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청 |
보도자료 |
|
보도시점 |
2023.11.30.(목) 07:00 |
배포 |
2023.11.30.(목) 07:00 |
경북 경주에서 규모 4.0 지진 발생 |
- 2023년도 한반도 내륙에서 발생한 최대규모 지진 - |
☐ 지진발생 현황
○ 발생시각: 2023년 11월 30일 04시 55분 24초
○ 발생위치: 경북 경주시 동남동쪽 19km 지역(35.79°N, 129.42°E)
○ 규모 / 발생깊이: 4.0(ML) / 12km
○ 계기진도: 최대진도 Ⅴ(경북), Ⅳ(울산), Ⅲ(경남, 부산)
※ 유감신고 현황(11월 30일 06:24 기준): 93건(부산6, 대구8, 울산34, 경남1, 경북42, 충남1, 전북1)
※ 여진 발생 현황(11월 30일 06:30 기준): 총 6회(최대규모 1.5ML)
☐ 지진 통보 현황
○ 지진속보: 2023년 11월 30일 04시 55분 31초(최초관측 후 5초, 추정규모 4.3ML)
※ 지진속보(지역발생 규모 3.5 이상)는 지진조기경보시스템에 의해 자동으로 발표
※ 지진발생 2초 후 경주시 양북 지진관측소에서 최초 관측(04시 55분 26초)
○ 지진재난문자(긴급재난문자): 2023년 11월 30일 04시 55분 32초
※ 지진속보의 추정규모와 위치를 기반으로 전국에 송출되었음
○ 지진정보: 2023년 11월 30일 05시 00분(규모 4.0ML)
※ 지진정보는 위 지진속보를 지진분석사가 수동으로 분석한 정보임
○ 지진재난문자(추가안전안내문자): 2023년 11월 30일 05시 07분 08초
※ 대상지역: 지진정보의 규모와 위치를 기반으로 전국으로 송출되었음
※ 송출내용: [기상청] 11월 30일 04:55 경북 경주 지역에서 발생한 규모 4.3 지진은 상세 분석을 통해 규모 4.0으로 조정됨
※ 지진 재난문자 방송 추가 송출기준 변경(2023.9.4.) 이후 처음 발송됨
○ 이번 지진은 2023년도 한반도 발생 지역지진 규모 1위에 해당하며, 계기관측(1978년) 이후, 이번 지진의 진앙 50km 이내에서 규모 순위 8위에 해당함
※ 9.12 지진(2016년) 발생 위치로부터 동쪽으로 21km 떨어진 위치에서 발생함
□ 지진발생 위치 및 진도 상세정보
|
|
< 발생 위치 > |
< 진도 상세정보 > |
등급 |
진도 등급별 현상 |
Ⅴ |
거의 모든 사람이 진동을 느끼고, 그릇, 창문 등이 깨지기도 하며, 불안정한 물체는 넘어짐 |
Ⅳ |
실내에서 많은 사람이 느끼고, 밤에는 잠에서 깨기도 하며, 그릇과 창문 등이 흔들림 |
Ⅲ |
실내, 특히 건물 위층에 있는 사람이 현저하게 느끼며, 정지하고 있는 차가 약간 흔들림 |
☐ 지진관측 현황
○ 최초 지진파 관측지점: 경주시 양북 관측소(YGBA), 관측시각 : 04시 55분 26초
|
|
[지진정보 분석에 사용된 관측소] |
[이번 지진의 발생위치로부터 거리에 따른 지진파의 전파 양상] |
☐ 단층운동 초기 분석결과
○ 이번 지진은 남- 북 또는 동- 서 방향의 주향이동단층 운동으로 분석됨
- 단층운동 분석에 따른 모멘트 규모(Mw)는 3.6으로 분석됨
※ 모멘트 규모(Mw): 지진을 발생시킨 단층의 움직임을 해석하여 계산한 규모
< 표 1. 지진발생 정보 및 단층운동 분석 결과 >
연/월/일 |
발생시각 (시:분:초) |
위도 (°N) |
경도 (°E) |
규모 (Mw) |
주향(°)/경사(°) /이동방향(°) |
발생위치 |
2023/11/30 |
04:55:24 |
35.79 |
129.42 |
3.6 |
183/85/- 172 (92)/(82)/(- 5) |
경북 경주시 동남동쪽 19km 지역 |
|
|
|
☐ 지진 발생통계(1978~현재, 이번 지진의 진앙반경 50km 이내)
(2023. 11. 30. 06:30 기준 지진 발생 현황)
규모 |
2.0≤ML<3.0 |
3.0≤ML<4.0 |
4.0≤ML<5.0 |
5.0≤ML<6.0 |
합계 |
횟수 |
365 |
45 |
5 |
3 |
418 |
※ 이번 지진 이전의 최대 규모 지진 : 2016년 9월 12일 규모 5.8 (ML)
※ 최근 발생 지진 : 2022년 12월 3일 규모 2.9 (ML)
☐ 여진 발생현황(11월 30일 06시 30분 기준)
번호 |
발생시각 |
규모 (ML) |
깊이 (km) |
최대 진도 |
위도 (°N) |
경도 (°E) |
위치 |
1 |
2023- 11- 30 06:04:21 |
1.0 |
8 |
Ⅰ |
35.80 |
129.41 |
경북 경주시 동남동쪽 18km 지역 |
2 |
2023- 11- 30 05:17:43 |
1.2 |
11 |
Ⅰ |
35.79 |
129.41 |
경북 경주시 동남동쪽 18km 지역 |
3 |
2023- 11- 30 05:11:57 |
0.9 |
9 |
Ⅰ |
35.79 |
129.41 |
경북 경주시 동남동쪽 18km 지역 |
4 |
2023- 11- 30 05:03:36 |
0.8 |
11 |
Ⅰ |
35.78 |
129.42 |
경북 경주시 동남동쪽 20km 지역 |
5 |
2023- 11- 30 05:00:50 |
1.5 |
12 |
Ⅰ |
35.79 |
129.41 |
경북 경주시 동남동쪽 18km 지역 |
6 |
2023- 11- 30 04:59:50 |
1.3 |
10 |
Ⅰ |
35.79 |
129.41 |
경북 경주시 동남동쪽 18km 지역 |
담당 부서 |
지진화산국 |
책임자 |
과 장 |
이호만 |
(02- 2181- 0782) |
지진화산감시과 |
담당자 |
사무관 |
함인경 |
(02- 2181- 0783) |
|
<공동> |
지진화산국 |
책임자 |
과 장 |
박순천 |
(02- 2181- 0060) |
지진화산연구과 |
담당자 |
사무관 |
조은영 |
(02- 2181- 006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