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6. 28.(월) 14:00 (총 4매) |
2021. 6. 29.(화) 10:00 |
|||||
기후과학국 해양기상과 지진화산국 지진정보기술팀 국가기상위성센터 위성운영과 |
과장 유승협/사무관 이소영 과장 정성훈/사무관 박지영 과장 김도형/사무관 신동기 |
02- 2181- 0742/0743 02- 2181- 0080/0081 043- 717- 0251/0254 |
이제 기상특보,
먼바다에서도 긴급알림 서비스로 받는다!
- 풍랑·태풍·지진해일 특보 시, 해양기상 위성방송 긴급알림 서비스 시행
□ 기상청(청장 박광석)은 6월 29일(화)부터 먼바다에서도 수신이 가능한 ‘해양기상 위성방송 긴급알림 서비스’를 시작한다.
○ ‘긴급알림 서비스’는 해양기상 위성방송을 수신하는 선박을 대상으로 풍랑‧태풍 특보와 지진해일특보 발표 시, 경고음과 알림 문자로 제공하는 서비스다.
□ 해양기상 위성방송은 기상정보 제공을 위한 공공 위성서비스로, 연근해뿐만 아니라 통신 수단 확보가 어려운 먼바다에서 선박의 안전한 운항을 돕기 위해 지난해 7월부터 정식서비스를 시작했다.
○ 특히, 해상바람 및 파고 예상도는 동아시아 지역에 대해 약 4일간(3시간 간격), 전 세계에 대해서는 12일간(6시간 간격)의 예측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연안에서 조업하는 선박과 원양에서 조업하는 선박까지 손쉽게 활용할 수 있다.
- 1 -
□ 기존에는 방송 계획에 따라 정기적으로 해양기상정보를 제공하였으며, ‘긴급알림 서비스’는 먼바다에서의 기상특보와 지진해일특보 등 위험기상 발생 시, 이를 신속하게 알릴 수 있는 비상통보체계가 마련되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 기상특보로는 풍랑 및 태풍특보가 제공되며, 특보 발표 시 경고음과 알림 문자를 10분 간격으로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 또한, 지진해일특보는 먼바다 및 원양에서 항해 중인 선박들에게 최초로 제공되는 지진 관련 특보로, 언제 발생할지 모르는 대규모 지진해일로부터 신속하게 대응이 가능해진다.
□ 박광석 기상청장은 “기상청은 지난해부터 기상위성인 천리안 2A호를 활용해, ‘해양기상 위성방송’이라는 신개념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습니다.”라며, “올해 긴급알림 서비스를 추가함으로써 해양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해양위험기상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해, 선박의 안전운항 확보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합니다.”라고 말했다.
□ 붙임: 해양기상 위성방송이란?
- 2 -
붙임 |
해양기상 위성방송이란? |
□ 해양기상 위성방송이란?
ㅇ 천리안2A호 위성의 위성통신을 활용하여 통신이 어려운 먼바다 선박 대상 해양기상정보 제공(15종 360개 정보 제공)
- 기상특보 등 긴급상황 발생 시 알람 메시지
- 파랑예상도 연속 재생을 통해 해상의 변화 경향 파악 및 가독성 용이
□ 무선팩스 방송과 해양기상 위성방송 비교
구 분 |
무선팩스 방송 |
|
해양기상 위성방송 |
서비스 영역 |
740km(동중국해) 해상 |
3,700km(태평양, 호주) 해상 |
|
서비스 자료 |
흑백 영상(85개/일) |
컬러 영상, 문자, 음성 등(360개/일) |
|
긴급방송 |
불가 |
알람 및 팝업 기능 |
|
콘텐츠 |
콘텐츠 확장 한계 |
콘텐츠 확장 가능 |
|
방송시간 |
19:27:00(공백시간 활용 불가) |
4:11:46(공백시간 활용 가능) |
|
표출 매체 |
무선팩스 |
스마트폰, 테블릿, 모니터, 프린터 등 |
|
파랑예상도 |
아시아: 12h간격 + 3일 전국: 12h간격 + 3일 |
아시아: 3h간격 +3.6일 예측 전구: 6h간격 +12일 예측 |
|
위성영상 |
북반구 영상 4회 |
전구영상, 안개영상 |
|
추가비용 |
수신용지 비용 |
없음 |
|
가격 |
500~1,500만 원 |
500~600만 원 |
- 3 -
□ 서비스 영역 비교 및 긴급알림(예시)
|
【그림 1】 해양기상 위상방송 서비스 영역 비교(인터넷, 무선팩스, 해양기상위성방송) |
|
【그림 2】 해양기상 위성방송 표출 결과물 예시(파랑예상도/위성영상/긴급알림) |
-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