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여름철 방재기상 대책
2013. 5.
기 상 청
목 차
Ⅰ. 목표 및 추진방향 1
Ⅱ. 여름철 방재기상 대책 2
<선제적 방재 대응>
1. 방재기상조직의 효율적 운영2
2. 현장중심 일대일 맞춤형 기상지원3
3. 집중호우 등 위험기상 분석기술 개선 보급7
4. 동네예보 강수량(적설) 정보 세분화8
<예보관련 제도 개선>
5. 예보업무관련 규정 정비10
6. 태풍정보 가독성 개선 및 조기감시 강화11
7. 도서지역 특보구역 세분화 시범사업 추진13
<기상정보 서비스 개선 및 제공>
8. 방재공무원 전용 모바일 서비스 실시15
9. 선진예보시스템 고도화16
10. 사회적 취약계층을 위한 폭염정보 서비스 확대19
Ⅲ. 참고자료 20
1. 방재기상조직 편성 현황20
2. 비상연락망23
3. 방재기상업무 기간 대비 점검 결과26
4. 각 국(실) 및 소속기관 방재기상 대책27
Ⅰ |
목표 및 추진방향 |
목 표 |
||
선제적 기상정보 제공대책 강화로 국가와 국민의 안전 확보 |
||
|
||
추진방향 |
||
선제적 위험기상 정보 제공과 유관기관 소통 강화 위험기상 분석 및 예측능력 지속 개선 추진 제도개선 통한 방재 기상업무 효율성 제고 맞춤형 기상정보를 확대 제공하여 고객 만족도 제고 |
Ⅱ |
여름철 방재기상 대책 |
1 |
방재기상조직의 효율적 운영 |
□ 목 적
○ 조직의 인력자원을 주요 위험 기상대응 분야에 선별적 투입
○ 분야별 전문역량의 효율적 활용
○ 부서 고유업무의 지속성과 연속성 보장과 비상근무의 내실화 지향
○ 비상근무 참여자의 성취의욕 제고
□ 주요내용
○ 위험기상대응, 상황전파, 태풍분석 등 기상대책반의 기본 역할 보장
— 총괄예보반(현업)과의 소통 강화
○ 예보국 이외의 부서로 구성된 통합지원반의 지원 역할 최소화 및 내실화
— 통합지원반 근무인력을 비상1급 시 최소 11명으로 조정(’10년 24명, ’11년 19명, ’12년 18명)
○ 특별대응반의 태풍분석 지원 강화
— 태풍특별대응 단계별 업무 절차 개편 예정(5월 하순)
— 기상대책반 소속 태풍반(국가태풍센터)과 상호 보완 역할 감안
○ 방재기상지방본부와 중앙방재기상본부간 수평‧수직적 조직 체계를 활용한 지역기상담당관의 유관기관 소통업무 강화
- 2 -
2 |
현장중심 일대일 맞춤형 기상지원 |
수도권 일대일 대응체계 운영
□ 배경 및 목적
○ 수도권 광역지자체 및 방재관계기관과의 원활한 소통을 위하여 기관별 담당자를 상호 지정하여 대응체계 구축
기 상 청 |
관 계 기 관 |
|
본청 예보국 |
⇔ |
서울특별시, 서울지방경찰청, 서울지방국토관리청 |
인천기상대 |
⇔ |
인천광역시, 인천지방경찰청 |
수원기상대 |
⇔ |
경기도, 경기지방경찰청 |
○ 여름철 위험기상 대비 신속한 예‧특보 전달, 수도권 맞춤형 정보제공 등 기상청과 방재관계기관의 유기적 협력으로 방재업무 효율성 향상 도모
□ 추진경과
○ '11.11.24. 겨울철 수도권 방재기상업무협의회 개최
- 기상청 및 수도권 광역지자체‧방재관계기관 협력 방안 논의를 통하여 '11년 겨울철 방재기간 중 일대일 대응체계 구성 합의
○ '11.12.~ 수도권 일대일 대응체계 운영 시작
○ 매년 여름철, 겨울철 방재기간 전 관계기관 부서 및 담당자 재정비 후 운영
□ '13년 여름철 일대일 대응체계 운영계획
○ 재해를 유발하는 주요 기상현상이 겨울철 적설에서 여름철 호우 및 태풍으로 변함에 따라 방재관계기관의 대상 부서를 재편성(5.3)
- 관계기관 각 부서별 담당자 외 24시간 상시연락처 확보
※ ’13년 여름철 수도권 방재기상업무협의회 개최(4.29)
○ '지역 기상담당관*' 확대 운영에 따라 수도권 광역지자체 외 시‧군 단위 기초지자체는 관할지역 기상대에서 기상지원 실시
* 지자체의 기상관련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기상 컨설턴트 역할 수행(행정관리담당관- 1189, '12.3.30.)
- 3 -
지역기상담당관제 운영 활성화
□ 배경 및 목적
○ (배경) 기존의 기상정보 제공방식으로는 재해예방을 위한 지자체의 효과적 의사결정에 한계, 기상정보 활용도 제고를 위한 전문 기상 컨설턴트 필요
※ 기상관서별 관할지역 수 : 평균 3.6개소(최대 12개소/수원기상대)
○ (목적) 일률적ㆍ단편적인 기상청 중심 기상서비스에서 특화된 지역 중심 기상서비스로 전환하여 지방자치단체의 기상관련 의사결정을 지원함으로써 기상재해 예방과 지역산업 생산성 향상에 기여
□ 추진경과
○ (시범운영) 김천, 제천 등 32개 시‧군 대상(’11.7.1 ~ ’12.3.31)
— 대상지역 :「지방청 기능 효율화 시범운영」기상대 관할 지자체 32개소
※ 자동관측 전환에 따른 일근 체제로 전환 후 5~9급 인력 활용
— 성과 : 시범운영 기간 중 지역기상담당관의 적극적 방재활동으로 지자체의 재해예방에 큰 성과
○ (확대운영) 전국 시‧군 등으로 확대(’12.4.1~현재)
— 전국 시‧군 등 181개소 대상 128명의 지역기상담당관 임명
— 지역기상담당관 워크숍 개최(’12.4.16)
— 지역기상담당관 홍보 리플릿 제작 배포(’12.6.4)
— 전국 부지사‧부시장 회의시 제도 홍보 및 적극 활용 요청(’12.6.21)
— 우수 지역기상담당관 포상 및 2012년도 지역기상담당관 우수사례집 발간 배포(‘12.11.23)
□ 운영개요
○ 기간 : 2013. 5. 15.~
○ 대상지역 : 전국 지방자치단체 181개소(첨부 참조)
— 본청 및 5개 지방기상청 관할
○ 운영방법
- 4 -
— 직원 1명이 1~2개소 지방자치단체 담당
— 고유업무와 지역 기상담당관 임무 병행
○ 언론 및 유관기관과의 소통 강화
— 보도자료 제공시간 단축을 통한 방재대응 강화
※ 사전 참고자료 제공(오후 1시) 후 최종 보도자료(오후 4시) 제공
— 언론 및 방재 유관기관의 방재 대응 준비 및 대국민 소통을 위한 충분한 시간 확보
지역 기상담당관 임무 |
||
○ 위험기상 예상ㆍ발생 시 지자체의 신속한 대응을 위한 기상지원 태풍ㆍ호우ㆍ대설 등 위험기상에 대한 신속ㆍ정확한 기상정보 지원 및 방재업무 자문 ○ 지역의 특화된 기상정보 제공 지역 맞춤형 기상지원 등 지역행사ㆍ산업에 특화된 기상정보 요구 대응 기후변화에 따른 지역의 주요 산업 변화, 기후변화 등 분석 지원 ○ 국민건강과 밀접한 기상정보에 대한 올바른 이해 확산 노력 황사, 방사능 등 국민 건강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기상정보에 대한 즉각적이고 정확한 정보 전달(교육, 관련자료 배포 등) ○ 지역 내 주요회의 및 행사 등 참석을 통한 지역 오피니언 리더와 소통 강화, 기상 브리핑 실시 |
1 : 1 기상지원
위험기상시 방재업무 자문
특화된 기상정보 제공
황사 등 기상관련 교육
주요회의 참석 기상브리핑
[지역 기상담당관] [지방자치단체] [활용분야]
다분야 활용
기상재해 경감
지역경제 활성화
기상과학 이해확산
지자체 소통 강화
□ 향후계획
○ 유관기관과 지역기상담당관제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5월)
○ 지역기상담당관 워크숍 개최(6월)
○ ‘13년~14년도 지역기상담당관 운영예산 확보(6월)
○「기상청과 그 소속기관 직제 시행규칙」지역기상담당관 직무범위 규정 반영(12월말까지)
○ 지역기상담당관 우수사례 발간 등 포상(11월)
- 5 -
[첨부] 지역 기상담당관 운영 지방자치단체 현황
기관명 |
관할지역 |
지자체 및 운영수 |
총 계 |
181 |
|
본청 관할 소계 |
3 |
|
본청(예보국) |
서울특별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소방방재청 |
3 |
부산지방기상청 관할 소계 |
48 |
|
부산지방기상청 |
부산광역시, 기장군, 김해시 |
3 |
대구기상대 |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경산시, 달성군, 고령군, 청도군 |
6 |
구미기상대 |
김천시, 구미시, 군위군, 성주군, 칠곡군 |
5 |
포항기상대 |
포항시, 경주시, 영천시 |
3 |
안동기상대 |
안동시, 의성군, 청송군 |
3 |
상주기상대 |
상주시, 문경시, 영주시, 예천군 |
4 |
울진기상대 |
울진군, 영덕군, 영양군, 봉화군 |
4 |
울산기상대 |
울산광역시, 밀양시, 양산시, 울주군 |
4 |
창원기상대 |
경상남도, 창원시, 의령군, 창녕군, 함안군 |
5 |
진주기상대 |
사천시, 진주시, 산청군, 하동군 |
4 |
거창기상대 |
거창군, 함양군, 합천군 |
3 |
통영기상대 |
거제시, 통영시, 고성군, 남해군 |
4 |
광주지방기상청 관할 소계 |
40 |
|
광주지방기상청 |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나주시, 담양군, 화순군 |
5 |
전주기상대 |
전라북도, 전주시, 무주군, 완주군, 진안군 |
5 |
남원기상대 |
남원시, 순창군, 임실군, 장수군 |
4 |
정읍기상대 |
정읍시, 부안군, 장성군 |
3 |
군산기상대 |
군산시, 김제시, 익산시 |
3 |
고창기상대 |
고창군, 영광군, 함평군 |
3 |
목포기상대 |
목포시, 무안군, 신안군, 영암군 |
4 |
여수기상대 |
여수시, 고흥군, 보성군 |
3 |
순천기상대 |
순천시, 광양시, 구례군, 곡성군 |
4 |
완도기상대 |
완도군, 장흥군, 해남군, 강진군 |
4 |
진도기상대 |
진도군 |
1 |
흑산도기상대 |
흑산면 |
1 |
대전지방기상청 관할 소계 |
67 |
|
대전지방기상청 |
충청남도, 대전광역시, 계룡시, 공주시, 금산군, 논산시 |
6 |
천안기상대 |
천안시, 아산시, 연기군, 예산군 |
4 |
서산기상대 |
서산시, 당진시, 홍성군, 태안군 |
4 |
보령기상대 |
보령시, 부여군, 서천군, 청양군 |
4 |
청주기상대 |
충청북도, 청주시, 괴산군, 진천군, 증평군, 청원군 |
6 |
충주기상대 |
충주시, 제천시, 음성군, 단양군 |
4 |
추풍령기상대 |
영동군, 옥천군, 보은군 |
3 |
인천기상대 |
인천광역시, 김포시, 부천시, 광명시, 시흥시, 강화군, 옹진군 |
7 |
백령도기상대 |
서해5도 |
1 |
수원기상대 |
경기도, 수원시, 과천시, 군포시, 안양시, 의왕시, 성남시, 용인시, 안성시, 화성시, 오산시, 평택시, 안산시 |
13 |
이천기상대 |
이천시, 광주시, 하남시, 양평군, 여주군 |
5 |
동두천기상대 |
동두천시, 남양주시, 구리시, 포천시, 연천군, 가평군 |
6 |
문산기상대 |
고양시, 양주시, 의정부시, 파주시 |
4 |
강원지방기상청 관할 소계 |
20 |
|
강원지방기상청 |
강릉시 |
1 |
춘천기상대 |
강원도, 춘천시, 홍천군, 인제군, 양구군 |
5 |
원주기상대 |
원주시, 횡성군 |
2 |
동해기상대 |
동해시, 삼척시, 태백시 |
3 |
속초기상대 |
속초시, 고성군, 양양군 |
3 |
철원기상대 |
철원군, 화천군 |
2 |
영월기상대 |
영월군, 정선군 |
2 |
대관령기상대 |
평창군 |
1 |
울릉도기상대 |
울릉군 |
1 |
제주지방기상청 관할 소계 |
3 |
|
제주지방기상청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
2 |
서귀포기상대 |
서귀포시 |
1 |
- 6 -
3 |
집중호우 등 위험기상 분석기술 개선 보급 |
