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여옥 위원 






- 457 -


- 458 -

1. 기구표(1997. 12. 31 현재, 2002. 12. 31 현재, 2006. 6. 30 현재)



□ 1997. 12. 31 현재

 



□ 2002. 12. 31 현재

◦ 별도자료 제출 (파일 1_1_기구도(2002))


□ 2006. 6. 30 현재

◦ 별도자료 제출 (파일 1_2_기구도(2006))




작성자

기상사무관

정 종 운

확인자

혁신인사기획관

조 주 영

연락처

02 -  2181 -  0306

- 459 -

2. 직종별‧직급별 정원표(1997. 12. 31. 현재, 2002. 12. 31. 현재, 2006. 6. 30. 현재)



□ 기상청(본청)

기상청(본청) 정원

1997년

2002년

2006년

총계

257

312

379

정무직 계

1

청장(차관급)

1

별정직 계

1

1

청장(1급상당)

1

1

별정직 계

1

차장(1급상당)

1

일반직 계

216

274

339

2급 또는 3급

3

3

4

3급

3

2

2

3급 또는 4급

6

6

6

4급

12

15

17

4급 또는 연구관

1

1

2

4급 또는 5급

11

11

12

5급

31

37

70

5급 또는 연구관

4

5

6

6급

45

53

62

6급 또는 연구사

4

8

8

6급 또는 별정직 6급상당

1

1

1

7급

53

63

60

7급 또는 연구사

1

1

1

8급

17

43

47

9급

4

5

5

연구관

10

10

14

연구사

10

10

22

기능직 계

40

37

38

기능9급

6

6

6

기능10급

34

31

32


- 460 -

□ 소속기관

소속기관 정원

1997년

2002년

2006년

총계

741

679

751

일반직 계

586

532

604

3급

4

4

4

3급 또는 4급

1

1

1

4급

18

17

17

4급 또는 연구관

2

2

2

4급또는 5급

4

3

3

5급

57

53

56

5급 또는 연구관

1

4

6

6급

96

86

100

6급 또는 연구사

5

7

11

7급

119

111

134

7급 또는 연구사

4

4

4

8급

139

104

116

9급

97

90

95

연구관

15

18

20

연구사

24

28

35

기능직 계

155

147

147

기능6급

4

4

기능7급

4

4

기능8급

3

3

기능9급

4

4

4

기능10급

151

132

132





작성자

기상사무관

정 종 운

확인자

혁신인사기획관

조 주 영

연락처

02 -  2181 -  0306

- 461 -

3. 직렬별‧직급별 현원


■ 2003. 9월말 현재

직렬

직급

기술직

행정직

연구직

기능직

기타

(별정,계약직)

기상직

기타

1급

1

1

2급

2

1

3

3급

12

1

13

4급

36

6

8

1

51

5급

78

15

10

103

6급

125

28

16

1

170

7급

156

23

16

195

8급

147

14

10

171

9급

94

15

109

연구관

31

31

연구사

42

42

기능

195

195

650

101

62

73

195

3

1,084


※ 97.12.31. 및 02.12.31. 현재 현원 자료 없음


- 462 -

■ 2006. 6월말 현재

직렬

직급

기술직

행정직

연구직

기능직

기타

(정무,별정,계약직)

기상직

기타

차관급

1

1

1급

1

1

2급

4

4

3급

9

1

1

11

4급

33

8

8

2

51

5급

102

15

14

131

6급

143

35

18

1

197

7급

176

19

15

210

8급

146

19

9

1

175

9급

90

5

95

연구관

40

40

연구사

50

50

기능

196

196

704

102

65

90

196

6

1,162



작성자

행정사무관

권 혁 신

확인자

혁신인사기획관

조 주 영

연락처

02 -  2181 -  0313

- 463 -

4. 별도정원 운영현황


(2006. 6.30.현재)

직렬별

직급별

성명

사유

기간

일반직

일반직

고위공무원

김병선

국내교육 파견

06. 2. 1. -  07. 1.31.

서기관

최경철

국내교육 파견

06. 2. 1. -  07. 1.31.

기상사무관

김병남

소방방재청 파견

05. 9.20. -  06. 9.19.

송석은

소방방재청 파견

06. 3.20. -  07. 3.19.

권오웅

국외훈련 파견

05. 8.30. -  07. 8.29.

박  훈

국내교육 파견

05. 3. 1. -  07. 2.28.

전송주사

신대윤

국외훈련 파견

06. 2.27. -  07. 2.26.

기상주사보

조갑환

남극 세종기지 파견

06. 1. 4. -  07. 2. 5.

하혜경

국외훈련 파견

05. 2.18. -  07. 7.31.

연구직

기상연구관

백희정

국외훈련 파견

06. 4.30. -  08. 4.29.

김금란

국외훈련 파견

04.10. 2. -  06. 9.25.

정관영

국외훈련 파견

05. 8. 1. -  07. 7.15.

기상연구사

차주완

국내교육 파견

06. 2.20. -  08. 2.21.

합계

13명




작성자

행정사무관

권 혁 신

확인자

혁신인사기획관

조 주 영

연락처

02 -  2181 -  0313

- 464 -

5. 부서(국‧실, 기관)별 사무분장(1997. 12. 31. 현재, 2002. 12. 31. 현재, 2006. 6. 30. 현재)



