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정하고 투명한 기상장비 도입을 위한 『2019년도 기상관측장비 구매계획(안) 사전 공개』  | 
※ 본 구매계획은 기상청 및 한국기상산업기술원에서 2019년도에 도입할 구매계획의 초안으로서 2018. 12월 중 최종 확정 내용을 추가로 공개할 예정입니다.
※ 관심 있는 기상사업자께서는 정보요청서[별첨]를 참고하여 기상청 계측기술과로 2018. 10. 31.(수)까지 제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번호  | 
 장비명 (외자는 영문포함)  | 
 수량  | 
 용도  | 
 예산 (백만원)  | 
 자금구분 계약방법  | 
 발주시기 완료시기  | 
 구매 주요규격(안)  | 
 수요기관 (담당자, 연락처)  | 
||||||||||||||||||||||||||||
| 
 1  | 
 연직바람관측장비 (Wind Profiler)  | 
 1식  | 
 고층기상관측  | 
 400  | 
 외자, 협상계약  | 
 2월 12월  | 
 ⦁운용주파수: 1.29 ㎓ ⦁최대송신출력: 1kW 이상 ⦁평균송신출력: 100W 이상 ⦁펄스반복주파수: 2∼30 ㎑ ⦁펄스폭: (High Mode) 2 ㎲ 이하, (Low Mode)1 ㎲ 이하 ⦁안테나 이득: 27 dBi 이상 ⦁점유주파수대역폭: 15 ㎒ 이하 ⦁빔 폭: 3 dB 전력 포인트에서 9 ° 이하 ⦁관측고도: 청천대기 2 ㎞ 이상, 강수대기 5 ㎞ 이상  | 
 기상청 관측정책과 (김용업 사무관, 02- 2181- 0752)  | 
||||||||||||||||||||||||||||
| 
 2  | 
 지진관측장비 (Seismometer)  | 
 4조  | 
 지진관측  | 
 480  | 
 외자, 협상계약  | 
 2월 11월  | 
 ⦁광대역속도지진계 - 동적범위: 135 dB 이상 - 자체잡음: 0.05~15 ㎐ 주파수 범위에서 NLNM 이하 - 민감도: 1,500 Vs/m 이상 - 주파수대역: 0.0083~50 ㎐ ⦁가속도지진계 - 동적범위: 130 dB 이상 - 주파수대역: DC~100 ㎐ 이상 ⦁자료수집처리장치 - A- D Converter: 24 bit 이상 - 동적범위: 135 dB 이상 - Channel: 6 channel 이상 - 자료취득: 200회/초, 100회/초, 20회/초, 1회/초  | 
 기상청 지진정보기술팀 (심원보 사무관, 02- 2181- 0084)  | 
||||||||||||||||||||||||||||
| 
 3  | 
 지진관측장비 예비품 (Seismometer)  | 
 53대  | 
 지진관측장비 예비품  | 
 1,580  | 
 외자, 협상계약  | 
 2월 10월  | 
 기상청 지진정보기술팀 (심원보 사무관, 02- 2181- 0084)  | 
|||||||||||||||||||||||||||||
| 
 4  | 
 현장대응용 이동식 지진관측장비 (Seismometer)  | 
 17조  | 
 지진관측 (현장대응용)  | 
 850  | 
 외자, 협상계약  | 
 2월 11월  | 
 ⦁광대역속도지진계 - 동적범위: 135 dB 이상 - 자체잡음: 0.05~15 ㎐ 주파수 범위에서 NLNM 이하 - 민감도: 1,500 Vs/m 이상 - 주파수대역: 0.0083~50 ㎐ ⦁단주기속도지진계 - 동적범위: 135 dB 이상 - 민감도: 2,000 Vs/m 이상 - 주파수대역: 1~50 ㎐ ⦁가속도지진계 - 동적범위: 130 dB 이상 - 주파수대역: DC~100 ㎐ 이상 ⦁자료수집처리장치 - A- D Converter: 24 bit 이상 - 동적범위: 135 dB 이상 - Channel: 6 channel 이상 - 자료취득: 200회/초, 100회/초, 20회/초, 1회/초  | 
