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도
성과관리시행계획
기 상 청
목 차
Ⅰ. 2010년도 정책추진 방향1
1. 그간의 정책성과1
2. 2010년도 정책추진 방향12
Ⅱ. 일반현황 및 계획의 개요16
1. 기상청 일반현황16
2. 성과관리시행계획 개요19
Ⅲ. 세부 추진계획25
전략목표Ⅰ 기상‧기후 재해경감을 위한 사전예방 능력을 제고한다25
전략목표Ⅱ 기상정보의 품질향상 및 다양화를 통한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한다64
전략목표Ⅲ 기상정보의 고부가가치 창출로 지속가능한 발전을 선도한다92
전략목표Ⅳ 기상기술 선진화를 위한 국제협력 및 남북협력을 강화한다109
전략목표Ⅴ 선진 기상 서비스를 위한 미래도약기반을 강화한다124
Ⅳ. 환류 등 관련계획185
1. 이행상황 점검185
2. 평가결과 환류체계197
3. 변화관리 계획203
4. 갈등관리 전략211
【별첨】
1. 성과지표 현황221
2. 회계‧기금별 성과계획 현황235
3. 관리과제와 연두업무계획과제 연계현황239
2010년도 정책추진 방향
Ⅰ
1. 그간의 정책성과
요 약 ('03~'09)
◇ 기상특보 세분화, 인공ㆍ자연지진 업무 단일화, 국가태풍센터 운영 등으로 기상재해 사전예방 능력제고
ㅇ 호우특보 선행시간 : 65분('04) → 148분('09)
ㅇ 지진 통보시간 : 11.1분('03) → 3.9분('09)
◇ 한반도 온실가스 상시 감시체계 구축, 기후변화 시나리오 제공 확대, 상세 장기예보 서비스 제공으로 기후변화 대응 선도
ㅇ 지구대기관측분석 요소 : 22종('03) → 36종('09)
ㅇ 기후변화 시나리오 활용 건수 : 1건('05) → 13건('09)
◇ 세계 2위 수준의 영국통합모델(UM)과 슈퍼컴퓨터 3호기의 도입, 동네예보 시행 등으로 예보능력 향상과 서비스 제고
ㅇ 단기예보 정확도 : 85.1%('03) → 91.9%('09)
ㅇ 보건ㆍ산업기상지수 : 12종('03) → 38종('09)
◇ 「기상산업진흥법」제정으로 기상산업 활성화기반 마련, 기상자원지도 작성, 기상조절기술개발 등으로 미래사회 사전 대비
ㅇ 기상산업 매출액 : 84억원('03) → 443억원('09)
ㅇ 전국 1km 해상도 풍력- 기상자원지도, 4km 해상도 태양- 기상자원지도 작성
◇ 세계기상기구(WMO) 집행이사국 진출, 개도국 기술전수 확대, 북한기상전담팀 신설 등으로 국제사회 역할 증대
ㅇ 외국과의 기상협력약정 : 7건('04) → 11건('09)
ㅇ 북한 예보(도시) : 6개('03) → 27개('09)
◇ 「기상관측표준화법」제정, 기상선진화 추진을 위한 10대 중점과제 실행계획 마련 등으로 미래도약 기반 강화
ㅇ 기상관측표준화율 : 12%('06) → 41%('09)
- 1 -
(1) 기상기술 주요 성과지표
성과 요소 |
'03년 |
'04년 |
'05년 |
'06년 |
'07년 |
'08년 |
'09년 |
|
단기예보 정확도 (오늘∼내일) |
강수유무(%) |
85.1 |
85.4 |
85.5 |
85.2 |
85.0 |
88.3 |
91.9 |
최고기온 오차 (℃) |
2.0 |
2.0 |
1.9 |
2.0 |
1.9 |
1.8 |
1.5 |
|
최저기온 오차 (℃) |
1.8 |
1.8 |
1.8 |
1.7 |
1.7 |
1.8 |
1.6 |
|
중기예보 정확도 (+2∼+7일) |
강수유무(%) |
61.8 |
71.8 |
69.0 |
67.5 |
73.6 |
77.0 |
80.4 |
최고기온 오차 (℃) |
3.1 |
3.2 |
3.0 |
3.2 |
3.0 |
2.8 |
2.1 |
|
최저기온 오차 (℃) |
2.7 |
2.8 |
2.6 |
2.6 |
2.4 |
2.5 |
1.9 |
|
장기예보 정확도 (기온,%) |
1개월예보 |
40 |
44 |
41 |
32 |
43.5 |
41.7 |
42.6 |
호우특보 선행시간 (분) |
- |
65 |
59 |
87 |
86 |
95 |
148 |
|
48시간 태풍 진로평균오차 (km) |
240 |
231 |
181 |
202 |
207 |
229 |
213 |
|
전지구 수치예측모델 정확도 (500hPa 고도장 +5일 예보오차, m) |
71.7 |
69.2 |
70 |
67.4 |
64.6 |
63.5 |
58.9 |
|
수치예측모델 계산능력 (Tflops) |
2.2 |
2.2 |
18 |
18 |
18.5 |
18.5 |
18.5 |
|
평균 지진 통보시간 (분) |
11.1 |
9.7 |
5.5 |
4.6 |
4.1 |
4.4 |
3.9 |
|
지진분석정확도 (%) |
- |
75 |
78 |
82 |
98 |
98.8 |
99.1 |
※ ‘09년 이후 단기 및 중기예보의 기온오차는 평방근오차(RMSE)에서 평균절대오차(MAE)로 변경됨
- 2 -
□ 중ㆍ단기 예보정확도는 지속적인 상승세
ㅇ 최근 강수유무 단기예보(오늘, 내일) 정확도는 90%, 중기예보(+2~7일)는 80%를 상회하여 일본보다 6%p 이상 우수한 결과
ㅇ 48시간 태풍 진로 예보 정확도는 일본, 미국에 비해 낮은 수준이지만 점차적으로 격차 감소
※ 태풍진로오차는 그해 기상상황에 따라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장기적인 추세를 중시
|
|
|
< 단기예보(오늘, 내일) 정확도(%) > |
< 중기예보(+2~+7일) 정확도(%) > |
< 미⋅일 기상청 48시간 태풍진로오차 비교 >
(단위: km)
연도 국가 |
‘03 |
'04 |
'05 |
'06 |
'07 |
'08 |
'09 |
한국 |
240 |
231 |
181 |
202 |
207 |
229 |
213 |
미국 |
222 |
243 |
176 |
192 |
196 |
207 |
205 |
일본 |
237 |
226 |
189 |
193 |
185 |
222 |
206 |
※ ‘09년 미국과 일본의 예보오차는 잠정 집계 자료임
ㅇ 1개월의 장기예보 정확도는 42.6% 수준으로 엘니뇨, 라니냐 등의 영향과 함께 지구온난화에 의한 기후 변동성으로 인하여 정확도 기복이 심함
- 3 -
□ 전 지구 수치예보 기술력은 세계 9위 수준
ㅇ 전지구 수치예보모델을 보유하고 슈퍼컴으로 운영하는 13개국 중, 기상청은 9위('07, 세계기상기구 보고서)
— 1위 유럽중기예보센터, 2위 영국, 3위 일본, 4위 미국, 8위 중국, 10위 러시아
○ 전지구 통합모델 예측성능이 현업모델(GDAPS) 대비 약 18% 향상
- 대기중층 예측오차('09년 평균) : 현업모델 58.9m, 통합모델 48.5m
|
|
< 국가별 수치예보 오차(m) > |
< 통합모델 현업모델 대비 향상률(%) > |
※ 대기이동의 기준이 되는 5.5km 상공의 고도변화에 대해 수치모델 예측값의 오차
□ 지진통보 신속도 5분 이내
ㅇ '05년 이후 지진통보 시간은 3.9~4.5분으로 선진국과 큰 격차 상존
- 일본은 5~20초, 미국은 20~40초, 대만은 20~40초 내에 지진 조기경보 발령
|
|
< 한반도 지진 발생 횟수 > |
< 지진통보 시간(분) > |
- 4 -
(2) 분야별 주요 성과
□ 기상재해에 사전대처하기 위한 예보능력 향상
ㅇ 시⋅군 단위 특보 발표와 특보 기준 세분화('04)
ㅇ 기상정보의 신속한 전달을 위한 예ㆍ특보 One- Stop 전달체계 구현 ('07)
ㅇ 북서태평양 태풍의 상시감시와 예보를 위한 국가태풍센터(제주) 개소 ('08)
ㅇ 돌발적인 낙뢰현상의 피해경감을 위한 낙뢰 문자서비스 시행 ('08)
ㅇ 여름철 국민의 건강보호를 위한 폭염특보제 시행 ('08), 안개 피해
예방을 위한 안개특보 시험운영('09)
ㅇ 산악지역 대설특보 세분화 시범운영과 기후특성에 맞는 세분화된 대설특보구역 별도 설정('09)
□ 지구 온난화와 한반도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 강화
ㅇ 아⋅태지역 기후예측 허브역할을 담당할 ‘APEC기후센터’ 개소와 기후변화 공동대응을 위한 ‘한국기후변화협의체’ 구성('05)
ㅇ 한반도 온실가스 상시감시체계 구축 ('06)과 온실가스 배출에 따른 미래 한반도 기후변화 시나리오 개발 ('06~)
ㅇ 기후변화감시 기능강화를 위한 제1 기후변화감시소 개소와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 :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부의장국 진출 ('08)
ㅇ 기후변화감시 위한 위탁관측소 4개소 운영(~'09)
※ 위탁관측소 : 오존(서울), 탄소플럭스(광릉), 에어러솔(광주), 극미량 온실가스(제주 고산)
ㅇ ‘녹색성장 국가전략 및 5개년 계획’과「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에 기후변화과학 분야 반영('09)
ㅇ 전국 12개 구역으로 세분화한 1, 3개월 상세 장기예보서비스 제공('09)
※ 한반도 87개(우리나라 60개, 북한 27개) 지점별 기후값과 확률정보 제공
- 5 -
□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상서비스 품질 개선과 제공 강화
ㅇ 보건기상지수 등 다양한 지수 개발로 생활 기상서비스 확대(총 38종)
