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청 |
보도자료 |
|
보도시점 |
2023. 7. 26.(수) 11:40 |
배포 |
2023. 7. 26.(수) 11:40 |
기록적인 장마 사실상 마무리, 국지성 집중호우 대비는 계속... |
26일(수) 전국 장맛비 종료 이례적인 역대급 장마, 연강수량의 3분의 1이 엿새 만에 쏟아지기도 |
□ 2023년 전라‧경상‧충청권 중심 장마철 강수량 극값 기록 - 전국 거의 동시 시작/종료, 평년과 비슷한 장마 기간 - 전국 장마철 강수량 및 강우강도 고려 시 역대 1위 (648.7mm, 30.6mm/day) ※ 충청이남 지역 극값 경신: 전라권 1위, 경상권 2위, 충청권 3위 □ 평균적으로 장마철 이후에도 여름철 강수는 계속 유지되는 경향 - 장마 종료 후에도 국지성 집중호우에 대한 철저한 대비 필요 |
□ 장마 현황
○ 올해는 6월 25일 제주도와 남부지방, 26일 중부지방에 장마가 시작*되었고, 7월 25일 제주도, 26일 남부지방과 중부지방에 내린 비를 마지막으로 장마가 종료된 것으로 분석됨**
* 평년 장마철 시작일/종료일/기간
(중부) 6.25./7.26./31.5일, (남부) 6.23./7.24./31.4일, (제주) 6.19./7.20./32.4일
** 최종 장마철 시종일은 사후분석을 통해 9월 발표 예정이며, 현재 분석과 다를 수 있음
- 올해 장마 기간은 전국(중부, 남부, 제주도) 31일로 평년과 비슷하였고, 강수량은 648.7mm*로 전국 관측망이 확충된 1973년 이래 세 번째**로 많았고,
- 역대 1위(2006년)와 2위(2020년)의 장마기간이 길고 강수일수가 많았던 점을 고려하면, 장마기간 중 강수일수 대비 강수량(강우강도)은 올해가 두 해보다 많아 역대급으로 강하고 많았던 것으로 기록됨
* 장마 시작일(남부‧제주 6.25./중부 6.26.)~7.25.(화)까지의 강수 통계임에 유의
** 장마철 전국 평균 강수량 순위: (1위) 2006년 704.0mm, (2위) 2020년 701.4mm
2006년 |
2020년 |
2023년 (~7.25.) |
|
강수량(A) |
704.0mm |
701.4mm |
648.7mm |
장마기간 (중부/남부) |
39일/39일 |
54일/38일 |
31일/31일 |
강수일수(B) |
27.0일 |
28.7일 |
21.2일 |
강수일수 대비 강수량(A/B) |
26.1mm |
24.4mm |
30.6mm |
< 장마철 강수량, 장마기간, 강수일수 비교 >
□ 장마 특성
○ 전반부와 후반부의 뚜렷한 강수 특성 차이
- 전반부(6월 25일 ~ 7월 12일)에는 정체전선 상에서 발달한 중규모 저기압과 대기불안정에 의한 잦은 강한 비가 내렸던 반면,
- 후반부(7월 13일 ~ 7월 25일)에는 중부와 남부를 오르내리는 정체전선에 의해 지속성 있는 강하고 많은 비가 내렸음
※ 전/후반부의 누적강수량(7.25.기준)은 각각 315.4mm/333.3mm로 평년 장마철 전체기간 강수량(356.7mm)의 약 90%가 전/후반부에 각각 내린 것으로 분석됨
○ 충청 이남에 집중된 강수
|
|
< 2023년 장마철(~7.25.) 전국 강수량 분포도(좌) 및 평년비* 분포도(우) > * 평년 장마철 강수량 대비 올해 장마철 강수량 비율(%) |
- 느리게 남북으로 진동하며 정체전선이 머물렀던(특히, 7.13.~7.18.) 충청 이남을 중심으로 최고 1,000mm가 넘는 매우 많은 장맛비가 집중되면서, 전라권은 역대 1위, 경상권은 2위, 충청권은 3위 장마철 강수량 극값을 경신하였으며(붙임 참고, 7.24.기준),
※ 장마철 강수량 평년비(7.24.기준): 충청권 213.2%, 경상권 178.2%, 전라권 238.4%
지점번호 |
지점명 |
행정구역 |
일자/강수량(mm) |
지점번호 |
지점명 |
행정구역 |
일자/강수량(mm) |
||
140 |
군산 |
군산 |
2023- 07- 14 |
372.8 |
644 |
연무 |
논산 |
2023- 07- 14 |
326.0 |
273 |
문경 |
문경 |
2023- 07- 14 |
189.8 |
691 |
정산 |
청양 |
2023- 07- 15 |
293.5 |
496 |
세종금남 |
세종 |
2023- 07- 15 |
238.0 |
702 |
익산 |
익산 |
2023- 07- 14 |
249.6 |
603 |
괴산 |
괴산 |
2023- 07- 15 |