|||||||||||||||||||||||||||||
| 
 5  | 
 공중음파관측장비 (Infrasound)  | 
 3조  | 
 공중음파관측  | 
 2,050  | 
 외자, 협상계약  | 
 2월 11월  | 
 ⦁공중음파센서(음압센서) - 센서 수: 4개 센서 배열 이상 - 센서응답: 3dB - 공간분포: 다각형 - 교정: 절대진폭 5 % 이내 ⦁지진관측장비 - 동적범위: 135 dB 이상 - 자체잡음: 0.05~15㎐ 주파수 범위에서 NLNM 이하 - 민감도: 1,500 Vs/m 이상 - 주파수대역: 0.0083~50 ㎐  | 
 기상청 지진정보기술팀 (심원보 사무관, 02- 2181- 0084)  | 
||||||||||||||||||||||||||||
| 
 6  | 
 ARGO 플로트 (ARGO float)  | 
 6대  | 
 전지구 실시간 해양관측  | 
 110  | 
 외자, 규격가격 동시입찰  | 
 2월 11월  | 
 ⦁측성요소 및 정확도 - 수온센서: ≤ ± 0.005 ℃ - 염분센서: ≤ ± 0.005 psu - 압력센서: ≤ ± 3 dbar ⦁측정범위: 해수면~2,000 dbar ⦁관측주기: 120회 이상  | 
 국립기상과학원 지구시스템연구과 (강기룡 연구관, 064- 780- 6704)  | 
||||||||||||||||||||||||||||
| 
 7  | 
 스카이라디오미터 (Sky Radiometer)  | 
 1조  | 
 에어로졸 광학특성 관측  | 
 80  | 
 외자, 협상계약  | 
 1월 4월  | 
 ⦁GPS, 기울기센서: 선박관측을 위한 위치정보 제공 ⦁파장(nm): 315, 400, 500, 675, 870, 940, 1020 ⦁태양추적장치, CCD 카메라 ⦁시야반각 0.5도, 최소산란각 3도 ⦁동작각도: 방위각 ±310도, 고도각 –20~±150도  | 
 국립기상과학원 환경기상연구과 (이상삼 연구사, 070- 7850- 6565)  | 
||||||||||||||||||||||||||||
| 
 8  | 
 항공용 광학입자계수기 (Sky- OPC)  | 
 1조  | 
 에어로졸 입자크기별 수농도 항공관측  | 
 40  | 
 외자, 협상계약  | 
 1월 6월  | 
 ⦁측정원리: 광산란 ⦁항공관측을 위해 고정 유량으로 조절 ⦁0.25㎛ 이상 30 채널 이상의 수농도 측정 ⦁PM10, PM2.5, PM1 질량농도 제공  | 
 국립기상과학원 환경기상연구과 (김정은 연구사, 070- 7850- 6567)  | 
||||||||||||||||||||||||||||
| 
 9  | 
 광흡수계수측정기 (Aerosol absorption photometer)  | 
 1조  | 
 에어로졸 광학특성 관측  | 
 50  | 
 외자, 협상계약  | 
 1월 6월  | 
 ⦁측정항목: 블랙카본 농도 연속 측정 ⦁광원: 5파장 이상(가시광선 영역 포함)  | 
|||||||||||||||||||||||||||||
| 
 10  | 
 레윈존데  | 
 3,761개  | 
 고층기상관측  | 
 621  | 
 내자, 협상계약  | 
 2월 10월  | 
 ⦁센서별 규격: 고층기상관측장비의 표준규격 고시 이상 
 ⦁무선송수신장치: 출력 250 mW 이하, 최대송신거리 200 km 이상 ⦁라디오존데의 전원: 240분 이상 전원 공급이 가능 ⦁비양기구, 낙하산, 얼레 등 부대장비 포함 ⦁지상수신시스템(무상대여), 지상점검장치, 자료분석 장치 등 포함(자동비양장치용 라디오존데 구매사업 제외) ⦁도달고도 
  | 
 기상청 관측정책과 (김용업 사무관, 02- 2181- 0752)  | 
||||||||||||||||||||||||||||
| 
 11  | 
 자동비양장치용 라디온존데  | 
 989개  | 
 고층기상관측  | 
