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도 상반기
성과점검회의
2010. 6
|
|||||||
■ 대변인 - 감사담당관 - 운영지원과 ▬ 대변인 1 ▬ 감사담당관 10 ▬ 운영지원과 13 ■ 기획조정관 ▬ 기획재정담당관 16 ▬ 행정관리담당관 27 ▬ 인력개발담당관 32 ▬ 국제협력담당관 41 ■ 예보국 ▬ 예보정책과 45 ▬ 예보기술팀 55 ▬ 국가태풍센터 58 ■ 수치모델관리관 ▬ 수치모델개발과 64 ▬ 수치자료응용과 74 ▬ 슈퍼컴퓨터운영과 78 |
■ 관측기반국 ▬ 관측정책과 85 ▬ 해양기상과 97 ▬ 기상기술과 102 ■ 지진관리관 ▬ 지진정책과 111 ▬ 지진감시과 114 ■ 기후과학국 ▬ 기후정책과 117 ▬ 기후예측과 133 ▬ 한반도기상기후팀 137 ▬ 기후변화감시센터 140 ■ 기상산업정보화국 ▬ 기상산업정책과 145 ▬ 기상자원과 157 ▬ 정보통신기술과 163 |
|
|||||||
■ 국립기상연구소 ▬ 연구기획운영팀169 ▬ 정책연구과177 ▬ 예보연구과180 ▬ 기후연구과183 ▬ 지구환경시스템연구과190 ▬ 황사연구과193 ▬ 응용기상연구과196 ■ 국가기상위성센터 ▬ 위성기획팀205 ▬ 위성운영팀215 ▬ 위성분석팀218 ■ 기상레이더센터 ▬ 레이더운영팀 222 ▬ 레이더분석팀 225 |
■ 항공기상청 ▬ 기획운영과 231 ▬ 예보과 234 ▬ 정보지원과 237 |
대변인- 감사담당관- 운영지원과
2010년도 상반기 성과점검회의
• 대 변 인 1
• 감사담당관10
• 운영지원과13
|
Ⅴ- 4- 주요정책① : 언론과의 스킨쉽 강화 |
□ 목 적
○ 다양한 언론매체 종사자와의 커뮤니케이션 강화를 통한 기상정책 및 기상과학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바른 보도를 유도
□ 주요내용 및 성과
○ 시의성 있는 아이템 발굴 및 사전 기사소재거리 제공
— 슈퍼컴퓨터센터, 국가기상위성센터, 강릉기상레이더 등 언론인 프레스투어(3회)
— 여름철 날씨전망 등 기상청출입기자 정책브리핑(3회), 통신해양기상위성 발사의 의미 등 언론사 오피니언 정책간담회(3회)
— 시간과 싸우는 지진통보 등 언론매체 기고(37건), 국내 첫 기상위성 천리안 발사 등 181건 보도자료 배포
○ 언론(방송)인 기상과학 교육실시
— 예보용어의 이해 등 신규출입기자 언론인기상과학 교실(4회)
— [기상‧기후 현상의 이해] 기상방송인 간담회 및 교육실시(2회)
○ 지역언론 및 전문분야 종사자 기상홍보 강화
— 슈퍼컴퓨터센터, 국가기상위성센터 등 지역언론사 초청 프레스투어(1회)
— 지역기상방송사 기상캐스터 등 기상방송인 간담회 및 교육실시(1회)
○ 방송매체를 통한 다가서는 기상홍보 강화
— 세계 기상의날 특집 영상물 제작 방영
‧예보의 불확실성, 첨단과학의 한계 등(KBS과학카페)
‧날씨관련 가요(17곡) ‘가요무대’ 제작방영(KBS), ‘생방송 오늘’ 기상업무 소개
‧예보의 생산과정 및 에피소드 소개 : 기상캐스터 출연(KBS교양프로그램)
- 1 -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계 획 |
추 진 실 적 |
비고 |
2월 |
○ 봄철 예보브리핑 |
○ 봄철 예보브리핑 실시 : 2.23 / 연합뉴스 등 8개사 10명 - 봄철 날씨전망, 서울시내 천식가능지수 서비스 실시 등 |
정상 |
3월 |
○ 프레스 투어 |
○ 국가기상슈퍼컴퓨터센터 프레스투어 실시 : 3. 3 / 경향신문 등 10개사 12명 - 슈퍼컴퓨터와 일기예보, 새로운 수치예보모델 구축 등 현장설명 ○ 지역언론사 슈퍼컴퓨터센터, 위성센터 프레스투어 실시 : 4. 13 / 국제신문 등 29개사 33명 - 슈퍼컴퓨터와 일기예보, 기상위성발사의 의미 등 현장설명 ○ 강릉레이더관측소 프레스투어 실시 : 5. 19 / 연한뉴스 등 6개사 6명 - 강릉레이더 가동식, 구름물리선도센터 등 현장설명 |
정상 |
○ 언론사 오피니언리더 간담회 |
○언론사 논설위원(오피니언) 정책간담회 실시 : 2.5 / 조선일보 등 12개사 16명 - 겨울 한파와 폭설 분석, 미니빙하기와 지구기후역사,적설예보등 기상정책 주요사항 ○언론사 사회부장단(오피니언) 정책간담회 실시 : 3.18 / YTN 등 12개사 - 슈퍼컴 3호기 도입과 수치예보모델의 전면교체 등 기상정책 주요사항 설명 |
정상 |
|
○ ‘세계기상의 날’ 특집방송 제작 |
○ ‘세계기상의 날 특집방송’ 제작 방영 : 3. 20(토) 19:00~ / KBS 1TV - 기상정보의 중요성과 예보의 불확실성, 첨단과학의 한계 등 영상물 제작 방영 |
정상 |
|
5월 |
○ 여름철 예보 및 방재대책 브리핑 |
○ 여름철 예보 및 방재대책 브리핑 실시 : 5.24 / 서울신문 등 13개사 13명 - 여름철 날씨전망, 여름철 방재기상대책 등 설명 |
정상 |
6월 |
○ 기상방송인 간담회 |
○ TV 기상캐스터 간담회 실시 : 2. 27 / 전국 공중파TV 기상캐스터 50명 - 기상/기후 현상에 대한 이해, 기상청장과의 대화, 시설견학 등 ○ 기상방송인 간담회 실시 : 6. 17 / TV, 날씨ON, 케이웨더 등 기상캐스터 21명 - 응용기상지수의 활용, 예보용어의 이해 등 설명 및 질의응답 |
정상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기상관련 언론관계자 기상청인식도(%) |
80 |
- |
○ 본청 및 전국 주요기상관서 출입기자 대상 기상청 인식도 조사 - 이메일 설문조사(상반기 / 5.31- 6.11), 조사결과 분석 중 |
기상 관련기사 보도율(%) |
65 |
연지표 |
○ 중앙일간지(10개사)와 통신사(2개)의 기상관련 보도건수 매일 모니터링 진행중 - 연간목표치임 |
- 2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대국민 기상서비스 만족도 조사실시 - 기상예보에 대한 기대수준은 높으나 국민이 원하는 기대수준에 도달하지 못함 - 국민들의 기상정보 습득매체 종사자의 기상과학 이해도가 필요함 ○ 기상과학에 대한 국민적 인식 부족으로 오해발생 - 고가 장비인 슈퍼컴퓨터 등 도입에 대한 예보정확도 향상 기대 - 외국인 기상전문가 영입으로 단기간내 좋은 품질의 기상서비스를 요구 |
○ 기상정보의 선제적 제공 등 언론인과의 유대강화로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긍정적 보도를 유도하여 기상과학의 대중화 구현 - 기상이슈, 주요정책 정책브리핑 실시(3회) - 언론사 오피니언 리더 및 기상청 출입기자 간담회 실시(6회) - 시의성 있는 보도자료 제공(181건) 및 잘못된 보도의 정정 조치(3회) ○ 기상과학의 불확실성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 확산 - 슈퍼컴센터, 국가위성센터 등 언론관계자의 현장방문 긍정적 보도 유도(4회) - 외국인 기상전문가의 선진기상기술 설명 등 언론브리핑 확대 실시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전략적 정부 정책홍보를 위한 관련기관 협조체계 강화 - BH 뉴미디어홍보비서관실, 문화체육관광부와 지속적인 간담 및 업무협의회 참석 - 각 신문 및 방송사 등 언론기관과의 커뮤니케이션 활성화 - 서강대학교, 윤디자인연구소(뉴미디어 환경변화 홍보전략 용역업체) - 행정안전부 행사참여(기상홍보관 운영) - 동호인 단체 및 민간포털 협조체계 강화 |
○ 정책홍보 담당자 워크숍, 교육 및 대변인 간담회 참석 - 위젯 활용방안 협의회(BH), 정책홍보워크숍 및 홍보전문과정교육참석(문화부), 대변인 간담회(격월, 문화부) - 언론(방송)사 간부 대상 간담회(청장‧차장‧단장‧국실장 등) 개최(3회) - 신임 출입기상 대상 교육 및 기상방송인 간담회 개최(6회) - 서강대 과학문화아카데미 ‘과학커뮤니케이션 과정’ 이수(2회, 8명) - ‘뉴미디어 환경변화에 대한 홍보전략 마련’ 연구과제 수행 (윤디자인연구소) - 어린이안전퀴즈대회(행안부), 국제역사기록문화전(국가기록원) - 파워블로거 초청 간담회 실시(블로그 운영자 5인) |
- 3 -
Ⅴ- 4- 일반재정① : 대국민 기상인식 제고 |
□ 목 적
○ 기상상황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효율적인 대처를 위해 기상정책을 정확히 알림
○ 기상예보에 대한 한계성 등 대국민 이해도 증진
□ 주요성과
○ 언론과의 커뮤니케이션 강화
— 여름철 날씨전망 등 기상청출입기자 정책브리핑(3회)
— 통신해양기상위성 발사의 의미 등 언론사 오피니언 정책간담회(3회) 및 슈퍼컴퓨터센터, 국가기상위성센터, 강릉레이더 관측소 등 언론인 프레스투어(3회)
— 실시간 언론매체 모니터링으로 잘못된 보도내용 정정(삭제) 조치(3회)
— 시간과 싸우는 지진통보 등 언론매체 기고(37건), 국내 첫 기상위성 천리안 발사 등 181건 보도자료 배포
— 지역언론 및 전문분야 종사자 기상홍보 강화
‧슈퍼컴퓨터센터, 국가기상위성센터 등 지역언론사 초청 프레스투어(1회)
‧ 지역기상방송사 기상캐스터 등 기상방송인 간담회 및 교육실시(1회)
— 방송매체를 통한 다가서는 기상홍보 강화
‧세계 기상의날 특집 영상물 제작 방영 : 과학카페, 가요무대, 생방송 오늘, 교양프로그램
‧지역방송사 기상캐스터 등 기상방송인 간담회 및 교육실시(1회)
○ 대국민 커뮤니케이션 활동 확대
— 상반기 기상업무 대국민 만족도 조사 실시(1회) : 일반인, 유관기관, 언론인 등
— 기상정책에 대한 국민 의견수렴을 위한 기상고객협의회 개최(1회)
— ‘하늘사랑’ 기관소식지 및 e- 뉴스 웹진발행(월 1회), 뉴스레터 발행(월 2회), 제2기 블로그기자단 운영 등 온라인 홍보 강화
— 대설, 황사, 집중호우, 폭염 등 위험기상 재해예방 공익캠페인 전개
— 대국민 소통을 위한 블로그, 트위터, 미투데이 운영
- 4 -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실 적 |
비고 |
2월 |
○언론사 논설위원(오피니언) 정책간담회 실시 : 2.5 / 조선일보 등 12개사 16명 - 겨울 한파와 폭설 분석, 미니빙하기와 지구기후역사,적설예보등 기상정책 주요사항 ○ 봄철 예보브리핑 실시 : 2.23 / 연합뉴스 등 8개사 10명 - 봄철 날씨전망, 서울시내 천식가능지수 서비스 실시 등 ○ TV 기상캐스터 간담회 실시 : 2. 27 / 전국 공중파TV 기상캐스터 50명 - 기상/기후 현상에 대한 이해, 기상청장과의 대화, 시설견학 등 |
정상 |
3월 |
○봄철 황사피해예방 공익광고 캠페인 실시(3- 5월 / 1일 1회이상) - 정부기관 및 지자체 보유 전광판, 지역케이블 방송사 등 ○ 국가기상슈퍼컴퓨터센터 프레스투어 실시 : 3. 3 / 경향신문 등 10개사 12명 - 슈퍼컴퓨터와 일기예보, 새로운 수치예보모델 구축 등 현장설명 ○언론사 사회부장단(오피니언) 정책간담회 실시 : 3.18 / YTN 등 12개사 - 슈퍼컴 3호기 도입과 수치예보모델의 전면교체 등 기상정책 주요사항 설명 ○ ‘세계기상의 날 특집방송’ 제작 방영 : 3. 20(토) 19:00~ / KBS 1TV - 기상정보의 중요성과 예보의 불확실성, 첨단과학의 한계 등 영상물 제작 방영 |
정상 |
4월 |
○ 국민들의 기상청에 대한 주요관심사항 설문조사(3.22- 4.30 / 4,320명) ○ 지역언론사 슈퍼컴퓨터센터, 위성센터 프레스투어 실시 : 4. 13 / 국제신문 등 29개사 33명 - 슈퍼컴퓨터와 일기예보, 기상위성발사의 의미 등 현장설명 |
정상 |
5월 |
○ 강릉레이더관측소 프레스투어 실시 : 5. 19 / 연한뉴스 등 6개사 6명 - 강릉레이더 가동식, 구름물리선도센터 등 현장설명 ○여름철 예보 및 방재대책 브리핑 실시 : 5.24 / 서울신문 등 13개사 13명 - 여름철 날씨전망, 여름철 방재기상대책 등 설명 ○제1차 기상고객협의회 개최(5.27 / 보라매병원 등 18명) - 주요 기상정책 설명, 의견수렴 및 토의 등으로 국민의견 수렴 |
정상 |
6월 |
○ 2010 기상업무 상반기 기상서비스 만족도 설문조사(5.31- 6.11) - 대상 : 일반인, 유관기관, 언론관계자 등 7,700명 - 기상예보서비스, 홍보활동인지도, 동네예보, 언론인 기상청인식도 등 ○ 기상방송인 간담회 실시 : 6. 17 / TV, 날씨ON, 케이웨더 등 기상캐스터 21명 - 응용기상지수의 활용, 예보용어의 이해 등 설명 및 질의응답 ○ 뉴미디어 환경소재를 활용한 온라인 대국민소통 강화 실시(6.21~) - 트위터, 미투데이, 블로그 등 /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감성적 기상과학 용어 활용 |
정상 |
- 5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PCRM 개봉률(%) / 연중지표 |
36 |
- |
○ 주요정책 고객대상(6,200명) 기상이슈, 기상정책 이메일 송부 - 상반기 발송건수 대비 개봉건수 확인 중 |
시민기자 활동지수(건/월1인당) / 연중지표 |
2 |
- |
○ 기상청 대표 블로그 기사게재 현황 실시간 모니터링 - 월평균 2.5건 게재 진행 중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온라인을 통한 정보 이용 급증 및 네티즌들의 기상에 대한 관심‧비판 고조 ○ 뉴미디어(블로그, 트위터, 미투데이 등)가 중요한 정책홍보 수단으로 부상 |
○ SNS 등 뉴미디어 환경변화에 대한 홍보전략 방안 마련 연구과제 수행(3.30- 11.30) ○ 파워블로거 초청 기상청의 뉴미디어 환경대응 방안 토의(5.26) ○ 기상청 감성 홍보를 위한 트위터, 미투데이 운영(6.21∼)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분기별 정책홍보추진 실적 집계 및 분기평가 수행 - 분기별로 각 국‧실 및 소속기관의 정책홍보 추진실적을 평가하고 홍보수요를 반영 ○ 상‧하반기 정책고객의 만족도와 니즈를 조사 - 기상이해 증진을 위한 콘텐츠에 대한 만족도 조사 및 기상정책 고객의 다양한 니즈를 조사 ○ 지자체의 기상정보 수요 증대에 따른 기상홍보 제휴 - 광역자치단체 및 지자체의 기상정보 수요가 증대됨에 따라, 기상이해 증진을 위한 홍보콘텐츠 제공 필요 |
○ 국무총리실 홍보평가팀 - 정부업무평가 중 홍보평가에 대한 평가지침 수령 및 기상청 전파, 홍보평가 수행 ○ 환경부, 농림수산식품부, 국토해양부 등 연계홍보 강화 - 기상정보의 공통적 활용과 기상홍보강화를 위한 주기적인 연계홍보 추진 - 문화부 및 정부 보유매체에 대한 지속적인 홍보 추진 - PCRM 정책고객서비스의 연계 강화 ○ 지자체에 대한 지속적인 기상홍보 콘텐츠 공급 - 기상홍보 콘텐츠의 제휴를 통한 콘텐츠공급 확대 - 집중호우, 태풍, 황사, 기후변화, 동네예보 등 위험기상 대응요령과 기상정책 등 전광판 통해 지속적인 캠페인 전개 |
- 6 -
자체주요업무 : 기상청 이미지 제고를 위한 국민과의 소통강화 |
□ 목 적
○ 기상정보에 대한 국민들과의 소통부족과 기대욕구에 대한 충족이 미흡하여 기상예보에 대한 막연한 불신과 국민체감만족도 차이 발생에 대한 신뢰도 제고
○ 기상과학의 불확실성에 대한 국민적 이해도 제고를 위한 전략적 홍보방안 마련 필요
□ 주요성과
○ 계절별 위험기상 재해예방 동영상 제작 및 공익캠페인 전개
— 대설, 황사, 집중호우, 폭염 동영상물 정부 및 지자체 전광판, 케이블 TV 등 활용
○ 다양한 매체를 통한 기상정책 홍보
— 예보의 중요성, 첨단과학의 한계 등 제작방영(KBS과학카페/3월)
— 통신해양기상위성 홍보영상물 제작 방영(YTN/2개월, KTX/2개월)
— 기상예보의 이해 등 3건 기상청 감성이미지 광고(전국의 지하철 객차/2개월)
— 세계기상의 날, 지역별 행사장 등 기상사진전 실시(수시)
○ 온라인을 통한 대국민 소통강화
— ‘하늘사랑’ 기상소식지 웹진 및 뉴스레터 발행(매월)
—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기상과학 블로그 운영(제2기 블로그 기자단 운영)
— 트위터, 미투데이를 통한 기상청 감성 홍보 실시
○ 기상업무에 대한 대국민 만족도 조사 및 기상고객과의 소통
— 기상서비스 만족도 조사 실시 : 일반국민, 유관기관, 언론인(5.31- 6.11 / 7,700명)
— 국민이 바라는 주요관심사항 설문조사 실시 : 전 국민(3.22- 4.30 / 4,320명)
— 기상고객협의회 실시로 기상정책에 대한 국민의견 수렴 : 5.27 / 18명
— 소설가협회회원 초청 간담회 실시로 기상관련 소재거리 제공 : 6.28 /42명
- 7 -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계 획 |
추 진 실 적 |
비고 |
2월 |
○ 상반기 정책홍보 연찬회 개최계획 수립 및 실시 |
○ 2010년 상반기 정책홍보연찬회 개최계획 수립(2.3) 및 실시(2.18- 19) - 장소 / 참석자 : 쉐르빌 호텔(경기 소재) / 본청 및 소속기관 홍보담당자 62명 - 내용 : 변화하는 홍보환경 대응방안, 기상청의 주요정책의 전략적 홍보방안 마련 대국민 만족도 조사의 객관성 확보방안 마련 |
정상 |
3월 |
○ 방송사(KBS, YTN) 정책홍보물 제작 및 지하철 공익광고 제작 |
○ ‘세계기상의 날 특집방송’ 제작 방영 : 3. 20(토) 19:00~ / KBS 1TV - 기상정보의 중요성과 예보의 불확실성, 첨단과학의 한계 등 영상물 제작 방영 ○ 통신해양기상위성 홍보용 동영상 제작 : 3.. 5(국기기상위성센터/ YTN) - 국가기상위선센터 현장스케치, 영상물 편집 등 ○ 동네예보, 지진‧지진해일, 일기예보 등 기상청 감성 지하철광고물 제작(3.12- 30/한국언론진흥재단) |
정상 |
○ 기상사진전 개최 및 제2기 시민기자(블로그기자단) 선발 |
○세계 기상의 날 행사연계 2010년도 기상사진전 개최(3.23- 28/6일간) - 2010 기상사진 우수작(50점) / 6,154명 관람(국립과천과학관) ○ 제2기 기상청 블로그기자단 선발(3.19) - 모집기간(3.6- 13), 인원(10명), 방법(홈페이지 및 블로그) |
||
4월 |
○ 황사피해 예방 홍보물 제작 및 공익캠페인 실시 |
○봄철 황사피해예방 공익광고 동영상 방영의뢰(2.10- 25) - 공익광고 실시기간 : 3월- 5월(1일 1회이상) - 정부기관 및 지자체 보유 전광판, 지역케이블 방송사 등 |
정상 |
○ 제2기 시민기자(블로그기자단) 운영(4- 9월) |
○제2기 기상청블로그 기자단 발대식 및 운영계획 수립(4.1) ○표준기상관측소 방문 및 정기회의(5.7) : 추풍령기상대, 와인코리아 / 블로그기자 6인 참석 |
||
○ 기관이미지 제고 지하철 공익광고 실시(4- 5월) |
○기상청 감성이미지 지하철 공익광고 실시 - 기간 / 내용 : 4.8- 6.7(2개월) / 동네예보, 지진 및 지진해일, 일기예보 / 전국 지하철(5개지역) - ‘지하철 속 기상청을 찾아라’ 이벤트 실시(4.21- 5.31/2,569명 클릭후 25명 응모) |
||
6월 |
○ 폭염 피해예방 홍보물 제작 및 공익캠페인 실시 |
○ 폭영 피해예방 동영상 제작(5.20- 6.15) - 인기개그맨 출연으로 대중적 관심 유도(방송용 60초, 전광판용 20초) ○폭영 피해예방 동영상 공익광고 방영의뢰(6.16- 21) - 공익광고 실시기간 : 7월- 8월(1일 1회이상), 정부기관 및 지자체 보유 전광판, 지역케이불 방송사 등 |
정상 |
○ 기상서비스 만족도 조사 및 기상고객협의회 개최 |
○ 2010년 상반기 기상서비스 만족도 조사실시(5.31- 6.11) - 일반국민, 유관기관, 언론인 7,700명 / 전화, 홈페이지 방문자, 이메일 - 기상예보서비스, 홍보활동인지도, 동네예보 활용도, 언론관계자 기상청 인식도 * 국민들의 기상청에 대한 주요관심사항 설문조사(3.22- 4.30 / 4,320명) ○ 2010년 제1차 기상고객협의회 개최(5.27 / 외부위원 18명) - 주요 기상정책 설명, 의견수렴 및 토론 등 |
- 8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기상청 홍보활동 인지도(%) |
63.0 |
- |
○ 기상서비스 만족도 조사실시(상반기, 하반기) - 국민들에 대한 기상과학 홍보활동(TV, 신문, 지하철 등 기상정보를 많이 접하는 매개체 활용) |
시민기자 활동지수(건/월1인당) / 연중지표 |
2 |
- |
○ 기상청 대표 블로그 기사게재 현황 실시간 모니터링 - 월평균 2.5건 게재 진행 중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새로운 기상정책 추진시 전략적 홍보 필요 - 정책추진시 다양한 홍보매체를 통한 홍보 및 광고 - 예보의 불확실성과 기상과학의 한계성 지속적 홍보 - 위험기상재해 피해예방 지속적 실시 ○기상업무 대국민 만족도 조사개선을 위한 의견수렴 - 연찬회 개최, 설문조사내용 해당부서 의견수렴 ○내부 직원에 대한 홍보역량 제고 필요 - 홍보전문가 초청, 외부 위탁교육 실시 등 ○기상고객협의회를 통한 국민의견 수렴 |
○ 기상청 기관이미지 제고 - 기상청 홍보동영상 제작활용, 기관이미지 지속적 광고(지하철 등) - 뉴미디어 환경변화에 따른 홍보전략 연구용역 추진 - 위험기상재해 피해예방 공익캠페인 실시(황사, 집중호우, 폭염 등) ○ 만족도 조사개선을 위한 관련부서 의견수렴 - 기상정책홍보 연찬회(2.18- 19), 실태조사 및 설문조사시 관련부서 의견수렴(3회) ○ 내부직원 홍보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실시 - 서강대 커뮤니케이션 리더십과정 교육(2회 8명) - 기상과학의 전략적 홍보방안 컨설팅 실시(2회) ○ 2010년 제1차기상고객협의회 실시 - ‘보라매병원’ 등 다양한 계층의 기상정책 의견수렴(1회)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전략적 정부 정책홍보를 위한 관련기관 협조체계 강화 - BH 뉴미디어홍보비서관실, 문화체육관광부와 지속적인 간담 및 업무협의회 참석 - 각 신문 및 방송사 등 언론기관과의 커뮤니케이션 활성화 - 서강대학교, 윤디자인연구소(뉴미디어 환경변화 홍보전략 용역업체) - 행정안전부 행사참여(기상홍보관 운영) - 동호인 단체 및 민간포털 협조체계 강화 |
○ 정책홍보 담당자 워크숍, 교육 및 대변인 간담회 참석 - 위젯 활용방안 협의회(BH), 정책홍보워크숍 및 홍보전문과정교육참석(문화부), 대변인 간담회(격월, 문화부) - 언론(방송)사 간부 대상 간담회(청장‧차장‧단장‧국실장 등) 개최(3회) - 신임 출입기자 대상 언론인 과학교실 및 기상방송인 간담회 개최(6회) - 서강대 과학문화아카데미 ‘과학커뮤니케이션 과정’ 이수(2회, 8명) - ‘뉴미디어 환경변화에 대한 홍보전략 마련’ 연구과제 수행(윤디자인연구소) - 어린이안전퀴즈대회(행안부), 국제역사기록문화전(국가기록원) 참여 - 파워블로거 초청 간담회 실시(1회/블로그 운영자 5인) |
- 9 -
|
Ⅴ- 2- 주요정책④ : 법치행정 원칙확립과 적극행정을 위한 감사운영 |
□ 목 적
○ 사전예방 및 제도개선 중심의 감사를 통한 기상업무의 효율성 향상
○ 자체감사의 전문성 향상 및 사업부서와의 소통을 강화하여 적극행정 지원
○ 감사활동의 결과 및 만족도를 성과목표로 설정하여 감사결과 품질 제고
□ 주요내용 및 성과
○ 자체감사 운영계획 수립 (감사운영기본계획_3.2, 부패방지청렴정책 추진계획_2.26)
— 엄정한 자체감사로 법치행정 원칙 확립 (부산지방기상청, 항공기상청 등 17개 대상 기관 중 9개 기관 실시)
— 사전예방 및 제도 개선 중심 질적 감사 운영 (제도개선 : ‘09년도 9건 → ’10년도 목표를 14건으로 설정)
— 엄정한 공직기강 및 윤리의식 확립을 위한 기강 점검 실시 (설 연휴,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기간 등 19개 기관 점검)
○ 자체감사의 전문성 및 실효성 확보를 위한 감사기구 독립 (직제개정, 4.13)
— 차장직속으로 감사담당관실 직제개정으로 공공감사에 관한 법률 시행관련 조직기반 구축
○ 현안사항 조사 및 개선방안 수립(청‧차장 지시사항)
— 기상장비 구매‧용역사업 조사 및 개선방안, 초과근무 실태 조사, 기상대 지역기상서비스 활동 평가
○ 기관 청렴도 향상을 위한 제도 운영
— 평가업무의 공정성 및 투명성 확보를 위한 입찰제안서 평가위원 전체를 외부위원으로 선정(3.15)
‧ 상반기 실 적 : 5개 사업 평가위원 선정 지원
— 2010년 기상청 청렴도 향상을 위한 기상관서장 교육
‧ 대상/내용: 본청 주무과장 및 전국기상관서장, 작년도 측정내용 분석 및 청렴도 향상방안
— 청렴옴부즈만 제도 관련 운영계획 초안 마련(공직기강 및 부패방지 T/F회의 의견수렴, 6.17)
‧ 주요사업 추진과정 모니터링 및 합목적성을 확인하여 청렴이미지 제고, ‘기상청 청렴옴부즈만’ 구성 준비 (9월 예정)
- 10 -
○ 감사를 통한 제도개선 추진
— 소속기관 정기종합감사시 수감기관과의 현안문제 소통을 통한 적극적 제도개선 추진
‧ 상반기 감사 중 14개 과제 발굴, 관련부서 협의 및 제도개선 T/F 검토를 거쳐 개선안 마련(하반기)
○ 국민신문고 참여민원 관리체계 강화
— 국민신문고 홈페이지와 기상청 대표 홈페이지 연계 통합 (5.21), 불만민원, 정책제안, 빈발민원 개선안 마련(6.16)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계 획 |
추 진 실 적 |
비고 |
3월 |
○ 2010년도 자체감사 운영계획 수립 |
○ 제도개선 중심 현지감사 실시 자체감사운영계획 수립 (.3..2) - 17개 소속기관, 한국기상산업진흥원 감사실시, 공직기강 확립, 기관 청렴도 향상방안 |
정상 |
5월 |
○ 국민과의 소통강화를 위한 국민신문고의 기관 홈페이지 통합 |
○ 국민권익위원회 국민신문고 홈페이지와 기상청 홈페이지 참여민원 통합 - 국민신문고 운영 실태점검 및 개선방안 마련 (5.12) - 기상청 대표홈페이지 및 소속기관 홈페이지 국민신문고 통합 운영 (5.21) - 국민신문고 민원처리실태 분석 및 동네예보개선 관련 국민의 소리 동향 처리 (5.30) |
정상 |
6월 |
○ 감사를 통한 제도개선 추진계획 수립 |
○ 조직 내 소통 활성화 및 적극행정을 위한 제도개선계획(안) 수립 (6.15) - 공직기강 및 부패방지 T/F회의시 각 국‧실 의견 수렴(6.16), 6월 중 시행 - 직원 개인의 제도개선안을 공론화 하여 정책으로 발전되는 시너지 창출 |
정상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감사만족도 |
74.2점 |
연 지표 |
○ 감사활동의 성과관리를 통한 능동적 feedback 감사 운영을 위한 만족도 조사 실시 (12월) - 합리성, 적시성, 감사업무역량 등 설문평가결과를 감사업무에 환류 (‘09년 : 73.8→ ’10년 : 74.2) |
감사를 통한 제도 및 업무 개선 건수 |
14건 |
연 지표 |
