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 7. 5.(월) 18:00 (총 6매) |
즉시 |
광주지방기상청 기후과 |
과장 최 경 철 |
올 6월 고온 건조한 날 많았다
◇ 고온 건조한 고기압의 영향으로 6월 평균기온은 평년보다 높았으며,
특히 광주의 6월 평균기온은 23.7℃로 1939년 관측이래 가장 높은 기온을 기록함.
(첨부 2. 참조)
◇ 장마전선이 주로 일본 남쪽 해상에 위치함에 따라 우리나라로 수증기 유입이 차단되어 강수량이 평년보다 적었음
□ 6월 기상 특성
○ 기온 : 광주‧전라남도 지방 평균기온은 1973년 이래 두번째로 높았음
— 고온 건조한 고기압의 영향으로 광주‧전라남도지방의 6월 평균기온은 22.2℃로 평년(21.1℃)보다 1.1℃ 높았으며(그림 1), 1973년 이래 두 번째로 높은 값임(1위 2005년 22.5℃). 평년보다 기온이 높았던 날이 장기간 지속된 가운데 월 평균 최고기온도 평년보다 1.5℃가 높은 27.3℃로 1973년 이래 세번째로 높았음(첨부1. 참조).
|
|
그림 1. (좌) 6월 평균기온 평년편차도(℃)와 (우) 광주‧전라남도지방 평균기온 일변화(℃) |
— 6월 상순에는 동서고압대의 영향으로 광주‧전라남도지방 평균 기온은 평년보다 0.7℃ 높았음. 중순과 하순도 고기압의 영향으로 평년보다 각각 1.5℃, 1.1℃ 높았음.
○ 강수량 : 광주‧전라남도 지방 강수량은 평년보다 적었음
— 6월 광주‧전라남도지방 강수량은 95.2㎜로 평년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평년대비 44.7%를 기록함.(그림 2).
— 상순에는 맑고 건조한 날이 많아 평년보다 강수량이 적었고(평년대비 8.5%), 중순에도 고기압의 영향을 주로 받았으며, 강수량은 평년보다 적었음(평년대비 37.3%). 하순에는 25일 이후 장마전선의 영향으로 비가 내렸으나, 역시 강수량은 평년보다 적었음(평년대비 69.1%).
— 장마전선은 북상하면서 17일에는 제주도, 18일은 남해안에 비가 내렸으나, 이후 제주도 남쪽 해상으로 남하하였음. 25일 다시 장마전선이 북상하면서 남부지방에 영향을 주었고, 26일에는 전국이 장마전선의 영향을 받았음. 이후 장마전선이 남하하여 28일에는 남부지방과 제주도, 29일에는 제주도에 비가 내렸음.
|
|
그림 2. (좌) 6월 강수량 평년비 분포도(%)와 (우) 광주‧전라남도지방 강수량 일변화(mm) |
□ 기온이 높고 강수량이 적었던 원인
○ 중국으로부터 이동해 온 건조한 성질의 이동성 고기압이 우리나라 주변에서 동서고압대를 형성하면서 강한 일사의 영향으로 지면이 가열됨에 따라 우리나라는 맑고 건조한 날이 많았음(그림 3).
— 특히 낮 동안 강한 일사에 의해 지표가 급격히 가열되면서 일최고기온이 30℃가 넘는 고온 현상이 자주 발생하였음.(광주‧전라남도 6월중 총 12일)
○ 장마전선이 주로 일본 남쪽 해상에 위치함에 따라 수증기가 우리나라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어 비가 적게 내렸음(그림 4).
— 북태평양고기압이 평년에 비해 남서쪽으로 발달하면서 우리나라 쪽으로 확장하지 못하였음.
— 태풍 발생지역인 북서태평양에는 고기압에 의한 하강 기류로 인해 태풍의 발생이 억제되었음.
[첨부 1] |
광주‧전라남도지방의 6월 기상통계분석 |
□ 평균기온, 평균 최고기온, 평균 최저기온, 평균 강수량(1973- 2010년)
□ 평년대비 기상요소 값
요 소(광주‧전라남도) |
2010년 (a) |
평년값(1971- 2000) (b) |
a - b |
1973년 이후 순위(5위까지만) |
월 평균기온(℃) |
22.2 |
21.1 |
1.1 |
최고 2위 |
월 평균 최고기온(℃) |
27.3 |
25.8 |
1.5 |
최고 3위 |
월 평균 최저기온(℃) |
18.2 |
17.2 |
1.0 |
최고 3위 |
월 강수량(mm) |
95.2 |
213.0 |
- 117.8(44.7%) |
- |
월 강수일수(일) |
11.0 |
11.0 |
- |
- |
○ ‘광주‧전라남도지방’의 의미는 8개 관측지점(광주, 목포, 여수, 완도,순천, 장흥, 해남, 고흥)의 자료를 평균한 것임. 예를 들어 금년 6월의 강수량 95.2mm의 의미는 위 8개 지점의 6월 강수량을 모두 합하여 8로 나눈 값임.
○ 광주‧전라남도지방 평균은 기상청 관측지점 수가 급증하여 안정적으로 자료를 생산하기 시작한 1973년 이후 8개 지점을 평균한 것임.
— 1973년 이후를 비교한 이유는 현재 전국 평균하는 60개 지점의 관측시작 시기가 1973년 이후가 대다수이므로 1973년을 기준으로 하였음.
[첨부 2] |
광주의 6월 기상통계분석 |
□ 평균기온, 평균 최고기온, 평균 최저기온, 평균 강수량(1939- 2010년)
□ 평년대비 기상요소 값
요 소(광주) |
2010년 (a) |
평년값(1971- 2000) (b) |
a - b |
1939년 이후 순위 (5위 까지만) |
월 평균기온(℃) |
23.7 |
22.0 |
1.7 |
최고 1위 |
월 평균 최고기온(℃) |
29.3 |
27.1 |
2.2 |
최고 3위 |
월 평균 최저기온(℃) |
19.5 |
17.8 |
1.7 |
최고 2위 |
월 강수량(mm) |
70.6 |
190.2 |
- 119.6(37.1%) |
- |
월 강수일수(일) |
14.0 |
11.1 |
2.9 |
- |
○ 광주의 분석자료는 1939년 관측을 시작한 시점부터의 자료임.
○ 평년값은 1971년부터 2000년까지 30년 평균값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