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청 |
보도자료 |
|
보도시점 |
2024. 12. 26.(목) 11:00 |
배포 |
2024. 12. 26.(목) 09:00 |
뜨거워지는 우리 바다, 21세기 말 해양기후 급격히 변한다 |
- 탄소 감축 없다면 해역별 해수면온도 3.9~4.5 ℃, 해수면높이 55~58 cm 상승 전망 - 고수온이 5일 이상 지속되는 해양열파 발생일수는 288~299일 더 증가 |
□ 기상청(청장 장동언)은 고해상도(약 8 km) 해양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2100년까지의 한반도 주변 해양 기후요소 3종(해수면온도, 표층염분, 해수면높이)과 해양열파에 대한 미래 전망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하였다.
〇 이번 전망자료는 국립기상과학원이 개발한 전지구 기후변화 예측모델(K- ACE)*을 활용해 생산한 저해상도(약 100 km) 시나리오(’22년)를 수평해상도 약 8 km인 지역파랑모델로 상세화한 것으로, 연세대학교 송하준 교수, 강릉원주대학교 탁용진 교수 연구팀이 공동연구에 참여하였다.
* 영국 기상청에서 개발한 대기해양접합 기후 모형(HadGEM2- AO)을 기반으로 자체 개발한 전지구 기후변화 예측모델임
〇 또한, 탄소 감축 정책 유무에 따른 한반도 해역의 미래전망을 비교·분석하기 위해 정부간기후변화협의체(IPCC) 제6차 평가보고서에 제시된 저탄소 시나리오(SSP1- 2.6)*와 고탄소 시나리오(SSP5- 8.5)**를 활용하였다.
* 저탄소 시나리오(SSP1- 2.6): 재생에너지 기술 발달로 화석연료 사용을 최소화한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을 가정
** 고탄소 시나리오(SSP5- 8.5): 산업발전에 중심을 둔 높은 화석연료 사용량과 도시 위주의 무분별한 개발 확대를 가정
〇 해양기상 예‧특보 구역별 미래 해양기후 전망을 10년 단위로 분석한 결과, 최근 10년(2015~2024년) 대비 2100년까지의 한반도 주변 해역 해양기후변화와 그 영향은 저탄소 시나리오에 비해 고탄소 시나리오에서 더 뚜렷한 변화 양상을 보였고, 주요 결과는 아래와 같다.
□ [해수면온도] 저탄소 시나리오에서는 2050년까지 해수면온도가 상승하다 이후 안정화되지만, 고탄소 시나리오에서는 해수면온도가 지속적으로 상승하여 21세기 말(2091~2100년)에는 최근 10년 대비 평균 4.28 ℃ 상승할 것으로 전망되었다.[그림1]
- 1 -
〇 특히, 서해와 동해중부 해역에서는 해수면온도가 약 4.5 ℃ 상승해 전체 평균(4.28 ℃)보다 0.2 ℃ 이상 높게 나타났다.[붙임2]
< 그림 1: 한반도 주변 해역 해수면온도 변화(℃) > |
||
|
|
|
10년 단위 해수면온도 변화량 |
최근 10년 대비 2091~2100년 해수면온도 변화 분포 |
□ [해양열파] 해양열파* 변화를 분석한 결과, 21세기 말 발생일수**와 발생강도*** 모두 최근 10년에 비해 증가하고, 고탄소 시나리오에서는 변화폭이 매우 큰 것으로 전망되었다.[그림2,3]
* 해양열파: 2015∼2024년 일평균 수온을 기준으로 상위 10 % 고수온이 5일 이상 지속되는 현상
** 발생일수: 1년 동안 해양열파가 발생한 총 일수
*** 발생강도: 해양열파 발생 시기 해수면온도와 최근 10년(2015∼2024년) 일평균 해수면온도의 차이
〇 고탄소 시나리오에서 발생일수는 295.5일, 발생강도는 2.54 ℃ 증가하였고, 저탄소 시나리오보다 각각 100일, 2 ℃ 이상 더 증가하여 1년 중 대부분이 높은 강도의 해양열파에 노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붙임2]
〇 해양열파의 발생일수와 발생강도가 증가하면서 향후 한반도 주변 해양에서 해양생태계 파괴 등 해양기후변화로 인한 영향이 심화되고, 폭염 등 극한기상 발생이 증가할 우려가 있다.