○ 사전예방, 불합리하고 비효율적인 제도개선 중심 감사운영 성과 달성 ○ 자체감사시 제도개선과제 수집, 담당부서 및 제도개선 T/F검토를 통한 개선 추진 (‘09년 : 9건→ ’10년 14건) |
기관 청렴도 |
8.93점 |
연 지표 |
○ 기관 청렴도 제고를 위한 청렴교육 운영 (현안맞춤형 교육, 부패방지 T/F를 통한 청렴홍보 활동) - 국민권익위원회 주관 11월 중 평가실시 (‘09년 : 8.73점, 16위/39개 기관→’10년 8.93점) |
- 11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공공감사에 관한 법률 시행 (2010. 7.1) - 자체감사기구 설치 의무화, 감사업무의 전문성‧독립성 확보 및 감사절차 표준화를 통하여 자체감사 활동의 품질 확보 (감사원) ○ 기상장비구매 및 유지보수용역사업에 대한 한국기상산업진흥원과 대행역무계약 (기상산업진흥원) |
○ 공공감사에 관한 법률 시행기반 구축 - 감사담당관실신설로 감사부서 독립(4.13) - 감사운영규정 제정 및 감사자문위원회 구성 준비 (감사원 설명회 후 추진, 6월~7월) ○ 장비구매 및 유지보수 용역사업 현황을 조사‧분석하여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을 마련(5.11~6.11) - 유지보수용역 원가계산 표준화, 유지보수용역계약방식 변경, 대행역무사업에 대한 기상청의 역할정립 등 개선방안 등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자체감사의 독립성과 전문성을 높이고, 감사원과 자체감사 간의 협력과 지원을 통해 공공감사 전반의 효율성 제고 추진 (감사원) ○ 감사원의 적극행정 면책제도 운영을 통한 적극행정 분위기 확산 (감사원) ○ 부패방지 정책 추진 및 청렴도 제고 (국민권익위원회) - 부패 취약분야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해 공공행정의 책임성과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한 청렴옴부즈만 제도 도입 - 반부패ㆍ청렴 캠페인 브랜드「청렴韓세상」적극 홍보 |
○ 기상청 감사운영규정제정, 감사전문위원회 구성 등 법률시행 협력 - 공공감사에 관한 법률 추진 T/F 설명회 참석 및 감사실무자 업무협의 (6.28) ○ 실지감사 계획을 수감기관 통보시 「면책제도 안내문」 명시 (‘10.5 ) - 『적극행정 일하는 분위기 조성』을 위한 감사를 통한 제도개선 계획 마련 ○ 기상청 청렴옴부즈만 제도 도입계획(안) 마련, 국민권익위원회 옴부즈만 인력 pool 구성 협조 협의 (5.20) - 청렴한 기관이미지 제고를 위한 현안 맞춤형 교육 괒정신설 (청렴 강사지원 요청) - 공문서 및 인쇄홍보물 표기, 청렴韓세상 인터넷 홍보배너 게시(6.8) |
- 12 -
|
Ⅴ- 2- 주요정책② : 체계적인 인력양성 프로그램 운영 |
□ 목 적
○ 중ㆍ단기예보분야 지정자에 대한 해당분야 보직으로 전문성과 능력개발을 도모하고, 해당분야 장기근무 여건 조성
○ 예보분야의 전문가 양성과 역량향상을 위하여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 필요
□ 주요내용 및 성과
○ 예보분야 근무체계 개선으로 장기보직 유도를 통한 전문가 육성
— 2010년도 중단기예보전문분야 본격운영
○ 중단기예보전문분야 외 타 분야 경력개발제도 확대운영
— 기상예보군(중단기예보분야), 기상관측군(기상관측, 원격탐측, 지진 전문분야)
○ 선진 예보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장기과정 신설 운영
— 예보관 실무과정 개설‧운영(동네예보관 17명/4개월(사이버교육 1개월, 집합교육 3개월:3.2~6.30)
- 13 -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계 획 |
추 진 실 적 |
비고 |
1월 |
○ 예보관 장기교육과정 세부운영 계획수립 |
○ 예보관 장기교육(실무‧전문)과정 세부운영계획(안) 보고(1.25) - 실무과정 : 본청 및 지방청 동네예보관/3월〜6월(4개월)/17명 - 전문과정 : 본청 및 지방청 방재예보관/8월〜11월(4개월)/12명 |
정상 |
2월 |
○ 경력개발제도 확대운영 계획(안) 의견수렵 |
○ 경력개발제도 확대운영 계획(안) 의견수렵(3. 24) |
지연 |
3월 |
○ 경력개발제도 확대운영 계획 수립 ○ 예보관 장기 실무과정 운영(3~6월) |
○ 경력개발제도 확대운영 계획 수립(3. 31) - 정원배정표 계급별 직무직위에 따라 대상직위 지정(관측, 지진, 원격탐측분야) ○ 예보관 실무과정 교육생 선발 및 교육운영 - 교육생 선발(17명:남 8, 여 9명)‧통보(2.17) 및 집합교육 입교안내 통보(3.25) - 사이버강의(3.2~3.31) 및 집합교육(4.5~6.30) 실시 |
정상 |
4월 |
○ 전문분야 직위(7~5급) 지정 실태조사 |
○ 전문분야 직위(7~5급) 지정 실태조사(4.27) - 전 전문분야별 적정인원 지정을 위하여 기관별, 부서별, 직급별 수요 실태 |
정상 |
6월 |
○ 전문분야 직위지정(분야별, 부서별, 직급별) |
○ 전문분야 직위지정(관측, 지진, 원격탐측 / 6.25) - 확대전문분야별 원할한 경력개발을 위한 기관별, 부서별 직급별 적정 직위(자리수) 지정 |
정상 |
○ 지연사유
— 2010년도 성과상여금 및 성과연봉 지급계획 수립 등으로 경력개발제도 확대운영 계획 의견수렴(안) 작성 지연
○ 조치계획(또는 지연 완료사항 작성)
—2010년도 성과상여금 및 성과연봉 지급후 의견 수렴 실시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CDP 연계 보직 적합률(중단기예보분야) |
70% |
67.3% (6월말) |
○ 중단기예보전문분야 대상 보직율 - 67.3%(본청 71.9%, 부산청 40%, 광주 82.6%, 대전청(77.4%), 강원청(73%), 제주청(87.5%), 항공청(50%) |
CDP 연계 교육과정 이수율 (중단기예보분야) |
50% |
27.3% (6월말) |
○ 기상청 예보전문교육(집합 또는 사이버) 등 이수 실적(1~6월) - 67명/245명 = 27.3% |
- 14 -
○ 목표 미달성 사유
— 직제개정 및 그에 따른 인사이동에 의해 일부기관(부산청, 항공청) 보직율 저조
○ 조치계획
— 하반기 인사시 중단기예보전문분야로 지정되어 있는 직원들을 전문직위에 보직 예정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직제개정 및 인사이동에 따른 중단기예보분야 직위변동 상황 발생 - 196직위 → 165직위(31개직위 감소) ○ 기후변화와 예보스킬 향상을 위한 실무내용 뿐만 아니라 정책 및 전략에 대한 교육 수요발생 |
○ 중단기예보 전문분야직위 재지정(5. 20) ○ 기후변화 및 예보스킬 향상을 위한 특별강연 실시 - 자연과 인간 그리고 기후변화 : 정순갑 강원대학교 기후변화과학원 초빙교수(6.22) - 예보관의 과거 현재 미래 : 홍윤 (재)한국기상기후아카데미원장(6.24)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중단기예보전문분야의 경력개발제도 실적 타부처 전파(해양경찰청) - 해양경찰청 인사교육담당관실의 관계관 4인 기상청 방문 전파 ○ 도산서원선비문화수련원의 정신수련을 통한 변화관리 능력향상 |
○ 해양경찰청의 경력개발제도 추진계획 수립 ○ 변화관리 능력향상을 위한 선비문화 체험교육 실시 - 일시/장소/대상 : 4.27~4.28/도산서원선비문화수련원/예보관실무과정 교육생 17명 - 교육내용 : 유교문화 이해, 현대사회 엘리트와 선비정신, 문화재 및 유적지 탐방 |
- 15 -
기획조정관
2010년도 상반기 성과점검회의
• 기획재정담당관 16
• 행정관리담당관27
• 인력개발담당관32
• 국제협력담당관41
|
Ⅴ- 2- 주요정책① : 선진 기상서비스를 위한 정책수립 및 이행 강화 |
□ 목 적
○ 기상선진국 진입을 위한 전략적 신규과제 발굴과 성공적 이행을 위한 행정기반 구축
○「기상업무 발전 기본계획 '10년도 시행계획」 및 「'10년도 성과관리 시행계획」의 체계적 추진을 통한 기관성과 극대화
○ 조직의 전략 실행 도구로서의 성과관리체계 고도화와 이를 통한 적극적 기상정책 이행
□ 주요내용 및 성과
○ 정책이슈에 대한 선제적 대응으로 기상정책 추진의 효율성 및 합목적성 확보(기획재정담당관)
— BH, 환경부, 국회 등에 대한 주기적 현안보고 강화('10년 상반기 총 10회, '09년 상반기 총 5회)
○ 정부시책 및 사회적 여건 변화에 따른 신규정책 수립 및 전략과제 발굴(기획재정담당관)
— 기상산업 및 기상과학 육성 2020 초안 마련(7월 중 BH 보고 예정), 기상서비스 산업 활성화 방안 제출(기재부 서비스경제과, 3월)
○ 기관성과 및 정책효과 극대화를 위한 '10년도 성과평가계획 수립 및 구성원에 대한 성과관리체계 이해 확산(행정관리담당관)
— '10년도 성과평가계획 수립(2월), 성과관리 전문 교육과정 운영(2월), 직제개정 사항 반영(4월), 소속기관 순회설명회(5월)
○ 기상선진화 10대과제의 체계적 이행기반 강화 및 분야별 세부사업 추진방안 지원(기상선진화담당관)
— 서울특별시 업무협약(2월), 기상선진화를 위한 정책토론회(3월), 기상선진화 포럼(6월), 예보기술세미나 및 강연(13회), 기상담론(6회)
○ 창의적 아이디어 발굴 지원을 위한 선진 기상기술 동향 및 정책 대응방안 제공(정책연구과)
— 선진 기상기술‧정책 동향 제공(매주), 정책정보노트 및 기상기술정책지 발간(4회), 기후산업과 기상정보 활성화 워크숍 개최(4월)
- 16 -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계 획 |
추 진 실 적 |
비고 |
2월 |
○ 정성평가와 보상제도를 보완하는 내부 성과평가 계획 수립 |
○ 2010년도 부서 및 소속기관 성과평가 계획 수립(행정관리담당관- 648/'10.2.25) - 의견수렴(1.20~1.27), 사전설명(1.21), 수정안 의견수렴(2.5), 성과관리위원회 심의ㆍ확정(2.11) |
정상 |
○ 성과관리 전문과정 개발 계획 수립 |
○ 성과관리 전문과정을 현안맞춤형 교육으로 개발ㆍ신청(행정관리담당관- 432/‘10.2.5) - 성과관리제도의 이해와 합리적이고 전략적인 성과지표 도출 ※ 인력개발담당관실 심의결과 성과관리 전문과정 현안맞춤형 교육으로 인정(인력개발담당관- 452/‘10.218) |
정상 |
|
3월 |
○ 핵심정책에 대한 진단ㆍ분석 계획 수립 |
○ “기관 핵심정책의 진단분석과 정책개선방안 연구” 사업 추진계획 수립(행정관리담당관- 641/'10.3.2) - 핵심정책에 대한 진행단계별 진단ㆍ분석으로 정책의 문제점을 조기에 파악하여 정책효과 극대화 |
정상 |
5월 |
○ 제1차 성과관리 전문과정 운영 |
○ 제1차 성과관리 전문과정 결과 보고서 제출(행정관리담당관- 614/'10.2.25) - 교육기간/장소/참석자 : 2.19, 2.22~23/대림교육연수원/총53인 |
정상 |
6월 |
○ 기상업무 발전 기본계획 '09년 추진실적 작성과 국회 제출 |
○제289회 임시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제출(4.19) - 12개 부처 의견수렴 및 추진실적 취합('09.12.9~‘10.1.18), 보고서 발간(4.9) |
정상 |
○ 선진화 10대과제 세부실천계획 상반기 실적 점검 |
○ 관계 부서 공동 점검회의를 통한 상반기 추진실적 점검(기상선진화담당관- 1333/'10.6.22) - 점검회의(6.24), 세부실천계획 점검 결과 보고(6.28) |
정상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신규전략과제 개발률(%) |
50 |
- |
- 년 평가 지표로 해당 없음 |
중장기 계획 실행률(%) |
94.7 |
- |
- 년 평가 지표로 해당 없음 |
핵심 기상기술력 향상률(%) |
100 |
- |
- 년 평가 지표로 해당 없음 |
성과관리제도 운영만족도(%) |
67.1 |
- |
- 년 평가 지표로 해당 없음 |
- 17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정부방침(국가고용전략회의)에 따라 일자리 창출 과제 발굴이 필요 |
○ 당초 국가고용전략회의에서 기상청은 일자리 관련 부처에서 제외됨 (7개 부처만 해당) - 환경부를 통해 기재부 서비스경제과에 우리 청의 계획 제시(기획재정담당관, 2.26) - 기획재정부에서 제출과제(기상서비스 산업 활성화를 통한 일자리 창출) 검토 후 관련 회의에 기상청의 직접 참여를 요청(기상산업정책과장 참석) ※ 기재부 안에 반영되어 향후 개최되는 국가고용전략회의에서 확정 예정 |
○ 국가의 장기 비전으로 정부부처와 지자체 등에서 관련 분야의 2020계획을 수립(IT특보의 기상산업 육성 2020 계획 요청(4.2)) |
○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상산업 및 기상과학 육성 2020 초안 마련(6.21) - 추진방향 설정(4.5), 관련부서 TFT 구성(4.8), 연찬회 실시(4.27~29) ※ 정책간담회 검토 후 7월 중 BH 보고 예정 |
○ 예산 조기집행 방침 및 조직 개편에 따른 신규 정책연구 필요 |
○ 정책연구 용역사업 운영실태 및 추진상황 점검(매월) ○ 낙찰차액을 이용하여 기상레이더 최적 스켄 전략수립 방안연구 지원 |
○ 해외 기상청의 예산, 조직 등 현황과 선진 기상기술 동향, 정부정책 동향 등에 대한 정보수요 발생 |
○ 정부에서 추진하는 정책동향을 전 직원에게 전파(주간 및 월간 회의) - 정책보고건수 : 총 185건(1월 32건, 2월 32건, 3월 33건, 4월 30건, 5월 36건, 6월 22건) ○ 미국(NOAA), 일본의 예산, 조직과 세계기상기술동향 등에 관한 정보노트 발간(2.19, 3.17) ○ 관측, 예보, 기후, 정보화, 기술역량 분야 44개 소분류체계에 대한 적절성 검토(6.15) - 기상서비스 분류체계 전개 및 국내 기상기술력 평가 연구 추진 |
- 18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도시기상관측망 구축 및 기후친화적 도시관리 등을 위한 협조 체계 |
○ 서울특별시 MOU 체결(2.8), 세부 협력방안 논의 및 워크숍 개최(3.18) |
○ 기상선진화 10대과제의 효율적 추진을 위한 협조 체계 |
○ 기상선진화를 위한 정책토론회 개최(3.31) - BH, 환경부, 국회, 행안부, 기재부 등의 관계자, 한국기상학회장 등의 학계 인사 |
○ 정부업무평가 주안점 파악 및 기상업무 이해증진을 위한 성과관리 주관부처와의 협조체계(국무총리실 정책분석평가실) |
○ 국무총리실 주관 설명회(3.25.), 워크숍(6.21)등 2회 참여, 방문 업무협의(5.3) - 정부업무평가 방향 파악, 기관의 업무특성 설명 |
○ 효율적 국정관제 관리와 연두업무보고 내용에 대한 상반기 특정평가 과제 선정협의 (국무총리실 국정과제관리과, 환경정책과) |
○ '10년도 상반기 특정평가를 위한 대상과제 선정(3.4) 및 과제별 추진계획(3.30) 제출 - 예보정확도 향상, 기상서비스 선진화 등 6개 분야에서 총 18개 과제 |
- 19 -
자체주요업무 : 기상업무 선진화 실현을 위한 예산확보 및 능동적 대국회 활동강화 |
□ 목 적
○ 2012년 기상 기술력 세계 6위 달성, 21세기 미래지향적 선진기상 인프라 구축, 대국민 기상서비스 만족도 제고 등에 대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현안분야에 대한 예산확보
○ 대국회 업무의 능동적인 대처와 협력 강화로 국회의 건전한 정책제언을 정책에 반영토록하고, 우리청의 정책 및 사업의 추진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기상업무 발전에 기여
□ 주요내용 및 성과
○ 중기사업계획(‘10~’14) 수립 및 제출(1.31.)
— 사업부서 요구 : 연평균 18.8% 증 → 최종 조정 : 연평균 13.0% 증
(단위 : 백만원)
구 분 |
‘10~’14 중기사업계획(안) |
비 고 |
||||
‘10 |
‘11 |
‘12 |
‘13 |
‘14 |
||
당초(’09~’13) |
247,029 |
267,234 |
293,457 |
277,117 |
연평균 5.4% 증 |
|
사업부서요구(1.12) |
474,155 |
512,508 |
505,077 |
491,774 |
연평균 18.8% 증 |
|
최종조정(1.26) |
376,902 |
432,737 |
426,340 |
399,160 |
연평균 13.0% 증 |
○ ’11년도 주요 현안예산 확보 추진
— 2011년도 예산확보전략 발표회 개최 : 2.26.~3.5. / 5층 회의실 / 12개 부서, 72개 사업의 현황, 예산의 필요성 설명 등
— 2011년도 정보화 예산설명회 참석 : 4.6. / 재정부 / 2011년도 정보화예산 개요 설명 및 주요 현안 토론
— 『’11년도 예산안 효율적 편성을 위한』 주무부서 전략회의 개최 : 5.12./5층 국제회의실/2011년도 현안 및 문제사업 발굴
▪ 추가 요구 문제사업 : 총 59개 사업, 188,946백만원 발굴 조정 중
— 2011년도 예산안 편성 사업구조조정 추진팀 회의 개최 : 5.24.~26. / 4층 회의실 / 2011년도 예산안 편성, 현안사업 설명 등
— 대외 활동
- 20 -
▪ 청장님 재정부 방문 2회(1.18. 연구개발예산과 직원 오찬 / 5.27. 예산실장 오찬)
▪ 차장, 선진화단장, 기획조정관 등 간부 기획재정부 방문 실적 : 총 37회(6.23. 현재)
○ 2011 지출한도 확정(6.3.)
— ’10년도 247,029백만원 → ’11년도 249,118백만원(전년대비 2,089백만원, 0.85% 증 / 완료사업 감안 전년대비 14,142백만원, 5.7% 증)
※ 완료사업 : 12,053백만원(기상관측선 건조 8,439백만원, 교육생기숙사 신축 3,614백만원)
※ 타부처 지출한도 : 전년대비 환경부 ▵3.0% 감, 식약청 ▵12.2% 감
— 주요 증액사업 : WRC 설립(3,640 → 8,891백만원), 기상관측표준화(6,350 → 7,500백만원), 지진관측망 보강(2,550 → 3,500백만원), 연안관측망 구축(2,242 → 2,658백만원), 기후변화 국가정책지원(R&D)(6,780 → 8,891백만원)
○ 2010년 국회 임시회에 대한 능동적 대응
— 환노위 업무보고 : 3회(2. 24, 4.15, 6.21)
— 2‧4‧6월 임시국회 업무보고관련 정책대비 및 선제적 질의자료 작성
— 보좌진 업무설명 : 4.14(야당/지진관련), 4.19(환노위 법안소위/우주기상업무법), 6.16(야당/주요업무), 6.17(여당/주요업무)
— 환노위 및 예결위 위원 등의 요구자료 제출(58건)
○ 국회 환노위 행정실 및 의원실과의 상시적 협력 강화
— 국회개원 기념 환노위 및 소관부처 단합대회 참가(5.31/북한산) 등 환노위 행정실 직원과 상시 협력관계 유지
— 여당보좌진 현장시찰 지원(1.11~12/안면도 일원) 등 환노위 위원실 기상청 담당 보좌진과 협력관계 유지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계 획 |
추 진 실 적 |
비고 |
1월 |
○ 중기사업계획(‘10∼14) 수립 |
○ 중기사업계획서(‘10∼14) 제출 - ‘10년도 예산 247,029 → ’11년도 376,902백만원 요구(전년대비 129,873 증 / 52.6% 증) |
정상 |
○ 제286회 국회(임시회) |
○ 국회 환노위 여당 보좌진 현장시찰 지원(1.11~12/안면도 일원) ○ 국회 환노위, 예결위 위원 등의 요구자료 제출(2건) |
- |
|
2월 |
○ 중기예산 심의 |
○ 일반사업 심의 : 2.25. 10:50∼12:00 - '10년도 68,570 → ‘11년도 59,433백만원(전년대비 ▵9,137 / ▵13.3%) * 2개 완료사업 12,053 백만원 감안 : 기상관측선 건조 8,439 / 교육생 기숙사 신축 3,614 |
정상 |
○ 임시회 대비 업무보고 준비 |
○ ‘09년도 국정감사결과 시정 및 처리요구에 관한 조치결과 제출(3.9, 이메일, 환경부 통합 제출) ○ 제287회 임시국회 상임위원회 업무보고 - 환경노동위원회 업무보고(2.24 10:00/국회 환노위 회의실) - 정책대비(2.10) 및 선제적 질의(2.12) 자료 작성 ○ 국회 환노위, 예결위 위원 등의 요구자료 제출(5건) |
정상 |
|
3월 |
○ 중기예산 심의 |
○ R&D 심의 : 3.4. 17:40∼18:30 - '10년도 45,282 → ‘11년도 43,021백만원(전년대비 ▵2,261 / ▵5.0%) ○ 정보화 심의 : 3.9. 15:40∼18:40 - '10년도 43,947 → ‘11년도 41,932백만원(전년대비 ▵2,015 / ▵4.6%) ○ 문제사업 심의(정보화) : 3.25. 10:00∼12:00 - 계수 변동없음 ○ 문제사업 심의(일반) : 3.26. 10:00∼12:00 - '10년도 68,570 → ‘11년도 63,851백만원(전년대비 ▵4,719 / ▵6.9%) ○ 문제사업 심의(R&D) : 3.31. 10:00∼12:00 - '10년도 45,282 → ‘11년도 44,471백만원(전년대비 189 / 0.4% 증) |
정상 |
○ 제288회 국회(임시회) |
○ 국회 환노위 미상정 법안 예비검토회의 지원(3.26, 국회 환노위 소회의실) - 대상법안 : 「기상법」, 「기상산업진흥법」, 「우주기상업무법」등 ○ 국회 환노위, 예결위 위원 등의 요구자료 제출(12건) |
- |
|
4월 |
○ 중기사업계획(시안) 및 ’11년도 지출한도 확정 |
○ 중기사업계획(시안) 확정(6.3.) - ‘10년도 247,029 / ’11년도 249,118 / ’12년도 278,388 / ’13년도 271,079 / ’14년도 280,399 ○ ‘11년도 지출한도 확정(6.3.) - 249,118백만원(전년대비 2,089백만원 증 / 0.85% 증 |
지연 |
○ 임시회 대비 자료 준비 |
○ 09년도 국정감사결과 시정 및 처리결과 점검, 제출(4.2, 이메일, 환경부 통합 제출) ○ 제289회 임시국회 상임위원회 업무보고 - 환경노동위원회 업무보고(4.15 10:00/국회 환노위 회의실) - 야당 보좌진 지진현안 설명(4.14) - 정책대비 자료 수정 보완(4.14) ○ 권성동 의원 ‘재해기상연구센터 설립’ 대정부질문에 따른 업무지원 ○ 우주기상업무법 국회 입법 지원 : 환노위 법안상정(4.16), 법안소위 보좌진 설명(4.19) ○ 국회 환노위, 예결위 위원 등의 요구자료 제출(6건) |
정상 |
|
5월 |
○ ‘11년도 예산안 자체 조정 및 편성 |
○ ‘11년도 예산안 효율적 편성을 위한 ’주무부서 전략회의‘ 개최 - 일시/장소 : 2010.5.12. 10:30∼11:30/4층 국제회의실 - 참석자/내용 : 기획조정관, 국실 주무과장, 소속기관(영상회의시스템 참석) / ‘11예산안 효율적 편성을 위한 전략방안 강구 ○ 2011년도 예산안 편성관련 자체 심의기구 구성 및 운영(내부결재 기획재정담당관- 1436/5.14.) - 예산안 편성심의회 : 기획조정관(위원장). 위원(각 국실장) - 국·실 예산전략협의회 : 기획재정담당관(위원장), 위원(각 국실 주무과장) - 사업편성·구조조정 추진팀 : 기획재정담당관실 예산담당 4명 ○ ‘11년도 예산안 편성 사업편성·구조조정 시행회의 개최 - 기간 : 5.24.∼5.26. / 대상 : 본청 및 소속기관 / 내용 : ‘11년도 예산편성 사업내용 설명, 조정 |
정상 |
○ 임시회 대비 자료 준비 |
○ 권성동 의원 ‘재해기상연구센터 설립’ 대정부질문에 따른 후속조치 업무지원 - 업무협의 : 5.4 / 국회회관 834호/고경전 비서관, 관련부서 담당(이영곤, 김용진, 신언성) ○ 업무협의 : 환노위 행정실(5.11), 환노위 위원실 보좌진(5.12) ○ 국회 환노위, 예결위 위원 등의 요구자료 제출(18건) |
정상 |
|
6월 |
○ ‘11년도 예산안 자체 조정 및 편성 |
○ ‘11년도 예산확보 전략회의 개최 - 일시/장소 : 6.9. 15:00∼16:30 / 5층 회의실 / 참석 : 25명(소속기관 영상회의) - 내용 : ‘11년도 문제사업 분석 및 예산확보 추진전략 강구 ○ 2011년도 예산편성 관련 부처합동 연찬회 참석 - 일시/장소 : 6.17. 10:00∼15:00 / 중앙공무원교육원 / 참석 : 기획재정담당관 등 3명 - 내용 : ‘11년도 예산편성 방향 및 행정사항 ○ ‘11년도 예산요구서 작성 및 검토, 보완(6.3.∼6.24. / 예산담당 직원) ○ ‘11년도 예산요구서 내부결재 추진(6.25.∼6.29) |
정상 |
○ ‘11년도 예산안 기획재정부 제출 |
○ 2011년도 예산요구서 제출 - 기획재정부 / 6.30. |
정상 |
|
○ 임시회 대비 자료 준비 |
○ 09년도 국정감사결과 시정 및 처리결과 점검, 제출(6.7, 이메일, 환경부 통합 제출) ○ 제291회 임시국회 상임위원회 업무보고 - 환경노동위원히 업무보고(6.21 10:30/국회 환노위 회의실) - 보좌진 업무설명(야당 6.16, 여당 6.17), 기상산업 활성화관련 업무협의(6.10, 강성천 의원) - 현안보고 등 지원 : 6.14(환노위 위원장 등/청장님), 6.9(이미경‧이범관 의원/차장님) - 정책대비 자료 수정 보완(6.19) ○ 국회 환노위, 예결위 위원 등의 요구자료 제출(12건) |
정상 |
- 21 -
○ 지연사유
— 국가재정법 제29조 2항에 의거 기획재정부장관은 예산안 편성지침과 연도별 지출한도를 매년 4월 30일까지 각 부처에 통보해야 함. 그러나 올해는 6월 2일 지방선거 관계로 6월 3일 통보받음. 이는 정부의 주요 정치일정과 관계되는 사항임.
○ 조치계획
— 지출한도 통보날짜가 4월 40일에서 6월 3일로 지연됨에 따라 이에 대한 대응조치로 “ ‘11년도 예산안 효율적 편성을 위한 주무부서 전략회의” 및 “‘11년도 예산확보 전략회의” 등을 개최하여 비공식 확인 지출한도 내역 통보와 이에 따른 추가 소요 예산요구 사업을 발굴하여 일정 지연에 대비함.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기상예산확보액 (억원) (일반회계) |
2,669 |
2,.412 |
○ ‘11년도 지출한도(6.3.) 통보받은 현재 목표치 대비 ▵257억원 미달 - 향후 문제사업 심의 등을 통하여 2011년도 우리청 목표액 3,500억원 달성에 매진하겠음. |
대국회 대응도(%) |
66.87 |
- |
○ 2010년도 국정감사에서 예상정책질의(정책질의 대비자료, 선제적질의 요구자료) 중 실제 적중이 67% 이상이 될 수 있도록 환노위 보좌진과 협력관계 유지에 매진하겠음 |
○ 목표 미달성 사유
- 22 -
— 최종 목표달성 일정이 연말이므로 중간(6월 현재) 단계에서 목표 달성 분석결과 문제없다고 판단됨.
○ 조치계획
— 2차례 자체 예산확보 전략회의 개최를 통하여 추가 소요되는 문제사업을 발굴하여 지속적으로 기획재정부와 협의를 진행 중 있음.
