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 11. 23.(화) 11:00 (총19매) |
즉시 |
강원지방기상청 춘천기상대 |
대 장 박 종 식 |
기온 변동폭 크고 한파 자주 나타날 듯
- 3개월 전망(2010년 12월~2011년 2월) -
◇ 기온은 평년(- 6~- 3℃)보다 낮겠으나 기온의 변동폭이 크겠음.
찬 대륙고기압이 확장하면서 기온이 큰 폭으로 떨어질 때가 있겠으며,
기온 변화가 크겠음.
◇ 강수량은 평년(55~148㎜)과 비슷하겠음.
12월에는 평년보다 적겠으며, 찬 대륙고기압이 확장하면서 서해안과
중부 내륙 및 산간 지역에 눈이 오는 곳이 있겠음.
□ 기압계 전망
○ 2010년 12월
- 12월 상순에는 찬 대륙고기압의 영향을 받아 추운 날이 많겠으며, 맑고 건조한 경향을 보이겠음. 기온은 평년보다 낮겠고, 강수량은 평년보다 적겠으나 찬 대륙고기압 확장 시 내륙 및 산간 지방에 눈이 오는 곳이 있겠음. 12월 중순과 하순에는 일시적으로 찬 대륙고기압이 확장하면서 한기 남하로 인해 기온의 변동폭이 크겠음. 중순에 기온은 평년보다 낮겠고 강수량은 평년보다 적겠음. 하순에 기온과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겠으며, 지형적인 영향으로 서해안과 중부 내륙 및 산간 지역에 눈이 오는 곳이 있겠음.
○ 2011년 1월
- 일시적으로 찬 대륙고기압이 확장하면서 기온이 큰 폭으로 떨어질 때가 있겠음. 기온과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겠음. 기압골의 영향과 지형적인 영향으로 서해안과 중부 내륙 및 산간지역에 눈이 오는 곳이 있겠음.
○ 2011년 2월
- 시베리아 지역에서 발달한 찬 대륙고기압의 영향으로 추운 날이 많겠으며, 기온변화가 크겠음. 기온은 평년보다 낮겠으며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겠음.
※ 찬 대륙고기압이 확장하면서 기온이 큰 폭으로 떨어질 때가 있겠으니 농작물 피해, 시설물 관리, 건강관리에 유의하시기 바람. 특히, 노약자 및 어린이와 심혈관질환자 등은 각별한 주의가 필요함.
□ 3개월 전망(2010년 12월~2011년 2월) 요약
월/영서 |
월 평 균 기 온 |
월 강 수 량 |
12월 |
평년(- 5~- 2℃)보다 낮겠음 |
평년(21~38㎜)보다 적겠음 |
2011년 1월 |
평년(- 8~- 5℃)과 비슷하겠음 |
평년(15~60㎜)과 비슷하겠음 |
2월 |
평년(- 6~- 2℃)보다 낮겠음 |
평년(19~50㎜)과 비슷하겠음 |
□ 1개월 전망(2010년 12월 상순~하순) 요약
순/영서 |
평 균 기 온 |
강 수 량 |
12월 상순 |
평년(- 3~0℃)보다 낮겠음 |
평년(8~13㎜)보다 적겠음 |
12월 중순 |
평년(- 5~- 2℃)보다 낮겠음 |
평년(6~9㎜)보다 적겠음 |
12월 하순 |
평년(- 6~- 3℃)과 비슷하겠음 |
평년(7~16㎜)과 비슷하겠음 |
※ 다음 1개월 전망은 2010년 12월 3일, 3개월 전망은 2010년 12월 23일 오전 11시에 발표 됩니다.
※ 문의 : ☏ 033- 242- 9131, http://www.kma.go.kr
□ 최근 기압계 동향
○ 9월에는 상순에 북태평양고기압의 영향을 받은 후 중순부터 이동성고기압과 대륙고기압의 영향을 주로 받았음. 상순과 중순에 고온현상이 나타나면서 월 전체 기온은 평년보다 높았음(평년편차 +1.7℃). 1~2일에 제7호 태풍 “곤파스”, 6~7일에 제9호 태풍 “말로”의 영향, 9~12일, 19일 및 21일에는 중부지방을 통과한 기압골과 정체전선의 영향으로 많은 비가 내려 강수량은 평년보다 많았음(평년대비 174%).
