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지방기상청 기후과 |
기후과장 조 진 대 |
051- 718- 0423,0430 |
2010.6.7(월) 11:00 (총9매) |
즉 시 |
지난봄, 채소 값 급등 원인은 날씨 때문
◇ 지난 봄 채소 값 급등에 봄철 날씨가 크게 작용하였던 것으로 보임. 지난해에 비해 배추는 1.2~1.7배, 상추는 1.5배(농수산물유통공사) 등으로 오른 것은 저온, 일조시간 부족 등으로 채소류 작황이 부진.
◇ 지난 봄에는 대륙고기압의 세력이 4월까지 유지되면서 부산‧울산‧경남지방의 평균기온이 11.7℃로 평년(12.5℃)보다 0.8℃ 낮아, 1973년 이래 두 번째로 낮은 기온을 보임. 전국적으로도 평균기온이 평년(11.5℃)보다 0.7℃ 낮았음.
◇ 고기압 통과 후 우리나라로 자주 기압골이 통과하면서 1973년 이래 강수일수(35.3일)는 가장 많았으나, 일조시간(평년대비 76.5%)은 가장 적었음
□ 지난 봄철 기상 특성
○ ’10년 3월~5월 기간 동안 부산‧울산‧경남지방 평균기온은 11.7℃로써 평년에 비해 0.8℃ 낮았음. 춥거나 따뜻한 날이 많아 기온의 변화가 심하였음.
○ 한편, 강수량은 435.9㎜로 평년(330.6㎜)보다 105.3㎜가 많았으며 잦은 비로 인하여 일조시간은 평년(663.4시간)보다 155.9시간 적은 507.5시간을 기록함.
□ 지난 봄, 쌀쌀하고 비온 날 많았던 원인
○ 지난 봄 저온의 원인은 대륙고기압 세력이 4월까지 유지되었기 때문
지난 겨울에 대륙고기압이 일찍 발달하였고, 1950년 이래 가장 강한 북극진동으로 대륙고기압이 강하게 발달하여 4월까지도 그 세력이 유지됨.
○ 5월에는 대륙고기압 세력이 약화되었으나, 하순에 오호츠크해고기압이 발달하면서 차가운 북동기류가 유입되어 동해안지방을 중심으로 저온현상이 나타남.
○ 대륙고기압이 통과한 후 우리나라 남쪽과 북쪽으로 기압골이 자주 통과하여 비오는 날이 많았음.
※ [첨부] 설명자료 1부.
- 1 -
[첨부] |
지난 봄철 기상특성 설명자료 |
□ 봄철 기온 특성
○ 지난 봄(’10년 3월~5월) 평균기온은 평년에 비해 0.8℃ 낮아
— 부산‧울산‧경남 평균기온은 11.7℃로 평년(12.5℃)보다 0.8℃ 낮아, 1973년 이래 두 번째로 낮았음.
— 전국 평균기온은 10.8℃로 평년(11.5℃)보다 0.7℃ 낮았음.
※ 평균최고기온은 16.9℃로 평년보다 1.5℃ 낮아, 1973년 이래 가장 낮았음.
○ 춥거나 따뜻한 날이 많아 기온변화가 심했음.
— 평년과 비슷하거나 조금 높은 기온은 적었던 반면 평년보다 추운 날은 자주 나타났으며, 평년보다 아주 춥거나 따뜻한 날이 평년보다 많이 발생하여 기온의 변화가 심했음(그림 1).
|
그림 1. 지난봄 일별 평균기온 편차의 발생 빈도 분포 |
○ 3월은 평년과 비슷, 4월 저온, 5월 상순 고온, 하순 저온
— 3월에는 기온변화가 큰 가운데 평균기온(6.9℃)은 평년(7.2℃)보다 0.3℃ 낮았고
— 4월에는 쌀쌀한 날씨가 지속되어 평년(13.0℃)보다 2.3℃ 낮아 1973년 이래 가장 낮았음(그림 2).
