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청 |
보도자료 |
|
보도시점 |
2024. 5. 26.(일) 09:00 |
배포 |
2024. 5. 24.(금) 17:00 |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 대응 협의회(K- IPCC) 발족, 제7차 평가주기 대응 역량 강화한다 |
- 제7차 평가주기에 활동할 민간, 젊은 과학자 양성 등 범정부 제도 마련 모색 - |
기상청(청장 유희동)은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 대응 협의회(K- IPCC)’를 발족하고, 5월 24일(금) 오후 2시 서울 엘(L)타워에서 기념 토론회를 개최하였다.
*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토론회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 대응 협의회(K- IPCC, 이하 협의회) 구성을 기념하고,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에 대한 민간 전문가의 참여 독려 및 젊은 인재 양성 방안을 논의하기 위하여 마련되었다. 참석자는 유희동 기상청장, 김상협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공동위원장, 이회성 무탄소 에너지 특임대사(전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 의장), 배재수 국립산림과학원장, 이상협 국가녹색기술연구소장, 김현제 에너지경제연구원장 등으로, 기후변화 국제협력 분야의 정부 관계자와 민간 전문가들이 참여하였다.
협의회는「기후·기후변화 감시 및 예측 등에 관한 법률(’23.10. 제정)」에 의거,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의 국내 대응 역량을 강화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기상청은 협의회에 기후변화과학(제1실무그룹, WGⅠ), 기후변화 영향·적응·취약성(제2실무그룹, WGⅡ), 기후변화 완화(제3실무그룹, WGⅢ), 온실가스 인벤토리(TFI)의 총 4개 분야 전문위원회별로 활동을 주도할 주관기관*을 지정하고, 전문위원회당 20명 내외, 총 93명의 민·관 전문가를 전문위원으로 위촉하였다.
* 제1실무그룹: 국립기상과학원, 제2실무그룹: 국립환경과학원, 한국환경연구원, 제3실무그룹: 국가녹색기술연구소, 에너지경제연구원, 온실가스 인벤토리: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국립산림과학원
특히 이번 협의회는 전문위원회 간의 칸막이를 허물고 충실한 연계·협력을 구현하기 위하여 총괄위원회를 신설하였다. 또한 제6차 평가주기와는 달리, 기후변화 예측, 전 지구적 적응 목표(GGA*), 단기체류기후변화원인물질 부문의 전문가 충원, 국제활동 전문가와 젊은 과학자의 조화 등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 제7차 평가주기(AR7**)의 계획 및 전략에 맞춰 구성하였다.
* Global Goal on Adaptation
** Seventh Assessment Report
위촉된 전문위원들은 도시 특별보고서(27년 예정), 단기체류기후변화원인물질 방법론 보고서(27년 예정)를 비롯해 제7차 평가주기에 발간 예정인 보고서를 검토하여 국내 연구 결과를 적극 반영하고,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 활동에 민간 및 젊은 과학자들의 참여 증진 방안을 강구할 계획이다.
유희동 기상청장은 “기상청은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의 주관부처로서 기후변화과학 분야 국내 전문가의 지속적인 국제활동을 지원하고, 민간 및 젊은 과학자의 역량을 배양하는 범정부적 정책과 제도 수립을 주도하겠습니다.”라면서, “지난 10월 제정된 「기후·기후변화 감시 및 예측 등에 관한 법률」 등 강화된 법적 기반을 근거로 관계부처 및 전문가와의 협력을 도모하여 과학정보의 기반을 다지고, 장기적으로는 국제사회의 탄소중립 대응을 위한 충실한 이행 전략을 구축하겠습니다.”라고 말했다.