○ 10월에는 상순과 중순에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을 주로 받아 따뜻한 날이 많았으나 25일 이후 찬 대륙고기압이 남하하여 한기가 유입되면서 기온은 평년과 비슷하였음(평년편차 +0.4℃). 2~4일, 8~9일, 23~24일에 기압골이 통과하면서 많은 비가 내렸으나 중순 이후 대체로 건조하여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였음(평년대비 74%).
○ 11월(11.1~20)에는 차고 건조한 대륙고기압의 영향을 주로 받아 주기적으로 한파가 유입되면서 기온은 평년보다 낮았으며(평년편차 - 1.1℃), 11일 중부지방으로 저기압이 통과하면서 한차례 비가 내렸으나 맑고 건조한 날이 많아 강수량은 평년보다 적었음(평년대비 22%).
|
|
최근 전국 평균기온의 일변화(9.1~11.20) |
최근 전국 강수량의 일변화(9.1~11.20) |
|
|
영서지방 최근 평균기온의 일변화(9.1~11.20) |
영서지방 최근 강수량의 일변화(9.1~11.20) |
□ 엘니뇨/라니냐 현황 및 전망
○ 최근(2010.11.7~11.13) 엘니뇨 감시구역(5°S~5°N, 170°W~120°W)에서의 해수면온도는 평년보다 1.3℃ 정도 낮은 저수온 현상을 보이고 있음.
○ 현재 나타나고 있는 저수온 현상이 점차 약화되는 추세를 보이겠으나, 2011년 봄철(3~5월)까지는 약한 라니냐가 유지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전망됨.
- 기상청의 라니냐 정의에 의하면 라니냐 시작의 공식 월은 관측자료가 모두 수집되는 2011년 2월 이후에 발표가 가능하나,
- 엘니뇨/라니냐 예측모델의 결과를 볼 때 이번 라니냐의 시작월은 2010년 6월이 될 가능성이 높음.
최근 엘니뇨 감시구역의 해수면온도 편차 현황(위) 및
엘니뇨 예측모델 결과(아래)
(* : 기상청 엘니뇨예측 모델을 이용한 예측값)
년 |
2010년 |
2011년 |
|||||||||||
월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 |
2 |
3 |
4 |
5 |
월평균 해수면온도 편차 |
0.0 |
- 0.4 |
- 1.0 |
- 1.2 |
- 1.6 |
- 1.6 |
- 1.3* |
- 1.2* |
- 1.0* |
- 0.9* |
- 0.9* |
- 0.8* |
- 0.7* |
5개월 이동평균 해수면온도 편차 |
0.1 |
- 0.4 |
- 0.8 |
- 1.2 |
- 1.3* |
- 1.4* |
- 1.3* |
- 1.2* |
- 1.1* |
- 1.0* |
- 0.9* |
- 0.8 |
- 0.7* |
< 엘니뇨 감시구역(Niño3.4)의 해수면온도 편차(℃) >
※ 엘니뇨(라니냐)의 정의
- 기상청은 엘니뇨 감시구역(Nino 3.4 : 5°S~5°N, 170°W~120°W)에서 5개월 이동평균한 해수면온도 편차가 0.4℃이상(- 0.4℃ 이하) 나타나는 달이 6개월 이상 지속될 때 그 첫 달을 엘니뇨(라니냐) 발달의 시작으로 정의하고 있음.
※ 첨부자료
1. 3개월 전망 전문
2. 1개월 전망 전문
3. 최근 3개월(2010.9.1~11.20) 기후통계 분석
[첨부 1] |
3개월 전망 전문 |
3개월 전망
(영서지방, 2010년 12월 ~ 2011년 2월)
춘 천 기 상 대
2010년 11월 23일 11시 발표
※ 다음 3개월 전망은 2010년 12월 23일 11시에 발표
요 약 |
||
|
||
□ 기 온 : 평년(- 6~- 3℃)보다 낮겠음 찬 대륙고기압이 확장하면서 기온이 큰 폭으로 떨어질 때가 있겠으며, 기온변화가 크겠음. 2월에는 시베리아에서 발달한 대륙고기압의 영향 으로 추운 날이 많겠음. □ 강수량 : 평년(55~148㎜)과 비슷하겠음. 12월에는 평년보다 적겠으나, 2011년 1월과 2월에는 기압골의 영향과 지형적인 영향으로 많은 눈이 내리는 곳이 있겠음. |
□ 기압계 동향
9월에는 상순에 북태평양고기압의 영향을 받은 후 중순부터 이동성고기압과 대륙 고기압의 영향을 주로 받았음. 상순과 중순에 고온현상이 나타나면서 월 전체 기온은 평년보다 높았음. 1~2일에 제7호 태풍 “곤파스”, 6~7일에 제9호 태풍 “말로”의 영향, 9~12일, 19일 및 21일에는 중부지방을 통과한 기압골과 정체전선의 영향으로 많은 비가 내려 강수량은 평년보다 많았음.