ㅇ 국민 건강을 위한 황사특보기준 개정('07)
— 황사특보를 국민 체감도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기준강화 [황사주의보(500→400㎍/㎥), 황사경보(1,000→800㎍/㎥)]
— 기온, 강수유무 등 12개 기상요소에 대해 3시간 간격으로 48시간까지 5km 간격의 정량적 예보서비스 제공
|
|
<동네예보서비스> |
< 동네예보서비스 만족도 > |
※ 기상서비스 만족도 조사((주)리서치알앤에이, '09.11.30~12.9, 5,320명)
ㅇ 세계 2위 수준의 영국통합모델(UM)과 기상용 슈퍼컴퓨터 3호기 도입, 국가기상슈퍼컴퓨터센터 건립으로 선진 수치예보체계 기반 구축 ('09)
ㅇ 기상정보의 활용성 향상을 위한 주간예보 신뢰도 정보 제공('09)
— 주간예보 변경가능성에 대해 높음, 보통, 낮음 3단계로 제공
ㅇ 호흡기질환, 뇌졸중 등 취약계층과 언론·유관기관 담당자 대상 황사 예‧특보 정보 시범 문자서비스 실시 ('09)
ㅇ ‘연근해 선박 기상정보’ 정기 발표(해양경찰청ㆍ국립수산과학원 공동)와 국립공원 지역 주요지점 34개소 산악기상정보 추가 서비스('09)
- 6 -
□ 지진ㆍ지진해일에 대처하기 위한 지진감시와 분석 능력 강화
ㅇ 지진분석을 위한 자체 속도지진관측소 49개소와 계기진도측정을 위한 지진가속도관측소 110개소 구축
— 평균 지진통보 시간은 '03년 11.1분에서 '09년 4.3분으로 단축
※ '03년 이후 규모 5.0이상 2회 발생 : 백령도('03), 울진해역('04)
ㅇ 동해 지진해일 경보체계 운영과 서ㆍ남해 지진해일 경보체계 구축('06)
※ '04년 말 동ㆍ서남아시아 지진해일로 11개국에서 28만 여명 사망
ㅇ 북한 핵실험 관련 인공지진 발표업무 일원화 ('07)
ㅇ 조기경보시스템 구축 기본계획 마련('09)
— 목표 : 발생 후 '15년 50초 이내, '20년 10초 이내 발표
연도 |
'03년 |
'04년 |
'05년 |
'06년 |
'07년 |
'08년 |
'09년 |
지진관측소(개소) |
33 |
34 |
35 |
41 |
45 |
48 |
49 |
지진가속도관측소(개소) |
75 |
75 |
75 |
86 |
106 |
109 |
110 |
|
☞ 지진계 설치수는 공공기관이 실시간으로 운영하는 것을 기준으로 산정하였으며, 설치간격은 해당 국가의 국토면적을 대비하여 산정 ; 중국의 경우 비 실시간 지진계 설치수는 3,000여대 이상. 미국의 설치간격은 지진 다발지역인 캘리포니아 지역에 국한하여 산정할 때 10km 정도임 |
- 7 -
□ 기상 산업의 육성 기반구축과 국가발전 위한 녹색성장 지원
ㅇ 기상산업 활성화를 위하여 기상정보지원기관 지정 등 기반 마련 ('05)
ㅇ 기상산업 활성화 기반구축 사업
— ‘대한민국 기상정보 대상’ 포상 및 심포지엄 개최 등
ㅇ 전문적이고 신속ㆍ정확한 기상상담을 위한 기상콜센터 구축 ('08)
— 전국에 분산된 문의채널을 하나로 통합하고 표준화된 상담자료를 통해 민원인의 편의를 증대
ㅇ 기업의 경제활동 등을 지원하기 위한 3개월 예보 매월발표 ('06)
ㅇ 민간 기상산업 촉진을 위한 「기상산업진흥법」 제정‧시행('09)
− '09년 기상시장 규모는 443억원으로 매출 규모는 매년 성장하고 있으나 미국의 1/50, 일본의 1/10 수준
※ 기상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 산업경제 활동은 GDP의 10%('07년 기준 90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날씨가 지배한다’, 독일 Friedhelm Schwarz, '05)
< 기상산업 매출액 규모 >
연도 |
'03 |
'04 |
'05 |
'06 |
'07 |
'08 |
'09 |
기상산업 매출액(억원) |
84.0 |
110.0 |
145.6 |
192.6 |
290.8 |
318.8 |
443 |
ㅇ 농림기상관련 인력양성과 서비스 증진을 위한 ‘국가농림기상센터’ 설립(농촌진흥청, 산림청, 서울대 공동, '09)
ㅇ 신재생 에너지 자원 생산을 지원하기 위한 전국대상 1km 해상도 풍력- 기상자원지도, 4km 해상도 태양- 기상자원지도 개발('09)
ㅇ 평창‧태백 인공증설 비행실험, 대관령 안개저감 지상 실험 추진('09)
− 인공증설 실험 중 0.5 mm 증우 발생
- 8 -
□ 기상분야 역량발휘를 위한 국제협력과 남북협력 강화
ㅇ 개발도상국에 대한 수치예측 기술 등 기상기술 전수 ('03~)
ㅇ 세계기상기구(WMO :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기본체계위원회(CBS : Commission for Basic System) 회의 개최 ('06)
ㅇ WMO 집행이사국* 진출 ('07)
* 집행이사회는 189개 회원국 중 37개국으로 구성
ㅇ WMO 전지구 장기예측자료 생산센터 지정 ('07)
ㅇ 남북 기상업무 통합 인프라 구축을 위해 개성, 금강산에 황사관측장비 설치 ('07)
ㅇ 광복 이래 최초로 남북 기상협력 실무접촉회의 개최 ('07)
ㅇ 전지구 관측ㆍ예측ㆍ재해정보의 종합 활용을 위한 지구관측그룹(GEO : Group on Earth Observation) 집행위원회 이사국 진출 ('08)
ㅇ 제15차 WMO 대기과학위원회 총회 개최와 제4차 WMO/IOC 합동해양학‧해양기상기술위원회('12.5월, 여수) 유치('09)
ㅇ WMO 장기예보 다중모델앙상블 선도센터 지정('09)
— 장기예측자료를 실시간 수집하여 WMO 회원국 제공
ㅇ 북한 상세예보 생산지점 4배 확대(6→27개소), 5대 도시(평양, 개성, 함흥, 신의주, 청진) 주간예보 생산‧제공('09)
연도 |
'03년 |
'04년 |
'05년 |
'06년 |
'07년 |
'08년 |
'09년 |
협약 체결 국가 수 |
6 |
6 |
7 |
9 |
10 |
10 |
11 |
개도국 훈련사업 건수 |
- |
- |
- |
2 |
3 |
4 |
5 |
국제회의 유치 건수 |
- |
1 |
1 |
1 |
1 |
1 |
1 |
- 9 -
□ 위험기상(Severe Weather) 감시강화를 위한 기상관측 능력 향상
ㅇ 위험기상 감시능력 향상을 위한 한반도 입체관측망 구축
— 기상레이더(10개소), 수직측풍장비(9개소), 서해종합기상관측기지(북격렬비도) 신설, 황사관측망(국내 32개소, 국외 20개소) 확보
ㅇ 국가 기상관측자료 공동 활용을 위한 「기상관측표준화법」제정 ('06)
연도 |
'03년 |
'04년 |
'05년 |
'06년 |
'07년 |
'08년 |
'09년 |
관측시설의 기상관측표준화율(%) |
- |
- |
- |
12 |
20 |
28 |
41 |
※ 연도별 목표 : '10년(60%), '11년(80%), '12년(100%)
ㅇ 표준화된 국가 기상관측망 확충을 위한 기상청- 지자체 공동협력 기상관서 7개소 설립 ('07~'09)
ㅇ 제주 도내 35개소에 USN 기상관측장비 설치('08~'09)
< 기상관측망 현황 >
연도 |
'03년 |
'04년 |
'05년 |
'06년 |
'07년 |
'08년 |
'09년 |
비고 |
|
지상기상관측망(개소) |
512 |
537 |
539 |
541 |
541 |
544 |
544 |
||
고층기상관측망 (개소) |
레윈존데 |
5 |
5 |
5 |
5 |
5 |
5 |
5 |
공군, 연구소 제외 |
수직측풍장비 |
2 |
3 |
4 |
4 |
9 |
9 |
9 |
||
레이더 관측망(개소) |
8 |
9 |
9 |
10 |
10 |
10 |
10 |
||
해양기상 관측망(개소) |
10 |
11 |
12 |
15 |
18 |
21 |
23 |
부이,등표,파고계 |
|
황사 관측망(개소) |
10 |
16 |
20 |
23 |
27 |
32 |
32 |
- 10 -
□ 21세기 미래지향적 국가 기상행정기반 구축
ㅇ 창의적 제안제도 활성화와 지속적 변화관리 추진 ('04∼)
— 중앙공무원 제안 경진대회 대통령상 수상('08)
ㅇ 기상행정 기본법으로서 「기상법」 전부개정 ('06)
ㅇ 관련 부처가 참여하는 ‘기상업무 발전 기본계획('07~'11)’ 수립 ('06)
— 법정계획으로 제22회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심의ㆍ확정('06. 12월)
ㅇ 종합기상정보시스템(COMIS- 3) CMMI(Capability Maturity Model Integration)- 2 인증 ('07)
※ 기상분야에서 미국해양대기청(NOAA :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에 이어 세계 2번째
ㅇ 핵심 기술 도출을 위한 중ㆍ장기 국가기상기술 로드맵 수립 ('07)
ㅇ 기상 취약분야의 전문가 확보와 전문인력 다양화를 위한 부처간 인사교류 실시 ('08~)
ㅇ 항공기상업무 품질경영시스템(ISO- 9000) 구축('08)
— ICAO(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평가 기상분야 국제기준 이행율(98.82%) 세계 최고 판정
ㅇ 기상과 기후변화 관측을 담당할 국가기상위성센터 신설('09)
ㅇ 기상업무 선진화 추진을 주도할 세계적인 석학 영입 ('09)
※ 기상선진화추진단장으로 임명('09.6.1.~'12.5.31.)
