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기록관리 주요업무 계획 |
2016. 3.
기 상 청
(운 영 지 원 과)
【 목 차 】 |
I. 2015년 기록관리 주요성과1 II. 2016년 기록관리 주요과제7 주요 기록물 생산ㆍ관리 강화7 비전자 기록물 관리 개선7 장기보존 대상 전자기록물 국가기록원 이관8 전자기록물 평가 및 폐기 집행9 도서관 활성화 및 서비스 개선9 한국기상기록집 발간 및 기상역사 연구10 공공저작물 저작권 관리 및 서비스 개선11 일반 기록물 이관 및 정리11 처리과 기록관리 지도ㆍ점검12 기록물 공개 재분류 실시12 기타 기록관리 업무 수행13 □ 추진 일정표16 |
I
2015년 기록관리 주요성과
○ 배경 및 목적
- 「기록관리법」에 따라 장기보존 기록물의 안정적 관리를 위하여 2004년 생산된 보존기간 30년이상 전자기록물을 국가기록원으로 이관(기상청 RMS→국가기록원 CAMS 온라인 이관)
- 2015년에 국내에서는 처음 실시한 사항으로 실제적인 전자기록 관리 체계가 도래했음을 선언하는 상징적인 사안임
○ 이관 결과
- 문서보존포맷 및 장기보존포맷 변환 완료
- 이관대상 전자기록물 7,783건 중 7,598건 이관 완료
* 1개철(185건)은 포맷변환 오류 미해결로 미이관(향후 국가기록원과 협의하여 이관 예정)
- 비전자문서 및 비전자 첨부물 미이관
* 이관 대상 소재 파악 및 정리 곤란
- 다양한 오류 발생 및 추가 조치 필요
○ 향후 추진 및 문제사항
- 국가기록원의 검수 결과에 따른 조치사항 조치
[기상청 이관 기록물 검수 결과] ㆍ문서손상, 암호설정 등 문서 이상: 11건 ㆍ관인누락, 관인위치 상이 등 관인이상: 127건 ㆍ비전자문서: 647건 ㆍ내용누락, 그림 손상 등 기타 오류: 111건 |
- 향후 매년 시행해야 하는 사항으로 장기적인 대책과 준비가 필요하며, 특히 중요기록물 및 비전자기록물의 철저한 관리 필요
- 1 -
○ 평가대상: 2004년 생산된 보존기간 10년 전자기록물 1,365권과 비밀기록물 627권에 대한 평가‧심의
※ 전자기록물에 대한 평가는 중앙행정기관 최초 실시
○ 2015년 기록물 평가심의 결과(단위: 권)
구분 |
심의대상 |
보존기간 재책정 |
폐기보류 |
폐기 |
전자기록물 |
1,356 |
57 |
208 |
1,091 |
비밀기록물 |
627 |
43 |
9 |
575 |
합계 |
1,983 |
100 |
217 |
1,666 |
「기상청 사무분장 규정」 개정(‘15.2.5)으로 도서관 운영 업무가 운영지원과로 이관됨에 따라 책임있는 도서관 관리를 위해 전반적인 도서관 운영 개선 추진 |
○ 「기상청 도서관 운영 규정」 개정
- 「행정자료실 운영 규정」을 「도서관 운영 규정」으로 변경(1.22.)
- 서비스 확대 및 현실화를 위한 「도서관 운영 규정」 개정(6.8.)
* 도서 대출수량과 기간, 대상자 기준 확대, 발간물 수집 강화 등
○ 도서 관리의 효율성을 위해 RFID 및 바코드 이중화 체계* 구축
- 바코드 장비 구축, RFIDㆍ바코드 이중 부착 및 등록 작업 실시
* RFID 인식 불량 시, 대출 서비스 대체 수단 활용, RFID 정보 손상 및 RFID 시스템 교체에 따른 도서관 체계 재구축시 바코드 정보를 활용하여 작업 용이
○ 주요 간행물 및 도서물 수집 대상 조사 및 수집ㆍ등록
* 정책보고서, 업무보고서, 규정ㆍ지침, 매뉴얼, 교육교재, 연구서 등 주요 수집 및 이관대상 조사ㆍ지정 및 이관 실시
* 주요 간행물 서비스 개선을 위해 누락본 전자파일 수집 및 이관ㆍ등록
- 2 -
○ 도서관내 기상역사 컬렉션 설치
* 기상역사 관련 각종 연구물, 도서, 수집물 등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별도 컬렉션 구축
○ e- book 매뉴얼 제작(5.14) 및 e- book 활성화 추진
* 분기별 e- book 구매 및 전자도서관과 e- book 연계 서비스 제공
○ 도서관 활성화를 위한 기반 구축
* 기상역사 컬렉션 전용 모빌렉 추가 설치, 검색 및 열람용 pc 설치, 직원 열람석 확보
○ 분기별 도서 구매 수요 조사 및 구매 실시
* 5월, 8월, 10월 직원 수요 및 구매(일반도서 128권, e- book 119권)
○ 연체 도서 매월 점검 및 반납 조치 실시
○ 「간행물 발간등록 및 납본 가이드」 개정ㆍ배포(4.8.)