10월에는 상순과 중순에는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을 주로 받아 따뜻한 날이 많았으나 25일 이후 찬 대륙고기압이 남하하면서 기온이 큰 폭으로 떨어졌음. 상순과 하순에는 기압골이 통과하면서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많은 비가 내렸으나 중순에는 매우 건조하였음. 기온과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였음.
11월(11.1~20)에는 차고 건조한 대륙고기압의 영향을 주로 받아 기온은 평년보다 낮았음. 11일에 중부지방으로 저기압이 통과하면서 한차례 비가 내렸으나 맑고 건조한 날이 많아 강수량은 평년보다 적었음.
□ 월별 전망
12 월 |
대륙고기압과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으로 기온의 변동폭이 크겠으며 건조한 날이 많겠음. 기온은 평년보다 낮겠으며 강수량은 적겠음. 찬 대륙고기압이 확장하면서 산간 지역에는 눈이 오는 곳이 있겠음. |
2011년 1 월 |
일시적으로 찬 대륙고기압이 확장하면서 기온이 큰 폭으로 떨어질 때가 있겠음. 기온과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겠음. 기압골과 지형적인 영향으로 영서 내륙 및 산간지역에 눈이 오는 곳이 있겠음. |
2 월 |
시베리아 지역에서 발달한 찬 대륙고기압의 영향으로 추운 날이 많겠으며, 기온변화가 크겠음. 기온은 평년보다 낮겠으며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겠음. |
전국/월 |
월 평 균 기 온 |
월 강 수 량 |
12월 |
평년(- 5~9℃)과 비슷하겠음 |
평년(15~55㎜)보다 적겠음 |
2011년 1월 |
평년(- 8~7℃)과 비슷하겠음 |
평년(15~78㎜)과 비슷하겠음 |
2월 |
평년(- 6~7℃)보다 낮겠음 |
평년(19~81㎜)과 비슷하겠음 |
영서/월 |
월 평 균 기 온 |
월 강 수 량 |
12월 |
평년(- 5~- 2℃)보다 낮겠음 |
평년(21~38㎜)보다 적겠음 |
2011년 1월 |
평년(- 8~- 5℃)과 비슷하겠음 |
평년(15~60㎜)과 비슷하겠음 |
2월 |
평년(- 6~- 2℃)보다 낮겠음 |
평년(19~50㎜)과 비슷하겠음 |
※ 문의 : ☏ 033- 242- 9131, http://www.kma.go.kr
◦ 평균기온 |
||
12월 |
1월 |
2월 |
|
|
|
낮음 비슷 높음 |
||
◦ 강수량 |
||
12월 |
1월 |
2월 |
|
|
|
적음 비슷 많음 |
※ 월 단위 이상 기간에 대한 평균 기온ㆍ강수량의 전망 표현 기준표
구분 |
기온 편차(℃) |
강수량 평년비(%) |
높음(많음) |
>0.5 |
>120 |
비슷 |
- 0.5~0.5 |
70~120 |
낮음(적음) |
<- 0.5 |
<70 |
◦ 평균기온
월별 지역 |
12월 |
1월 |
2월 |
전국(북한제외) 평균 |
평년(- 5~9℃)과 비슷하겠음 |
평년(- 8~7℃)과 비슷하겠음 |
평년(- 6~7℃)보다 낮겠음 |
서울‧인천‧경기도 |
평년(- 2~1℃)보다 낮겠음 |
평년(- 5~- 2℃)과 비슷하겠음 |
평년(- 2~0℃)보다 낮겠음 |
강원도 영서 |
평년(- 5~- 2℃)보다 낮겠음 |
평년(- 8~- 5℃)과 비슷하겠음 |
평년(- 6~- 2℃)보다 낮겠음 |
강원도 영동 |
평년(3℃)과 비슷하겠음 |
평년(0℃)과 비슷하겠음 |
평년(1℃)보다 낮겠음 |
대전‧충청남도 |
평년(0~2℃)과 비슷하겠음 |
평년(- 3~- 1℃)과 비슷하겠음 |
평년(- 1~0℃)보다 낮겠음 |
