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 2. 23.(수) 11:00 (총 20매) |
즉시 |
제주지방기상청 기후팀 |
팀장 구 대 영 |
< 제주도지방, 봄철(3~5월) 기상전망과 기상 재해 유형 >
3월까지 기온 변동폭이 크고 한두차례 꽃샘 추위
O 3월에는 찬 대륙고기압과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으로 기온의 변동폭이 크겠음
O 4월과 5월에는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을 주로 받겠음
O 황사 발생일수는 평년(평년 4.5일)과 비슷하겠으며, 주로 3월과 4월에 발생하겠음
□ 최근 2000년대 봄철 주요 특이기상 현황과 영향
○ 황사
— 최근 제주도의 대표적인 봄철 황사 고농도 사례로 지난 2010년 3월 20일 가장 강력한 황사가 발생하여 황사계기관측 이후 고산에서 시간평균 황사농도가 1789㎍/㎥로 역대최고를 기록하였으며, 이전 기록값은 2007년 4월 1일 1467㎍/㎥였음
— 최근 전국의 사례는 2002년 3월 22일(서울 2,046㎍/㎥), 2002년 4월 9일(서울 2,070㎍/㎥), 2007년 4월 1일(서울 1,064㎍/㎥) 등이 있으며, 2010년 3월 20일에는 흑산도의 황사농도가 2,712㎍/㎥를 기록하여 계기 관측 이후 황사 농도가 가장 높았음
○ 이상저온과 고온
— 2010년 봄철(3월하순~4월) 제주도지방은 이상저온과 잦은 강수로 인한 일조량 부족으로 각종 농작물 생육 부진 등 피해 발생. 2004년 5월 28일 제주의 최고기온이 30.8℃를 기록하였으며, 2005년 4월 28일에는 30.1℃로 4월에도 30℃가 넘는 기온이 기록
— 2010년 4월 전국적인 이상저온과 일조량 부족으로 월동 작물의 생육 부진, 수정불량, 낙화, 병‧해충 증가 등의 피해 발생. 2005년 4월 28일 경북 영덕의 최고기온이 34.0℃로 역대 최고를 기록. 2007년 5월 27일 서울의 최고기온이 30.1℃를 기록하는 등 전국적으로 30℃ 내외의 이상고온 현상 발생
○ 폭설
— 2004년 3월 4일~5일 중부지방에 최고 49cm의 폭설이 내려 경부고속도로가 37시간 동안 마비된 바 있으며 총 6,734억원의 재산 피해 발생. 2005년 3월 4~5일 부산에 내린 101년 만의 폭설(37.2 cm)로 국가고시 및 공채시험 응시생의 무더기 결시 사태 발생
□ 봄철 날씨의 일반적 특징
봄철에는 우리나라 겨울철의 추운 날씨에 영향을 주는 차가운 대륙고기압 세력이 점차 약해지면서, 대륙고기압에서 분리된 이동성 고기압과 서쪽에서 접근하는 저기압의 영향을 주기적으로 받음.
봄철 초반에는 이동성 고기압과 저기압이 3~4일 주기로 우리나라를 지나가므로 날씨의 변화가 매우 심하고, 저기압 통과 후 찬 대륙고기압이 일시적으로 확장할 경우 꽃샘추위가 나타나기도 함. 그리고 늦봄이 되면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을 받아 기온이 상승하며 맑고 건조한 날이 많게 됨.
이동성 고기압의 중심부에는 구름이 없고 건조하기 때문에 낮 동안에는 강한 일사의 영향으로 기온이 크게 올라가는 등 화창한 봄 날씨를 보이지만 야간에는 복사냉각으로 기온이 큰 폭으로 떨어져 일교차가 크게 나타나게 되어, 늦봄에 서리가 나타나기도 함.
봄이 되면 일사량이 증가하여 겨울철 동안 얼었던 중국과 몽골의 사막과 황토지역에 눈이 녹아 증발하면서 지면이 건조한 상태가 됨. 이때 저기압이 통과하게 되면 강한 바람에 의해 지면의 먼지들이 공기 중으로 불려 올려져 이 지역에 황사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 먼지가 편서풍을 타고 우리나라로 이동하여 오면 황사가 발생하게 됨.
□ 최근 겨울철 동아시아 기압계 패턴과 날씨 동향
○ 2010년 12월 전반에는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을 주로 받았으나, 후반(15~16일, 24~26일, 30~31일)에는 대륙고기압이 확장하면서 기온이 큰 폭으로 떨어져 한파가 나타나 기온은 평년보다 낮았음(평년편차 - 0.7℃). 12~13일에 기압골이 통과하면서 많은 비가 내렸고, 후반에 대륙고기압이 확장하면서 많은 눈이 내려 강수량은 평년보다 많았음(평년대비 174%).
○ 2011년 1월에는 대륙고기압의 영향을 주로 받아 추운 날씨가 지속되고 한파가 자주 나타나 기온은 평년보다 매우 낮았음(평년편차 - 3.1℃). 5~16일, 24일과 29~31일에 대륙고기압이 확장하면서 많은 눈이 내렸고, 눈 오는 날이 많았으나 강수량은 평년보다 적었음(평년대비 16%).