ㅇ 미래 기상‧지진기술에 대한 국가차원의 장기적 비전을 제시하는 ‘MT(Meteorological Technology) Vision 2040’ 수립 ('09)
ㅇ 역량 있는 인재 발굴ㆍ육성을 위한 인사운영 기본계획 전면 개정 ('09)
— 성과와 능력중시의 공직문화 조성을 위한 5급 공무원 승진 적격성 평가제도 도입
- 11 -
2. 2010년도 정책 추진방향
(1) 그간의 기상정책 변화
□ 새로운 위험기상에 대한 사전대응과 고객중심의 정보 제공
ㅇ 안개, 낙뢰 등 새로운 위험기상에 대한 사전예측을 통해 기상재해 경감을 주도하고 기후변화 예측능력 향상을 위한 정책 추진
ㅇ 유비쿼터스 시대에 맞는 정보전달 체계 개선과 사용자 맞춤형 기상정보 제공 등 고객중심의 서비스 개발
□ 순수 기상기술을 탈피한 융합형 기상기술 개발 추진
ㅇ 국가 발전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저탄소 녹색성장’이 대두되면서 기상정보가 국가정책의 의사결정에 핵심요소로 부각
ㅇ 예보위주의 기상행정에서 기후변화와 응용ㆍ환경 부분을 포함한 기상기술 정책 추진
□ 기상기술의 영역확장과 경쟁력 확보 추진
ㅇ「기상산업진흥법」 시행을 계기로 민간 기상사업자와의 역할정립을 통해 기상산업을 육성하고 기술 경쟁력 확보
ㅇ 선진수치예보모델과 슈퍼컴퓨터 3호기 운영을 발판으로 한국형 독자 기상기술을 개발하여 기상선진국의 우위 선점
□ 국내ㆍ외 협력 강화를 통한 기상분야 역량 강화
ㅇ 통신해양기상위성 발사에 따른 동남아 지역 자료제공과 개도국 수치예보 기술 공여 등을 통한 국제적 영향력 확대기반 마련
ㅇ 지자체와의 공동 기상관서 신설, 기상관측표준화법 제정, 학ㆍ연간 협력 등으로 기상기술 향상의 원동력 확보
- 12 -
(2) 2010년도 정책방향
□ 위험기상정보 제공 확대로 기상재해로부터 국민보호
ㅇ 안개, 낙뢰 등 새로운 위험에 대한 기상 서비스 개발
ㅇ 지역별 환경에 맞는 특보구역 설정으로 사전대비능력 향상
ㅇ 국가지진 조기경보시스템 구축추진으로 지진‧지진해일 대응역량 강화
□ 지구온난화 등 변화하는 지구환경에 대한 지식 공유
ㅇ 제32차 IPCC 총회 개최 등을 통한 기후변화의 국민 인식 확산
ㅇ 기후변화 감시‧예측에 대한 기초연구 활성화
□ 새로운 패러다임의 기상예보 제공으로 국민 만족도 제고
ㅇ 선진 수치예보기술 운영으로 수치예보 정확도 향상 가시화
ㅇ 수요자 중심의 기상정보 전달체계 확대로 정보이용 편의성 강화
ㅇ 해양안전사고와 어업피해 최소화를 위한 해양기상서비스 개선
□ 기상자원 활용을 통한 녹색성장 지원 강화
ㅇ「기상산업진흥법」시행에 따른 적극적인 민간분야 지원정책 개발
ㅇ 한반도 기상자원지도 개발로 신재생에너지 개발 확대
ㅇ 인공증설, 안개소산 등 기상조절기술 실용화 조기실현 기반 마련
□ 기상관측 인프라의 최적화‧첨단화
ㅇ 관측시설의 표준화와 기상관측자료의 공동활용 체계 구축
ㅇ 국가레이더운영센터 신설과 관측자료의 품질 개선
ㅇ 통신해양기상위성 발사와 원활한 임무수행을 위한 우주기상 분야 개척
- 13 -
중점 추진 내용
- 14 -
□ 기상정보의 고부가가치 창출로 지속가능한 발전선도
ㅇ 한국기상산업진흥원의 기상사업자 지원 역할 강화
ㅇ 국산기상장비 개발 연구 강화 등 기상장비산업 육성 지원
ㅇ 물 부족 대비 국가 수문‧기상 발전 중장기 계획 수립
ㅇ 한반도 지역 상세 장기예보 정확도 향상 기반 마련
ㅇ 1㎞ 해상도 태양- 기상자원지도 작성
ㅇ 인공증설, 안개소산 등 기상조절기술 기초연구 활성화
□ 기상기술 선진화를 위한 국제협력과 남북협력 강화
ㅇ 베트남 홍강‧메콩강 수문 감시와 예측시스템 구축 등 개도국의 기상서비스 역량강화 지원
ㅇ 전지구관측시스템(GEOSS) 통합운영체계 구축과 WMO 장기예보 선도센터 자료 활용도 제고
ㅇ 남북관계 개선 상황에 따라 북한지역 관측정보 확충, 단기‧주간예보 생산 등 남북협력의 실질적 성과 도출
□ 선진 기상서비스를 위한 미래 도약 기반강화
ㅇ 기상관측 표준화 조기달성('12년)의 지속적 추진, 기상관서가 없는
시ㆍ군 자치단체와 공동협력기상관측소 설립 확대
ㅇ 통신해양기상위성 발사와 우주기상 분야 개척
ㅇ 레이더운영센터와 범정부 레이더운영실무위원회 신설
ㅇ 기상선진화 10대 과제 이행 점검과 R&D 성과 이력관리시스템 구축
ㅇ 국립기상연구소를 기상‧기후 R&D를 선도하는 국립연구기관으로 승격 추진
ㅇ 교육콘텐츠 개발, 수요자 맞춤형 교육, 날씨체험캠프 등으로 기상과학의 이해 확산과 전략적 국민소통 강화
- 15 -
일반현황 및 계획의 개요
Ⅱ
1. 기상청 일반현황
(1) 조 직
청 장
차 장
대 변 인
기상선진화추진단
기획조정관
예 보 국
관측기반국
기후과학국
기상산업정보화국
▪기상선진화담당관
▪기획재정담당관
▪행정관리담당관
▪규제개혁법무담당관
▪인력개발담당관
▪국제협력팀
▪예보정책과
▪예보상황과(5)
▪국가태풍센터
▪수치모델개발과
▪수치자료응용팀
▪슈퍼컴퓨터운영팀
▪관측정책과
▪관측운영과
▪해양기상과
▪기상기술과
▪지진정책과
▪지진감시과
▪기후정책과
▪기후예측과
▪기후변화감시센터
▪기상산업과
▪기상자원과
▪정보통신기술과
지진관리관
수치모델관리관
항공기상청
운영지원과
국가기상위성센터
지방기상청
국립기상연구소
▪연구기획운영팀
▪정책연구과
▪예보연구과
▪기후연구과
▪지구환경시스템연구과
▪황사연구과
▪응용기상연구과
▪위성개발기획팀
▪위성시스템운영팀
▪위성자료분석팀
▪공항기상대(4)
▪기상통신소
▪공항기상실(8)
[부산ㆍ광주ㆍ대전ㆍ강원ㆍ제주지방기상청]
▪기상대(45)
▪기상관측소(5)
◦ 본부 : 1차장, 1단, 4국, 3관, 25과, 2센터, 3팀
◦ 소속 : 1연구소, 5지방청, 1항공기상청, 1국가기상위성센터
- 16 -
(2) 인 원
구 분 |
계 급 |
정 원 |
총 계 |
1,295 |
|
일 반 직 (별정직, 계약직포함) |
소계 |
1,080 |
정무직 |
1 |
|
고위공무원단 |
12 |
|
계약직 |
2 |
|
3‧4급 |
8 |
|
4급 |
42 |
|
4‧5급 |
14 |
|
5급 |
171 |
|
6급이하 |
830 |
|
연 구 직 |
소계 |
43 |
고위공무원(나급) |
1 |
|
연구관 |
16 |
|
연구사 |
26 |
|
합계(일반+연구직) |
1,123 |
|
기능직 |
기능직 |
172 |
- 17 -
□ 기상ㆍ기후 재해경감을 위한 사전예방 능력제고
ㅇ 해양기상관측선 건조 완료, 레이더자료 이용한 위험기상 조기감시 강화
ㅇ 초단기 예보시스템, 위험기상 예측모델 개발 등 위험기상 대비 기술개발
ㅇ 예·특보 검증방법 개선안 마련, 재해별 전문예보관제 신설 추진
ㅇ 태풍 5일 예보시스템 구축, 황사발원지 기상탑 추가 설치(몽골 1개소)
ㅇ 극지기후변화감시소(남극) WMO 지정 등 기후변화 감시 능력 향상
ㅇ 제32차 IPCC 총회 개최와 WMO 온실가스측정 세계표준센터 유치추진
ㅇ 지진분석 알고리즘 설계·개발을 통한 지진 조기경보체제 구축
※ (지진조기경보 시간) 300초 이내('09) → 50초 이내('15) → 10초 이내('20)
ㅇ 국내 지진의 통합 관리를 위한 국가지진종합정보시스템(NECIS) 구축
□ 기상정보의 품질향상과 다양화를 통한 삶의 질 향상
ㅇ 세계 수준의 통합모델 운영과 슈퍼컴퓨터 3호기의 안정적 운영 등 수치예보 정확도 향상
ㅇ 초단기예보를 동네예보에 접목하고, 출·퇴근시간과 방송보도시간 중심으로 기상정보 제공 정례화(연중 2회/일, 04·16시)
ㅇ 예보관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예보관 평가결과 환류 시스템 구축
ㅇ 실시간 방송시스템, 휴대폰 등을 이용한 다양한 기상정보 전달체계 마련
ㅇ 영역기상방송 실개선, 연안실황정보 휴대폰 서비스 등 해양기상정보 확대
ㅇ 사회복지 프로그램과 연계한 생활 기상정보 제공, 농수산업·건설업 등 기상변화에 민감한 분야의 의사결정자를 위한 특화 기상서비스 개발
ㅇ 4대강 주요 공사현장에 특화 기상정보 제공 등 국가정책 지원
(3) 재정현황
(단위 : 억원)
구 분 |
'09 |
'10 |
'11 |
'12 |
'13 |
|||||||||||||||||||||||||||||
□ 재정사업 합계 |
||||||||||||||||||||||||||||||||||
ㅇ 총지출 |
2,233 |
2,470 |
2,672 |
2,935 |
2,771 |
|||||||||||||||||||||||||||||
(전년대비증가율, %) |
(13.6) |
(10.6) |
(8.2) |
(9.8) |
(△5.6) |
|||||||||||||||||||||||||||||
ㅇ 총계 |
2,248 |
2,470 |
2,672 |
2,935 |
2,771 |
|||||||||||||||||||||||||||||
(전년대비증가율, %) |
(13.6) |
(9.9) |
(8.2) |
(9.8) |
(△5.6) |
|||||||||||||||||||||||||||||
□ 총지출 구분 |
||||||||||||||||||||||||||||||||||
ㅇ 인건비 |
639 |
655 |
701 |
750 |
803 |
|||||||||||||||||||||||||||||
(전년대비증가율, %) |
(5.3) |
(2.5) |
(7.0) |
(7.0) |
(7.1) |
|||||||||||||||||||||||||||||
ㅇ 기본경비 |
187 |
193 |
198 |
204 |
210 |
|||||||||||||||||||||||||||||
(전년대비증가율, %) |
(△5.1) |
(3.2) |
(2.6) |
(3.0) |
(2.9) |
|||||||||||||||||||||||||||||
ㅇ 주요사업비 |
1,407 |
1,578 |
1,709 |
1,796 |
1,758 |
|||||||||||||||||||||||||||||
(전년대비증가율, %) |
(21.2) |
(12.2) |
(8.3) |
(5.1) |
(△2.1) |
|||||||||||||||||||||||||||||
□ 예산 |
||||||||||||||||||||||||||||||||||
ㅇ (총)지출 |
2,233 |
2,470 |
2,672 |
2,935 |
2,771 |
|||||||||||||||||||||||||||||
(전년대비증가율, %) |
(13.6) |
(10.6) |
(8.2) |
(9.8) |
(△5.6) |
|||||||||||||||||||||||||||||
ㅇ 총계 |
2,248 |
2,470 |
2,672 |
2,935 |
2,771 |
|||||||||||||||||||||||||||||
(전년대비증가율, %) |
(13.6) |
(9.9) |
(8.2) |
(9.8) |
(△5.6) |
|||||||||||||||||||||||||||||
【 일반회계 】 |
||||||||||||||||||||||||||||||||||
‧ (총)지출 |
2,225 |
2,426 |
2,608 |
2,750 |
2,771 |
|||||||||||||||||||||||||||||
(전년대비증가율, %) |
(13.2) |
(9.0) |
(7.5) |
(5.4) |
(0.8) |
|||||||||||||||||||||||||||||
‧ 총계 |
2,240 |
2,426 |
2,608 |
2,750 |
2,771 |
|||||||||||||||||||||||||||||
(전년대비증가율, %) |
(13.2) |
(8.3) |
(7.5) |
(5.4) |
(0.8) |
|||||||||||||||||||||||||||||
【 혁신도시특별회계 】 |
||||||||||||||||||||||||||||||||||
‧ (총)지출 |
8 |
44 |
64 |
184 |
- |
|||||||||||||||||||||||||||||
(전년대비증가율, %) |
(순증) |
(450) |
(45.5) |
(187.5) |
||||||||||||||||||||||||||||||
‧ 총계 |
8 |
44 |
64 |
184 |
- |
|||||||||||||||||||||||||||||
(전년대비증가율, %) |
(순증) |
(450) |
(45.5) |
(187.5) |
||||||||||||||||||||||||||||||
□ 기금 |
해당사항 없음 |
|||||||||||||||||||||||||||||||||
- 18 -
2. 성과관리시행계획 개요