충청북도 |
평년(- 3~0℃)과 비슷하겠음 |
평년(- 5~- 2℃)과 비슷하겠음 |
평년(- 3~0℃)보다 낮겠음 |
광주‧전라남도 |
평년(2~5℃)과 비슷하겠음 |
평년(- 1~3℃)과 비슷하겠음 |
평년(1~4℃)보다 낮겠음 |
전라북도 |
평년(- 1~2℃)과 비슷하겠음 |
평년(- 3~0℃)과 비슷하겠음 |
평년(- 1~1℃)보다 낮겠음 |
부산‧울산‧경상남도 |
평년(0~6℃)과 비슷하겠음 |
평년(- 2~3℃)과 비슷하겠음 |
평년(0~4℃)과 비슷하겠음 |
대구‧경상북도 |
평년(- 1~4℃)과 비슷하겠음 |
평년(- 4~2℃)과 비슷하겠음 |
평년(- 1~3℃)과 비슷하겠음 |
제주도 |
평년(7~9℃)과 비슷하겠음 |
평년(5~7℃)과 비슷하겠음 |
평년(6~7℃)과 비슷하겠음 |
평안남북도‧황해도 |
평년(- 12~0℃)보다 낮겠음 |
평년(- 16~- 4℃)보다 낮겠음 |
평년(- 11~- 2℃)보다 낮겠음 |
함경남북도 |
평년(- 14~2℃)보다 낮겠음 |
평년(- 18~- 1℃)보다 낮겠음 |
평년(- 15~0℃)보다 낮겠음 |
◦ 강수량
월별 지역 |
12월 |
1월 |
2월 |
전국(북한제외) 평균 |
평년(15~55㎜)보다 적겠음 |
평년(15~78㎜)과 비슷하겠음 |
평년(19~81㎜)과 비슷하겠음 |
서울‧인천‧경기도 |
평년(21~26㎜)과 비슷하겠음 |
평년(16~24㎜)과 비슷하겠음 |
평년(19~25㎜)과 비슷하겠음 |
강원도 영서 |
평년(21~38mm)보다 적겠음 |
평년(15~60mm)과 비슷하겠음 |
평년(19~50mm)과 비슷하겠음 |
강원도 영동 |
평년(41~44㎜)보다 적겠음 |
평년(53~65㎜)과 비슷하겠음 |
평년(56~59㎜)과 비슷하겠음 |
대전‧충청남도 |
평년(29~33㎜)과 비슷하겠음 |
평년(24~30㎜)과 비슷하겠음 |
평년(27~36㎜)과 비슷하겠음 |
충청북도 |
평년(24~28㎜)보다 적겠음 |
평년(22~27㎜)과 비슷하겠음 |
평년(24~35㎜)과 비슷하겠음 |
광주‧전라남도 |
평년(21~32㎜)과 비슷하겠음 |
평년(28~38㎜)과 비슷하겠음 |
평년(39~49㎜)과 비슷하겠음 |
전라북도 |
평년(30~40㎜)과 비슷하겠음 |
평년(31~42㎜)과 비슷하겠음 |
평년(32~41㎜)과 비슷하겠음 |
부산‧울산‧경상남도 |
평년(16~26㎜)보다 적겠음 |
평년(22~41㎜)과 비슷하겠음 |
평년(30~55㎜)과 비슷하겠음 |
대구‧경상북도 |
평년(15~38㎜)보다 적겠음 |
평년(18~48㎜)과 비슷하겠음 |
평년(24~48㎜)과 비슷하겠음 |
제주도 |
평년(43~55㎜)과 비슷하겠음 |
평년(59~78mm)과 비슷하겠음 |
평년(67~81mm)과 비슷하겠음 |
평안남북도‧황해도 |
평년(14~25㎜)보다 적겠음 |
평년(7~17㎜)보다 적겠음 |
평년(8~15㎜)보다 적겠음 |
함경남북도 |
평년(8~46㎜)보다 적겠음 |
평년(4~53㎜)보다 적겠음 |
평년(8~41㎜)보다 적겠음 |
※ 문의 : ☏033- 242- 9131, http://www.kma.go.kr
< 참고 자료 >
◦ 기온 분포 (2010.09.01. ~ 2010.11.20.) |
|
기온(℃) |
기온 편차(℃) |
|
|
- 0.5 0.5 (℃) |
|
|
|
낮음 비슷 높음 |
|
◦ 강수량 분포 (2010.09.01. ~ 2010.11.20.) |
|
강수량(㎜) |
강수량 평년비(%) |
|
|
70 120 (%) |
|
|
|
적음 비슷 많음 |
◦ 전국 평균기온과 강수량 (2010.09.01. ~ 2010.11.20.) |
|
평균기온(℃) |
강수량(㎜) |
|
|
|
◦ 기후 평년값 (12월 ~ 2월) |
||||||||||||||||||||||||||||||||||||||||||||||||||||||||
