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3.0을 선도하고 과학적 기상행정 구현을 위한

기상기후 빅데이터 융합 마스터플랜




2014. 12.





 
 

목     차


Ⅰ. 환경 여건 분석  1

1. 외부 요건 분석 1

2. 내부 여건 분석  2

3. 국내외 동향  4


Ⅱ. 현황 및 문제점 8

1. 그 간의 추진 경과  8

2. 우리의 현황 및 문제점  11

3. 시사점  15


Ⅲ. 기상기후 빅데이터 융합 추진 계획   16

1. 목표 체계  16

2. 추진 방향  17

3. 추진 전략 및 과제  18

전략1. 타 분야 융합 서비스 기반 조성 및 이해 확산 18

전략2. 개방형 기상기후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22

전략3. 기상기후 빅데이터 융합 서비스 강화 24

전략4. 데이터 기반 기상업무 개선 추진 35


Ⅳ. 추진 체계 38

1. 조직 체계 38

2. 투자 계획  39

3. 연도별 추진 일정 40


Ⅴ. 기대효과 41


[붙임1~9] 42~56


환경 여건 분석

1

외부 여건 분석

□ (기술 환경) 데이터 폭발 및 데이터 경제의 시대 진입

무선통신(LTE, WiFi, 스마트폰), 사물인터넷(IoT) 기술의 급속한 발전 및 IT의 일상화로 인한 ZB(제타바이트) 시대의 도래

※ 전 세계 정보량: (‘11) 1.8제타바이트(ZB) → (’20) ‘11년 대비 50배 증가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창조경제 활성화로 일자리 창출 기여 

-  기계데이터, 행동데이터 등을 통한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 확보

※ 빅데이터는 미래 경쟁력을 좌우하는 21세기 원유 -  가트너그룹


□ (사회 환경) 사회전반에 걸쳐 기상기후 기반 의사결정 니즈 확산

국민의 니즈를 선제적으로 파악‧제공하는 맞춤형 행정 서비스 필요

-  지역, 직업, 라이프스타일 등 맞춤형 날씨 서비스 확산 요구

기상기후 데이터의 경제적 가치가 높아짐에 따라 기상산업 육성 및 타 산업 분야와의 연계 활발

-  기상기후 분야의 민간 역할 확대 및 신규 비즈니스 모델 확산 

※ 기상사업자, SK플래닛 웨더퐁,  날씨앱(1인기업)


□ (국정 환경) 민간 주도의 정부 3.0 과학 행정 패러다임 전환 

○공공데이터 개방을 통한 민간 중심 정부3.0 시대의 본격 개막

-  기상기후 데이터의 개방 확대 및 기상기후 분야의 민간 역할 확대 요구 증가

※ 정부는 데이터 제공, 민간은 서비스(공공데이터 활용 서비스 원칙)

데이터 통찰을 통한 과학적 행정 구현으로 미래 예측 정확도 제고

-  객관적 데이터를 활용하는 증거기반 정책 수립 제도화 

2

내부 여건 분석


□ 방대한 기상기후 빅데이터 [붙임1]

○ 날씨 예측을 위해 과학적 기법으로 실시간 생산‧유통되며, 사회경제 전반의 융합 활용 가치가 매우 높은 대용량 데이터임

-  기상기후 데이터는 일반적인 빅데이터의 4V(Volume, Variety, Velocity. Value) 특성을 모두 보유한 데이터임

< 기상기후 데이터 특성 >

구 분

특 성

시간성

대기 현상에 따라 실시간으로 끊임없이 변하는 자료

대용량성

수 십년 간 누적된 수 PB(페타바이트) 규모의 초 대용량 자료

다양성

기상청, 관측유관기관 및 해외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생산되는 자료

지역성

지형, 고도, 위경도 등 지역적 환경에 좌우되는 자료

비휘발성

기후변화, 기후통계 등 과거 자료의 가치가 높은 자료


< SWOT 분석 >

내적요소



외적요소

강점(Strength)

약점(Weakness)

‧방대한 고품질 자료 보유

‧데이터 개방에 용이

‧강력한 전산자원 보유

미래 추론형 예측자료 생산

‧빅데이터 전문가 부재

‧빅데이터 내부 공감대 부족

청 내외 빅데이터 업무 중복

장기예측 자료의 낮은 신뢰성

기회(Opportunity)

S

O

W

O

‧국가적 빅데이터 육성

다 분야 활용성 높은 기상자료

‧기상 산업 육성 가속화

‧부처 간 협업 확대

‧빅데이터를 활용한 기상- 타분야 자료 융복합 서비스 개발

‧부처 간 활발한 정보 공개로 타 분야 데이터 확보

‧빅데이터 전문 기관과의 협력 체계 강화

사업 추진 시 타분야 전문가 참여로 피드백 강화

위협(Threat)

S

T

W

T

‧외부 전문가 부족

공공‧민간 역할 정립 미흡

예보 중심의 기상청 인식

기상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및 개방으로 산업 육성 생태계 지원

타 기관과의 협업 추진을 통한 협력 도모

‧민간사업자와의 역할 분담을 통한 상생 추구

‧교육·훈련을 통한 빅데이터 운영인력 확보 노력

‧다양한 전문가 그룹과의 협의체 구성을 통한 소통 강화

- 2 -

□ 기상기후 서비스 활용 현황

○ 기상청 날씨경영 인증

-  기상정보를 경영에 활용하여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기상재해로부터 안정성을 획득한 기업에게 인증 수여

< 분야별 인증취득현황 (총 110개) >

년도

도로/

교통/항공

지자체 시설관리공단 등

제조/

건설

에너지

유통

스포츠/

레저/관광

외식

기타

합계

2011년

7

1

3

2

1

2

2

2

20

2012년

6

6

6

2

0

0

2

1

23

2013년

6

12

2

1

1

5

0

2

29

2014년

2

27

0

0

0

6

1

2

38


※ 유통분야 ㈜보광훼미리마트는 날씨에 따른 마케팅 전략으로 제고와 폐기물량 감소로 15% 손실 절감, 매출 33% 이상 상승 등

※ 지자체 시설관리공단/도시관리공단 등은 날씨경영인증이 경영평가에 반영됨과 더불어날씨에 따른 시설관리를 통해 기상재해로 인한 시설파괴 방지 및 안전사고 급감


○ 기상기후 빅데이터의 사회경제적 활용 동향 

-  ‘14년 온/오프라인 언론기사 분석 결과 경영(마케팅), IT서비스, 방재 분야에서 기상기후 빅데이터를 활용 사례 다수 존재(총 196회)

※ 언론사: KBS, MBC, SBS, 조선, 중앙, 동아, 한겨레, 경향, 매경, 이데일리 등 56개 사

 

※ 조사기관(국립기상연구소)

- 3 -

3

국내외 동향

□ 국내외 기상기후 빅데이터 활용 사례

분야

서비스 주체

서비스명

내용

농수축산

(9)

몬산토 

Total Weather Insurance

‧공공데이터를 이용해 이상 기후 발생시 해당 농가에 보험급을 지급하는 기후보험 개발 및 판매

듀폰 

필드360서비스

‧웹 기반의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모바일 구독 서비스를 통해 필드 단위의 강수량, GDD 축적 정보, Pioneer 브랜드 제품에 대한 성장단계 발달 정보에 대한 모니터링 서비스

존디어

존디어필드커넥스 서비스

‧발아에 도움이 되는 적절한 seedbed 온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공기 온도, 상대 습도, 바람 속도 및 방향에 대한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웹 기반의 인터페이스로 정보를 전송하여 컴퓨터 또는 모바일 장치에서 열람 가능한 서비스

후지쯔

아키사이

농지에 날씨와 토양환경 등을 측정하는 센서를 설치하고, 수집되는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최적의 파종, 농약살포, 수확 기점을 모바일로 제공하는 서비스

농촌진흥청 

농업기상정보서비스

‧전국의 농업 기상자동관측장비를 전산망에 통합하여 전국 농업 기상 관측망을 구축한 농업기상정보의 통합 수집·저장 서비스

경상북도

영주시

빅데이터 기반 영주사과 작황정보 서비스

‧스마트폰, 태블릿PC, IPTV를 통해 사과작황의 생산이나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분석하여 병충해 징후 발견 정보 및 사과작황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서비스

기상청

농촌진흥청

기상기후 데이터 분석을 통한 과학적 농업경영 지원 서비스

‧국내외 기상기후 데이터와 농산물 수급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관분석을 수행하여 기상기후와 농산물 수급 간의 상관성(패턴)을 도출하는 서비스

강원 

정성군

기상 빅데이터를 활용한 과수 동상해 자동제어 시스템

‧자동기상관측장비(AWS)의 기상 데이터를 수집, 가공·분석하여 마을별 동상해 발생 예측 시 자동으로 과원 서리피해 방지시설을 제어하는 시스템

엔씽

IoT 기반 화초관리 시스템

화분 내부에 여러 센서와 물통, 펌프 등을 포함하여 스마트폰을 이용해 언제 어디서나 화초의 온도, 습도 정보를 확인하여 집안의 화초를 관리하는 서비스

에너지

(2)

기상청

에너지 감축 스마트 웨더 서비스

‧시간대별, 지역별 상세 전력사용량 예측으로 탄력적 전력수급을 지원하는 서비스

영국 센트리카

스마트 계량기를 활용한 전력수요예측 서비스

‧스마트계량기로 받는 검침데이터와 날씨, 기온, 습도 등 데이터 패턴 분석으로 전력수요 예측

수자원

(2)

미국 농림부

조지아 대학

IBM

The Flint River Partnership Project

‧1.5km 해상도를 가진 날씨모델을 만들어 좀 더 세분화된 날씨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미국 국립가뭄경감센터

U.S. Drought Monitor

‧여러 가지 가뭄지수를 종합하여 미국 전역의 가뭄상황을 이해하기 쉽게 하나의 지도로 나타낸 정보안내 서비스

환경

(3)

슈트트가르트 시

기후환경지도

‧도시환경과 관련된 각종 자료를 지도로 표시해 도시계획 과정에 활용하는 서비스

-  온도, 습도, 풍속, 강우 등 기상자료와 대기오염 자료를 수집해 ‘기후환경지도’에 축적, 이를 토대로 ‘토지이용지침도’를 제작

오사카 고베시

도시환경지도

경기도

유비무환 악취모니터링 시스템

‧산단지역 악취발생과 동시에 배출원을 파악하여 즉시 현장 확인 및 지도점검이 가능한 서비스

체육·관광

(4)

스카이72 골프앤리조트

실시간 현장 영상 서비스

‧기상청 예보보다 18시간 더 긴 상세예보를 통해 1시간 단위로 72시간후까지 기온, 풍향, 풍속, 강수확률 등을 제공하는 서비스

이스트항공

EFOS 항공기 운항시스템

예약에서부터 출발, 운항, 도착 등 전 과정의 실시간 모니터링과 날씨와 운항여건 모니터링, 다음 편의 운항준비까지 모든 안전 업무를 통합관리하는 시스템

대한항공

전문 기상인력 및 첨단 기상시스템

‧악기상 현상을 자동 수집해 운항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기상감시 및 분석을 위한 통합시스템

제주 스타렌탈

기상 상황에 따른 고객 맞춤형 서비스

기상악화에 따른 유동적인 할인율을 적용하는 시스템

보건·건강

(2)

기상청

취약계층 대상 보건·생활기상정보 SMS 서비스

‧취약계층 생활기상정보 SMS 서비스

‧취약계층 위험기상 SMS 서비스

‧해상활동 지원을 위한 해양기상 모바일 웹서비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질병 예보서비스

질병 모니터링 서비스

‧DUR을 이용한 실시간 질병예보(예측) 모델과 모니터링(감시) 서비스

교통·물류

(2)

SK플래닛

국지성 기상정보 통합 모니터링 서비스(Weather Planet)

‧SK플래닛의 플랫폼 기술과 SK텔레콤의 안정적인 기지국 전력과 통신 인프라를 결합한 1~2km 해상도의 자체 관측망 구축하여 국지성 기상정보를 통합적으로 모니터링하는 서비스

기상청

웨비게이션 서비스

‧날씨와 내비게이션의 합성어로, 길 안내를 해주는 내비게이션 기능에 운전자가 가고자 하는 경로와 목적지의 기상정보를 알려주는 서비스

방재

(4)

일본

지진정보 모니터링 및 경보시스템

‧지진형상관측시스템의 분석정보를 통해 중앙 및 지방, 주요 매체 등에 지진정보를 통보하는 서비스

서울시

서울시 폭우 피해지도

‧각 지역의 사용자들이 실시간으로 공유한 사진 정보를 바탕으로 폭우지도에 표시하여 지역별 수해현황을 분석하는 서비스

국립산림과학원

산불위험예보시스템

‧국립산림과학원에서 개발한 산불위험지수 예측모델에 기상청으로부터 실시간 기상자료를 받아 양질의 산불위험지수 생산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스마트 빅보드

위성영상‧CCTV‧무인헬기 영상‧기상정보 등이 함께 제공되어 재난안전사고 상황을 한 눈에 파악해 종합적이고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한 '첨단 재난상황실'

산업

(2)

파리바게뜨

파리바게뜨 날씨 판매지수

최근 5년간 전국 169개 지점의 일별 매출과 기상 자료를 통계기법으로 지수화한 날씨판매 지수 개발

코리아세븐

세븐일레븐 점포 Store System

‧날씨정보를 활용해 각 매장이 위치한 지역의 예상되는 날씨에 맞게 상품을 본사에 주문는데 도움을 주는 발주지원시스템

- 4 -

융합사례

기상 빅데이터 융합 주요 사례 -  농업




□ 몬산토(Monsanto) Total Weather Insurance

○ (개요) 기후 데이터를 이용해 이상 기후 발생 시 농가에 보험금을 지급하는 기후보험 개발 및 판매

-  작물계획, 모니터링 등 온라인 서비스 및 현재 위험관리 제품과 보험상품 제공

-  보험 통계에 따라 지급되는 기존 보험과는 달리 리스크에 대한 실제 비용의 60% 수준의 보조금을 연방정부를 통해 받는 형태로 금융 상품 제공