<1997년 12월 31일>


□ 기상개발관

1. 기상업무전산화 및 기상통신업무기본계획의 수립· 종합 및 조정

2. 종합기상정보망의 구성 및 조정

3. 기상업무의 자동화 추진 및 기술보급

4. 전산기상기술의 도입·개발 및 보급

5. 국내·외 기본기상자료 및 영상자료의 송·수신

6. 유·무선통신장비 및 관련전산장비의 관리·운영

7. 기상영상 및 그림자료의 분석·조합·중첩 및 생성

8. 기상정보 데이테베이스의 구축 및 장비관리

9. 영상통신망 및 처리장비의 운영·관리


□ 총무과

1. 보안

2. 관인 및 관인대장의 관수

3. 공무원의 임용·복무·교육훈련·연금 기타 인사사무

4. 문서의 분류·수발· 통제· 편찬·보존 및 관리

5. 물품의 구매 및 조달

6. 국유재산 및 물품의 관리

7. 예산의 집행 및 결산

8. 민원사무의 종합 통제

9. 청사의 유지·보수 및 운영·관리

10. 국가비상사태에 대비한 제반계획의 수립·종합 및 조정

11. 정부비상훈련·직장예비군 및 민방위대의 관리

12. 기타 청내 다른 국 및 담당관의 주관에 속하지 아니한 사항


□ 기획국

1. 기상업무에 관한 주요정책과 주요업무계획의 수립·종합 및 조정

2. 예산의 편성 및 집행의 조정

3. 주요사업의 진도파악 및 심사분석

4. 기타 국내 다른 과의 주관에 속하지 아니하는 사항

- 465 -

5. 조직 및 정원의 관리

6. 행정개선계획의 수립과 그 집행의 지도·감독

7. 자체제안제도의 운영

8. 보고통제 및 관리

9. 감사업무에 관한 사항

10. 법령안 및 훈령안의 심사와 소송 사무의 총괄 및 행정심판에 관한 사항

11. 법령의 질의·회신의 총괄 및 법규집의 편찬·발간

12. 기상장비수급계획의 수립 및 조정

13. 기상장비관리의 총괄

14. 기상기자재의 수리 및 보수

15. 공작실의 운영

16. 기상측기의 검정 및 교정

17. 기준기의 정밀도 유지 및 관리

18. 세계기상기구 기타 기상관련국제기구와의 협력

19. 기상사업에 관한 국가간 협력

20. 기상관련 국외연수 및 공무원 국외파견

21. 기상관련국제회의의 개최 및 지원


□ 예보국

1. 예보업무에 관한 기본계획의 수립·종합 및 조정

2. 예보제도의 개선 및 예보결과의 평가, 방재기상의 지원

3. 예보관련자료의 유지·관리

4. 예보장비의 수급 및 유지·관리

5. 공보업무

6. 기상예보방송의 기획 및 실시

7. 기타 국내 다른 과의 주관에 속하지 아니하는 사항

8. 수치예보업무에 관한 기본계획의 수립

9. 수치예보의 모델 개발 및 개선

10. 수치예보시스템의 운영

11. 기상자료의 객관분석기법의 개발

12. 모델출력자료의 통계기법의 개발

13. 객관예보기법의 도입 및 개선

14. 수치예보모델의 운영·분석 및 예보자료의 생산·지원

15. 전국기상의 분석총괄

16. 예보자료의 수집 및 기상도의 작성·분석

17. 지방예보자료의 생산·지원

18. 예보·특보(지진해일을 제외한다)의 생산·통보 및 사후분석

19. 예보기술의 개선 및 보급

- 466 -

□ 관측관

1. 기상관측업무에 대한 기본계획의 수립 및 조정

2. 관측의 기준설정·기술지도 및 제도개선, 위탁기상관측업무의 관리 및 지도

3. 레이더기상관측망 및 자동기상관측망의 구성 및 운영

4. 위성·레이더 및 자동기상관측의 기술지도 및 개발

5. 위성·레이더 및 자동기상관측자료의 수집·분배·보존 및 종합분석

6. 지상기상관측

7. 지진·낙뢰의 관측·분석 및 지진관측결과의 통보

8. 지진해일 특보의 생산·통보 및 사후분석

9. 관측장비의 수급 및 유지·관리


□ 응용기상국

1. 기후업무 및 해양기상관측에 관한 기본계획의 수립·종합 및 조정

2. 기후변동의 감시 및 영향조사

3. 기후변화예측기술의 개발

4. 이상기상의 조사·분석 및 관리

5. 오존층 및 대기내 주요 온실기체 상황의 조사·분석과 그 결과의 공고

6. 세계기상기구가 정하는 배경대기에 관한 사항

7. 해양기상관측망의 구성·운영 및 자료의 수집·분석

8. 해양기상관측장비의 수급 및 유지·관리

9. 해양· 수산 및 항만기상에 관한 사항

10. 기타 국내 다른 과의 주관에 속하지 아니하는 사항

11. 농업·수문 기타 산업기상 업무에 관한 기본계획의 수립

12. 농업·수문 기타 산업기상정보 개발의 지원

13. 민간예보사업에 관한 기본계획의 수립·조정

14. 민간예보사업의 허가 및 예보사업자의 관리·지원

15. 기상정보지원기관의 지정 및 관리

16. 방사능에 관한 기상업무

17. 항공 및 고층기상업무에 관한 기본계획의 수립

18. 항공 및 고층기상관측망의 구성 및 운영

19. 항공·고층기상기술 및 정보의 개발·지원

20. 산업의 항공이용에 필요한 기상지원

21. 기타 교통에 관한 기상정보의 지원

22. 기후자료의 통계 및 발간에 관한 기본계획의 수립

23. 기후자료의 통계·발행 및 행정자료실의 운영, 일조·일사량 관측자료의수집·이용

24. 기후자료의 열람·증명 및 감정

25. 기상자료의 데이터베이스 운영

- 467 -

26. 기후자료처리기법의 개선 및 지도

27. 기상자료 인쇄시설장비의 유지·관리


□ 기상연수원

1. 보안·관인관수 및 문서수발

2. 기본교육계획의 수립

3. 교육훈련수요의 조사

4. 교육기자재의 수급·관리

5. 교관 및 강사의 위촉

6. 교육훈련의 시행

7. 교재의 편찬관리

8. 교육평가·관리 및 효과분석

9. 기타 교육훈련에 관련된 사항


□ 기상연구소

1. 예보연구에 관한 사항

2. 해양기상연구에 관한 사항

3. 원격탐사연구에 관한 사항

4. 응용기상연구에 관한 사항

5. 수문기상연구에 관한 사항

6. 보안·문서관리·인사·예산회계 및 물품·국유재산관리에 관한 사항


□ 기상통신소

1. 국내의 기상실황 및 예보의 무선통신에 관한 사항


□ 지방기상청

1. 관할지역 기상예보의 종합·조정, 예보(고조를 포함한다)·특보의 생산·통보 및 사후분석·평가

2. 관할지역 기상관측 및 관측장비의 검정·운영 및 관리

3. 기후통계, 기상증명·감정·자료제공 및 기상상담

4. 지방 종합기상정보망의 운영

5. 국지기상업무 전산기법의 개발 및 운영

6. 보안·문서관리·인사·예산회계 및 물품·국유재산관리에 관한 사항



- 468 -

< 2002년 12월 31일 >


□ 정보화관리관

1. 기상업무정보화 및 기상통신업무에 관한 기본계획의 수립·종합 및 조정

2. 종합기상정보시스템의 구축·운영 및 관리

3. 기상업무의 자동화추진 및 기술보급

4. 정보화기술의 도입·개발 및 보급

5. 기상정보데이터베이스의 구축 및 분석·처리 기술개발

6. 기상정보통신에 관한 보안업무계획의 수립 및 관리

7. 국내·외 기본기상자료 및 영상자료의 수집·분배

8. 유·무선통신장비 및 관련전산장비의 관리·운영

9. 기상용 슈퍼컴퓨터시스템의 운영 및 관리


□ 총무과

1. 보안

2. 관인 및 관인대장의 관리

3. 공무원의 임용·복무·교육훈련·연금 기타 인사사무

4. 문서의 분류·수발·심사·보존 등 문서관리

5. 물품의 구매 및 조달

6. 국유재산 및 물품의 관리

7. 예산의 집행 및 결산

8. 민원사무의 종합통제

9. 청사의 유지·보수 및 운영·관리

10. 국가비상사태에 대비한 제반계획의 수립·종합 및 조정

11. 정부비상훈련·직장예비군 및 민방위대의 관리

12. 기타 청내 다른 국 및 담당관의 주관에 속하지 아니하는 사항


□ 기획국

1. 기상업무에 관한 주요정책과 장·단기 기본계획의 수립·종합 및 조정

2. 예산의 편성 및 집행의 조정

3. 기상 및 지진분야 연구개발사업의 종합계획 수립 및 조정

4. 조직 및 정원의 관리

5. 행정개선계획의 수립과 그 집행의 지도·감독

6. 자체제안제도의 운영

7. 보고심사 및 관리

8. 감사업무에 관한 사항

- 469 -

9. 주요사업의 심사평가

10. 법령안 및 훈령안의 심사와 소송사무의 총괄 및 행정심판에 관한 사항

11. 법령의 질의·회신의 총괄 및 법규집의 편찬·발간

12. 세계기상기구 기타 기상관련 국제기구와의 협력

13. 기상사업에 관한 국가간 협력

14. 기상관련 국외연수 및 공무원국외파견

15. 기상관련 국제회의의 개최 및 지원

16. 교육훈련계획의 수립 및 시행

17. 교육훈련수요의 조사

18. 교재의 편찬·관리 및 교육기자재의 수급·관리

19. 교수요원 및 강사의 위촉

20. 교육훈련과정 운영·평가관리 및 효과분석

21. 기상분야 학점인정 학습과정의 운영

22. 외국인 기상예보관 위탁교육의 운영

23. 지식관리시스템의 운영

24. 기상자료의 증명·감정·제공 및 행정자료실의 운영


□ 예보국

1. 중·단기 예보업무에 관한 기본계획의 수립·종합 및 조정

2. 중·단기 예보제도의 개선 및 예보결과의 평가

3. 방재기상의 지원

4. 기상조절의 승인 및 관리

5. 중·단기 예보관련자료의 유지·관리

6. 예보장비의 유지·관리

7. 위성·레이더·낙뢰관측업무에 대한 기본계획의 수립·종합 및 조정

8. 레이더기상 및 낙뢰관측의 기준설정 및 제도개선

9. 위성·레이더·낙뢰관측의 기술지도 및 개발

10. 레이더 및 낙뢰관측망의 구성·운영

11. 위성·레이더·낙뢰관측자료의 수집·분배·보존 및 종합분석

12. 원격탐사장비의 유지·관리

13. 수치예보업무에 관한 기본계획의 수립

14. 수치예보의 모델개발 및 개선

15. 기상자료의 객관분석기법의 개발

16. 수치예보모델 출력자료에 대한 통계기법의 개발

17. 객관예보기법의 도입 및 개선

18. 수치예보모델의 운영·분석 및 예보자료의 생산·지원

19. 기상예보방송의 기획 및 실시

- 470 -

20. 공보업무

21. 전국의 중·단기예보의 분석 총괄

22. 중·단기예보자료의 수집·분석 및 지원

23. 지방예보자료의 생산 및 지원

24. 중·단기 예보, 고조예보, 특보(지진해일을 제외한다)의 생산·통보 및 사후분석

25. 중·단기 예보기술의 개선 및 보급


□ 기후국

1. 기후업무에 관한 기본계획의 수립·종합 및 조정

2. 기후변화대책 및 영향조사에 관한 사항

3.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국가정책수립을 위한 지원에 관한 사항

4. 기후관련 연구의 기획 및 조정

5. 세계기상기구가 정하는 지구대기감시계획에 관한 기본계획의 수립 및 관측망 조정

6. 오존층 및 대기내 주요온실기체 상황의 조사·분석과 그 결과의 공고

7. 기상기술력 종합평가에 관한 사항

8. 장기예보 및 기후예측업무에 관한 기본계획의 수립

9. 장기예보 및 기후예측기술의 개발·연구계획 수립

10. 장기예보자료의 수집·분석·관리

11. 장기예보 및 기후예측모델의 도입·연구개발·운영 및 기본계획 수립

12. 장기예보·기후예측정보의 생산·관리·통보 및 지원

13. 기후변동의 감시 및 이상기후의 조사·분석

14. 엘니뇨 및 라니냐현상의 감시 및 예측

15. 기후자료업무에 관한 기본계획의 수립·종합 및 조정

16. 기후자료의 통계 및 발간

17. 기후자료의 데이터베이스 관리·운영

18. 기후자료처리기법의 개선 및 지도

19. 농업·수문 기타 산업기상업무에 관한 기본계획의 수립

20. 농업·수문 기타 산업기상정보의 개발 및 지원

21. 민간예보사업에 관한 기본계획의 수립·조정

22. 민간예보사업의 등록 및 예보사업자의 관리·지원

23. 기상정보지원기관의 지정 및 관리

24. 항공기상업무에 관한 기본계획의 수립 및 조정

25. 항공기상관측망의 구성

26. 항공기상기술의 지원 및 제도개선

27. 국제민간항공기구(ICAO)관련 항공기상에 관한 국제협력업무

28. 항공 산업에 필요한 기상지원에 관한 사항

29. 기타 교통에 관한 기상정보의 지원

- 471 -

□ 기후국 관측관리관

1. 기상관측업무에 대한 기본계획의 수립·종합 및 조정

2. 기상관측의 기준설정·기술지도 및 제도개선

3. 지상·고층·해양기상관측 및 자동기상관측망의 구성·운영

4. 지상·고층·해양기상관측 및 자동기상관측에 대한 기술지도·개발

5. 지상·고층·해양기상관측 및 자동기상관측에 대한 자료수집·분배·총괄

6. 유관기관의 기상관측 및 위탁기상관측업무의 관리·지도

7. 방사능에 관한 기상지원관련 업무

8. 기상장비수급계획의 수립 및 조정

9. 기상장비의 수급총괄 및 관리

10. 기상기자재의 수리 및 보수

11. 공작실의 운영

12. 기상측기의 검정 및 교정

13. 기준기의 정밀도 유지 및 관리

14. 지진 및 지진해일업무에 대한 기본계획의 수립

15. 지진 및 지진해일에 관한 기준설정·기술지도 및 기술개발

16. 지진관측망의 구성 및 운영

17. 지진의 관측·분석 및 지진관측결과의 통보

18. 지진해일특보의 생산·통보 및 사후분석

19. 지진자료의 수집·분석 및 보관·관리

20. 지진장비의 유지·관리


□ 기상연구소

1. 대기의 종관적·역학적 구조에 관한 연구

2. 기상예보 및 기후에 관한 연구

3. 대기·해양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4. 위성·레이더기상 및 고층대기에 관한 연구

5. 산업 및 생활기상에 관한 연구

6. 환경기상 및 미기상에 관한 연구

7. 물리기상 및 기상조절에 관한 연구

8. 해양기상·지진·지진해일 및 극기상에 관한 연구

9. 기상 및 지진에 관한 연구계획의 수립·조정 및 연구관리

10. 보안·문서관리·인사·예산회계 및 물품·국유재산관리에 관한 사항


□ 항공기상대

1. 항공기의 안전과 경제적 운항을 위한 기상정보의 수집·생산·제공


- 472 -

□ 기상통신소

1. 국내의 기상실황 및 예보의 무선통신에 관한 사항


□ 지방기상청

1. 관할지역 기상예보의 종합·조정, 예보(고조를 포함한다)·특보의 생산·통보 및 사후분석·평가

2. 관할지역 기상관측 및 관측장비의 검정·운영 및 관리

3. 기후통계, 기상증명·감정·자료제공 및 기상상담

4. 지방 종합기상정보망의 운영

5. 국지기상업무 전산기법의 개발 및 운영

6. 보안·문서관리·인사·예산회계 및 물품·국유재산관리에 관한 사항



< 2006년 6월 30일 >


□ 정책홍보관리관

1. 업무처리절차의 개선, 조직문화의 혁신 등 행정혁신업무의 총괄·지원

2. 공무원의 임용·복무·교육훈련 그 밖의 인사사무

3. 조직진단 및 평가를 통한 조직과 정원의 관리

4. 행정제도개선계획의 수립·시행

5. 민원(국민제안을 포함한다)과 관련된 제도의 개선

6. 주요사업의 진도파악 및 그 결과의 평가

7. 감사업무에 관한 사항

8. 기상업무에 관한 주요정책과 장·단기 기본계획의 수립·종합 및 조정

9. 예산의 편성 및 집행의 조정

10. 기상 및 지진분야 연구개발사업의 종합계획 수립 및 조정

11. 공보업무

12. 기상업무와 관련된 상황관리 및 홍보계획·전략의 협의·지원

13. 세계기상기구 등 기상관련 국제기구와의 협력

14. 기상사업에 관한 국가간 협력

15. 기상과 관련된 국외연수 및 공무원의 국외파견

16. 기상과 관련된 국제회의의 개최 및 지원


□ 정보화관리관

1. 기상업무정보화 및 기상통신업무에 관한 기본계획의 수립·종합 및 조정

2. 종합기상정보시스템의 구축·운영 및 관리

- 473 -

3. 기상업무의 자동화추진 및 기술보급

4. 정보화기술의 도입·개발 및 보급

5. 기상정보데이터베이스의 구축 및 분석·처리 기술개발

6. 기상정보통신에 관한 보안업무계획의 수립 및 관리

7. 국내·외 기본기상자료 및 영상자료의 수집·분배

8. 유·무선통신장비 및 관련전산장비의 관리·운영

9. 기상용 슈퍼컴퓨터시스템의 운영 및 관리


□ 기상교육담당관

1. 교육훈련계획의 수립·시행

2. 교육훈련수요의 조사

3. 교재의 편찬·관리 및 교육기자재의 수급·관리

4. 교수요원 및 강사의 위촉

5. 교육훈련과정의 운영·평가관리 및 효과분석

6. 기상분야 학점인정 학습과정의 운영

7. 외국인 기상예보관 위탁교육의 운영

8. 지식관리시스템의 운영

9. 자체제안제도의 운영

10. 행정자료실의 운영


□ 총무과

1. 보안

2. 관인 및 관인대장의 관리

3. 소속공무원의 연금·급여 및 복리후생

4. 문서의 분류·수발·심사·보존 등 문서관리

5. 물품의 구매 및 조달

6. 국유재산 및 물품의 관리

7. 예산의 집행 및 결산

8. 기상자료의 증명·감정·제공 및 민원사무의 종합통제

9. 청사의 유지·보수 및 운영·관리

10. 국가비상사태에 대비한 제반계획의 수립·종합 및 조정

11. 정부비상훈련·직장예비군 및 민방위대의 관리

12. 기타 청내 다른 국 및 담당관의 주관에 속하지 아니하는 사항

13. 보고심사 및 관리

14. 법령안 및 훈령안의 심사와 소송사무의 총괄 및 행정심판에 관한 사항

15. 법령의 질의·회신의 총괄 및 법규집의 편찬·발간


- 474 -

□ 예보국

1. 중·단기예보업무에 관한 기본계획의 수립·종합 및 조정

2. 중·단기예보제도의 개선 및 예보결과의 평가

3. 방재기상의 지원

4. 기상조절의 승인 및 관리, 수문기상 기본계획의 수립 및 수문기상정보의 개발·지원

5. 중·단기 예보관련자료의 유지·관리

6. 예보장비의 유지·관리

7. 위성에 대한 기본계획의 수립·종합 및 조정

8. 위성관측의 기준설정 및 제도개선

9. 위성관측의 기술지도 및 개발

10. 위성관측망의 구성·운영

11. 위성관측자료의 수집·분배·보존 및 종합 분석

12. 위성장비의 유지·관리

13. 수치예보업무에 관한 기본계획의 수립

14. 수치예보의 모델개발 및 개선

15. 기상자료의 객관분석기법의 개발

16. 수치예보모델 출력자료에 대한 통계기법의 개발

17. 객관예보기법의 도입 및 개선

18. 수치예보모델의 운영·분석 및 예보자료의 생산·지원

19. 기상예보방송의 기획 및 실시

20. 전국의 중·단기예보의 분석 총괄

21. 중·단기예보자료의 수집·분석 및 지원

22. 지방예보자료의 생산 및 지원

23. 중·단기예보, 고조예보, 특보(지진해일을 제외한다)의 생산·통보 및 사후분석

24. 중·단기예보기술의 개선 및 보급


□ 관측국

1. 기상관측업무에 대한 기본계획의 수립·종합 및 조정

2. 기상관측의 기준설정·기술지도 및 제도개선

3. 지상·고층·해양·레이더·황사 기상관측 및 자동기상관측망의 구성·운영

4. 지상·고층·해양·레이더·황사 기상관측 및 자동기상관측에 대한 기술지도·개발

5. 지상·고층·해양·레이더·황사 기상관측 및 자동기상관측에 대한 자료수집·분배·총괄

6. 유관기관의 기상관측 및 위탁기상관측업무의 관리·지도

7. 방사능에 관한 기상지원 관련 업무

8. 기상장비수급계획의 수립·조정

9. 기상장비의 수급 총괄 및 관리

10. 기상장비의 수리·보수

- 475 -

11. 기상측기의 검정

12. 기준기의 정밀도 유지·관리

13. 지진 및 지진해일 업무에 대한 정책 및 기본계획의 수립

14. 지진 및 지진해일에 관한 기준설정·기술지도 및 기술개발

15. 지진관측망의 구성·운영

16. 지진의 관측·분석 및 지진관측결과의 통보

17. 지진해일특보의 생산·통보 및 사후분석

18. 지진자료의 수집·분석 및 보관·관리

19. 지진장비의 유지·관리


□ 기후국

1. 기후업무에 관한 기본계획의 수립·종합 및 조정

2. 기후변화대책 및 영향조사에 관한 사항

3.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국가정책수립을 위한 지원에 관한 사항

4. 기후관련 연구의 기획 및 조정

5. 세계기상기구가 정하는 지구대기감시계획에 관한 기본계획의 수립 및 관측망 조정

6. 오존층 및 대기내 주요온실기체 상황의 조사·분석과 그 결과의 공고

7. 장기예보 및 기후예측업무에 관한 기본계획의 수립

8. 장기예보 및 기후예측기술의 개발·연구계획 수립

9. 장기예보자료의 수집·분석·관리

10. 장기예보 및 기후예측모델의 도입·연구개발·운영 및 기본계획 수립

11. 장기예보·기후예측정보의 생산·관리·통보 및 지원

12. 기후변동의 감시 및 이상기후의 조사·분석

13. 엘니뇨 및 라니냐현상의 감시 및 예측

14. 기후자료업무에 관한 기본계획의 수립·종합 및 조정

15. 기후자료의 통계 및 발간

16. 기후자료의 데이터베이스 관리·운영

17. 기후자료처리기법의 개선 및 지도

18. 산업기상 업무에 관한 기본계획의 수립

19. 산업기상정보의 개발 지원

20. 민간예보사업에 관한 기본계획의 수립·조정

21. 민간예보사업의 등록 및 예보사업자의 관리·지원

22. 기상정보지원기관의 지정 및 관리

23. 항공기상업무에 관한 기본계획의 수립 및 조정

24. 항공기상관측망의 구성

25. 항공기상기술의 지원 및 제도개선

26. 국제민간항공기구(ICAO)관련 항공기상에 관한 국제협력업무

- 476 -

27. 항공산업에 필요한 기상지원에 관한 사항

28. 기타 교통에 관한 기상정보의 지원


□ 기상연구소

1. 대기의 종관적·역학적 구조에 관한 연구

2. 기상예보 및 기후에 관한 연구

3. 대기·해양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4. 위성·레이더기상 및 고층대기에 관한 연구

5. 산업 및 생활기상에 관한 연구

6. 환경기상 및 미기상에 관한 연구

7. 물리기상 및 기상조절에 관한 연구

8. 해양기상·지진·지진해일 및 극기상에 관한 연구

9. 기상 및 지진에 관한 연구계획의 수립·조정 및 연구관리

10. 보안·문서관리·인사·예산회계 및 물품·국유재산관리에 관한 사항


□ 항공기상대

1. 항공기상대는 항공기의 안전과 경제적 운항을 위한 기상정보의 수집·생산·제공


□ 기상통신소

1. 국내의 기상실황 및 예보의 무선통신에 관한 사항


□ 지방기상청

1. 관할지역 기상예보의 종합·조정, 예보(고조를 포함한다)·특보의 생산·통보 및 사후분석·평가

2. 관할지역 기상관측 및 관측장비의 검정·운영 및 관리

3. 기후통계, 기상증명·감정·자료제공 및 기상상담

4. 지방 종합기상정보망의 운영

5. 국지기상업무 전산기법의 개발 및 운영

6. 보안·문서관리·인사·예산회계 및 물품·국유재산관리에 관한 사항




작성자

기상사무관

정 종 운

확인자

혁신인사기획관

조 주 영

연락처

02 -  2181 -  0306

- 477 -

6. 예산총괄표(1997.12.31 현재, 2002.12.31현재, 2006.6.30 현재)


(백만원)

구      분

1997년

2002년

2006.6.30현재

총   계 

57,615

92,212

153,369

【일반회계 】

50,054

87,527

153,369

o 인 건 비

22,783

32,846

51,973

o 기본사업비

9,727

11,910

15,864

o 주요사업비

17,544

42,771

85,532

【책임운영기관특별회계】

-

4,685

-

o 인 건 비

2,825

o 기본사업비

829

o 주요사업비

1,031

【국유재산관리특별회계】

7,561

-

-

o 주요사업비

7,561



작성자

기상사무관

권태순

확인자

재정기획관

최치영

연락처

02 -  2181 -  0323


7. 대차대조표(1997. 12. 31 현재, 2002. 12. 31 현재, 2006. 6. 30 현재)

“ 해당사항 없음 ”


8. 손익계산서(1997. 12. 31 현재, 2002. 12. 31 현재, 2006. 6. 30 현재)

“ 해당사항 없음 ”

- 478 -

9. 건당 5천만원이상 구매현황(2005년도, 2006년 상반기)


품   명

용         도

취득일

취득금액

(천원)

설치장소

교환기

기상정보통신망 운영

2005.10.31

309,410

정보통신담당관

네트워크그래픽

제어장치

기상정보통신망 운영

2005.10.31

136,557

정보통신담당관

동보장치

지진통보용

2005.06.30

71,200

지진감시과

디스크어레이

그룹웨어 데이터 저장

2005.07.15

62,670

정보통신담당관

라우터

기상정보통신망 지원

2005.10.31

342,119

2005.10.31

342,119

영상회의시스템

예보관 예보협의 및

해양기상감시시스템

2005.10.31

50,095

정보통신담당관

중형컴퓨터

지식정보통합검색용

2005.06.10

92,781

슈퍼컴센터

2005.06.10

53,900

해양기상관측 자료수집 및 분배시스템

2005.12.28

51,930

고층해양기상팀

해상기상관측장비

해양의 기상요소 자동관측

2005.12.30

77,806

고층해양기상팀

소형컴퓨터

자료 처리용

2005.02.05.

