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11. 29.(월) 10:00 (총 8매) |
2021. 11. 30.(화) 10:00 |
|||||
기상서비스진흥국 국가기후데이터센터 |
센터장 김 병 준 사무관 서 영 경 |
북한 신(新) 기후평년값에 한반도 기후변화 드러난다
- 북한 연평균기온 8.9℃로 이전 평년값보다 0.4℃ 상승 -
- 우리나라 연평균기온 12.8℃로 0.3℃ 상승한 것과 비슷한 추세 -
- 북한 신 기후평년값(1991~2020) 수록한 「북한기상 30년보」 발간 -
□ 기상청(청장 박광석)은 북한의 새로운 기후평년값(1991~2020년)을 발표하며 이전과 비교해 북한은 연평균기온이 0.4℃ 상승했고, 연강수량은 7.7mm 감소했다고 30일(화) 밝혔다.
○ 이는 우리나라의 연평균기온이 이전 평년값보다 0.3℃ 상승하고 강수량이 1.4mm 감소한 것과 같은 추세로 한반도 전체가 비슷한 변화 경향을 보였다.
○ 이번 발표에 따르면 북한의 연평균기온은 8.9℃로 우리나라(12.8℃)보다 3.9℃ 낮았으며, 연강수량은 912mm로 우리나라(1306.3mm)의 70%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 분 |
우리나라 |
북 한 |
||||
이전 평년(a) |
신 평년(b) |
차이(b- a) |
이전 평년(a) |
신 평년(b) |
차이(b- a) |
|
평균기온(℃) |
12.5 |
12.8 |
+0.3 |
8.5 |
8.9 |
+0.4 |
최고기온(℃) |
18.1 |
18.3 |
+0.2 |
14.1 |
14.5 |
+0.4 |
최저기온(℃) |
7.7 |
8.0 |
+0.3 |
3.7 |
4.0 |
+0.3 |
강수량(mm) |
1307.7 |
1306.3 |
- 1.4 |
919.7 |
912.0 |
- 7.7 |
※ 우리나라: 45개 지점평균, 북한: 27개 지점평균
- 1 -
□ 지역별로는 북한 전역에서 기온이 상승하였고, 강수량은 함경도와 동해안 일부를 제외하고는 많은 지역에서 감소하였다.
○ 대부분 지점이 이전 평년값과 비교하여 0.3~0.4℃ 정도 상승하였으며, 해주와 함흥은 큰 폭(0.5℃)으로 상승하였다.
○ 연강수량은 많은 지역에서 감소한 가운데, 여름철에 집중호우가 두드러졌던 함경남북도 지점(안주 54.9mm, 수풍 33.8mm, 평양 25.1mm 증가) 등은 강수량이 증가하였다.
< 연평균기온 이전ㆍ신 평년값 차이 분포도 > |
< 연강수량 이전ㆍ신 평년값 차이 분포도 > |
|
|
□ 현재의 새로운 북한 기후평년값을 살펴보면, 연평균기온은 북쪽으로 갈수록, 내륙과 산지일수록 낮게 나타났다. 또한 동풍의 영향을 받는 강원 동해안 일대의 강수량이 많고, 내륙 고산지대인 개마고원 일대의 강수량은 적게 나타났다.
○ 연평균기온이 가장 높은 곳은 동해안의 장전(12.4℃), 가장 낮은 곳은 산악 고원지대(백두산)의 삼지연(0.8℃)이었다. 평양(11.0℃)은 북한 전체의 평균기온(8.9℃)보다 다소 높았다.
- 2 -
○ 연강수량이 가장 많은 곳은 동해안의 장전(1,502.3mm), 가장 적은 곳은 혜산(559mm)이었다. 평양(936.4mm)은 북한 전체의 연강수량(912mm)과 약 20mm 차이로 조금 많은 수준이었다.
< 연평균기온 신 평년값 분포도 > |
< 연강수량 신 평년값 분포도 > |
|
|
|
□ 한편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북한은 폭염과 열대야와 같은 기상현상일수가 증가했고, 계절별 길이에도 변화가 생긴 것으로 나타났다.
