시간~48시간)
예보시간 |
연도 |
한국 KMA(km) |
일본 RSMC(km) |
미국 JTWC(km) |
24시간 |
2001 |
150.1 |
155.0 |
135.2 |
2002 |
136.2 |
138.0 |
122.2 |
|
2003 |
137.3 |
120.0 |
135.2 |
|
2004 |
122.8 |
125.0 |
127.8 |
|
2005 |
102.9 |
101.0 |
112.7 |
|
평 균 |
129.8 |
127.8 |
126.6 |
|
48시간 |
2001 |
268.2 |
274.0 |
225.9 |
2002 |
231.3 |
239.0 |
213.0 |
|
2003 |
239.8 |
222.0 |
237.1 |
|
2004 |
230.9 |
243.0 |
229.6 |
|
2005 |
181.1 |
176.0 |
188.9 |
|
평 균 |
230.2 |
230.8 |
218.9 |
※ 2005년도 일본(RSMC) 태풍진로 오차는 일본기상청 홈페이지 자료로서
향후 상세 분석에 의해서 변경될 수 있음.
- 149 -
[부록 1]
세계 각 국의 기상용 슈퍼컴퓨터 성능 현황
TOP500(2006. 06.) 기준
순번 (Top500) |
국 가 별 |
처리능력 (GFlops) |
실제성능 (GFlops) |
기 종(성능) |
1 (10) |
일본 ESC (Earth Simulator Center)(2002년) |
40,960 |
35,860 |
NEC Earth- Simulator |
2 (22) |
한국 기상청 (2005년) |
18,442 |
15,706 |
CRAY X1E |
3 (35) |
중국 기상청 (2005년) |
21,760 |
10,310 |
IBM eServer pSeries 655 1.7GHz(power4+) |
4 (36) |
미국 (NAVOCEANO) (2004년) |
20,019 |
10,310 |
IBM pSeries 655 1.7GHz(power4+) |
5 (42) |
유럽중기예보센터 (ECMWF)(2004년) |
16,538 |
9,241 |
IBM pSeries 690 1.9GHz(power4+) |
6 (43) |
유럽중기예보센터 (ECMWF)(2004년) |
16,538 |
9,241 |
IBM pSeries 690 1.9GHz(power4+) |
7 (45) |
일본 기상청 (2005년) |
10,752 |
9,036 |
Hitachi SR11000- K1/80 |
8 (46) |
일본 기상청 (2005년) |
10,752 |
9,036 |
Hitachi SR11000- K1/80 |
9 (92) |
일본 기상청 (2005년) |
6,080 |
4,993 |
Hitachi SR11000- J1/50 |
10 (101) |
미국 NCAR (2005년) |
5,734 |
4,713 |
IBM eServer Blue Gene Solution |
11 (118) |
미국 NCEP (2004년) |
7,833 |
4,379 |
IBM pSeries 655 1.7GHz(power4+) |
12 (119) |
미국 NCEP (2004년) |
7,833 |
4,379 |
IBM pSeries 655 1.7GHz(power4+) |
13 (125) |
미국 NCAR (2003년) |
8,320 |
4,184 |
IBM pSeries 690 Turbo 1.3GHz |
14 (133) |
미국 NCAR (2005년) |
4,620 |
4,031 |
IBM eServer pSeries p5 575 1.9GHz |
15 (175) |
미국 (NAVOCEANO) (2004년) |
7,321 |
3,717 |
IBM pSeries 690 Turbo 1.3GHz |
16 (231) |
미국 NOAA/FSL (2002년) |
6,758 |
3,337 |
HPTi Aspen Systems, Dual Xeon 2.2GHz |
17 (303) |
미국 NOAA/GFDL (2005년) |
3,072 |
2,869 |
SGI Altix 3700 Bx2 1.5GHz |
18 (304) |
미국 NOAA/GFDL (2005년) |
3,072 |
2,869 |
SGI Altix 3700 Bx2 1.5GHz |
19 (305) |
미국 NOAA/GFDL (2005년) |
3,072 |
2,869 |
SGI Altix 3700 Bx2 1.5GHz |
20 (349) |
독일 기상청 (2005년) |
3,161 |
2,756 |
IBM eServer pSeries p5 575 1.9GHz |
21 (350) |
독일 기상청 (2005년) |
3,161 |
2,756 |
IBM eServer pSeries p5 575 1.9GHz |
22 (459) |
일본 기상연구소 (2004년) |
2,232 |
2,155 |
NEC SX- 6/248M31 |
- 150 -
<나. 2005~2006년 발생 태풍별 예측경로 및 실제경로>
□ 2005년 발생 태풍별 예측경로 및 실제경로 그림
o 2005년 태풍(총 23개)
|
|
|
|
|
|
|
|
|
|
|
|
|
|
|
|
|
|
|
|
|
|
|
□ 2006년 발생 태풍별 예측경로 및 실제경로 그림
o 2006년 태풍(8월 28일까지 총 11개)
|
|
|
|
|
|
|
|
|
|
|
작성자 |
기상연구관 |
차은정 |
확인자 |
태풍예보담당관 |
유희동 |
연락처 |
- 151 -
3. R&D관련 |
<가. 전체 R&D 예산 중 사업(과제)별 예산>
(단위 : 백만원)
사업명 |
´06년 예산 |
1. 기상지진기술개발 |
6,000 |
2. 기상관측위성개발 |
13,000 |
3. 기상위성운영기반구축 |
2,886 |
4. 아‧태기후네트워크구축 |
1,000 |
5. 기상연구소 |
7,556 |
합 계 |
30,442 |
<나. R&D관련 인력 현황>
□ 관리 인력 : 2인(기상사무관 1인, 기상주사보 1인)
작성자 |
기상사무관 |
신기창 |
확인자 |
재정기획관 |
최치영 |
연락처 |
- 152 -
4. 지진재해 관련 대비 현황 가. 관련법안 목록 및 기상청 자체 입법 추진 현황 나. 원자력 및 기간 시설물 안전 대책(협력 또는 지원사항) |
<관련 법안 목록 및 기상청 자체 입법 추진 현황>
□ 관련법안 목록
◦ 기상법 제38조
◦ 자연재해대책법 제25조, 시행령 제22조
□ 기상청 자체 입법 추진 사항
◦ 없음
<원자력 및 기간 시설물 안전 대책>
□ 지진정보의 신속한 통보
◦ 기상청은 지진이 발생하면 소방방재청 및 방재관련 기관에 신속하게 통보하는 것을 주된 임무로 하고 있으며, 지진관측망의 지속적 확충과 정비를 통하여 지진 통보 및 지진해일 예측능력을 높이고자 노력하고 있음.