203.0 |
733 |
함라 |
익산 |
2023- 07- 14 |
388.0 |
611 |
세종연서 |
세종 |
2023- 07- 15 |
259.0 |
734 |
완주 |
완주 |
2023- 07- 14 |
290.6 |
612 |
공주 |
공주 |
2023- 07- 15 |
298.0 |
736 |
진봉 |
김제 |
2023- 07- 14 |
207.0 |
618 |
청양 |
청양 |
2023- 07- 14 |
203.5 |
763 |
여산 |
익산 |
2023- 07- 14 |
358.0 |
624 |
상당 |
청주 |
2023- 07- 15 |
275.5 |
818 |
마성 |
문경 |
2023- 07- 15 |
194.5 |
625 |
속리산 |
보은 |
2023- 07- 14 |
223.5 |
838 |
동로 |
문경 |
2023- 07- 14 |
238.5 |
636 |
계룡 |
계룡 |
2023- 07- 14 |
300.5 |
864 |
완산 |
전주 |
2023- 07- 14 |
239.5 |
640 |
청천 |
괴산 |
2023- 07- 15 |
219.0 |
977 |
오창가곡 |
청주 |
2023- 07- 15 |
222.3 |
< 2023년 장마철 일강수량 1위 극값 경신지점 >
- 올해 장마기간 중 일강수량 역대 1위를 기록한 지점은 괴산, 논산, 문경, 청양, 청주를 포함한 총 22곳*으로, 모두 충청권, 전라권, 경북북부에 위치하였음 * 관측 개시 이후부터 10년 이상 연속적으로 관측한 지점들 중 순위 산출
○ 엿새 만에 연평균강수량의 3분의 1 기록
- 정체전선이 중부와 남부를 오르내리며 강하고 많은 비를 내렸던 7월 13~18일 엿새 동안 충북, 충남, 전북에서는 연평균강수량의 약 1/3이 기록되었음. 특히, 충청, 전라, 경북에서 동 기간 가장 많은 강수량을 기록한 지점들의 경우 누적 강수량이 522.5~665.0mm에 달함
연평균 |
7.13.~18. 누적강수량(B) |
연강수량 대비 비율(B/A) |
7.13.~18. 권역내 최대누적강수량(C) |
||
수도권 |
1318.6mm |
193.5mm |
14.7% |
서운(안성) |
373.0mm |
강원도 |
1377.1mm |
116.8mm |
8.5% |
신림(원주) |
354.5mm |
충북 |
1261.3mm |
390.5mm |
31.0% |
가덕(청주) |
549.0mm |
충남 |
1271.7mm |
425.1mm |
33.4% |
정산(청양) |
665.0mm |
전북 |
1326.8mm |
429.3mm |
32.4% |
함라(익산) |
596.5mm |
전남 |
1390.3mm |
241.2mm |
17.3% |
성삼재(구례) |
582.5mm |
경북 |
1148.0mm |
231.7mm |
20.2% |
동로(문경) |
522.5mm |
경남 |
1516.0mm |
294.3mm |
19.4% |
부산 |
439.2mm |
제주 |
1676.2mm |
39.3mm |
19.2% |
삼각봉 |
848.5mm |
< 연평균강수량 대비 7월 13~18일 누적 강수량 비율 >
- 장마철 일평균 강수량* 대비 1.9~3.5배의 많은 강수가 집중되었으며, 일강수량 1위 극값 22곳 모두 7월 14일과 15일 중 기록됨
* 1973~2022 기간 동안 장마철 평균 일 강수량은 356.7/17.3= 20.6mm
□ 강하고 많았던 장맛비의 원인
< 기상학적 분석 >
○ (남쪽) 평년보다 강했던 수증기 공급
- 평년보다 북서쪽으로 강하게 확장한 북태평양고기압의 가장자리(기단의 경계)를 따라 남~남서쪽으로부터 강수의 재료가 되는 고온다습한 공기가 장마 초입부터 지속적으로 강하게 유입되었음
○ (북쪽) 지속적인 북쪽의 건조공기 유입
|
|
- 장마 전반부(6월 25일 ~ 7월 12일)
: 우랄산맥과 베링해를 중심으로 기압능이 강하게 발달하고, 우리나라 북쪽으로는 상층 절리저기압이 장기간 정체함에 따라,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절리저기압 가장자리를 따라 주기적으로 건조공기가 남하하여 잦은 대기 불안정과 중규모 저기압의 발달을 유도하였음
- 장마 후반부(7월 13일 ~ 7월 25일)
: 인도 북서쪽과 필리핀해 부근의 활발한 대류로 인해 티벳 부근의 상층 고압부(티벳고기압)가 강화되었고, 이 티벳고기압의 동쪽 사면을 따라 우리나라 북서쪽으로부터 지속적으로 강하게 남하하는 건조공기가 남서쪽에서 유입되는 고온의 수증기와 강하게 충돌 및 정체함에 따라 정체전선이 활성화되었음