50,000 

기상연구소

디스크어레이

자료 저장장치

2005.02.05.

67,228 

기상연구소

라디오존데기구

고층기상관측장치

2005.10.05.

106,700 

기상연구소

소형컴퓨터

자료 처리용

2005.10.05.

187,977 

기상연구소

소형컴퓨터

자료 처리용

2005.05.02.

192,122 

기상연구소

클러스터(중형컴퓨터)

자료 처리용

2006.06.28.

165,500

기상연구소

라디오존데 기구

고층기상관측장치

2006.06.17.

59,700

기상연구소

라우터

기상정보통신망 지원

2005.10.31

215,864

부산(청) 기후정보과

파고계

파고관측용

2005.11.07

61,166

부산(청) 해양기상과

신호발생기

윈드프로파일러 유지 점검용

2005.12.16

60,410

부산(청) 마산(기)

윈드프로파일러

연직대기의 상층기상요소 관측

2005.12.16

755,281

부산(청) 마산(기)

기상레이더

강수현상의 변화, 이동 감시

2005.12.13

2,707,040

부산(청)

구덕산레이더(관)

라우터

기상정보통신망 지원

2005.10.31

215,864

광주(청) 기후정보과

해상기상관측장비

해양의 기상요소 자동관측

2005.12.07

117,853

광주(청) 여수(기)

기상관측부이

해상의 기상요소 자동 관측

2005.12.28

377,039

광주(청) 목포(기)- 칠발도

라우터

기상정보통신망 지원

2005.10.31

215,864

대전(청) 기후정보과

기상관측부이

해상의 기상요소 자동 관측

2005.12.28

377,039

대전(청)

인천(기)- 덕적도

기상레이더

강수현상의 변화, 이동 감시

2005.12.13

2,707,040

대전(청)

관악산레이더(관)

지진계

지진관측(단주기)

2005.11.03

52,802

대전(청) 청주(기) 보은(관)

라우터

기상정보통신망 지원

2005.10.31

215,864

강원(청) 기후정보과

세계공역예보시스템 수신기

세계공역자료수신

2005.09.08

63,400

항공(기) 정보지원과

저층난류경보장비

공항부근의 저층난류 측정(BEAM TYPE)

2005.11.08

1,206,896

항공(기) 울산공항(관)

항공기상관측장비

(AMOS)

공항의 기상요소 자동관측

2005.11.08

251,596

항공(기) 울산공항(관)

2005.02.05

372,716

항공(기) 여수공항(관)




- 479 -

10. 재산현황



<토지 및 건물>

□ 별도자료 제출 (파일 10_가_나_토지건물현황)


<기기 및 비품>

□ 일반물품

품   명

용         도

취득일

취득금액(천원)

비고

대형승합차

차량업무용

2001. 2.28

82,234

총무과

음향분석기

국제회의실 운영용

2002.10.30

57,867 

총무과

기상현상 모의장치

기상재해 체험장치

2005. 1.18

53,913 

부산(청)


□ 기상기자재 현황(본청 및 소속기관 : 기상연구소 제외)

◦ 기상청에서 보유하고 있는 단가 5천만원 이상의 기상장비현황은 51종 253점임.

품   명

용         도

취득일

취득금액(천원)

비고

가스발생기

고층기상관측장비 운영

1999.11.08

88,218

2000.11.08

83,097

게이트웨이

기상정보통신망 운영

2003.10.21

73,407

리스

2003.10.21

73,407

고층기상관측장비

고도별 상층의 기상요소 관측

2003.04.17

81,076

1999.12.08

82,316

1998.02.27

84,538

1997.10.30

84,538

2001.05.18

51,065

공항기상레이더

(TDWR)

공항내의 강수현상, 이동 감시

2001.07.13

7,026,242

광디스크어레이

그룹웨어서버 운영

2001.12.27

52,331

교환기

기상정보통신망 운영

2005.10.31

309,410

리스

기상관측부이

해상의 기상요소 자동 관측

1997.04.04

167,198

2005.12.28

377,039

1997.11.17

129,332

2005.12.28

377,039

1998.06.30

314,999

2001.08.01

514,219

기상레이더

강수현상의 변화, 이동 감시

1990.12.22

282,972

1991.06.26

275,853

2003.12.08

3,745,199

리스

2004.12.15

1,909,433

2000.07.27

3,294,174

2001.08.14

2,328,344

2005.12.13

2,707,040

2005.12.13

2,707,040

기상위성수신장비

정지 기상위성자료 수신‧분석

(MESDAS- Ⅱ)

1998.11.26

2,789,922

정지 기상위성자료 수신‧분석

(METEOSAT- 5)

2001.12.24

98,030

극궤도 위성자료 수신‧분석

(MODIS)

2001.01.26

538,168

기상측기검정차량

기상측기 현지 검정

2002.10.23

110,200

기압검정장비

기압계 검정

1998.12.28

71,060

낙뢰분석기

낙뢰현상 관측‧분석

2001.10.22

339,883

리스

네트워크그래픽

제어장치

기상정보통신망 운영

2005.10.31

136,557

동보장치

예보동시전송

1999.10.30

119,598

지진통보용

2005.06.30

71,200

디스크어레이

종합정보시스템 운영

2000.12.13

160,695

2000.12.13

930,000

기상정보자료보관

2002.01.28

395,618

2002.12.23

423,798

기상정보시스템 운영

2003.12.22

226,000

국지수치예보용

2000.09.28

64,350

AQUA위성자료저장

2001.12.12

151,238

위성영상자료저장

2004.11.17

70,796

지진자료저장용

2004.12.03

81,000

그룹웨어 데이터 저장

2005.07.15

62,670

라우터

기상정보통신망 지원

2000.06.08

73,446

2000.06.08

73,446

수퍼컴 2호기 통신 지원

2004.11.30

81,420

다중영상통신시스템 지원

2000.11.21

71,166

영상회의시스템 운영

(37개 기상대)

2001.11.22

60,211

리스

2001.11.22

60,211

2001.11.22

60,211

2001.11.22

60,211

2001.11.22

60,211

2001.11.22

94,337

기상정보통신망 지원

2003.10.21

85,159

2003.10.21

85,159

2005.10.31

342,119

2005.10.31

342,119

2005.10.31

215,864

2005.10.31

215,864

2005.10.31

215,864

2005.10.31

215,864

랜 스위치

슈퍼컴 2호기 통신 지원

2004.11.30

61,777

기상정보통신망 지원

2003.10.21

312,825

리스

2003.10.21

312,825

레이드 저장장치

기후자료처리 저장 지원

2004.07.21

79,867

무선통신장치

영역기상방송시스템용

1996.12.12

89,577

1996.12.12

89,577

무선통신장치

영역기상방송시스템용

1996.12.12

89,577

1996.12.12

89,577

2002.01.24

80,893

리스

2002.01.24

80,893

2002.01.24

80,893

2002.01.24

80,893

2002.01.24

80,893

2002.01.24

80,893

2002.01.24

80,893

무정전전원장치

서버정비의 비상전원공급

1999.09.17

161,653

1999.09.17

161,653

부가가치통신망

본청간 초고속정보통신망 운영

1999.11.10

180,708

1999.11.10

180,708

2000.05.31

167,258

1999.11.10

180,708

1999.11.10

180,708

1998.12.22

88,218

1999.11.10

452,152

본청간 초고속정보통신망 운영

(WAN 스위치, 37개 기상대)

2001.11.22

84,943

리스

2001.11.22

100,666

2001.11.22

84,943

2001.11.22

84,943

2001.11.22

84,943

2001.11.22

84,943

2001.11.22

84,943

2001.11.22

84,943

2001.11.22

83,709

2001.11.22

70,713

2001.11.22

84,943

2001.11.22

84,943

2001.11.22

83,709

2001.11.22

84,943

2001.11.22

84,943

2001.11.22

84,943

2001.11.22

84,943

2001.11.22

84,943

2001.11.22

84,943

2001.11.22

70,713

2001.11.22

84,943

부가가치통신망

본청간 초고속정보통신망 운영

(WAN 스위치, 37개 기상대)

2001.11.22

84,943

2001.11.22

84,943

2001.11.22

84,943

2001.11.22

84,943

2001.11.22

84,943

2001.11.22

84,943

2001.11.22

84,943

2001.11.22

84,943

2001.11.22

84,943

2001.11.22

84,943

2001.11.22

100,666

2001.11.22

84,943

2001.11.22

84,943

2001.11.22

84,943

2001.11.22

84,943

2001.11.22

86,437

세계공역예보시스템 수신기

세계공역자료수신

2005.09.08

63,400

세계공역예보시스템(WAFS)

세계공역예보처리

(워싱턴 자료)

1996.12.03

73,418

세계공역예보처리(런던 자료)

2001.12.27

112,003

소형컴퓨터

수원 농업기상정보분석용

2001.08.01

66,000

기상레이더 자료 분석

1998.02.13

234,153

2000.12.26

110,933

1998.02.13

233,841

2000.12.14

110,933

신전자문서시스템 DB서버

2003.11.27

56,782

2003.11.27

56,782

국지수치예보지원시스템

2000.09.28

164,961

2000.09.28

55,028

기상영상합성용 시스템

1997.12.29

52,717

해양및기후감시자료처리시스템

2000.10.19

176,845

2000.10.19

163,360

종합기상정보통신 지원

2000.11.14

61,516

2000.11.14

61,516

1999.09.17

74,455

1999.09.17

345,447

2002.07.30

95,607

리스

2002.07.30

200,052

2002.07.30

200,052

소형컴퓨터

종합기상정보통신 지원

2003.10.21

62,765

2003.10.21

59,400

슈퍼컴퓨터

국내의 기상자료 모델링 등 수집‧분석

2004.12.08

27,634,079

스펙트럼분석기

기상레이더 유지점검용

2004.10.07

51,550

신호발생기

윈드프로파일러 유지 점검용

2005.12.16

60,410

신호제어기

영상회의시스템 운영

2000.11.21

50,965

안테나

영역기상방송용

2002.01.24

286,540

리스

2002.01.24

293,728

영상회의시스템

예보관 예보협의 및

해양기상감시시스템

1997.11.24

82,257

1997.11.24

82,455

1997.11.24

82,455

1997.11.24

82,257

1997.11.24

82,455

1997.11.24

378,121

2002.12.23

478,613

리스

2005.10.31

50,095

오존분광광도계

대기 중 오존량 관측

1994.03.25

103,014

1999.12.31

162,060

오존분석기

상층의 오존량 관측

1995.06.01

57,030

운고계

공항내 운고 측정

2003.12.29

54,754

윈드프로파일러

연직대기의 상층기상요소 관측

2003.12.26

468,025

2005.12.16

755,281

2003.12.26

479,500

자동기상관측장비

기상관측선 탑재

2001.12.18

59,980

지상관측

1997.08.08

53,946

저층난류경보장비

공항부근의 저층난류 측정

(BEAM TYPE)

2005.11.08

1,206,896

공항부근의 저층난류 측정

(3차선 풍속)

2001.07.13

1,005,877

2001.05.02

1,347,247

2003.12.11

1,054,516

종관기상관측장비

기상관서 자동기상 관측

1997.08.25

53,946

1997.05.13

53,945

기상관서 자동기상 관측

1997.05.13

53,945

1997.05.13

53,762

1997.05.13

53,946

1996.01.31

55,583

중형컴퓨터

해양기상센터 서버용

2004.09.08

61,556

국지수치예보용

2003.09.05

62,765

항공기상정보통합DB용

2003.10.27

57,744

인트라넷 자료처리 지원

2000.05.31

112,187

전자결재 서버용

2002.01.22

154,255

가상사설망(VPN)통신용

2003.12.12

84,060

수치예보자료처리시스템

2004.07.31

71,558

국가지진정보시스템용

2002.11.26

253,409

윈드프로파일러 자료서버

2003.12.26

148,000

종합정보시스템용

2000.12.13

130,500

2000.12.13

456,907

2000.12.13

456,907

지식정보통합검색용

2005.06.10

92,781

2005.06.10

53,900

해양기상관측 자료수집 및 분배시스템

2005.12.28

51,930

산업기상허브

(산업기상계산서버용)

2003.11.25

200,974

리스

산업기상허브

(산업기상 DB/WEB서버용)

2003.11.25

99,000

기상정보통신망용

2003.10.21

135,125

지진감시 시스템

1999.12.14

403,432

지진계

지진관측(초광대역)

1999.04.15

236,720

2003.12.13

58,107

지진관측(광대역)

1999.12.14

77,474

1999.01.29

83,669

1999.01.29

83,669

1999.12.14

77,587

1999.01.29

83,668

지진관측(단주기)

1999.12.27

60,838

1999.12.14

60,838

1999.12.14

60,838

2002.11.06

56,557

2002.11.06

51,876

2003.12.13

58,107

2005.11.03

52,802

지진관측(단주기)

1999.01.29

83,668

1999.12.14

77,474

2001.12.06

67,550

2001.12.06

55,236

1999.12.14

60,838

지진계

지진관측(가속도계)

1999.01.29

77,729

1999.01.29

77,729

콘솔

기상정보통신망 지원

2003.10.21

106,659

태양광발전장치

서해종합해양기상관측기지 전원공급

2004.12.24

406,525

테이프백업장치

지진자료백업저장

2003.10.29

153,300

파고계

파고관측용

2005.11.07

61,166

〃   (해일파고계)

1999.12.14

54,009

파고계(레이더식)

제주도 해상기상관측

2001.10.12

118,133

서해종합해양기상관측기지 파고 관측(격렬비도)

2004.12.21

365,473

풍향 풍속계

공항내 바람자료 수집

2000.08.09

62,500

하드디스크드라이브

기상정보시스템 통합DB용

2004.11.23

134,750

2004.09.08

262,000

슈퍼컴퓨터용

2003.12.11

50,000

항공기상관측장비

(AMOS)

공항의 기상요소 자동관측

2001.07.13

2,007,975

1999.01.12

933,663

2001.05.10

631,572

2005.11.08

251,596

1996.02.27

146,434

2005.02.05

372,716

2001.12.20

362,850

항공기상종합처리장치

(IWHU)

항공기상관측자료 종합처리 시스템

2001.07.13

1,078,697

해상기상관측장비

해양의 기상요소 자동관측

2003.10.04

55,355

2003.10.04

59,468

2005.12.07

117,853

2003.10.04

55,355

2001.12.19

51,585

2001.12.19

51,585

1997.05.02

98,760

2005.12.30

77,806

2004.12.21

119,923

황사관측장비

대기중 부유분진 측정(PM10)

2003.04.16

187,724

황사라이더

(DPL 2030)

황사 연직 분포 측정 

2003.12.24

132,948

강화 황사 관측용

2003.12.24

132,948

백령도 황사 관측용

2004.12.29

146,873


작성자

기술서기관

박병권

확인자

측기관리과장

김진국

연락처

02 -  2181 -  0713

- 480 -

□ 기상연구소

품   명

용         도

취득일

취득금액(천원)