□ 지진관측망 운영기관 협의회 운영
◦ 지진관측망 보유기관인 4개 지진관측기관(기상청,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한전전력연구원)은 협의회를 구성하여 지진관측자료를 상호 실시간으로 공유함으로써 중복투자의 방지와 관련 업무 수행에 상호 호혜적 기여를 하고 있음.
작성자 |
기상사무관 |
이전희 |
확인자 |
지진기획과장 |
김영신 |
연락처 |
- 153 -
5. 대구기상대 격상 진행 상황 |
<대구기상대 격상 진행 상황>
□ 추진 배경 및 필요성
○ 2002년 7월 제10회 국가과학기술위원회에서 기상기술 5개년 기본계획 의결
- 도별 지방기상청 신설로 지역 특성에 맞는 기상서비스 체계 수립 및 운영
○ 2002년 국정감사(9. 17.)
- 박헌기 의원이 대구지방기상청 신설 촉구
○ 2003년 국정감사(9. 24.)
- 강재섭, 박헌기, 박상희, 김진재 의원이 대구지방기상청 신설 촉구
○ 대구광역시에서 기상청장, 행정자치부장관에게 대구지방기상청 신설 건의(2003. 11. 1.)
○ 대구기상대 이전 건의(2004. 3.)
- 대구시 동구 신암동 주민들의 주거환경개서 사업을 위해 기상대 이전 건의
○ 2005년도 기상청 국정감사(2005. 9. 26.)
- 김석준, 서상기 의원의 대구지방기상청 승격 필요성 강조
□ 자구노력 및 추진현황
○ 기상청장이 경북도청 및 대구시청을 방문(2003. 10. 24.) 대구지방기상청 설립 협의
○ ’04~’05년도 기상청 소요정원안에 대구지방기상청 승격관련 증원(35인)을 행정자치부에 요구 → 그러나 우선순위에 밀려 불인정
○ 기상청 조직혁신을 위한 진단‧변화관리 분석(2004. 11.)
- 조직 구조 진단과 재설계에 대구지방기상청 신설 포함(2008년도)
○ 2006년도 기상청 소요정원안에 대구지방기상청 승격관련 협의(2005. 6.)
- 차관청급 승격으로 우선순위에 밀려 불인정
○ 대구 혁신도시 입주희망조사서 제출(대구광역시, 2006. 7.)
○ 대구지방기상청 승격을 포함한 ’07년도 연구용역비(2억) 상정(2006. 8. 현재)
- 전국 기상관측망 조정(지방청 승격 등)
작성자 |
기상사무관 |
이선기 |
확인자 |
관측황사정책과장 |
이희훈 |
연락처 |
- 154 -
6- 1. ‘00년 이후 기상대별 예보정확도 |
< 2000~2003년 최고/최저기온 평방근오차, 강수유무 정확도, 백분율 평가 >
구분 지점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
백분율 |
백분율 |
최고기온 RMSE |
최저기온 RMSE |
강수유무 정확도 |
백분율 |
최고기온 RMSE |
최저기온 RMSE |
강수유무 정확도 |
백분율 |
|
동두천 |
82.9 |
88.7 |
2.3 |
2.1 |
81.6 |
85.7 |
2.1 |
1.8 |
86.4 |
87.8 |
문산 |
2.2 |
2.1 |
82.0 |
84.1 |
2.0 |
1.9 |
88.1 |
86.5 |
||
서울 |
86.1 |
85.3 |
1.9 |
1.5 |
78.8 |
85.3 |
1.9 |
1.5 |
85.4 |
87.6 |
인천 |
85.0 |
85.2 |
2.0 |
1.5 |
78.3 |
85.4 |
2.0 |
1.5 |
84.8 |
87.1 |
수원 |
85.8 |
85.2 |
2.0 |
1.8 |
81.6 |
85.4 |
1.9 |
1.8 |
87.0 |
87.9 |
백령도 |
80.6 |
2.2 |
1.6 |
79.9 |
86.4 |
1.9 |
1.5 |
85.3 |
89.2 |
|
서산 |
84.8 |
86.0 |
2.2 |
2.1 |
79.2 |
84.4 |
2.1 |
2.1 |
82.8 |
87.6 |
대전 |
84.1 |
84.5 |
2.0 |
2.0 |
82.3 |
84.9 |
1.9 |
1.8 |
84.1 |
87.5 |
충주 |
84.3 |
83.4 |
2.0 |
2.3 |
83.8 |
85.2 |
2.0 |
1.9 |
89.2 |
88.0 |
청주 |
84.4 |
84.4 |
1.9 |
1.9 |
81.9 |
84.6 |
1.9 |
1.8 |
86.9 |
88.4 |
추풍령 |
83.8 |
82.2 |
2.5 |
2.4 |
84.3 |
83.1 |
2.2 |
2.0 |
88.7 |
88.4 |
철원 |
81.8 |
82.9 |
2.1 |
2.4 |
79.4 |
83.1 |
1.9 |
2.1 |
83.5 |
86.7 |
춘천 |
83.2 |
83.8 |
2.2 |
2.3 |
80.5 |
83.2 |
2.2 |
1.8 |
