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 9. 2.(목) 15:00 (총 15매) |
즉시 |
제주지방기상청 기후팀 |
팀장 구 대 영 |
지난 여름철 기온 평년보다 높고, 열대야 가장 많아
- 제주도지방 여름철 기후리포트 배포 -
□ 제주도지방 여름철(6~8월) 기후리포트 내용 요약
○ 지난 여름철 제주도지방 평균기온과 평균최고기온, 평균최저기온은 각각 24.9℃와 27.8℃, 22.6℃로 평년보다 각각 0.7℃, 0.6℃, 1.0℃ 높았으며, 평균최저기온은 1973년 이래 5위를 기록하였음. 6~7월은 전반적으로 평년과 비슷하였으나, 8월은 평년보다 높은 일수가 30~31일로 8월 내내 더운 날이 지속되었음.
○ 2010년 여름철(6~8월) 지역별 기온 현황
제 주 |
고산 |
서귀포 |
성 산 |
|||||
2010년 |
평년 |
2010년 |
평년 |
2010년 |
평년 |
2010년 |
평년 |
|
평균기온 |
25.3 |
24.5 |
24.6 |
23.8 |
25.4 |
24.5 |
24.1 |
24.0 |
평균최고기온 |
28.4 |
27.7 |
27.4 |
26.4 |
28.3 |
27.2 |
27.1 |
27.4 |
평균최저기온 |
22.9 |
21.7 |
22.5 |
21.7 |
23.4 |
22.0 |
21.7 |
20.9 |
○ 2000~2010년 여름철 제주도지방 지역별‧연도별 열대야 일수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2010 |
|
제주 |
29 |
29 |
8 |
11 |
33 |
35 |
26 |
28 |
32 |
17 |
38 |
고산 |
19 |
21 |
3 |
11 |
24 |
20 |
17 |
24 |
16 |
10 |
32 |
서귀포 |
42 |
35 |
16 |
24 |
43 |
20 |
37 |
32 |
33 |
22 |
41 |
성산 |
14 |
12 |
4 |
18 |
22 |
22 |
14 |
15 |
11 |
6 |
27 |
평균 |
26.0 |
24.3 |
7.8 |
16.0 |
30.5 |
24.3 |
23.5 |
24.8 |
23.0 |
13.8 |
34.5 |
○ 2000~2010년 여름철 제주도지방 지역별‧연도별 폭염일수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2010 |
|
제주 |
4 |
8 |
2 |
3 |
9 |
10 |
7 |
6 |
4 |
6 |
12 |
고산 |
0 |
1 |
0 |
0 |
3 |
0 |
1 |
0 |
0 |
1 |
1 |
서귀포 |
4 |
8 |
1 |
4 |
17 |
0 |
3 |
2 |
5 |
3 |
1 |
성산 |
1 |
0 |
0 |
2 |
3 |
3 |
0 |
0 |
0 |
0 |
0 |
○ 제주도지방 여름철 평균 강수량은 865.5㎜로 평년보다 155.6㎜ 많았고(평년대비 121.9%), 강수일수는 40.3일로 평년보다 2.3일 많았음. 2010년 여름철 강수는 고산과 서귀포(제주도남서부)를 중심으로 다소 많은 강수가 기록되었으며, 제주시와 성산(제주도남동부)에는 평년과 비슷한 수준의 강수가 기록되었음.
○ 6월은 기압골의 영향과 장마전선의 영향으로 흐리고 비가 오는 날이 많았고(평년 대비 119.0%), 7월은 장마전선의 영향으로 10~16일, 27~28일 사이에 많은 비가 내렸으며(평년 대비 105.6%), 8월에는 4호 태풍 “뎬무”의 영향을 받은 후 건조한 날씨가 지속되다 하순에 열대성저압부의 영향으로 비가 오는 날이 많았음(평년대비 143.6%).
