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청 |
보도자료 |
|
보도시점 |
2024.6.12.(수) 10:00 |
배포 |
2024.6.12.(수) 10:00 |
전북 부안에서 규모 4.8 지진 발생 |
- 올해 한반도에서 발생한 최대규모 지진 - |
☐ 지진발생 현황
○ 발생시각: 2024년 6월 12일 08시 26분 49초
○ 발생위치: 전북 부안군 남남서쪽 4km 지역(35.70°N, 126.72°E)
○ 규모 / 발생깊이: 4.8(ML) / 8km
○ 계기진도: 최대진도 Ⅴ(전북), Ⅳ(전남), Ⅲ(경남, 경북, 광주, 대전, 세종, 인천, 충남, 충북)
※ 유감신고 현황(6월 12일 09:00 기준): 전국 198건(전북62, 충남27, 충북27, 광주14 등)
※ 전진 발생 현황: 1회(규모 0.5ML, 07:58:32)
※ 여진 발생 현황(6월 12일 09:50 기준): 총 11회(최대규모 1.5ML, 09:12:18)
☐ 지진 통보 현황
○ 지진속보: 2024년 6월 12일 08시 27분(최초관측 후 9초, 추정규모 4.7ML)
※ 지진속보(지역발생 규모 3.5 이상)는 지진조기경보시스템에 의해 자동으로 발표
※ 지진발생 2초 후 부안군 부안 지진관측소에서 최초 관측(08시 26분 51초)
○ 지진재난문자(긴급재난문자): 2024년 6월 12일 08시 27분 01초
※ 지진속보의 추정규모와 위치를 기반으로 전국에 송출되었음
○ 지진정보: 2024년 6월 12일 08시 32분(규모 4.8ML)
※ 지진정보는 위 지진속보를 지진분석사가 수동으로 분석한 정보임
○ 지진재난문자(추가안전안내문자): 2024년 6월 12일 08시 35분 54초
※ 대상지역: 지진정보의 규모와 위치를 기반으로 전국으로 송출되었음
※ 송출내용: 2024- 06- 12 08:26 부안군 지역에서 발생한 M4.7 지진은 상세분석을 통해 M4.8로 조정됨 Earthquake[기상청]
○ 이번 지진은 올해 한반도 발생 지진 규모 1위
※ 계기관측(1978년) 이후, 이번 지진의 진앙 50km 이내에서 규모 순위 1위에 해당함
□ 지진발생 위치 및 진도 상세정보
|
|
< 발생 위치 > |
< 진도 상세정보 > |
등급 |
진도 등급별 현상 |
Ⅴ |
거의 모든 사람이 진동을 느끼고, 그릇, 창문 등이 깨지기도 하며, 불안정한 물체는 넘어짐 |
Ⅳ |
실내에서 많은 사람이 느끼고, 밤에는 잠에서 깨기도 하며, 그릇과 창문 등이 흔들림 |
Ⅲ |
실내, 특히 건물 위층에 있는 사람이 현저하게 느끼며, 정지하고 있는 차가 약간 흔들림 |
☐ 지진관측 현황
○ 최초 지진파 관측지점: 부안군 부안 관측소(PUAA), 관측시각 : 08시 26분 51초
|
|
[지진정보 분석에 사용된 관측소] |
[이번 지진의 발생위치로부터 거리에 따른 지진파의 전파 양상] |
☐ 단층운동 분석결과
○ 이번 지진은 북동- 남서 또는 남동- 북서 방향의 주향이동단층 운동으로 분석됨
- 단층운동 분석에 따른 모멘트 규모(Mw)는 4.2로 분석됨
※ 모멘트 규모(Mw): 지진을 발생시킨 단층의 움직임을 해석하여 계산한 규모
< 표 1. 지진발생 정보 및 단층운동 분석 결과 >
연/월/일 |
발생시각 (시:분:초) |
위도 (°N) |
경도 (°E) |
규모 (Mw) |
주향(°)/경사(°) /이동방향(°) |
발생위치 |
2024/6/12 |
08:26:49 |
35.70 |
126.72 |
4.2 |
127/77/- 19 (221)/(71)/(- 166) |
전북 부안군 남남서쪽 4km |
|
|
|
☐ 지진 발생통계(1978~현재, 이번 지진의 진앙반경 50km 이내)
(2024. 6. 12. 기준 지진 발생 현황)
규모 |
2.0≤ML<3.0 |
3.0≤ML<4.0 |
4.0≤ML<5.0 |
5.0≤ML<6.0 |
합계 |
횟수 |
30 |
9 |
1 |
0 |
40 |
※ 이번 지진 이전의 최대 규모 지진 : 2015년 12월 22일 규모 3.9 (ML)
※ 최근 발생 지진 : 2024년 2월 3일 규모 2.0 (ML)
☐ 여진 발생현황(6월 12일 09시 50분 기준)
번호 |
발생시각 |
규모 (ML) |
깊이 (km) |
최대 진도 |
위도 (°N) |
경도 (°E) |
위치 |
1 |
2024- 06- 12 09:23:50 |
0.9 |
7 |
Ⅰ |
35.70 |
126.72 |
전북 부안군 남남서쪽 4km 지역 |
2 |
2024- 06- 12 09:12:18 |
1.5 |
7 |
Ⅰ |
35.70 |
126.72 |
전북 부안군 남남서쪽 4km 지역 |
3 |
2024- 06- 12 08:56:12 |
1.3 |
7 |
Ⅰ |
35.70 |
126.72 |
전북 부안군 남남서쪽 4km 지역 |
4 |
2024- 06- 12 08:54:30 |
0.7 |
6 |
Ⅰ |
35.69 |
126.72 |
전북 부안군 남남서쪽 5km 지역 |
5 |
2024- 06- 12 08:53:12 |
1.0 |
7 |
Ⅰ |
35.70 |
126.72 |
전북 부안군 남남서쪽 4km 지역 |
6 |
2024- 06- 12 08:50:16 |
0.9 |
7 |
Ⅰ |
35.70 |
126.72 |
전북 부안군 남남서쪽 4km 지역 |
7 |
2024- 06- 12 08:42:10 |
1.5 |
9 |
Ⅰ |
35.70 |
126.72 |
전북 부안군 남남서쪽 4km 지역 |
8 |
2024- 06- 12 08:40:36 |
0.6 |
8 |
Ⅰ |
35.70 |
126.72 |
전북 부안군 남남서쪽 4km 지역 |
9 |
2024- 06- 12 08:39:49 |
0.9 |
7 |
Ⅰ |
35.70 |
126.72 |
전북 부안군 남남서쪽 4km 지역 |
10 |
2024- 06- 12 08:34:23 |
0.8 |
6 |
Ⅰ |
35.70 |
126.72 |
전북 부안군 남남서쪽 4km 지역 |
11 |
2024- 06- 12 08:32:16 |
1.3 |
8 |
Ⅰ |
35.70 |
126.73 |
전북 부안군 남쪽 4km 지역 |
담당 부서 |
지진화산국 |
책임자 |
과 장 |
이호만 |
(02- 2181- 0782) |
지진화산감시과 |
담당자 |
사무관 |
함인경 |
(02- 2181- 0783) |
|
<공동> |
지진화산국 |
책임자 |
과 장 |
박순천 |
(02- 2181- 0060) |
지진화산연구과 |
담당자 |
사무관 |
조은영 |
(02- 2181- 006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