○ 원문DB 이용 약정 체결(한국복제전송저작권협회) 및 국회도서관 원문정보 서비스 개시(8월)
○ 역사 시청각 기록물 이관 및 정리
- 2014년 조사한 시청각기록물 중 이관대상 기록물 선정 및 본청 기록관으로 이관 실시
- 이관결과: 총 577점 이관(사진 575점, 음성파일 1점, 기타 1점)
ㆍ2014년 조사 결과: 총 1,100점 * 본청 7점, 부산청 341점, 광주청 79점, 대전청 454점, 강원청 77점, 위성센터 142점 |
○ 주요 도면 기록물 이관
- 2014년 조사한 도면기록물 중 이관대상 기록물 선정 및 각 기관 이관 희망 도면 24권 본청 기록관으로 이관 실시
ㆍ2014년 조사 결과: 총 1,030점 * 본청 345권, 부산청 337권, 광주청 98권, 대전청 154권, 강원청 48권, 제주 42권, 위성센터 6권 |
- 3 -
○ 한국문화정보원의 공공저작물 촬영 및 복원사업을 신청하여 기상청 주요 유물 등 촬영 및 사진 복원 실시
○ 촬영대상: 측우대 등 기상 유물, 인물, 시설물 사진
○ 촬영결과: 총 150매 촬영 및 복원
○ 결과조치: 기록관 서고(지하1층)에 보존
○ 기상청의 기록관리와 기상역사연구의 경과와 현황을 정리하고 향후 추진해야 할 주요 과제를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기상역사연구 특별세션)에 발표함으로써 기상청 기록관리 업무의 발전방향 제시 및 대내외 인식 제고
○ 제목: 기상청 기록관리와 기상역사연구의 현황과 과제
○ 일시/장소: 2015.10.12.(월) 15:00/ 제주국제컨벤션센터
<기상학회 논문 초록 등록 화면>
- 4 -
○ 각 기관 및 부서의 기록물관리 현황을 점검하여 취약사항 개선 및 기록관리에 대한 인식제고를 위해 방문 지도ㆍ점검 실시
○ 지도ㆍ점검 내역
- 대상: 본청, 국립기상과학원, 지방기상청(6), 국가기상위성센터, 기상레이더센터, 항공기상청, 산하기관(3)
- 내용: 전년도 조치사항 조치여부, 기록관리 체계, 문서·시청각기록물·기상행정박물·도면, 간행물 등 기록물 관리 현황
- 점검 결과
ㆍ부서별 단위과제 적정성 진단 및 개선 필요 ㆍ향후 기록물 이관에 대비하여 비전자문서의 철저한 등록 및 관리 필요 ㆍ주요 시청각기록물의 주기적인 선별ㆍ이관 및 통합관리시스템 구축 필요 ㆍ본청 도면 기록물의 정리 필요 ㆍ본청에 기상행정박물 보존ㆍ관리를 위한 수장고 설치 필요 ㆍ주요 정보시스템의 현황 파악 및 데이터세트의 장기 보존과 관리 정책 필요 ㆍ국립기상과학원은 연구노트 생산 및 종합적인 연구기록물 관리 체계 구축 필요 ㆍ주요 기록물에 대한 조사ㆍ수집 및 관리 강화 필요 ㆍ산하 공공기관은 기록관리 전문요원 채용 등 기록관리 체계 구축 필요 |
○ 재분류 대상: 2016년 국가기록원 이관 대상인 2005년 생산된 보존기간 30년 이상 기록물 6,319건
○ 방법: 비공개기준에 따라 ‘공개’, ‘비공개’, ‘부분공개’로 재분류
재분류대상 선정 |
▶ |
기록관검토 I (기준서 작성) |
▶ |
기록관검토 II (의견조회서 작성) |
▶ |
처리과 의견조회 |
▶ |
확정 |
○ 재분류 결과
재분류 대상 |
공개 |
부분공개 |
비공계 |
6,344 |
5,725 |
497 |
122 |
- 5 -
○ 2014년 생산 전자기록물 이관(3~6월)
- 이관대상: 2014년 생산된 온나라시스템 기록물
- 이관결과: 434,181건(문서 342,034건, 메모 72,616건, 지시사항 12건)
