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기상관측장비의 표준규격


제    정 2006.  6. 30. 기상청고시 제2006- 30호

일부개정 2007. 10. 12. 기상청고시 제2007-  1호

타고시개정 2009.  8. 24. 기상청고시 제2009-  1호

(일몰제 도입을 위한 「기상요소별 관측방법」 등 일부개정)

일부개정 2011.  1.  3. 기상청고시 제2010-  5호

일부개정 2014.  9. 25. 기상청고시 제2014-  9호

일부개정 2016. 12.  1. 기상청고시 제2016-  9호

일부개정 2018.  2.  1. 기상청고시 제2018-  3호

일부개정 2019.  6.  3. 기상청고시 제2019-  9호



제1조(목적) 이 고시는 「기상관측표준화법」 제4조제2항에 따른 기상측기의 규격 중 자동기상관측장비의 표준규격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정의) 이 고시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1. “관측센서”란 자연대기 상태의 물리량을 감지하여 신호처리가 가능한 전기량(또는 디지털 신호)으로 변화하는 소자 또는 장치로 다음과 같이 구분한다.

가. 아날로그 센서 : 전압의 형식, 부하, 저항, 용량, 전류 등에 따른 전압 신호로 변환되는 센서

나. 디지털 센서 : 펄스 또는 진동수에 따라 출력의 bit 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출력하는 센서

다. 지능형 센서 :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하여 자료를 획득하여 디지털 자료를 제공하고 처리하는 기능형 센서

2. “자료처리기”란 관측센서에서 측정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또는 디지털 신호처리)하고, 자료의 1차 품질검사, 시각동기화, 관측

한 자료의 저장 및 자료의 송ㆍ수신 등을 담당하는 기기를 말한다.

3. “부대장비”란 자동기상관측장비를 정상적으로 작동시키는데 필요한 전원공급장치, 배터리, 낙뢰보호설비와 현지에서 기상상황을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기상실황판을 말한다.

4. “자료구조”란 통신망을 통한 전송 및 수집을 위해 설정된 자료의 구조를 말한다.

5. “시각동기화”란 관측장소에 설치된 자료처리기의 시각을 우리나라 표준시각으로 맞추어 주는 일체의 과정을 말한다.

6. “정확도”란 관측센서의 측정값이 참값과 비교하여 허용되는 오차를 말한다.

7. “분해능”이란 관측센서에서 측정 할 수 있는 최소 변화량을 말한다.

제3조(내용) 자동기상관측장비의 표준규격에 대한 내용은 다음 각 호와 같다.

1. 관측센서, 자료처리기 등 각종 하드웨어 사양의 표준규격

2. 자료처리체계, 자료 품질검사, 계산, 형식 등 자료구조 및 운영에 필요한 프로그램의 표준규격

3. 측기탑, 자료처리기함 등 부대설비에 관한 표준규격

제4조(적용대상) 자동기상관측장비의 표준규격 적용대상은 기상관측을 목적으로 하는 기온, 습도, 풍향, 풍속, 강수량, 강수유무, 기압 등을 자동으로 관측하는 장비일체이다.

제5조(표준화 원칙) 자동기상관측장비의 표준규격에 관한 표준화 원칙

은 다음 각 호와 같다.

1. 세계기상기구 제반 규정의 준수 및 유지

2. 관측의 신뢰성 및 연속성

3. 위험기상(호우, 대설, 강풍 등)과 극한 기상조건(한파, 폭염, 결빙 등)에서의 안정적 장비운영을 위한 내구성

4. 장비구매의 편리성 및 유지보수의 용이성

5. 새로운 기술에 대한 개방 및 수용

제6조(관측요소) ① 관측요소는 기온, 습도, 풍향, 풍속, 강수량, 강수유무, 기압, 적설, 지면온도, 지중온도, 초상온도, 일사, 일조, 시정, 운고, 운량 등으로 한다.

② 제1항의 관측요소는 관측기관의 기상관측목적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③ 삭제

제7조(관측센서의 표준규격) 관측센서에 대한 표준규격은 별표 1과 같다.

제8조(자료처리기의 표준규격) 자료처리기에 대한 표준규격은 별표 2와 같다.

제9조(신호 및 자료처리의 표준규격) 관측센서의 신호 및 자료처리에 대한 표준규격은 별표 4와 같다.

제10조(자료구조의 표준규격) 자료구조에 대한 표준규격은 별표 5와 같다.

제11조(시각동기화) 자동기상관측장비가 설치된 관측소에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등 시각동기화에 필요한 장치를 갖추거나, 표준시각을 측정하는 별도의 장치로부터 표준시각을 전송받아 1일 1회 이상 자료처리기에 시각동기화를 시켜야 한다.

제12조(부대장비의 표준규격) 부대장비의 표준규격은 별표 6과 같다.

제13조(부대설비의 표준규격) 부대설비의 설치위치 및 표준규격은 별표 7과 같다.

제14조(재검토기한) 기상청장은 「훈령ㆍ예규 등의 발령 및 관리에 관한 규정」에 따라 이 고시에 대하여 2019년 7월 1일 기준으로 매 3년이 되는 시점(매 3년째의 6월 30일까지를 말한다)마다 그 타당성을 검토하여 개선 등의 조치를 하여야 한다.


