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청

보 도 자 료

 

보도 일시

2022. 7. 12.(화) 09:00

배포 일시

2022. 7. 11.(월) 14:00

담당 부서

국립기상과학원

책임자

부  장 

부경온

(064- 780- 6620)

기후연구부

담당자

연구관

김정은

(064- 780- 6624)


2021년 한반도 이산화탄소 농도 최댓값 재경신

-  메탄 농도 증가 가속화(최근 10년 대비 2.2배 상승) -  

-  「2021년 지구대기감시보고서」발간과 함께 학연관 협력회의 개최 -


□ 기상청(청장 유희동) 국립기상과학원은 기후변화의 주요 원인인 한반도 이산화탄소 농도와 관련하여 2021년 다시 최대치를 기록했다고「2021 지구대기감시보고서」를 통해 밝혔다.


※ 기상청은 우리나라 기후변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온실기체(가스) 감축 등 국가 정책 대응원을 위해, 기후변화 원인물질인 온실기체(가스), 입자상 물질(에어로졸) 등을 1987년부터감시해오고 있으며 관측결과는 매년 지구대기감시보고서(2001년∼)를 통해 발표


□ 보고서에 따르면, 한반도에서 가장 긴 실시간 온실기체(가스)를 관측해 온 안면도 기후변화감시소의 이산화탄소 배경농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관측 이래 최고농도를 경신(423.1 ppm)하였으며, 연간 증가율도 2019년 이후 2.7 ppm으로 유지되고 있다. 


ㅇ 고산(421.5 ppm), 울릉도(420.8 ppm) 감시소 연평균 이산화탄소 배경농도 역시 전년도 대비 2.6~2.8 ppm 증가하여 최근 10년과 비슷한 증가율을 보이며, 전지구 평균(414.7 ppm)도 전년도보다 2.3 ppm 증가하여 최고농도를 기록했다.

※ 전지구 평균 농도는 미국해양대기청 발표값으로 세계기상기구에서 10월에 확정 발표 예정


 



ㅇ 특히, 2021년 메탄의 농도 증가가 두드러지는데, 안면도 메탄 배경농도는지난 10년 증가율(연간 10 ppb)의 약 2.2배에 해당하는 22 ppb가 상승하여 관측 이래 최고 농도(2,005 ppb)이며, 그 증가세가 가속화되고 있다.


-  메탄 증가세의 가속화는 한반도(안면도, 고산, 울릉도)뿐 아니라 전지구적 현상으로, 지구급 관측소인 하와이 마우나로아의 경우에도 전년도 대비 17 ppb가 상승한 1,896 ppb로 기록되었으며, 이는 산업화 이전 전지구 평균(722 ppb)의 약 2.6배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 메탄은 전지구 온실기체(가스)로 인한 온난화 효과의 16%에 기여하고 있고(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 2021), 대기 중 체류시간이 약 9년으로 짧아 배출량을 줄일 경우 가장 빠른 효과를 볼 수 있는 온실기체(가스)로, 우리나라도 2021년 국제메탄서약에 가입하여 적극적으로 메탄 배출 감소 노력을 하고 있다.


 

□ 우리나라 연평균 입자상 물질(PM10)의 질량농도는 2020년까지 감소(안면도) 또는 유지(고산)되는 추세를 보였으나, 2021년 잦은 황사의 영향으로 2020년에 비해 높게 관측되었다.


ㅇ 안면도에서는 2004년 이후 감소하는 추세이나, 2021년에 빈번하게 관측된황사로 인해 전년도(27 ㎍/㎥)보다 약 22% 증가한 33 ㎍/㎥으로 관측되었다. 


※ 2021년 황사 관측일수는 10.8일로 전년도(2.7일)의 약 4배, 평년(1991- 2020년, 6.4일)의 1.7배 수준이며, 5년 만에 황사경보가 2차례 발표됨.


 

□ 유희동 기상청장은“날로 더해지는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관련 정책을뒷받침하기 위해서는 온실기체(가스)를 포함한 기후변화 원인물질에 대한 감시와이해가 중요합니다”라며,“기상청은 신뢰도 높은 기후정보를 지속적으로제공하여, 기후변화 대응 정책이 성공적으로 추진되도록 뒷받침하겠습니다.”라고 말했다.


□ 한편, 기상청은 2021년 지구대기감시보고서 주요 결과를 발표하고, 기후변화감시소 운영 성과 공유, 기후변화감시자료 활용 방안 및 기후변화감시 분야 발전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관련 학계 및 연구기관과‘기후변화감시자료 활용 협력회의’를 2021년 7월 11일(월)~12일(화) 서울 메이필드호텔에서 개최한다.


붙임  1. 최근 10년간 대표적 기후변화감시 결과

2. 한반도 기후변화감시망

3. 기후변화감시자료 활용 협력회의 과정(프로그램)



 
 
     

붙임1

최근 10년간 대표적 기후변화감시 결과

항목

이산화탄소(CO2)

[ppm]

메탄(CH4)

[ppm]

입자상 물질(PM10)

[㎍/m3]

자외선B(홍반자외선)

일누적값[kJ/m2]

일산화탄소(CO)

[ppb]

