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기상대 |
대장 김 남 길 |
2010. 8. 06.(금)11:00(총6매) |
즉시 |
7월 기후 특성
◇ 평년보다 발달한 북태평양 고기압의 영향을 받아 고온 다습한 남서기류가 지속적으로 우리나라로 유입되었고, 낮 동안 일사에 의한 지면 가열로 남부 내륙과 영동지방을 중심으로 폭염이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7월 전국 평균기온은 평년보다 높았음
□ 기온과 강수량 현황
○ 기온
— 7월 전국 평균기온은 25.3℃로 평년보다 0.8℃ 높았으며(그림 1), 평균 최고기온과 평균 최저기온은 29.4℃, 22.2℃로 평년보다 각각 0.6℃, 1.1℃ 높았음.
|
|
그림 1. (좌) 7월 평균기온 평년편차도(℃)와 (우) 전국 평균기온 일변화(℃) |
- 1 -
○ 강수량
— 7월 전국 강수량은 263.5㎜(평년비 100%)로 평년과 비슷하였음(그림 2). 상순 이후 북태평양고기압이 중부지방까지 확장하면서 장마전선의 영향으로 7월 11일(남부), 16일(남부, 중서부), 23일(서해중부)에는 200mm 이상의 집중호우가 발생하였음.
|
|
그림 2. (좌) 7월 강수량 평년비 분포도(%)와 (우) 전국 강수량 일변화(mm) |
□ 기온이 높았던 원인
○ 평년에 비해 강하게 발달한 북태평양고기압 가장자리를 따라 고온 다습한 남서기류가 우리나라로 지속적으로 유입되었고 낮 동안 일사에 의한 지면 가열로 남부 내륙과 영동지방을 중심으로 30도를 웃도는 폭염이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7월 전국 평균기온은 평년보다 높았음(그림 3).
|
그림 3. 7월 5km 상공 평균고도장(실선) 및 편차장(음영) |
- 2 -
○ 지난해 6월부터 올해 4월까지 지속되었던 엘니뇨현상은 적도 태평양에서 동풍이 점차 강해지면서 5월부터 정상상태로 회복되기 시작하였고, 6월부터는 동태평양의 해수면온도가 낮아지고 있음.
— 특히 7월에는 적도의 동풍 기류가 더욱 강해지고 북태평양고기압이 서쪽으로 확장 발달함에 따라, 강한 대류 활동 구역이 평년보다 서편하여 인도네시아 부근 해역에 나타나고 있음.
○ 인도네시아 부근 해역에서 형성된 강한 대류활동(deep convection)에 의한 파동 에너지가 북서태평양 지역으로 전파되면서 우리나라 남동쪽에 위치한 북태평양고기압 세력을 더욱 강화시켰고 그 영향으로 7월 우리나라 전국 평균기온이 높았음(그림 4).
적도 동풍류 강화 |
그림 4. (좌) 7월 5km 상공 바람장 편차 및 최근(7.25~31) 해수면온도 편차(음영) (우) 북반구 여름철 P- J(Pacific- Japan) 패턴 모식도(Nitta, 1987) |
○ 최근에는 북태평양고기압이 강화되면서 열대 태평양 표층의 더운 해수가 서태평양지역과 남북으로 분산되면서 열대 서태평양 해역과 북태평양 중위도 해역에 강한 고수온 벨트가 형성되었고, 적도의 동풍 기류 강화로 동태평양의 저수온 현상(7.25 ~7.31간의 엘니뇨 감시구역 해수면온도 편차 - 1.4℃)이 점차 강해지고 있음.