○ 북한의 폭염과 열대야일수는 각각 1.2일, 0.5일씩 증가하였고, 한파일수는 2.7일 감소하여 기온 상승에 따른 영향을 뚜렷이 확인할 수 있었다.
- 3 -
< 우리나라(남한)와 북한의 이전ㆍ신 평년값(폭염, 열대야, 한파일수) >
구 분 |
폭염일수 |
열대야일수 |
한파일수 |
||||||
이전 평년(a) |
신 평년(b) |
차이 (b- a) |
이전 평년(a) |
신 평년(b) |
차이 (b- a) |
이전 평년(a) |
신 평년(b) |
차이 (b- a) |
|
우리나라 |
10.1 |
11.8 |
1.7 |
5.3 |
7.2 |
1.9 |
5.7 |
4.8 |
- 0.9 |
북한 |
2.8 |
4.0 |
1.2 |
0.6 |
1.1 |
0.5 |
39.0 |
36.3 |
- 2.7 |
※ 폭염일수: 일 최고기온 33℃ 이상인 날 수 / 열대야일수: 밤 최저기온이 25도 이상인 날 수 / 한파일수: 아침 최저기온 –12℃ 이하인 날 수 |
○ 또한 이전 평년기간보다 여름은 3일 길어졌고, 겨울은 4일 짧아졌다. 계절의 시작일도 봄과 여름은 각각 1일과 3일씩 빨라진 반면, 겨울은 2일 늦어졌다.
< 북한의 이전ㆍ신 평년기간의 계절 길이>
구 분 |
이전 평년 |
신 평년 |
신- 구 비교 |
||||
시작일 |
종료일 |
계절길이 |
시작일 |
종료일 |
계절길이 |
||
봄 |
4월 1일 |
6월 23일 |
84일 |
3월 30일 |
6월 20일 |
83일 |
1일↓ |
여름 |
6월 24일 |
9월 4일 |
73일 |
6월 21일 |
9월 4일 |
76일 |
3일↑ |
가을 |
9월 5일 |
11월 8일 |
65일 |
9월 5일 |
11월 10일 |
67일 |
2일↑ |
겨울 |
11월 9일 |
3월 31일 |
143일 |
11월 11일 |
3월 29일 |
139일 |
4일↓ |
※ 봄/여름: 일평균기온이 5℃/20℃ 이상 올라간 후 다시 떨어지지 않는 첫날 가을/겨울: 일평균기온이 20℃/5℃ 미만으로 떨어진 후 다시 올라가지 않는 첫날 |
□ 북한의 기후평년값은 세계기상기구의 세계기상자료통신망(GTS)으로 수집된 27개 북한 관측지점의 기온, 강수량 등을 평균한 값으로, 상세한 분석내용은 「북한기상 30년보*」에 수록하여 발간하였다.
* 이번 발간은 1995년 「북한기상 20년보(1973~1994년)」, 2011년 「북한기상 30년보(1981~2010년)」 이후 10년 만이며, 평년값을 비롯한 다양한 기후특성 분석을 포함함
○ 이는 북한 기후의 기준값으로서, 한반도 기후분석 등을 비롯하여 통일·외교·안보 및 농업·산림·환경·보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4 -
○ 「북한기상 30년보」와 다양한 분석내용은 기상청 기상자료개방포털(data.kma.go.kr)을 통해 제공할 예정으로 국민 누구나 활용할 수 있다.
□ 박광석 기상청장은 “북한의 신(新) 기후평년값은 한반도에 다가온 기후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기후분석과 예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라며 “기상 분야에 있어서만큼은 국경이 따로 없기에, 기상자료 교류 및 공동연구 등 남북 간 실질적인 기상협력 방안 마련을 위해 앞으로 지속적으로 노력해나가겠습니다.”라고 밝혔다.
