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 9. 6.(월) 11:00 (총 8매) |
즉시 |
광주지방기상청 기후과 |
과장 최 경 철 |
< 광주 ‧ 전라남도 지방 >
금년 여름, 높은 기온과 밤에는 열대야로 더웠다
◇ 금년 여름은 동서고압대와 발달한 북태평양고기압 영향으로 기온이 높았으며 열대야가 많이 발생하였음.
- 평균기온이 평년보다 높았던 날이 92일 중 78일로 나타났음
- 열대야 일수 16.4일로 평년보다 9.8일 많아 2000년 이래 가장 많았음
- 최저기온은 21.9℃로 평년보다 1.5℃ 높아 1973년 이래 가장 높았음
◇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였으나, 강수일수는 평년보다 많았음
- 8월에는 저기압과 태풍 등 영향으로 많은 비가 내렸음.
◇ 태풍은 7개가 발생하여 평년(11.3개)보다 적었으며, 우리나라에는 그 중 2개(평년 2.6개)가 영향을 주었음.
□ 광주 ‧ 전라남도 여름철 기상 특성
○ 금년 여름(2010.6.1~8.31), 광주‧전라남도지방에는 동서고압대와 평년보다 발달한 북태평양고기압의 영향으로 평균기온이 평년보다 높았던 날이 92일 중 78일로 나타났음(그림 1)
— 고온다습한 남서류의 유입과 강한 일사 영향으로, 열대야 일수는 16.4일로 평년(6.6일)보다 9.8일이 많아 2000년 이래 가장 많았음.
— 평균기온은 24.9℃로 평년(23.9℃)보다 1.0℃ 높았고(1973년 이래 최고 3위), 최고기온은 29.1℃로 평년(28.2℃)보다 0.9℃ 높았으며(1973년 이래 최고 5위), 최저기온은 21.9℃로 평년(20.4℃)보다 1.5℃ 높아 1973년 이래 가장 높은 기온을 기록하였음
- 1 -
|
|
그림 1. (좌) 금년 여름 광주‧전라남도 평균기온 일변화(℃)와 (우) 금년 여름 전국 평균기온 평년편차도(℃) |
○ 금년 여름 강수량은 816.1㎜로 평년(719.9㎜)과 비슷하였음(평년대비 113.4 %)(그림 2).
— 1시간 강수량이 30㎜ 이상인 날은 2.8일(평년 1.5일)로 1973년 이래 다섯번째로 많이 나타났음.
— 강수일수는 43일로 평년(35.9일)보다 7.1일이 많았음.
— 8월에는 저기압과 태풍 등 열대 저기압의 영향으로 많은 비가 내려, 남부지방은 장마기간의 강수보다 8월 강수량이 더 많았음.
구 분 |
장마기간(일수) |
장마기간 강수량(㎜) |
8월 강수량(㎜) |
중부 |
06.26~07.28(33) |
229.24 |
379.81 |
남부 |
06.18~07.28(41) |
340.51 |
355.84 |
제주 |
06.17~07.28(42) |
504.17 |
372.07 |
|
|
그림 2. (좌) 금년 여름 광주‧전라남도 강수량 평년비 분포도(%)와 (우) 전국 강수량 일변화(mm) |
- 2 -
○ 금년 여름 태풍은 7개 발생하여 평년(11.3개) 보다 적었으며, 우리나라에는 2개(평년 2.6개)가 영향을 주었음.
- 6월과 7월에는 태풍 발생구역과 필리핀 인근 해상으로 북태평양고기압이 확장하면서 태풍 발생이 적었으나, 8월 들어 북태평양고기압의 축이 북편하면서 5개의 태풍이 발생하여 그 중 2개가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었음.
□ 광주 여름철 기상 특성
○ 금년 여름(2010.6.1~8.31), 광주지역 열대야 일수는 31일로 평년(11.1일)보다 19.9일이 많아 2000년 이래 가장 많았으며, 최저기온은 22.7℃로 평년(20.9℃)보다 1.8℃ 높아 1939년 이래 가장 높은 기온을 기록하였음.
□ 여름철 기온이 높았던 원인
○ 7~8월 북태평양고기압이 북쪽으로 확장하면서 가장자리를 따라 중국 남부로부터 고온다습한 남서기류가 유입되면서 열대야가 자주 발생하였고, 한낮의 복사 가열에 의하여 최고기온이 높아져 폭염도 나타났음.
