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1. 29.(금) 09:00 (총 5매) |
즉 시 |
|||||
국제협력담당관 융합기술연구부 |
과 장 이 용 섭 부 장 이 철 규 |
박광석 기상청장, 세계기상기구(WMO) 집행이사 당선
- 아시아지역 회원국으로부터 만장일치로 집행이사 당선
- 아시아지역협의회 의장과 주요 현안 논의 및 인공강우 공동협력 발전모색
□ 기상청(청장 박광석)은 1월 28일(목), 세계기상기구(WMO) 집행이사* 보궐선거에서 아시아지역 회원국으로부터 만장일치로 박광석 기상청장이 집행이사로 당선되었다고 밝혔다.
* 세계기상기구(WMO) 집행이사회: 세계기상기구의 예산과 각종 사업을 총괄하고 조정하는 핵심 집행기구로 193개 회원국 중 37개국의 위원으로 구성되며, 지역별로 배정된 의석수에 따라 각국 기상청장이 위원을 맡는다.
○ 박광석 기상청장이 집행이사로 선출됨에 따라, 우리나라는 2007년부터 집행이사국의 지위를 유지하게 되었으며, 2023년까지 임기를 수행하게 된다.
□ 이번 집행이사 당선은 그동안 우리나라가 기상·기후 분야 기술공여국으로서, 국제사회에 대한 우리나라의 위상과 신뢰가 높아진 결과로 평가된다.
○ 세계기상기구(WMO) 아시아지역협의회 의장은 우리나라가 집행이사 보궐선거에서 회원국의 만장일치로 선출된 점을 높이 평가했다.
- 1 -
□ 박광석 기상청장은 1월 28일(목), 집행이사 당선을 계기로 세계기상기구 아시아지역협의회 의장(아랍에미리트(UAE) 기상청장)과 협력을 위한 첫 화상회의를 가졌다.
○ 의장은 2019년 세계기상기구 조직개편 이후 기후변화대응 지역 내 프로그램 강화, 회원국 역량개발 등의 분야에서 한국의 주도적인 역할을 기대한다고 당부했다.
○ 이에, 박 청장은 공적개발원조(ODA) 프로젝트와 세계기상기구 한국지역훈련센터(RTC- Korea) 훈련프로그램을 통해 선진국과 개도국간의 기상기술 격차를 줄이는데 기여하는 등 집행이사로서의 역할을 다하기로 하였다.
○ 특히, 양국 기상청장은 기상 분야에서도 양국 간 인공강우 기술발전을 위해 인공강우 실험결과를 공유하고 전문가 교류를 추진하는 등 기술 협력 강화의 필요성에 공감하였다.
□ 박광석 기상청장은 “세계기상기구 집행이사 진출은 그린뉴딜 추진과 2050 탄소중립선언 등 기후변화대응을 위한 우리나라의 노력이 국제적으로 높이 평가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생각합니다.”라며, “세계기상기구 집행이사로서 국제사회의 기후위기 대응은 물론, 국내적으로도 기후탄력사회를 위한 노력을 강화해 나가겠습니다.”라고 밝혔다.
□ 붙임: 1. 박광석 기상청장 프로필
2. 세계기상기구(WMO) 아시아지역협의회 의장과의 화상회의 사진
3. 세계기상기구(WMO) 개요
- 2 -
붙임 1 |
박광석 기상청장 프로필 |
□ 기본사항
○ 성 명 : 박광석 (朴光錫)
○ 생년월일 : 1967년 5월 5일
○ 출 생 지 : 경기
□ 학력사항
○ 2003. 02. : 미국 델라웨어대학교 정책학 박사
○ 1998. 08. : 서울대 행정대학원 행정학과 졸
○ 1990. 02. : 서울대 정치학과 졸
○ 1986. 02. : 동북고등학교 졸
□ 경력사항
○ 2021. 1. ~ : 세계기상기구(WMO) 집행이사(EC)
○ 2020. 11. ~ : 제14대 기상청장
○ 2018 : 환경부 기획조정실장
○ 2017 : 대통령정책실 사회수석비서관실 기후환경비서관실 선임행정관
○ 2015 : 환경부 환경정책실 환경정책관
○ 2013 : 환경부 자원순환국장
○ 2011 : 환경부 기획조정실 기획재정담당관
○ 1994 : 환경부 입사
○ 1991 : 행정고시 합격 (35회)
□ 상 훈 : 근정포장 (2007), 국무총리 표창 (1997)
- 3 -
붙임 2 |
세계기상기구 아시아지역협의회 의장과의 화상회의 사진 |
| WMO 집행이사 당선 소감을 밝히는 박광석 기상청장 | |
|
| 세계기상기구(WMO) 아시아지역협의회 의장(아랍에미리트 기상청장)과 화상회의중인 박광석 기상청장 | |
- 4 -
붙임 3 |
세계기상기구(WMO) 개요 |
□ 현황
○ 설립
- 1873년 설립된 국제기상기구(International Meteorological Organization)의 후속기구로 세계기상기구 헌장이 소정국에 의해 비준됨으로써 설립(‘50.3.23.)
- 1951년에 업무를 개시하여 그 후에 UN과 WMO와 협정을 통해 UN의 전문기구로서 창설
※ 우리나라는 1956.2.15 68번째 회원국으로 가입
□ WMO 조직
○ 총회(World Meteorological Congress)
- WMO의 최고정책 결정기관으로서 매 4년마다 개최하여 WMO 주요정책 결정, 사무총장, 의장 및 집행이사 선출
- 회원 : 193개국(’21.1월 현재)
○ 집행이사회(Executive Council, EC)
- 37개 회원국으로 구성되며 1년마다 집행이사회가 개최되며 총회에서 결정된 정책의 추진과 이에 따른 각종사업 감독
○ 지역협의회(Regional Associations, RA)
- 아프리카(RA I), 아시아(RA II), 남미(RA III), 북‧중미 캐리비안(RA IV), 남서태평양(RA V), 유럽(RA VI) 등 6개 지역으로 구성
- 기상분야에 관한 지역 내 국가 간 활동 및 사업조정 역할
○ 기술위원회(Technical Commissions, TC)
- 인프라위원회(INFCOM) 및 서비스위원회(SERCOM)의 2개 위원회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술적 문제에 관해 총회 및 집행이사회에 권고
○ 사무국(Secretariat, 스위스 제네바 소재)
- 현 사무총장(임기 4년) : Mr. Petteri Taalas(핀란드, ‘20.6- ’23.6, 연임중)
□ 우리나라와의 관계
○ 총 4회기(2007~현재) 집행이사국 역임
- 회기: 2007~2011(이만기, 정순갑), 2011~2015(조석준, 이일수), 2015~2019(고윤화, 남재철), 2019~현재(김종석, 박광석)
-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