-  기상청(기후 데이터), 농무부(토양, 수확량 데이터)로 농가 전문 보험상품 설계

-  지역 날씨 모니터링, 농업 데이터 모델링, 고해상도 기상 시뮬레이션을 통합하여 플랫폼 구축

-  농장주들이 악천후에도 자신들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적절한 보험을 선택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

○ (효과) 농산물 생산량 예측 등 농업 활동과 관련한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여 자원의 효율적 활용 및 농업 생산성 향상 가능

<Total Weather Insurance 처리 과정>

 
 
 

출처 : http://www.climate.com/products/total- weather- insurance



- 5 -

융합사례

기상 빅데이터 융합 주요 사례 -  교통융합




□ SK플래닛 국지 기상정보 통합 모니터링 서비스(웨더 플래닛)


○ (개요) SK플래닛의 플랫폼 기술과 SK텔레콤의 안정적인 기지국 전력과 통신 인프라를 결합한 1~2km 해상도의 자체 관측망 구축


-  (신뢰성) 기지국의 안정적인 전력통신망과 체계적인 유지·보수 인력을 활용한 자동화, 반자동 관측정보 품질관리를 적용하여 신뢰성 확보

-  (정밀성) 1km 단위 관측망, 실시간 국지적인 기상정보 제공

-  (확장성) Web, Open API, Application 등 다양한 연동방식 제공

-  (경제성) 대단위 구축 infra를 기반으로 저렴한 비용

-  (편의성) 시간, 지역을 필요에 따라 맞춤형으로 구성




○ (효과) 


-  급변하는 기상정보를 운전자에게 신속하게 전달하여 폭우, 폭설, 안개 등의 위험기상으로부터 운전자의 안전과 편의성 확보

-  각종 기상 현상 및 주변 유동인구 상황 등을 종합한 방재 기능 제공 

<웨더 플래닛 앱>

 



현황 및 문제점

1

그 간의 추진 경과 (14년)


□ 청 내외 기상기후 융합을 위한 조직 구성 및 과제 발굴

○기상기후 융합 서비스 발굴을 위한 대내외 조직 구성‧운영

-  (내부) 기상융합서비스팀, 기상기후빅데이터실무협의회

-  (외부) 기상기후빅데이터포럼(소위원회, 10개 분과위원회)

< 조직도 >

기상청장

기상기후빅데이터포럼

빅데이터실무협의회

관련부서


기상산업정보화국장

기상산업정책과

기상융합서비스팀


소위원회/

분과위원회(10개분과)

내부조직

외부조직

○타 분야 융합 과제 발굴 및 과제 추진의 우선순위 선정

-  9개 분과위원회를 통해 총 42개 과제 발굴, 소위원회 개최를 통해 12개 중점추진 과제 선정

< 분과별 중점추진과제와 차 순위과제 선정 >

분류

농수축산

에너지

수자원

환경

체육‧관광

보건‧건강

교통‧물류

방재

산업

합계

중점

1

1

2

1

2

1

2

1

1

12

차 순위

2

1

-

-

1

2

1

1

1

9

중장기

4

1

1

2

5

-

5

3

-

21

합계

7

3

3

3

8

3

8

5

2

42

- 6 -

참 고

융합 과제 추진 과제 선정 결과




󰋻42개 발굴 과제 중 소위원회를 통한 12개 중점추진과제, 9개 차순위과제 선정

-  사업추진의 중요성(평균 3.3점/5점), 예산투입의 시급성(평균 3.1점/5점)


 



󰋻중점추진과제, 차순위과제 목록

분과

중점추진과제(12개)

차순위과제(9개)

농수

축산

기상기후 민감 작물의 주산지 기상정보 서비스 및 생산성 분석

대기확산예측을 통한 가축전염병 관리

빅데이터 활용 가축의 생산성 변동 및 피해예측 모델 개발

에너지

기상·재해에 따른 전력설비 피해 예측 및 조기경보 시스템 구축

‧기상기후정보를 활용한 민간 에너지 효율화 및 수요예측 서비스

수자원

‧빅데이터 기반 현장가뭄지수 개발

폭설예보·현장폭설·위성정보 융합 재해 대응 서비스 체계 구축

수도권의 상세 홍수·침수 위험지역의 예측 플랫폼 구축

환경

기상기후 빅데이터를 이용한 한국연안적조의 원인종과 밀도 변동 예측 연구

-

체육

관광 

‧평창동계올림픽의 선수와 지도자를 위한 기상기후 정보제공 앱 서비스

‧기상기후정보를 활용한 맞춤형 생활체육지수 개발

‧관광 코스별 상세 기상정보 제공 서비스

보건

건강 

‧기상기후 빅데이터를 활용한 감염병 발생감시체계 및 발생 예측 시스템 개발

‧만성병과 기상변수의 관련성 연구

‧기상기후 빅데이터를 이용한 고혈압 환자의 응급 합병증 발병 위험 예측 서비스 개발

교통

물류 

기상정보 융합 해수욕장 관광수요 예측 서비스 개발

‧도로기상 데이터 수집 및 활용체계 구축

지자체 기상상태별 교통사고 위험도 예측 서비스

방재

‧차량용 강우센서를 이용한 도시지역에서의 실시간 도로통제 시스템 개발

-

산업

빅데이터를 활용한 맞춤형 산업기상지수 개발

날씨 데이터를 활용한 지역별 매출분석 서비스 개발

- 7 -

참 고

‘14년 기상- 타 분야 융합 시범 분석 성과




① (농업) 기상과 채소류(양파, 고추, 마늘) 생산성 예측

󰋻(분석내용) 시기별 생육에 영향을 미치는 기상요인 분석으로 작물 생산성 예측

 
 

양파생산량에 영향을 미치는 기상요소

양파 생육시기별 기상변수(최종)


② (방재) 호우 피해 위험 예측

󰋻(분석내용) 지역 맞춤형 호우피해위험 예측(동일 강우에도 지역별 피해 규모 차이 발생)

 
 

지역별 호우피해영향 변수 산출

호우피해위험 시뮬레이션(서울지역)


③ (에너지) 기상과 전력수요예측 분석

󰋻(분석내용) 단기 전력수요예측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기상요인 분석

 
 

월별 전력수요예측 영향 변수 내역

(월별 예측 및 다양한 기상요소 분석 결과)

풍속요소 반영 전후의 수요예측결과 비교

(8월 태풍 내습 시 분석 결과)

2

우리의 현황 및 문제점

현황 및 문제점 요약

국내 기상시장 규모

3,300억 이상

VS

기상융합시장 규모

730억 이하

단기예보 정확도

90% 이상

VS

장기예보 정확도

40% 이하

기상데이터 개방률

80% 이상

VS

OpenAPI 개방

10종 이하

기상기후 서비스 수

700개 이상

VS

분석기반 서비스 수

80개 이하

□ 기상기후 산업 현황 

○ ‘13년 국내 기상기후 산업 시장은 약 3,372억원 매출 규모이며, ’12년 대비 약 4.9% 성장을 기록함

-  표준분야에서는 기상장비가 1,031억원(약 30%), 확장분야에서는 타 산업 융합분야가 725억원(약 22%) 규모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

-  타 산업 융합 부문은 전년 대비 급격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전체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율도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음

※ 타 산업 융합 분야 매출: (‘12) 396억원 → (’13) 725억원 (전년 대비 83.1% 증가)

⇒ 시장 규모 확대를 위해 하드웨어형 시장 구조에서 탈피하여소프트웨어형‧타 분야 융합형 시장 구조로의 체질 개선 필요

- 8 -

□ 기상 관측‧예보 현황 

○ (관측) 지상, 해양, 고층 등 입체적인 기상 관측을 위해 다양한 자동 기상관측 장비 지속적으로 설치‧운영 중임

< 관측장비 현황(‘13년) >

구분

장비유형

지상

유형

ASOS

AWS

초음파적설

황사

시정현천

운고운량

910

수량

95

475

72

30

182

56

해양

유형

부이

파랑계

등표

파고부이

연안방재

항만‧선박기상

91

수량

11

6

9

38

17

10

고층

유형

레윈존데

연직바람측정

라디오미터

낙뢰관측

45

수량

6

9

9

21

기타

유형

레이더

위성

12

수량

11

1

-  국민 생활 반경 기반의 조밀한 빅데이터 분석을 위해서는 고 해상도(1km이하) 관측 자료 활용이 필요함 

※ 기상청 보유 AWS의 경우 약 13km의 지역 해상도 수준임

⇒ 관측 유관기관 및 민간 기상관측자료 활용 방안 모색 필요

※ 모바일‧사물인터넷 기반 기상관측 기술 개발 및 현업화 노력 필요

⇒ 수치모델을 이용한 고해상도 기후격자 자료의 활용 확대 필요

○ (예보) 방대한 수치예보 모델 자료를 기반으로 기간별(초단기, 단기, 중기, 장기) 예보를 실시간 생산‧제공

< 예보 현황 >

구분

예보기간

예보요소

발표주기

지역단위

초단기

+4시간

1시간강수량, 강수형태,

하늘상태, 뇌전(4개)

1시간

동 단위

(5km)

단기

+3일

3시간기온, 일 최고/최저기온, 풍속, 풍향, 강수량/신적설(6시간), 하늘상태, 강수형태, 강수확률, 습도, 파고 

3시간

동 단위

(5km)

중기

+10일 

날씨전망, 하늘상태, 최고/최저기온 등

12시간

광역

(10개)

장기

+1,3개월

평균기온, 강수량(확률예보)

매주(1개월), 

매월(3개월)

광역

(10개)

- 9 -

-  단기 예보 정확도(동네예보 강수여부 기준)는 90% 이상인 반면 1개월 이상의 장기예보 정확도는 40% 이하 수준임

⇒ 정책 의사결정 및 경제‧산업 분야 활용성이 높은 장기예보 정확도 제고를 위한 기술 개발 및 예산 투입 강화 필요

□ 기상기후 데이터 개방 현황 

○ 타 부처 대비 높은 데이터 개방 정책 추진으로 정부3.0 선도

-  “공공데이터 개방 및 이용활성화에 관한 법률”(2013.9월) 제정 이전부터 기상청은 다양한 기상자료를 외부에 개방 중임

※ 데이터개방수준(‘13년 기준): 중양행정기관(20.6%), 기상청(80.6%)

-  대부분 원시파일전송(FTP), 민원을 통한 개방 비중이 높으며사용자 편의성이 높은 오픈API 형식의 데이터 개방 노력은 부족

※ 오픈API개방(대국민): 동네예보, 중기예보, 기상지수(생활‧산업‧보건) 등

-  공급자 위주의 기상기후 데이터 개방으로 실제 수요자의 기상기후 데이터 이해 및 활용 수준은 미약함

⇒ 다양한 수요 계층이 각각 원하는 기상자료를 원하는 형식으로 원하는 시점에 제공하는 전달 체계 필요

□ 기상기후 서비스 현황  [붙임2]

○ 다양한 지역, 행사, 산업 등에 대국민 혹은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

-  목적별(지역축제, 49.3%), 산업별(관광, 64,8%), 지역별(경북, 18.3%), 소재별(문화, 40.3%), 기간별(10일이내, 57.1%), 대상별(지자체, 56.1%)

<목적별>

 

<산업별>

 

- 10 -

○ 방대한 기상기후 서비스는 국가정책, 날씨경영, 국민안전 등에 많은 영향을 주지만 단편적 정보* 공유‧전달 수준임 

-  행사시점, 행사지역 등 시공간과 기상정보를 단순 결합하여 기상기후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가 대부분을 차지함

※ 단편적 정보 제공 서비스 89.4%, 분석추론 서비스 10.6%

< 융합‧분석 정도에 따른 서비스 유형 >

융합정도

분석정도

기상자료

기상자료+타분야 자료

단편적 정보제공

지역맞춤형 정보(축제, 문화제, 해돋이, 해수욕장, 농수산지원 등 460개)

대국민 기상정보 서비스(연휴, 시험, 선거, 산불 등 124개)

수문기상서비스

지역기후서비스(24개)

맞춤형 항공기상서비스

분석/추론/

의사결정지원

생활·산업·보건기상지수(29개)

계절기상정보(봄꽃/단풍/김장 등)

스포츠기상, 시나리오 응용정보

-

⇒ 기상기후 및 타 분야 데이의 분석‧추론을 기반으로 미래를 예측하는 의사결정 지원 서비스 확대 필요

□ 제도 현황

민간기상사업자 제도 도입 이후 기상기후 서비스 제공 관련 기상사업자와경쟁 구도 조성 및 이해 관계 충돌

-  예보 서비스, 지역기후 서비스, 날씨 앱 등 데이터 혹은 서비스 분야에서 업무 영역 중복 발생으로 일부 사업자의 불만 제기

※ 기상사업자 불만 사례 : 동네예보, 지역기후 서비스, 날씨앱

기상데이터 제공 관련 근거는 법률에 일부 마련되어 있으나 타 분야융합을 통한 부가가치 창출형 서비스와 관련된 업무 추진 근거 미약

-  기상기후 데이터‧서비스는 비배제*, 비경합**의 공공재인 반면 경제적 부가가치가 높은 시장재의 특성을 모두 보유함

* 비배제: 대가를 지불하지 않고 누구에게나 제공 

** 비경합: 특정인의 재화 소비가 타인이 동일 재화를 소비하는 데 영향을 주지 않음 

-  향후 기상기후 융합 과제 발굴 및 서비스 제공 과정에 분쟁 소지 높음

- 11 -

3

시사점

□ 기상기후 정보의 가치 확산을 위한 기상 융합 정책 강화 필요 

○ 국민 체감형, 가치 창출형 기상기후 정보의 맞춤형 생산 및 제공을 위한 한 차원 높은 기상기후 융합 서비스 제공 체계 필요

○ 서비스 및 소프트웨어 중심의 기상융합 산업 시장 확대 및 지속가능한 기상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촉진자 역할 강화

