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 10. 22.(금) 11:00 (총22매) |
즉시 |
강원지방기상청 춘천기상대 |
대 장 박 종 식 |
기온 변동폭 크고 한두 차례 많은 눈
- 3개월 전망(2010년 11월~2011년 1월) -
◇ 기온은 평년(- 4~0℃)과 비슷하겠으나 기온의 변동폭이 크겠음.
11월과 12월에는 평년과 비슷하겠으며 2011년 1월에는 평년보다 높겠음.
◇ 강수량은 평년(72~179㎜)과 비슷하겠음.
12월에는 평년보다 적겠으나, 1월에는 기압골의 영향과
지형적인 영향으로 많은 눈이 내리는 곳이 있겠음.
○ 2010년 11월
- 11월 상순에는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으로 일교차가 큰 날이 많겠으나 기온은 평년과 비슷하겠으며,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겠음. 11월 중순에는 대륙고기압과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으로 기온의 변동폭이 크겠으며, 맑고 건조한 날씨를 보이겠음. 기온은 평년과 비슷하겠고 강수량은 평년보다 적겠음. 11월 하순에는 찬 대륙고기압이 일시적으로 확장하면서 추운 날이 많겠으며 건조한 경향을 보이겠음. 기온은 평년보다 낮겠고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겠음. 대륙고기압 확장시 내륙 산간 지방에는 눈이 오는 곳이 있겠음. 강원영서 내륙 지방은 짙은 안개 끼는 곳이 많겠음.
☞ 고기압의 영향으로 서리가 내리는 곳이 많겠으며 내륙 및 산간지방에서는 얼음이 어는 곳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니 농작물 관리에 만전을 기해 주시기 바람.
○ 2010년 12월
- 대륙고기압과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으로 기온의 변동폭이 크겠으나 기온은 평년보다 낮겠으며, 강수량은 평년보다 적겠음. 찬 대륙고기압이 확장하면서 기온이 큰 폭으로 떨어질 때가 있겠으며 강원도 영동 산간지방에는 많은 눈이 내리는 곳이 있겠음.
☞ 찬 대륙고기압이 일시적으로 크게 발달하면서 기온이 큰 폭으로 떨어질 때가 있겠으니 건강관리에 유의하시기 바람. 특히, 노약자 및 심혈관질환자 등은 각별한 주의가 필요함.
○ 2011년 1월
- 기온은 평년과 비슷한 경향을 보이겠으나, 일시적으로 찬 대륙고기압이 확장하면서 기온이 큰 폭으로 떨어질 때가 있겠음.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으며 기압골의 영향과 지형적인 영향으로 많은 눈이 내리는 곳이 있겠음.
☞ 대체로 온도가 평년보다 높겠으나 찬 대륙고기압의 영향으로 기온이 큰 폭으로 떨어질 때가 있겠으니 건강 및 시설물 관리에 유의하시기 바람.
□ 3개월 전망(2010년 11월~2011년 1월) 요약
영서지방 |
월 평 균 기 온 |
월 강 수 량 |
11월 |
평년(2~5℃)과 비슷하겠음 |
평년(37~82㎜)과 비슷하겠음 |
12월 |
평년(- 5~- 2℃)보다 낮겠음 |
평년(21~38㎜)보다 적겠음 |
2011년 1월 |
평년(- 8~- 5℃)과 비슷하겠음 |
평년(15~60㎜)과 비슷하겠음 |
□ 1개월 전망(2010년 11월 상순~하순) 요약
영서지방 |
평 균 기 온 |
강 수 량 |
11월 상순 |
평년(5~8℃)과 비슷하겠음 |
평년(14~31㎜)과 비슷하겠음 |
11월 중순 |
평년(2~5℃)과 비슷하겠음 |
평년(13~35㎜)보다 적겠음 |
11월 하순 |
평년(- 1~2℃)보다 낮겠음 |
평년(10~16㎜)과 비슷하겠음 |
※ 다음 1개월 전망은 2010년 11월 3일, 3개월 전망은 2010년 11월 23일 오전 11시에 발표 됩니다
※ 문의 : ☏ 033- 242- 0313, http://www.kma.go.kr
□ 최근 기압계 동향
○ 8월에는 북태평양고기압의 영향을 주로 받았으며 그 가장자리를 따라 기압골, 태풍 및 열대저압부가 통과하여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비가 자주 내렸음. 기온은 고온다습한 남서류의 유입과 강한 일사의 영향으로 평년보다 높았으며(평년편차 +1.8℃) 폭염과 열대야가 나타난 날이 많았음. 10~11일에 태풍 “뎬무”, 13~17일과 23~26일, 28~29일에는 기압골의 영향으로 전국적으로 비가 내려 강수량이 평년보다 많았음(평년대비 141%).