* 운영지원과, 수도권청 기후서비스과는 미이관(7월 직제개편 작업시 오류로 2016년 이관 예정)
○ 회의록 작성대상 회의*의 조사ㆍ지정 및 생산 지도(6월)
* 기상청 주요정책협의회 등 21개 회의(운영지원과- 8015/ 2015.06.30)
○ 2014년 기록물생산현황 조사 및 보고(8월)
* 공문서, 회의록, 시청각, 비밀기록, 행정박물, 간행물 등 2014년 생산된 전체 기록물 현황 조사 및 국가기록원 보고
○ 2015년 생성 기록관리기준표 정비(10월)
* 2015년 신설된 27개 단위과제의 보존기간 등 검토 및 확정
○ 비밀기록물 이관(9~11월)
- 이관대상: ‘15.6.30.기준 일반문서 재분류 또는 보호기간 만료 기록물
- 이관결과
원본 |
사본 |
총계 |
||||||
2급 |
3급 |
대외비 |
소계 |
2급 |
3급 |
대외비 |
소계 |
|
37 |
50 |
203 |
290 |
153 |
227 |
282 |
662 |
952 |
○ 기상역사기록물 기증 처리
- 기증자/기증일: 이효우/ 2015. 8. 25.
- 기증 기록물: 관상감 계목(觀象監 啓目), 임인년 명시력(壬寅年 明時曆), 을사년 삼력(乙巳年 三曆), 연신방위지도(年神方位之圖)
- 생산시기: 1900년 전후(추정)
- 기타사항: 훼손된 부분이 많아 향후 탈산ㆍ배접 등 보존ㆍ복원 처리 및 문화재적 가치 검토 예정
- 6 -
II
2016년 주요 추진 과제
○ 주요 정책기록물 및 부서별 중요 기록물 생산현황 조사ㆍ관리
- 부서별 주요 정책업무 현황 조사 및 기록화 지도(5월)
* 업무외에 생산되는 각종 기록물 현황도 함께 조사 예정
- 분기별 주요 정책추진 현황 파악 및 기록화 현황 점검 실시
○ 회의록 작성대상 회의*의 회의록 생산 현황 점검 및 지도(6월)
* 기상청 주요정책협의회 등 21개 회의(운영지원과- 8015/ 2015.6.30.)
- 기록관리법(시행령 제18조)에 따른 필수 요소* 등 엄밀한 생산 강화
* 필수요소: 회의의 명칭, 개최기관, 일시 및 장소, 참석자 및 배석자 명단, 진행 순서, 상정 안건, 발언 요지, 결정 사항 및 표결 내용
○ 시청각, 행정박물, 간행물, 도면 기록물 등 특수유형 기록물의 종합적인 기록관리 개선 방안 수립(10월)
○ 시청각 및 행정박물 기록물 정리 및 목록 공개(7월)
- 최근 3년간 생산된 시청각기록물 목록 홈페이지 공개
- 기록관 서고 소장 행정박물 목록 홈페이지 공개
□ 비전자 기록물 관리 개선
○ 배경 및 문제점
- 전자문서생산시스템을 통해 생산ㆍ접수되지 않는 비전자 문서의 원본 관리가 부실하여 중요기록물 소실 가능성 및 「기록관리법」에 따른 이관 및 관리 곤란
- 향후 국가기록원 기록물 이관시, 원본 기록물의 유실에 따른 책임 소재 등 문제 발생 가능성이 높아 개선 시급
- 7 -
○ 주요 조치 계획
- 「공문서 생산ㆍ접수 및 관리 가이드라인」 개정ㆍ시행(3월)
- 부서별 주요 비전자문서 생산 현황 점검 및 분석(5월)
- 2016년 기록관리 지도·점검 시 특별 지도 실시(6월)
- 인사기록 등 주요 비전자기록물 등록ㆍ편철ㆍ관리 개선 추진
- 이관대상 비전자문서 정리 및 이관 준비
* 특히 보존기간 30년이상 장기보존 대상 기록물의 이관 및 관리 개선 필요
- 전자문서 원칙 강화 및 불필요한 비전자문서 생산 금지
○ 근거 및 배경