□ 위험기상 가이던스 활용
○ 개념모델기반(손에 잡히는 예보기술 참조) 호우, 대설, 강풍, 풍랑 가이던스
— 지역 통합모델에 알고리즘을 반영하여 +72시간까지 예비특보 활용
○ AWS 기반 위험(호우, 강풍) 감시(주의보‧경보 도달 위험 지역) 가이던스
— 5단계 감시 : 경계 ⇒ 주의보위험 ⇒ 주의보 ⇒ 경보위험 ⇒ 경보
○ 호우발생 확률예측(기계학습 : 6시간 50mm, 12시간 90mm) 가이던스
— 다양한 기계학습을 적용하여 1,440 의사결정 나무를 통해 호우발생 확률예측
□ 여름철 위험기상 분석 및 예측기술 경험과 지식 공유
○ 호우예측 실패 사례분석, 최신 기상기술 등 공유(총 13회, 22과제)
— 기간/장소 : 매주 1~2회(5~6월, 18:30~) / 국가기상센터(영상회의시스템 활용)
— 참석대상 : 본청 및 소속기관 예보관 및 예보업무 관계자
□ 『손에 잡히는 예보기술연구회』 운영
○ 뇌우 감시, 추적, 예측 및 계절별 위험기상을 주제로 연구
○『손에 잡히는 예보기술』 매월 발간 및 상‧하반기 종합본 발간
□ 예보관 고급 훈련기술서 발간
○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위험기상 사례(호우 3, 대설 2)에 대한 종합분석서
○ 각 전문분야별 학계‧기상청 전문가단이 참여하는 포럼형식으로 분석
— 대기 분석 및 예보, 대기역학, 레이더기상학, 위성기상학, 수치예보, 대기물리 등
- 7 -
4 |
동네예보 강수량(적설) 정보 세분화 |
◈ 동네예보 강수량 예보를 시간적으로 2배 세분화하고, 호우특보와의 연계성을 강화하여 최근 급증하는 집중호우 사전대비 능력 강화 - 누적기간 : (현재) 12시간 단위 누적강수량 → (개선) 6시간 단위 누적강수량 - 최 대 값 : (현재) 최대 50mm이상/12시간 → (개선) 최대 70mm이상/6시간 ◈ '13년 여름철 방재기간(5.15.~10.15.) 중인 5.30. 시행 |
□ 현황 및 문제점
○ 동네예보 시행('08.10) 이후 48시간까지 3시간 간격으로 예보요소를 제공하고 있으나, 강수량(적설)은 12시간 간격으로 생산‧제공
○ 최근 집중호우 증가 추세로 12시간 단위, 최대 50mm 이상까지만 표현하는 동네예보 강수량 예보 표현 개선 필요성 제기
※ '11년 호우특보 개편(70mm/6시간, 110mm/12시간)에 따라 동네예보 강수량 정보가 호우특보 기준과 불일치
□ 추진경과 및 계획
○ 동네예보 강수량(적설) 12시간→6시간 상세화, 표현구간 개선 및 의견수렴 완료(‘13.2)
예보구간 |
1 |
2 |
3 |
4 |
5 |
6 |
7 |
12시간 강수량 (현재) |
1mm 미만 |
1- 5mm |
5- 10mm |
10- 25mm |
25- 50mm |
50mm 이상 |
|
6시간 강수량 (개선) |
1mm 미만 |
1- 5mm |
5- 10mm |
10- 20mm |
20- 40mm |
40- 70mm |
70mm 이상 |
6시간 적설 (개선) |
1cm |
1- 5cm |
5- 10cm |
10- 20cm |
20cm 이상 |
○ 동네예보시스템 개선 및 내부 시험운영(5월 중순), 대국민 서비스(5.30)
※ 동네예보 강수량 GRIB포맷 변경(6시간)관련 기상사업자 설명회 개최(4.19)
□ 기대효과
○ 동네예보 핵심요소인 강수량(적설) 정보의 상세화를 통해 방재관련 기관의 위험기상 대응 역량 지원, 대국민 서비스 향상
- 8 -
□ 세부 변경사항
○ 동네예보편집기 반영(편집기 입력창)
— 예보편집기 개선(5월 중순) → 교육 및 시험운영 → 현업화(5.30)
※ 호우‧대설특보와 일관성을 위한 확인절차 반영
○ 동네예보 6시간 강수량 가이던스 개선(5.15)
— UM(전구 및 지역), ECMWF 모델 6시간 누적강수량 자료 추가 제공
※ 동네예보에 맞추어 일계기준 6시간 누적강수량 산출
○ 배포용 GRIB자료 생산시간
발표시각 (UTC) |
발표시각 (KST) |
12시간 강수/적설 |
|||||
오늘 |
내일 |
모레 |
|||||
오전 |
오후 |
오전 |
오후 |
오전 |
오후 |
||
17 |
2 |
○ |
○ |
○ |
○ |
|
|
20 |
5 |
○ |
○ |
○ |
○ |
○ |
|
23 |
8 |
○ |
○ |
○ |
○ |
○ |
|
2 |
11 |
|
○ |
○ |
○ |
○ |
|
5 |
14 |
|
○ |
○ |
○ |
○ |
|
8 |
17 |
|
○ |
○ |
○ |
○ |
○ |
11 |
20 |
|
○ |
○ |
○ |
○ |
○ |
14 |
23 |
|
|
○ |
○ |
○ |
○ |
발표시각 (UTC) |
발표시각 (KST) |
6시간 강수/적설 |
|||||||||||
오늘 |
내일 |
모레 |
|||||||||||
오전 |
오후 |
오전 |
오후 |
오전 |
오후 |
||||||||
17 |
2 |
○ |
○ |
○ |
○ |
○ |
○ |
○ |
○ |
||||
20 |
5 |
○ |
○ |
○ |
○ |
○ |
○ |
○ |
○ |
○ |
|||
23 |
8 |
○ |
○ |
○ |
○ |
○ |
○ |
○ |
○ |
○ |
|||
2 |
11 |
○ |
○ |
○ |
○ |
○ |
○ |
○ |
○ |
||||
5 |
14 |
○ |
○ |
○ |
○ |
○ |
○ |
○ |
○ |
||||
8 |
17 |
○ |
○ |
○ |
○ |
○ |
○ |
○ |
○ |
○ |
|||
11 |
20 |
○ |
○ |
○ |
○ |
○ |
○ |
○ |
○ |
○ |
|||
14 |
23 |
○ |
○ |
○ |
○ |
○ |
○ |
○ |
○ |
- 9 -
5 |
예보업무관련 규정 정비 |
□ 배경 및 목적
○「기상청과 그 소속기관 직제」(대통령령 제24448호, 2013.3.23. 공포‧시행) 및 동 시행규칙(환경부령 제504호, 2013.3.23. 공포‧시행) 개정
○ 주간예보 발표 관서 명확화, 통합지원반의 임무, 부서명칭 변경 등을 반영하여 예보업무 및 방재기상업무의 효율성 제고
□ 주요내용
○ 방재기상운영규정 개편
- 방재기상업무협의회 운영근거 마련
▪ 협의회 참석대상, 개최 시기 및 횟수 등을 명시
○ 예보업무규정 개편
- 세종특별자치시 출범에 따른 지역방재기상서비스 관서 및 특보 관서 변경
- 행정구역 명칭 변경에 따른 예보구역 수정
▪ 기존 당진군을 “당진시”로 변경, 여주군을 “여주시”로 변경 등
- 해상국지예보구역의 구역 명칭 변경
▪ 기존 경기북부앞바다를 “인천‧경기북부앞바다”로 변경
- 주간예보 발표 관서 명확화
▪ 주간예보 발표관서 수행 기관 구체적 명시
▪ 오전/오후 세분화된 예보체계 반영
- 항공예보 관련 제23조~제29조 전면 개정
□ 경과 및 추진일정
○ 개선(안) 마련 및 의견조회(전 부서) : ~ 5.13.(월)
○ 개선안 심사요청(행정관리담당관) 및 등록 : 5월 3주 ~ 5주
○ 개선안 시행 : 5.31.(금)
- 10 -
6 |
태풍정보 가독성 개선 및 조기감시 강화 |
□ 태풍 통보문 개선
○ 태풍정보에 대한 가독성 향상 및 실시간 태풍위치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식제고
— 태풍위치 70%확률범위를 그래픽으로 개선하여 제공(태풍영향범위는 신규 도입, 시험운영
[태풍통보문 개선]
기 존 |
개 선 |
|
|
※ 태풍통보문의 가독성 강화를 위해 강풍반경(15m/s이상)과 70%확률반경(예보오차의 70%)을 복잡한 원형에서 음영형태로 표현방식 개선(필요시 옵션으로 강풍반경 동시 제공)
※ 70%확률반경은 최근 3년(’10- ’12년)자료로 업데이트하여 기본 적용
※ 중심위치 불확실성이 높을 경우: 삽입문구(예: “태풍이 약화단계로서 위치의 불확실성이 높으니 유의 바람”) 제공
□ 태풍 조기감시 강화
○ 열대저압부(TD) 24시간 예보 시범 제공
— 태풍발생 초기단계인 열대저압부의 현재 위치‧강도와 +24시간 예상위치‧강도‧이동방향 및 속도 등의 정보포함
— 태풍의 생성/소멸 단계에서 가능한 재해에 대한 대비 차원
— 방재홈페이지에 제공(기상청홈페이지 대국민 제공은 2014년 예정)
- 11 -
[열대저압부(TD) 예보(시범운영)]
|
▸24시간 예보 ▸예상위치와 70% 확률범위 제공 - 70%확률범위(붉은색 범위) ▸ TD가 24시간 내 태풍으로 발달할 것으로 예상되거나, 태풍이 TD로 약화되었으나 기상특보가 발효 중인 경우에 대해서만 예보 |
[참고] 태풍 장기예측정보 제공
○ 현업 장기예보 지원을 통한 여름철(5월) 및 가을철(8월) 계절예측자료 제공
— 태풍의 발생빈도 및 활동 영역변화에 대한 계절예측정보
- 12 -
7 |
도서지역 특보구역 세분화 시범사업 추진 |
□ 배경 및 필요성
○ 현행 특보운영체계는 시‧군 단위의 행정구역에 기반하고 있어 육상과 도서를 포함하는 지자체의 동일 특보구역 내에서도 기상특성이 상이한 경우 발생
○ 도서지역에만 특보기준이 해당 될 경우에도 내륙을 포함한 행정구역 전체에 특보가 발표되므로 과도한 행정력 낭비라는 지적과 함께 개선 요구(인천광역시)
□ 시범사업 대상 선정과 추진방안
○ (현재) 인천광역시 중 서해5도와 강화군은 특보구역을 분리하여 운영 중
○ (개선) 인천광역시에서 옹진군을 분리, 특보구역으로 신설하여 인천기상대 관할 특보구역을 세분화
□ 시범운영 계획
○ 시행시기/대상지역 : 2013. 5. 하순/인천광역시, 강화군, 서해5도
○ 구역설정
|
⇒ |
|
<현행> |
<개선> |
현재 |
개선 |
지역방재기상 서비스관서 |
특보 관서 |
||
구역 명칭 |
해당 지역 |
구역 명칭 |
해당 지역 |
||
인천광역시 |
인천광역시(서해5도, 강화군 제외) |
인천광역시 |
인천광역시(서해5도, 강화군, 옹진군 제외) |
인천기상대 |
인천 기상대 |
옹진군 |
인천광역시 옹진군(백령도ㆍ대청도ㆍ소청도ㆍ연평도 제외) |
||||
강화군 |
인천광역시 강화군(우도제외) |
강화군 |
인천광역시 강화군(우도제외) |
||
서해5도 |
인천광역시 중 옹진군 백령도ㆍ대청도ㆍ소청도ㆍ연평도, 강화군 우도 |
서해5도 |
인천광역시 중 옹진군 백령도ㆍ대청도ㆍ소청도ㆍ연평도, 강화군 우도 |
백령도기상대 |
- 13 -
□ 추진현황
[’12년도까지 추진 현황]
○ '11년 하반기 전국예보관계관회의에서 호우특보구역 검토 요청(대전청)
— 인천의 행정구역에 옹진 및 강화 등 여러 섬이 편입되면서, 인천내륙과 도서지방이 동일 특보권으로 운영되어 지자체 방재업무 효율성 저하
○ '12년 상·하반기 전국예보관계관회의에서 세분화 방안 논의('12.4./'12.10.)
○ '12년 수도권 방재기상업무협의회에서 세분화 추진 계획 소개('12.5./'12.11.)
○ 도서지역 특보구역 세분화 추진과 관련하여 정책연구용역 수행
— 태풍특보 현실화 및 지역별 특보 체계마련을 위한 중장기발전 전략 수립 ('12.2.17.~6.14./66,000천원)
○ 인천광역시 등 도서지역을 포함한 지자체의 특보구역 개편 계획 수립('12.6.29.)
[’13년도 추진 현황]
○ ’13년 예보국 주요업무 추진계획 반영
— 재해대응 효율성 향상을 위한 특보구역 세분화
○ 내‧외부 정책 소개 및 의견 조회
- 소방방재청 방문 설명 : ’13. 3.12.(화)
- 인천기상대, 인천광역시 협의 : ’13. 3.22.(금)/인천기상대 회의실
- 수도권 방재기상업무협의회 : ’13.4.29.(월)
○ 특보구역 세분화 시범운영 계획(안) 내부결재 : ’13. 5. 10.
□ 추진일정
○ 특보시스템 및 외부 표출 개선: ’13.5.13.~24.