○ 9월에는 상순에 북태평양고기압의 영향을 받은 후 중순부터 이동성고기압과 대륙고기압의 영향을 주로 받았음. 상순과 중순에 고온현상이 나타나면서 월 전체 기온은 평년보다 높았음(평년편차 +1.7℃). 1~2일에 제7호 태풍 “곤파스”, 6~7일에 제9호 태풍 “말로”의 영향, 9~12일, 19일 및 21일에는 중부지방을 통과한 기압골과 정체전선의 영향으로 많은 비가 내려 강수량은 평년보다 많았음(평년대비 174%).
○ 10월(10.1~20)에는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을 주로 받아 기온은 평년보다 높았음(평년편차 +0.8℃). 상순에는 2~4일과 8~9일에 기압골이 통과하면서 많은 비가 내렸으나 중순이후 건조하여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였음(평년대비 70%).
|
|
전국 최근 평균기온의 일변화(8.1~10.20) |
전국 최근 강수량의 일변화(8.1~10.20) |
|
|
영서지방 최근 평균기온의 일변화(8.1~10.20) |
영서지방 최근 강수량의 일변화(8.1~10.20) |
□ 엘니뇨/라니냐 현황 및 전망
○ 10월 현재 엘니뇨 감시구역(5°S~5°N, 170°W~120°W)에서의 해수면온도는 평년보다 1.5℃ 정도 낮은 저수온 현상을 보이고 있음.
○ 현재 나타나고 있는 저수온 현상이 점차 약화되는 추세를 보이겠으나, 2011년 3월까지는 약한 라니냐가 유지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전망됨.
- 기상청의 라니냐 정의에 의하면 라니냐 시작의 공식 월은 관측자료가 모두 수집되는 2011년 2월 이후에 발표가 가능하나,
- 엘니뇨/라니냐 예측모델의 결과를 볼 때 이번 라니냐의 시작월은 6월이 될 가능성이 높음.
그림 1. (상) 최근(10.10~10.16) 전지구 해수면온도 편차 분포(℃)와
(하) 엘니뇨 감시구역에서의 해수면온도 편차 변화 경향
그림 2. 기상청 엘니뇨/라니냐 예측모델 결과
(* : 엘니뇨예측 모델을 이용한 예측값)
년 |
2010년 |
2011년 |
|||||||||||
월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 |
2 |
3 |
월평균 해수면온도 편차 |
1.1 |
0.7 |
0.0 |
- 0.4 |
- 1.0 |
- 1.2 |
- 1.6 |
- 1.1* |
- 1.0* |
- 0.8* |
- 0.7* |
- 0.6* |
- 0.6* |
5개월 이동평균 해수면온도 편차 |
0.9 |
0.5 |
0.1 |
- 0.4 |
- 0.8 |
- 1.1* |
- 1.2* |
- 1.1* |
- 1.0* |
- 0.8* |
- 0.7* |
< 엘니뇨 감시구역(Niño3.4)의 해수면온도 편차(℃) >
※ 엘니뇨(라니냐)의 정의
- 기상청은 엘니뇨 감시구역(Nino 3.4 : 5°S~5°N, 170°W~120°W)에서 5개월 이동평균한 해수면온도 편차가 0.4℃이상(- 0.4℃ 이하) 나타나는 달이 6개월 이상 지속될 때 그 첫 달을 엘니뇨(라니냐) 발달의 시작으로 정의하고 있음.