< 그림 2: 한반도 주변 해역 해양열파 발생일수 변화(일) > |
||
|
|
|
10년 단위 해양열파 발생일수 변화량 |
최근 10년 대비 2091~2100년 해양열파 발생일수 변화 분포도 |
- 2 -
< 그림 3: 한반도 주변 해역 해양열파 발생강도 변화(℃) > |
||
|
|
|
10년 단위 해양열파 발생강도 변화량 |
최근 10년 대비 2091~2100년 해양열파 발생강도 변화 분포도 |
□ [표층염분] 고탄소 시나리오에서는 표층염분이 2040년대부터 지속적으로 감소하면서 21세기 말에는 저탄소 시나리오에서의 감소폭(약 0.55 psu)의 2배에 달하는 약 1.1 psu*까지 감소하였다.[그림4]
* 액체의 전기전도도를 활용해 측정하는 실용염분 단위(practical salinity unit)
〇 해역별로 서해중부(1.70 psu)와 서해남부(1.45 psu), 남해서부(1.31 psu)에서 감소폭이 크게 나타났다.
< 그림 4: 한반도 주변 해역 표층염분 변화(psu) > |
||
|
|
|
10년 단위 표층염분 변화량 |
최근 10년 대비 2091~2100년 표층염분 변화 분포도 |
□ [해수면높이] 고탄소 시나리오에서 21세기 말 해수면높이는 저탄소 시나리오에 비해 0.21 m 더 높은 약 0.56 m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〇 해역별로 동해남부(0.58 m), 남해동부(0.57 m), 동해중부(0.56 m) 순으로 상승폭이 높았지만, 해역별 편차는 크지 않았다.[붙임2]
- 3 -
< 그림 5: 한반도 주변 해역 해수면높이 변화(m) > |
||
|
|
|
10년 단위 해수면높이 변화량 |
최근 10년 대비 2091~2100년 해수면높이 변화 분포도 |
□ 해수면온도와 해수면높이 상승은 폭풍해일 강도 증가와 극한 파고 상승에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해수면온도와 표층염분 변화는 한반도 주변 해역 어업‧양식업 등 수산 분야 피해를 유발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〇 해수면온도와 표층염분은 서해, 해수면높이는 동해가 기후변화에 따른 변화폭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해역별로 상이한 해양 기후변화 전망은 고해상도 해양기후변화 시나리오를 활용한 지역별 맞춤형 기후위기 적응 정책 수립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 기상청은 이번에 발표한 미래 해양기후변화 시나리오를 「기후·기후변화 감시 및 예측 등에 관한 법률(’24년 10월 시행)」에 따라 승인 받아 기후변화 상황지도*를 통해 제공하고, 향후 관련 기관의 해양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모아 해양 분야의 국가 기후변화 표준 시나리오 개발에 활용할 예정이다.
* 우리동네 기후변화 상황을 쉽게 조회할 수 있는 국가 기후변화 표준 시나리오의 지도 기반 서비스
□ 장동언 기상청장은 “한반도 주변 해역에 대한 상세한 미래 예측자료는 해양 분야의 기후위기 적응과 대응을 위한 중요한 기초자료”라며, “기상청은 기후위기 감시·예측 총괄기관으로서 신뢰도 높은 기후변화 예측자료 생산을 위해 계속해서 노력하겠습니다.”라고 밝혔다.