□ 정부3.0 선도를 위한 민관 상생형 역할 분담 필요 

○ 기상산업 발전 및 정부3.0 추진 등 정책 환경 변화에 능동적 대응 필요

○ 기상기후 서비스 제공 관련 민간‧공공의 이해 관계 충돌 방지를 위한합리적 역할 분담 선행 필요

□ 빅 데이터의 적극적 활용을 통한 과학적 기상 행정 구현

○ 국민 안전 강화를 위한 단기예보 정확도 및 산업 분야 융합을 위한장기 예보 정확도 향상 필요

○ 과학기술 근간의 기상 관측‧예측 업무 특성을 고려하여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도구의 적극적 도입‧활용 필요


 


빅데이터 활용을 통한 새로운 기상기후 융합 서비스 체계로 도약



- 12 -

기상기후 빅데이터 융합 추진 계획

1

목표 체계


목표

기상기후 빅데이터 융합 가치 확산

 

추진

방향

시장 생태계 조성

데이터 개방 확산

융합 서비스 강화

융합 기술 고도화

 

추진

분야

농수축산

에너지

교통물류

보건건강

체육관광

수자원

방재

환경

산업

기상(내부)


추진

전략

󰊱 타 분야 융합 서비스 기반 조성 및 이해 확산

󰊲 개방형 기상기후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구축 

󰊳 기상기후 빅데이터 융합 서비스 강화

󰊴 데이터 기반 기상 업무 개선 추진





- 13 -

2

추진 방향

□ (시장 생태계 조성) 

○ 기상과 타 분야 융합 기반 산업 활성화 및 지속 가능한 기상 융합 생태계 조성 촉진

○ 기상기후 분야 민- 관 상생 협력 강화 및 신뢰 프로세스 마련

□ (데이터 개방 확산) 

○ 원칙적으로 원하는 사람은 누구나 사용 가능하도록 기상기후 원시 분석 자료 및 분석 결과 정보의 개방

○ 기상기후 빅데이터와 분석 도구를 원스톱 제공하는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구축 

□ (융합 서비스 강화)

○ 날씨 예측 기반의 정책‧경영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사용자 맞춤형 기상기후 융합 서비스 강화

○ 날씨 의존성이 높은 사회경제 분야 중심으로 지속적인 융합 기회 발굴 및 소통 강화

□ (융합 기술 고도화) 

○ 기상기후 빅데이터 융합 서비스를 위한 고 해상도 관측‧장단기 예보 자료의 생산‧가공 기술 개발

○ 타 분야 빅데이터의 수집 및 융합 서비스 발굴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개발(분석) 역량 강화


- 14 -

3

추진 전략별 과제

전략 󰊱. 타 분야 융합 서비스 기반 조성 및 이해 확산

전략󰊱- 1

제도

기상기후 융합 서비스 추진 체계 정립


□ 기상기후 융합 서비스 추진 방향 

< 기상기후 빅데이터 융합 서비스 추진 방향 >

 

○ ‘공공데이터 활용 서비스 제공 가이드라인’(’14.6, 공공데이터전략위)을 준수하여기상 공공서비스 강화와 민간 서비스 활성화 지원 정책 병행 추진

-  기상과 타 분야 융합과제 발굴, 연구개발 수행, 시범 서비스 구현 등빅데이터를 활용한 다양한 융합 서비스 모델 개발

-  공공형(방재, 취약계층 대상 등) 융합 서비스는 기상청에서 직접 제공하되, 시장형 서비스는 민간 주도의 비즈니스 모델 발굴 지원 및 민간 이양 추진

※ ‘15년 제정 예정인「맞춤형 기상서비스 규정(가칭)」과의 일관성 유지

-  융합 서비스 전(全) 단계에 걸쳐 민간 기업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

※ 민간의 포럼 참여 확대, 빅데이터 융합 과제 공개를 통한 서비스 침해 여부 사전 검토 등

- 15 -

○ 기상기후 융합 서비스의 효율적 추진을 위한 지침 마련

-  융합 서비스의 유형, 주체‧대상, 사업화 방식, 민관 협력 절차 등 업무 추진에 필요한 합리적인 기준 제시

※ 서비스 주체·대상‧특성에 따라 정책결정형, 민간주도형, 민관협력형으로 차별화

융합 서비스 추진 기준(안)

▢ 서비스 유형 

구분

서비스 주체

서비스 대상

서비스 특성

정책

결정형

‧기상청

‧해당 분야 공공기관

‧중앙행정기관, 지자체

‧연구기관(학교/연구소)

‧대국민

‧공익형 혹은 연구용

‧국민안전 분야

‧취약계층 대상

민간

주도형

‧기상사업자, 일반기업

‧민간분야(기업/개인)

‧특정 수요층(산업계)

‧수익형 서비스

‧맞춤형 서비스

민관

협력형

‧기상청, 공공기관

‧기상사업자, 일반기업

‧공공기관(공사/공단 등)

‧민간분야(기업/개인)

‧특정 수요층(산업계)

혼합형(공공+수익) 서비스

‧맞춤형 서비스

※ 민간주도형은 초기부터 민간이 직접 서비스 제공, 민관협력형의 경우 기상청에서 한시적으로 시범 서비스 제공 후 민간 이양

▢ 사업화 유형

‣ 정책결정형 공공 서비스: R&D → 시범사업(프로토타입‧공공서비스모델개발) → 공공서비스화 추진

‣ 민간주도형 민간 서비스: 기상산업R&D(공공과 민간 매칭펀드를 통해민간 비즈니스모델 및 기술개발 지원) → 민간 직접 서비스 

‣ 민관협력형 민간 서비스: R&D → 시범사업(프로토타입‧비즈니스모델 개발) → 서비스 민간 이양 

▢ 중점‧차순위 과제(21개)별 서비스 유형 예시  [붙임3]

구분

분야

농수축산

에너지

수자원

환경

체육‧관광

보건‧건강

교통‧물류

방재

산업

정책

결정형

1

-

3

1

-

2

1

1

-

9

민간

주도형

-

1

-

-

2

-

-

-

2

5

민관

협력형

2

1

-

-

1

1

2

-

-

7

3

2

3

1

3

3

3

1

2

21


- 16 -

전략󰊱- 2

프로세스

기상기후 융합 서비스 관리 프로세스 수립


□ 기상기후 빅데이터 융합 서비스 추진을 위한 세부 업무 절차 마련

○ 서비스 추진 단계별 업무 기능을 도출하여 전(全) 주기 관리 프로세스 정의 

-  업무 기능별 수행 요건, 선후 관계, 주관‧협력 부서 지정, 업무 의사결정 기준 등을 정의한 내부 업무 절차서 수립

< 주요 추진 절차 >[붙임4]

업무기능

주요내용

담당

(‘15.1월 조직개편 기준)

수요조사

‧검토

(융합발굴)

‧청 내부/외부(부처, 지자체, 공공기관, 민간) 융합 사업 수요 파악

※ 포럼, 워크숍, 간담회 등 외부 협력

각부서,

지방청

사업계획

(예산확보)

‧사업 적정성‧효과성‧실현가능성 등 검토

‧청 내 기상기후 서비스 조정 및 효율화

‧관련 예산(기상‧기후‧산업 R&D) 확보

기상기술융합팀

연구개발

(분석/모형개발)

‧연구개발 사업 발주 및 수행 관리

‧기상, 타 분야 데이터 확보 방안 마련

기상기술융합팀

융협 서비스 지원을 위한 기상 데이터 생산‧처리 기술 개발 지원

국립기상과학원

시범사업

(기술이전)

‧시범사업 관련 이해관계자 의견 수렴

‧시범사업 수행 방식 결정

‧서비스 주체(공공, 민간) 및 대상 협의

기상서비스진흥국

서비스 제공

(가치확산)

‧서비스 제공 주관 부서‧기관 결정

‧본 사업 수행 및 서비스 이전

※ 정책결정형 서비스 ⇒ 해당 부서(기관)로 이전

민간주도형 서비스 ⇒ 민간으로 이전

기상서비스진흥국

피드백

(성과관리)

‧융합 사업 성과 총괄 조정‧감독

‧주기적 모니터링 수행

※ 활용성 조사 및 지속가능성 검토 등

기상서비스진흥국

- 17 -

전략󰊱- 3

협력‧홍보

기상기후 융합 서비스 이해 확산 


□ 민‧관‧학‧연 중심의 대외 협력 체계 운영 강화

○ 『기상기후 빅데이터 포럼』의 지속적 운영 

○ 융합서비스의 성과 창출을 위한 민간 분야 전문가의 참여 확대


□ 기상기후 빅데이터 융합 분석 경진대회(가칭) 개최 

○ 대학생, 연구원, 기업인 등을 대상으로 기상기후 데이터와 접목 가능한 새로운 사업 아이디어(비즈니스 모델) 발굴

※ 기상기후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을 활용하여 미래 사용자 확보

○ 기상과 사회경제 데이터의 융합 분석을 통해 부가가치가 높은 사업의 시범 개발 및 민간 개방 데이터의 활용 기회 확

※ 수 년 간의 과거 관측 자료(기후격자) 및 예보 자료를 기반으로 타 분야 데이터와의 융합 분석 시도 등


□ 기상기후 빅데이터 분석‧활용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운영 

○ 대학(기상학, 수학, 응용통계학 등) 및 빅데이터 전문 교육 기관과의 교육 프로그램 연계 개발 및 실행 

○ 기상기후 빅데이터 분석이 가능한 인력 양성을 통해 기상산업 분야 고급 일자리 창출 기여


□ 날씨경영 인증 기업에 인센티브 프로그램 제공

○ 증 기업의 경영활동(이윤 극대화) 지원을 위해 맞춤형 기상기후 빅데이터 컨설팅 프로그램 제공 

※ 날씨와 판매 제품 간의 상관성 분석을 통한 판매 예측, 제고 관리 최적화 등

- 18 -

전략 󰊲. 개방형 기상기후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구축 


전략󰊲- 1

시스템 구축

기상기후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구축


□ 기상기후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구축 및 연계 체계 마련

○ 기상기후 빅데이터 융합 분석을 위한 전용 플랫폼 구축

-  정형, 비정형 데이터에 상관없이 분석이 가능한 기술 구조 채택

※ 빅데이터 단계별(수집- 처리- 저장- 분석- 시각화) 기능을 데이터 분석(R), 분산처리 기술(Hadoop), 시각화 기술 등 최신 기술을 활용하여 구축

○ 공공분야 빅데이터 플랫폼(행자부, 미래부 등)과의 분석 데이터 셋 공유 체계 마련

○ 청 내 연구개발 사업(기상산업R&D)과의 연계성 확보

산업분야 활용을 위한 기상정보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및 매시업(Mash- up) 시범서비스 개발」(기상산업R&D, ‘13~‘15년)

< 기상기후 빅데이터 플랫폼 개념도 >

 

- 19 -

전략󰊲- 2

개방

기상기후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개방


□ 기상기후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외부 개방을 통한 타 분야 데이터와의 융합 촉진 

○ 외부에서 인터넷을 통한 분석 플랫폼 활용이 가능하도록 기상기후 데이터 분석 수요자의 접근성 확보 및 이용자 확대 

-  해킹 등 공격에 대비한 사이버 보안(네트워크 암호화, 전용접근PC 환경, 권한제어 등) 강화를 통한 안전한 개방 환경 보장

○ 분석 플랫폼 활성화를 위한 분석 데이터셋 및 콘텐츠 강화 

-  과거 관측자료, 예보자료 및 수치모델 자료 등 다양한 대용량 기상기후 원시 데이터 셋을 분석 플랫폼에 적재

-  플랫폼을 시범 사업 수행을 위한 기반 인프라로 활용하여 양질의 융합 콘텐츠 및 서비스 개발 

기상기후 빅데이터 플랫폼 개방 개요

기상기후 자료의 단순 개방은 물론 외부 사용자가 분석 플랫폼에 원격 접근하여 일정 기간 데이터 분석을 직접 수행하고 분석 결과를 활용

 


- 20 -

전략 󰊳. 기상기후 빅데이터 융합 서비스 강화

추진방향

기상과 사회경제 분야의 데이터 융합을 통해 신 기상업무 영역 개척

-  포럼 발굴 과제(42개) 중 중점과제 및 차순위 과제(21개)는 ‘15년부터 우선 이행하며 기타 중장기 과제는 타당성 검토를 거쳐 단계적 추진[붙임5,6]

※ 포럼 등을 통한 지속적인 외부 협업으로 융합 과제의 지속적 발굴 예정 

도입단계(‘15~’16)

발전단계(‘17~’18)

성숙단계(‘19~)

중점과제 시범 추진

단기성과(모범사례) 도출

‧융합 서비스 확산

‧민간이양 추진

융합 서비스 최적화

기상융합 산업 활성화

중점‧차순위 과제(21개)와기상업무발전 기본계획(‘12~16년)」추진전략과의 연계성을 확보하여 청 내외 기상융합 서비스 추진 근거 마련 [붙임7]

※ 행복한 국민을 위한 기상서비스 강화(5개 과제), 풍요로운 사회를 위한 기상‧기후정보 자원화(7개 과제), 튼튼한 국가를 위한 의사결정 기상서비스 강화(9개 과제)

󰊳- 1 행복한 국민을 위한 기상서비스 : 5개 과제(중점‧차순위)

전략󰊳- 1- 1

관광

관광코스별 상세 기상정보 제공 서비스

□ 현지 기상기후에 적합한 관광(여행상품) 코스 선정을 지원하는 서비스 제공 및 관광객의 안전 강화 지원

○ 전국 주요 관광코스별 실시간 날씨정보 제공 및 주요 관광지의 기후예측 정보를 지수화된 서비스로 제공

○ 관광객 관광만족도 제고, 지자체 행사 준비 지원, 잠재 관광객 유치 및 관광 위험사항의 최소화

서비스 주체

서비스 대상

외부 활용 데이터

‧지자체

민간기업(여행사업자)