평균기온 |
단위 : ℃ |
|||||||||||||||||||||||||||||||||||||||||||||||||||||||
|
||||||||||||||||||||||||||||||||||||||||||||||||||||||||
최저기온 |
단위 : ℃ |
|||||||||||||||||||||||||||||||||||||||||||||||||||||||
|
||||||||||||||||||||||||||||||||||||||||||||||||||||||||
최고기온 |
단위 : ℃ |
|||||||||||||||||||||||||||||||||||||||||||||||||||||||
|
||||||||||||||||||||||||||||||||||||||||||||||||||||||||
강수량 |
단위 : ㎜ |
|||||||||||||||||||||||||||||||||||||||||||||||||||||||
|
||||||||||||||||||||||||||||||||||||||||||||||||||||||||
(평년기간 : 1971 ~ 2000년) |
◦ 강원영서 및 주요지역 평균기온과 강수량 (2010.09.01. ~ 2010.11.20.) |
|
평균기온(℃) |
강수량(㎜) |
|
|
|
|
|
|
|
|
|
|
|
|
|
◦ 기후 평년값 (12월 ~ 2월) |
|||||||||||||||||||||||||||||||||||||||||||||||||||||||||||||||||||||||
평균기온 단위 : ℃ |
최고기온 단위 : ℃ |
||||||||||||||||||||||||||||||||||||||||||||||||||||||||||||||||||||||
|
|
||||||||||||||||||||||||||||||||||||||||||||||||||||||||||||||||||||||
최저기온 단위 : ℃ |
강수량 단위 : mm |
||||||||||||||||||||||||||||||||||||||||||||||||||||||||||||||||||||||
|
|
||||||||||||||||||||||||||||||||||||||||||||||||||||||||||||||||||||||
(평년기간 : 1971 ~ 2000년) |
[첨부 2] |
1개월 전망 전문 |
1개월 전망
(2010년 12월 1일 ~ 12월 31일)
춘 천 기 상 대 제 공
2010년 11월 23일 11시 발표
※ 다음 1개월 전망은 2010년 12월 3일 11시에 발표
요 약 |
||
|
||
○ 기 온 : 평년(- 5~- 2℃)보다 낮겠음. 12월 상순에는 찬 대륙고기압의 영향으로 추운 날이 많겠으며, 기온의 변동폭이 크겠음. ○ 강수량 : 평년(21~38㎜)보다 적겠음. 대체로 건조한 날이 많겠으며, 12월 하순에는 평년과 비슷하겠음. |
1. 기압계 동향
10월 하순 전반에는 기압골이 통과하면서 24일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많은 비가 내렸으며, 25일 이후 대륙고기압이 남하하여 기온이 큰 폭으로 떨어졌으나 기온과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였음. 11월 상순에는 차고 건조한 대륙고기압의 영향을 주로 받아 기온은 평년보다 낮았고 강수량은 평년보다 적었음. 11월 중순 전반에는 11일 중부지방으로 저기압이 통과하면서 한차례 비가 내린 후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을 받아 맑은 날이 많았음. 후반에는 차고 건조한 대륙고기압의 영향을 받아 기온이 큰 폭으로 떨어졌으나 기온은 평년과 비슷하였고, 강수량은 평년보다 적었음.
