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가을학기 학점은행제 대기과학 전공과정 교육 운영안내 |
【 2018. 7. 13.(금) 기상기후인재개발원 인재개발과 기상주사 이정미 】
□ 목적
○ 대기과학 전공과정의 이론과 실무교육을 통한 기상전문인력 양성
※ 관련 근거 - 학점인정 등에 관한 법률‧동법 시행령‧동법 시행규칙‧운영규정 - 평가인정 학습과정 운영지침(교육부고시 제2015- 85호, 2016.1.6. 제정) - 학점은행제 대기과학 전공과정 운영규정(기상기후인재개발원훈령 제7호, 2017.6.23.) - 교육기획과- 3248(2017.12.27.) 2018년도 기상청 교육훈련계획 알림 |
□ 교육 개요
○ 과 정 명 : 2018년도 가을 학기 학점은행제 대기과학 전공과정
○ 교육기간 : 2018. 9. 3. ~ 12. 14.(15주, 18:30~21:30/22:30)
○ 교육인원 : 과목당 80명 이내
○ 입학자격 : 고등학교 졸업 이상, 학사학위 이상 학력자 중 기상관련 학위 미 취득자
○ 수강 방법
- 이러닝 강의 : 학점은행제 홈페이지(http://hrd.kma.go.kr)를 통해 수강
- 현장 집합강의 :
·「대기역학」,「대기분석 및 실습」: 기상청(서울)에서 집합강의
·「대기관측 및 실습」: 대전지방기상청에서 집합강의
·「레이더기상학 및 실습」: 대구기상지청에서 집합강의
※ 현장 집합강의 실시 외 지역 수강자는 집합교육 장소를 선택하여 원격영상으로 수강 (붙임1 참고)
* 출석수업인 집합(영상)강의를 병행하는 과정으로 강의시간표 필히 확인요망
○ 평가 및 과목 이수(학점 인정) 기준
- 성적은 시험성적 및 출결사항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100점 만점으로 산정
▪ 평가(중간고사 30%, 기말고사 30%), 과제 20%, 출석 15%, 수업참여도 5%
※ 수업참여도, 출석성적 부여 기준 : 붙임2 참조
- 평가 방법 : 평가 2회(중간, 기말고사) - 온라인 시험 (학점은행제 홈페이지)
- 성적 60점 이상 이고 종합출석률 80% 이상을 과목 이수(학점 인정)로 함
※ 공무원 상시학습 인정 : 과목당 30시간
- 1 -
□ 가을 학기 개설 과목
학습과목명 |
강 사 |
이수 기간 (주) |
주당 수업 (시간) |
정원 (명) |
학 점 |
집합(영상) 강의 시간 (9월~12월) |
대기역학 |
김백민 |
15 |
3 |
80 |
전공필수 (3학점) |
18:30~21:30(3시간) (월요일) |
대기분석 및 실습 |
한상은 |
15 |
4 |
80 |
전공필수 (3학점) |
18:30~22:30(4시간) (화요일) |
대기관측 및 실습 |
허복행 |
15 |
4 |
80 |
전공필수 (3학점) |
18:30~22:30(4시간) (수요일) |
레이더기상학 및 실습 |
정은실 |
15 |
4 |
80 |
전공선택 (3학점) |
18:30~22:30(4시간) (목요일) |
□ 학습 목표
과 목 |
학 습 목 표 |
대기역학 |
대기유체역학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얻는 과목으로서 지구회전 내에서 운동량 보존법칙에 의한 기본방정식의 유도, 방정식을 구성하는 힘과 그 힘들의 균형에 의한 기본 운동에 관하여 배운다. 또한 기본방정식의 좌표계 변환에 의한 형태의 변환과 기본방정식 내 항들의 규모분석에 관하여 연구한다. |
대기분석 및 실습 |
대기의 상태를 분석하는 여러 가지 방법을 체계적으로 배우고, 이를 토대로 대기의 상태를 진단하고 예측하는 응용력을 기른다. 이를 위해 기상전문의 해독 및 기압, 등압선 및 등온선 등의 일기도 분석, 층후선도, 단열선도, 와도선도 등의 보조선도 분석 등을 살펴본다. |
대기관측 및 실습 |
기상 현상을 관측하기 위한 정의, 측정 원리 및 측정 시스템을 이해하며, 이 지식을 활용하여 관측 목표에 맞는 관측 계획을 수립하고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최신 관측 시스템으로 산출되는 관측 자료를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 |
레이더기상학 및 실습 |
일반레이더와 도플러레이더의 원리를 배우고 레이더 자료를 이용해 기상 상태를 분석하고 추정하는 훈련을 한다. 레이더 반사율과 도플러 속도를 이용해 폭풍의 위치와 모양 및 강수량을 추정하며 강수의 속도를 계산하는 방법을 습득한다. 레이더에서 출력하는 반사율, 속도 및 스펙트럼의 두께 같은 자료들을 분석하여 악기상이나 강수량을 예측할 수 있다. |
- 2 -
□ 교육생 모집 요강
○ 모집 공고기간 : 2018. 7. 16.(월) 〜 8. 15.(수)
신청 접수기간 : 2018. 8. 1.(수) 〜 8. 15.(수)
※ 기상청 및 학점은행제 대기과학 전공과정 홈페이지 모집 공고
○ 선발 방법 :
- 홈페이지 수강신청 선착순 선발
- 정원초과 시 초과 신청자는 대기 순번이 부여되며 붙임3양식 미제출자 및 결원발생시 추가 선발될 수 있습니다.
