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 1. 3.(월) 11:00 (총 9매) |
즉시 |
강원지방기상청 기 후 과 |
과 장 이 정 석 |
033- 650- 0422, 0428 |
강원 영동 1개월 전망(2011년 1월 11일~2월 10일)
- 1월 하순까지 기온변동폭 크고 눈 자주 내릴 듯-
◇ 평년(0~1℃)과 비슷하겠으나 기온변화가 크겠음.
찬 대륙고기압의 영향으로 추운 날이 많겠으나, 2월 상순 이후에는
점차 회복되겠음.
◇ 강수량은 평년(45~55㎜)과 비슷하겠음.
기압골과 지형적인 영향으로 많은 눈이 오는 때가 있겠음.
□ 기압계 전망
1월 중순에는 대륙고기압과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으로 기온변화가 크겠고 기압골과 지형적인 영향으로 많은 눈이 오는 곳이 있겠음. 기온은 평년과 비슷하겠고 강수량은 평년보다 많겠음. 1월 하순에는 찬 대륙고기압의 영향으로 기온이 큰 폭으로 떨어져 추운 날이 많겠으나 기온은 평년과 비슷하겠고, 지형적인 영향으로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겠음. 2월 상순에는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으로 기온은 평년보다 다소 높은 경향을 보이겠음. 대체로 맑고 건조한 날이 많아 강수량은 평년보다 적겠음.
※ 찬 대륙고기압이 확장할 때 기온이 큰 폭으로 떨어져 춥게 느껴지는 날이 많겠으니 건강관리에 유의하시기 바람.
※ 기압골의 영향으로 많은 눈이 예상되니 교통안전 및 시설물 관리에 주의하시기 바람.
□ 강원 영동 1개월 전망(2011년 1월 중순~2월 상순) 요약
평 균 기 온 |
강 수 량 |
|
1월 중순 |
평년(0℃)과 비슷하겠음 |
평년(19~23㎜)과 많겠음 |
1월 하순 |
평년(- 1~0℃)과 비슷하겠음 |
평년(14~18㎜)과 비슷하겠음 |
2월 상순 |
평년(0~1℃)보다 높겠음 |
평년(12~14㎜)보다 적겠음 |
※ 다음 1개월 전망은 2011년 1월 13일 오전 11시에 발표 됩니다.
※ 문의 : ☏ 033- 650- 0422, 0428, http://www.kma.go.kr
- 1 -
□ 강원 영동 최근 기압계 동향
○ 12월 상순에는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을 주로 받아 평균기온은 7.5℃로 평년보다 높았으며(평년편차 +2.6℃), 6~7일 지형적인 북동기류의 영향으로 많은 비가 내려 강수량은 21.4㎜로 평년보다 많았음(평년대비 146.6%).
○ 12월 중순에는 15일과 16일 대륙고기압이 확장하면서 기온이 큰 폭으로 떨어져 한파가 나타났으나 기온은 2.4℃로 평년과 비슷하였고(평년편차 - 0.5℃), 기압골의 영향으로 약한 비가 내렸으나 강수량은 0.6㎜로 평년보다 적었음(평년대비 4.7%).
○ 12월 하순에는 24~26일 대륙고기압이 확장하면서 기온이 큰 폭으로 떨어지고 한파가 지속되면서 기온은 - 0.4℃로 평년보다 낮았고(평년편차 - 2.3℃), 28일과 30일 저기압이 통과하면서 눈이 내렸으나 강수량은 0.9㎜로 평년보다 적었음(평년대비 6.4%).
|
|
<강원 영동 평균기온 일변화(12.01~12.30)> |
<강원 영동 강수량 일변화(12.01~12.30)> |
※ 첨부자료
1. 1개월 전망 전문
2. 최근 1개월(2010.12.01~12.30) 기후통계 분석
- 2 -
[첨부 1] |
1개월 전망 전문 |
1개월 전망
(강원 영동 2011년 1월 11일~2월 10일)
강 원 지 방 기 상 청
2011년 1월 3일 11시 발표
※ 다음 1개월 전망은 2011년 1월 13일 11시에 발표
요 약 |
||
|
||
○ 기 온 : 평년(0~1℃)과 비슷하겠으나 기온변화가 크겠음. 찬 대륙고기압의 영향으로 추운 날이 많겠으나, 2월 상순 이후에는 점차 회복되겠음. ○ 강수량 : 평년(45~55㎜)과 비슷하겠음. 기압골과 지형적인 영향으로 많은 눈이 오는 때가 있겠음. |
1. 기압계 동향
12월 상순에는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을 주로 받아 기온은 평년보다 높았고 6일 지형적인 북동기류 영향으로 많은 비가 내려 강수량은 평년보다 많았음. 12월 중순에는 15일과 16일 대륙고기압이 확장하면서 기온이 큰 폭으로 떨어져 한파가 나타났으나 기온은 평년과 비슷하였으며 기압골의 영향으로 약한 비가 내렸으나 강수량은 평년보다 적었음. 12월 하순(21~30일)에는 24~26일 대륙고기압이 확장하면서 기온이 큰 폭으로 떨어지고 한파가 지속되면서 기온은 평년보다 낮았고, 저기압이 통과하면서 눈이 내렸으나 강수량은 평년보다 적었음.