※ 첨부자료
1. 3개월 전망 전문
2. 1개월 전망 전문
3. 최근 3개월(2010.8.1~10.20) 기후통계 분석
[첨부 1] |
3개월 전망 전문 |
3개월 전망
(영서지방, 2010년 11월 ~ 2011년 1월)
춘 천 기 상 대
2010년 10월 22일 11시 발표
※ 다음 3개월 전망은 2010년 11월 23일 11시에 발표
요 약 |
||
|
||
□ 기 온 : 평년(- 4~0℃)과 비슷하겠음. 찬 대륙고기압의 일시적인 확장으로 기온의 변동폭이 크겠음. 12월에는 대륙고기압의 확장으로 평년보다 다소 낮은 경향을 보이겠음. □ 강수량 : 평년(72~179㎜)과 비슷하겠음. 12월에는 평년보다 적겠으나, 1월에는 기압골의 영향과 지형적인 영향으로 많은 눈이 내리는 곳이 있겠음. |
□ 기압계 동향
8월에는 북태평양고기압의 영향을 주로 받았으며 그 가장자리를 따라 기압골, 태풍 및 열대저압부가 통과하여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비가 자주 내렸음. 기온은 고온다습한 남서류의 유입과 강한 일사의 영향으로 평년보다 높았으며 폭염과 열대야가 나타난 날이 많았음. 10~11일에 태풍 ‘뎬무’, 13~17일과 23~26일, 28~29일에는 기압골의 영향으로 전국적으로 비가 내려 강수량은 평년보다 많았음.
9월에는 상순에 북태평양고기압의 영향을 받은 후 중순부터 이동성고기압과 대륙고기압의 영향을 주로 받았음. 상순과 중순에 고온현상이 나타나면서 월 전체 기온은 평년보다 높았음. 1~2일에 제7호 태풍 “곤파스”, 6~7일에 제9호 태풍 “말로”의 영향, 9~12일, 19일 및 21일에는 중부지방을 통과한 기압골과 정체전선의 영향으로 많은 비가 내려 강수량은 평년보다 많았음.
10월(10.1~20)에는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을 주로 받아 기온은 평년보다 높았음. 상순
에는 2~4일과 8~9일에 기압골이 통과하면서 많은 비가 내렸으나 중순이후 건조하여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였음.
□ 월별 전망
11 월 |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으로 일교차가 큰 날이 많겠음. 찬 대륙고기압이 일시적으로 확장하여 추운 날씨를 보일 때가 있겠으며 서해안 지방에는 눈이 오는 곳이 있겠음. 기온과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겠음. 강원영서 내륙 지방은 짙은 안개 끼는 곳이 많겠음. |
12 월 |
대륙고기압과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으로 기온의 변동폭이 크겠고 기온은 평년보다 낮겠으며, 강수량은 평년보다 적겠음. 찬 대륙고기압이 확장하면서 기온이 큰 폭으로 떨어질 때가 있겠으며 강원도 산간지방에는 많은 눈이 내리는 곳이 있겠음. |
1 월 |
기온은 평년과 비슷한 경향을 보이겠으나, 일시적으로 찬 대륙고기압이 확장하면서 기온이 큰 폭으로 떨어질 때가 있겠음.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겠으며 기압골의 영향과 지형적인 영향으로 많은 눈이 내리는 곳이 있겠음. |
전국/월 |
월 평 균 기 온 |
월 강 수 량 |
11월 |
평년(2~14℃)과 비슷하겠음 |
평년(35~87㎜)보다 적겠음 |
12월 |
평년(- 5~9℃)과 비슷하겠음 |
평년(15~55㎜)보다 적겠음 |
2011년 1월 |
평년(- 8~7℃)보다 높겠음 |
평년(15~78㎜)보다 많겠음 |
영서/월 |
월 평 균 기 온 |
월 강 수 량 |
11월 |
평년(2~5℃)과 비슷하겠음 |
평년(37~82㎜)과 비슷하겠음 |
12월 |
평년(- 5~- 2℃)보다 낮겠음 |
평년(21~38㎜)보다 적겠음 |
2011년 1월 |
평년(- 8~- 5℃)과 비슷하겠음 |
평년(15~60㎜)과 비슷하겠음 |
※ 문의 : ☏ 02- 2181- 0476~0481, http://www.kma.go.kr
◦ 평균기온 |
||
11월 |
12월 |
1월 |
|
|
|
낮음 비슷 높음 |
||
◦ 강수량 |
||
11월 |
12월 |
1월 |
|
|
|
적음 비슷 많음 |
※ 월 단위 이상 기간에 대한 평균 기온ㆍ강수량의 전망 표현 기준표
구분 |
기온 편차(℃) |
강수량 평년비(%) |
높음(많음) |
>0.5 |
>120 |
비슷 |
- 0.5~0.5 |
70~120 |