‧지자체

‧민간기업(여행사업자)

‧지역별 장기간 기후자료

지역별 과거행사내역

여행기업의 상품정보, 관광후기

- 21 -

전략󰊳- 1- 2

보건건강

기상기후 기반 감염병 발생 감시체계 및 발생예측

□ 기상기후 요인과 감염병 전파이론을 결합하여 인구집단별 질병 발생 예보

○ 감염병 단기발생 예측 모형 개발 및 예측정보 제공을 위한 서비스

-  감염병 유형별로 우선순위 감염병 선정

      ※대인접촉 감염병, 매개체 감염병,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

-  인구집단별, 각 질병별 단기발생 예측 모형 개발

-  예측모형을 기반으로 발생위험 예측정보 제공을 위한 서비스 개발

○ 감염병 발생 단기예보를 통해 방역활동 및 감염경로 차단 정책 지원

서비스 주체

서비스 대상

외부 활용 데이터

‧중앙정부

‧지자체

‧공공기관

‧보건공공기관

‧감염병 취약계층

‧감염병 취약지역 방문예정자

‧감염병 발생정보(질병관리본부)

‧환자 의료이용자료(심평원)

인구집단(사망, 토지이용, 산업) 통계 자료(통계청)

시간대별, 지역별 SNS 정보

전략󰊳- 1- 3

체육

기상기후정보를 활용한 맞춤형 생활체육지수 개발

□ 기상과 신체 활동 간의 상관 관계를 파악‧분석하여 기상기후 관련 신체활동지수 개발

○ 기상과 신체활동 간의 지수 파악 및 기상기후 변화에 따른 맞춤형 신체활동을 추천

-  기상기후와 사회배경/지역환경 요인에 따른 신체 활동량의 차이

-  기상기후와 개인별 참여 신체활동의 관계분석(SNS분석)

-  신체활동량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간의 관계

○ 신체 활동 관련 산업의 새로운 프로그램 설계와 방향 수립 지원, 사용자들의 신체활동 준비시간 단축 및 맞춤형 정보 제공 

서비스 주체

서비스 대상

외부 활용 데이터

‧민간기업

‧민간기업

‧학생 및 생활체육인

최근 3년 한국인들의 신체활동 자료

SNS분석을 통한 신체활동 자료

- 22 -

전략󰊳- 1- 4

보건건강

만성병과 기상변수의 관련성 연구

□ 폭염과 만성질환, 인구집단 간의 관계를 규명하여 만성질환 정책에 반영

○ 만성병과 기상변수의 관련성 연구

-  고혈압, 심혈관질환, 뇌졸중, 당뇨병의 일별 진료 자료 수집 및 정제

-  만성병 질환의 입원과 기상변수의 관련성 분석 및 취약계층 파악

○ 만성병 밀집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기상기후에 따른 만성질환 위험정보를 제공하여, 국민 건강향상에 기여

서비스 주체

서비스 대상

활용 데이터

‧정부기관

‧공공기관

만성병 밀집지역 주민

‧10년 간 만성병 자료 (건강보험공단)

전략󰊳- 1- 5

보건건강

고혈압 환자의 응급 합병증 발병 위험 예측 서비스 개발

□ 기상기후 데이터와 고혈압 환자 데이터를 결합하여 고혈압환자의 응급 합병증의 발생을 예측할 수 있는 모델 개발

○ 기상기후에 따른 고혈압환자의 응급 합병증 발생 시뮬레이션 모델 개발

-  고혈압 환자의 개인별 검사소견 및 응급 진료 내역을 활용하여 환자 거주 지역의 기상기후와의 상관 관계 분석

-  고혈압환자에게 개인별 응급합병증 발생 위험 예측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모델 개발 

○ 스마트폰 앱 등을 통해 고혈압 환자에게 기상 조건에 따른 응급합병증 발병 위험을 고지

서비스 주체

서비스 대상

외부 활용 데이터

‧대학병원

대학병원 고혈압 환자‧가족

※ 개인정보 활용 동의 필수

고혈압 환자 응급실 방문 내역(심평원)

고혈압 환자 진단 정보(서울대병원)

- 23 -

󰊳- 2.풍요로운 사회를 위한 기상‧기후 정보 자원화 : 7개 과제(중점‧차순위)

전략󰊳- 2- 1

농수축산

기상기후 민감 작물 주산지 기상정보 서비스 및 생산성 분석

□ 이상기상 대비 농산물 수급 안정 지원을 위한 품목별 주산지 출하시기 기상정보 및 생산성 예측 서비스 개발

○ 품목별 주산지 기상정보 서비스 개발 및 생산성 상관성 분석

-  품목별 주산지 출하시기 DB 구축 및 최근 기상정보 제공 시스템 개발

      ※ 서민형 농작물, 단수(단위면적당 생산량) 변동이 큰 농산물 선정

-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하여 생산성에 영향을 주는 기상 변수 추출

-  기상영향변수와 품목별 생산성 간 정량적 연관성 분석

○ 주산지별 기상자료 제공으로 단기 수급 관리 효율성을 제고하고, 농업인 및 유통인 등의 경영효율성 제고

서비스 주체

서비스 대상

활용 데이터

‧공공기관

‧민간기업

‧농업인, 유통인, 지자체, 농업기관

‧지역별 단기기상 자료

‧품목별 시기별 주산지 정보

‧품목별 단수 및 변화율

지역별 생산량, 실험 데이터

전략󰊳- 2- 2

체육

평창올림픽 선수‧지도자를 위한 기상기후정보 제공 앱 서비스

□ 2018 평창동계올림픽대회에 기상기후정보를 직접 수요자인 올림픽 출전선수와 지도자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앱 개발

○ 평창올림픽 경기장 인근 기상기후 정보 제공을 위한 앱 개발

-  경기장 현장의 예측 및 실시간 기상기후 정보를 앱에 적용하여 올림픽 참가 선수와 지도자들의 경기력 향상을 위해 직접 활용

○ 올림픽 출전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을 위한 서비스 지원 및 대한민국 선수들의 기상환경에 대한 사전 적응훈련에 활용

서비스 주체

서비스 대상

외부 활용 데이터

‧기상청

평창올림픽조직위원회

‧출전선수

‧지도자

‧경기장 자료

- 설상 경기장의 고도별, 지점별 정보

- 경기장 빙판온도 등

- 스마트폰 기상센서 관측 자료

- 24 -

전략󰊳- 2- 3

관광

기상정보 융합 해수욕장 관광수요 예측 서비스 개발


□ 기상정보 융합 해수욕장 관광수요 예측 정보를 통한 미래 예측

○ 해수욕장의 방문객, 교통‧숙박 상황과 기상과의 상관성 분석 

-  해수욕장 인근과 방문객 거주지역의 날씨와의 상관성 분석을 통해 해수욕장 유동인구의 변화 경향 분석

-  해수욕장 인근 교통혼잡도와 숙박혼잡도와 날씨와의 상관성 분석을 통해 관광수요 예측 가능성 검증

○ 지자체별 해수욕장 관광수요 예측 및 대응 방안 수립에 활용

서비스 주체

서비스 대상

외부 활용 데이터

‧기상청

‧지자체

‧민간기업

‧대국민

‧지자체

‧공공기관

‧민간기업

수욕장 인근 관광숙박 자료(문체부)

‧유동인구 자료(이통사)

‧교통자료(지자체, 한국도로공사)

전략󰊳- 2- 4

산업

빅데이터를 활용한 맞춤형 산업기상지수 개발


□ 한국 기후·인종 특성 및 SNS 상 기상관련 단어 빈도 비교·분석 결과를 활용한 한국형 산업맞춤형 기상 체감지수 개발

○ 특성별 한국형 산업기상지수 실시간 분석 및 수익 창출 비즈니스 모델 발굴

-  한국형 산업기상지수(연령별, 성별, 지역별) 및 실시간 분석·산출 시스템 개발

      ※기상자료와 SNS 연계를 통한 날씨 민감 산업기상지수 실시간 분석

-  한국형 산업기상지수를 활용한 수익 창출 비즈니스 모델 발굴

○ 산업별 맞춤형 기상지수 활용을 통한 날씨 경영 실현 및 제고

서비스 주체

서비스 대상

외부 활용 데이터

‧민간기업

‧대국민

‧민간기업

간별, 지역별, 연령별, 성별 SNS 자료

‧특정 민간 데이터 

- 25 -

전략󰊳- 2- 5

농수축산

빅데이터 활용 가축의 생산성 변동 및 피해예측 모델 개발


□ 축산용 실시간 폭염 피해 분석 및 경보시스템 개발로 생산자 피해 및 환경오염에 대한 안전망 구축

○ 기상기후의 가축 생산성 영향 평가 및 중장기 예측모형 개발

-  대중매체, SNS 및 앱 활용을 통한 종합 안전망 시스템 구축

-  기상기후 빅데이터 및 축산업 생산량 데이터의 연관성 분석

-  축종별 생산량 예측모형의 개발을 통한 사료관리시스템 연동

-  예측모형과 실시간 빅데이터의 조합을 통한 통합시스템 개발

○ 가축 폐사에 대한 안전망을 구축하고 장기적으로는 폭염 피해 집중 국가에 원천기술 수출 가능 

서비스 주체

서비스 대상

외부 활용 데이터

‧축산  공공기관 (축산과학원 등)

축산인

중앙정부, 지자체 

가축폭염 피해 취약도 분석 데이터

전략󰊳- 2- 6

에너지

기상기후정보를 활용한 민간에너지 효율화 및 수요예측 서비스


□ 데이터 융합분석을 통한 민간 에너지 고효율화 및 에너지 절감 모델 개발

○ 전력 사용량 예측 빅데이터 플랫폼 개발 및 시범 서비스 운영

-  개별 전력 수용가의 냉난방 부하 분리를 위한 데이터 추출/분석

-  실시간 사물인터넷 계측장치를 통한 전력 수용가의 전력 소비 패턴 분석

○ 홈네트워크, 에너지관리시스템 업체와의 협력 및 한국전력 에너지 효율 프로그램 보급을 통한 민간 확산

서비스 주체

서비스 대상

외부 활용 데이터

‧민간기업

‧민간기업

‧대국민

전력 수용가의 15분 단위 전기 소비량

수용가 월별 전력 사용량 및 청구 요금

가정 및 빌딩내부의 냉난방 시설별 전력자료

- 26 -

전략󰊳- 2- 7

산업

날씨 데이터를 활용한 지역별 매출분석 서비스 개발


□ 소상공인들과 중소기업의 사업을 직접적으로 도울 수 있는 날씨 정보를 결합한 상권분석이나 지역별 매출분석 서비스 제공

○ 날씨 정보에 따른 매출 분석 서비스 제공

-  신용카드사 거래데이터의 시간별, 지역별, 업종별, 품목별 정보 융합

-  날씨 정보를 추가하여 신용카드사 상권분석 시스템 개선

○ 매출 확대 및 새로운 시장 확보에 활용하여 사업자들의 경영 지원

서비스 주체

서비스 대상

활용 데이터

‧민간기업


‧민간기업

‧상세 지역별 날씨 데이터

‧신용카드사 거래 데이터

-  시간별, 지역별, 업종별, 품목별 거래 날씨감성 분석을 위한 SNS 데이터

󰊳- 3.튼튼한 국가를 위한 의사결정 기상서비스 강화 : 9개 과제(중점‧차순위)

전략󰊳- 3- 1

에너지

기상재해에 따른 전력설비 피해 예측 및 조기경보 시스템 구축

□ 기상기후 변화에 따른 전력설비 고장패턴 분석·예측 및 재해 발생에 따른 전력설비·대국민 조기경보 체계 구축

○ 전력 설비 고장유형 상관분석 및 조기경보시스템 구축

-  기상기후·자연재해에 따른 전력 설비별 고장유형 상관관계 분석 정보

※자연재해에 따른 전력설비 및 지역별 전력계통 취약도 맵 개발

-  기상기후·자연재해·전력설비 통합 플랫폼 구축

-  전력분야 재해재난 대응 모니터링 및 조기경보시스템 구축

○ 설비고장 및 피해예측정보를 관련 기관에 제공, 민간 활용 추진

서비스 주체

서비스 대상

외부 활용 데이터

‧공공기관

‧민간기업

‧공공기관

‧민간기업

사태·화재·홍수‧침수 발생 및 예상 정보

‧전력설비 및 고장이력 정보 

‧전력설비 취약도 정보

- 27 -

전략󰊳- 3- 2

수자원

빅데이터 기반 현장 가뭄 지수 개발

□ 현재의 기상·수문학적 가뭄과 국민이 체감하는 현장 가뭄 간의 차이를 분석하고, 현장 가뭄 지수 개발 

○ 현장 가뭄정보 지수화 기법 개발, 가뭄정보시스템 구현 및 서비스 제공

-  가뭄 빅데이터 자료 수집, 필터링, 정보화 기법 개발

※방송, 인터넷, SNS 등에서 가뭄관련 자료 필터링 및 통계분석기법 개발

-  빅데이터 현장 가뭄정보 지수화 및 시공간정보화 기법 개발

-  빅데이터 기반 기상 및 수문학적 가뭄정보시스템 구현 및 서비스 제공

○ 식음료 수요- 생산 관련 정보, 농작물 관리 및 재해보험, 피서지 가뭄 정도 및 물놀이 등 다양한 민간 산업분야에서 활용 가능

서비스 주체

서비스 대상

외부 활용 데이터

‧중앙정부(기상학적,수문학적 가뭄 정보서비스 제공기관)

‧대국민

WAMIS(물지도 전국 댐 하천수위)

GIMS(전국 지하자연수위)

‧RAWRIS(전국 저수지 수위)