- 추가요구 문제사업 : 총 59개 사업, 188,946백만원
. 추가요구 분야별 내용
구 분 |
일반사업 |
R&D |
정보화 |
합 계 |
신규사업 |
3/20,700 |
9/62,350 |
3/11,510 |
15/94,560 |
증액사업 |
8/45,115 |
11/33,843 |
3/5,790 |
22/84,748 |
소액심사대비 |
12/5,137 |
3/1,385 |
7/3,116 |
22/9,638 |
합 계 |
23/70,952 |
23/97,578 |
13/20,416 |
59/188,946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정부의 2011년도 재정운영방향 제시에 따른 대응 - 재정지출 생산성 제고를 위한 Ten- Ten 전략 . 재정지출 10% 줄이고, 지출원칙 10가지 지키기 - 페이고(Paygo.Pay as you go) : 신규 의무 지출 때 기존사업의 세출구조조정 도는 별도의 재원대책 제시 |
○ ‘11년도 예산안 효율적 편성을 위한 ’주무부서 전락회의‘ 및 ’예산확보 전략회의‘를 개최하여 정부의 2011년도 예산편성 기본방향 전달 및 우리청의 대응전략 강구 < 우리청 대응실적 > - 추가 요구된 문제사업 사전 발굴 추진 : 59개 사업, 188,946백만원 - 효율적 예산편성을 위한 자체 심의기구 구성 및 운영 : 5.14. - ‘11년도 예산안 편성 사업편성·구조조정 추진팀 회의 개최 : 5.24.∼26. |
○ 현안업무에 대한 국회 대응 |
○ 초단기 예보 및 레이더통합운영(입법조사처 최준영 입법조사관) - 업무협의(1.6, 3.11) 및 자료 제출(1.8) - 강릉레이더가동식 참석(5.19) ○ 우주기상업무법(안) 추진 업무협의 - 현안보고(2.4, 환노위 수석), 업무협의 및 만찬(3.26, 환노위 수석전문위원 및 입법조사관) - 업무설명(4.19, 환노위 법안소위 보좌관), 업무협의(5.10, 환노위 수석전문위원) ○ 지진업무 업무설명 : 4.14(야당 보좌진) |
○ 제18대 후반기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구성에 따른 대응 |
○ 국회 방문 업무협의 - 청장님 : 6.14(환노위 위원장 현안보고, 각 위원실 인사) - 차장님 : 6. 9(이미경‧이범관 의원 업무협의, 환노위 각 위원실 인사) - 기획조정관 : 청‧차장님 수행, 6.9(환노위 수석전문위원) ○ 환노위 보좌진 업무설명회 개최 : 야당(6.16), 여당(6.17) |
○ 권성동 의원의 4월 대정부질문(‘재해기상연구센터 설립 필요’)에 대한 대응 |
○ 고경전 비서관(권성동 의원)과 업무추진 방향 논의(5. 4) ○ 국립기상연구소 조직 발전방안에 반영(5.28 / 행안부 제출) ○ 재해기상 연구센터’ 설립을 위한 T/F 구성 및 운영(5.20, 6.25) |
- 23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관련 기상청 관련사업 현황 조사 |
○ ’11년도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관련 기상청 사업현황 조사 - 22개 사업, 77,931백만원 |
○ 100대 국정과제 관련 기상청 관련사업 현황 조사 ① 기상예보의 선진화 ② 기상·기후산업 육성 ③ 대기오염 예·경보제 확대 |
○ ‘11년도 국정과제 기상청 관련사업 조사 - 26개 사업, 140,818백만원 |
○ 기상선진화 10대 과제관련 예산소요 내역조사 |
○ ‘11년도 40개 사업, 162,907백만원 |
- 24 -
|
자체주요업무과제: 창의실용 공직문화 조성, 조직기반 마련 및 법적‧제도적 기반 강화 |
□ 목 적
○ 2010년 기상청 변화관리 목표 『함께하는 창의실용, 신뢰받는 성과창출』 달성
○ 기관의 핵심정책 지원을 위한 조직체계 전략화 구축
○ 변화하는 기상행정 환경의 변화에 법적‧제도적으로 신속하고 적절하게 대응
□ 주요내용 및 성과
○ 활력있는 직장만들기를 위한 소통 강화
— 땡큐쿠폰제 개선(2월), “친구같은 아빠되기(Friendy)”“하루10분의기적”등 한울타리 프로그램 개선(5월), 두레박모임(6월)
— 기상청CEO리더십 워크숍 및 다산유적지 탐방(2월), 선비문화 체험(과장급, 기상대장)
○ 창의역량 향상을 위한 제안제도 활성화
— 제안담당자 교육(워크숍 및 영상회의), 순회설명회(5월), 제36회 기상업무개선발표회 개최(6월)를 통한 우수제안 발굴
○ 기상행정조직‧인력의 효율적 운영을 통한 기상행정서비스 제고
— 기상행정조직 개편(4월)
‧ 해양기상관측선, 고산기후변화감시 인력 8명 증원(1,295명 → 1,303명)
‧ 기상레이더센터, 예보기술팀, 한반도기상기후팀 신설
‧ 특‧정보기상대 조정(10소→5소), 지방청 하부조직 명칭변경(방재기상과→예보과, 동네예보과→기후과) 등 특별지방행정기관 정비
‧ “영역기상방송” 기능을 본청(해양기상과)으로 이관하여 해양기상서비스 기능을 강화
— 조직‧인력의 체계적 관리를 위한 중기인력운영계획('10~'14) 수립‧운영(4월)
— 조직의 성과향상 및 역량 제고를 위한 자체 총액인건비제 운영계획 수립(6월)
— 탄력적 인력운영을 위한 「유동정원제」 운영계획 수립(6월)
○ 법‧제도의 합리적 개정을 통한 기상정책 추진 강화
- 25 -
— 「기상법 시행규칙」일부개정(환경부령 제371호, 2010.5.28)
‧ 기상현상에 관한 증명 및 자료제공 수수료 면제기관 확대
‧ 기상현상에 관한 증명 및 자료제공 수수료 요율의 합리적 조정
— 기상행정환경 변화에 따른 훈령 일괄개정 2건, 훈령 심사 15건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계 획 |
추 진 실 적 |
비고 |
1월 |
○ 2010년 입법계획 수립(1월) ○ 2010년 훈령 등 행정규칙 정비계획 수립 |
○ 2010년 입법계획 제출(2009.12.18/환경부) - 기상법 일부개정계획 1건 ○ 2010년 훈령 등 행정규칙 정비계획(1.22) - 훈령 및 고시 제‧개정 계획 33건 |
정상 |
2월 |
○ 땡큐 쿠폰제 운영계획 수립 |
○ 땡큐 쿠폰제 운영계획 수립(2.3, 행정관리담당관- 397) - 2009년도 실시결과 분석 및 제도보완 ㆍ부여기준 개선 및 부여수량 축소, 그룹별 우수부서 선정으로 부서내 경쟁 완화 |
정상 |
3월 |
○ 변화관리 추진조직 정비 및 워크숍 개최 |
○ 변화관리 추진조직 정비 및 워크숍 개최(3.16~17, 행정관리담당관- 750) - 변화관리 추진조직 재구성 : 두레박팀ㆍ변화요원ㆍ기상대 제안담당자 등 40여명 - 내용 : 소통 강화 및 즐거운 조직문화 형성을 위한 방안 탐색 및 공유 등 |
정상 |
4월 |
○ 기상행정조직 개편 및 직제 개정 |
○ 기상청과 그 소속기관 직제(대통령령 제22115호, 2010.04.13 공포‧시행) 및 동 직제시행규칙(환경부령 제368호, 2010.04.13 공포‧시행) 일부개정 |
정상 |
○ 2010~2014년 중기인력운영계획 수립 (2011년 소요정원(안) 수립 포함) |
○ 조직‧인력의 체계적 관리를 위한 2011년 소요정원 및 2010~2014년 중기인력운영계획 수립 (4.30, 행정관리담당관- 1268) |
정상 |
|
○ 기상법 및 기상법 시행규칙 일부개정안 관계부처 협의, 부패영향평가(4월) |
○ 기상법 및 기상법 시행규칙 일부개정안 의견조회(3.23~4.2/전부처) ○ 기상법 및 기상법 시행규칙 일부개정안 부패영향평가(3.25~4.2/국민권익위원회) - 평가결과 개선요구사항 없음 |
정상 |
|
5월 |
○ “한울타리” 활성화 방안 수립 |
○ 한울타리 프로그램 활성화 계획 수립(5.27, 행정관리담당관- 1702) - 부서원회식책임제, 즐거운 퇴근길 등 총 5개 프로그램 설정 - 다양한 포상방법 및 포상규모 확대로 참여율 제고 |
정상 |
○ 소속기관 순회설명회 개최 |
○ 행정관리 순회설명회 개최(5.18~5.26, 행정관리담당관- 1340) - 2010년도 조직운영, 변화관리, 성과평가, 추진방향 전반에 관한 설명회 실시 |
정상 |
|
○ 기상법 시행규칙 일부개정안 입법예고 ○ 기상법 시행규칙 일부개정안 규제심사 |
○ 기상법 시행규칙 일부개정안 입법예고(4.6~4.25) ○ 기상법 시행규칙 일부개정안 규제심사대상 사전심사(4.19~4.20/규제개혁위원회) - 심사결과 규제심사 비대상 ○ 기상법 시행규칙 일부개정안 법제처 심사(4.28~5.18) |
기상법 시행규칙 정상 |
|
○ 기상법 일부개정안 입법예고 ○ 기상법 일부개정안 규제심사 |
○ 기상법 일부개정안 규제심사대상 사전심사(4.19~4.20/규제개혁위원회) - 심사결과 규제심사 비대상 |
기상법 지연 |
|
6월 |
○ 제36회 기상업무개선발표회 개최 |
○ 제36회 기상업무개선발표회 개최(6.10) - 우수상 4건 및 우량상 3건 선정(제안심사위원회에서 확정 예정) |
정상 |
○ 조직의 성과향상 및 역량 제고를 위한 총액인건비제 내실화 |
○ 총액인건비제 운영 TFT 구성‧운영(5.17, 행정관리담당관- 1490) - TFT 회의 3회 개최(5.25, 6.8, 6.25) |
정상 |
|
○ 기상법 시행규칙 일부개정령 공포‧시행 |
○ 기상법 시행규칙 일부개정령 공포‧시행(환경부령 제371호, 5.28) |
기상법 시행규칙 정상 |
|
○ 기상법 일부개정안 법제처 심사 |
○ 기상법 일부개정안 통계기반 정책관리 예비평가(5.12~5.20/통계청) - 평가결과 실질평가 불필요 |
기상법 지연 |
|
9월 |
○ 탄력적 인력운영을 위한 「유동정원제」운영 |
○ 「유동정원제」운영 계획 수립(6.16, 행정관리담당관- 1886) - 본청 및 소속기관(기상레이더센터 및 항공기상청 제외) 총 28명을 유동정원으로 운영 |
정상 |
○ 지연사유
— 기상법 개정 추진의 지연(외부환경변화에 의한 지연사유 발생)
‧ 기상법 일부개정안 중 “우주기상” 조항에 대하여 방통위와 교과부 등과 합의점을 찾지 못함
○ 조치계획
— 우주기상 조항 수정안 마련 및 관계부처 협의
‧ 우주기상에 관한 기상청의 업무범위에 대하여 조정안을 마련하여 방통위 등과 협의
‧ 최종 협의가 타결(결렬)될 경우, 우주기상 조항을 수정(삭제)하여, 6월 말에 입법예고 추진
- 26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변화관리 역량수준 향상정도(%) |
62.0 |
- |
○ 하반기 그룹웨어 설문조사를 통한 변화관리 역량 향상정도 측정 예정(11월) |
기능ㆍ인력의 효율적 활용도 |
6.69 |
- |
○ 과별 정원 배정표의 변동사항을 반영한 전환 재배치 실적 도출 예정(12월) |
행정규칙 심사요청의 기일내 회신율 |
94.2 |
100.0 |
○ 행정규칙 심사의뢰 15건(훈령 14건, 고시 1건) - 기일 내 회신 15건 |
기상관련 법령 제‧개정시 의견반영율 |
10.0 |
6.2 |
○ 의견조회34건, 의견제출 3건, 의견반영 0건 - 저탄소 녹색성장기본법 시행령 제정안, 과학기술기본법 시행령 일부개정안, 하천법 일부개정안 |
○ 목표 미달성 사유
— 의견반영 건수의 획득은 전적으로 법령 제‧개정안 주관 부처의 결정에 의존하며, 부처간 협의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차관회의 및 국무회의에서 그 법령 제‧개정안에 대해서 불이익을 줄 수 있는 권한이 없다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음
○ 조치계획
— 의견제출 부서에 인센티브 강화를 통해 법령 제‧개정안에 대한 관심도 제고 확보
— 법령 개정안 주관 부처와의 지속적 협의 실시를 통한 우리청 의견 반영에 노력
- 27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창의실용에 기반한 제도개선 업무 추진이 행정안전부 주관에서 자율적 운영으로 전환되면서 추진력 제고(동기부여)를 위한 방안 마련이 필요해졌고, 국민제안규정 개정으로 생활공감 정책의 발굴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국민ㆍ공무원제안제도 참여 통로 확대 필요성 증대 - 구성원이 부담없이 참여할 수 있는 공직문화 프로그램 개발 및 누구나 쉽게 할 수 있는 제안분위기 조성 ○ “유동정원제 자체운영계획”에 따른 전환배치 계획을 「2011년 소요정원」 산정에 반영하도록 정부조직지침이 변경됨에 따라 유동정원제의 조기 시행 불가피 - “유동정원제 자체 운영계획” 제출 시기 변경(당초:7월 이후→6월) ※ 근거 : 행정안전부 조직기획과- 1515(5.26) ○ 법령 제‧개정 소요기간 단축을 위하여 규제심사 과정 효율화 방안 모색 필요 |
○ 구성원들이 즐겁고 편리하게 변화관리에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한울타리, 땡큐 쿠폰 등) 운영 및 국민들의 기상정책에 참여할 수 있는 통로 확대를 위한 제안활성화 계획 수립 - 즐거운 공직문화, 가정친화적 공직문화 조성을 위한 한울타리 프로그램 운영 - 구성원들의 의견 수렴을 통해 국민 눈높이 정책을 구현하기 위한 제안제도 운영 및 국민제안 프로젝트(동상이몽)을 통해 국민이 기상정책에 참여할 수 있는 통로 확대 ○ 유동정원제 자체 운영계획 수립 및 시행(6.16, 행정관리담당관- 1886) - 유동정원제 운영계획 확정‧통보(6.16) - 유동정원 배정요구서 취합(6.23) - 정원 조정을 위한 정원조정회의 개최(6.30) - 정원배정표 개정‧통보(7월 초) ○ 법령 제‧개정 절차 소요기간 단축 노력 - 규제대상 사전심사를 통하여 입법예고 이후에 실시하는 규제심사를 생략함으로써 법령 개정 절차의 소요기간을 크게 단축함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변화관리 및 제안제도 운영 주관부처와 협조체계 구축 - 행정안전부(제도총괄과) 컨설팅 및 협조체계 구축 ㆍ 정부의 창의실용 제도개선 주요 시책 파악 및 우리 청 변화관리 추진계획에 대한 이해 증진 - 변화관리 우수사례 공유 및 벤치마킹 ○ 기상행정조직 개편 및 직제 개정 - 국정과제 이행 등 시급한 기상기술 수요에 대응하기 위하여 기상과학 선진화 기반 강화 ‧ 행정안전부(경제조직과) : 조직개편 및 직제 개정 방향 협의 ‧ 법제처(사회문화법제국) : 직제 시행규칙 개정에 따른 법적근거 마련 |
○ 행정안전부 주요 시책 및 활동성과 공유 - 제안활성화 워크숍(3.2) 참석을 통해 '09년 제안제도 운영성과 및 '10년 제안제도의 시책 공유 - 변화관리 추진조직 워크숍(3.16~17) 시 행정안전부 제안담당사무관 초청강연 등을 통해 제안제도에 대한 이해 공유 - 지식행정시스템의 제도개선 우수사례 공유 및 벤치마킹을 통한 2010년도 기상청 변화관리 추진계획 수립 ○ 기상행정조직 개편 및 직제 개정 협의(총14회) ○ 직제 시행규칙 개정에 따른 법적근거 협의(총6회) - 직제 시행규칙에 조직개편 사항 반영 |
- 28 -
|
Ⅴ- 4- 주요정책② : 기상과학문화 확산 |
□ 목 적
○ 기상과학이 국민들의 생활 속에 뿌리내릴 수 있도록 다양한 기상과학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
○ 알기 쉬운 실험실습과 과학시설 견학 및 체험학습을 통한 기상과학 꿈나무 육성과 기상과학문화 확산
□ 주요내용 및 성과
○ 읍면동 생활과학교실 운영
— 2010년도 읍면동 생활과학교실 운영사업 협약(6.18)
○ 찾아가는 날씨체험캠프 운영
— 충남 태안군 소원초등학교 등 총 9개 학교 운영, 338명 참여
○ 기상교육 종합콘텐츠 경진대회 실시
— 기본계획 수립(1.28), 작품접수 : 온대저기압 교육용 자료 등 2작품 접수(6월 21일 현재)
○ 기자, 기상캐스터 등 기상언론인을 위한 전문교육프로그램 개설
— 기상방송인 전문과정 운영 : 전국 TV 기상캐스터 24명(2.27)
○ 수치예보관련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국내 연수 지원
— 위탁교육기관 선정(2.10), 교육훈련생 20명 선발(3.17), 상반기 집합교육(3.22~4.30) 및 현장 실무교육 중(5.3~12.17)
- 29 -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계 획 |
추 진 실 적 |
비고 |
1월 |
○ 수치예보 전문기술인력 위탁교육기관 선정 |
○ 수치예보 전문기술인력 민간위탁교육기관 선정 - 기상청 홈페이지 공개모집(1.26∼2.5), 제안설명회 및 평가(2.9) - 민간위탁교육기관 선정 : (재)한국기상기후아카데미(2.10) |
지연 |
○ 기상교육 종합콘텐츠 경진대회 계획 수립 |
○ 제1회 기상콘텐츠 경진대회 기본계획 수립(1.28) - 기상교육 종합콘텐츠 경진대회 준비회의 개최(1.26) |
정상 |
|
2월 |
○ 수치예보 전문기술인력 교육생 모집 및 교육 실시 |
○ 수치예보 전문기술인력 교육생 모집 및 교육 실시 - 교육생 모집 홈페이지 공고 : 1차(2.22), 2차(3.5) - 교육훈련생 모집 완료 : 20명(3.17) - 상반기 집합교육 계획 수립(3.18) 및 교육 실시(3.22∼4.30) |
지연 |
○ 날씨체험캠프 운영대상학교 선정 |
○ 날씨체험캠프 운영대상학교 선정 - 2010년도 찾아가는 날씨체험캠프 운영 참가대상 공모(2.3∼17) - 창기초등학교 등 18개 기관 선정(2.26) |
정상 |
|
3월 |
○ 기상언론인 전문교육프로그램 교육생 선발 및 강사 선정 |
○ 기상방송인 전문과정 운영 계획 변경(2.25) - 교육일정(교과목 및 강사) 수립, 교육생(기상방송인) 26명 선발 |
정상 |
4월 |
○ 기상언론인 전문교육프로그램 운영 |
○ 기상방송인 전문과정 운영(2.27) - 전국 TV 기상캐스터 24명 - 기상방송인 간담회와 기상방송인 전문과정 병행 추진위해 일정 변경(조기 추진) |
정상 |
6월 |
○ 기상교육 종합콘텐츠 경진대회 작품접수 |
○ 기상교육 종합콘텐츠 경진대회 작품접수 - 제1회 기상콘텐츠 경진대회 작품공모 홈페이지 공고(5.26) - 접수기간 : 6.1∼6.30 - 접수방법 : 인터넷(기상청 홈페이지), 우편 |
정상 |
○ 지연사유
— 수치예보 전문기술인력 위탁교육기관 선정
ㆍ ‘09년도 사업 공모 시에도 사단법인 기상과학아카데미 1개 기관만이 응모함에 따라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 26조 제1항 제8호의 규정에 따라 수의계약으로 사업을 추진하였음
ㆍ 금년에도 1개 기관만이 응모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조기사업 추진을 위해 공모를 거치지 않고, 수의계약으로 위탁교육기관을 선정코자 하였으나 “수치예보 전문기술인력 양성사업 세부추진계획(‘10.1.26)” 과정에서 보다 투명한 사업추진을 위해 공개모집으로 방침이 결정되어 공모(1.26~2.5)와 평가(2.9)에 따른 소요기간으로 위탁교육기관 선정이 지연됨
- 30 -
— 수치예보 전문기술인력 교육생 모집 및 교육실시
ㆍ 위탁교육기관 선정 지연(2.10)과 1차 교육생 모집공고(2.22)시 신청자 미달(모집자 20명, 신청자 14명)로 2차 모집공고(3.5)를 실시함에 따라 교육생 선발 및 교육일정이 전체적으로 지연됨
○ 조치계획(지연 완료사항)
— 수치예보 전문기술인력 위탁교육기관 선정
ㆍ 기상청 홈페이지 공개모집(‘10.1.26~2.5)
ㆍ 제안설명회 및 평가회 개최(2.9)
ㆍ 위탁교육기관 최종선정(2.10)
— 수치예보 전문기술인력 교육생 모집 및 교육실시
ㆍ 교육생 모집 홈페이지 공고 : 1차 공고(2.22), 2차 공고(3.5)
ㆍ 교육생 모집완료 : 20명(3.7)
ㆍ 상반기 집합교육 계획 수립(3.18) 및 교육 실시(3.22~4.30)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대국민 특성화교육 참여자수 |
150 |
113 |
○ 상반기 대국민 특성화교육 : 3개 과정 운영 - 기상방송인 전문과정 : 24명 참여 - 관측표준화 교육과정(1차) : 집합 교육 39명 참여, 사이버 교육 30명 참여 - 수치예보 전문기술인력 양성과정 : 20명 참여 |
날씨체험캠프 참여자 만족도 |
80 |
77.8 |
○ 상반기 날씨체험캠프 운영 : 9개 기관(338명) - 참가기관 중 만족도 90점 이상 기관 7개 기관(77.8%) |
○ 목표 미달성 사유(외부 환경변화에 의한 목표 미달성시 사유 작성, 평가주기가 반기인 경우)
— 평가주기가 연간이므로 하반기 교육운영을 통하여 목표치달성이 가능함
○ 조치계획
— 목표치 달성에 차질 없도록 교육운영에 만전을 기하겠음
- 31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수치예보 전문기술인력 교육생 모집 인원 미달 - 교육생 모집 인원 20명, 지원자 14명 ○ 기상교육 종합콘텐츠 경진대회 준비회의 개최 - 대회 명칭 변경, 대회 규모 확대, 심사 강화 등 의견 수렴 ○ 수치예보 전문기술인력 교육훈련생 효율적 운영 방안 요구(실무교육기관) |
○ 2차 모집공고(3.5) - 기상청 홈페이지를 통한 2차 모집(3.5∼3.12) - 추가 지원자 12명, 총 26명의 지원자 중 심사를 거쳐 20명 교육생 선발(3.17) ○ 기상콘텐츠 경진대회 기본 계획(1.28)에 반영 - 대회명칭 변경 : 기상교육 종합콘텐츠 경진대회 → 기상콘텐츠 경진대회 - 대회규모 확대 : 2개 분야로 나누어 운영, 수상자 총 14명(분야별 7명) - 심사 강화 : 예선 및 본선 심사 운영, 외부 인사 50% 운영 ○ 수치예보 전문기술인력 교육생 실무교육관련 회의개최(4.20) - 교육훈련생 운영관리지침 설명, 2009년도 실무교육 운영사례 공유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2010년 읍면동 생활과학교실 운영사업 협약(6.18) - 협약기간 : ‘10.5.14∼’11.3.11 |
○ 2010년도 읍면동 생활과학교실 운영을 위한 재단 지원금 확보 - 한국과학창의재단 지원금 90,000천원(1차 지원금 수령 58,500천원, 6.9) |
- 32 -
Ⅴ- 4- 정보화① : 기상교육 e- 러닝 체제구축 |
□ 목 적
○ 기상교육용 콘텐츠 개발을 통한 온라인 원격교육 강화 및 대기과학 지식보급으로 기후변화 이해 및 대국민기상서비스 기여
○ 다양한 교육영상 자료 제공(플래시 애니메이션 개발) 및 학습으로 청소년들의 기상과학 문화 확산 및 창의적인 인재육성에 기여
○ 상시학습체제 및 도서벽지 등 지방근무자를 위한 온라인 교육의 활성화 및 확대
□ 주요내용 및 성과
○ 사이버교육용 기상교육 콘텐츠(코스웨어) 개발 추진
— 기후변화 과학, 기후변화 국제적 대응, 기후변화 시나리오(신규 콘텐츠 3개 개발)
○ 기상과학 학습자료 플래시 애니메이션 제작(하늘에선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을까요 ?)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계 획 |
추 진 실 적 |
비고 |
1월 |
○ 기상교육 이러닝 체제구축 사업 추진계획 수립 |
○ 기상교육 이러닝 체제구축 사업 추진계획 수립(1.22) - 사업추진 기본계획 및 콘텐츠 개발 추진 내용 및 일정 등 |
정상 |
3월 |
○ 조달청 계약 - 기후변화과학 등 콘텐츠(3개), 플래시 에니메이션(1개) |
○ 기상교육이러닝 콘텐츠 개발사업 용역계약 체결(조달청, 3.29) - 사업기간 : 3.29~10.25(7개월) / 예산 : 136백만원 / 용역업체 : (주)메디오피아테크 ※ 제안서 평가(7개 업체, 3.24) |
정상 |
4월 |
○ 착수보고회 |
○ 기상교육이러닝 콘텐츠 개발사업 착수보고회 개최(4.8) - 사업추진 수행계획서 및 계약관련 주요추진사항 발표(외부위원 2인, 검토위원 3인) |
정상 |
6월 |
○ 중간보고회(1차) |
○ 기상교육이러닝 콘텐츠 개발사업 중간보고회 개최(6.17) - 그간(3개월) 주요추진사항 및 정책모니터링 실시 |
정상 |
- 33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사이버교육 콘텐츠 개발 |
3개 |
0 |
○ 기상교육 온라인 콘텐츠 개발 중(신규 3개)이며 사업계획에 따라 차질없이 수행되고 있음 - 기후변화 과학, 기후변화 국제적 대응, 기후변화 시나리오(사이버교육용 코스웨어) |
○ 목표 미달성 사유(외부 환경변화에 의한 목표 미달성시 사유 작성, 평가주기가 반기인 경우)
— 평가주기가 연간이며 현재 콘텐츠 개발이 계획대로 차질 없이 수행되고 있음
○ 조치계획
— 철저한 사업을 사업기간(3.29~10.25) 내 콘텐츠 개발이 완료되도록 추진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기상교육 e- 러닝 체제구축 사업 신규 개발 콘텐츠 분야의 외부전문가 등의 사업관련 의견수렴 필요 - 대기과학분야 교수 및 관련 전문가 등 |
○ 효율적인 기상교육 e- 러닝 체제구축 사업을 위하여 외부 전문가(교수진, 검토위원)구성으로 객관성 및 전문성 확보와 다양한 교육영상 자료 개발에 관한 의견개진 등 집행과정의 합리성 강화 - 기상교육 e- 러닝콘텐츠 개발사업 검토회의 개최(2.9, 실무전문가 6인) - 외부전문가(2인) 및 전문 검토위원(3인) 제안서 평가(3.24)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국가정보화 전략사업과 연계하여 2010년 국가정보화시행계획 반영으로 수요자 중심의 교육시스템 체제강화를 위한 직무능력 향상 및 교육훈련비 절감 등에 노력 ○ 과학기술부(평생교육진흥원)의 학점은행제 대기과학 전공과정 운영에 필요한 사이버콘텐츠 활용 |
○ 2010년 국가정보화시행계획 반영(행안부, 4.30)하여 정책추진 및 성과평가를 받고 있음(정보통신기술과- 1435, 3.31) - 기상교육 e- 러닝시스템 구축(중장기 개발전략 등) ○ 2010년 봄학기 학점은행제 대기과학 전공과정 교육 콘텐츠 활용(열대기상학 등 3개과목) 및 중앙공무원교육원과의 협조체계를 통한 사이버 콘텐츠의 공동 활용 - 2010년도 봄학기 학점은행제 대기과학 전공과정 운영계획 수립보고(인력개발담당관- 357, 1.25) |
- 34 -
자체주요업무 : 기상선진화를 위한 기상업무역량 향상 교육 및 인프라 강화 |
□ 목 적
○ 교육훈련을 통한 핵심전문가 육성과 조직활성화로 기상선진화 구현
□ 주요내용 및 성과
○ 새로운 조직에 대한 신규자들의 적응력 향상 및 공직가치 함양
— ‘10년 9급 공채시험 합격자 대상 신규직원 조직적응 교육과정 운영
○ 경력개발제도(CDP)와 연계한 예보‧관측‧항공‧지진 등 분야별 전문교육을 통한 핵심전문가 육성
— 예보관 실무과정, 기상관측 실무과정 등 8개 과정 운영
○ 리더십교육과정을 통한 조직활성화 및 셀프리더십 향상
—중간관리자 대상 창조리더십과정 등 3개 과정 운영
○ 수요자의 눈높이에 맞춘 특별 교육프로그램을 통한 기상교육서비스 제공
—기상방송인 전문과정, 기상관측표준화과정, 방재기상과정
○ 국제 기상협력 및 개도국 대상 선진기술교육훈련 지원을 통한 국격제고
—한‧중 황사공동관측망 운영자 과정, 남아시아 8개국 대상 ICT(정보통신기술)를 이용한 기상업무향상과정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계 획 |
추 진 실 적 |
비고 |
1 |
○ 봄학기 학점은행제 대기과학 전공과정 운영계획 수립 및 교육생 모집 공고 |
○ 봄학기 학점은행제 대기과학 전공과정 운영계획 수립 및 교육생 모집 공고(2.9) - 교육기간/입학정원/입학자격 : 3월〜6월(4개월)/과목당 40명/기상청 직원 및 일반인 |
지연 |
2 |
○ 봄학기 학점은행제 대기과학 전공과정 교육생 선발 ○ 기상관측 실무과정 운영 ○ 기상행정 실무과정 운영 |
○ 봄학기 학점은행제 대기과학 전공과정 교육생 확정 통보 - 총 102명(내부직원 56명, 위촉연구원 3명, 청원경찰 3명, 일반인 1명) ○ 기상관측 실무과정 운영 - 기간/장소/수료인원 : 2.8〜2.10/시청각실/7급 이하 28명 ○ 기상행정 실무과정 운영 - 기간/장소/수료인원 : 2.22〜2.26/지식경제공무원교육원/7급 이하 19명 |
정상 |
3 |
○ 봄학기 학점은행제 대기과학 전공과정 운영 ○ 교수역량향상과정 운영 ○ 지진대응실무과정 운영 ○ 기상정보통신과정 운영 |
○ 봄학기 학점은행제 대기과학 전공과정 운영 - 기간/과목수 : 3월〜6월(4개월, 야간과정)/열대기상학 등 3과목 ○ 교수역량향상과정 운영 : 기간/장소/수료인원 : 3.3〜3.5/다울관/내부강사 17명 ○ 지진대응실무과정 운영 : 기간/장소/수료인원 : 3.8〜3.10/다울관/7급 이하 18명 ○ 기상정보통신과정 운영 : 기간/장소/수료인원 : 3.22〜3.26/드림관/7급 이하 16명 |
정상 |
4 |
○ 신규자 조직적응능력향상 과정 운영 ○ 항공기상 전문과정 운영 ○ 기후변화예측과정(사이버) 운영 |
○ 신규자 조직적응능력향상 과정 운영 - 기간/장소/교육인원 : 4.12〜7.9/‘10년도 기상청 9급 공채시험 합격자 30명 ※ 4.12〜6.4 집합교육, 6.7〜7.2 현장실습, 7.3〜7.9 과정마무리 ○ 항공기상 전문과정 운영 : 기간/장소/수료인원 : 4.5〜4.9/시청각실/항공기상청 직원 12명 ○ 기후변화예측과정(사이버) 운영 : 기간/수료인원 : 4.5〜4.22/87명 ○ 예보관 실무과정 운영 : 기간/장소/수료인원 : 3.2〜6.30/채운관/6〜8급 동네예보관 17명 |
