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 10. 22.(금) 11:00 (총 12매) |
즉시 |
강원지방기상청 기 후 과 |
과 장 이 정 석 |
033- 650- 0422, 0428 |
강원 영동 2010년 11월~2011년 1월 전망
◇ 기온은 평년(4℃)과 비슷하겠으나 기온의 변동폭이 크겠음.
11월과 1월에는 평년과 비슷하겠고 12월에는 평년보다 낮겠음.
◇ 강수량은 평년(166~191㎜)과 비슷하겠음.
12월에는 평년보다 적겠고 1월에는 평년보다 많겠음.
1월에는 기압골과 지형적인 영향으로 많은 눈이 내리는 곳이 있겠음.
□ 기압계 전망
○ 2010년 11월
- 11월 상순에는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으로 일교차가 큰 날이 많겠으며 기온과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겠음. 11월 중순에는 대륙고기압과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으로 기온의 변동폭이 크겠으며, 맑고 건조한 날씨를 보이겠음. 기온은 평년과 비슷하겠고 강수량은 평년보다 적겠음. 11월 하순에는 찬 대륙고기압이 일시적으로 확장하면서 추운 날이 많겠음. 기온은 평년보다 낮겠고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겠음.
☞ 고기압의 영향으로 서리가 내리고, 얼음이 어는 곳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니 농작물 관리에 만전을 기해 주시기 바라며, 산간지방에는 지형적인 영향으로 눈이 내리는 곳이 있겠음.
○ 2010년 12월
- 대륙고기압과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으로 기온의 변동폭이 크겠으며 기온은 대체로 평년보다 낮겠고, 강수량은 평년보다 적겠음. 찬 대륙고기압이 확장하면서 기온이 큰 폭으로 떨어질 때가 있겠으며 산간지방에는 많은 눈이 내리는 곳이 있겠음.
☞ 찬 대륙고기압이 일시적으로 크게 발달하면서 기온이 큰 폭으로 떨어질 때가 있겠으니 건강관리에 유의하시기 바람. 특히, 노약자 및 심혈관질환자 등은 각별한 주의가 필요함.
- 1 -
○ 2011년 1월
- 대륙고기압의 세력 약화로 기온은 평년과 비슷한 경향을 보이겠으나, 일시적으로 찬 대륙고기압이 확장하면서 기온이 큰 폭으로 떨어질 때가 있겠음. 강수량은 평년보다 많겠으며 기압골과 지형적인 영향으로 많은 눈이 내리는 곳이 있겠음.
☞ 대체로 온도가 평년과 비슷하겠으나 찬 대륙고기압의 영향으로 기온이 큰 폭으로 떨어질 때가 있겠으니 건강 및 시설물 관리에 유의하시기 바람.
□ 강원영동 3개월 전망(2010년 11~2011년 1월) 요약
월 |
월 평 균 기 온 |
월 강 수 량 |
11월 |
평년(9℃)과 비슷하겠음 |
평년(72~82㎜)과 비슷하겠음 |
12월 |
평년(3℃)보다 낮겠음 |
평년(41~44㎜)보다 적겠음 |
2011년 1월 |
평년(0℃)과 비슷하겠음 |
평년(53~65㎜)보다 많겠음 |
※ 다음 3개월 전망은 2010년 11월 23일 오전 11시에 발표 됩니다
※ 문의 : ☏033- 650- 0422, 0428, http://www.kma.go.kr
- 2 -
□ 최근 기압계 동향
○ 8월에는 북태평양고기압의 영향을 주로 받았으며 그 가장자리를 따라 기압골, 태풍 및 열대저압부가 통과하여 비가 자주 내렸음. 기온은 고온다습한 남서류의 유입과 강한 일사의 영향으로 평년보다 높았으며(평년편차 +2.0℃), 폭염과 열대야가 나타났음. 10~11일에 태풍 ‘뎬무’, 13~16일, 24~26일, 28~29일에는 기압골의 영향으로 비가 내려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였음(평년대비 77.3%).
○ 9월에는 상순에 북태평양고기압 영향을 받은 후 중순부터 이동성고기압과 대륙고기압의 영향을 주로 받았음. 하순에는 기온이 낮았으나 중순까지 기온이 높게 나타나 월 기온은 평년보다 높았음(평년편차 +0.7℃). 1~2일에 태풍 ‘곤파스’, 6~7일에 태풍 ‘말로’의 영향을 받았으나 강수량은 적었으며, 9~12일, 19일, 21~22일에 중부지방을 통과한 기압골의 영향으로 많은 비가 내려 강수량은 평년보다 많았음(평년대비 131.7%).