(1) 시행계획의 주요특성
□ 선진 일류국가 건설을 위한 국정과제 수행과 녹색성장 5개년 계획 등 범정부 주요 계획과 연계성 강화
ㅇ 기상청 국정과제 ‘기상예보의 선진화’와 ‘기상‧기후산업 육성’ 계획과 연계하여 일정 반영
ㅇ 녹색성장을 위한 기후변화 감시‧예측 인프라 확충, 기후변화 시나리오 개발, 기상자원지도 개발 등 집중 성과관리
□ ‘선진예보 구현과 기후변화 대응능력 제고’를 '10년도 목표로 설정하여 5대 전략목표와 13개 성과목표 추진
ㅇ 전략적 중요도, 시급성을 고려한 63개 관리과제 도출(주요정책 36, 재정 14, R&D 5, 정보화 8)
ㅇ 고품질 성과 달성을 위한 Top- down 방식 관리과제 개발
ㅇ 공통된 목적을 가지는 유사 과제 통합으로 협조부서 역할 강화
ㅇ 반복적 업무는 가급적 제외하고, 전략적 추진 정책 중심으로 구성
□ 궁극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측정지표로서 성과지표 개선
ㅇ 성과목표별 성과지표는 기후변화 대응 역량 지수, 행정인프라 지수 등 성과목표 단위의 대표성이 강화된 지표 적용
ㅇ 성과측정의 객관성 확보를 위한 관리과제별 2개 이상의 성과지표 제시
ㅇ 산출‧결과지표 위주 설정(성과목표 : 93.75%, 관리과제 : 86.4%)
- 19 -
(2) 시행계획의 목표체계
□ 기상청의 임무(Mission)
ㅇ 신속하고 정확하며 가치있는 기상서비스의 실현
- 기상재해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공공의 복리증진에 기여(「기상법」제 1조)
혁신
몰입
행동
지표
임
무
ㅇ 기상청은 기상정보를 국민에게 서비스 하는 기관으로써 「기상법」 제 1조 ‘기상업무의 건전한 발전을 기하도록 하여 기상재해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공공의 복리증진에 이바지함’ 목적을 3대 임무(신속, 정확, 가치)로 정의
ㅇ 「신속하고」는 위험기상 정보를 국민들과 방재기관에 보다 빠르게 제공함으로써 ‘기상재해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에 기여하고
ㅇ 「정확하며」는 일기예보를 포함한 기상정보의 정확성을 향상하여 언제 어디서나 이용 가능하게 하여 ‘국민의 삶의 질 향상과 공공의 복리증진’에 기여함과 더불어
ㅇ 「가치있는」은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국가 경제활동을 지원’하여 ‘국가경쟁력 향상’과 더불어 기상분야의 ‘국제적 위상향상’에 기여함을 의미
□ 기상청의 비전(Vision)
World Best 365
< 1년 365일 최고 수준의 기상서비스를 국민에게 제공 >
혁신
몰입
행동
지표
비
전
ㅇ 기상청의 3대 임무를 완수하기 위하여, 2012년 세계 6위 기상기술 선진국 진입을 목표로 5개 전략을 설정하여 추진
※ 기상기술력은 전지구 수치예보모델의 예보오차를 기준으로 '07년 세계 9위 임
- 20 -
□ 임무 비전 전략목표 성과목표 구조
임 무 |
신속하고 정확하며 가치 있는 기상서비스 실현 |
|
기상재해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국민의 삶의 질 향상과 공공의 복리증진에 기여 |
||
비 전 |
World Best 365 |
|
3대 임무를 완수하기 위해, 6위 기상기술 선진국 진입을 목표로 5개 전략을 설정하여 추진 <
|
||
캐치프레이즈 |
하늘을 친구처럼, 국민을 하늘처럼 |
|
|
||
2010 목표 |
선진예보 구현과 기후변화 대응능력 제고 |
추진전략 |
중점 추진 분야 |
|
기상ㆍ기후 재해경감을 위한 사전예방 능력을 제고한다. |
① 신속하고 정확한 위험기상 대응체계 구축 ② 기후변화 적응‧대응 역량 강화 ③ 지진‧지진해일 대비능력 제고 |
|
기상정보의 품질향상 및 다양화를 통한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한다. |
① 고품질 기상정보 생산 및 전달체계 고도화 ②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기상서비스 진작 |
|
기상정보의 고부가가치 창출로 지속가능한 발전을 선도한다. |
① 경제성장 지원을 위한 기상정보의 고부가가치화 ②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기상정보 활용 극대화 |
|
기상기술 선진화를 위한 국제협력 및 남북협력을 강화한다. |
① 기상‧기후 이슈의 국제적 협력과 리더십 확보 ② 남북 기상업무 협력증진 |
선진 기상 서비스를 위한 미래 도약기반을 강화한다. |
① 국가기상관측망의 확충 및 표준화 ② 21세기형 기상업무 환경조성을 위한 행정 ③ R&D 역량확충을 통한 기상기술 역량 강화 ④ 수요자 중심의 대국민 관계 강화 |
- 21 -
(3) 목표 및 과제 현황
부 문 |
전략 목표 |
성과 목표 |
관리과제 |
||||
소 계 |
주요정책과제 |
일반재정 |
R&D |
정보화 |
|||
개수(개) |
5 |
13 |
63 |
36 |
14 |
5 |
8 |
비율(%) |
- |
- |
100% |
57% |
22% |
8% |
13% |
성과목표 |
관리과제 |
부문 |
관련 업무계획 과제 |
Ⅰ. 기상ㆍ기후 재해경감을 위한 사전예방 능력을 제고한다 |
|||
1. 신속하고 정확한 위험기상 대응체계 구축 |
위험기상 실시간 감시체계 구현 |
정책 |
|
위험기상 예측모델 개발 |
|||
위험기상 대비 정책능력 강화 |
|||
④황사 감시와 예측능력 향상 |
|||
⑤태풍 감시와 예측능력 향상 |
|||
⑥초단기 예보시스템 개발 |
|||
국가태풍센터 운영 |
재정 |
||
2. 기후변화 적응‧대응 역량 강화 |
기후변화 국가대응 인프라 강화 |
정책 |
|
기후변화 국가대응 연구개발 강화 |
|||
기후변화 예측정보 생산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 지원 |
|||
기후변화감시 |
재정 |
||
3. 지진‧지진해일 대비 능력 제고 |
국가 지진업무 수행 인프라 강화 |
정책 |
|
②지진‧지진해일 분석능력 및 전달체계 강화 |
|||
Ⅱ. 기상정보의 품질향상 및 다양화를 통한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한다 |
|||
1. 고품질 기상정보 생산 및 전달체계 고도화 |
맞춤형 기상정보 전달체계 구축 |
정책 |
|
자료동화시스템과 수치자료 활용기술 개선 |
|||
수치예보모델 성능향상 |
|||
④예보 역량향상 기반 조성 |
|||
수치예보시스템 개선 |
정보화 |
||
예보 및 통보체계 개선 |
- 22 -
성과목표 |
관리과제 |
부문 |
관련 업무계획 과제 |
2.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기상 |
생활기상정보 서비스 다양화 |
정책 |
|
해양기상 서비스 강화 |
|||
항공기상정보시스템 운영 |
정보화 |
||
기상정보응용시스템 |
|||
Ⅲ. 기상정보의 고부가가치 창출로 지속가능한 발전을 선도한다 |
|||
1. 경제성장 지원을 위한 기상정보의 고 부가 가치화 |
기상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기반 강화 |
정책 |
|
기상장비산업 육성 |
|||
기상산업 활성화 및 기상서비스 확대 |
재정 |
||
2. 지속가능 발전을 위한 기상정보 활용 극대화 |
기상, 기후정보를 이용한 기상자원지도 작성 |
정책 |
|
수요자 중심의 장기예보 서비스 제공 |
|||
기상조절기술 개발 |
|||
Ⅳ. 기상기술 선진화를 위한 국제협력 및 남북협력을 강화한다 |
|||
1. 기상ㆍ기후 이슈의 국제적 협력과 리더십 확보 |
국제무대 역할신장과 기상분야 국가브랜드 강화 |
정책 |
|
지구관측그룹(GEO) 활동강화 |
|||
아‧태지역기후네트워크 구축 |
R&D |
||
2. 남북 기상업무 협력 증진 |
남북기상통합 기반구축 |
정책 |
|
Ⅴ. 선진 기상 서비스를 위한 미래 도약기반을 강화한다 |
|||
1. 국가 기상관측망의 확충 및 표준화 |
기상관측 첨단화와 표준화 |
정책 |
|
국가 기상관측자료의 품질 강화 |
|||
선진 기상위성 서비스 구현을 위한 기술기반 고도화 |
|||
④국가 레이더 공동 활용기반 구축 |
|||
지상기상 및 지진관측망 확충 |
재정 |
||
해양기상관측망 확충 |
|||
고층기상관측망 확충 |
|||
④국가기상관측의 표준화 |
|||
기상관측위성개발 |
R&D |
||
관측자료수집망 운영 |
정보화 |
- 23 -
성과목표 |
관리과제 |
부문 |
관련 업무계획 과제 |
2. 21세기형 기상업무 환경조성을 위한 행정 인프라 확충 |
선진 기상서비스를 위한 정책수립 및 이행강화 |
정책 |
|
체계적인 인력양성 프로그램 운영 |
|||
③정보통신기술(ICT) 고도화를 통한 기상정보 서비스 선진화 |
|||
부산지방청 운영 |
재정 |
||
광주지방청 운영 |
|||
대전지방청 운영 |
|||
④강원지방청 운영 |
|||
⑤제주지방청 운영 |
|||
⑥항공기상장비 보강 및 운영 |
|||
기상정보교환시스템운영 |
정보화 |
||
기상용슈퍼컴운영 |
|||
3. R&D 역량 확충을 통한 기상기술 역량강화 |
기상 R&D 기획 관리 역량 강화 |
정책 |
|
기상연구 실용성 확보 강화 |
|||
기상기후지진기술개발사업 |
R&D |
||
기상업무지원기술개발 |
|||
선진기상기술개발 |
|||
4. 수요자 중심의 대국민 관계강화 |
언론과의 스킨십 강화 |
정책 |
|
기상과학문화 확산 |
|||
대국민 기상 인식 제고 |
재정 |
||
기상교육 e- 러닝 체제 구축 |
정보화 |
- 24 -
세부 추진계획
Ⅲ
전략목표Ⅰ |
기상ㆍ기후 재해경감을 위한 사전예방 능력을 제고한다 |
기 본 방 향 |
||
◇ 집중호우, 태풍, 대설 등 기상현상에 의한 피해가 자연재해의 ○ 위험기상의 조기 예측기술 확보와 방재 유관기관의 긴밀한 ○ 특보체계 개선과 새로운 위험기상에 대한 대비 ◇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는 생태계, 수자원, 식량안보, 보건 등 우리 생활과 관련된 다양한 분야에 직접적인 영향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다학제간 협력, 국제적 교류 강화 ○ 국가 정책지원을 위한 기후변화 감시‧예측 정보 제공 확대 ◇ 국가 지진업무에 관한 재난책임관리기관으로서 인공지진을 포함한 지진 감시‧분석‧통보 업무능력 제고 필요 ○ 국가 지진조기경보체제 구축을 통한 초기대응태세 강화 ○ 조밀한 지진관측망 보강을 통한 지진분석 신속‧정확도 향상기반 마련 통해 ‘기상재해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 보호’ 임무 달성에 기여
|
《전략목표1 : 성과목표 및 지표체계》
(단위 : 개)
목차로 돌아가기↑
성과목표 |
단위과제(사업)수 |
성과지표수 |
|
Ⅰ- 1 신속하고 정확한 위험기상 대응 체계 구축 |
주요정책과제 |
6 |
11 |
재정성과 |
1 |
1 |
|
Ⅰ- 2 기후변화 적응‧대응 역량강화 |
주요정책과제 |
3 |
7 |
재정성과 |
1 |
2 |
|
Ⅰ- 3 지진ㆍ지진해일대비 능력제고 |
주요정책과제 |
2 |
6 |
- 25 -
성과목표Ⅰ- 1 |
신속하고 정확한 위험기상 대응체계 구축 |
(1) 주요내용
□ 위험기상 감시체계 강화와 예측모델 개발을 통한 기상재해 예측‧분석능력 향상
○ 지상, 고층, 해양, 레이더 관측망 확대를 통한 위험기상 감시 강화
○ 태풍전용 모델의 지속적인 개선과 동북아 황사 공동대응 등을 통한 태풍과 황사 예측정확도 향상
○ 돌발적 기상현상에 대비하기 위한 초단기예보기술 개발
□ 기상재해 사전대비를 위한 신속한 정보지원으로 효율적인 국가 방재기상업무 지원
○ 기상재해 사전예방을 위한 방재기상대책 수립‧시행 및 국가방재유관기관 협력강화
○ 낙뢰정보 서비스 확대, 특보 세분화를 통한 사전정보 제공 확대
□ 성과목표의 전략목표에의 부합성
기상ㆍ기후 재해경감을
위한 사전예방 능력을 제고한다.