부칙 <기상청고시 제2007- 1호, 2007.10.12.>

이 고시는 발령한 날부터 시행한다.


부칙 <기상청고시 제2009- 1호, 2009.8.24.>

이 고시는 2009년 8월 24일부터 시행한다.


부칙 <기상청고시 제2010- 5호, 2011.1.3.>

이 고시는 고시한 날부터 시행한다.


부칙 <기상청고시 제2014- 9호, 2014.9.25.>

이 고시는 고시한 날부터 시행한다.


부칙 <기상청고시 제2016- 9호, 2016.12.1.>

이 고시는 고시한 날부터 시행한다.


부칙 <기상청고시 제2018- 3호, 2018.2.1.>

이 고시는 고시한 날부터 시행한다.


부칙 <기상청고시 제2019- 9호, 2019.6.3.>

이 고시는 고시한 날부터 시행한다.

[별표 1] <개정 2019.6.3.>

관측센서의 표준규격(제7조 관련)

관측

센서

형식

내     용

온도

센서

금속형

◦ 측정범위: - 40 ℃ ~ +60 ℃(초상, 지면, 지중온도 : - 40 ℃ ~ +100 ℃)

◦ 정 확 도: ±0.3 ℃ 이내

◦ 운용환경: - 40 ~ +60 ℃

◦ 분 해 능: 0.1 ℃

◦ 기    타: 100 Ω 의 백금 4선식

박막형

◦ 측정범위: - 40 ℃ ~ +60 ℃

◦ 정 확 도: ±0.3 ℃ 이내

◦ 운용환경: - 40 ℃ ~ +60 ℃

◦ 분 해 능: 0.1 ℃

◦ 기    타: 100 Ω 의 백금(유리코팅 또는 보호통)

습도

센서

정전

용량식

◦ 측정범위: 0 % R.H ~ 100 % R.H

◦ 정 확 도: ±3 % R.H 이내(0 % R.H ~ 90 % R.H)

       ±5 % R.H 이내(91 % R.H ~ 100 % R.H)

◦ 운용환경: - 40 ℃ ~ +60 ℃

◦ 방진필터 부착

풍향

센서

그레이

코드식

◦ 측정범위: 0° ~ 360°

◦ 정 확 도: 5° 이내

◦ 기동풍속: 0.5 m/s 이하

◦ 운용환경: - 40 ℃ ~ +60 ℃, 순간풍속 75 m/s 이내

◦ 분 해 능: 3°

전위

차계식

◦ 측정범위: 0° ~ 360°

◦ 정 확 도: 5° 이내

◦ 기동풍속: 1.1 m/s 이하

◦ 운용환경: - 50 ℃ ~ +50 ℃순간풍속 75 m/s 이내

◦ 분 해 능: 1°

초음파식

◦ 측정범위: 0° ~ 360°

◦ 정 확 도: 2° 이내

◦ 운용환경: - 40 ℃ ~ +60 ℃, 순간풍속 75 m/s 이내

◦ 분 해 능: 1° 

풍속

센서

광초퍼식

◦ 측정범위: 0 ~ 75 m/s

◦ 정 확 도: 0.5 m/s 이내(10 m/s 미만), 5 % 이내(10 m/s 이상)

◦ 기동풍속: 0.5 m/s 이하

◦ 운용환경: - 40 ℃ ~ +60 ℃, 순간풍속 75 m/s 이내

◦ 분 해 능: 0.1 m/s

자기
유도식

◦ 측정범위: 0 ~ 75 m/s

◦ 정 확 도: 0.5 m/s 이내(10 m/s 미만), 5 % 이내(10 m/s 이상)

◦ 기동풍속: 1.1 m/s 이하

◦ 운용환경: - 50 ℃ ~ +50 ℃, 순간풍속 75 m/s 이내

◦ 분 해 능: 0.1 m/s

초음파식

◦ 측정범위: 0 ~ 70 m/s

◦ 정 확 도: 0.5 m/s 이내(10 m/s 미만), 5 % 이내(10 m/s 이상)

◦ 운용환경: - 40 ℃ ~ +60 ℃, 순간풍속 75 m/s 이내

◦ 분 해 능: 0.1 m/s

◦ 히터내장(히터작동 범위는 강수량 온도조절용 히터에 준함)

강수량

센서

전도형

◦ 수 수 구: 지름 200 mm

◦ 측정범위: 1전도(Bucket)당 0.5 mm(또는 1.0 mm)

◦ 정 확 도: 3 % 이내(20~50 mm/h 강우강도)

◦ 재    질: 스테인리스

◦ 운용환경: - 40 ℃ ~ +60 ℃

◦ 히    터

-  온도조절: 강설 녹임을 위한 서모스탯(Thermostat) 부착
(4 ℃ ± 2 ℃ 이내에서 ON, 15 ℃ ± 2 ℃ 이내에서 OFF)

◦ 수수구 그물망: 봉 또는 수평형태의 그물망

◦ 분 해 능: 0.5 mm 또는 1.0 mm

◦ 바람막이 부착

무게식

◦ 측정범위: 1000 mm 이상

◦ 정 확 도: ±0.1 mm(10 mm 미만), ±1 %(10 mm 이상)