○ 10월(10.1~20)에는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을 주로 받아 기온은 평년보다 높았음(평년편차 +0.7℃). 2~3일에는 기압골 통과로 많은 비가 내렸으며, 12~13일, 18일에 약한 북동기류 영향으로 비가 내렸으나 양이 매우 적어 전체적인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였음(평년대비 71.1%).
|
|
<강원 영동 평균기온 일변화(8.1~10.20)> |
<강원 영동 강수량 일변화(8.1~10.20)> |
- 3 -
□ 엘니뇨/라니냐 현황 및 전망
○ 10월 현재 엘니뇨 감시구역(5°S~5°N, 170°W~120°W)에서의 해수면온도는 평년보다 1.5℃ 정도 낮은 저수온 현상을 보이고 있음.
○ 현재 나타나고 있는 저수온 현상이 점차 약화되는 추세를 보이겠으나, 2011년 3월까지는 약한 라니냐가 유지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전망됨.
- 기상청의 라니냐 정의에 의하면 라니냐 시작의 공식 월은 관측자료가 모두 수집되는 2011년 2월 이후에 발표가 가능하나,
- 엘니뇨/라니냐 예측모델의 결과를 볼 때 이번 라니냐의 시작월은 6월이 될 가능성이 높음.
|
|
그림 1. (상) 최근(10.10~10.16) 전지구 해수면온도 편차 분포(℃)와 (하) 엘니뇨 감시구역에서의 해수면온도 편차 변화 경향 |
그림 2. 기상청 엘니뇨/라니냐 예측모델 결과 |
(* : 엘니뇨예측 모델을 이용한 예측값)
년 |
2010년 |
2011년 |
|||||||||||
월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 |
2 |
3 |
월평균 해수면온도 편차 |
1.1 |
0.7 |
0.0 |
- 0.4 |
- 1.0 |
- 1.2 |
- 1.6 |
- 1.1* |
- 1.0* |
- 0.8* |
- 0.7* |
- 0.6* |
- 0.6* |
5개월 이동평균 해수면온도 편차 |
0.9 |
0.5 |
0.1 |
- 0.4 |
- 0.8 |
- 1.1* |
- 1.2* |
- 1.1* |
- 1.0* |
- 0.8* |
- 0.7* |
< 엘니뇨 감시구역(Niño3.4)의 해수면온도 편차(℃) >
※ 엘니뇨(라니냐)의 정의
- 기상청은 엘니뇨 감시구역(Nino 3.4 : 5°S~5°N, 170°W~120°W)에서 5개월 이동평균한 해수면온도 편차가 0.4℃이상(- 0.4℃ 이하) 나타나는 달이 6개월 이상 지속될 때 그 첫 달을 엘니뇨(라니냐) 발달의 시작으로 정의하고 있음.
※ 첨부자료
1. 3개월 전망 전문
2. 최근 3개월(2010.8.1~10.20) 기후통계 분석
- 4 -
[첨부 1] |
3개월 전망 전문 |
3개월 전망
(강원 영동 2010년 11월 ~ 2011년 1월)
강 원 지 방 기 상 청
2010년 10월 22일 11시 발표
※ 다음 3개월 전망은 2010년 11월 23일 11시에 발표
요 약 |
||
|
||
□ 기 온 : 평년(4℃)과 비슷하겠음. 찬 대륙고기압의 일시적인 확장으로 기온의 변동폭이 크겠음. 11월과 1월에는 평년과 비슷하겠고 12월에는 평년보다 낮겠음. □ 강수량 : 평년(166~191㎜)과 비슷하겠음. 12월에는 평년보다 적겠고 1월에는 평년보다 많겠음. 1월에는 기압골과 지형적인 영향으로 많은 눈이 내리는 곳이 있겠음. |
□ 기압계 동향
8월에는 북태평양고기압의 영향을 주로 받았으며 그 가장자리를 따라 기압골, 태풍 및 열대저압부가 통과하여 비가 자주 내렸음. 기온은 고온다습한 남서류의 유입과 강한 일사의 영향으로 평년보다 높았으며, 폭염과 열대야가 나타났음. 10~11일에 태풍 ‘뎬무’, 13~16일, 24~26일, 28~29일에는 기압골의 영향으로 비가 내려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였음.
9월에는 상순에 북태평양고기압의 영향을 받은 후 중순부터 이동성고기압과 대륙고기압의 영향을 주로 받았음. 하순에 기온이 낮았으나 중순까지 기온이 높게 나타나 월 기온은 평년보다 높았음. 1~2일에 태풍 ‘곤파스’, 6~7일에 태풍 ‘말로’의 영향을 받았으나 강수량은 적었으며, 9~12일, 19일, 21~22일에 중부지방을 통과한 기압골의 영향으로 많은 비가 내려 강수량은 평년보다 많았음.