○ 인천광역시 특보구역 세분화 시범운영: ‘13. 5. 하순
□ 향후계획
○ 1년간 시범운영 및 평가 후 정식운영 결정('14년 상반기)
○ 추자도(제주), 거문도(여수), 어청도(군산), 외연도(보령) 등 육상에서 원거리에 위치하여 기상특성이 상이한 도서지역에 대한 특보구역 세분화 확대 검토
- 14 -
8 |
방재공무원 전용 모바일 서비스 실시 |
□ 사용자가 설정한 지역에 대한 맞춤형 정보 제공
○ 유관기관 및 지자체 방재담당자가 재해현장에서 스마트폰으로 각종 기상정보를 확인‧판단하는 서비스
○ 기상정보 관심지역을 직접 선택 또는 위치정보를 따라 자동 설정
□ 서비스 내용
○ 예보‧특보 : 사용자가 설정한 지역의 해당 예‧특보 우선 제공
○ 실황 : 지상, 해상, 위성, 레이더, 낙뢰 분포를 지역중심으로 표출
※ 담당지역이 화면 중앙에 약 절반 정도 크기로 나오게 제공
□ 이용방법
○ 기상청 수요자맞춤형 통보시스템 회원가입 후 이용
○ 지역기상담당관을 통해 서비스 대상을 우선 선정 후 시험운영
○ 시험운영기간 동안 미비점 및 보완사항을 개선하여 서비스 확대
□ 추진일정
○ 시험운영 개시(’13.5)
○ 서비스 확대 및 사용자 의견수렴(’13.6~10)
○ 정식운영 개시(’13.11)
|
|
|
< 접속화면 > |
< 지역별 특보 제공 > |
< 날씨영상 지역 이동 > |
- 15 -
9 |
선진예보시스템 고도화 |
○ 선진예보시스템 구축 및 운영사업은 ‘스마트예보시스템’, ‘예보기술 과학화’, ‘예보관 훈련 시스템’, ‘수요자 중심 서비스’, ‘현업 운영’, ‘사회적 확산’ 등 6개 분야 19개 세부과제로 구성
○ ’13년 여름철 방재기간을 대비하여 5월 중으로 우선 4개 과제에 대한 시험운영 및 현업화 추진
□ 예보 응용 추진
○ 동네예보시스템 고도화
— 강수량 및 적설 예보구간 세분화(기존 12시간 ⇒ 6시간) 기능 구현
(시계열 편집창, 썸네일 보기, 품질검사, 가이던스 비교 표출 개선 등)
— 강수량 구간 확대(6구간 ⇒ 7구간) 및 최대값 상향(50mm이상 ⇒ 70mm이상)
- 16 -
○ 협업 메신저 고도화
— 서버 이중화로 안정적 운영(장애발생시 신속한 대체 복구 가능) 강화
— 파일전송기능 개발 및 TTS 기능 개선
— 예보 기관과 협업 기관의 권한에 따른 표출로 신속한 소통 강화
○ 모바일 기상분석 및 모바일 기상통보 서비스 운영
— 모바일 기상분석 : 예보관이 외부나 이동 중에도 스마트폰, 태블릿PC를 이용하여 기상자료를 감시, 분석할 수 있도록 지원
※ 실황(지상, 해양, 위성, 레이더), 예보, 특보, 정보, 일기도, 수치예측자료
— 모바일 기상통보 : 유관기관 및 지자체 방재담당자가 재해 현장에서 각종 기상정보를 확인하여 방재 의사결정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
※ 방재담당자가 설정한 지역의 실황, 예보, 특보, 맞춤형 통보 제공
- 17 -
○ 수요자 맞춤형 통보서비스 강화
— 기상정보(기상속보 포함) 및 멀티미디어 정보(이미지 파일 등) 추가 제공
— 각 콘텐츠(기상정보와 멀티미디어) 생산의 단순화로 정보의 활용 증대
□ 향후 계획
○ 각 지방청별 예보관 활용 교육(5월 중순~하순, 각 지방청별 실시)
○ 시험운영 및 현업화
— 동네예보시스템 고도화 : 시험운영(5월 중순) ⇒ 현업화(5월 30일)
— 협업 메신저 고도화 : 시험운영(5월 하순) ⇒ 현업화(6월 상순)
— 모바일 기상분석 / 기상통보 : 시험운영(5월 중순) ⇒ 현업화(5월 하순)
— 멀티미디어 기상정보 : 시험운영(5월 하순) ⇒ 현업화(6월 상순)
○ 오류 개선 및 인터페이스 개선(계속)
- 18 -
10 |
사회적 취약계층을 위한 폭염정보 서비스 확대 |
□ 배경 및 목적
○ 지구온난화에 따른 폭염의 발생빈도 증가 및 강도 심화에 따라 사회적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폭염에 대한 선제적 대응 필요
○ 폭염특보 발표 시 노인돌보미, 농촌지역 이장단 등을 중심으로 해당지역의 폭염정보를 SMS로 제공함으로써 폭염으로 인한 피해경감(’11.~)
□ 제공내역
○ 제공방법 : SMS 문자정보
○ 제공정보 : 폭염주의보 및 경보 등 폭염특보 발표현황 정보제공
|
▶ |
|
폭염특보 발표 |
문자서비스 |
□ 진행상황
○ 중앙부처 및 수도권 지자체와 협조하여 SMS 대상자 파악(’13. 4~5)
— 협조기관: 보건복지부, 인천광역시(옹진군, 강화군 포함), 경기도 등
○ 소속기관은 해당 지자체와 협조하여 추진 중(’13. 4~5)
○ SMS 대상자 그룹 생성 및 입력(’13. 5)
※ 실적(전국) : ’11년 6,000 여명, ’12년 11,000 여명
○ 폭염 관련 SMS 제공(’13. 6~9)
※ 폭염정보 SMS 수신 대상
— 농‧어촌 지역에 거주하는 이장단
— 노인계층을 지원하는 담당공무원 및 노인돌보미
— 쪽방촌 상담사(쪽방촌 상담소) 및 담당공무원, 자원봉사자
— 그 외 취약계층을 지원하는 담당공무원 또는 자원봉사자 등
- 19 -
Ⅲ |
참고자료 |
1 |
방재기상조직 편성 현황 (2013. 5월 현재) |
□ 방재기상조직
※ 방재기상운영규정 별표1 : 제2조제1항 관련(개정안)
중앙방재기상본부장(청장) |
||||||||||||||||||||||
중앙방재기상부본부장(차장) |
||||||||||||||||||||||
특별대응반 |
방재기상본부장 (예보국장) |
방재지진본부 |
||||||||||||||||||||
방재기상지방본부 (지방청, 항공청, 국가기상위성, 기상레이더센터) |
||||||||||||||||||||||
기상대책반장 (예보정책과장) |
||||||||||||||||||||||
총괄예보반 (총괄예보관) |
통합지원반 |
|||||||||||||||||||||
위험기상대응반 |
상황반 |
태풍반 |
대변인실 기획조정관 운영지원과 수치모델관리관 관측기반국 기후과학국 기상산업정보화국 |
|||||||||||||||||||
- 20 -
□ 통합지원반의 임무 및 방재비상단계별 비상근무 인원
※ 방재기상운영규정 별표2 : 제4조제3항, 제6조제3항 관련(개정안)
구 분 |
경계근무 |
비상2급 |
비상1급 |
임무 및 역할 |
||||
구성 |
명 |
구성 |
명 |
구성 |
명 |
|||
대변인실 |
총괄 |
- |
- |
- |
- |
정책홍보 팀장 |
(1) |
언론취재대응 자료제공, 보도자료 배포 |
반장 |
사무관 |
(1) |
사무관 |
(1) |
사무관 |
(1) |
||
반원 |
주무관 |
(1) |
주무관 |
(1) |
주무관 |
1 |
||
기획 조정관실 |
총괄 |
과장 |
과장 |
과장 |
(1) |
예산‧조직 관리 및 행정지원 |
||
반장 |
사무관급 이상 |
사무관급 이상 |
(1) |
사무관급 이상 |
(1) |
|||
반원 |
사무관/ 주무관 |
(1) |
사무관/ 주무관 |
(1) |
사무관/ 주무관 |
1 (1) |
||
운영 지원과 |
총괄 |
과장 |
- |
과장 |
- |
과장 |
(1) |
시설물 관리 및 행정지원 |
반장 |
사무관급 이상 |
- |
사무관급 이상 |
(1) |
사무관급 이상 |
(1) |
||
반원 |
사무관/ 주무관 |
(1) |
사무관/ 주무관 |
(1) |
사무관/ 주무관 |
1 (1) |
||
수치모델 관리관 |
총괄 |
과장급 이상 |
- |
과장급 이상 |
- |
과장급 이상 |
(1) |
발생현상과 연관된 수치모델결과 분석정보 제공 수치모델개발과장은 위험기상대응반장을 수행할 수 있음 |
수치지원반원 |
사무관/ 주무관 |
- |
사무관/ 주무관 |
1 (1) |
사무관/ 주무관 |
1 (1) |
||
슈퍼컴 운영반장 |
사무관급 이상 |
- |
사무관급 이상 |
(1) |
서기관급 이상 |
1 |
||
슈퍼컴반원 |
사무관/ 주무관 |
(1) |
사무관/ 주무관 |
1 |
사무관/ 주무관 |
1 |
||
관측 기반국 |
총괄 |
- |
- |
과장 |
- |
과장 |
(1) |
기상관측망 감시 발생 현상별 관련 정보 제공 |
반장 |
사무관급 이상 |
(1) |
사무관급 이상 |
(1) |
사무관급 이상 |
1 |
||
반원 |
사무관/ 주무관 |
(1) |
사무관/ 주무관 |
1 |
사무관/ 주무관 |
1 (1) |
||
기후 과학국 |
총괄 |
- |
- |
과장 |
(1) |
과장 |
(1) |
발생 현상별 원인분석 정보제공 |
반장 |
사무관급 이상 |
(1) |
사무관급 이상 |
(1) |
사무관급 이상 |
(1) |
||
반원 |
사무관/ 주무관 |
(1) |
사무관/ 주무관 |
(1) |
사무관/ 주무관 |
1 (1) |
||
기상산업 정보화국 |
총괄 |
- |
- |
과장 |
- |
과장 |
(1) |
정보교환 현업지원 기후자료 제공 등 |
반장 |
사무관급 이상 |
(1) |
사무관급 이상 |
(1) |
사무관급 이상 |
1 |
||
반원 |
사무관/ 주무관 |
(1) |
사무관/ 주무관 |
1 - |
사무관/ 주무관 |
1 (1) |
||
소 계 |
(11) |
4 (13) |
11 (17) |
※ ( )는 각 국실 책임자의 판단에 따라 추가되는 비상근무자임
※ 통합지원반원은 임무 수행이 용이한 사무실에서 근무를 원칙적으로 하되, 방재기상본부장이 지정한 자는 국가기상센터에서 근무하여야 한다.
- 21 -
□ 기상대책반의 비상근무 인원
※ 방재기상운영규정 별표4 : 제6조제2항 관련(개정안)
구 분 |
경계근무 |
비상2급 |
비상1급 |
||||
구성 |
명 |
구성 |
명 |
구성 |
명 |
||
방재기상본부장 |
예보국장 |
(1) |
예보국장 |
1 (1) |
예보국장 |
1 |
|
기상대책반장 |
예보정책과장 |
예보정책과장 |
예보정책과장 |
1 |
|||
위험 기상 대응반 |
반장 |
사무관급 이상 |
1 |
사무관급 이상 |
1 |
사무관급 이상 |
1 |
반원 |
사무관/ 주무관 |
1 (1) |
사무관/ 주무관 |
1 (2) |
사무관/ 주무관 |
1 (2) |
|
상황반 |
반장 |
사무관급 이상 |
(1) |
사무관급 이상 |
1 |
사무관급 이상 |
1 |
반원 |
사무관/ 주무관 |
1 (1) |
사무관/ 주무관 |
1 (2) |
사무관/ 주무관 |
1 (2) |
|
태풍반 |
반장 |
센터장 |
(1) |
센터장 |
(1) |
센터장 |
(1) |
반원 |
연구관(사)/ 주무관 |
(2) |
연구관(사)/ 주무관 |
(2) |
연구관(사)/ 주무관 |
(2) |
|
통합지원반 |
각 국‧실 비상근무자 |
※ ( )는 방재기상본부장의 상황 판단에 따라 추가되는 비상근무자임
※ 불가피한 사유로 해당자가 그 직무를 수행할 수 없을 때에는 직하급자가 이를 대행한다.
- 22 -
2 |
비상연락망 (관계기관) |
□ 방재관계기관 담당자 현황
○ 중앙기관(방재기상업무협의회 위원)
기관명 |
기관 및 부서명 |
담당자 |
전화번호 |
국방부 |
전력자원관리실 재난관리지원과 |
이상웅 과장 |
|
농림축산식품부 |
농업정책국 재해보험팀 |
전한영 팀장 |
|
보건복지부 |
기획조정관 비상계획관 |
오재복 과장 |
|
환경부 |
환경정책실 기후대기정책과 |
정복영 과장 |
|
국토교통부 |
건설수자원정책실 하천운영과 |
정희규 과장 |
|
해양수산부 |
기획조정실 비상안전담당관 |
최정호 사무관 |
|
경찰청 |
경비국 위기관리센터 |
전병용 과장 |
|
소방방재청 |
방재관리국 방재대책과 |
박종윤 과장 |
|
농촌진흥청 |
농촌지원국 재해대응과 |
김성일 과장 |
|
산림청 |
산림보호국 산사태방지과 |
이명수 과장 |
|
해양경찰청 |
경비안전국 수색구조과 |
윤병두 과장 |
|
국립공원관리공단 |
탐방지원처 재난안전부 |
김진광 부장 |
|
한국수자원공사 |
수자원사업본부 물관리센터 |
정구열 센터실장 |
|
한국도로공사 |
도로처 방재총괄팀 |
권오근 팀장 |
- 23 -
○ 수도권 관계기관(일대일 대응체계)
— 서울특별시
기상청 본청 |
서울특별시 및 서울지방 경찰청/국토관리청 |
|||||
담당부서 |
담당자 |
연락처 |
담당부서 |
담당자 |
연락처 |
|
예보정책과 예보기술 분석과 총괄예보관 |
① 조남산 사무관 ② 조구희 주무관 ③ 김성묵 사무관 예보관/통보관 |
⇔ |
서울특별시 도시안전실 하천관리과 (치수계획팀) |
임춘근 팀장 함명수 주무관 |
||
서울지방경찰청 교통지도부 교통안전과 |
정용우 과장 장삼종 경위 |
|||||
서울지방 국토관리청 하천국 하천공사과 |
류공수 과장 정영준 계장 위성붕 담당 |
※ 기상청 예보정책과장은 서울특별시 하천관리과장(02- 2133- 3861, 010- 8741- 5851)과 직접 통화
— 인천광역시
인천기상대 |
인천광역시청 및 인천지방경찰청 |
|||||
담당부서 |
담당자 |
연락처 |
담당부서 |
담당자 |
연락처 |
|
인천기상대 |
대표번호 ① 임장수 사무관 ② 김주희 주무관 예보관 |
⇔ |
인천광역시 소방안전본부 재난관리과 (방재대책팀) |
이금호 팀장 김인재 주무관 |
||
인천광역시 건설교통국 도로과 |
이준원 팀장 |
|||||
인천지방경찰청 경비교통과 |
오승환 경위 |
— 경기도
수원기상대 |
경기도청 및 경기지방경찰청 |
|||||
담당부서 |
담당자 |
연락처 |
담당부서 |
담당자 |
연락처 |
|
수원기상대 |
대표번호 ① 김철훈 주무관 ② 이현정 주무관 예보사 |
⇔ |
경기도 기획행정실 재난대책담당관 |
홍덕표 담당관 박상준 자문관 박용인 주무관 |
||
경기도 교통건설국 교통도로과 |
전경훈 사무관 전용균 주무관 |
|||||
경기지방경찰청 경비과 |
최선규 경위 |
- 24 -
○ 핫라인(국가기상센터 설치)
BH상황실(위기관리센터) |
BH경호처 |
합참본부 상황실 |
서울시 재대본 상황실 |
해양경찰청 상황실 |
KBS |
한국도로공사 |
- |
○ 기 타
— 전력거래소
▪ 김우선실장(), 전경희차장()
▪ 기상청 퇴직자: 김남길(), 장익순()
— 소방방재청 기상청 파견자()
▪ 박창수사무관, 송기옥사무관, 김창열주무관
- 25 -
3 |
방재기상업무 기간 대비 점검 결과 |
□ 비상연락망 등 정비현황(본청, 소속기관 등 종합)
① 유관기관 긴급 연락처, 긴급방송 통보처, 기자 등 언론 연락처 정비
— 유관기관 : 800여개 기관(부서), 약 950여명 정비 완료
— 긴급방송 : 100여개 기관(부서), 120여명 정비 완료
— 기자 등 언론 : 400여개 기관(부서), 700여명 정비 완료
② 특보 등 기상정보 통보처 정비(FAX, 스마트 통보, 문자서비스 등)
— FAX : 2,350개 기관(부서)
— 스마트 통보 : 549개 기관(부서)
— 문자서비스 : 25,900여명 정비 완료(언론 1,400 및 유관기관 13,500여명 등)
③ 직원, 유지보수 지원반 등 비상연락망, 비상근무 순서 등 정비 완료
④ 지역기상담당관 활동 준비(연락 상대방 긴급 연락처 등)
— 400여개 기관(부서)부서와 긴급상황 소통네트워크 구축
⑤ 위기대응 매뉴얼 정비‧비치 및 교육 실시
— 매뉴얼, 지원요령 등 최신 버전으로 정비‧비치(50여회), 교육실시(100여회)
⑥ 유관기관 방재기상업무협의회, 예보관계관 회의 등 개최완료
⑦ 기타 시설물 안전 관련, 관측 및 모니터링 장비, 전산 시스템, UPS, 발전기 등 정비
※ 슈퍼컴퓨터 백업체계, 유지보수, 장애조치 매뉴얼, 청사보안‧시설 점검 완료
※ 기상레이더 무중단 운영 정비, 백업체계, 긴급보수, 사이트 시설점검 등 준비 완료
