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기상대 |
대장 김남길 |
2010.6.7(월) 11:00 (총9매) |
즉 시 |
올봄 쌀쌀한 가운데 흐리고 비온 날 많았다
◇ 대륙고기압의 세력이 4월까지 유지되면서 올봄 전국의 평균기온은 10.8℃로 평년보다 0.7℃ 낮아, 1973년 이래 두 번째로 낮은 기온을 기록함
◇ 고기압 통과 후 우리나라로 자주 기압골이 통과하면서 1973년 이래 강수일수(34.7일)는 가장 많았고, 일조시간(평년대비 76.8%)은 가장 적었음
□ 봄철 기상 특성
○ 올봄(2010.3.1~5.31)에는 찬 대륙고기압의 영향을 자주 받아 전국 평균기온은 10.8℃로 평년(11.5℃)보다 0.7℃ 낮아, 1973년 이래 두 번째로 낮았음.
※ 평균최고기온은 16.1℃로 평년보다 1.4℃ 낮아, 1973년 이래 가장 낮았음.
— 평년과 비슷하거나 조금 높은 기온은 적었던 반면 평년보다 추운 날은 자주 나타났으며, 평년보다 아주 춥거나 따뜻한 날이 평년보다 많이 발생하여 기온의 변화가 심했음(그림 1).
|
그림 1. 올봄 일별 평균기온 편차의 발생 빈도 분포 |
- 1 -
— 3월에는 기온변화가 큰 가운데 평균기온(5.6℃)은 평년과 같았고, 4월에는 쌀쌀한 날씨가 지속되어 평년(12.0℃)보다 2.1℃ 낮아 1973년 이래 가장 낮았음(그림 2). 5월에는 상순에 대륙고기압이 급격히 약화되어 고온 현상이 나타났으나, 하순에는 오호츠크해고기압 발달하면서 북동류에 의해 동해안 지방을 중심으로 저온 현상이 나타나 평균기온(17.0℃)은 평년보다 0.1℃ 높았음.
|
그림 2. (좌) 올봄 평균기온 평년편차도(℃)와 (우) 전국 평균기온 일변화(℃) |
○ 봄철 강수량은 325.2㎜로 평년보다 많았음(평년대비 124.7 %, 그림 3).
|
그림 3. (좌) 올봄 강수량 평년비 분포도(%)와 (우) 전국 강수량 일변화(mm) |
- 2 -
— 3월과 4월에는 기압골의 영향으로 비 오는 날이 많았으며, 강수량은 201.2㎜로 평년(156.7㎜)보다 많았음(평년대비 162.6%, 106.5%). 5월에는 건조한 날이 지속되다가 중반 이후 많은 비가 내려 강수량은 124.0㎜로 평년(104.1㎜)과 비슷하였음(평년대비 119.1%).
— 특히 대륙고기압이 확장하여 우리나라를 통과한 후 한반도 남쪽과 북쪽으로 기압골이 자주 통과하면서 강수일수가 34.7일로 평년(24.8일)보다 9.9일 많아 1973년 이래 가장 많았음(그림 4).
‧ 잦은 강수로 인해 봄철 일조시간은 508.7시간으로 평년보다 153.6시간 적어 1973년 이래 가장 적었음(평년대비 76.8%).
|
그림 4. 1973년~2010년 봄철 강수일수(파랑)와 일조시간(빨강) 연변화 |
□ 쌀쌀한 날씨와 잦은 비의 원인
○ 올봄 추운 날이 많았던 원인은 지난겨울 우리나라에 한파와 폭설을 가져왔던 대륙고기압의 세력이 4월까지 유지되었기 때문임.
— 지난 초겨울 유라시아 대륙에 눈이 일찍 내려 평년에 비해 대륙고기압이 일찍 발달하였고, 1950년 이래 가장 강한 북극진동으로 인해 대륙고기압이 강하게 발달하였음.
— 그로 인해 대륙고기압의 발생지인 시베리아 지역의 눈덮임이 4월까지도 평년보다 많아 지면가열이 차단되면서 대륙고기압의 세력이 유지되었음(그림 5).
- 3 -
|
그림 5. 눈덮임 평년편차(좌:지난 초겨울, 우:4월19~25일, 녹색: 많음) |
— 5월에는 대륙고기압의 세력이 급격히 약해지면서 고온 현상이 나타났으나, 하순에 오호츠크해고기압이 발달하면서 북동류에 의해 동해안 지방을 중심으로 저온 현상이 나타났음(그림 6).
|
그림 6. 올봄 지상기압계(실선:해면기압, 음영:편차, 빨강:평년보다 강함)와 대륙고기압, 오호츠크해고기압 강도 및 전국 평균기온 일변화 |
○ 대륙고기압이 확장하여 우리나라를 통과한 후 한반도 남쪽과 북쪽으로 기압골이 자주 통과하면서 강수일수가 기록적으로 많았음(그림 3).