비고

태양복사열지표측정기

복사계

1996.11.30

124,343 

기상레이더

기상레이더

1997.12.22

2,644,886 

기체크로마토그래프

온실가스 측정

1997.11.04

81,641

라디오존데기구

고층기상관측장치

1997.01.20

128,497 

태양복사열지표측정기

복사계

1998.12.29

63,9470 

미립자계수기

미세입자수 농도 측정기

1998.12.29

60,400

불투명도,분진또는가시도센서

대기 중 입자에 의한 광 흡수도 측정

1998.06.30

93,908

태양복사열지표측정기

태양복사측정기

1998.03.25

106,392 

액체크로마토그래프

산성강하물 중 수용성이온성분 분석 

1998.06.30

120,144 

단일가스검출기

탄소산화물(CO) 가스분석기

1998.06.30

128,216

태양복사열지표측정기

태양복사측정기

2000.12.29

93,195 

기상레이더

대기 연직광소산계수 관측

2000.11.04

125,042 

기상레이더

대기 연직 오존농도 관측

2001.12.27

372,755 

시정계

시정 관측

2001.08.07

50,700 

단일가스검출기

탄소산화물(CO) 가스 분석기

2001.12.28

53,900 

라디오존데기구

상층 기상 요소 관측

2001.01.13

58,262 

랜스위치

랜 스위치

2001.11.09

59,998

라디오존데기구

상층 기상 요소 관측

2001.12.12

63,064 

라디오존데기구

고층기상관측장치

2003.02.25

711,401

불투명도,분진또는가시도센서

입자수 농도 관측장비

2004.01.01

85,110 

소형컴퓨터

자료 처리용

2004.12.04

150,000 

소형컴퓨터

자료 처리용

2005.02.05

50,000 

라디오존데기구

고층기상관측장치

2005.10.05

106,700 

소형컴퓨터

자료 처리용

2005.10.05

187,977 

디스크어레이

자료 저장장치

2005.02.05

67,228 

소형컴퓨터

자료 처리용

2005.05.02

192,122 

클러스터(중형컴퓨터)

자료 처리용

2006.06.28

165,500

라디오존데 기구

고층기상관측장치

2006.06.17

59,700



작성자

행정주사보

안양근

확인자

연구기획관리과장

최웅렬

연락처

02 -  849 -  0666

- 481 -

<자동차류>

기관명

차종

용도

구입일자

취득금액

(천원)

비고

본 청

승용전용

전용승용

2005.01.19

42,820

본 청

승용

업무용

1999.04.06

11,080

본 청

승용

업무용

2001.02.05

10,230

본 청

승합용

업무용

2001.01.30

15,090

본 청

승합용

업무용

2001.03.21

82,240

본 청

화물용

업무용

1997.03.31

7,550

본 청

승용

업무용

2006.01.24

20,860

본 청

승합

기상측기검정

2002.10.28

110,200

김포통신소

승용

업무용

2006.03.09

16,570

기상연구소

승용

업무용

2002.10.22

17,670

기상연구소

승합

업무용

1999.03.26

18,130

기상연구소

화물용

업무용

2005.03.31

15,910

부산지방기상청

승용

업무용

1999.06.04

9,370

부산지방기상청

승합

업무용

1998.09.07

10,400

구덕산(레)

승용

업무용

2005.03.15

20,060

대구기상대

승합

업무용

2003.03.27

14,720

포항기상대

승용

업무용

2005.04.08

15,960

안동기상대

승용

업무용

2006.04.07

18,510

울진기상대

승합

업무용

2003.03.24

14,720

상주기상대

승용

업무용

2005.04.08

15,960

마산기상대

승합

업무용

2004.07.30

16,290

울산기상대

승합

업무용

2004.07.30

16,290

진주기상대

승합

업무용

2000.07.04

12,820

통영기상대

승합

업무용

2002.01.03

13,890

면봉산(레)

승용

업무용

2006.04.07

21,730

광주청

승용

업무용

2006.04.18

20,860

광주청

승합

업무용

2004.04.19

17,260

전주기상대

승합

업무용

1999.03.25

12,010

군산기상대

승합

업무용

1999.03.26

12,010

오성산(레)

승용

업무용

2002.07.24

17,280

목포기상대

승합

업무용

1999.03.25

12,010

여수기상대

승합

업무용

2000.03.27

12,560

완도기상대

승용

업무용

2001.03.29

14,740

흑산도기상대

승용

업무용

2006.04.14

21,320

진도기상대

승용

업무용

2001.12.21

18,070

대전청

승용

업무용

2001.04.20

9,360

대전청

승용

업무용

2001.04.20

13,810

관악산(레)

승용

업무용

2005.03.30

17,120

인천기상대

승용

업무용

2006.03.31

17,240

수원기상대

승용

업무용

2005.04.06

17,120

청주기상대

승용

업무용

2005.04.06

17,120

서산기상대

승합

업무용

2000.05.18

10,640

동두천기상대

승용

업무용

2006.03.31

17,240

백령도기상대

승합

업무용

2000.02.21

12,390

충주기상대

승용

업무용

2002.07.04

14,120

추풍령기상대

승용

업무용

2002.07.05

14,120

문산기상대

승용

업무용

2003.04.09

14,490

강원청

승용

업무용

2006.01.18

22,290

강원청

승용

업무용

2004.05.20

20,060

춘천기상대

승용

업무용

2004.05.20

20,060

속초기상대

승용

업무용

2004.05.20

20,060

철원기상대

승용

업무용

2004.05.20

19,300

동해기상대

승용

업무용

2006.01.18

19,400

원주기상대

승용

업무용

2003.04.11

16,120

대관령기상대

승용

업무용

2002.07.09

15,210

영월기상대

승용

업무용

2005.04.13

20,060

을릉도기상대

승용

업무용

2005.04.16

20,030

광덕산(레)

승용

업무용

2003.12.12

18,420

제주청

승용

업무용

2000.03.13

9,360

제주청

승합

업무용

2003.04.04

13,810

성산포관측소

승합

업무용

2005.09.12

13,820

고산기상대

승합

업무용

2005.02.28

14,980

서귀포기상대

승합

업무용

2000.03.24

10,120

항공기상대

승합

업무용

2000.08.23

13,730

항공기상대

승용

업무용

2001.03.05

11,410

김포공항기상대

승용

업무용

2001.03.02

11,410

제주공항기상대

승용

업무용

2003.07.07

15,540

양양공항기상대

승용

업무용

2002.12.09

15,230

울산공항기상대

승합

업무용

2006.01.20

17,420



※  차량용도(업무용) : 장비수리 및 검정 등





작성자

기상사무관

권태순

확인자

재정기획관

최치영

연락처

02 -  2181 -  0323

- 482 -

11. 피고소‧고발 현황(2005년도‧2006년 상반기, 피고소‧
고발년월일‧건명‧개요‧원고 인적사항)


<2005년~2006년 상반기 소송현황>

□ 춘천기상대 부지 소유권보존등기 말소 등

◦ 사건 : 서울중앙지법 제34민사 2005가합3224 소유권보존등기말소 등

◦ 개요 : 춘천기상대 부지 일부가 원고의 조부에게 상속받은 토지임을 주장하며 국가로 이전등기된 부지의 소유권 말소 청구

◦ 소 제기일 : 2005.1.12.

◦ 원고 : 조상연

◦ 피고 : 대한민국(기상청 및 강원도)

◦ 판결 : 기각


□ 헌법소원심판청구사건

◦ 사건 : 2005헌사 효력정지 등 가처분 신청

◦ 본안사건 : 2005헌라 국회의원과 국회의장간의 권한쟁의

◦ 개요 : 정부조직법 일부개정 법률의 효력정지 및 재정경제부 등 4개부처 차관·통계청장·기상청장·방위사업청 준비단장의 임명행위 효력정지와 직무 집행정지 가처분 신청

◦ 신청일 : 2005.7.28.

◦ 신청인 : 장윤석 외 20인, 대리인 변호사 박준선 외 2인

◦ 피신청인 : 대한민국 정부 외 12

◦ 결정 : 기각


작성자

서기관

정건교

확인자

총무과장

김인태

연락처

02 -  2181 -  0239




- 483 -

12. 피진정 현황(2005년도‧2006년 상반기, 피진정년월일‧건명‧
개요‧진정인 인적사항)


“ 해당 사항 없음 ”


13. 2005년도, 2006년 상반기 감사원, 상급기관, 자체감사결과 조치요구문서 사본

“ 별도 제출 ”

14. 사업실적보고서(2005년도, 2006년 상반기)

15. 상급기관으로부터 받은 업무평가결과보고서, 자체 심사분석 결과보고서(2005년도, 2006년 상반기)

“ 별도 제출 ”

16. 2005년도 공인회계사, 자체 감사결과 보고서

“ 별도 제출 ”

17. 출판물 목록(2005년도, 2006년 상반기)



<2005년>

발간부서

(기관)

책  명

주  요  내  용

정책홍보

관리관실

기상업무혁신매뉴얼

◦기상업무혁신 추진계획

— 부서평가 및 소속기관평가 운영계획

— 성과관리체계 구축

WAKE UP!

혁신의 태풍이 분다.

◦2005년도 기상업무혁신 우수사례 모음집

— 기상예보, 다양해졌어요!

— 언제! 어디서나 함께하는 기상정보

— 기상업무 이렇게 혁신했습니다! 등

기상청 책임운영 기관화 타당성에 

대한 연구

◦기상청과 그 소속기관을 대상으로 한 책임운영기관화 연구

— 정성분석, 호용성 분석, 민감도 분석

— 소속기관 책임운영 방향 제시

기상소식(기관지, 매월)

◦최근 기상기술 동향, 기상관련 칼럼, 기상청 소식, 직원동정, 기관탐방, 이달에 만난 사람 등

열린 기상청(기관소개 브로슈어)

◦기상청 업무소개(국‧영문)

안개(악기상 소책자)

안개의 발생 현황 및 원인, 종류, 특성, 피해 등

2004년 기상연감

◦기상청의 2004년도 당해연도 주요업무 추진실적과 선진 기상기술 동향 등을 종합 수록

예 보 국

수치예보시스템의 검증

◦수치예보시스템의 검증

기상청 3차원 변분법의 배경
오차 공분산 특성 및 구조

◦기상청 3차원 변분법의 배경오차 공분산 특성 및 구조

3차원 변분법을 이용한 레이더 자료동화

◦3차원 변분법을 이용한 레이더 자료동화

기상청 전지구 3차원 변분법에서의 Advanced Tiros- N Vertical Sounder 위성복사량 직접 동화기법 개발

◦기상청 전지구 3차원 변분법에서의 Advanced Tiros- N Vertical Sounder 위성복사량 직접 동화기법 개발

기상청 수치예보자료 이용편람

◦기상청 수치예보자료 이용편람

전지구 모델 초기 입력자료 및 지표 경계장 특성

◦전지구 모델 초기 입력자료 및 지표 경계장 특성

고분해능 전지구 모델 구축 — 수평‧연직 분해능 및 모델 상한 경계조건 변경 실험

◦고분해능 전지구 모델 구축 — 수평‧연직 분해능 및 모델 상한 경계조건 변경 실험

고분해능 전지구 모델 구축 — 물리과정 튜닝

◦고분해능 전지구 모델 구축 — 물리과정 튜닝

차세대 지역모델(KWRF) 구축 및 시험 운영

◦차세대 지역모델(KWRF) 구축 및 시험 운영

차세대 지역모델(KWRF) 전‧후처리 체계 구축

◦차세대 지역모델(KWRF) 전‧후처리 체계 구축

저기압 이동 경로 자동추적 알고리즘 개발

◦저기압 이동 경로 자동추적 알고리즘 개발

궤적을 통한 비정규시간 윈드프로파일러 자료동화

◦궤적을 통한 비정규시간 윈드프로파일러 자료동화

정지기상위성 영상기의 복사검정(Ⅰ)

- 원리와 절차-

◦기상영상기의 특성 및 관측원리

◦적외/가시채널 복사검정의 원리 및 절차

◦외국위성 복사검정 수행 절차 분석

통신해양기상위성 위성영상위치보정(Ⅰ)

- 기법과운영개념-

◦위치보정의 개념 및 오차원인 분석

◦외국 위성의 위치보정시스템 및 운영개념 분석

◦통신해양기상위성 위치보정시스템 예비성능 분석

태풍분석 및 예보시스템(TAPS) 사용자지침서

◦태풍분석 및 예보시스템에 대한 사용법 및 활용기술 등 

관 측 국

서해종합해양기상관측기지 구축과정과 시설장비

◦서해종합해양기상관측기지 구축과정과 시설장비 소개

2005 황사보고서

◦2005년 발생한 황사의 현황 및 특징 분석

자동기상관측월보

◦일별 자동기상관측 자료

자동기상관측연보

◦지점별 요소(기온,바람,강수량)의 연요약자료, 월값, 순별평균값

기상기자재 전시물품정보편람

◦기상장비와 관련된 역사자료를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수집 및 정리

기상기자재 구매백서

◦구매계약방법, 절차 및 기상장비의 특성 등 종합적으로 정리

낙뢰연보

◦낙뢰관측의 원리, 낙뢰분석 방법, 월별, 계절별, 연간 낙뢰발생빈도 등

2004 지진연보

◦개요, 지진발생 현황, 관측망 확충 기술개발 및 부록

고층기상월보

◦요소별 고층기상 일별자료

세계복사측정망 관측자료의 품질관리지침

◦세계복사측정망 관측자료에 대한 품질관리기법 상세히 설명

위탁기상관측 연보

◦일별, 월별 위탁기상 관측 자료

일본 기상청의 고층기상관측지침(2004년판)

◦2004년 발간된 일본 기상청의 고층기상관측지침 번역본

수직측풍장비 운영 매뉴얼

◦수직측풍장비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매뉴얼

GPS 수증기량 측정 시스템의 현업 도입 방안

◦GPS 수증기량 측정시스템의 현업 도입을 위한 측정원리 및 측정기술 현황

기후국

기후변화 뉴스레터(매분기)

◦기후 및 기후변화에 관한 국내‧외 정보

지구대기감시운영요령(Ⅱ)

◦관측장비 운영 및 국가표준가스 관리 등

지구대기감시보고서

◦2004년도 지구대기 관측 및 분석결과

계절예보

◦계절별 기상전망

기상청 장기예보검증

◦장기예보품질의 객관적 평가

기상월보

◦일별 기후자료

기상연보

◦월별 기후분석 자료

일본기상청 기상관측통계지침

◦일본기상청의 관측통계, 원부작성 방법 등

기  상

연구소

한반도 악기상 집중관측사업(KEOP)(Ⅳ)

◦2004년도 연구사업 보고서

전지구 해양변화감시시스템 구축(ARGO)(Ⅲ)

◦2004년도 연구사업 보고서

기후변화협약대응 지역기후변화 

시나리오산출기술개발(Ⅲ)

◦2004년도 연구사업 보고서

단시간 강수예측능력 향상 연구(Ⅰ)

◦2004년도 연구사업 보고서

슈퍼앙상블 계절예측시스템 연구(Ⅰ)

◦2004년도 연구사업 보고서

연구용 도플러 기상레이더운영 및 자료분석 기술개발(Ⅲ)

◦2004년도 연구사업 보고서

도시 대기특성 예측 및 응용기술 개발(Ⅱ)

◦2004년도 연구사업 보고서

한반도 지진재해평가 기반기술개발(Ⅱ)

◦2004년도 연구사업 보고서

해양기상관측 및 조사연구

◦2004년도 연구사업 보고서

해양기상변화 탐지기술개발

◦2004년도 기상지진기술개발사업 보고서

황사감시 및 예측기술개발

◦2004년도 기상지진기술개발사업 보고서

한반도 악기상(집중호우 등) 감시 및 

예측기술개발

◦2004년도 기상지진기술개발사업 보고서

한반도 배경대기 측정 및 기후변화 감시기술 개발

◦2004년도 기상지진기술개발사업 보고서

통신해양기상워성 기상

자료처리시스템개발(Ⅱ)

◦2004년도 통신해양기상위성사업 보고서

기온예보에서 MOS, PPM, 칼만 필터 

예보법의 상호 비교 연구

◦2005년도 현장연구과제 보고서

단시간 예측시스템을 활용한 

국지기상분석(Ⅲ)

◦2005년도 현장연구과제 보고서

단시간 예측시스템을 활용한 항공기상예보기법 개발(Ⅱ)

◦2005년도 현장연구과제 보고서

집중호우발생 기작에 관한 연구

◦2005년도 현장연구과제 보고서

기상레이더와 MRR를 이용한 한반도 

남서해안의 강수특성분석

◦2005년도 현장연구과제 보고서

광덕산레이더 계절별 적정고도각 

산출기법 연구

◦2005년도 현장연구과제 보고서

제주지방의 기상관측 역사와 

기후변동성 연구

◦2005년도 현장연구과제 보고서

제주도 풍력자원 특성분석을 통한 특화산업 기상서비스 활용방안 연구

◦2005년도 현장연구과제 보고서

영남해안 폭풍해일 예보를 위한 객관적 가이던스 개발

◦2005년도 현장연구과제 보고서

서해종합기지 관측자료를 이용한 해상풍 및 파고산출

◦2005년도 현장연구과제 보고서

경북북부앞바다 해양기상특성 연구(Ⅱ)