○ 2010년 여름철(6~8월) 지역별 강수량(㎜)과 강수일수(일)
제 주 |
고 산 |
서귀포 |
성 산 |
|||||
2010년 |
평년 |
2010년 |
평년 |
2010년 |
평년 |
2010년 |
평년 |
|
강수량(㎜) |
679.5 |
680.1 |
723.2 |
497.8 |
1184.2 |
843.2 |
875.0 |
818.1 |
강수일수(일) |
39 |
36.9 |
39 |
35.2 |
42 |
41.3 |
41 |
36.4 |
○ 2010년 장마는 6월 17일 시작되어 평년보다 2일 일찍 시작되었으나, 종료일은 7월 28일로 평년보다 7~8일 늦어, 장마기간(42일)은 평년(33일)보다 길었음. 장마기간 동안 강수량은 358.1~634.0㎜로 평년(328~449㎜) 보다 많았음.
○ 2010년 여름 태풍은 7개 발생하여 평년(11.3개) 보다 적었으며, 우리나라에는 2개(평년 2.6개)가 영향을 주었음.
【붙임】제주도지방 여름철 기후리포트 1부.
|
|
제주도지방 여름철 기후리포트 제주지방기상청 2010. 9. 2. |
□ 지난 여름철(6~8월) 제주도지방 기온, 평년보다 높아
○ 지난 여름철 제주도지방 평균기온과 평균최고기온, 평균최저기온은 각각 24.9℃와 27.8℃, 22.6℃로 평년보다 각각 0.7℃, 0.6℃, 1.0℃ 높았으며, 평균최저기온은 1973년 이래 5위를 기록하였음. 6~7월은 전반적으로 평년과 비슷하였으나, 8월은 평년보다 높은 일수가 30~31일로 8월 내내 더운 날이 지속되었음.
○ 제주의 경우 평균기온과 평균최고기온, 평균최저기온은 각각 25.3℃, 28.4℃, 22.9℃로 평년보다 각각 0.8℃, 0.7℃, 1.2℃ 높았으며, 평균최저기온은 1924년 이래 4위를 기록하였음. 특히, 8월의 기온은 매우 높게 나타나 평균‧최고‧최저기온 모두 1위를 기록하였음.
○ 고산의 평균기온과 평균최고기온, 평균최저기온은 각각 24.6℃, 27.4℃, 22.5℃로 평년보다 각각 0.8℃, 1.0℃, 0.8℃ 높았으며, 1988년 이래 평균기온과 평균최고기온은 4위, 평균최저기온은 3위를 기록하였음.
○ 서귀포의 평균기온과 평균최고기온, 평균최저기온은 각각 25.4℃, 28.3℃, 23.4℃로 평년보다 각각 0.9℃, 1.1℃, 1.4℃ 높았으며, 1961년 이래 평균최저기온은 4위를 기록하였음.
○ 성산의 평균기온과 평균최저기온은 24.1℃, 21.7℃로 평년보다 각각 0.1℃, 0.8℃ 높았고, 평균최고기온은 27.1℃로 평년보다 0.3℃ 낮았음.
- 1 -
<평균기온(℃)> |
평년보다 낮음 평년보다 높음 |
제주 |
서귀포 |
고산 |
성산 |
□ 제주도지방의 여름철 열대야(熱帶夜)
○ 여름철 제주도지방 열대야 발생일수는 2010년 34.5일로 최근 10년(2000~2009년) 평균 열대야일수 21.4일 보다 13.1일 많았음. 2010년 열대야는 7월 16일 밤 서귀포에서 시작되어 지역별 발생일수는 제주 38일, 서귀포 41일, 고산 32일, 성산 27일이며, 서귀포를 제외한 대부분 지역에서 2000년 이래 열대야일수가 가장 많았음.