— 5월에는 상순에 대륙고기압이 급격히 약화되어 고온 현상이 나타났으나, 하순에는 오호츠크해고기압이 발달하면서 북동류에 의해 동해안 지방을 중심으로 저온현상이 나타났으며, 평균기온(17.4℃)은 평년(17.5℃)보다 0.1℃ 낮았음.
- 2 -
|
그림 2. (좌) 지난봄 평균기온 평년편차도(℃)와 (우) 전국 평균기온 일변화(℃) |
□ 봄철 강수 특성
○ 강수량은 많았음.
— 봄철 강수량은 435.9㎜로 평년보다 많았음(평년대비 131.9%, 그림 3).
|
그림 3. (좌) 지난봄 강수량 평년비 분포도(%)와 (우) 전국 강수량 일변화(mm) |
○ 3월 많음, 4월 비슷, 5월 많음
— 3월과 4월은 기압골의 영향으로 비 오는 날이 많았으며, 강수량은 3월에 119.7㎜로 평년(100.3㎜)보다 많았으며(평년대비 159.6%), 4월에는 146.0㎜로 평년(125.6㎜)과 비슷했음(평년대비 116.3%).
- 3 -
— 5월에는 건조한 날이 지속되다가 중반 이후 내린 많은 비로 평년(129.9㎜)보다 많았음(평년대비 131.1%).
— 특히 대륙고기압이 확장하여 우리나라를 통과한 후 한반도 남쪽과 북쪽으로 기압골이 자주 통과하면서 봄철 강수일수가 35.3일로 평년(22.4일)보다 12.9일 많아 1973년 이래 가장 많았음(그림 4).
‧ 잦은 강수로 인해 봄철 일조시간은 507.5시간으로 평년보다 155.9시간 적어 1973년 이래 가장 적었음(평년대비 76.5%).
|
그림 4. 1973년~2010년 봄철 강수일수(파랑)와 일조시간(빨강) 연변화 |
□ 쌀쌀한 날씨와 잦은 비의 원인
○ 지난봄 추운 날이 많았던 원인은 지난겨울 우리나라에 한파와 폭설을 가져왔던 대륙고기압의 세력이 4월까지 유지되었기 때문임.
— 지난 초겨울 유라시아 대륙에 눈이 일찍 내려 평년에 비해 대륙고기압이 일찍 발달하였고, 1950년 이래 가장 강한 북극진동으로 인해 대륙고기압이 강하게 발달하였음.
— 그로 인해 대륙고기압의 발생지인 시베리아 지역의 눈덮임이 4월까지도 평년보다 많아 지면가열이 차단되면서 대륙고기압의 세력이 유지되었음(그림 5).
- 4 -
|
그림 5. 눈덮임 평년편차(좌:지난 초겨울, 우:4월19~25일, 녹색: 많음) |
— 5월에는 대륙고기압의 세력이 급격히 약해지면서 고온 현상이 나타났으나, 하순에 오호츠크해고기압이 발달하면서 북동류에 의해 동해안 지방을 중심으로 저온 현상이 나타났음(그림 6).
|
그림 6. 지난봄 지상기압계(실선:해면기압, 음영:편차, 빨강:평년보다 강함)와 대륙고기압, 오호츠크해고기압 강도 및 전국 평균기온 일변화 |
○ 대륙고기압이 확장하여 우리나라를 통과한 후 한반도 남쪽과 북쪽으로 기압골이 자주 통과하면서 강수일수가 기록적으로 많았음(그림 3).