2. 기압계 전망
1월 중순에는 대륙고기압과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으로 기온변화가 크겠고 기압골과 지형적인 영향으로 많은 눈이 오는 곳이 있겠음. 기온은 평년과 비슷하겠고 강수량은 평년보다 많겠음. 1월 하순에는 찬 대륙고기압의 영향으로 기온이 큰 폭으로 떨어져 추운 날이 많겠으나 기온은 평년과 비슷하겠고, 지형적인 영향으로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겠음. 2월 상순에는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으로 기온은 평년보다 다소 높은 경향을 보이겠음. 대체로 맑고 건조한 날이 많아 강수량은 평년보다 적겠음.
평 균 기 온 |
강 수 량 |
|
1월 중순 |
평년(0℃)과 비슷하겠음 |
평년(19~23㎜)보다 많겠음 |
1월 하순 |
평년(- 1~0℃)과 비슷하겠음 |
평년(14~18㎜)과 비슷하겠음 |
2월 상순 |
평년(0~1℃)보다 높겠음 |
평년(12~14㎜)보다 적겠음 |
3 / 4
3. 순별 전망
◦ 평균기온 |
||
1월 중순 |
1월 하순 |
2월 상순 |
|
|
|
낮음 비슷 높음 |
||
◦ 강수량 |
||
1월 중순 |
1월 하순 |
2월 상순 |
|
|
|
적음 비슷 많음 |
※ 1개월 및 순별 기온ㆍ강수량의 전망 표현 기준표
구분 |
기온 편차(℃) |
강수량 평년비(%) |
||
순 |
월 |
순 |
월 |
|
높음(많음) |
>0.7 |
>0.5 |
>130 |
>120 |
비슷 |
- 0.7~0.7 |
- 0.5~0.5 |
50~130 |
70~120 |
낮음(적음) |
<- 0.7 |
<- 0.5 |
<50 |
<70 |
4 / 4
◦ 평균기온
순별 지역 |
1월 중순 |
1월 하순 |
2월 상순 |
강원도 영동 |
평년(0℃)과 비슷하겠음 |
평년(- 1~0℃)과 비슷하겠음 |
평년(0~1℃)보다 높겠음 |
강원도 영서 |
평년(- 6~- 4℃)보다 낮겠음 |
평년(- 6~- 4℃)보다 낮겠음 |
평년(- 4~- 3℃)과 비슷하겠음 |
전국(북한제외) 평균 |
평년(- 6~7℃)과 비슷하겠음 |
평년(- 6~6℃)보다 낮겠음 |
평년(- 4~7℃)보다 높겠음 |
서울‧인천‧경기도 |
평년(- 4~- 2℃)보다 낮겠음 |
평년(- 4~- 2℃)보다 낮겠음 |
평년(- 3~- 1℃)과 비슷하겠음 |
대전‧충청남도 |
평년(- 3~- 1℃)과 비슷하겠음 |
평년(- 3~- 1℃)보다 낮겠음 |
평년(- 2~- 1℃)보다 높겠음 |
충청북도 |
평년(- 5~- 2℃)과 비슷하겠음 |
평년(- 5~- 2℃)보다 낮겠음 |
평년(- 4~- 1℃)보다 높겠음 |
광주‧전라남도 |
평년(0~3℃)과 비슷하겠음 |
평년(- 1~2℃)보다 낮겠음 |
평년(0~3℃)보다 높겠음 |
전라북도 |
평년(- 1~0℃)과 비슷하겠음 |
평년(- 1℃)보다 낮겠음 |
평년(0℃)보다 높겠음 |
부산‧울산‧경상남도 |
평년(- 2~3℃)과 비슷하겠음 |
평년(- 2~3℃)과 비슷하겠음 |
평년(- 1~4℃)보다 높겠음 |
대구‧경상북도 |
평년(- 3~2℃)과 비슷하겠음 |
평년(- 4~2℃)과 비슷하겠음 |
평년(- 3~3℃)보다 높겠음 |
제주도 |
평년(6~7℃)과 비슷하겠음 |
평년(5~6℃)보다 낮겠음 |
평년(6~7℃)보다 높겠음 |
평안남북도‧황해도 |
평년(- 17~- 4℃)보다 낮겠음 |
평년(- 16~- 4℃)보다 낮겠음 |
평년(- 14~- 3℃)과 비슷하겠음 |
함경남북도 |
평년(- 18~- 2℃)보다 낮겠음 |
평년(- 18~- 2℃)보다 낮겠음 |