정상 |
5 |
○ 레이더관측기술과정 운영 ○ 조직활성화과정 운영 ○ 창조리더십과정 운영 ○ 기상자료처리법 및 실습과정(사이버) 운영 |
○ 레이더관측기술과정 운영 ; 기간/수료인원 : 5.5〜5.18/기상레이더센터, 레이더관서 담당자 등 75명 ※ 기상레이더센터 신설에 따른 주 교육대상자들의 집합교육 참여 여건이 원활하지 않아 사이버교육으로 변경 운영 ○ 조직활성화과정 운영 : 기간/장소/수료인원 : 5.19〜5.20/천안 국학원/6급 이하 27명 ○ 창조리더십과정 운영 : 기간/장소/수료인원 : 5.27〜5.28/천안 국학원/4〜5급 중간관리자 21명 ○ 기상자료처리법 및 실습과정(사이버) 운영 : 기간/수료인원 : 5.5〜5.18/92명 ○ 방재기상과정 운영 : 기간/장소/수료인원 : 6.14〜6.16/드림관/방재담당 공무원 12명 |
|
6 |
○ ICT 기상업무향상 과정 |
○ ICT 기상업무향상과정 운영 - 기간/장소/수료인원 : 5.1〜5.30/사이버강의실/남아시아 8개국 15명 ※ 국제협력담당관실 주관 타 연수과정과 기간 중복을 피하기 위해 조기 운영 |
정상 |
○ 지연사유
— 결재과정에서 교육대상자를 일반인까지 확대하라는 청장지시로 학점은행제 주관부처인 교육인적자원부와 협의절차로 인하여 일정이 다소 지연됨
○ 조치계획(또는 지연 완료사항 작성)
— 교육인적자원부와 긴밀한 협의를 통하 교육대상자를 일반인까지 확대하도록 합의하여 교육생을 모집함
- 35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교육만족도 |
90.0 |
93.1 |
○ 상반기 과정별(집합교육) 교육만족도 평균 93.1로 목표치 90.0 대비 3.1점 초과 달성 - 기상관측 실무과정 78.6, 기상행정 실무과정 94.7, 교수역량 향상과정 : 94.1, 항공기상 전문과정 100, 조직활성화과정 100, 창조리더십과정 94.4, 지진대응 실무과정 94.4, 정보통신 실무과정 87.5, ICT 기상업무향상과정 94.1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기상레이더센터 신설과 레이더관서 정원조정 등 기상청 조직개편(4.13)으로 인해 주 교육대상인 레이더업무 종사자들의 집합교육 참여가 어려워짐 |
○ 레이더관측기술과정을 집합교육에서 사이버교육으로 변경 운영 - 교육기간/수료인원 : 5.5〜5.18/기상레이더센터, 레이더관서 담당자 등 75명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외교통상부 산하기관인 한국국제협력단(KOICA)와 MOU 체결(‘09.10.21) |
○ ‘10년도 기상청- KOICA 정례 협의회 개최 - 일시/장소/내용 : 2.8 / KOICA 연수센터 / ‘09년도 연수 평가결과 및 개선점, ’10년 연수사업 계획 등 ○ ICT를 이용한 기상업무향상과정 위탁 운영 - KOICA의 남아시아지역협력연합(SAARC) 국가 지원 특별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남아시아 8개국 15명을 대상으로 ICT 연수과정(5.1〜5.30) 운영 - KOICA에서 과정 설문 등 객관적 평가 실시 및 환류 |
- 36 -
|
주요정책 : 국제무대 역할신장과 기상분야 국가브랜드 강화 |
□ 목 적
○ WMO 등 국제기구가 추진하는 국제기상협력 사업의 주도적 참여를 통해 역할을 신장
○ 각종 국제기구 임원 진출을 통한 선도적 지위를 강화
○ 국제회의 국내 유치‧지원을 통해 기상청 브랜드 제고
○ 협력대상 범위 확대 추진을 통해 국가별로 성과실익 있는 분야에 집중하는 차별화 전략으로 양국협력 효율성 제고
○ 개도국을 대상으로 한 기술지원 등의 역량 배양 지원활동을 통하여 개도국의 지구 기후변화 공동 대처 동참 유도
□ 주요내용 및 성과
○ 세계기상기구(WMO) 활동‧역할 신장
— 제43차 태풍위원회 국내 유치(2011. 1. 17~21/제주)
— RA Ⅱ 지역 기상청장 기술회의 유치(11.29~12.3/부산)
— 제62차 WMO 집행이사회 참가(6.8~18/스위스 제네바)를 통한 집행이사 활동 및 사이드미팅을 통한 양국협력 활동 강화
— 제15차 WMO 기후위원회(2.19~24, 터키), 제14차 항공기상위원회(2.3~10/홍콩) 참가
○ 양국간 협력 업무
— 한- 중 지방기상청간 협력회의 개최(부산청- 절강성, 광주청- 요녕성, 대전청- 천진시, 강원청- 길림성, 제주청- 강소성)
— 제6차 한- 러 기상협력 회의 개최(5.24~28/서울)
○ 개도국 기상업무 현대화를 위한 국제협력 지원
— 아프리카 기상관련 장관회의에서 동아프리카 10개국과 기후변화 적응기술에 관한 양해각서 체결(4.14/케냐 나이로비)
○ KOICA를 통한 개도국 기술개발 지원
— 아프리카지역 기상재해 대응능력 배양과정(5.16~6.5/서울) 및 ICT 이용 기상업무 향상과정(5.1~30/서울) 운영
- 37 -
○ 양국 협력을 통한 개도국 기상업무 지원
— 베트남 기상업무 현대화 지원 사업 계획 수립 및 이행 협의
▪ 기상재해경감시스템 구축 지원, 기상전문인력 양성 지원 등 5개 과제(3년간)
▪ 한- 베트남 기상연구소 간 MOU 체결(3.11/하노이), 광주지방기상청- 베트남남부수문기상센터 간 MOU 체결 (3.2/호치민), 양국 기상전문가 교환 등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계 획 |
추 진 실 적 |
비고 |
1월 |
○ 제42차 태풍위원회 참가(제43차 태풍위원회 국내 유치) ○ 국가간 기상협력회의 개최 일정 협의 ○ 베트남기상청 현대화사업 지원 계획 수립 및 이행 협의 |
○ 제42차 태풍위원회 참가(제43차 태풍위원회 국내 유치) - 기간/장소/참가자 : 1.25- 29/싱가포르/예보국장 등 9명 ○ 국가간 기상협력회의 개최 일정 협의 - 제6차 한·러, 제4차 한·몽, 제6차 한·호 기상협력회의 개최 시기 협의(1.11) - 협의 결과 : 한·러(5.24- 28/서울), 한·몽(8.16- 18/서울), 한·호(10.25- 27/서울) ○ 베트남기상청 현대화 지원사업 계획 수립 및 이행 협의 - 베트남 기상업무 현대화 지원사업 기본계획 수립(2009.12.30) - 베트남 기상업무 현대화 지원 계획 보고 및 관련 부서 의견 수렴(1.15/국제회의실) - 베트남 기상업무 현대화 지원 사업 이행 계획 수립(3.29) |
정상 정상 정상 |
2월 |
○ WMO 항공기상위원회 참가 ○ WMO 기후위원회 참가 |
○ WMO 항공기상위원회 참가 - 기간/장소/참가자 : 2.2.- 10/중국 홍콩/항공기상청장 등 3인 ○ WMO 기후위원회 참가 - 기간/장소/참가자 : 2.19- 24/터키 안탈리아/차장 등 5명 |
정상 정상 |
4월 |
○ KOICA 연수사업 실시(아프리카지역 기상재해 대응능력배양 과정) |
○ 동아프리카 지역 10국 기후예측응용센터(ICPAC)과의 기후변동‧변화 적응 기술에 관한 양해각서 체결 - 일시/장소/참가자 : 4.14/케냐 나이로비/기상청장 등 4명 ○ KOICA 연수사업 실시(아프리카지역 기상재해 대응능력배양 과정) - 기간/장소/참가자 : 5.16- 6.5/서울/아프리카 10국 10명 |
정상 지연 |
5월 |
○ KOICA 연수사업 실시(ICT 이용 기상업무 향상과정) ○ ASEAN 기상 및 지구물리 위원회 참가 |
○ KOICA 연수사업 실시(ICT 이용 기상업무 향상과정) - 기간/장소/참가자 : 5.1- 30/서울/남아시아 8개국 15명 ○ ASEAN 기상 및 지구물리 위원회 참가 - 기간/장소/참가자 : 5.9- 14/베트남 다낭/기상사무관 김성헌 |
정상 정상 |
6월 |
○ 제62차 WMO 집행이사회 참가 ○ 베트남기상청 기술 지원(초청 3건, 방문 2건) |
○ 제62차 WMO 집행이사회 참가 - 기간/장소/참가자 : 6.8- 18/스위스 제네바/청장 등 5인 ○ 베트남기상청 기술 지원(초청 3건, 방문 2건) - 초청(기간/인원) : 예보시스템(4.26- 30/Mr. Tuan 등 2명), 기후자료관리(4.26- 30/Mr. Thang 등 2명), 응용기상서비스(4.26- 30/Ms. Thao 2명) - 방문 : 베트남 기상재해경감시스템 구축 실무전문가 회의 개최(2.8- 12./김영화 등 5명), 광주지방기상청- 베트남남부수문기상센터 간 기상협력 MOU 체결 및 제1차 협력회의 개최(3.1- 5/광주지방기상청장 등 6명), 한- 베트남 기상연구소간 MOU 체결(국립기상연구소장 등 7명/3.8- 12.) |
정상 정상 |
- 38 -
○ 지연사유
— 한- 아프리카 기상협력 회의(4.13~16/케냐 나이로비)에서 양 기관 합의를 통해 KOICA 초청연수사업(아프리카지역 기상재해 대응능력배양 과정)을 5월로 연기
- 39 -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국제기구 활동 지수(%) |
63 |
65 |
○ 국제회의 참가 : 제42차 태풍위원회(1.25- 29/싱가포르), WMO 항공기상위원회(2.2- 10/홍콩), WMO 기후위원회(2.19- 24/안탈리아), 제62차 WMO 집행이사회(6.8- 18/제네바) ⇒ 4건/4건 ○ 전문가회의 참석 : 7/8 ○ 발언건수 : 30/104 × 산출식 : [(A×0.5+B×1.0+C×1.5)/3]×100 - A : 회의참석 건수/국제회의 수 - B : 전문가회의 참석 건수/회의건수 - C : ∑과학기술관련의제 발언건수/∑국제회의 과학기술관련의제 수 |
양국간 합의사항 이행율(%) |
69 |
70 |
○ 중국 : 7/11, 미국 : 1/1, 독일 : 1/1, 몽골 : 0/0, 베트남 : 5/7 ※ 산출식 : 양국간 합의사항 이행율 = [연간 합의사항 이행건수/연간합의사항 이행 계획 건수]×100% |
개도국 지원 활동 지수 |
112 |
85점 |
○ KOICA 연수사업 실시 - 아프리카지역 기상재해 대응능력배양 과정(3주/10명) ⇒ 1건×15점 = 15점 - ICT 이용 기상업무 향상과정(4주/15명) ⇒ 1건×15점 = 15점 ○ 기상청 자체 개도국 지원 사업 - 초청 : 예보시스템(4.26- 30/Mr. Tuan 등 2명), 기후자료관리(4.26- 30/Mr. Thang 등 2명), 응용기상서비스(4.26- 30/Ms. Thao 2명), 한- 중 지방기상청 간 기술 교류(광주- 요녕성, 부산- 절강성, 제주- 강소성) ⇒ 6건×5점 = 30점 - 방문 : 베트남 기상재해경감시스템 구축 실무전문가 회의 개최(2.8- 12/김영화 등 5명), 광주지방기상청- 베트남남부수문기상센터 간 기상협력 MOU 체결 및 제1차 협력회의 개최(3.1- 5/광주지방기상청장 등 6명), 한- 베트남 기상연구소간 MOU 체결(국립기상연구소장 등 7명/3.8- 12), 한- 중 지방기상청 간 기술 교류(대전- 천진시, 강원- 길림성) ⇒ 5건×5점 = 25점 ※ 산출식 : ∑(7A+B+C) - A : KOICA 국내 초청연수사업 실적(건수×가중치) (가중치 : 1주 이상 5점, 2주 이상 10점, 3주 이상 15점) - B : KOICA 프로젝트형 사업 실적(건수×30점) - C 기상청 자체 개도국 지원 사업(건수×5점) (내용 : 파견, 초청) |
— 아프리카지역 기상재해 대응능력배양 과정 실시 완료 : 5.16~6.5/서울/아프리카 10개국 10명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세계기상기구(WMO)에서 아프리카 기상관련 장관회의(4.12~16)에 기상청 참가 요청 (ICPAC/1707, 2010.3.17) ○ 동아프리카 기후예측응용센터(ICPAC)에서 한국기상청의 지원 협력 요청 |
○ 아프리카 기상관련 장관회의 참가(4.12- 16/케냐 나이로비/기상청장 등 4명) - 녹색성장 정책과 아프리카 협력사항에 관한 발표 - 기상청의 선도 기상기술력 홍보(현지 신문 보도) ○ 동아프리카 지역 10국 기후예측응용센터(ICPAC)과의 기후변동‧변화 적응 기술에 관한 양해각서 체결(4.14/케냐 나이로비) - KOICA 연수사업 아프리카지역 기상재해 대응능력배양 과정 개최 시기 연기(4월→5월) ‧ 아프리카 참가국의 의견을 연수과정에 반영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지식경제부의 ‘퇴직전문가 해외파견사업’ 참여 |
○ 지식경제부의 ‘퇴직전문가 해외파견 사업’ 참여를 통한 개도국 지원 사업 추진 - 베트남, 필리핀, 몽골, 케냐 기상청에 퇴직 기상인 파견 추진(하반기 파견 예정) |
- 40 -
예 보 국
2010년도 상반기 성과점검회의
• 예보정책과 45
• 예보기술팀55
• 국가태풍센터58
|
Ⅰ- 1- 주요정책③ : 위험기상 대비 정책능력 강화 |
□ 목 적
○ 신속한 위험기상 정보제공과 수요자 중심의 기상 서비스 제공으로 기상예보에 대한 만족도 제고
○ 위험기상 사전대비 능력강화를 위한 방재기상대책 수립‧시행과 유관기관 협력 강화
○ 예보업무 프로세스 개선과 예보 가이던스 제공을 통한 예보관 예보업무 전담시간 확보 및 예보정확도 향상
□ 주요내용 및 성과
○ 수요자 중심의 기상정보 서비스 강화로 국민의 안전 확보
— 명절, 새해맞이 등 인구 이동이 급증하는 기간에 특별 기상지원을 강화하여 위험기상으로 인한 사고위험에 사전대비
— 방재유관기관, 국립공원관리공단 방재담당자 등 낙뢰정보 수신기관 확대(1,189 ⇒ 2,081, 75% 확대)로 낙뢰피해예방에 기여
○ 3차례의 전국예보관계관회의를 통해 2010년 여름 달라지는 방재기상 대책을 공유하고 차질 없이 추진하기 위한 이해 확산
○ ‘선제적 방재기상업무 수행을 통한 위험기상 예보정확도 100% 도전’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여름철 방재기상업무 추진
— 위험기상 감시, 예보정확도 향상, 대국민 소통 강화를 위한 방안 마련과 2010년 여름 달라지는 주요 방재기상대책 수립
○ 대설특보구역 세분화 대상지역에 대한 만족도 조사결과(대체로 찬성 이상 94%)에 따라 호우, 강풍 등 9개 특보에 대해 확대 적용
○ 2012년 안개특보 정상운영을 위해 관측망, 연구개발 등 전반적 사항에 대한 종합 대책의 단계적 추진 및 안개특보 시험운영을 통한 지역별 안개 특성에 대한 노하우 축적
- 45 -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계 획 |
추 진 실 적 |
비고 |
2월 |
○ 국민과의 소통강화 계획 수립 |
○ 국민과의 소통강화 계획 수립(2.26.) - 설‧추석 연휴, 대학수학능력시험, 새해맞이 해돋이/해넘이 등 국민의 관심이 큰 기간에 대한 차별화된 기상정보 제공 |
정상 |
4월 |
○ 예보관계관 회의 개최 |
○ 제1차 전국예보관계관회의 개최(3.2.) - 본청 및 소속기관 예보관계 부서장 등 35명 참석 - 산악기상예보, 초단기예보 시행, 안개특보 추진현황 등 발표 및 토의 ○ 제2차 전국예보관계관회의 개최(5.6.~7.) - 본청 및 소속기관 예보관 등 55명 참석 - 각 국‧실 및 소속기관 방재기상 대책, 여름철 방재기상업무지침 개정(안) 등 발표 및 토의 ○ 예보관 워크숍 개최(5.27.~5.28.) - 본청 및 소속기관 예보관 등 55명 참석 - 위험기상별 개념모델 초단기예보 적용 및 “4대강 살리기” 특별 기상지원 적용방안 토의 등 |
정상 |
5월 |
○ 여름철 방재기상대책 수립‧시행 |
○ 여름철 방재기상대책 보고회 및 선포식(5.17.) - 초단기예보 시행 등 올 여름 달라지는 주요대책 보고 및 기상재해 다짐대회 개최 ※ 다짐구호 : “선제적 방재기상업무 수행으로 위험기상 예보정확도 100%에 도전“ |
정상 |
6월 |
○ 대설특보 시범운영 결과분석 ○ 산지와 평지의 호우특성을 반영한 호우특보 세분화 시험운영 ○ 안개특보 시험운영 확대계획 수립 |
○ 대설특보구역 세분화 시범운영 결과보고(5.17.) - 시범운영(‘09.12.22~’10.4) 및 만족도 조사 결과 분석 ○ 호우, 강풍 등 9개 특보에 대해 산지와 평지의 특성을 반영하여 시범운영 실시(5. 25) - 강원도, 경북북동산간 14개 시‧군 ○ 안개특보 시행 종합대책 수립 및 안개특보 시험운영 확대계획 수립‧통보(4.5) - 안개특보 기준 설정, 관측망 확보, R&D, 유관기관 협력 등 |
정상 |
- 46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유관기관 정보제공 서비스 만족도(%) |
80.0 |
- |
○ 상반기, 하반기 2회 실시, 7월 상반기 만족도 결과 발표 |
기상특보 만족도(%) |
69.0 |
- |
○ 상반기, 하반기 2회 실시, 7월 상반기 만족도 결과 발표 |
○ 목표 미달성 사유 : 평가주기가 반기로 7월 이후 실적 산출 가능
○ 조치계획 : 해당사항 없음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대설특보구역 세분화 시범운영 결과를 반영한 특보 시험운영 확대 필요성 대두 ○ 3월까지 단기 및 주간예보의 정확도가 ‘09년 대비 하락 ○ 주말 및 주초 예보에 대한 정확도 향상 필요 ○ 일기예보안내전화(131) 행정동 변경 요청(민원 해결) ○ 초단기예보 시범운영에 따른 유관기관과 국민의 이해 필요 |
○ 시험운영 결과 대체로 찬성이 94%로 나타나 시험운영 확대 실시 - 호우, 강풍 등 9개 특보로 확대하여 산지와 평지 특성을 반영한 특보 시범운영 실시(5. 25) ○ 예보관계관 회의 및 주례예보점검회의를 통해 검증결과 분석 자료 제공하여 예보정확도 목표치를 달성할 수 있는 방안 제시 및 토의 ○ 예보브리핑 공휴일 확대 실시(6.19.~) - 기상현상 변화가 심해짐에 따라, 예보 결정을 위한 다양한 의견 수렴 ○ 행정동 변경사항을 파악하여 일기예보안내전화 적용 - 322개 행정동 반영(예: 영월군 서면 ⇒ 영월군 한반도 면) ○ 기상사업자 설명회 개최(5.12, 11개 기관), 131 콜센터 설명회 개최(6.1) ○ 언론 및 BH 등 외부기관 정책설명회에 초단기예보 홍보 실시 |
- 47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한국도로공사 - 기상정보와 교통정보 동시제공을 위한 협조체계 구축 - 안개특보 시행을 위한 유관기관 실무위원회 위원 ○ 국토해양부 - 4대강 살리기 사업 추진본부와 기상정보 지원 체계 구축 - 안개특보 시행을 위한 유관기관 실무위원회 위원 ○ 방재관련 유관기관 방재기상업무협의회 운영 ○ 안개특보 시행을 위한 유관기관 실무협의회 구성(15개, 기관 22명) ○ 공군 제73기상전대와 업무협의회 |
○ 설 연휴 특별 기상지원 실시(2.9~16) - 기상청 홈페이지 특별 기상지원에서 기상정보와 함께 교통정보 제공 ○ “고속도로 안개관리 종합 대책” 용역사업 자문 - 해외사례, 특보 발표기준 변경, 특보종류, 안개정보 생산 현황 등 설명 ○ 기상 예‧특보‧정보 지원을 위한 홈페이지 구축 및 비상연락망 구성‧운영 ○ 도로교통 안전관련 시설물 구축 현황 파악 - 전국지차체 ITS 구축현황, 안개관측장비, CCTV 운영현황 및 추가설치 계획 파악 ○ “2010년 여름철 방재기상업무협의회” 개최(5.11) - 4대강 살리기 추진본부, 국토해양부, 환경부 등 8개 기관 방재담당자 참석 - 기상재해 최소화를 위한 유관기관과의 업무공유 ○ 실무위원회 개최(6.29. 예정) - 안개특보 시행 종합대책 검토 및 유관기관 시정 관측망 공유, 법제도 개선 협의 ○ 기상청·공군 제73 기상전대 업무협의회 개최(6.17) - 기상전대 6명 참석/ 안개 실황감시 및 예측, FAS 활용현황 등 업무 공유 및 논의 |
- 48 -
Ⅱ- 1- 주요정책① : 맞춤형 기상정보 전달체계 구축 |
□ 목 적
○ 24시간 실시간 기상정보 제공과 쌍방향 전달체계 구축을 통한 기상재해 최소화
○ IT 기술을 활용한 영상, 음성, 문자 등 유비쿼터스 기반의 전달체계 구축을 통한 기상정보 사각지대 해소
○ 예보정확도와 국민의 만족도간 차이 개선을 국민과 언론과의 소통강화
□ 주요내용 및 성과
○ 4대강 살리기 사업, 전국동시 지방선거 등 2010년 국가적 주요 업무에 대한 기상지원
— 사업의 원만한 진행과 위험기상의 사전 대비를 위한 유관기관과의 협조체계 강화
○ 날씨의 영향을 많이 받는 출퇴근 시간대에 대한 날씨변화 시나리오 정보제공(04시, 16시)
- 언론과 유관기관에 날씨변화 시나리오를 사전 제공함으로써 출퇴근 시간 조정, 교통안전 등의 사전대응으로 사회적 비용 감소
○ 등산에 필요한 산악기상정보를 제공(3.29.~)하여 레저 활동 편익증진 및 안전사고 방지
— 국립공원, 도립공원, 군립공원 등 주요 산 77개 지점(기존 44개 지점)
○ 인터넷기상방송(날씨ON)의 콘텐츠 보강을 통한 기상정보 서비스 강화
— “여름철 방재대책기간 인터넷기상방송 특화서비스 제공”(6.15~, 정보화 과제)에 활용
○ 매주 2회(화, 목)의 주말예보 전담반 운영으로, 홈페이지 등을 통해 상세 주말기상정보 제공하여 날씨정보 활용방향 제시
○ 기상상황 변화에 대한 사전 시나리오와 사후 분석정보를 언론사에 제공하여 기상지식 이해 확산과 소통 강화
○ 기상콜센터의 생산성과 품질의 향상을 위한 관리방안 수립 및 시행(기상산업정책과)
— 기상콜센터 위탁운영업무 서비스 수준 합의 및 운영수준 진단 실시
- 49 -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계 획 |
추 진 실 적 |
비고 |
1월 |
○ 4대강 사업 공구별 특화된 기상서비스 제공 |
○ 4대강 살리기 국책사업 기상정보 지원계획 수립(1.19) 및 정보제공(1.29) - 주요 공사현장별 동네예보, 주간예보, 기상정보, 산업기상정보 지수와 위험기상정보 등 제공 - 4대강 살리기 통합사업관리시스템(FIMS)을 통한 실시간 지원 |
정상 |
2월 |
○ 맞춤형 특별기상 지원계획 수립 ○ 출퇴근시간을 중심으로 기상정보 제공 정례화 |
○ 맞춤형 특별기상 지원 계획 수립(2.26) - 4대강 살리기 사업, 삼일절, 4.19행사 등 국가 주요 행사 기상지원 ○ 출퇴근기상정보 제공 계획 통보(2.26) - 출퇴근시간(06~09시, 18~21시)의 기온, 강수 등 기상요소 변화와 도로여건 등을 반영한 기상정보 제공(일 2회 04시, 16시) |
정상 |
3월 |
○ 날씨ON 콘텐츠 다양화를 위한 계획 수립 |
○ 날씨ON 콘텐츠 다양화 계획 수립(3.26) - 출퇴근 기상정보, 어린이 기상교실 등 콘텐츠 추가 제공 - 여름철 방재대책기간 “인터넷기사방송” 특화서비스화 병행 추진 |
정상 |
5월 |
○ 통보시스템 통합화 및 자동화 |
○ 통보시스템 통합화 및 자동화 결과보고(5.28) - 종합기상정보시스템(COMIS- 3)과 연계한 통보시스템 자동화 체계 구축 |
정상 |
6월 |
○ 기상콜센터 운영수준 진단 실시(상반기)(기상산업정책과) |
○ 상반기 이용자 고객만족도 실시(5.21~6.1) - 대상 : 고객 1,088명 / 응답 416명 / 응답율 38.2% - 만족도 결과 : 86.5% ○ 상반기 운영수준 진단 실시(6.30 예정) - 평가기준 : 생산성, 상담품질, 관리능력 |
정상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기상콜센터 이용자 만족도 |
86.8 |
- |
○ 상반기, 하반기 2회 실시 |
인터넷기상방송 만족도 |
71.2 |
- |
○ 상반기, 하반기 2회 실시, 6월 말 ~ 7월 초 상반기 만족도 조사 실시 |
○ 목표 미달성 사유 : 평가주기가 반기로 7월 이후 실적 산출 가능
○ 조치계획 : 해당사항 없음
- 50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산악 인구 증가에 따라 산악기상정보 수요 충족 필요 - 월 1회 이상의 등산인구 1,500만명(산림청 조사결과) ○ 국민과의 소통강화를 위해 기상대 통보업무 수행 필요성 제기 ○ 방재정책 결정권자에 대한 기상정보 제공 필요성 제기 ○ 초단기예보의 대국민 전달방법 강구 필요 ○ 천안함 피격사건에 따른 기상정보 지원 필요 ○ 일별/월별 콜센터 상담내역 및 고객의 소리 분석 ○ 기상콜센터 상담사 사기진작 방안 마련 지시(1.29) |
○ 상세한 산악기상정보 제공 및 산악예보 지점 확대 - 동네예보 요소 제공, 지점 확대(44개 지점 ⇒ 77개 지점) ○ 기상대에서 통보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통보시스템 개선 - 통보기관 확대 : 기존 11개관서 ⇒ 49개관서 확대 - 통보시스템 개선을 통한 원클릭 통보체계 구축 ○ 일 2회 오늘과 내일의 날씨 문사서비스 실시(4.27.) ○ 기상청 홈페이지를 통한 정보 전달체계 구축 - 홈페이지에 초단기 예보 및 그래픽 정보 제공 ○ 천안함 피격사건 관련 백령도 주변 해상 기상지원(2건/매일) ○ 분석 결과의 관련부서 통보 및 조치(전국 기상관서) ○ 기상콜센터 상담사 사기진작 방안 수립 및 시행(2월~4월) - 계획 수립(2.16)/상담사 현장 투어 4회 실시(2~3월)/근무환경 개선(3~4월) - 특별 기상교육 실시(3회, 4.19~21)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4대강 살리기 추진단과의 협조체계 구축 ○ 정부기관과의 협조체계 구축 - BH 의전실/비서실, 행전안전부의 의전실 등 ○ 국민권익위원회 중앙행정기관 콜센터 통합 정보전략 계획수립 협조 |
○ 4대강 살리기 공사현장 기상정보 제공 - 직접 방문 업무협의(1.21)/4대강 유역별 ‘기상지원 전담제’ 운영(4.23) - 4대강 살리기 통합사업관리시스템에 초단기예보 표출(6.18) ○ 기상정보 지원으로 3.1절 기념식장 사전 변경(유관순기념관→독립기념관) ○ 국가적 행사에 기상정보 지원으로 기상청 위상 강화 - 나로호 위성발사, 현충일 등 국가적 행사 일에 기상정보 지원 ○ 정부콜센터 통합운영 연구용역 추진 협조 - 사업 설명회 참가(3.16.)/기상콜센터 방문 및 인터뷰(4.1.)/중간 설명회 참가(6.4.) |
- 51 -
Ⅱ- 1- 정보화① : 예보 및 통보체계 개선 |
□ 목 적
○ 정확한 기상정보 제공을 위한 예보시스템 개선
— 시간적, 공간적으로 상세하고 정량적인 기상예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동네예보 통계모델 개발 및 예보시스템 구축
○ 기상과학에 대한 이해증진과 국민과의 소통강화로 기상예보에 대한 만족도 향상
- 실시간 기상정보 전달을 위한 인터넷기상방송(날씨ON) 운영
□ 주요내용 및 성과
○ 동네예보 서비스 개선을 위한 예보지원시스템 구축
— 0~3시간 예보를 위한 초단기예보 편집기 개발 및 현업화(6.15)로 단시간에 발생하는 기상현상에 대한 지원 강화
— 전국 통보 네트워크와 지방청 동시동보시스템 구축을 통한 통보전달의 신속성 확보
○ 인터넷기상방송(날씨ON) 시스템 운영과 홈페이지 기능 강화(예보기술팀)
— 다양한 생활기상정보와 주말날씨 전망, 위험기상 발생시의 행동요령 등을 포함하는 여름철 방재대책기간 인터넷기상방송 특화서비스 제공(6.15~)으로 날씨정보의 실용성 강화
— 장비보강을 통한 화질개선으로 이용자의 서비스 만족도 향상에 기여
○ 선진예보시스템 구축(2010~2014)을 위한 최종 로드맵 마련 및 1차년도 사업 착수(예보기술팀)
— 1차년도 사업 : 선진예보 요소기술 알고리즘 및 예보관 훈련시스템 프로토타입 개발, 초단기예보 표출 및 전달서비스 개발, 수요자 중심 쌍방향 전달서비스 구축, 그래픽기상정보 표출시스템 개발, 예‧특보 평가‧검증시스템 구축 등
- 52 -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실 적 |
비고 |
1월 |
○ 선진예보시스템 구축사업 추진 업무협의(1.8) - 사업수행에 필요한 하드웨어 수급 관련 토의 ○ 선진예보시스템 구축 추진기획단 구성 운영 계획 수립(1.18) - 단장, 단원(7인), 실무반(12인)으로 구성 |
정상 |
2월 |
○ 선진예보시스템 적합성 검토 전문가 회의(2.10) ○ 선진예보시스템 구축사업 조달계약 의뢰(2.17) |
정상 |
3월 |
○ 동네예보 발전방안 마련을 위한 업무협의(3.4) - 동네예보 발전방안 마련, 관련부서 중점추진과제 점검 ○ 여름철 방재대책기간 날씨ON 특화서비스 제공(6.15~) - 전문 아나운서와 PD 충원(4명 ⇒ 8명) - 생활기상, 주말 날씨, 출퇴근 날씨정보, 어린이 기상교실 등 콘텐츠 확대 |
정상 |
4월 |
○ 선진예보시스템 구축 사업 제안서 평가(4.1) ○ 선진예보시스템 구축 1차년도 시범사업 계약체결(4.8) - 계약상대자 / 기간 : (주)LG CNS / 2010.4.9~11.30) ○ 초단기 예보를 위한 동네예보편집기 개발 계획 수립(4.23) |
정상 |
5월 |
○ 선진예보시스템 구축사업 워크숍 개최(5.6) - 사업 상세설계에 대한 심층 토의 ○ 선진예보시스템 구축사업 추진 보고회 개최(5.26) - 세부사업 설명 및 추진전략 보고 |
정상 |
6월 |
○ 선진예보시스템 구축 추진기획단 회의 개최(6.1) - 4대 우선과제 추진사항 검토 ○ 선진예보시스템 구축 1차년도 시범사업 감리용역 착수보고회 개최(6.1) ○ 여름철 방재대책기간 인터넷기상방송 특화서비스 착수보고회 개최(6.11) ○ 인터넷기상방송(날씨ON) 신규 기상캐스터 교육 계획 및 실시(6.14~25) ○ 초단기 동네예보시스템 지원기술 개발 및 실시간 운영(6.15) - 단기 및 초단기 동네예보용 편집기 개발 / 초단기예보용 수치모델(KLAPS)와 연동 및 초단기 예보 생산체계 구축 ○ 인터넷기상방송(날씨ON) 고화질 영상변환 장비 도입(6.21) |