※ 붙임 1 : 전국의 봄철 기상자료
붙임 2 : 부산‧울산‧경남의 봄철 기상자료
붙임 3 : 부산의 봄철 기상자료
- 5 -
[붙임 1] |
전국의 봄철 기상자료 |
□ 평균기온, 평균 최고기온, 평균 최저기온, 강수량(1973- 2010년)
□ 평년대비 기상요소 값
요소(전국) |
2010년 봄(a) |
봄 평년값 (1971- 2000)(b) |
a- b |
1973년 이후 순위(5위 까지만) |
평균기온(℃) |
10.8 |
11.5 |
- 0.7 |
최저 2위 |
평균최고기온(℃) |
16.1 |
17.5 |
- 1.4 |
최저 1위 |
평균최저기온(℃) |
5.7 |
5.8 |
- 0.1 |
- |
강수량(mm) |
325.2 |
260.7 |
64.5(124.7%) |
- |
강수일수(일) |
34.7 |
24.8 |
9.9 |
최고 1위 |
일조시간(hr) |
508.7 |
662.3 |
153.6(76.8%) |
최저 1위 |
황사일수(일) |
6.5 |
3.5 |
3.0 |
- |
□ 연대별 기상요소 값
연도 |
평균기온 (℃) |
평균최고 기온(℃) |
평균최저 기온(℃) |
강수량 (mm) |
강수일수 (일) |
일조시간 (hr) |
황사일수 (일) |
1973- 1980년(a) |
11.3 |
17.2 |
5.7 |
301.8 |
25.1 |
659.6 |
3.0 |
1981- 1990년(b) |
11.5 |
17.6 |
5.9 |
232.9 |
24.9 |
646.4 |
2.9 |
1991- 2000년(c) |
11.7 |
17.8 |
6.0 |
254.4 |
24.4 |
623.5 |
4.9 |
2001- 2010년(d) |
12.1 |
18.1 |
6.4 |
267.2 |
26.1 |
601.8 |
7.4 |
d- a |
0.8 |
0.9 |
0.7 |
- 34.6 |
1.0 |
- 57.8 |
4.4 |
d- b |
0.6 |
0.5 |
0.5 |
34.3 |
1.2 |
- 44.6 |
4.5 |
d- c |
0.4 |
0.3 |
0.4 |
12.8 |
1.7 |
- 21.7 |
2.5 |
- 6 -
[붙임 2] |
부산‧울산‧경남의 봄철 기상자료 |
□ 평균기온, 평균 최고기온, 평균 최저기온, 강수량(1973- 2010년)
□ 평년대비 기상요소 값
요소(부산‧울산‧경남) |
2010년 봄철 (a) |
평년값(1971- 2000) (b) |
a - b |
1973년 이후 순위(5위까지만) |
평균기온(℃) |
11.7 |
12.5 |
- 0.8 |
최저 2위 |
평균 최고기온(℃) |
16.9 |
18.4 |
- 1.5 |
최저 1위 |
평균 최저기온(℃) |
6.8 |
7.1 |
- 0.3 |
- |
강수량(mm) |
435.9 |
330.6 |
105.3(131.9%) |
- |
강수일수(일) |
35.3 |
22.4 |
12.9 |
최고 1위 |
일조시간(hr) |
507.5 |
663.4 |
- 155.9(76.5%) |
최저 1위 |
황사일수(일) |
6.0 |
3.0 |
3.0 |
- |
□ 연대별 기상요소 값
연도 |
평균 기온(℃) |
평균 최고기온(℃) |
평균 최저기온(℃) |
강수량 (mm) |
강수일수 (일) |
일조시간 (hr) |
황사일수 (일) |
1973- 1980년(a) |
12.3 |
17.9 |
6.8 |
387.7 |
23.5 |
704.0 |
2.0 |
1981- 1990년(b) |
12.5 |
18.6 |
7.0 |
293.8 |
23.7 |
673.7 |
2.7 |
1991- 2000년(c) |
12.7 |
18.7 |
7.1 |
322.9 |
24.8 |
630.0 |
4.2 |
2001- 2010년(d) |
13.0 |
19.0 |
7.5 |
352.3 |
25.6 |
634.5 |
6.4 |
d- a |
0.7 |