○ 2000년~2010년 여름철 제주도지방 지역별‧연도별 열대야 일수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2010 |
|
제주 |
29 |
29 |
8 |
11 |
33 |
35 |
26 |
28 |
32 |
17 |
38 |
고산 |
19 |
21 |
3 |
11 |
24 |
20 |
17 |
24 |
16 |
10 |
32 |
서귀포 |
42 |
35 |
16 |
24 |
43 |
20 |
37 |
32 |
33 |
22 |
41 |
성산 |
14 |
12 |
4 |
18 |
22 |
22 |
14 |
15 |
11 |
6 |
27 |
평균 |
26.0 |
24.3 |
7.8 |
16.0 |
30.5 |
24.3 |
23.5 |
24.8 |
23.0 |
13.8 |
34.5 |
- 2 -
<2000~2010년 제주도지방 평균 열대야일수>
□ 제주도지방의 여름철 폭염(暴炎), 제주시 중심으로 많이 나타나
○ 제주도지방의 2010년 여름철 폭염일수는 제주 12일, 서귀포 1일, 고산 1일로 제주시를 중심으로 많이 나타났으며, 8월에만 폭염이 나타났음. 성산은 폭염일이 나타나지 않았음.
○ 제주도지방의 최근 10년(‘00~’09)간 여름철 폭염일수는 제주 5.9일, 서귀포 4.7일, 고산 0.6일, 성산 0.9일로 제주와 서귀포의 폭염일수가 많고, 성산과 고산은 거의 없는 편임.
○ 2000~2010년 여름철 제주도지방 지역별‧연도별 폭염일수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2010 |
|
제주 |
4 |
8 |
2 |
3 |
9 |
10 |
7 |
6 |
4 |
6 |
12 |
고산 |
0 |
1 |
0 |
0 |
3 |
0 |
1 |
0 |
0 |
1 |
1 |
서귀포 |
4 |
8 |
1 |
4 |
17 |
0 |
3 |
2 |
5 |
3 |
1 |
성산 |
1 |
0 |
0 |
2 |
3 |
3 |
0 |
0 |
0 |
0 |
0 |
□ 여름철 기온이 높았던 원인
○ 북태평양고기압이 서쪽으로 확장하면서 고기압성 순환이 강화되어, 고기압 가장자리를 따라 중국 남부로부터 고온다습한 남서기류가 지속적으로 유입되었음.
○ 고온다습한 대기는 최저기온은 높여 열대야가 자주 발생하였으며, 한낮의 복사 가열에 의하여 최고기온이 더욱 높아져 폭염도 자주 발생하였음.
□ 제주도지방 여름철(6~8월) 강수량, 평년보다 많아
- 3 -
○ 제주도지방 여름철 평균 강수량은 865.5㎜로 평년보다 155.6㎜ 많았고(평년대비 121.9%), 강수일수는 40.3일로 평년보다 2.3일 많았음. 2010년 여름철 강수는 고산과 서귀포(제주도남서부)를 중심으로 다소 많은 강수가 기록되었으며, 제주시와 성산(제주도남동부)에는 평년과 비슷한 수준의 강수가 기록되었음.
○ 6월은 기압골의 영향과 장마전선의 영향으로 흐리고 비가 오는 날이 많았고(평년 대비 119.0%), 7월은 장마전선의 영향으로 10~16일, 27~28일 사이에 많은 비가 내렸으며(평년 대비 105.6%), 8월에는 4호 태풍 “뎬무”의 영향을 받은 후 건조한 날씨가 지속되다 하순에 열대성저압부의 영향으로 비가 오는 날이 많았음(평년대비 143.6%).
<강수량(㎜)> |
|
제 주 |
서귀포 |
고 산 |
성 산 |
○ 제주의 경우 강수량은 679.5㎜로 평년보다 0.6㎜ 적었고(평년대비 99.9%), 강수일수는 39일로 평년 36.9일 보다 2.1일 많았음.
○ 고산의 강수량은 723.2㎜로 평년 497.8㎜ 보다 225.4㎜ 많았고(평년대비 145.3%),
- 4 -
강수일수는 39일로 평년 35.2일 보다 3.8일 많았으며, 강수강도는 18.5㎜/일로 평년보다 4.4㎜/일 많았음. 1988년 이후 강수량은 3번째로 많았으며, 강수강도는 2번째로 높았음.
