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6. 30.(수) 14:00 (총 7매) |
2021. 7. 1.(목) 10:00 |
|||||
국립기상과학원 미래기반연구부 |
부 장 김 연 희 |
코로나19로 인해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 감소에도
한반도 ‘이산화탄소 농도 최댓값 경신, 지속 증가’
- 기상청, 「2020 한반도 지구대기감시 보고서」(20주년 특별판) 발간
- 우리나라 온실가스, 에어로졸 등의 분석결과를 담아
□ 기상청(청장 박광석) 국립기상과학원은 코로나19로 인해 온실가스 배출량이 감소했음에도, 2020년 한반도 이산화탄소 농도는 증가하였으며, 증가율도 유지되는 경향을 보였다고「2020 지구대기감시 보고서」를 통해 밝혔다.
○ 이번「2020 지구대기감시 보고서」는 2001년부터 발간되어 20주년 특별판으로 발간되었으며, △2020년 우리나라에서 관측한 이산화탄소 △기후변화원인물질 농도 △장기간 변동성 분석결과 등을 담고 있다.
|
[ 연평균 이산화탄소 농도 변화 경향 (안면도, 고산, 울릉도, 전 지구 평균) ] ※ 이산화탄소 농도 관측자료 보유 현황 : 안면도(1999~), 고산(2012~), 울릉도(2014~) |
- 1 -
□ 보고서에 따르면, 안면도 기후변화감시소의 경우 2020년에는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2019년보다 2.7ppm 높아 역대 연평균 최고 농도(420.4ppm)를 경신하였으며, 1999년 관측 이래 연간 2.4ppm의 증가율로 증가하고 있다.
○ 특히, 코로나19 상황에서 2020년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감소(전 지구 - 7%, 우리나라 - 7% 추정)*에도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 농도는 지난 10년간(2010~2019) 증가율(연간 2.7 ppm)과 동일하게 증가하였다.
* 출처: Le Quere et al., 2020, icos- cp.eu/gcp- covid19 (2021년 6월 기준, 주기적 갱신)
○ 이산화탄소는 한번 배출되면 대기 중에 지속적으로 누적되므로 배출량을 줄인다고 하더라도 단번에 감소 효과를 볼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2050 탄소중립」실현을 위해서는 파격적이고 지속적인 배출량 저감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 한편, 우리나라 에어로졸(PM10) 연평균 농도 대체로 감소(안면도) 또는 유지(고산)되는 추세를 보인다.
○ 우리나라 서쪽 대기를 대표(배경 대기)하는 지역인 안면도의 경우 에어로졸(PM10) 연평균 농도가 관측 이래 대체로 감소하는 추세(연간 –1.1 ㎍/㎥)를 보이며, 2013년 이후 최댓값을 보인 2019년(39 ㎍/㎥)과 반대로 2020년에는 27 ㎍/㎥으로 관측 이래 최저 농도가 관측되었다.
○ 우리나라 남쪽 고산의 경우는 2011년 최초 관측 이후 유사한 농도가 관측되고 있으며, 2020년에는 안면도와 유사한 28㎍/㎥의 연평균 농도가 관측되었다.
* 2019년의 경우, 북서계절풍의 약화와 풍속 감소, 관측지점 연무현상 일수 증가로 겨울~봄철 기간 PM10 농도가 높았음.
- 2 -
[ 에어로졸 PM10 질량농도 변화 경향 (안면도, 고산) ]
○ 안면도 에어로졸 농도의 감소 경향은 PM10 이온성분 분석결과, 인간 활동으로 인한 대기오염물질 농도 감소(최근 10년 대비 안면도 PM10 중 질산염, 황산염 농도 25%~28% 감소)와 관련된 것으로 판단된다.
□ 기상청은 매년 「지구대기감시 보고서」를 발간하여 우리나라 기후변화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온실가스 감축 등 미래 기후변화에 대비한 국가정책 수립과 대응을 지원하고 있다.
○ 보고서에는 기상청의 4개 기후변화감시소(△안면도 △고산 △울릉도독도 △포항)와 7개 위탁관측소(대학 및 관계기관)의 지구대기감시 관측자료*와 분석결과가 담겨있으며, 우리나라 기후변화 원인물질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활용한다.
* 지구대기감시 관측자료: 온실가스(이산화탄소, 메탄, 아산화질소, 육불화황 등), 에어로졸(PM10 등), 반응가스(오존, 일산화탄소, 질소산화물 등), 성층권 오존, 자외선, 대기복사, 총대기침적(산성도 등)
※ [2020 지구대기감시 보고서」 내려받기: 기후정보포털(www.climate.go.kr) → 열린마당 → 발간물
○ 특히, 이번 특별판에는 한눈에 보는 지구대기감시 역사, 주요 뉴스 등이 포함되어 1987년 소백산기상대에서 시작된 기상청 지구대기감시 업무의 발자취를 볼 수 있다.