낮음(적음) |
<- 0.5 |
<70 |
◦ 평균기온
월별 지역 |
11월 |
12월 |
1월 |
전국(북한제외) 평균 |
평년(2~14℃)과 비슷하겠음 |
평년(- 5~9℃)과 비슷하겠음 |
평년(- 8~7℃)보다 높겠음 |
서울‧인천‧경기도 |
평년(5~7℃)과 비슷하겠음 |
평년(- 2~1℃)보다 낮겠음 |
평년(- 5~- 2℃)과 비슷하겠음 |
강원도 영서 |
평년(2~5℃)과 비슷하겠음 |
평년(- 5~- 2℃)보다 낮겠음 |
평년(- 8~- 5℃)과 비슷하겠음 |
강원도 영동 |
평년(9℃)과 비슷하겠음 |
평년(3℃)보다 낮겠음 |
평년(0℃)과 비슷하겠음 |
대전‧충청남도 |
평년(6~8℃)과 비슷하겠음 |
평년(0~2℃)과 비슷하겠음 |
평년(- 3~- 1℃)과 비슷하겠음 |
충청북도 |
평년(4~6℃)과 비슷하겠음 |
평년(- 3~0℃)과 비슷하겠음 |
평년(- 5~- 2℃)과 비슷하겠음 |
광주‧전라남도 |
평년(7~11℃)과 비슷하겠음 |
평년(2~5℃)과 비슷하겠음 |
평년(- 1~3℃)보다 높겠음 |
전라북도 |
평년(5~8℃)과 비슷하겠음 |
평년(- 1~2℃)과 비슷하겠음 |
평년(- 3~0℃)보다 높겠음 |
부산‧울산‧경상남도 |
평년(6~11℃)과 비슷하겠음 |
평년(0~6℃)과 비슷하겠음 |
평년(- 2~3℃)보다 높겠음 |
대구‧경상북도 |
평년(5~10℃)과 비슷하겠음 |
평년(- 1~4℃)과 비슷하겠음 |
평년(- 4~2℃)보다 높겠음 |
제주도 |
평년(12~14℃)과 비슷하겠음 |
평년(7~9℃)과 비슷하겠음 |
평년(5~7℃)보다 높겠음 |
평안남북도‧황해도 |
평년(- 3~6℃)보다 낮겠음 |
평년(- 12~0℃)보다 낮겠음 |
평년(- 16~- 4℃)과 비슷하겠음 |
함경남북도 |
평년(- 7~8℃)보다 낮겠음 |
평년(- 14~2℃)보다 낮겠음 |
평년(- 18~- 1℃)과 비슷하겠음 |
◦ 강수량
월별 지역 |
11월 |
12월 |
1월 |
전국(북한제외) 평균 |
평년(35~87㎜)보다 적겠음 |
평년(15~55㎜)보다 적겠음 |
평년(15~78㎜)보다 많겠음 |
서울‧인천‧경기도 |
평년(44~53㎜)과 비슷하겠음 |
평년(21~26㎜)보다 적겠음 |
평년(16~24㎜)과 비슷하겠음 |
강원도 영서 |
평년(37~82㎜)과 비슷하겠음 |
평년(21~38mm)보다 적겠음 |
평년(15~60mm)과 비슷하겠음 |
강원도 영동 |
평년(72~82㎜)과 비슷하겠음 |
평년(41~44㎜)보다 적겠음 |
평년(53~65㎜)보다 많겠음 |
대전‧충청남도 |
평년(51~58㎜)보다 적겠음 |
평년(29~33㎜)과 비슷하겠음 |
평년(24~30㎜)과 비슷하겠음 |
충청북도 |
평년(42~51㎜)보다 적겠음 |
평년(24~28㎜)보다 적겠음 |
평년(22~27㎜)과 비슷하겠음 |
광주‧전라남도 |
평년(48~58㎜)보다 적겠음 |
평년(21~32㎜)과 비슷하겠음 |
평년(28~38㎜)보다 많겠음 |
전라북도 |
평년(50~62㎜)보다 적겠음 |
평년(30~40㎜)과 비슷하겠음 |
평년(31~42㎜)보다 많겠음 |
부산‧울산‧경상남도 |
평년(39~64㎜)보다 적겠음 |
평년(16~26㎜)보다 적겠음 |
평년(22~41㎜)보다 많겠음 |
대구‧경상북도 |
평년(35~61㎜)보다 적겠음 |
평년(15~38㎜)보다 적겠음 |
평년(18~48㎜)보다 많겠음 |
제주도 |
평년(68~87㎜)보다 적겠음 |
평년(43~55㎜)과 비슷하겠음 |
평년(59~78mm)보다 많겠음 |
평안남북도‧황해도 |
평년(24~55㎜)과 비슷하겠음 |
평년(14~25㎜)과 비슷하겠음 |
평년(7~17㎜)과 비슷하겠음 |
함경남북도 |
평년(16~101mm)과 비슷하겠음 |
평년(8~46㎜)과 비슷하겠음 |
평년(4~53㎜)과 비슷하겠음 |
< 참고 자료 >
◦ 기온 분포 (2010.08.01. ~ 2010.10.20.) |
|
기온(℃) |
기온 편차(℃) |
|
|
- 0.5 0.5 (℃) |
|
|
|
낮음 비슷 높음 |
|
◦ 강수량 분포 (2010.08.01. ~ 2010.10.20.) |
|
강수량(㎜) |
강수량 평년비(%) |
|
|
70 120 (%) |
|
|
|
적음 비슷 많음 |
◦ 전국 평균기온과 강수량 (2010.08.01. ~ 2010.10.20.) |
|
평균기온(℃) |
강수량(㎜) |
|
|
|
◦ 기후 평년값 (11월 ~ 1월) |
||||||||||||||||||||||||||||||||||||||||||||||||||||||||
평균기온 |
단위 : ℃ |
|||||||||||||||||||||||||||||||||||||||||||||||||||||||
