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 10. 6.(수) 14:00 (총 6매) |
즉시 |
부산지방기상청 기후과 |
과 장 조 진 대 장기예보관 강 길 봉 |
부산‧울산‧경남 늦가을 서리 정보
□ 서리의 발생 시기
○ 지난 10년간(2000~2009년) 첫서리 평균발생일은 거창 10월 21일, 진주 10월 29일, 통영 11월 18일, 울산 11월 19일, 창원 12월 4일, 부산 12월 25일로 조사됨.
○ 첫서리가 가장 빨랐던 날은 거창 10월 9일, 진주 10월 15, 울산 10월 28일, 통영 10월 29일, 창원 11월 23일, 부산 12월 14일이었음.
○ 금년도에 첫서리 전망은 경남내륙지방 10월 하순경, 울산과 경남해안지방은 11월 중순~12월 초순경, 부산은 12월 중순경으로 예상(지난해와 비슷한 시기)되므로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함.
□ 서리로부터 농작물 보호
○ 농작물들을 서리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스프링클러를 이용해서 뿌린 물이 얼음으로 될 때 방출되는 잠열의 원리를 이용한 살수법(撒水法)이 있고,
○ 전동모터에 날개를 달아 따뜻한 공기를 아래쪽으로 불어 내리는 송풍법(送風法).
○ 나무, 왕겨 등을 태워서 과수원 내 기온을 높여주는 연소법(燃燒法) 등을 응용할 필요가 있음.
○ 무‧배추는 냉기류가 밭으로 흘러드는 방향을 변경시키거나 나무 등을 연소하여 보온하는 것이 효과가 있음.
붙임 : 서리의 발생과 예방
[붙임]
서리의 발생과 예방
부산지방기상청
□ 서리란 ?
○ 공기중의 수증기가 얼어붙은 것으로 맑고 바람이 없는 밤의 기온이 어는점 이하로 떨어질 때 공기중의 수증기가 지표에 접촉해서 얼어붙은 흰 가루모양의 얼음.
○ 식물체보다 기온이 낮은 찬 공기가 유입되어 기온이 급강하하면서 과냉각되어 결빙되어 서리가 생김.
○ 분지, 구릉지의 냉각된 공기가 경사면을 타고 아래로 내려가 맨 아래층에 서리가 많이 발생함.
□ 최근 10년간 연평균 서리 발생일수
○ 지난 10년간 연평균 서리일수는 거창지방이 96.5일로 가장 많았고, 진주 83.7일, 통영 40.4일, 울산 23.3일, 창원 7.7일, 부산은 2.9일이었으며 2003년은 서리가 관측되지 않는 해도 있었음.
○ 내륙지방은 2007년에 진주에서 서리일수(105일)가 가장 많았고, 해안지방은 2003년도에 통영에서 서리일수(58일)가 많았음.
□ 최근 10년간 첫서리 시기
○ 최근 10년간 첫서리가 가장 빨랐던 시기는 거창 10월 9일, 진주 10월 15일, 울산 10월 28일, 통영 10월 29일, 창원 11월 23일, 부산 12월 14일이었음.
○ 최근 10년간 첫서리 평년값은 경남서부내륙의 거창에 10월 하순(10.21일)부터 서리가 내리기 시작되어, 진주 10월 하순(10.29일), 해안지방의 통영 11월 중순(11.18일), 울산(11.19일)이었고, 창원 12월 초순(12.4일), 부산은 12월 하순(12.25일)에 나타나 가장 늦었음.
□ 금년도 첫서리 시기
○ 진주 등 경남내륙지방 10월 하순경.
○ 울산과 경남해안지방 11월 중순~12월 초순경.
○ 부산지방은 12월 중순경으로 첫서리 시기는 지난해와 비슷하겠음.
- 2 -
□ 농작물 서리 피해 예방법
○ 서리 피해를 막는 효과적인 방법으로는 스프링클러를 이용해서 뿌린 물이 얼음으로 될 때 방출되는 잠열의 원리를 이용한 살수법(撒水法)이 있음.
- 살수법을 이용할 때는 물의 압력을 낮추어 물방울 입자가 큰 상태로 스프링클러를 작동해야 함.
- 살수법은 스프링클러로 시간당 3mm(3ℓ/시간/m2)정도 계속 살수(撒水)하여 배나무의 꽃눈을 얼음으로 씌워 0℃이하로 내려가지 않게 하는 방법인데, 살수를 해가 뜨기 전에 중단하면 더 큰 피해를 받는다.
○ 전동모터에 날개를 달아 따뜻한 공기를 아래쪽으로 불어 내리므로 과수원내 기온이 1.6∼2.0℃정도 상승시켜 서리를 예방하는 송풍법(送風法)이 있음.
- 송풍법은 송풍방향을 냉기류가 흘러가는 방향으로 날개를 설치해야 효과를 높일 수 있음.
- 송풍법의 기본원리는 지상 1m 보다 지상 10m에 있는 공기는 보통 2~3℃, 때로는 5℃정도 높으므로 프로펠라로 찬 공기와 더운 공기를 섞어 주어 서리피해를 예방하는 방법이다.
○ 그 밖의 왕겨나 톱밥으로 연기를 피우면 지면의 방열을 줄일 수 있고, 연기속의 수증기 응결로 5~10℃ 높아진다.
□ 서리와 지형
○ 서리는 국지성이 매우 강하여 매우 좁은 지역에서도 지형의 기복이나 하천, 호수의 유무 혹은 지면의 피복상태 등에 따라 달리 나타남. 일반적으로 산간부의 저지대는 서리피해를 받기 쉬우며, 하천이나 호수의 주위는 서리 피해가 적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 분지, 계곡, 표고가 250m 이상인 산지 계곡 등 냉기류의 유입이 많거나 정체되는 경사지의 아랫부분 또는 냉기류의 이동 통로가 되는 지형에서 주로 발생한다.