위험기상 예측능력 향상
신속한 대응기반 구축
신속하고 정확한 위험기상 대응체계 구축
성과목표 주요내용
성과목표
전략목표
위험기상에 대한 신속한 대응체계 확보
- 26 -
[성과목표별 성과지표]
성과지표 |
실적 및 목표치 |
'10년 목표치 산출근거 |
측정산식 (또는 측정방법) |
자료수집 방법 (또는 자료출처) |
|||
'07 |
'08 |
'09 |
'10 |
||||
기상특보 선행시간 (호우특보, 분) |
86 |
95 |
148 |
110 |
기상특보 선행시간에 대한 2015년 까지 중장기적인 목표치(120분)를 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연도별 목표치를 정함 ※ 2010년 목표치 : 110 2011년 목표치 : 112 2012년 목표치 : 114 2013년 목표치 : 116 2014년 목표치 : 118 2015년 목표치 : 120 |
기상청 예보성과 평가지침에 따른 평가 |
기상청 예보성과 평가결과 반영 |
단기예보 정확도 (강수유무, %) |
85.0 |
88.3 |
91.9 |
90.0 |
예보정확도에 대한 2015년 까지 중장기적인 목표치(93%)를 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연도별 목표치를 정함 ※ 2010년 목표치 : 90.0 2011년 목표치 : 90.9 2012년 목표치 : 91.6 2013년 목표치 : 92.2 2014년 목표치 : 92.6 2015년 목표치 : 93.0 |
기상청 예보성과 평가지침에 따른 평가 |
기상청 예보성과 평가결과 반영 |
(2) 외부환경‧갈등요인 분석 및 갈등관리계획
□ 기상특보 정확도에 대한 국회와 언론기관 지적에 적극적인 대응을 통한 기관 이미지 제고
○ 기상특보는 기상현상으로 인한 재해가 예상될 때 기상재해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국민에게 제공되는 정보로, 정보의 가치는 국민들에게 얼마나 빨리 제공되었는가에 따라 결정됨을 적극적으로 홍보
□ 지역적 특성에 맞는 특보기준 설정에 있어서 국민과 유관기관의 협조 필요
○ 특보기준 설정에 있어 기상특성과 기상재해를 고려하여 결정
○ 기준에 대한 유관기관과 국민의 의견수렴으로 객관성을 확보
- 27 -
□ 성과지표인 기상특보 선행시간은 위험기상 현상의 발생빈도와 원인에 따라 연도별 변화폭이 있음
○ 연도별 기상특성과 위험기상 발생 빈도 등 설명 자료를 작성하여 적극적으로 대응
(3) 기 타
○ 최근 10년간('98~'07) 기상재해에 의한 총 피해액이 20조원으로 급격히 증가 추세(http://www.nema.go.kr/data/statistic/list.jsp)
○ 특히, 폭설로 인한 피해 규모가 급증하여 새로운 대형재해 유발요소로 등장
※「루사」('02), 「매미」('03) 등 피해액 1조원 이상 태풍 3개가 최근에 집중
※ 충청지방 폭설('04): 6,734억원, 호남지방 폭설('05): 3,000억원이상
○ 미국도 토네이도, 돌발홍수와 같은 중간규모 위험기상은 1시간 이내에 초단시간 예보를 하고, 발달한 저기압 형태의 겨울철 폭풍 등의 대규모 현상은 15시간 정도의 대응시간을 갖고 대처 (http://www.corporateservices.noaa.gov)
(4) 관리과제별 추진계획
ꊱ 위험기상 실시간 감시체계 구현(1- 1- 정책①)
□ 추진배경 (목적)
○ 한반도로 접근해오면서 발달하는 위험기상(태풍, 집중호우 등)으로 인한 피해 규모가 증가 추세에 있음
○ 위험기상을 조기에 탐지하고 신속하게 분석‧예측이 가능하도록 지상, 고층, 해양, 레이더 관측망 확대 및 관측기술의 고도화 필요성 대두
- 28 -
□ 주요내용 및 추진계획
○ 레이더자료 분석‧예측 능력 향상과 위험기상 조기감시 강화
— 제작사별 레이더 분석프로그램의 통합 프로그램 개발(12월)
— 노후레이더의 첨단 이중편파 S- Band 교체 위한 기본 조사(8월)
— 강릉레이더 원시자료를 이용한 신호처리기술 연구 기반 조사
— 레이더장비 국산화 연차별 추진계획 수립
○ 지상관측 공백지역 위험기상 실시간 감시 강화
— 레이더- AWS 누적강수량 산출 알고리즘 개발
— 레이더 누적강수량의 비교검증
— 북한지역 등 지상관측 공백지역의 누적강수량 실시간 제공
○ 한반도 주변 해역의 위험기상감시 강화
— 해양기상관측 선박 건조와 운영(12월)
— 해양기상관측자료의 실시간 품질관리 강화
○ 한반도 고층대기 관측망 확충과 고층자료 활용성 제고
— 울릉도 고층관측소 구축 현지조사(5월), 고층관측 시험자료 분석
— 수직측풍장비, 라디오미터 관측자료의 활용기술 개발
○ 수직측풍, 위성, 낙뢰, 레이더자료 기반 통합활용기술 개발
— '11년 표출시스템 구축에 따른 사전 기술과 사례조사
〈'10년도 과제추진 계획〉
구 분 |
추진계획 |
세부일정 |
비 고 |
1/4분기 |
해양기상관측망 확충 계획 수립 |
'10.2월 |
|
고층관측자료 품질향상 계획 수립 |
|||
2/4분기 |
레이더자료 활용기술개발 중기계획 수립 |
'10.4월 |
|
울릉도 고층관측소 신설 현지조사 |
'10.5월 |
||
레이더- AWS 누적강수량 산출시스템 개발 추진 |
'10.6월 |
||
3/4분기 |
통합 레이더자료 분석 프로그램 개발 추진 |
'10.7월 |
|
이중편파 S- Band 레이더 도입 기본조사 |
'10.8월 |
||
레이더- AWS 누적강수량 산출 알고리즘 개발 |
'10.9월 |
||
해양기상관측선 장비 탑재 및 테스트 고층관측자료 활용기술개발 전문가 회의 |
|||
4/4분기 |
고층, 위성, 레이더자료 통합활용기술 개발 사례조사 |
'10.10월 |
|
통합 레이더자료 분석 프로그램 시험운영 |
'10.11월 |
||
레이더 누적강수량의 비교검증 |
|||
해양기상관측선 건조 완료 |
'10.12월 |
||
레이더 누적강수량 실시간 제공 |
- 29 -
□ 기대효과
○ 한반도 주변지역의 관측영역 확대와 위험기상 감시 극대화
○ 해양, 고층, 레이더 등 입체적 관측과 활용기술 개발로 집중호우 등 위험기상의 신속한 분석과 예측 능력 향상
□ 성과지표 및 측정방법
성과지표 |
실적 및 목표치 |
'10 목표치 산출근거 |
측정산식 (또는 측정방법) |
자료수집 방법 또는 자료출처 (성과측정시 유의사항) |
|||
’07 |
’08 |
’09 |
’10 |
||||
레이더 강수량 추정정확도 |
83 |
85.3 |
86.3 |
88.0 |
지난 3년간 상승세 및 천정효과를 고려하여 설정 |
레이더강우량추정정확도= Rr: 전국레이더 강우량 Gr: 전국 AWS 우량자료 |
자체조사 |
해상 위험기상 감시율 |
78 |
89.8 |
94.7 |
95 |
지난 3년간 상승세 및 천정효과를 고려하여 설정 |
해상특보 발표 기여율 = (특보시 정상가동 해양 장비수 / 해당해역 해양 장비수)×100 ※해당해역 해양 장비수=현업가동 중인 부이, 등표 수량 ※특보시정상가동해양장비수=장애관리시스템에서 정상가동으로 처리된 장비 수 |
기상청 통계자료 |
ꊲ 위험기상 예측모델 개발(1- 1- 정책②)
□ 추진배경 (목적)
○ 기존의 예측모델들(전지구, 지역)은 공간 분해능이 낮아 작고 강한 위험기상 현상들의 예측에 한계가 존재하고,
○ 실황에 근거한 모델들의 예측 능력은 3~6시간 이후 급격히 저하되어, 위험기상에 대응하기위한 선행시간이 부족함
○ 따라서 통합모델 기반으로, 레이더와 같은 실시간 관측자료를 활용하는 고해상도의 위험기상 예측모델을 구축하여,
○ 6시간부터 12시간까지의 위험기상 예측 능력을 향상하고자 함
- 30 -
□ 주요내용 및 추진계획
○ 통합모델을 이용한 위험기상 예측모델 기반 구축
— 위험기상 예측(강수 시작시간과 양)을 위한 최적 공간 해상도 결정(4월)
— 예보 정확도는 유지하고 계산 소요시간은 단축되는, 지역모델과 연계한 최적 체계 구성(5월)
— 지형, 지표조건, 해수온도 등의 모델 운영 기초 자료 구성(6월)
— 강수 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과정의 조합 구성(7월)
— 경계자료 입력 최적 주기 결정(8월)
○ 레이더 관측자료 활용 체계 구축
— 레이더 사이트별 품질검사 기능 강화
— 기상청 레이더 활용을 위한 통합모델 개선
▪기상청 레이더의 입력 루틴 개발과 이식(3~4월)
▪시선속도 품질 검사 강화(7월), 시선속도 펼침 과정 개발과 이식(8월)
○ 위험기상 예측모델 체계 구축 시범운영('10)
— 분석- 예측을 연동한 사이클(3시간 간격) 체계 구축(10월)
— 레이더 관측자료 활용에 따른 강수 예측 민감도 분석(11월)
○ 위험기상 예측모델 현업운영 및 강수 예측 능력 개선('11년)
〈'10년도 과제추진 계획〉
구 분 |
추진계획 |
세부일정 |
비 고 |
1/4분기 |
위험기상 예측모델 구축 계획 수립 |
'10.2월 |
|
기상청 레이더 활용체계 구축 계획 수립 |
'10.3월 |
||
2/4분기 |
위험기상 모델의 해상도 등 최적화 |
'10.4월 |
|
위험기상모델을 위한 기반자료 최적화 |
'10.6월 |
||
3/4분기 |
기상청 레이더 입력과정 개발‧이식 정합성 |
'10.8월 |
|
위험기상 예측모델 체계 구축 |
'10.9월 |
||
4/4분기 |
위험기상 예측모델 분석- 예측을 연동한 사이클 체계 구축 |
'10.10월 |
|
위험기상 예측모델 시범 운영 결과 분석 |
'10.12월 |
||
2011 |
위험기상 예측모델 분석- 예측을 연동하는 최적 주기 결정 |
'11.3월 |
|
구름과 강수 생산 과정 민감도 실험 |
'11.5월 |
||
지표- 대기 상호과정 정교화 |
'11.6월 |
- 31 -
□ 기대효과
