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 2. 23.(화) 11:00 (총20매) |
즉시 |
부산지방기상청 방재기상과 |
과장 임 병 숙 |
올 봄 날씨
- 기온 높고 강수량 많으며, 황사는 평년과 비슷할 듯 -
◇ 기온 : 평년보다 높겠으나, 기온변화가 크겠음
◇ 강수량 : 경남지방을 중심으로 평년보다 많겠음
※ 봄철(3~5월) 평균 황사 발생일수는 평년 3.6일(’73~’00년)과 비슷하겠음.
이번 봄철 우리나라의 기온은 평년보다 높고 강수량은 평년보다 많겠으며, 황사 발생일수는 평년과 비슷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2월 현재 엘니뇨 감시구역(5°S~5°N, 170°W~120°W)에서의 해수면온도는 평년보다 1.3℃ 높은 분포를 보이고 있다. 봄철에도 감시구역의 해수면온도는 평년보다 약 1℃ 정도 높은 엘니뇨가 유지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으며, 열대 중태평양을 중심으로 고수온 현상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우리나라 봄철 기압계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된다.
황사 발원지 지역의 겨울철 기온이 평년보다 1~5℃ 가량 낮은 상태를 보이고 있고, 눈덮임 현상은 평년보다 다소 많은 경향을 보이고 있어 발원지에서의 황사 발원 가능성은 낮은 상태이다. 3월에도 현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우리나라로 강한 황사가 유입될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전망되나, 4월과 5월에는 기압계 이동이 평년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우리나라로의 황사 유입은 평년 수준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봄철 평균 황사 발생일수는 평년 3.6일(’73~’00년)과 비슷하겠다.
이번 봄철에 예상되는 월별 기상전망은 다음과 같다.
- 3월 상순과 중순에는 일시적인 대륙고기압의 영향으로 두 차례 정도 기온이 큰 폭으로 떨어지겠으며, 전반적인 기온은 평년보다 높겠다. 필리핀 부근의 서태평양에서 강하게 발달한 고기압의 영향으로 우리나라에 남서기류가 자주 유입되겠으며, 강수량은 3월 상순에는 평년보다 많겠으며 중순에는 평년과 비슷하겠다. 북고남저형의 기압배치가 형성되어 한두 차례 많은 비가 오겠다. 3월 하순에는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을 주로 받아 기온이 평년보다 높겠으며, 남쪽을 지나는 기압골의 영향으로 경남지방에 많은 비가 오겠다.
- 4월에는 이동성 고기압과 기압골의 영향을 주기적으로 받아 기온변화가 크겠으나 전반적인 기온은 평년과 비슷하겠고, 일교차가 큰 날이 많겠다. 전반적인 강수량은 경남지방을 중심으로 평년보다 많겠다.
- 5월에는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을 주로 받아 맑은 날이 많겠고 기온은 평년보다 높겠다. 남쪽 기압골의 영향을 받아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한두 차례 많은 비가 오겠으며, 전반적인 강수량은 평년보다 많겠다.
평 균 기 온 |
강 수 량 |
|
봄철 |
평년(11~13℃)보다 높겠음 |
평년(190~459㎜)보다 많겠음 |
3월 |
평년(5~8℃)보다 높겠음 |
평년(43~97㎜)보다 많겠음 |
4월 |
평년(12~14℃)과 비슷하겠음 |
평년(74~176㎜)보다 많겠음 |
5월 |
평년(16~19℃)보다 높겠음 |
평년(69~191㎜)보다 많겠음 |
※ 다음 1개월 전망은 2010년 3월 3일, 3개월 전망은 3월 23일 오전 11시에 발표됩니다.
※ 문의 : ☏ 2181- 0476~0482, http://www.kma.go.kr
□ 최근 기압계 동향
○ 올 겨울철(2009.12.1~2010.2.20) 기온은 - 0.1℃로 평년(0.3℃)과 비슷하였으나 기온변화가 컸음.
- 1월 전반까지 추운 날이 많았고, 이후에는 기온이 평년보다 높은 날이 많았음.