○ 서귀포의 강수량은 1,184.2㎜로 평년 843.2㎜ 보다 341.0㎜ 많았고(평년대비 140.4%), 강수일수는 42일로 평년보다 0.7일 많았음. 강수강도는 28.2㎜/일로 평년보다 7.8㎜/일 많아 1961년 이후 4위를 기록하였음.
○ 성산의 강수량은 875.0㎜로 평년 818.1㎜ 보다 56.9㎜ 많았으며(평년대비 107.0%), 강수일수는 41일로 평년 36.4일 보다 4.6일 많았음.
□ 2010년 제주도의 장마
○ 2010년 장마는 6월 17일 시작되어 평년보다 2일 일찍 시작되었으나, 종료일은 7월 28일로 평년보다 7~8일 늦어, 장마기간(42일)은 평년(33일)보다 길었음. 장마기간 동안 강수량은 358.1~634.0㎜로 평년(328~449㎜) 보다 많았음.
○ 2000~2010년 제주도 장마기간 및 강수량
구분 |
장마시종 |
강수량(㎜) |
|||||
시작 |
종료 |
기간 |
제주 |
고산 |
서귀포 |
성산 |
|
평년 |
6.16 |
7.20~21 |
33 |
328~449 |
|||
2000 |
6.16 |
7.16 |
31 |
210.9 |
180.4 |
249.2 |
157.0 |
2001 |
6.21 |
7.20 |
30 |
309.6 |
348.0 |
469.6 |
450.0 |
2002 |
6.19 |
7.22 |
34 |
427.5 |
215.7 |
300.5 |
232.5 |
2003 |
6.22 |
7.23 |
32 |
394.8 |
299.3 |
385.3 |
387.0 |
2004 |
6.24 |
7.11 |
18 |
79.6 |
92.3 |
116.2 |
109.5 |
2005 |
6.25 |
7.15 |
21 |
108.1 |
137.1 |
164.8 |
138.0 |
2006 |
6.14 |
7.26 |
43 |
572.1 |
587.5 |
560.3 |
658.0 |
2007 |
6.21 |
7.24 |
34 |
324.2 |
306.8 |
508.2 |
417.6 |
2008 |
6.14 |
7.4 |
21 |
304.9 |
279.2 |
412.2 |
354.5 |
2009 |
6.21 |
8.3 |
44 |
336.4 |
296.8 |
603.1 |
468.1 |
2010 |
6.17 |
7.28 |
42 |
416.9 |
358.1 |
634.0 |
461.6 |
- 5 -
□ 2010년 여름철 태풍 발생 현황
○ 금년 여름 태풍은 7개 발생하여 평년(11.3개) 보다 적었으며, 우리나라에는 2개(평년 2.6개)가 영향을 주었음.
- 6월과 7월에는 태풍 발생구역과 필리핀 인근 해상으로 북태평양고기압이 확장하면서 태풍의 발생이 적었으나, 8월 들어 북태평양고기압의 축이 북편하면서 5개의 태풍이 발생하여 그 중 2개가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었음.
< 2010년 6, 7, 8월 및 여름철의 500hPa 평년 고도장(실선, 검정:2010년, 파랑:평년)과 고도편차(음영, 붉은색:고기압 발달, 파랑색:저기압 발달) 및 태풍 발생 지점 >
※ 태풍 발생 현황
□ 연대별 장기변화 경향
○ 제주도지방의 2000년대(2001~2010년) 여름철 평균기온은 24.6℃, 평균최고기온은 27.6℃, 평균최저기온은 22.1℃로 1970년대(1973~1980년)에 비해 각각 0.6℃,
- 6 -
0.5℃, 1.0℃ 높았음.
○ 제주의 2000년대(2001~2010년) 여름철 평균기온은 24.9℃, 평균최고기온은 28.0℃, 평균최저기온은 22.3℃로 1920년대(1924~1930년)에 비해 각각 1.1℃, 0.3℃, 1.5℃ 높았음. 1970년대(1971~1980년)에 비해서는 각각 0.7℃, 0.6℃, 1.1℃ 높았으며, 기온은 완만하게 소폭 상승 경향임.