- 3 -
[첨부 1] |
전국의 7월 기후자료 |
□ 평균기온, 평균 최고기온, 평균 최저기온, 강수량(1973- 2010년)
□ 평년대비 기상요소 값
요 소 |
2010년 7월(a) |
7월 평년값 (b) |
a- b |
1973년 이후 순위(5위까지) |
평균기온(℃) |
25.3 |
24.5 |
0.8 |
- |
평균 최고기온(℃) |
29.4 |
28.8 |
0.6 |
- |
평균 최저기온(℃) |
22.2 |
21.1 |
1.1 |
- |
최고기온 30도 이상(일) |
15.0 |
12.4 |
2.6 |
- |
강수량(㎜) |
263.5 |
263.4 |
0.1(100%) |
- |
강수일수(일) |
16.1 |
13.8 |
2.3 |
- |
1시간강수량 30㎜이상(일) |
0.6 |
(0.5) |
0.1 |
- |
일강수량 80㎜이상(일) |
0.8 |
(0.6) |
0.2 |
- |
일강수량 150㎜이상(일) |
0.2 |
(0.1) |
0.1 |
최고 5위 |
※ 평년값 중 ( )값은 1973~2000의 평균값임
□ 연대별 기상요소 값
연도 |
평균 기온 (℃) |
평균 최고기온 (℃) |
평균 최저기온(℃) |
최고기온 30도이상 (일) |
강수량 (mm) |
강수 일수 (일) |
1시간강수량 30mm이상 (일) |
일강수량 80mm이상 (일) |
일강수량 150mm이상 (일) |
1973- 1980년(a) |
24.5 |
28.7 |
21.1 |
12.3 |
234.2 |
13.9 |
0.4 |
0.4 |
0.0 |
1981- 1990년(b) |
24.3 |
28.6 |
21.0 |
12.0 |
296.9 |
14.4 |
0.6 |
0.7 |
0.1 |
1991- 2000년(c) |
24.6 |
29.0 |
21.1 |
13.0 |
252.8 |
13.1 |
0.6 |
0.6 |
0.1 |
2001- 2010년(d) |
24.4 |
28.6 |
21.3 |
11.9 |
342.4 |
16.0 |
0.9 |
1.0 |
0.2 |
d- a |
- 0.1 |
- 0.1 |
0.2 |
- 0.4 |
108.2 |
2.1 |
0.5 |
0.6 |
0.2 |
d- b |
0.1 |
0.0 |
0.3 |
- 0.1 |
45.5 |
1.6 |
0.3 |
0.3 |
0.1 |
d- c |
- 0.2 |
- 0.4 |
0.2 |
- 1.1 |
89.6 |
2.9 |
0.3 |
0.4 |
0.1 |
- 4 -
[첨부 2] |
청주의 7월 기후자료 |
□ 평균기온, 평균 최고기온, 평균 최저기온, 강수량(1967- 2010년)
□ 평년대비 기상요소 값
요 소 |
2010년 7월(a) |
7월 평년값 (1971- 2000) (b) |
a- b |
1967년 이후 순위(5위까지) |
평균기온(℃) |
26.6 |
25.3 |
1.3 |
최고 5위 |
평균 최고기온(℃) |
30.8 |
29.9 |
0.9 |
- |
평균 최저기온(℃) |
23.2 |
21.7 |
1.5 |
최고 4위 |
최고기온 30도 이상(일) |
21 |
16.1 |
4.9 |
- |
열대야 일수 |
9 |
2.5 (최근10년 평균) |
6.5 |
최고 1위 |
강수량(㎜) |
224.1 |
265.3 |
- 41.2 |
- |
강수일수(일) |
18 |
15.3 |
2.7 |
- |
1시간 강수량 30㎜이상(일) |
- |
0.6 |
- 0.6 |
- |
일강수량 80㎜이상(일) |
- |
0.4 |
- 0.4 |
- |
일강수량 150㎜이상(일) |
- |
0.1 |
- 0.1 |
- |
□ 연대별 7월 기상요소 값
연도 |
평균 기온 (℃) |
평균 최고기온 (℃) |
평균 최저기온(℃) |
최고기온 30도이상 (일) |
강수량 (mm) |
강수 일수 (일) |
1시간강수량 30mm이상 (일) |
일강수량 80mm이상 (일) |
일강수량 150mm이상 (일) |
24.8 |
29.0 |
21.5 |
14 |
257.8 |
15.8 |
0.5 |
0.8 |
- |
|
1971- 1980년(a) |
25.1 |
29.6 |
21.6 |
15.2 |
264.3 |
15.2 |
0.9 |
0.4 |
0.1 |
25.1 |
29.8 |
21.4 |
16.1 |
300.18 |
16.1 |
0.7 |
0.4 |
0.1 |
|
25.8 |
30.3 |
22.0 |
17 |
231.5 |
14.6 |
0.2 |
0.3 |
0.1 |
|
2001- 2010년(b) |
25.3 |
29.3 |
22.1 |
14.5 |
316.5 |
17 |
0.8 |
0.5 |
0.2 |
b- a |
0.2 |
- 0.3 |
0.5 |
- 0.7 |
52.2 |
1.8 |
- 0.1 |
0.1 |
0.1 |
- 5 -
○ ‘전국’의 의미는 60개 관측지점의 자료를 평균한 것임. 예를 들어 금년 5월의 강수량 101.7mm의 의미는 60개 지점의 5월 강수량을 모두 합하여 60으로 나눈 값임.
○ 평년값은 1971년부터 2000년까지 30년 평균값임.
○ 전국 평균은 기상청 관측지점 수가 급증하여 안정적으로 자료를 생산하기 시작한 1973년 이후 60개 지점을 평균한 것임.
— 1973년 이후를 비교한 이유는 현재 전국 평균하는 60개 지점의 관측시작 시기가 1973년 이후가 대다수이므로 1973년을 기준으로 하였음.
○ 청주의 경우 1967년부터 분석 자료임.
<연대 예시>
○ 1930년대: 1931년부터 1940년까지를 의미
○ 1970년대: 1973년부터(서울의 경우 1971년부터) 1980년까지를 의미
○ 1980년대: 1981년부터 1990년까지를 의미
○ 2000년대: 2001년부터 2010년까지를 의미
-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