※ 정원 미달 시 최소 10인 이상 개설
○ 신청 방법 : 온라인 신청 및 제출서류(붙임3)
- 3 -
□ 학사학위 수여 요건
※ 기타 자세한 사항은 학점은행 홈페이지(http://www.cb.or.kr) 참조
- 4 -
□ 강의 시간표
요일 월 |
월 |
화 |
수 |
목 |
비고 (주차) |
||||
9월 |
3 |
대기역학 [이러닝 3h] |
4 |
대기분석 및실습 [이러닝 4h] |
5 |
대기관측 및 실습 [이러닝 4h] |
6 |
레이더기상학 및 실습 [집합(영상) 4h] |
1 |
10 |
대기역학 [집합(영상) 3h] |
11 |
대기분석 및 실습 [집합(영상) 4h] |
12 |
대기관측 및 실습 [집합(영상) 4h] |
13 |
레이더기상학 및 실습 [집합(영상) 4h] |
2 |
|
17 |
대기역학 [이러닝 3h] |
18 |
대기분석 및 실습 [집합(영상) 4h] |
19 |
대기관측 및 실습 [집합(영상) 4h] |
20 |
레이더기상학 및 실습 [이러닝 4h] |
3 |
|
24 |
대기역학 [이러닝 3h] |
25 |
대기분석 및 실습 [이러닝 4h] |
26 |
대기관측 및 실습 [이러닝 4h] |
27 |
레이더기상학 및 실습 [이러닝 4h] |
4 |
|
10월 |
1 |
대기역학 [이러닝 1h] [집합(영상) 2h] |
2 |
대기분석 및 실습 [이러닝 4h] |
3 |
대기관측 및 실습 [이러닝 4h] |
4 |
레이더기상학 및 실습 [이러닝 4h] |
5 |
8 |
대기역학 [이러닝 3h] |
9 |
대기분석 및 실습 [이러닝 4h] |
10 |
대기관측 및 실습 [이러닝 4h] |
11 |
레이더기상학 및 실습 [집합(영상) 4h] |
6 |
|
15 |
대기역학 [집합(영상) 3h] |
16 |
대기분석 및 실습 [집합(영상) 4h] |
17 |
대기관측 및 실습 [집합(영상) 4h] |
18 |
레이더기상학 및 실습 [이러닝 4h] |
7 |
|
22 |
1차 평가 |
23 |
1차 평가 |
24 |
1차 평가 |
25 |
1차 평가 |
8 |
|
29 |
대기역학 [집합(영상) 3h] |
30 |
대기분석 및 실습 [집합(영상) 4h] |
31 |
대기관측 및 실습 [이러닝 2h] [집합(영상) 2h] |
1 |
레이더기상학 및 실습 [이러닝 4h] |
9 |
|
11월 |
5 |
대기역학 [이러닝 1h] [집합(영상) 2h] |
6 |
대기분석 및 실습 [이러닝 4h] |
7 |
대기관측 및 실습 [이러닝 4h] |
8 |
레이더기상학 및 실습 [집합(영상) 4h] |
10 |
12 |
대기역학 [이러닝 3h] |
13 |
대기분석 및 실습 [이러닝 2h] [집합(영상) 2h] |
14 |
대기관측 및 실습 [집합(영상) 4h] |
15 |
레이더기상학 및 실습 [이러닝 4h] |
11 |
|
19 |
대기역학 [집합(영상) 3h] |
20 |
대기분석 및 실습 [이러닝 4h] |
21 |
대기관측 및 실습 [이러닝 4h] |
22 |
레이더기상학 및 실습 [이러닝 2h] [집합(영상) 2h] |
12 |
|
26 |
대기역학 [집합(영상) 3h] |
27 |
대기분석 및 실습 [이러닝 4h] |
28 |
대기관측 및 실습 [집합(영상) 4h] |
29 |
레이더기상학 및 실습 [이러닝 4h] |
13 |
|
12월 |
3 |
대기역학 [이러닝 3h] |
4 |
대기분석 및 실습 [집합(영상) 4h] |
5 |
대기관측 및 실습 [이러닝 4h] |
6 |
레이더기상학 및 실습 [집합(영상) 4h] |
14 |
10 |
2차 평가 |
11 |
2차 평가 |
12 |
2차 평가 |
13 |
2차 평가 |
15 |
* 집합(영상)수업은 출석 수업이며 야간과정으로 18:30에 시작합니다.