◦ 운용환경: - 40 ℃ ~ +60 ℃

◦ 분 해 능: 0.1 mm

◦ 바람막이 부착, 수수구부 히팅 기능

강수

유무

센서

임피던스

검출형,


정전용량

검출형

◦ 측정범위: 비, 눈 등 강수현상

◦ 반응시간: 1분 이내

◦ 운용환경: - 40 ℃ ~ +60 ℃

◦ 감지면 규격: 5 mm 간격 이내 금박격자, 15° ~ 30° 경사지게 설치

◦ 감지면 항온유지

-  서리 및 이슬현상으로 인한 오류 방지

-  강우 및 강설현상 종료 시 반응시간 2 분 이내에 감지면의 물기 제거

기압

센서

정전

용량식

◦ 측정범위: 500 hPa ~ 1080 hPa

◦ 정 확 도: ±0.5 hPa(750 hPa ~ 1080 hPa)

◦ 운용환경: - 40 ℃ ~ +60 ℃

◦ 분 해 능: 0.1 hPa

◦ 반응시간 : 1초 이내

일사

센서

열전대식

◦ 민 감 도(Sensitivity): 7 ~ 17 μV/(W/m2)

◦ 온도특성: ±2 % / - 20 ℃ ~ +50 ℃

◦ 비선형성(Non- linearity): ±0.5 %

◦ 안 정 도: ±0.8 %/년

◦ 정 확 도: 2 %(일 변화), 3 %(시 변화)

◦ 운용환경: - 40 ℃ ~ +60 ℃

◦ 시 야 각: 0° ~ 360°

◦ 측정범위: 0 ~ 1500 W/m2 

◦ 분 해 능: 1 W/m2

일조

센서

회전

거울식,


광다이오드식

◦ 측정범위: 0 ~ 24시

◦ 입사각 특성: ±5 %

◦ 시 초 값: 120 W/m2

◦ 정 확 도: ±5 %(120 W/㎡), 10 분(일) 이내

◦ 운용환경: - 40 ℃ ~ +45 ℃

◦ 분 해 능: 0.1시

시정

센서

산란식

◦ 측정범위: 10 m ~ 25000 m 이상

◦ 정 확 도: ±10 % 이내(10 m ~ 10000 m 미만),
±20 % 이내(10000 m 이상)

◦ 운용환경: - 40 ℃ ~ +60 ℃

◦ 샘 플 링: 매 10~15초

◦ 분 해 능: 10 m

운고

센서

레이저식

◦ 측정범위: 10 m ~ 7500 m 이상

◦ 정 확 도: ±10 m(1000 m 미만), ±30 m(1000 m 이상)

◦ 운용환경: - 40 ℃ ~ +60 ℃

◦ 샘 플 링: 매 15~60초

◦ 분 해 능: 10 m

적설

센서

레이저식

◦ 측정범위: 0 ~ 300 cm

◦ 측정방식: 3지점 이상의 관측 포인트 산술평균

◦ 정 확 도: ±0.5 cm

◦ 운용환경: - 40 ℃ ~ +50 ℃

◦ 샘 플 링: 매 15~60초

◦ 분 해 능: 0.1 cm




[별표 2] <개정 2019.6.3.>

자료처리기의 표준규격(제8조 관련)

구분

내         용

기능

◦ 신호의 변환(아날로그에서 디지털)ㆍ처리

-  기상요소별 관측센서로부터 측정된 신호를 기상학적 물리량으로 변환하여 수치화한다.

◦ 관측센서의 추가 또는 변경 시 하드웨어의 변경 없이 소프트웨어로 제어(센서 추가ㆍ변경, 센서별 보정값 수정)가 가능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 시각동기화, 자료의 저장, 자료의 송ㆍ수신이 가능해야 한다.

조건

◦ 일체형이고 범용성과 안정성이 있어야 한다.

◦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의 확장성이 있어야 한다.

◦ 전원중단, 통신장애 대비, 관측자료 산출 적합성 확인을 위해 충분한 자료 저장성이 있어야 한다.

규격

◦ 프로세서: 마이크로프로세서

◦ 저장용량: 1분 자료와 관측요소별 샘플링 주기 자료 30일 이상 저장

※ 단, 샘플링 주기자료는 [별표 4]에 명시된 관측요소에 한함(시정, 운고, 적설 제외)

◦ 통신인터페이스: LAN(TCP/IP), RS232, RS422, RS485 등 가능

◦ 키패드장치: 디스플레이가 부착된 키패드 또는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출력장치 포함

◦ 운용환경: - 40 ℃ ~ +60 ℃

◦ 채널(기상관측목적, 관측센서 종류 및 수량 등에 따라 선택 가능)

-  아날로그 채널: Single 15개 이상, Differential 7개 이상

-  디지털 채널: 8개 이상(SDI- 12, RS232, RS422, RS485 등)

-  주파수 채널: 2개 이상

-  여기 채널: 2개 이상

◦ A/D 비트(bit): 15 비트(bit) 이상

◦ 입력전원: 안정된 전원으로 동작하여야 한다.

◦ 외 장 품: 자료처리기함

-  내구성이 보장되어야 하며, 함체 재질에 의한 직접적인 내부온도 상승이 없도록 제작된 것으로 잠금장치와 환기구(이물질 방지망 설치)가 설치되어야 한다.

◦ 자료처리기의 내부보드는 접지가 되어야 한다.