- 4 -
붙임 1. 고해상도(약 8 km) 해양 시나리오 산출 및 분석 방법
2. 한반도 주변 해역별 미래 전망(표)
3. 한반도 주변 해역별 미래 전망(분포도)
4. 전지구 해양 시나리오(’22년) 및 지역 해양시나리오 비교
담당 부서 |
국립기상과학원 |
책임자 |
팀 장 |
변영화 |
(064- 780- 6780) |
기후변화예측연구팀 |
담당자 |
연구관 |
장필훈 |
(064- 780- 6782) |
|
<공동> |
기후과학국 |
책임자 |
과 장 |
박승균 |
(042- 481- 7410) |
해양기상과 |
담당자 |
사무관 |
손윤석 |
(042- 481- 7409) |
- 5 -
붙임 1 |
고해상도(약 8 km) 해양 시나리오 산출 및 분석 방법 |
○ 역학적 상세화 수행
- 입력자료 : 한국의 전지구 기후변화예측모델 K- ACE에서 산출된 해양 및 대기변수
(수온, 염분, 대기온도, 해상풍 등)
- 지역해양모델 : 미국 MIT에서 개발한 MITgcm(MIT Global Circulation Model) 모델에 입력자료를 넣어 수행한 출력자료 이용
※ 위도 약 1/12도, 경도 약1/20 ∼ 1/12도의 해상도로 북서태평양지역을 모의할 수 있음
○ 분석방법
- 시나리오 2종 : 저탄소 시나리오(SSP1- 2.6) 고탄소 시나리오(SSP5- 8.5) - 산출기간 : 2100년까지 - 분석영역 : 기상청이 지정한 해양기상 예·특보구역 기반의 6개 영역 - 분석변수 4종 : 해수면온도, 표층염분, 해수면 높이, 해양열파 |
<분석 영역> |
- 6 -
붙임 2 |
한반도 주변 해역별 미래 전망(표) |
○ 해수면온도 변화(℃)
서해중부 |
서해남부 |
남해서부· 제주도 |
남해동부 |
동해남부 |
동해중부 |
전체평균 |
||
현재(2015~2024년) |
16.53 |
18.26 |
21.38 |
22.86 |
20.92 |
19.08 |
20.08 |
|
2031~ 2040년 |
SSP1- 2.6 |
+0.91 |
+0.97 |
+0.86 |
+0.79 |
+0.99 |
+0.76 |
+0.89 |
SSP5- 8.5 |
+0.97 |
+0.99 |
+1.00 |
+0.95 |
+1.10 |
+1.00 |
+1.00 |
|
2041~ 2050년 |
SSP1- 2.6 |
+1.32 |
+1.39 |
+1.19 |
+1.12 |
+1.42 |
+1.35 |
+1.29 |
SSP5- 8.5 |
+1.86 |
+1.88 |
+1.65 |
+1.42 |
+1.65 |
+1.78 |
+1.70 |
|
2051~ 2060년 |
SSP1- 2.6 |
+1.11 |
+1.14 |
+1.03 |
+0.94 |
+0.97 |
+0.90 |
+1.02 |
SSP5- 8.5 |
+1.92 |
+1.94 |
+1.91 |
+1.87 |
+2.03 |
+1.95 |
+1.93 |
|
2061~ 2070년 |
SSP1- 2.6 |
+1.42 |
+1.46 |
+1.32 |
+1.31 |
+1.57 |
+1.56 |
+1.42 |
SSP5- 8.5 |
+2.34 |
+2.43 |
+2.26 |
+2.15 |
+2.45 |
+2.39 |
+2.33 |
|
2071~ 2080년 |
SSP1- 2.6 |
+1.13 |
+1.29 |
+1.18 |
+1.34 |
+1.53 |
+1.31 |
+1.29 |
SSP5- 8.5 |
+3.28 |
+3.29 |
+3.04 |
+2.88 |
+3.30 |
+3.32 |
+3.16 |
|
2081~ 2090년 |
SSP1- 2.6 |
+1.39 |
+1.46 |
+1.26 |
+1.38 |
+1.68 |
+1.54 |
+1.43 |
SSP5- 8.5 |
+3.79 |
+3.77 |
+3.39 |
+3.22 |
+3.62 |
+3.79 |
+3.57 |
|
2091~ 2100년 |
SSP1- 2.6 |
+1.67 |
+1.68 |
+1.40 |
+1.46 |
+1.82 |
+1.71 |
+1.60 |
SSP5- 8.5 |
+4.51 |
+4.47 |
+4.08 |
+3.92 |
