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청 |
보 도 자 료 |
|
보도 일시 |
2022. 8. 31.(수) 09:00 |
배포 일시 |
2022. 8. 31.(수) 09:00 |
담당 부서 |
지진화산국 |
책임자 |
과 장 |
박순천 |
(02- 2181- 0060) |
지진화산연구과 |
담당자 |
연구관 |
방소영 |
(02- 2181- 0062) |
지진·지진해일·화산의 영향 진단과 예측 기술을 논하다 |
- 기상청, 2022년 지진 연수회 개최 - |
□ 기상청(청장 유희동)은 지진·지진해일·화산과 복합재난에 따른 재해 감시와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해 8월 31일(수)부터 9월 1일(목)까지 이틀간 제주 스위트호텔에서 「2022년 지진 연수회」를 개최한다.
○ 이번 연수회에는 국내외 전문가와 관계기관 구성원 등 150여 명이 대면·비대면으로 참석하여, 국내외 지진·지진해일·화산에 따른 영향 진단 및 예측 기술 개발과 향후 정책 발전 방향 등을 논의한다.
□ 첫째 날(8. 31.)에는 국외 지진조기경보 현황을 공유하는 국외 전문가 초청 강연이 이루어지고, 국내 지진정책과 연구에 대한 발표가 진행된다.
○ 먼저, △대만국립대학교 우이민(Yih- Min Wu) 교수가 대만의 소형 지진 가속도 감지기를 이용한 대만 지진조기경보 및 진도 정보 산출 체계를 소개하고, △일본 교토대학교 마스미 야마다(Masumi Yamada) 교수가 일본 지진조기경보의 역사에 대해 발표한다.
○ 이어 △기상청과 △행정안전부의 지진 방재 정책 및 연구 공유, △제주대학교 윤석훈 교수의 제주권 지질과 지진 발생 특성에 대한 조사 결과 발표가 이루어진다.
□ 둘째 날(9. 1.)에는 지진·지진해일·화산 분야별 주제발표가 진행된다.
○ 지진 분야에서는 지진동에 따른 피해 영향 진단 및 영향 기반 정보 개선을 주제로 △일본 방재과학기술연구소(NIED) 와타루 스즈키(Wataru Suzuki) 박사의 지진재난복구 향상을 위한 일본 방재과학기술연구소 강진 자료 활용 연구 소개, △서울기술연구원 강재도 박사의 서울시 지진재해 저감 추진전략 발표 등이 이어진다.
○ 또한 △미국 해양대기청(NOAA) 바실리 티토브(Vasily Titov) 박사의 실시간 관측자료를 이용한 지진해일 범람 예측연구와 △인덕대학교 정창삼 교수의 사회·경제적 영향을 고려한 지진해일 예측 체계 개발 방안 연구 등 해안지역 영향을 고려한 지진해일 예측 기술에 관한 발표와 토의가 이루어진다.
○ 마지막으로 화산 분화로 인한 국내외 영향 예측을 주제로 △일본 방재과학기술연구소 화산연구추진센터 에이스케 후지타(Eisuke Fujita) 박사의 일본 차세대 화산연구 소개, △한국환경연구원 이명진 박사의 화산에 의한 화산재 피해 분석 연구 발표 등이 이어진다.
□ 유희동 기상청장은 “이번 연수회에서 이루어지는 사회·경제에 막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진·지진해일·화산의 영향에 대한 진단과 예측 기술에 대한 논의는, 향후 효율적인 감시와 실효성 있는 정보 생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라고 밝혔다.