○ 2월(2.1~2.20)에는 상순에 이동성고기압과 남쪽을 지나는 저기압의 영향을 받아 기온이 평년보다 높았으나, 중순에는 대륙고기압이 확장하면서 일시적인 추위가 나타나 전반적인 기온은 평년과 비슷하였으며(평년편차 - 0.3℃), 강수량은 15.6㎜로 평년보다 적었음(평년대비 63%). 8일과 10일, 16~17일에는 남해상으로 저기압이 통과하면서 비가 내렸음.
12월 - 0.7℃ 1월 - 3.1℃ 2월 - 0.3℃ |
12월 174% 1월 16% 2월 63% |
제주도지방, 평균기온의 일변화 (2010.12.01~2011.02.20) |
제주도지방, 강수량의 일변화 (2010.12.01~2011.02.20) |
※ 제주도지방은 제주, 서귀포 2지점의 평균자료를 사용한 것임.
□ 올 봄 날씨 전망
— 북극진동은 양(+)의 편차 상태가 유지되어 고위도 지역의 지속적 한기유입은 없겠으며, 라니냐 상태가 지속되어 열대 동태평양 해수면 온도는 평년보다 낮을 것으로 전망됨.
— 봄철 전반에는 대륙고기압과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을 주로 받겠으며 봄철 후반에는 대륙고기압의 영향이 약화되어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을 주로 받겠음.
O 1개월 전망(3월 상순~하순) 요약
순 |
평 균 기 온 |
강 수 량 |
3월 상순 |
평년(8~9℃)과 비슷하겠음 |
평년(26~30㎜)과 비슷하겠음 |
3월 중순 |
평년(10~11℃)과 비슷하겠음 |
평년(35~54㎜)과 비슷하겠음 |
3월 하순 |
평년(11~12℃)과 비슷하겠음 |
평년(29~47㎜)보다 많겠음 |
O 3개월 전망(3월~5월) 요약
월 |
평 균 기 온 |
강 수 량 |
3월 |
평년(9~11℃)과 비슷하겠음 |
평년(89~131㎜)과 비슷하겠음 |
4월 |
평년(14~15℃)과 비슷하겠음 |
평년(90~175㎜)과 비슷하겠음 |
5월 |
평년(18~19℃)보다 높겠음 |
평년(96~206㎜)과 비슷하겠음 |
○ 3월
- 상순에는 대륙고기압과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을 받아 기온은 평년과 비슷하겠으나 변동폭이 크겠음.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겠음. 중순에는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을 받겠으나, 찬 대륙고기압이 일시적으로 확장하여 쌀쌀한 날씨를 보일 때가 있겠으며, 기온과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겠음. 3월 하순에는 이동성 고기압과 남쪽을 지나는 저기압의 영향을 주로 받아 기온이 평년과 비슷하겠고 강수량은 평년보다 많겠음.
○ 4월
-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을 주로 받겠으나 북쪽으로 지나는 고기압의 영향으로 북동기류가 자주 유입되겠으며, 기온과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겠음.
○ 5월
-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을 주로 받아 맑은 날이 많겠음. 남서류의 유입으로 일시적으로 고온 현상을 보일때가 있겠으며, 기온은 평년보다 높겠음.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겠으나 남쪽을 지나는 기압골의 영향으로 많은 비가 올 때가 있겠음.
○ 황사
- 최근까지는 황사 발원지에 눈이 넓게 덮여 있고 차가운 대륙성 고기압이 지배하고 있어 저기압 발달이 억제되면서 황사 발원이 매우 약한 상태임.
- 앞으로 대륙성 고기압이 점차 약화되고 눈이 녹아 황사 발원의 가능성이 높아지겠음. 올 봄 황사의 발생일수는 평년(4.5일)과 비슷할 것으로 전망됨. (3월과 4월에는 평년과 유사, 5월에는 남서류 유입이 강화되어 평년보다 적을 것으로 전망)
※ <참조> 황사일수 평년값(1981~2010년, 최근 30년) (단위: 일)
3월 |
4월 |
5월 |
봄철 |
|
제주도지방 |
1.5 |
2.2 |
0.8 |
4.5 |
전국 |
1.7 |
2.4 |
1.0 |
5.1 |
※ 다음 1개월 전망은 2011년 3월 3일, 3개월 전망은 2011년 3월 23일 오전 11시에 발표됩니다.