◦2005년도 현장연구과제 보고서

항공

기상대

2004 항공기상현업연구

◦항공기상기술발전을 위한 현업연구성과집

2004 공항안개 집중분석

◦항공기이착륙의 안전을 위한 안개집중분석집

2004 공항기후자료

◦공항별 기후자료를 정리하여 공항기후개요(Model A~E) 및 공항기후표 형태로 수록

항공기상업무지침

◦항공기상업무프로세스 재정립 및 표준화


- 484 -


<2006년>

발간부서

(기관)

책  명

주  요  내  용

정책홍보관리관실

기상소식(기관지, 매월)

◦최근 기상기술 동향, 기상관련 칼럼, 기상청 소식, 직원동정, 기관탐방, 이달에 만난 사람 등

2005년 기상연감

◦기상청의 2005년도 당해연도 주요업무 추진실적과 선진 기상기술 동향 등을 종합 수록

예 보 국

디지털예보모델 개발 및 현업운영체계

◦실황자료처리모듈 운영개념, 기상요소별 실황자료 산출방법, 운영체계, PPM 모델, 수치예보모델 및 내삽법, 예보요소별 산출 알고리즘, 현업운영체계

디지털예보 웹서비스 모듈(WEM) 개발

◦웹서비스 자료 생성 알고리즘, 디지털예보 웹서비스 사용법, 웹서비스 화면 디자인 및 시스템 구성, 웹서비스 소프트웨어 구조

디지털예보시스템

◦디지털예보시스템 구성, 디지털예보현업 시험운영

디지털예보생산기술

◦객관분석 적용방법, 북한 예보지점 연동 알고리즘 개발,협업적용, 예보요소 품질검사

디지털예보모델 운영체계 디지털예보모델자료 규격

◦디지털예보모델 체계, 모니터링시스템 운영, 위기대응 및 조치지침,

디지털예보 그래픽편집모듈(GEM) 개발내용 및 현업운영

◦GEM 개발내용, GEM 현업운영

MOS 기온예보모델 개발 및 현업 운영 체계

◦MOS 적용방법, MOS모델 결과, MOS모델 예보검증, 현업운영체계

관 측 국

기상관측자료 실시간 품질관리시스템(Ⅰ) 활용법

◦기상관측자료 실시간 품질관리시스템 활용을 위한 기술노트

윈드프로파일러를 이용한 기상현상의 관측과 분석

◦윈드프로파일러를 이용한 기상현상의 관측과 분석에 관한 기술노트

고층기상월보

◦요소별 고층기상 일별자료

위탁기상관측연보

◦일별, 월별 위탁기상 관측 자료

압력식파고계 운영관리 요령

◦등표용 압력식 파고계 운영관리 요령에 관한 기술노트

자동기상관측월보

◦일별 자동기상관측 자료

자동기상관측연보

◦지점별 요소(기온,바람,강수량)의 연요약자료, 월값, 순별평균값

2005 지진연보

◦개요, 지진발생 현황, 관측망 확충 기술개발 및 부록

기후국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적응방안에 관한 연구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적응방안에 대한 계획의 기조, 방향, 분야별 중점 추진과제 제시

기후변화 뉴스레터(매분기)

◦기후 및 기후변화에 관한 국내‧외 정보

계절예보

◦계절별 기상전망

- 485 -

18. 과장급 이상 간부 인적사항

직  위

직  급

성  명

생년월일

임용

연월일

임용

구분

현직급

승진연월일

현직위

보직연월일

주 요 경 력

기상청장

정무직

이만기

’50. 3. 2

’06. 2. 1

정무직

’06. 2. 1

’06. 2. 1

한국과학기술
연구원 감사

국가과학기술
자문회의 사무처장

차장

별정직

고위공무원

구본제

’57.11. 5

’79. 5. 6

별정직임용

’06. 7. 1

’05. 8.17

국가과학기술
자문회의 사무처장

과기부 기초연구국장

정책홍보관리관

일반직고위공무원

정순갑

’54. 9.19

’87. 3.19

특채

’06. 7. 1

’06. 3.27

예보국장

정보화관리관

예보국장

일반직고위공무원

박광준

’53. 3.20

’82. 6. 2

특채

’06. 7. 1

’06. 3.27

관측국장

기후국장

관측국장

일반직고위공무원

이성재

’49. 1.10

’68. 9.16

특채

’06. 7. 1

’06. 3.27

정책홍보관리관

광주지방기상청장

기후국장

일반직고위공무원

홍  윤

’53.10.10

’80. 4.21

특채

’06. 7. 1

’06. 1.18

예보국장

예보관리과장

정보화

관리관

일반직고위공무원

진기범

’58.12.11

’81. 5.16

특채

’06. 7. 1

’06. 3. 2

예보정책과장

총괄예보관

예보

총괄관

일반직고위공무원

이우진

’60. 1.25

’83. 7.25

특채

’06. 7. 1

’06. 6. 2

대전지방기상청장

수치예보과장

혁신인사기획관

부이사관

조주영

’58.10.24

’84. 7. 1

특채

’05. 8.31

’06. 3. 2

관측황사정책과장

수치예보과장

재정

기획관

부이사관

최치영

’56. 7.27

’88. 8.19

특채

’05. 1.15

’04.12.27

예보관

관측담당관

국제협력담당관

기술

서기관

남재철

’59. 5.26

’88. 9.15

특채

’05. 2. 1

’06. 7.27

원격탐사연구실장

응용기상연구실장

예보정책과장

부이사관

조영순

’52.10. 8

’71. 3. 8

공채

’06. 7.24

’06. 3. 2

지진기획과장

총괄예보관

수치예보과장

기술

서기관

이희상

’56. 1.21

’05.11. 1

특채

’05.11. 1

’05.11. 1

서울대 기초과학연구원

미국 플로리다주립대 후박사 연구원

기상위성과장

기상

서기관

서애숙

56. 1. 8

82. 7.19

특채

’95. 8. 1

’06. 7. 1

수원기상대장

예보관

디지털예보개발과장

기술

서기관

양진관

’59. 8. 9

’89. 8. 1

특채

’04.11.19

’05. 8.31

관측담당관실

연구기획관리과

기상

통보관

기술

서기관

허  은

’52. 5.26

’70.12.29

특채

’98. 7. 1

’05. 8.31

김포공항기상대장

산업교통기상과장

총괄

예보관

기술

서기관

임병숙

’59.11.17

’85. 8. 1

특채

’00. 8.10

’06. 1.18

포항기상대장

대전(청) 예보과

총괄

예보관

기술

서기관

김동호

’52. 6.20

’80. 4.21

특채

’05. 1.15

’06. 7. 1

제주(청) 예보과장

예보관실

총괄

예보관

기술

서기관

김남길

52.11.14

71. 3. 8

공채

’06. 7. 1

’06. 7. 1

철원기상대장

예보관실

총괄

예보관

기술

서기관

육명렬

’60.10.26.

’89. 8. 1

특채

’01. 2. 1

’04.11.19

예보관실

예보관리과

관측황사정책과장

부이사관

이희훈

’52. 1.29

’71. 3. 8

공채

’04.11. 6

’06. 7. 1

기상위성과장

원격탐사과장

측기관리과장

기술

서기관

김진국

’56. 6. 5

’80.11.26

특채

’00. 8.10

’05. 1.15

장비담당관

총무과

기상레이더과장

기상

연구관

이종호

’58. 6.20

’87. 8. 5

특채

’98. 9.30

’05. 8.31

원격탐사과

레이더담당관실

지진기획과장

서기관

김영신

’57. 7.14

’77. 4.11

공채

’02. 4.12

’06. 3. 2

혁신인사기획관실

예보관리과

지진감시과장

기상

연구관

이덕기

’61.11. 6

’00.10.17

특채

’00.10.17

’05.11. 1

지진감시과

해양기상지진연구실

고층해양기상팀장

기상

사무관

박남철

’53.11.30

’74. 7.15

공채

’97. 1.23

’05. 8. 9

혁신인사과

행정법무과

기후정책과장

부이사관

신순호

’51. 4.21

’71.10. 1

공채

’05. 8.31

’06. 3. 2

혁신인사기획관

총무과장

기후예측과장

기술

서기관

윤원태

’58. 3. 9

’96. 7.22

특채

’05. 8.31

’05. 8.31

기후예측과

예보관실

기상산업진흥과장

서기관

양일규

’58. 8.16

’78. 2.23

공채

’99. 2.12

’06. 7. 1

기상교육담당관

혁신인사기획관실

기후자료팀장

기상

사무관

김태룡

’53.12.29

’74.12.16

특채

’96. 1.12

’05. 8. 9

예보관실

기상홍보과

정보화

담당관

기술

서기관

이희구

’52. 2.18

’70.12.29

특채

’99. 1.11

’06. 1.18

부산(청) 해양기상과장

정보통신담당관

정보통신담당관

기술

서기관

박원우

’51. 7.12

’71. 8.24

특채

’95. 7.24

’05. 6.22

부산(청) 해양기상과장

정보통신담당관실

슈퍼컴

팀장

기술

서기관

이동일

’64.10. 5

’93.11. 8

특채

’06. 3.10

’05. 8. 9

정보통신담당관실

예보관실

기상교육

담당관

부이사관

박관영

’57. 5.18

’85. 4. 8

특채

’06. 7.24

’06. 7. 1

총괄예보관

예보관리과

총무과장

서기관

김인태

’52.11.20

’78. 1.23

공채

’96. 7.20

’05. 8.31

기상교육담당관

기상홍보과장

기상연구소장

기상

연구관

정효상

’48.10.14

’80. 4.21

특채

’93. 7.20

’00. 4.12

연구관리과

원격탐사연구실장

연구기획관리과장

서기관

최웅렬

’51. 3.10

’70. 2.21

공채

’97. 2. 3

’02.10. 1

과기부 조사평가과

과기부 공보관실

해양기상지진연구실장

기상

연구관

윤용훈

’57. 8.10

’86. 7.18

특채

’96. 4.22

’02.10. 1

지구대기감시관측소장

해양기상연구실

원격탐사연구실장

기상

연구관

최병철

’59.10. 2

’85. 8. 1

특채

’93.10. 9

’06. 1.18

지구대기감시관측소장

응용기상연구실장

응용기상연구실장

환경

연구관

박일수

’47. 3. 1

’91.10. 4

특채

’91.10. 4

’05. 8.10

국립환경과학원 지구환경연구소장

국립환경연구원 대기연구부

기후연구실장

기상

연구관

권원태

’55.10. 5

’91. 6.15

특채

’91. 6.15

’00. 7.31

예보연구실

응용기상연구실

태풍연구팀장

기상

연구관

김백조

’69. 3.30

’99. 6.19

특채

’99. 6.19

’05. 9. 5

예보연구실

지구대기감시관측소장

기상

연구관

조천호

’61. 7. 4

’86. 7. 1

특채

’96. 7.22

’06. 1.18

예보연구실장

수치예보과

부산지방기상청장

일반직고위공무원

엄원근

’58. 4.12

’81. 5.16

특채

’06. 7. 1

’05. 9. 1

관측국장

원격탐사과장

부산(청)

예보과장

기술

서기관

김성진

’51.11.30

’71. 3. 8

공채

’01. 2. 1

’06. 1.18

광주(청) 기후정보과장

예보관리과

부산(청)

기후정보과장

부이사관

이  현

’53. 2.26

’71. 4. 1

특채

’05. 9.30

’05. 9.30

정보화담당관

정보통신담당관

부산(청)

해양기상과장

기술

서기관

우덕모

’51. 3.12

’71.11.16

공채

’99. 7.28

’06. 1.18

정보화담당관

지진담당관

광주지방기상청장

일반직고위공무원

정연앙

’54. 9.22

’80. 4.21

특채

’06. 7. 1

’06. 6.26

관측황사정책과장

기후정책과장

광주(청)

서무과장

서기관

곽동수

’48. 7. 3

’80. 5.20

공채

’04. 1.15

’04. 4. 1

기획과

광주(청) 서무과장

광주(청)

예보과장

기술

서기관

박경우

’52. 2.15

’70.12.29

특채

’99. 7.28

04.11.19

전주기상대장

대전(청) 예보과장

광주(청)

기후정보과장

기술

서기관

이미자

’55. 3.25

’92. 3.13

특채

’99. 2.12

’05. 1.15

정보화담당관실

위성담당관실

대전지방

기상청장

일반직고위공무원

윤석환

’50. 1.25

’69. 4. 1

특채

’06. 7. 1

’06. 6. 2

예보총괄관

예보관리과장

대전(청)

서무과장

행정

사무관

김영동

65. 1.20

88. 3. 1

공채

’04. 2.26

’04. 4. 1

총무과

연구기획관리과

대전(청)

예보과장

기술

서기관

유혁기

’48. 1.28

’71.11. 1

특채

’01. 2. 1

’05. 8.31

예보관실

항공(기) 예보과장

대전(청)

기후정보과장

기술

서기관

김진배

’51.10.20

’71. 2. 1

공채

’02. 1.11

’05. 8.31

부산(청) 서무과장

예보관리과

강원지방기상청장

일반직고위공무원

조하만

’54. 3. 9

’80.11.26

특채

’06. 7. 1

’04.12.27

기획과장

예보관

강원(청)

서무과장

행정

사무관

정길운

58. 5.22

86. 1.22

공채

’02. 8.14

’05. 1.15

기후정책과

총무과

강원(청)

예보과장

기술

서기관

최만규

’50.11.23

’70.11.16

특채

’00. 8.10

’03. 7. 1

강원(청) 기후정보과장

예보관실

강원(청)

기후정보과장

기술

서기관

이정호

49. 9.25

71. 1.23

특채

’02. 4.12

’06. 7. 1

측기관리과

정보화담당관실

제주지방기상청장

기술

서기관

전상식

’50. 3.10

’70.12.29

특채

’00. 8.10

’06. 7. 1

총괄예보관

강원(청) 기후정보과장

제주(청)

예보과장

기술

서기관

김학송

52. 1.28

71. 3. 8

공채

’05. 8.31

’06. 7. 1

대전(청) 예보과

기상홍보과

제주(청)

기후정보과장

통신

사무관

최흥연

56. 7.25

81.12. 1

특채

’00. 1.31

’05. 9. 1

관측담당관실

진도기상대장

항공기상대장

일반

계약직

4호

김상조

’45. 6.19

’87. 3.19

계약직

’01. 1. 1

’01. 1. 1

관측관리관

광주지방기상청장

항공(기)

기획운영

과장

행정

사무관

박호문

59. 7. 1

84. 3. 5

공채

’01. 4.16

’06. 7. 1

총무과

대전(청) 서무과장

항공(기)

예보과장

기술

서기관

이충태

’52. 4.26

’71. 3. 8

공채

’04.11.19

’04.11.19

기획과

기상교육과

항공(기)

정보지원

과장

기상

사무관

박진석

59. 4.23

85.11. 5

공채

’05. 4. 6

’05. 1.15

기획운영과

항공 예보과


- 486 -

19. 예산전용내역(2005년도, 2006년 상반기)


□ 2005년도

(백만원)

구 분

전용액

전용재원

전용사유

비  고

o 성과관리시스템 구축 (연구용역)

220

o 관악산‧구덕산레이더 임차료 집행잔액

o 개별적인 성과추진과제을 체계적 효과적으로 관리

o 자체전용

o 월정직책급

13

o 기상정보서비스 고객만족도 위탁용역비(12)

o 연구소 기본사업중 시험연구비 집행잔액(1)

o 차관청 격상(‘05.7월) 및 조직개편에 따른 월정직책급  부족(9인)

o 자체전용

o 공익요원 교통비

2

o 공익요원 급량비 집행잔액

o 일부 공익요원의 원거리 출퇴근에 따른 부족

o 자체전용

o 국내여비(부산, 광주)