가뭄 관련 방송, 인터넷 및 SNS 정보

전략󰊳- 3- 3

수자원

수도권 상세 홍수‧침수 위험지역의 예측 플랫폼 구축

□ 현장의 침수, 홍수의 상황, 모바일 SNS등의 현실을 반영하여 돌발 홍수 위험지역 실시간 및 예측 서비스 체계 구축

○ 수문기상 빅데이터의 분석 및 맞춤형 실시간 홍수침수 위험지역 정보 제공 시스템 구축

-  홍수·침수 관련 수문기상 빅데이터의 분석 및 생산체계 개발

  -  SNS, 웹 등 실시간 비정형 홍수·침수 빅데이터 DB구축

-  맞춤형 실시간 홍수침수 위험지역 정보의 표출 및 제공 시스템 구축

○ 실제 재난 관리에 맞춤화된 홍수·침수 위험지역 예측 서비스를 제공하여 인명 및 재산 등 홍수 피해를 최소화함

서비스 주체

서비스 대상

외부 활용 데이터

‧공공기관(기상 및 재난 안전 관련 기관)

‧민간기업

대국민(수도권 홍수관리 기관 담당자)

‧X- 밴드 레이더 자료(건기연)

‧민간 기상 정보(SK Planet)

홍수·침수 관련 SNS, 웹 데이터

- 28 -

전략󰊳- 3- 4

교통물류

지자체 기상상태별 교통사고 위험도 예측 서비스

□ 기상 정보와 보험 사고 정보 간 상관 관계를 분석하여 기상 상태에 따른 지자체별 교통 소통량 및 사고 발생 위험 지수 예측·제공

○ 기상정보와 보험사고 간 상관관계 분석 및 사고위험도 알림 서비스 제공

-  기상정보와 보험사고 정보 간 상관관계 분석

-  기상상태별 사고위험도 모델링

      ※ 지자체별 기상상태별 교통사고 발생 위험도 예측 모델 개발

-  지자체별 사고위험도 알림 서비스 제공

○ 지자체별 사고위험도 알림서비스 프로그램 및 대국민 알림 서비스 실시

서비스 주체

서비스 대상

활용 데이터

‧보험개발원

‧민간기업

‧지자체

‧대국민

‧민간기업

지역별 기후자료, 생활기상지수

고속도로‧지역별 교통량 자료

도로교통환경 정보, 인구통계정보

‧보험개발원 자동차보험 사고자료 

전략󰊳- 3- 5

방재

차량용 강우센서를 이용한 도시지역 실시간 도로통제 시스템 개발

□ 차량에 탑재된 강우측정 센서(Hydrogen Sensor)를 개발하고,이를 활용한 실시간 지점 강우 및 면적 강우량 산정 기술 개발

○ 차량을 이용한 강우관측기법/관측망 개발 및 실시간 도로침수정보‧우회도로 안내시스템 개발

-  차량에 의한 강우측정을 위한 센서 개발 및 차량의 강우관측 관계식 개발

-  차량용 강우정보를 이용한 면적강우량 산정 기법의 개발

-  전국도로망과 연계한 도로정보 DB활용 기술 개발

-  차량용 강우관측과 연계한 도로침수관련 위험성 평가 기법 개발

-  스마트폰 기반의 실시간 도로 침수 안내 및 우회도로 안내 앱 개발

○ 스마트폰 기반의 실시간 도로 침수 안내 및 우회도로 안내 앱 서비스 제공

서비스 주체

서비스 대상

외부 활용 데이터

‧공공기관(기상, 방재,도로관리 관련 기관)

‧대국민

‧중앙정부

‧지자체

‧국토 및 방재 자료

-  전국도로망 DB, 과거 도로침수 자료

※ 개인정보 활용 관련 제도 검토 필요

- 29 -

전략󰊳- 3- 6

환경

기상기후 빅데이터를 이용한 연안 적조의 원인종과 밀도 변동 예측

□ 기상기후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적조의 원인종과 분포변화 예측

○ 기상, 해양환경에 따른 적조발생의 상관분석 및 중장기 예측

-  우리나라 연안에서 기상조건과 해양환경 요소 간의 상관관계 규명

  -  기상조건- 해양환경- 적조원인종 변화와 적조 발생 상관 관계 규명

-  기상조건, 해양환경요소, 적조발생 통합 모델 수립

○ 적조 발생 예보 체제를 체계적으로 안정화시켜 해양생태계에 관한 기본 정보를 다양한 후속 개발 연구에 제공

서비스 주체

서비스 대상

외부 활용 데이터

‧중앙정부

‧연구기관

‧중앙정부, 지자체

‧민간기업

대국민(수산업 종사자)

‧일일 수온, 염분 관측자료

정점별, 수심별 정선 관측자료

해양플랑크톤 자료

전략󰊳- 3- 7

농수축산

대기 확산 예측을 통한 가축전염병 관리


□ 공기 매개형 가축 전염병 확산 시뮬레이션 시스템 개발로 차단 방역대 설정 정책 방안 제시

○ 대기확산 예측모델 개발로 최적 방역대 설정 및 경보 서비스 시행

-  지역 미기상에 따른 공기매개형 가축전염병 확산 모델 개발 및 구축

-  모델에 따른 차단 방역대 설정 정책안 제시

-  농장별 미기상 관측 USN장비 설치 및 기상자료 수집체계 개발

-  가축사육밀도가 높은 축산지역을 대상으로 우선 시행

○ 과학적인 차단방역 정책 수립에 따른 가축전염병의 차단효과 극대화

서비스 주체

서비스 대상

외부 활용 데이터

‧행정기관

(가축전염병 관련)

중앙정부, 지자체,

축산인

농림축산식품부 농축산검역본부의 KAHIS 시스템 연계

축산농장의 기상관측장비에서 확보한 미기상자료

- 30 -

전략󰊳- 3- 8

교통물류

도로기상 데이터 수집 및 활용 체계 구축


□ 도로 기상데이터 수집 및 통합관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 도로기상 빅데이터 제공 방안 확장

-  도로 인근에서 관측되는 기상정보를 통합된 저장소에 구축

-  OpenAPI, RSS 등 다양한 데이터 제공 방식 개발

○ 수요자 이용 편의 증진 및 기상에 따른 교통혼잡도 분석, 유동인구 분석과 같은 기상 융합연구 분석 및 검증에 활용

서비스 주체

서비스 대상

외부 활용 데이터

‧기상청

‧공공기관

‧공공기관

‧민간기업

‧기상청 관측(AWS 등) 데이터

‧외부 관측 데이터

-  도로 관련 기관에서 보유한 기상관측 데이터

-  통신사 기지국의 민간 관측 데이터

전략󰊳- 3- 9

방재

폭설예보‧현장폭설‧위성정보 융합 재해 대응 서비스 체계 구축


□ 현재 기상정보, 위성영상정보와 더불어 각종 매체 간 폭설관련 정보를실시간 대국민 제공

○ 융합정보 기반 폭설 재해 대응 서비스 개발 및 구축

-  위성영상정보와 적설자료 융합 시공간 폭설분포도 작성기법 개발

-  현장 폭설정보를 반영한 실시간 갱신정보 생산 기법 개발

-  인터넷, SNS 등 폭설관련 빅데이터 자료 수집, 필터링, 정보화 기법 개발

○ 설 도로 실시간 교통정보, 비닐하우스 제설 사전 알림,폭설 현장 고립 사전 알림, 건물 붕괴 경고 서비스 등

서비스 주체

서비스 대상

외부 활용 데이터

‧공공기관

대국민(폭설지역 건물관리자, 닐하우스 재배농민,

폭설고립 주거자)

‧기상자료 및 위성영상

‧GIS 자료

-  전국 도로망도, 건물‧비닐하우스 분포도

미국 위성영상 Terra/Aqua MODIS 자료

폭설관련 방송, 인터넷 및 SNS 정보

- 31 -

전략 󰊴. 데이터 기반 기상 업무 개선 추진

전략󰊴- 1

자체

빅데이터를 활용한 기상행정 서비스 효율화


□ 청 내 미활용 비정형 데이터(기상자료처리, 행정, 민원 등)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기상 행정 서비스 개선 기회 식별

○ 기상처리자료, 행정정책 보고서, 민원 등 비정형 데이터 분석

-  기상청에서 생산하고 있는 데이터 중 활용하지 않았던 데이터 발굴

※ 관측/예보/자료시스템 로그, 관측메타정보, 연구보고서, 콜센터 상담자료 등

-  다양한 빅데이터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관측/예보/기후/연구/기상행정 등에서의 업무효율, 청내 업무개선 수요파악, 정책경향 등 분석

○ 관측‧예보 업무 생산성 제고 및 국민이 원하는 체감형 정책 발굴 지원

활용 데이터

‧ 연도별 주요업무계획, 감사‧인사‧성과 등 정책 보고서 및 

‧ 연구용역 보고서, 콜센터 상담기록 등 비정형 자료

전략󰊴- 2

자체

수치모델 검증자료를 활용한 예보정확도 변화 요인 분석


□ 장기간 축적된 수치모델 검증자료를 분석을 통해 예보 역량 강화 방안 제시

○ 예보기술 및 기상기후 변화가 예보정확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장기간 예보 기술 변화가 예보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의 정량적 분석

※ 수치모델 해상도변화, 물리과정 및 역학과정 변화, 모델변화, 예보관 교대주기 변화, 슈퍼컴 변화 등 예보기술변화가 예보정확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기상기후변화가 예보정확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태풍 증가, 호우발생 변화, 겨울기온 감소 등 기상기후 변화가 예보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예보정확도 변화에 미치는 다양한 기상 내부 요인 분석에 활용

활용 데이터

‧ 전지구모델, 지역모델, 앙상블 등 검증 자료

- 32 -

전략󰊴- 3

자체

사진자료 분석을 통한 관측 지점 환경 평가


□ 사진자료(비정형자료) 분석을 통해 관측 지점 환경을 객관적이고 자동화된 방법으로 평가

○ 관측지점 사진(Hemiview 이미지) 자료를 통해 주변 장애물을 구분하여 관측환경 기준에 적합하도록 관측소를 자동으로 평가하고 분류

-  비정형 사진자료를 색 정의모델(RGB)로 정형화하는 알고리즘 개발

-  정형자료를 활용하여 관측환경기준에 적합하도록 온‧습도계, 풍향‧풍속계, 일사‧일조계, 강수량계 등 관측환경을 자동 평가하고 시범 분류

○ 국제 관측환경기준에 따른 관측소 분류 자동화를 통한 업무 효율 향상

활용 데이터

‧ 관측환경정보시스템 Hemiview 이미지 자료(3,700개소)

전략󰊴- 4

자체

민간 및 국민 참여형 기상정보 검증과 활용 모델 개발


□ 정규 기상관측에 포함되지 않는 민간 분야의 기상 관측 정보의 내부업무 활용 가능성 및 외부 서비스 방안 연구

○ 관측 환경 및 기술 환경의 변화에 따른 외부 기상 관측자료 활용 검증

-  유관기관, 민간 분야에서 생산하고 있는 기상 자료 수집‧분석

※ 관측공동활용시스템, 스마트폰 기상정보, 민간(웨더퐁 등), 날씨제보시스템 

-  임의 기간 동안 기상청 관측자료와의 외부 생산 기상 자료 품질 검증

※ 수치자료, 위성 및 레이더 자료 활용 검증 검토

-  기상청 관측자료, 고해상도 기후격자 자료 등과 조합을 통한 실용화 방안 마련

○ 관측공백 지역 감소 및 새로운 기상 서비스 모델 발굴

※ 정규관측이 없는 지역에 대한 기상감시 및 예보 활용, 신규 관측망 구성 제안

활용 데이터

‧ 유관기관(27개) 기상관측자료, 스마트폰 등 민간 기상관측정보, 날씨제보자료 등

- 33 -

전략󰊴- 5

자체

시스템 접근 로그를 활용한 예보관 가이던스 개발


□ 예보 생산‧통보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치일기도 로그 분석을활용해 일기예보 예측도 향상을 위한 예보관 가이던스 개발

○ 날씨 상황별 예보 담당자의 예보 시스템 접근 경향 분석

-  예보 생산‧통보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치일기도 로그를 수집

-  통계 및 기계학습 기반 분석을 통해 예보관 맞춤형 예보지원시스템 구축

○ 예보관들의 과학적 의사결정 자료로 활용 가능

-  초급 예보관들의 예보 생산을 지원하는 수치예보 일기도 활용 가이던스

-  기계학습 및 통계분석을 통해 개발된 개인별, 팀별 맞춤형 예보지원시스템

※ 예) 강수량을 과소 또는 과대 예측하는 경우 대한 실증적 지침 제공

활용 데이터

‧ 예보 과정에서 산출되는 일기도 로그 파일(접근 일기도 종류, 접근시간 등)

전략󰊴- 6

자체

중장기 예측(S2S) 자료의 검증과 활용 서비스 개발


□ 다양한 분야에서 요구되는 상세 중장기 예측자료 생산을 위한 방안 마련 및 검증기술 개발

○ 예보모델의 시공간 규모 상세화 기술 개발을 통한 활용성 검증

-  지형(고도), 바람자료 등 주요 기상변수의 지역적인 특성을 반영하여중장기예보모델의 강수량, 기온 예보모델 시‧공간 규모 상세화 기술 개발

-  상세 중장기 예측자료의 검증기술 개발 및 타분야 융합가능 시범기술 개발

○ 시‧공간 규모가 상세화된 중장기 예보자료의 활용성 강화

활용 데이터

‧ Glosea5 예측자료(60km) 등

- 34 -

추진 체계 

1

조직 체계

□ 조직 체계 

기상기후 서비스 및 빅데이터 활용 기반 융합 기능 강화(‘15.1예정) 

-  기상서비스진흥국(기상산업정보화국) 내 기상기술융합팀(기상융합서비스팀) 대체 신설

-  청 내 산재된 기상기후 서비스 기능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기상기후 융합 과제 총괄을 위한 임무 수행