○ 서리가 내릴 때 지상의 온도분포를 보면 지표면이 가장 낮고 위로 올라갈수록 높아진다. 따라서 지표면에서 높이에 따른 피해정도는 지면에서 가까울수록 피해가 많다.
- 3 -
□ 서리피해 예방의 적극적인 대책
○ 무‧배추는 지형적으로 골짜기나 냉기류 정체지역의 방상림의 설치나 임목의 제거로 냉기류가 흐르는 방향을 조절하고 피복 재료에 의한 보온과 나무 등을 연소시켜 온도가 상승되도록 한다. 또한 왕겨, 건초 등을 불완전 연소시켜 연기에 의한 지면으로부터의 방사를 억제토록 하고 10a 당 3개 정도의 선풍기를 설치하여 지면 부근에 정체한 냉기류를 역전시켜 식물체 온도를 상승시켜 주어야 하며 식물체에 살수작업을 하여 물이 얼 때 방출하는 응결 잠열을 이용하도록 한다.
○ 포도는 사전대책으로 기상예보를 청취하고, 서리피해 예방을 위한 준비를 하여야 한다. 남부지방에서는 서리가 내리기 전까지 수확을 하도록 한다.
○ 땅콩은 첫서리 오기 전에 수확을 끝내도록 해야 하며 수확적기는 꼬투리 표면에 나타나는 그물무늬가 60~80% 정도 뚜렷해졌을 때가 알맞으며, 내년에 종자로 쓸 땅콩은 꼬투리 째로 보관 한다.
※ 서리예방법 자료제공 : 농촌진흥청 원예기술지원과
- 4 -
□ 최근 10년간 년별 서리‧얼음일수
- 5 -
□ 최근 10년간 지점별 첫서리와 첫얼음
표1. 첫서리 |
||||
지점 |
첫서리 (극 값) |
첫서리 (작년) |
첫서리 (평년) |
금년 첫서리 예상 |
거창 |
02.10. 9 |
09.10.21 |
10.21 |
10월 하순 |
진주 |
04.10.15 |
09.11. 4 |
10.29 |
10월 하순 |
창원 |
02.11.23 |
09.12. 2 |
12. 4 |
12월 초순 |
울산 |
02.10.28 |
09.11.23 |
11.19 |
11월 중순 |
통영 |
02.10.29 |
09.11.20 |
11.18 |
11월 중순 |
부산 |
04.12.14 |
10. 2. 7 |
12.25 |
12월 중순 |
표2. 첫얼음 |
||||
지점 |
첫얼음 (극 값) |
첫얼음 (작년) |
첫얼음 (평년) |
금년 첫얼음 예상 |
거창 |
07.10.21 |
11. 2 |
10.30 |
10월 하순 |
진주 |
05.10.23 |
11. 3 |
11. 6 |
11월 초순 |
창원 |
02.11. 9 |
11.18 |
11.22 |
11월 중순 |
울산 |
09.11. 3 |
11. 3 |
11.15 |
11월 중순 |
통영 |
09.11. 3 |
11. 3 |
11.18 |
11월 중순 |
부산 |
09.11. 3 |
11. 3 |
11.20 |
11월 중순 |
표3. 10년간 서리일수 |
표4. 10년간 결빙일수 |
|||||||||||||
구 분 |
부산 |
창원 |
울산 |
통영 |
거창 |
진주 |
구분 |
부산 |
창원 |
울산 |
통영 |
거창 |
진주 |
|
2000년 |
5 |
5 |
24 |
29 |
- |
81 |
2000년 |
55 |
59 |
86 |
65 |
- |
116 |
|
2001년 |
1 |
4 |
21 |
26 |
- |
75 |
2001년 |
50 |
66 |
68 |
64 |
- |
112 |
|
2002년 |
5 |
4 |
27 |
31 |
- |
89 |
2002년 |
55 |
61 |
84 |
76 |
- |
114 |
|
2003년 |
0 |
5 |
18 |
58 |
- |
80 |
2003년 |
60 |
65 |
77 |
82 |
- |
105 |
|
2004년 |
2 |
7 |
6 |
32 |
- |
64 |
2004년 |
70 |
68 |
67 |
73 |
- |
105 |
|
2005년 |
6 |
6 |
18 |
43 |
- |
82 |
2005년 |
71 |
74 |
91 |
86 |
- |
109 |
|
2006년 |
5 |
14 |
37 |
42 |
- |
94 |
2006년 |
42 |
49 |
67 |
58 |
- |
100 |
|
2007년 |
2 |
16 |
40 |
46 |
- |
105 |
2007년 |
54 |
63 |
82 |
76 |
- |
101 |
|
2008년 |
2 |
14 |
24 |
42 |
102 |
82 |
2008년 |
47 |
51 |
72 |
65 |
124 |
93 |
|
2009년 |
1 |
2 |
18 |
55 |
91 |
85 |
2009년 |
62 |
60 |
82 |
72 |
125 |
103 |
|
평 균 |
2.9 |
7.7 |
23.3 |
40.4 |
96.5 |
83.7 |
평 균 |
56.6 |
71.7 |
61.6 |
77.6 |
124.5 |
105.8 |
* 거창 2000~2007년 서리‧결빙 관측자료 사용 못함(첫서리‧첫얼음 제외).
* 년별 서리일수 기준: 첫서리~마지막 서리.
-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