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청 |
보 도 자 료 |
|
보도 일시 |
2023. 2. 15.(수) 14:00 |
배포 일시 |
2023. 2. 15.(수) 10:00 |
담당 부서 |
지진화산국 |
책임자 |
과 장 |
이호만 |
(02- 2181- 0782) |
<총괄> |
지진화산감시과 |
담당자 |
사무관 |
함인경 |
(02- 2181- 0783) |
기상청, 「2022 지진연보」 발간 |
- 작년 지진 총 77회로 평균 이상 발생… 속보 빨라졌다 - |
☐ 기상청(청장 유희동)은 2022년 국내 발생 지진에 대한 분석자료를 수록한 「2022 지진연보」를 발간하였다.
○ 지진연보는 규모 2.0 이상 지진의 △목록 △분석 결과 △진도 분포도 △지진파형 △관측소 정보 등을 담고 있다.
○ 이번 연보에는 사람이 진동을 뚜렷이 느낄 수 있는 진도Ⅲ 이상의 주요 지진에 대한 상세분석서가 추가되었고, 괴산에서 잇따라 발생한 규모 3.5와 4.1 지진에 관한 정밀 분석 결과가 포함되었다.
☐ 2022년 한반도에서 발생한 규모 2.0 이상의 지진은 총 77회로, 지난 디지털 관측의 연평균(70.6회)보다 조금 많은 수준이었다.
○ 이는 전년(70회)에 비해 7회(10%) 증가한 것으로, 2017년 포항지진 이후 감소세가 이어지다 지난해 다소 상승하였다.
○ 지진 발생 위치에서 대다수가 지진동을 느낄 수 있는 규모 3.0 이상의 지진은 총 8회로 전년(5회)보다는 많지만, 연평균(10.5회)보다는 적었다.
연도 지진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연평균* (1999~2021) |
2022 |
규모 2.0 이상 (전년 대비 증감) |
223 (12 % ↓) |
115 (48 % ↓) |
88 (23 % ↓) |
68 (23 % ↓) |
70 (3 % ↑) |
70.6 |
77 (10 % ↑) |
규모 3.0 이상 |
19 |
5 |
14 |
5 |
5 |
10.5 |
8 |
* 연평균: 현재와 같은 디지털 지진계가 도입된 1999년부터 관측된 지진 발생 횟수의 평균
□ 남한지역별 규모 2.0 이상의 지진은 경북 7회, 충북 5회, 충남 4회, 나머지 지역에서는 2회 이하로 관측되었다.
○ 경북 지역에서 경주지진과 포항지진의 여진은 줄었으나, 영덕과 상주 등 다른 지역에서 지진 발생이 늘었다. 충북 지역은 괴산지진과 그 여진으로 예년보다 많았다.
○ 지진계에서만 감지되는 규모 2.0 미만의 작은 지진은 대구‧경북 182회, 대전‧충남‧세종 66회, 충북 52회, 광주‧전남 31회, 전북 23회, 부산‧울산‧경남 22회, 서울‧경기‧인천 17회 순으로 발생하였다.
☐ 2022년 최대규모 지진은 10월 29일 8시 27분경 충북 괴산 지역에서 발생한 규모 4.1 지진이며, 본진이 발생하기 16초 전에 규모 3.5의 전진이 일어난 이례적 사례였다.
○ 해당 지진은 계기 관측 이래 38번째로 큰 규모로 2017년 포항지진 이후 내륙에서 발생한 가장 큰 지진이며, 지진동이 충북(진도Ⅴ)과 경북(진도Ⅳ)뿐 아니라 강원‧경기‧대전(진도Ⅲ)까지 전달되었다.
○ 지진재난문자는 관측 후 13초 만에 충북, 경북, 대전 등에 속보로 전송되었고, 지금까지 20~40초의 지진속보 시간이 앞당겨졌다.