○ 고산은 관측기간이 짧아 장기변화 경향을 분석하기는 어려우나, 2000년대 평균기온이 23.9℃, 평균최고기온은 26.9℃은 1990년대(1991~2000년)에 비해 각각 0.2℃, 0.6℃ 높았으며, 평균최저기온은 21.6℃로 같았음.
○ 서귀포는 2000년대 평균기온이 25.3℃, 평균최고기온은 28.3℃, 평균최저기온은 22.9℃로 1960년대(1961~1970년)에 비해 각각 1.2℃, 1.4℃, 1.6℃ 높았음.
○ 성산은 2000년대 평균기온이 24.2℃, 평균최고기온은 27.3℃, 평균최저기온은 21.5℃로 1970년대(1973~1980년)에 비해 각각 0.3℃, 0.2℃, 0.8℃ 높았음.
○ 제주도지방의 2000년대 여름철 평균 강수량은 710.0㎜, 강수일수는 36.7일로 1970년대(1973~1980년)에 비해 강수량은 35.7㎜ 증가하였고, 강수일수는 2.0일 감소하여, 강수강도는 1.9㎜/일 증가하였음.
※ 분석방법
∙본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기상청에서 연속적으로 관측을 시작한 1973년부터 전국 평균을 산출하는 경향에 따라, “제주도지방”의 자료는 1973년부터 자료를 분석한 것이며, 1973~1987년까지는 제주, 성산, 서귀포의 3지점을 평균한 자료이고, 1988년 이후는 제주, 고산, 서귀포, 성산 4지점의 자료를 평균한 것이다.
∙지점별 변화경향은 따로 산출하여 제공하고 있으며, 이는 지점별 관측기간을 반영하여 제주는 1924년부터 최근까지의 자료를 비교하였고, 서귀포는 1961년부터의 자료를, 성산은 1973년부터 자료를 비교하였으며, 고산의 경우는 1988년부터 최근까지의 자료를 비교하였다.
∙본 자료에서의 평년값은 1971년부터 2000년까지의 30년 평균값을 의미하나, 성산의 경우는 1973년부터 2000년까지이고, 고산은 1988년부터 2000년까지의 자료를 평균한 것이다.
∙열대야는 기온이 야간에도 25℃이하로 내려가지 않을 때에는 잠들기 어려우므로 더위를 표시하는 기후통계값으로 밤최저기온(18:01~익일 09:00)이 25℃이상인 날을 열대야의 기준으로 사용하고 있다.
∙폭염일수는 일최고기온이 33.0℃이상이고, 일최고열지수가 32.0℃ 이상인 경우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
- 7 -
【 제주도지방 】
□ 평년대비 기상요소값
요소 |
2010년 여름철(a) |
여름철 평년값 (1971- 2000)(b) |
a- b |
1973년 이후 순위(5위 까지) |
평균기온(℃) |
24.9 |
24.2 |
0.7 |
|
평균최고기온(℃) |
27.8 |
27.2 |
0.6 |
|
평균최저기온(℃) |
22.6 |
21.6 |
1.0 |
5위 |
강수량(mm) |
865.5 |
709.9 |
155.6(121.9%) |
|
강수일수(일) |
40.3 |
38.0 |
2.3 |
|
강수강도(mm/일) |
21.5 |
18.7 |
2.8(115.0%) |
□ 연대별 기상요소값
연도 |
평균기온 (℃) |
평균최고 기온(℃) |
평균최저 기온(℃) |
강수량 (mm) |
강수일수 (일) |
강수강도 (㎜/일) |
1973- 1980년(a) |
24 |
27.1 |
21.1 |
674.3 |
38.7 |
17.4 |
1981- 1990년(b) |
24.5 |
27.6 |
21.6 |
807.4 |
37.4 |
21.6 |
1991- 2000년(c) |
24.2 |
27.1 |
21.8 |
753.0 |
37.8 |
19.9 |
2001- 2010년(d) |
24.6 |
27.6 |
22.1 |