※ 문의 : ☏ 064- 752- 0364, http://jeju.kma.go.kr
※ 첨부자료
1. 3개월 전망 전문
2. 1개월 전망 전문
3. 최근 3개월 기후통계 분석
4. 최근 1개월 기후통계 분석
[첨부 1] |
3개월 전망 전문 |
3개월 전망
(제주도지방, 3월 ~ 5월)
제 주 지 방 기 상 청
2011년 2월 23일 11시 발표
※ 다음 3개월 전망은 2011년 3월 23일 11시에 발표
요 약 |
||
|
||
3월에는 대륙고기압과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을 주기적으로 받아 기온의 변동폭이 크겠으며, 4월과 5월에는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을 주로 받겠음. ※ 황사 발생일수는 평년(4.5일)과 비슷하겠음. |
월 |
평 균 기 온 |
강 수 량 |
3월 |
평년(9~11℃)과 비슷하겠음 |
평년(89~131㎜)과 비슷하겠음 |
4월 |
평년(14~15℃)과 비슷하겠음 |
평년(90~175㎜)과 비슷하겠음 |
5월 |
평년(18~19℃)보다 높겠음 |
평년(96~206㎜)과 비슷하겠음 |
□ 날씨 동향
2010년 12월 전반에는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을 주로 받았으나, 후반(15~16일, 24~26일, 30~31일)에는 대륙고기압이 확장하면서 기온이 큰 폭으로 떨어져 한파가 나타나 기온은 평년보다 낮았음(평년편차 - 0.7℃). 12~13일에 기압골이 통과하면서 많은 비가 내렸고, 후반에 대륙고기압이 확장하면서 많은 눈이 내려 강수량은 평년보다 많았음(평년대비 174%).
2011년 1월에는 대륙고기압의 영향을 주로 받아 추운 날씨가 지속되고 한파가 자주 나타나 기온은 평년보다 매우 낮았음(평년편차 - 3.1℃). 5~16일, 24일과 29~31일에 대륙고기압이 확장하면서 많은 눈이 내렸고, 눈 오는 날이 많았으나 강수량은 평년보다 적었음(평년대비 16%).
2월(2.1~2.20)에는 상순에 이동성고기압과 남쪽을 지나는 저기압의 영향을 받아 기온이 평년보다 높았으나, 중순에는 대륙고기압이 확장하면서 일시적인 추위가 나타나 전반적인 기온은 평년과 비슷하였으며(평년편차 - 0.3℃). 강수량은 평년보다 적었음(평년대비 63%). 8일과 10일, 16~17일에는 남해상으로 저기압이 통과하면서 비가 내렸음.
1 / 4
□ 날씨 전망
3 월 |
대륙고기압과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을 받아 기온의 변동폭이 크겠음. 기온은 평년과 비슷하겠으나 일시적인 대륙고기압의 확장으로 기온이 다소 큰 폭으로 떨어질 때가 있겠음. 강수량은 전반적으로 평년과 비슷하겠음. |
4 월 |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을 주로 받겠으나 북쪽으로 지나는 고기압의 영향으로 북동기류가 자주 유입되겠으며, 기온과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겠음. |
5 월 |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을 주로 받아 맑은 날이 많겠으며 남서류의 유입으로 일시적으로 고온 현상을 보일때가 있겠으며, 기온은 평년보다 높겠음.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겠으나 남쪽을 지나는 기압골의 영향으로 지역에 따라 많은 비가 오는 곳이 있겠음. |
2 / 4
◦ 평균기온 |
||
3월 |
4월 |
5월 |
|
|
|
낮음 비슷 높음 |
||
◦ 강수량 |
||
3월 |
4월 |
5월 |
|
|
|
적음 비슷 많음 |
※ 월 단위 이상 기간에 대한 평균 기온ㆍ강수량의 전망 표현 기준표
구분 |
기온 편차(℃) |
강수량 평년비(%) |
높음(많음) |
>0.5 |
>120 |
비슷 |
- 0.5~0.5 |
70~120 |
낮음(적음) |
<- 0.5 |
<70 |
3 / 4
◦ 평균기온
월별 지역 |
3월 |
4월 |
5월 |
전국(북한제외) 평균 |
평년(4~11℃)과 비슷하겠음 |
평년(11~15℃)보다 낮겠음 |
평년(16~19℃)과 비슷하겠음 |
제주도 |
평년(9~11℃)과 비슷하겠음 |
평년(14~15℃)과 비슷하겠음 |
평년(18~19℃)보다 높겠음 |
서울·인천·경기도 |
평년(4~6℃)과 비슷하겠음 |
평년(11~13℃)보다 낮겠음 |
평년(16~18℃)과 비슷하겠음 |