|
||||||||||||||||||||||||||||||||||||||||||||||||||||||||
최저기온 |
단위 : ℃ |
|||||||||||||||||||||||||||||||||||||||||||||||||||||||
|
||||||||||||||||||||||||||||||||||||||||||||||||||||||||
최고기온 |
단위 : ℃ |
|||||||||||||||||||||||||||||||||||||||||||||||||||||||
|
||||||||||||||||||||||||||||||||||||||||||||||||||||||||
강수량 |
단위 : ㎜ |
|||||||||||||||||||||||||||||||||||||||||||||||||||||||
|
||||||||||||||||||||||||||||||||||||||||||||||||||||||||
(평년기간 : 1971 ~ 2000년) |
◦ 강원영서 및 주요지역 평균기온과 강수량 (2010.08.01. ~ 2010.10.20.) |
|
평균기온(℃) |
강수량(㎜) |
|
|
|
|
|
|
|
|
|
|
|
|
|
◦ 기후 평년값 (11월 ~ 1월) |
|||||||||||||||||||||||||||||||||||||||||||||||||||||||||||||||||||||||
평균기온 단위 : ℃ |
최고기온 단위 : ℃ |
||||||||||||||||||||||||||||||||||||||||||||||||||||||||||||||||||||||
|
|
||||||||||||||||||||||||||||||||||||||||||||||||||||||||||||||||||||||
최저기온 단위 : ℃ |
강수량 단위 : mm |
||||||||||||||||||||||||||||||||||||||||||||||||||||||||||||||||||||||
|
|
||||||||||||||||||||||||||||||||||||||||||||||||||||||||||||||||||||||
(평년기간 : 1971 ~ 2000년) |
◦ 강원영서지역 기후계절 극값 및 평년값
지역 |
첫 서리 |
첫 얼음 |
첫 눈 |
|||
가장 빠른날 |
평년 |
가장 빠른날 |
평년 |
가장 빠른날 |
평년 |
|
춘천 |
1987.09.27 |
10.16. |
1987.09.27 |
10.19. |
1987.10.23 |
11.21. |
원주 |
1977.09.22 |
10.13. |
1984.10.05 |
10.20. |
1981.10.23 |
11.20. |
대관령 |
1981.09.14 |
10.03. |
1981.09.14 |
10.06. |
1990.10.09 |
11.01. |
인제 |
1982.09.26 |
10.15. |
1987.09.27 |
10.17. |
1981.10.23 |
11.18. |
홍천 |
1987.09.27 |
10.18. |
1987.09.27 |
10.17. |
1981.10.23 |
11.18. |
철원 |
2004.10.02 |
10.13. |
2004.10.03 |
10.15. |
1995.11.01 |
11.21. |
[첨부 2] |
1개월 전망 전문 |
1개월 전망
(2010년 11월 1일 ~ 11월 30일)
춘 천 기 상 대 제 공
2010년 10월 22일 11시 발표
※ 다음 1개월 전망은 2010년 11월 3일 11시에 발표
요 약 |
||
|
||
○ 기 온 : 평년(2~5℃)과 비슷하겠으나 기온의 변동폭이 크겠음. 11월 상순과 중순에는 평년과 비슷하겠으며, 11월 하순에는 평년보다 낮겠음. ○ 강수량 : 평년(37~82㎜)과 비슷하겠음. 11월 상순과 하순에는 평년과 비슷하겠으나 중순에는 평년보다 적겠음. |
1. 기압계 동향
9월 하순에는 기압골과 대륙고기압의 영향으로 기온은 평년과 비슷하였음. 21~22일에는 대륙고기압과 북태평양고기압 사이에서 형성된 정체전선의 영향으로 서울·경기도 및 강원도 영서지방을 중심으로 많은 비가 내렸으나 전체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였음. 10월 상순에는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으로 일교차가 큰 날이 많은 가운데 기온은 평년과 비슷하였으며, 강수량은 기압골의 영향으로 평년보다 많았음. 10월 중순에는 이동성고기압과 약한 기압골의 영향으로 구름 낀 날이 많았으며, 기온은 평년보다 높았고 강수량은 평년보다 적었음.