※ 강원청 자체 재난대응요령 마련(화학물질, 방사능, 자연재난 등 상황별 대처요령 등)
- 26 -
4 |
각 국(실) 및 소속기관 방재기상 대책 |
(대변인실)
① |
언론과 선제적 소통 강화 |
□ 위험‧이슈기상에 대한 선제적 언론 대응 강화
○ 태풍‧집중호우 등 사회적 이슈 예상시 선제적 브리핑 실시
— 위험‧이슈기상 예상 1~2일 전과 당일 10시‧16시에 사전브리핑 실시
— 일관된 정보 전달로 인터뷰 시차에 따른 정보의 혼란을 미연에 방지
— 비슷한 내용의 인터뷰 중복에 따른 담당부서의 부담 경감
□ 상시 언론 소통 창구 구축
○ 자체 언론 인터뷰를 제작하여 사전 제공
— 대동소이한 인터뷰의 중복을 해소하여 통보관 업무 부담 경감 목적
— 최근 방송인터뷰 내용을 바탕으로 날씨 상황에 맞는 인터뷰 답변자료(일 3편, 약 15초 분량)를 사전 제작(날씨 ON 활용)하여 방송사 제공
○ 출입기자‧기상방송인 대상 대상별‧수준별 맞춤형 기상강좌
— 태풍진로 예측 방법, 국지적 집중호우 발생 메커니즘 등 시의성 있는 주제로 강좌의 내실화
○ 기상청- 언론사 간 유기적 파트너십 구축
— 기관장- 언론사 오피니언리더 소통간담회 등 우호적 관계 형성
※ 논설위원, 데스크 등 영향력 있는 언론사 오피니언리더와의 유대관계 강화
○ 예보를 넘어, 언론이 선호하는 긍정적 이슈 개발로 선제적 기상정보 제공
— 기획기사 유도, 기관장 기고, 보도자료 배포 등 다각도의 언론이슈 제공
※ 개발이슈: 지역맞춤형 기상기후서비스, 달라지는 주간‧동네예보 체제,
확률로 제공하는 장기예보, 국산 기상장비 개발 가속화 등
- 27 -
② |
온·오프라인 기획홍보 |
□ 집중호우, 폭염 등 위험기상 피해예방 캠페인 전개
○ 매체 : 정부기관·지자체 전광판, 홈페이지·페이스북 등 자체 온라인, YTN 등
○ 시기 : 집중호우(6∼7월), 폭염(7∼8월), 태풍(8∼9월)
□ SNS를 통한 기상정보 제공 및 온라인 소통
○ 위험기상 발생시 날씨정보 및 재난 대응요령 등 다양한 정보 제공
○ 집중호우, 태풍 등 여름철 기상재해예방을 위한 인포그래픽 제작 및 SNS 홍보
- 28 -
(감사담당관)
① |
여름철 방재기간 중 공직기강 확립 |
□ 여름철 방재기간 중 근무기강 및 비상근무 대비 태세 점검 강화
○ 비상연락체계(내부직원 및 유관기관) 유지, 복무관리 이행 여부
○ 기관별 방재기상 대응 조치사항 점검 및 문제점 조치
○「지역기상담당관제」운영 실태 점검
※ 점검방법 : 하절기 및 수시 공직기강 점검 실시
② |
여름철 방재기상업무 수행 점검 |
□ 집중호우 등 여름철 방재기상 대비 및 대응 실태 점검
○ 비상근무 실태 및 업무추진 체계 점검
○ 여름철 방재기상 계획 수립 및 추진사항 점검
□ 관행적 취약분야 및 불필요한 일 줄이기 실태 파악 및 조치
○ 통상적 수행 업무처리과정의 문제점, 결재 행위 등
※ 점검방법 : 하절기 및 수시 공직기강 점검 실시
③ |
기상장비 및 시설물 안전관리 실태 점검 |
□ 시설물의 안전 및 유사시 조치계획 및 운영 실태 점검
○ 기상장비‧시설물 등의 위험요소 점검 및 안전관리 운영 실태
— 무인기상관측소 시설물 및 장비관리 실태
○ 장비 관리자, 유지보수업체 관리 실태 등
※ 점검방법 : 하절기 및 수시 공직기강 점검 실시
- 29 -
(운영지원과)
① |
화재예방 및 시설물 안전점검 실시 |
□ 여름철 방재기간 전 청사 시설물 안전점검
○ 점검기간 : 2013. 5. 13. ~ 5. 14.(2일간)
○ 점검방법 : 청사건물 및 각 설비별 일제점검
— 운영지원과 및 시설관리용역회사 합동으로 시설물 자체점검 실시
○ 주요점검사항
— 청사 건축물 손상 및 균열, 부착시설물 고정상태 등 안전성 점검
— 전기시설 안전상태 및 작동상태, 전기누전 발생 위험요소 점검
— 각종 기계설비(냉방설비 및 보일러, 공조설비 등) 작동상태 및 가스누설 점검
— 화재수신반 및 소화기, 소화전의 이상 여부 점검
□ 청사 노후시설물 수시점검 강화
○ 옹벽, 석축, 담장 등 폭우로 인한 붕괴 여부 집중 점검
○ 강풍에 의한 시설물 낙하 예방 등 사전점검 강화
□ 신축공사 현장 안전관리 및 예방활동 강화
○ 공사현장 내 각종 자재 정리정돈 및 현장 순찰 강화
○ 공사장 내 위해방지시설 설치 및 주기적인 안전교육 실시
② |
피해발생시 신속한 복구체계 구축 |
□ 본청 청사 기계 및 전기시설 고장 대비 응급 대응체계 구축
○ 전기‧기계‧방재실에 응급복구 매뉴얼 작성 비치 및 근무자 숙지
○ 장비별 유지보수 용역업체 비상연락체계 구축 및 전담자 지정
□ 소속기관 피해발생시 신속 대응체계 강화
○ 신속‧정확한 보고체계 운영
○ 자체 복구전담반 구성 및 운영
- 30 -
(수치모델관리관)
① |
현업 수치예보모델의 예보지원 개선 |
□ 개선된 수치예보모델 현업 서비스 실시
○ 국지예보모델의 예측기간 연장 및 성능 개선
— 예측기간 연장(4.29) : (기존)24시간 → (개선)36시간
— 레이더 자료 활용 증대 및 물리과정 개선, 시정 진단을 위한 에어로졸 효과 적용 등 : 상층운 모의 개선, 지표면 온도편차 개선, 초기(0~6시간) 강수예측 성능 향상 등
○ 전지구예보모델 예측정확도 개선 및 예측기간 연장
— 전지구예보모델 물리과정 개선으로 동아시아 대기 하층 기온예측 정확도 향상
— 중기예보 기간연장 지원을 위한 전지구예보모델 예측기간 연장
※ 기존 10.5일 → 개선 12일
○ 지역예보모델의 물리과정 및 토양관련 기초자료 개선
— 하층기온 정확도 2~5% 향상, 약한 강수 과대모의 개선
□ 수치예측모델 성능 개선을 위한 관측자료 활용 개선
○ 앙상블 예측과 4차원 변분법을 결합한 하이브리드(융합형) 전지구자료동화시스템 운영
— 대기의 흐름에 따른 수치모델 오차특성 반영으로 단시간에 발달하는 기압계에서의 수치예측 성능 개선
○ 영국기상청 최신 자료동화 버전 적용(VAR 27.2 → VAR 29.2)
— 자료동화 계산과정의 불안정 해소로 안정적인 자료 생산 강화
○ 관측자료 활용 추가
— 전지구모델에 천리안위성 청천복사량 자료동화 적용
— 국지예보모델에 레이더자료와 우량계 기반의 강우강도 자료 활용
- 31 -
② |
예보지원 가이던스 보강 |
□ 동네예보용 예보가이던스 지원 개선
○ 지역예보모델 기반 6시간 예상 강수 자료 제공(기존 12시간)
○ 동네예보모델을 신규 COMIS- 4 서버에 이식(기존 COMIS- 3, ’06년 도입)
□ 예보지원용 그래픽 지원 강화
○ 전선분석용 그래픽 보강(앙상블 스파게티맵, 온도이류도 등)
○ 악기상 분석 그래픽 보강(지면마찰속도, 공항연직시계열 등)
③ |
슈퍼컴퓨터 및 기반시설 점검 |
□ 슈퍼컴퓨터 장애 대비 대응체계 점검
○ 슈퍼컴퓨터 3호기 백업체계 점검(5.6)
○ 총괄 장애시 KISTI 슈퍼컴 활용체계 점검(5.6)
□ 슈퍼컴퓨터 기반시설 유지보수 및 안전점검
○ 청사, 소방설비 및 보안 설비 점검 실시(5.14)
○ 수전설비 및 비상발전기 안전점검 실시(5.14)
○ 터보 냉동기 및 냉각탑 운용상태 점검(5.14)
□ 수치예보시스템 현업운영 현황 점검
○ 현업 매뉴얼 및 참고지침서 정비(5.6)
○ 장애 상황별 3단계 대응 담당자 지정‧운영(5.6)
□ 슈퍼컴퓨터 유지보수 및 운영 현황 점검
○ 슈퍼컴퓨터 3호기 특별 점검(5.8)
○ 유지보수체계의 비상연락망 정비 및 관리(5.7)
- 32 -
(관측기반국)
① |
기상관측장비 및 시설 종합 점검 실시 |
□ 관측 장비 및 시설에 대한 종합 점검 실시
○ 기상관측장비 및 시설물 사전점검 실시
— 점검기간 : 3.25.~5.13.(지상, 고층)/5.1.~31.(해양)
— 점검기관 : 한국기상산업진흥원
— 점검대상
▪ 관측시설 : 표준화 지점 시설안전 점검(71소)
▪ 지상 : 지상기상관측장비(552소), 농업기상관측장비(13소), 시정현천계(76소) 등
▪ 고층 : 레윈존데(5소), 연직바람관측장비(9소), 라디오미터(9소)
▪ 해양 : 해양기상부이(9개소), 등표기상관측장비(9개소), 해양기상기지(1개소), 파랑계(6개소), 파고부이(27개소), 연안방재관측장비(15개소), 해양‧항만기상관측장비(2개소), 기상관측선(기상1호) 등 해양기상관측장비 및 관측시설
○ 공동협력기상관측소 정기점검 실시(5.8.~16.)
— 지도‧점검 체크리스트를 활용한 공동협력기상관측소 장비관리, 관측환경 등 사전 점검(관할 기상관서)
□ 신속한 장애복구 및 상시 모니터링 체계 구축
○ 관측자료 실시간 모니터링 및 장애처리 체계 강화
— 관측자료 실시간 모니터링 실시, 이상 유무 발견 시 한국기상산업진흥원에 신속 통보 및 긴급복구 지시
— 지상‧고층‧해양‧농업관측장비, 서해종합기지 등 주요 관측장비별 장애처리 체계 강화
▪ 통신망 장애, 전원 이상여부, 관측장비 고장 등 장애 원인에 따른 조치절차 마련
- 33 -
— 위탁 기상관측장비에 대한 유지보수 업체 긴급 연락체계 구축
— 관측자료 오류 발견 시 반드시 현지 확인 및 보고
○ 한국기상산업진흥원 긴급대응팀 구성
— 장애 발생 시 신속대응을 위한 지방사무소 긴급보수반 구성
— 긴급 상황 대비를 위한 상시 비상연락체계 유지
— 장애 다수 발생지역 지원을 위한 공동지원 체계 강화
○ 여름철 기온관측자료 모니터링 강화
— 관리대상 장비의 기온 관측자료 모니터링 강화
— 장비 점검 및 수리 중 관측자료가 외부에 전송되지 않도록 신속한 조치(MQC 요청)
— 계획 정지, 센서 이상 등에 대한 장비 오작동 보고 철저
○ 해양기상관측장비 장애 대비 신속한 복구 및 지원체계 구축
— 예비품 보유현황 파악 및 장애 시 선조치를 위한 예비품 지원방안 마련
— 유관기관 및 유지보수업체 긴급 연락망 정비
— 장비장애 시 관측자료 연속성 유지를 위한 대체부이 운영
○ 여름철 방재기간 장마‧태풍 등에 대비한 기상1호 위험기상 집중관측 수행
- 34 -
○ 관측장비별 유지보수 연락처
분야 |
관측장비 |
업체명 |
담당자 |
연락처 |
|
지상 |
지상기상관측장비 |
한국기상산업진흥원 |
서울경기 |
박종현 |
|
강원 |
이병국 |
||||
충청 |
안명기 |
||||
영남 |
계홍우 |
||||
호남 |
정상태 |
||||
제주 |
박광현 |
||||
고층 |
연직바람관측장비 |
케이웨더 |
이관우 |
||
라디오미터 |
웨더링크 |
이영섭 |
|||
레윈존데 |
GSI |
허단 |
|||
헬륨가스 |
MS가스 |
차정우 |
|||
해양 |
해양장비 유지보수 |
한국기상산업진흥원 |
최종성 |
||
부이 |
신동 디지텍 |
강용수 |
|||
등표/파랑계/ 연안방재(수위계) |
오션테크 |
김승환 |
|||
연안방재 (CCTV/전광판) |
영텍시스템 |
김정희 |
|||
파고부이 |
오션 ENG |
배동진 |
- 35 -
(기후과학국)
① |
기후전망 여름철 방재대비 체계 점검 |
□ “기후감시·전망 시스템” 안정적 운영 관리
○ 예측자료 및 실황감시 자료의 정상표출 주기적 점검
— 자료 입·출력 관리 및 시스템 정기점검
— 서버의 자료 및 운영시스템 체계적 관리
□ 여름철 기상전망 발표
○ 여름철 기상전망 발표를 위한 예보토의
— 한‧중‧일 여름철 동아시아 몬순 전문가 회의 참가(4.8~10)
— 여름철 기상전망에 관한 기후예측 전문가 회의 개최(5.20)
○ 여름철 기상전망 발표(5.23)
— 여름철 기상전망에 관한 정책 브리핑 실시
— 이상기후 분석 보도자료 작성‧발표
② |
기후전망 전달체계 점검 |
□ 기후전망 및 장기예보 발표 자료의 대국민 서비스 주기적 점검
○ “기상청 홈페이지” 및 “기후변화정보센터” 웹 표출 정기점검
— 장기예보, 기후전망의 정상표출 점검
— 이상기후 감시 뉴스레터(월간), 엘니뇨·라니냐 전망 웹페이지 및 첨부자료 정상표출 점검
- 36 -
③ |
물관리 및 홍수‧가뭄 방재 업무 지원 강화 |
□ 유역별 강수 실황 감시 및 예측정보 지원
○ 동네예보를 활용한「유역별 상세 강수예측정보」시범 서비스(6~9월)
— 유역 평균강수량(㎜) 및 누적강수총량(㎥)의 실황 및 예측(48시간) 정보
— 6~9월 중 호우‧태풍(예비)특보 발표시 일 1회(18시) 발표
— 물관리 및 방재 유관기관에 e- mail 통보, 수문기상 실황감시서비스 홈페이지 게재
※ 시험서비스 대상 유역 : 섬진강
○ 기상청 자동기상관측 강수량을 이용한「유역별 강수통계 정보」지원
— 26개 대권역 및 100개 중권역 유역별 주별, 월별 및 계절별 강수량 통계 정보 제공
— 물관리 관련 정부부처, 유관기관 및 지자체에 메일서비스
※ 최근 10년이상 자료를 보유하고, 현재 운영중인 지점(ASOS 80소, AWS 472소) 활용
○ 수문기상 실황감시서비스(http://hmis.kma.go.kr)를 통한 수문기상정보 지원
— 전국(남북공유하천 포함) 유역별 강수감시, 전국(4대강권별) 수위관측 정보 및 예측강수량 제공
※ 수문기상 실황감시서비스(http://hmis.kma.go.kr)는 ID/PW를 이용한 로그인제로 운영되며, 청내 방재관련 담당자가 직접 로그인하여 활용 중('13. 5월~)
【참고】여름철(6~8월) 장기예보
□ 금년 여름철 날씨전망
○ (6월)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을 자주 받겠음. 남서기류 유입으로 일시적인 고온현상이 나타날 때가 있겠으며, 지역에 따라 많은 비가 올 때가 있겠음
○ (7월) 저기압의 영향을 자주 받아 흐린 날이 많겠으며, 지역에 따라 많은 비가 올 때가 있겠음
※ 6~8월 여름철 전망은 5월 23일에 발표
- 37 -
④ |
북한기상예보 전달 강화 |
□ 북한기상예보의 전달체계 점검 및 강화
○ 북한기상예보 생산 및 전달체계 점검
— 북한 단기예보(동네예보, 3시간 간격) 및 주간예보(일2회) 생산, 제공
※ 예보요소 : (단기) 기온, 강수량, 강수형태, 풍향, 풍속, 하늘상태, 습도
(주간) 기온, 하늘상태
— 방재기간 대비 북한 예보 및 정보 통보처 정비
※ 대상기관 : 청와대, 국가정보원, 통일부, 국방부 등
○ 국내외 방송을 통한 남북한 주민 대상 북한 예보 전달체계 확립
— 미국의 소리(VOA): 북한 단기‧주간예보, 기상정보, 생활기상 등 인터뷰를 통한 정보 제공(주 1회, 매주 월요일)
— KBS 한민족 방송: 북한 단기‧주간예보, 북한기상정보 등(일 4회 방송)
— 통일부 인터넷 통일방송: 북한 단기‧주간예보, 북한기상정보 등(일 1회 방송)
— YTN웨더: 북한 기상실황, 단기‧주간예보, 북한기상정보 등(일 5회 방송)
— 지상파 방송(KBS, MBC): 날씨방송에 북한예보 그래픽 표출
○ 월별 북한기상특성 분석 보도자료 배포(매월)
— 북한 지역의 매월 기온, 강수량 등 기상특성 및 이상기후 분석
※ 기후과학국 통합지원반의 임무 및 방재비상단계별 비상근무 인원
(제4조제3항, 제6조제3항 관련)
구 분 |
경계근무 |
비상2급 |
비상1급 |
임무 및 역할 |
||||
구성 |
명 |
구성 |
명 |
구성 |
명 |
|||
기후과학국 |
총괄 |
- |
- |
과장 |
(1) |
과장 |
(1) |
발생 현상별 원인분석 정보제공 |
반장 |
사무관급 이상 |
(1) |
사무관급 이상 |
(1) |
사무관급 이상 |
(1) |
||
반원 |
사무관/ 주무관 |
(1) |
사무관/ 주무관 |
(1) |
사무관/ 주무관 |
1 (1) |
※ ( )는 각 국실 책임자의 판단에 따라 추가되는 비상근무자임
※ 통합지원반원은 임무 수행이 용이한 사무실에서 근무를 원칙적으로 하되, 방재기상본부장이 지정한 자는 국가기상센터에서 근무하여야 한다.