겨울철 우리나라 평균기온 시계열
○ 북극진동지수는 2009년 12월에 - 4를 기록해 1950년 이래 가장 낮았으며, 겨울철 동안 낮은 상태가 지속되었음.
- 2009년 12월 중순 이후 북극지역의 기온이 평년보다 10℃나 높은 이상고온 현상이 지속되면서 찬 공기가 중위도로 남하하였고, 우리나라에는 3주간 지속되는 큰 추위가 있었음.
|
|
|
|
○ 강수량은 106.0㎜로 평년(82.9㎜)보다 많았음(평년대비 127.9%).
- 2009년 12월과 2010년 1월은 평년과 비슷하였으나, 2월에는 평년대비 184.1%로 평년보다 많았음.
|
|
겨울철 강수량(㎜) |
겨울철 강수량 평년비(%) |
○ 열대 중태평양을 중심으로 고수온현상이 나타나는 엘니뇨 모도키의 영향으로 필리핀 부근의 서태평양 해상에 고기압이 평년보다 강하게 발달하였고,
○ 그 가장자리를 따라 우리나라로 온난 다습한 기류가 유입되어 대륙고기압 전면의 한랭한 공기와 만나면서 저기압이 발달하여 폭설과 강수가 자주 나타났음.
|
|
이번 겨울철 폭설과 강수원인 모식도 |
겨울철 전국 강수량의 일변화 |
□ 봄철 황사전망 참고자료
○ 올 봄철 평균 황사 발생일수는 평년 3.6일(’73~’00년)과 비슷하겠음.
※ 황사 발생일수: 전국 28개 황사 관측지점 중 황사가 관측된 지점의 수를 전체 지점수(28)로 나눈 평균값
- 올 겨울 황사 발원지 지역의 기온이 평년보다 1~5℃ 정도 낮은 분포를 보이고 있고, 눈덮임 현상은 평년보다 다소 많은 경향을 보이고 있어 발원지에서의 황사 발원 가능성은 낮은 상태임.
- 3월에도 현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우리나라로 강한 황사가 유입될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전망됨.
- 4월과 5월에는 기압계 이동이 평년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우리나라로의 황사 유입은 평년 수준을 보일 것으로 전망됨.
|
|
2010년 2월 17일 눈덮임 현황 (미국 해양대기청 제공) |
2010년 2월 눈덮임 편차 (2월1일∼17일) |
※ 첨부자료
1. 1개월 전망 전문
2. 3개월 전망 전문
[첨부1] |
1개월 전망 전문 |
1개월 전망
(2010년 3월 1일 ~ 3월 31일)
부 산 지 방 기 상 청
2010년 2월 23일 11시 발표
※ 다음 1개월 전망은 2010년 3월 3일 11시에 발표
요 약 |
||
|
||
○ 기 온 : 평년(4~8℃)보다 높겠으나 두 차례 정도 기온이 큰 폭으로 떨어져 기온변화가 크겠음. 3월 상순에서 하순까지 평년보다 높겠음. ○ 강수량 : 평년(44~97㎜)보다 많겠으며 한두 차례 많은 비가 오겠음. 3월 상순과 하순에는 평년보다 많겠으며, 3월 중순에는 평년과 비슷하겠음. |
1. 기압계 동향
1월 하순에는 이동성고기압과 기압골의 영향을 주로 받아 기온이 평년보다 높았으며, 27일에 서쪽에서 접근한 기압골의 영향으로 전국에 강수가 있었음. 2월 상순에는 필리핀 부근에서 고기압이 강하게 발달하여 한기의 남하를 저지하였으며, 대륙고기압과의 사이에 정체전선을 형성하여 비가 자주 내렸음. 중순에는 대륙고기압이 확장하여 기온은 평년보다 낮았고, 북고남저형의 기압배치가 형성되어 영동지방을 중심으로 많은 눈이 내렸음.
2. 기압계 전망
3월 상순과 중순에는 일시적인 대륙고기압의 영향으로 두 차례 정도 기온이 큰 폭으로 떨어지겠으며, 전반적인 기온은 평년보다 높겠음. 필리핀 부근의 서태평양에서 강하게 발달한 고기압의 영향으로 우리나라에 남서기류가 자주 유입되겠으며, 강수량은 3월 상순에는 평년보다 많겠으며 중순에는 평년과 비슷하겠음. 북고남저형의 기압배치가 형성되어 한두 차례 많은 비가 오겠음. 3월 하순에는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을 주로 받아 기온이 평년보다 높겠으며, 남쪽을 지나는 기압골의 영향으로 경남지방에 많은 비가 오겠음.
