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도자료 |
|
보도시점 |
2025. 3. 6.(목) 10:00 |
즉시보도 |
[2024/25년 겨울철 전북특별자치도 기후특성] 지난 겨울 폭설과 롤러코스트급 기온 변동, 한파로 추웠다 |
- 평균기온은 평년과 같은 0.4 ℃, 1월에 큰 기온 변동, 2월 두 차례 추위 지속 - 전주 눈 일수 34.0일로 평년보다 13.5일 많았고(역대 2위), 적설량도 76.2cm로 평년보다 42.6cm 많았음(역대 3위) |
□ 전주기상지청(지청장 신언성)은 2024/25년 겨울철 전북특별자치도(전북)* 기후 특성과 원인에 대한 분석 결과를 발표하였다.
* 전북특별자치도 평균값은 1991년 이후 연속적으로 존재하는 7개(전주,군산,부안,임실,정읍,남원,장수) 지점의 관측값 사용함
□ [기온] 겨울철 전북 평균기온은 0.4 ℃로 평년*(0.4 ℃)과 같았으나, 작년(3.0 ℃, 1973년** 이래 1위)보다 2.6 ℃ 낮았다. 2024년 12월부터 2025년 1월 초까지 대체로 평년 수준의 기온을 보이다가, 이후 기온 변동 폭이 크게 나타났으며, 2월에는 일주일 이상 지속된 추위가 두 차례 발생하였다. <붙임 1, 5 참고>
* 10년 주기로 산출되는 기후 기준값으로 1991~2020년의 평균값임
** 역대 순위는 기상관측망을 전국적으로 대폭 확충한 시기인 1973년부터 2024년까지 총 52년 중의 순위임
○ (1월 큰 기온 변동) 북극진동*으로 인해 10일 전후 대륙고기압과 상층 찬 기압골 영향으로 한파가 발생했으나, 13일 이후에는 따뜻한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을 자주 받으면서 기온이 크게 올랐다. <붙임 2 참고>
※ 2025년 1월 평균기온 최저일/최고일: 1월 9일(- 8.1℃)/1월 26일(3.6℃)
* 북극진동은 북극에 존재하는 찬 공기의 소용돌이가 주기적으로 강약을 되풀이하는 현상으로 양의 북극진동일 때는 북극의 찬 공기가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에 남하하기 어렵고, 음의 북극진동일 때는 남하하기 쉬움
- 1 -
○ (2월 이례적 추위) 북대서양 폭풍 저기압*의 북극 유입으로 인한 우랄블로킹** 발달 등의 영향으로, 봄이 온다는 입춘(3일부터 10일까지), 얼음이 녹는다는 우수(18일부터 24일까지)에 추위가 각각 일주일 이상 지속되었다. 그 결과 2월 평균기온은 –0.7 ℃로 평년(1.0 ℃)보다 1.7 ℃ 낮았고(하위 14위), 최근 10년(2016~2025년) 중 가장 낮았다. <붙임 3 참고>
* 북대서양(그린란드 남쪽 해양)에서 경압불안정(해수면온도의 큰 남북차이, 강한 바람 등으로 인해 대기가 불안정해지는 상태)이 커져 강하게 발달한 저기압(중심기압 900~950hPa로 발달)
** 우랄산맥의‘우랄’과 막는다(bloking)는‘블로킹’이 합쳐져 만들어진 용어로 우랄산맥에서 공기의 흐름이 막히면서 생기는 현상을 말함
□ [강수량] 겨울철 전북 강수량은 86.9 mm로 평년(105.2 mm)과 비슷하였다(1973년 이래 32위). <붙임 1, 5 참고>
○ (잦은 눈) 대륙고기압 확장과 상층 찬 기압골 영향으로 서해상에서 해기차(바닷물과 대기의 온도 차)에 의해 발달한 눈구름이 유입되어 서쪽 지역을 중심으로 자주 눈이 내렸으며, 눈은 주로 기온이 낮았던 12월 하순(12월 27~28일), 1월 전반부(1월 5~9일), 1월말∼2월 전반부(1월 27~29일, 2월 3~7일)에 집중되었다. 전주 눈 일수는 34.0일*로 평년(20.5일)보다 13.5일 많았고(역대 2위), 내린 눈의 양**도 76.2 cm로 평년(33.6 cm)보다 많았다(역대 3위). <붙임 4 참고>
