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청 |
보도자료 |
|
보도시점 |
2024. 7. 1.(월) 16:00 |
배포 |
2024. 7. 1.(월) 10:00 |
기후변화 감시‧예측을 위해 관계부처 힘 모은다! |
- 기상청,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기후변화 감시·예측 포럼’ 개최 -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와 공동 주관으로 관계부처 협력 도모 |
기상청(청장 장동언)과 대통령 직속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공동위원장: 한덕수 국무총리, 김상협 카이스트 부총장)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기후변화 감시·예측 포럼’을 7월 1일(월) 오후 2시, 오노마 호텔 대전에서 개최하였다.
이번 공개 토론회(포럼)는 「기후·기후변화 감시 및 예측 등에 관한 법률」(이하 기후변화감시예측법)이 오는 10월에 시행되고 「기후·기후변화 감시 및 예측 등에 관한 기본계획(’25~‘29)」(이하 기본계획)을 수립해야 함에 따라, 부처별 기후·기후변화 감시 및 예측 전략 공유와 부처 공동의 지향점 모색 및 협력 방안 도모를 위해 마련되었다.
장동언 기상청장의 개회사로 시작된 토론회는 임이자 국회의원과 김소희 국회의원의 축사에 이어, 김형준 한국과학기술원(카이스트) 교수의‘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포괄적 전략 프레임워크’를 주제로 한 기조 강연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이어지는 시간에는 8개 부처*의 기후·기후변화 감시 및 예측 전략 발표를 통해 각 부처가 어떻게 기후위기 대응을 할 것인지 계획을 소개하였다. 기본계획의 수립을 주관하는 기상청은 전략과 함께 실효적인 국가 기후·기후변화 감시 및 예측 체계의 정립을 위한 부처 간 협력의 지향점을 제시하였다.
* 주관: 기상청, 참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농림축산식품부, 환경부, 해양수산부, 농촌진흥청, 산림청, 질병관리청
마지막 순서로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감시·예측의 나아갈 방향’을 주제로 참석자 토론이 진행되었다. 전의찬 세종대학교 기후변화특성화대학원 교수의 진행으로 이어진 토론에서 각계의 전문가들은 정부 차원의 감시·예측의 통합체계 구축을 통해 효과적인 기후위기 대응 및 탄소중립 지향의 국가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부처별 정보의 공유 및 대국민 활용 편의성 증진의 필요성 등을 논의하였다. 또한, 인공지능(AI) 기술 등을 활용한 최신 지구시스템 모형화(모델링) 등 국제적 수준의 기후‧기후변화의 과학기술 및 기반 시설 구축 전략 등을 제시하였다.
장동언 기상청장은 “기후변화가 점점 심해지고 복잡하며 어려워지고 있는 만큼, 기상청은 기후위기 감시 및 예측에 관한 업무를 총괄·지원하는 기관으로서 기후변화감시예측법에 따라 관계부처 합동의 기본계획 수립을 추진 중입니다.”라면서, “이번 토론회를 기점으로, 앞으로 기후위기가 해결되는 날까지 각 부처가 동주공제(同舟共濟)하는 자리가 계속 이어졌으면 합니다.”라고 전했다.
붙임 1.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기후변화 감시·예측 포럼」 개요
2.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기후변화 감시·예측 포럼」 포스터
3. 행사 사진
담당 부서 |
기후과학국 |
책임자 |
과 장 |
원재광 |
(042- 481- 7381) |
기후정책과 |
담당자 |
사무관 |
박준영 |
(042- 481- 7441) |
|
<공동> |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
책임자 |
팀 장 |
양명철 |
(044- 200- 1940) |
포용전환국 |
담당자 |
연구관 |
유영숙 |
(044- 200- 1978) |
붙임 1 |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기후변화 감시·예측 포럼」 개요 |
□ 개요
○ (제목)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기후변화 감시·예측 포럼
○ (주요내용) 관계부처 전략 발표와 토론을 통한 기후·기후변화 감시 및 예측 기본계획 수립 논의
○ (일시/장소) ’24.7.1.(월) 14:00~17:00/ 호텔 오노마(대전시 유성구)
○ (주최/주관) 기상청 /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 세부일정
시 간 |
내 용 |
비 고 |
||
세션1 : 개막행사 |
||||
14:00 ∼ 14:20 |
’20 |
‣ 개회사 및 축사 - 개회사: 장동언 기상청장 - 축 사: 임이자 국회의원(영상) - 축 사: 김소희 국회의원(영상) |
진행: 기상청 |
|
14:20 ∼ 14:40 |
’20 |
[ 기조강연 ]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포괄적 전략 프레임워크(지구물리- 인간사회 시스템 상호작용의 이해) - 김형준 교수(KAIST 문술미래전략대학원) |
||
14:40 ∼ 14:50 |
’10 |
‣ 사진 촬영 |
||
세션2 : 주제발표 |
||||
14:50 ∼ 15:50 |
’60 |
[ 주제발표 ] 부처별 기후변화 감시‧예측 전략 - 기상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농림축산식품부, 환경부, 해양수산부, 농촌진흥청, 산림청, 질병관리청 |
부처별 발표 5분 내외 |
|
15:50 ∼ 16:00 |
’10 |
Coffee Break |
||
세션3 : 패널토론 |
||||
16:00 ∼ 16:50 |
’50 |
[ 패널토론 ]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감시‧예측의 나아갈 방향 - 좌장: 전의찬 교수(세종대학교) - 패널: 남재철 객원교수(서울대학교) 양명철 팀장(탄녹위 기후변화적응팀장) 이영혜 박사(한국과학기술연구원 청정대기센터) 함유근 교수(서울대학교) 이문숙 센터장(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정책연구센터) 김진미 소장(기후경제에너지연구소) |
||
16:50 ∼ 17:00 |
’10 |
‣폐회 |
붙임 2 |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기후변화 감시·예측 포럼」 포스터 |
|
붙임 3 |
행사 사진 |
추후 별도 송부 예정 |
【 기념사진 】 |
추후 별도 송부 예정 |
【 개회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