+4.40 |
+4.48 |
+4.28 |
- 7 -
○ 해양열파 연간 발생일수 변화(일)
서해중부 |
서해남부 |
남해서부· 제주도 |
남해동부 |
동해남부 |
동해중부 |
전체평균 |
||
현재(2015~2024년) |
24.11 |
25.19 |
27.87 |
28.46 |
28.08 |
29.06 |
27.13 |
|
2031~ 2040년 |
SSP1- 2.6 |
+129.56 |
+147.53 |
+131.32 |
+83.76 |
+99.95 |
+89.77 |
+113.65 |
SSP5- 8.5 |
+118.47 |
+104.32 |
+114.88 |
+97.72 |
+103.64 |
+70.66 |
+101.62 |
|
2041~ 2050년 |
SSP1- 2.6 |
+211.25 |
+233.15 |
+196.29 |
+137.98 |
+174.24 |
+155.07 |
+184.66 |
SSP5- 8.5 |
+247.89 |
+240.01 |
+207.18 |
+177.63 |
+196.08 |
+168.88 |
+206.28 |
|
2051~ 2060년 |
SSP1- 2.6 |
+171.45 |
+187.82 |
+173.09 |
+117.64 |
+120.93 |
+112.48 |
+147.24 |
SSP5- 8.5 |
+260.26 |
+253.67 |
+244.66 |
+239.61 |
+241.75 |
+189.64 |
+238.67 |
|
2061~ 2070년 |
SSP1- 2.6 |
+216.18 |
+226.15 |
+207.21 |
+169.54 |
+185.29 |
+173.74 |
+196.35 |
SSP5- 8.5 |
+299.27 |
+294.64 |
+279.18 |
+265.34 |
+287.01 |
+245.78 |
+278.54 |
|
2071~ 2080년 |
SSP1- 2.6 |
+169.67 |
+194.63 |
+183.00 |
+169.22 |
+177.19 |
+144.77 |
+173.08 |
SSP5- 8.5 |
+324.62 |
+319.93 |
+312.83 |
+306.33 |
+320.74 |
+295.96 |
+313.40 |
|
2081~ 2090년 |
SSP1- 2.6 |
+218.04 |
+233.7 |
+207.48 |
+179.97 |
+202.26 |
+169.62 |
+201.85 |
SSP5- 8.5 |
+333.03 |
+326.87 |
+322.34 |
+320.07 |
+325.6 |
+309.33 |
+322.87 |
|
2091~ 2100년 |
SSP1- 2.6 |
+222.69 |
+227.82 |
+193.90 |
+158.19 |
+197.60 |
+172.44 |
+195.44 |
SSP5- 8.5 |
+298.77 |
+296.53 |
+295.62 |
+296.26 |
+298.14 |
+287.79 |
+295.52 |
- 8 -
○ 해양열파 평균 강도 변화(℃)
서해중부 |
서해남부 |
남해서부· 제주도 |
남해동부 |
동해남부 |
동해중부 |
전체평균 |
||
현재(2015~2024년) |
1.49 |
1.50 |
1.49 |
1.66 |
1.76 |
1.98 |
1.65 |
|
2031~ 2040년 |
SSP1- 2.6 |
+0.26 |
+0.30 |
+0.23 |
+0.12 |
+0.12 |
+0.07 |
+0.18 |
SSP5- 8.5 |
+0.16 |
+0.15 |
+0.14 |
+0.01 |
+0.12 |
+0.20 |
+0.13 |
|
2041~ 2050년 |
SSP1- 2.6 |
+0.35 |
+0.44 |
+0.32 |
+0.15 |
+0.19 |
+0.21 |
+0.28 |
SSP5- 8.5 |
+0.60 |
+0.59 |
+0.47 |
+0.24 |
+0.43 |
+0.48 |
+0.47 |
|
2051~ 2060년 |
SSP1- 2.6 |
+0.32 |
+0.38 |
+0.30 |
+0.12 |
+0.15 |
+0.07 |
+0.22 |
SSP5- 8.5 |
+0.66 |