※ 겨울철 전주 눈 일수 순위: 1위 1985년 35.0일, 2위 2024년 34.0일, 3위 2021년 30.0일
※ 겨울철 전주 내린 눈의 양 순위: 1위 1980년 102.4㎝, 2위 1982년 77.6㎝, 3위 2024년 76.2㎝
※ 2024/25년 겨울철 전주 월별 일최심신적설***이 가장 많았던 날:
지점명 |
2024년 12월 |
2025년 1월 |
2025년 2월 |
|||
날짜 |
값(cm) |
날짜 |
값(cm) |
날짜 |
값(cm) |
|
전주 |
2024.12.27. |
3.7 |
2025.01.28. |
14.2 |
2025.02.07. |
7.8 |
* 전북특별자치도 목측 통계 산출 지점은 전주 1곳
** 3시간마다 관측한 새로 내린 눈의 높이(3시간 신적설)를 겨울철 세 달(12~2월) 합계한 값임
*** 0시부터 내린 눈을 새로이 관측하여 하루 중에 가장 많이 쌓여 있었던 시간에 관측한 눈의 높이
○ (대설) 설 연휴 기간 중(1월 27~29일) 전북 전역에 대설 특보가 발표 되는 등 우리 지역에 많은 눈이 내렸다.
※ 2025년 1월 27~29일 적설*: 임실 37.9㎝, 진안 34.6㎝, 장수 26.3㎝, 전주 21.2 cm, 복흥(순창) 26.4㎝, 구이(완주) 24.4㎝, 뱀사골(남원) 22.3㎝
* 눈이 내려 쌓인 기간에 관계없이 관측시에 실제 지면에 쌓여 있는 눈의 깊이
- 2 -
□ 신언성 전주기상지청장은 “지난 연휴 기간 비와 눈이 내려 건조한 대기 상태가 일부 해소되었으나, 봄철에는 산불 발생 위험이 커질 수 있어 철저한 대비가 필요합니다.”라며, “지난 겨울철에도 1월 고온과 늦겨울 추위 등 변화무쌍한 날씨가 나타났고, 이러한 기후 변동성은 더욱 심화 될 수 있습니다. 전주기상지청은 이상기후 현상을 면밀히 감시하고 신속한 정보를 제공하여 도민의 안전과 생명을 지키는 데 최선을 다하겠습니다.”라고 밝혔다.
□ 붙임
1. 2024/25년 겨울철 전북자치도 기온‧강수량 분포도 및 일별 경향
2. 2025년 1월 큰 기온 변동 원인 분석
3. 2025년 2월 추위 발생 원인 분석
4. 2025년 1월 서쪽 지역 많은 눈 발생 모식도
5. 겨울철 기온, 강수량, 강수일수, 눈일수 등 순위 정보
6. 2024/25년 겨울철 전북자치도의 기상자료
7. 겨울철 지점별 계절통계값 순위 현황(5순위 이내)
담당 부서 |
전주기상지청 |
책임자 |
과 장 |
이명환 |
(063- 249- 3220) |
기후서비스과 |
담당자 |
주무관 |
공수현 |
(063- 249- 3228) |
- 3 -
붙임 1 |
2024/25년 겨울철 전북자치도 기온·강수량 분포도 및 일별 경향 |
|
|
【그림 1】 2024/25년 겨울철 전북 평균기온 및 평년대비 편차 분포도(상) 일별 시계열(하) |
|
|
【그림 2】 2024/25년 겨울철 전북 강수량 및 퍼센타일 분포도(상) 일별 시계열(하) |
- 4 -
붙임 2 |
2025년 1월 큰 기온 변동 원인 분석 |
□ [1월 큰 기온 변동] 1월 초 평년 수준이었던 기온이 10일 전후 대륙고기압과 상층 찬 기압골 영향으로 떨어지면서 한파가 발생했으나, 13일 이후에는 대륙고기압이 약화되고 따뜻한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을 자주 받으면서 기온이 크게 올랐고, 이후 28일부터는 다시 대륙고기압이 강화되면서 기온이 떨어졌다(그림 1).