정상 |
- 53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동네예보 모델기온 예보오차(C) |
2.38 |
2.54 (‘10.1~5) |
○ 통합모델 기반 기온 동네예보모델 개발 및 현업운영(2010.5.14) - 전국 237개 지점에 대한 3시간/최고/최고기온 예측자료 생산 및 예보관 제공 |
인터넷기상방송방문자수 |
1,410천명 |
782천명 (6.20현재) |
○ 6.20일 현재 목표치의 절반이상을 상회하는 실적 |
○ 목표 미달성 사유
— 겨울/봄철은 기온변동이 심하여 예측이 어려운 계절이며, 실적치는 동기간 작년 대비 동일 수준
○ 조치계획
— 2010년 5월부터 통합모델을 이용한 동네예보모델 적용하여, 예보정확도 향상될 것으로 예상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인터넷기상방송 날씨ON 방문자수의 지속적 증가에 따라 전달매체로서의 중요성 인식 ○ 기상대 통보업무 실시에 따른 통보시스템 개선 필요성 |
○ 인터넷기상방송 날씨ON의 기능 강화를 위한 방안 모색 - 날씨ON 모니터링 강화 - 외부방송 제작전문가(KBS 김철수 PD)의 초청강의(5.11) ○ 모든 기상대에서 통보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시스템 개선 - 통보기관 확대(기존 11개 ⇒ 49개) 및 자동화(원클릭에 의한 통보)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기상선진화담당관의 기상선진화를 위한 10대 우선과제 중 예보분야로 ‘선진예보시스템 구축’사업 추진 |
○ 선진예보시스템 구축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의(수시) - 관련부서 국‧실장, 실무자 등으로 구성된 선진예보시스템 구축 추진기획단 운영(1.18) - 선진예보시스템 적합성 검토 전문가 회의(2.10) - 선진예보시스템 구축사업 워크숍 개최(5.6) 및 추진기획단 회의 개최(6.1) |
- 54 -
|
Ⅱ- 1- 주요정책④ : 예보 역량향상 기반 조성 |
□ 목 적
○ 예보의 최종판단은 예보관의 역량향상이 매우 중요함에 따라, 예보에 대한 실시간 검증과 환류를 통한 정확도 향상을 도모하고, 예보관이 예보업무에 전념할 수 있도록 예보업무 프로세스 개선
□ 주요내용 및 성과
○ 예‧특보에 대한 환류정보 제공으로 예‧특보 운영의 효율성 제고(예보정책과)
— 기상특보 실시간 자동 검증시스템 구축을 통한 환류정보 제공으로 예보관의 특보 운영 능력 향상 도모
— 예보관이 개인별로 본인의 예보 검증‧분석할 수 있는 검증시스템 구축을 통하여 예보관에게 유용한 환류정보 제공
○ 지‧경‧노와 주례예보점검회의를 정기적으로 개최하여 전 기상관서 직원들이 체득한 예보기술과 각종 정보의 상호 공유 기회로 활용
○ 위험기상 분석결과 지원으로 예보 서비스 능률 향상
— 열대야, 폭염, 안개 통계분석 결과를 예보관에게 제공(5.28)하여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
— 131 콜센터 상담자 대상으로 위험기상 관련 세미나를 실시(6.1)하여 여름철 상담에 필요한 근거자료 제공
○ 선진기상에 대한 예보의 접목 및 외부전문가 세미나를 통해 예보역량 향상 기반 마련
— 선진화추진단장(Forecasting Techniques for Lake Effect Snowfall 외 4건) 및 한국기상전문인협회 2인(춘천지방 안개예측 방안) 세미나
○ 장마 모니터링을 통해 현황과 전망을 제공하여 예보관이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지원
○ 위험기상 예상 시 유사사례를 제공함으로써 과거사례에 대해 상호 공유하여 예보정확도 향상을 도모
○ 우리나라 호우개념모델에 대한 정리 및 예보관 의견 검토를 통해 예보관 능력 향상을 도모
- 55 -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계 획 |
추 진 실 적 |
비고 |
2월 |
○ 특보평가 실시간 환류체계 구축 ○ 지‧경‧노 및 주례예보점검회의 개최계획 수립 |
○ 특보검증(평가) 실시간 환류체계 구축(2.26) - 11종 특보 발표값, 관측값, 정확도 검증값 등 표출 ○ 2010년 주례예보점검회의 운영 계획 수립(1.7) - 매월 둘째, 넷째 주 화요일 개최 ○ 2010년 지‧경‧노 추진계획 수립(1.12) - 2월~11월(8월 제외) 첫째, 셋째 주 화요일 개최 - 현재(6.22)까지 11회 개최, 총 25과제 발표 ○ 선진예보 소개 및 적용 위한 선진화추진단장(4회) 세미나 발표 ○ 위험기상 예상 시 유사사례 제공(총 6건) |
정상 |
3월 |
○ 예·특보 검증방법 개선안 마련 |
○ 예‧특보 검증방법 개선(안) 마련(3.29) - 특보 검증 제외지점의 검증 검토, 검증지수 도입, 초단기예보 검증 등 ○ 한국기상전문인협회 2인 발표 |
정상 |
5월 |
○ 예보관평가 실시간 환류체계 구축 |
○ 예보관검증(평가) 실시간 환류체계 구축(5.28) - 동네예보 12개 요소에 대한 발표값, 관측값, 오차 검증값 등 예보관 본인의 예보 검증 ○ 예보관에 대해 장마모니터링 자료, 장마현황 및 전망 제공 - 장마모니터링(일본) 결과 제공(5~6월, 4건) - 장마현황 및 전망에 대해 제공(6월, 1건) ○ 호우개념모델에 대한 정리 및 예보관 의견 검토(5.31, 6.16) |
정상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주간예보 정확도(강수유무, %) |
79.7 |
79.3 ('10.1~5.) |
○ 목표값 0.4%p 미달성, - 평가주기(반기) 종료 이전 실적임(5개월) |
단기예보 만족도(%) |
69.3 |
○ 상반기, 하반기 2회 실시, 7월 상반기 만족도 결과 발표 |
○ 목표 미달성 사유 : 겨울에서 초봄에 걸친 잦은 강수로 인한 강수유무 정확도 하락
○ 조치계획
— 평가주기(반기)가 종료되기 이전으로(5개월 실적) 향후 7개월간의 집중적 모니터링 필요
— 예보관에게 예보정확도에 대한 환류 정보 제공을 통하여 목표 달성 도모
- 56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특보구역세분화 확대('10.5)로 인한 특보검증시스템의 특보구역 및 지점 조정 필요 ○ 정확한 예보판단 및 서비스를 위한 참고자료의 부족 ○ 잦은 대설과 봄철 많은 비로 인한 대응 |
○ 특보구역 관련 테이블 내용 조정으로 ‘특보구역세분화’ 정책에 반영(6월 말 예정) ○ 열대야, 폭염, 안개 통계분석 결과 등 위험기상 자료 제공 - 분석결과 예보관 제공(5.28) - 131 콜센터 상담자 대상으로 위험기상 관련 세미나 실시(6.1) ○ 대내‧외의 유기적 대응 - 위험기상에 대한 유사사례의 지원을 통해 예보관의 효율적 대처 지원(6건) - 보도자료(23건) 및 기자 간담회자료(5건) 제공을 통해 유기적인 언론대응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예‧특보 검증시스템의 구축 및 현업화를 위한 정보통신기술과와의 협조체계 구축 |
○ 특보검증시스템 및 예보(관) 검증시스템의 종합기상정보시스템 구축(1월) |
- 57 -
|
Ⅰ- 1- 주요정책⑤ : 태풍 감시와 예측능력 향상 |
□ 목 적
○ 태풍전용모델 개발 등 국내외 기술협력 강화와 선진기술 확보를 위해 지속적 노력 필요
○ 보다 신속 정확한 태풍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태풍정보 활용도 증대와 수요자 중심의 태풍정보 서비스 제공
□ 주요내용 및 성과
○ 상시 4단계 태풍업무(태풍발생 감시- 분석- 예보- 평가) 환류체계 구축
— 태풍예보 기술노트 발간(2.18) : 2008~2009년도 태풍감시 및 예보 사례 분석
— 태풍재해보고서 (2.26) : 2007년 제11호 태풍 나리 피해사례 상세 분석
— 2010년 현안 맞춤형 교육실시(교육과정명 : 태풍예보 위성 활용)
‧ 위성관련 전문가 초청, 태풍전문 교육과정 실시(3.9~11)
— 태풍 분석과 예보 상세브리핑, 태풍예보 세미나 개최(9회)
— 태풍정보생산 모의훈련 실시(4.12, 4.16) : 태풍발생 전 태풍정보생산 및 백업체계를 점검
— '09년 태풍분석보고서 발간(4.23) : 2009년도 발생한 22개 태풍현황 및 분석자료집
— 2010년 여름철 태풍예측자료 생산 및 기후예측전문가 회의 발표(5.18)
— 태풍전용 모델을 이용한 태풍 5일 예보 계획 수립(2.26) 및 5일 예보 시스템 구축 중간점검(6.29)
— 태풍전문 자체 생산 환경 구축 : 관련부서 협의(6.4) 후 현업운영 시험
— 내풍기술연구단과 태풍 재해 대응 공동 워크숍 및 전문가 자문회의 개최(6.9~10/서귀포 칼호텔)
— 태풍연구 학습모임 활성화 : 지식마루 커뮤니티 운영(태풍을 연구하는 사람들) / 25인
○ 능동적 국제협력을 통한 국가태풍센터 위상 정립
— 제42차 태풍위원회 총회 참가(1.25~29/싱가포르)
‧ 제43차 태풍위원회 총회(’11.1월) 한국 유치
— 베트남 기상업무 현대화 지원 사업(2.2~6/베트남 기상청) : TAPS공동 연구개발
— 미공군과의 기상협력(태풍분야) 회의개최(5.19/국가태풍센터) : 미공군, JTWC 협력강화
- 58 -
— 한미 기상협력 후속조치에 따른 태풍관련 선진기관 기술방문(5.24~28/미국 볼더)
‧ NOAA ESRL의 태풍자료동화 시스템 기술동향 파악 및 기술이전 방안 모색
— 국외전문가 초청 세미나
‧ 3.30 / Dr. Steven Cocke (미국 플로리다대학교 대기해양연구소) : 허리케인 예측모델의 태풍적용 모델 개선 및 포팅
‧ 5.31 / Prof. Pao- Shin Chu (미국 하와이대학교) : 북태평양 극한지수를 이용한 강수변화 전망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계 획 |
추 진 실 적 |
비고 |
1월 |
○ 태풍위원회 총회 참석 |
○ 제42차 태풍위원회 총회 참가(1.25~29/싱가포르) - 제43차 태풍위원회 총회(’11.1월) 한국 유치 |
정상 |
2월 |
○ 태풍 5일 예보 시스템 구축 계획 수립 |
○ 태풍 5일 예보 시스템 구축 계획 수립(2.26) - UM 배경장 기반의 TWRF에 의한 앙상블 5일 예보 시스템을 구축 |
정상 |
3월 |
○ 태풍분석 및 예측시스템(TAPS) 개선 착수 |
○ 태풍분석 및 예측시스템(TAPS) 개선 - 과업지시서검토(1.18),조달청 및 기상청 공고(2.26), 입찰제안서 평가(3.26) - 태풍 예측 정확도 향상, 태풍분석 및 예보 시스템을 개선, 태풍 통계지표 등 보완 추진 |
정상 |
5월 |
○ 태풍정보생산 모의훈련 실시 ○ 국외 태풍관련 기관 방문 |
○ 태풍정보생산 모의훈련 실시(4.12, 4.16) - 대상 : 국가기상센터, 국가기상위성센터, 국가태풍센터 ○ 태풍관련 선진기관 기술방문(5.24~28/미국 볼더) - 한미 기상협력 후속조치에 따른 태풍관련 선진기관 기술방문 |
정상 |
6월 |
○ 태풍 5일 예보 시스템 구축 중간점검 |
○ 태풍 전용 모델을 이용한 태풍 5일 예보 시스템 구축 중간점검(6.29) - 2010년 제1호 태풍 오마이스 사례 |
정상 |
- 59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태풍예보정확도 (km, 48시간 태풍진로 절대오차) |
207㎞ |
- |
○ 1호 태풍 “오마이스“ 발생후 42시간 만에 열대저압부로 약화 |
태풍 전용모델예보 정확도 (48시간 태풍진로 오차) |
326㎞ |
- |
○ 1호 태풍 “오마이스“ 발생후 42시간 만에 열대저압부로 약화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태풍정보생산 모의훈련 실시 - 태풍발생 및 여름철 방재대책기간 전 태풍정보 생산 및 백업체계 점검 ○ 보다 안정적인 태풍분석자료 제공을 위한 태풍전문의 독립적 생산 필요 - 현재까지는 3시간 분석일기도 생산 시 태풍관련 분석자료로 국외(일본 RSMC)에서 입수되는 태풍전문을 사용 |
○ 태풍정보 생산 및 협조체제 점검, 국가태풍센터 태풍정보생산 불가능에 대비한 백업체계 구축 (4.12, 4.16) - 국가태풍센터, 국가기상센터, 국가기상위성센터 ○ 3시간 일기도 생산 지원을 위한 「국내 태풍전문 생산」협의(6.4) - Comis- 3내 태풍전문 입력 환경 구축하여 태풍전문 정식 제공(6.28 예정) |
- 60 -
Ⅰ- 1- 재정① : 국가태풍센터 운영 |
□ 목 적
○ 안정적인 태풍예측서비스 제공을 위한 국가태풍센터의 효율적인 운영과 체계적인 예산집행
□ 주요내용 및 성과
○ 안정적인 태풍예측서비스 제공
— 태풍예보 기술노트 발간(2.18), 태풍재해보고서 (2.26)
— 태풍 감시 분석(수시) 및 태풍 정보생산 발표
— 태풍 사례분석 및 '09년 태풍분석보고서 발간(4.23)
— 태풍전문가 초청 각종 세미나 개최로 태풍선진예보기술공유
‧ 국외전문가 초청 세미나(3.30/Dr. Steven Cocke (미국 플로리다대학교 대기해양연구소), 5.31/ Prof. Pao- Shin Chu (미국 하와이대학교))
‧ 내풍기술연구단과 태풍 재해 대응 공동 워크숍 및 전문가 자문회의 개최(6.9~10/서귀포 칼호텔)
○ 국가태풍센터의 효율적인 운영
— 태풍센터 근무환경 개선
‧ 국가태풍센터 부대시설공사(순찰로 조경공사, 4.15~ )
— 태풍예측관련 장비의 안정적 운영
‧ 전산보조 연구원 상시 근무(1.1~ )
— 태풍청사관련 각종설비관리용역
‧ 유지보수 상시 근무(2.16~ )
- 61 -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실 적 |
비고 |
1월 |
○ 태풍예보 세미나 개최(1.12): 2010년 국가태풍센터 운영방안, 태풍정보시스템 개선 과업지시서 내용검토 ○ 태풍 감시 분석(수시) ○ 태풍예측관련 장비의 안정적 운영 |
정상 |
2월 |
○ 능동적 국제협력을 통한 국가태풍센터 위상 정립 — 베트남 기상업무 현대화 지원 사업(2.2~6/베트남 기상청) : TAPS공동 연구개발 ○ 태풍예보 기술노트 발간(2.18), 태풍재해보고서 (2.26) ○ 태풍예보 세미나 개최(2회): 기상청 정보통신센터 추진 업무(2.5), 다중모델앙상블 태풍예측시스템 구축 방안(2.18) |
정상 |
3월 |
○ 태풍 정보생산 발표(제1호 태풍 오마이스) ○ 국외전문가 초청 세미나(3.30/Dr. Steven Cocke (미국 플로리다대학교 대기해양연구소) ○ 태풍예보 세미나 개최(3회): 베트남 태풍예보업무 현황 및 협력방안(3.4), 태풍 이동방향에 따른 강수특성(3.17), 태풍 재해특성 분석(2007년 태풍 나리 사례)(3.30) |
정상 |
4월 |
○ 태풍 사례분석 및 '09년 태풍분석보고서 발간(4.23) ○ 태풍센터 근무환경 개선 - 국가태풍센터 부대시설공사(순찰로 조경공사, 4.15~ ) ○ 2010년 제 1호 태풍 ‘오마이스’태풍예보 분석(4.28) |
정상 |
5월 |
○ 태풍전문가 초청 각종 세미나 개최로 태풍선진예보기술공유 - 국외전문가 초청 세미나(5.31/ Prof. Pao- Shin Chu (미국 하와이대학교)) ○ 능동적 국제협력을 통한 국가태풍센터 위상 정립 — 미공군과의 기상협력(태풍분야) 회의개최(5.19/국가태풍센터) : 미공군, JTWC 협력강화 ○ 태풍예보 세미나 개최(5.25): 위성영상을 이용한 태풍 온대저기압화 판정 |
정상 |
6월 |
○ 내풍기술연구단과 태풍 재해 대응 공동 워크숍 및 전문가 자문회의 개최(6.9~10/서귀포 칼호텔) ○ 태풍예보 세미나 개최(2회): 태풍 5일예보 정보생산 등 3과제(6.11), TWRF를 이용한 태풍 앙상블예측시스템 구축(6.22) |
정상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태풍예보정확도 (%, 48시간 태풍진로 상대오차) |
96% |
- |
○ 1호 태풍 “호마이스“ 발생후 42시간 만에 열대저압부로 약화 |
- 62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
○ 태풍발생 전 태풍정보 생산 및 백업체계 점검 필요 |
○ 태풍정보생산 모의훈련 실시 - 태풍정보 생산 및 협조체제 점검, 국가태풍센터 태풍정보생산 불가능에 대비한 백업체계 구축 (4.12, 4.16) - 참여기관 : 국가태풍센터, 국가기상센터, 국가기상위성센터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국가태풍센터와 국가기상위성센터 현안교육 실시 ○ 2010년 태풍방재대책 협의회 개최 ○ 국가기상위성센터- 국가태풍센터 업무지원 및 협조체제 강화(5.26) |
○ 국가태풍센터에서는 태풍예보 전문성 확보 및 태풍 예측능력 향상을 위한 현안맞춤형 교육과정 「태풍예보 위성활용」 개최 - 일시/장소 : 3.9~11./국가태풍센터 ○ 태풍방재업무의 효과적 수행을 위한 유관기관과 협력방안 마련 - 일시/장소 : 4.5~6./국가태풍센터 ○ 여름철 방재기간 및 태풍발생을 대비하여 태풍정보 생산 등 업무지원을 위한 국가태풍센터- 국가기상위성센터 간 IP 화상전화기 설치(5.26) |
- 63 -
수치모델관리관
2010년도 상반기 성과점검회의
• 수치모델개발과 64
• 수치자료응용과74
• 슈퍼컴퓨터운영과78
|
Ⅰ- 1- 주요정책② : 위험기상 예측모델 개발 |
□ 목 적
○ 단시간에 좁은 지역에서 발생하는 집중호우, 폭설, 강풍 등 위험기상 현상으로 인한 피해 증가
○ 이와 같은 국지적인 위험기상 현상을 신속‧정확하게 예측하기 위해서는 고성능의 수치예보모델이 필수적임
○ 그러나 기존의 수치예보모델로는 시‧공간적으로 상세한 위험기상 현상을 예측하기에는 한계성 존재
○ 따라서 영국기상청으로부터 도입한 통합모델 기반으로, 레이더와 같이 시‧공간적으로 조밀한 관측자료를 활용하는 고해상도의 위험기상 예측모델을 구축하고, 이를 계산 능력이 보강된 슈퍼컴퓨터에서 운영하여,
○ 위험기상 예측능력을 향상하고자 함
□ 주요내용 및 성과
○ 위험기상 예측모델의 전체 체계 구성과 이에 수반되는 기반자료들의 최적화
— 통합모델(UM 12㎞ L38)로부터 경계장을 제공받고, 자체 예측자료(배경장으로 사용)에 3차원 변분법을 이용하여 관측 자료를 동화하는 시스템 구성(2.24)
▪3시간 간격으로 자체 분석을 수행하며, 매 3시간 마다 12시간 예측자료 생산
— 예측모델의 수평 및 연직 해상도를 증가하면서도, 예측자료 생산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체계 구성(4.20)
▪가변격자체계를 도입하여 주요 예보 대상 영역은 조밀하게, 그 외 지역은 성글게 격자를 구성하여 계산 경제성 고려(모델 가장자리 ▪수평해상도는 1.5㎞로 연직 층수는 38㎞ 고도까지 70층으로 보강
▪가변격자체계를 도입하여 주요 예보 대상 영역은 조밀하게, 그 외 지역은 성글게 격자를 구성하여 계산 경제성 고려(모델 가장자리에서는 가변격자로 12㎞(지역모델)부터 1.5㎞(위험기상모델 해상도)까지 연속적으로 변함)
— 지형, 해륙구분, 지표, 식생 등의 자료를 최적화하여 지표- 대기 상호 과정 강화(6.25 예정)
○ 기상청 레이더 자료의 통합모델 활용 및 자료동화 감시 체계 구축
— 통합모델의 관측자료 전처리 시스템에 기상청 레이더(UF) 활용 체계를 구축하고, 처리된 결과의 감시 체계 구축 중
- 64 -
— 레이더 자료의 지속적인 감시로 품질 향상을 위한 토대 마련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계 획 |
추 진 실 적 |
비고 |
2월 |
○ 위험기상 예측모델 구축 계획 수립 |
○ 계획 수립 완료(2.24) - 위험기상 예측모델의 전체 얼개 구성: 자료동화 방법(3차원 변분법), 분석주기(3시간), 레이더 자료동화(시선속도), 예측주기 및 기간(매 3시간마다 12시간 예측) 등 결정 - 주요 예보영역과 수퍼컴 자원 등을 고려한 모델 영역 결정 |
정상 |
3월 |
○ 기상청 레이더 활용체계 구축 계획 수립 |
○ 계획 수립 완료(3.15) - 레이더 시선속도를 활용하기위한 관측자료 전처리 과정(OPS) 개선 단‧중기 계획 수립 - 레이더 자료 입력, 대표 관측값 만들기, 솎아내기 등에 관한 방안 조사 및 적용 방안 결정 - 전처리된 레이더 자료의 모니터링 방안 검토 |
정상 |
4월 |
○ 위험기상 모델의 해상도 등 최적화 |
○ 모델 해상도 등 최적화 완료(4.20) - 한반도와 중국일부 지역을 포함한 모델 영역 결정 - 예측능력 향상과 효율적인 전산자원 활용을 고려하여 가변격자 체계 사용 결정 - 연직으로는 38㎞까지 70층으로 구성되며, 수평해상도는 1.5㎞. 모델 가장자리에서는 가변격자로 12㎞(지역모델)부터 1.5㎞(위험기상모델 해상도)까지 연속적으로 변함 |
정상 |
6월 |
○ 위험기상모델을 위한 기반자료 최적화 |
○ 지면과 생물권자료 최적화 완료 (6.25 예정) - 위험기상모델에 적합한 지표 식생, 토지 활용도, 잎면적 지수의 계절 변동, 지형 등의 자료 생산 방안 결정 - 자료동화에 필요한 배경오차(모델 오차) 사용 및 개선 방안 결정 |
정상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 65 -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예측모델 정교화 지수 (=수평해상도 증가지수*0.5+ 비종관자료 활용 증가율*0.5) |
0.65 |
- |
○ 신규지표이며, 연말에 산출되는 지표임 ○ 수평해상도 증가지수 - 기존 고해상도모델의 수평해상도: 5km, 위험기상모델 해상도: 1.5km ∴ 1.5 / 5.0 = 0.3 ○ 비종관 자료 활용 증가율 - 기존 고해상도 모델과 동일한 자료 종류와 수를 활용 (모델이 변경되는 상황에서 동일한 자료 활용 보장) ∴1.0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위험기상모델의 수평해상도 증가로 예측자료 생산시간 지연 예상 - 예보관의 분석 시간(활용 가능시간) 확보를 위한 경제적 계산 기술 개발 필요 |
○ 예측 정확도는 확보하면서 계산 시간 단축 방안 마련 - 한반도와 인근해역 등 주 예측 영역은 1.5㎞ 해상도를 유지하고, 경계로 진행하면서 해상도가 성글어지는 가변격자 체계 도입 |
○ 영국기상청의 관측자료 전처리과정에 기상청레이더 입력과정의 부재 인지 - 자체 기술력으로 개발 불가피 |
○ 기상청레이더자료(UF형식)를 입력하기위해 OPS내 과정 개발 - 새로운 프로그램 작성 및 OPS내 접목 완결성 점검 - 그 밖의 형식 자료 (NetCDF 등) 입력에 대한 가능성 포함 |
○ 일부 레이더 관측소가 산에 위치하여, 하층 바람의 관측 공백 지역 발생 - 대기 하층의 수렴 및 발산의 정확한 관측은 호우시스템 발달의 중요한 요인 |
○ 유관기관의 레이더 자료 활용 방안 구축 - 공군, 수자원 공사, 국토해양부의 레이더 자료의 특성 분석 - 활용 가능한 자료의 입력 체계 구축(.OPS내)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 66 -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영국 및 호주기상청과의 협조체제 강화 |
○ 영국기상청 레이더 반사도 동화 전문가이며 (4.30) 레이더자료 생산 팀장인 Dr. Nicolas Gaussiat(4.26- 27)의 기상청 방문으로 기술 교류 강화(‘4.30) ○ 전처리된 레이더 시선속도의 점검을 위한 모니터링 체계 구축 시 영국기상청 협조(이메일 및 자료 교환, Dr. David Simonin) ○ 호주기상청에 레이더 강수자료 동화 기술 자문(Dr. Peter Steinle 방문, 5.31- 6.1)(6.4) |
○ 국가기상레이더 센터 및 수자원공사와의 협조체제 강화 |
○ 레이더 자료의 품질관리 강화를 위한 워크숍(5.20) 및 (부)정기적인 실무협의 - 수치모델 자료로서의 요구 사항 요청 및 시선속도의 품질 검사 방안 제안 ○ 고해상도‧고품질 강수예측 자료 제공 등을 위한 수자원공사와의 실무 협의 강화(5.27) |
○ 수치자료응용과와 협조체체 강화 |
○ 관측자료 전처리, 배경오차 생산 등 위험기상 예측모델 구축에 필요한 사항들에 대한 기술 교류 및 논의(수시) |
- 67 -
Ⅱ- 1주요정책③ : 수치예보모델 성능 향상 |
□ 목 적
○ 수치예보 모델의 성능 향상을 위해 ‘08년 도입한 선진 수치예보시스템인 영국통합모델을 ’10년 새로운 슈퍼컴퓨터 3호기에서 공식 수치예보모델로 현업운영
○ 향후 한반도 영역의 재해기상 예측모델의 개발 등 고품질의 수치예보 자료를 생산하기 위한 전지구모델의 해상도 개선 등 기반 조성
○ 예보 활용도가 높은 지역예보모델의 단시간 예측능력향상을 위한 동아시아 지역 및 우리나라의 관측 자료를 활용한 순환예측체계의 구축
□ 주요내용 및 성과
○ 통합모델을 슈퍼컴 3호기 초기분에서 현업운영 개시(5.14) (슈퍼컴퓨터운영과 협조)
— 5월 기존 전지구예보모델 대비 약 18.8% 예측성능 향상(북반구 5일 예측 500hPa 지위고도 기준, 시험기간 : 5.1~5.31)
— 향후 슈퍼컴퓨터 3호기 최종분 운영 시 안정적 수치예보시스템 운영을 위한 기술 습득 기반 마련
○ 동아시아지역 지표자료 동화시스템 구축을 통한 통합모델 예측성능 향상 기반 조성
— 동아시아 지역 상세 토양수분 및 해수면온도, 해빙자료 산출
○ 통합모델 기반 고해상도 전지구 예측 시험 수행을 위한 초기버전 구축 (슈퍼컴퓨터운영과 협조)
— 모델 해상도는 수평 40km 50층(상단은 63km)에서 수평 25km 70층(상단은 80km)으로 강화하고, 관련 모델 운영 환경 구축
- 68 -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계 획 |
추 진 실 적 |
비고 |
1월 |
○ 통합모델 현업운영 및 성능개선 계획 수립 |
○ 통합모델(전지구 및 지역, 전지구 앙상블) 현업운영 및 개발계획 수립(1.29) - 전지구예보모델(UM N320 L50) 현업구축 및 해상도증가를 위한 계획 수립 - 지역통예보델(UM 12km L38) 현업구축 및 예측 성능 향상 계획 수립 - 전지구 앙상블 시스템(EPS N320 L50) 시험운영 및 예보관 지원 계획 수립 |
정상 |
3월 |
○ 전지구 및 지역 통합모델 3호기 시험운영 |
○ 통합모델(전지구 및 지역)을 포함한 수치예보시스템 시험운영(3.22) - 슈퍼컴 3호기 초기분에서 통합모델을 이용한 전자구 및 지역 예보 모델 운영체계 구축 - 국내입수 관측 자료를 이용한 전지구 순환예측시스템 시험운영 및 예측결과 제공(3.22 09시) - 전지구 예측 및 초기장을 사용한 동아시아지역 12km 해상도의 통합모델 시험운영 |
정상 |
5월 |
○ 전지구 및 지역통합모델의 현업운영 |
○ 슈퍼컴퓨터 3호기 초기분 기반 통합 수치예보 모델 운영(5.13) - 슈퍼컴 3호기 초기분에서 통합모델 현업 운영체계 구축 - 통합모델의 현업운영(5.14) - 통합모델 현업운영을 위한 운영 매뉴얼 작성 및 제공 |
정상 |
6월 |
○ 동아시아지역 지표자료 동화과정 시험구축 |
○ 아시아지역 지표면 분석과정 구축 완료(6.15) - 신규버전 지면분석 프로그램 슈퍼컴 3호기 초기분에 이식완료 - 동아시아지역 상세 해수면온도, 해빙, 토양수분 등 지표면 분석과정 구축 - 지역 순환예측시스템과 연동을 위한 계획 수립 |
정상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수치예보모델 중층고도 정확도 개선율(%) |
4.3% |
24% |
○ 여름철과 겨울철 각 1개월 평균 기존 현업모델(T426 L40)대비 개선모델(통합모델 버전 7.5) 5일 예측 500hPa 고도 오차 개선율의 평균 - 겨울철(2010년 1월) 개선율(현업오차: 75m, 개선모델 : 57m) ○ 향후 여름철 오차 계산 후 목표치 달성여부 최종 계산 |
수치예보모델 해수면기압 정확도 개선율(%) |
3.7% |
33% |
○ 여름철과 겨울철 각 1개월 평균 기존 현업모델(T426 L40)대비 개선모델 3일 예측 해면기압 오차 개선율의 평균 - 겨울철(2010년 1월) 개선율(현업오차: 4.3hPa, 개선모델 : 2.9hPa) ○ 향후 여름철 오차 계산 후 목표치 달성여부 최종 계산 |
- 69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현업 수치예보시스템 변경에 따른 모델 예측 결과에 대한 낮은 예보관의 인지도 - 예보관에게 통합모델 예측 경향에 대한 정보전달 필요 ○ 기존 예보관에게 지원된 수치예측 자료 중 일부가 통합모델에서 제공되지 않음 - 구름변수 및 대류에너지 등 통합모델에서 제공되지 않는 자료 추가 생산 필요 |
○ 통합모델 현업운영에 따른 예보부서 대상 예보관교육(5.10) - 5.11~14(4회) 통합모델 운영 계획 및 예보관 지원을 위한 일기도 생산 계획 교육 ○ 통합모델 활용도 증대를 위한 예측경향도 및 분석서 제공 - 전지구 예보모델의 예측 경향 분석을 지원하기 위한 예측 경향도 제공(3.17) - 수치예측자료의 예보활용도 제고를 위한 수치모델 예측분석서 제공(5.28) ○ 통합모델출력자료 개선 및 개발 계획 수립(6. 1) - 구름변수 지원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제공 - 통합모델 결과를 이용한 예보관 지원용 출력자료 개발 계획 수립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영국기상청 및 호주기상청 - 통합모델 개선을 위한 초기자료 및 실험 수행 정보 교류 - 개선된 통합모델 프로그램 입수 및 개선방향 의견 교류 ○ 현업용 수치예보시스템 개발 관련 부서 - 슈퍼컴 3호기 초기분에서 현업 수치예보시스템 구축 및 안정적 운영을 위한 협의 |