-  융합 서비스 연구개발 기능 강화를 위한 과학원(연구소) 협업 강화

< 조직 체계(조직개편 내용 반영) >

청장

기상기후빅데이터 포럼(외부)

차장

기상기후빅데이터

실무협의회

본청

(각 부서)

기상서비스진흥국

지방청

국립기상과학원

기상기술융합팀

기상서비스센터

구분

주요 역할

본청

기상서비스진흥국

기상 서비스 진흥 정책 수립‧조정 및 프로세스 정립

기상기술융합팀

‧기상기후 융합서비스 총괄‧조정, 대외협력 창구

‧신 융합 분야 개척을 위한 기획‧연구‧시범사업 수행

각 부서

‧융합 사업 수행 지원

지방청

예보과, 기후과,

기상서비스센터

‧지역별 타 분야 데이터 수집‧융합 수요 제기

‧지역맞춤형 서비스 지원을 위한 역할 강화(지자체 컨설팅 및 지역 홍보 등)

국립기상과학원

타 분야 융합용 기상기후 데이터 생산 및 예측 모델 개발 연구

기상기후빅데이터실무협의회

‧청 내 융합 사업 업무조정, 중복검토 등

- 35 -

2

투자 계획

□ 향후 3년(15~17) 간 119억 원 투자 소요 예상[붙임8]

○ ‘15년 예산 및 중기예산 계획에 최대한 반영하여 추진 

-  중점추진과제 및 차순위과제는 ‘15년부터 연구개발(R&D) 및 시범 사업으로 연차적 추진 

-  중장기과제는 실현 가능성이 높은 사업을 선별하여 중기예산에 포함 [붙임9]

(단위: 억원)

구   분

수행연도

‘15

’16

’17

󰊱 타 분야 융합 서비스 기반 조성 및 이해 확산

-

-

-

-

󰊲 개방형 기상기후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구축

7

9

5

21

󰊳기상기후 빅데이터 융합

서비스 강화

중점추진과제

20

19

3

42

차순위과제

10

20

8

38

소계

30

39

11

80

󰊴 데이터 기반의 기상업무 개선 추진

2

4

12

18

합 계

39

52

28

119






- 36 -

3

연도별 추진 일정

□ 과제별 추진 일정 


구   분

단기

중장기

’15년

’16년

’17년

’18년

’19년

전략󰊱. 타 분야 융합 서비스 기반 조성 및 이해 확산

▸(제도) 기상기후 융합 서비스 추진 체계 정립

▸(프로세스) 기상기후 융합 서비스 관리 프로세스 수립

▸(협력‧홍보) 기상기후 융합 서비스 이해 확산 

전략󰊲. 개방형 기상기후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구축 

▸(시스템구축) 기상기후 빅데이터 융합 분석 플랫폼 구축

▸(개방) 기상기후 빅데이터 융합 분석 플랫폼 개방

전략󰊳. 기상기후 빅데이터 융합 서비스 강화

(중점추진과제)

(관광) 관광 코스별 상세 기상정보 제공 서비스

(보건) 기상기후 기반 감염병 발생 감시체계 및 발생예측

(농수축산) 기상기후 민감 작물의 주산지 기상정보 서비스 및 생산성 분석

(체육) 평창올림픽 선수와 지도자를 위한 기상기후 정보제공 앱 서비스

(관광) 기상정보 융합 해수욕장 관광수요 예측 서비스 개발

(산업) 빅데이터를 활용한 맞춤형 산업기상지수 개발

(에너지) 기상·재해에 따른 전력설비 피해 예측 및 조기경보 시스템 구축

(수자원) 빅데이터 기반 현장가뭄지수 개발

(수자원) 수도권 상세 홍수·침수 위험지역의 예측 플랫폼 구축

(교통) 지자체 기상상태별 교통사고 위험도 예측 서비스

(방재) 차량용 강우센서를 이용한 도시지역 실시간 도로통제 시스템 개발

(방재) 기상기후 빅데이터를 이용한 연안적조의 원인종과 밀도 변동 예측

(차순위과제)

(체육) 기상기후정보를 활용한 맞춤형 생활체육지수 개발

(보건) 만성병과 기상변수의 관련성 연구

(보건) 고혈압 환자의 응급 합병증 발병 위험 예측 서비스 개발

(농수축산) 빅데이터 활용 가축의 생산성 변동 및 피해예측 모델 개발

(에너지) 기상기후 정보를 활용한 민간 에너지 효율화 및 수요예측 서비스

(산업)날씨 데이터를 활용한 지역별 매출분석 서비스 개발

(농수축산) 대기확산예측을 통한 가축전염병 관리

(교통) 도로기상 데이터 수집 및 활용체계 구축

(방재) 폭설예보·현장폭설·위성정보 융합 재해 대응 서비스 체계 구축

전략󰊴. 데이터 기반 기상업무 개선 추진

(자체)빅데이터를 활용한 기상행정 서비스 효율화

(자체)수치모델 검증자료를 활용한 예보정확도 변화 요인 분석

▸(자체)사진자료 분석을 통한 관측 지점 환경 평가

(자체)민간 및 국민 참여형 기상정보 검증과 활용 서비스 개발

(자체)시스템 접근 로그를 활용한 예보관 가이던스 개발

(자체)중장기 예측(S2S) 자료의 검증과 활용 서비스 개발



- 37 -

기대 효과 

□ (공공) 빅데이터 기반 기관 간 협업 강화를 통한 국민 만족도 제고

○ 기상과 타 부처 빅데이터의 공유‧분석을 통해 새로운 행정 서비스 창조 및 날씨기반 정책 의사결정 지원 극대화

□ (민간) 기상 융합형 시장 확대 및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발굴 기여

○ 보험, 레저, 교통, 관광 등 날씨 민감형 업종의 기상정보 이용 확대 및 수익 창출이 가능한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 발굴 견인

□ (학계) 기상 융합 분야 연구 활성화 및 기상 빅데이터 인력 양성

○ 수치모델자료 등 연구 가치가 높은 기상 분야 빅데이터 제공 편의성 제고 및 분석‧예측 실험 강화로 분석 인력 육성 기회 제공 

□ (기상) 과학적 행정 선도를 통한 기상청 정부3.0 구현

○ 관측, 예보, 기후, 행정 등 기상 분야에 경험 중심에서 데이터 분석을 통한 의사결정의 일상화 

< 기상기후 빅데이터 융합 서비스 활용 분야 >

 

- 38 -

붙임1

빅데이터(Big Data) 개요 

빅데이터의 의미

□ 빅데이터는 단지 거대하기보다 형식이 다양하고 순환속도가 매우 빨라서 기존 방식으로는 관리‧분석이 어려운 데이터를 의미

○ 빅데이터를 규정하는 3가지 요소는 ①거대한 크기(Volume), ②다양한 형태(Variety), ③빠른 생성‧유통‧이용 속도(Velocity)의 '3V'

 

출처 : SERI(2012), 빅데이터: 산업 지각변동의 진원, p2

① 거대한 크기(Volume) : 일반기업에서도 테라바이트(TB)~페타바이트(PB)급 규모의 데이터를 다루는 경우가 증가

-  미국기업 중 10TB를 넘는 분석 데이터를 확보한 기업이 1/3 이상

② 다양한 형태(Variety) : 데이터마다 크기와 내용이 제각각이어서
통일된 구조로 정리하기 어려운 비정형데이터가 90% 이상을 차지

-  예 : 동영상, 음악, 소셜미디어의 텍스트 메시지, 진료기록 등

③ 빠른 속도(Volocity) : 데이터 생성 후 유통되고 활용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수시간~수주 단위에서 분, 초 이하로 단축

-  빈라덴 사살 소식이 트위터에서 1초당 5,000회 리트위트되며 확산

기상기후 빅데이터

< 빅데이터 관점의 기상기후 데이터 특성 >

 

< 기상기후 데이터 종류 >

분  야

내  용

기상청

생산자료

관측

지상, 고층, 해양, 황사, 지진, 레이더, 낙뢰, 위성, 항공기상

예보

동네예보, 중기예보, 수치모델, 항공기상, 특보

기후

기후통계

기후변화감시, 시나리오

역사기후, 장기예보(수치모델)

지원자료

관측메타정보(관측방법, 위치, 측기 유형 등)

기후 메타정보(통계방법, 품질관리 등)

도서정보

비정형

자료

기상정보(지진, 특보, 속보, 태풍, 안개 등)

콜센터 상담자료, 예보패턴정보(선진예보시스템 로그 등)

기상청 보유

유관기관자료

강수량

안행부(지자체), 홍수통제소, 수자원공사, 국립공원관리공단, 서울시 등

황사

환경부, 고려대기환경연구소(청원)

레이더

공군, 국토부, 미공군

낙뢰

한전자료

해양

국립해양조사원,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군, 지방해항청, 해경, 울릉군청, 서울대

기상관측

국토부, 환경부, 농진청, 지자체 등 27개 기관 3,642개소 AWS 정보 등

기상청 보유 해외자료

GTS

지상, 부이, 고층, 기후, 고층기후, 항공, 일본 레이더, 일본 AMeDAS, 일본 일기도, ECMWF/영국/미국 모델 결과

NCDC

전세계 일평균자료, 평년값

위성

NOAA, MTSAT, MODIS 등

- 39 -

붙임2

기상기후 서비스 현황 (‘13년 5월 기준)

< 융합정도별 서비스 현황>

구분

단순 기상정보 제공

분석추론(융합서비스)

합계

서비스 수

684

81

765

비율

89.4%

10.6%

-

< 목적별 서비스 현황>

구분

지역

축제

특정

서비스

연휴

각종

대회

농수

축산

기상

지수

지역

기후

시험

산불

선거

해양

합계

서비스 수

377

93

60

54

44

31

27

24

21

19

15

765

비율

49.3%

12.2%

7.8%

7.1%

5.8%

4.1%

3.5%

3.1%

2.7%

2.5%

2.0%

-

< 산업별 서비스 현황>

구분

관광

농업

방재

산업

생활

어업

축산업

기타

합계

서비스 수

496

43

36

3

1

11

1

175

765

비율

64.8%

5.6%

4.7%

0.4%

0.1%

1.4%

0.1%

22.9%

-

< 지역별 서비스 현황>

구분

경북

강원

전국

충북

경기

전북

경남

전남

충남

대구

광주

부산

제주

울산

인천

합계

서비스수

140

129

68

66

62

62

60

58

38

26

14

13

13

10

6

765

비율

18.3%

16.9%

8.9%

8.6%

8.1%

8.1%

7.8%

7.6%

5.0%

3.4%

1.8%

1.7%

1.7%

1.3%

0.8%

-

< 소재별 서비스 현황>

구분

문화

생활

산업

먹거리

동물

단풍

기타

합계

서비스 수

308

140

82

77

39

20

5

94

765

비율

40.3%

18.3%

10.7%

10.1%

5.1%

2.6%

0.7%

12.3%

-

< 기간별 서비스 현황>

구분

10일

20일

30일

30일 이상

기타

합계

서비스 수

437

46

81

190

11

765

비율

57.1%

6.0%

10.6%

24.8%

1.4%

-

< 대상별 서비스 현황>

구분

대국민

지자체

유관기관

기타

합계

서비스 수

189

473

150

31

843

비율

22.4%

56.1%

17.8%

3.7%

-

※ 서비스 대상이 두 계층 이상 중복되는 경우 모두 서비스 대상으로 계산


- 40 -

붙임3

중점과제 사업 추진 유형 (예시) 

□ 융합 서비스 추진 유형

-  정책결정형 공공 서비스: R&D → 시범사업(프로토타입‧공공서비스모델개발) → 공공서비스화 추진

-  민간주도형 민간 서비스: 기상산업R&D(공공과 민간 매칭펀드를 통해민간의 비즈니스모델 및 기술개발 지원) → 민간 직접 서비스 

-  민관협력형 민간 서비스: R&D → 시범사업(프로토타입‧비즈니스모델 개발) → 서비스 민간 이양 


분과

중점추진과제(12개)

차순위과제(9개)

과제명

사업유형

과제명

사업유형

농수

축산

기상기후 민감 작물의 주산지 기상정보 서비스 및 생산성 분석

민관협력형

대기확산예측을 통한 가축전염병 관리

정책결정형

빅데이터 활용 가축의 생산성 변동 및 피해예측 모델 개발

민관협력형

에너지

기상·재해에 따른 전력설비 피해 예측 및 조기경보 시스템 구축

민관협력형

‧기상기후정보를 활용한 민간 에너지 효율화 및 수요예측 서비스

민간주도형

수자원

‧빅데이터 기반 현장가뭄지수 개발

정책결정형

폭설예보·현장폭설·위성정보 융합 재해 대응 서비스 체계 구축

정책결정형

수도권의 상세 홍수·침수 위험지역의 예측 플랫폼 구축

정책결정형

환경

기상기후 빅데이터를 이용한 한국연안적조의 원인종과 밀도 변동 예측 연구

정책결정형

-

-

체육

관광 

평창동계올림픽의 선수와 지도자를 위한 기상기후 정보제공 앱 서비스

민간주도형

‧기상기후정보를 활용한 맞춤형 생활체육지수 개발

민간주도형

관광 코스별 상세 기상정보 제공 서비스

민관협력형

보건

건강 

‧기상기후 빅데이터를 활용한 감염병 발생감시체계 및 발생 예측 시스템 개발

정책결정형

‧만성병과 기상변수의 관련성 연구

정책결정형

‧기상기후 빅데이터를 이용한 고혈압 환자의 응급 합병증 발병 위험 예측 서비스 개발

민관협력형

교통

물류 

기상정보 융합 해수욕장 관광수요 예측 서비스 개발

민관협력형

‧도로기상 데이터 수집 및 활용체계 구축

정책결정형

지자체 기상상태별 교통사고 위험도 예측 서비스

민관협력형

방재

‧차량용 강우센서를 이용한 도시지역에서의 실시간 도로통제 시스템 개발

정책결정형

-

-

산업

빅데이터를 활용한 맞춤형 산업기상지수 개발

민간주도형

날씨 데이터를 활용한 지역별 매출분석서비스 개발

민간주도형

- 41 -

붙임4

기상기후 융합 서비스 흐름도 


 


