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청

보도자료

 

보도시점

2023. 10. 23.(월) 12:00

배포

2023. 10. 23.(월) 10:00


지진관측 역사의 산실 '지진계실', 새롭게 단장하다

-  국립기상박물관 개관 3주년 기념, 지진계실 새 단장

-  지진계실은 90년 전 경성측후소 지진계실 원형을 확인할 수 있는 유일한 장소



  기상청(청장 유희동) 국립기상박물관은 개관 3주년(10.30.)을 기념하여, 1932년 당시의 경성측후소 지진계실 원형을 확인할 수 있는 상설전시실을 새롭게 단장해 10월 31일(화)부터 관람객에게 전격 공개한다.


‘지진계실’은 1932년 경성측후소 지진계실 하부구조를 확인할 수 있는국내 유일한 장소이다. 경성측후소가 민감한 지진관측을 위해 안정된 지반을 갖춘 송월동으로 이전하는 데 큰 역할을 한 장소로, 서울에서 지진관측이 본격화된 역사의 기록임과 동시에 근대 역사의 현장으로서의 가치를 지니고 있다.


전시실에서는 지진계실 공간 구성과 당시 사용했던 오모리식·비헤르트지진계 관측장비를 현장감 있게 관람할 수 있으며, 10월 31일(화)부터 11월5일(일)까지 연계 프로그램인 유물 수집 안내서와 특별전시해설도 제공된다. 자세한 내용은 국립기상박물관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국립기상박물관은 서울시민대학과 공동으로 국가 주요 소장 문화재인 ‘측우기’에 대한 전문가 특강과 체험 강연을 각각 10월 24일(화), 10월 26일(목) 2회에 걸쳐 개최한다. 1837년에 만들어진 국보 ‘공주 충청감영 측우기’는 현존하는 유일한 측우기로, 겉면에 새겨진 규격이 <세종실록(1442년)>의 기록과 일치하고 있어, 측우기 발명과 전국적인 우량관측망을 구축하여 국가 운영에 활용하게 한 측우제도를 증명해 주는 유물이다.


유희동 기상청장은 “개관 3주년을 맞은 국립기상박물관이 삼국시대부터최첨단 현대기상까지 이어지는 우리나라 기상 역사의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여, 기상과학문화 확산에 이바지하는 문화공간으로 발전하기를 기대합니다.”라고 밝혔다.


국립기상박물관은 우리나라 기상 역사의 전통성을 보존·계승하고, 우수한기상과학 기술에 대한 국민 자긍심 고취를 목적으로 전시 관람과 체험교육을 상시 운영하고 있다. 서울시 종로구에 위치하며, 국보 2점과 보물 1점을 포함한 80여 점의 기상유물을 전시 중이다.


붙임  1. 지진계실 전시 사진

2. 지진관측 장비(모형)

3. 전문가 및 체험 강연 일정




담당 부서

기상서비스진흥국

책임자

과  장 

김정희

(042- 481- 7460)

기상서비스정책과

담당자

사무관

김은영

(070- 7850- 8483)


 
 
     

붙임1

지진계실 전시 사진

 
 

전시실 내부 원형(청우계대)

전시실 내부 원형(지진계대)

 
 

청우계대

지진계대

암실

전시실 내부 전경(암실)


「조선과 건축」, 1932년 경성측후소 평면도,

1932년 12월,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① 청우계대(現수은기압계) 

② 지진계대(오모리식간단미동계/비헤르트지진계)

③ 암실(일조량 관측에 필요한 기록지의 감광액 도포 작업을 위해 빛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 곳)




붙임2

지진관측 장비(모형)

 
 

오모리식 간단미동계(복제품)

비헤르트지진계(복제품)



붙임3

전문가 및 체험 강연 일정

○ 주제: 측우기, 국보가 되다

○ 강연자: 김문식(단국대 사학과 교수), 서유원(교육강사)

○ 일시/장소

-  (1차)‘23. 10. 24.(화) 13:30~15:30/서울시민대학 시민홀

-  (2차)23. 10. 26.(목) 13:30~15:30/서울시민대학 시민홀 및 국립기상박물관


횟수

제목

시간

담 당

1차

(10.24.)

[강연] 조선시대 측우기와 측우대 현황

120분

김문식 교수

2차

(10.26.)

[체험] 측우기 입체 모형 만들기

120분

서유원 교육강사

[관람] 국보 ‘공주 충청감영 측우기’ 전시해설

박물관 전시해설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