84.3 |
86.4 |
원주 |
84.2 |
85.9 |
2.0 |
2.0 |
82.3 |
85.5 |
2.1 |
1.9 |
87.8 |
87.0 |
영월 |
80.5 |
82.8 |
2.1 |
2.5 |
83.8 |
82.9 |
2.1 |
2.0 |
84.1 |
85.6 |
속초 |
80.9 |
82.4 |
2.5 |
2.2 |
84.1 |
83.0 |
2.1 |
2.0 |
84.6 |
86.2 |
대관령 |
84.4 |
81.9 |
2.6 |
2.2 |
81.9 |
82.3 |
2.3 |
2.4 |
84.4 |
83.2 |
강릉 |
82.5 |
82.9 |
2.3 |
2.2 |
83.8 |
84.0 |
2.0 |
1.9 |
85.4 |
85.9 |
동해 |
81.1 |
82.8 |
2.3 |
2.2 |
83.0 |
84.5 |
2.2 |
1.9 |
85.3 |
85.5 |
울릉도 |
83.2 |
83.4 |
2.1 |
1.7 |
76.1 |
84.1 |
2.1 |
1.7 |
79.0 |
84.3 |
광주 |
87.3 |
85.7 |
2.1 |
1.9 |
79.1 |
84.5 |
1.9 |
1.7 |
84.7 |
87.2 |
목포 |
88.2 |
86.2 |
1.8 |
1.7 |
78.3 |
84.2 |
1.8 |
1.7 |
83.6 |
88.2 |
여수 |
86.9 |
86.8 |
1.9 |
1.7 |
81.5 |
82.8 |
1.8 |
1.6 |
83.9 |
86.6 |
흑산도 |
86.1 |
86.8 |
2.2 |
1.6 |
73.7 |
83.2 |
2.1 |
1.4 |
80.7 |
85.8 |
완도 |
85.3 |
85.2 |
2.0 |
1.8 |
80.6 |
83.6 |
2.0 |
1.7 |
79.7 |
85.8 |
진도 |
2.3 |
2.0 |
79.7 |
82.6 |
2.1 |
1.9 |
85.4 |
86.1 |
||
군산 |
84.6 |
87.8 |
2.0 |
1.5 |
79.6 |
89.1 |
1.8 |
1.5 |
84.5 |
91.7 |
전주 |
84.9 |
85.0 |
2.0 |
1.9 |
80.9 |
85.3 |
1.9 |
1.8 |
84.9 |
87.3 |
울산 |
85.2 |
87.3 |
2.1 |
1.8 |
82.2 |
87.5 |
2.2 |
1.7 |
85.8 |
88.0 |
마산 |
85.1 |
87.6 |
2.1 |
1.7 |
83.0 |
86.2 |
2.0 |
1.4 |
88.7 |
89.5 |
부산 |
86.8 |
87.5 |
1.9 |
1.4 |
81.8 |
86.6 |
2.0 |
1.4 |
85.7 |
88.4 |
통영 |
85.5 |
86.1 |
1.9 |
1.8 |
84.7 |
85.1 |
1.9 |
1.5 |
87.8 |
87.9 |
진주 |
84.0 |
83.4 |
2.2 |
2.3 |
83.0 |
84.9 |
2.0 |
2.0 |
87.3 |
87.3 |
울진 |
84.0 |
85.4 |
2.3 |
2.1 |
83.2 |
85.6 |
2.0 |
1.8 |
85.9 |
89.0 |
안동 |
84.6 |
84.8 |
2.0 |
2.1 |
85.6 |
89.1 |
2.0 |
1.8 |
86.9 |
90.9 |
상주 |
2.3 |
2.3 |
85.0 |
86.4 |
2.1 |
2.0 |
88.0 |
89.2 |
||
포항 |
84.2 |
84.4 |
2.1 |
1.8 |
82.7 |
85.1 |
2.3 |
1.6 |
83.8 |
87.1 |
대구 |
84.9 |
88.3 |
2.1 |
1.8 |
84.7 |
89.4 |
2.1 |
1.5 |
85.6 |
91.3 |
제주 |
85.8 |
87.1 |
1.9 |
1.6 |
82.5 |
87.4 |
1.9 |
1.5 |
84.5 |
87.9 |
고산 |
83.7 |
86.6 |
1.9 |
1.6 |
79.3 |
85.5 |
1.9 |
1.6 |
82.9 |
87.2 |
서귀포 |
86.1 |
87.5 |
1.8 |
1.7 |
80.9 |
85.4 |
1.7 |
1.7 |
82.6 |
88.3 |
평균 |
84.5 |
85.1 |
2.1 |
1.9 |
81.5 |
85.0 |
2.0 |
1.8 |
85.1 |
87.5 |
- 155 -
< 2004~2006. 7월 최고/최저기온 평방근오차, 강수유무 정확도, 백분율 평가 >
구분 지점 |
2004년 |
2005년 |
2006.1~7월 |
|||||||||
최고기온 RMSE |
최저기온 RMSE |
강수유무 정확도 |
백분율 |
최고기온 RMSE |
최저기온 RMSE |
강수유무 정확도 |
백분율 |