2. 기압계 전망
11월 상순에는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으로 일교차가 큰 날이 많겠으나 기온은 평년과 비슷하겠으며, 강수량도 평년과 비슷하겠음. 11월 중순에는 대륙고기압과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으로 기온의 변동폭이 크겠으며, 맑고 건조한 날씨를 보이겠음. 기온은 평년과 비슷하겠고 강수량은 평년보다 적겠음. 11월 하순에는 찬 대륙고기압이 일시적으로 확장하면서 추운 날이 많겠으며 건조한 경향을 보이겠음. 기온은 평년보다 낮겠고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겠음.
전국 |
평 균 기 온 |
강 수 량 |
11월 상순 |
평년(5~16℃)보다 높겠음 |
평년(13~31㎜)과 비슷하겠음 |
11월 중순 |
평년(2~14℃)과 비슷하겠음 |
평년(13~39㎜)보다 적겠음 |
11월 하순 |
평년(- 1~12℃)보다 낮겠음 |
평년(10~30㎜)보다 적겠음 |
영서지방 |
평 균 기 온 |
강 수 량 |
11월 상순 |
평년(5~8℃)과 비슷하겠음 |
평년(14~31㎜)과 비슷하겠음 |
11월 중순 |
평년(2~5℃)과 비슷하겠음 |
평년(13~35㎜)보다 적겠음 |
11월 하순 |
평년(- 1~2℃)보다 낮겠음 |
평년(10~16㎜)과 비슷하겠음 |
3. 순별 전망
◦ 평균기온 |
||
11월 상순 |
11월 중순 |
11월 하순 |
|
|
|
낮음 비슷 높음 |
||
◦ 강수량 |
||
11월 상순 |
11월 중순 |
11월 하순 |
|
|
|
적음 비슷 많음 |
※ 1개월 및 순별 기온ㆍ강수량의 전망 표현 기준표
구분 |
기온 편차(℃) |
강수량 평년비(%) |
||
순 |
월 |
순 |
월 |
|
높음(많음) |
>0.7 |
>0.5 |
>130 |
>120 |
비슷 |
- 0.7~0.7 |
- 0.5~0.5 |
50~130 |
70~120 |
낮음(적음) |
<- 0.7 |
<- 0.5 |
<50 |
<70 |
◦ 평균기온
순별 지역 |
11월 상순 |
11월 중순 |
11월 하순 |
전국(북한제외) 평균 |
평년(5~16℃)보다 높겠음 |
평년(2~14℃)과 비슷하겠음 |
평년(- 1~12℃)보다 낮겠음 |
서울‧인천‧경기도 |
평년(8~10℃)과 비슷하겠음 |
평년(5~7℃)과 비슷하겠음 |
평년(2~4℃)보다 낮겠음 |
강원도 영서 |
평년(5~8℃)과 비슷하겠음 |
평년(2~5℃)과 비슷하겠음 |
평년(- 1~2℃)보다 낮겠음 |
강원도 영동 |
평년(11~12℃)과 비슷하겠음 |
평년(9℃)과 비슷하겠음 |
평년(6℃)보다 낮겠음 |
대전‧충청남도 |
평년(8~10℃)과 비슷하겠음 |
평년(6~8℃)과 비슷하겠음 |
평년(3~5℃)보다 낮겠음 |
충청북도 |
평년(7~9℃)과 비슷하겠음 |
평년(4~6℃)과 비슷하겠음 |
평년(1~4℃)보다 낮겠음 |
광주‧전라남도 |
평년(10~13℃)보다 높겠음 |
평년(7~11℃)과 비슷하겠음 |
평년(5~9℃)보다 낮겠음 |
전라북도 |
평년(8~11℃)보다 높겠음 |
평년(5~8℃)과 비슷하겠음 |
평년(3~6℃)보다 낮겠음 |
부산‧울산‧경상남도 |
평년(9~14℃)보다 높겠음 |
평년(6~11℃)과 비슷하겠음 |
평년(3~9℃)보다 낮겠음 |
대구‧경상북도 |
평년(8~13℃)보다 높겠음 |
평년(5~10℃)과 비슷하겠음 |
평년(2~7℃)보다 낮겠음 |
제주도 |
평년(15~16℃)과 비슷하겠음 |
평년(12~14℃)과 비슷하겠음 |
평년(10~12℃)과 비슷하겠음 |
평안남북도‧황해도 |
평년(1~9℃)과 비슷하겠음 |
평년(- 3~6℃)보다 낮겠음 |
평년(- 6~3℃)과 비슷하겠음 |
함경남북도 |
평년(- 3~11℃)과 비슷하겠음 |
평년(- 7~8℃)보다 낮겠음 |
평년(- 11~6℃)과 비슷하겠음 |
◦ 강수량
순별 지역 |
11월 상순 |
11월 중순 |
11월 하순 |