|
【그림 1】 2024년 12월~2025년 2월 일별 평균기온 시계열 |
○ (기후학적 원인 분석) 1월 기온 변화는 북극진동의 영향이 컸다. 겨울철 음의 북극진동이 강해지면 우리나라는 추워지고, 양의 북극진동이 강해지면 반대로 따뜻해지는데, 1월 상순 음의 북극진동으로 고위도의 찬 공기가 동아시아로 남하하면서 찬 대륙고기압이 발달하여 기온이 낮았고, 중순 이후 양의 북극진동으로 전환되며 기온이 올라 북극진동의 변화와 일치하는 기온 변동을 보였다(그림 2, 3).
|
【그림 2】 2024년 12월~2025년 2월 일별 북극진동지수(Arctic Oscillation Index, AOI) * 출처: 미국 국립해양대기청(NOAA) |
- 5 -
|
|
【그림 3】 북극진동*에 따른 우리나라 기온 영향 모식도 * 북극진동은 북극에 존재하는 찬 공기의 소용돌이가 주기적으로 강약을 되풀이하는 현상으로 양(음)의 북극진동일 때는 북극의 찬 공기가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에 남하하기 어려움(쉬움) |
- 6 -
붙임 3 |
2025년 2월 추위 발생 원인 분석 |
□ [2월 추위 지속] 2월 중반에 대륙고기압이 약화되고 따뜻한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을 받아 추위가 일시적으로 주춤하였으나, 2월 4일부터 10일까지, 18일부터 24일까지 평년보다 낮은 기온이 두 차례 모두 일주일 가까이 지속되었다.
○ (기압계 현황) 1월 중순부터 이어진 양의 북극진동은 1월 말에 약화되어 2월 7일경 음의 북극진동으로 전환되었는데, 이 음의 북극진동은 중순에 매우 강하게 발달하여, 북극의 찬 공기가 중위도로 남하하기 쉬운 기압계 패턴을 보였다. 또한, 2월에는 우랄 지역, 바렌츠- 카라 해, 오호츠크해∼베링해 주변에 폭넓게 블로킹이 발달하면서 기압계 흐름이 정체되어 우리나라로 강한 저기압성 흐름이 지속적으로 유입되었다(그림 1).
|
【그림 1】 2025년 2월 4일~10일, 18~24일 상층(500hPa) 지위고도 편차 분포도 |
○ (기후학적 원인 분석) 2월 초에 북대서양에서 강하게 발달한 저기압(폭풍 저기압; Atlantic windstorm)이 북극 지역으로 유입(그림 2)되면서 북극 주변의 기온을 크게 상승시켰고, 해빙 면적을 감소시켰다(그림 3). 폭풍 저기압 유입으로 인한 북극 기온 상승은 한 달 이상 지속될 수 있고, 북극과 중위도 간의 기온 차이를 약화시켜 유럽~우랄 부근에 블로킹을 발달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북대서양 폭풍 저기압이 북극으로 유입되면서
- 7 -
우랄 블로킹을 발달시켰고, 입춘(2월 3일)부터 일주일 이상 한파가 지속된 것에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2월 중순경에는 블로킹이 약해지고 따뜻한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을 받으면서 일시적으로 기온이 회복되었으나, 음의 북극진동이 강해지고 시베리아 지역에 블로킹이 다시 발달하면서 18일부터 다시 기온이 크게 낮아졌다.