최고기온 RMSE |
최저기온 RMSE |
강수유무 정확도 |
백분율 |
|
동두천 |
2.0 |
1.8 |
86.6 |
88.4 |
1.9 |
1.9 |
84.9 |
86.6 |
2.4 |
1.7 |
85.0 |
85.9 |
문산 |
1.9 |
2.0 |
86.1 |
87.0 |
1.8 |
2.1 |
85.5 |
85.7 |
2.1 |
1.8 |
87.7 |
86.6 |
서울 |
1.8 |
1.5 |
83.1 |
88.1 |
1.7 |
1.5 |
83.4 |
87.7 |
1.9 |
1.4 |
85.7 |
86.8 |
인천 |
2.0 |
1.5 |
83.6 |
87.4 |
2.0 |
1.6 |
81.0 |
86.6 |
2.1 |
1.4 |
84.4 |
87.6 |
수원 |
1.8 |
1.8 |
85.6 |
87.2 |
1.7 |
1.7 |
85.2 |
87.1 |
2.0 |
1.6 |
86.9 |
87.1 |
백령도 |
2.2 |
1.7 |
83.7 |
88.0 |
2.0 |
1.7 |
86.1 |
86.6 |
2.5 |
1.7 |
81.7 |
82.0 |
서산 |
2.1 |
2.1 |
84.3 |
86.7 |
1.9 |
2.0 |
83.0 |
86.5 |
2.1 |
1.8 |
78.8 |
86.5 |
대전 |
2.0 |
1.9 |
83.1 |
87.2 |
1.8 |
1.7 |
84.3 |
86.6 |
2.0 |
1.6 |
86.0 |
87.5 |
충주 |
2.0 |
2.0 |
86.0 |
86.9 |
1.8 |
2.0 |
84.2 |
86.4 |
2.1 |
1.9 |
88.3 |
87.1 |
청주 |
1.9 |
1.9 |
86.5 |
88.0 |
1.7 |
1.8 |
85.8 |
86.4 |
2.1 |
1.7 |
82.2 |
86.8 |
추풍령 |
2.2 |
2.1 |
87.4 |
87.5 |
2.1 |
2.1 |
87.5 |
85.4 |
2.3 |
1.9 |
86.7 |
84.6 |
철원 |
1.7 |
2.0 |
86.0 |
87.9 |
1.8 |
2.1 |
83.5 |
86.7 |
2.3 |
2.0 |
82.1 |
85.0 |
춘천 |
2.0 |
2.0 |
85.0 |
86.4 |
2.0 |
2.0 |
85.2 |
86.3 |
2.2 |
1.8 |
85.4 |
86.5 |
원주 |
2.1 |
1.9 |
85.9 |
85.4 |
1.9 |
2.0 |
85.0 |
86.2 |
2.2 |
1.9 |
84.4 |
85.6 |
영월 |
2.2 |
2.1 |
85.1 |
84.4 |
2.0 |
2.2 |
86.8 |
86.4 |
2.2 |
2.1 |
85.6 |
85.7 |
속초 |
2.3 |
2.1 |
86.3 |
84.9 |
2.3 |
2.1 |
88.3 |
85.3 |
2.7 |
2.0 |
80.1 |
81.3 |
대관령 |
2.2 |
2.3 |
83.8 |
83.6 |
2.3 |
2.3 |
86.4 |
84.9 |
2.5 |
2.1 |
86.0 |
83.7 |
강릉 |
2.1 |
2.1 |
82.9 |
84.9 |
2.2 |
2.0 |
89.3 |
85.4 |
2.7 |
2.0 |
86.2 |
83.7 |
동해 |
2.1 |
2.1 |
83.3 |
84.1 |
2.2 |
1.9 |
86.9 |
85.1 |
2.6 |
1.9 |
86.3 |
83.2 |
울릉도 |
2.0 |
1.6 |
82.6 |
87.4 |
2.1 |
1.7 |
82.3 |
85.8 |
2.1 |
1.6 |
86.1 |
87.1 |
광주 |
1.8 |
1.7 |
87.1 |
89.1 |
1.8 |
1.6 |
84.2 |
87.2 |
1.9 |
1.7 |
84.4 |
86.8 |
목포 |
1.8 |
1.6 |
86.9 |
90.1 |
1.8 |
1.7 |
84.5 |
88.1 |
1.7 |
1.5 |
85.8 |
87.6 |
여수 |
1.7 |
1.5 |
84.3 |
88.4 |
1.8 |
1.4 |
81.5 |
86.8 |
1.7 |
1.3 |
87.4 |
89.5 |
흑산도 |
2.1 |
1.4 |
87.5 |
89.5 |
2.0 |
1.3 |
85.1 |
88.3 |
2.1 |
1.4 |
84.9 |
87.0 |
완도 |
2.0 |
1.8 |
86.8 |
87.5 |
1.9 |
1.7 |
83.8 |
86.7 |
1.9 |
1.7 |
85.0 |
87.9 |
진도 |
2.4 |
1.8 |
86.2 |
87.2 |
2.3 |
1.8 |
84.9 |
86.1 |
2.3 |
1.8 |
82.6 |
85.5 |
군산 |
1.8 |
1.7 |
87.3 |
90.9 |
1.8 |
1.6 |