10월(10.1~20)에는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을 주로 받아 기온은 평년보다 높았음. 2~3일에는 기압골 통과로 많은 비가 내렸으며 12~13일, 18일에 약한 북동기류 영향으로 비가 내렸으나 양이 매우 적어 전체적인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였음.
- 5 -
□ 월별 전망
11 월 |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으로 일교차가 큰 날이 많겠음. 찬 대륙고기압이 일시적으로 확장하여 추운 날씨를 보일 때가 있겠으며 기온과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겠음. 산간지방에는 지형적인 영향으로 눈이 내리는 곳이 있겠음. |
12 월 |
대륙고기압과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으로 기온의 변동폭이 크겠으며 기온은 대체로 평년보다 낮겠고, 강수량은 평년보다 적겠음. 찬 대륙고기압이 확장하면서 기온이 큰 폭으로 떨어질 때가 있겠으며 산간지방에는 많은 눈이 내리는 곳이 있겠음. |
1 월 |
대륙고기압의 세력 약화로 기온은 평년과 비슷한 경향을 보이겠으나, 일시적으로 찬 대륙고기압이 확장하면서 기온이 큰 폭으로 떨어질 때가 있겠음. 강수량은 평년보다 많겠으며 기압골과 지형적인 영향으로 많은 눈이 내리는 곳이 있겠음. |
월 |
월 평 균 기 온 |
월 강 수 량 |
11월 |
평년(9℃)과 비슷하겠음 |
평년(72~82㎜)과 비슷하겠음 |
12월 |
평년(3℃)보다 낮겠음 |
평년(41~44㎜)보다 적겠음 |
2011년 1월 |
평년(0℃)과 비슷하겠음 |
평년(53~65㎜)보다 많겠음 |
※ 문의 : ☏ 033- 650- 0422, 0428, http://www.kma.go.kr
◦ 평균기온 |
||
11월 |
12월 |
1월 |
|
|
|
낮음 비슷 높음 |
||
◦ 강수량 |
||
11월 |
12월 |
1월 |
|
|
|
적음 비슷 많음 |
- 6 -
※ 월 단위 이상 기간에 대한 평균 기온ㆍ강수량의 전망 표현 기준표
구분 |
기온 편차(℃) |
강수량 평년비(%) |
높음(많음) |
>0.5 |
>120 |
비슷 |
- 0.5~0.5 |
70~120 |
낮음(적음) |
<- 0.5 |
<70 |
- 7 -
◦ 평균기온
월별 지역 |
11월 |
12월 |
1월 |
강원도 영동 |
평년(9℃)과 비슷하겠음 |
평년(3℃)보다 낮겠음 |
평년(0℃)과 비슷하겠음 |
강원도 영서 |
평년(2~5℃)과 비슷하겠음 |
평년(- 5~- 2℃)보다 낮겠음 |
평년(- 8~- 5℃)과 비슷하겠음 |
전국(북한제외) 평균 |
평년(2~14℃)과 비슷하겠음 |
평년(- 5~9℃)과 비슷하겠음 |
평년(- 8~7℃)보다 높겠음 |
서울‧인천‧경기도 |
평년(5~7℃)과 비슷하겠음 |
평년(- 2~1℃)보다 낮겠음 |
평년(- 5~- 2℃)과 비슷하겠음 |
대전‧충청남도 |
평년(6~8℃)과 비슷하겠음 |
평년(0~2℃)과 비슷하겠음 |
평년(- 3~- 1℃)과 비슷하겠음 |
충청북도 |
평년(4~6℃)과 비슷하겠음 |
평년(- 3~0℃)과 비슷하겠음 |
평년(- 5~- 2℃)과 비슷하겠음 |
광주‧전라남도 |
평년(7~11℃)과 비슷하겠음 |
평년(2~5℃)과 비슷하겠음 |
평년(- 1~3℃)보다 높겠음 |
전라북도 |
평년(5~8℃)과 비슷하겠음 |
평년(- 1~2℃)과 비슷하겠음 |
평년(- 3~0℃)보다 높겠음 |
부산‧울산‧경상남도 |
평년(6~11℃)과 비슷하겠음 |
평년(0~6℃)과 비슷하겠음 |
평년(- 2~3℃)보다 높겠음 |
대구‧경상북도 |
평년(5~10℃)과 비슷하겠음 |
평년(- 1~4℃)과 비슷하겠음 |
평년(- 4~2℃)보다 높겠음 |
제주도 |
평년(12~14℃)과 비슷하겠음 |
평년(7~9℃)과 비슷하겠음 |
평년(5~7℃)보다 높겠음 |