8

o 공익요원 급량비 및 해양 기상정보시스템 연구개발비 (부산)집행잔액 

o 교육훈련 및 혁신활동 강화 등 사업량 증가

o 자체전용

o 부산지방청 청사일부 부지 및 흑산도기상대 관사 진입로 부지매입

142

o 강원지방청 청사신축을 위한 토지매입비 집행잔액

o 부산청 청사 일부 사유지 및 흑산도 관사 증축을 위한 진입로 부지

o 예산처승인

o 본청 인건비(초과근수당, 연가보상비, 일부 보수), 광주청 일부 보수

o 연구소 일용직연구원(6인) 퇴직금 

329

o 광덕산‧관악산‧구덕산레이더 임차료 집행잔액(282)

o 해양기상부이 도입집행잔액(17)

o 본청 및 광주청 기타직 보수 집행잔액(18)

o 연구소 위성자료처리기술개발 자산취득비 집행잔액(12)

o 업무량 증가 및 연가 미실시에 따른 초과근무 수당 및 연가보상비 부족

o 본청 및 광주청 일부 보수 부족

o 연구소 일용직 퇴직인원 증가에 따른 퇴직금 부족

o 예산처승인



o 자체전용


o 예산처승인


o 청경 보수 (제주, 대전, 연구소)

11

o 강원청 청경보수 및 기상연구소 기본급 집행잔액 

o 청경 기준호봉 초과운영에 따른 청경보수 부족

o 자체전용

o 선택적복지예산(제주)

3

o 대전청 선택적복지 예산 집행 잔액

o 제주청 선택적 복지예산 부족

o 자체전용

합   계

728


□ 2006년 상반기 : 해당사항 없음


작성자

기상사무관

권태순

확인자

재정기획관

최치영

연락처

02 -  2181 -  0323

- 487 -

20. 예비비 사용내역(2005년도‧2006년 상반기)



<예비비 사용내역>


지출결정액

배 정 액

지 출 액

불 용 액

대통령

결재일

사 용 내 역

1. 봉급

부족액

826,185,000

826,185,000

817,761,240

8,423,760

가. 봉급

부족액

336,176,000

336,176,000

329,352,040

6,823,960

2005.11. 9

공무원 봉급조정수당부족액 충당

490,009,000

490,009,000

488,409,200

1,599,800

2005.12.13

차관급 격상(‘05.7)에 따른 인원증가로 인건비부족액 충당

826,185,000

826,185,000

817,761,240

8,423,760



















작성자

행정사무관

이종하

확인자

총무과장

김인태

연락처

02 -  2181 -  0244


- 488 -

21. 기관 사건‧사고 및 조치내역 (2005년, 2006년 상반기)

-  백령도 고층기관관측시 관측풍선 폭발사고 (2005년)


<사고 개요>


□ 사고 일시 및 장소

◦ 2005. 5. 30. 08:17경, 백령도 기상대 수소가스 충전실


□ 사고 경위

◦ 관측자 2인(기상서기 장정구, 기상서기 배선희)이 고층관측용 풍선에 수소가스를 주입하던 중에 풍선이 폭발하여 기구 근처에 있던 직원 1인(배선희)이 부분적으로 화상을 입음.


□ 피해 내용 

◦ 인적피해 : 기상서기 배선희의 얼굴, 목, 손 등의 일부 부위에 2도 화상

◦ 물적피해 : 수소가스 충전실 출입문(4개) 파손, 가스주입구 사용불가 등


□ 사고 대처사항

◦ 08:18 사고자 응급조치 : 안면부위 찬물로 열을 식힘

◦ 08:25 백령도 군 의무중대로 긴급 이송하여 응급조치 및 공군 헬기 지원 요청

◦ 11:30 헬기 백령도 도착

◦ 11:38 헬기 백령도 출발 : 인청지방공사 백령병원 산부인과의사 및 기상청 직원 동행

◦ 13:10 한강성심병원(화상전문병원) 도착


<사고원인> 


□ 안전교육 실시 여부 및 화인 존재여부

◦ 안전교육 실시 여부: 가스취급요령 등 안전교육 실시하였음

◦ 가스 취급방법 적정 여부: 고층관측 순서에 따라 적정하게 가스를 취급하였음

◦ 주변화인 존재 여부 

-  가스주입시 사방의 문은 닫혀있는 상태였으며, 직원 2인 모두 화기를 소지하지 않았음

-  전기스위치는 외부에 위치하고 있어서 내부에는 별다른 화재를 일으킬 만한 것이 없었음

- 489 -

□ 추정되는 사고원인

◦ 정전기로 인한 폭발가능성

-  피해직원의 머리카락이나 옷에서 발생한 정전기로 인한 폭발가능성이 존재하지만, 당시의 높은 습도(65.2%)를 고려할 때, 정전기 발생가능성이 높지는 않음

◦ 피해 직원의 순간적인 방어행동으로 폭발했을 가능성

-  풍선이 피해 직원의 몸(얼굴)쪽으로 다가왔을 때 손(손톱)으로 풍선을 접촉하여 폭발했을 가능성이 있으나, 풍선이 상당히 두꺼운 고무로 되어 있음을 고려할 때 손(손톱)으로 찢어질 가능성은 많지 않음

◦ 풍선이 비양실 내부의 물건과 부딪혔을 가능성

-  수소가스 주입완료 후 풍선이 내부 물건과 부딪혔을 가능성이 있으나, 비양실 내부에는 사다리 2개 외에 다른 물건이 있지 않았고, 사다리가 있었던 곳과는 상당한 거리가 있었음

◦ 풍선이 불량품이었을 가능성

-  풍선이 불량품이었는지는 폭발 후의 잔해만으로 증명할 수 없음


⇒ 사고조사를 통해 사고원인을 추정하였지만, 무엇이 원인인지 단정적으로 판정하기 곤란


<사고 후 조치 사항>


□ 사고조사반 구성 및 운영

○ 사고 직후 본청 감사팀(2인), 대전청 기후정보과장, 관측담당사무관으로 조사반 구성하여 사고 발생 원인에 대한 조사 실시


□ 수소가스를 헬륨가스로 대체

○ 본 사고를 계기로 폭발위험성이 있는 수소가스에서 안전성이 높은 헬륨가스로 전면 교체

-  헬륨가스로의 교체는 예산상의 문제로 2004년부터 점진적으로 추진되어 왔으나 본 사고를 계기로 전면교체 실시 


<피해직원 현재 상황 >


○ 2차례의 화상수술 후 회복 치료 중이며, 현재 질병휴직 중

작성자

행정사무관

김영호

확인자

재정기획관

최치영

연락처

02 -  2181 -  0339

- 490 -

22. 주요현안 및 애로사항



1. 디지털예보 서비스 체제 구축 


□ 추진배경 

○ 기상정보에 대한 보다 상세하고 정량적이며 다양한 정보의 요구 증대

-  고객만족도 조사, ’03년 ~ ’04년

○ 초고속 통신망, 위성통신 등 정보통신 기술의 획기적 발전 및 개인용 PC의 보급과 인터넷의 대중화

○ 상세국지예보모델의 운영 등 기상기술의 발전


□ 추진목적

○ 우리나라의 읍‧면‧동 단위에 대해 상세하고 정량적인 예보를 제공함으로써 국민 일상생활의 편익 도모

○ 응용 및 가공을 통해 산업‧교통‧보건 등에서 기상정보의 활용가치를 증대하며, 기상정보의 산업화 실현 및 산업생산성 향상


□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05년 ~ 2010년

○ 사업내용 : 디지털예보 개발 및 시스템 구축

-  그래픽편집모듈 개발, 정보전달체계 개발, 디지털예보모델 개발, 디지털자료처리 개발, 예보시스템 인프라의 안정적 구축


□ 추진경과

○ 2003.  6 : 예보시스템 개선을 위한 디지털예보 제안

○ 2003. 10 : 디지털예보 기획단(전담인력 5명 등 총 13명) 구성

○ 2003. 11 : 디지털예보 구축을 위한 미국 기상청 벤치마킹

○ 2004.  7 : 디지털예보 홍보용 웹 구축

○ 2004.  7 : 정부혁신국제박람회 및 과학축전 출품

○ 2004.  9 : 디지털예보 원형(프로토 타입) 구축

○ 2004. 11 : 그래픽 편집모듈(GEM) 시험 버젼 완성

○ 2005.  2 : 디지털예보 구축을 위한 미국 기상청 2차 벤치마킹

○ 2005.  7 : 기상청 디지털예보개발과(12인) 신설

○ 2005. 10. 31 : 디지털예보 대국민 웹 서비스 시험 운영 개시

- 491 -

□ 추진실적 

○ 수치예보자료를 해석하여 기상 요소의 변화를 객관적으로 예측하는 디지털예보 모델 개발

-  기온, 강수확률 등 4종 MOS 모델 개발(2005)

-  상대습도, 바람 등 5종 MOS 모델 개발 중(2006)

○ 예보관과 컴퓨터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한 예보편집기 개발

-  단기 디지털예보 시계열 및 공간편집기 개발(2005)

-  중기/초단기/뇌전 디지털예보 시계열 및 공간편집기 개발 중(2006)

○ 디지털예보의 대국민 제공을 위한 웹 서비스 시스템 구축

-  그래픽, 시계열, 문자, 음성, 도표의 단기 디지털예보 개발(2005)

-  중기/초단기/뇌전 디지털예보 웹 서비스 개발 중(2006)


□ 향후계획

○ 조직 및 근무환경, 예보체계 등 관련 업무 전반의 보완을 통하여 디지털예보의 대국민 서비스 공식운영 개시(’06년 10월) 

○  중기 및 초단기 디지털예보 개발(’06. 12월)

○  낙뢰 등 특수기상요소의 디지털예보 적용기술 개발(‘06. 12월)

○ 향후 디지털예보의 정확도 향상을 위해 차세대 디지털예보 모델을 개발하고, 안개 ‧ 황사 등 특수기상요소와 항공 및 기상특보와 연계된 디지털예보를 개발할 계획임.


□ 문제점(애로사항) 및 개선방안

○ 디지털예보 시행을 위한 기상대의 예보인력 확보 필요(4인×35소=140명).

○ 태풍, 집중호우 등 여름철 악기상에 대한 시험운영 필요

⇒ 디지털예보의 지속적인 적응훈련 실시와 여름철 방재기간 중 시험운영 추진

⇒ 시험운영의 평가와 대국민 만족도 조사결과를 본격적인 디지털예보 운영에 환류


【참고】 디지털예보의 비교

구  분

한국

미국

일본

예보서비스

48시간

7일(168시간)

24시간

예보시간간격

3시간간격

1 또는 3시간

3시간

예보공간 규모

5km 단위

5km 단위

20km 단위

예보요소

기온, 강수확률, 상대습도, 풍향, 풍속, 하늘상태, 강수형태, 파고, 강수, 적설, 최저 ‧ 최고기온(12종)

기온, 강수확률, 상대습도, 풍향, 풍속, 하늘상태, 강수형태, 파고, 강수, 적설, 최저 ‧ 최고기온 이슬점온도, 체감온도(14종)

기온, 강수확률, 하늘상태, 강수형태(5종)

예보콘텐츠

그래픽, 시계열, 도표, 문자, 음성, 격자점 예보(6종)

그래픽, 시계열, 도표, 문자, 격자점 예보(5종)

시계열, 도표형

- 492 -

2. 태풍센터 설립


□ 추진배경 및 목적

○ 태풍은 강한 바람, 많은 비, 해일 등 복합적인 피해를 주는 재해로서 자연재해 중 가장 많은 피해(60%)를 유발하는 기상현상으로 최근에 강한 태풍의 내습빈도가 많아지고 있고, 피해액도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임.

○ 태풍진로와 강도의 예측능력을 선진국 수준으로 향상하고, 태풍의 위험 가능성을 국민에게 조기에 알리고, 태풍예보 체계 개선 및 태풍업무의 전문성 확보를 위해 태풍센터 설립을 추진함.


□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06년 ~ 2009년 

○ 사업내용

-  부지 : 19,779평

-  건물

∙청사 : 지하 1층, 지상 2층, 연면적 1,591㎡(460평)

∙연구지원동 : 지하 1층, 지상 3층, 연면적 1,350㎡(408평)

-  장비 : 태풍분석장비, 태풍분석용 워크스테이션 등


□ 추진실적

○ 태풍센터 설립 계획 수립(’04. 2.)

○ 태풍센터 설립에 관한 기획연구과제 수행(’04. 8.)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04. 8. 16 ~ ’05. 3. 31)

○ 제주도에 설립 결정(’05. 6.)

○ 센터부지 확정(제주도 남제주군 남원읍 한남리, ’05. 12.)

○ 태풍센터 설립 기본계획 수립(’06. 1.)

○ 태풍센터 설립에 관한 남제주군 사업 설명회(’06. 2.)

○ 태풍센터 설계 추진 중(’06. 5.)


□ 향후계획

○ 건축 설계용역 발주(’06. 5.)

○ 부지 무상임대 계약(’06. 5.) 

- 493 -

○ 건축 설계 완료(’06. 8.)

○ 태풍센터 기공식 및 토목공사 시행(’06. 9.)

○ 청사 건축 및 장비 도입(’07. 12.)

○ 태풍센터 업무 개시(’08년 상반기) 

○ 직원 복지생활관(숙소 등) 건축(’08. 12.)


【참고】 외국의 태풍센터 임무 및 주요업무

열대예보센터(TPC, Tropical Prediction Center, 미국)

위치(도시)

플로리다(Miami)

임무

위험한 열대기상에 대한 감시, 분석 및 경보를 통한 인명 보호, 재산피해 경감

주요업무

-  6월 1일 ~ 11월 30일 까지 공식 업무 수행

-  중앙태평양(서경 140도 ~ 180도)에서 발생한 모든 태풍에 대한 감시, 태풍정보 발표 등

합동태풍경보센터(JTWC, Joint Typhoon Warning Center, 미국)

위치(도시)

하와이(Pearl Harbor)

임무

태평양과 인도양에서 발생한 태풍에 대한 정보 생산

주요업무

-  6시간간격 (0300Z, 0900Z, 1500Z, 2100Z) 태풍정보 생산 및 경보 발령시 3시간 간격 태풍정보 생산(상시 운영)

-  태풍관련 위성, 레이더, 종관 관측자료 수집 및 태풍모델 운영

태평양태풍예보센터(일본)

위치(도시)

일본동부(Tokyo)

임무

책임구역(북서태평양: 일본, 등)에서 발생하는 태풍, 열대저기압 

예보업무 주관

주요업무

-  기상(지상 및 해상)분석, 예보 및 경보에 관한 기술지도

-  태풍정보(현재위치, 이동방향 및 강도 등)에 대한 제공

상해태풍연구소(중국)

위치(도시)

절강성(Shanghai)

임무

열대저기압의 형성, 강도 변화, 구조, 이동과 상륙과정에 대한 연

구, 열대저기압과 주변간의 상호작용 이해 및 열대저기압과 연관된 강수분포 제공

주요업무

-  수치예보 자료를 통한 태풍예보

-  태풍자료 정리 및 태풍 홈페이지 운영

-  태풍 연차보고서 작성 및 출판

허리케인연구센터(HRD, Hurricane Research Division, 미국)

위치(도시)

플로리다(Miami)

임무

허리케인과 열대기상에 관한 이해 및 예보 증진

주요업무

-  수치예보 자료를 통한 태풍예보

-  항공기(dropsondes) 운영을 통한 태풍감시 및 분석

-  연구 및 응용을 위한 자료 수집 및 제공을 위한 허리케인내의 연구실험 고안, 수행 및 연구결과 출판 및 배포

- 494 -

3. 통신해양기상위성 개발사업


□ 추진배경 및 목적

○ 미국‧일본 등 선진국의 기상위성자료를 수신하여 기상업무에 활용하고 있으나, 외국의 위성자료로 한반도 기상상황에 따른 독자적 관측이 불가능하여 돌발 악기상 대비가 어려움.

○ 악기상 상시감시 및 대기정밀구조 연속관측을 위한 기상관측위성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국가우주개발중장기계획에 반영함.