88.3 |
88.9 |
2.0 |
1.6 |
87.5 |
88.3 |
전주 |
2.0 |
1.8 |
88.7 |
88.3 |
1.9 |
1.8 |
83.7 |
86.7 |
2.1 |
1.9 |
85.8 |
86.5 |
울산 |
1.9 |
1.9 |
90.2 |
88.9 |
2.1 |
1.8 |
86.8 |
86.3 |
2.2 |
1.8 |
89.4 |
86.7 |
마산 |
1.8 |
1.6 |
88.9 |
89.3 |
2.0 |
1.5 |
90.5 |
88.5 |
1.9 |
1.6 |
90.0 |
88.4 |
부산 |
1.8 |
1.5 |
89.2 |
89.4 |
1.9 |
1.4 |
88.3 |
87.5 |
1.9 |
1.5 |
88.9 |
87.4 |
통영 |
1.7 |
1.6 |
88.5 |
90.0 |
1.7 |
1.4 |
88.7 |
89.2 |
1.8 |
1.4 |
86.5 |
89.1 |
진주 |
1.9 |
2.1 |
86.2 |
86.4 |
2.0 |
2.1 |
88.2 |
86.1 |
1.9 |
2.0 |
86.9 |
86.5 |
울진 |
2.0 |
2.0 |
84.3 |
86.6 |
2.1 |
1.8 |
89.0 |
87.6 |
2.4 |
1.8 |
84.7 |
84.6 |
안동 |
2.0 |
1.8 |
86.2 |
88.3 |
1.9 |
2.0 |
86.1 |
87.3 |
2.1 |
1.9 |
85.8 |
87.1 |
상주 |
2.1 |
2.1 |
83.8 |
87.0 |
2.0 |
2.0 |
86.5 |
87.8 |
2.4 |
1.9 |
87.3 |
86.0 |
포항 |
2.1 |
1.7 |
85.8 |
86.6 |
2.1 |
1.7 |
86.0 |
86.7 |
2.3 |
1.7 |
87.4 |
85.7 |
대구 |
1.9 |
1.7 |
87.2 |
89.0 |
1.9 |
1.6 |
85.6 |
86.9 |
2.0 |
1.7 |
86.3 |
87.3 |
제주 |
1.9 |
1.4 |
83.9 |
87.9 |
1.8 |
1.6 |
83.6 |
88.2 |
1.9 |
1.5 |
86.0 |
87.0 |
고산 |
1.9 |
1.6 |
85.4 |
87.1 |
1.9 |
1.6 |
81.7 |
87.4 |
1.9 |
1.5 |
82.5 |
87.8 |
서귀포 |
1.7 |
1.6 |
84.1 |
87.4 |
1.7 |
1.5 |
81.9 |
87.8 |
1.6 |
1.6 |
84.6 |
87.4 |
평균 |
2.0 |
1.8 |
85.4 |
87.5 |
1.9 |
1.8 |
85.5 |
86.8 |
2.1 |
1.7 |
85.5 |
86.3 |
- 156 -
< 평가지수와 백분율 평가의 설명 >
□ 평가대상 예보
구 분 |
평가지수 |
백분율 평가 |
평가대상 |
05시 발표 오늘, 내일 예보 17시 발표 오늘, 내일 예보 |
05시 발표 오늘, 내일 예보 17시 발표 내일 예보 |
※ 백분율 평가를 시행하다가 객관적 평가지수(기온 평방근오차, 강수유무 정확도)를 도입하여 2002년부터 평가를 수행함.
2000~2001년 자료가 없는 문산, 진도, 상주는 2002년에, 2000년 자료가 없는 백령도는 2001년에 신설된 기상대임.
□ 기온 평방근오차(RMSE, Root Mean Square Error)
전체적인 예보의 정확도를 측정하는 요소의 하나. 오차의 평균적인 크기를 제공함.
평균절대오차(MAE)에 비해서 큰 오차에 대해 민감하게 작용함.
값은 0에서 무한대의 값을 가지며 0에 가까울수록 예보의 오차가 작음.
□ 강수유무 정확도(Accuracy, %)
예 보 |
|||
yes |
no |
||
관측 |
yes |
H (맞힘) |
M (미예측) |
no |
F (미발생) |
C (부의 정확) |
- 157 -
□ 백분율 평가(%)
○ 예보요소별 배점
발표시각 |
예보범위 |
기 온 |
강수유무 |
하늘상태 |
합 계 |
|
최고기온 |
최저기온 |
|||||
05시 발표 |
오늘예보 |
20 |
- |
50 |
30 |
100 |
내일예보 |
20 |
20 |
30 |
30 |
100 |
|
17시 발표 |
내일예보 |
20 |
20 |
30 |
30 |
100 |
○ 기온오차 범위별 배점
오차범위 |
|F - O| ≤ 2℃ |
2℃ < |F - O| ≤ 4℃ |
|F - O| > 4℃ |
배 점 |
20 |
10 |
0 |
○ 강수유무 : 예보와 실황이 일치할 경우에 오늘예보 50점, 내일예보 30점으로 평가하며, 예보와 실황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0점 처리.