○ 시‧공간적으로 상세한 국지 기상을 예측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여 위험기상 예측능력 향상을 위한 기반 마련
○ 향상된 강수예측 능력 향상으로 돌발홍수 등을 예측하는 모델들의 예측 능력 향상
○ 통합 모델내의 레이더 시선속도 자료 활용 루틴 개발로 기상청 레이더 활용 능력 확대
□ 성과지표 및 측정방법
성과지표 |
실적 및 목표치 |
'10 목표치 산출근거 |
측정산식 (또는 측정방법) |
자료수집 방법 또는 자료출처 (성과측정시 유의사항) |
|||
’07 |
’08 |
’09 |
’10 |
||||
예측모델 정교화 지수 |
- |
- |
- |
0.65 |
○ 수평해상도 증가지수 - 기존 고해상도모델의 수평해상도: 5km - 위험기상모델 해상도: 1.5km ∴ 1.5 / 5.0 = 0.3 ○ 비종관 자료 활용도 - 기존 고해상도 모델과 동일한 자료 종류와 수를 활용 (모델이 변경되는 상황에서 동일한 자료 활용 보장) ∴ 1.0 따라서, ‘10년 목표치는 가중치를 합한 0.65로 설정 |
예측모델 정교화 지수 = 수평해상도 증가지수*0.5 + 비종관 자료 활용도*0.5 ○ 수평해상도 증가지수 = A_달성/A_목표치 A_목표치: 기존 고해상도모델 수평해상도 A_달성: 위험기상모델 해상도 ※단, 위험기상모델 1개월간 안정적 운영 ○ 비종관 자료 활용도 = B_달성/B_목표치 - 기존 고해상도모델(B_목표치)과 동일한 영역에서 이용되는 비종관 자료 수 ※단, 위험기상모델 1개월간 안정적 운영 |
※구축단계(‘10년)에서 사용 가능 향후 개선 예정 |
ꊳ 위험기상 대비 정책능력 강화(1- 1- 정책③)
□ 추진배경 (목적)
○ 기상재해를 예방하기 위해 사전 방재기상대책 수립‧시행과 유관기관 협조체계 강화
○ 기상재해 최소화를 위해 신속한 위험기상정보 제공 필요
○ 국민의 생활안정을 위한 기상정보의 안정적 제공(「기상법」 제4조)
○ 기상현상에 대해 일반인이 이용할 수 있도록 예보 및 특보업무를 수행(「기상법」 제13조, 동법 시행령 제8조)
- 32 -
□ 주요내용 및 추진계획
○ 수요자 중심의 위험기상정보 서비스
— 낙뢰 관측 자료를 활용한 낙뢰정보 서비스 확대
— 안개특보 시험운영 확대계획 수립(6월)
○ 지역별 특성에 맞는 기상특보 세분화 추진
— 대설특보 시범운영 분석결과를 반영하여 전국 확대여부 결정(5월)
— 기상특성을 반영한 특보 발표기준 개선
— 지역실정에 맞는 호우특보 세분화 시험운영(6월)
— 지역실정에 부합한 대설특보 세분화 확대(12월)
○ 위험기상에 대한 정확도 향상과 대응능력 강화를 위한 위험기상 개념모델 정립
— 웹기반 위험기상 상황인지시스템 구현
‧위험기상 요소별 자동 모니터링과 알림이 구현(10월)
— 웹기반 위험기상 예‧특보 의사결정시스템 구현
‧6개 도시 대설 등 선행조건 의사결정 분지도 개발(10월)
○ 위험기상 사전대비를 위한 방재기상대책 수립‧시행과 방재관련 유관기관 협력강화
— 예보관계관 회의 개최(4월, 10월)
— 여름철/겨울철 유관기관 방재기상업무협의회 개최(5월, 11월)
— 여름철/겨울철 방재기상대책 수립‧시행(5월, 11월)
○ 위험기상 정확도 향상을 위한 예보 가이던스 개발
— 안개예측용 특화모델과 가이던스 개발(12월)
○ 예보 만족도 향상을 위한 국민과 언론과의 소통강화(2월)
— 위험기상에 따른 날씨변화 시나리오 정보제공(2월)
○ 해양·초단기예보 등 재해별 전문예보관제 신설 추진(9월)
- 33 -
〈'10년도 과제추진 계획〉
구 분 |
추진계획 |
세부일정 |
비 고 |
1/4분기 |
국민과의 소통강화 계획 수립 |
'10.2월 |
|
2/4분기 |
예보관계관 회의 |
'10.4월 |
|
여름철 방재기상대책 수립‧시행 |
'10.5월 |
||
대설특보 시범운영 결과분석 |
'10.6월 |
||
산지와 평지의 호우특성을 반영한 호우특보 세분화 시험운영 |
|||
안개특보 시험운영 확대계획 수립 |
|||
3/4분기 |
한파특보 발표기준 개선 |
'10.9월 |
|
해양·초단기예보 등 재해별 전문예보관제 직제 반영 |
|||
4/4분기 |
위험기상 개념모델 정립 |
'10.10월 |
|
겨울철 방재기상대책 수립‧시행 |
'10.11월 |
||
지역실정에 부합한 대설특보 세분화 확대 추진 |
'10.12월 |
※ 방재업무 내실화를 위하여 여름철 방재기간(5.15~10.15)업무추진 지양
□ 기대효과
○ 위험기상 정보지원 강화로 기상재해 최소화에 기여
○ 위험기상 시나리오 제공을 통한 선제적 대응체계 구축
○ 국민의 요구를 반영한 특보제도 개선으로 국민 만족도 향상
□ 성과지표 및 측정방법
성과지표 |
실적 및 목표치 |
'10 목표치 산출근거 |
측정산식 (또는 측정방법) |
자료수집 방법 또는 자료출처 (성과측정시 유의사항) |
|||
'07 |
'08 |
'09 |
'10 |
||||
유관기관 정보제공 서비스 만족도(%) |
79.4 |
77.1 |
81.2 |
80.0 |
3년간 실적이 하강 후 상승한 추세로 3년 평균치 79.2%보다 향상된 80.0%을 목표치로 설정 |
유관기관정보이용자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전화면접 조사 |
설문조사 전문기관에 의뢰한 조사결과 반영 |
기상특보 만족도 |
71.9 |
64.3 |
68.8 |
69.0 |
3년간 실적이 하강 후 상승한 추세로 3년 평균치 68.3%보다 향상된 69.0%을 목표치로 설정 |
유관기관정보이용자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전화면접 조사 |
설문조사 전문기관에 의뢰한 조사결과 반영 |
- 34 -
ꊴ 황사 감시와 예측능력 향상(1- 1- 정책④)
□ 추진배경 (목적)
○ 최근 황사 발생이 증가하여 국민의 건강과 산업에 피해를 가져옴에 따라 재해예방 차원의 황사대책 추진
○ 황사피해방지종합대책(2008. 5., 기상청 등 정부관계부처 합동)
— 황사 입체 관측망 구축 - 발원지 황사관측망 확충
— 황사예보 기술 개발 - 황사예측모델 개발 및 개선
— 2012년까지 황사예보 정확도 70% 달성
※ 최근 5년간 평균 예보정확도 약 62% 수준
○「대기환경보전법」시행령(대통령령 제21626호, 일부개정 2009.7.7.) 제3조 황사피해방지 종합대책 수립 등
□ 주요내용 및 추진계획
○ 동아시아 황사종합감시‧분석을 통한 황사예보 지원
— 황사전문예보관과 해외모니터(아르고스) 운영 강화
※ 중국과 몽골에 거주하는 해외교민 등을 통해 현지의 황사정보를 입수하기 위하여 '06년부터 아르고스 운영 중
— 연구용 황사입자 계수기 운영(6개소), 추가 설치(1개소)
— 발원지 황사감시기상탑 운영(2개소), 추가 설치(몽골 1개소)
— 봄철 황사전망 발표(2월)
○ ‘서울 황사감시센터’ 효율적 운영
— 미세먼지의 크기분포 등 황사, 연무의 물리 특성 분석
— 준실시간 화학분석을 통한 황사, 연무 분석 기술 개발
○ 황사 모델 개선을 통한 예측 능력 향상
— 사계절용 황사모델인 UM- ADAM2 운영시스템 현업화
— PM10 관측망 활용하여 황사자료동화시스템 기반 구축
— 계절적 황사예측성 향상을 위한 사계절예측시스템(통계모델) 시험 운영
- 35 -
○ 동북아 황사 공동대응을 위한 국제협력 강화
— 한‧몽 황사연구협력 사업으로 황사감시기상탑 운영과 추가설치, 몽골기상청에 모델 이식‧운영
— 한‧미 국제공동연구(전지구 에어러솔 관측망 운영)
▪ 황사, 에어러솔의 특성과 기후 관련 연구
— 한‧중 황사공동 관측 전문가 교류 협력
▪ 한‧중 황사공동관측소 운영자 교육으로 현장 품질관리 강화
— 한‧중‧일 황사공동연구단 실무그룹(Ⅰ) 활동
— WMO SDS- WAS(아시아 태평양 황사 조기경보센터) 운영위원회 활동 강화
○ 정부 합동 황사피해방지 종합대책의 실적과 계획 보고
〈'10년도 과제추진 계획〉
구 분 |
추진계획 |
세부일정 |
비 고 |
1/4분기 |
한‧중 황사공동관측소 운영자 교육 |
'10.2월 |
|
황사 전문예보관 운영 |
|||
황사 계절예측시스템 시험 운영 |
|||
황사 해외모니터(아르고스) 시행 |
'10.3월 |
||
2/4분기 |
서울 황사감시센터 운영 (황사의 물리, 화학 특성 분석) |
'10.5월 |
|
3/4분기 |
황사입자계수기 추가 설치‧운영 |
'10.8월 |
|
UM- ADAM2(사계절용) 현업화 |
'10.9월 |
||
4/4분기 |
황사감시기상탑 추가 설치 |
'10.11월 |
|
황사피해방지 종합대책 추진실적과 계획보고 |
'10.12월 |
□ 기대효과
○ 국내외 황사 발생 및 이동에 대한 종합감시 체제 구축으로 황사의 실시간 감시능력 강화
○ 첨단 황사감시 기법과 예보기술 개발로 황사예측능력 향상 및 신속한 정보 전달로 국민의 황사 피해 최소화
- 36 -
□ 성과지표 및 측정방법
성과지표 |
실적 및 목표치 |
'10 목표치 산출근거 |
측정산식 (또는 측정방법) |
자료수집 방법 또는 자료출처 (성과측정시 유의사항) |
|||
'07 |
'08 |
'09 |
'10 |
||||
황사예보정확도(%) |
56.0 |
62.8 |
66.2 |
67.5 |
최근 3년간(‘07~’09년) 실적이 상승 추세이나, 현 황사예보기술 수준을 감안하여 3년간 평균(61.7%) 보다 4.3% 높은 목표치 설정 ‘09년 목표치 대비 1% 증가 |
임계성공지수 CSI=H/(H+M+F) *100 H : 황사를 예보하고 황사가 관측된 경우 수 M : 황사를 예보하지 않았으나 황사가 관측된 경우 수 F : 황사를 예보하였지만 황사가 관측되지 않은 경우 수 * 황사예보성공수 =H 황사예보실패수=M+F |
기상청 통계자료 |
황사정보 실시간 서비스 제공 지수 |
- |
- |
0.72 |
0.9 |
신규지표로 황사 취약계층대상 황사정보 실시간 제공(SMS)건수를 지수로 평가 |