평 균 기 온 |
강 수 량 |
|
3월 상순 |
평년(2~7℃)보다 높겠음 |
평년(14~29㎜)보다 많겠음 |
3월 중순 |
평년(4~8℃)보다 높겠음 |
평년(13~37㎜)과 비슷하겠음 |
3월 하순 |
평년(6~10℃)보다 높겠음 |
평년(16~33㎜)보다 많겠음 |
6 / 4
3. 순별 전망
◦ 평균기온 |
||
3월 상순 |
3월 중순 |
3월 하순 |
|
|
|
낮음 비슷 높음 |
||
◦ 강수량 |
||
3월 상순 |
3월 중순 |
3월 하순 |
|
|
|
적음 비슷 많음 |
※ 1개월 및 순별 기온ㆍ강수량의 전망 표현 기준표
구분 |
기온 편차(℃) |
강수량 평년비(%) |
||
순 |
월 |
순 |
월 |
|
높음(많음) |
>0.7 |
>0.5 |
>130 |
>120 |
비슷 |
- 0.7~0.7 |
- 0.5~0.5 |
50~130 |
70~120 |
낮음(적음) |
<- 0.7 |
<- 0.5 |
<50 |
<70 |
7 / 4
◦ 평균기온
순별 지역 |
3월 상순 |
3월 중순 |
3월 하순 |
전국(북한제외) 평균 |
평년(- 3~9℃)보다 높겠음 |
평년(- 1~10℃)과 비슷하겠음 |
평년(1~11℃)보다 높겠음 |
서울‧인천‧경기도 |
평년(2~3℃)과 비슷하겠음 |
평년(4~5℃)과 비슷하겠음 |
평년(6~7℃)보다 높겠음 |
강원도 영서 |
평년(1~2℃)과 비슷하겠음 |
평년(3~4℃)과 비슷하겠음 |
평년(5~6℃)보다 높겠음 |
강원도 영동 |
평년(- 3~4℃)과 비슷하겠음 |
평년(- 1~6℃)과 비슷하겠음 |
평년(1~7℃)보다 높겠음 |
대전‧충청남도 |
평년(3℃)보다 높겠음 |
평년(4~5℃)과 비슷하겠음 |
평년(6~7℃)보다 높겠음 |
충청북도 |
평년(1~3℃)보다 높겠음 |
평년(3~5℃)과 비슷하겠음 |
평년(5~7℃)보다 높겠음 |
광주‧전라남도 |
평년(4~6℃)보다 높겠음 |
평년(6~8℃)보다 높겠음 |
평년(8~9℃)보다 높겠음 |
전라북도 |
평년(2~4℃)보다 높겠음 |
평년(4~6℃)보다 높겠음 |
평년(6~8℃)보다 높겠음 |
부산‧울산‧경상남도 |
평년(3~7℃)보다 높겠음 |
평년(5~8℃)보다 높겠음 |
평년(7~10℃)보다 높겠음 |
대구‧경상북도 |
평년(2~6℃)보다 높겠음 |
평년(4~7℃)과 비슷하겠음 |
평년(6~9℃)보다 높겠음 |
제주도 |
평년(8~9℃)보다 높겠음 |
평년(9~10℃)보다 높겠음 |
평년(10~11℃)과 비슷하겠음 |
평안남북도‧황해도 |
평년(- 4~2℃)과 비슷하겠음 |
평년(- 1~4℃)과 비슷하겠음 |
평년(2~6℃)과 비슷하겠음 |
함경남북도 |
평년(- 11~3℃)과 비슷하겠음 |
평년(- 7~5℃)과 비슷하겠음 |
평년(- 5~6℃)과 비슷하겠음 |
◦ 강수량
순별 지역 |
3월 상순 |
3월 중순 |
3월 하순 |
전국(북한제외) 평균 |
평년(12~36㎜)보다 많겠음 |
평년(9~52㎜)보다 많겠음 |
평년(14~41㎜)과 비슷하겠음 |
서울‧인천‧경기도 |
평년(13~19㎜)보다 많겠음 |
평년(11~12㎜)보다 많겠음 |
평년(14~19㎜)과 비슷하겠음 |
강원도 영서 |
평년(12~17㎜)과 비슷하겠음 |
평년(9~12㎜)보다 많겠음 |
평년(14~20㎜)과 비슷하겠음 |
강원도 영동 |
평년(23~28㎜)보다 많겠음 |
평년(13~22㎜)보다 많겠음 |
평년(21~26㎜)보다 많겠음 |
대전‧충청남도 |
평년(18~22㎜)보다 많겠음 |