+0.60 |
+0.60 |
+0.47 |
+0.64 |
+0.57 |
+0.59 |
|
2061~ 2070년 |
SSP1- 2.6 |
+0.49 |
+0.56 |
+0.48 |
+0.32 |
+0.43 |
+0.43 |
+0.45 |
SSP5- 8.5 |
+0.91 |
+0.94 |
+0.85 |
+0.68 |
+0.87 |
+0.74 |
+0.83 |
|
2071~ 2080년 |
SSP1- 2.6 |
+0.53 |
+0.60 |
+0.48 |
+0.35 |
+0.47 |
+0.32 |
+0.46 |
SSP5- 8.5 |
+1.78 |
+1.73 |
+1.53 |
+1.27 |
+1.56 |
+1.50 |
+1.56 |
|
2081~ 2090년 |
SSP1- 2.6 |
+0.45 |
+0.54 |
+0.41 |
+0.33 |
+0.46 |
+0.41 |
+0.43 |
SSP5- 8.5 |
+2.24 |
+2.17 |
+1.83 |
+1.56 |
+1.86 |
+1.90 |
+1.93 |
|
2091~ 2100년 |
SSP1- 2.6 |
+0.59 |
+0.67 |
+0.48 |
+0.36 |
+0.46 |
+0.36 |
+0.49 |
SSP5- 8.5 |
+2.88 |
+2.79 |
+2.42 |
+2.15 |
+2.53 |
+2.44 |
+2.54 |
- 9 -
○ 표층염분 변화(psu)
서해중부 |
서해남부 |
남해서부· 제주도 |
남해동부 |
동해남부 |
동해중부 |
전체평균 |
||
현재(2015~2024년) |
31.03 |
31.30 |
31.32 |
32.72 |
32.79 |
33.12 |
31.93 |
|
2031~ 2040년 |
SSP1- 2.6 |
- 0.18 |
- 0.10 |
+0.11 |
+0.26 |
+0.22 |
+0.10 |
+0.07 |
SSP5- 8.5 |
- 0.24 |
- 0.18 |
- 0.07 |
+0.09 |
0.0 |
0.0 |
- 0.07 |
|
2041~ 2050년 |
SSP1- 2.6 |
- 0.53 |
- 0.38 |
- 0.26 |
+0.07 |
0.0 |
+0.01 |
- 0.19 |
SSP5- 8.5 |
- 0.83 |
- 0.61 |
- 0.38 |
- 0.07 |
- 0.13 |
- 0.14 |
- 0.36 |
|
2051~ 2060년 |
SSP1- 2.6 |
- 0.21 |
- 0.14 |
+0.11 |
+0.26 |
+0.22 |
+0.15 |
+0.07 |
SSP5- 8.5 |
- 0.85 |
- 0.69 |
- 0.56 |
- 0.14 |
- 0.23 |
- 0.22 |
- 0.47 |
|
2061~ 2070년 |
SSP1- 2.6 |
- 0.52 |
- 0.27 |
- 0.15 |
- 0.04 |
+0.05 |
- 0.02 |
- 0.16 |
SSP5- 8.5 |
- 0.93 |
- 0.76 |
- 0.44 |
- 0.15 |
- 0.24 |
- 0.18 |
- 0.46 |
|
2071~ 2080년 |
SSP1- 2.6 |
- 0.53 |
- 0.45 |
- 0.55 |
- 0.08 |
- 0.20 |
- 0.18 |
- 0.35 |
SSP5- 8.5 |
- 0.61 |
- 0.63 |
- 0.83 |
- 0.33 |
- 0.36 |
- 0.31 |
- 0.55 |
|
2081~ 2090년 |
SSP1- 2.6 |
- 0.77 |
- 0.53 |
- 0.29 |
+0.03 |
- 0.03 |
- 0.01 |
- 0.27 |
SSP5- 8.5 |
- 1.46 |
- 1.17 |
- 1.42 |
- 0.69 |
- 0.75 |
- 0.63 |
- 1.06 |
|
2091~ 2100년 |
SSP1- 2.6 |
- 1.14 |
- 0.91 |
- 0.68 |
- 0.12 |
- 0.15 |
- 0.16 |
- 0.55 |
SSP5- 8.5 |
- 1.70 |
- 1.45 |
- 1.31 |
- 0.53 |
- 0.76 |
- 0.71 |
- 1.11 |
- 10 -
○ 해수면높이 변화(m)
서해중부 |
서해남부 |