○ 규모 4.1의 괴산지진은 3회의 전진(최대규모 3.5)과 28회의 여진(최대규모 2.9)이 20여 일 동안 이어졌으며, 대부분(82% 이상)의 여진은 본진 발생 후 4일 이내에 발생하였다.
○ 정밀분석 결과, 지진은 동남동- 서북서 방향의 단층(길이 약 1 km, 너비 약 0.5 km)에서 수평 움직임에 의해 발생하였고, 발생 깊이는 약 12~15 km로 분석되었다.
□ 「2022 지진연보」는 책자와 파일(PDF)로 제작되었으며 기상청 누리집*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기상청 누리집(www.kma.go.kr)의 기상행정 누리집> 자료실> 기상간행물
□ 유희동 기상청장은 “괴산지진은 우리나라 어느 곳에나 피해지진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사례로, 항상 지진에 대한 철저한 대비가 필요합니다.”라며, “오늘의 기록이 지진방재와 학술연구 등의 발전에 밑거름이 되어, 다음 세대를 위한 보살핌이 되기를 희망합니다.”라고 밝혔다.
담당 부서 |
지진화산국 |
책임자 |
과 장 |
이호만 |
(02- 2181- 0782) |
<총괄> |
지진화산감시과 |
담당자 |
사무관 |
함인경 |
(02- 2181- 0783) |
<공동> |
지진화산국 |
책임자 |
과 장 |
박순천 |
(02- 2181- 0060) |
지진화산연구과 |
담당자 |
연구관 |
조은영 |
(02- 2181- 0063) |
붙임 |
국내 지진 발생 현황 |
□ 2022년 지진 발생 현황
○ 총 발생 횟수 : 77회(규모 2.0 이상)
구 분 |
2.0≤ML<3.0 |
3.0≤ML<4.0 |
4.0≤ML<5.0 |
ML≥5.0 |
계 |
전체 |
69 |
7 |
1 |
0 |
77 |
○ 지역별 지진 발생 횟수
지역 구분 |
지역(41회) |
해역(36회) |
합계 |
||||||||||||
서울 경기 인천 |
강원 |
대구 경북 |
대전 충남 세종 |
충북 |
광주 전남 |
전북 |
부산 울산 경남 |
제주 |
북한 |
서해 |
남해 |
동해 |
|||
규모 2.0 이상 |
1 |
0 |
7 |
4 |
5 |
2 |
0 |
2 |
0 |
20 |
13 |
12 |
11 |
77 |
|
규모 2.0 미만 |
17 |
29 |
182 |
66 |
52 |
31 |
23 |
22 |
1 |
34 |
98 |
35 |
118 |
708 |
|
디지털 관측 평균 (’99~’21년) (규모 2.0 이상) |
1.0 |
1.4 |
20.1 |
2.6 |
1.3 |
1.6 |
1.4 |
2.3 |
0.2 |
9.4 |
13.1 |
6.8 |
9.4 |
70.6 |
|
|
[그림 1] 2022년 지진 발생 분포도(왼쪽: 규모 2.0 이상, 오른쪽: 규모 2.0 미만) |
□ 기상청 계기 관측 기간(1978~2022년) 지진 발생 현황
구 분 |
관측 기간별 연평균 지진 발생 횟수 |
2022년 발생 횟수 |
||
아날로그 관측 ('78~'98년) |
디지털 관측* ('99~'21년) |
계기 관측 ('78~'21년) |
||
규모 2.0 이상 |
19.1 |
70.6 |
46.0 |
77 |
규모 3.0 이상 |
8.8 |
10.5 |
9.7 |
8 |
체감지진 |
5.9 |
16.6 |
11.5 |
13 |
□ 2022년 충북 괴산 지진 발생 특성
2022.10 11 M4.1 M2.9 M1.7 |
[그림 4] 본진 이후 1개월간 일별 지진 발생 현황 및 규모(`22.10.29. ~ `22.11.28) |
|
|
[그림 5] 괴산지진 정밀진원분석결과(위: 진앙분포도, 아래: 단층면 수직단면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