- 5 -
□ 강의 계획서
○ 대기역학
주 차 |
월/일 (집합:월요일) |
차시 |
주차별 강의내용 |
수업방식 |
||||||
1주 |
9/3~9/16 |
1 |
좌표계 및 운동방정식 개념 이해 |
이러닝 강의 |
||||||
2 |
||||||||||
뉴턴 운동방정식의 이해 |
||||||||||
3 |
||||||||||
운동방정식의 근사 |
||||||||||
2주 |
9/10 |
1 |
대기운동의 기본과 운동방식의 이해 |
집합‧영상 강의 (출석 수업) |
||||||
2 |
||||||||||
3 |
||||||||||
3주 |
9/17~9/30 |
1 |
비지균풍 |
이러닝 강의 |
||||||
2 |
층두께와 온도풍 |
|||||||||
3 |
이류 |
|||||||||
4주 |
9/24~10/7 |
1 |
소용돌이도 |
이러닝 강의 |
||||||
2 |
기온변화 |
|||||||||
3 |
위치소용돌이도 |
|||||||||
5주 |
10/1~10/14 |
1 |
연속방정식과 비지균 운동 |
이러닝 강의 |
||||||
10/1 |
2 |
다양한 좌표게에서의 기본방정식 |
집합‧영상 강의 (출석 수업) |
|||||||
3 |
||||||||||
6주 |
10/8~10/21 |
1 |
경계층 기상학 |
이러닝 강의 |
||||||
2 |
준지균운동과 그 예측 Ⅰ |
|||||||||
3 |
준지균운동과 그 예측 Ⅱ |
|||||||||
7주 |
10/15 |
1 |
소용돌이의 개념이해 |
집합‧영상 강의 (출석 수업) |
||||||
2 |
||||||||||
3 |
||||||||||
8주 |
10/22 |
1 |
중간고사 (온라인 시험) |
1차 평가 |
||||||
2 |
||||||||||
3 |
||||||||||
9주 |
10/29 |
1 |
소용돌이 방정식의 유도와 해석 |
집합‧영상 강의 (출석 수업) |
||||||
2 |
||||||||||
3 |
||||||||||
10주 |
11/5~11/18 |
1 |
연직운동의 진단 |
이러닝 강의 |
||||||
11/5 |
2 |
유적과 유선의 개념 및 온도풍 관계의 이해 |
집합‧영상 강의 (출석 수업) |
|||||||
3 |
||||||||||
11주 |
11/12~11/25 |
1 |
대기파동과 상호조절 Ⅰ |
이러닝 강의 |
||||||
2 |
대기파동과 상호조절 Ⅱ |
|||||||||
3 |
대기파동과 상호조절 Ⅲ |
|||||||||
12주 |
11/19 |
1 |
건조 대기에서의 열역학 적용 |
집합‧영상 강의 (출석 수업) |
||||||
2 |
||||||||||
3 |
||||||||||
13주 |
11/26 |
1 |
경압 불안정 |
집합‧영상 강의 (출석 수업) |
||||||
2 |
||||||||||
3 |
||||||||||
14주 |
12/3~12/16 |
1 |
경압불안정 Ⅰ |
이러닝 강의 |
||||||
2 |
경압불안정 Ⅱ |
|||||||||
3 |
경압불안정 Ⅲ |
|||||||||
15주 |
12/10 |
1 |
기말고사 (온라인 시험) |
2차 평가 |
||||||
2 |
||||||||||
3 |
※ 강사 및 수업일정은 변경될 수 있음
- 6 -
○ 대기분석 및 실습
주 차 |
월/일 (집합:화요일) |
차시 |
주차별 강의내용 |
수업방식 |
|||||
1주 |
9/3~9/16 |
1 |
대기관측분류 |
이러닝 강의 |
|||||
2 |
기압과 기온 관측법 |
||||||||
3 |
습도와 바람 관측법 |
||||||||
4 |
구름관측법 |
||||||||
2주 |
9/11 |
1~2 |
일기도분석 기초 |
집합‧영상 강의 (출석 수업) |
|||||
3~4 |
지상과 상층일기도 기본분석 |
||||||||
