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기상대 |
대장 이 원 구 |
2010.7.5(월) 16:30(총6매) |
즉 시 |
올 6월 고온 건조한 날 많았다
◇ 고온 건조한 고기압의 영향으로 6월 평균기온은 평년보다 높았으며, 최고기온은 1973년 이래 가장 높았음
◇ 일본 남쪽 해상에 위치한 장마전선에 의해 우리나라로의 수증기 유입이 차단되어 강수량이 평년보다 적었음
□ 6월 기상 특성
○ 기온 : 평균기온 ‧ 평균최고기온은 1973년 이래 가장 높았음
— 고온 건조한 고기압의 영향으로 6월 전북 평균기온은 22.5℃로 평년(21.3℃)보다 1.2℃ 높았으며(그림 1), 1973년 이래 최고로 높은 값임(1위 2005년 22.5℃). 평년 보다 기온이 높았던 날이 장기간 지속된 가운데 최고기온은 평년보다 1.8℃가 높은 28.5℃로 1973년 이래 가장 높았음(첨부 참조).
|
|
그림 1. (좌) 6월 평균기온 평년편차도(℃)와 (우) 전북 평균기온 일변화(℃) |
- 1 -
— 6월 상순에는 동서고압대의 영향으로 전북지방 평균기온은 평년보다 1.1℃ 높았으며, 중순과 하순도 고기압의 영향으로 평년보다 각각 1.5℃, 1.1℃ 높았음.
○ 강수량 : 전북지방 강수량은 1973년 이래 가장 적었음
— 6월 전북지방 강수량은 29.6㎜(평년 대비 17.4%)로, 1973년 이래 가장 적었음(그림 2).
— 상순에는 맑고 건조한 날이 많았고, 남서쪽에서 다가오는 기압골의 영향으로 비가 자주 내렸으나 강수량은 평년보다 적었음. 하순에는 25일 이후 장마전선의 영향으로 비가 내렸으나, 강수량은 평년보다 적었음.
|
|
그림 2. (좌) 6월 강수량 평년비 분포도(%)와 (우) 전북 강수량 일변화(mm) |
- 2 -
□ 기온이 높고 강수량이 적었던 원인
○ 중국으로부터 이동해 온 건조한 성질의 이동성 고기압이 우리나라 주변에서 동서고압대를 형성하면서 강한 일사의 영향으로 지면을 가열함에 따라 우리나라는 맑고 건조한 날이 많았음(그림 3).
— 특히 낮 동안 강한 일사에 의해 지표가 급격히 가열되면서 최고기온이 30℃가 넘는 고온 현상이 자주 발생하였음.
- 3 -
○ 장마전선이 주로 일본 남쪽 해상에 위치함에 따라 수증기가 우리나라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어 비가 적게 내렸음(그림 4).
— 북태평양고기압이 평년에 비해 남서쪽으로 발달하면서 우리나라 쪽으로 확장하지 못하였음.
— 태풍 발생지역에는 고기압에 의한 하강 기류로 인해 태풍의 발생을 억제하였음.
- 4 -
[첨부 1] |
전북지방의 6월 기상자료 |
□ 평균기온, 평균 최고기온, 평균 최저기온, 평균 강수량(1973- 2010년)
□ 평년대비 기상요소 값
요 소(전북) |
2010년 (a) |
평년값(1971- 2000) (b) |
a- b |
1973년 이후 순위(5위까지만) |
평균기온(℃) |
22.5 |
21.3 |
1.2 |
최고 1위 |
평균 최고기온(℃) |
28.5 |
26.7 |
1.8 |
최고 1위 |
평균 최저기온(℃) |
17.7 |
16.7 |
1.0 |
- |
강수량(mm) |
29.6 |
170.0 |
- 140.4(17.4%) |
최저 1위 |
강수일수(일) |
11.0 |
10.1 |
0.9 |
- |
- 5 -
[첨부 2] |
전주의 6월 기상자료 |
□ 평균기온, 평균 최고기온, 평균 최저기온, 평균 강수량(1973- 2010년)
□ 평년대비 기상요소 값
요 소(전주) |
2010년 (a) |
평년값(1971- 2000) (b) |
a- b |
1973년 이후 순위 (5위 까지만) |
평균기온(℃) |
23.5 |
22.2 |
1.3 |
최고 1위 |
평균 최고기온(℃) |
29.7 |
27.5 |
2.2 |
최고 1위 |
평균 최저기온(℃) |
18.4 |
17.6 |
0.8 |
- |
강수량(mm) |
21.3 |
173.8 |
- 152.5(12.3%) |
- |
강수일수(일) |
10.0 |
11.2 |
- 1.2 |
최저 1위 |
<연대 예시>
○ 1970년대: 1973년부터 1980년까지를 의미
○ 1980년대: 1981년부터 1990년까지를 의미
○ 2000년대: 2001년부터 2010년까지를 의미
-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