강원도 영서 |
평년(4~5℃)과 비슷하겠음 |
평년(11~12℃)보다 낮겠음 |
평년(16~17℃)과 비슷하겠음 |
강원도 영동 |
평년(6℃)과 비슷하겠음 |
평년(12~13℃)보다 낮겠음 |
평년(16~18℃)과 비슷하겠음 |
대전·충청남도 |
평년(5℃)과 비슷하겠음 |
평년(11~12℃)과 비슷하겠음 |
평년(16~17℃)과 비슷하겠음 |
충청북도 |
평년(4~6℃)과 비슷하겠음 |
평년(11~13℃)보다 낮겠음 |
평년(16~18℃)과 비슷하겠음 |
광주·전라남도 |
평년(6~8℃)과 비슷하겠음 |
평년(12~13℃)과 비슷하겠음 |
평년(17~18℃)과 비슷하겠음 |
전라북도 |
평년(6℃)과 비슷하겠음 |
평년(11~13℃)과 비슷하겠음 |
평년(17~18℃)과 비슷하겠음 |
부산·울산·경상남도 |
평년(5~9℃)과 비슷하겠음 |
평년(12~14℃)과 비슷하겠음 |
평년(17~18℃)과 비슷하겠음 |
대구·경상북도 |
평년(5~8℃)과 비슷하겠음 |
평년(12~14℃)보다 낮겠음 |
평년(16~19℃)과 비슷하겠음 |
평안남북도·황해도 |
평년(- 1~4℃)보다 낮겠음 |
평년(8~11℃)보다 낮겠음 |
평년(14~17℃)과 비슷하겠음 |
함경남북도 |
평년(- 8~4℃)보다 낮겠음 |
평년(2~11℃)보다 낮겠음 |
평년(8~16℃)과 비슷하겠음 |
◦ 강수량
월별 지역 |
3월 |
4월 |
5월 |
전국(북한제외) 평균 |
평년(38~131㎜)과 비슷하겠음 |
평년(58~175㎜)보다 적겠음 |
평년(70~206㎜)과 비슷하겠음 |
제주도 |
평년(89~131㎜)과 비슷하겠음 |
평년(90~175㎜)과 비슷하겠음 |
평년(96~206㎜)과 비슷하겠음 |
서울·인천·경기도 |
평년(40~48㎜)과 비슷하겠음 |
평년(58~67㎜)보다 적겠음 |
평년(98~109㎜)과 비슷하겠음 |
강원도 영서 |
평년(38~52㎜)과 비슷하겠음 |
평년(61~67㎜)보다 적겠음 |
평년(94~105㎜)과 비슷하겠음 |
강원도 영동 |
평년(57~69㎜)과 비슷하겠음 |
평년(64~69㎜)과 비슷하겠음 |
평년(87~96㎜)과 비슷하겠음 |
대전·충청남도 |
평년(46~56㎜)과 비슷하겠음 |
평년(61~76㎜)보다 적겠음 |
평년(86~105㎜)과 비슷하겠음 |
충청북도 |
평년(48~56㎜)과 비슷하겠음 |
평년(67~76㎜)보다 적겠음 |
평년(85~102㎜)과 비슷하겠음 |
광주·전라남도 |
평년(60~96㎜)과 비슷하겠음 |
평년(69~120㎜)과 비슷하겠음 |
평년(89~147㎜)과 비슷하겠음 |
전라북도 |
평년(49~55㎜)과 비슷하겠음 |
평년(74~77㎜)보다 적겠음 |
평년(89~95㎜)과 비슷하겠음 |
부산·울산·경상남도 |
평년(53~100㎜)과 비슷하겠음 |
평년(74~162㎜)과 비슷하겠음 |
평년(95~190㎜)과 비슷하겠음 |
대구·경상북도 |
평년(42~61㎜)과 비슷하겠음 |
평년(61~83㎜)과 비슷하겠음 |
평년(70~110㎜)과 비슷하겠음 |
평안남북도·황해도 |
평년(14~42㎜)보다 적겠음 |
평년(33~68㎜)보다 적겠음 |
평년(67~104㎜)과 비슷하겠음 |
함경남북도 |
평년(15~62㎜)보다 적겠음 |
평년(37~73㎜)보다 적겠음 |
평년(42~111㎜)과 비슷하겠음 |
※ 문의 : ☏064- 752- 0364, http://jeju.kma.go.kr
4 / 4
<참고 자료> |
|
◦ 기온 분포 (2010.12.01 ~ 2011.02.20) |
|
기온(℃) |
기온 편차(℃) |
|
|
- 0.5 0.5 (℃) |
|
|
|
낮음 비슷 높음 |
|
◦ 강수량 분포 (2010.12.01 ~ 2011.02.20) |
|
강수량(㎜) |
강수량 평년비(%) |
|
|
70 120 (%) |
|
|
|
적음 비슷 많음 |
5 / 4
◦ 제주도 지점별 평균기온과 강수량 (2010.12.01. ~ 2011.2.20.) |
|
<평균기온(℃)> |
|
제 주 |
서귀포 |
고 산 |
성 산 |
<강수량(㎜)> |
|
제 주 |
서귀포 |
고 산 |
성 산 |
|
◦ 기후 평년값 (3월 ~ 5월) |
||||||||||||||||||||||||||||||||||||||||||||||||||||||||||||||||||
평균기온 |
단위 : ℃ |
|||||||||||||||||||||||||||||||||||||||||||||||||||||||||||||||||
|
||||||||||||||||||||||||||||||||||||||||||||||||||||||||||||||||||
최저기온 |
단위 : ℃ |