3주 |
9/18 |
1 |
계절별일기도분석 |
집합‧영상 강의 (출석 수업) |
|||||
2~4 |
겨울과 봄철 일기도분석 |
||||||||
4주 |
9/24~10/7 |
1 |
시정 관측법 |
이러닝 강의 |
|||||
2 |
강수량 관측법 |
||||||||
3 |
기상현상 관측법 |
||||||||
4 |
기상관측전문해석법1 |
||||||||
5주 |
10/1~10/14 |
1 |
기상관측전문해석법 |
이러닝 강의 |
|||||
2 |
일기도 기입 모형의 이해 |
||||||||
3 |
항공기상 관측법 |
||||||||
4 |
일기도 분류와 분석 기초 |
||||||||
6주 |
10/8~10/21 |
1 |
일기도 분석 기법 1 |
이러닝 강의 |
|||||
2 |
일기도 분석 기법 2 |
||||||||
3 |
지상일기도 분석 방법 1 |
||||||||
4 |
지상일기도 분석 방법2 |
||||||||
7주 |
10/16 |
1 |
계절별 일기도 분석 2 |
집합‧영상 강의 (출석 수업) |
|||||
2~4 |
여름철 일기도와 호우분석 |
||||||||
8주 |
10/23 |
1~4 |
중간고사 (온라인 시험) |
1차 평가 |
|||||
9주 |
10/30 |
1~2 |
단열선도의 원리 이해 |
집합‧영상 강의 (출석 수업) |
|||||
3~4 |
단열선도 분석 기초 |
||||||||
10주 |
11/5~11/18 |
1 |
850/700hPa 일기도 분석방법 |
이러닝 강의 |
|||||
2 |
500/300hPa 일기도 분석 방법 |
||||||||
3 |
보조일기도 분석 방법1 |
||||||||
4 |
보조일기도 분석 방법 2 |
||||||||
11주 |
11/12~11/25 |
1 |
단열선도의 개념 및 종류 |
이러닝 강의 |
|||||
2 |
단열선도 기입 방법 |
||||||||
11/13 |
3~4 |
주요기상현상별 단열선도 분석과 이해 |
집합‧영상 강의 (출석 수업) |
||||||
12주 |
11/19~12/2 |
1 |
단열선도 분석 요소 |
이러닝 강의 |
|||||
2 |
단열선도를 통한 대류 관련 고도 분석 |
||||||||
3 |
단열선도를 통한 대기안정도 분석 |
||||||||
4 |
단열선도를 통한 대기안정도 분석 |
||||||||
13주 |
11/26~12/9 |
1 |
단열선도를 통한 대기안정도 분석 |
이러닝 강의 |
|||||
2 |
기상관측 전문 작성 및 해석 실습 |
||||||||
3 |
일기도분석 방법 및 실습 |
||||||||
4 |
단열선도 기입과 분석 실습 |
||||||||
14주 |
12/4 |
1~2 |
보조일기도 분석과 이해 |
집합‧영상 강의 (출석 수업) |
|||||
3~4 |
일기예보의 생산 원리 이해 |
||||||||
15주 |
12/11 |
1~4 |
기말고사 (온라인 시험) |
2차 평가 |
※ 강사 및 수업일정은 변경될 수 있음
- 7 -
○ 대기관측 및 실습
주 차 |
월/일 (집합:수요일) |
차시 |
주차별 강의내용 |
수업방식 |
||||||
1 주 |
9/3~9/16 |
1 |
대기관측 일반 사항 |
이러닝 강의 |
||||||
2 |
관측소 선정 및 대표성 |
|||||||||
3 |
관측 환경과 측기 설치 환경 |
|||||||||
4 |
기상 측기와 관측자 |
|||||||||
2 주 |
9/12 |
1~2 |
대기 과학 및 대기 관측의 발달사 |
집합‧영상 강의 (출석 수업) |
||||||
3~4 |
대기 관측의 대상과 설계 |
|||||||||
3 주 |
9/19 |
1~2 |
기압, 기온, 습도, 지중온도의 정의 및 디지털 관측 |
집합‧영상 강의 (출석 수업) |
||||||
3~4 |