황사정보 실시간 서비스 제공 지수 R : 황사정보 수신 성공자수(명) S : 황사정보 수신대상자 총수(명) N : 황사발생 횟수(회) |
기상청 통계자료 |
ꊵ 태풍 감시와 예측능력 향상(1- 1- 정책⑤)
□ 추진배경 (목적)
○ 태풍전용모델 개발 등 국내외 기술협력 강화와 선진기술 확보를 위해 지속적 노력 필요
○ 보다 신속 정확한 태풍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태풍정보 활용도 증대와 수요자 중심의 태풍정보 서비스 제공
□ 주요내용 및 추진계획
○ 상시 4단계 태풍업무(태풍발생 감시- 분석- 예보- 평가) 환류체계 구축
— 태풍 분석과 예보 상세브리핑, 태풍정보생산 모의훈련 실시
— 태풍예보 주례회의 개최, '09년 태풍분석보고서 발간
— 태풍 분석과 예측시스템(TAPS) 개선
— 체계적인 열대저압부 분석 절차 마련
— 태풍전용 모델을 이용한 태풍 5일 예보 시스템 구축
— 슈퍼컴 3호기를 활용한 태풍예보 기술개발 연구 수행
- 37 -
○ 태풍활동 변화에 대한 통계적‧진단적 연구
— 태풍 최적진로 재분석 단계적 실시
— 관측자료를 통한 한반도 영향 태풍의 진로와 강도 등 변화 경향 분석
— 최적진로 자료를 활용한 장기간 태풍활동의 변화 경향 분석
○ 능동적 국제협력을 통한 국가태풍센터 위상 정립
— 제42차 태풍위원회 총회 참가('10.1월), 제43차 태풍위원회 총회(’11.1월) 한국 유치 추진
— 제3차 한‧중 태풍워크숍 개최('10.12월, 제주)
— 태풍위원회 연구장학생 훈련과 공동연구 수행('10년 하반기, 3개월 2인)
〈'10년도 과제추진 계획〉
구 분 |
추진계획 |
세부일정 |
비 고 |
1/4분기 |
태풍위원회 총회 참석 |
’10.1월 |
|
태풍 5일 예보 시스템 구축 계획 수립 |
’10.2월 |
||
태풍분석 및 예측시스템(TAPS) 개선 착수 |
’10.3월 |
||
2/4분기 |
태풍정보생산 모의훈련 실시 |
’10.5월 |
태풍예보 집중기(5~10월) |
국외 태풍관련 기관 방문 |
|||
태풍 5일 예보 시스템 구축 중간점검 |
’10.6월 |
||
3/4분기 |
태풍위원회 연구장학생 초청 공동연구 수행 |
’10.9월 |
|
4/4분기 |
태풍 5일 예보 시스템 결과 보고 |
’10.10월 |
|
2010년 특이 태풍 재분석 실시 |
’10.11월 |
||
제3차 한‧중 태풍워크숍 개최(제주) |
’10.12월 |
||
태풍위원회 연구장학생 초청 공동연구 수행 결과 보고 |
□ 기대효과
○ 선진국 수준의 태풍분석 및 예보시스템 구축으로 태풍정확도 향상
○ 대국민 서비스 향상 및 태풍재해 경감에 기여
- 38 -
□ 성과지표 및 측정방법
성과지표 |
실적 및 목표치 |
'10 목표치 산출근거 |
측정산식 (또는 측정방법) |
자료수집 방법 또는 자료출처 (성과측정시 유의사항) |
|||
’07 |
’08 |
’09 |
’10 |
||||
태풍예보정확도 (km, 48시간 태풍진로 절대오차) |
207 |
229 |
213 |
207 |
기후변화에 따른 태풍진로 패턴의 갑작스러운 변화로 인해 지난 3년('07~'09)간 태풍예보오차를 평균한(216km) 값에 대해 4% 향상한 값을 목표로 설정 |
48시간 태풍진로 예보 오차 N : 예보횟수, F : 48시간예보 태풍중심 위치 O : 관측태풍중심위치 |
기상청 통계자료 |
태풍 전용모델 예보 정확도 (48시간 태풍진로 오차) |
- |
- |
340 |
326 |
‘09년 대비 4% 향상한 태 풍전용모델(TWRF)의 48시간 진로예보 오차를 목표로 설정 |
태풍 전용모델 예보 정확도 (48시간 태풍진로 오차) N : 예보횟수, F : 48시간예보 태풍중심위치 O : 관측 태풍중심위치 |
기상청 통계자료 |
ꊶ 초단기 예보시스템 개발(1- 1- 정책⑥)
□ 추진배경 (목적)
○ 초단기 예보의 미비로 동네예보 발표 후 3시간 이내 돌발적으로 발생하는 기상현상에 대처하기 어려움
○ 1∼7일의 단기 및 중기예보는 거의 선진국 수준에 도달하였으나 0∼6시간의 초단기 예보와 재해예보에 대해서는 개선 필요
○ 동네예보가 성공적으로 정착이 되었으나 기상실황에 대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지 않아 보강이 시급함.
○ 실황에서부터 초단기 예측까지 신속성, 적시성, 예측성을 갖춘 초단기 예보시스템의 개발이 필요
- 39 -
□ 주요내용 및 추진계획
○ 동네예보의 실황과 초단기 예보지원을 위한 KLAPS* 개선
* KLAPS (Korea Local Analysis and Prediction System) : 초단기 기상분석 및 예측시스템
— 통합모델의 현업운영에 따른 연동체계 구축(3월)
— 초단기 예측전용 레이더 자료 처리과정 및 비단열 초기화과정 개선(4월)
— 초단기 강수예측향상을 위한 예측모델 물리과정 개선(5월)
— KLAPS 기반의 동네예보 실황제공 체계 구축(5월)
— 겨울철 방재대비 강수유형 판별 알고리즘 개선(9월)
— KLAPS의 예측변수별 평가를 통한 동네예보 적용 가능성 평가(10월)
— 초단기 기상분석 및 예측시스템의 2010년도 운영결과의 종합평가(12월)
○ 초단기 강수확률예측시스템 구축 및 시범운영
— 한반도 강수에코의 시‧공간 규모별 생존 주기를 고려한 최적관계식 산출(5월)
— 초단기 강수확률예측시스템 구축 및 시범운영(7월)
○ 낙뢰 실황예측 기반기술 개발
— 변분법에 의한 낙뢰 이동벡터 산출알고리즘 개발(8월)
— 과거 사례를 중심으로 한 1시간 예측모델 구축(9월)
○ 실황에 대한 3차원 입체분석을 위한 고품질 재분석 자료 생산
— 2009년도 고해상도 재분석 자료 생산(4월)
※ 재분석자료 분석모델: KLAPS, 수평해상도: 5km, 시간간격: 1시간, 연직 22층(지상포함), 자료: 수직측풍기, 레이더, 위성, 민간항공기 관측자료 등의 비종관관측자료 포함
— 재분석자료를 기반으로 한 2009년도 위험기상연감 발간(6월)
— 2007년도 고해상도 재분석 자료 생산(11월)
○ 동네예보시스템을 이용하여, 초단기- 단기예보의 연속적이고 일관성 있는 예보체계 개발('11)
○ 초단기 강수 확률예측시스템 시험운영('11)
○ 초단기 낙뢰 확률예측시스템 구축('11)
- 40 -
〈'10년도 과제추진 계획〉
구 분 |
추진계획 |
세부일정 |
비 고 |
1/4분기 |
초단기 예측모델 개선 계획 수립 |
'10.2월 |
|
지역통합모델과 연동체계 구축 |
'10.3월 |
||
2/4분기 |
레이더 자료처리 및 비단열 초기화 기법개선 |
'10.4월 |
|
2009년도 고해상도 재분석 자료 생산 |
|||
동네예보 실황제공 체계 구축 |
'10.5월 |
||
2009년도 위험기상연감 발간 |
'10.6월 |
||
3/4분기 |
초단기 강수확률예측시스템 시범운영 |
'10.7월 |
|
낙뢰 실황예측모델 구축(1시간예측) |
'10.9월 |
||
4/4분기 |
초단기 예측모델의 동네예보 적용가능변수 평가 |
'10.10월 |
|
2007년도 고해상도 재분석 자료 생산 |
'10.11월 |
||
초단기 예측모델의 예측성 종합평가 |
'10.12월 |
||
2011 |
초단기 강수확률예측시스템 시험운영 |
'11.3월 |
|
동네예보 기반의 한 초단기 예측시스템 시험운영 |
'11.6월 |
||
초단기 낙뢰 확률예측시스템 구축 |
'11.11월 |
□ 기대효과
○ 초단기예보를 제공하여 연속적인 동네예보 서비스를 실현하고, 초단기 강우량 예보능력 향상으로 재해대응 능력을 강화
□ 성과지표 및 측정방법
성과지표 |
실적 및 목표치 |
'10 목표치 산출근거 |
측정산식 (또는 측정방법) |
자료수집 방법 또는 자료출처 (성과측정시 유의사항) |
|||
’07 |
’08 |
’09 |
’10 |
||||
초단기 예측시스템의 예측숙련도(%) |
17.7 |
22.4 |
26.1 |
27.1 |
- 초단기 기상분석 및 예측시스템의 예측성 향상 경향을 반영하여 설정 - 강한 강수에 대한 예측 정확도는 30.0을 기준으로 포화가 예상되어 ‘09년 대비 1.0상향 조정 |
ETS=(H- E)/(H+M+F- E) × 100 여기서, H(Hits), M(Misses), F(False alarms), E=((H+M)(H+F))/Total - 예측강수: 6시간 누적강우량 12.5mm 기준 - 관측강수: AWS 강우관측자료 |
|
고해상도 재분석 자료 생산 및 활용도 지수(%) |
- |
3.3 |
15 |
- 고해상도 재분석자료 2년분 생산 (‘09년도, ’07년도) - 내‧외부 기관 재분석자료 제공 및 활용도 10건 이상 목표치 = (3/15 + 10/100)/2×100=15 ※‘09년 : 2008년도 재분석자료 생산 |
= (B_달성 / B_목표치 + C_달성 / C_목표치) ÷ 2 × 100 - B_달성 : 누적달성년수 - B_목표치 : 최종목표생산년수(15년) - C_달성 : 누적활용건수 - C_목표치 : 최종목표활용건수(100건) ※고해상도 재분석자료 - 5km 해상도, 1시간 간격, 3차원 분석 |
- 41 -
ꊷ 국가태풍센터 운영(Ⅰ- 1- 재정①)
□ 목적 및 주요내용
ㅇ 안정적인 태풍예측서비스 제공을 위한 국가태풍센터의 효율적인 운영과 체계적인 예산집행
ㅇ 주요내용
— 안정적인 태풍예측서비스 제공
‧태풍 감시 분석 및 정보생산 발표
‧태풍 사례분석 및 보고서 작성
‧태풍전문가 초청 각종 세미나 개최로 태풍선진예보기술공유
‧태풍관련 재해에 관한 연구
— 국가태풍센터의 효율적인 운영
‧태풍센터 근무환경 개선
‧태풍예측관련 장비의 안정적 운영
‧청사관련 각종설비관리용역
□ 성과지표 및 측정방법
성과지표 |
실적 및 목표치 |
'10년 목표치 산출근거 |
측정산식 (또는측정방법) |
자료수집 방법 (또는 자료출처) |
|||
