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 11. 17.(수) 11:00 (총 3매) |
즉시 |
부산지방기상청 기후과 |
과 장 조 진 대 장기예보관 박 인 태 |
부산·경남지방의 첫눈 시기
- 최근 10년간 첫눈은 평년에 비해 8일 늦어지는 경향 -
□ 첫눈 오는 시기(평년)
○ 평년(1971~2000년)의 경우에 부산·울산·경남지방에서 첫눈 오는 시기는 지역별로 차이가 심하여 가장 빠른 곳(거창)은 11월 26일경 이고 가장 늦은 곳(거제)은 1월 3일경 임.
○ 경남서부내륙지역이 11월 하순부터 12월 상순으로 빠르고, 해안지방은 12월 중순으로 늦은 편임.
○ 부산의 첫눈 평년일은 12월 14일경 임.
□ 최근 10년(2000~2009년) 동안 첫눈이 내린 시기
○ 최근 10년(2000~2009년) 기간 동안 첫눈이 내린 시기는 거창이 12월 1일로 가장 빨랐으나, 평년에 비해 5일 정도 늦어짐.
○ 경남 대부분 지역에서 평년에 비해 평균 8일 가량 늦어짐. 남해는 평년보다 17일 늦어져 가장 많이 늦어졌음.
※ 지역별 첫눈 일자
기간 |
부산 |
울산 |
창원 |
진주 |
통영 |
밀양 |
거창 |
합천 |
산청 |
거제 |
남해 |
2000~2009년 |
12.22 |
12.28 |
12.27 |
12.25 |
12.28 |
12.23 |
12.01 |
12.10 |
12.05 |
01.12 |
12.31 |
1971~2000년 |
12.14 |
12.16 |
12.20 |
12.13 |
12.31 |
12.10 |
11.26 |
12.08 |
11.30 |
01.03 |
12.14 |
가장 빠른 기록 |
‘32.11.07 |
’81.10.23 |
‘93.11.23 |
‘76.11.14 |
‘68.11.09 |
‘83.11.17 |
‘81.10.23 |
‘76.11.14 |
‘02.11.08 |
‘72.11.27 |
‘76.11.14 |
□ 올 해 첫눈 전망
○ 올 해 첫눈은 각 지역별로 평년과 비슷한 시기에 내릴 것으로 전망
○ 경남서부내륙지방은 11월 하순~12월 상순경, 그 밖의 지방은 12월 중순경 또는 그 이후가 되겠음.
※ 첨부자료 : 부산·경남 첫눈 특성
[첨부] |
부산·경남 첫눈 시기 |
□ 평년(1971~2000년) 첫눈 시기
○ 첫눈 현상일의 평년값은 경남서부내륙지역이 11월 하순부터 12월 상순이고, 해안지방은 12월 중순임. 거제지방은 첫눈 현상일이 익년 1월 3일로 가장 늦음.
□ 최근 10년(2000~2009년) 동안 지역별 첫눈 시기
○ 최근 10년(2000~2009년)간 부산‧경남에서 첫눈이 가장 빨리 내린 곳은 거창으로 2006. 11. 7. 임.
○ 최근 10년(2000~2009년)의 평균 첫눈 현상일은 거창이 12월 1일로 가장 빨랐으나, 평년에 비해 5일이 늦어짐. 전 지역(통영 제외)에서 평년에 비해 평균 8일 가량 늦어졌으나, 통영은 평년보다 3일 빨라짐. 부산은 평년에 비해 8일 가량 늦어졌으며, 남해는 평년보다 17일 늦어져 첫눈 현상이 평년에 비해 가장 많이 늦어졌음.