※ 첨부자료
1. 여름철 기온이 높았던 원인
2. 광주‧전라남도지방의 여름철(6~8월) 기상통계 분석
3. 광주 여름철(6~8월) 기상통계 분석
4. 광주‧전라남도지방의 8월 기상통계 분석
5. 광주 8월 기상통계 분석
- 3 -
[첨부 1] |
여름철 기온이 높았던 원인 |
□ 여름철 기온이 높았던 원인
○ 6월에 중국으로부터 우리나라로 이동해 온 건조한 성질의 이동성 고기압이 동서고압대를 형성하면서, 낮 동안 강한 일사에 의해 지표가 급격히 가열되어 최고기온이 30℃가 넘는 고온 현상이 자주 발생하였음(그림 3).
○ 7~8월에는 북태평양고기압이 북쪽으로 확장하면서 가장자리를 따라 중국 남부로부터 고온다습한 남서기류가 유입되면서 열대야가 자주 발생하였고, 한낮의 복사 가열에 의하여 최고기온이 더욱 높아져 폭염도 발생하였음.
|
|
그림 3. (좌) 6월 평균 해면기압(실선) 및 해면기압편차(음영)과 (우) 7- 8월 500hPa 평균 고도장(실선, 검정:2010년, 파랑:평년) 및 편차장(음영, 붉은색:고기압 발달, 파랑색:저기압 발달) |
- 4 -
[첨부 2] |
광주‧전라남도지방의 여름철(6~8월) 기상통계분석 |
□ 평균기온, 평균 최고기온, 평균 최저기온, 평균 강수량(1973- 2010년)
□ 평년대비 기상요소 값
요 소(광주‧전라남도) |
2010년 여름 (a) |
여름평년값(1973- 2000)(b) |
a - b |
1973년이후 순위 (5위까지) |
평균기온(℃) |
24.9 |
23.9 |
1.0 |
최고 3위 |
평균 최고기온(℃) |
29.1 |
28.2 |
0.9 |
최고 5위 |
평균 최저기온(℃) |
21.9 |
20.4 |
1.5 |
최고 1위 |
일최고기온 30℃ 이상(일) |
41.3 |
31.2 |
10.1 |
최고 5위 |
열대야 일수(일) |
16.4 |
6.6* |
9.8 |
2000년 이래 최고 1위 |
강수량(mm) |
816.1 |
719.9 |
96.2(113.4%) |
- |
강수일수(일) |
43.0 |
35.9 |
7.1 |
- |
1시간강수량 30㎜이상(일) |
2.8 |
1.5 |
1.3 |
최고 5위 |
일조시간(시간) |
416.3 |
562.1 |
- 145.8(74.1%) |
최저 5위 |
※ 열대야 일수는 밤 최저기온(18:01~익일 09:00) 25℃ 이상인 일수임.
*(열대야일수 평년값)은 2000~2009년 동안의 평균값임.
※ ‘광주‧전라남도지방’의 의미는 8개 관측지점(광주, 목포, 여수, 완도,순천, 장흥, 해남, 고흥)의 자료를 평균한 것임. 예를 들어 금년 7월의 강수량 330.3mm의 의미는 위 8개 지점의 7월 강수량을 모두 합하여 8로 나눈 값임.
※ 광주‧전라남도지방 평균은 기상청 관측지점 수가 급증하여 안정적으로 자료를 생산하기 시작한 1973년 이후 8개 지점을 평균한 것임.
— 1973년 이후를 비교한 이유는 현재 전국 평균하는 60개 지점의 관측시작 시기가 1973년 이후가 대다수이므로 1973년을 기준으로 하였음.
[첨부 3] |
광주의 여름철(6~8월) 기상통계분석 |
- 5 -
□ 평균기온, 평균 최고기온, 평균 최저기온, 평균 강수량(1939- 2010년)
□ 평년대비 기상요소 값
요 소(광주) |
2010년 여름 (a) |
여름평년값(1971~2000) (b) |
a - b |
1939년이후 순위 (5위까지) |
평균기온(℃) |
26.0 |
24.6 |
1.4 |
최고 2위 |
평균 최고기온(℃) |
30.7 |
29.1 |
1.6 |
최고 4위 |
평균 최저기온(℃) |
22.7 |
20.9 |
1.8 |
최고 1위 |
일최고기온 30℃ 이상(일) |
61 |
40.1 |
20.9 |
최고 5위 |
열대야 일수(일) |
31 |
11.1* |
19.9 |
2000년 이래 최고 1위 |
강수량(mm) |
861.2 |
748.4 |
112.8(115.1%) |
- |
강수일수(일) |
49.0 |
39.4 |
9.6 |
- |
1시간강수량 30㎜이상(일) |
4.0 |
2.0 |
2.0 |
최고 3위 |
일조시간(시간) |
381.1 |
528.9 |
- 147.8(72.1%) |
최저 5위 |
※ 열대야 일수는 밤 최저기온(18:01~익일 09:00) 25℃ 이상인 일수임.