[별표 3] 삭제 

[별표 4] <개정 2019.6.3.>

신호 및 자료처리의 표준규격(제9조 관련)

관측요소

내         용

온도

습도

기압

◦ 자료 단위: 0.1 ℃(기온, 초상, 지면, 지중온도), 0.1 %(습도), 0.1 hPa(기압)

◦ 샘플링 시간: 10초

◦ 자료처리 시간간격: 1분

-  10초마다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 값으로 변환한다.

-  10초 간격의 6개 자료를 평균하여 1분 자료를 산출한다.

풍향

풍속

◦ 자료 단위: 0.1°(풍향), 0.1 m/s(풍속)

◦ 샘플링 시간: 0.25초

◦ 자료처리 시간간격: 1분

◦ 풍향, 풍속센서로부터 0.25초마다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 값으로 변환 후 벡터 환산한다.

◦ 순간풍향ㆍ풍속(gust)

-  매 0.25초 간격으로 3초 동안 12개의 샘플링 된 자료를 평균하고 1초 간격으로 이동 평균하여 순간풍향‧풍속을 산출한다.

-  1분 동안 수집된 지난 240개의 자료 중 최댓값을 1분 최대순간풍향‧풍속으로 산출한다.

-  매 1분마다 지난 10개의 1분값 중에서 최댓값을 10분 최대순간풍향‧풍속으로 산출한다.

-  하루 동안 수집된 1분 최대순간풍향‧풍속 1440개 중에서 최댓값을 일 최대순간풍향‧풍속으로 산출한다.

◦ 1분 평균 풍향‧풍속

-  0.25초 간격의 바람벡터 자료를 10초 동안 평균을 구한 후 1분 동안  6개의 자료를 다시 평균하여 매분자료를 산출한다.2400

강수량

전도형

◦ 자료 단위: 0.5 ㎜ 또는 1.0 ㎜

◦ 1분 강수량: 센서에서 1초마다 보내온 펄스 신호의 횟수를 1분 동안 누적하여 산출한다.

무게식

◦ 자료 단위: 0.1 ㎜

◦ 1분 강수량 : 센서에서 보내온 1분 값 또는 각 센서의 자체 알고리즘에 따른다.

강수유무

◦ 자료 단위: ON 신호 시 10, OFF 신호 시 00

◦ 샘플링 시간: 1분

◦ 강수현상이 있을 때 10, 없을 때 00

시정

◦ 자료 단위 : 10 m

◦ 1분 시정 : 센서에서 보내온 1분 자료 또는 각 센서의 자체 알고리즘에 따른다.

운고

◦ 자료 단위 : 10 m

◦ 1분 운고 : 센서에서 보내온 1분 자료 또는 각 센서의 자체 알고리즘에 따른다.

일사

◦ 자료 단위 : 0.01 MJ/m2

◦ 샘플링 시간 : 1초

◦ 자료처리 시간간격 : 1분

-  1초 간격의 60개 자료를 누적하여 1분 자료를 산출한다.

적설

◦ 자료 단위 : 0.1 cm

◦ 1분 적설 : 센서에서 보내온 1분 자료 또는 각 센서의 자체 알고리즘에 따른다.


[별표 5] <개정 2018. 2. 1.>

자료구조의 표준규격(제10조 관련)


1. 기상관측자료


가. 자료구조 : 153 BYTE

Ⅰ(2)

Ⅱ(3)

Ⅲ(5)

Ⅳ(1)

Ⅴ(1)

Ⅵ(2)

Ⅶ(135)

Ⅷ(2)

Ⅸ(2)

구분

기호

내 용

바이트 수

내 용   설 명

시작 표시

2

'FAFB' (Hex) 

프로토콜버전

1

1) 년 : 표현범위 → 0 ~ 99  (2000~2099년)

1

2) 월 : 표현범위 → 1 ~ 12

1

3) 일 : 표현범위 → 1 ~ 31

날짜/시간

1

1) 년 : 표현범위 → 0 ~ 99  (2000~2099년)

1

2) 월 : 표현범위 → 1 ~ 12

1

3) 일 : 표현범위 → 1 ~ 31

1

4) 시 : 표현범위 → 0 ~ 23

1

5) 분 : 표현범위 → 0 ~ 59

자료구분

1

'I' : 순간

'B' : 1분

자료형식

번호

1

0, 1, 2 : 미사용(하위호환성)

3 : 일반용

4 : 농관용

c : 관측요소에 따라 부여(5~255)

※ 이진 코드

지점번호

2

AWS 지점번호 : 사용비트 → 15 ~ 0번 비트
유효범위 → 1 ~ 65535
자료형태 → 이진 코드

자료내용

135

관측값 및 상태값

CRC CHECK

2

Ⅱ, Ⅲ, Ⅳ, Ⅴ, Ⅵ, Ⅶ 항의 CRC16- CCITT

끝 표시

2

'FFFE' (Hex) 

나. 자료내용 구조

구분

참조번호

내용

바이트 수

내 용   설 명

관측

요소

그룹

A

1

기온

2

1분 평균 기온

사용비트 →   10 ~     0  번 비트

유효범위 →    0 ~  2047 (이진 코드)

표현범위 →  500 ~  1500 [(관측값 + 100) × 10]