지점

연도

안면도

고산

울릉도독도

안면도

고산

울릉도독도

안면도

고산

울릉도독도

안면도

고산

울릉도독도

포항

안면도

고산

울릉도독도

2012

400.3 

398.9 

1908

35

25

-

2.25 

2.26 

1.71 

2.40 

285.4 

-

2013

403.3 

401.9 

1914

39

29

-

2.08 

2.33 

-

2.15 

312.0 

181.1 

2014

404.6 

403.0 

402.2 

1933

1920

38

32

-

1.84 

2.12 

1.95 

1.81 

-

204.9 

2015

406.9 

406.0 

404.3 

1942

1925

35

31

-

1.99 

2.13 

1.91 

1.87 

-

232.6 

-  

2016

410.6 

409.1 

407.9 

1942

1928

35

-

-

2.23 

2.15 

1.99 

1.86 

-

216.6

171.8

2017

413.1 

411.5 

410.4 

1954

1938

31

31

-

2.22 

2.50 

2.05 

2.11 

-

219.9

186.4

2018

415.0 

414.0 

414.4 

1953

1937

1941

32

29

-

2.58 

2.58 

2.19 

1.96 

249.1

200.2

179.5

2019

417.7 

416.4 

415.3 

1976

1957

1959

39

35

22

2.26 

2.39 

2.30 

2.43 

286.0

216.0

176.5

2020

420.4 

418.9 

417.6

1983

1968

1972

27

28

17

2.00 

-

2.14 

2.19 

258.9

187.3

167.0

2021

423.1

421.5

420.8

2005

1982

1988

33

36

21

2.40

2.26

2.37

1.99

249.1

188.6

177.8

-

 : 품질관리를 통해 충분한 자료가 없는 경우(예, 품질관리 이후 연중 75% 이하) 연평균 산출하지 않음

 : 관측하지 않음

※ 상세 지점별 관측요소, 월별 통계자료는 ‘「지구대기감시보고서」 [부록2] 지구대기감시 관측자료’ 참조

붙임2

한반도 기후변화감시망

 

기본감시소(4소)

-  안면도

-  고산

-  울릉도독도

-  포항


위탁관측소(7소)

-  연세대학교(서울)

-  숙명여자대학교(서울)

-  서울대학교(광릉)

-  광주과학기술원(광주)

-  제주대학교(고산)

-  극지연구소(남극세종과학기지)

-  극지연구소(남극장보고과학기지)

붙임3

기후변화감시 활용 협력회의 과정(프로그램)

일자/시간

제목

발표자

7. 11.

기후변화감시 학연관 협력회의(기본감시소, 위탁관측소)

13:30~14:00

등록 및 접수

14:00~15:15

75

2021년 온실가스 주요 결과

이해영 연구사(국립기상과학원)

남극과학기지 이산화탄소 및 오존 농도 관측 현황

안서희 박사(극지연구소)

광릉 낙엽활엽수 노령림에서의 장기 이산화탄소 플럭스 모니터링

강민석 부장(서울대학교)

2021년 반응가스, 에어로졸, 총대기침적 주요 관측 결과

김정은 연구관(국립기상과학원)

대기 중 에어로졸 및 가스 원격 측정 연구

이해범 연구원(광주과학기술원)

15:15~15:35

20‘

휴식

15:35~16:35

60‘

대기복사, 자외선, 성층권오존 주요 결과

신대근 연구원(국립기상과학원)

연세대학교 위탁관측소 오존 관측 현황 보고 

구자호 교수(연세대학교)

마이크로파 라디오미터를 이용한 성층권 오존 및 수증기 연직분포 관측

가수현 박사(숙명여자대학교)

고산기후변화감시소 대기 라돈 모니터링 및 시계열 변화

강창희 교수(제주대학교)

16:50~18:00

70‘

건의사항 및 협력방안 토의

7. 12.

기후변화 감시자료 분석기술 및 활용 연구

09:00~09:20

등록 및 접수

09:20~10:35

75‘

국내 온실가스 순차순환 비교 실험

이수정 연구원(국립기상과학원)

기후변화감시를 위한 VOCs 관측

이미혜 교수(고려대학교)

장기관측 에어로졸 물리/광학특성

김상우 교수(서울대학교)

온실가스 배경농도 재산정

서원익 연구원(국립기상과학원)

지표오존 GAW 표준 소급체계 및 최신기술 동향

이상일 박사(한국표준과학연구원)

10:45~10:55

10‘

휴식

10:45~11:45

60’

자외선, 대기복사의 GAW 표준 소급체계 및 유지관리

조일성 박사(강릉원주대학교)

고산 장기관측 온실가스 변동

최학림 박사(경북대학교)

온실가스 기원에 따른 이산화탄소/일산화탄소 비율 변동성 분석

김재민 연구원(충남대학교)

자외선 복사량을 이용한 코로나바이러스 비활성화 추정 연구

이윤곤 교수(충남대학교)

12:00~13:30

90‘

점심

기후변화 입체감시

13:30~15:15

105‘

선박 관측 반응가스 자료 활용 방안

이미혜 교수(고려대학교)

지상/항공기 자료를 활용한 고농도 일산화탄소 사례 기원 분석

이선란 박사(국립기상과학원)

입체관측자료를 활용한 온실가스 기원추적 시스템 개발

주상원 연구관(국립기상과학원)

기상1호에서 관측한 서해상 에어로졸 수농도 및 구름응결핵 수농도

염성수 교수(연세대학교)

서해상 항공관측 에어로졸 고농도 사례 연구

정민재 박사(국립기상과학원)

2020년 서해상 블랙카본의 입경분포와 혼합상태(항공관측)

임세희 박사(고려대학교)

지상 및 위성 자료를 활용한 메탄 장기변동 특성

Samuel 박사(국립기상과학원)

15:15~16:00

40

기후변화감시 발전 방안 토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