○ 하늘상태 : 10단계로 구분하며 평가배점 분류표는 다음과 같음.
실황 예보 |
◯ |
|
|
◎ |
◯→ |
◯→◎ |
→◎ |
◎→ |
◎→◯ |
→◯ |
◯ |
30 |
25 |
10 |
0 |
25 |
15 |
5 |
5 |
15 |
25 |
|
25 |
30 |
25 |
10 |
25 |
25 |
15 |
15 |
25 |
25 |
10 |
25 |
30 |
25 |
15 |
25 |
25 |
25 |
25 |
15 |
|
◎ |
0 |
10 |
25 |
30 |
5 |
15 |
25 |
25 |
15 |
5 |
◯→ |
25 |
25 |
15 |
5 |
30 |
25 |
20 |
10 |
10 |
10 |
◯→◎ |
15 |
25 |
25 |
15 |
25 |
30 |
25 |
5 |
0 |
5 |
→◎ |
5 |
15 |
25 |
25 |
20 |
25 |
30 |
5 |
5 |
5 |
◎→ |
5 |
15 |
25 |
25 |
10 |
5 |
5 |
30 |
25 |
20 |
◎→◯ |
15 |
25 |
25 |
15 |
10 |
0 |
5 |
25 |
30 |
25 |
→◯ |
25 |
25 |
15 |
5 |
10 |
5 |
5 |
20 |
25 |
30 |
* ◯ 맑음, 구름조금, 구름많음, ◎ 흐림, ◯→ 맑은 후 구름많음, ◯→◎ 맑은 후 흐림. →◎ 차차 흐림, ◎⇒ 흐린 후 갬, ◎→◯ 흐린 후 맑음, →◯ 차차 맑음
□ 예보정확도는 당해연도 및 월별 이상기상 발생빈도 등의 요인에 의해 일시적으로 약간의 편차가 있을 수 있음.
작성자 |
기상사무관 |
하창환 |
확인자 |
예보정책과장 |
조영순 |
연락처 |
- 158 -
6- 2. 국지 기상예보 모델 개발사업 현황 - ’05~’06년 집중호우 사례의 수치모델 정확도 및 집중호우모델 개발대책 |
< ’05- ’06년 집중호우 사례의 수치모델 정확도>
□ 집중호우 사례와 분석 자료
○ 사례 : 2005년 6월- 9월, 2006년 6월- 8월 중 일강수량 150mm 이상인 날을 선정
○ 관측 : 자동기상관측기기에서 관측한 강수량
○ 수치모델 : 09시 초기자료를 이용한 지역모델(30km 해상도)의 24시간 예측 강수량
□ 집중호우에 대한 수치예보모델의 강수예측 정확도
2005년 집중호우 |
2006년 집중호우 |
||||
일시 |
24시간 누적 강수량(mm) |
일시 |
24시간 누적강수량(mm) |
||
관측(최대값) |
수치모델 |
관측(최대값) |
수치모델 |
||
6.1 |
159.0 |
57.0 |
6.14 |
169.0 |
78.0 |
6.26 |
307.5 |
110.0 |
7.8 |
202.5 |
19.0(많은 곳 127.0) |
6.30 |
200.5 |
72.0 |
7.09 |
152.5 |
80.0 |
7.01 |
235.5 |
206.0 |
7.10 |
262.5 |
126.0 |
7.27 |
162.0 |
20.0 |
7.11 |
240.5 |
40.0 |
7.28 |
195.0 |
49.0 |
7.12 |
302.0 |
35.0 |
8.02 |
354.5 |
60.0 |
7.14 |
295.5 |
38.0 |
8.08 |
310.5 |
5.0 (많은 곳 37) |
7.15 |
351.0 |
107.0 |
8.10 |
260.5 |
42.0 |
7.16 |
183.5 |
137.0 |
8.24 |
173.0 |
79.0 |
7.25 |
161.0 |
5.0 |
9.6 |
457.5 |
88.0 |
7.27 |
272.0 |
100.0 |
9.17 |
265.0 |
53.0 |
7.28 |
261.5 |
53.0 |
9.30 |
152.0 |
47.0 |
8.19 |
182.0 |
123.0 |
평균 |
248.7 |
68.3 |
평균 |
233.5 |
72.4 |
○ 일강수량이 150mm 이상인 날에 대한 평균 강수량 산출
- 2005년 평균강수량 : 관측 248.7mm, 수치모델 68.3mm (관측값의 27.5%)
- 2006년 평균강수량 : 관측 233.5mm, 수치모델 72.4mm (관측값의 31.0%)
- 159 -
<집중호우전용모델 개발계획>
□ 필요성
○ 매년 많은 인적, 물적 피해를 유발하는 여름철 집중호우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강수예측이 매우 중요함.
○ 기상청은 집중호우의 정확한 예측을 위하여 30km 분해능의 지역 수치예보 모델을 사용하고 있으나, 단시간에 급격히 발달하는 집중호우의 정확한 예측은 불가능함.