 326  | 
 내자, 협상계약  | 
 2월 10월  | 
||||||||||||||||||||||||||||||
| 
 12  | 
 드롭존데  | 
 97개  | 
 고층기상관측  | 
 166  | 
 내자, 규격가격 동시입찰  | 
 3월 6월  | 
 ⦁관측요소 및 측정범위 - 기압: 3~1080 hPa - 기온: - 90~+60 ℃ - 습도: 0~100 % - 풍향: 0~360° - 풍속: 0~200 ㎧  | 
 국립기상과학원 관측예보연구과 (이철규 연구관, 064- 780- 6608)  | 
||||||||||||||||||||||||||||
| 
 13  | 
 지진해일관측장비  | 
 1식  | 
 지진해일관측  | 
 200  | 
 내자, 협상계약  | 
 2월/11월  | 
 ⦁지진해일파고계 - 관측범위(Range): 파고계로부터 2~20 m - 관측방식: 극초단파 - 주파수대역: 9.8 GHz(± 5 %) - 빔 너비: 10 ° - 정밀도: 1 cm 미만(측정 기준 반사판 제시할 것) ⦁CCTV - 해상EH: 4096 x 2160 resolution - IR distance: 200 m 이상 - 해상도: 최대 50~60 fps @ 1080 P  | 
 기상청 지진정보기술팀 (심원보 사무관, 02- 2181- 0084)  | 
||||||||||||||||||||||||||||
| 
 14  | 
 저주파진동시스템  | 
 1식  | 
 지진관측장비 검정  | 
 1,200  | 
 내자 협상계약  | 
 2월 11월  | 
 ⦁주파수영역: 0.1~100 ㎐ ⦁진동방향: 수평(40mmp- p), 수직(150mmp- p) 이상 ⦁최대가진력: 19.6 m/s² ⦁진동대크기: 가로 x 세로(1.5 m x 1.5 m)  | 
|||||||||||||||||||||||||||||
| 
 15  | 
 공동감쇠분광기 또는 공진기출력분광법 (CRDS or ICOS)  | 
 2조  | 
 ⦁이산화탄소, 메탄, 일산화탄소 관측 ⦁3차 표준가스 제조  | 
 310  | 
 내자, 규격가격동시  | 
 6월 10월  | 
  | 
 국립기상과학원 환경기상연구과 (유희정 연구사, 070- 7850- 7106)  | 
||||||||||||||||||||||||||||
| 
 16  | 
 공항기상레이더 (TDWR)  | 
 1식  | 
 공항 주변의 위험기상 탐지  | 
 8,200  | 
 내자, 협상계약  | 
 1월 ’20.12월  | 
 ⦁Microburst, Wind shear Line 탐지 알고리즘 ⦁주파수대역: C band ⦁안테나 빔폭: 0.6° 이하 ⦁고도 0∼45° 이상(19단계 볼륨관측 가능)  | 
 항공기상청 정보기술과 (원광석 주무관, 032- 740- 2850)  | 
||||||||||||||||||||||||||||
| 
 17  | 
 저층바람시어경보장비 (LLWAS)  | 
 1대  | 
 바람시어, 마이크로 버스트 관측  | 
 800  | 
 내자, 협상계약  | 
 1월 12월  | 
 ⦁풍향센서(초음파식) - 측정범위: 0∼360° - 정확도: 2° 이내 - 운용환경: - 40∼+60 ℃, 순간풍속 75㎧ 이내 - 분해능: 1° ⦁풍속센서(초음파식) - 측정범위: 0∼70 ㎧ - 정확도: 0.5 ㎧ 이내(10 ㎧ 미만), 5% 이내(10 ㎧ 이상) - 운용환경: - 40∼+60 ℃, 순간풍속 75 ㎧ 이내 - 분해능: 0.1 ㎧ - 히터내장: 작동범위는 강수량 온도조절용 히터에 준함 ⦁알고리즘(algorithm): LLWAS phase Ⅲ  | 
|||||||||||||||||||||||||||||
| 
 18  | 
 공항기상관측장비 (AMOS)  | 
 1대  | 
 공항기상관측  | 
 500  | 
 내자, 협상계약  | 
 1월 12월  | 