< 기후학적 특성(배경) >
○ (전지구적 고온 현상) 세계기상기구(WMO)에서는 전지구기온이 평년(1991년~2020년 평균)보다 0.5℃ 높은 6월 기온, 7월에 기록된 사상 최고 기온* 등의 고온 현상은 지구온난화 경향으로 분석된다고 발표하였음
* 세계 평균 기온 7월 4일(17.23℃), 7월 7일(17.24℃)
→ 기존 2016.8.16.(16.94℃)보다 0.3도 높은 기록
○ (북태평양 고수온) 엘니뇨 현상에 의한 동태평양 수온뿐 아니라 지구 온난화로 인해 서태평양 부근의 해수면 온도까지 전체적으로 상승*하는 추세를 보임에 따라 대기 중으로 공급되는 열과 수증기량이 증가하였음
* 평년 대비 열대동태평양은 +3~4℃, 열대서태평양은 +1℃ 높은 해수면 온도가 높은 상태(UKMO 자료기준)
○ (수증기 다량 유입) 동아시아 주변 고온 현상과 북서태평양 고수온 현상이 맞물리며 대기 중 수증기량이 풍부한 상황에서 평년보다 북서쪽으로 확장한 북태평양고기압 가장자리를 따라 수증기가 지속적으로 다량 유입되어 호우 가능성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됨
□ 이후 기압계 전망
○ (태풍영향) 제5호 태풍 독수리는 중국 남동부 해안에 상륙 후 북진하며 약화될 것으로 예상되어 우리나라에 직접적인 영향은 없겠고, 한반도 주변은 북태평양고기압의 영향권에 들겠음
- 제5호 태풍 독수리는 27일(목)경 대만 남쪽 해상을 지나 28일(금)경 중국 남동부 해안으로 상륙 예상
○ (강수형태 변화) 북태평양고기압 가장자리에서 형성되었던 정체전선에 의한 비구름의 영향이 끝나고, 국지적 대기불안정에 의한 강한 소낙성 강수 형태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됨
- 정체전선은 북태평양고기압의 확장과 함께 북한으로 북상함에 따라 당분간 우리나라는 폭염과 함께 국지적 대기 불안정에 의해 돌풍과 천둥‧번개를 동반한 강한 소낙성 강수가 내리는 날이 많을 것으로 전망됨
□ 유희동 기상청장은 “이번 장마는 평년 장마철에 비해 장마기간은 비슷했던 반면 이례적으로 강하고 많은 강수량으로 인해 충청 이남 지역을 중심으로 큰 피해를 가져왔습니다. 앞으로도 기후변화로 인한 극값의 경신 주기는 점점 더 짧아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철저한 대비가 요구됩니다.”라며 “최근 우리나라 여름철 강수패턴이 변화하면서 장마가 종료된 이후에도 태풍 및 국지성 집중호우 등으로 인해 호우특보가 발표될 수 있는 강한 강수가 나타날 수 있으니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라고 밝혔다.
□ 붙임 2023년 장마철 강수량 및 평년비
담당 부서 |
예보국 |
책임자 |
팀 장 |
임윤진 |
(02- 2181- 0633) |
재해기상대응팀 |
담당자 |
전문관 |
박정민 |
(02- 2181- 0939) |
|
<공동> |
기후과학국 |
책임자 |
과 장 |
김정식 |
(042- 481- 7420) |
기후변화감시과 |
담당자 |
주무관 |
황호성 |
(042- 481- 7426) |
|
<공동> |
기상서비스진흥국 |
책임자 |
센터장 |
김진석 |
(042- 481- 7470) |
국가기후데이터센터 |
담당자 |
사무관 |
이은주 |
(042- 481- 7469) |
붙임 |
2023년 장마철(~7.24.) 강수량 및 평년비 |
* 권역별 평년(1991∼2020) 장마철 대비 강수량 및 강수일수 비율은 권역내 지점별 비율 산출 후, 평균함. * 2023년 강수량은 장마 시작일(남부‧제주 6.25./중부 6.26.)~7.24.까지의 강수 통계임에 유의 ※ 중부(수도권, 강원권, 충청권) / 남부(전라권, 경상권) ※ 수도권(서울, 인천, 수원, 강화, 양평, 이천) |
||||||||||||||||||||||||||||||||||||||||||||||||||||||||||||||||||||||||||||||||||||||||||||||||||||||||||||||||||||||||||||||||||||||||||||||||||||||||
<2023년 장마철 권역별 강수량 및 강수일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