평년(- 16~- 1℃)과 비슷하겠음 |
◦ 강수량
순별 지역 |
1월 중순 |
1월 하순 |
2월 상순 |
강원도 영동 |
평년(19~23㎜)보다 많겠음 |
평년(14~18㎜)과 비슷하겠음 |
평년(12~14㎜)보다 적겠음 |
강원도 영서 |
평년(7~8㎜)보다 많겠음 |
평년(4~6㎜)과 비슷하겠음 |
평년(5~7㎜)과 비슷하겠음 |
전국(북한제외) 평균 |
평년(7~23㎜)과 비슷하겠음 |
평년(3~25㎜)과 비슷하겠음 |
평년(3~14㎜)보다 적겠음 |
서울‧인천‧경기도 |
평년(7~8㎜)보다 많겠음 |
평년(3~6㎜)보다 많겠음 |
평년(3~6㎜)과 비슷하겠음 |
대전‧충청남도 |
평년(9~11㎜)보다 많겠음 |
평년(6~8㎜)보다 많겠음 |
평년(6~9㎜)보다 적겠음 |
충청북도 |
평년(9~11㎜)보다 많겠음 |
평년(6~7㎜)과 비슷하겠음 |
평년(7~8㎜)보다 적겠음 |
광주‧전라남도 |
평년(9~14㎜)과 비슷하겠음 |
평년(9~13㎜)보다 많겠음 |
평년(7~10㎜)보다 적겠음 |
전라북도 |
평년(12~15㎜)과 비슷하겠음 |
평년(9~11㎜)보다 많겠음 |
평년(8~10㎜)보다 적겠음 |
부산‧울산‧경상남도 |
평년(9~14㎜)과 비슷하겠음 |
평년(6~12㎜)과 비슷하겠음 |
평년(6~10㎜)보다 적겠음 |
대구‧경상북도 |
평년(8~23㎜)과 비슷하겠음 |
평년(5~13㎜)과 비슷하겠음 |
평년(5~10㎜)보다 적겠음 |
제주도 |
평년(22㎜)과 비슷하겠음 |
평년(23~25㎜)과 비슷하겠음 |
평년(11~13㎜)보다 적겠음 |
평안남북도‧황해도 |
평년(2~6mm)보다 적겠음 |
평년(2~6mm)보다 적겠음 |
평년(2~6mm)과 비슷하겠음 |
함경남북도 |
평년(1~21㎜)보다 적겠음 |
평년(1~23㎜)보다 적겠음 |
평년(1~14㎜)과 비슷하겠음 |
※ 문의 : ☏ 033- 650- 0422, 0428, http://www.kma.go.kr
5 / 4
< 참고 자료 >
◦ 기온 분포 (2010.12.01.~12.30.) |
|
기온(℃) |
기온 편차(℃) |
|
|
- 0.5 0.5 (℃) |
|
|
|
낮음 비슷 높음 |
|
◦ 강수량 분포 (2010.12.01.~12.30.) |
|
강수량(㎜) |
강수량 평년비(%) |
|
|
70 120 (%) |
|
|
|
적음 비슷 많음 |
6 / 4
◦ 강원 영동 평균기온과 강수량 (2010.12.01.~12.30.) |
|
< 평균기온(℃) > |
< 누적강수량(㎜) > |
|
|
|
|
|
|
|
|
|
7 / 4
◦ 강원 영동 순별 평년값 |
|||||||||||||||||||||||||||||||||||||||||||||||||||
평균기온 단위 : ℃ |
최저기온 단위 : ℃ |
||||||||||||||||||||||||||||||||||||||||||||||||||
|
|
||||||||||||||||||||||||||||||||||||||||||||||||||
최고기온 단위 : ℃ |
강수량 단위 : mm |
||||||||||||||||||||||||||||||||||||||||||||||||||
|
|
||||||||||||||||||||||||||||||||||||||||||||||||||
(평년기간 : 1981~2010년, ** 동해지점은 1993~2010년) |
8 / 4
[첨부 2] |
최근 1개월(2010.12.01~12.30) 기후통계 분석 |
□ 강원 영동
○ 최근 1개월(12.01~12.30) 강원 영동의 평균기온, 평균 최저기온은 3.1℃, - 1.3℃로 평년보다 각각 0.1℃, 0.7℃ 낮았고, 평균 최고기온은 7.8도로 평년보다 0.3도 높았음.