평년(12~17㎜)보다 많겠음 |
평년(15~23㎜)과 비슷하겠음 |
충청북도 |
평년(17~19㎜)보다 많겠음 |
평년(12~14㎜)보다 많겠음 |
평년(17~21㎜)과 비슷하겠음 |
광주‧전라남도 |
평년(15~26㎜)보다 많겠음 |
평년(22~37㎜)보다 많겠음 |
평년(23~29㎜)보다 많겠음 |
전라북도 |
평년(17~19㎜)보다 많겠음 |
평년(14~19㎜)보다 많겠음 |
평년(18~24㎜)과 비슷하겠음 |
부산‧울산‧경상남도 |
평년(17~29㎜)보다 많겠음 |
평년(18~37㎜)과 비슷하겠음 |
평년(20~33㎜)보다 많겠음 |
대구‧경상북도 |
평년(14~23㎜)보다 많겠음 |
평년(13~21㎜)과 비슷하겠음 |
평년(16~26㎜)과 비슷하겠음 |
제주도 |
평년(22~36㎜)보다 많겠음 |
평년(32~52㎜)보다 많겠음 |
평년(29~41㎜)보다 많겠음 |
평안남북도‧황해도 |
평년(4~12㎜)과 비슷하겠음 |
평년(3~19㎜)보다 많겠음 |
평년(6~16㎜)과 비슷하겠음 |
함경남북도 |
평년(3~29㎜)과 비슷하겠음 |
평년(3~13㎜)과 비슷하겠음 |
평년(7~21㎜)과 비슷하겠음 |
※ 문의 : ☏ 2181- 0476~0482, http://www.kma.go.kr
8 / 4
< 참고 자료 >
◦ 기온 분포 (2010.01.21. ~ 02.20.) |
|
기온(℃) |
기온 편차(℃) |
|
|
- 0.5 0.5 (℃) |
|
|
|
낮음 비슷 높음 |
|
◦ 강수량 분포 (2010.01.21. ~ 02.20.) |
|
강수량(㎜) |
강수량 평년비(%) |
|
|
70 120 (%) |
|
|
|
적음 비슷 많음 |
9 / 4
◦ 4대 도시 평균기온 (2010.01.21. ~ 02.20.) |
|
부산 |
대구 |
|
|
울산 |
포항 |
|
|
◦ 4대 도시 누적강수량 (2010.01.21. ~ 02.20.) |
|
부산 |
대구 |
|
|
울산 |
포항 |
|
|
|
10 / 4
◦ 순별 평년값 |
||||||||||||||||||||||||||||||||||||||||||||||
평균기온 |
단위 : ℃ |
|||||||||||||||||||||||||||||||||||||||||||||
|
||||||||||||||||||||||||||||||||||||||||||||||
최저기온 |
단위 : ℃ |
|||||||||||||||||||||||||||||||||||||||||||||
|
||||||||||||||||||||||||||||||||||||||||||||||
최고기온 |
단위 : ℃ |
|||||||||||||||||||||||||||||||||||||||||||||
|
||||||||||||||||||||||||||||||||||||||||||||||
강수량 |
단위 : ㎜ |
|||||||||||||||||||||||||||||||||||||||||||||
|
||||||||||||||||||||||||||||||||||||||||||||||
(평년값 : 1971 ~ 2000년) |
11 / 4
[첨부2] |
3개월 전망 전문 |
3개월 전망
(2010년 3월 ~ 5월)
부 산 지 방 기 상 청
2010년 2월 23일 11시 발표
※ 다음 3개월 전망은 2010년 3월 23일 11시에 발표
요 약 |
||
|
||