바람, 강수량, 적설의 정의 및 디지털 관측 |
|||||||||
4 주 |
9/24~10/7 |
1 |
기압 관측 |
이러닝 강의 |
||||||
2 |
기온 관측 |
|||||||||
3 |
습도 관측 |
|||||||||
4 |
바람 관측 |
|||||||||
5 주 |
10/1~10/14 |
1 |
강수량 관측 |
이러닝 강의 |
||||||
2 |
적설 관측 |
|||||||||
3 |
증발량 관측 |
|||||||||
4 |
일사 관측 |
|||||||||
6 주 |
10/8~10/21 |
1 |
일조 관측 |
이러닝 강의 |
||||||
2 |
지면, 지중 온도 관측 |
|||||||||
3 |
자동 기상관측 장비 1 |
|||||||||
4 |
자동 기상관측 장비 2 |
|||||||||
7 주 |
10/17 |
1~2 |
일사, 일조, 증발량의 정의 및 디지털 관측 |
집합‧영상 강의 (출석 수업) |
||||||
3~4 |
기상청의 자동기상관측장비 발달사 |
|||||||||
8 주 |
10/24 |
1~4 |
중간고사 (온라인 시험) |
1차 평가 |
||||||
9 주 |
10/29~11/11 |
1 |
기상관측표준화법 1 |
이러닝 강의 |
||||||
2 |
기상관측표준화법 2 |
|||||||||
10/31 |
3 |
기상관측표준화법의 제정 배경 및 목적 |
||||||||
집합‧영상 강의 (출석 수업) |
||||||||||
4 |
기상관측표준화법의 발전 및 향후 과제 |
|||||||||
10 주 |
11/5~11/18 |
1 |
기상관측표준화법 3 |
이러닝 강의 |
||||||
2 |
기상관측표준화법 4 |
|||||||||
3 |
기상관측표준화법 5 |
|||||||||
4 |
시정 관측 |
|||||||||
11 주 |
11/14 |
1 |
시정의 정의 및 관측 시스템 개요 |
집합‧영상 강의 (출석 수업) |
||||||
2 |
구름의 정의 및 관측 시스템 개요 |
|||||||||
3~4 |
대기 현상의 종류와 정의 |
|||||||||
12 주 |
11/19~12/2 |
1 |
구름 관측 |
이러닝 강의 |
||||||
2 |
대기 현상 관측 1 |
|||||||||
3 |
대기 현상 관측 2 |
|||||||||
4 |
항공 기상 관측 장비 |
|||||||||
13 주 |
11/28 |
1~2 |
고층기상/낙뢰관측의 개념 및 관측 시스템 개요 |
집합‧영상 강의 (출석 수업) |
||||||
3~4 |
해양기상/황사관측의 개념 및 관측 시스템 개요 |
|||||||||
14 주 |
12/3~12/16 |
1 |
해양 기상 관측 장비 |
이러닝 강의 |
||||||
2 |
황사 관측 장비 |
|||||||||
3 |
고층 기상 관측 장비 |
|||||||||
4 |
수직 측풍 장비 |
|||||||||
15 주 |
12/12 |
1~4 |
기말고사 (온라인 시험) |
2차 평가 |
※ 강사 및 수업일정은 변경될 수 있음
- 8 -
○ 레이더기상학 및 실습
주 차 |
월/일 (집합:목요일) |
차시 |
주차별 강의내용 |
수업방식 |
||||||
1주 |
9/6 |
1 |
레이더에 사용되는 주파수, 레이더의 분류 |
집합‧영상 강의 (출석 수업) |
||||||
2 |
레이더시스템의 기본구조, 안테나의 구성및 특성 |
|||||||||
3 |
레이더전자파의 특성, 펄스파의 구조 |
|||||||||
4 |
거리 및 방위 분해능, 레이더 펄스의 전력 |
|||||||||
2주 |
9/13 |
1~2 |
대기에 의한 감쇠, 강수에 의한 감쇠 |
집합‧영상 강의 (출석 수업) |
||||||
3~4 |
레이돔에 의한 감쇠, 레이더빔의 특성 |
|||||||||
3주 |
9/17~9/30 |
1 |