|
【그림 2】 2025년 2월 1일 해면기압 및 하층(850hPa) 바람(남북방향*) 편차 분포도 (*빨간색: 남풍 편차역, 파란색: 북풍 편차역) |
|
|
【그림 3】 2024년 11월~2025년 2월 일별 북극(북위 65°N 이상) 지상기온(NOAA NCEP 자료) 편차 및 북극 해빙 면적 변화 시계열(출처: 미국립빙설센터) |
- 8 -
붙임 4 |
2025년 1월 서쪽 지역 많은 눈 발생 모식도 |
□ 2025년 1월 전반부(3~16일)와 말경(24~31일)에 대륙고기압이 확장하고 오호츠크해 부근으로 블로킹이 발달하면서 우리나라 북서쪽으로 찬 공기가 유입되어 해기차(바닷물과 대기의 온도 차)에 의해 발달한 눈구름으로 서쪽 지역을 중심으로 많은 눈이 내렸고, 대기 상층(고도 약 5.5km 상공)에서 영하 30℃ 이하의 찬 공기를 동반한 기압골이 정체하여 대기불안정을 유도해 눈 구름을 더욱 발달시켰다.(그림 1)
|
【그림 1】 서쪽지방 많은 눈 모식도 |
- 9 -
붙임 5 |
겨울철 기온, 강수량, 눈일수 등 순위 정보 |
요소 순위 |
평균기온(℃) |
평균 최고기온(℃) |
평균 최저기온(℃) |
강수량(mm) |
강수일수(일) |
|||||
연도 |
값 |
연도 |
값 |
연도 |
값 |
연도 |
값 |
연도 |
값 |
|
1 |
2023 |
3.0 |
2019 |
8.1 |
2023 |
- 1.1 |
2023 |
301.0 |
2023 |
40.4 |
2 |
2019 |
2.8 |
2006 |
8.0 |
2019 |
- 1.6 |
1988 |
231.5 |
1982 |
36.2 |
3 |
1978 |
2.2 |
1978 |
7.8 |
1988 |
- 2.4 |
1986 |
192.0 |
2014 |
36.0 |
4 |
2006 |
1.9 |
2023 |
7.7 |
1978 |
- 2.6 |
2009 |
184.1 |
1984 |
35.8 |
5 |
1988 |
1.8 |
2008 |
7.2 |
1989 |
- 2.7 |
2019 |
172.2 |
1990 |
35.1 |
6 |
1997 |
1.5 |
1991 |
7.0 |
2006 |
- 2.9 |
1975 |
171.4 |
1989 |
34.7 |
7 |
2008 |
1.4 |
1997 |
6.9 |
2015 |
- 3.1 |
2000 |
167.6 |
1988 |
34.3 |
8 |
1989 |
1.4 |
1988 |
6.9 |
1991 |
- 3.1 |
1989 |
157.5 |
2024 |
34.1 |
9 |
2001 |
1.3 |
2016 |
6.8 |
1986 |
- 3.1 |
1980 |
151.1 |
1985 |
33.7 |
10 |
1991 |
1.3 |
2013 |
6.8 |
1997 |
- 3.2 |
2015 |
148.2 |
1980 |
33.7 |
11 |
2015 |
1.2 |
2001 |
6.8 |
2001 |
- 3.3 |
1978 |
141.5 |
2015 |
33.6 |
12 |
2013 |
1.2 |
1998 |
6.8 |
2013 |
- 3.8 |
2002 |
139.9 |
2012 |
32.7 |
13 |
1986 |
1.2 |
2020 |
6.7 |
2008 |
- 3.8 |
2001 |
138.3 |
2009 |
32.1 |
14 |
2020 |
1.1 |
2003 |
6.5 |
2020 |
- 4.0 |
1992 |
137.5 |
1992 |
31.9 |
15 |
2016 |
1.1 |
2018 |
6.4 |
2016 |
- 4.0 |
2012 |
136.6 |
1979 |
31.5 |
16 |
1998 |
1.0 |
1989 |
6.3 |
1998 |
- 4.0 |
1982 |
126.4 |
1997 |
31.4 |
17 |
2018 |
0.7 |
1986 |
6.3 |
1992 |
- 4.0 |
1996 |
122.3 |
1975 |
30.5 |
18 |
1992 |
0.7 |
1996 |
6.2 |
1977 |
- 4.0 |
1997 |
121.5 |
1977 |
30.0 |
19 |
1977 |
0.7 |
1994 |
6.1 |
2024 |
- 4.1 |
2014 |
117.6 |
2020 |
29.1 |
20 |
2003 |
0.6 |
1977 |
6.1 |
2018 |
- 4.1 |
2016 |
116.3 |
2019 |
29.1 |
21 |
2024 |
0.4 |
2015 |
6.0 |
1974 |
- 4.1 |
2005 |
114.9 |