전국(북한제외) 평균 |
평년(13~31㎜)과 비슷하겠음 |
평년(13~39㎜)보다 적겠음 |
평년(10~30㎜)보다 적겠음 |
서울‧인천‧경기도 |
평년(16~21㎜)과 비슷하겠음 |
평년(14~19㎜)보다 적겠음 |
평년(11~15㎜)과 비슷하겠음 |
강원도 영서 |
평년(14~31㎜)과 비슷하겠음 |
평년(13~35㎜)보다 적겠음 |
평년(10~16㎜)과 비슷하겠음 |
강원도 영동 |
평년(30~31㎜)과 비슷하겠음 |
평년(28~39㎜)보다 적겠음 |
평년(13~13㎜)과 비슷하겠음 |
대전‧충청남도 |
평년(16~19㎜)과 비슷하겠음 |
평년(18~21㎜)보다 적겠음 |
평년(17~20㎜)보다 적겠음 |
충청북도 |
평년(15~17㎜)과 비슷하겠음 |
평년(14~18㎜)보다 적겠음 |
평년(13~16㎜)보다 적겠음 |
광주‧전라남도 |
평년(16~18㎜)과 비슷하겠음 |
평년(14~18㎜)보다 적겠음 |
평년(16~24㎜)보다 적겠음 |
전라북도 |
평년(15~18㎜)과 비슷하겠음 |
평년(17~20㎜)보다 적겠음 |
평년(16~25㎜)보다 적겠음 |
부산‧울산‧경상남도 |
평년(14~23㎜)과 비슷하겠음 |
평년(13~20㎜)보다 적겠음 |
평년(12~21㎜)보다 적겠음 |
대구‧경상북도 |
평년(13~21㎜)과 비슷하겠음 |
평년(13~27㎜)보다 적겠음 |
평년(10~13㎜)보다 적겠음 |
제주도 |
평년(24~29㎜)과 비슷하겠음 |
평년(21~28㎜)보다 적겠음 |
평년(23~30㎜)보다 적겠음 |
평안남북도‧황해도 |
평년(9~34㎜)보다 적겠음 |
평년(9~19㎜)과 비슷하겠음 |
평년(5~14㎜)과 비슷하겠음 |
함경남북도 |
평년(6~59㎜)보다 적겠음 |
평년(6~30㎜)과 비슷하겠음 |
평년(3~15㎜)과 비슷하겠음 |
※ 문의 : ☏ 02- 2181- 0476~0482, http://www.kma.go.kr
< 참고 자료 >
◦ 기온 분포 (2010.09.21. ~ 10.20.) |
|
기온(℃) |
기온 편차(℃) |
|
|
- 0.5 0.5 (℃) |
|
|
|
낮음 비슷 높음 |
|
◦ 강수량 분포 (2010.09.21. ~ 10.20.) |
|
강수량(㎜) |
강수량 평년비(%) |
|
|
70 120 (%) |
|
|
|
적음 비슷 많음 |
◦ 강원영서 평균기온과 강수량 (2010.09.21. ~ 10.20.) |
|
평균기온(℃) |
강수량(㎜) |
|
|
|
◦ 순별 평년값 |
||||||||||||||||||||||||||||||||||||||||||||||||||||||||
평균기온 |
단위 : ℃ |
|||||||||||||||||||||||||||||||||||||||||||||||||||||||
|
||||||||||||||||||||||||||||||||||||||||||||||||||||||||
최저기온 |
단위 : ℃ |
|||||||||||||||||||||||||||||||||||||||||||||||||||||||
|
||||||||||||||||||||||||||||||||||||||||||||||||||||||||
최고기온 |
단위 : ℃ |
|||||||||||||||||||||||||||||||||||||||||||||||||||||||
|
||||||||||||||||||||||||||||||||||||||||||||||||||||||||
강수량 |
단위 : ㎜ |
|||||||||||||||||||||||||||||||||||||||||||||||||||||||
|
||||||||||||||||||||||||||||||||||||||||||||||||||||||||
(평년기간 : 1971 ~ 2000년) |
[첨부 3] |
최근 3개월(2010.8.1~10.10) 기후통계 분석 |
□ 강원도 영서
○ 최근 3개월(8.1~10.20) 강원도 영서지방의 평균기온은 20.2℃, 평균 최저기온은 16.5℃, 평균 최고기온은 25.3℃로 평년보다 각각 1.8℃, 2.7℃, 0.9℃ 높았음.