2. 기압계 전망
12월 상순과 중순에는 찬 대륙고기압의 영향을 받아 추운 날이 많겠으며, 맑고 건조한 경향을 보이겠음. 기온은 평년보다 낮겠고, 강수량은 평년보다 적겠으나 찬 대륙고기압 확장시 서해안 지방에 눈이 오는 곳이 있겠음. 12월 하순에는 일시적으로 찬 대륙고기압이 확장하면서 한기 남하로 인해 기온의 변동폭이 크겠음. 기온과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겠으며, 지형적인 영향으로 서해안과 중부 내륙 및 산간 지역에 눈이 오는 곳이 있겠음.
전국 |
평 균 기 온 |
강 수 량 |
12월 상순 |
평년(- 3~10℃)보다 낮겠음 |
평년(6~20㎜)보다 적겠음 |
12월 중순 |
평년(- 5~9℃)과 비슷하겠음 |
평년(3~20㎜)보다 적겠음 |
12월 하순 |
평년(- 6~8℃)과 비슷하겠음 |
평년(4~17㎜)과 비슷하겠음 |
영서지방 |
평 균 기 온 |
강 수 량 |
12월 상순 |
평년(- 3~0℃)보다 낮겠음 |
평년(8~13㎜)보다 적겠음 |
12월 중순 |
평년(- 5~- 2℃)보다 낮겠음 |
평년(6~9㎜)보다 적겠음 |
12월 하순 |
평년(- 6~- 3℃)과 비슷하겠음 |
평년(7~16㎜)과 비슷하겠음 |
3. 순별 전망
◦ 평균기온 |
||
12월 상순 |
12월 중순 |
12월 하순 |
|
|
|
낮음 비슷 높음 |
||
◦ 강수량 |
||
12월 상순 |
12월 중순 |
12월 하순 |
|
|
|
적음 비슷 많음 |
※ 1개월 및 순별 기온ㆍ강수량의 전망 표현 기준표
구분 |
기온 편차(℃) |
강수량 평년비(%) |
||
순 |
월 |
순 |
월 |
|
높음(많음) |
>0.7 |
>0.5 |
>130 |
>120 |
비슷 |
- 0.7~0.7 |
- 0.5~0.5 |
50~130 |
70~120 |
낮음(적음) |
<- 0.7 |
<- 0.5 |
<50 |
<70 |
◦ 평균기온
순별 지역 |
12월 상순 |
12월 중순 |
12월 하순 |
전국(북한제외) 평균 |
평년(- 3~10℃)보다 낮겠음 |
평년(- 5~9℃)과 비슷하겠음 |
평년(- 6~8℃)과 비슷하겠음 |
서울‧인천‧경기도 |
평년(0~2℃)보다 낮겠음 |
평년(- 2~1℃)보다 낮겠음 |
평년(- 4~- 1℃)과 비슷하겠음 |
강원도 영서 |
평년(- 3~0℃)보다 낮겠음 |
평년(- 5~- 2℃)보다 낮겠음 |
평년(- 6~- 3℃)과 비슷하겠음 |
강원도 영동 |
평년(5℃)과 비슷하겠음 |
평년(3℃)과 비슷하겠음 |
평년(2℃)과 비슷하겠음 |
대전‧충청남도 |
평년(1~3℃)보다 낮겠음 |
평년(0~2℃)과 비슷하겠음 |
평년(- 2~0℃)과 비슷하겠음 |
충청북도 |
평년(- 1~2℃)보다 낮겠음 |
평년(- 3~0℃)과 비슷하겠음 |
평년(- 4~- 1℃)과 비슷하겠음 |
광주‧전라남도 |
평년(3~7℃)보다 낮겠음 |
평년(1~5℃)과 비슷하겠음 |
평년(0~4℃)과 비슷하겠음 |
전라북도 |
평년(1~4℃)보다 낮겠음 |
평년(- 1~2℃)과 비슷하겠음 |
평년(- 2~1℃)과 비슷하겠음 |
부산‧울산‧경상남도 |
평년(2~7℃)과 비슷하겠음 |
평년(0~5℃)과 비슷하겠음 |
평년(- 1~4℃)과 비슷하겠음 |
대구‧경상북도 |
평년(0~6℃)과 비슷하겠음 |
평년(- 1~4℃)과 비슷하겠음 |
평년(- 3~3℃)과 비슷하겠음 |
제주도 |
평년(9~10℃)과 비슷하겠음 |
평년(7~9℃)과 비슷하겠음 |
평년(6~8℃)과 비슷하겠음 |
평안남북도‧황해도 |
평년(- 9~2℃)보다 낮겠음 |
평년(- 13~- 1℃)보다 낮겠음 |
평년(- 15~- 2℃)보다 낮겠음 |
함경남북도 |
평년(- 12~5℃)보다 낮겠음 |
평년(- 15~2℃)보다 낮겠음 |
평년(- 16~1℃)보다 낮겠음 |
◦ 강수량
순별 지역 |
12월 상순 |
12월 중순 |
12월 하순 |
전국(북한제외) 평균 |