□ 기 온 : 평년(11~13℃)보다 높겠으며 기온변화가 크겠음. 3월에는 평년보다 높겠으나 일시적으로 기온이 큰 폭으로 떨어지겠음. 4월에는 평년과 비슷하겠으며 일교차가 큰 날이 많겠음. 5월에는 평년보다 높겠음. □ 강수량 : 평년(190~459㎜)보다 많겠음. 3월에는 평년보다 많겠음. 4월에는 경남지방을 중심으로 평년보다 많겠음. 5월에는 평년보다 많겠음. ※ 봄철(3~5월) 평균 황사 발생일수는 평년 3.6일(’73~’00년)과 비슷하겠음. |
□ 기압계 동향
12월에는 상순에 찬 대륙고기압의 일시적인 영향으로 기온이 떨어졌으나 9일부터 남해상으로 지나간 저기압의 영향으로 기온이 회복되었음. 14일까지 대륙고기압이 북편하면서 기온이 높은 경향을 보이다가 15일 이후 찬 대륙고기압의 영향으로 기온이 큰 폭으로 떨어지면서 추운 날이 많았으며 서해안 지방에는 많은 눈이 내렸음.
2010년 1월 전반에는 대륙고기압의 영향으로 기온이 평년보다 3.3도 낮은 추위가 지속되었으며, 18일 이후에는 기온이 평년보다 2.7도 높았음. 4일 저기압의 영향으로 중부 지방을 중심으로 많은 눈이 내렸으며 서울에서는 25.8cm의 신적설로 극값을 갱신하였음. 20일과 27일에는 기압골의 영향으로 전국에 비가 내렸음.
2월 상순에는 필리핀 부근에서 고기압이 강하게 발달하여 한기의 남하를 저지하였으며, 대륙고기압과의 사이에 정체전선을 형성하여 비가 자주 내렸음. 중순에는 대륙고기압이 확장하여 기온은 평년보다 낮았고, 북고남저형의 기압배치가 형성되어 영동지방을 중심으로 많은 눈이 내렸음.
12 / 4
□ 월별 전망
3 월 |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을 주로 받아 전반적인 기온은 평년보다 높겠으나, 대륙고기압이 일시적으로 확장하면서 두 차례 정도 기온이 큰 폭으로 떨어지겠음. 북고남저형의 기압배치가 형성되어 강수량이 많겠음. |
4 월 |
이동성 고기압과 기압골의 영향을 주기적으로 받아 기온변화가 크겠으나 전반적인 기온은 평년과 비슷하겠고, 일교차가 큰 날이 많겠음. 전반적인 강수량은 경남지방을 중심으로 평년보다 많겠음. |
5 월 |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을 주로 받아 맑은 날이 많겠고 기온은 평년보다 높겠음. 남쪽 기압골의 영향을 받아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한두 차례 많은 비가 오겠으며, 전반적인 강수량은 평년보다 많겠음. |
월 |
월 평 균 기 온 |
월 강 수 량 |
3월 |
평년(5~8℃)보다 높겠음 |
평년(43~97㎜)보다 많겠음 |
4월 |
평년(12~14℃)과 비슷하겠음 |
평년(74~176㎜)보다 많겠음 |
5월 |
평년(16~19℃)보다 높겠음 |
평년(69~191㎜)보다 많겠음 |
13 / 4
◦ 평균기온 |
||
3월 |
4월 |
5월 |
|
|
|
낮음 비슷 높음 |
||
◦ 강수량 |
||
3월 |
4월 |
5월 |
|
|
|
적음 비슷 많음 |
※ 월 단위 이상 기간에 대한 평균 기온ㆍ강수량의 전망 표현 기준표
구분 |
기온 편차(℃) |
강수량 평년비(%) |
높음(많음) |
>0.5 |
>120 |
비슷 |
- 0.5~0.5 |
70~120 |
낮음(적음) |
<- 0.5 |
<70 |
14 / 4
◦ 평균기온
순별 지역 |
3월 |
4월 |
5월 |
전국(북한제외) 평균 |
평년(- 1~10℃)보다 높겠음 |
평년(7~14℃)과 비슷하겠음 |
평년(12~19℃)보다 높겠음 |