|||||||||||||||||||||||||||||||||||||||||||||||||||||||||||||||||
|
||||||||||||||||||||||||||||||||||||||||||||||||||||||||||||||||||
최고기온 |
단위 : ℃ |
|||||||||||||||||||||||||||||||||||||||||||||||||||||||||||||||||
|
||||||||||||||||||||||||||||||||||||||||||||||||||||||||||||||||||
강수량 |
단위 : ㎜ |
|||||||||||||||||||||||||||||||||||||||||||||||||||||||||||||||||
|
||||||||||||||||||||||||||||||||||||||||||||||||||||||||||||||||||
(평년기간 : 1981 ~ 2010년, 고산은 1988~2010년, 성산은 1991~2010년) |
6 / 4
[첨부 2] |
1개월 전망 전문 |
1개월 전망
(제주도지방, 3월 1일 ~ 3월 31일)
제 주 지 방 기 상 청
2011년 2월 23일 11시 발표
※ 다음 1개월 전망은 2011년 3월 3일 11시에 발표
요 약 |
||
|
||
대륙고기압과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을 받아 기온의 변동폭이 크겠으며, 3월 하순에는 남쪽을 지나는 저기압의 영향으로 강수량이 평년보다 많겠음. |
평 균 기 온 |
강 수 량 |
|
3월 상순 |
평년(8~9℃)과 비슷하겠음 |
평년(26~30㎜)과 비슷하겠음 |
3월 중순 |
평년(10~11℃)과 비슷하겠음 |
평년(35~54㎜)과 비슷하겠음 |
3월 하순 |
평년(11~12℃)과 비슷하겠음 |
평년(29~47㎜)보다 많겠음 |
1. 최근(1월 하순~2월 중순) 날씨 동향
1월 하순에는 대륙고기압의 영향을 주로 받아 추운 날씨가 지속되었으며, 기온은 평년보다 낮았고, 강수량은 평년보다 적었음. 24일과 29~30일에는 대륙고기압이 확장하면서 많은 눈이 내렸음.
2월 상순에는 이동성고기압과 남쪽을 지나는 저기압의 영향을 받아 기온은 평년보다 높았으며, 8일과 10일 남해상으로 저기압이 통과하면서 비가 내려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였음.
2월 중순에는 대륙고기압이 확장하면서 기온이 큰 폭으로 떨어져 기온은 평년보다 낮았으며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였음. 16~17일에는 남해상으로 저기압이 통과하면서 비가 내렸음.
2. 날씨 전망
3월 상순에는 대륙고기압과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을 받아 기온은 평년과 비슷하겠으나 변동폭이 크겠음.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겠음. 3월 중순에는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을 받겠으나, 찬 대륙고기압이 일시적으로 확장하여 쌀쌀한 날씨를 보일 때가 있겠으며, 기온과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겠음. 3월 하순에는 이동성 고기압과 남쪽을 지나는 저기압의 영향을 주로 받아 기온이 평년과 비슷하겠고 강수량은 평년보다 많겠음.
7 / 4
3. 순별 전망
◦ 평균기온 |
||
3월 상순 |
3월 중순 |
3월 하순 |
|
|
|
낮음 비슷 높음 |
||
◦ 강수량 |
||
3월 상순 |
3월 중순 |
3월 하순 |
|
|
|
적음 비슷 많음 |
※ 1개월 및 순별 기온ㆍ강수량의 전망 표현 기준표
구분 |
기온 편차(℃) |
강수량 평년비(%) |
||
순 |
월 |
순 |
월 |
|
높음(많음) |
>0.7 |
>0.5 |
>130 |
>120 |
비슷 |
- 0.7~0.7 |
- 0.5~0.5 |
50~130 |
70~120 |
낮음(적음) |
<- 0.7 |
<- 0.5 |
<50 |
<70 |
8 / 4
◦ 평균기온
순별 지역 |
3월 상순 |
3월 중순 |
3월 하순 |
전국(북한제외) 평균 |
평년(1~9℃)과 비슷하겠음 |
평년(4~11℃)보다 낮겠음 |
평년(5~12℃)과 비슷하겠음 |
제주도 |
평년(8~9℃)과 비슷하겠음 |
평년(10~11℃)과 비슷하겠음 |
평년(11~12℃)과 비슷하겠음 |
서울·인천·경기도 |
평년(2~3℃)과 비슷하겠음 |