평년(6~20㎜)보다 적겠음 |
평년(3~20㎜)보다 적겠음 |
평년(4~17㎜)과 비슷하겠음 |
서울‧인천‧경기도 |
평년(9~11㎜)과 비슷하겠음 |
평년(6~7㎜)과 비슷하겠음 |
평년(7~8㎜)과 비슷하겠음 |
강원도 영서 |
평년(8~13㎜)보다 적겠음 |
평년(6~9㎜)보다 적겠음 |
평년(7~16㎜)과 비슷하겠음 |
강원도 영동 |
평년(15㎜)보다 적겠음 |
평년(12~14㎜)보다 적겠음 |
평년(13~17㎜)과 비슷하겠음 |
대전‧충청남도 |
평년(13~16㎜)과 비슷하겠음 |
평년(7~9㎜)과 비슷하겠음 |
평년(8~9㎜)과 비슷하겠음 |
충청북도 |
평년(10~13㎜)보다 적겠음 |
평년(6~7㎜)보다 적겠음 |
평년(7~9㎜)과 비슷하겠음 |
광주‧전라남도 |
평년(9~13㎜)과 비슷하겠음 |
평년(6~9㎜)과 비슷하겠음 |
평년(6~11㎜)과 비슷하겠음 |
전라북도 |
평년(12~17㎜)과 비슷하겠음 |
평년(8~11㎜)과 비슷하겠음 |
평년(10~13㎜)과 비슷하겠음 |
부산‧울산‧경상남도 |
평년(7~11㎜)보다 적겠음 |
평년(5~8㎜)보다 적겠음 |
평년(4~10㎜)보다 적겠음 |
대구‧경상북도 |
평년(6~13㎜)보다 적겠음 |
평년(3~9㎜)보다 적겠음 |
평년(5~16㎜)과 비슷하겠음 |
제주도 |
평년(14~20㎜)과 비슷하겠음 |
평년(13~20㎜)과 비슷하겠음 |
평년(11~17㎜)과 비슷하겠음 |
평안남북도‧황해도 |
평년(5~13㎜)보다 적겠음 |
평년(1~6mm)보다 적겠음 |
평년(4~10mm)보다 적겠음 |
함경남북도 |
평년(3~11㎜)보다 적겠음 |
평년(2~16㎜)보다 적겠음 |
평년(3~20㎜)보다 적겠음 |
※ 문의 : ☏ 033- 242- 9131, http://www.kma.go.kr
< 참고 자료 >
◦ 기온 분포 (2010.10.21. ~ 11.20.) |
|
기온(℃) |
기온 편차(℃) |
|
|
- 0.5 0.5 (℃) |
|
|
|
낮음 비슷 높음 |
|
◦ 강수량 분포 (2010.10.21. ~ 11.20.) |
|
강수량(㎜) |
강수량 평년비(%) |
|
|
70 120 (%) |
|
|
|
적음 비슷 많음 |
◦ 강원영서 평균기온과 강수량 (2010.10.21. ~ 11.20.) |
|
평균기온(℃) |
강수량(㎜) |
|
|
|
◦ 순별 평년값 |
||||||||||||||||||||||||||||||||||||||||||||||||||||||||
평균기온 |
단위 : ℃ |
|||||||||||||||||||||||||||||||||||||||||||||||||||||||
|
||||||||||||||||||||||||||||||||||||||||||||||||||||||||
최저기온 |
단위 : ℃ |
|||||||||||||||||||||||||||||||||||||||||||||||||||||||
|
||||||||||||||||||||||||||||||||||||||||||||||||||||||||
최고기온 |
단위 : ℃ |
|||||||||||||||||||||||||||||||||||||||||||||||||||||||
|
||||||||||||||||||||||||||||||||||||||||||||||||||||||||
강수량 |
단위 : ㎜ |
|||||||||||||||||||||||||||||||||||||||||||||||||||||||
|
||||||||||||||||||||||||||||||||||||||||||||||||||||||||
(평년기간 : 1971 ~ 2000년) |
[첨부 3] |
최근 3개월(2010.9.1~11.20) 기후통계 분석 |
□ 강원도 영서
○ 최근 3개월(9.1~11.20) 강원도 영서지방의 평균기온은 12.9℃, 평균 최저기온은 8.2℃, 평균 최고기온은 19.0℃로 평년보다 각각 0.9℃, 1.4℃, 0.3℃ 높았음.