서울‧인천‧경기도 |
평년(4~5℃)과 비슷하겠음 |
평년(11~12℃)과 비슷하겠음 |
평년(16~17℃)보다 높겠음 |
강원도 영서 |
평년(3~4℃)과 비슷하겠음 |
평년(10~11℃)과 비슷하겠음 |
평년(16~17℃)보다 높겠음 |
강원도 영동 |
평년(- 1~6℃)과 비슷하겠음 |
평년(7~13℃)보다 높겠음 |
평년(12~18℃)보다 높겠음 |
대전‧충청남도 |
평년(4~5℃)보다 높겠음 |
평년(11~12℃)과 비슷하겠음 |
평년(16~18℃)보다 높겠음 |
충청북도 |
평년(3~5℃)보다 높겠음 |
평년(11~12℃)과 비슷하겠음 |
평년(16~18℃)보다 높겠음 |
광주‧전라남도 |
평년(6~8℃)보다 높겠음 |
평년(12~13℃)과 비슷하겠음 |
평년(17~18℃)보다 높겠음 |
전라북도 |
평년(4~6℃)보다 높겠음 |
평년(11~13℃)과 비슷하겠음 |
평년(16~18℃)보다 높겠음 |
부산‧울산‧경상남도 |
평년(5~8℃)보다 높겠음 |
평년(12~13℃)과 비슷하겠음 |
평년(17~18℃)보다 높겠음 |
대구‧경상북도 |
평년(5~7℃)보다 높겠음 |
평년(12~14℃)과 비슷하겠음 |
평년(16~19℃)보다 높겠음 |
제주도 |
평년(9~10℃)보다 높겠음 |
평년(13~14℃)과 비슷하겠음 |
평년(17~18℃)과 비슷하겠음 |
평안남북도‧황해도 |
평년(- 1~4℃)과 비슷하겠음 |
평년(8~11℃)과 비슷하겠음 |
평년(14~17℃)과 비슷하겠음 |
함경남북도 |
평년(- 8~4℃)과 비슷하겠음 |
평년(2~11℃)보다 높겠음 |
평년(8~16℃)과 비슷하겠음 |
◦ 강수량
순별 지역 |
3월 |
4월 |
5월 |
전국(북한제외) 평균 |
평년(34~127㎜)보다 많겠음 |
평년(67~176㎜)과 비슷하겠음 |
평년(69~215㎜)보다 많겠음 |
서울‧인천‧경기도 |
평년(38~50㎜)보다 많겠음 |
평년(71~87㎜)과 비슷하겠음 |
평년(91~102㎜)과 비슷하겠음 |
강원도 영서 |
평년(34~49㎜)과 비슷하겠음 |
평년(67~80㎜)과 비슷하겠음 |
평년(92~100㎜)과 비슷하겠음 |
강원도 영동 |
평년(56~73㎜)보다 많겠음 |
평년(71~97㎜)과 비슷하겠음 |
평년(84~114㎜)과 비슷하겠음 |
대전‧충청남도 |
평년(47~61㎜)보다 많겠음 |
평년(79~94㎜)과 비슷하겠음 |
평년(85~101㎜)보다 많겠음 |
충청북도 |
평년(45~53㎜)보다 많겠음 |
평년(77~87㎜)과 비슷하겠음 |
평년(88~99㎜)보다 많겠음 |
광주‧전라남도 |
평년(61~90㎜)보다 많겠음 |
평년(79~138㎜)보다 많겠음 |
평년(87~151㎜)보다 많겠음 |
전라북도 |
평년(51~59㎜)보다 많겠음 |
평년(80~95㎜)보다 많겠음 |
평년(87~94㎜)보다 많겠음 |
부산‧울산‧경상남도 |
평년(54~97㎜)보다 많겠음 |
평년(91~176㎜)보다 많겠음 |
평년(87~191㎜)보다 많겠음 |
대구‧경상북도 |
평년(43~67㎜)보다 많겠음 |
평년(74~93㎜)과 비슷하겠음 |
평년(69~105㎜)보다 많겠음 |
제주도 |
평년(84~127㎜)보다 많겠음 |
평년(92~172㎜)보다 많겠음 |
평년(88~215㎜)보다 많겠음 |
평안남북도‧황해도 |
평년(14~42㎜)과 비슷하겠음 |
평년(33~68㎜)과 비슷하겠음 |
평년(67~104㎜)과 비슷하겠음 |
함경남북도 |
평년(15~62㎜)과 비슷하겠음 |