평년(5~6℃)보다 낮겠음 |
평년(6~8℃)과 비슷하겠음 |
강원도 영서 |
평년(1~2℃)과 비슷하겠음 |
평년(4~5℃)보다 낮겠음 |
평년(5~7℃)과 비슷하겠음 |
강원도 영동 |
평년(4~5℃)과 비슷하겠음 |
평년(6~7℃)과 비슷하겠음 |
평년(7~8℃)과 비슷하겠음 |
대전·충청남도 |
평년(3℃)과 비슷하겠음 |
평년(5~6℃)보다 낮겠음 |
평년(6~7℃)과 비슷하겠음 |
충청북도 |
평년(1~3℃)과 비슷하겠음 |
평년(4~6℃)보다 낮겠음 |
평년(5~8℃)과 비슷하겠음 |
광주·전라남도 |
평년(4~6℃)과 비슷하겠음 |
평년(6~8℃)과 비슷하겠음 |
평년(8~9℃)과 비슷하겠음 |
전라북도 |
평년(4℃)과 비슷하겠음 |
평년(6~7℃)보다 낮겠음 |
평년(7~8℃)과 비슷하겠음 |
부산·울산·경상남도 |
평년(3~7℃)과 비슷하겠음 |
평년(6~9℃)과 비슷하겠음 |
평년(7~10℃)과 비슷하겠음 |
대구·경상북도 |
평년(2~6℃)과 비슷하겠음 |
평년(5~8℃)과 비슷하겠음 |
평년(7~9℃)과 비슷하겠음 |
평안남북도·황해도 |
평년(- 4~2℃)보다 낮겠음 |
평년(- 1~4℃)보다 낮겠음 |
평년(2~6℃)과 비슷하겠음 |
함경남북도 |
평년(- 11~3℃)보다 낮겠음 |
평년(- 7~5℃)보다 낮겠음 |
평년(- 5~6℃)과 비슷하겠음 |
◦ 강수량
순별 지역 |
3월 상순 |
3월 중순 |
3월 하순 |
전국(북한제외) 평균 |
평년(12~30㎜)보다 적겠음 |
평년(10~54㎜)과 비슷하겠음 |
평년(14~47㎜)과 비슷하겠음 |
제주도 |
평년(26~30㎜)과 비슷하겠음 |
평년(35~54㎜)과 비슷하겠음 |
평년(29~47㎜)보다 많겠음 |
서울·인천·경기도 |
평년(14~17㎜)보다 적겠음 |
평년(11~13㎜)과 비슷하겠음 |
평년(14~19㎜)과 비슷하겠음 |
강원도 영서 |
평년(12~16㎜)보다 적겠음 |
평년(10~13㎜)과 비슷하겠음 |
평년(16~23㎜)과 비슷하겠음 |
강원도 영동 |
평년(22~27㎜)보다 적겠음 |
평년(15~18㎜)과 비슷하겠음 |
평년(20~24㎜)과 비슷하겠음 |
대전·충청남도 |
평년(16~21㎜)보다 적겠음 |
평년(12~15㎜)과 비슷하겠음 |
평년(17~21㎜)과 비슷하겠음 |
충청북도 |
평년(15~19㎜)보다 적겠음 |
평년(13~16㎜)과 비슷하겠음 |
평년(17~23㎜)과 비슷하겠음 |
광주·전라남도 |
평년(17~27㎜)과 비슷하겠음 |
평년(23~39㎜)과 비슷하겠음 |
평년(20~30㎜)과 비슷하겠음 |
전라북도 |
평년(15~17㎜)과 비슷하겠음 |
평년(15~18㎜)과 비슷하겠음 |
평년(19~21㎜)과 비슷하겠음 |
부산·울산·경상남도 |
평년(15~24㎜)과 비슷하겠음 |
평년(18~41㎜)과 비슷하겠음 |
평년(19~35㎜)보다 많겠음 |
대구·경상북도 |
평년(12~20㎜)보다 적겠음 |
평년(13~21㎜)과 비슷하겠음 |
평년(16~21㎜)과 비슷하겠음 |
평안남북도·황해도 |
평년(4~12㎜)보다 적겠음 |
평년(3~19㎜)보다 적겠음 |
평년(6~16mm)과 비슷하겠음 |
함경남북도 |
평년(3~29㎜)보다 적겠음 |
평년(3~13㎜)보다 적겠음 |
평년(7~21㎜)과 비슷하겠음 |
※ 문의 : ☏064- 752- 0364, http://jeju.kma.go.kr
9 / 4
< 참고 자료 > |
|
◦ 기온 분포 (2011.1.21 ~ 2.20) |
|
기온(℃) |
기온 편차(℃) |
|
|
- 0.5 0.5 (℃) |
|
|
|
낮음 비슷 높음 |
|
◦ 강수량 분포 (2011.1.21 ~ 2.20) |
|
강수량(㎜) |
강수량 평년비(%) |
|
|
70 120 (%) |
|
|
|
적음 비슷 많음 |
10 / 4
◦ 제주도 지점별 평균기온과 강수량 (1.21. ~ 2.20.) |
|
<평균기온(℃)> |
|
제주(184) |
서귀포(189) |
성산(188) |
고산(185) |
<강수량(㎜)> |
|
제주(184) |
서귀포(189) |
성산(188) |
고산(185) |
|
◦ 순별 평년값 |
|||||||||||||||||||||||||||||||||||||||||||||||||||||||||||||
평균기온 |
단위 : ℃ |
||||||||||||||||||||||||||||||||||||||||||||||||||||||||||||
|
|||||||||||||||||||||||||||||||||||||||||||||||||||||||||||||
최저기온 |
단위 : ℃ |