- 「기록관리법」 제19조에 따라 2005년 생산된 보존기간 30년이상 전자기록물(6,344건)을 국가기록원으로 이관 실시
* 보존기간 30년이상 기록물은 생산 후, 10년이 경과한 다음해에 국가기록원으로 이관
○ 이관 계획 및 일정
- 이관대상 확인 및 목록 추출: 4월 초
- 문서보존포맷 및 장기보존포맷 변환: 4~5월
- 기록물 이관 및 오류 해결: 6월~11월
- 비전자기록물 소재파악 및 정리: 6월~8월
- 비전자기록물 이관: 8월~11월
○ 주요 문제 사항
- 2015년에 이어 두 번째 시행하는 전자기록물 이관으로 장기보존포맷 변환, 이관시행 시 등 다양한 오류 발생 예상
- 시스템에 등록된 비전자 문서 원본과 별첨된 비전자 첨부물의 소재 파악 및 정리 등에 상당한 문제 발생 및 많은 노력 소요
- 분실, 소실된 비전자 문서 및 첨부물의 처리 문제 발생
- 8 -
○ 근거: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제27조 및 동법 시행령 제43조
○ 대상: 보존기간이 경과한 보존기간 30년 미만 전자기록물
ㆍ전자문서시스템이 도입(‘04)된 이후, 전자기록물에 대한 보존가치 평가 및 폐기집행은 2015년에 이어 두 번째 실시하는 것으로 신중한 검토 및 평가 필요 ㆍ금년에도 시범적 성격으로 2005년 생산 전자기록에 대해 평가 실시 ㆍ많은 양의 기록물을 하나하나 시스템에서 열어 확인ㆍ검토가 필요하여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 |
○ 평가 방법 및 절차
- 평가대상 기록물에 대해 보존가치 평가 및 보존기간 재책정
평가대상 선별 |
▶ |
전문요원 심사 |
▶ |
처리과 의견조회 |
▶ |
평가심의회 |
▶ |
보존ㆍ폐기 |
* 심의회 구성 : 내부위원 3인(운영지원과장, 국가기후데이터센터장, 정보통신기술과장), 외부위원 2인
○ 추진일정
- 평가대상 선별: 8월
- 계획수립 및 전문요원 심사: 9월
- 처리과 의견조회: 10월
- 기록물평가심의회 개최: 11월
- 폐기대상 기록물 폐기 집행: 12월
○ 주요 간행물 및 도서 수집 및 정리(수시)
* 정책보고서, 업무보고서, 규정ㆍ지침, 매뉴얼, 교육교재, 연구서 등 주요 발간물 중 누락본 수집 및 정리 실시
○ 간행물 등 전자파일 수집 및 등록 개선(이관 의무화 실시)
* 그간 간행물 등의 전자파일 이관과 전자도서관 등록 누락으로 업무 활용 및 대국민 서비스에 제약이 있어 의무적 이관 및 등록 추진
- 9 -
○ 분기별 도서(e- book 포함) 수요조사 및 구매ㆍ서비스
* 2월, 5월, 8월 직원 수요조사 예정
○ 국회도서관, 서울대 도서관 원문정보 서비스 실시(1월)
* 각종 원문자료 파일의 무료 이용을 위해 직원 의견수렴을 거쳐 서울대 도서관과의 협약체결 추진
○ 기상역사컬렉션 정리 완료 및 서비스 개시(9월)
* 기상역사 관련 각종 기록, 도서, 연구물 등 정리 완료 및 서비스 실시
○ 포스터, 리플릿, 초대장 등 비도서물 상시 수집 실시
○ 연체 도서 매월 점검 및 반납 조치 실시
❐ 한국기상기록집 제8집 발간
○ 한국기상기록집 제7집 「정조임금께 아뢴 경기관찰사의 농사와 측우기 기록」의 영문 번역판 발간
○ 번역: 서울대학교 김준 교수(국가농림기상센터)
○ 발간비용: 국가농림기상센터 부담(약 2000만원)
○ 기상청 지원: 교정, 편집, 외부자료 이용허락, 주석 등 제반사항
○ 일정: 번역(1~9월)→교정‧수정(9~10)→편집‧발간(11~12월)