표 1. 최근 10년(2000~2009년) 지역별 첫눈 일자와 평균일
연도 |
울산 |
창원 |
부산 |
통영 |
진주 |
거창 |
합천 |
밀양 |
산청 |
거제 |
남해 |
2000 |
12.25 |
‘01.1.07 |
12.25 |
‘01.1.13 |
‘01.1.07 |
12.13 |
12.13 |
12.25 |
12.13 |
‘01.1.13 |
‘01.1.07 |
2001 |
12.25 |
12.14 |
12.25 |
12.14 |
12.30 |
12.03 |
12.03 |
‘02.1.01 |
12.03 |
12.25 |
12.14 |
2002 |
12.25 |
12.11 |
11.18 |
12.11 |
11.18 |
11.08 |
11.18 |
12.25 |
11.08 |
12.11 |
12.11 |
2003 |
‘04.1.13 |
‘04.1.12 |
‘04.3.03 |
‘04.2.05 |
‘04.2.04 |
12.08 |
‘04.1.12 |
12.17 |
12.11 |
‘04.2.04 |
‘04.2.05 |
2004 |
12.31 |
12.31 |
12.31 |
12.30 |
12.24 |
12.24 |
12.24 |
12.31 |
12.24 |
12.31 |
12.31 |
2005 |
12.04 |
12.04 |
12.04 |
12.21 |
12.04 |
12.04 |
12.04 |
12.04 |
12.04 |
‘06.2.06 |
12.21 |
2006 |
12.17 |
‘07.1.06 |
12.17 |
‘07.1.06 |
12.17 |
11.07 |
12.17 |
12.17 |
12.17 |
‘07.1.06 |
‘07.1.06 |
2007 |
12.30 |
‘08.1.28 |
‘08.1.03 |
12.31 |
‘08.1.28 |
11.21 |
11.21 |
12.30 |
11.21 |
‘08.1.28 |
- |
2008 |
’09.1.14 |
12.05 |
12.05 |
12.05 |
12.05 |
12.05 |
|||||
2009 |
’10.1.04 |
12.31 |
11.17 |
11.17 |
12.17 |
12.05 |
|||||
평균 |
12.28 |
12.27 |
12.22 |
12.28 |
12.25 |
12.01 |
12.10 |
12.23 |
12.05 |
01.12 |
12.31 |
평년 |
12.16 |
12.20 |
12.14 |
12.31 |
12.13 |
11.26 |
12.08 |
12.10 |
11.30 |
01.03 |
12.14 |
극일 |
’81.10.23 |
‘93.11.23 |
‘32.11.07 |
‘68.11.09 |
‘76.11.14 |
‘81.10.23 |
‘76.11.14 |
‘83.11.17 |
‘02.11.08 |
‘72.11.27 |
‘76.11.14 |
- 1 -
□ 2005년 12월 4일 첫눈 사례
○ 우리나라 북서쪽에서 차가운 대륙성고기압이 확장하여 오면서 적국적으로 눈이 내렸으며, 경남에서는 첫눈으로 기록됨.
○ 대륙고기압이 우리나라부근으로 확장하면서 서해상을 지나는 차가운 공기가 눈구름으로 변해 우리나라로 유입되었고 경남서부지방을 중심으로 진주, 거창, 합천, 산청, 창원, 밀양 등지에 첫눈이 내림. 부산, 울산지방은 해상저기압과의 사이에서 수렴대가 형성되어 진눈개비가 내림.
○ 적설량은 거창 2.9㎝, 산청 0.8㎝, 합천 0.2㎝가 기록되었고, 그 밖의 지역에서는 지상기온이 높아 내리는 눈이 쌓이지 않고 바로 녹거나 진눈개비 또는 비의 형태로 내리면서 적설은 기록되지 않음.
|
|
그림 1. 2005. 12. 4. 일기도 및 신적설분포도
표 2. 2005. 12. 4. 강수량(㎜) 및 적설량(㎝)
지역 |
울산 |
창원 |
부산 |
통영 |
진주 |
거창 |
합천 |
밀양 |
산청 |
거제 |
남해 |
적설량 |
- |
- |
- |
- |
- |
2.9 |
0.2 |
- |
0.8 |
- |
- |
강수량 |
0.5 |
0.5 |
3.0 |
2.0 |
0.4 |
2.5 |
0.1 |
0.5 |
1.0 |
4.0 |
2.0 |
-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