□ 붙임: 1.「북한기상 30년보」발간본 및 북한 관측지점
2. 북한 27개 관측 지점별 이전·신 평년값
3. 우리나라와 북한의 기후평년값 차이(이전ㆍ신) 비교
- 5 -
붙임 1 |
「북한기상 30년보」 발간본 및 북한 관측지점 |
○ 책자 표지 시안 및 내용
|
|
○ 북한 27개 관측 지점명(GTS(세계통신망)의 지점번호)
- 6 -
붙임 2 |
북한 27개 관측 지점별 이전·신 평년값 |
구분 |
지점명 |
해발고도 (m) |
평균기온(℃) |
최고기온(℃) |
최저기온(℃) |
연강수량(㎜) |
||||
이전 평년 |
신 평년 |
이전 평년 |
신 평년 |
이전 평년 |
신 평년 |
이전 평년 |
신 평년 |
|||
함경북도 |
선봉 |
3 |
7.3 |
7.5 |
11.7 |
12.1 |
3.2 |
3.3 |
714.2 |
715.5 |
삼지연 |
1386 |
0.5 |
0.8 |
6.7 |
7.3 |
- 5.7 |
- 5.5 |
915.3 |
891.1 |
|
청진 |
43 |
8.4 |
8.7 |
12.7 |
13.1 |
4.5 |
4.8 |
622.2 |
613.9 |
|
김책 |
23 |
9.2 |
9.6 |
13.6 |
14.5 |
5.3 |
5.5 |
640.8 |
664.7 |
|
함경남도 |
혜산 |
714 |
3.9 |
4.2 |
11.5 |
11.7 |
- 2.4 |
- 2.0 |
591.4 |
559.0 |
풍산 |
1206 |
2.6 |
3.0 |
9.7 |
10.3 |
- 3.9 |
- 3.5 |
637.6 |
609.8 |
|
장진 |
1081 |
2.5 |
2.9 |
9.5 |
9.9 |
- 3.7 |
- 3.2 |
701.6 |
673.6 |
|
함흥 |
38 |
10.3 |
10.8 |
16 |
16.7 |
5.4 |
5.7 |
847.0 |
830.0 |
|
신포 |
19 |
10.0 |
10.4 |
14.3 |
15.1 |
6.0 |
6.3 |
672.9 |
658.3 |
|
원산 |
36 |
11.3 |
11.7 |
15.4 |
16.0 |
7.5 |
7.8 |
1347.8 |
1350.0 |
|
장전 |
35 |
12.0 |
12.4 |
16.0 |
16.4 |
8.2 |
8.5 |
1519.9 |
1502.3 |
|
평강 |
371 |
8.8 |
9.1 |
14.3 |
14.8 |
3.6 |
3.7 |
1251.1 |
1211.9 |
|
평안북도 |
중강 |
332 |
5.5 |
5.6 |
12.5 |
13.0 |
- 0.5 |
- 0.4 |
726.4 |
673.7 |
강계 |
306 |
7.2 |
7.4 |
14 |
14.3 |
1.8 |
1.9 |
823.6 |
814.5 |
|
수풍 |
83 |
9.0 |
9.3 |
15.1 |
15.4 |
3.9 |
4.3 |
946.6 |
980.4 |
|
신의주 |
7 |
9.8 |
10.1 |
15.0 |
15.5 |
5.6 |
6.0 |
991.9 |
1020.9 |
|
구성 |
99 |
9.5 |
9.8 |
15.4 |
15.6 |
4.5 |
4.8 |
1169.8 |
1182.4 |
|
희천 |
155 |
8.7 |
9.0 |
15.2 |
15.7 |
3.1 |
3.6 |
1071.2 |
1051.1 |
|
평안남도 |
안주 |
27 |
9.7 |
10.1 |
15.2 |
15.5 |
4.9 |
5.4 |
962.8 |
1017.7 |
양덕 |
279 |
8.4 |
8.8 |
14.7 |
15.1 |
2.6 |
3.1 |
999.2 |
1006.0 |
|
평양 |
38 |
10.6 |
11.0 |
15.9 |
16.3 |
6.0 |
6.5 |