□ 붙임 2022년 지진 연수회 일정표
붙임 |
2022년 지진 연수회 일정표 |
1일차 < 8. 31.(수) > |
시 간 |
주 요 내 용 |
비 고 |
||
|
||||
13:30 ~ 13:40 |
10‘ |
▪ 개회, 국민의례 및 내빈소개 |
‧ 사회자 |
|
13:40 ~ 13:50 |
10‘ |
▪ 환 영 사 ▪ 축 사 |
‧ 기상청장 ‧ 제주특별자치도 행정부지사 |
|
13:50 ~ 14:00 |
10‘ |
▪ 단체사진 촬영 |
||
|
||||
14:00 ~ 14:40 |
40‘ |
❖ Development of Earthquake Early Warning and Shakemaps System Using Low- Cost Sensors in Taiwan |
‧ Yih- Min Wu 교수 (대만국립대학교) |
|
14:40 ~ 15:20 |
40‘ |
❖ History of the Japanese earthquake early warning system - lessons learned from failures - |
‧ Masumi Yamada 교수 (일본 교토대학교) |
|
15:20 ~ 15:35 |
15‘ |
▪ 휴식 |
|
|
|
||||
15:35 ~ 16:05 |
30‘ |
❖ 지진·지진해일·화산의 관측 및 경보에 관한 기상청 전략 방향(2023- 2027) |
‧ 이희춘 연구관 |
|
16:05 ~ 16:35 |
30‘ |
❖ 국가 지진방재 R&D 로드맵 수립 및 활용방안 |
‧ 이정한 연구관 (행안부 지진방재관리과) |
|
16:35 ~ 17:05 |
30‘ |
❖ 기상청 지진조기경보 및 현장경보 운영 현황 |
‧ 서동일 연구관 (기상청 지진화산기술팀) |
|
17:05 ~ 17:35 |
30‘ |
❖ 제주권 지질과 지진 발생 특성 |
‧ 윤석훈 교수 (제주대학교) |
2일차 < 9. 1.(목) > |
시 간 |
주 요 내 용 |
비 고 |
||
|
||||
10:00 ~ 10:40 |
40‘ |
❖ NIED Strong Motion Data Utilized for Enhancing Earthquake Disaster Resilience |
‧ Wataru Suzuki (일본 방재과학기술연구소) |
|
10:40 ~ 11:10 |
30‘ |
❖ 서울시 지진재해 저감 추진전략 및 기술개발 |
‧ 강재도 박사 (서울기술연구원) |
|
11:10 ~ 11:40 |
30‘ |
❖ 대형 진동대를 활용한 지진 분야 연구 및 실험사례 |
‧ 김재봉 박사 (부산대학교) |
|
11:40 ~ 12:10 |
30‘ |
❖ 물리기반 광대역 지반운동 시뮬레이션에 기반한 남한지역 지진 지반운동 예측 |
‧ 정석호 교수 (창원대학교) |
|
12:10~13:30 |
▪ 중식 |
|||
|
||||
13:30 ~ 14:10 |
40‘ |
❖ Tsunami flooding forecast using real- time data |
‧ Vasily Titov 박사 (미국 해양대기청) |
|
14:10 ~ 14:40 |
30‘ |
❖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의 지진해일 재난관리 업무 및 연구 |
‧ 박종율 연구사 (국립재난안전연구원) |
|
14:40 ~ 15:10 |
30‘ |
❖ 통합지진해일강도 기반의 위험도 평가를 위한 지진해일 예측 기술 고도화 |
‧ 손상영 교수 (고려대학교) |
|
15:10 ~ 15:40 |
30‘ |
❖ 사회·경제적 영향을 고려한 지진해일 예측 체계 개발 방안 |
‧ 정창삼 교수 (인덕대학교) |
|
15:40 ~ 15:50 |
10‘ |
▪ 휴식 |
|
|
|
||||
15:50 ~ 16:30 |
40‘ |
❖ The next- generation volcanology research in Japan: connection between prediction and observation of volcanic eruption |
‧ Eisuke Fujita 박사 (일본 방재과학기술연구소) |
|
16:30 ~ 17:00 |
30‘ |
❖ 위성 영상 기반의 화산 분화 감시 및 영향 분석 |
‧ 이원진 연구관 (국립환경과학원) |
|
17:00 ~ 17:30 |
30‘ |
❖ 기상청 화산재 확산예측모델 현황 및 개선 계획 |
‧ 신승숙 연구관 (국립기상과학원) |
|
17:30 ~ 18:00 |
30‘ |
❖ 화산에 의한 사회경제적 영향 고려를 위한 화산재 피해 분석 연구 |
‧ 이명진 박사 (한국환경연구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