○ 부처별 위성개발 수요에 따라 통신방송/해양관측/기상관측 임무를 수행하는 다기능 정지궤도위성으로『통신해양기상위성개발』사업 확정


□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03년 ~ 2008년 

○ 사업내용

-  기상관측탑재체 개발 : 기상탑재체 해외협력업체 제안서 평가 및 선정, 기상탑재체와 위성체 간의 인터페이스 설계, 기상탑재체 조립/시험 및 검증 개념 수립

-  기상자료처리시스템 개발 : 기상자료처리 S/W 개발표준 기술사항 수립, 산출자료 요소별 자료처리 S/W 모듈 개발, 처리 S/W 기능별 분류체계도 및 위성운영시스템 접합을 위한 개념설계

-  송수신시스템 개발  : 위성과 지상국시스템 간의 인터페이스 설계, 위성궤도 및 주파수 등록, 사용자 수신장비 MDUS(중규모 위성자료 수신국) S/W 개발


□ 추진실적

○ 통신해양기상위성개발사업 추진위원회 구성 및 위성개발세부추진계획 확정(’03. 8. 26.)

○ 통신해양기상위성개발사업 관계부처 공동협약(’03. 9. 1.)

-  사업기간 : ’03. 9. ~ ’08. 12.(다년도 협약)

-  항공우주(연)과 협약 : 과학기술부, 해양수산부, 기상청

※ 정보통신부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과 별도 협약

-  위성개발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495 -

○ 통신해양기상위성개발사업 1차년도 수행(’03. 9. ~ ’04. 4.)

○ 기상관측위성개발사업추진에관한지침 수립(’03. 9. 30.)

○ 기상관측시스템 분야 개발위원회 구성(’03. 10. 26.)

○ 기상관측임무 사용자 요구사항 수립(’04. 4. 13.) 

○ 통신해양기상위성 개발제안요구서(RFP) 분배(’04. 4. 28.)

○ 통신해양기상위성개발사업 2차년도 수행(’04. 5. ~ ’05. 4.)

○ 통신해양기상위성 개발 계약체결(프랑스 아스트리움사 : ’05. 4. 13.)

○ 기상관측위성개발사업추진에관한지침 개정(’05. 3. 8.)

○ 통신해양기상위성개발사업 3차년도 수행(’05. 5. ~ ’06. 4.)

○ 통신해양기상위성개발사업 4차년도 수행 중(’06. 5. ~ ’07. 2.)


□ 향후계획

○ 기상탑재체 제작 및 시험(’07. 11.)

○ 위성시스템 총 조립 및 시험 완료(’08. 8.)

○ 통신해양기상위성 발사(’08. 12.)


□ 문제점(애로사항) 및 개선방안

○ 통신해양기상위성개발사업은 기상청을 비롯하여 과학기술부, 정보통신부, 해양수산부 등 4개 부처가 공동 참여하여 총 2,880억원의 예산이 투입되어 2008년말 발사를 목표로 통신, 해양, 기상관측의 기능을 수행하는 다목적 정지궤도 위성개발을 목표로 추진되는 사업임. 

○ 이는 단일목적의 위성개발보다 시스템 및 하부구조의 설계가 복잡하여 개발기간이 많이 소요되고, 위성운영에 따라 국제통신연맹(ITU)에 궤도 및 주파수 등을 신청하였으며, 통신에 관계된 이해당사국과 조정을 거쳐야 하는 등 많은 협의과정이 남아 있음.

○ 기상위성업무담당 전문기관인 기상위성센터 설립 및 기상위성 운영과 위성자료 활용기술개발 등을 위한 전문인력 확충이 요구되는 바, 조직 신설과 전문가 확충 및 양성을 위한 계획이 차질없이 추진되어야 할 것임. 

- 496 -

【참고】 통신해양기상위성 제원


○ 형상도

 


○ 위성시스템 제원 

발사중량

2,500kg ~ 3,000kg

발생전력

약 3kW

위성수명

7년 (운용수명)

위성본체 크기

2.4m×2.6m×2.6m


○ 탑재체 제원 

구분

통신탑재체

해양탑재체

기상탑재체

탑재체

통신 중계기/

안테나

해양관측센서

영상관측센서

중량

90kg

60kg

150kg

소요전력

900W

80W

270W

※위성시스템 및 탑재체 제원은 설계과정에서 변경 가능

- 497 -

4. 기상위성센터 설립


□ 추진배경 및 목적

○ 통신해양기상위성 중에서 기상관측분야 기상위성 운영 및 관측자료의 수신‧처리‧분배‧활용 등 기상위성업무 수행 전문기관 역할 수행

○ 수집된 자료에 대한 검정, 영상처리 및 분석, 기상요소 산출을 위한 자료처리시스템 운영

○ 국내외 기상위성자료 사용자 그룹에 대한 지원 및 국가간 위성자료 교환, 위성자료처리기술에 관한 협력체계 강화


□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05년 ~ 2008년

○ 사업내용

-  부지 : 10,000평, 건물 : 2,094평(3층 규모), 근무인원 : 87명


□ 추진실적

○ 통신해양기상위성개발사업 관계부처 공동협약(’03. 9. 1)

○ 기상관측위성개발사업 추진 계획 수립(’03. 10. 20)

○ 기상위성센터 구축을 위한 종합계획 기획연구 수행(’03. 10. 30 ~ 12. 19)

○ 기상위성센터설계자문위원회 구성 및 운영지침 제정(’05. 5.)

○ 기상위성센터 건립 후보지 확정 및 협약체결(’05. 5. 17, 충북 진천)

○ 기상위성센터 설립 세부계획 수립(’05. 9. 23)

○ 기상위성센터 신축 기본 및 실시설계 완료(’05. 12. 28)

○ 기상위성센터 신축 1차공사 착공(’06. 3. ~ ’06. 10.)

○ 기상위성센터 주민설명회(’06. 3. 27) 및 기공식 개최(’06. 4. 7)

○ 지상국시스템 상세설계 착수(’06.7.~)


□ 향후계획

년도

주요 업무 내용

2006

◦위성센터 신축 토목 및 건축 1차 공사 완공

◦지상국시스템 상세설계

◦지상국시스템 규격 및 도입계획 수립

2007

◦위성센터 신축 2차 공사 및  완공

◦지상국시스템 운영 프로그램 개발

◦지상국시스템 도입 및 구축

2008

◦지상국 통합 및 접속시험

◦위성체↔지상국 접속시험

◦기상위성센터 운영

- 498 -

□ 문제점(애로사항) 및 개선방안

○ 통신해양기상위성의 기상관측분야개발사업과 병행하여 위성발사 1년 전(’07년)까지 기상위성센터 설립과 지상국시스템 구축사업이 완료되어야 정상적 기상위성운영에 필수적인 위성체와 지상국 간 사전 시험운영이 가능 

-  지상국시스템 구축 및 운영은 대규모 사업비(총 2,880억원)를 투입한 통신해양기상위성개발 사업의 성공 여부를 판가름하는 중요성을 지님

○ 따라서, 기상위성센터 설립 사업기간(’05년~’08년)동안의 연차별 지원 및 투자계획에 따른 적시 인력 및 예산지원이 필요 

-  조직신설‧운용, 전문인력 확보와 더불어 지상국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최첨단 위성운영장비 도입 등의 인프라 확충을 위한 예산 지원이 필요함.


【참고】 위성운영국 사례

○ 위성지상국은 위성체의 임무 수행을 지원하는 필수 시설임.

○ 정지궤도 기상위성 보유국인 미국, 유럽, 일본, 중국, 러시아, 인도는 기상위성운영 전문기관인 기상위성센터를 설립하여 기상위성자료의 수신, 처리, 배포, 활용 등의 중심역할을 수행하고 있음.

○ 외국의 기상위성 지상국 시설 현황

구  분

안테나 시설

기상위성센터

미  국

NESDIS

(700명)

CDA(Command and Data Acquisition)

버지니아주 Wallops와 Fair-  bank에 소재

SOCC(Spacecraft Operation Control Center)

: 운영 및 자료 처리

: 메릴랜드주 Suitland에 위치

유  럽

EUMETSAT

(170명) 

PGS(Primary Ground Station)

독일 Darmstadt Usingen에 소재

MCC(Mission Control Center)

: 위성운영 및 자료처리 시설

EUMETSAT 본부 Darmstadt에 소재

일  본

MSC

(200명)

CDAS(Command and Data Acquisition Station)

: 안테나 설비 및 위성운영시설

: 사이타마현 하토야마에 소재

DPC(Data Processing Center)

: 위성자료처리 시설

: 도쿄부 키요세시에 위치

중  국

NSMC

(409명)

CDAS(Command and Data Acquisition Station)

: 안테나 설비 및 위성운영시설

: 북경서부 교외에 위치

DPC(Data Processing Center)

: 위성자료처리 시설

: 북경 NSMC 내에 위치

- 499 -

5. 국가기상관측자료 공동활용방안 수립


□ 추진배경 및 목적

○ 기상청 이외의 18개 유관기관에서 독자적 목적으로 기상관측망을 확충‧운영하고 있으나 기상관측의 전문지식 부족 및 기상관측망의 관리 미비로 관측자료의 품질이 낮고, 국가적 공동활용의 부족으로 기상관측망이 중복 설치되는 등 예산 낭비가 발생하고 있음.

○ 기상관측표준화법의 하위법령 제정 및 시행, 기상관측의 표준화를 통한 기상관측자료의 품질향상과 국가 차원의 기상관측자료 공동활용을 위해 통합 DB 시스템 구축이 필요함.


□ 사업개요

○ 사업기간 : 계속사업

○ 사업내용

-  기상관측시설 및 자료등급 기준 설정 등 정책연구 수행

-  국가기상자료 통합 DB 시스템 구축

-  국가 기상관측망 조정 및 국가기상자료센터 설립 운영


□ 추진실적

○ 기상관측표준화법 시행(’06. 7.) 대비한 하위법령‧제도 정비

-  시행령‧시행규칙 및 고시 7건(’06. 6.)

∙관계부처 의견수렴 실시(’06. 1. 27 ~ 2. 17, 70개 관련기관 대상)

∙당정협의(’06. 3. 13) 및 입법예고 실시(’06. 3. 20 ~ 4. 10)

∙기상청 자체 규제개혁협의회 개최(’06. 4. 24)

∙규제개혁위원회 규제심사 (’06. 5. 9)

∙법제처 심사 (’06. 6. 27)

∙시행령안 차관회의 통과 (’06. 6. 15)

∙시행령안 국무회의 통과 (’06. 6. 20)

∙시행령 (’06. 6. 29), 시행규칙, 고시 (’06. 6. 30) 공포

○「국가기상관측환경정보시스템」시범 구축 완료(’05. 12.)에 따른 유관기관 공동활용 개시(’06. 3.)

-  18개 유관기관 보유 5,062대 기상측기의 정보(제작사, 검정일, 제작일, 설치일 등), 관측 환경, 관측소 위치, 관측소의 중복설치(5km 반경 내) 현황 조사

-  18개 유관기관 기상관측 업무종사자 시스템 활용교육 실시(37명, 2. 17)

- 500 -

○ 지상관측자료의 실시간 품질 오류관리시스템 개발 완료 및 시험 운영(’06. 1.)

-  지상관측자료 ➡ 고층ㆍ해양ㆍ황사관측자료 확대 추진(’06년)

○ 정책 연구용역 사업 추진(’06년)

-  기상관측시설 및 자료등급 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용역

-  기상측기 검정대행기관 육성을 위한 정책연구 용역

∙ 조달 계약(5월)

○ 국가기상자료 통합 DB 시스템 구축 기반 마련('06년)

-  사업계획 수립(3. 17.) 및 관련부서 업무협의(4월)

-  소방방재청 등 15개 유관기관과의 업무협의(6월)

○ 제5차 기상관측표준화실무위원회 개최(4. 13)

-  기상관측표준화법 하위법령안 의견수렴 결과 검토

-  기상자료 공동활용시스템 구축 발표 및 의견 수렴


□ 향후계획

○ 기상관측표준화법 하위법령 제정

-  고층‧해양관측 표준규격 마련 및 공포(’06. 12.)

○ 국가기상자료 통합 DB 시스템 구축

-  유관기관의 기상관측자료 수집 및 자료 표준화(’06. 9.)

-  통합 DB 시스템 시범 구축 및 시험운영(’06. 12.)

○ 기상관측자료 실시간 품질 오류관리시스템 개발 및 활용

-  유관기관 기상관측자료의 실시간 품질관리 실시(’06. 12.)

∙ 국가기상자료 통합 DB 시스템과 연계하여 활용

○ 기상관측시설 및 자료등급 부여(’06. 11.)

-  기상관측자료 품평회 개최(’06. 11.~12.)

○ 유관기관 기술지원방안 수립 및 관측지침서「기상관측표준가이던스」발간(’06. 10.~12.)

○ 국가 기상관측망 설치의 중복 기준 및 조정방안 수립

-  중복 기준 및 조정 방안 수립(’06. 10.~12.)

○ 국가기상자료센터 설립 운영(’07년 이후)


□ 문제점(애로사항) 및 개선방안

○ 기상관측표준화를 위한 시설개선 비용 소요에 대한 각 유관기관의 독자적인 예산확보가 어려움.

○ 기상관측표준화 제도와 기상관측자료의 공동활용 추진시 기상관측 관련기관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함.

- 501 -

6. 황사 관측망 확충 등 황사 예보정확도 향상 대책


□ 추진배경 및 목적

○ 2006. 4. 6 ~ 4. 7 내몽골 부근에서 발생한 황사는 만주와 북한지방을 거쳐 남하하는 이례적인 경로를 밟음.

-  수치예보모델 결과와는 다르게 황사의 농도가 강하고 체공시간도 길어졌음.

○ 황사 예보는 기압계 및 오염물질의 확산에 대한 예측도 병행하여야 하는 어려움 상존

-  황사 예보모델은 황사 발원지의 초기 관측자료 및 토양, 식생정보 등에 따라 정확도에 큰 차이를 보임.

○ 이에 따라, 발원지 및 이동경로상의 관측자료 입수 확대 및 예보모델의 개선을 통해 황사 예보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고자 함. 


□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06년 ~ 2008년

○ 사업내용

-  만주 및 북‧중 접경지역 황사 관측소 추가 설치 등 황사 관측망 확충 

-  황사 예보모델 개선 등 예보기술력 제고

-  24시간 상시 황사예보체제 구축 등 제도 개선

-  황사관련 국제협력 강화


□ 황사 업무 현황과 문제점

가. 국내‧외 황사 관측망 현황

○ 중국내륙 황사발원지 및 이동경로상에 황사관측소 5개소(황사 발원지 3개소, 이동경로상 2개소) 운영 중 

-  5분 간격으로 관측자료를 입수하여 예보에 활용

○ 그러나, 이번 황사와 같이 만주 동남쪽에서 북한지역으로 이동해 오는 경우 관측망 부재로 인해 황사 예보가 어려움.

○ 북한지역의 기상상태를 3시간 간격으로 입수하나, 황사 관측자료는 목측자료로서 정량적 예측에는 부적합함.

○ 한편, 국내에는 21개의 관측소를 운영 중이나 중부내륙지역에는 관측소 부재


- 502 -

나. 황사 예보업무 체제 

○ 황사 예측모델을 자체 개발하여 사용 중이나, 보다 정확한 예보를 위해서는 황사발원지 및 이동경로상의 관측정보 확보 및 예보시간 간격의 단축 필요

-  현재는 1일 2회, 48시간까지의 황사 이동과 농도를 예측

○ 황사 전담예보관 및 전문가팀을 운영 중이나, 24시간 상시운영 체제 필요

-  현재는 주간(1인) 및 황사 예상시 등 한시적 운영

○ 북한지역의 황사관측소 설치를 위한 북한과의 합의 도출과 북한지역에서 남한으로 실시간 자료입수 문제


□ 개선방안

가. 황사 관측망 확충

○ 만주 및 북‧중 접경지역 등에 황사관측소 추가 설치(5개소)

-  KOICA 지원사업으로 중국기상청과 추진 합의(4. 14.)