- 4 -
[첨부 1] |
전국의 봄철 기상자료 |
□ 평균기온, 평균 최고기온, 평균 최저기온, 강수량(1973- 2010년)
□ 평년대비 기상요소 값
요소(전국) |
2010년 봄(a) |
봄 평년값 (1971- 2000)(b) |
a- b |
1973년 이후 순위(5위 까지만) |
평균기온(℃) |
10.8 |
11.5 |
- 0.7 |
최저 2위 |
평균최고기온(℃) |
16.1 |
17.5 |
- 1.4 |
최저 1위 |
평균최저기온(℃) |
5.7 |
5.8 |
- 0.1 |
- |
강수량(mm) |
325.2 |
260.7 |
64.5(124.7%) |
- |
강수일수(일) |
34.7 |
24.8 |
9.9 |
최고 1위 |
일조시간(hr) |
508.7 |
662.3 |
153.6(76.8%) |
최저 1위 |
황사일수(일) |
6.5 |
3.5 |
3.0 |
- |
□ 연대별 기상요소 값
연도 |
평균기온 (℃) |
평균최고 기온(℃) |
평균최저 기온(℃) |
강수량 (mm) |
강수일수 (일) |
일조시간 (hr) |
황사일수 (일) |
1973- 1980년(a) |
11.3 |
17.2 |
5.7 |
301.8 |
25.1 |
659.6 |
3.0 |
1981- 1990년(b) |
11.5 |
17.6 |
5.9 |
232.9 |
24.9 |
646.4 |
2.9 |
1991- 2000년(c) |
11.7 |
17.8 |
6.0 |
254.4 |
24.4 |
623.5 |
4.9 |
2001- 2010년(d) |
12.1 |
18.1 |
6.4 |
267.2 |
26.1 |
601.8 |
7.4 |
d- a |
0.8 |
0.9 |
0.7 |
- 34.6 |
1.0 |
- 57.8 |
4.4 |
d- b |
0.6 |
0.5 |
0.5 |
34.3 |
1.2 |
- 44.6 |
4.5 |
d- c |
0.4 |
0.3 |
0.4 |
12.8 |
1.7 |
- 21.7 |
2.5 |
- 5 -
[첨부 2] |
청주의 봄철 기상자료 |
□ 평균기온, 평균 최고기온, 평균 최저기온, 강수량(1967- 2010년)
□ 평년대비 기상요소 값
요소(청주) |
2010년 봄(a) |
봄 평년값 (1971- 2000)(b) |
a- b |
평균기온(℃) |
11.4 |
11.5 |
- 0.1 |
평균최고기온(℃) |
17.0 |
18.1 |
- 1.1 |
평균최저기온(℃) |
6.4 |
5.6 |
0.8 |
강수량(mm) |
280.3 |
215.4 |
64.9(130.1%) |
강수일수(일) |
32 |
25.5 |
6.5 |
일조시간(hr) |
510.1 |
666.8 |
- 156.7(76.5%) |
황사일수(일) |
8.0 |
3.7 |
4.3 |
□ 연대별 기상요소 값
연도 |
평균기온 (℃) |
평균최고기온(℃) |
평균최저기온(℃) |
강수량 (mm) |
강수일수 (일) |
일조시간 (hr) |
황사일수 (일) |
11.0 |
17.3 |
5.2 |
210.7 |
25.0 |
630.2 |
2.0 |
|
1971- 1980년(c) |
11.0 |
17.4 |
5.2 |
252.2 |
26.8 |
645.1 |
2.1 |
11.6 |
18.5 |
5.5 |
185.0 |
25.6 |
681.4 |
3.2 |
|
12.0 |
18.5 |
6.1 |
209.2 |
24.3 |
673.9 |
5.9 |
|
2001- 2010년(d) |
12.7 |
18.8 |
7.1 |
214.9 |
26.0 |
615.8 |
8.1 |
d- c |
1.7 |
1.4 |
1.9 |
- 37.3 |
- 0.8 |
- 29.3 |
6.0 |
- 6 -
[첨부 3] |
전국의 5월 기상자료 |
□ 평균기온, 평균 최고기온, 평균 최저기온, 강수량(1973- 2010년)
□ 평년대비 기상요소 값
요소(전국) |
2010년5월(a) |
5월 평년값 |
a- b |
1973년 이후 순위(5위 까지만) |
평균기온(℃) |
17.0 |
16.9 |
0.1 |
- |
평균 최고기온(℃) |
22.9 |
22.9 |
0.0 |
- |
평균 최저기온(℃) |
11.5 |
11.2 |