평안남북도‧황해도 |
평년(- 3~6℃)보다 낮겠음 |
평년(- 12~0℃)보다 낮겠음 |
평년(- 16~- 4℃)과 비슷하겠음 |
함경남북도 |
평년(- 7~8℃)보다 낮겠음 |
평년(- 14~2℃)보다 낮겠음 |
평년(- 18~- 1℃)과 비슷하겠음 |
◦ 강수량
월별 지역 |
11월 |
12월 |
1월 |
강원도 영동 |
평년(72~82㎜)과 비슷하겠음 |
평년(41~44㎜)보다 적겠음 |
평년(53~65㎜)보다 많겠음 |
강원도 영서 |
평년(37~82㎜)과 비슷하겠음 |
평년(21~38mm)보다 적겠음 |
평년(15~60mm)과 비슷하겠음 |
전국(북한제외) 평균 |
평년(35~87㎜)보다 적겠음 |
평년(15~55㎜)보다 적겠음 |
평년(15~78㎜)보다 많겠음 |
서울‧인천‧경기도 |
평년(44~53㎜)과 비슷하겠음 |
평년(21~26㎜)보다 적겠음 |
평년(16~24㎜)과 비슷하겠음 |
대전‧충청남도 |
평년(51~58㎜)보다 적겠음 |
평년(29~33㎜)과 비슷하겠음 |
평년(24~30㎜)과 비슷하겠음 |
충청북도 |
평년(42~51㎜)보다 적겠음 |
평년(24~28㎜)보다 적겠음 |
평년(22~27㎜)과 비슷하겠음 |
광주‧전라남도 |
평년(48~58㎜)보다 적겠음 |
평년(21~32㎜)과 비슷하겠음 |
평년(28~38㎜)보다 많겠음 |
전라북도 |
평년(50~62㎜)보다 적겠음 |
평년(30~40㎜)과 비슷하겠음 |
평년(31~42㎜)보다 많겠음 |
부산‧울산‧경상남도 |
평년(39~64㎜)보다 적겠음 |
평년(16~26㎜)보다 적겠음 |
평년(22~41㎜)보다 많겠음 |
대구‧경상북도 |
평년(35~61㎜)보다 적겠음 |
평년(15~38㎜)보다 적겠음 |
평년(18~48㎜)보다 많겠음 |
제주도 |
평년(68~87㎜)보다 적겠음 |
평년(43~55㎜)과 비슷하겠음 |
평년(59~78mm)보다 많겠음 |
평안남북도‧황해도 |
평년(24~55㎜)과 비슷하겠음 |
평년(14~25㎜)과 비슷하겠음 |
평년(7~17㎜)과 비슷하겠음 |
함경남북도 |
평년(16~101mm)과 비슷하겠음 |
평년(8~46㎜)과 비슷하겠음 |
평년(4~53㎜)과 비슷하겠음 |
※ 문의 : ☏ 033- 650- 0422, 0428, http://www.kma.go.kr
- 8 -
< 참고 자료 >
◦ 기온 분포 (2010.08.01. ~ 2010.10.20.) |
|
기온(℃) |
기온 편차(℃) |
|
|
- 0.5 0.5 (℃) |
|
|
|
낮음 비슷 높음 |
|
◦ 강수량 분포 (2010.08.01. ~ 2010.10.20.) |
|
강수량(㎜) |
강수량 평년비(%) |
|
|
70 120 (%) |
|
|
|
적음 비슷 많음 |
- 9 -
◦ 강원 영동 평균기온과 강수량 (2010.08.01. ~ 2010.10.20.) |
|
< 평균기온(℃) > |
< 누적강수량(㎜) > |
|
|
|
|
|
|
|
|
|
◦ 강원 영동 기후 평년값 (11월 ~ 1월) |
|||||||||||||||||||||||||||||||||||||||||||||||||||
평균기온 단위 : ℃ |
최저기온 단위 : ℃ |
||||||||||||||||||||||||||||||||||||||||||||||||||
|
|
||||||||||||||||||||||||||||||||||||||||||||||||||
최고기온 단위 : ℃ |
강수량 단위 : mm |
||||||||||||||||||||||||||||||||||||||||||||||||||
|
|
||||||||||||||||||||||||||||||||||||||||||||||||||
(평년기간 : 1971 ~ 2000년, ** 동해지점은 1993~2009년) |
- 10 -
[첨부 2] |
최근 3개월(2010.8.1~10.20) 기후통계 분석 |
□ 강원영동
○ 최근 3개월(8.1~10.20) 강원 영동의 평균기온, 평균 최고기온, 평균 최저기온은 21.8℃, 25.7℃, 18.6℃로 평년보다 각각 1.2℃, 1.3℃, 1.5℃ 높았음.