911.3 |
936.4 |
|
남포 |
47 |
10.8 |
11.1 |
15.4 |
15.8 |
7.2 |
7.5 |
771.1 |
762.9 |
|
황해도 |
사리원 |
52 |
10.8 |
11.2 |
16.2 |
16.5 |
6.2 |
6.5 |
841.2 |
813.1 |
신계 |
100 |
10.3 |
10.6 |
16.2 |
16.5 |
5.1 |
5.5 |
1095.4 |
1053.6 |
|
용연 |
5 |
10.8 |
11.0 |
15.8 |
16.5 |
6.0 |
6.0 |
829.6 |
800.6 |
|
해주 |
81 |
11.4 |
11.9 |
16.0 |
16.3 |
7.7 |
7.9 |
1032.6 |
1069.4 |
|
개성 |
70 |
11.0 |
11.4 |
16.3 |
16.8 |
6.6 |
6.9 |
1197.1 |
1161.8 |
※ 파란색: 기온(강수량)이 가장 낮은(적은) 값, 붉은색: 기온(강수량)이 가장 높은(많은) 값
※ 이북 5도(함경북도, 함경남도, 평안북도, 평안남도, 황해도) 기준으로 광역 단위를 구분하였으며, 강원도 북쪽의 장전, 평강 지점은 함경남도에 포함하여 수록
- 7 -
붙임 3 |
우리나라와 북한의 기후평년값 차이(이전ㆍ신) 비교 |
□ 주요 분석
우리나라·북한의 신 평년 연평균기온은 이전평년 대비 0.3℃∼0.4℃ 높아 유사한 상승 - 연평균기온(신 평년): 우리나라 12.8℃(이전 평년 대비 +0.3℃), 북한 8.9℃(이전 평년 대비 +0.4℃) 우리나라·북한의 신 평년 연강수량 모두 이전 평년보다 감소 - 연강수량(신 평년): 우리나라 1306.3㎜(이전 평년 대비 –1.4㎜), 북한 912.0㎜(이전 평년 대비 –7.7.㎜) * 대상지점: (우리나라) 전국평균 대상 45개 관측지점/ (북한) 27개 관측지점 * 분석방법: 대상지점 신 평년값(‘91.- ’20.)의 평균값 산출 및 이전 평년값(‘81.- ’10.)의 차이 비교 |
□ 계절별 분석
○ 우리나라와 북한 모든 계절에서 평균·최고·최저기온(신평년값)이 이전 평년보다 상승하였으며, 북한의 상승폭이 소폭 높게 나타남
○ 우리나라의 강수량은 봄ㆍ가을엔 다소 증가, 여름ㆍ겨울엔 다소 감소하는 경향이며, 북한의 강수량은 여름을 제외하고 모두 감소
구분 |
기간 |
평균기온(℃) |
강수량(㎜) |
||||||
봄 (3~5월) |
여름 (6~8월) |
가을 (9~11월) |
겨울 (12~2월) |
봄 (3~5월) |
여름 (6~8월) |
가을 (9~11월) |
겨울 (12~2월) |
||
우리나라 |
이전 평년(a) |
11.7 |
23.6 |
14.1 |
0.6 |
236.6 |
723.2 |
259.7 |
88.8 |
신 평년(b) |
12.0 |
23.9 |
14.4 |
0.9 |
242.3 |
710.9 |
264.1 |
88.0 |
|
차이(b- a) |
+0.3 |
+0.3 |
+0.3 |
+0.3 |
+5.7 |
- 12.3 |
+4.4 |
- 0.8 |
|
북한 |
이전 평년(a) |
8.2 |
21.2 |
10.2 |
- 5.6 |
148.6 |
542.7 |
181.9 |
46.4 |
신 평년(b) |
8.6 |
21.6 |
10.6 |
- 5.3 |
143.5 |
543.2 |
180.9 |
44.5 |
|
차이(b- a) |
+0.4 |
+0.4 |
+0.4 |
+0.3 |
- 5.1 |
+0.5 |
- 1.0 |
- 1.9 |
<우리나라·북한 계절별 기온(평균·최고·최저) 및 강수량 신 기후평년값 그래프 > |
|
|
|
-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