 ⦁풍향·풍속센서: 저층바람시어경보장비 규격과 동일 ⦁시정(MOR) - 측정범위: 50 m~10 km - 분해능 
 - 측정간격: 1분 이내 ⦁활주로가시거리(RVR) - 측정범위: 10 m∼2 km - 정확도 
 - 분해능 
  | 
 항공기상청 정보기술과 (원광석 주무관, 032- 740- 2850)  | 
||||||||||||||||||||||||||||
| 
 19  | 
 자동기상관측장비  | 
 12대  | 
 종관기상관측  | 
 624  | 
 내자, 협상계약  | 
 2월 10월  | 
 ⦁평가방법: 기술평가에 실증평가(1주일) 추가 ⦁자료처리기: 소스 코드(응용 프로그램) 제출 ⦁중요사항: 기존 장비(무게식강수량계, 시정센서, 운고센서, 적설센서)와의 연동 ⦁측정요소: 기온,강수량,강수유무,풍향,풍속,습도 등 ⦁센서별 규격: 자동기상관측장비의 표준규격 고시 이상 ※「기상측기검정규정」참조 ※「자동기상관측장비의 표준규격」참조  | 
 한국기상산업기술원 관측지원실 (이정국 실장, 070- 5003- 5410)  | 
||||||||||||||||||||||||||||
| 
 47대  | 
 방재기상관측  | 
 1,363  | 
||||||||||||||||||||||||||||||||||
| 
 20  | 
 적설관측장비  | 
 70대  | 
 적설깊이 관측  | 
 1,120  | 
 내자, 협상계약  | 
 5월 11월  | 
 ⦁측정 범위: 0 ~ 300 cm ⦁측정 방식: 3지점 이상의 관측 포인트 산술평균 ⦁정확도(적설계 센서): ± 0.5 cm (실외 기준) ⦁운용 환경: - 40 ~ +50 ℃ ⦁샘플링: 매 15 ~ 60 초 ⦁분해능: 0.1 cm  | 
 한국기상산업기술원 관측지원실 (이정국 실장, 070- 5003- 5410)  | 
||||||||||||||||||||||||||||
| 
 21  | 
 광학입자계수기  | 
 5대  | 
 부유분진 측정  | 
 200  | 
 내자, 협상계약  | 
 3월 11월  | 
 ⦁측정 범위: 0.3~20 µm 이상 ⦁측정 구간수: 20개 이상 ⦁측정 입자수 농도: 1~2,000,000 particle/liter 이상 ⦁측정 질량농도: 1.0~1,500 µg/㎥ 이상 ⦁정확도: ± 2% on the target concentration 이상 ⦁흡입유량: 50 liter/hour 이상  | 
|||||||||||||||||||||||||||||
| 
 22  | 
 시정계  | 
 25대  | 
 안개 및 가시거리 관측  | 
 500  | 
 내자, 협상계약  | 
 2월 9월  | 
 ⦁측정방식: 전방산란식(forward scatter) ⦁측정범위: 10~20,000 m 이상 ⦁정확도 - ±10% 이내: 10~10,000 m 미만 - ±20% 이내: 10,000 m이상 ⦁샘플링: 매 10∼15초 ⦁분해능: 10 m ⦁방진방수: IP66이상 ⦁소모전력: 센서 6W / 후드 히터 사용 시 65W 이하 ⦁관측요소: 시정, 현천  | 
|||||||||||||||||||||||||||||
| 
 23  | 
 해양기상부이 (3 m 원반형)  | 
 1대  | 
 원해역 해양기상 감시 및 예‧특보 운영지원  | 
 350  | 
 내자, 협상계약  | 
 2월 9월  | 
 ⦁형태: 3 m 원반형 부이 ⦁설치지점: 보령시 서쪽 78 km(수심 45 m) ⦁재질 - 본체: 알루미늄 5083 이상 - 상부: 알루미늄 6061 이상 - 하부: 스테인리스 STS316 이상 ⦁관측요소: 파고, 풍향, 풍속, 기압, 기온, 수온 등 ※「기상측기검정규정」참조 ※「자동기상관측장비의 표준규격」참조 ※「해양기상관측장비 표준규격」참조 ※ 재질 변동 가능성 있음 ※ 30분 이내 관측 주기로 운영 가능한 전력과 통신시스템 구성 필수  | 