710.0 |
36.7 |
19.3 |
d- a |
0.6 |
0.5 |
1 |
35.7 |
- 2.0 |
1.9 |
d- b |
0.1 |
0 |
0.5 |
- 97.4 |
- 0.7 |
- 2.2 |
d- c |
0.4 |
0.5 |
0.3 |
- 43.0 |
- 1.1 |
- 0.6 |
- 8 -
【 제주 】
□ 평년대비 기상요소값
요소 |
2010년 여름철(a) |
여름철 평년값 (1971- 2000)(b) |
a- b |
1924년 이후 순위(5위 까지) |
평균기온(℃) |
25.3 |
24.5 |
0.8 |
|
평균최고기온(℃) |
28.4 |
27.7 |
0.7 |
|
평균최저기온(℃) |
22.9 |
21.7 |
1.2 |
4위 |
강수량(mm) |
679.5 |
680.1 |
- 0.6(99.9%) |
|
강수일수(일) |
39 |
36.9 |
2.1 |
|
강수강도(mm/일) |
17.4 |
18.4 |
- 1.0(94.6%) |
□ 연대별 기상요소값
연도 |
평균기온 (℃) |
평균최고 기온(℃) |
평균최저 기온(℃) |
강수량 (mm) |
강수일수 (일) |
강수강도 (㎜/일) |
1924- 1930년(a) |
23.8 |
27.7 |
20.8 |
583.2 |
36.7 |
15.9 |
23.7 |
27.6 |
20.9 |
591.6 |
34.1 |
17.3 |
|
1941- 1950년(b) |
23.7 |
27.6 |
20.9 |
536.4 |
34.7 |
15.5 |
24.0 |
27.8 |
21.0 |
655.1 |
36.3 |
18.0 |
|
24.5 |
28.0 |
21.3 |
612.7 |
33.5 |
18.3 |
|
1971- 1980년(c) |
24.2 |
27.4 |
21.2 |
631.5 |
37.0 |
17.1 |
24.6 |
27.8 |
21.8 |
721.3 |
36.5 |
19.8 |
|
24.7 |
27.8 |
22.2 |
687.5 |
37.3 |
18.4 |
|
2001- 2010년(d) |
24.9 |
28.0 |
22.3 |
638.7 |
39.4 |
16.2 |
d- a |
1.1 |
0.3 |
1.5 |
55.5 |
2.7 |
0.3 |
d- b |
1.2 |
0.4 |
1.4 |
102.3 |
4.7 |
0.8 |
d- c |
0.7 |
0.6 |
1.1 |
7.2 |
2.4 |
- 0.9 |
- 9 -
【 고산 】
□ 평년대비 기상요소값
요소 |
2010년 여름철(a) |
여름철 평년값 (1988- 2000)(b) |
a- b |
1988년 이후 순위(5위 까지) |
평균기온(℃) |
24.6 |
23.8 |
0.8 |
4위 |
평균최고기온(℃) |
27.4 |
26.4 |
1.0 |
4위 |
평균최저기온(℃) |
22.5 |
21.7 |
0.8 |
3위 |
강수량(mm) |
723.2 |
497.8 |
225.4(145.3%) |
3위 |
강수일수(일) |
39 |
35.2 |
3.8 |
|
강수강도(mm/일) |
18.5 |
14.1 |
4.4(131.2%) |
2위 |
□ 연대별 기상요소값
연도 |
평균기온 (℃) |
평균최고 기온(℃) |
평균최저 기온(℃) |
강수량 (mm) |
강수일수 (일) |
강수강도 (㎜/일) |
1988- 1990년(a) |
24.0 |
26.7 |
21.8 |
393.3 |
34.3 |
11.5 |
1991- 2000년(b) |
23.7 |
26.3 |
21.6 |
529.1 |
35.4 |
14.9 |
2001- 2010년(c) |
23.9 |
26.9 |
21.6 |
551.3 |
39.6 |
13.9 |
c- a |
- 0.1 |
0.2 |
- 0.2 |
158.0 |
