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천기상대 |
춘천기상대장 박 종 식 담당자 추 영 옥 |
2010.12.6(월) 11:00 (총7매) |
즉 시 |
강원영서 주기적 한기 유입과 잦은 황사 출현
◇ 전반에는 따뜻하고 많은 비가 내렸으나, 후반에는 주기적인 한기 유입으로 기온의 변동폭이 크고 매우 건조하였음
◇ 11월 들어 상층 대기의 흐름이 우리나라로 향하면서 이 흐름을 따라 저기압이 자주 우리나라를 통과하며 황사가 자주 발생하였음
◇ 태풍은 6개(평년 11.5개)가 발생하여 1개(평년 0.9개)가 영향을 주었음
□ 가을철 기상 특성
○ 금년 가을 전반에는 따뜻한 날이 많았으나, 10월 25일 이후 기온의 변동폭이 커지며 주기적으로 한기가 유입되었음(그림 1).
— 평균기온은 11.7℃로 평년(10.8℃)보다 0.7℃ 높았고, 최고기온은 17.8℃로 평년(17.4℃)보다 0.4℃ 높았으며, 최저기온은 6.9℃로 평년(5.6℃)보다 1.3℃ 높았음(그림1).
|
|
평균기온 편차 : +0.9℃ |
|
|
|
그림 1. 강원 영서 평균기온 일변화(9.1~11.30) |
<평균기온 평년편차도(℃)> |
- 1 -
○ 금년 가을 전반에는 많은 비가 내렸으나, 10월 중순 이후에는 강수량이 적어 매우 건조하였음(그림 2).
— 강수량은 480.4㎜로 평년(271.8㎜)보다 많았으나(평년대비 176.7 %), 주로 9월에 강수가 집중되었으며 11월 강수량은 22.4mm로 평년(49.0mm)과 비교하여 47% 수준이었으며, 춘천의 경우 11월 강수량 1973년 이후 최저 5위를 나타냄.
|
|
강수량 평년비 : 176.7% |
|
|
|
그림 2. 강원 영서 강수량 일변화(9.1~11.30) |
< 전국 강수량 평년비(%) > |
○ 금년 가을 태풍은 6개 발생하여 평년(11.5개)보다 적었으며, 우리나라에는 1개(평년 0.9개)가 영향을 주었음.
— 북태평양고기압이 태풍 발생구역까지 확장하여 태풍의 발생이 적었으나, 9월 3일 필리핀 북쪽 해상에서 발생한 제9호 태풍 ‘말로’는 우리나라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음(그림 3).
그림 3. 5km 상공의 평균고도장(검정:2010년, 파랑:평년)과 태풍 발생 지점
- 2 -
※ 태풍 발생 현황
□ 가을철 전반과 후반 날씨의 뚜렷한 대비
○ 전반에는 북태평양고기압과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으로 기온이 높았고, 태풍과 저기압의 영향으로 많은 비가 내렸음. 후반에는 차고 건조한 대륙고기압의 영향을 받아 주기적으로 한기가 유입되면서 기온의 변동폭이 큰 가운데 기온은 낮았고 강수량이 매우 적었음(그림 4).
|
그림 4. 5km 상공 평균고도장(실선, 검정:2010년, 파랑:평년) 및 편차장(음영) |
□ 2003년 황사 농도 관측 이후 가장 심한 가을철 황사
○ 11월 들어 대기 상층의 흐름이 몽골 남쪽에서 우리나라로 향하는 형태가 지속되면서, 저기압이 상층 흐름을 따라 자주 통과하였음(그림 5).
- 3 -
— 황사 발원지를 지나며 모래먼지를 일으킨 저기압이 우리나라를 자주 통과하고, 그 후면을 따라 황사가 우리나라로 자주 유입되었음. (11월 11일~13일, 27일, 2회)
— 특히, 11월 11일에는 1시간평균 먼지농도가 백령도 1,664㎍/㎥, 서울 1,191㎍/㎥, 광주 1,094㎍/㎥, 고산 808㎍/㎥를 기록하여 황사 농도 관측을 시작한 2003년 이래 가장 심하였음.