❐ 기상역사 연구 업무 수행
○ 기상역사컬렉션 설치 완료 및 서비스 개시
- 기상역사 관련 각종 연구물, 도서, 수집물 등 정리 완료
- 기상역사 관련 기록, 도서 등 상시 수집 실시
- 기상역사 컬렉션 서비스 개시
○ 한국기상기록집 제9권 ‘경기도 광주지역 측우기와 농사와 기록’ 발간 추진(2017년 발간 예정)
- 10 -
○ 발간물 및 홈페이지 서비스 등 공공누리 마크 표기 강화
- 「저작권법」에 따라 공공저작물의 이용활성화 및 대국민 서비스 강화를 위해 공공누리 마크 표기 의무화 실시
- 대상: 기상청 생산 간행물, 홈페이지 정보, 기타 인쇄물
ㆍ근거: 「저작권법」 제24조의 2 및 같은법 「시행령」 제1조의3제1항 제5호 ㆍ국가·지자체 및 공공기관 등이 생산한 공공저작물의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국민들이 이용요건을 쉽게 알 수 있도록 개발한 한국형 공공저작물 자유이용 허락 라이선스로 총 4개의 유형이 있음 * 공공누리(KOGL, Korea Open Government License) <제1유형> <제2유형> <제3유형> <제4유형> |
○ 저작권 개념 및 관리 교육 실시
- 한국문화정보원의 협조를 받아 공공저작물 관련 정책 및 저작권 관리 방법 등 교육 실시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현행화 및 게시 정보 저작권 분석
- 현 저작권법에 따라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현황화 실시
- 홈페이지 저작권 관련 분석 및 적정 공공누리 마크 표기
○ 온나라시스템 전자기록물 이관(2월~/ 3개월 소요)
- 이관대상: 2015년 온나라시스템에서 생산‧접수된 기록물
- 이관방법: 기상청 기록관리시스템으로 온라인 이관
○ 비전자기록물 이관(6월)
- 이관대상: 2015까지 생산된 기타 비전자기록물(일반기록, 사진 등)
○ 장기보존 대상 비전자기록물 국가기록원 이관(6월)
- 이관대상: 2005년까지 생산된 보존기간 30년 이상 기록물
- 11 -
○ 각 부서 및 소속기관의 기록관리 체계 및 기록물 관리 실태를 점검하고 업무개선을 위해 지도ㆍ점검 실시
○ 2016년 지도ㆍ점검 계획
구분 |
내용 |
시기 |
6~7월 |
대상 |
본청 각 부서, 국립기상과학원, 6개 지방청, 국가기상위성센터, 기상레이더센터, 항공기상청 |
방법 |
점검표를 통한 사전점검 및 현장 확인 등 ※ 각 부서 및 기관은 사전점검 시 추진실적과 증빙자료 제출 |
점검사항 |
ㆍ2015년 점검 결과 조치사항 처리 여부 점검 ㆍ기록관리 체계 및 환경, 기록물 관리현황 점검 ㆍ기록관리 교육 및 의견 수렴 ※ 비전자기록물 관리 실태 중점 점검 |
○ 재분류 대상
- 2017년 국가기록원 이관 대상 보존기간 30년 이상 기록물
- 2011년 기록관리시스템으로 이관된 이관 5년경과 기록물
○ 재분류 절차
비공개 기록물 |
재분류대상 선정 |
▶ |
기록관검토 I (기준서 작성) |
▶ |
의견조회서 작성 |
▶ |
처리과 의견조회 |
▶ |
확정 |
|
공개 기록물 |
재분류대상 선정 |
▶ |
의견조회서 작성 |
▶ |
처리과 의견조회 |
▶ |
기록관검토 |
▶ |
확정 |
* 기준서: 비공개 기록물의 유형별 공개재분류 기준
○ 추진일정: 계획수립(7월)→처리과 의견조회(8월)→완료(9월)
- 12 -