||||||||||||||||||||||||||||||||||||||||||||||||||||||||||||
|
|||||||||||||||||||||||||||||||||||||||||||||||||||||||||||||
최고기온 |
단위 : ℃ |
||||||||||||||||||||||||||||||||||||||||||||||||||||||||||||
|
|||||||||||||||||||||||||||||||||||||||||||||||||||||||||||||
강수량 |
단위 : ㎜ |
||||||||||||||||||||||||||||||||||||||||||||||||||||||||||||
|
|||||||||||||||||||||||||||||||||||||||||||||||||||||||||||||
(평년기간 : 1981 ~ 2010년, 고산은 1988~2010년, 성산은 1991~2010년) |
11 / 4
[첨부 3] |
최근 3개월(2010.12.1~2011.2.20) 기후통계 분석 |
요소 기간 |
평균 기온 (℃) |
평균 최고기온 (℃) |
평균 최저기온 (℃) |
강수량 (㎜) |
습도 (%) |
강수일수 (일) |
일최저 - 10도미만 일수(일) |
일최심신적설 (최근 3개월) |
|
최근 3개월 ('10.12.01 ~'11.02.20) |
금년 |
- 1.0 |
4.4 |
- 5.9 |
54.5 |
58.9 |
15.7 |
18.1 |
북강릉 77.7㎝ (2011.02.11) 동해 70.2㎝ (2011.02.11) 울릉도 55.0㎝ (2011.01.24) |
평년 |
0.6 |
6.0 |
- 4.0 |
78.6 |
63.6 |
18.1 |
9.9 |
||
평년차 |
- 1.6 |
- 1.6 |
- 1.9 |
- 24.1(69%) |
- 4.7 |
- 2.4 |
8.2 |
||
2월 (02.01~02.20) |
금년 |
0.8 |
6.6 |
- 4.2 |
17.0 |
62.4 |
3.4 |
1.1 |
|
평년 |
0.9 |
6.5 |
- 4.0 |
22.6 |
62.0 |
4.3 |
2.1 |
||
평년차 |
- 0.1 |
0.1 |
- 0.2 |
- 5.6(75%) |
0.4 |
- 0.9 |
- 1.0 |
||
2011년 (01.01~02.20) |
금년 |
- 2.4 |
3.0 |
- 7.3 |
22.7 |
57.9 |
7.6 |
14.8 |
|
평년 |
- 0.1 |
5.3 |
- 4.8 |
52.3 |
62.9 |
11.3 |
7.6 |
||
평년차 |
- 2.3 |
- 2.3 |
- 2.5 |
- 29.6(43%) |
- 5.0 |
- 3.7 |
7.2 |
요소 기간 |
평균 기온 ℃ |
평균 최고기온 ℃ |
평균 최저기온 ℃ |
강수량 ㎜ |
습도 % |
강수일수 (일) |
일최저 0도미만 일수(일) |
일최심신적설(최근 3개월) |
|
최근3개월 (12.1~02.20) |
금년 |
5.8 |
8.9 |
2.9 |
118.2 |
62.7 |
25.5 |
11.5 |
제주 5.1㎝ (‘11.1.30) 서귀포 6.7㎝ 성산 14.9㎝ 고산 1.8㎝ (’10.12.31) |
평년 |
7.3 |
10.7 |
4.3 |
152.5 |
63.7 |
27.4 |
6.3 |
||
평년차 |
- 1.5 |
- 1.8 |
- 1.4 |
- 34.3(78%) |
- 1.0 |
- 1.9 |
+5.2 |
||
2월 (2.1~2.20) |
금년 |
6.5 |
9.9 |
3.4 |
27.1 |
63.8 |
5.5 |
2.0 |
|
평년 |
6.8 |
10.2 |
3.7 |
42.8 |
63.0 |
6.5 |
2.1 |
||
평년차 |
- 0.3 |
- 0.3 |
- 0.3 |
- 15.7(63%) |
+0.8 |
- 1.0 |
- 0.1 |
||
2011년 (1.1~2.20) |
금년 |
4.5 |
7.4 |
1.9 |
37.5 |
62.9 |
14.5 |
9.0 |
|
평년 |
6.5 |
9.8 |
3.5 |
105.8 |
63.7 |
18.0 |
5.5 |
||
평년차 |
- 2.0 |
- 2.4 |
- 1.6 |
- 67.5(35%) |
- 0.8 |
- 3.5 |
+3.5 |
요소 기간 |
평균 기온 ℃ |
평균 최고기온 ℃ |
평균 최저기온 ℃ |
강수량 ㎜ |
습도 % |
강수일수 (일) |
일최저 0도미만 일수(일) |
일최심신적설(최근 3개월) |
|
최근3개월 (12.1~02.20) |
금년 |
4.9 |
7.5 |
2.4 |
126.7 |
62.6 |
31 |
12 |
제주 5.1㎝ (’11.1.30) |
평년 |
6.7 |
9.5 |
4.0 |