|
그림 5. 11월 5km 상공의 평균고도장(화살표: 상층 대기 흐름) |
- 4 -
〈참고 1〉강원영서의 가을철(9~11월) 기상자료
□ 평균기온, 평균 최고기온, 평균 최저기온, 평균 강수량(1973- 2010년)
□ 평년대비 기상요소 값
요소(전국) |
2010년 가을(a) |
가을 평년값 (b) |
a- b |
1973년 이후 순위(5위 까지만) |
평균기온(℃) |
11.7 |
10.8 |
0.9 |
- |
평균 최고기온(℃) |
17.8 |
17.4 |
0.4 |
- |
평균 최저기온(℃) |
6.9 |
5.6 |
1.3 |
- |
강수량(mm) |
480.4 |
271.8 |
208.6(176.7%) |
|
강수일수(일) |
25.4 |
23.7 |
1.7 |
- |
안개일수(일) |
21.0 |
24.9 |
- 3.9 |
- |
〈참고 2〉춘천의 가을철(9~11월) 기상자료
□ 평균기온, 평균 최고기온, 평균 최저기온, 평균 강수량(1973- 2010년)
- 5 -
□ 평년대비 기상요소 값
요소(서울) |
2010년 가을(a) |
가을 평년값 (b) |
a- b |
1973년 이후 순위(5위 까지만) |
평균기온(℃) |
12.4 |
11.9 |
0.5 |
- |
평균 최고기온(℃) |
18.5 |
18.4 |
0.1 |
- |
평균 최저기온(℃) |
7.7 |
7.0 |
0.7 |
- |
강수량(mm) |
493.5 |
230.7 |
262.8(213.9%) |
최고 2위 |
강수일수(일) |
25.0 |
24.6 |
0.4 |
- |
안개일수(일) |
22.0 |
28.4 |
- 6.4 |
- |
〈참고 3〉강원영서의 11월 기상자료
□ 평균기온, 평균 최고기온, 평균 최저기온, 평균 강수량(1973- 2010년)
□ 평년대비 기상요소 값
요소(전국) |
2010년 11월(a) |
11월 평년값 (b) |
a- b |
1973년 이후 순위(5위 까지만) |
평균기온(℃) |
3.9 |
3.8 |
0.1 |
- |
평균 최고기온(℃) |
10.3 |
10.1 |
0.2 |
- |
평균 최저기온(℃) |
- 1.6 |
- 1.3 |
- 0.3 |
- |
강수량(mm) |
22.4 |
49.2 |
- 26.8(45.7%) |
|
강수일수(일) |
7.3 |
8.3 |
- 1.0 |
|
안개일수(일) |
4.7 |
6.2 |
- 1.5 |
- |
- 6 -
〈참고 4〉춘천의 11월 기상자료
□ 평균기온, 평균 최고기온, 평균 최저기온, 평균 강수량(1973- 2010년)
□ 평년대비 기상요소 값
요소(서울) |
2010년 11월(a) |
11월 평년값 (b) |
a- b |
1973년 이후 순위(5위 까지만) |
평균기온(℃) |
4.2 |
4.8 |
- 0.6 |
- |
평균 최고기온(℃) |
10.8 |
10.8 |
0.0 |
- |
평균 최저기온(℃) |
- 1.3 |
0.0 |
- 1.3 |
- |
강수량(mm) |
13.9 |
44.0 |
- 30.1(29.5%) |
최저 5위 |
강수일수(일) |
9.0 |
8.0 |
1.0 |
- |
안개일수(일) |
10.0 |
8.3 |
1.7 |
- |
<용어해설>
○ ‘강원영서’의 의미는 5개 관측지점(춘천, 대관령, 원주, 인제, 홍천)의 자료를 평균한 것임. 예를 들어 금년 11월의 강수량 12.0mm의 의미는 5개 지점의 11월 강수량을 모두 합하여 5로 나눈 값임.
○ 평년값은 1971년부터 2000년까지 30년 평균값임.
○ 영서 평균은 기상청 관측지점 수가 급증하여 안정적으로 자료를 생산하기 시작한 1973년 이후 5개 지점을 평균한 것임.
— 1973년 이후를 비교한 이유는 현재 영서 평균하는 5개 지점의 관측시작 시기가 1973년 이후가 대다수이므로 1973년을 기준으로 하였음.
-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