○ 그러므로 집중호우의 정확한 예측을 위해서 집중호우 구름과 유사한 크기의 1- 3 km 수준의 초고분해능 수치모델을 도입하여, 정확한 강수예측 자료를 생산함으로써 여름철 집중호우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 하고자 함.
□ 추진계획
○ 모델 도입 및 시험운영('07년)
- 국지성 집중호우 예측 전용의「초고해상도(수평 5km이내) 초단기 예측모델」도입
- 서울과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악기상 모델 시험운영 지역 선정
- 지역 예측모델을 이용한 초기 입력자료와 경계자료 생성과정 구축
- 슈퍼컴 2호기에 적합한 최적화 및 병렬화 방법 적용으로 예측시간 단축
- 모델의 첨단물리과정 도입‧적용
- 2006년도 여름철 사례에 대한 기상청 지역모델 결과와의 사례검증
- 장마전선대의 정확한 예측을 위한 전지구 수치모델의 개선
○ 모델 본격 현업운영 및 개선('08년)
- 집중호우 예측모델의 수행지역을 중부와 남부지방까지 확대 선정
- 악기상모델의 근간인 전구모델과 지역모델의 자료동화과정 개선 추진 (4차원 변분자료동화기법)
○ 모델의 지표 물리과정 개선('09년)
- 지표 온도와 수분에 대한 정보 입력 방법 개선
○ 모델의 강수 물리과정 개선('10년)
작성자 |
기상사무관 |
박영연 |
확인자 |
수치예보과장 |
이희상 |
연락처 |
- 160 -
7. ‘06년 7월 이후 구매한 기상장비 목록과 평가기준(도입방법) |
<기상장비 목록 및 도입방법>
(단위 : 천원)
번호 |
기상장비명 |
예산배정액 |
계약금액 |
계약업체 |
도입방법 |
계약기관 |
1 |
기상대웹서버(10조) |
250,000 |
223,000 |
(주)유니트론씨스템즈 |
일반경쟁 |
조달청 |
2 |
기후자료DB 시스템 |
80,000 |
68,000 |
(주)와이즈비 |
〃 |
〃 |
3 |
3개월예측시스템서버 |
60,000 |
57,000 |
(주)한울솔루션 |
〃 |
〃 |
4 |
지진라우터(40조) |
100,000 |
95,700 |
(주)데이콤 |
〃 |
〃 |
5 |
온습도교정용장비 |
66,000 |
62,200 |
세인교정기기(주) |
〃 |
〃 |
6 |
저온가스장치 |
40,000 |
37,400 |
(주)케이엔알 |
〃 |
〃 |
7 |
자외선측정비(3조) |
60,000 |
$31,199.30 |
(주)한길통상 |
〃 |
〃 |
8 |
이동식지진계 |
54,000 |
$43,146.13 |
희송지오텍(주) |
〃 |
〃 |
9 |
레윈존데 관측장비(6조) |
133,200 |
130,000 |
케이웨더(주) |
〃 |
〃 |
10 |
GPS 라디오 존데 (4,305개) |
1,461,700 |
1,011,290 |
케이웨더(주) |
〃 |
〃 |
※ 2006년 7월 이후 계약체결 되어 현재 도입 중인 장비임.
작성자 |
기상사무관 |
최기상 |
확인자 |
측기관리과장 |
김진국 |
연락처 |
- 161 -
8. 기상위성사업 현황과 국산장비 현황 |
<타국의 기상위성 운용 현황>
□ 일반현황
○ 기상청은 일본, 중국, 유럽, 미국으로부터 위성자료를 수신하여, 태풍, 집중호우 등 자연재해를 유발할 수 있는 악기상 실황예보와 수치예보능력 향상을 위한 자료지원을 하고 있음.
○ 일본의 MTSAT- 1R, 유럽의 Meteosat- 5호 등은 정지위성으로서 각각 일 44회에서 48회를 수신하고 있고, 미국의 NOAA는 극궤도위성으로서 일 2회에서 4회 수신하고 있음.
○ 이밖에 중국의 정지위성 FY- 2C는 MTSAT- 1R의 장애 등에 대비하여, 백업으로 매 24회 수신하고 있음.
○ 일본, 중국, 미국위성은 국가간 위성자료 교환협력 및 위성보유국의 자료분배정책에 따라 무상으로 수신하고 있으나, 유럽의 Meteosat- 5호는 유료(매년 80,000유로)로 사용 중에 있음.
○ 이는 유럽위성센터(EUMESAT)는 유럽공동연합 자료제공 및 활용정책에 따라 서비스 종류별로 이용국 들에게 년간 수수료를 부과에 따른 것임.