1.1 |
0.7 |
- 35.3 |
2.1 |
- 69.5 |
4.4 |
d- b |
0.5 |
0.4 |
0.5 |
58.5 |
1.9 |
- 39.2 |
3.7 |
d- c |
0.7 |
0.2 |
0.4 |
29.4 |
0.8 |
4.5 |
2.2 |
- 7 -
[붙임 3] |
부산의 봄철 기상자료 |
□ 평균기온, 평균 최고기온, 평균 최저기온, 강수량(1904- 2010년)
□ 평년대비 기상요소 값
요소(부산) |
2010년 봄철 (a) |
평년값(1971- 2000) (b) |
a - b |
1904년 이후 순위(5위 까지만) |
평균기온(℃) |
12.2 |
13.0 |
- 0.8 |
- |
평균 최고기온(℃) |
16.3 |
17.5 |
- 1.2 |
- |
평균 최저기온(℃) |
8.8 |
9.4 |
- 0.6 |
- |
강수량(mm) |
466.0 |
376.1 |
89.9(123.9%) |
- |
강수일수(일) |
35.0 |
26.9 |
8.1 |
최고 2위 |
일조시간(hr) |
488.6 |
627.9 |
- 139.3(77.8%) |
최저 4위 |
황사일수(일) |
5.0 |
3.3 |
1.7 |
- |
□ 연대별 기상요소 값
연도 |
평균 기온(℃) |
평균 최고기온(℃) |
평균 최저기온(℃) |
강수량 (mm) |
강수일수 (일) |
일조시간 (hr) |
황사일수 (일) |
1911- 1920년(a) |
11.6 |
15.9 |
7.8 |
359.8 |
26.9 |
645.5 |
- |
11.8 |
16.6 |
7.9 |
327.5 |
25.9 |
719.8 |
- |
|
11.9 |
16.5 |
8.5 |
339.7 |
24.8 |
736.8 |
- |
|
12.1 |
17.2 |
8.4 |
315.9 |
26.4 |
700.3 |
- |
|
12.4 |
16.7 |
9.0 |
368.4 |
27.7 |
585.0 |
- |
|
12.4 |
16.6 |
8.9 |
363.1 |
28.1 |
616.2 |
0.9 |
|
12.7 |
16.9 |
9.2 |
437.9 |
27.6 |
600.0 |
2.6 |
|
13.0 |
17.6 |
9.4 |
325.7 |
25.7 |
655.6 |
2.4 |
|
13.4 |
17.9 |
9.8 |
364.5 |
27.3 |
628.1 |
4.0 |
|
2001- 2010년(b) |
13.3 |
17.8 |
9.8 |
422.1 |
27.9 |
590.4 |
6.0 |
b- a |
1.8 |
1.9 |
2.1 |
62.4 |
1.0 |
- 55.1 |
5.1 |
- 8 -
<용어해설>
○ ‘전국(부산‧울산‧경남)’의 의미는 60(11)개 관측지점의 자료를 평균한 것임. 예를 들어 금년 5월의 강수량 101.7(170.3)mm의 의미는 60(11)개 지점의 5월 강수량을 모두 합하여 60(11)으로 나눈 값임.
○ 평년값은 1971년부터 2000년까지 30년 평균값임.
○ 전국(부산‧울산‧경남) 평균은 기상청 관측지점 수가 급증하여 안정적으로 자료를 생산하기 시작한 1973년 이후 60(11)개 지점을 평균한 것임.
— 1973년 이후를 비교한 이유는 현재 전국(부산‧울산‧경남) 평균하는 60(11)개 지점의 관측시작 시기가 1973년 이후가 대다수이므로 1973년을 기준으로 하였음.
○ 부산의 경우 1904년부터 분석 자료임.
○ 일조시간과 황사일수는 유인관측소 자료임.
<연대 예시>
○ 1930년대: 1931년부터 1940년까지를 의미
○ 1970년대: 1973년부터(부산의 경우 1971년부터) 1980년까지를 의미
○ 1980년대: 1981년부터 1990년까지를 의미
○ 2000년대: 2001년부터 2010년까지를 의미
-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