- 38 -
(기상산업정보화국)
① |
여름철 생활기상정보 서비스 |
□ 기상청 홈페이지를 통한 생활·보건·산업기상지수 제공
○ 자외선지수, 식중독지수, 불쾌지수, 열지수 예측값 생산· 자료 송수신, 홈페이지 표출 등을 위한 생활산업기상정보시스템 안정적 운영체제 유지
※ 여름철 생활기상지수 : 자외선지수·식중독지수(3∼11월), 불쾌지수·열지수(6∼9월)
○ 취약계층 대상 생활기상정보 SMS 서비스 제공
— 대상 : 서울시 독거노인, 영·유아, 장애인
— 기간 : 2013. 6.1 ~ 9.30
— 내용 : 자외선·식중독·불쾌지수 ‘위험’단계 예상 시 SMS 제공
— 방법 : 취약계층 관리자(노인돌보미, 국·공립 어린이집 원장, 장애인시설 관리자 등)에게 SMS 발송 → 관리자가 취약계층에게 정보 전달 및 지도(간접전달)
② |
정보통신시스템 집중 점검 |
□ 여름철 방재기간 대비 정보통신시스템 순회점검 실시
○ 지방청 및 기상대 정보통신시스템에 대한 운영환경 점검을 통한 방재기상업무 지원능력 향상
— 대상 : 지방청(2소), 기상대(12소) 등 14소
— 일시 : 5.1(수) ~ 5.10(금)
— 내용 : 체크리스트를 통한 주요 네트웍, 영상회의 시스템, 전원(UPS)에 대한 운영환경 점검 및 사용자 건의사항 수렴
※ 본청 정보통신시스템 특별점검 별도수행(5.7~5.10)
※ 본청 및 소속기관(105소) 기상통신시스템 특별점검(LG U+) 수행(5.3~5.29)
□ 인터넷 전화교환기(IP- PBX) 위기대응 사전 점검
○ 본청 전화교환기(IP- PBX) 장애 시 백업시스템 자동전환 및 비상연락체계 점검
— 지방청과 본청 교환기 차단 시 자동전환 여부 점검
※ 5.15(수) 18:00 5개 지방 기상청 및 위성센터 실시
- 39 -
[국립기상연구소]
① |
연구용 관측장비 및 시설 정비 |
□ 대관령 구름물리 관측센터 및 연구용 이중편파레이더 점검 실시
○ 체크리스트에 의한 점검 및 기상레이더(백령도기상대) 특별 점검(5월)
○ 건축물 및 전기시설 안전상태, 통신 네트워크 점검(5월)
□ 보성‧창원 위험기상집중관측센터 연구용 관측장비 점검 실시
○ 관측장비 점검, 월별 유지보수 실시 및 상시 모니터링 강화
② |
위험기상에 대한 예보기술 지원 강화 |
□ 초단기 예측 및 동네예보 지원기술 지원
○ 동네예보 초단기‧단기 가이던스 개선(5월)
○ 모바일 관측장비를 이용한 재해기상 집중관측 실험(6~8월)
○ 국립산림과학원 산악용 AWS 실시간 활용기술개발(7월)
○ 주간예보 연장을 위한 앙상블을 이용한 주간 예보 가이던스 개발(9월)
□ 해양기상 관측 및 예측기술 고도화
○ 해상풍 재분석자료를 이용한 해상특보구역 세분화(6월)
○ 위험기상 시 주요항만 상세 범람예측시스템 운영을 통한 정보생산(9월)
○ 지방청 관할 해역별 파랑‧폭풍해일 예측시스템 개선 및 현업화(10월)
□ 여름철 위험기상 정보제공을 위한 특별관측 수행
○ 연구용 첨단 관측장비 및 라디오존데 특별관측 수행(보성, 창원)
□ 긴급대응 대기수송‧확산모델 개발
○ 전지구 화산재 확산모델 운영체계 구축(8월)
- 40 -
(부산지방기상청)
① |
여름철 방재기상업무를 위한 사전 점검 |
□ 배경 및 목적
○ 방재기간 전 충분한 사전점검을 통한 방재기상업무 능력 효율화 추진
□ 주요내용
○ 방재유관기관과 여름철 방재기상업무협의회 개최(5.14)
○ 여름철 방재기상 관계관회의(부산청 및 소속기관, 5.21)
○ 여름철 방재기간 대비 예보 및 관측업무 지도‧점검(4.16~17, 5.8~10)
— 예보 및 관측업무 전반
— 언론 및 유관기관과의 소통 대책
○ 위험기상 감시 네트워크 점검(5월 중)
— 공동협력 기상관측소 교육 실시(김해시 등 7소)
— 해일 감시 CCTV 공동 활용 및 한국도로공사, 부산국토관리청 CCTV 활용
○ 여름철 방재기간 대비 관측시설 현장 지도‧점검 및 정보 보안감사(4.16~17, 5.1~3)
○ 관측장비 장애 최소화를 위한 무정전전원장치 및 축전지 상태 점검(5월 중)
○ 유관기관 긴급 연락처, 긴급방송 통보처, 기자 등 언론 연락처 정비
— 유관기관 : 282개 기관(부서), 긴급방송 : 34개 기관(부서)
— 기자 등 언론 : 139개 기관(부서), 289명
○ 특보 등 기상정보 통보처 정비
— 통보처 : 562개 기관(부서), 1,376명
— SMS서비스 : 7,227명(언론 246명, 유관기관 3,891명, 지역농어촌 584명)
※ 취약계층을 위한 폭염 SMS서비스(6~9월) : 이장단 2,474명, 노인돌보미 32명
○ 2013년 여름철 위험기상 집중세미나 실시(4.22, 4.29)
— 최근(2001~2012년) 경상남북도의 호우사례 집중분석
- 41 -
○ 위기대응 매뉴얼 및 방재기상업무지침 정비‧비치
— 위기대응 매뉴얼, 지원요령 등 6종 최신 버전으로 정비‧비치
— 직원 매뉴얼 숙지 교육 실시
— 방재비상근무 단계별 비상근무 체계 정비
○ 지자체 방재담당자 비상연락망 정비
○ 비상근무 운영 체계 강화
— 위험기상 예상시 비상근무 사전준비철저
— 휴일, 야간 등 비상근무 취약시간대 연락 가능한 비상연락망 점검(5.1~15)
○ 언론대응 소통 매뉴얼(수첩) 제작 및 부산(청) 전직원 배포완료(2월)
② |
언론 및 유관기관 소통 강화 |
□ 배경 및 목적
○ 기상정보의 정확하고 신속한 전달을 위해 언론 모니터링과 대응 강화
○ 유관기관의 유대강화를 통한 신속한 정보 전달과 위험기상대응으로 재해예방
□ 주요내용
○ 지속적으로 언론과 커뮤니케이션 강화 추진
— MBC, TBN, 부산일보 등 언론인 신년인사회 개최(1.16)
— 지역 언론인과의 유기적인 협조체계 구축을 위한 간담회 개최
▪ 부산일보 김경희 기자(1.16), 천영철 기자(2.22), 경남도민신문 박진우 기자(3.7)
— 부산일보, 국제신문 등 ‘지역 언론과 예보관의 소통을 위한 간담회’ 개최(3.28)
○ 지역기상담당관 활동 강화
— 위험기상 예상시 사전 기상정보 제공(방문 브리핑, 전화 등 활용)
○ 언론 보도 모니터링 강화
— 오프라인(공중파, 케이블, 신문), 온라인 등 다양한 언론매체 보도기사에 대한 이중 감시(상일근자, 현업자)
- 42 -
— 연합뉴스, 뉴시스, 노컷뉴스 등 인터넷 매체 검색 강화
— 예보근거자료, 객관적 데이터 제공으로 사실보도 유도
— 비판성 기사 예상시 기자응대 창구 단일화 및 체계적 대응, 신속한 보고
※ 오보 발생시 해당 언론사에 사실관계 확인 및 적극적인 정정 요구
○ 신속하고 정확한 기상정보 제공
— 기상관련 이슈 발생시 지역 언론기자 대상 전화브리핑
— 기상기자‧기상캐스터 등에 E- mail 및 SMS서비스
— 여름철 주요 기후정보 사전 제공(집중호우, 태풍 등)
○ 유관기관 방재업무 협의회 및 간담회 적극 참여
— 부산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주최「미세먼지 전문가 회의」참석(4.29)
— 2013 여름철 자연재난 사전대비 구‧군, 유관기관 간담회 참석(5.14)
▪ 부산광역시 재난안전담당관, 구‧군 재난안전담당자, 19개 유관기관 등
— 유관기관 방재업무협의회 참석(수시)
▪ 대상 : 지방자치단체 방재담당자, 지역 자율방재단원, 어민 등
— 해상감시를 위해 유관기관 어업지도선, 동해해양가스전, 해군 등 관측자료 수집 활용
○ 유관기관 대상 기상교육 실시(4.17)
— 한국해양수산연구원, 여객선 운항관리자 직무교육(해양기상)
○ 돌발 위험기상 발생시 신속한 기상정보 제공
— 유관기관, 언론사 등 오피니언리더 및 기상기자 대상(SMS, 전화 등)
③ |
방재기상정보의 선제적 제공 |
□ 배경 및 목적
○ 기상으로 인한 재해 가능성이 있는 경우, 방재기상정보의 선제적 제공으로 국민의 생명과 재산피해 최소화
- 43 -
□ 주요 내용
○ 방재유관기관별 맞춤형 기상정보 제공
— 지역별 빈번한 위험기상에 대한 지역기상담당관의 맞춤형 기상정보 제공
— 특정관리해역에 대한 지역해양기상서비스 제공
○ 특정관리해역에 대한 해상 특보 운영의 효율화
— 특정관리해역의 특보 탄력적 운영 강화(총 15개 구역 관리)
— 지자체 CCTV 모니터링, 해상 감시단(어촌계장, 유‧도선 선장 등) 활용
— 특정관리해역에 대한 SMS 지원 강화
○ 위험기상 예상시 다양한 매체를 통한 대국민 전파
— 기상기자, 유관기관 재난 담당자 등에 대한 SMS 및 전화 브리핑
○ 기상재해 취약지역 방재기상정보 지원 강화
— 해수욕장예보, 동해안 월파정보, 항만기상정보, 산악기상예보 등
④ |
위험기상 감시 체계 구축 |
□ 배경 및 목적
○ 관측망 공백지역 또는 돌발 위험기상 발생시, 신속한 탐지와 방재대응으로 기상재해 최소화
□ 주요 내용
○ 유관기관의 자료 공유 및 활용
— 유관기관에서 감시하고 있는 CCTV의 적극 활용
— 해상 감시를 위한 민·관·군과의 협력
○ 해상기상 감시 강화
— 부이, 파고부이 등 해상자료 실시간 감시 강화
— 위험기상예상 시 연안바다 파고자료 수집·보고
- 44 -
— 해일 및 월파 예상시 현장 기상상황 목측관측 실시
— 해경, 군부대를 활용한 연안바다 파고자료 수집
— 유관기관 어업지도선, 동해해양가스전, 해군 등 관측자료 수집 활용
⑤ |
기상정보의 가치 확산 추진 |
□ 배경 및 목적
○ 수요자 맞춤형 정보 제공과 소통 강화로 기상정보의 가치 확산
□ 주요내용
○ 지역과 계층에 맞는 기상홍보
— 홍보관 상시 견학프로그램 운영 「기상과학체험 열기(열려라 기상교실)」
— 맞춤형 통보시스템을 이용한 지역 행사‧축제 특별기상지원 강화
— 취약계층을 위한 여름철 폭염 SMS서비스 제공
— 외국인을 위해 주간날씨, 기상정보 등을 영어로 제공(SNS)
—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기상정보 제공(SMS)
— 부산청 홍보리플릿을 통한 효율적인 기상정보 이용방법 제공
— 지역 언론 특성에 맞는 기상현상 등 관심자료 지속 발굴·제공
○ 지역의 다양한 홍보매체를 이용한 기상재해예방 공익캠페인 추진
— 케이블 TV, SNS 활동, 지자체 홈페이지, 지자체 전광판 활용 홍보(11~12월, 1~2월)
○ 위험기상 발생시 관측자료(동영상, 사진) SNS 게재
- 45 -
(광주지방기상청)
① |
핵심 방재기상 대책 |
□ 위험기상 감시체계 및 예측기술 강화
○ 예보관별 특보정확도 평가결과 환류(매월)
○ 예보기술 노하우 공유
- 주례예보세미나를 통한 특이기상 사례분석 및 토의(격주)
- 예보 탄탄! 여름철 위험기상 집중세미나 실시 2회(5.9, 5.20)
- 예보훈련프로그램「나도예보관+」운영을 통한 예보기술 향상
○ 예보자문관을 활용한 주말예보 강수유무 집중 분석 및 토의
□ 방재업무 유관기관 협력 증진
○ 유관기관 협력 방재기상업무 수행
— 여름철 유관기관 방재기상업무협의회 개최(5.14/20소)
— 확대된 방재기상서비스 지역에 대한 지역 기상담당관 활동 강화
※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나주시, 담양군, 화순군, 영광군, 함평군, 장성군