5.3 |
2.5 |
c- b |
0.2 |
0.6 |
0.0 |
22.2 |
4.2 |
- 1.0 |
- 10 -
【 서귀포 】
□ 평년대비 기상요소값
요소 |
2010년 여름철(a) |
여름철 평년값 (1971- 2000)(b) |
a- b |
1961년 이후 순위(5위 까지) |
평균기온(℃) |
25.4 |
24.5 |
0.9 |
|
평균최고기온(℃) |
28.3 |
27.2 |
1.1 |
|
평균최저기온(℃) |
23.4 |
22.0 |
1.4 |
4위 |
강수량(mm) |
1,184.2 |
843.2 |
341.0(140.4%) |
|
강수일수(일) |
42 |
41.3 |
0.7 |
|
강수강도(mm/일) |
28.2 |
20.4 |
7.8(138.2%) |
4위 |
□ 연대별 기상요소값
연도 |
평균기온 (℃) |
평균최고 기온(℃) |
평균최저 기온(℃) |
강수량 (mm) |
강수일수 (일) |
강수강도 (㎜/일) |
1961- 1970년(a) |
24.1 |
26.9 |
21.3 |
738.0 |
40.9 |
18.0 |
1971- 1980년(b) |
24.1 |
26.9 |
21.7 |
722.8 |
43.6 |
16.6 |
1981- 1990년(c) |
24.6 |
27.6 |
22 |
883.4 |
39.6 |
22.3 |
1991- 2000년(d) |
24.6 |
27.3 |
22.4 |
923.2 |
40.8 |
22.6 |
2001- 2010년(e) |
25.3 |
28.3 |
22.9 |
828.3 |
43.7 |
19.0 |
e- a |
1.2 |
1.4 |
1.6 |
90.3 |
2.8 |
0.9 |
e- b |
1.2 |
1.4 |
1.2 |
105.5 |
0.1 |
2.4 |
e- c |
0.7 |
0.7 |
0.9 |
- 55.1 |
4.1 |
- 3.4 |
e- d |
0.7 |
1 |
0.5 |
- 94.9 |
2.9 |
- 3.7 |
- 11 -
【 성산 】
□ 평년대비 기상요소값
요소 |
2010년 여름철(a) |
여름철 평년값 (1973- 2000)(b) |
a- b |
1973년 이후 순위(5위 까지) |
평균기온(℃) |
24.1 |
24.0 |
0.1 |
|
평균최고기온(℃) |
27.1 |
27.4 |
- 0.3 |
|
평균최저기온(℃) |
21.7 |
20.9 |
0.8 |
|
강수량(mm) |
875.0 |
818.1 |
56.9(107.0%) |
|
강수일수(일) |
41 |
36.4 |
4.6 |
|
강수강도(mm/일) |
21.3 |
22.5 |
- 1.2(94.7%) |
□ 연대별 기상요소값
연도 |
평균기온 (℃) |
평균최고 기온(℃) |
평균최저 기온(℃) |
강수량 (mm) |
강수일수 (일) |
강수강도 (㎜/일) |
1973- 1980년(a) |
23.9 |
27.1 |
20.7 |
687.7 |
35.3 |
19.5 |
1981- 1990년(b) |
24.3 |
27.7 |
20.9 |
868.3 |
36.0 |
24.1 |
1991- 2000년(c) |
23.9 |
27.2 |
21.0 |
872.1 |
37.6 |
23.2 |
2001- 2010년(d) |
24.2 |
27.3 |
21.5 |
862.8 |
40.1 |
21.5 |
d- a |
0.3 |
0.2 |
0.8 |
175.1 |
4.9 |
2.0 |
d- b |
- 0.1 |
- 0.4 |
0.6 |
- 5.4 |
4.1 |
- 2.6 |
d- c |
0.3 |
0.1 |
0.5 |
- 9.3 |
2.5 |
- 1.7 |
-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