○ 공동 기술협력 및 자료공유체계 운영 - 안정적 자료 입수를 위한 영국기상청 현업시스템으로 자료제공 시스템 전환 - 기술습득을 위한 장단기 해외 파견 추진(9월 중) - 해외전문가 초청을 통한 기술 습득(6.3) ○ 슈퍼컴 3호기 도입 추진기획단을 통한 관련부서 협의(주 1회) - 슈퍼컴 3호기 초기분 기반 현업운영 수치예보시스템 구축 문제점 토의 및 상호 일정 점검 - 안정적 수치예보시스템 운영을 위한 정보 교류 |
- 70 -
Ⅱ- 1정보화① : 수치예보시스템 개선 |
□ 목 적
○ 기상청의 수치예보모델 및 전‧후처리 시스템의 개발‧개선과 운영기술 고도화로 고품질 수치예측자료를 생산하고 예보지원 함으로써 예보정확도 향상에 기여
○ 국내‧외 선진 수치예측기술의 실용화 기반을 구축하여 미래형 수치예보 시스템을 확보함으로써 기상기술 선진국 진입의 기술적 기반 마련
□ 주요내용 및 성과
○ 통합모델 개선을 위한 용역사업 추진
— “차세대 수치예보모델 개선 (2차년도)” 용역사업 계약 (3.25) 및 착수보고회 (4.7)
— “차세대 수치예보 전후처리시스템 개선 (2차년도)” 용역사업 계약 (3.31) 및 착수보고회 (4.5)
○ 통합모델 운영에 따른 수치예측자료 예보지원 강화
— 슈퍼컴 3호기(초기분) 기반 통합모델(UM N320L50, UM 12kmL38) 현업운영 개시 (5.14)
— 통합모델 예측경향 정보공유 및 수치모델 예측분석서 제공 (3.22, 5.28)
— 통합모델 예측특성 분석과 예측성능 점검 및 정보공유 (매월)
○ 통합모델 활용도 제고를 위한 대내외 교육과 효과 홍보
— 통합모델의 예보활용도 제고를 위한 예보관 교육
⋅ 수치모델 예측경향자료 활용 교육 및 예보관 의견 수렴 (3.23~3.25, 4.19~4.21)
⋅ 통합모델 운영체계 교육 및 예보관 의견 수렴 (5.11~5.14, 5.27~5.28)
— 한국기상학회 봄 학술발표회에 통합모델 관련 발표를 통한 모델개발 정보공유와 의견 수렴 (4.29~4.30)
- 71 -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실 적 |
3월 |
○ 통합모델 예측경향 예보지원 - 통합모델을 이용한 지점별 강수 예측경향자료 예보지원 개시 (3.22) - 예보관 대상 통합모델 예측경향자료 활용 교육 (3.23~3.25) |
3월 |
○ 통합모델 개선을 위한 용역사업 계약 체결 - “차세대 수치예보모델 개선(II)" 사업 계약 체결 (3.25) - ”차세대 수치예보 전후처리시스템 개선(II)" 사업 계약 체결 (3.31) |
5월 |
○ 수치모델 예측분석서 예보지원 - 슈퍼컴 3호기 기반 전지구 및 지역 예보모델 운영 개시(5.14)에 따라 통합모델 예보활용도 제고를 위한 수치모델 예측분석서의 정규생산 및 예보지원 개시 (5.28) |
6월 |
○ 통합모델 예측성능 점검 - 월별 통합모델의 강수예측 특성 및 정량검증결과 분석 (매월)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전지구 통합모델 예측성능 |
65 |
78.8 |
○ 성과지표 : 통합모델과 유럽중기예보센터(ECMWF)의 북반구 대기중층고도 3일 예측 오차 비율 [%] - 기상청 통합모델 예측오차 : 26.92m (1~5월) - 유럽중기예보센터 예측오차 : 21.20m (1~5월) - 실적치 : 21.20/26.92 * 100 = 78.8% (달성율 : 121.2%) |
- 72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통합모델의 안정적 운영을 위해 모니터링 및 장애대응방안 필요 - 슈퍼컴 3호기(초기분)의 하드웨어 안정성 및 통합모델의 운영 안정성에 대한 모니터링과 장애 발생 시 최단시간에 조치할 수 있는 지침 필요성 제기 ○ 현업 수치예보시스템의 교체에 따른 예보관의 적응기간 단축과 새로운 수치예측자료의 활용도 제고를 위한 홍보 및 교육 필요성 제기 |
○ 슈퍼컴 3호기 기반 수치모델 안정성 일일 모니터링체계 구축과 장애조치 매뉴얼 발간 - 슈퍼컴 3호기 초기분에 이식된 수치예보시스템 시험운영 기간동안 통합모델과 전‧후처리과정 및 각종 응용모델의 정상수행 여부 및 문제점 파악을 위한 모니터링 체계 운영 (관련부서 공동운영) - 통합모델의 장애발생 시 수치예보시스템 현업자가 즉각 조치할 수 있도록 단계별 장애조치 매뉴얼 발간 및 배포 ○ 통합모델의 대내‧외 홍보, 활용교육 및 의견수렴체계 강화 - 수치예측자료의 수요자인 예보부서를 대상으로 현업 수치예보시스템의 변경‧개선사항 등에 교육 실시와 정보 공유 - 통합모델 예측자료의 활용도 제고를 위하여 예측경향도, 예측분석서 등 예보지원 자료 개발과 예보관 의견수렴 강화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수치자료응용팀, 슈퍼컴퓨터운영팀 - 슈퍼컴 3호기 기반 통합모델 이식과 운영체계 구축, 안정적 운영을 위한 업무협조 ○ 본청 및 지방청 예보 관련부서 - 통합모델 예측자료의 효율적 예보지원을 위한 예보관 교육 및 의견환류 ○ 영국기상청 및 호주기상청 - 통합모델 시험운영 및 개선실험을 위한 초기자료‧관측자료 정규입수 - 통합모델과 전처리과정 개선을 위한 공동협력 |
○ 슈퍼컴 3호기 기반 수치예보시스템 구축 및 운영을 위한 업무협조 - ‘슈퍼컴퓨터 사용자 지원을 위한 정기모임’(매주) 운영 - 슈퍼컴 3호기 기반 수치예보시스템의 운영안정성 모니터링 체계 구성 및 운영 ○ 통합모델 운영체계와 새로운 예보지원 자료의 활용교육, 통합모델 예측성능 및 예측특성 등 예보관을 위한 정보 공유와 적극적 의견 환류 추진 ○ 공동 기술협력 및 자료공유체계 운영 - 영국 기상청과 장애대응 협력체계 강화로 안정적 자료입수 가능 - 기술이전을 위한 국외 단기파견과 전문가 초청 |
- 73 -
|
Ⅱ- 1주요정책② : 자료동화시스템과 수치자료 활용기술 개선 |
□ 목 적
○ 수치예보모델에 입력되는 관측자료의 활용증대 및 자료동화시스템 개선을 통한 수치예보모델의 성능 개선
○ 동네예보시스템 및 수치예보 후처리과정 개선을 통한 예보지원체계 강화
□ 주요내용 및 성과
○ 통합모델 기반의 단기 동네예보용 통계모델(MOS) 개발 및 현업운영(5.14)
— 기존 통계모델 대비 기온오차 0.5℃ 감소, 강수확률 및 하늘상태 정확도 각각 5%, 4% 향상
○ 통합모델 기반의 4차원 자료동화 및 모델출력자료 표출체계 현업운영(5.14)
— 관측자료의 활용 증대(선진국대비 약 81%) 및 수치예보성능 향상에 기여
— 슈퍼컴 3호기에서 통합모델의 예상일기도 정규 생산 개시 및 예보관 제공 시간 50분 단축
○ 초단기 동네예보 지원을 위한 수치예보 가이던스 생산 및 현업 지원체계 구축(6.15)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계 획 |
추 진 실 적 |
비고 |
2월 |
○ 통합모델 기반 자료동화체계 개선계획 수립 |
○ 통합모델 기반 자료동화체계 개선계획 수립(2.26) - 관측자료 추가입수 및 활용증대 방안, 통합모델 기반 자료동화시스템 현업운영 계획, 자료동화 선진기술 습득 및 환류방안 등 |
정상 |
○ 그래픽자료 분할 생산체계 구축 및 시험운영 |
○ 통합모델 그래픽 분할 생산체계 구축 및 시험운영(2.22) - 통합모델 수행과 그래픽처리 과정의 동시 운영체계 구축 |
정상 |
|
3월 |
○ 통합모델 자료동화체계의 슈퍼컴 3호기 이식 및 시험운영체계 구축 |
○ 통합모델 자료동화체계의 슈퍼컴 3호기 이식 및 시험운영체계 구축(3.22) - 자료해독, DB 구축, 품질검사, 4차원 분석, 지표자료동화과정 3호기 구축 및 모델과의 연동 |
정상 |
○ 국제협력을 통한 동네예보기술 상호 교환 |
○ 국제협력을 통한 해외 동네예보용 통계분석기술과 편집기술 조사(3.26) - 미국기상청 방문 및 미국기상청의 디지털예보 기술 조사(방문기간 : 2010.3.16- 18.) |
정상 |
|
5월 |
○ 통합모델 자료동화체계의 슈퍼컴 3호기 현업운영체계 구축 |
○ 통합모델 자료동화체계의 슈퍼컴 3호기 현업운영체계 구축(5.14) - 일 4회 통합모델 기반 자료동화 순환예측체계 현업구축(40km, 50층, 10.5일 예보) 및 예보지원 |
정상 |
○ 통합모델 기반의 동네예보모델 현업운영 체계 구축 ○ 통합모델용 그래픽을 슈퍼컴 3호기 이식 및 현업운영체계 구축 |
○ 통합모델 기반 동네예보용 통계모델(MOS) 개선 및 현업운영체계 구축(5.14) - 강수확률, 최고기온 등 통계모델 개발 및 현업 시행 ○ 통합모델 출력자료 표출체계의 슈퍼컴3호기 이식 및 현업운영체계 구축(5.14) - 슈퍼컴 3호기에서 분석 및 예상일기도 등 수치예보자료 그래픽시스템 이식 |
정상 |
|
6월 |
○ 자료동화체계 변경이력관리를 위한 지침서(이식 매뉴얼) 작성 |
○ 자료동화체계 변경이력관리를 위한 지침서 작성(6.30) - 영국 최신 버전의 입수 및 적용방법, 매뉴얼 작성 방법, 소스프로그램 이력관리 방법 |
정상 |
○ 초단기예보 기술과 동네예보 연동(12월) |
○ 초단기 동네예보시스템 지원기술 개발 및 실시간 운영(6.15) - 단기 및 초단기 동네예보용 편집기 개발 / 초단기예보용 수치모델(KLAPS)와 연동 및 초단기 예보 생산체계 구축 |
정상 |
- 74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자료동화 수치예보 정확도 개선율(%) |
2 |
1.54 |
○ 통합모델의 위성자료 활용 개선(4.14) - 위성자료로부터 산출되는 바람장 자료 개선(통합모델 배경장 활용 및 개선된 알고리듬 적용) - 개선된 위성 바람장 자료를 통합모델에 동화하여 모델 성능개선 |
선진국 대비 관측자료 수치예보 활용율(%) |
82 |
80.7 (2010. 5) |
○ 위성자료 추가처리(GPSRO, MODIS, EARS, 약7.5%) 및 관측지점정보 현행화(약 0.5%) (6.14) - 09년 12월 72.7% → '10년 5월 80.7% ※ 하반기에 SSMIS, WINDSAT 등 위성자료 추가 예정 |
동네예보모델 기온오차(℃) |
2.38 |
2.54 (2010.1~5) |
○ 통합모델 기반 기온 동네예보모델 개발 및 현업운영(2010.5.14) - 전국 237개 지점에 대한 3시간/최고/최고기온 예측자료 생산 및 예보관 제공 ※ 겨울/봄철은 기온 변동이 심함 |
동네예보모델 강수유무 정확도(%) |
29.5 |
37.7 (2010.1~5) |
○ 통합모델 기반 강수형태 동네예보모델 개발 및 현업운영(2010.5.14) - 전국 237개 지점에 대한 강수형태를 통한 강수유무 예측자료 생산 및 예보관 제공 ※ 봄철은 주기적인 강수 시스템이 자주 영향을 미치는 편임 |
- 75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슈퍼컴 3호기에서 통합모델 운영시작(3.22)에 따른 관측자료 모니터링 웹페이지 개설 - 미국 기상위성(GOES- E) 위성대체(12→13)에 따른 위성바람자료 미생산(4.15) - 고층자료의 DB 입력오류(5.4) - 미국 AQUA 위성의 복사량(AIRS) 자료 채널번호 변경 예고(5.18)에 따른 조치 - 미국 극궤도 위성(NOAA17)의 지역수신 복사량(RARS) 자료 오류(5.30) - 유럽 수직측풍장치 및 항공기자료 입전 오류(6.10) |
○ 영국과의 비교, 외국 위성센터 모니터링 등을 통해 신속히 우리 시스템에 반영 - 위성 대체에 따른 변동사항을 반영하여 안정화 검사 후 시스템에 반영(5.1) - 정보통신센터와의 유기적 협조하에 신속하게 정상복원 - 관측자료 전처리 프로그램을 수정하여 적시 대응(5.19) - NOAA 17호에 NOAA18자료가 통합되어 비롯된 오류로 관련부서에 자료생산과정 검토 요청(6.1) - 슈퍼컴센터와 협조하여 자료수집서버의 경로를 수정하여 해결(6.10) |
○ 외부기관으로부터의 수치예보자료 지원 요구 - 한국방송공사(KBS)로부터 히말라야 안나푸르나 등반팀 지원을 위한 기상자료 제공 요구 - 항공우주연구원으로부터 나로호 발사를 위한 기상지원 의뢰(5.7) |
○ 자료 적시제공으로 대국민 기상서비스 제고(예보정책과 협조) - 안나푸르나 지점의 연직시계열 및 등반 고도별 기상예측자료 제공(3.12~5.28) - 나로도 지역에 대한 예상단열선도 및 연직시계열 COMIS3 제공(5.10~6.10) |
○ 한‧베트남 간의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로의 격상(2009. 10. 대통령 베트남 방문시)에 따른 개발‧과학기술협력 강화의 일환으로 베트남의 기상업무 현대화 지원 추진 |
○ 재해기상시연사업(SWFDP) 일환으로 베트남기상청에 통합모델자료 지원 - 통합모델 수치예측자료를 베트남 기상청에 실시간 제공(2010.6말) |
○ 짧은 시간에 발생하는 위험기상에 적극 대응하기 위하여 초단기예보 조기 시행 - 시행시기를 2010년 12월에서 6월로 앞 당겨, 2010년 여름철부터 대국민 서비스 |
○ 초단기 예보시스템 지원기술 조기 개발 및 현업운영 - 용역사업 조기 발주 및 개발 일정조정을 통한 초단기예보 편집기 조기 개발(4.12) - 초단기 예보시스템 시험 운영(5.17) 및 현업운영 개시(6.15) |
- 76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통합모델(UM) 현업운영에 따른 수치예보 및 동네예보 자료의 예보 지원체계 강화 - 협력부서: 예보정책과, 예보상황과, 지방기상청(대) 예보부서, 국가태풍센터 |
○ 예보관 실무교육 및 의견수렴을 위한 간담회 - 통합모델 현업운영대비 예보실무자 교육 4회 실시(5.11~14) 및 예보상황과와의 간담회(6.4) ○ 태풍분석업무의 효율적 지원을 위한 태풍분석일기도 개선 및 제공(남쪽 및 동서경계 확장, 4.15) |
○ 관측자료 활용증대를 위한 관련부서 협력 강화 - 국가기상위성센터, 정보통신센터 |
○ 통합모델 관측자료 활용증대를 위한 관련부서 회의(1.22) - 대상: 수치자료응용과, 정보통신기술과, 국가기상위성센터 - 성과: 회의결과를 토대로 관측자료 추가확보 및 입전 장애 해결 공조 ⇒ 영국대비 관측자료 활용율 증대(1월 74% → 5월 80.7%) |
○ 천리안 위성 활용 기반기술 구축을 위한 협력강화 - 국가기상위성센터, 국립기상연구소 |
○ 천리안위성 관측자료의 통합모델 입력 효과에 대한 사전 민감도 시험 수행 (4.15) - 위성바람장 산출 알고리듬 개발(지구환경시스템연구과) - 일본 기상위성에 알고리듬 적용 및 실시간 바람장 산출(국가기상위성센터) - 통합 모델에서의 알고리듬 성능평가(수치자료응용과) |
- 77 -
|
Ⅴ- 2- 정보화② : 기상용 슈퍼컴퓨터 운영 |
□ 목적
○ 슈퍼컴퓨터의 H/W 및 S/W를 효율적으로 운영하여 안정적인 수치예보자료 제공
○ 통합모델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슈퍼컴퓨터 3호기 운영 및 관리
○ 슈퍼컴퓨터 3호기로 안정적 전환을 위한 2호기 시스템의 병행 운영
□ 주요내용 및 성과
○ 고해상도 수치모델 운영 및 개발 지원을 위한 슈퍼컴 3호기 도입 및 설치
- 슈퍼컴 3호기 준비시스템(인터림) 검사검수 완료(3.25)
- 3호기가 운영될 국가기상슈퍼컴퓨터센터 준공 완료 및 준공식 개최(3.29)
- 슈퍼컴 3호기 초기분 통관(2.09), 오창 센터로 이동(2.10) 및 설치 완료(3.11)
2개월 이상의 안정도 검사를 거쳐 검사검수 완료(6.04)
○ 3호기 초기분에서 통합모델 기반의 수치예보 현업운영체계 구축
- 3호기 초기분 시스템에 수치예보모델 설치 및 시험운영 실시(3.22, 00UTC 부터)
- 3호기 초기분 시스템에서 수치예보모델 현업운영 실시(5.14, 00UTC 부터)
○ 슈퍼컴 2호기 활용을 위한 기본계획 보완 추진(5.28)
- ‘10.11.30일까지 기존 수치예보 병행 운영, ’10.12월 오창 센터로 이전
- ‘11년부터 국가표준 기후변화 시나리오 산출용 등의 용도로 활용
○ 슈퍼컴센터 정보보호시스템 구축 사업 추진
- 계약 체결(4.27) : LG엔시스(계약금액 2,549,763,500원)
- 정보보호 시스템 구축관련 착수보고회 개최(5.10)
- 슈퍼컴센터 정보보호 구축관련 업무협의(5.19, 5.26, 6.08)
- 슈퍼컴 정보보안 컨설팅 시스템 진단 및 Network 기반 구축작업(6.16~6.18)
- 78 -
○ 국가기상슈퍼컴퓨터센터(오창) 운영 및 시설관리
- 센터 시설물 유지관리를 위한 용역계약 체결
○ 슈퍼컴센터 정보보호시스템 구축 사업 추진
- 계약 체결(4.27) : LG엔시스(계약금액 2,549,763,500원)
- 정보보호 시스템 구축관련 착수보고회 개최(5.10)
- 슈퍼컴센터 정보보호 구축관련 업무협의(5.19, 5.26, 6.08)
- 슈퍼컴 정보보안 컨설팅 시스템 진단 및 Network 기반 구축작업(6.16~6.18)
○ 국가기상슈퍼컴퓨터센터(오창) 운영 및 시설관리
- 센터 시설물 유지관리를 위한 용역계약 체결
: 시설물유지관리용역(1.27), 청소관리용역(1.26), 방화관리용역(3.17), 승강기유지보수용역(4.1)
- 소방정밀점검 실시(5.18) 및 소방교육 실시(6.16)
- 시설물 안전관리자 선임 및 운용교육 이수(전기, 가스, 승강기, 방화관리자)
○ 국가기상슈퍼컴퓨터센터 홍보 실적
- 오창 센터 방문자 수 : 645명 (청내 직원: 318명, 외부인원: 327명 / 총22회 : 1.29~6.21)
: 시설물유지관리용역(1.27), 청소관리용역(1.26), 방화관리용역(3.17), 승강기유지보수용역(4.1)
- 소방정밀점검 실시(5.18) 및 소방교육 실시(6.16)
- 시설물 안전관리자 선임 및 운용교육 이수(전기, 가스, 승강기, 방화관리자)
○ 국가기상슈퍼컴퓨터센터 홍보 실적
- 오창 센터 방문자 수 : 645명 (청내 직원: 318명, 외부인원: 327명 / 총22회 : 1.29~6.21)
- 79 -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실 적 |
비고 |
3월 |
○ 슈퍼컴 3호기 초기분시스템 설치완료(3.11) - 계산시스템(XT5), 전후처리서버(4조), 로그인서버(2조), 디스크저장장비(2PB), 테이프백업장비(4PB) |
정상 |
○ 3호기 초기분 기반 수치예보 시험운영 실시(3.22,00UTC부터)(3.21) - 대상 : 통합모델(UM N320 L50, UM 12km L38), KWRF, 파고모델, 폭풍해일모델 등 |
정상 |
|
○ 슈퍼컴 3호기 인터림 시스템 검사 및 검수 완료(3.25) |
정상 |
|
○ 국가기상슈퍼컴퓨터센터 준공식 개최(3.29,14시) - 참석 : 환경부장관, 충북도지사, 조달청장, 공군기상전대장 등 |
정상 |
|
○ 3호기 관리자 교육 실시 - 대상자 / 기간 : 오하영, 김정훈, 장민수, 김진영 / 3.31~4.16 (17일간) - 교육장소 : 미국 위스콘신주 크레이 제작사 교육센터 |
정상 |
|
4월 |
○ 슈퍼컴퓨터센터 정보보호시스템 구축사업 계약체결(4.27) |
정상 |
5월 |
○ 수치예보 현업화 워크숍 개최 - 기간/장소/참석자 : 5.6~5.7 / 오창 국가기상슈퍼컴퓨터센터 / 수치모델관리관 외 15명 |
정상 |
○ 3호기 초기분 기반 수치예보 현업운영 실시(5.14,00UTC부터) - 목적 : 통합모델 현업운영 추진 점검과 최종 준비 - 대상 : 전구/지역 통합모델, KWRF, 파고모델, 폭풍해일모델 등 |
정상 |
|
○ 슈퍼컴 2호기 활용 기본계획 보완 수립(5.28) |
정상 |
|
6월 |
○ 슈퍼컴 3호기 초기분 시스템 검사 및 검수 완료(6.4) |
정상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달성도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슈퍼컴퓨터 3호기 CPU 사용율 |
목표치 : 43.1% |
○ 슈퍼컴 3호기 초기분 검사검수후(6월) CPU 사용율 계산중 |
- 80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2010.11.30 이후 슈퍼컴퓨터 2호기 활용 계획 수립 필요 - ‘09.11월 슈퍼컴 2호기 활용 청내외 수요조사 실시 - ‘09.11월 국립기상연구소(기후연구과)에서 국가표준 기후변화 시나리오 산출용으로 수요조사서 제출 |
○ 2호기 처리 및 활용을 위한 관련 부서 의견수렴, 사용자 요구사항 반영(3.22, 5.14) ○ 슈퍼컴 2호기 활용 기본계획 보완 추진(5.28) - ‘10.11.30일까지 수치예보 병행 운영, ‘10.12월 오창 센터로 이전 - ‘11년 부터 국가표준 기후변화 시나리오 산출 등의 용도로 활용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슈퍼컴퓨터센터 추진기획단을 통한 관련 부서간 협조 체계 구축 - 수치모델개발과, 수치자료응용팀, 운영지원과, 정보통신기술과, 기후예측과, 예보연구과, 황사연구과, 기후연구과 등 ○ 공군제73기상전대와 업무협약(MOU, 2003.09.18)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과 업무협약(MOU, 2007.08.01) |
○ 추진기획단 점검회의 개최(1월~6월, 총14회) ○ 공군제73기상전대와 업무 협의 - 슈퍼컴퓨터3호기 설치과정 견학 및 설치정도 습득(02.11) - 국가슈퍼컴퓨터센터 운영 현황 파악을 위한 업무 협의(03.25)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과 업무 교류 - 한국 슈퍼컴퓨팅 협의회 참석(06.24~25) |
- 81 -
자체주요업무 : 슈퍼컴퓨터 활용 능력 향상 |
□ 목적
○ 슈퍼컴 3호기 도입으로 기존의 벡터방식(2호기)에서 병렬방식으로 전환에 따른 슈퍼컴 사용자/개발자에 대한 관련 기술 지원
○ 슈퍼컴퓨터 관련 기술의 빠른 발전에 따른 수치예보모델 개발자에 대한 최신 병렬화기술 등 프로그램 개발 기술 지원
○ 슈퍼컴퓨터 관리 및 운영자와 수치예보모델 개발자 및 사용자간에 원활한 의사소통을 지원하여 슈퍼컴퓨터 활용 효율성 향상
□ 주요내용 및 성과
○ 고해상도 수치모델 운영 및 개발 지원을 위한 슈퍼컴 3호기 도입 및 설치
- 3호기가 운영될 국가기상슈퍼컴퓨터센터 준공 완료 및 준공식 개최(3.29)
- 슈퍼컴 3호기 초기분 설치 완료(3.11) 및 검사검수 완료(6.4)
- 매주 슈퍼컴퓨터센터 추진기획단 점검회의 개최(1~6월, 총14회)
○ 3호기 기반의 수치예보모델 현업운영체계 구축
- 3호기 초기분 시스템에 수치예보모델 설치 및 시험운영 실시(3.22, 00UTC 부터)
- 3호기 초기분 시스템에서 수치예보모델 현업운영 실시(5.14, 00UTC 부터)
○ 수치예보모델 프로그램 기술 지원 (총17건 접수) - 전화 및 이메일접수건 제외
No |
부서 |
접수일자 |
진단 및 처리 내용 |
완료일자 |
1 |
수치모델개발과 |
1월 20일 |
앙상블에서 Segmentation Fault 에러 발생 |
2월 2일 |
2 |
수치자료응용팀 |
1월 21일 |
UMVAR 480개 이상의 CPU 사용 가능과 최적화 |
3월 9일 |
3 |
기후연구과 |
1월 26일 |
HadGEM3 N96L85를 기반으로 한 GloSea4 최적화 |
5월 20일 |
4 |
수치모델개발과 |
2월 2일 |
ETKF에서 입력자료가 있는 경우 Seg. Fault 발생 |
2월 4일 |
5 |
기후예측과 |
2월 18일 |
장기예측모델용 GDAPS 최적화 및 병렬화 |
5월 19일 |
6 |
수치자료응용팀 |
3월 4일 |
전후처리시스템에 ODB 및 자료 처리 포팅 |
3월 18일 |
7 |
수치자료응용팀 |
3월 3일 |
인터림에 UMVAR 24.3 버전 포팅 |
3월 30일 |
8 |
수치모델개발과 |
3월 19일 |
KWRF POST 과정 최적화 |
5월 20일 |
9 |
수치자료응용팀 |
3월 24일 |
전후처리시스템에서 OPS 수행시 MPI_Bsend 오류 |
3월 30일 |
10 |
수치자료응용팀 |
3월 24일 |
OPS에서 obstore 생산 부분 병렬화 |
6월 15일 |
11 |
기후연구과 |
4월 9일 |
HadGEM3에서 3개월 적분중 모형 중단 디버깅 |
5월 20일 |
12 |
수치모델개발과 |
4월 16일 |
MOGREPS 7.5 버전 최적화 |
6월 20일 |
13 |
수치모델개발과 |
5월 12일 |
초기분에서 ETKF 수행이 느려지는 현상 |
6월 1일 |
14 |
수치자료응용과 |
5월 13일 |
UMVAR vn26.1 포팅 및 최적화 |
진행중 |
15 |
수치모델개발과 |
6월 15일 |
UM vn7.5 N512L70의 IO 디버그 및 최적화 |
진행중 |
16 |
기후연구과 |
6월 16일 |
HadGEM3에서 auto- resubmit 디버깅 |
6월 25일 |
17 |
기후연구과 |
6월 16일 |
HadGEM3 N96L38 디버깅 및 최적화 |
진행중 |
- 82 -
○ 슈퍼컴 3호기의 효율적 운영지원을 위한 워크숍 및 교육
- 슈퍼컴 3호기 관리자 교육 실시 (4인, 3.31~4.14, 미국 크레이 제작사 교육센터)
- 슈퍼컴 3호기 초기분 기반 수치예보 현업화 준비를 위한 워크숍 개최 (5.6~5.7, 수치모델관리관외 15명, 오창센터)
- 2010년도 슈퍼컴퓨터 사용자 워크숍 개최(6.30~7.1, 본청/지방청 및 관련기관 약 70여명, 대전 리베라호텔)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계 획 |
추 진 실 적 |
비고 |
3월 |
○ 슈퍼컴퓨터 3호기 초기분 설치 완료 |
○ 슈퍼컴 3호기 초기분시스템 설치완료(3.11) - 계산시스템(XT5), 전후처리서버(4조), 로그인서버(2조), 디스크저장장비(2PB), 테이프백업장비(4PB) |
정상 |
○ 3호기 초기분 기반 수치예보 시험운영 |
○ 3호기 초기분 기반 수치예보 시험운영 실시(3.22,00UTC부터) - 대상 : 전구/지역 통합모델, KWRF, 파고모델, 폭풍해일모델 등 |
정상 |
|
○ 국가기상슈퍼컴퓨터센터 준공식 |
○ 국가기상슈퍼컴퓨터센터 준공식 개최(3.29,14시) - 참석 : 환경부장관, 충북도지사, 조달청장, 공군기상전대장 등 |
정상 |
|
○ 슈퍼컴퓨터 3호기 관리자 교육 |
○ 3호기 관리자 교육 실시 - 대상자 / 기간 : 오하영, 김정훈, 장민수, 김진영 / 3.31~4.16 (17일간) - 교육장소 : 미국 위스콘신주 크레이 제작사 교육센터 |
정상 |
|
5월 |
○ 3호기 초기분 기반 수치예보 현업화 워크숍 |
○ 수치예보 현업화 워크숍 개최 - 기간/장소/참석자 : 5.6~5.7 / 오창 국가기상슈퍼컴퓨터센터 / 수치모델관리관 외 15명 |
정상 |
○ 3호기 초기분 기반 수치예보 현업운영 |
○ 3호기 초기분 기반 수치예보 현업운영 실시(5.14,00UTC부터) - 대상 : 전구/지역 통합모델, KWRF, 파고모델, 폭풍해일모델 등 |
정상 |
|
6월 |
○ 2010년도 슈퍼컴퓨터 사용자 워크숍 |
○ 슈퍼컴퓨터 3호기와 통합모델 운영정보 공유, 효율적 활용방안 모색 - 일시 / 대상 : 6.30~7.01 / 기상청 및 공군, 관련대학 슈퍼컴 사용자 70명 내외 |
정상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달성도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사용자 지원 만족도 |
목표치 : 상반기 만족도의 105% |
○ 7월중 상반기 사용자 지원 결과에 대한 만족도 조사 예정 |
- 83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초단기예보 상반기 시행 정책 결정(예보정책과, 4.06) - 동네예보와 연계하여 실황과 1시간 간격 예보를 통하여 이음새 없는 예보시스템 구축 ○ 초단기예보 시행을 위한 협조 요청 - 초단기예보 시행을 위하여 기존 KLAPS 2.2버전을 3.0으로 업그레이드하여 시험 및 현업운영을 할 예정 - 이에 필요한 슈퍼컴 자원 제공과 기술 및 운영 지원 요청 (예보정책과, 5.17) - KLAPS3.0 협업화 요청(예보정책과, 6.03) |
○ 초단기예보 추진 TFT 참여(예보정책과, 4.06) - 기획단(이희상 과장), 실무반(이정환 서기관) ○ 초단기예보 시험운영을 위하여 슈퍼컴퓨터 3호기 초기분 자원 제공(5.17~) - 대상모델 및 작업 : KLAPS 3.0 모델 시험운영 ○ 초단기예보 현업운영을 위하여 KLAPS 3.0 모델 현업 설치(6.8~6.11) - 예보연구과와 공동으로 6.8~6.11(4일간) KLAPS 3.0을 슈퍼컴 3호기 초기분에 현업 설치 작업 수행 ○ KLAPS 3.0 모델 슈퍼컴 3호기 초기분에서 현업 운영 실시(6.15, 00UTC~)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슈퍼컴퓨터센터 추진기획단을 통한 관련 부서간 협조 체계 구축 - 수치모델개발과, 수치자료응용팀, 운영지원과, 정보통신기술과, 기후예측과, 예보연구과, 황사연구과, 기후연구과 등 |