— 홍수대비 관계기관 회의 참석(영산강홍수통제소/4.26)
— 여름철 재난대비 유관기관 담당자 간담회 참석(광산구청/4.9)
○ 유관기관 방재담당자 교육을 통한 위험기상대응능력 제고
— 전라남도‧유관기관 방재실무자(500여명) 기상교육 실시(5.1)
— 대국민 기상‧기후교육「방재기상기본」과정 운영(5.3)
— 전라남도 방재담당자「예보관 체험프로그램」운영(5.16)
○ 침수취약지역 주민 및 유관기관 담당자 SMS 기상특보 제공
○ 지역민의 편의도모 및 재난방재 활용을 위한 전남도청 내 날씨공원 조성(5월)
○ 신안군 해양민원 해소를 위한 기상부이 설치(6월)
○ 관측기관에 대한 표준화 등급 향상을 위한 기술지원(연중/수시)
○ 유관기관 관측업무 종사자를 위한 사이버 및 통합메타관리정보관리시스템 사용 방법 교육(7~8월)
○ 유관기관 방재담당자 스마트폰 대화형 메시지 기반 전달체계 구축(6월)
- 46 -
② |
방재기상업무 사전 점검 |
□ 방재기상관련 통보처 정비 등 비상연락 연락체계 사전 점검
○ 유관기관 긴급 연락처, 긴급방송 통보처, 기자 등 언론 연락처 정비
— 유관기관 : 15개 기관(부서), 15명 정비 완료
— 긴급방송 : 6개 기관(부서), 15명 정비 완료
— 기자 등 언론 : 21개 기관(부서), 42명 정비 완료
○ 특보 등 기상정보 통보처 정비(통보처, 문자서비스 등)
— 통보처 : 90개 기관(부서), 102명 정비 완료
— 문자서비스 : 994명 정비 완료(언론 90명, 유관기관 683명, 이장단 125명 등)
○ 직원 등 비상연락망, 비상근무 순서 등 정비
— 직원 19명 비상연락망 정비 완료·비치, 비상근무 순서 정비완료
○ 지역기상담당관 활동 준비(연락 상대방 긴급 연락처 등)
□ 위기대응 매뉴얼을 통한 위험기상대응
○ 방재기상관련 소속기관 기술지도 점검(5.3.~5.13)
○ 위기대응 매뉴얼 정비 ‧ 비치 및 교육 여부
— 위기대응 매뉴얼, 지원요령 등 5건 최신 버전으로 정비·비치
— 직원 19명 매뉴얼 숙지 교육 실시(2회)
○ 주요 기상통계(지역별 최근 평년값, 극값 등) 정비
○ 소속기관 방재기상대책회의 개최를 통한 준비사항 점검(2013.5.13)
- 47 -
③ |
언론 모니터링 강화 및 선제적 대응 |
□ 실시간 언론모니터링을 통한 언론 대응
○ 기상관련 언론모니터링 담당자 지정(광주‧전남 1인, 전북 1인)
— (1차) 소속기관 주요대처사항 발생 시 담당자에게 즉시 보고(수시)
— (2차) 담당자는 주요 이슈 모니터링 결과를 대변인실 및 전직원 메모보고(수시)
※ 광주(청) 연합뉴스 ‘뉴스리더’ 활용 : 기상관련 내용 실시간 검색
※ 평일(야간), 주말 및 공휴일 : 광주(청) 및 소속기관 현업자 1차 모니터링
○ 왜곡된 보도에 대한 대처방법 수립
— (보고) 언론모니터링 담당자, 예보관 ⇒ 예보과장, 청장보고
— (대응) 대변인실을 통한 조치요령 숙지 ⇒ 기자에게 관련 세부내용 설명
□ 언론사 및 매체를 활용한 대국민 소통 강화
○ (소통과 공감) 지역 언론과의 소통강화를 위한 간담회 및 교육
— 방재대비 찾아가는 언론사 방문 간담회(5월/방송4사, 신문사7개소 등)
— 언론브리핑 및 언론인 오찬간담회 실시(2회/5.23, 8.23)
— 출입기자 및 기상캐스터 등 수요자가 원하는 맞춤형 기상교육(5~9월)
○ (선제적 대응) 위험기상 예상시 신속한 관련자료 제공 및 전화브리핑
— 유관기관 및 방송‧신문‧통신사 FAX ,E- mail, SNS활용한 정보제공 제공
— SNS소통 및 전화브리핑 : 출입기자(11명), 기상캐스터(3명), TBN기상리포터(2명)
※ 여름철 기상전망 및 계절별 주요이슈에 대한 사전설명 및 보도자료 제공
○ (대국민 전달) 방송매체 및 프로그램을 활용한 기상정보 전달
— 여름철 재해예방을 위한 출근시간대 홍보캠페인 라디오방송(7월/TBN)
— 위험기상 예상시 LTE 생중계를 통한 전파(MBC, KBC)
-「날씨와 생활」남도일보 연재기사(매주 수요일)
- CMB광주방송 활용 기상정보 자막방송 제공(매일 2회)
— BIS(버스정보시스템)을 활용 실시간 기상정보 제공
- 48 -
④ |
기상관측장비 관리 강화 및 자료의 신뢰도 향상 |
□ 방재기간 대비 사전 점검
○ 휴지기간 대상장비에 대한 운영 종료(5.1)
— 적설감시CCTV‧초음파자동적설관측장비
○ 방재기상 및 관측업무 관련 소속기관 기술지도 점검(5월 중/방문·서면)
○ 여름철 방재기간 대비 자동기상관측장비 현장 점검(128소/5월 중)
□ 장비운영 안정성 확보
○ UPS 노후 축전지 교체(3소/5월 중순)
○ 안정적인 전원 공급을 위한 UPS 사전 점검(전 관서/5월 상순)
□ 기상관측자료 품질 향상
○ 관측자료 품질관리 모니터링 담당자 지정 운영(12개 기관)
○ 자동기상관측장비 교체 및 보강(9대/11월)
— ASOS 8대(광주, 흑산도, 완도, 전주, 정읍, 장흥, 해남, 고흥)
— 동네예보지점 3대(이양, 함라, 염산)
— 방재용AWS 3대(나로도, 내장산, 뱀사골)
— 무게식강수량계(2대/진도, 순천)
○ 농업기상관측장비(AAOS) 기능 강화
— 기능강화(1대/순천(농))
— 무게식강수량계(2대/순천(농), 전주(농))
○ 안개관측자료 수집망 확대(1대/익산/5월)
○ 해양관측자료 수집망 확대 및 안정성 확보
— 해양기상관측부이 설치(1소), 교체(1소) : 전남중부앞바다 중 평수구역(6월)/칠발도(10월)
— 파고부이 설치(4소, 9월) : 군산(횡경도), 고창(칠산도), 완도(노하도), 여수(거금도)
— 연안방재 설치(1소, 9월) 및 등표 교체(1소, 8월) : 목포(비금)/간여암
- 49 -
(대전지방기상청)
① |
방재기간 전 사전점검 |
□ 원활한 방재업무수행을 위한 예보‧관측업무 소속기관 지도점검(4.22~5.9)
○ 방재업무, 기상통보, 유관기관 및 언론기관 관련, 예보 및 관측업무 점검
○ 관측자료 품질관리, 관측장비 장애대처, 장비 정기점검 여부 등
※ 주요점검 사항 체크리스트에 의한 세부사항 점검 실시
□ 2013년 여름철 방재유관기관 간 협력체계 증진
○ 대전 및 세종·충남 방재기상업무협의회 개최(5. 10./유관기관 22소)
○ 충북 방재기상업무협의회 개최(5월 중순/ 유관기관 10소)
○ 인천·경기 방재기상업무협의회 개최(5월 / 유관기관 19소)
○ 2013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 참가(대전광역시, 충북도청)
□ 방재업무 비상연락망 정비 및 담당자 현행화
○ 131기동기상지원, 지역기상담당관, 언론기관 등 기상정보 수신기관 담당자 연락처 정비
○ 관측장비장애 등 비상상황 시 대응연락체계 정비 및 점검
□ 지역기상담당관제 활성화를 위한 방재 유관기관 순회 간담회(4.4.~4.5.)
○ 지역기상담당관제 활동에 대한 개선 및 건의사항 수렴
□ 관측장비 장애발생 사전방지 및 최소화
○ 장비 작동상태 및 시설에 대한 일제 점검 및 연락체계 재정비(5월)
○ 노후 UPS 및 축전지 성능 점검
○ 비상용 발전기 정상 동작 점검
- 50 -
② |
위험기상 대응을 위한 내부역량강화 |
□ 계절별 위험기상 선행학습을 통한 위험기상 대응능력 강화
○ 분기별 위험기상사례 선정 및 분석(사회적 이슈 심층분석)
○ 빗나간 예보사례(강수, 기온 등 동네예보 중 이슈사례)에 대한 세미나
○ 여름철 위험기상 예측기술 강화를 위한 집중세미나(태풍, 호우, 폭염 등)
□ 여름철 위험기상 예측기술 향상을 위한 특보관서 합동세미나 개최(4.22.)
□ 학‧군‧관 협력 공동세미나 개최(5.29.)
○ 공주대학교, 공군 기상단, 국가기상위성센터 등이 참석하여 선진예보기술 공유
□ 충북지방 기상관서 관·군 합동세미나 개최(연2회)
□ 자체 예보훈련프로그램을 활용한 기상예보능력 향상(3월~)
○ 사이버경시를 통한 호우, 폭염, 낙뢰 등 위험기상 예측 상시훈련
□ 연구과제 수행 및 연구모임활성화를 통한 예보분석 능력 강화
○ 『충청지방의 지형효과와 겨울철 대설에 관한 연구』, 『천리안위성 자료를 활용한 충청지방 호우사례연구』, 『국지파랑모델 검증 및 풍랑특성연구』등 연구과제 수행
○ 통합 연구모임 CoP「충청그린 기상기후서비스 연구회」를 통한 예보기술능력 향상 도모
□ 위험기상 다발지역 현장답사 및 해상국지예보구역 승선관측
○ 충청지역 집중호우 특성분석을 위한 지형특성 조사(분기별)
○ 서해중부해상의 특정관리해역의 탄력적 특보운영을 위한 해상기상 특성파악 및 해양기상관측자료 비교 검증을 위한 기상 1호 승선관측(3. 6.~7.)
- 51 -
③ |
언론‧유관기관과의 소통 |
□ 유관기관과의 소통을 통한 방재기상서비스 강화
○ 위험기상 시 사전 브리핑을 통한 지역기상담당관 활동(소통) 강화
○ 현장 대응력 강화를 위한 현장공무원 맞춤형 기상정보 서비스 추진
○ 독거노인 등 정보 활용 취약계층을 위한 맞춤형 기상정보 제공
— 노인계층지원 담당공무원, 노인돌보미 등 폭염문자서비스 실시
— 충청지방우정청 맞춤형 날씨정보 서비스「날씨通」운영
○ 여름철 기상전망에 관한 정책 브리핑 및 기자간담회 실시(5.23.)
○ 유관기관 방재담당자 대상「방재기상대응과정」운영
○ 오피니언 리더와의 조찬간담회를 통한 위험기상 시 공조체계 강화
□ 대국민 방재기상 홍보 강화
○ 언론사와 연계한 여름철 위험기상 홍보
— 여름철 기상전망에 관한 정책 브리핑 및 간담회 실시
— 기고문, 보도자료, 인터뷰 등을 통한 방재기상 홍보
○ 여름철 기상재해 피해 예방 공익 캠페인 실시
— 기상재해 예방(호우, 폭염, 태풍) 공익캠페인 활동(유관기관 전광판 및 BIT 등)
○ 언론 보도사항에 대한 모니터링 강화 및 신속한 대응
— 공중파, 케이블, 신문 등 다양한 언론기관 기상관련 기사의 24시간 모니터링을 통한 정확한 언론보도 유도
— 부정적 기사(사실무근 등 오보)에 대한 신속하고 시의적절한 대응
— 뉴미디어(페이스북) 활동을 통한 적극적인 대국민 소통
- 52 -
(강원지방기상청)
① |
유관기관 간 협력 강화 |
□ 유관기관 간 협력체계 강화로 효율적 방재업무 추진
○ 재해현장 대응력 강화를 위한 지역기상담당관 활성화 및 131기상기동 지원(수시), 방재담당자 전용 모바일 서비스
— 강원도청 및 지자체, 언론기관, 동부‧북부지방산린청, 동해해양경찰청 등
○ 여름철 위험기상 대비 실시간 예‧경보 자동시스템 운영(강원도 내 90소)
— 맞춤형 방재기상시스템을 통한 기상정보 및 기상특보, AWS 관측자료 제공
— 특정기준 이상의 기상값 도달 시 자동으로 경고 및 대비방송 실시
○ ‘현장지휘용’ 기상정보 제공으로 긴급상황 대응(방재담당공무원(19개 시‧군))
— 재난발생 위험지역 현장책임자에게 기상실황, 특‧정보 등 기상정보 문자서비스
○ 해양사고 예방을 위한 ‘해양안전용’ 기상정보‧문자(40명) 제공(강원기상청↔동해해양경찰청 핫라인 구축)
○ 지진해일 관측‧보고체계 점검을 위한 유관기관과 지진해일 모의훈련(5월)
○ 유관기관 업무협조 강화를 위한 협의회
— 여름철 방재기상업무협의회 개최(5.10.~14. / 강원도 지자체 등 84기관)
— 강원도 주관 여름철 자연재난 사전대비 관계관 회의 참석(5.15.)