― 10월(10.1~10.20) 평균기온, 평균 최고기온, 평균 최저기온은 13.8℃, 19.9℃, 9.4℃로 평년보다 각각 1.5℃, 0.3℃, 2.6℃ 높았음.
○ 최근 3개월 강수량은 803.9㎜로 평년보다 많았음(평년대비 156.9%). 강수일수는 41일로 평년보다 13.8일 많았고, 일조시간은 334.1시간으로 평년보다 152.7시간 적었음.
평균 기온 |
평균 최고 기온 |
평균 최저 기온 |
열대야 일수★ |
강수량 |
강수 일수 |
일교차 10℃이상 일수 |
서리일수* |
일조시간 |
|
최근 3개월 (8.1~10.20) |
20.2℃ (18.3℃) |
25.3℃ (24.4℃) |
16.5℃ (13.8℃) |
3.0일 (0.5일) |
803.9㎜ (512.4㎜) |
41.0일 (27.2일) |
30.8 ( 47.5일) |
1.0일 (2.9일) |
334.1시간 (486.8시간) |
10월 (10.1~10.20) |
13.8℃ (12.3℃) |
19.9℃ (19.5℃) |
9.4℃ (6.8℃) |
- |
30.4㎜ (40.8㎜) |
3.8일 (4.3일) |
11.4 ( 15.1일) |
0.3일 (2.6일) |
96.1시간 (124.6시간) |
* 열대야 일수는 밤 최저기온(18:01~익일 09:00) 25℃ 이상인 일수임.
( ) 안의 값은 최근 10년(2000~2009년) 평균값임.
* 서리일수는 3개지점의 평균입니다.(대관령, 춘천, 원주)
□ 춘천
○ 최근 3개월(8.1~10.20) 춘천의 평균기온은 21.1℃, 평균 최저기온은 17.5℃, 평균 최고기온은 26.0℃로 평년보다 각각 1.5℃, 2.3℃, 0.3℃ 높았음.
- 최근 10월 평균기온은 14.7℃, 평균 최저기온은 10.3℃ 로 평년보다 각각 1.1℃, 2.1℃ 높았고, 평균 최고기온은 20.7℃로 평년과 같았음.
○ 최근 3개월 춘천의 강수량은 947.7㎜로 평년보다 많았음(평년대비 196.0%). 강수일수는 39일로 평년보다 13.8일 많았고, 일조시간은 344.7시간으로 평년보다 130시간 적었음.
평균 기온 |
평균 최고 기온 |
평균 최저 기온 |
열대야 일수★ |
강수량 |
강수 일수 |
일교차 10℃이상 일수 |
서리일수* |
일조시간 |
|
최근 3개월 (8.1~10.20) |
21.1℃ (19.6℃) |
26.0℃ (25.7℃) |
17.5℃ (15.2℃) |
3.0일 (0.8일) |
947.7㎜ (483.4㎜) |
39일 (25.2일) |
28.0일 (48.9일) |
0.0일 (1.3일) |
344.7시간 (474.7시간) |
10월 (10.1~10.20) |
14.7℃ (13.6℃) |
20.7℃ (20.7℃) |
10.3℃ (8.2℃) |
- |
31.1㎜ (29.6㎜) |
3일 (4.1일) |
12.0일 (15.5일) |
0.0일 (1.3일) |
98.8시간 (117.1시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