0.3 |
- |
강수량(mm) |
124.0 |
104.1 |
19.9(119.1%) |
- |
강수일수(일) |
9.0 |
8.5 |
0.5 |
- |
일조시간(hr) |
207.0 |
231.0 |
- 24.0(89.6%) |
- |
황사일수(일) |
0.8 |
0.9 |
- 0.1 |
- |
□ 연대별 기상요소 값
연 도 |
평균기온 (℃) |
평균최고 기온(℃) |
평균최저 기온(℃) |
강수량 (mm) |
강수일수 (일) |
일조시간 (hr) |
황사일수 (일) |
1973- 1980년(a) |
16.7 |
22.7 |
10.8 |
111.1 |
8.4 |
241.8 |
0.8 |
1981- 1990년(b) |
17.1 |
23.2 |
11.4 |
93.3 |
8.2 |
230.5 |
1.1 |
1991- 2000년(c) |
16.9 |
22.9 |
11.2 |
108.8 |
8.9 |
222.8 |
1.0 |
2001- 2010년(d) |
17.4 |
23.4 |
12.0 |
119.1 |
9.3 |
208.1 |
1.0 |
d- a |
0.7 |
0.7 |
1.2 |
8.0 |
0.9 |
- 33.7 |
0.2 |
d- b |
0.3 |
0.2 |
0.6 |
25.8 |
1.1 |
- 22.4 |
- 0.1 |
d- c |
0.5 |
0.5 |
0.8 |
10.3 |
0.4 |
- 14.7 |
0.0 |
- 7 -
[첨부 4] |
청주의 5월 기상자료 |
□ 평균기온, 평균 최고기온, 평균 최저기온, 강수량(1967- 2010년)
□ 평년대비 기상요소 값
요소(청주) |
2010년 5월(a) |
5월 평년값 |
a- b |
평균기온(℃) |
18.5 |
17.5 |
1.0 |
평균 최고기온(℃) |
24.6 |
24.0 |
0.6 |
평균 최저기온(℃) |
12.8 |
11.5 |
1.3 |
강수량(mm) |
110.0 |
87.7 |
22.3 |
강수일수(일) |
9 |
8.7 |
0.3 |
일조시간(hr) |
210.3 |
241.4 |
30.8 |
황사일수(일) |
2 |
3.1 |
- 1.1 |
□ 연대별 기상요소 값
연 도 |
평균기온(℃) |
평균 최고기온(℃) |
평균 최저기온(℃) |
강수량(mm) |
강수일수 (일) |
일조시간 (hr) |
황사일수 (일) |
18.0 |
24.3 |
12.2 |
79.9 |
9.0 |
229.1 |
- |
|
1971- 1980년(c) |
17.0 |
23.4 |
11.0 |
94.1 |
9.2 |
242.0 |
0.7 |
17.9 |
24.6 |
11.8 |
74.3 |
8.1 |
245.0 |
1.2 |
|
17.7 |
24.0 |
11.8 |
94.9 |
8.9 |
237.4 |
1.2 |
|
2001- 2010년(d) |
18.7 |
24.6 |
13.3 |
95.6 |
8.6 |
219.9 |
1.3 |
d- c |
1.7 |
1.2 |
2.3 |
1.5 |
- 0.6 |
- 22.1 |
0.6 |
- 8 -
<용어해설>
○ ‘전국’의 의미는 60개 관측지점의 자료를 평균한 것임. 예를 들어 금년 5월의 강수량 101.7mm의 의미는 60개 지점의 5월 강수량을 모두 합하여 60으로 나눈 값임.
○ 평년값은 1971년부터 2000년까지 30년 평균값임.
○ 전국 평균은 기상청 관측지점 수가 급증하여 안정적으로 자료를 생산하기 시작한 1973년 이후 60개 지점을 평균한 것임.
— 1973년 이후를 비교한 이유는 현재 전국 평균하는 60개 지점의 관측시작 시기가 1973년 이후가 대다수이므로 1973년을 기준으로 하였음.
○ 서울의 경우 1908년부터 분석 자료임.
○ 일조시간과 황사일수는 유인관측소 자료임(일조시간 29소, 황사 28소).
<연대 예시>
○ 1930년대: 1931년부터 1940년까지를 의미
○ 1970년대: 1973년부터(서울의 경우 1971년부터) 1980년까지를 의미
○ 1980년대: 1981년부터 1990년까지를 의미
○ 2000년대: 2001년부터 2010년까지를 의미
-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