 한국기상산업기술원 관측지원실 (이정국 실장, 070- 5003- 5410)  | 
||||||||||||||||||||||||||||
| 
 24  | 
 해양기상부이 (10 m 원반형)  | 
 2대  | 
 원해역 해양기상 감시 및 예‧특보 운영지원  | 
 2,000  | 
 내자, 협상계약  | 
 2월 9월  | 
 ⦁형태: 10 m 원반형 부이 ⦁´19년 8월 이내 설치 목표 ⦁설치지점: 서해 원해역(수심 80 m내외) ⦁재질: 선박용 탄소강(CCSB) ⦁관측요소: 파고, 풍향, 풍속, 기압, 기온, 수온 등 ※「기상측기검정규정」참조 ※「자동기상관측장비의 표준규격」참조 ※「해양기상관측장비 표준규격」참조 ※ 재질 변동 가능성 있음 ※ 30분 이내 관측 주기로 운영 가능한 전력과 통신시스템 구성 필수  | 
|||||||||||||||||||||||||||||
| 
 25  | 
 파고부이  | 
 9대  | 
 연안해역 해양기상감시 및 예‧특보 운영 지원  | 
 360  | 
 내자, 협상계약  | 
 2월 9월  | 
 ⦁형태: 구형, 직경 700 mm 이상 ⦁설치지점(수심): 연안해역(50 m내외) ⦁재질: 스테인리스(STS316 이상) ⦁완충 범퍼: 고무, 강화스티로폼 등 ⦁전원부: 6개월 이상 공급 가능 ⦁관측요소: 파고, 수온 등 ※「기상측기검정규정」참조 ※「자동기상관측장비의 표준규격」참조 ※「해양기상관측장비 표준규격」참조  | 
 한국기상산업기술원 관측지원실 (이정국 실장, 070- 5003- 5410)  | 
||||||||||||||||||||||||||||
| 
 26  | 
 등표기상관측장비  | 
 3대  | 
 해양기상감시 및 예‧특보 운영 지원  | 
 90  | 
 내자, 협상계약  | 
 2월 9월  | 
 ⦁형태: 등표 시설에 자동기상관측장비 설치 ⦁설치지점: 십이동파, 갈매여, 해수서 ⦁재질: 스테인리스 STS316 이상 ⦁관측요소: 파고, 풍향, 풍속, 기압, 기온 등 ※「기상측기검정규정」참조 ※「자동기상관측장비의 표준규격」참조 ※「해양기상관측장비 표준규격」참조  | 
|||||||||||||||||||||||||||||
| 
 27  | 
 선박기상관측장비  | 
 2대  | 
 기상관측선을 이용한 해양기상감시 및 예‧특보 운영 지원  | 
 120  | 
 내자, 협상계약  | 
 2월 9월  | 
 ⦁형태: 선박 내에 자동기상관측장비 설치 ⦁설치선박: 한→중 국제여객선 ⦁재질: 강화 알루미늄 6061 파이프 ⦁관측요소: 풍향‧풍속, 기온, 기압, 습도 ※「기상측기검정규정」참조 ※「자동기상관측장비의 표준규격」참조 ※「해양기상관측장비 표준규격」참조  | 
|||||||||||||||||||||||||||||
| 
 28  | 
 항만기상관측장비  | 
 1대  | 
 항만기상감시 및 예‧특보 운영 지원  | 
 100  | 
 내자, 협상계약  | 
 2월 9월  | 
 ⦁형태: 부산항 인근에 자동기상관측장비 설치 ⦁설치지점: 부산 ⦁관측요소: 풍향, 풍속, 기온, 시정 등 ※「기상측기검정규정」참조 ※「자동기상관측장비의 표준규격」참조 ※「해양기상관측장비 표준규격」참조  | 
 한국기상산업기술원 관측지원실 (이정국 실장, 070- 5003- 5410)  | 
||||||||||||||||||||||||||||
| 
 29  | 
 기상측기 검정장비  | 
 3종  | 
 기상측기 검정  | 
 323  | 
 내자, 규격가격 동시입찰  | 
 4월 10월  | 
 ⦁검정요소(장비): 기압(이동식 기압기준기), 습도(챔버형 습도발생기), 일사(일사기준기) 
  | 
 한국기상산업기술원 측기검정팀 (이수영 팀장, 070- 5003- 5440)  | 
||||||||||||||||||||||||||||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