2

풍향

2

1분 평균 풍향

사용비트 →   11 ~     0 번 비트

유효범위 →    0 ~  4095 (이진 코드)

표현범위 →    1 ~  3599 (관측값 × 10)

3

풍속

2

1분 평균 풍속

사용비트 →    9 ~     0 번 비트

유효범위 →    0 ~  1023 (이진 코드)

표현범위 →    1 ~  1000 (관측값 × 10)

4

순간

풍향

2

1분 순간 풍향

0.25초 샘플링, 3초 이동 벡터평균

사용비트 →   11 ~     0 번 비트

유효범위 →    0 ~  4095 (이진 코드)

표현범위 →    0 ~  3599 (관측값 × 10)

5

순간

풍속

2

1분 순간 풍속

0.25초 샘플링, 3초 이동평균

사용비트 →    9 ~     0 번 비트

유효범위 →    0 ~  1023 (이진 코드)

표현범위 →    0 ~  1000 (관측값 × 10)

6

강수량

(0.5/1.0 ㎜)

2

00시부터 현재까지(일계) 누적강수량

사용비트 →   14 ~     0 번 비트

유효범위 →    0 ~ 32767 (이진 코드)

표현범위 →    0 ~ 32767 (관측값 × 10)

7

기압

2

1분 평균 현지기압

사용비트 →   13 ~     0 번 비트

유효범위 →    0 ~ 16383 (이진 코드)

표현범위 → 5000 ~ 11000 (관측값 × 10)

8

강수유무

2

1분 강수유무

사용비트 →    3 ~     0 번 비트

유효범위 →    0 ~    15 (이진 코드)

표    현 → 강수 무 : 00, 강수 유 : 10

9

적설

2

적설량

사용비트 →   11 ~     0 번 비트

유효범위 →    0 ~  4095 (이진 코드)

표현범위 →    0 ~  4095 (관측값×10)

10

상대습도

2

1분 평균 상대습도

사용비트 →    9 ~     0 번 비트

유효범위 →    0 ~  1023 (이진 코드)

표현범위 →    0 ~  1000 (관측값 × 10)

11

강수량

(0.1 ㎜)

2

00시부터 현재까지(일계) 누적강수량

사용비트 →   14 ~     0 번 비트

유효범위 →    0 ~ 32767 (이진 코드)

표현범위 →    0 ~ 32767 (관측값 × 10)

구분

참조번호

내용

바이트 수

내 용   설 명

관측

요소

그룹

B

1

일사

2

1분 누적 일사량

사용비트 →   14 ~     0 번 비트

유효범위 →    0 ~ 32767 (이진 코드)

표현범위 →    0 ~ 32767 [누적 값(MJ/m2) × 100]

2

일조

2

00시부터 현재까지(일계) 누적 일조시간

사용비트 →   15 ~     0 번 비트

유효범위 →    0 ~ 65535 (이진 코드)

표현범위 →    0 ~ 65535 [누적시간(초 단위)]

3

지면온도

2

1분 평균 지면온도

사용비트 →   10 ~     0 번 비트

유효범위 →    0 ~  2047 (이진 코드)

표현범위 →  500 ~  2000 [(관측값 + 100) × 10]

4

초상온도

2

1분 평균 초상온도

사용비트 →   10 ~     0 번 비트

유효범위 →    0 ~  2047 (이진 코드)

표현범위 →  500 ~  2000 [(관측값 + 100) × 10]

5

지중온도

(5 cm)

2

1분 평균 지중온도

사용비트 →   10 ~     0 번 비트

유효범위 →    0 ~  2047 (이진 코드)

표현범위 →  500 ~  2000 [(관측값 + 100) × 10]

6

지중온도 (10 cm)

2

1분 평균 지중온도

사용비트 →   10 ~     0 번 비트

유효범위 →    0 ~  2047 (이진 코드)

표현범위 →  500 ~  2000 [(관측값 + 100) × 10]

7

지중온도 (20 cm)

2

1분 평균 지중온도

사용비트 →   10 ~     0 번 비트

유효범위 →    0 ~  2047 (이진 코드)

표현범위 →  500 ~  2000 [(관측값 + 100) × 10]

8

지중온도 (30 cm)

2

1분 평균 지중온도

사용비트 →   10 ~     0 번 비트

유효범위 →    0 ~  2047 (이진 코드)

표현범위 →  500 ~  2000 [(관측값 + 100) × 10]

9

지중온도 (50 cm)

2

1분 평균 지중온도

사용비트 →   10 ~     0 번 비트

유효범위 →    0 ~  2047 (이진 코드)

표현범위 →  500 ~  2000 [(관측값 + 100) × 10]

10

지중온도 (1.0 m)

2

1분 평균 지중온도

사용비트 →   10 ~     0 번 비트

유효범위 →    0 ~  2047 (이진 코드)

표현범위 →  500 ~  2000 [(관측값 + 100) × 10]

11

지중온도 (1.5 m)

2

1분 평균 지중온도

사용비트 →   10 ~     0 번 비트

유효범위 →    0 ~  2047 (이진 코드)

표현범위 →  500 ~  2000 [(관측값 + 100) × 10]

12

지중온도 (3.0 m)

2

1분 평균 지중온도

사용비트 →   10 ~     0 번 비트

유효범위 →    0 ~  2047 (이진 코드)