- 53 -
② |
기상정보 이해 확산 |
□ 신속·정확한 기상정보 지원으로 기상가치 향상 도모
○ 유관기관‧언론사 등 정책수립 의사결정권자 대상 일기예보 문자서비스(495명)
— 단기예보(일 2회)‧주말 및 휴일 날씨(주 1회), 위험기상예보(수시) : 기상개황, 최저‧최고기온, 주요 이슈별 상세서비스
○ 위험기상 예상 시 긴급방송 및 자막방송 요청
— 위험기상 시 긴급자막방송 요청(강릉전파관리소, KBS, MBC, G1 등)
— 케이블방송을 이용한 24시간 기상정보 제공 및 재난예방 홍보(HelloTV, GBN)
▪위험기상(호우, 폭염, 태풍 등)에 따른 국민행동 요령 등
○ 지자체 전광판 및 홍보패널 등을 활용한 기상재해 예방(호우) 공익캠페인
○ 위험기상 예상 시 선제적 보도자료 배포(과거 위험기상 사례, 통계자료 등)
○ 예보 변경 시 변경된 기상정보 설명자료 제공, 언론사 방문 브리핑 및 전화 설명
○ 지역 언론과의 소통강화를 위한 간담회 개최
○ 기상청 방재기상포털서비스시스템 활용 강화를 위한 교육‧지원
- 54 -
③ |
생활밀착형 기상정보 지원 |
□ 지역특화 기상정보 서비스로 도민 행복시대 실현
○ 교통사고예방 및 관광객‧지역주민 등 국민 불편 최소화를 위한 ‘강원도 주요 고갯길 기상정보 서비스’(한계령, 삽당령, 백복령 등 20소)
○ 해상안전을 위한 동해안 주요 항구(Port) 기상정보 서비스
— 동해‧묵호항, 속초항, 주문진항 대상의 시험서비스(6월)
○ 위험기상(호우, 낙뢰, 안개 등) 관련 속보창 운영
— 강원(청) 홈페이지를 활용한 위험기상 속보창 운영(수시)
○ 선박안전사고 예방용 연안바다의 안개정보 서비스
— 대상기관(6소) : 동해지방해양안전심판원, 동해지방해양항만청, 동해지방해양경찰청, 동해어업정보통신국, 강원도환동해본부, 공군18기상대
○ 여름철 피서객의 안전을 위한 오션문자서비스(해경 및 동해안 지자체, 7월)
○ 노인돌보미, 보건 담당자 등 정보활용 취약계층용 폭염 특‧정보 서비스(498명)
④ |
방재기상업무 사전 점검 |
□ 효율적 방재업무 추진을 위한 사전 점검
○ 여름철 방재업무 대비 소속기관 예보·관측·해양업무 지도 점검(5.6.~14.)
- 방재기상근무, 유관기관 방재기상 지원 및 협력체계 등 점검
- 관측자료 품질관리, 관측환경 등 점검
○ 기상장비 및 통신네트워크 등 사전 점검(5.1.~14.)
- ASOS, AWS, 연직바람관측장비 등 기상관측장비 및 유지보수업체 비상연락망 점검
○ 유관기관·언론 등 연락처 및 기상정보 통보처 정비(5.1.~14.)
- 유관기관(강원도 18개 시·군 및 울릉도·독도 99기관 160명), 긴급방송(19기관 21명), 기자 등 언론(70기관, 114명)
- 특보 등 기상정보 통보처(238기관, 2964명)
- 55 -
(제주지방기상청)
① |
방재기상업무 수행태세 사전점검 |
□ 여름철 방재업무 사전점검 실시
○ 제주청 방재기상업무지침 보완
— 각과 및 소속기관 비상근무 체계 검토 보완
— 제주청 57명 비상연락망 정비 완료‧비치, 비상근무 순서 정비
○ 방재업무 위기대응 매뉴얼 정비‧비치 및 교육
— 4종 위기대응 매뉴얼 및 지원요령 등 최신버전(예보정책과- 1251, 2013.4.11.)으로 정비 비치
— 직원 57명에 대한 매뉴얼 숙지교육 실시
○ 여름철 주요 기상통계(지역별 평년값, 극값 등) 정비
○ 기상특‧정보, SMS, 긴급방송 통보처 점검 및 정비점검
구 분 |
내 용 |
제주(청) |
- 통보처 : 54개 기관(부서), 74명 정비 완료 - 문자서비스 : 2079명 정비 완료 (언론 121명, 유관기관 1738명, 이장단 171명, 취약계층 49명 등) |
서귀포(기) |
- 통보처 : 5개 기관(부서), 5명 정비 완료 - 문자서비스 : 270명 정비 완료(유관기관 270명) |
○ 유관기관, 언론사 및 담당기자 비상연락망 재정비
구 분 |
내 용 |
제주(청) |
- 유관기관 : 12개 기관(부서), 19명 정비 완료 - 긴급방송 : 8개 기관(부서), 8명 정비 완료 - 기자 등 언론 : 20개 기관(부서), 23명 정비 완료 |
서귀포(기) |
- 유관기관 : 4개 기관(부서), 7명 정비 완료 |
성산(기) |
- 유관기관 : 21개 기관(부서), 21명 정비 완료 |
고산(기) |
- 유관기관 : 18개 기관(부서), 18명 정비 완료 |
- 56 -
□ 기상장비 및 시설물 안전 점검, 신속 보고체계 확립
○ 기상관측장비, 전산‧통신장비 안정적 운영을 위한 사전 점검
기 관 |
내 용 |
제주(청) |
o 기상관측장비 유지보수업체 비상연락망 정비 - 관측장비별 기상산업진흥원 담당자 - 관측장비별 유지보수업체 연락처 정비 o 방재기간 대비 기상관측장비 사전점검 및 모니터링 강화(5월 2주) - ASOS(4소), AWS(20소), 해양기상관측장비 등(진흥원, 유지보수업체) - 관측자료 수집 실시간 모니터링 강화 o 정보통신시스템 점검(5.13) - 네트워크 장비, 영상회의시스템, 무정전전원공급장치(UPS) 등 - 위기대응 매뉴얼 정비‧비치 |
서귀포(기) |
o UPS, 발전기 등 시설물 점검(5.2~3) o 정보통신시스템 점검(5.8) o 기상관측장비 점검(5.13) o 기상통신시스템 특별점검(LG- U+ / 5.20) |
성산(기) |
o 주기적인 기상레이더 효율적 운영을 위한 시스템교육 o 여름철 위험기상대비 관계주요사업체 현장 확인 및 담당자 연락 o 비상사태대비 특고압 수배전반 ATS 작동훈련 |
고산(기) |
o 방재대비 기상관측장비 사전 점검·관리(ASOS 1소, AWS 5소) o 기상관측·통신장비 장애 발생 대비 유지보수업체 비상연락망 점검 o 청사내 전기, 발전기, 소화기 등 시설물 안전점검 실시 |
○ 청사 내‧외부 위험요소 점검(매월)
— 주변 공사현장, 청사주변 배수로, 맨홀상태 등 점검 및 위험요소 제거
○ 전기 및 가스시설 등 안전상태 점검(매월)
— 전기누전 및 가스누설 여부, 소화기, 경보설비 작동상태 점검
— 기타 시설물 분야(매월)
— 청‧관사 건물벽체 균열 및 누수, 담장붕괴 위험, 지붕 방수상태 등 점검
○ 유사시 신속한 보고체계 확립
— 장비장애 시 보고체계에 의한 신속한 보고조치 및 초동 대응
— 직원 복무관련 사고(질병, 사고, 사망 등) 발생 시 즉시 보고
- 57 -
② |
여름철 위험기상 대응역량 향상 |
□ 예보관 위험기상 판단능력 제고
○ 여름철 위험기상 대비 대응능력 강화
— 레이더 자료 분석 및 활용기법 교육(4.5)
— 여름철 방재대비 집중세미나 실시(4회, 4월)
— 위험기상발생 시, 사례별 레이더‧위성자료 특성 분석(현장연구과제)
— 선진예보시스템 활용 능력 교육(5.20)
○ 위험기상 인지 ‘예보전문관과정’ 교육 이수(5.6~9) : 방재예보관 4명
— 원격훈련시스템을 통한 위험기상 상황인지, 특보업무 의사결정법 등
□ 자연재난 대응 의사결정서비스 지원 강화
○ 방재기관과 자연재난 대응 상시협의체 운영
— 제주(청) 예보실 ↔ 제주도 재해상황실 등 Hot- line 운영 상황 전파
○ 24hr 현업운영 기관과 지속적 협조체계 유지
— 지방자치단체 재해상황실, 제주해경 해상치안센터, 제주해양관리단 해상교통관제센터, 해운조합 운항관리실 등
○ 지역기상담당관 역할 강화
— 유관기관 담당자와 긴급 상황 소통네트워크 구축
— 여름철 기상전망, 위험기상 사전 브리핑 등 기상재해 대비 조치
③ |
언론 및 유관기관과의 소통 강화 |
□ 언론과의 소통 및 위험기상 신속 전파
○ 위험기상 예상 시 선제적 보도자료 배포
○ 위험기상 발생 시 긴급자막방송, TV인터뷰 등 실시
— KBS, MBC, JIBS, KCTV 등 지역방송사 4소
- 58 -
○ 여름철 기상전망 언론브리핑 실시(5.23)
○ 지역 케이블방송(KCTV)을 통한 실시간 기상정보 제공(Ch 20)
○ 언론사 오피니언 리더 일기예보 문자서비스 제공(121명)
○ 기관장 정기 언론기고 : 공감코리아(반기), 제민일보 칼럼 ‘망중한’(격월)
○ 언론인 간담회 개최 : 신년 간담회(1월), 방재기간 대비 간담회(5월)
□ 유관기관과의 방재업무 협력체계 강화
○ 여름철 방재기상업무협의회 개최(5.14)
— 제주도내 방재 및 해양수산 유관기관 10소
○ 유관기관 재난방재업무 적극 지원
— 2013년 제주특별자치도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 지원(5.6~8)
— 제주도 안전관리위원회, 위험기상 상황판단회의 등 기상 지원
○ 간담회 및 방재기상교육 실시
— 소방방재본부, 제주시, 해경 등과의 간담회 개최(수시)
— 지자체 및 유관기관, 농업인 및 어업인 방재기상교육 실시(8회)
□ 고객과의 기상업무 소통 향상
○ 상반기 기상고객협의회 개최(5.28)
— 외부고객위원(15명) 대상 기상업무 홍보, 발전방안 등 의견 청취
○ 대국민 기상정보 전파 확대
— 어업인 대상 해양기상 위험정보 재난문자서비스 확대 제공(5월)
— 위험기상의 이해 및 대비를 위한 대국민 방재기상교육(4회)
□ 공공매체를 통한 기상재해 예방 캠페인 실시
○ ITS 버스정보시스템(211소)을 활용한 실시간 기상정보 제공
○ 유관기관 전광판(11소)을 활용한 호우‧태풍 등 피해 예방 홍보
— 제주도청, 제주시청, 제주관광공사 등
- 59 -
(국가기상위성센터)
① |
위성자료 분석 및 지원체계 강화 |
□ 다양한 위성자료 분석정보 생산 및 지원체계 강화
○ 천리안 위성 영상을 이용한 구름분석정보 제공
— 제공시기: 일 4회(10시, 14시, 22시, 02시)
— 비상근무시 일 4회 증회 제공: 16시, 19시, 04시, 07시
※ 태풍비상근무시 현행 두 가지로 제공되는 구름분석정보와 위성태풍분석정보를 ‘위성태풍분석정보’로 통합 제공(‘12년 하반기 전국예보관계관회의, 예보정책과- 3671, 2012.11.04)
○ 천리안위성 자료를 이용한 태풍분석정보 제공 강화
— 태풍위치, 강도, 태풍구름분석 내용을 포함하는 실시간 위성태풍분석 정보 6시간 간격(비상구역 진입 시 3시간) COMIS 표출
— 웹기반 자동태풍분석 알고리즘 개선자료(ADT v8.1.3) 사용
— 폭풍(25m/s)반경 알고리즘 개선 및 시험운영
— 한반도에 영향 가능성이 있는 열대저압부(Tropical depression, TD) 위성영상 분석 정보 지원
○ 마이크로파 위성영상기반 태풍분석정보 지원강화
— 천리안위성과 마이크로파위성 영상을 중첩한 태풍분석지원
— 칼라합성기법을 활용하여 태풍의 물리적 구조 파악 지원
※ 마이크로파 자료 수신여부에 따라 실시간 또는 준실시간 분석 가능
○ 위성영상분석자의 역량 향상
— 위성영상분석을 활용한 자체 브리핑 실시 및 토의
— 태풍분석 지원 강화를 위한「위성태풍분석능력」향상 집중교육 실시(2013년 4월 23일~25일)
— 최근 발생한 위험기상에 대한 모의분석훈련 실시
▪ 2012년 한반도 영향 태풍(위치, 강풍반경 등), 집중호우 사례 등
○ 천리안위성 기상영상 정보중단(‘13.4.22~23) 관련 후속 조치
— 동일현상 발생방지를 위한 기상관측 스케줄 조정(위성운영과)
- 60 -
② |
국민과의 소통강화 |
□ 천리안 위성에서 관측한 특이영상 제공
○ 사회적 이슈 혹은 태풍, 집중호우 등 특이한 기상현상이 기상위성영상에서 관측되면 이에 대한 영상분석을 하여 홈페이지, 페이스북 등 온라인 및 보도자료 등 오프라인을 활용하여 대국민과 청 내 직원들에게 제공하여 본청 홍보부서 지원
③ |
위성수신시스템 종합 점검 |
□ 천리안 및 외국기상위성 지상국시스템 점검
○ 천리안위성 수신, 처리 시스템 점검
— 대형안테나 및 3.7m 백업 수신 안테나 점검
— 복사‧기하보정 전처리 및 방송 시스템 점검
— 천리안 기상위성 영상자료 처리시스템 점검
— 본청 천리안위성 수신·표출 시스템 점검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관제시스템 및 전처리시스템 점검
○ 외국기상위성 수신, 처리 시스템 점검
— 위성센터 수신시스템(정지궤도 2기, 극궤도 3기)
— 본청 수신시스템 점검(정지궤도 2기, 극궤도 1기)
○ 위성자료 서비스 시스템 점검
— DB 시스템 및 통신‧네트워크 시스템 점검
— 자료저장 시스템(스토리지, 테입라이브러리) 점검