― 최근 11월(11.1~11.20) 평균기온, 평균 최고기온, 평균 최저기온은 4.9℃, 11.3℃, - 0.5℃로 평년보다 각각 0.5℃, 0.4℃, 0.6℃ 낮았음.
○ 최근 3개월 강수량은 476.9㎜로 평년보다 많았음(평년대비 183.9%). 강수일수는 21.8일로 평년보다 0.8일 많았고, 안개일수는 20일로 평년보다 3.3일 적었음.
평균 기온 |
평균 최고 기온 |
평균 최저 기온 |
강수량 |
강수 일수 |
일강수량 10mm 이상일수 |
상대 습도 |
서리 일수* |
안개 일수* |
결빙 일수* |
|
최근 3개월 (9.1~11.20) |
12.9℃ (12.0℃) |
19.0℃ (18.7℃) |
8.2℃ (6.8℃) |
476.9㎜ (259.3㎜) |
21.8일 (21.0일) |
10.8일 (6.4일) |
73.2% (76.5%) |
15.0일 (17.3일) |
20.0일 (23.3일) |
18.7일 (17.8일) |
11월 (11.1~11.20) |
4.9℃ (5.3℃) |
11.3℃ (11.7℃) |
- 0.5℃ (0.1℃) |
18.9㎜ (36.5㎜) |
3.6일 (5.6일) |
0.8일 (1.1일) |
61.9% (73.8%) |
10.7일 (10.5일) |
3.7일 (4.5일) |
13.7일 (11.6일) |
* 일조시간과 안개일수 및 서리일수는 영서지역 3개지점의 평균입니다.(대관령, 춘천, 원주)
□ 춘천
○ 최근 3개월(9.1~11.20) 춘천의 평균기온은 13.7℃, 평균 최저기온은 9.1℃로 평년보다 각각 0.5℃, 0.9℃ 높았고, 평균 최고기온은 19.7℃로 평년과 비슷했음.
- 최근 11월 평균기온은 5.2℃, 평균 최저기온은 - 0.2℃, 평균 최고기온은 11.8℃로 평년보다 각각 1.1℃, 1.6℃, 0.8℃ 낮았음.
○ 최근 3개월 춘천의 강수량은 489.4㎜로 평년보다 많았음(평년대비 223.4%). 강수일수는 20일로 평년보다 0.3일 많았고, 안개일수는 20일로 평년보다 4일 적었음.
평균 기온 |
평균 최고 기온 |
평균 최저 기온 |
강수량 |
강수 일수 |
일강수량 10mm 이상일수 |
상대 습도 |
서리 일수* |
안개 일수* |
결빙 일수* |
|
최근 3개월 (9.1~11.20) |
13.7℃ (13.2℃) |
19.7℃ (19.8℃) |
9.1℃ (8.2℃) |
489.4㎜ (219.1㎜) |
20.0일 (19.7일) |
7.0일 (5.6일) |
75.2% (77.0%) |
16.0일 (15.9일) |
20.0일 (24.0일) |
18.0일 (14.5일) |
11월 (11.1~11.20) |
5.2℃ (6.3℃) |
11.8℃ (12.6℃) |
- 0.2℃ (1.4℃) |
9.8㎜ (32.4㎜) |
4.0일 (5.5일) |
0.0일 (0.9일) |
67.5% (75.2%) |
13.0일 (10.8일) |
8.0일 (6.1일) |
14.0일 (10.4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