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 10. 11.(월) 14:00 (총 6매) |
즉시 |
강원지방기상청 기 후 과 |
과 장 이 정 석 |
033- 650- 0422, 0428 |
강원의 호우(30㎜/h 이상) 발생 증가
◇ 강원의 시간당 30㎜이상 호우가 1970년대 연평균 0.6건에서 2000년대 1.6건으로 2배 이상 증가.
- 영동은 1970년대 연평균 0.3건에서 2000년대 0.9건으로 3배 증가함.
- 영서는 1970년대 연평균 0.9건에서 2000년대 2.4건으로 2.7배 증가함.
◇ 영동은 가을(9~10월)에도 호우 발생 빈도 높음.
- 영동의 전체 호우 52건 중 가을철(9~10월)에 20건(38.5%)이 발생하였음.
□ 호우(30㎜/h 이상) 분석 방법
○ 분석 지점
- 영동(속초, 강릉), 영서(춘천, 대관령, 원주, 홍천, 인제)
○ 분석기간 : 1971 ~ 2010년(1971년 이후 설립지점은 관측개시부터)
□ 호우 발생 빈도
○ 지점당 연평균 호우(30㎜/h 이상) 발생빈도는 영동지방은 0.7건 발생하였으며, 영서지방은 1.5건으로 영서지방의 발생빈도가 높게 나타났음.
○ 호우(30㎜/h 이상)가 나타난 날의 평균강수량은 영동 155.6㎜로 영서 113.2㎜보다 많았음.
구분 |
영동 |
영서 |
연평균 호우발생 빈도(건) |
0.7 |
1.5 |
호우발생시 일 강수량(㎜) |
155.6 |
113.2 |
- 1 -
□ 호우 발생 빈도 증가
○ 강원의 시간당 30㎜이상 호우가 1970년대 연평균 0.6건에서 2000년대 1.6건으로 2배 이상 증가하였음.
- 영동은 1970년대 연평균 0.3건에서 2000년대 0.9건으로 3배 증가하였으며, 속초의 호우는 1970년대 0.1건에서 2000년대 0.8건으로 8배 증가하였음.
- 영서는 1970년대 연평균 0.9건에서 2000년대 2.4건으로 2.7배 증가하였으며, 홍천은 2000년대 연평균 3.3건으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음.
○ 연대별 연평균 호우(30㎜/h 이상) 발생 빈도 단위(건)
구분 |
1970년대 |
1980년대 |
1990년대 |
2000년대 |
강릉 |
0.5 |
1.0 |
0.7 |
1.0 |
속초 |
0.1 |
0.6 |
0.7 |
0.8 |
춘천 |
0.6 |
1.0 |
1.5 |
2.2 |
대관령 |
0.5 |
0.6 |
0.6 |
1.6 |
원주 |
1.6 |
1.9 |
2.4 |
2.8 |
홍천 |
1.5 |
1.0 |
2.7 |
3.3 |
인제 |
0.3 |
0.6 |
1.1 |
2.0 |
|
- 2 -
□ 호우 발생 시기 분석
○ 영동의 경우 8월에 호우(30㎜/h 이상)의 발생이 가장 빈번하였고, 9월과 10월의 발생도 전체의 38.5%로 나타났음.
○ 영서지방은 여름(7~8월)에 주로 호우(30㎜/h 이상)가 발생하였음.
구분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Total |
|
영동 |
발생(건) |
1 |
11 |
20 |
10 |
10 |
52 |
비율(%) |
1.9 |
21.2 |
38.5 |
19.2 |
19.2 |
- |
|
영서 |
발생(건) |
19 |
130 |
105 |
22 |
2 |
278 |
비율(%) |
6.8 |
46.8 |
37.8 |
7.9 |
0.7 |
- |
□ 호우 원인 분석(강릉, 춘천)
○ 강릉의 경우 태풍에 의한 호우(30㎜/h 이상)가 16건으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음.
○ 춘천은 장마전선에서 가장 많은 20건이 발생하였으며, 다음으로 중국화남지방으로 진출한 태풍전면수렴대에서 12건이 발생하였음.
발생원인 |
강릉 |
춘천 |
계 |
|||
발생(건) |
비율(%) |
발생(건) |
비율(%) |
발생(건) |
비율(%) |
|
대류불안정 |
2 |
6.5 |
6 |
11.8 |
6 |
7.3 |
북동기류 |
5 |
16.1 |
0 |
0 |
5 |
6.1 |
장마전선 |
2 |
6.5 |
20 |
39.2 |
20 |
24.4 |
태풍 |
16 |
51.6 |
5 |
9.8 |
21 |
25.6 |
저기압통과 |
2 |
6.5 |
4 |
7.8 |
5 |
6.1 |
정체전선 (늦여름~초가을) |
3 |
9.7 |
4 |
7.8 |
7 |
8.5 |
태풍전면수렴대 |
1 |
3.2 |
12 |
23.5 |
18 |
22.0 |
계 |
31 |
51 |
82 |
- 3 -
○ 특히, 강릉의 경우 전체 호우(30㎜/h 이상) 31건 중 12건(38.7%)이 가을(9~10월)에 발생하였으며, 가을에 발생한 호우 중 북동기류에 의한 호우가 가장 많이 발생하였음.
발생원인 |
9월 |
10월 |
계 |
|
발생(건) |
비율(%) |
|||
대기불안정 |
1 |
- |
1 |
8.3 |
북동기류 |
- |
5 |
5 |
41.7 |
태풍 |
2 |
1 |
3 |
25.0 |
저기압통과 |
2 |
- |
2 |
16.7 |
정체전선 |
1 |
- |
1 |
8.3 |
계 |
6 |
6 |
12 |
- |
※ <첨부> 2000년 이후발생한 10월 북동기류에 의한 강릉 호우(30㎜/h 이상) 사례
- 2005.10.18 및 2006.10.23
- 4 -
<첨부> 2005.10.18
○ 북고남저형의 기압배치에서 동풍기류에 의해 강수가 발생함
○ 호우는 강릉에서 일강수량 116.5㎜, 1시간최다강수량 42㎜가 나타났음.
|
|
2005.10.18. 12UTC 지상 일기도 |
|
|
|
AWS 강수분포도 및 바람벡터 |
AWS 시계열 |
- 5 -
<첨부> 2006.10.23
○ 북고남저형의 기압배치에서 북동풍이 강하게 나타나 속초의 최대순간풍속이 63.7㎧로 우리나라 관측 이후 역대 1위를 기록함.
○ 호우는 강릉에서 일강수량 304㎜, 1시간최다강수량 81.5㎜로 1시간최다강수량 강릉의 역대 2위를 기록하였음.(1위 2002. 8. 31. 100.5㎜/h _태풍 루사)
|
|
2006.10.23. 00UTC 지상 일기도 |
|
|
|
AWS 강수분포도 및 바람벡터 |
AWS 시계열 |
-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