— 웹서비스 시스템 점검
- 61 -
④ |
장비장애 대응 및 복구체계 점검 |
□ 위성센터 인프라 및 소프트웨어 정기 점검 및 업데이트 실시
○ 위성시스템 장비 펌웨어 버전확인 및 업데이트
○ OS, Middle- ware 등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및 패치
□ 시스템 운영자, 유지보수업체 및 유관기관 비상연락망 점검
○ 위성수신시스템 장애대응 점검
— 장애 등급별 목표 복구시간 및 장애처리 절차점검
— 장비장애 및 분석자료 미수신시 신속한 보고체계 유지
□ 장애 대비 예비품 현황 파악
○ 장애 발생빈도가 높은 장비에 대한 예비품 현황 조사
— 장애 발생빈도에 따른 예비품 현황 조사 및 확보
— 항공우주연구원 보유 예비품 중 호환 가능한 예비품의 공동활용 방안 협조
⑤ |
위성자료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및 점검 |
□ 위성홈페이지 운영상태 모니터링 및 장애복구 업무내용 강화
□ 기상청 대표 홈페이지 위성 영상 및 자료 점검 실시
⑥ |
기반설비 신뢰성 강화 |
□ 기반설비 예방보전 실시
○ 월차 안전점검 실시(전기, 기계, 소방, 피뢰설비 등)
○ 우기대비 특별 점검 실시(건축, 토목 등)
- 62 -
□ 제 7회 기반설비 위기대응 실전훈련 실시
○ 시행 목적
— 기반설비(발전기, 차단기, 보호계전기류 등)의 통합 시험으로 신뢰성 검증
— 불시정전, 주요 전력기기의 고장 및 사고 대응훈련으로 위기대응 역량강화
— 협력업체의 실전훈련 참여를 통한 협조체계 강화
○ 훈련내용 : 계획 정전(실제 정전) 후 대응훈련
○ 훈련일정
일 정 |
내 용 |
4.23일(화) |
- 전기실, 기계실, UPS 및 발전실 대청소 - 발전기 모의훈련(수동운영, 연동시험 등) |
4.24일(수) |
- 기계설비(공조기, 항온항습기 및 예비기) 사전점검 - 기계설비 모의훈련 |
4.25일(목) |
- 협력업체 간담회(16:00~17:30) - 실전훈련 실시(18:00~18:30) |
□ 소방교육 및 훈련 실시
○ 시행 목적 : 화재 발생억제 및 화재 시 파급예방
○ 내용 : 화재예방, 진화, 대피 및 구급 방법
○ 훈련일정 : 교육(5월), 훈련(10월)
□ 청사 유입 과도과전압 분석 및 진단
○ 목적 : 최적 피뢰시스템 구축
○ 내용 : Transients Impulsive, Oscillatory 등의 추이분석 후 정격 임펄스 내전압 강도의 정의
○ 일정 : 월차 분석 및 진단
□ 자동 낙뢰경보 및 위험성 관리시스템(ALARM) 운영(시험)
○ 목적 : AOC내 최초 낙뢰 전 사전 경보 제공→인명대피 및 발전기 자동운영
○ 내용 : 경보성공률 향상, 허경보율 저감을 위한 운영현황의 통계적 분석
○ 일정 : 월차 운영결과 보고 및 경보 알고리즘 수정 등
- 63 -
(기상레이더센터)
① |
위험기상 감시 강화를 위한 레이더 운영 |
□ 백령도 레이더 교체에 따른 대체영상 제공
○ 주변레이더를 활용한 대체영상 제공
— 대상/관측반경 : 관악산/480㎞, 인천공항/428㎞, 중국 연대/230㎞
— 제공영상/주기 : PPI 합성영상/10분
※ 연대자료는 중국 관측사정에 따라 간헐적으로 중단될 수 있음
— 제공위치 : COMIS → 레이더/낙뢰 → 합성/예측 → 백령도 대체
— 운영기간 : ’13. 4.22 09시 ~ 백령도레이더 교체 완료 시까지
○ 연구용레이더 백령도 관측 지원(응용기상연구과 운영)
— 제공위치 : COMIS → 레이더/낙뢰 → 국내 → 연구용레이더
— 운영기간 : ’13. 4.29 ~ 백령도레이더 교체 완료 시까지
□ 방재기간 대비 레이더시스템 사전점검 철저
○ 여름철 방재기간 대비 기상레이더 운영 종합점검
— 기상레이더 운영 종합점검 및 집합교육(5.8~9/2일간)
— 체크리스트에 의한 레이더시스템 종합점검 실시
— 방재기간 중 레이더시스템 운영현황 수시 현장점검
— 기본 레이더 운영, 발전기 가동절차 등 응급조치를 위한 자체교육
○ 효율적인 방재기상업무 수행을 위한 지침 현행화
—「기상레이더 장비운영 가이던스」점검 및 보완을 통한 발간·배포
— 기상레이더센터 방재기상업무지침 개정
□ 위험기상 감시 강화를 위한 레이더 무중단 운영 강화
○ 낙뢰 시 발전기 가동으로 레이더 무중단 운영
— 낙뢰 접근 시, 상용전원 차단 후 발전기 즉시 가동 운영
— 발전기 가동 대비 점검(4.2~25) 및 유류 사전확보
- 64 -
○ 레이더시스템 상시감시체제 운영
— 레이더 중앙관제시스템 운영으로 레이더 운영상태 상시 감시 강화
— 긴급상황 대비 비상연락망(센터 전직원, 진흥원, 유지보수업체 등) 점검
□ 긴급상황 대비 비상운영체계 마련
○ 효과적인 방재기상업무 수행을 위한 신속한 장비 장애 업무처리
— 신속한 장애 발생 신고 및 상황 전파
— 장애 원인규명을 통해 동일 장애 재발 방지를 위한 사후관리 철저
— 장애 대비 예비품 사전확보 및 관리 강화
— 장애 및 긴급상황 발생 대응 레이더긴급대응반 운영
○ 레이더 장애 또는 계획정지(정기점검 등) 시, 관측공백 최소화
— 장비 점검 시 기상상황을 고려한 일정 편성 및 점검 실시
— 점검 시 필수운영 레이더사이트 지정·운영
② |
레이더 및 낙뢰관측자료 분석지원 강화 |
□ 레이더를 이용한 위험기상 분석기능 강화
○ 레이더 위험기상 분석 지원
— 레이더 반사도 및 바람자료의 3차원 표출로 스톰구조 분석 강화(6월 시험운영)
— 레이더‧낙뢰 기반의 뇌우특성 분석정보 제공
— 레이더 관측반경 내 태풍진입 시 중심위치 및 이동방향 제공(1시간 간격)
○ 레이더자료 공동활용을 통한 레이더 합성영상 제공
— 유관기관(국방부, 국토교통부) 레이더자료 합성에 따른 저층관측자료 활용
○ 강수형태에 따른 강수량 추정 관계식 적용 레이더영상 제공
— 뇌우, 안개비, 층운형 강수 등 강수형태에 따라 구분하여 레이더영상 제공
○ 레이더강수량예측자료 제공으로 위험기상 조기 대응
— 예측강수량 누적분포도 및 지역별 문숫자 제공(1~3시간)
- 65 -
□ 레이더 분석자료 지원 강화
○「레이더표출시스템」신규버전으로 전환
— 레이더바람장 지원, GIS정보 활용으로 레이더자료 분석기능 강화
○ 레이더 에코 해설영상 및 레이더분석서 제공
— 강수 실황자료 및 비강수에코 구별 설명정보 제공
— 위험기상 발생 시 상세 레이더 분석자료 제공
○ 대국민 레이더자료 활용 정보 제공
— 기상청 홈페이지 및 모바일 웹을 통한 레이더영상 설명정보 제공
○ 위험기상(호우, 태풍) 대응 레이더분석반 운영
□ 낙뢰관측자료 지원체계 강화
○ 낙뢰관측자료 활용 강화를 위한 통계자료 제공
— 지역별(시‧군‧구) 및 시간별(연‧월‧일) 낙뢰발생 분포도, 문숫자 제공
○ 낙뢰문자전송시스템 장애 대응 백업체계 구축 및 수시 점검
— 낙뢰문자전송서버 이중화체계 구축 및 통합통보시스템 활용
□ 레이더자료 활용 증대를 위한 역량 강화
○ 예보관대상 레이더자료 활용 순회교육 실시(3.13~4.11)
— 본청 및 지방예보관 대상 레이더분석 기법 및 이중편파기술 소개
○ 레이더분석자 전문성 강화교육 실시(‘12.12~’13.3)
— 위험기상 사례분석, 최신 레이더 분석기술 공유, 이중편파레이더 활용법 교육
○ 레이더자료 활용 강화를 위한 예보국 지경노 세미나 발표(5월)
— 레이더 바람장 검증 및 활용방법 소개
- 66 -
③ |
레이더업무 홍보를 통한 소통 강화 |
□ 언론기관 및 대국민 홍보 활동
○ 언론 기고, 인터뷰, 보도자료 배포 등
— 기상레이더 활용, 낙뢰피해 예방 등 기고(정책포털, 언론사 등)
— 기획기사 발굴 및 언론보도 모니터링
○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여론주도 홍보 강화
— 기상레이더센터 페이스북(http://www.facebook.com/wradarcenter/) 운영
— 기상레이더‧낙뢰정보 활용법, 원리 및 이론 등을 소개하여 기상업무에 대한 대국민 이해 확산 및 공감대 형성
○ 홍보실 운영을 통한 기상과학 대중화 및 소통문화 확산
— 홍보전담 인력을 활용한 홍보실 상시운영
— 기상레이더업무 홍보용 리플릿, 브로셔 등 홍보자료 배포
○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레이더‧낙뢰정보 제공
— 기상청 홈페이지‧모바일(대국민), 융합행정 포털(유관기관, 학계)
- 67 -
(항공기상청)
① |
항공방재기상업무 사전 점검 |
□ 방재기상업무 수행체계 점검 및 방재기상운영지침 개정
○ 항공방재기상업무 수행체계 점검
— 위험기상 상황별 비상근무단계 점검 및 교육 실시
— 비상근무자 연락망 점검 및 현행화
○ 방재기상운영지침 개정
— 위험기상에 따른 방재비상근무 단계 및 인원 조정 등
□ 항공기상 운영시스템 및 시설물 일제 점검
○ 장비 이상 유무 및 예비부품 확보 실태 점검
— AMOS, LLWAS 등 공항기상관측장비별 가동상태 확인
— 중요 장비 예비부품 보유량 점검 및 확보
○ 장비 장애·복구 체계 점검
— 유지보수 업체와의 비상연락망 및 긴급복구 체계 점검
○ 주요서버 및 홈페이지 운영 최적화
— 항공청 DB, 전문입력시스템 점검
— 홈페이지 콘텐츠별 내용 및 표출오류 점검
○ 청사시설 및 주변 위험요소 점검
□ 기상정보 전달체계 정비‧점검
○ 통보체계 점검 및 유관기관 통보처 현행화(매월)
— FAX, SMS 등 항공기상정보 통보시스템 점검
— 유관기관 담당자 및 비상연락망 현행화 유지
○ 항공고정통신망(AFTN)을 통한 정보 제공 수신처 점검(131개소)
- 68 -
② |
선제적 방재기상업무 수행 강화 |
□ 예보관 예보역량 강화
○ 항공기상 예보기술 발전세미나 개최(4.25~4.26)
— 정확한 예보 수행능력 점검과 정보 공유를 통한 예보기술 향상
□ 여름철 위험기상 대응능력 향상
○ 위험기상 대응 및 문제해결 능력 강화를 위한 「예보전문관과정」 교육 이수(5.6~5.9/총괄예보관 4인)
○ 위험기상 사례분석과 현지조사를 통한 예보능력 강화
— 호우 사례분석 및 정확한 이・착륙 예보의 이해(5.3)
— 현지 지형 및 국지적 기상특성 조사를 통한 위험기상 대응력 향상(5.3~4)
— 우박 사례분석 및 개념모델 활용 연구 등(5월)
③ |
항공방재기상업무 협력 강화 |
□ 위험기상정보 공유체계 강화
○ 항공사 지원을 위한 「글로벌 항공기상 지원 서비스」정규 운영(4. 1~)
— 국내‧외 항공사의 항공 항행 업무 지원을 위한 전용 웹 포털 서비스
○ 항공방재기상업무 협의회 개최(5. 14)
— 여름철 위험기상 전망과 항공방재기상대책 협의
— 항공방재기상업무 협력체계 현황 진단 및 개선
— 항공교통기관, 민간항공사, 공항공사, 공군, 인천해양경찰청 등
○ 공항공사 시설관련 부서와 위험기상 정보 공유 강화
— 태풍, 호우, 강풍 등 위험기상 예상 시 핫라인을 통한 전화브리핑 실시
○ 항공교통센터 관제사에 대한 기상정보 지원 강화
- 69 -
— 공역‧항공로상의 위험기상 정보 및 기상예보 브리핑(일4회)
— 위험기상 예상 시 기상브리핑 실시(수시)
□ 항공방재기상업무 지원을 위한 기상교육 실시
○ 항공기사고 수색구조 관리자 교육 실시(5.14)
— 중앙 119구조단 항공기사고 수색구조 관리자
○ 저고도를 운항하는 항공기 사고 예방 교육(5.28)
— 산림항공관리본부,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 소방방재청 등
○ 항공교통기관 및 항공기 운항 관련자 기상교육 실시(수시)
— 관제사, 운항관리사, 조종사, 공항운영자 등
④ |
항공기상 관련 언론 모니터링 강화 |
□ 주요 방송사 및 언론기관 방송내용 상시 모니터링
○ 주요 방송사별 항공관련 보도 내용 모니터링
○ 케이블 방송 및 언론사 홈페이지, 포털사이트 등 인터넷 기사 모니터링
□ 신속한 언론대응체계 운영
○ 항공기상 관련 언론보도 내용 분석 및 대책 마련
○ 대변인실과의 긴밀한 협조를 통한 언론대응 일원화‧체계화
□ 국내외 항공기사고 관련 언론대응
○ 항공기사고 정보 수집 및 관련기관과의 협조체계 강화
○ 기상관련 항공기 사고 시 기상정보 상세분석 수행 및 언론보도 모니터링
- 7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