- 42 -

붙임5

‘15년 주요 사업 계획

□ 연구개발 사업 

○ 기상 R&D 지정과제

번호

분야

과 제 명

연구비

연구기간

1

기상행정

기상관측·예보 분야 비정형데이터 분석기술 개발

2억/년

3년

2

보건

고혈압 환자의 응급 합병증 발생 위험 예측을 위한 기상예보 활용기술 개발

2억/년

2년


○ 기상산업 R&D 지정과제

번호

분야

제  목

연구비

연구기간

1

에너지

기상·재해에 따른 전력설비 피해 분석 및 예측 기술개발

(’15) 1.5억

(’16)  2억

2년

2

산업

신용카드 정보와 날씨 데이터를 활용한 지역별 매출분석 서비스 개발

1.5억/년

1년

3

체육

메가 스포츠 이벤트 지원을 위한 기상기후 정보 서비스 기술 개발

(’15) 1억

(’16) 2억

2년

4

에너지

기상기후정보를 활용한 건물에너지 효율화 및 미래형 건물에너지관리솔루션 개발

1.5억/년

3년


○ 기상산업 R&D (도로기상) 지정과제

번호

제  목

연구비

연구기간

1

도로위험기상 정보 생산을 위한 관측 및 활용 기술 개발

4.2억/년

2년

2

차량용 강우센서를 이용한 도로기상정보 생산 기술 연구

2억/년

2년

3

도로위험기상정보 생산을 위한 예측기술 개발

3.3억/년

2년

□ 정보화 사업 

번호

분야

과 제 명

사업비

사업기간

1

플랫폼

기상기후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개방 기반 구축

14억

1년

에너지, 농업, 방재, 관광 등 타 분야 융합 서비스 시범 개발




- 43 -

붙임6

중점추진과제 사회경제 효과 및 파급 효과 분석 결과

□ 사회경제 효과 분석(7개 과제)

구분

내용

농수축산 분야

서비스명

○ 기상기후 민감 작물의 주산지 기상정보 서비스 및 생산성 분석

편익항목

○ (증가) 기상 민감 작물의 생산량 증가

편익결과

○ 단위 면적당 생산량(단수)가 평균에 미달하는 해에도 적절한 관리를 통해 평균 수준의 단수를 얻을 수 있다면 품목에 따라 1~28%의 주산지 생산량 증가 가능

-  (배추) 4계절 평균 11.4% 증가 예상

-  (무) 4계절 평균 11.5% 증가 예상

-  건고추 27%, 마늘 22%, 양파 8% 증가 예상

에너지

분야

서비스명

○ 기상·재해에 따른 전력설비 피해 예측 및 조기경보 시스템 구축

편익항목

○ 전력설비 고장‧정전에 따른 피해액 감소

-  설비 고장/파손에 따른 수리/복구 비용

-  정전으로 인한 직‧간접적 피해액

편익결과

○ 연간 실외 전력설비 피해통계를 살펴보면, 태풍으로 인한 전력설비 피해가 약 81억원, 자연재해로 인한 정전 피해가 약 2,000억원, 배전설비 자연적 고장으로 인한 정전 피해가 약 60억원 가량이며, 서비스 제공을 통해 연간 피해를 약 300억 가량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함

환경

분야

서비스명

○ 기상청 기상기후 빅데이터를 이용한 한국연안 적조의 원인종과 밀도 변동 예측 연구 

편익항목

○ 적조 피해액 및 적조 피해 대상 감소

편익결과

○ 대규모 적조가 발생한 년도의 경우, 년간 어류에 폐사 피해 분야에서 약 200억원, 분야 전체* 총 피해 가운데 약 1000억원 수준의 피해저감 효과를 기대

※ 어패류 및 지느러미 어류에 폐사 피해 분야 

※ 피해 대상 수산물의 소비, 유통, 가공 산업 분야

※ 적조피해 해역의 생태계서비스 산업 (관광, 여가, 숙박 등) 분야

※ 적조생물 기원 유해성분(에어로졸 등) 인체 유입 피해 분야

○ 서비스 적용을 통해 총 예상 피해의 80- 90% 절감 효과

체육/관광

분야

서비스명

○ 관광코스별 상세 기상정보 제공 서비스

편익항목

○ (증가) 국내 관광객(외국인 포함) 수 증가

○ (감소) 기상악화로 인한 이벤트 실패비용 감소

편익결과

○ 정확한 기상정보 제공을 통해 증가되는 관광객 수(비율)는 전년 대비 최소한 줄어들지 않거나 최소한의 증가추세를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

-  해당 서비스 제공으로 1%의 외래관광객이 증가한다면 약 3,800억원 가량의 지출액이 예상되며 이로 인해 1,280억원의 생산유발효과, 1,060억원 가량의 부가가치창출효과액, 2,100명의 고용창출을 기대할 수 있음

○ 연간 이벤트 실패비용의 감소 비율을 최소화하여 정확한 예측정보 서비스 제공시 현재보다 20~30%의 감소비율로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추정

-  윤중로 벚꽃축제 : 약 100억원의 손실액 발생을 70- 80억원

-  인제 산천어 축제 : 약 200억원의 손실액 발생을 140- 160억원

-  부산 국제영화제 BIFF : 약 1.7억원의 손실액 발생을 1억원

보건/건강

분야

서비스명

○ 기상기후 빅데이터를 활용한 감염병 발생감시체계 및 발생 
예측시스템 개발

편익항목

○ (+) 국민 삶의 질(체감지수) 향상, 의료시설 활용효율 향상

○ (- ) 사회적 비용 감소, 정책결정 부담 감소(데이터 기반 과학적 행정)

편익결과

○ 서비스 제공을 통해 감염병별로 10%~30% 가량의 환자수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전년 대비 12% 가량의 환자수를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2012년 55,723명의 환자수 ⇒ 49,074명(약 6,500명 감소)

○ 감염병 발병 시 환자수, 사망자수 등을 예측하여 필요한 병상 수, 중환자실수, 산소호흡기 수 등 의료장비 수요를 충족할 수 있도록 미리 대비책을 마련해줌

-  입원시 요구되는 병상수는 서울시 병상수의 6% 차지

-  예측되는 중환자수는 서울시 중환자수의 34% 차지

교통/물류

서비스명

○ 기상정보 융합 해수욕장 관광수요 예측 서비스 개발

편익항목

및 결과

○ 해수욕장 경로별 통행시간 정보의 편익

-  7,8월 성수기 약 195억원

○ 해수욕장 인근 도로교통혼잡을 약 10% 감축했을때의 비용 감소액

-  연간 약 488억원

서비스명

○ 지자체 기상상태별 교통사고 위험도 예측 서비스

편익항목

○ 교통사고 발생 피해액 감소

-  약 830여억원 추정

편익결과

○ 사고발생위험도를 널리 알리는 등 기상악화시 경각심 제고를 통한 안전운전이 가능하여 기상악화시 사고발생건을 5% 줄일 수 있다고 가정하면, 사고건 4.5만건 감소효과 기대

-  연간 자동차보험 사고건수 약 300만건

-  맑은 날 이외 기상시 사고발생 건은 약 90만건(30%)


- 44 -

□ 파급 효과 분석(5개 과제)

구분

내용

수자원 분야

서비스명

○ 빅데이터 기반 현장가뭄지수 개발

기대효과

(정성적)

○ 현장가뭄정보의 반영을 통한 기상 및 수문학적 가뭄정보의 신뢰도 향상 기대

○ 기상 및 수자원분야의 가뭄정보 공유체계 구축 및 공동 발전기반 구축 기대 (가뭄정보 공동생산 및 평가체계 신규도입 기대)

서비스명

○ 수도권의 상세 홍수‧침수 위험지역의 예측 플랫폼 구축

기대효과

(정성적)

○ 집중 강우에 대한 위험지역 인명피해 감소에 기여

○ 집중 강우로 인한 시설 피해 예측 가능

○ 국민의 안전을 도모하고 피해 손실액 절감 예상

○ 하천 모니터링 및 하천 범람 시 정확한 원인 분석과 실질적인 
개선대책 모색

○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국민에게 빠르고 정확한 정보의 제공으로 국민 안전을 도모하고 재난 피해 최소화 

체육‧관광

분야

서비스명

○ 평창동계올림픽의 선수와 지도자를 위한 기상기후 정보제공 앱 서비스

기대효과

(정성적)

○ 올림픽 출전 선수들에 대한 서비스 제공으로 경기력 향상

○ 우리나라 선수들의 기상 환경에 대한 사전 적응훈련으로 한국선수단의 경기력 향상

○ 한국의 IT 기술 국제적 홍보 및 일반 관람객의 경기 이해도 증진

방재

분야

서비스명

○ 차량용 강우센서를 이용한 도시지역에서의 실시간 도로통제 시스템 개발

기대효과

(정성적)

○ 돌발적 폭우 시 실시간으로 도로침수정보와 안전한 우회도로 정보를 제공함으로서 시민에게 신속하고 정확한 방재안전정보를 제공할 수 있음

○ 전국적으로 수천만대의 자동차가 운행되고 전 세계적으로 교통량이 계속하여 증가한다는 점을 고려 할 때 기술개발을 통한 내수 및 해외 사업 진출이 매우 높음 

산업

분야

서비스명

○ 기상기후 빅데이터를 활용한 맞춤형 산업기상지수 개발

기대효과

(정성적)

○ 한반도 기상의 실질 영향을 반영한 한국형 세부 기상지수 개발을 통한 국민 편익 증대

○ 산업별 맞춤형 기상지수 활용을 통한 날씨경영(weather risk management 등) 실현 및 제고

○ 기상지수와 산업의 융·통합으로 새로운 전문직업 생성과 일자리 창출에 기여






- 45 -

붙임7

기상업무발전 기본계획과의 과제 연관성

○ 기상업무발전 기본계획(‘12~’16년)과 포럼 발굴 과제(중점 및 차순위 과제 21개)와의 연관성 분석을 통해 기상융합 업무 추진 근거 마련


기상업무발전기본계획

(추진전략)

포럼발굴과제

중점(12)

차 순위(9)

1. 행복한

국민을 위한 기상서비스 강화

(5개)

(관광)관광 코스별 상세 기상정보 제공 서비스

(체육)기상기후정보를 활용한 맞춤형 생활체육지수 개발

(보건)만성병과 기상변수의 관련성 연구

(보건)기상기후 빅데이터를 활용한 감염병 발생감시체계 및 발생 예측 시스템 개발

(보건)고혈압 환자의 응급 합병증 발병 기상위험 예측  

2. 풍요로운 사회를 위한 기상‧기후정보 자원화

(7개)

(농수축산)기상기후 민감 작물의 주산지 기상정보 서비스 및 생산성 분석

(농수축산)빅데이터 활용 가축의 생산성 변동 및 피해예측 모델 개발

(체육)평창동계올림픽의 선수와 지도자를 위한 기상기후 정보제공 앱 서비스

(에너지)기상기후정보를 활용한 민간 에너지 효율화 및 수요예측 서비스

(관광)기상정보 융합 해수욕장 관광수요 예측 서비스 개발

(산업)날씨 데이터를 활용한 지역별 매출분석 서비스 개발

(산업)빅데이터를 활용한 맞춤형 산업기상지수 개발

3. 튼튼한

국가를 위한 의사결정 기상서비스 강화

(9개)

(에너지)기상·재해에 따른 전력설비 피해 예측 및 조기경보 시스템 구축

(농수축산)대기확산예측을 통한 가축전염병 관리

(수자원)빅데이터 기반 현장가뭄지수 개발

(수자원)수도권의 상세 홍수·침수 위험지역의 예측 플랫폼 구축

(교통)도로기상 데이터 수집 및 활용체계 구축

(교통)지자체 기상상태별 교통사고 위험도 예측 서비스

(방재)차량용 강우센서를 이용한 도시지역에서의 실시간 도로통제 시스템 개발

(방재)폭설예보·현장폭설·위성정보 융합 재해 대응 서비스 체계 구축

(환경)기후 빅데이터를 이용한 한국연안적조의 원인종과 밀도 변동 예측 연구


※ 기상업무발전기본계획의 추진전략(4,5)과 연관된 포럼 발굴 과제는 없음

- 46 -

붙임8

세부 투자 계획 

(단위: 억원)

구분

과제

번호

과제명

단기

중장기

‘15

‘16

‘17

‘18

‘19

중점

농- 1

기상기후 민감 작물의 주산지 기상정보 서비스 및 생산성 분석

3

 

 

 

 

3

수- 2

수도권의 상세 홍수·침수 위험지역의 예측 플랫폼 구축

 

 

 

 

 

0

환- 1

기상기후 빅데이터를 이용한 한국연안 적조의 원인종과 밀도 변동 예측

 

3

 

 

 

3

보- 1

기상기후 빅데이터를 활용한 감염병 발생 감시체계 및 발생예측 시스템 개발

3

2

3

 

 

8

체- 1

평창동계올림픽의 선수와 지도자를 위한 기상기후 정보 제공 앱 서비스

1

2

 

 

 

3

방- 1

차량용 강우센서를 이용한 도시지역에서의 실시간 도로통제 시스템 개발

2

2

 

 

 

4

수- 1

빅데이터기반 현장가뭄지수 개발

1

2

 

 

 

3

교- 1

기상정보 융합 해수욕장 관광수요 예측 서비스 개발

2

 

 

 

 

2

관- 1

관광 코스별 상세 기상정보 제공 서비스

3

1

 

 

 

4

에- 1

기상·재해에 따른 전력설비 피해 예측 및 조기 경보 시스템 구축

1.5

2

 

 

 