2016 |
29.1 |
22 |
2002 |
0.4 |
1987 |
6.0 |
2014 |
- 4.2 |
1990 |
113.6 |
1986 |
28.5 |
23 |
2021 |
0.3 |
2021 |
5.9 |
2007 |
- 4.3 |
2006 |
111.2 |
1991 |
28.3 |
24 |
1994 |
0.3 |
1992 |
5.9 |
2003 |
- 4.3 |
1977 |
110.5 |
2000 |
28.1 |
25 |
1987 |
0.3 |
2000 |
5.8 |
2002 |
- 4.3 |
2010 |
109.1 |
2002 |
28.0 |
26 |
2014 |
0.2 |
2022 |
5.7 |
2009 |
- 4.4 |
1973 |
107.7 |
1973 |
27.8 |
27 |
2009 |
0.2 |
1993 |
5.7 |
1990 |
- 4.4 |
1979 |
102.8 |
1999 |
26.9 |
28 |
2007 |
0.1 |
2002 |
5.6 |
1987 |
- 4.5 |
2017 |
99.9 |
1974 |
26.8 |
29 |
2000 |
0.1 |
2024 |
5.5 |
2004 |
- 4.6 |
1984 |
92.8 |
2011 |
26.7 |
30 |
1975 |
0.1 |
1990 |
5.5 |
1975 |
- 4.6 |
2007 |
89.8 |
2010 |
25.6 |
31 |
2022 |
0.0 |
1975 |
5.5 |
2021 |
- 4.7 |
1994 |
89.1 |
2008 |
25.4 |
32 |
2004 |
0.0 |
2007 |
5.4 |
1994 |
- 4.7 |
2024 |
86.9 |
2017 |
25.3 |
33 |
1990 |
0.0 |
1981 |
5.3 |
1982 |
- 4.8 |
1991 |
86.9 |
2003 |
25.1 |
34 |
1974 |
0.0 |
2009 |
5.2 |
2000 |
- 4.9 |
2008 |
86.4 |
2004 |
24.9 |
35 |
1993 |
- 0.1 |
2004 |
5.2 |
1999 |
- 5.0 |
2004 |
84.3 |
2022 |
24.7 |
36 |
1999 |
- 0.2 |
2014 |
5.1 |
1993 |
- 5.0 |
1985 |
83.5 |
2005 |
24.4 |
37 |
1996 |
- 0.3 |
1999 |
5.1 |
1984 |
- 5.0 |
2018 |
80.9 |
2001 |
24.4 |
38 |
1982 |
- 0.3 |
1979 |
5.1 |
2022 |
- 5.1 |
1993 |
80.3 |
1978 |
24.3 |
39 |
1979 |
- 0.3 |
1982 |
5.0 |
1979 |
- 5.1 |
2022 |
80.2 |
1983 |
23.7 |
40 |
1981 |
- 0.4 |
1995 |
4.8 |
1981 |
- 5.3 |
2020 |
80.1 |
2007 |
23.3 |
41 |
2005 |
- 0.6 |
1974 |
4.6 |
2005 |
- 5.4 |
1974 |
78.0 |
1994 |
22.7 |
42 |
1984 |
- 0.6 |
2005 |
4.5 |
2011 |
- 5.7 |
2003 |
74.8 |
1995 |
22.6 |
43 |
2011 |
- 1.0 |
1984 |
4.5 |
1996 |
- 5.7 |
1998 |
68.4 |
1993 |
22.3 |
44 |
1973 |
- 1.0 |
2010 |
4.3 |
1973 |
- 5.7 |
1976 |
67.1 |
2021 |
21.9 |
45 |
2017 |
- 1.1 |
1973 |
4.3 |
2017 |
- 5.9 |
1995 |
60.5 |
1998 |
21.7 |
46 |
1995 |
- 1.1 |
2017 |
4.2 |
1995 |
- 6.1 |
1999 |
58.9 |
1981 |
21.2 |
47 |
2012 |
- 1.5 |
2011 |
4.1 |
2012 |
- 6.5 |
1981 |
53.9 |
1987 |
20.7 |
48 |
2010 |
- 1.6 |
1976 |
3.8 |
1976 |
- 6.5 |
1983 |
44.8 |
2006 |
20.6 |
49 |
1976 |
- 1.7 |
2012 |
3.6 |
1985 |
- 6.7 |
2011 |
41.2 |
1996 |
20.6 |
50 |
1985 |
- 2.1 |
1983 |
3.4 |
2010 |
- 7.0 |
2013 |
39.6 |
1976 |