'07 |
'08 |
'09 |
'10 |
||||
태풍예보정확도(%, 48시간 태풍진로 상대오차) |
92 |
94 |
96 |
96 |
태풍예보 선진국인 미국과 일본의 최근 3년(‘07~’09) 간 48시간 태풍 오차율을 평균한 값에 1% 향상한 값을 목표 값으로 산정 |
KMA=
JMA : 일본기상청 48시간 태풍진로 오차 JTWC : 미국합동태풍경보센터 48시간 태풍진로 오차 KMA : 평균한 기상청 48시간 상대태풍진로 오차 |
기상청 통계자료 |
- 42 -
□ 관련 예산사업 내역
(단위 : 억원)
'09 |
’10 |
회계 구분 |
사업 구분 |
비고 (세부사업수) |
|
국가태풍센터운영(1131) |
5.5 |
5.2 |
일반회계 |
단위사업 |
|
(5.5) |
(5.2) |
(1) |
* 괄호안은 해당 단위사업 내의 전체 세부사업 금액 및 전체 세부사업 개수
□ 관련 예산사업 개요
① 국가태풍센터 운영
ㅇ 사업기간 : 계속
ㅇ 지원형태 : 직접수행
ㅇ 지원조건 : 해당사항 없음
ㅇ 시행주체 : 기상청
- 43 -
성과목표Ⅰ- 2 |
기후변화 적응‧대응 역량 강화 |
(1) 주요내용
□ 범정부 저탄소녹색성장 지원을 위한 기후변화대응 국가 역량 강화
○ 유관기관 기후변화 감시, 예측 정보 생산‧제공
○ 녹색성장 국가전략 및 5개년 계획의 세부이행계획 수립‧이행
○ 기후변화에 대한 전 국가적 관심 증가에 따른 기후변화에 대한 대국민과 언론 홍보 강화를 통한 이해도 증진
○ 범지구적 기후변화대응 노력에 적극 동참을 통한 국제사회 선도
□ 기후변화 과학정보 생산‧제공‧활용을 위한 기반 기술 개발
○ 기후변화 과학정보의 실용화 지원을 위한 연구개발 확대와
활용 증진
○ 국내 기후변화 관련 정책 발굴과 연구 활성화 지원
○ 국가표준 기후변화 시나리오와 지구시스템모델 개발로 미래기후 예측 능력 강화
□ 성과목표의 전략목표에의 부합성
기상ㆍ기후 재해경감을 위한 사전예방 능력 제고
녹색성장 국가대응 체계 기반 조성
기후변화 국가대응 인프라 강화
기후변화 적응ㆍ대응 역량강화
성과목표 주요내용
성과목표
전략목표
기후변화에 의한 미래위험에 사전 대비
- 44 -
[성과목표별 성과지표]
성과지표 |
실적 및 목표치 |
'09년 목표치 산출근거 |
측정산식 (또는 측정방법) |
자료수집 방법 (또는 자료출처) |
|||
'07 |
'08 |
'09 |
'10 |
||||
기후변화 대응 역량 지수 |
- |
- |
55 |
60 |
'10년 신규 지표로 기후변화 대응 역량을 산출하여 지수로 평가 |
=[(A+B+C)/3]*100 - A: 기후업무관련 정책 채택율 - B: 기후변화 시나리오 활용지수 - C: 기후변화 과학 국민 인지도 |
각각의 세부지표 결과를 토대로 지수 산출 |
(2) 외부환경‧갈등요인 분석 및 갈등관리계획
□ 현 정부는 60년 국가비전으로 ‘저탄소 녹색성장(Low Carbon, Green Growth)’의 새로운 비전 제시
○ 국가 기후변화과학의 주관부처로서 역량 강화를 통한 국제사회 선도 필요
— 제32차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 총회 개최('10.10월)
○ 제18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 한국 유치 표명('09.12월, 대통령)
— ‘글로벌 녹색성장연구소(Global Green Growth Institute)’ 설립 제안
□ 기후변화관련 부처 및 내부 부서간의 공조 기능 확대
○ 기후변화과학(감시, 원인규명, 예측 등), 기후변화 영향‧적응 및 취약성, 기후변화 완화로 구분하여 부처별 역할 수행
— 기후변화과학 : 기상청
— 기후변화 영향·적응 및 취약성 : 환경부
— 기후변화 완화 : 지식경제부
○ 기후변화과학의 효율적 추진을 위한 내부 부서와의 담당업무 역할 정립과 공조 확대 필요
- 45 -
(3) 기타
○ 202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확정
— IPCC가 개발도상국에 권고한 감축범위(BAU 대비 15~30% 감축)의 최고수준인 배출전망대비 30% 감축(2005년 대비 4% 감축)으로 설정
* BAU(Business As Usual, 通常經營推計方式): 특별한 조치(저탄소녹색성장 등)를 취하지 않을 경우 배출될 것으로 예상되는 미래 전망치. 즉, 국민경제의 통상적 성장관행을 전제로 유가변동, 인구변동, 경제성장률 등에 따라 영향을 받을 미래의 온실가스 배출 추계치임
(4) 관리과제별 추진계획
ꊱ 기후변화 국가 대응 인프라 강화(1- 2- 정책①)
□ 추진배경(목적)
○ 국가차원의 기후변화 저감‧적응 대책 수립 지원을 위한 기후변화 국가 대응 실용적 인프라 강화
○ 기후변화과학 주관 부처로서 범정부 녹색성장 추진의 선도적 역할 수행
○ 기후변화에 대한 전 국가적 관심 증가에 따른 대국민과 언론 홍보 강화
□ 주요내용 및 추진계획
○ 범정부 저탄소녹색성장 지원을 위한 기후변화대응 관련 국가 역량 강화
- 46 -
— 기후변화과학 분야의 효율적 대응을 위한 법령‧훈령 등 체계 정비와 제도 개선
— 기후자문협의회, 기후변화관련 각종 워크숍, 포럼 개최를
통한 국가 기후변화 대응 정책 발굴
— 녹색성장 국가전략 및 5개년 계획(기상청 소관과제 12개) 등 세부이행계획 수립‧이행
— 지자체 기후변화 적응대책 수립 지원사업 추진(1개)
— 청내 ‘녹색성장 추진관 활성화’ 추진
○ 범지구적 기후변화대응 노력에 적극 동참을 통한 국제사회의 선도적 기여
— 제32차 IPCC 총회, 제2차 동아시아 기후변화 워크숍 개최를 통한 국제사회의 주도적 역량 강화
— IPCC 제5차 평가보고서, 특별보고서 등의 핵심저자로서 국내 전문가 발굴‧참여 확대
‧한국기후변화협의체(KPCC) 활동 강화를 통한 기후변화과학 분야 전문가 발굴
— 기후변화 관련 국제활동(WMO, UNFCCC, WRCP, GAW 등) 강화를 통한 국가 위상 제고
— 한반도 주변해역 기후변화 감시를 위한 공동관측 수행
※ 기상2000호(기상청), 해양탐사선(국립수산과학원), 쇄빙선(극지연구소) 등을 활용
○ 기후변화과학 및 녹색성장 관련 정책‧홍보기능의 강화
— 기후변화정보센터 홈페이지 운영 활성화와 기후변화감시 자료의 홍보 강화
‧수요자 중심의 서비스 실현을 위한 기후변화정보센터 콘텐츠 개선
‧보도자료, 언론기고, 관련 리플릿 제작 등 홍보물 제작 배표
— 기후변화과학 정책 포럼 개최 및 전문가 초청강연 등을 통한 최신 정보 공유
— 기후변화전문가 교육과정 개설‧운영, 기후변화 뉴스레터
- 47 -
발간 등을 통한 홍보 강화
— 국내외 기후- 환경 유관기관과의 협력 네트워크 구축 강화
○ 선진국 수준의 기후변화감시 기술 확보
— WMO/GAW 세계자료센터(5개소)와 자료 공유, 제2차 동아시아 기후변화 워크숍 개최
— WMO 주관 온실가스, 강수화학 등 국제 공동 비교 실험 주도적 참여
— 사불화탄소(CF4) 측정 시스템 현업화와 수불화탄소(HFCs) 측정 기술 개발
〈'10년도 과제추진 계획〉
구 분 |
추진계획 |
세부일정 |
비 고 |
1/4분기 |
기후업무발전계획(2010~2014) 수립‧시행 |
'10.1월 |
|
기후관련 업무규정 개정 계획 수립 |
'10.2월 |
||
2/4분기 |
기후자문협의회 개최 |
'10.5월 |
|
UNFCCC 과학기술자문부속회의(SBSTA) 참가 |
'10.6월 |
||
IPCC 전문가 발굴 추천 |
|||
3/4분기 |
기후변화과학 정책 포럼 개최 |
'10.7월 |
|
한반도 주변해역 기후변화 감시를 위한 공동관측 수행 |
|||
기후변화 뉴스레터 발간 |
'10.9월 |
||
기후관련 업무규정 개정 |
|||
4/4분기 |
제32차 IPCC 총회 개최 |
'10.10월 |
|
제2차 동아시아 기후변화 워크숍 개최 |
|||
녹색성장 추진 과제별 '10년 종합 실적 점검 및 평가 |
'10.11월 |
||
UNFCCC 제16차 당사국총회 참가 |
'10.12월 |
||
극지기후변화감시소(남극) WMO 지정 |
□ 기대효과
○ 기후변화 국가 대응 인프라 강화를 통한 기후변화감시‧예측에 대한 과학적 정보 생산‧제공 및 신성장 동력 지원
○ 기후변화 관련(IPCC, UNFCCC, GAW 등) 국제협력의 주도적 역할 수행을 통한 기상청 위상 제고
○ 국민이 만족하는 수요자 중심의 기후변화정보 서비스 구현
- 48 -
□ 성과지표 및 측정방법
성과지표 |
실적 및 목표치 |
'10년 목표치 산출근거 |
측정산식 (또는 측정방법) |
자료수집 방법 또는 자료출처 (성과측정시 유의사항) |
|||||||||||||||||
'07 |
'08 |
'09 |
'10 |
||||||||||||||||||
기후업무관련 정책 채택율(%) |
65 |
75 |
매년 5%씩 향상시켜 ‘13년 목표 90%달성 |
○ 기후업무관련 정책 채택율(A) =(채택건수/목표건수)*100
※ 기후변화관련 행사(포럼, 워크숍, 협의회, 토론회 등) 및 자체 발굴을 통해 발굴하여 정책에 반영한 건 수 |
차년도 성과관리시행계획, 각종 주요업무보고 및 관련 법령‧ 훈령 제‧개정 결과 문서 |
||||||||||||||||
기후변화 관련 전문가 확보율(%) |
35 |
45 |
매년 10%씩 향상시켜 ‘13년 목표 75%달성 |
○ 기후변화 관련 전문가 확보율 C= [A/50 + B/20]/2 ×100 - A: IPCC 등 국제기구 참여를 위해 정부에서 지명한 누적 전문가 수 ※ 목표(단, ‘10년은 ’09년부터 누적)
- B: IPCC 등 기후변화 관련 국제기구 전문가 회의, 저자, 검토전문가 등으로 선정되어 실제 참여한 누적 전문가 수 ※ 목표(단, ‘10년은 ’09년부터 누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