표현범위 →  500 ~  2000 [(관측값 + 100) × 10]

13

지중온도 (5.0 m)

2

1분 평균 지중온도

사용비트 →   10 ~     0 번 비트

유효범위 →    0 ~  2047 (이진 코드)

표현범위 →  500 ~  2000 [(관측값 + 100) × 10]

구분

참조번호

내용

바이트 수

내 용   설 명

관측

요소

그룹

C

1

1층운고

2

1분 평균 운고

사용비트 →   12 ~     0 번 비트

유효범위 →    0 ~  8191 (이진 코드)

표현범위 →    1 ~  8000 [관측값(m)]

2

2층운고

2

1분 평균 운고

사용비트 →   12 ~     0 번 비트

유효범위 →    0 ~  8191 (이진 코드)

표현범위 →    1 ~  8000 [관측값(m)]

3

3층운고

2

1분 평균 운고

사용비트 →   12 ~     0 번 비트

유효범위 →    0 ~  8191 (이진 코드)

표현범위 →    1 ~  8000 [관측값(m)]

4

운량

2

운량

사용비트 →    3 ~     0 번 비트

유효범위 →    0 ~    15 (이진 코드)

표현범위 →    0 ~    10 (관측값)

5

시정

2

1분 평균 시정

사용비트 →   15 ~     0 번 비트

유효범위 →    0 ~ 65535 (이진 코드)

표현범위 →    1 ~ 50000 [관측값(m)]

6

PM10

2

분진농도

사용비트 →   11 ~     0 번 비트

유효범위 →    0 ~  4095 (이진 코드)

표현범위 →    1 ~  3599 [관측값(μg/㎥) × 10]

7

PM2.5

2

분진농도

사용비트 →   11 ~     0 번 비트

유효범위 →    0 ~  4095 (이진 코드)

표현범위 →    1 ~  3599 [관측값(μg/㎥) × 10]

8

순복사

2

1분 평균 순복사

사용비트 →   14 ~     0 번 비트

유효범위 →    0 ~ 32767 (이진 코드)

표현범위 →    0 ~ 32767 {[관측값(W/m2) + 1000] × 10}

9

전천복사

2

1분 평균 전천복사

사용비트 →   14 ~     0 번 비트

유효범위 →    0 ~ 32767 (이진 코드)

표현범위 →    0 ~ 32767 {[관측값(W/m2) + 1000] × 10}

10

반사복사

2

1분 평균 반사복사

사용비트 →   14 ~     0 번 비트

유효범위 →    0 ~ 32767 (이진 코드)

표현범위 →    0 ~ 32767 {[관측값(W/m2) + 1000] × 10}

11

직달일사

2

1분 평균 직달일사

사용비트 →   14 ~     0 번 비트

유효범위 →    0 ~ 32767 (이진 코드)

표현범위 →    0 ~ 32767 {[관측값(W/m2) + 1000] × 10}

12

현재일기

2

현재 일기

사용비트 →    6 ~     0 번 비트

유효범위 →    0 ~   127 (이진 코드)

표현범위 →    0 ~    99 (관측값)

구분

참조번호

내용

바이트 수

내 용   설 명

관측

요소

그룹

N

1

토양수분 (10 cm)

2

1분 평균 토양 수분

사용비트 →    9 ~     0 번 비트

유효범위 →    0 ~  1023 (이진 코드)

표현범위 →    0 ~  1000 (관측값 × 10)

2

토양수분 (20 cm)

2

1분 평균 토양 수분

사용비트 →    9 ~     0 번 비트

유효범위 →    0 ~  1023 (이진 코드)

표현범위 →    0 ~  1000 (관측값 × 10)

3

토양수분 (30 cm)

2

1분 평균 토양 수분

사용비트 →    9 ~     0 번 비트

유효범위 →    0 ~  1023 (이진 코드)

표현범위 →    0 ~  1000 (관측값 × 10)

4

토양수분 (50 cm)

2

1분 평균 토양 수분

사용비트 →    9 ~     0 번 비트

유효범위 →    0 ~  1023 (이진 코드)

표현범위 →    0 ~  1000 (관측값 × 10)

5

조도량 

2

1분 평균 조도량

사용비트 →   14 ~     0 번 비트

유효범위 →    0 ~ 32767 (이진 코드)

표현범위 →    0 ~ 32767 (관측값(klux) × 100)

6

풍속

(1.5 m)

2

1분 평균 풍속

사용비트 →    9 ~     0 번 비트

유효범위 →    0 ~  1023 (이진 코드)

표현범위 →    1 ~  1000 (관측값 × 10)

7

풍속

(4.0 m)

2

1분 평균 풍속

사용비트 →    9 ~     0 번 비트

유효범위 →    0 ~  1023 (이진 코드)

표현범위 →    1 ~  1000 (관측값 × 10)

8

순간

풍속

(1.5 m)

2

1분 순간 풍속

사용비트 →    9 ~     0 번 비트

유효범위 →    0 ~  1023 (이진 코드)

표현범위 →    1 ~  1000 (관측값 × 10)

9

순간

풍속

(4.0 m)

2

1분 순간 풍속 

사용비트 →    9 ~     0 번 비트

유효범위 →    0 ~  1023 (이진 코드)