20.5 |
51 |
1983 |
- 2.1 |
1985 |
3.2 |
1983 |
- 7.0 |
1987 |
33.1 |
2013 |
19.9 |
52 |
1980 |
- 2.4 |
1980 |
2.8 |
1980 |
- 7.3 |
2021 |
22.6 |
2018 |
19.1 |
- 10 -
요소 순위 |
상대습도(%) |
전주 3시간신적설(cm) |
전주 눈일수(일) |
|||
연도 |
값 |
연도 |
값 |
연도 |
값 |
|
1 |
1988 |
78 |
1980 |
102.4 |
1985 |
35 |
2 |
1993 |
77 |
1982 |
77.6 |
2024 |
34 |
3 |
1989 |
77 |
2024 |
76.2 |
2021 |
30 |
4 |
1994 |
77 |
1993 |
69.6 |
1984 |
30 |
5 |
1984 |
76 |
1996 |
68.4 |
1980 |
30 |
6 |
2023 |
76 |
2002 |
67.4 |
2017 |
27 |
7 |
1975 |
76 |
2005 |
62.4 |
2015 |
27 |
8 |
1990 |
76 |
1997 |
58.3 |
2010 |
27 |
9 |
1982 |
76 |
1975 |
57 |
2009 |
26 |
10 |
1980 |
75 |
2010 |
55.1 |
2003 |
26 |
11 |
1995 |
75 |
1984 |
50.5 |
1983 |
26 |
12 |
1991 |
75 |
1985 |
48.4 |
2020 |
25 |
13 |
1997 |
75 |
1992 |
47.8 |
2012 |
25 |
14 |
1977 |
75 |
2015 |
46.8 |
2000 |
24 |
15 |
1974 |
74 |
2012 |
46.4 |
1997 |
24 |
16 |
1992 |
73 |
1977 |
46.1 |
1995 |
24 |
17 |
1978 |
73 |
2014 |
41.6 |
1990 |
24 |
18 |
2019 |
73 |
1979 |
38.2 |
1982 |
24 |
19 |
1986 |
73 |
2020 |
37.6 |
2011 |
23 |
20 |
1979 |
73 |
1978 |
37.5 |
2005 |
23 |
21 |
1985 |
73 |
1990 |
36.4 |
1974 |
23 |
22 |
2015 |
73 |
2006 |
36.2 |
1973 |
23 |
23 |
1987 |
73 |
1981 |
36 |
2008 |
22 |
24 |
1973 |
73 |
2003 |
34.5 |
2001 |
21 |
25 |
2006 |
72 |
1973 |
34.3 |
1994 |
21 |
26 |
2014 |
72 |
2009 |
33.6 |
1979 |
21 |
27 |
1983 |
72 |
1989 |
33.5 |
1999 |
20 |
28 |
1996 |
72 |
2022 |
33.4 |
1993 |
20 |
29 |
2024 |
71 |
2017 |
32.5 |
1975 |
20 |
30 |
1976 |
71 |
1974 |
31.6 |
2004 |
19 |
31 |
2009 |
71 |
1986 |
30.2 |
2022 |
18 |
32 |
1981 |
71 |
2001 |
28.1 |
2014 |
18 |
33 |
2007 |
70 |
2011 |
27.6 |
1996 |
18 |
34 |
1998 |
70 |
1983 |
25.5 |
1981 |
18 |
35 |
2002 |
70 |
1995 |
23.2 |
1977 |
18 |
36 |
2010 |
70 |
2004 |
21.9 |
1998 |
17 |
37 |
2001 |
70 |
1999 |
21.8 |
1987 |
17 |
38 |
1999 |
70 |
1991 |
21.2 |
2006 |
16 |
39 |
2003 |
69 |
2007 |
21.1 |
2002 |
16 |
40 |
2012 |
69 |
1976 |
20.1 |
1991 |
16 |
41 |
2005 |
69 |
2008 |
19.9 |
1989 |
16 |
42 |
2016 |
69 |
1987 |
19.8 |
1986 |
16 |
43 |
2020 |
69 |
1988 |
19.2 |
1976 |
16 |
44 |
2008 |
69 |
2013 |
17.5 |
2019 |
15 |
45 |
2022 |
69 |
1998 |
16.9 |
2016 |
15 |
46 |
2000 |
68 |
1994 |
16.8 |