3.5

교- 2

지자체 기상상태별 교통사고 위험도 예측 서비스

3

3

 

 

 

6

산- 2

기상기후 빅데이터를 활용한 맞춤형 산업기상지수 개발

0.5

2

 

 

 

2.5

소계

20

19

3

 

 

42

순위

체- 2

기상기후정보를 활용한 맞춤형 생활체육지수 개발

0.5

3

 

 

 

3.5

에- 2

기상기후정보를 활용한 민간에너지 효율화 및 수요예측 서비스

1.5

1.5

1

 

 

4

교- 3

도로기상 데이터 수집 및 활용체계 구축

4.2

4.2

 

 

 

8.4

산- 1

날씨 데이터를 활용한 지역별 매출분석 서비스 개발

1.8

 

 

 

 

1.8

보- 3

고혈압 환자의 응급 합병증 발병 위험 예측 서비스 개발

2

2

 

 

 

4

농- 4

대기확산예측을 통한 가축전염병 관리

 

3

3

 

 

6

보- 2

만성병과 기상변수의 관련성 연구

 

0.3

1

 

 

1.3

농- 5

빅데이터 활용 가축의 생산성 변동 및 피해예측 모델 개발

 

3

3

 

 

6

방- 2

폭설예보·현장폭설·위성정보 융합 재해 대응 서비스 체계 구축

 

3

 

 

 

3

소계

10

20

8

 

 

38

장기

관- 2

한국형 관광기후지수 개발

 

 

 

2

2

4

농- 3

기후변화 대비 시설원예 작물 안정생산을 위한 기상정보 활용기술

 

 

 

2

4

6

환- 2

부유성 해양쓰레기 대응 및 기원지 추적

 

 

 

2

2

4

수- 3

공간수문정보 생산을 위한 고해상도 재분석 기상정보 서비스 체계 구축

 

 

 

3

4

7

관- 3

여행객을 위한 기상특보 알림 서비스

 

 

 

1

1

2

농- 7

기상에 따른 농수축산물 구매패턴 분석 및 서비스

 

 

 

2

3

5

농- 2

고해상도 기상자료를 활용한 북한지역에서의 작물 생산성 영향 예측

 

 

 

2

3

5

교- 4

대중교통 혼잡 및 운행시간 서비스

 

 

 

1

1

2

교- 6

강수량에 따른 차량 침수위험 예측 서비스

 

 

 

0.5

0.5

1

환- 3

장기기상기후예보를 바탕으로 한 사전예방적 효율적 물관리 시스템 구축

 

 

 

4

4

8

에- 3

기상정보와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분석

 

 

 

0.5

0.5

1

방- 4

도시홍수정보 통합관리 및 서비스 시스템 개발

 

 

 

4

4

8

농- 6

빅데이터를 활용한 농수축산물 탄소발자국 계산 모듈 개발 : 벼/보리 시범사례

 

 

 

4

4

8

교- 5

강우량을 고려한 고속도로 경로통행시간 예측

 

 

 

1

 

1

방- 3

유역별 예보를 활용한 하천대피경보시스템 개발

 

 

 

2

3

5

체- 3

날씨에 따른 스포츠선수의 경기력 변화 분석

 

 

 

1

 

1

체- 4

기상기후 빅데이터를 활용한 스포츠 시장의 수요예측 조사

 

 

 

1

 

1

교- 8

X- Event 관리를 통한 SCRM 최소화 서비스

 

 

 

4

4

8

관- 4

기상기후에 민감한 국내 지역축제 및 이벤트 개최 및 방문시기 결정

 

 

 

4

4

8

교- 7

기상 빅데이터를 활용한 국가 전략 물자관리 시스템

 

 

 

4

4

8

방- 5

기상- 홍수예측 맞춤형 현업모델 구축

 

 

 

2

4

6

소계

 

 

0

47

52

99

자체

1

빅데이터를 활용한 기상행정 서비스 효율화

2

2

2

 

 

6

2

수치모델 검증자료를 활용한 예보정확도 변화 요인 분석

 

2

3

 

 

5

3

사진자료 분석을 통한 관측 지점 환경 평가

 

 

2

2

 

4

4

민간 및 국민 참여형 기상정보 검증과 활용 서비스 개발

 

 

3

3

3

9

5

시스템 접근 로그를 활용한 예보관 가이던스 개발

 

 

2

2

 

4

6

중장기 예측(S2S) 자료의 검증과 활용 서비스 개발

 

 

 

2

2

4

소계

2

4

12

9

5

32

기술

1

기상기후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구축

 

3

 

 

 

3

2

기상기후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외부 개방

7

6

5

 

 

18

소계

7

9

5

 

 

21

합계

39

52

28

56

57

232


※ 중점과제 중 “수도권의 상세 홍수·침수 위험지역의 예측 플랫폼 구축”은 산하기관 주관 사업으로 추진 예정


- 47 -

붙임9

중장기 추진 과제(21개) 설명 자료 

< 과제 요약 >

기상업무

발전계획

과제명

주요 내용

행복한

국민

(3)

여행객을 위한 기상특보 알림 서비스

스마트폰 GPS 기반 해당 지역의 날씨와 기상 특보 알림 서비스 제공

OpenAPI를 통해 각종 날씨정보와 기상특보 수신

※ 날씨와 연계하여 관련 여행지 실시간 정보(민간여행사) 및 외래관광객을 위한 언어지원 

한국형 관광기후지수 개발

관광목적지 유형별 선호기후(온도, 습도, 풍속 등) 분석(국립공원, 축제 등)

관광객의 기후 선호 정도를 지수화

※ 관광목적지 입지 선정, 각종 행사 개최 및 홍보 마케팅의 기초자료로 활용

대중교통 혼잡 및 운행시간 서비스

지자체 버스정보센터 이력/패턴데이터 구축

버스정보와 기상기후 데이터 매칭 및 군집화

버스운행 이력 및 패턴데이터와 기상정보 융합하여 버스 혼잡도/소요시간 예측모형 개발

프로그램 및 시스템·서비스 개발

※ 기상 맞춤형 대중교통 서비스 정보로 대중교통 계획 의사결정 지원 도구 및 대중교통체계 질적 고도화 기여

풍요로운 사회

(6)

기후변화 대비 시설원예 작물 안정생산을 위한 기상정보 활용

기상변화에 따른 온실 재배작물의 고온저온 피해 등 발생 예측

기상변화 및 온실환경 변화에 따른 시설작물의 병발생 예측

기상(강풍, 강설 등)에 따른 온실 재해 발생 예측

기후변화 고려 시설작물 재배 계획 수립

기후변화 고려 재배환경 및 작물생산성 예측 모형 고도화

※ 시설작물 재배관리 예측 및 재해알림을 통해 농업 생산성 및 안정성 향상

기상에 따른 농수축산물 구매패턴 분석 및 서비스

기상기후에 민감한 대상 품목 선정

다양한 점포의 매출데이터 및 전통시장의 1년간 관찰조사를 통해 데이터 수집

농수축산물 소비관련 SNS 분석모형 및 소비패턴 분석모형 개발

※ 기상기후에 따른 소비자 농수축산물 소비 예측 알림 서비스 제공을 통해 소매업체 활성화

날씨에 따른 스포츠선수의 경기력 변화 분석

기상기후에 관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선수들의 운동수행능력 데이터 수집·분석

날씨와 경기력, 선수의 상해발생 등 상관관계 및 선수선발 시스템 구축

※ 선수들의 경기력 분석 시스템 운영 및 스포츠 비즈니스에 활용

기상기후 빅데이터를 활용한 스포츠 시장의 수요예측 조사

기상기후 변화에 따른 학교/생활체육교육을 위한 시설 및 용품의 수요 예측

기상기후 변화에 따른 관람스포츠 시설 필요성에 대한 정보 제공

엘리트스포츠 선수들의 기량 및 기록향상을 위한 정보 제공

메가 스포츠 이벤트의 성공적 운영을 위한 정보 제공

※ 스포츠·체육활동을 위한 계획 수립에 대한 정보 제공및 스포츠와 관련된 기상연구의 새로운 설계 방향 제시

기상정보와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분석

태양열, 풍력, 수력, 지열 등에서 수집된 발전량 데이터와기상데이터 간의 상관관계 도출

※ 효율적 신재생에너지 발전방안 도출 및 보급정책 활용

기상기후에 민감한 국내 지역축제 및 이벤트 개최 및 방문시기 결정

지역별 장기간 기상기후 데이터 분석을 통해 최적의 개최시기 제공

※ 축제 등의 기간결정 및 여행 시기 결정에 기여

튼튼한

국가

(12)

부유성 해양쓰레기 대응 및 기원지 추적

외국기인 부유성 해양쓰레기의 기원지 추적 DB 구축

부유성 해양쓰레기의 장단기 집적 예측 정보 시스템 구축

※ 부유성 해양쓰레기 수거비용 저감을 통한 예산 절감 및 연안 환경개선으로 국민의 안전하고 건강한 생활공간 확보

공간수문정보 생산을 위한 고해상도 재분석 기상정보 서비스 체계 구축

격자기반 고해상도 재분석 기상정보 생산

고해상도 격자 재분석 기상정보의 수자원 활용성 평가

기상정보의 수문기상학적 평가를 통한 한계점 도출 및 개선방안 마련

※ 고해상도 재분석 기상정보를 이용한 정확한 공간수문 기상정보생산을 통해 국가 수자원 관리에 필요한 기초자료 신뢰성 확보

고해상도 기상자료를 활용한 북한지역에서의 작물 생산성 영향 예측

중규모 수치기상모델을 활용한 북한지역 일별 기상자료 생산

고해상도 1km 수준의 상세자료 생산

북한지역 대상 수치기상 모델의 출력자료를 사용하여 공간적 작물 생산성 예측 체계 개발

※ 북한 지역의 주요작물 생산성 예측 지도 개발하여 대북 관련 정책 지원 및 민간 수준의 대북지원 프로그램 효율성 제고

장기기상기후예보를 바탕으로 한 사전예방적 효율적 물관리 시스템 구축

유역관리, 토지관리, 수자원개발 등 물관리 방향 검토 및 장기적 국가 위기관리

※ 장기적인 차원에서 효율적인 국가 물자원 관리에 활용

X- Event 관리를 통한 SCRM 최소화 서비스

기상 빅데이터 활용하여 기후변화 예측 및 최적의 교통물류 입지 선정 예측 모형 개발

기상데이터 수집하고 예측모형과 서비스 모델을 실제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예측솔루션 개발

예측모형을 광범위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기업별 맞춤형 서비스 모델 개발

※ 기상기후 변화에 따른 기업의 손실방지 및 글로벌사업의 지속가능화

농수축산물 탄소발자국 계산 모듈 개발 : 벼/보리 시범사례

기상기후 빅데이터 기반 국내/아시아 주요 작물인 벼/보리 탄소발자국 계산 모듈 개발

탄소플럭스가 실시간 모니터링 되는 벼/보리 경작지(해남:‘03~12’; 김제:‘11~14’) 대상으로 개발된 탄소발자국 계산 모듈의 보정 및 개선

※ 생산자가 생산, 유통, 소비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로 인한 영향을 정량적으로 파악, 시장 경쟁력 및 구매력 갖추도록 함

기상 빅데이터를 활용한 국가 전략 물자관리 시스템

기상 빅데이터 활용한 의사결정지원시스템 구축

국가 전략자원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국가 전략자원 배치 최적화 위한 물류시스템 구축

※ 이상기후 발생 시, 타 지자체에서 보유 중인 전략 자원 해당 지역에 사전 배치(전략자원 관리 효율성) 등 비상 대응 체계 강화 

기상- 홍수예측 맞춤형 현업모델 구축

수치예보 자료별 홍수예측 적용성 평가

동네예보 자료 홍수예측 활용방안 수립 및 현업 연계

홍수예측에 적용 가능한 신규 기상기후 빅데이터 발굴 및 연계방안 마련

※ 단편적 수문기상정보서비스에서 홍수예측 현업에 필요한맞춤형지원서비스로의 확대가 가능하며, 상호 피드백을 통한 고품질 강수‧홍수 예측자료 생산가능

강수량에 따른 차량 침수위험 예측 서비스

경남 산청 인근을 중심으로 예상 강수량에 따른 수위 변화량 예측

‧지도를 통하여 관측지점의 강수량과 수위에 대한 자세한 정보 제공

※ 실시간 수위 예측 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을 운영하여 서비스하고,소방방재청의 긴급재난문자 서비스와 연계하여 사전 하천 위험도 알림 서비스를 제공

도시홍수정보 통합관리 및 서비스 시스템 개발

기상기후 수치자료, 수문자료, 경찰청의 CCTV 영상자료의 최적 통합 시스템 구축

도시홍수정보요원 임명과 SNS와 파워블로거 활동을 통한 정보전달

스마트폰 어플을 개발하여 도시홍수데이터 제공 및 국민 참여 유도

※ 도시홍수 관련 자치구와 관련기관의 빅데이터를 활용한 통합재난관리시스템을 구축하여 빠르고 정확한 대국민 재난전달체계의 다양화, 도시홍수 예측기술 개발을 위한 양질의 검증 자료로 활용

강우량을 고려한 고속도로 경로통행시간 예측

유사 강우상황 및 혼잡 상황에 따른 군집별 통행속도 변화 통계분석

강우 발생 구간 길이에 따른 고속도로 경로통행시간 변화 분석 및 예측

※ 강우량 및 혼잡상황에 따른 고속도로 예상 경로통행시간 제공으로이용자의 경로 및 출발시간대 변경에 활용 (교통혼잡비용 감소),교통정보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통한 이용자 만족도 증대 기여

유역별 예보를 활용한 하천대피경보시스템 개발

유역별 예보를 활용한 예측

유역단위의 지역 시설물 현황 자료를 이용한 침수 피해 예측

※ 하천대피경보와 침수 피해 예상 지역을 사전 제공함으로써 국민의 안전을 도모하고 피해 손실액 절감 예상



- 4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