남해서부· 제주도 |
남해동부 |
동해남부 |
동해중부 |
전체평균 |
||
현재(2015~2024년) |
0.92 |
0.94 |
1.00 |
1.11 |
1.00 |
0.96 |
0.99 |
|
2031~ 2040년 |
SSP1- 2.6 |
+0.08 |
+0.08 |
+0.08 |
+0.08 |
+0.09 |
+0.07 |
+0.08 |
SSP5- 8.5 |
+0.09 |
+0.09 |
+0.09 |
+0.10 |
+0.11 |
+0.10 |
+0.10 |
|
2041~ 2050년 |
SSP1- 2.6 |
+0.12 |
+0.12 |
+0.12 |
+0.13 |
+0.14 |
+0.12 |
+0.12 |
SSP5- 8.5 |
+0.17 |
+0.17 |
+0.16 |
+0.16 |
+0.17 |
+0.17 |
+0.17 |
|
2051~ 2060년 |
SSP1- 2.6 |
+0.18 |
+0.18 |
+0.17 |
+0.17 |
+0.18 |
+0.17 |
+0.18 |
SSP5- 8.5 |
+0.22 |
+0.22 |
+0.22 |
+0.23 |
+0.23 |
+0.22 |
+0.22 |
|
2061~ 2070년 |
SSP1- 2.6 |
+0.22 |
+0.22 |
+0.22 |
+0.23 |
+0.24 |
+0.23 |
+0.23 |
SSP5- 8.5 |
+0.29 |
+0.29 |
+0.29 |
+0.30 |
+0.31 |
+0.28 |
+0.30 |
|
2071~ 2080년 |
SSP1- 2.6 |
+0.26 |
+0.26 |
+0.27 |
+0.29 |
+0.29 |
+0.28 |
+0.27 |
SSP5- 8.5 |
+0.37 |
+0.37 |
+0.37 |
+0.38 |
+0.39 |
+0.38 |
+0.38 |
|
2081~ 2090년 |
SSP1- 2.6 |
+0.29 |
+0.29 |
+0.29 |
+0.31 |
+0.32 |
+0.29 |
+0.30 |
SSP5- 8.5 |
+0.46 |
+0.46 |
+0.46 |
+0.47 |
+0.48 |
+0.47 |
+0.47 |
|
2091~ 2100년 |
SSP1- 2.6 |
+0.35 |
+0.35 |
+0.34 |
+0.35 |
+0.36 |
+0.35 |
+0.35 |
SSP5- 8.5 |
+0.55 |
+0.55 |
+0.55 |
+0.57 |
+0.58 |
+0.56 |
+0.56 |
- 11 -
붙임 3 |
한반도 주변 해역별 미래 전망(분포도) |
□ 최근 10년(2015~2024년) 대비 21세기 말(2091~2100년) 해양기후 변화
○ 해수면온도 및 해양열파
SSP1- 2.6 |
SSP5- 8.5 |
|
해수면온도 |
|
|
해양열파 |
|
|
해양열파 |
|
|
- 12 -
○ 표층염분 및 해수면높이
SSP1- 2.6 |
SSP5- 8.5 |
|
표층염분 |
|
|
해수면높이 (m) |
|
|
- 13 -
붙임 4 |
전지구 해양 시나리오(’22년) 및 지역 해양시나리오 비교 |
□ 기상청 전지구 시나리오(해수면온도, 표층염분, 해수면높이, 해빙면적)
〇 (해상도/영역) 100 km / 전지구(분포도 및 격자 데이터)
〇 (활용 모델) CMIP6 참여한 전지구 기후모델 중 2종
※ K- ACE 앙상블 3종과 UKESM1 앙상블 3종을 포함해 총 6개 앙상블 활용
〇 (제공) 기후정보포털(’22~) 및 기후변화 상황지도(’24~)
|
|
기후정보포털 해수면온도 분포도 |
기후변화 상황지도(전지구 평면) |
□ 기상청 지역 시나리오(해수면온도, 표층염분, 해수면높이)
〇 (해상도/영역) 8 km / 한반도 주변해역(분포도 및 격자 데이터 제공 예정)
〇 (전지구 입력자료) CMIP6에 참여한 전지구 기후모델 중 1종
※ 국립기상과학원이 개발한 전지구 기후변화 예측모델(K- ACE)
〇 (지역해양모델) MITgcm(MIT general circulation model)
|
|
|
해수면온도 |
표층 염분 |
해수면 높이 |
- 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