- 3 -
□ 박광석 기상청장은 “기후변화와 환경위기를 극복하고 「2050 탄소중립」정책 실현을 위해서는 온실가스를 포함한 기후변화요소에 대한 감시와 이해가 중요합니다.”라며, “기상청은 신뢰도 높은 기후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여, 기후변화 대응 정책이 성공적으로 추진되도록 뒷받침하겠습니다.”라고 말했다.
□ 붙임: 1. 최근 10년간 대표적 기후변화감시 결과
2. 한반도 기후변화감시망
3. 성층권오존의 변동성
- 4 -
붙임1 |
최근 10년간 대표적 기후변화감시 결과 |
항목 |
CO2 [ppm] |
PM10 [㎍/m3] |
자외선 B [kJ/m2] |
강수 pH |
오존전량 [DU] |
CO [ppb] |
|||||||||||
지점 년도 |
안면도 |
고산 |
울릉도독도 |
안면도 |
고산 |
울릉도독도 |
안면도 |
고산 |
울릉도독도 |
안면도 |
고산 |
울릉도독도 |
안면도 |
고산 |
안면도 |
고산 |
울릉도독도 |
2011 |
394.4 |
41 |
30 |
- |
- |
- |
4.53 |
4.63 |
4.86 |
302 |
293.9 |
||||||
2012 |
400.3 |
398.9 |
35 |
25 |
- |
2.25 |
2.26 |
1.71 |
4.75 |
4.91 |
4.41 |
302 |
285.4 |
145.1 |
|||
2013 |
403.3 |
401.9 |
39 |
29 |
- |
2.08 |
2.33 |
- |
4.57 |
4.66 |
4.93 |
316 |
307 |
311.9 |
181.0 |
||
2014 |
404.6 |
403.0 |
402.7 |
38 |
32 |
- |
1.84 |
2.12 |
1.95 |
4.70 |
4.90 |
4.69 |
325 |
305 |
- |
204.8 |
|
2015 |
406.9 |
406.0 |
404.3 |
35 |
31 |
- |
1.99 |
2.13 |
1.91 |
4.62 |
5.07 |
5.11 |
333 |
315 |
- |
232.2 |
194.2 |
2016 |
410.6 |
409.1 |
407.9 |
35 |
- |
- |
2.23 |
2.15 |
1.99 |
4.91 |
5.12 |
4.92 |
321 |
291 |
- |
217.0 |
171.7 |
2017 |
413.1 |
411.5 |
410.4 |
31 |
31 |
- |
2.22 |
2.50 |
2.05 |
4.70 |
4.88 |
4.88 |
328 |
297 |
242.4 |
218.6 |
186.0 |
2018 |
415.0 |
414.0 |
414.4 |
32 |
29 |
- |
2.58 |
2.58 |
2.19 |
5.25 |
4.95 |
4.96 |
320 |
304 |
261.1 |
201.0 |
179.2 |
2019 |
417.7 |
416.4 |
415.3 |
39 |
35 |
22 |
2.26 |
2.39 |
2.30 |
5.14 |
5.02 |
5.09 |
315 |
294 |
291.8 |
215.1 |
176.5 |
2020 |
420.4 |
418.9 |
417.6 |
27 |
28 |
17 |
2.00 |
1.94 |
2.14 |
5.23 |
5.07 |
4.98 |
324 |
308 |
257.9 |
187.6 |
166.9 |
- |
※ 상세 지점별 관측요소, 월별 통계자료는 ‘「지구대기감시보고서」 [부록2] 지구대기감시 관측자료’ 참조
붙임2 |
한반도 기후변화감시망 |
|
기본감시소(4소) - 안면도 - 고산 - 울릉도독도 - 포항 위탁관측소(7소) - 연세대학교(서울) - 숙명여자대학교(서울) - 서울대학교(광릉) - 광주과학기술원(광주) - 제주대학교(고산) - 극지연구소(남극세종과학기지) - 극지연구소(남극장보고과학기지) |
붙임3 |
성층권오존의 변동성 |
□ 포항 기후변화감시소의 오존존데 관측을 통한 장기적인 연직오존변화를 살펴보면, 동아시아 산업화에 따른 대류권 오존 농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 연직적으로 오존은 주로 봄철 16~25km 고도에서 농도의 최댓값이 나타나며, 같은 기간 9~16km 고도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를 보인다.
○ 몬트리올 의정서 발효 이후, 남극지역에서는 성층권오존 농도의 회복경향이 보고되고 있으나, 북반구 중위도지역인 포항의 관측자료에서는 뚜렷한 증가추세가 보이지 않으며, 최근 들어 연변동이 크게 나타나고 있음.
* 포항 1997~2017년 기간 오존전량 증가율: 1.00±1.44%/decade
[ 포항 기후변화감시소의 연직오존 관측 시계열 ]
-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