평년(37~73㎜)과 비슷하겠음 |
평년(42~111㎜)과 비슷하겠음 |
※ 문의 : ☏02- 2181- 0476~0482, http://www.kma.go.kr
15 / 4
□ 장기예보 응용정보(3월, 4월, 5월)
○ 3월(기온 예보 : 평년보다 높음) |
||
□ 서리일수 |
□ 평균기온 |
□ 일최저기온 0℃ 이하일수 |
|
|
|
○ 4월(기온 예보 : 평년과 비슷) |
||
□ 서리일수 |
□ 평균기온 |
□ 일교차 10℃ 이상일수 |
|
|
|
○ 5월(기온 예보 : 평년보다 높음) |
||
□ 일최고기온 30℃이상일수 |
□ 평균기온 |
□ 일교차 10℃ 이상일수 |
|
|
|
※ 73~00년(28년) 중 기온이 평년보다 높았던 해(3월, 5월)와 평년과 비슷하였던 해(4월)의 값을 추출하여 각각 평균하여 작성한 분포도임.
16 / 4
○ 3월(강수량 예보 : 평년보다 많음) |
||
□ 상대습도 |
□ 월강수량 편차 |
□ 월간 신적설 분포(cm) |
|
|
|
○ 4월(강수량 예보 : 평년과 비슷) |
||
□ 상대습도 |
□ 월강수량 편차 |
□ 일강수 10mm 이상일수 |
|
|
|
○ 5월(강수량 예보 : 평년보다 많음) |
||
□ 상대습도 |
□ 월강수량 편차 |
□ 일강수 10mm 이상일수 |
|
|
|
※ 73~00년(28년) 중 강수량이 평년보다 많았던 해(3월, 5월)와 평년과 비슷했던 해(4월)의 값을 추출하여 각각 평균하여 작성한 분포도임.
17 / 4
< 참고 자료 >
◦ 기온 분포 (2009.12.01. ~ 2010.02.20.) |
|
기온(℃) |
기온 편차(℃) |
|
|
- 0.5 0.5 (℃) |
|
|
|
낮음 비슷 높음 |
|
◦ 강수량 분포 (2009.12.01. ~ 2010.02.20.) |
|
강수량(㎜) |
강수량 평년비(%) |
|
|
70 120 (%) |
|
|
|
적음 비슷 많음 |
18 / 4
◦ 4대 도시 평균기온 (2009.12.01. ~ 2010.02.20.) |
|
부산 |
대구 |
|
|
울산 |
포항 |
|
|
◦ 4대 도시 누적강수량 (2009.12.01. ~ 2010.02.20.) |
|
부산 |
대구 |
|
|
울산 |
포항 |
|
|
|
□ 기후평년(1971~2000년)값 (3월 ~ 5월) |
||||||||||||||||||||||||||||||||||||||||||||||
평균기온 |
단위: ℃ |
|||||||||||||||||||||||||||||||||||||||||||||
|
||||||||||||||||||||||||||||||||||||||||||||||
최저기온 |
단위: ℃ |
|||||||||||||||||||||||||||||||||||||||||||||
|
||||||||||||||||||||||||||||||||||||||||||||||
최고기온 |
단위: ℃ |
|||||||||||||||||||||||||||||||||||||||||||||
|
||||||||||||||||||||||||||||||||||||||||||||||
강수량 |
단위: ㎜ |
|||||||||||||||||||||||||||||||||||||||||||||
|
||||||||||||||||||||||||||||||||||||||||||||||
(평년값 : 1971 ~ 2000년) |
19 /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