붙임 1. 토론회 상세 일정
2. 협의회 전문위원회 구성 개요 및 총괄위원 명단
3. 토론회 사진
담당 부서 |
기후과학국 |
책임자 |
과 장 |
원재광 |
(042- 481- 7381) |
기후정책과 |
담당자 |
사무관 |
오예원 |
(042- 481- 7385) |
붙임 1 |
토론회 상세 일정 |
□ 회의 개요
○ 행사명(안): K- IPCC(IPCC 국내 대응 협의회) 구성 기념 포럼
○ 일시/장소: ’24. 5. 24.(금) 14:00 / 서울 L타워 엘하우스홀
○ 주최/주관: 기상청/기후경제에너지연구소
○ 세부일정
시간 |
내용 |
비고 |
14:00 ∼ 14:10 |
‣ 개회식 |
사회: 전문 사회자 |
14:10 ∼ 14:30 |
‣ 환영사 및 축사 - 개회사: 유희동 기상청장 - 축 사: 이회성 무탄소 에너지 특임대사 - 축 사: 김상협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공동위원장 |
|
14:30 ∼ 15:00 |
‣ K- IPCC 전문위원 위촉식 및 사진 촬영 |
주관기관 장(지정패) 실무그룹별 전문위원장 및 주관기관 담당자(위촉장) 등 총 18명 |
15:00 ∼ 15:30 |
‣ 주제 발표 - IPCC 동향 및 기상청 정책 방향(기상청) |
발표 20분 Q&A 10분 |
15:30 ∼ 15:45 |
휴식 및 장내 정리 |
|
15:45 ∼ 16:50 |
[ 패널토론 ] 주제: IPCC AR7 국내 대응 방향, 국내 IPCC 전문인력 양성 및 전문가 지원 방안 등 |
|
‣ 좌장: 전의찬 교수(세종대학교) ‣ 패널: (WGⅠ) 국립기상과학원 변영화 팀장 (WGⅢ) 이상협 국가녹색기술연구소장, 김현제 에너지경제연구원장 |
각 5분 발표 및 Q&A(30분) |
|
16:50 ∼ 17:00 |
‣폐회 |
사회자 |
붙임 2 |
협의회 전문위원회 구성 개요 및 총괄위원 명단 |
□ 협의회 개요
IPCC 국내 대응 협의회(K- IPCC) |
기상청 |
||||||||||||||
원재광 |
|||||||||||||||
전문위원장 |
전문위원장 |
전문위원장 |
전문위원장 |
총괄 위원회 |
|||||||||||
민승기 |
정태성 |
안영환 |
전의찬 |
||||||||||||
주관기관 담당자 |
주관기관 담당자 |
주관기관 담당자 |
주관기관 담당자 |
||||||||||||
변영화 |
진형아 홍제우 |
오채운 이수민 |
최형욱 김래현 |
||||||||||||
WGI 국립기상 과학원 |
WGII 국립환경 과학원, 한국환경 연구원 |
WGIII 국가녹색 기술연구소, 에너지경제연구원 |
TFI 온실가스 종합정보센터, 국립산림 과학원 |
||||||||||||
전문 위원회 |
|||||||||||||||
□ 실무그룹별 총괄위원회
○ 기상청과 실무그룹별 전문위원장 및 주관기관 담당자, 그 외 전문위원장이 추천하는 전문가로, 총 10명 내외로 구성하며 총괄위원장은 대응 협의회 위원장(기후과학국장)이 지명
○ 총괄위원 명단(총 12명)
번호 |
이름 |
소속 |
전문위원회 소속, 직위 |
비고 |
1 |
전의찬 |
세종대 |
TFI 전문위원장 |
총괄위원장 |
2 |
원재광 |
기상청 |
대응 협의회 위원 |
총괄위원 |
3 |
민승기 |
포항공대 |
WGⅠ 전문위원장 |
〃 |
4 |
변영화 |
국립기상과학원 |
WGⅠ 주관기관 담당자 |
〃 |
5 |
정태성 |
국립재난안전연구원 |
WGⅡ 전문위원장 |
〃 |
6 |
진형아 |
국립환경과학원 |
WGⅡ 주관기관 담당자 |
〃 |
7 |
홍제우 |
한국환경연구원 |
WGⅡ 주관기관 담당자 |
〃 |
8 |
안영환 |
숙명여대 |
WGⅢ 전문위원장 |
〃 |
9 |
오채운 |
국가녹색기술연구소 |
WGⅢ 주관기관 담당자 |
〃 |
10 |
이수민 |
에너지경제연구원 |
WGⅢ 주관기관 담당자 |
〃 |
11 |
최형욱 |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
TFI 주관기관 담당자 |
〃 |
12 |
김래현 |
국립산림과학원 |
TFI 주관기관 담당자 |
〃 |
붙임 3 |
토론회 사진 |
|
| 유희동 기상청장 개회사 | |
|
| 전문위원 위촉식 기념 사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