- 162 -
<통신해양기상위성 관련>
□ 연도별 추진현황
사업기간 |
사업비 |
추진현황 |
1차년도 (‘03.9.~’04.4.) |
15억원 |
○통신해양기상위성 개발제안요구서 작성 ○기상자료처리시스템의 정규분석자료 규격 정의 ○기상자료처리 S/W 상세규격 및 흐름도 작성 |
2차년도 (‘04.5.~’05.4.) |
40억원 |
○통신해양기상위성 우선협상 대상업체 선정‧계약 - 프랑스 아스트리움(사)/’05.4.13. ○기상자료처리시스템의 자료처리 S/W 개발표준 기술사항 수립 ○송수신시스템설계 및 위성/지상국간 접속설계 |
3차년도 (‘05.5.~’06.4.) |
69억원 |
○기상탑재체 개발 - 기상탑재체 설계 및 위성체 접속지원 - 기상탑재체 부품 구매 - 기상탑재체 조립/시험 및 검증 방안 수립 ○기상자료처리 시스템 개발 - 산출자료(16종)별 자료 처리 SW 원형 개발 - 처리S/W 기상위성센터운영시스템 접합 설계 ○송수신시스템 개발 - 송수신시스템 예비설계 및 위성/지상국 접속 상세설계 - 사용자 수신장비 MDUS S/W 설계 |
4차년도 (‘06.5.~’07.2.) |
130억원 |
○ 기상탑재체 개발추진 - 기상탑재체 부분체 제작 및 기상탑재체 보정 개념 수립 - 기상탑재체 위성체 접속 지원 - 기상탑재체- 위성체간의 총조립 및 시험 준비 지원 - 기상탑재체 운영관련 확대훈련 수행여부 결정 ○ 기상자료처리 시스템 개발추진 - 기상자료처리 S/W 표준화, 전체 요소의 통합 S/W 구축, S/W 최적화 - 운영상황에 따른 품질 저하에 대한 대체체계 구축 - IOT 계획 수립 - 센서검정 S/W 완성 및 보정 최적 운영시스템 개념설계 - 적외 복사모델 최적화 - 알고리즘 검증을 위한 자료수집 및 생산, 체계구축 - 산출자료의 통계적 검증 방안 구축 및 이를 위한 S/W 개발 ○ 송수신시스템 개발추진 - 임무운영 기반시설 구축 - 전처리 SW 알고리즘 개발 및 송수신 시스템 HW 구매 - 송수신 서브시스템 개발 및 구축 - 서브시스템 간 통합/시험/검증 실시 - 관제/송수신 접속 관리 |
- 163 -
□ 공동 발사기관인 과기부, 정통부, 해수부와의 업무분장 개요 및 현황
○ 2008년 말 발사를 목표로 4개 부처가 공동 개발하는 위성으로 통신, 해양관측, 기상관측을 수행하는 정지궤도 「통신해양기상위성」개발을 추진 중에 있으며, 통신해양기상위성 개발과 관련한 부처별 업무분장은 다음과 같음.
통신해양기상위성개발 부처별 업무분장 |
■사업기간 : 2003년~2008년(6년) ■4개 부처별 업무분장 현황 ∙ 과학기술부 : 사업총괄, 시스템, 본체기술 개발 ∙ 정보통신부 : 통신탑재체‧관제시스템‧시험지구국 개발 ∙ 해양수산부 : 해양관측탑재체‧해양자료처리시스템 개발 ∙ 기 상 청 : 기상관측탑재체‧기상자료처리시스템 개발 |
□ 공동 발사예정 부처별 예산 현황 및 당초계획대비 실적
○ 통신해양기상위성개발사업 총 사업비는 2,880억원으로 각 부처별로 업무분장에 소요되는 사업비 확보를 추진하고 있으며,
- 기상청은 2003년부터 2006년까지 4차년도 사업비 254억원을 확보하여 당초 계획대비 100%의 사업비 확보 실적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음.
(단위:억원)
연도 부‧청 |
2003 |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계 |
비고 |
과학기술부 |
35 |
65 |
130 |
220 |
280 |
432.5 |
1162.5 |
일반회계 |
해양수산부 |
10 |
39 |
59 |
46 |
85 |
183.5 |
422.5 |
|
기상청 |
15 |
40 |
69 |
130 |
171 |
217.5 |
642.5 |
|
정보통신부 |
51 |
88.5 |
95 |
170 |
160 |
88 |
652.5 |
정보통신진흥기금 |
총 소요예산 |
111 |
232.5 |
353 |
566 |
696 |
921.5 |
2,880 |
- 164 -
<국가기상위성센터 설립 관련>
□ 사업개요
○ 사업기간/총사업비 : 2005~2009년(5년)/292억원
○ 설립장소 :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 광혜원리 산25- 168번지
○ 사업 내용
- 청사 신축 : 부지 10,000평, 연건평 2,094평(지하1층, 지상3층)
- 지상국시스템 구축 : 기상위성 지상국시스템 도입 및 운영시스템 구축
□ 추진실적
○ 센터 신축부지(10,000평) 확보(충북 진천군 광혜원면) : 2005. 5.
○ 센터 건축 기본 및 실시설계완료 : 2005. 12.
○ 센터 신축공사 착공 : 2006. 4. ~
○ 기상위성센터 지상국시스템 설계 실시 중 : 2006. 6. ~ 11.
□ 향후계획
○ 센터 신축공사 준공 : 2007. 11.
○ 기상위성센터 지상국시스템 도입 설치 및 시험 : 2007. 11. ~
○ 기상위성센터 지상국 시험운영 : 2008. 3. ~
<국산장비현황>
○ 기상탑재체 일체 : 항공우주연구원 소관
○ 기상위성센터 지상국 시스템
- 네트워크 보안장비 : 국산장비
- 그 외 장비는 도입시 입찰 결과에 따라 결정될 사항임.
작성자 |
통신사무관 |
이봉주 |
확인자 |
기상위성과장 |
서애숙 |
연락처 |
- 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