표현범위 →    1 ~  1000 (관측값 × 10)

10

기온

(0.5 m)

2

1분 평균 기온

사용비트 →   10 ~     0 번 비트

유효범위 →    0 ~  2047 (이진 코드)

표현범위 →  500 ~  1500 [(관측값 + 100) × 10]

11

기온

(4.0 m)

2

1분 평균 기온

사용비트 →   10 ~     0 번 비트

유효범위 →    0 ~  2047 (이진 코드)

표현범위 →  500 ~  1500 [(관측값 + 100) × 10]

12

습도

(0.5 m)

2

1분 평균 상대습도

사용비트 →    9 ~     0 번 비트

유효범위 →    0 ~  1023 (이진 코드)

표현범위 →    0 ~  1000 (관측값 × 10)

13

습도

(4.0 m)

2

1분 평균 상대습도

사용비트 →    9 ~     0 번 비트

유효범위 →    0 ~  1023 (이진 코드)

표현범위 →    0 ~  1000 (관측값 × 10)

구분

참조번호

내용

바이트 수

내 용   설 명

장비

상태

그룹

I

1

타코미터

2

1분 FAN 속도

사용비트 →   12 ~    0 번 비트

유효범위 →    0 ~ 8291 (이진 코드)

표현범위 →    0 ~ 8000 (관측값)

예비

관측

그룹

L

1

예비

2

예비

상태

자료

그룹

X

1

자료처리기

센서상태

8

BIT  x : 센서→ 0 : 정상, 1 : 비정상

-  x는 8 BYTE(64 bit) 중 하위에서의 순서 비트

-  센서의 순서와 비트의 순서를 일치

예) 다. 요소별 구조 (2)의 A- 1이 최하위비트

BIT 63 : FAN의 동작상태→ 0 : 정상, 1 : 비정상

상태

자료

그룹

Y

1

자료처리기

전압상태

1

BIT 0 : DC 입력 전압→ 0 : 정상, 1 : 비정상

BIT 1 : 배터리 전압→ 0 : 정상, 1 : 비정상

BIT 2, 3 : AC 전압→ 00 : 110 V,
01 : 220 V,
11 : AC OFF

BIT 4 : 자료처리기함 잠금상태→ 0 : 닫힘, 1 : 열림

BIT 5 : 예비 1→ 0 : 정상, 1 : 비정상

BIT 6 : 예비 2→ 0 : 정상, 1 : 비정상

BIT 7 : 예비 3→ 0 : 정상, 1 : 비정상

다. 요소별 구조

(1) 공통사항

센서(A,B,C,D,N,I)

자료처리기 센서상태(X)

자료처리기 전압상태(Y)

예비용(L)

2 BYTE

8 BYTE

1 BYTE

2 BYTE

(2) 일반 AWS : [V항 자료형식 번호 = 3]

구분

A- 1

A- 2

A- 3

A- 4

A- 5

A- 6

A- 7

A- 8

A- 9

A- 10

A- 11

B- 1

B- 2

B- 3

B- 4

B- 5

B- 6

B- 7

B- 8

B- 9

B- 10

B- 11

바이트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B- 12

B- 13

C- 1

C- 2

C- 3

C- 4

C- 5

C- 6

C- 7

C- 8

C- 9

C- 10

C- 11

C- 12

L

L

L

L

N- 1

N- 2

N- 3

N- 4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N- 5

N- 6

N- 7

N- 8

N- 9

N- 10

N- 11

N- 12

N- 13

L

L

L

L

L

L

L

L

L

I- 1

X

Y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8

1

(4) 장비시험용 : [V항 자료형식 번호 = 255]

구분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바이트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X

Y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8

1

2. 자료처리기 명령어 구분 : 29 BYTE

A

B

C

D

E

F

G

H

순 서

내 용

바이트 수

내 용  설 명

A

HEADER

2

FAFB (Hex)

B

프로토콜 버전

1

1) 년 : 표현범위 → 0 ~ 99  (2000~2099년)

1

2) 월 : 표현범위 → 1 ~ 12

1

3) 일 : 표현범위 → 1 ~ 31

C

년월일

시분초

1

1) 년 : 표현범위 → 0 ~ 99  (2000~2099년)

1

2) 월 : 표현범위 → 1 ~ 12

1

3) 일 : 표현범위 → 1 ~ 31

1

4) 시 : 표현범위 → 0 ~ 23

1

5) 분 : 표현범위 → 0 ~ 59

1

6) 초 : 표현범위 → 0 ~ 59

D

비밀번호

2

PASSWD

E

지점번호

2

ID

F

명령어

10

※ 명령어 참조

G

CRC CHECK

2

CRC16- CCITT

H

END

2

FFFE (Hex) 

※ 명령어

구 분

명령어

내 용  설 명

자료요구 명령

AI?

순간자료 

AB?

1분 자료 (최근 1분 자료 요구)

AQ?

1분 과거 자료 (C항에 과거시간을 입력하여 과거자료요구)

상태 정보

AV?

자료처리기 버전

원격 제어

AR?

자료처리기 리셋

AO?

전원리셋 또는 모뎀리셋 또는 적설센서 리셋

AD?

지점번호 설정

AT?

날짜, 시간 설정

AW?

암호 설정

AC?

