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지방기상청 대구기상대 |
대장 이 동 한 |
2010. 06. 17.(목) 15:30 (총2매) |
즉시 |
올 여름 폭염, 열대야 주의
- 최근 5년 평균 열대야 일수 : 대구 19.6일, 포항 15.0일
- 최근 5년 평균 폭염 일수 : 대구 23.8일, 의성 19.8일, 영천 19.4일
- 올 여름 기온은 평년과 비슷하겠으나, 고온현상이 나타날 때가 있겠으므로, 열대야와 폭염에 대한 대비 필요
□ 대구‧경북지방 최근 5년간 열대야, 폭염 일수
o 최근 5년 평균 열대야 일수는 대구 19.6일, 포항 15.0일, 영덕 4.2일 임. 월별로는 8월 > 7월 > 6월 > 9월 순으로 많이 나타났음.(표 1)
o 최근 5년 평균 폭염 일수는 대구 23.8일, 의성 19.8일, 영천 19.4일, 구미 17.0일, 포항 15.4일 임. 월별로는 열대야 일수와 마찬가지로 8월 > 7월 > 6월 > 9월 순으로 많이 나타났음.(표 2)
o 2009년 열대야와 폭염 일수가 적었던 원인은 오호츠크고기압의 영향으로 동해로부터 서늘한 공기가 자주 유입되어 평년에 비해 낮은 기온 분포를 보였기 때문임.
□ 전망
o 대구‧경북지방은 6월 하순부터 7월까지 기온은 평년과 비슷하겠으나, 고온 현상이 나타날 때가 있어 열대야와 폭염에 대한 대비가 필요함.
□ 당부사항
o 온도가 높은 한낮에는 격렬한 운동은 삼가고, 노약자는 가급적 외출을 하지 않는 등 뜨거운 햇볕은 피해야 함. 식사는 균형 있게, 물을 많이 섭취하고, 찬물보다는 미지근한 물로 샤워하여 숙면을 취하도록 함.
※ 폭염특보 기준
- 폭염주의보 : 6월~9월에 일최고기온 33℃ 이상이고, 일최고열지수 32℃ 이상인 상태가 2일 이상 지속
- 폭염 경보 : 6월~9월에 일최고기온 35℃ 이상이고, 일최고열지수 41℃ 이상인 상태가 2일 이상 지속
※ 열지수(Heat Index) : 기온과 습도에 따른 사람이 실제로 느끼는 더위를 지수화한 것
지점명 |
대구 |
포항 |
영덕 |
구미 |
영천 |
울진 |
영주 |
안동 |
의성 |
문경 |
봉화 |
평균 |
2005 |
19 |
26 |
7 |
4 |
4 |
5 |
4 |
0 |
0 |
0 |
0 |
6.3 |
2006 |
24 |
19 |
1 |
1 |
2 |
0 |
0 |
0 |
1 |
0 |
0 |
4.4 |
2007 |
24 |
17 |
3 |
0 |
2 |
3 |
1 |
0 |
1 |
0 |
0 |
4.6 |
2008 |
27 |
10 |
9 |
5 |
2 |
2 |
0 |
4 |
2 |
0 |
0 |
5.5 |
2009 |
4 |
3 |
1 |
1 |
0 |
0 |
0 |
0 |
0 |
0 |
0 |
0.8 |
평균 |
19.6 |
15.0 |
4.2 |
2.2 |
2.0 |
2.0 |
1.0 |
0.8 |
0.8 |
0.0 |
0.0 |
4.3 |
지점명 |
대구 |
포항 |
영덕 |
구미 |
영천 |
울진 |
영주 |
안동 |
의성 |
문경 |
봉화 |
평균 |
2005 |
26 |
22 |
11 |
19 |
26 |
5 |
10 |
7 |
14 |
4 |
2 |
6.3 |
2006 |
26 |
19 |
17 |
22 |
27 |
1 |
12 |
13 |
26 |
16 |
7 |
4.4 |
2007 |
22 |
16 |
11 |
14 |
24 |
6 |
4 |
7 |
21 |
5 |
1 |
4.6 |
2008 |
34 |
13 |
21 |
24 |
19 |
7 |
13 |
18 |
32 |
9 |
7 |
5.5 |
2009 |
11 |
7 |
6 |
6 |
1 |
0 |
2 |
1 |
6 |
2 |
2 |
0.8 |
평균 |
23.8 |
15.4 |
13.2 |
17.0 |
19.4 |
3.8 |
8.2 |
9.2 |
19.8 |
7.2 |
3.8 |
4.3 |
□ 대구‧경북의 폭염 원인
o 대구‧경북의 폭염과 열대야 발생일수가 많이 나타나는 것은 타 지역에 비해 강수일수가 적고, 소백산맥, 태백산맥 등 주변의 산맥 영향으로 발생하는 유사 푄현상과 강한 지면 가열이 복합적으로 발생하는 기후와 지리적 영향 때문임.
o 특히, 포항, 울진 등 동해안지역은 남서풍이 불 때 태백산맥의 영향으로 전국 최고기온이 발생될 때도 있음.
o 대구광역시의 폭염과 열대야 일수가 많은 것은 한반도 내륙에서 가장 규모가 큰 도시로서 주변이 산악으로 형성된 분지의 효과가 크고, 해상으로부터 불어오는 바람의 영향을 전혀 받지 못하여 고온 현상이 수일간 지속되기 때문임. 여름철 열섬현상이 발생하는 서울과 비슷함.
※ 보도자료는 기상청 홈페이지(http://www.kma.go.kr)
행정과정책/보도자료/소속기관(각 지방청)에서 상세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