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2. 13. (수) 14:00 (총 5매) |
즉 시 |
|||||
기후과학국 기후정책과 |
|
과 장 이 은 정 |
지구온난화 1.5℃ 특별보고서, 그것이 알고 싶다
- 지난해 10월 채택된 IPCC「지구온난화 1.5℃」특별보고서 국문 번역본 발간
- 국내 각 분야 정책결정자들의 기후변화 대응 정책 마련에 도움
□ 기상청(청장 김종석)은 지난해 10월 우리나라에서 개최한 제48차 IPCC* 총회(2018.10.1.~6., 인천 송도)에서 전 세계 195개국 합의로 채택된 IPCC「지구온난화 1.5℃」특별보고서**의 국문 번역본을 발간하였다.
○ 번역본은 정책결정자를 위한 요약본(SPM)과 기술요약서(TS)로 구성되어 있으며, 정확한 의미 전달과 독자의 편의를 위해 국문과 국·영문 합본의 두 가지 버전으로 제작되었다.
* IPCC :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
** 기후변화 위협에 대한 전지구적 대응 강화, 지속가능한 발전, 빈곤 퇴치 노력 측면에서 산업화 이전 수준 대비 지구온난화 1.5℃의 영향과 관련 온실가스 배출 경로에 대한 IPCC 특별보고서
□ 이번 보고서에는 산업화 이전(1850~1900년) 수준 대비 전지구 평균 기온이 1.5℃ 상승했을 때의 영향과 상승폭을 1.5℃까지 억제하기 위한 다양한 온실가스 감축 시나리오에 대해 다루고 있다.
- 1 -
○ 또한 기온 상승폭 2℃와 1.5℃의 영향 비교를 통해 왜 1.5℃ 목표를 추구해야 하는지 강조하고 있다.
○ 이 보고서는 2015년 채택된 파리협정 1.5℃ 목표의 과학적 근거 마련을 위해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요청으로 작성되었으며, 지난 12월 열린 제24차 당사국총회(COP24)에 제출되어 파리협정 세부 이행지침 마련에 기여했다.
□ 「지구온난화 1.5℃」특별보고서는 91명의 집필진들이 학술 논문 등 전 세계 연구 자료 6천 건 이상을 평가하여 2년에 걸쳐 작성되었으며, 작성 단계에서 전 세계 정부 및 과학자들로부터 4만2천 건의 검토의견을 받아 수정되었다.
○ 제48차 IPCC 총회에서는 각 국 정부대표단이 보고서 가장 앞부분에 수록되는 ‘정책결정자를 위한 요약본(SPM)’을 한 문장 씩 검토하여 승인·채택하였다.
□ 「지구온난화 1.5℃」의 표지 그림은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전파하는데 주력하는 미국 디지털 아티스트 Alisa Singer의 “Time to choose”라는 작품이다. 현재까지 관측된 온도 변화와 앞으로의 온도 상승 전망을 나타낸 그래프인 SPM 본문 그림 1에서 영감을 받았다.
○ IPCC는 총회에서의 보고서 채택 후 편집과 디자인을 거쳐 최종본을 발간하며, 이후 UN 공식 5개 언어(프랑스어, 스페인어, 러시아어, 아랍어, 중국어) 번역본을 제작한다. 현재「지구온난화 1.5℃」의 영어 외 공식 번역본은 완성되지 않은 상태이다.
- 2 -
□ 김종석 기상청장은 “우리나라에서 성공적으로 채택된「지구온난화 1.5℃」특별보고서를 참고하여 각 국의 기후변화 대응 정책이 더욱 적극적인 방향으로 변화할 것으로 보인다.”며, “이번에 발간한 번역본이 국내 각 분야의 선제적인 정책 마련에 도움이 되길 바라며, 더 많은 국민들이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깨닫고 한시라도 빨리 온실가스 감축 행동을 해 나가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 기상청은 또한 앞으로 있을 정부 주관 국제회의에 도움을 주고자 제48차 IPCC 총회의 유치·준비·운영 과정을 상세히 기술한「제48차 IPCC 총회 개최 백서」도 발간했다.
○ 두 보고서 모두 기상청 ‘기후정보포털(www.climate.go.kr)’에서 내려 받을 수 있다.
□ 붙임 1.「지구온난화 1.5℃」개요
2.「지구온난화 1.5℃」표지
- 3 -
붙임 1 |
「지구온난화 1.5℃」 개요 |
□ 작성 배경
○ 2020년 만료되는 교토의정서(‘97)를 대체하기 위해 전 세계 모든 국가에 지구온난화 완화 의무를 부여하는 파리협정* 채택(’15.12.)
* “산업화 이전 수준 대비 지구 평균 기온 상승을 2℃보다 현저히 낮은 수준으로 유지 및 1.5℃까지 제한하기 위해 노력할 것”
** IPCC 5차 보고서(’14.)에서는 2℃ 상승 시나리오까지만 제시, 1.5℃에 대한 과학적 근거는 없었으나, 2℃상승도 위험하다는 군소도서국 등의 강력한 주장으로 1.5℃ 문구 채택
○ 1.5℃에 대한 과학적 근거 마련을 위해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UNFCCC COP21)에서 IPCC에 특별보고서 작성 요청
□ 개요
○ 작성 : 집필진 40개국 91명, 검토자 수천 명(총 검토의견 4만2천 건)
○ 배경자료 : 전 세계 연구결과(논문, 국가 보고서 등) 6천 건 이상
○ 보고서 목차
⦁정책결정자를 위한 요약본 (Summary for Policymakers, SPM) ⦁기술요약서(Technical Summary, TS) ⦁제1장 : 맥락 및 배경 ⦁제2장 : 지속가능발전 차원에서 1.5℃ 달성을 위한 감축 경로 ⦁제3장 : 1.5℃ 지구 온난화가 자연계 및 인간계에 미치는 영향 ⦁제4장 : 기후변화 위협에 대한 전지구적 대응 강화 및 이행 ⦁제5장 : 지속가능발전, 빈곤 퇴치, 불평등 감소 ⦁용어정리(Glossary) |
□ 작성 과정
○ 보고서 개요(Outline) 승인(‘16.10.7.~10., 제44차 총회, 태국 방콕)
○ 1차 초안 전문가 검토(‘17.7.31.~9.24.)
: 124개국 전문가 2천명이 검토자 등록, 검토의견 12,895건 제출
○ 2차 초안 전문가 및 정부 검토(‘18.1.8.~2.25.) : 검토의견 25.476건 제출
○ 최종 정부안(FGD) 검토(‘18.6.4.~7.29.) : 검토의견 3,630건 제출
○ 보고서 최종 승인·채택(‘18.10.1.~6., 제48차 총회, 대한민국 인천)
- 4 -
붙임 2 |
「지구온난화 1.5℃」 표지 |
-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