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천기상대 |
춘천기상대장 박 종 식 담당자 추영옥 |
2010.11.5(금) 11:00(총5매) |
즉 시 |
10월 기상특성
- 대체로 건조한 날씨에 하순 들어 한 차례 기습 한파 -
◇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을 주로 받아 기온과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였으나,
- 10월 25일 이후 찬 대륙고기압이 남하하면서 기온이 급격히 하강하였고
- 10월 중순에는 강수량이 매우 적었음.
□ 기온과 강수량 현황
○ 기온
— 10월에는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을 주로 받아 영서 평균기온과 평균 최고기온은 각각 11.9℃, 18.4℃로 평년과 비슷하였으며(편차 +0.9℃, +0.2℃), 평균 최저기온은 7.0℃로 평년보다 1.7℃ 높았음(그림 1). 25일 이후 찬 대륙고기압이 남하하면서 25일과 26일 사이에 평균기온이 10.1℃에서 2.3℃로 7.8℃가 급격히 하강하였음.
|
|
그림 1. (좌) 10월 전군 평균기온 평년편차도(℃)와 (우) 영서 평균기온 일변화(℃) |
○ 강수량
— 10월 영서 강수량은 32.5㎜(평년비 55%)로 평년보다 적었음(그림 2). 상순과 하순에 기압골이 통과하면서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비가 내렸으나, 중순에는 강수량이 매우 적었음.
|
|
그림 2. (좌) 10월 전국 강수량 평년비 분포도(%)와 (우) 영서 강수량 일변화(mm) |
□ 중순 강수량이 적었던 원인
○ 중순 후반에는 발해만 북부에 중심을 둔 대륙고기압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며 우리나라는 구름 끼는 날이 많았으나 강수량은 매우 적었음(그림 3).
|
그림 3. 10월 중순의 지상기압장(실선) 및 편차장(음영) |
□ 하순 기습 한파
○ 25일 오후부터 우리나라는 북서쪽에서 찬 대륙고기압이 남하하면서 25일과 26일 사이에 평균기온이 10.1℃에서 2.3℃로 7.8℃가 급격히 하강하며 기습 한파가 나타났음(그림 4).
— 10.26~28의 3일간 영서 평균기온은 3.1℃로 평년 8.5℃보다 5.4℃가 낮아 1973년 이후 최저 2위임.
— 10.26~28의 3일간 춘천 평균기온은 3.8℃로 평년 9.4℃보다 5.6℃가 낮아 1971년 이후 최저 2위임. (1위는 1980년 5.8℃)
|
그림 4. 10월 25∼31일 기간의 지상기압장(실선) 및 편차장(음영) |
〈참고 1〉영서의 10월 기상자료
□ 평균기온, 평균 최고기온, 평균 최저기온, 평균 강수량(1973- 2010년)
□ 평년대비 기상요소 값
요소(전국) |
2010년 10월(a) |
10월 평년값 (1973- 2000) (b) |
a- b |
1973년 이후 순위(5위까지) |
평균기온(℃) |
11.9 |
11.0 |
0.9 |
|
평균 최고기온(℃) |
18.4 |
18.2 |
0.2 |
|
평균 최저기온(℃) |
7.0 |
5.3 |
1.7 |
|
강수량(mm) |
32.5 |
58.3 |
- 25.8(55.7%) |
|
강수일수(일) |
4.2 |
6.6 |
- 2.4 |
|
서리일수(일) |
3.7 |
6.5 |
- 2.8 |
|
일교차10℃이상(일) |
21.0 |
24.0 |
- 3.0 |
|
일조시간(h) |
156.6 |
194.9 |
- 38.3(80.4%) |
〈참고 2〉춘천의 10월 기상자료
□ 평균기온, 최고기온, 최저기온, 강수량(1973- 2010년)
□ 평년대비 기상요소 값
요소(서울) |
2010년 10월(a) |
10월 평년값 (b) |
a- b |
1908년 이후 순위(5위까지) |
평균기온(℃) |
12.6 |
12.1 |
0.5 |
|
평균 최고기온(℃) |
19.4 |
19.3 |
0.1 |
|
평균 최저기온(℃) |
7.8 |
6.6 |
1.2 |
|
강수량(mm) |
31.1 |
43.3 |
- 12.2(71.8%) |
|
강수일수(일) |
3.0 |
6.2 |
- 3.2 |
|
서리일수(일) |
3.0 |
5.0 |
- 2.0 |
|
일교차10℃이상(일) |
22.0 |
24.7 |
- 2.7 |
|
일조시간(h) |
172.0 |
179.9 |
- 7.9(95.6%) |
<용어 해설>
○ ‘영서’의 의미는 5개 관측지점(춘천, 대관령, 원주, 인제, 홍천)의 자료를 평균한 것임. 예를 들어 금년 10월의 강수량 42.3mm의 의미는 5개 지점의 10월 강수량을 모두 합하여 5으로 나눈 값임.
○ 평년값은 1973년부터 2000년까지 28년 평균값임.
○ 전국 평균은 기상청 관측지점 수가 급증하여 안정적으로 자료를 생산하기 시작한 1973년 이후 5개 지점을 평균한 것임.
— 1973년 이후를 비교한 이유는 현재 영서 평균하는 5개 지점의 관측시작 시기가 1973년 이후가 대다수이므로 1973년을 기준으로 하였음.
- 단, 일조시간은 자료의 연속성으로 인해 3개 지점(춘천, 대관령, 원주)을 평균한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