152.1 |
65.0 |
30.3 |
5.8 |
||
평년차 |
- 1.8 |
- 2.0 |
- 1.6 |
- 25.4(83%) |
- 2.4 |
+0.7 |
+6.2 |
||
2월 (2.1~2.20) |
금년 |
5.5 |
8.4 |
2.7 |
28.6 |
63.5 |
6 |
2 |
|
평년 |
6.1 |
9.0 |
3.3 |
39.1 |
64.4 |
6.8 |
2.1 |
||
평년차 |
- 0.6 |
- 0.6 |
- 0.6 |
- 10.5(73%) |
- 0.9 |
- 0.8 |
- 0.1 |
||
2011년 (1.1~2.20) |
금년 |
3.6 |
5.8 |
1.5 |
44.2 |
63.1 |
18 |
9 |
|
평년 |
5.9 |
8.6 |
3.2 |
104.0 |
65.0 |
19.4 |
5.3 |
||
평년차 |
- 2.3 |
- 2.8 |
- 1.7 |
- 59.8(43%) |
- 1.9 |
- 1.4 |
+4.7 |
※ 평년 적용 : 1981~2010년, 30년
1 / 4
[첨부 4] |
최근 1개월(2011.1.21~2011.2.20) 기후통계 분석 |
[전국 기상요소 값]
요소
기간
평균
기온
(℃)
평균
최고기온
(℃)
평균
최저기온
(℃)
강수량
(㎜)
습도
(%)
강수일수
(일)
일최저
- 10도미만
일수(일)
일최심신적설
(최근 1개월)
최근 1개월
(01.21~02.20)
금년
- 1.1
4.4
- 6.0
19.3
58.8
5.1
5.8
북강릉 77.7㎝
(2011.02.11)
동해 70.2㎝
(2011.02.11)
울릉도 55.0㎝
(2011.01.24)
평년
0.2
5.7
- 4.6
31.5
62.1
6.8
4.2
평년차
- 1.3
- 1.3
- 1.4
- 12.2(61.3%)
- 3.3
- 1.7
1.6
2월 중순
(02.11~02.20)
금년
0.1
5.7
- 4.9
15.0
62.9
2.6
0.8
평년
1.8
7.4
- 3.1
14.4
61.7
2.3
0.6
평년차
- 1.7
- 1.7
- 1.8
0.6(104.2%)
1.2
0.3
0.2
[제주도지방 기상요소 값]
요소
기간
평균
기온
℃
평균
최고기온
℃
평균 최저기온
℃
강수량
㎜
습도
%
강수일수
(일)
일최저
0도미만
일수(일)
일최심신적설(최근 1개월)
최근1개월
(1.21~2.20)
금년
5.3
8.4
2.5
30.3
63.0
8.5
4.5
성산 7.3㎝
제주 5.1㎝
서귀포 0.5㎝
(‘11.1.30)
고산 0.5㎝
(‘11.2.14)
평년
6.5
9.7
3.4
66.2
63.1
10.5
3.8
평년차
- 1.2
- 1.3
- 0.9
- 35.9(46%)
- 0.1
- 2.0
+0.7
2월 중순
(2.11~2.20)
금년
5.4
8.4
2.4
15.6
66.7
3.5
2.0
평년
7.5
11.0
4.3
30.8
63.4
3.4
0.6
평년차
- 2.1
- 2.6
- 1.9
- 15.2(61%)
+3.3
+0.1
+1.4
요소 기간 |
평균 기온 ℃ |
평균 최고기온 ℃ |
평균 최저기온 ℃ |
강수량 ㎜ |
습도 % |
강수일수 (일) |
일최저 0도미만 일수(일) |
일최심신적설(최근 1개월) |
|
최근1개월 (1.21~2.20) |
금년 |
4.2 |
6.8 |
1.8 |
33.9 |
62.4 |
10 |
5 |
제주 5.1㎝ (’11.1.30) |
평년 |
5.8 |
8.5 |
3.1 |
62.7 |
64.5 |
11.2 |
3.7 |
||
평년차 |
- 1.6 |
- 1.7 |
- 1.3 |
- 28.8(54%) |
- 2.1 |
- 1.2 |
+1.3 |
||
2월 중순 (2.11~2.20) |
금년 |
4.3 |
6.8 |
1.9 |
14.1 |
67.2 |
4 |
2 |
|
평년 |
6.7 |
9.8 |
3.7 |
27.6 |
65.0 |
3.6 |
0.7 |
||
평년차 |
- 2.4 |
- 3.0 |
- 1.8 |
- 13.5(51%) |
+2.2 |
+0.4 |
+1.3 |
<첨부 3~4. 용어 해설>
○ ‘전국’의 의미는 48개 관측지점의 자료를 평균한 것임. 예를 들어 금년 12월의 강수량 32.4mm의 의미는 48개 지점의 12월 강수량을 모두 합하여 48로 나눈 값임.
○ ‘제주도지방’의 의미는 ‘제주, 서귀포’ 2지점 자료를 평균한 것임.
○ 평년값은 1981년부터 2010년까지 30년 평균값임.
○ 전국 평균은 1981~2010년 기간 동안 이전 없이 관측이 지속된 지점 48개를 평균한 것임 (* 강릉 105지점의 자료임)
2 /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