*(열대야일수 평년값)은 2000~2009년 동안의 평균값임.
※ 광주의 분석자료는 1939년 관측을 시작한 시점부터의 자료임.
※ 평년값은 1971년부터 2000년까지 30년 평균값임.
- 6 -
[첨부 4] |
광주‧전라남도지방의 8월 기상통계분석 |
□ 평균기온, 평균 최고기온, 평균 최저기온, 평균 강수량(1973- 2010년)
□ 평년대비 기상요소 값
요 소(광주‧전라남도) |
2010년 8월 (a) |
8월 평년값(1973- 2000)(b) |
a - b |
1973년이후 순위 (5위까지) |
평균기온(℃) |
27.3 |
25.7 |
1.6 |
최고 1위 |
평균 최고기온(℃) |
31.1 |
30.0 |
1.1 |
- |
평균 최저기온(℃) |
24.5 |
22.3 |
2.2 |
최고 1위 |
일최고기온 30℃ 이상(일) |
22.8 |
17.0 |
5.8 |
- |
열대야 일수(일) |
12.8 |
3.6* |
9.2 |
2000년 이래 최고 1위 |
강수량(mm) |
388.6 |
249.7 |
138.9(155.6%) |
- |
강수일수(일) |
16.3 |
11.7 |
4.6 |
- |
1시간강수량 30㎜이상(일) |
1.4 |
0.8 |
0.6 |
- |
일조시간(시간) |
150.8 |
206.4 |
- 55.6(73.1%) |
- |
※ 열대야 일수는 밤 최저기온(18:01~익일 09:00) 25℃ 이상인 일수임.
*(열대야일수 평년값)은 2000~2009년 동안의 평균값임.
※ ‘광주‧전라남도지방’의 의미는 8개 관측지점(광주, 목포, 여수, 완도,순천, 장흥, 해남, 고흥)의 자료를 평균한 것임. 예를 들어 금년 7월의 강수량 330.3mm의 의미는 위 8개 지점의 7월 강수량을 모두 합하여 8로 나눈 값임.
※ 광주‧전라남도지방 평균은 기상청 관측지점 수가 급증하여 안정적으로 자료를 생산하기 시작한 1973년 이후 8개 지점을 평균한 것임.
— 1973년 이후를 비교한 이유는 현재 전국 평균하는 60개 지점의 관측시작 시기가 1973년 이후가 대다수이므로 1973년을 기준으로 하였음.
- 7 -
[첨부 5] |
광주의 8월 기상통계분석 |
□ 평균기온, 평균 최고기온, 평균 최저기온, 평균 강수량(1939- 2010년)
□ 평년대비 기상요소 값
요 소(광주) |
2010년 8월 (a) |
8월 평년값(1971- 2000)(b) |
a - b |
1939년이후 순위 (5위까지) |
평균기온(℃) |
28.1 |
26.1 |
2.0 |
최고 1위 |
평균 최고기온(℃) |
32.2 |
30.6 |
1.6 |
최고 3위 |
평균 최저기온(℃) |
25.1 |
22.6 |
2.5 |
최고 1위 |
일최고기온 30℃ 이상(일) |
27.0 |
19.8 |
7.2 |
- |
열대야 일수(일) |
21.0 |
4.9* |
16.1 |
2000년 이래 최고 1위 |
강수량(mm) |
337.6 |
276.2 |
61.4(122.2%) |
- |
강수일수(일) |
18.0 |
13.9 |
4.1 |
- |
1시간강수량 30㎜이상(일) |
1.0 |
1.1 |
- 0.1 |
- |
일조시간(시간) |
124.1 |
188.3 |
- 64.2(65.9%) |
최저 4위 |
※ 열대야 일수는 밤 최저기온(18:01~익일 09:00) 25℃ 이상인 일수임.
*(열대야일수 평년값)은 2000~2009년 동안의 평균값임.
※ 광주의 분석자료는 1939년 관측을 시작한 시점부터의 자료임.
※ 평년값은 1971년부터 2000년까지 30년 평균값임.
-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