- 12월 하순(12.21~12.30) 평균기온, 평균 최고기온, 평균 최저기온은 - 0.4℃, 3.9℃, - 4.5℃로 평년보다 각각 2.3℃, 2.4℃, 2.6℃ 낮았음.
※ 최근 1개월 상대습도 최저 3위 기록(1위 2005년 31.3%, 2위 2001년 36.4%).
○ 최근 1개월(12.01~12.30) 강수량은 22.9㎜로 평년보다 적었음(평년대비 55.0%).
- 강수일수는 5.5일로 평년보다 0.6일 많았고, 일조시간은 181.7시간으로 평년보다 3.5시간 많았음.
- 12월 하순(12.21~12.30) 강수량은 0.9㎜로 평년보다 적었음(평년대비 6.4%).
※ 최근 1개월 상대습도 최저 4위 기록(1위 1984년 31.1%, 2위 2003년 31.9%, 3위 2005년 32.2%).
[강원 영동 기상요소 값] ※ ( ) 안의 값은 평년값임.
평균 기온 |
평균 최고 기온 |
평균 최저 기온 |
일최저 0℃미만일수 |
평균 강수량 |
강수 일수 (≥0.1㎜) |
눈 일수* |
상대 습도 |
일조시간 |
|
최근 1개월 (12.01~12.30) |
3.1℃ (3.2℃) |
7.8℃ (7.5℃) |
- 1.3℃ (- 0.6℃) |
16.5일 (15.7일) |
22.9㎜ (41.6㎜) |
5.5일 (4.9일) |
4.5일 (2.5일) |
39.4% (51.1%) |
181.7시간 (178.2시간) |
12월 하순 (12.21~12.30) |
- 0.4℃ (1.9℃) |
3.9℃ (6.3℃) |
- 4.5℃ (- 1.9℃) |
8일 (6.2일) |
0.9㎜ (14.1㎜) |
1일 (1.5일) |
2일 (1.1일) |
37.0% (50.1%) |
68.4시간 (58.6시간) |
* 일수 : 평년계산시에는 강릉(105)사용, 2010년에는 북강릉(104)사용
□ 강릉
○ 최근 1개월(12.01~12.30) 강릉의 평균기온, 평균 최고기온, 평균 최저기온은 3.1℃, 7.9℃, - 1.3℃로 평년보다 각각 0.3℃, 0.1℃, 0.9℃ 낮았음.
- 12월 하순(12.21~12.30) 평균기온, 평균 최고기온, 평균 최저기온은 - 0.4℃, 4.1℃, - 4.6℃로 평년보다 각각 2.5℃, 2.7℃, 2.9℃ 낮았음.
※ 최근 1개월 상대습도 최저 5위 기록(1위 2005년 3.6%, 2위 2001년 37.7%, 3위 2003년 38.8%, 4위 1971년 39.6%).
○ 최근 1개월(12.01~12.30) 강수량은 26.0㎜로 평년보다 적었으며(평년대비 61.6%), 강수일수는 4일로 평년보다 0.8일 적었음.
- 12월 하순(12.21~12.30) 강수량은 0.0㎜였음(평년대비 0.0%).
[강릉 기상요소 값] ※ ( ) 안의 값은 평년값임.
평균 기온 |
평균 최고 기온 |
평균 최저 기온 |
일최저 0℃미만일수 |
평균 강수량 |
강수 일수 (≥0.1㎜) |
눈 일수* |
상대 습도 |
일조시간 |
|
최근 1개월 (12.01~12.30) |
3.1℃ (3.4℃) |
7.9℃ (8.0℃) |
- 1.3℃ (- 0.4℃) |
16일 (15.0일) |
26.0㎜ (42.2㎜) |
4일 (4.8일) |
7일 (2.9일) |
41.8% (50.4%) |
180.2시간 (177.5시간) |
12월 하순 (12.21~12.30) |
- 0.4℃ (2.1℃) |
4.1℃ (6.8℃) |
- 4.6℃ (- 1.7℃) |
8일 (6.0일) |
0.0㎜ (15.2㎜) |
0일 (1.5일) |
2일 (1.3일) |
39.5% (49.4%) |
67.4시간 (58.2시간) |
* 일수 : 평년계산시에는 강릉(105)사용, 2010년에는 북강릉(104)사용
9 /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