○ 추진기획단 점검회의 개최(1월~6월, 총14회) ○ 기후연구과 기후예측모델 및 시나리오생산모델 3호기 구축을 위한 협의(4.27) ○ 유관기관(정보통신기술과) 및 기상사업자(기상산업정책과)에 통합모델 결과 제공(5.14) ○ 위성기상산출물 생산을 위한 통합모델 자료제공요청 (위성분석팀, 5.19) - 5월 19일부터 위성기상산출물 생산용 통합모델 자료 제공 ○ 황사모델 3호기 초기분 설치를 위하여 황사연구과와 공동 작업 수행(6.16) |
- 84 -
관측기반국
2010년도 상반기 성과점검회의
• 관측정책과 85
• 해양기상과97
• 기상기술과102
|
Ⅴ- 1- 주요정책① : 기상관측 첨단화와 표준화 |
□ 목 적
○ 기상관측의 첨단화와 목측관측의 자동화로 고품질의 실시간 기상관측자료의 안정적 생산
※ ‘2009~2013 기상관측 발전 기본계획’의 실천
○ 한정된 국가자원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부처간 협력 증대
— 기상관측시설의 표준화와 기상관측자료의 공동 활용 강화
○ 정확한 관측자료의 생산기반 마련을 위한 관측장비의 성능 검증 시스템 구축
— 기상관측장비 성능시험을 위한 표준관측시설 조성
□ 주요내용 및 성과
○ 첨단기상관측장비의 도입 및 목측관측요소의 자동화로 고품질 기상관측자료의 안정적 생산
— 선진국의 자동기상관측망 현황 및 통계자료 조사(1.8)
— 자동기상관측장비 첨단화를 위한 TFT 구성(2.4) 및 연찬회 개최(3.11~12)
— 수동 및 목측관측장비의 첨단화를 위한 기본계획 수립(3.31) 및 13개 기상장비업체를 대상으로 사업설명회 개최(4.21)
○ 관측기관의 견학의 장으로 활용할 표준화 시범기상관측시설 4개소 조성
— 대전광역시 세천지점 및 광주광역시 광산지점 2개소 조성 완료(6.22)
— 서울특별시 하늘공원 내에 1개소 조성 협의 중, 충북 음성지점 1개소 국유지 관리환 추진 중
○ USN 기술을 이용한 통합형 자동기상관측장비 현장 시험
— 추풍령 표준기상관측소 내에 시스템 설치(4.16) 및 시험 운영 중
○ 관측장비 성능 시험을 위한 비교관측 및 표준관측소 환경조성
— 추풍령 표준기상관측소 실험동 증축 및 옹벽공사 설계용역(2.24~4.12) / 공사 조달공고 중
— 기상장비 비교관측 및 성능시험 방법 도출에 관한 연구(5.31~12.15, 강릉원주대학교)
— 도시‧산악지역 시범관측망 시험운영 계약 체결(6.17, 을지로 주변 및 관악산 정상)
- 85 -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계 획 |
추 진 실 적 |
비고 |
1월 |
○ 공동협력기상관측소 설립 계획 수립 |
○ 최적 운영 계획 수립(1.15) - ‘16년까지 19개소 운영 계획 포함 |
정상 |
2월 |
○ '09년 하반기 기상관측시설 표준화 등급 평가 |
○ '09년도 하반기 기상관측시설 등급평가 실시('09.12.23~‘10.2.28) - '09년 12월말 기준 총 대상시설 3,338개소 중 우수등급 이상 1,900개소(57%) - 기상관측표준화실무위원회에 안건 상정(3.16) |
정상 |
○ 공동협력기상관측소 실무위원회 개최 |
○ 정선군공동협력기상관측소 설립 실무위원회 개최(2.11) |
정상 |
|
3월 |
○ 표준화 시범기상관측시설 조성 계획 수립 |
○ 4개소 조성 계획 수립(관측정책과- 899, 3.22) - 광역지자체 4개 지역 대상(인천‧광주‧대전‧충북 지역) |
정상 |
○ 차세대 지상관측장비 설계 |
○ TFT 구성(2.24) 및 워크숍 개최 결과 보고(3.29) - 통신방식을 포함한 기상센서의 개선 방식 등 설계 |
정상 |
|
4월 |
○ 지상기상관측장비 첨단화 추진계획 수립 |
○ 자동기상관측장비 첨단화 기본계획(안) 수립(3.31) - 각종 센서의 관측방식 변경 및 연차별 계획 포함 |
정상 |
○ 공동협력기상관측소 관측환경조사 |
○ 정선군공동협력기상관측소 관측환경 조사(2.11) ○ 광양시공동협력기상관측소 관측환경 조사(4.23) |
정상 |
|
○ 기상관측표준화위원회 개최 |
○ 제5회 기상관측표준화위원회 개최(1.6~15, 서면) - 심의안건 1건, 보고안건 1건 의결 처리 ○ 제6회 기상관측표준화위원회 개최(4.21) - 심의안건 2건, 보고안건 1건 의결 처리 |
정상 |
|
5월 |
○ 재해성 기상현상 집중관측 계획 수립 |
○ 수도권 지역 위험기상현상 구조 관측 및 조기감시 기능 강화 계획 수립(예보연구과- 1265, 5.31) - 하절기동안 서울 외곽 지역 고층관측(세 지점) 및 서울 내 GPS 가강수량 관측 등 |
정상 |
6월 |
○ 표준화 시범기상관측시설 조성 점검 |
○ 조성 점검(6.15) 및 결과 보고(관측정책과- 2134, 6.22) - 2개소 조성 완료(대전 세천지점, 광주 광산지점), 조성예정 2개소 조성계획 및 향후 일정 점검 |
정상 |
- 86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기상관측표준화율(%) |
60 |
연지표 |
○ 연 지표로 현재 타 관측기관의 상반기 실적을 확인하고 있음(7월중 집계 예정). |
기상관측첨단화율(%) |
10 |
연지표 |
○ '10년도 첨단관측장비 도입을 위한 구매규격서 작성 완료(6.17) |
관측정보의 단기예보정확도 개선효과(강수유무)(%) |
1.5 |
연지표 |
○ 하반기 평가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사물지능통신망(O2N) 도입 계획 수립(정보통신기술과, 3.31) - 자동기상관측자료 수집체계를 유선망에서 사물통신망으로 변경 ○ 표준화 시범기상관측시설 설치 예정지역의 실사 - '10년도 설치계획(4개소) 지역 중 인천광역시 설치장소의 미흡 |
○ 기상관측망 고도화를 위한 관련부서 회의 개최 2회(4.8, 5.27) - 자동기상관측장비 첨단화 및 사물지능통신망 도입의 효율적인 연계방안 검토 ○ 표준화 시범기상관측시설 조성 적정 지역 물색 - 서울특별시 마포구 소재 하늘공원을 대상으로 선정 및 협조 요청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26개 관측기관 간 관측표준화 사안 검토를 위한 위원회 구성 - 국가기관(4), 지방자치단체(16), 공공기관(6) ○ 기상청- 서울특별시간 업무협약(2.8)으로 도시관리를 위한 도시기상관측 기준 마련 - USN 기술을 활용한 기상‧수문‧환경 등 통합 관측환경 구축 |
○ 제8회(3.24) 및 제9회(6.17) 기상관측표준화실무위원회 개최 - 제8회 : 위원회 상정안건 3건 검토 및 사전 조정 - 제9회 : 위원회 상정안건 1건 검토 및 사전 조정 ○ 도시‧산악기상 시범관측망 구축을 위한 설치장소 선정 협조(6.16) - 을지로 주변지역 및 관악산 등산로에 USN 관측장비 설치 |
- 87 -
Ⅴ- 1- 일반재정① : 지상기상 및 지진관측망 확충 |
□ 목 적
○ 고품질의 기상관측자료 생산을 위한 지상기상관측망 확충 및 노후 장비의 성능 보강으로 예보정확도 향상에 기여
○ 황사관측공백지역에 관측장비 확충 및 조기경보 체제 구축을 통해 예보정확도 향상
○ 신속하고 정확한 지진분석‧통보체계 구축을 통해 지진재해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 보호
□ 주요내용 및 성과
○ 기상재해 대처능력 향상과 예보 지원을 위한 노후화된 자동기상관측장비 교체 추진 [관측정책과]
— 선진국의 자동기상관측망 현황 및 통계자료 조사(1.8)
— 수동 및 목측관측장비의 첨단화를 위한 기본계획 수립(3.31) 및 13개 기상장비업체를 대상으로 사업설명회 개최(4.21)
— 구매 규격서 작성 완료(6월)
○ 안개관측장비 2010년도 도입분 26대 조달 입찰(6.14) [관측정책과]
○ 한중 황사공동관측소 운영자 교육 실시(1.27~2.5) [국립기상연구소 황사연구과]
— 대상/내용 : 중국 황사관측담당자 14인 / 황사장비 관측원리, 운영, 활용사례 등
○ 국내 황사관측망 유지관리 및 환경개선을 위한 황사관측장비 정기점검 실시(3~7월) [국립기상연구소 황사연구과]
○ 국가 지진관측망의 확충 및 보강 [지진정책과]
— 2010년도 지진관측망 확충 및 보강계획(안) 수립(1.14)
— 2010년도 제1차 지진 및 지진해일 관측기관협의회 개최(5.27)
— 지진 및 지진해일 관측망 종합계획(2010~2014) 수립(6월말 예정)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 황사관측자료 수집률(%) |
98.4 |
98.0 |
○ 전국 28개소의 5분자료 수집율 계산(‘10년 5월까지) |
○ 지상기상관측 1분자료 실시간 제공율(%) |
99.6 |
99.6 |
○ 전국 544개소 AWS에 대한 사전 예방정비로 실시간 자료 제공율 목표 달성(‘10년 5월까지) |
- 88 -
○ 무인 및 위탁관측소(영덕, 청원 등)의 자료 수집율이 다소 낮아 5월까지 황사관측자료 수집율이 목표치에 약간 미달하나 관측장비 특별 유지보수(7월)가 끝나면 하반기 중에는 목표치를 달성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선진국의 자동기상관측망 현황 및 통계자료 필요 - 기상선진국의 기상관측장비(자동기상관측장비, 자동적설관측장비 등) ○ 기상관측장비의 실시간 모니터링 및 관측자료 품질관리 효율적 운영 필요 - 관측자료 품질관리 권한을 일선관서로 변경하였으나 부작용 우려 ○ 유관기관 관측자료 활용을 위한 품질관리 강화 필요 |
○ 자동기상관측장비 첨단화를 위해 미국, 일본 등 선진국의 현황 및 통계자료 조사 - 미국, 일본, 유럽, 프랑스, 스위스, 호주 등의 자동기상관측장비, 자동적설관측장비 등 ○ 자동기상관측장비 운영 및 품질관리체계 개선 계획 수립 - 서울기상관측소를 전국 기상관측장비 감시센터로 운영 및 품질관리 승인 권한 재조정 - 방재기상대책 강화를 위한 실무지도점검(5.17~5.25) ○ 유관기관 관측자료의 품질강화를 위해 합동 워크숍, 교육 등 실시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방재 유관기관 관측자료 품질관리체계 구축 협력 ○ 한‧중 황사공동관측소 운영자 교육 협력 운영 ○ 지진 및 지진해일 관련 유관 관측기관 협의 |
○ 방재 유관기관의 기상관측자료 품질관리 강화를 위한 교육운영(6.9- 6.11) - 공공기관, 지자체 등 유관기관의 기상관측업무 종사자를 대상으로 교육 실시 ○ 한‧중 황사공동관측소 운영자 교육 실시(1.27~2.5) - 대상/내용 : 중국 황사관측담당자 14인/황사관측장비(PM10) 관측원리, 운영 등 ○ ‘10년도 제1차 지진 및 지진해일 관측기관협의회 개최(5.27) - 관측망 종합계획, 지진해일 관측장비 성능·규격 등 주요현안 심의 및 협의 (국립해양조사원 등 9개 기관) |
- 89 -
Ⅴ- 1- 일반재정③ : 고층기상관측망 확충 |
□ 목 적
○ 고밀도 고층입체 감시망 구축으로 집중호우, 태풍 등 위험기상으로 인한 기상재해 경감에 기여
○ 기상레이더 관측의 첨단화‧선진화를 통해 태풍, 집중호우 등 위험기상으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 보호
□ 주요내용 및 성과
○ 고층기상관측자료 품질 향상 및 활용기반 확대 [관측정책과]
— 중규모 기상현상의 입체적 감시 및 분석능력 향상을 위한 고층기상관측자료 품질향상 추진계획 수립(2.26)
— 고층기상관측자료 품질관리 개선을 위한 연구용역 추진(‘10.3.1~’12.2.29)
— 고층기상관측장비 표준규격(고시) 일부개정 추진계획 수립(4.15)
— 라디오존데 관측자료의 품질 확보를 위해 WMO 국제비교관측(7.12~31) 지원계획 수립(4.15)
○ 고층기상관측장비 운영 효율화 [관측정책과]
— 측기모델 변경에 따른 자료 연속성 평가 활용을 위한 라디오존데 비교관측 실시(‘09.9.8~’10.3.2)
— 라디오미터의 효율적 운영 및 장애 최소화를 위한 제작사 정기점검 실시(3.15~19)
— 여름철 방재기간 대비 고층기상관측장비 사전점검 실시(5.1~5.13)
— 울릉도 고층기상관측서 신설을 위한 관측환경 현장조사(5.26~28)
○ 레이더 관측의 첨단화‧선진화 추진 [기상레이더센터 레이더운영팀]
— 레이더 관측 정확도 향상 및 운영 효율성 증대를 위한 레이더 첨단화 ‧선진화 구축 중장기 계획 수립(5.28)
— 레이더 중앙관제시스템 구축 계획 수립(6.30)
— 기관별 운영 중인 레이더의 범정부적 관측체계 구현을 위한 「기상- 강우 레이더 융합행정 업무협약」체결(6.30)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 고층관측자료의 수치예보제공율(%) |
92.2 |
99.3 |
○ 방재기간 대비 고층기상관측장비(9개소) 사전점검으로 자료제공율 초과 달성(‘10년 5월까지) |
○ 레이더관측 정확도(%) |
82 |
78.6 |
○ 레이더관측 정확도 향상 추진 - 레이더자료 활용기술 개발 계획(3.30) 및 레이더자료 품질관리 고도화 계획(6.23) 수립 - 레이더 관측정확도 개선을 위한 관측파라미터 조사 계획(안) 수립(5.18) |
- 90 -
○ 목표 미달성 사유
— 레이더관측정확도는 레이더강우량 추정정확도(60%)와 호우특보정확도(40%)의 합산으로 산출되는 지표로, 겨울 및 봄철 강수와 호우특보 발표건수가 적어 목표치에 미달이나, 최종 연 평가 시에는 목표치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고층기상관측자료의 품질향상 및 활용 확대를 위한 대책 마련 필요 ○ 최근 도입된 고층기상관측자료의 특성 분석 및 활용방안 마련 필요 ○ 기상레이더센터 조직 신설(4.13) |
○ 고층기상관측자료 품질향상 추진계획 수립(2.26) - 한반도 고층대기 통합관측시스템 구축 및 고층기상관측자료의 수치모델 활용 확대 ○ 고층기상관측자료 품질관리 개선을 위한 연구용역 수행(3.12) ○ 기상레이더센터 개소(5.26) 및 레이더 첨단화‧선진화 구축 중장기 계획 수립(5.28)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고층기상관측자료의 공동 활용을 위한 유관기관 협력 ○ 학계와 고층기상관측장비 성능평가 및 기술 자문을 위한 협조 체계 구축 ○ 기상- 강우 레이더 융합행정을 위한 업무협력 추진 ○ 레이더자료의 표준화 및 운영경비 절감 추진 |
○ 고층기상관측 수증기량 산출시스템 구축을 위한 협력 - 한국천문연구원, 국토지리정보원, 국토해양부 등과 업무 협의 - 라디오존데 관측자료 품질 강화를 위한 WMO 국제비교관측 지원(4.15) ○ 한국교원대학교, 서울대학교 등과 고층기상관측장비 성능 및 자료 활용 협의 ○ 국방부‧국토해양부‧기상청간 기상- 강우레이더 융합행정 추진 - 융합행정체계 구축을 위한 실무회의(5.19) 및 합동 현장방문(5.26) - 기상- 강우레이더 융합행정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6.30) ○ 기상레이더 도입 기종의 통일 추진을 위한 조달청과 장기계속계약 방안 협의(6.16) |
- 91 -
Ⅴ- 1- 일반재정④ : 국가기상관측의 표준화 |
□ 목 적
○ 기상청 등 27개 관측기관에서 수행하고 있는 기상관측표준화로 국가적 기상관측자료의 공동활용 체계 구축
○ 국가 기상관측장비의 체계적 관리 및 기상측기의 적합성 판정을 통한 관측 자료의 신뢰성 확보
○ 국제공인 교정기관 운영 및 시설 운영
□ 주요내용 및 성과
○ 기상청 관측시설의 표준화
— 관측환경 개선 6개소 완료 및 추진 중 48개소(금년 중 총 110개소)
— 관측환경 개선을 위한 부지 구입 추진(매입완료 1, 부지매입 추진 중 7, 관리환 취득 추진 중 2)
— 자동기상관측장비(AWS) 강수량계 바람막이 100개소 설치
○ 타 관측기관 기술지원을 위한 청내 기술지원반 구성 및 워크숍 개최(2.25~26)
○ 표준기상관측소의 일사비교측정시스템 구축
— 기준일사계(절대복사계) 도입을 위한 조달 공고(6.21, 수량 1식/ 60백만원)
○ 기상관측의 고도화 기반 조성
— 실험동(성능시험실, 열린 실험실 등) 증축 설계 용역(2.24~4.12) 및 조달공고(6.14)
○ 국가 교정기관 운영 및 검‧교정 장비 보강
— 온도 시험장비(정밀온도 브릿지) 조달 공고(6.10, 수량 1식/70백만원), 무게식 강수량계 3종 조달 계약(6.30, 45백만원)
- 92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표준화대상기관 방문 지도율(%) |
31 |
연지표 |
○ 표준화 시범기상관측시설 조성 완료(2개소/4개소) - 대전광역시 세천지점, 광주광역시 광산지점 |
○ 목표 미달성 사유 및 조치계획 : 해당사항 없음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한국기상산업진흥원의 대행역무사업 승인(3.19) - 기상측기 검정업무 위탁에 따른 검정업무 개선 필요 |
○ 기상측기 검정업무 개선 계획 수립‧시행(3.29) - 검정 유효기간 현실화, 검정장비 활용방안 마련, 지상기상관측지침 개정 등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관측환경 개선을 통한 양질의 관측 자료 공동활용 - 광주광역시 농업기술센터 내설치 AWS 지상화 |
○ 표준화 시범기상관측시설 조성 완료 - 건물 옥상에 설치된 관측시설을 관측환경이 양호한 지상의 일정 부지(225㎡) 조성을 통해 이전 설치 |
- 93 -
자체주요업무 : 관측자료 신뢰도 제고 및 수치모델 활용 확대 |
□ 목 적
○ 고품질, 고분해능 기상관측자료 생산을 위한 첨단 자동기상관측장비 도입으로 관측자료의 신뢰도 제고
○ 기상관측망 설치ㆍ운영을 국가기관 직접 관리방식에서 민간위탁 방식으로 전환하여 행정ㆍ경영의 효율성 극대화
○ 고층 입체감시망 구축과 고품질 관측 자료 생산을 통한 위험기상감시능력 제고로 기상재해 경감에 기여
□ 주요내용 및 성과
○ 자동기상관측장비 첨단화 추진 [관측정책과]
— 자동기상관측장비 첨단화를 위한 TFT 연찬회 개최(3.11~12)
— 자동기상관측장비 첨단화 기본계획 수립(3.30)
— 구매 규격서 작성 완료(6월)
○ 기상관측장비 구매·유지보수 민간위탁 추진 [관측정책과]
— 기상관측장비 구매‧유지보수 대행역무사업 계약 체결(2.24)
— 대행역무 세부사업 수행을 위한 대행역무사업 세부사업집행계획 수립(3.18)
— 기상관측장비 구매‧유지보수 대행역무사업의 중간점검 및 평가 실시(6.15)
○ 한반도 고층대기 관측망 확충과 고층기상관측자료 활용성 제고 [관측정책과]
— 기상현상의 입체적 감시 및 분석능력 향상을 위한 고층기상관측자료 품질향상 추진계획 수립(2.26)
— 항공기 기상관측자료 수집 확대(14대⇒19대/4.21) 및 GTS 국제방송 실시(6.1~)
- 94 -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계 획 |
추 진 실 적 |
비고 |
2월 |
○ 고층기상관측자료 품질향상계획 수립 |
○ 고층기상관측자료 품질향상 추진계획 수립(2.26) - 한반도 고층대기 통합관측시스템 구축, 고층기상관측자료 수치모델 활용 확대 및 품질관리 |
정상 |
3월 |
○ 기상관측장비 구매·유지보수역무대행계약 체결 |
○ 기상관측장비 구매‧유지보수 대행역무사업 계약 체결(2.24) |
정상 |
○ 고층기상관측자료 자료품질관리 개선연구과제 착수보고 |
○ 고층기상관측자료 품질관리 개선 연구용역 착수보고회 개최(3.11) - 연구기간/연구개발비 : ‘10.3.1- ’11.2.28 / 68백만원 |
정상 |
|
4월 |
○ 기상관측망 설치·운영지침 발간 |
○ 기상관측망 설치·운영지침 발간(4.12) |
정상 |
○ 자동기상관측장비 첨단화를 위한 관련부서 회의 및 워크숍 개최 |
○ 자동기상관측장비 첨단화를 위한 TFT 연찬회(3.11~12) ○ 자동기상관측장비 첨단화 기본계획 수립(3.30) |
정상 |
|
○ 아시아나항공 항공기기상관측자료 추가 수집 및 활용 서비스 |
○ 항공기 기상관측자료 수집‧활용 실무자회의 개최(3.18) ○ 항공기 기상관측자료 활용 확대(4.21) |
정상 |
|
5월 |
○ 울릉도 고층기상관측소 신설 현지조사 |
○ 울릉도 고층기상관측소 신설을 위한 관측환경 현장조사(5.26- 28) |
정상 |
6월 |
○ 자동기상관측장비 첨단화 구매규격서 작성 및 구매 발주 |
○ 자동기상관측장비 첨단화 구매규격서 작성 - 작성 완료 및 장비도입심의위원회 개최(6.17/한국기상산업진흥원) |
정상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 지상 기상관측자료 품질도 |
96.0 |
99.7 |
○ 신속한 대응으로 실시간 제공율 향상 |
○ 고층기상관측자료 수치예보모델 제공률 |
91.3 |
99.3 |
○ 고층기상관측자료 품질향상 추진 및 품질관리 개선을 위한 연구용역 수행 |
- 95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기술의 발달과 행정‧경영의 효율성 극대화를 위하여 공공부분의 관리가 국가기관 직접 관리방식에서 민간위탁 방식으로 변화 |
○ 기상관측망 설치 및 운영 민간위탁 추진 - 기상관측장비 구매‧유지보수 대행역무사업 계약 체결(2.24) — 대행역무 세부사업 수행을 위한 대행역무사업 세부사업집행계획 수립(3.18) — 기상관측장비 구매‧유지보수 대행역무사업의 중간점검 및 평가 실시(6.15)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항공기 기상관측자료 수집‧활용 협력 증진을 위한 협약 체결(‘09.11.24) - 기상청- 아시아나항공(주) MoU 체결 |
○ 항공기 기상관측자료 14대에서 19대로 수집 및 활용 확대 - 아시아나항공(주)과 항공기 기상관측자료 수집 및 활용을 위한 2차 실무자협의 개최(3.18) - 아시아나항공(주)의 항공기 5대 기상관측자료 수집 및 활용(4.21) - GTS 국제방송 실시(6.1) |
- 96 -
|
Ⅱ- 2- 주요정책② : 해양기상 서비스 강화 |
□ 목 적
○ 해양기상기술 향상 및 해양기상서비스 발굴을 통한 수요자 중심의 서비스 개선 및 고객 만족 실현
— 영역기상방송(WE- FAX) 개선, 연근해 선박 기상정보 발표 및 연안실황정보 휴대폰 서비스 등을 통한 해양기상정보 서비스 강화
○ 해양기상관측망 확충 및 유관기관 협력을 통한 해양감시능력 향상
— 해양 유관기관과의 관계 증진을 통한 공동 관측망 운영 및 자료 공유 확대
○ 해양기상정보에 대한 신뢰도 향상과 대기- 해양 종합 감시체계 구축으로 해상교통안전 및 수난사고 안전사고 경감에 기여
□ 주요내용 및 성과
○ 해양기상서비스 향상 중점 추진과제 발굴을 통한 수요자 중심의 새로운 해양기상정보 서비스 기반 구축
— 연근해 선박 기상정보 및 해양기상 수치예측정보 개발‧제공, 지역특성에 맞는 맞춤형 해양기상서비스 실시
○ 해양 관계기관, 학계 및 원양 선박(자원관측선박 선사) 등과의 활발한 교류를 통한 부족한 해양관측자료 공유 확대 추진
— 국토해양부(15개소/항로표지자료), 한국해양연구원(6개소/부이, 해양기지자료 등), 국립해양조사원(5개소/항로표지자료)
○ 해양 유관기관과의 관측자료 공유를 통한 국가 공동해양관측망 구축 기반 조성 및 중복투자 방지를 통한 예산절감 효과
— 타 기관 해양기상관측망 공동 활용으로 해양관측장비 설치 비용 49억 절감(부이 4대, 등표 22대)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계 획 |
추 진 실 적 |
비고 |
2월 |
○ 영역기상방송 개선 TFT 회의 개최 |
○ 영역기상방송 발전 기획단 TFT 회의 개최(2회/1.27, 3.26, 6.1) - 편집일기도, 파랑실황도 개선 추진 및 영역기상방송 콘텐츠 개선사항 검토 |
정상 |
3월 |
○ 유관기관 해양기상관측자료 공유 확대 |
○ 유관기관 해양기상관측자료 공유 확대 및 활용 - 국토해양부(15개소), 한국해양연구원(6개소), 국립해양조사원(5개소) 관측자료 COMIS- 3 표출 ○ 유관기관 해양기상관측자료 공유 실적 보고(3.31) |
정상 |
5월 |
○ 해양관계기관 회의 개최(타부처) |
○ 해양기상 관계기관 회의 개최(5.25/국토해양부 등 6개 기관) - 기관별 해양기상관측망 구축 현황 및 계획, 관측자료 공동활용에 따른 품질관리 방안 검토 |
정상 |
6월 |
○ 자원관측선박(VOS) 선사 간담회 |
○ 자원관측선박 선사 간담회 개최(2.24/고려해운(주), 한진해운(주), 현대상선(주)) - 선박기상관측법, 2010년도 운영계획 및 참여선박 특별서비스 현황 점검 및 토의 |
정상 |
- 97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해양기상서비스 지수 |
80.0 |
81.1 |
○ 해양기상서비스 지수 : 81.1%(5월까지 실적) - 선박기상정보 정확도(35%) : 전년대비 약 20% 상승(42.6% → 51.1%) - 정보제공 실적(35%) : 연근해 선박기상정보 제공 100%(총 5회) - 관측정보 품질도(30%) : 5월까지 실적(94.19%)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연근해 및 원해역 항행 선박 설문조사('09.11.23.~12.6.) 시 고객 의견 수렴 - 지역별, 산업별 해양정보 수요고객 요구(특성에 맞는 해양정보 제공 요청) - 다양한 해양정보 수요고객을 고려하지 못한 일방적 형태의 해양기상서비스 제공에 따른 정보실효성 및 만족도 저하 ○ 영역기상방송(WE- FAX) 개선을 위한 설문조사('09.11.23.~12.6.) 실시 - 조사대상 : 국립해양조사원, 어업지도사무소(서해, 동해), 해양경찰청, 해군 등 5개 관공서, 수협, 한국선주협회, 여객선사 등 단체(총 160명) - 내용 : 서비스 이용실태, 주 이용정보, 정보별 만족도 및 개선사항 등(총 19개 항목) - 개선의견 : FAX 수신기 기능 향상, WE- FAX 해상도 개선, 구역별 세밀한 정보 제공, 실시간 정보 제공 등 ○ 육상에 비해 부족한 해양기상관측장비로 인해 제기되는 지자체의 관측망 확대 요구 - 울릉군(재난안전관리과)의 울릉도 해양기상관측부이 신설 건의 민원 제기(4.12.) |
○ 의견 수렴 및 환류를 통한 수요자 중심의 다양한 해양기상정보 서비스 발굴‧제공 - 전국 19개 해양기상대의 특성을 살린 “로컬 해양기상정보” 발굴 추진(2.23.) - 연근해 선박기상정보 제공(1.29∼/매월) - 해양기상 수치예측 정보 서비스 시행(4.20∼/매일 15시/이메일) ‧제공기관 : 해양경찰청, 해군, 국립수산과학원, 수산업협동조합, 한국해운조합, 어업지도사무소 ○ 영역기상방송(WE- FAX) 개선을 위한 설문조사(11.23.~12.6.)에 따른 의견 수렴 및 환류 - 설문결과 분석을 통한 영역기상방송 발전 기획단 TFT 운영으로 단계적 개선 추진 - 영역기상방송(WE- FAX) 방송 콘텐츠 개선을 위한 TFT 구성 및 운영(3회) ‧연근해 파랑실황도 개발 완료(5월) 및 편집일기도 개선 추진 - 실시간 해양관측자료 및 예측정보 제공을 위한 서비스 개발 추진 ‧ ‘IT기반 해양 기상정보 수신기 개발’ 제안 발표회 개최(5.25.) ○ 울릉도∼독도 항로 및 울릉도 연안해상의 부이 설치 계획 추진(5.13., 6.17.) - 독도 연안 부이 설치(‘10년 8월 설치 예정/장주기파 탐지용) - 울릉도~독도 항로(NOMAD부이) 및 울릉도 연안(파고부이/'11년 설치 예정) |
- 98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기상청- 국립수산과학원간의 한국해양자료센터(KODC) 공동운영 협약을 통한 해양자료의 공동 운영 기반 구축 ○ 해양 유관기관과의 해양기상관측자료 공유를 위한 기반 구축 - 협력기관 : 국토해양부, 국립해양조사원, 국립수산과학원, 한국해양연구원 |
○ 한국해양자료센터 공동운영 실무협의회(5.13.) - 공동운영 세부절차, 교환자료 종류 및 방법, 적조관련 협조사항 등 협의 ○ 적조확산 예측 및 모델 개발 지원을 위한 업무협의(6.18.) - ‘해상풍‧파고 실황 및 예상도’ 수치자료 등 기상청 자료 제공(7월 제공 예정) ○ 국토해양부, 국립해양조사원, 국립수산과학원 등 해양유관기관과의 자료 공유 확대 - 한국해양자료센터(KODC) 공동운영 협약 체결(1.25.) - 해양 관계기관 회의 개최(5.25.)를 통한 관측자료 공유 및 품질관리 방안 검토 ‧자료 공유 현황 : 국토해양부(15개소), 한국해양연구원(6개소), 국립해양조사원(5개소) - 자원관측선박 선사 간담회(2.24)를 통한 국내 자원관측선박 증설을 위한 협의(5.4.) |
- 99 -
Ⅴ- 1- 일반재정② : 해양기상관측망 확충 |
□ 목 적
○ 한반도 주변해역에 대한 기상감시를 위해 해양기상관측망의 단계적 확충 및 체계적 운영
○ 고품질의 실시간 해양기상관측자료를 예보관에 제공하여 기상재해 예방 및 예보정확도 향상에 기여
○ 해양, 수산, 해운 등 분야 국민들에게 신속 정확한 해양기상관측자료 제공으로 어업, 선박 안전운항 등에 기여
□ 주요내용 및 성과
○ 해양기상관측망 확충 추진
— 파고 부이 구축 사업 조달 계약 의뢰(6.11./7개소)
○ 연안방재관측시스템 구축 추진
— 연안방재관측시스템 구축 계약 체결(6.15./6개소) 및 사업 착수보고회 개최(6.30.)