- 10월(10.1~10.20) 평균기온, 평균 최고기온, 평균 최저기온은 16.8℃, 21.1℃, 13.2℃로 평년보다 각각 0.7℃, 0.5℃, 1.3℃ 높았음.
※ 최근 3개월 평균기온은 1971년 이래 최고 2위(1위 1994년 22.1℃), 평균최고기온은 최고 3위(1위 1994년 26.1℃, 2위 2006년 25.8℃), 평균최저기온은 최고 1위(2위 2007년 18.5℃) 기록함.
※ 최근 3개월 일최고기온 30℃이상 일수는 최고 2위(1위 1994년 17.5일) 기록함.
○ 최근 3개월 강수량은 541.7㎜로 평년과 비슷하였으며(평년대비 96.6%), 강수일수는 40.5일로 평년보다 10일 많았음.
- 10월(10.1~10.20) 강수량은 45.3㎜로 평년과 비슷하였음(평년대비 71.1%).
※ 최근 3개월 강수일수는 최고 3위(1위 2007년 46일, 2위 1992년 45일) 기록함.
[강원 영동 기상요소 값] ※ ( ) 안의 값은 평년값임.
평균 기온 |
평균 최고기온 |
평균 최저기온 |
일 최고기온 30℃ 이상일수 |
열대야 일수★ |
평균 강수량 |
강수일수 (≥0.1㎜) |
일조시간 |
|
최근 3개월 (8.1~10.20) |
21.8℃ (20.6℃) |
25.7℃ (24.4℃) |
18.6℃ (17.1℃) |
17일 (8.9일) |
6일 (3.6일) |
541.7㎜ (560.6㎜) |
40.5일 (30.5일) |
355.8시간 (440.7시간) |
10월 (10.1~10.20) |
16.8℃ (16.1℃) |
21.1℃ (20.6℃) |
13.2℃ (11.9℃) |
0일 (0.1일) |
0일 (- 일) |
45.3㎜ (63.7㎜) |
5.5일 (5.2일) |
113.3시간 (118.9시간) |
★ 열대야 일수는 밤 최저기온(18:01~익일 09:00) 25℃ 이상인 일수임.
( ) 안의 값은 최근 10년(2000~2009년) 평균값임.
□ 강릉
○ 최근 3개월(8.1~10.20) 강릉의 평균기온, 평균 최고기온, 평균 최저기온은 22.0℃, 25.9℃, 18.8℃로 평년보다 각각 1.2℃, 0.8℃, 1.7℃ 높았음.
- 10월(10.1~10.20) 평균기온, 평균 최고기온, 평균 최저기온은 16.8℃, 21.3℃, 13.2℃로 평년보다 각각 0.6℃, 0.2℃, 1.3℃ 높았음.
※ 최근 3개월 평균기온은 1971년 이래 최고 3위(1위 1994년 22.5℃, 2위 2006년 22.1℃), 평균최저기온은 2007년, 2008년과 공동으로 최고 1위 기록함.
○ 최근 3개월 강릉의 강수량은 468.4㎜로 평년과 비슷하였으며(평년대비 82.8%), 강수일수는 39일로 평년보다 7.9일 많았음.
- 10월(10.1~10.20) 강수량은 22.0㎜로 평년보다 적었음(평년대비 30.9%).
[강릉 기상요소 값] ※ ( ) 안의 값은 평년값임.
평균 기온 |
평균 최고기온 |
평균 최저기온 |
일 최고기온 30℃ 이상일수 |
열대야 일수★ |
평균 강수량 |
강수일수 (≥0.1㎜) |
일조시간 |
|
최근 3개월 (8.1~10.20) |
22.0℃ (20.8℃) |
25.9℃ (25.1℃) |
18.8℃ (17.1℃) |
18일 (11.8일) |
9일 (5.1일) |
468.4㎜ (566.0㎜) |
39일 (31.1일) |
346.9시간 (432.9시간) |
10월 (10.1~10.20) |
16.8℃ (16.2℃) |
21.3℃ (21.1℃) |
13.2℃ (11.9℃) |
0일 (0.1일) |
0일 (- 일) |
22.0㎜ (71.2㎜) |
5일 (5.5일) |
112.5시간 (117.4시간) |
-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