레이더의 특성과 구분 |
이러닝 수업 |
||||||
2 |
레이더 탐지원리 |
|||||||||
3 |
레이더 시스템의 하드웨어 |
|||||||||
4 |
레이더 안테나와 레이돔 |
|||||||||
4주 |
9/24~10/7 |
1 |
기상 레이더의 관측 특성 |
이러닝 수업 |
||||||
2 |
기상 레이더 관측 범위 |
|||||||||
3 |
레이더 관측 특성 모수 |
|||||||||
4 |
레이더파의 굴절 |
|||||||||
5주 |
10/1~10/14 |
1 |
레이더파의 전파 경로 |
이러닝 수업 |
||||||
2 |
레이더 방정식 |
|||||||||
3 |
레이더파의 감쇄 |
|||||||||
4 |
도플러 레이더의 구조 |
|||||||||
6주 |
10/11 |
1~2 |
주방사부와 부방사부, 빔폭 |
집합‧영상 강의 (출석 수업) |
||||||
3~4 |
레이더빔의 굴절, 이상굴절의 특성 및 종류 |
|||||||||
7주 |
10/15~10/28 |
1 |
도플러 속도와 접힘 |
이러닝 수업 |
||||||
2 |
도플러 속도 패턴 |
|||||||||
3 |
레이더 신호처리 |
|||||||||
4 |
레이더 영상 |
|||||||||
8주 |
10/25 |
1~4 |
중간고사 (온라인 시험) |
1차 평가 |
||||||
9주 |
10/29~11/11 |
1 |
에코 유형 식별 |
이러닝 수업 |
||||||
2 |
기상 레이더 영상 기초 분석 |
|||||||||
3 |
레이더를 이용한 강수 추정 이론 |
|||||||||
4 |
레이더를 이용한 강수 관측 및 한계 |
|||||||||
10주 |
11/8 |
1~2 |
한대의 도플러레이더에 의한 바람장 산출 |
집합‧영상 강의 (출석 수업) |
||||||
3~4 |
두 대의 도플러레이더에 의한 바람장 산출 |
|||||||||
11주 |
11/12~11/25 |
1 |
우적 크기 분포의 관측 및 R- Z 관계식 |
이러닝 수업 |
||||||
2 |
편파 레이더의 특성과 구분 |
|||||||||
3 |
이중 편파 레이더의 기상학적 이용 |
|||||||||
4 |
강수 분석 |
|||||||||
12주 |
11/19~12/2 |
1 |
레이더 강수 추정 오차 원인 분석 |
이러닝 수업 |
||||||
2 |
우적 크기 분포에 관한 기존 연구 |
|||||||||
11/22 |
3 |
시선속도 관측, 최대 관측속도 |
집합‧영상 강의 (출석 수업) |
|||||||
4 |
바람장 산출 |
|||||||||
13주 |
11/26~12/9 |
1 |
시선속도 분석 |
이러닝 수업 |
||||||
2 |
선형 바람장의 특성 분석 |
|||||||||
3 |
위험기상 분석 |
|||||||||
4 |
태풍분석 |
|||||||||
14주 |
12/6 |
1 |
지형에 의한 레이더빔의 차폐, 지구곡률효과 |
집합‧영상 강의 (출석 수업) |
||||||
2 |
레이더 강수관측의 한계 및 관측상의 오차 |
|||||||||
3 |
층상에코와 대류성에코의 특징 |
|||||||||
4 |
태풍에코의 특징, 밝은 띠의 특성, 채프에코의 특징 |
|||||||||
15주 |
12/13 |
1~4 |
기말고사 (온라인 시험) |
2차 평가 |
- 9 -
□ 강사 수당 지급
○ 소요예산(강사료 추정액) : 약11,890,000원
과 목 |
강사구분 |
집합(영상) 강의 및 평가 |
사이버 강의 |
소 계 |
대기역학 |
외부(Ⅰ) |
주당 350,000 x 5 x 120% = 2,100,000 주당 250,000 x 2 x 120% = 600,000 주당 350,000 x 2 x 100% = 700,000 |
주당 50,000 x 6.6 =330,000 |