○ 중국 발원지 및 이동경로상 관측자료 추가 확보

-  중국기상청이 운영하는 황사관측소 자료의 실시간 입수 활용

-  황사 발원지에 설치된 한‧중 황사연구관측탑(3개소) 자료 준 실시간 입수‧활용(’07~)

○ 북한내 황사관측장비 설치 추진(남북협력기금 활용)

- 개성공단, 금강산 지역에 자동기상관측장비와 병행하여 황사관측장비를 설치 추진하고, 향후 3개소 추가설치를 관계당국과 협의 추진

※ 제1차 「남북자연재해방지 실무접촉」시 의제로 반영하여 추진

○ 강원 및 경상도 내륙지역 등 국내 황사관측 공백지역 보강

-  황사관측장비 설치(6개소) : 속초, 춘천, 원주, 안동, 대구, 진주

-  연말까지 설치 추진하여 내년 봄 황사발생시 활용


나. 황사 예보모델 개선 등 예보기술력 제고

○ 모델 입력자료 확대를 통한 황사 예측정확도 제고(’06. 7~)

-  몽골 토양자료 등을 활용한 모델 초기조건 개선(’06. 7~)

-  발원지 3개소의 황사연구관측탑 정보를 활용하여 모델 결과 개선

-  황사연구관측탑 2개소(만주, 몽골) 추가증설(’07~’08)

-  계절별 식생정보 DB를 구축하여 4계절용 황사예보모델 실현(’07. 6~’08. 5)


- 503 -

○ 한반도 지역의 상세 황사 예보모델 연구개발(’06~)

- 1일 4회의 예측자료 생산으로 보다 상세하게 황사농도와 이동경로 예측

○ WMO 황사 국제연구프로젝트에 적극 참여(’06. 11., 북경)

-  발원지 황사관측자료의 공동 활용 및 모델 개발 협력 추진


다. 황사 운영체제 개선

○ 황사 예‧특보기능 강화 : 조기경보센터의 설립(’06~’08년)

-  황사의 24시간 감시, 종합분석, 예‧경보 생산 및 발표, 기술개발 등의 제 능을 종합적으로 수행할 황사조기경보센터의 설립‧운영

※ 1단계 : 예보국내 황사조기경보팀(5인) 운영(’06. 10월)

2단계 : 황사 조기경보센터로 확대(5인→30인) 추진(’07년 소요정원 요구)

○ 기상연구소의 황사연구체제 강화(’06년~)

※ 1단계 : 황사연구팀(현 3인→7인) 조기발족(’06. 5월)

2단계 : 황사연구실(10인)로 확대 개편하여 황사 관련연구 수행(’07년~)

○ 황사특보 기준 및 명칭 개정 검토(’06)

-  현재 2단계로 되어있는 황사특보 기준이 국민의 체감도와 거리가 있어 기준 개정을 위한 기획연구 추진(‘06. 5~10)

『황사전문위원회』구성‧운영

-  황사관련 정책 및 기술개발 자문을 위해 국내 전문가 13인으로 구성(’06. 4. 25. 발족 및 1, 2차 회의 개최)

예보 주요내용 변경사항』정보 수시발표

-  당초 예보한 내용과 황사의 강도‧지속시간 등이 달라질 경우 달라진 내용을 특보사항과 함께 발표(’06. 5시행)


라. 황사 관련 국제협력 강화

○ 황사 발원지 공동조사 실시(’07~)

- 매년초 황사발원지의 토양 및 적설상태, 기류변화 등 현지 방문조

○ 한‧중 양국간 황사발생기간(4개월)중 전문가 상호교류(KOICA 사업)

한‧중 공동 황사관측소(10개소)의 유지관리 및 기술지도 강화(’07~)

- 관측소 현지 방문을 통한 정기 성능검사 실시 및 기술지도

○ 한‧중 기상청간 기상협력관 상주 파견근무 협의 추진

- 504 -

7. 지진‧지진해일 재해경감 대책


□ 추진배경 및 목적

○ 지진⋅지진해일 재난에 대한 대비체계 강화 필요

-  인도양 지진해일(’04년)과 후쿠오카 및 파키스탄 지진(’05년) 등으로 대규모 지진⋅지진해일 피해에 대한 국민 불안감 상존

○ 동해안 국가 기반시설의 안전성 확보에 대한 관심 증대

-  동해안 원자력발전시설 등의 지진 안전성 확보를 위해 동해에서 지진발생시 신속⋅정확한 분석 필요성 대두

○ 지진업무체계 강화를 위한 법적 근거 마련

-  기상법 개정으로 국내 지진자료 교환 등 유관기관과의 협력 활성화 환경 조성

○ 국가간 지진관측정보의 교류 필요성 

-  지진해일 피해 저감을 위한 국제적 합의 및 구체적 협력방안 추진


□ 사업개요

○ 사업기간 : 계속사업

○ 사업내용

-  해저지진계 설치 등 지진 및 지진해일 관측망 확충, 지진 분석 및 통보체계의 개선, 한반도 주변해역 지진해일 경보체계 구축 등


□ 추진실적

○ 지진해일경보시스템 강화를 위한 학‧연‧관 전문가 회의 개최(’05. 1.)

○ 일본기상청으로부터의 수신정보 중 지진해일정보를 최우선으로 조정(’05. 3.)

○ 지진 및 지진해일업무 현대화 계획 수립(’05. 4.)

○ 지진 및 지진해일 One- Stop 분석‧통보시스템 개발 운영(’05. 7.)

○ 해저지진계 설치에 관한 연구 용역사업 완료(’05. 12.)

○ 일본기상청과 협력 강화 (’06. 2. ~ 3.)

-  일본 지진해일경보센터의 국내 지진해일 경보지점 확대(3소→5소)

-  일본기상청 지진관측자료 수신지점 확대(8소→22소)

○ 연속지진 발생(4. 19 및 4. 28 ~ 30) 관련 회의 개최

-  긴급 지진‧지진해일 전문가 회의 개최(’06. 4. 20.)

-   관계기관(산‧학‧연‧관 16개 기관) 대책회의 개최(’06. 5. 12.)

- 505 -

□ 향후계획

○ 정책연구사업 추진

-  최적 국가통합지진관측망 구축 및 운영 제도화 방안에 관한 연구 추진(’06년)

○ 동해 지진 및 지진해일 감시 강화

-  울릉도 남쪽 20km 해역에 해저지진계 설치(’06년)

-  울릉도에 해일파고계 및 시추공지진계 설치(’06년)

○ 내륙 지진관측망 확충

-  단주기지진계(지진분석용) 4소, 가속도지진계(진도측정용) 10소 신설(’06년)

○ 지진 및 지진해일 연구 강화[450억원, 지진방재종합대책(소방방재청)]

-  지진원 특성 규명 및 발생지진 분석기술개발 등 4개 과제


소관

부처

업무(연구과제) 명

추진

기간

추  진  내  용

사업비

(백만원)

지진조기탐지 및 재해지진 정보전파 기술개발

2006.4

~2014.3

지진자료 분석 알고리즘을 자동화, 지진해일 범람 예측모델 개발 및 재해지진 경보 발령시스템을 개발

10,000

지진원 특성 규명 및 발생지진 분석기술개발

2006.4

~2014.3

지진원 기작 도출 기술, 역사지진평가기술, 지진시공간 분포도 작성기술, 단층구조도 작성기술, 응력분포도 작성기술

10,000

지진매질 반응 특성 규명 및 속도구조모델개발

2006.4

~2014.3

지진지체구조도 작성기술, 속도구조모델 개발, 감쇠식 도출기술

15,000

지진전조현상 특성 규명 및 지진해일 예측시스템 개발

2006.4

~2014.3

지진전조현상 특성 분석 기술, 전조현상 감지기술, 지진해일 전파 특성 및 예측 시스템을 개발

10,000

* 2005년 3월 20일 후쿠오카 근해지진에 따른 해일피해 우려 등 우리나라도 더 이상 내륙지진은 물론 지진해일의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인식하에 2005년 3월 22일 국무총리께서 범정부차원의 지진방재종합대책을 수립토록 지시함으로써 지난 2006년 4월 11일 소방방재청은 “지진방재종합대책”을 마련하여 국무회의에 보고하였음.

- 506 -

8. 기상산업육성을 위한 제도 마련


□ 추진배경 및 목적

○ 맞춤형 기상정보 서비스를 담당하는 기상산업은 타 산업에 비해 사업기반이 취약하고, 자본규모가 영세하여 정부차원의 지원 및 육성이 요구되고 있음.

○ 다양한 기상정보에 대한 수요의 증가로 대국민 서비스에 대한 민‧관 역할분담이 요구되고, 민간부문 역할의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기상정보의 관리‧유통을 전담하여 민간부문을 지원하고 기상산업 발전을 위한 가교 역할을 수행할 기상정보지원기관 설립 필요


□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06년 ~ 2010년

○ 사업내용

-  기상산업 진흥을 위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기상산업 진흥법」제정을 위한 연구용역 사업(2006년)

-  가칭 「기상업무서비스 사무처리 규정」제정 및 시행


□ 추진실적

○ 기상업무법을 기상법으로 전부 개정시 “예보사업”을 “기상사업”으로 개정하여 기상사업자의 사업 범위 확대(’05. 12.)

○ 지역특화 산업기상서비스 기술을 개발하여 기상사업자와 공동 마케팅으로 기상산업 육성지원(매출액 약 1억원 증가)

○ 기상정보 이용문화 확산을 위한「대한민국 기상정보대상」포상 실시(’06. 3. 23)


□ 향후계획

○ 가칭 「기상산업진흥법」입법 추진(’07년)

○「대한민국 기상정보대상」제도 운영(계속사업)

○ 지역특화 산업기상서비스 경진대회(계속사업)

○「기상정보지원기관」으로의 안정적 운영을 위한 법적‧제도적 보완

-  가칭 「기상산업진흥법」제정시 지원정책 반영

○ 기상산업 발전을 위한 전문인력 양성

-  기상기술 개발 및 마케팅기법 교육과정 설치

- 507 -

23. 기관 연혁


o 1908년 대한제국 농상공부대신 소속하에 관측소 설치(칙령 제18호 1908.4.1)

-  인천 등 22개소

o 1949년 문교부소속하에 국립중앙관상대 설치(대통령령 제165호 : ’49.8.18)

-  본    부 : 6과

-  소속기관 : 측후소 14, 출장소 2

o 1962년 교통부 소속으로 변경(각령 제887호 : ’62.7.16)

-  본    부 : 6과

-  소속기관 : 측후소 15, 출장소 2, 기상기술양성소 1

o 1963년 국립중앙관상대를 중앙관상대로 명칭변경(각령 제1208호 : ’63.2.12)

-  본    부 : 6과

-  소속기관 : 측후소 17, 기상송신소 1, 기상기술양성소 1

o 1967년 과학기술처소속으로 변경(대통령령 제3001호 : ’67.4.12)

-  본    부 : 6과

-  소속기관 : 측후소 17, 관측소 1, 출장소 4, 기상송신소 1, 기상기술양성소 1

o 1970년 중앙관상대 직제개정(대통령령 제5202호 : ’70.7.18)

-  본    부 : 2부 5과 2담당관

-  소속기관 : 지대 2, 측후소 20, 관측소 3, 분실 80, 송신소 1, 양성소 1

o 1978년 중앙관상대 직제개정(대통령령 제8944호 : ’78.4.15)

-  본    부 : 3국 6과 1담당관

-  소속기관 : 지대 2, 측후소 22, 관측소 3, 분실 49, 연구소 1, 통신소 1, 양성소 1

o 1981년 중앙관상대를 중앙기상대로 명칭변경(대통령령 제10,681호 : ’81.12.31)

-  본    부 : 3국 8과 1담당관

-  소속기관 : 기상대 3, 측후소 21, 관측소 3, 분실 49, 연구소 1, 통신소 1, 양성소 1

o 1987년 중앙기상대 직제개정(대통령령 제12,318호 : ’87.12.15)

-  본    부 : 3국 9과 6담당관

-  소속기관 : 기상대 4, 측후소 25, 관측소 48, 연구소 1, 통신소 1, 연수원 1

- 508 -

o 1990년 기상청 승격(법률 제4268호, 대통령령 제13,188호 : ’90.12.27)

-  본    부 : 3국 11과 6담당관

-  소속기관 : 기상대 4, 측후소 25, 관측소 50, 연구소 1, 통신소 1, 연수원 1


o 1992년 지방기상청 승격, 측후소를 기상대로 개칭(대통령령 제13,614호 : ’92.3.13)

-  본    부 : 3국 11과 12담당관

-  소속기관 : 지방청 4, 기상대 27, 관측소 50, 연구소 1, 통신소 1, 연수원 1

o 1994년 주요계장 직위를 4‧5급 복수직으로 조정(대통령령 제14,115호 : ’94.1.17)

o 1994년 기상청 직제개정(대통령령 제14,379호 : ’94.9.9)

-  영월기상대, 항공교통관제기상대 신설

o 1995년 기상청 직제개정(대통령령 제14,600호 : ’95.4.12)

-  주요과장 및 과장급 담당관의 직위를 3급으로 보할 수 있도록 조정

-  주요계장직위 4‧5급 복수직급 확대

-  기능직 10등급 9인을 9등급으로 상향조정

o 1995년 기상청 직제개정(대통령령 제14,854호 : ’95.12.19)

-  지진담당, 흑산도기상대 신설

o 1996년 복수직급 확대 직제개정(대통령령 제15,040호 : ’96.6.29)

-  소속기관 주요과장 직위에 3‧4급 보직가능

-  주요 예보관 직위 4‧5급 복수직 확대

o 1996년 기상청 직제개정(대통령령 제15,250호 : ’96.12.31)

-  기상연구소 해양기상연구실, 동두천기상대, 청주공항기상관측소 신설

o 1997년 실무인력 조정 등 직제개정(대통령령 제15,462호 : ’97.8.13)

-  본  부 : 5급 5, 연구관 1 증원, 6급이하 18인 감원

-  기상연구소 연구관리과장 4‧5급 복수직급화

o 1998년 기상청 직제개정(대통령령 제15,721호 : ’98.2.28)

-  제주지방기상청 격상, 예보총괄관 폐지

o 1999년 기상청 직제개정(대통령령 제16,014호 : ’99.12.31)

-  기상연수원 폐지, 기획국에 기상교육과 신설

-  본    부 : 3국 12과 12담당관

- 509 -

-  소속기관 : 지방청 5, 기상대 30, 관측소 50, 연구소 1, 통신소 1

o 2000년 기상청 직제개정(대통령령 제16,725호 : 2000.2.28)

-  기상개발관과 기상연구소장을 개방형직위(계약직공무원) 대상으로 보함

o 2000년 기상청 직제개정(대통령령 제16,728호 : 2000.2.28)

-  교육부로부터 해양기상관측선 선원(기능직) 11인 정원이체

o 2000년 기상청 직제개정(대통령령 제16,916호 : 2000.7.27)

-  기상개발관을 정보화관리관으로 개칭, 예보국에 원격탐사과 및 기상홍보과 신설

-  응용기상국을 기후국으로 개편(예보국소속 관측관을 기후국소속 관측관리관으로 개편)

-  부산지방기상청에 해양기상과, 항공기상대 및 백령도고층레이더기상대 신설

-  본    부 : 3국 2관 12과 10담당관

-  소속기관 : 지방청 5, 항공기상대1, 기상대 34, 관측소 42, 연구소 1, 통신소 1

o 2000년 기상청 직제개정(대통령령 제17,081호 : 2000.12.30)

-  기상청장 소속하에 책임운영기관으로 항공기상대 설치

-  정원 90인을 과학기술부령으로 정함

o 2001년 기상청 직제개정(대통령령 제17,421호 : 2001.12.1)

-  상주기상대,진도레이더기상대,문산기상대 및 대구공항기상관측소 신설

-  본    부(1) : 3국 2관 12과 10담당관

-  소속기관(88) : 지방청 5, 항공기상대1, 기상대 37, 관측소 43, 연구소 1, 통신소 1

o 2002년 기상청 직제개정(대통령령 제17,619호 : 2002. 6.1)

-  양양공항기상대 신설 및 속초공항기상관측소 폐지, 지방광역예보기능 지방기상청으로 이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