○ 국가기록원 기록관리 평가 수행
- 내용 : 기관의 기록관리 인프라 현황, 기록관리 업무현황 등 평가
- 일정 : 자체점검(3월)→1차평가ㆍ이의신청(5월)→결과공표(10월)
○ 기록물 생산현황 조사 및 보고
- 내용 : ‘15년 생산한 전체기록물 통계, 시청각, 간행물, 행정박물, 비밀기록 등 각종 기록물생산ㆍ보유현황 작성ㆍ제출
- 기간 : 8월 31일까지 제출(국가기록원)
○ 기록관리기준표 정비
- 2016년 생성된 단위과제의 보존기간 등 조정 및 확정(10~12월)
처리과 의견조회 |
▶ |
전문요원 검토 |
▶ |
국가기록원 검토 |
▶ |
확정ㆍ고시 |
○ 기록물 열람ㆍ대출 서비스
- 기록관 서고 소장 기록물 목록 게시 및 서비스
- 기록관리시스템 보존 기록물 상시 열람 서비스
- 「기록관리시스템 기록물 검색 및 열람 매뉴얼」 제작ㆍ배포(2월)
○ 기록관리 교육 강화
- 부서 기록물 관리 담당자 교육 실시
- 시청각기록물 관리 개선을 위한 기록관리 세미나 개최
- 신규채용자 교육과정에 기록관리 교육 개설 추진
- 13 -
< 기상청 기록관리 및 기상역사연구 발전 방향 > □ 배경 및 목적 ○ 수천년의 기상역사와 100년이 넘는 근대역사를 자랑하지만 기상역사를 증명하는 기록의 보존과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으로 귀중한 기록과 역사가 소멸ㆍ사장되고 있음 ○ 내실있고 자랑스런 기관, 역사가 살아 있는 기상청으로 거듭나기 위해 기록관리 및 기상역사연구의 발전은 필수적임 ☞ 기상업무의 기록화, 역사화를 위해 생산ㆍ보유‧수집하는 모든 기록물과 역사에 대해 내실있고 전문적인 관리와 연구를 할 수 있는 종합적인 기록관리 토대 마련 필요 □ 기록관리 및 역사연구 발전방향 ◈ 기록관리 및 역사연구 전담 조직 구축 ○ 전담 인력 구성 및 시설ㆍ인프라 구축으로 「기록관리법」에 따른 실질적인 기상청 기록관 설립 ◈ 기상업무의 온전한 기록화를 위한 기록관리 강화 ○ 공문서, 시청각, 데이터세트, 행정박물, 도서・간행물, 연구기록물, 웹기록, 도면 등 전체 기록물에 대한 종합적인 관리 체계 구축 ○ 우리청의 중요기록인 기상관측 및 예보 DB 등의 장기보존 및 관리를 위한 기준과 정책 수립・운영 ○ 전문적인 기록물 보존 환경 구축, 시청각・박물 수장고 설치, 기상전문 도서관 구축, 전시실 등 시설 인프라 확충 ○ 사진, 영상 등 시청각기록물 전용 관리시스템 구축 및 관리 개선 * 현 홍보자료관리시스템은 웹하드 수준으로 전문적인 기록관리에는 매우 미흡 ○ 주요 사안 및 활동에 대한 사전 기록화 및 체계적 수집・보존 ○ 각 기관 및 민간 소재 기상관련 기록물 수집 및 정리 실시 ○ 연구기록물 생산ㆍ관리 체계 개선 및 전문 아카이브 구축 * 국립기상과학원은 명실상부한 대한민국 대표 기상 연구기관으로 발돋움하기 위해 연구기록물 생산ㆍ관리 개선은 필수적이며, 기상연구 전문 아카이브 구축 필요 ○ 사진기록화*, 구술기록화** 등 다양한 기록화 사업 추진 * 건축물, 시설, 기기・장비, 기상현상, 주요활동 등을 주기적으로 촬영하여 보존 ** 주요 인물, 퇴직 예정자, 주요사안 종결후 관련자들에 대한 구술채록・보존 ○ 도서관은 기상과학 대중화와 전문적인 기상지식 서비스를 위해 대국민과 학계에 개방된 기상전문 도서관으로 발전 ◈ 기상역사 연구 및 편찬활동 강화 ○ 지속적이고 전문적인 기상역사 연구 및 기상기록집 발간 ○ 기상업무 및 기상기술 