3,730,000 |
대기분석 및 실습 |
내부(Ⅰ) |
주당 180,000 x 5 x 120% = 1,080,000 주당 100,000 x 1 x 120% = 120,000 주당 180,000 x 2 x 100% = 360,000 |
주당 50,000 x 7.6= 380,000 |
1,940,000 |
대기관측 및 실습 |
내부(Ⅰ) |
주당 180,000 x 5 x 120% = 1,080,000 주당 100,000 x 1 x 120% = 120,000 주당 180,000 x 2 x 100% = 360,000 |
주당 50,000 x 7.6= 380,000 |
1,940,000 |
레이더기상학 및 실습 |
외부(Ⅰ) |
주당 450,000 x 5 x 120% = 2,700,000 주당 250,000 x 1 x 120% = 300,000 주당 450,000 x 2 x 100% = 900,000 |
주당 50,000 x 7.6= 380,000 |
4,280,000 |
합 계 |
11,890,000 |
○ 2014년도 강사수당 및 여비보상금 지급기준에 준하여 예산 범위 내에서 지급
※ 근거 : 강사수당 등의 지급기준 개정(안) 보고(인력개발담당관- 1106, 2014.04.12.)
구 분 |
지급기준 |
지급액(원) |
지 급 대 상 |
||
집합 (영상) 강의 |
외부 강사 |
일반 강의 (Ⅰ) |
1시간당 |
150,000 |
• 대학교 교수(전임 이상), 연구위원 ※ 야간강의인 경우 20% 할증 |
초과(매시간) |
100,000 |
||||
일반 강의 (Ⅱ) |
1시간당 |
100,000 |
• 전.현직 5급 이하 공무원 ※ 야간강의인 경우 20% 할증 |
||
초과(매시간) |
70,000 |
||||
내부 강사 |
일반 강의 (Ⅰ) |
1시간당 |
60,000 |
• 기상청(인력개발과 제외) 4‧5급 이상 공무원 ※ 야간강의인 경우 20% 할증 |
|
초과(매시간) |
40,000 |
||||
일반 강의 (Ⅱ) |
1시간당 |
50,000 |
• 기상청(인력개발과 제외) 6급 이하 공무원 ※ 야간강의인 경우 20% 할증 |
||
초과(매시간) |
30,000 |
||||
사이버 강의 |
1주 |
50,000 |
• 관련 전문가 및 과정운영자 |
※ 강의시간은 휴식시간을 제외한 50분을 1시간으로 하며, 30분 이상은 1시간으로 인정
※ 기본 1시간 산출기준 : 1일 단위별로 산출
※ 1차·2차 평가는 평가문제 출제, 채점을 포함하여 집합(영상) 강의 지급 기준과 동일
※ 사이버교육 강사수당은 강사활동에 따라 차등 지급
구 분 |
내 용 |
지급 기준 |
접속 횟수 |
1주당 평균 2회 이하 시 |
수당 미지급 |
학습관련 질의 응답 |
답변 90%이상 처리 시 |
수당 100%지급 |
답변 50%이상~90% 미만 처리 시 |
수당의 50%지급 |
|
답변 50%미만 처리 시 |
수당 미지급 |
|
학습 안내, 독려, 지도 등 |
전자메일‧SMS 발송, 학습자료‧공지사항 등재 등 1주당 평균 2회 이하 시 |
수당의 50% 지급 (개인메일 이용시 운영자에게 동보발송) |
※ 별도의 표시가 없을 경우 지급 기준은 과정별로 평가하여 지급함
※ 기준에 2가지 이상 중복되어 해당될 경우, 지급 금액이 적은 항목을 적용
※ 교육생들의 질의가 없는 경우 ‘학습관련 질의응답’ 항목은 적용하지 않음
- 10 -
붙임 1 |
학점은행제 대기과학 전공과정 집합(영상)수업 실시 기상관서 |
○ 집합(영상)수업 실시 기상관서 현황(15개소)
지 역 |
기관명 |
주 소 |
수업장소 |
서울/ 인천/경기 |
기상청 |
서울특별시 동작구 여의대방로16길 61 (신대방2동) |
다울관(1층) |