저장데이터 삭제

(예)  AI? : ?포함 3바이트 나머지 공간은 0x00을 채운다. 

3. 자료처리기 버전(Version) 명령응답 : 29 BYTE

A

B

C

D

E

F

순서

내용

바이트 수

내 용  설 명

A

HEADER

2

FAFB (Hex)

B

프로토콜 버전

1

1) 년 : 표현범위 → 0 ~ 99  (2000~2099년)

1

2) 월 : 표현범위 → 1 ~ 12

1

3) 일 : 표현범위 → 1 ~ 31

C

지점번호

2

ID

D

내 용

18

자료처리기 버전(예 "JD V01.01")

E

CRC CHECK

2

CRC16- CCITT

F

END

2

FFFE (Hex) 


4. 자료처리기 리셋, 지점번호 설정, 날짜시간 설정, 암호 설정 등에 대한 명령응답 : 16 BYTE

A

B

C

D

E

F

G

순서

내용

바이트 수

내 용   설 명

A

HEADER

2

FAFB (Hex)

B

프로토콜 버전

1

1) 년 : 표현범위 → 0 ~ 99  (2000~2099년)

1

2) 월 : 표현범위 → 1 ~ 12

1

3) 일 : 표현범위 → 1 ~ 31

C

지점번호

2

ID

D

명령어

1

R : 자료처리기 리셋

O : 전원리셋 또는 모뎀리셋 또는 적설센서 리셋

D : 지점번호 설정

T : 날짜, 시간 설정

W:암호 설정

C : 버퍼클리어

E

4

"OKAY" 또는 “FAIL"

F

CRC CHECK

2

CRC16- CCITT

G

END

2

FFFE (Hex) 

5. 자료처리기에서 기상실황판으로 전송하는 자료구조


가. 자료형태

기상실황판으로 전송하는 기상관측자료는 “1. 기상관측”의 “가. 자료구조”, “나. 자료내용 구조”, “다. 요소별 구조”에 따라 기상실황판으로 전송한다.


나. 기상실황판 표출 방법

기상실황판은 “1. 기상관측”의 “나. 자료내용 구조”에 명기된 모든 관측요소를 표출할 수 있어야 하며, 필요 시 관측소의 관측 요소를 고려하여 표출한다.

[별표 6] <개정 2016.12. 1.>

부대장비의 표준규격(제12조 관련)

부대장비

내         용

전원공급장치

◦ 전원공급장치의 입력전압은 AC 프리볼트 60 Hz, 출력전압은 DC 12 V의 안정된 전원을 공급하여야 한다.

◦ AC 입력 단자에 보호용 스위치 및 서지보호기를 부착하여야 한다.

배터리

◦ 배터리는 전원공급 중단 시 자동기상관측장비를 80시간 이상 가동할 수 있어야 한다.

낙뢰보호설비

◦ 낙뢰보호설비는 한국산업규격 "KS C IEC 62305- 1~4" 규격을 따른다.

기상실황판

◦ 측지점에서 실시간으로 기상실황을 감시하기 위하여 자동기상관측장비와 호환이 가능하도록 기상실황판을 설치할 수 있다.

◦ 형식과 표출방식은 관측기관의 특성에 맞게 설계할 수 있다.

[별표 7] <개정 2016.12. 1.>

부대설비의 표준규격(제13조 관련)

부대설비

내         용

측기탑

◦ 설치위치 : 관측장소

◦ 설치높이 : 지면에서부터 10 m 이상

※ 건물 옥상의 경우는 장애물과의 이격거리와 장애물의 높이에 따라 최소 7 m 이상의 높이에 설치

◦ 구조물

-  재질 : 알루미늄 또는 강도 높은 강철

-  표면처리 : 백색 불소 도장 또는 아연도금

◦ 측기탑 지지선 설치

◦ 콘크리트 기초공사

-  측기탑용 : 콘크리트 타설, 케이블 인입관 매설

-  지 선 용 : 콘크리트 타설, 앵커볼트형

※ 특수목적을 위한 관측 및 고정식 장대형은 제외한다.

자료

처리기함

◦ 지상은 측기탑과 별도로 구성하고, 옥상은 측기탑에 부착

배터리함

◦ 자료처리기함 반대쪽에 지면에서 약 0.5 m 높이에 지지대를 설치하고, 그 위에 배터리함을 설치

차광통

◦ 강제순환형

-  용도 : 온도센서, 습도센서 차광용

-  구조 및 재질 : 이중통풍식, 흰색, 섬유유리·플라스틱·금속

-  통풍속도 : 4 ~ 6 ㎧

-  모양 : 상단은 눈 쌓임 적게 함

※ 자연통풍식의 경우에는 비늘모양의 구조

강수량계

바람막이

◦ 지면에 바람막이의 지지봉 설치를 원칙

※ 전도형 강수량계의 경우, 강수량계 몸통에 설치할 수 있음

가로대

◦ 용도 : 강수유무센서, 차광통 부착용

◦ 길이 : 3 m

◦ 설치높이 : 지면으로부터 1.5 m

◦ 설치방법

-  지상은 측기탑과 별도로 구성

-  옥상은 측기탑에 부착하여 설치 가능

피뢰침

◦ 측기탑 최상단에 설치

접지함

◦ 지선 지지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 설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