발전사 연구 추진 * 예보업무 발달사, 관측업무 발달사, 국제협력 발달사, 관측기기 변천사, 관측기술 발전사, 기상조직 발전사 등 다양한 역사 연구 실시 및 편찬 ○ 기상청 발간물, 통계서 등 다양한 기록물에 대한 정리・분석서 편찬 ○ 박물, 시청각, 도면 등을 활용한 전시ㆍ홍보 활동 및 도록집 발간 ○ 역사학계 등 다양한 학계와의 교류 추진 및 역사와 학문 연구의 새로운 틀로서 기상의 위치 정립 * 날씨로 보는 조선 역사, 날씨와 한국 현대사, 기후와 의식주 등 ◈ 전문적ㆍ통합적 기록정보 서비스 실시 ○ 문서, 시청각, 박물, DB, 간행물, 연구물 등 전체 기록물에 대한 통합적이고 전문적인 서비스 체계 구축 ○ 사이버 기록관 구축으로 대국민 홍보 및 서비스 제공 ◈ 대한민국 기상역사기록관 설립 ○ 기록관리 및 역사연구의 발전을 통해 최종적으로 대한민국 기상역사기록관 설립 추진 ○ 기록관, 박물관, 도서관, 과학관 등의 기능을 통합한 라키비움* 구축 및 기상업무와 기상문화를 대표하는 조직으로 발전 * Larchiveum : Library+Archives+Museum ☞ 자랑스런 기상청, 역사가 살아 있는 기상청, 내실있는 기상청, 국민과 소통하고 신뢰받는 선진 기상청 실현! |
□ 2016년도 기록관리 주요 업무 추진 일정
추진일정 |
추진계획 |
||
1/4분기 |
1월 |
◦ 2015년 생산 기록물 일제 정리 ◦ 국회도서관 및 서울대 도서관 원문정보 서비스 실시 |
|
2월 |
◦ 「기록관리시스템 기록물 검색 및 열람 매뉴얼」 제작ㆍ배포 ◦ 2015년 생산 전자기록물 기록관리시스템으로 이관 추진 ◦ 한국기상기록집 제8집 발간 추진 ◦ 도서 구매 수요 조사 및 구매 |
||
3월 |
◦ 기록관리 업무 계획 수립 ◦ 기록관리 평가 자료 작성‧제출(국가기록원) ◦ 「공문서 생산 접수 및 관리 가이드」 개정ㆍ배포 |
||
2/4분기 |
4월 |
◦ 국가기록원 이관대상 전자기록물 장기보존포맷 변환 ◦ 공공저작물 저작권 관리 및 서비스 강화 추진 ◦ 기록관리 담당자 교육 실시 ◦ 간행물 등 발간물 전자파일 등록 의무화 실시 |
|
5월 |
◦ 부서별 주요 정책 업무 및 기록물 생산 현황 조사 ◦ 부서별 주요 비전자문서 생산 현황 점검 및 분석 ◦ 2015년 생산 기록물 생산현황 조사 ◦ 도서 구매 수요 조사 및 구매 |
||
6월 |
◦ 국가기록원 이관대상 전자기록물 이관 ◦ 국가기록원 이관대상 비전자기록물 이관 ◦ 처리과 기록관리 지도ㆍ점검 및 교육 실시 ◦ 회의록 작성대상 회의의 회의록 생산현황 점검 및 지도 ◦ 2015년 생산 비전자기록물 본청 기록관 이관 |
||
3/4분기 |
7월 |
◦ 시청각 및 행정박물 기록물 정리 및 목록 공개 ◦ 기록물 공개 재분류 실시 |
|
8월 |
◦ 2015년 생산기록물 현황 보고(국가기록원) ◦ 2016년도 기록물평가심의회 추진 ◦ 도서 구매 수요 조사 및 구매 |
||
9월 |
◦ 기상역사 컬렉션 정리 완료 및 서비스 개시 ◦ 한국기상기록집 제9집 발간 추진 ◦ 시청각기록물 관리 개선 세미나 개최 |
||
4/4분기 |
10월 |
◦ 기상청 기록관리기준표 정비 ◦ 시청각 등 특수유형 기록물 관리 개선 방안 수립 |
|
11월 |
◦ 기록물평가심의회 개최 |
||
12월 |
◦ 한국기상기록집 제8집 발간 ◦ 폐기대상 기록물 폐기 집행 |
- 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