수도권기상청 |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서호로 149 본관 |
회의실(2층) |
|
강원 |
강원지방기상청 |
강원도 강릉시 사천면 과학단지로 130 |
회의실(2층) |
춘천기상대 |
강원도 춘천시 신북읍 장본1길 12 |
회의실(2층) |
|
충북 |
청주기상지청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공단로 76 (복대동) |
회의실(2층) |
대전/ 세종/충남 |
대전지방기상청 |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학로 383 (구성동 22) |
회의실(2층) |
대구/경북 |
대구기상지청 |
대구광역시 동구 효동로2길 10 (효목동) |
소회의실 (2층) |
안동기상대 |
경상북도 안동시 열루재1길 16 (운안동) |
현업실 |
|
부산/ 울산/경남 |
부산지방기상청 |
부산광역시 동래구 충렬대로237번길 117 (명륜동) |
소회의실 (3층) |
울산기상대 |
울산광역시 중구 달빛로 65- 26 (서동) |
현업실 |
|
창원기상대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가포순환로 172 (가포동) |
현업실 |
|
전북 |
전주기상지청 |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상가 마을길 25 (덕진동 2가) |
회의실(2층) |
광주/전남 |
광주지방기상청 |
광주광역시 북구 서암대로 71 (운암동) |
회의실(2층) |
목포기상대 |
전라남도 목포시 고하대로 815 (연산동) |
현업실 |
|
제주 |
제주지방기상청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만덕로 6길 32 |
소회의실 (2층) |
-집합(영상)수업 방법
※ 과목별(서울, 대전, 대구)현장 집합강의, 그 외 지역 현장 강의를 원격 영상으로 수강
※ 항공기상청 직원의 경우 항공청에서 집합(영상)수업 수강
붙임 2 |
수업참여도 평가, 출석 성적 부여 기준 |
○ 수업참여도 평가기준(5%)
— 평가대상 : 학습자 개인별 쪽지, 학습상담, 자료실 및 의견나눔 게시글
— 평가방법 : 상대평가
※ A(90~100점)는 최대 30%의 비율, B(80~89점)는 최대 40%의 비율, C 이하 (0점~79점)는 최소 30%의 비율로 성적 부여
과목명 |
쪽지 |
학습상담 (1:1문의) |
자료실 |
의견나눔 |
계 |
A과목 |
3건 / 1점 |
1건 / 1점 |
자료게시 1건 / 1점 |
2건 / 2점 |
5점 |
○ 출석성적 부여 기준(15%)
출석 |
점수 |
출석 |
점수 |
15주 |
15 |
12주 |
12 |
14주 |
14 |
12주 미만 출석 |
과락 |
13주 |
13 |
※ 출석은 사이버강의, 영상강의(집합), 중간고사, 기말고사의 종합 출석률을 적용
※ 종합출석률 80% 미만 시(4번 이상 결석시) 출석 과락
※ 사이버강의는 1주 3(4)차시 중 1차시라도 불참시 결석으로 처리
※ 출석인정 : 천재지변, 직계존비속 상, 본인 질병 및 사고로 인한 입원 등 부득이 하다고 인정되는 사유(관련 규정 제18조 제1항 1∼7)로 인한 증빙서류 제출 시에 한함. 업무상 출장으로 인한 결석은 해당사항 없음.
붙임 3 |
학점은행제 수강생 집합(영상)수업 참석 관서 확인 |
학점은행제 대기과학 전공과정 집합수업 참석 관서 기상청(원격교육연수원) |
||||
성 명 |
연락처 |
|||
소 속 / 학 교 |
||||
출석희망 관서 |
※붙임1 참조하여 관서명 기재 예시) 대구기상지청 |
-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