2007 |
15 |
47 |
2013 |
67 |
2019 |
11.9 |
1992 |
15 |
48 |
2018 |
67 |
2023 |
11.8 |
2023 |
14 |
49 |
2004 |
66 |
2000 |
10.1 |
2018 |
14 |
50 |
2011 |
66 |
2021 |
9.8 |
2013 |
13 |
51 |
2021 |
65 |
2016 |
6.5 |
1988 |
13 |
52 |
2017 |
65 |
2018 |
5.8 |
1978 |
10 |
- 11 -
붙임 6 |
2024/25년 겨울철 전북자치도의 기상자료 |
□ 평균기온, 평균 최고기온, 평균 최저기온, 강수량(1973- 2024년)
□ 평년대비 기상요소 값
요소(단위) |
2024년 겨울철(a) |
2023년 겨울철(b) |
겨울철 평년값 (c) |
작년 차 (a- b) |
평년 차 (a- c) |
1973년 이래 순위 |
평균기온(℃) |
0.4 |
3.0 |
0.4 |
- 2.6 |
0.0 |
21위 |
평균 최고기온(℃) |
5.5 |
7.7 |
5.9 |
- 2.2 |
- 0.4 |
29위 |
평균 최저기온(℃) |
- 4.1 |
- 1.1 |
- 4.4 |
- 3.0 |
0.3 |
19위 |
강수량(mm) |
86.9 |
301.0 |
105.2 |
- 214.1 |
- 18.3 |
32위 |
강수일수(일) |
34.1 |
40.4 |
26.3 |
- 6.3 |
7.8 |
8위 |
상대습도(%) |
71 |
76 |
70 |
- 5 |
1 |
29위 |
일조시간(시간) |
467.5 |
374.7 |
465.3 |
92.8 |
2.2 |
30위 |
운량(할)⁕ |
4.5 |
5.7 |
4.4 |
- 1.2 |
0.1 |
30위 |
평균풍속(m/s) |
1.6 |
1.5 |
1.6 |
0.1 |
0.0 |
26위 |
눈일수(일)⁕ |
34.0 |
14.0 |
20.5 |
20.0 |
13.5 |
2위 |
한파일수(일) |
3.6 |
0.9 |
4.5 |
2.7 |
- 0.9 |
30위 |
※ 운량, 눈일수는 전주의 관측 자료 활용
- 12 -
붙임 7 |
겨울철 지점별* 계절통계값 순위 현황(5순위 이내) * 10년 이상 관측한 종관기상관측지점(10개소) |
□ 겨울철 평균 최고기온 최저 순위 (단위: ℃)
지점 |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번호 |
지점명 |
관측개시 |
연도 |
값 |
연도 |
값 |
연도 |
값 |
연도 |
값 |
연도 |
값 |
172 |
고창 |
2010.12.01 |
2011 |
4.3 |
2017 |
4.6 |
2012 |
4.8 |
2010 |
5.3 |
2024 |
5.6 |
254 |
순창군 |
2008.07.16 |
2012 |
4.4 |
2017 |
4.7 |
2010 |
4.7 |
2011 |
4.9 |
2024 |
5.4 |
□ 겨울철 평균 상대습도 최대 순위 (단위: %)
지점 |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번호 |
지점명 |
관측개시 |
연도 |
값 |
연도 |
값 |
연도 |
값 |
연도 |
값 |
연도 |
값 |
251 |
고창군 |
2007.11.01 |
2023 |
78 |
2015 |
72 |
2024 |
72 |
2009 |
71 |
2022 |
71 |
□ 겨울철 평균 상대습도 최소 순위 (단위: %)
지점 |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번호 |
지점명 |
관측개시 |
연도 |
값 |
연도 |
값 |
연도 |
값 |
연도 |
값 |
연도 |
값 |
172 |
고창 |
2010.12.01 |
2022 |
67 |
2021 |
67 |
2018 |
70 |
2020 |
71 |
2024 |
73 |
□ 겨울철 평균풍속 최대 순위 (단위: m/s)
지점 |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번호 |
지점명 |
관측개시 |
연도 |
값 |
연도 |
값 |
연도 |
값 |
연도 |
값 |
연도 |
값 |
245 |
정읍 |
1970.01.05 |
2024 |
1.9 |
2018 |
1.7 |
1973 |
1.7 |
2021 |
1.6 |
2020 |
1.6 |
-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