○ 해양기상관측선(150톤급 1척) 운영 관리(8항차(운항일수 70일) 운항 중)
— 파고부이 설치 예정지 환경 조사, 세계기상의 날 기념 특집 방송(과학영상물 제작), 기상예보 지원 실시간 해양기상관측 및 기상특성조사 등 연구사업 지원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해양기상관측자료 품질도 |
94.9 |
94.2 |
○ 자료 품질도(5월까지 실적) : 부이(7개소 : 94.42%, 등표(8개소 : 93.95%) - 충 수집가능 자료건수(부이 : 200,463건, 등표 : 187,761건) - 정상자료건수(부이 : 189,268건, 등표 : 176,407건) |
○ 목표 미달성 사유 및 조치계획
— 5월까지 위성통신 장애에 따른 자료전송지연으로 실시간 품질검사가 미 실시되어 결측 처리된 건수가 발생하여 목표치를 달성하지 못하였으나 지속적인 모니터링 강화로 하반기에는 목표치를 초과 달성할 것임
- 100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육상에 비해 부족한 해양기상관측장비로 인해 제기되는 지자체의 관측망 확대 요구 - 울릉군(재난안전관리과)의 울릉도 해양기상관측부이 신설 건의 민원 제기(4.12.) ○ 연안방재관측시스템 등 유관기관과의 협조를 통한 해양관측망 확충 관련 유관기관 및 해당 소속기관의 부정적 의견 ○ 해양기상관측망 신설에 따른 설치 환경 선정상의 문제점 발생. - 파고부이, 연안방재관측시스템(파고계, CCTV, 전광판) 설치장소, 무선국허가, 행정기관 인허가 등 제반 사항을 고려한 최적의 선정 장소 확보의 어려움 ○ 해양기상관측망 운영 현황 파악 요청(4.1./국토해양부) |
○ 울릉도∼독도 항로 및 울릉도 연안해상의 부이 설치 계획 추진(5.13.) - 울릉도~독도 항로(NOMAD부이/'11년 예정) 및 울릉도 연안(파고부이/'10년 하반기 설치 예정) ○ 육상에 비해 부족한 해양관측자료 확보를 위한 기상청의 노력과 설치장비를 통해 얻게 될 이점 등에 대한 지속적인 유관기관 홍보(4회) ○ 파고부이 및 연안방재관측시스템 설치를 위한 의견수렴 결과, 설치 지점 선정(3.10.) - 장비 설치 환경 조사 실시(연안방재:2.24.~3.9./파고부이:2.24.~3.19.)에 따른 각 지방청 및 소속 해안기상대, 한국산업진흥원 등에 세부협조 사항 요청 - 설치지점 환경조사 결과 보고(4.20./파고부이, 연안방재관측시스템) ○ 장비별 해양기상관측망 현황, 단계별 확충 계획 및 해양기상관측망 구성‧운영 관련 법령 안내(4.7./국토해양부)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해양관측장비 설치를 위한 관련 유관기관과의 협조 체계 - 설치 예정지역 지자체 : 파고부이 설치에 따른 상호협조 사항 등 ○ 연안방재관측시스템 구축을 위한 관련 유관기관 및 소속기관과의 협조 체계 - 지자체, 항만청, 해양경찰청, 산림청 등 : 장비 설치와 관련한 제반사항 협의 - 대전청(서산, 보령) 및 광주청(군산, 정읍, 고창, 목포) 관할 소속 해당 해안기상대 : 해당 유관기관과의 협조 요청 |
○ 파고부이 설치를 위한 공유수면 사용 협의(2회/4.22, 4.26.) - 설치 예정지역 및 장비 등에 대한 정보 제공(태안군 등 7개 지자체) ○ 연안방재관측시스템 구축을 위한 관련 유관기관 협의(4회/4.22, 4.26., 5.7., 5.17.) - 장비설치 예정지점의 토지 및 시설(물) 사용 승인 신청 관련 상호 협조 사항(지자체, 항만청, 해양경찰청, 산림청 등) - 소속 해안 기상대 : 연안방재관측시스템(파고계, CCTV, 전광판) 설치 예정지점, 해당 유관기관 담당자 및 협의사항 등 정보 제공 |
- 101 -
|
Ⅲ- 1- 주요정책② : 기상장비산업 육성 |
□ 목 적
○ 기상장비 산업 육성 및 국산화를 통해 고품질의 기상관측정보 생산과 국가 경쟁력 제고
—기상장비 국산화에 따른 수입 대체효과 및 기상장비 기술개발 시너지 강화
○ 산ㆍ학ㆍ연ㆍ관 협업네트워크 구축 및 기상장비 기술개발 인프라 조성을 통한 기상장비 산업 진흥 및 활성화 도모
□ 주요내용 및 성과
○ 기상장비 신기술 동향파악을 위한 “기상장비육성 세미나” 개최
— (주)한국옵티마(6.8) 등 월1회 총6회 개최, 참여인원 121명
○ 기상산업 진흥 및 활성화 기반 마련을 위한 산업기술 분류체계에 “기상기술 분야” 등재
— 등재분야 : 기상장비산업기술, 기상서비스산업기술(4.1, 지식경제부 고시)
○ 기상장비 미래 유망기술 과제로 “과제발굴연구회” 참여ㆍ운영
— 중기청 : 대기 지상관측 국산화 연구회 참여(6.1~10.31), 기상청 : MEMS 기반 차세대 기상감지 소자 연구회 등 2개 연구회 운영(6.1~9.30)
○ 기상장비 산업 육성전략 등 국산화 중장기 로드맵 마련을 위한 기획연구 완료(3.16)
○ 국내 기상장비 산업 관련 단체의 기술개발 현황분석을 위한 “기상장비 기술동향집” 발간ㆍ배부
— 산ㆍ학ㆍ연 등 57개 단체에 대한 국산품 개발ㆍ제조실적 등 보유 핵심기술 수록(150부)
○ 기상장비 기술개발 인프라 조성을 위한 유관부처(중기청) 정부출연금의 기상산업 지원
— 구매조건부 사업(신규 2건, 7.7억원), 중소기업 기술혁신 개발사업(신성장동력 분야 3건, 15억원), 중소기업 서비스 연구 개발사
(녹색기상 신서비스분야 1건, 1.5억원)
○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및 “지식경제기술혁신평가단” 평가위원에 기상전문가 참여를 통해 기상분야 역량확대 추진(총 18명)
- 102 -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계 획 |
추 진 실 적 |
비고 |
1~ 11월 |
○ 유관부처 산업지원 관련 사업 발굴 및 참여 지원 |
○ 중기청 “중소기업 기술혁신 개발사업” 선도과제에 기상청 제출과제 채택 및 사업자 참여 - 제안과제 채택(2.22, 3개 과제), 기상사업자 신청(3.28), 최종평가 후 사업자 선정(6.16, 3개사) ○ 중기청 “중소기업 서비스 연구개발사업” 기상청 제출과제 채택 및 사업자 참여 - 제안과제 채택(3.31, 1개 과제), 기상사업자 신청(4.29), 최종평가 후 사업자 선정(6.7, 1개사) ○ 지경부 “산업기술 분류체계”에 기상기술 등재 - 기상장비산업기술, 기상서비스산업기술(4.1, 지식경제부 고시) ○ 지경부 및 중기청 산업지원 관련 평가위원에 기상전문가 참여 - 중소기업 기술개발사업 평가위원 : 10명(4.30), 지식경제기술혁신평가단 8명(6.18 현재) ○ 기타 유관부처 산업지원 관련 사업에 기상청 과제 제출(미채택 또는 수행 중) - 지경부 : SW서비스 융합비즈니스모델(과제제출: 4.5, 미채택), 한- 유럽 공동연구 EUREKA사업 참여(6.3, 주관기관과 추진 협의 중) - 행정안전부 : u- IT 사업(과제제출: 2.2, 미채택) |
정상 |
1~ 12월 |
○ 기상장비산업육성 세미나 개최(매월 정례세미나 등) |
○ 산ㆍ학ㆍ연ㆍ관 신기술 동향 및 비즈니스 정보공유 세미나 개최 - (주)한국옵티마 등 6회(1.27, 2.4, 3.4, 4.5, 5.6, 6.8, 총 121명) |
정상 |
3월 |
○ 국산화 중장기 전략마련을 위한 종합 기획연구 완료 |
○ 기상장비 국산화 전략 및 글로벌 브랜드 개발 방안 기획연구 추진 - 수행기관 : (주)LG CNS, 중간보고회(2.4), 최종보고회(3.16) |
정상 (완료) |
5월 |
○ 산ㆍ학ㆍ연 등 보유 핵심기술 조사ㆍ분석 |
○ 기상장비 분야의 최신 국내 기술개발 동향 및 보유 핵심기술 조사 - 산ㆍ학ㆍ연 등 100소 자료조사 및 취합(4.30~5.20, 이메일) ○ 자료 분석ㆍ정리 및 “기상장비 기술동향집” 발간ㆍ배부(5.24~5.31, 57개 단체 게재, 150부) |
정상 (완료) |
6월 |
○ 기상장비 전문인력 양성 종합계획 마련 |
○ 미래 기상장비 산업을 선도할 우수인재 육성을 위한 종합계획 마련 - 중기청 산업인력 지원사업 참여관련 업무협의(6.15, 중기청 인력지원과, 기상기술과, (재)기상기후아카데미) - 관련 부처의 지원정책을 근간으로 양성정책 방향 설정 등 종합계획 수립(6.25) |
정상 (완료) |
6~ 10월 |
○ 국산화 연구개발 기획사업인 과제발굴연구회 운영 |
○ 중기청 과제발굴연구회 참여(6~10월) - 대기 지상관측 국산화 연구회(신청: 5.7, 평가 후 최종선정: 6.7) ○ 기상청 과제발굴연구회 참여(6.1~9.30) - 기상장비 분야 2개 연구회 운영(신청: 5.12, 최종선정: 5.25, 협약: 6.1) |
정상 |
- 103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기상장비개발 관련 R&D 예산액 |
1,000백만원 |
1,599백만원 |
○ 기상청 기상장비 개발관련 예산액 : 275백만원(과제발굴연구회 포함 총 4건) ○ 중기청 기상장비 개발관련 예산액 : 1,325백만원(Argo 플로트 개발 등 총 5건) |
국내 기상장비 업체 매출액 |
21,605백만원 |
- |
○ 매년 12월에 한국기상산업진흥원에서 취합ㆍ통계 |
○ 목표 미달성 사유 : 해당사항 없음(국내 기상장비 업체 매출액은 12월에 취합ㆍ통계될 예정)
○ 조치계획 : 9월중 국내 기상장비의 상반기 매출액 조사 예정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국내 기상장비 기술개발 동향 및 보유 핵심기술 조사 시 사업자의 정보제공 미흡 - 산ㆍ학ㆍ연 등 100소에 설문조사표를 발송(메일)하였으나, 30개 기관만이 응답 (조사기간 : 4.30~5.15) ○ 유관부처의 기상산업 지원과제 평가시 『기획역량』이 주요평가 요소 ○ 기상산업진흥법 발표(‘09.12.10)에 따른 기상사업자 수변화의 진흥 효과 미흡 |
○ 각 단체에 일대일 전화상담 후 정보제공 증가(30소→57개 기관) - 기상장비 기술동향집 발간의 목적 등 취지 설명(5.16~5.20) ○ 각 사업별로 제안서 평가의 주요 주안점에 대해 한국기상산업진흥원을 통해 전파 - 기상사업자의 기획역량 배가 노력 당부(6.24, 기상산업발전협의회) ○ 사업자 등록 독려를 통해 장비업체 수 증가(‘09년 5개 → '10년 27개)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지식경제부 산업R&D 담당부서와 기상산업 지원 인프라 구축 - “지식경제 기술혁신사업 공통운영 요령” 고시 개정 시 “산업기술 분류체계”에 기상기술 등재 협의(1~3월) ○ 중소기업청(대중소협력재단)과 중소기업 지원 협업네트워크 구축 - 정부 부처간 중소기업 공동지원 간담회 등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기상산업 지원분야 발굴 |
○ 산업기술 분류체계에 기상기술 2개 등재(4.1) - 기상장비산업기술, 기상서비스산업기술 ○ 중소기업 R&D 확보 후 기상사업자 지원 - 기술혁신개발사업 3과제, 서비스연구 개발사업 1과제 - 구매조건부 신제품개발 사업 신규 2개 과제, 과제발굴연구회 1개 참여 외 추가발굴 지원 |
- 104 -
Ⅴ- 3- 주요정책① : 기상 R&D 기획 관리 역량 강화 |
□ 목 적
○ 경제성장과 더불어 자연재해 극복을 위한 기상예측 뿐만 아니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건강, 레저 등 다양하고 질 높은 맞춤형 기상서비스에 대한 국민의 요구 증대
○ 사회적 니즈와 새로운 서비스 창출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효율적 R&D 관리 시스템 구축 및 미래전략 수립
□ 주요내용 및 성과
○ R&D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연구개발 투자구조 개선 [기상기술과]
— 학문간 경계를 뛰어넘는 융‧복합 연구(새로운 기술창출) 지원 확대
· 기상- - 보건, 기상- 지리, 기상- 생물, 기상- 수문, 기상- 제품개발 등 복합 연구과제 수행(’10년 14개 1,064백만원 투자/전년대비 72.2%증가)
— 실용화‧현업화 과제의 지원 확대를 통한 기상청 수요 적극 반영
· 기상지진연구분야 현업화, 실용화를 위한 응용·개발 연구과제 확대(21개 과제 3,693백만원 투자/‘09년 대비 1.8% 증가)
— 성과중심의 사업계획 작성 및 평가를 통해 사업의 성과관리 강화
· 과제선정 단계 계획서 내 성과달성 목표치 제시 및 계획대비 실적 평가 시 반영 추진(규정 개정내용에 포함)
○ 기상‧기후‧지진 R&D 기술수요 발굴을 위한 과제발굴연구회 운영 [기상기술과]
— 산·학·연·관 협력을 통한 실용화·현업화 가능 대형과제 발굴과 차년도 연구계획에 반영 목적
— 기상분야 6개, 지진분야 4개, 기후분야 7개 과제발굴 연구회 운영 개시(6.1~)
○ 연구과제의 연계성 검토를 위한 기상R&D 성과이력관리시스템 구축 [국립기상연구소 연구기획운영팀]
— 착수보고회 개최(3.25)
— R&D 부서간의 연구성과 연계성 강화를 위한 실무자 협의(2회/3.29, 6.16)
— 정부의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TIS)와 연계 추진
· 교육과학기술부, NTIS 사업단과의 업무협의회의 개최 및 전문가 회의 등 참여를 통한 의견개진(4회/1.28, 2.17, 3.30, 6.8)
· 필수입력 항목 및 추가적으로 필요한 기능 부여, 연계를 위한 기술지원 등 협의
○ 목적지향형 대형 과제의 발굴 및 협업 연구기반 구축 [기상기술과]
— 연구성과 창출이 가능한 소과제를 통합한 협동과제 수행(‘09년 7개→’10년 12개/전년대비 예산투자 45.3% 증가)
○ 기상 R&D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투자순위 의견수렴 및 조정 [기상기술과]
—기술수요 조사결과에 따라 실용성‧현업 적용성 등을 고려한 기상업무 연구개발사업 투자 우선순위 조정(‘09.11.5)
- 105 -
○ 기상 R&D 향후 발전방안 및 관리체계의 개선 [기상기술과]
—연구개발 전념조항, R&D 관련 위원회 운영, 연구비산정 기준, 단장 전임제 등을 포함한 「기상업무 연구개발사업 처리규정」 개정(초안) 마련(6.21)
—기상청 R&D사업의 선진화·중장기계획(안) 수립 및 토론회 개최
· 관련부서 및 타 부처 담당자를 포함한 기상R&D 발전방안 워크숍 개최(4.14~16/한국연구재단 등 30여명 참석)
· 기상 연구개발 정책방향 설정을 위한 「기상업무연구개발사업 종합발전계획」보고 및 토론회 개최(6.1/기상청장 등 40여명)
·「기상업무 연구개발사업 선진화 및 중장기계획」수립 및 보고회 개최(6.16/기상청장 등 30여명)
—기상 R&D 발전방안 토론회 등 제안사항을 반영한 미래전략 이행체계(안) 수립(6.16)
· 국립기상연구소는 현업화·실용화 연구사업 주도적 추진 및 전문기관 목적기초, 원천기술개발사업 추진으로 연구기관별 역할분담
· 기상청 내 R&D를 총괄 전담부서 지정 및 기상업무 R&D 전문기관 신설, 전문기관 연구결과 활용 등 국립기상연구소의 R&D 관리 강화
· 산·학·연·관의 협업연구체계를 활용한 긴급 연구체계 구축 및 전문기관 단장의 전임제 추진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계 획 |
추 진 실 적 |
비고 |
1월 |
○ 사업별 시행계획서 작성 |
○ 2010년 기상업무 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 수립(‘09.12.22) ○ 2010년 국립기상연구소 기본연구개발과제 추진계획 수립(1.4) |
정상 |
3월 |
○ 기술수요 조사 실시계획 작성 |
○ 2011년 기상업무 연구개발사업 기술수요조사 계획 수립(3.25) - 기상지진기후 분야의 기술동향조사를 통한 2011년 신규 R&D 과제 발굴 및 수요예측 - 「과제발굴연구회」운영을 통한 기술수요조사 방안 개선계획 포함 |
정상 |
5월 |
○ 기술수요 조사 실시(상반기) |
○ 2011년 기상업무 연구개발사업 기술수요조사 및 결과보고(4.13) - 조사기간/조사대상 : 3.25~4. 7/ 본청 및 소속기관 - 조사결과 : 기상관측분야 2, 예보 2, 수치예보 1, 기상산업 1, 지진분야 등 16개 기술수요 발굴 |
정상 |
9월 |
○ 기술수요 조사 실시(하반기) |
○ 하반기 기술수요 조사를 위한 과제발굴연구회 운영(6.1~10.31) |
정상 |
11월 |
○ 성과이력관리시스템 구축 |
○ 구축 착수보고회 개최(3.25) ○ 부서별 R&D 특성을 반영한 시스템 구축을 위한 담당부서와의 업무협의회 개최 - 국립기상연구소, 전문기관, APCC 등 담당자 회의(2회/3.29, 6.16) ○ NTIS 사업단과의 기상청 성과이력관리시스템 구축 시 연계방안 모색 협의회 개최 - 시스템 필수 기능, 입력항목 등에 관한 구축협의(1회/4.8) ○ 기상청 성과이력관리시스템 분석, 구성, 설계(안) 마련(~6.11) |
정상 |
12월 |
○ 기술수요 결과 반영한 중기 투자우선순위 조정 |
○ 상반기 기술수요조사 완료(4.13/16개 기술수요 발굴) |
정상 |
- 106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신규기술 수요 건수(건) |
14 |
- |
○ 상반기 기술수요조사 실시(4.13/16건 발굴) ○ 하반기 과제발굴연구회를 통한 기술수요조사 실시 및 투자우선순위 선정(12월 예정) |
○ 목표 미달성 사유 : 해당사항 없음(하반기 기술수요 조사 후 12월 최종보고)
○ 조치계획 : 해당사항 없음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2011년 신규 R&D 과제의 다양화 및 수요예측을 위한 체계적인 조사방안 필요 ○ 기상청 R&D사업의 목적(실용화, 현업화, 기상서비스 향상)형 사업으로의 추진 요구(국가과학기술위원회 등) |
○ 기상업무 연구개발사업 과제발굴연구회 운영 - 목적 : 기상R&D의 목적 달성을 위한 기획연구역량 강화 및 다양화 ㆍ목적 달성을 위한 산·학·연·관 전문가를 필히 포함한 연구회 구성 - 과제발굴연구회 관리지침에 대한 의견조회 및 지침 제정(3.8) - 과제발굴연구회 세부운영계획 수립(기상지진 4.20, 기후분야 4.22) - 과제발굴연구회 사업공고(4.20, 4.23) 및 사업설명회(4.30) - 과제발굴연구회 접수·선정(5.28) 및 운영(6.1~/17개 연구회) ㆍ기상분야 6, 지진분야 4, 기후분야 7개/ 산·학·연·관 전문가 108명 참여 - 기상지진분야 과제발굴연구회 Kick- off 미팅 및 연구모임 운영(10개 연구회/6.15) - 기후분야 과제발굴연구회 Kick- off 미팅 및 연구모임 운영(7개 연구회/6.25)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정부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TIS)과의 연계성을 강화한 기상청 성과이력관리 시스템 구축(교육과학기술부, NTIS 사업단) ○ 기상청 R&D 수행 부서(국립기상연구소, APCC 등)와의 협의 및 의견수렴을 통한 시스템 설계, 구축 |
○ 정부의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TIS)와 연계를 위한 의견제시 및 협의회 참석 - NTIS 전문가협의(2회/1.28, 2.17), 실무자협의(2회/3.30, 6.8) ○ 기상청 성과이력관리시스템 구축 시 연계방안 모색 협의회 개최 - 시스템 필수 기능, 입력항목 등에 관한 구축협의(1회/4.8) ○ 기상청 R&D 담당부서와의 업무협의회 개최 - 국립기상연구소, 전문기관, APCC 등 담당자 회의(2회/3.29, 6.16) |
- 107 -
Ⅴ- 3- R&D① : 기상기후지진기술개발사업 |
□ 목 적
○ 자연재해로 인한 성장 저해요인 최소화 및 기상정보의 부가가치 극대화
○ 지진·지진해일 특성 규명과 지진재해 대응을 위한 기초기반 기술개발과 지진재해 최소화를 위한 감시·예측 기술개발
○ 국가 기후변화대응 전략수립을 위한 기후변화과학 기초정보 생산 및 제공,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 실현
□ 주요내용 및 성과
○ 태풍·황사·지진·지진해일·호우 등 위험상황을 예측하고 대응할 수 있는 자연재해 대응기술개발 연구수행
— 「멀티모델 앙상블 기법에 의한 태풍예보 시스템 개발」 과제 등 위험기상에 대한 목적형 기반기술개발 과제 수행(35개 과제/4,504백만원)
— 「고해상 탄성파 탐사를 이용한 동해 연안의 신기 지진활동 분석」 등 지진·지진해일 기술개발 과제 수행(25개 과제/3,076백만원)
— 「온실가스 관측 원격 관리 기술개발」 등 기후변화감시·예측 기술개발 과제 수행(46과제/5,294백만원)
○ 기업경영 및 국가경영에 활용할 수 있는 기상기술응용기법 개발 연구
— 「다중규모 통합 대기환경 모델링 시스템 구축」등 관측기법 및 기기개발, 황사 및 에어로솔 분석기법 등 응용기술개발 과제 수행(21개 과제/1,957백만원)
○ 기상‧기후‧지진 R&D 기술수요 발굴을 위한 과제발굴연구회 운영
— 기상분야 6개, 지진분야 4개, 기후분야 7개 과제발굴 연구회 운영 개시(6.1~/산·학·연·관 전문가 108명 참여)
○ 전문기관을 중심으로 「기상업무 R&D 정책방향」수립 및 연구환경 개선
— 개선계획 수립 및 보고(5.20, 6.1/기상청장 등)
· 사업단장의 전임제 및 사업단과 단장 평가제도 개선
· 과제발굴연구회 운영 및 실용화·현업화 중과제에 적합한 과제선정 평가요소 추가
· 현업과 과제의 현업기여도 기준 설정 및 연구성과 목표대비 달성률 평가방법 도입 등을 통한 평가기준 재 정립
· 연구비 과제 산정의 객관화 및 전문기관 평가 과정 폐지 등을 통한 과제 선정·협약관리 강화
· 성실연구 수행을 위한 연구책임자의 연구과제 참여 제한 조항 보완
— 연구개발 환경 개선
· 성과평가 시 평가항목 확대(1.22/기술이전, 사업화, 성능인증, 실용안 등록)
- 108 -
· 2009년 전문기관의 업무추진 투명성 확보를 위한 운영비 사용내역 등에 관한 현장방문 정산실시(5.25~6.8)
· 연구수행기관에 대한 실용화·현업화 평가요소 인정 기준 공유(6.11)
○ 연구개발과제 실용화·대형화 시 보안, 연구 부정행위 차단
— 지진, 기후분야 불성실 연구책임자에 대한 제재 조치(3인/3.17, 5.3)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실 적 |
비고 |
1월 |
○ 2010년 기상기후지진연구개발사업 추진계획 수립(기상지진 1.7, 기후분야 1.22) ○ 2010년 기상지진분야 기술개발사업 업무협약 체결(1.26/10,000백만원) |
정상 |
2월 |
○ 2010년 기후변화 감시·예측 및 국가정책지원 강화사업 협약체결(2.5/6,780백만원) |
정상 |
3~6월 |
○ 기상지진기술개발 연구과제 선정 및 연구수행(81개 과제, 10개 연구회/9,642백만원/예산대비 계약체결 96.4%) ○ 기후변화 감시·예측 및 국가정책지원 강화사업 협약체결(46개 과제, 7개 연구회/5,764백만원/예산대비 계약체결 85.0%) |
정상 |
5~6월 |
○ (재)기상지진기술개발사업단 및 기후과학연구관리단 운영비 정산점검(5.25~6.8/700백만원) |
정상 |
6월 |
○ 기술동향조사를 통한 신규 R&D 과제발굴 및 수요예측을 위한 과제발굴연구회 운영(6.1/17개 연구회) ○ 전문기관의 기획·관리역량 강화추진(단장 전임제 등 개선방안 규정개정 시 포함) |
정상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연구개발관련 홍보 수(건) |
22 |
11 |
○ 기상기후지진분야 연구개발관련 홍보활동 - 2010년 사업설명회 개최(3회/1.14, 1.28, 4.30) - 기상기후지진기술개발사업 및 과제발굴연구회 운영을 위한 워크숍(2회/6.21~6.23, 6.25) - 한국해양과학기술협의회 공동학술대회, 녹색기술 포럼 시 홍보 부스 운영(2회/3.8~3.10, 6.3~6.4) - 2010년 기상지진 과제발굴연구회 운영 등에 관한 신문·방송 인터뷰 (4회/1.15, 3.10, 4.14, 4.22) |
국내외 특허 출원 및 등록건수(건) |
8 |
- |
* 연구과제 시작단계로 2010년 하반기 이후 집계가능 |
기상청 사업에 반영된 연구개발 비율 |
0.4 |
- |
* 2009년 연구결과의 2010년 업무적용에 대한 활용실적 조사 중(6월) |
SCI급 게재 논문 건수 대비 비용(억원) |
2.5 |
- |
* 연구과제 시작단계로 2010년 하반기 이후 집계가능 |
○ 목표 미달성 사유 : 해당사항 없음(연구과제 시작단계로 하반기 이후 성과도출 가능)
- 109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기상기후지진연구과제의 기상청 목적에 맞는 과제로 추진 및 「기상업무 연구개발사업 처리규정」 개정 검토(기상청장/5.17) |
○ 선정평가 기준, 연구개발 전념조항, R&D 관련 위원회 운영, 연구비산정 기준, 단장 전임제 등을 포함한 「기상업무 연구개발사업 처리규정」 개정(안) 마련(6.21) ○ 기상 연구개발 정책방향 설정을 위한 「기상업무연구개발사업 종합발전계획」 보고 및 토론회 개최(6.1/기상청장 등 40여명) ○ 「기상업무 연구개발사업 선진화 및 중장기계획」수립 및 보고회 운영(6.16/ 기상청장 등 30여명) |
○ 기상기후지진연구사업의 현업화·실용화 과제 추진 및 기업, 출연연구소의 기상업무 R&D 참여 미흡(기상청장/5.17) |
○ 평가방법 개선 및 유사과제 등의 대형화 유도 - 기상업무 연구개발규정 개정(안) 포함(6.21) 및 중장기계획(6.16)에 포함 추진 |
○ 기상기후지진연구과제의 목적의 명확화 및 장기 비젼 필요(국가과학기술위원회) - 2011년 예산설명회 시(6.4) |
○ 「기상업무 연구개발사업 선진화 및 중장기계획(안)」보고(6.21) - 국가과학기술위원회 국가주도기술전문위 기상분야 송철화 위원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2011년 국가연구개발사업 추진방향 설정(국가과학기술위원회/3.31) - 기상기후지진분야 연구개발사업의 지원 확대 |
○ 국가과학기술위원회에 대한 기상청 연구개발사업의 확대 필요성 설명 - 2011년 기상청 R&D사업 추진현황 및 분야별 예산요구사항 등 설명(6.4) |
- 110 -
지진관리관
2010년도 상반기 성과점검회의
• 지진정책과 111
• 지진감시과114
|
Ⅰ- 3- 주요정책① : 국가지진업무 수행 인프라 강화 |
□ 목 적
○ 최근 국내 지진의 증가와 세계적으로 대규모 피해지진의 증대에 따른 국민 불안감 해소 및 지진재해 경감대책 마련
○ 지진분야의 다양한 정책개발과 영역 확대를 통한 국가 지진 총괄부처의 역량강화 및 위상 제고
□ 주요내용 및 성과
○ 국가 지진재해경감 차원의 국가 지진조기경보체제 구축 추진(지진정책과)
— 지진조기경보 추진기획단(TFT) 3차 회의 개최(3.30)
—「지진 조기분석 알고리즘 개발 연구」기획연구과제 수행(연구기간 : ‘10.6.1~’11.3.31)
— 지진조기경보 실무추진반 1,2차 회의 개최(3.12, 6.18)
○ 국가 지진관측망 확충과 관측환경 개선을 통한 자료 품질관리 강화(지진정책과)
— 2010년도 지진관측망 확충 및 보강계획 수립(1.14)
— 지진해일 관측장비 성능·규격 고시 추진 관계부처 회의 개최(4.21)
— ‘10년도 제1차 지진 및 지진해일 관측기관협의회 개최(5.27)
— 지진 및 지진해일 관측망 종합계획(2010~2014) 수립(6월말)
○ 지진관측자료 수신 확대를 위한 국제 협력체제 강화(지진정책과)
— 한중 지진과학기술협력 합의사항 이행(5.11~15)에 따른 중국지진국 지진전문가 2인 초청 활용 및 세미나
— 지진자료 준 실시간 교환 관측소 선정(각 5소) 및 백두산 화산활동 등 공동 관심사 협의
○ 지진업무 지평확대 및 대외협력 활성화를 통한 지진업무수행 능력 강화(지진정책과)
— 한반도 지진 위기대응 강화를 위한 「한반도 지진 대응 포럼」개최(2.25/공군회관)
— 국가 지진‧지진해일 감시기술 발전 SAFE 2020 수립을 위한 기획연구과제 수행(연구기간 : ‘10.3.19∼11.2.18)
— 지진업무 지평확대를 위한 지구물리탐사학회 참석 기조연설 및 기상청 지진정책 발표(5.19/서울대)
— 지진실무 수행능력 강화를 위한 외부전문가 지진기술 세미나 개최(4회/지진관측소 원격감시, 지구자기, 화산, 수중음파)
— 국가 지진업무 역량강화를 위한 워크숍 개최 및 기상청 지진정책 발표(6.14/해양연구원)
- 111 -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계 획 |
추 진 실 적 |
비고 |
1월 |
○ 지진 관측장비 성능·규격 고시 시행 ○ 기상법(지진업무) 개정(안) 마련 |
○ 지진 관측장비 성능·규격 고시 시행(1.4) - 지진재해대책법 제정(법률 제9001호) 및 동법 시행령(대통령령 제21362호)시행에 따른 후속조치 ○ 기상법(지진업무) 개정(안) 마련(1.29) 및 의견수렴 - 지진·지진해일 정의 등 국가지진업무 총괄 수행근거 마련 |
정상 |
2월 |
○ 시추공지진관측소 구축 계획 수립 |
○ 2010년도 지진관측망 확충 및 보강계획(안) 수립(1.14) - 시추공지진관측소 구축(백령도, 화천) 계획 수립 |
정상 |
3월 |
○ 지진장비 교체 계획 수립 ○ 지진조기경보 추진기획단 회의 개최 |
○ 2010년도 지진관측망 확충 및 보강계획(안) 수립(1.14) - 노후 광대역 교체(대구 등 3소) 및 중복관측소 지진계 이전 설치 계획 수립 ○ 지진조기경보 추진기획단 3차 회의 개최(3.30) - 방송통신위원회, 소방방재청,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등 10개 기관 |
정상 |
5월 |
○ 지진 및 지진해일 관측기관협의회 개최 ○ 지진해일 관측장비 성능·규격 고시(안) 마련 |
○ ‘10년도 제1차 지진 및 지진해일 관측기관협의회 개최(5.27) - 국립해양조사원, 지질자원연구원 등 9개 기관 참석 ○ 지진해일 관측장비 성능·규격 고시(안) 마련 - 해양기상과, 해양영토개발과(국토해양부) 등 청내·외 관계부서 회의 개최(4.21) |
정상 |
6월 |
○ 국가 지진정책 미래 포럼 개최 |
○ 한반도 지진대응 포럼 개최(2.25) - 환경부장관, 추미애 환노위위원장, 신영수 국토해양위 위원 등 120여명 참석 |
정상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6월말 기준)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지진‧지진해일 관측망 공백 해소율(%) |
96 |
94.6 |
○ 지진속도계 설치 기본계획 조밀도 목표(30km)/ 당해 연도 설치된 속도지진계 조밀도(31.7km) × 100% |
국가 지진관측망 공유율(%) |
88 |
86.8 |
○ 공유관측소 수(86소) / 총 운영관측소 수(99소) × 100% |
지진‧지진해일 조기경보 시스템 구축율(%) |
68 |
40 |
○ A:추진기획단 운영실적(반기1회 이상/20%), B:조기경보 구축 추진 평가율(40%/평가 미실시), C:관계부처 협의 건수 등(반기1회 이상/20%), D:조기경보 관측망 구축 조밀도율(20%/가속도계 구축전) |
- 112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아이티지진(‘10.1.13./규모7.0), 칠레지진(’10.2.27)/규모8.8), 시흥지진(’10.2.9/규모3.0) 등 최근 전 세계적인 대규모 지진으로 국민 불안감 팽배 ○ 북핵 실험 및 천안함 피격 등 국가안보와 직결된 인공지진 감시망 구축 필요 ○ 백두산 화산 폭발 임박 설에 따른 국가적인 화산 대책 필요 |
○ 한반도 지진 대응 포럼 개최(2.25) - 한반도의 위험지진 발생에 대비하여 각계의 의견을 수렴하고 위기대응태세 강화 ○ 인공지진 감시에 필수적인 인프라사운드(음파) 관측망 구축 계획 수립(6월말) ○ 한·중·일 국제 공동연구 및 협력 강화 추진 - 중국지진국 전문가 방문시 백두산 인근 2소 등 5소 지진관측자료 교환 합의(5.11∼15)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국방부(군부대) 시추공관측소 후보지 제공을 위한 업무협의 ○ 지진재해대책법(‘09. 3.)에 근거한 법적 협의체로서 지진 및 지진해일 관측기관협의회 주요 심의 및 보고 안건 처리(지질자원연구원 등 9개 기관) ○ 법정계획(지대법 제5조)으로 5개년 관측망 중기계획 수립 ○ 한국표준과학연구원과의 업무협약 체결 ○ 지진업무 역량 강화를 위한 워크숍 개회(한국해양연구원) |
○ 시추공관측소 설치를 위한 국방부 소유 2소(백령도, 화천) 협의(4월∼6월) ○ ‘10년도 제1차 지진 및 지진해일 관측기관협의회’ 개최(5.27) - 지진 및 지진해일 관측망 종합계획(안) 심의 의결 등 ○ 지진 및 지진해일 관측망 종합계획(2010∼2014) 수립(국토해양부 협조/ 6월말) ○ 지구자기장 분야 전문가 및 기술교류 지자기 분야 교류 확대 추진(5.18) ○ 한반도 주변해역의 발생지진 감시역량 강화(6.14) |
- 113 -
|
Ⅰ- 3- 주요정책② : 지진ㆍ지진해일 분석능력 및 전달체계 강화 |
□ 목 적
○ 신속한 지진통보 및 지진해일 예·경보체계 구축으로 지진·지진해일 재해 경감
○ 지진정보에 대한 정확성과 신속성 제고로 위기대응 능력 향상
— 현재의 지진속보(2분)와 지진통보(5분)의 실효성 해결 방안 마련
※ 2005년 이후 평균 지진속보 2분 21초, 지진통보 4.4분 소요
○ 지진 예측 한계로 최단시간에 정보 전파기술 실용화
□ 주요내용 및 성과
○ 신속한 지진정보 전파체계 보강(지진감시과)
— 지진분석시스템 보강 및 지진정보 전파체계 강화 계획 수립, 지진통보용 동시동보보드 계약(6.21)
— 지진자료수집 및 분석프로그램 업그레이드 계획 수립 및 구매 요청
○ 지진, 인공지진 및 지진해일 대비 모의훈련 및 교육 실시(지진감시과)
— 인공지진관련기관 종합훈련(5.18), 지진 및 지진해일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5.13)
— 북핵 대응 종합 실전 및 모의훈련(3.19), 지진 및 지진해일 대비 자체 모의훈련(1.20, 2.18, 3.31, 4.27, 5.28)
- 114 -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계 획 |
추 진 실 적 |
비고 |
1월 |
○ 지진통보시스템 보강 계획 수립 |
○ 지진통보시스템 동시동보 시스템 보강 계획 수립('10.01.14) ○ 지진분석 시스템 보강 사업 계획 수립(2.4) |
정상 |
3월 |
○ 지진통보시스템 보강 규격서 작성 |
○ 지진통보시스템용 동시동보 팩스시스템 작성 및 구매(3.25) |
정상 |
4월 |
○ 지진연보 발행 |
○ '09 지진연보 발행 및 배포('10.04.05) - 지진연보용 지진분석 결과 검토 의뢰(한국지질자원연, 국립기상연구소, 2.01) - 지진연보를 위한 ‘지진분석기술회의’ 개최(2.19) |
정상 |
5월 |
○ 지진분석 기술향상자체 토론회 |
○ 지진분석 기술향상을 위한 토론회 개최(5.26) |
정상 |
6월 |
○ 재난대응 안전 한국 훈련 실시 |
○ 2010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 실시(5.13) -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 관련 지진 및 지진해일 훈련 계획 수립(5.11) - 기상청, 소방방재청, 방송통신위원회, 지방자치단체 |
정상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지진통보신속도(%) |
95.2 |
100 |
○ 지진속보 1회 2분내 발표, 지진통보 16회 5분내 발표 성공(북한지진제외) - 신속도 = { (1/1) x 0.3 + (16/16) x 0.7 } x 100 = 100 ※ 실적산식 : 신속도(%) = { (x/X)×0.3 + (y/Y)×0.7 } × 100 - x : 2분이내 지진속보 발표횟수 - X : 총 지진속보 발표횟수 - y : 5분이내 지진통보 발표횟수 - Y : 총 지진통보 발표횟수 |
지진발생 위치정확도(km) |
4.15 |
2.96 |
○ 지진속보 1회, 지진통보 16회 발표 - 정확도 = 지진통보 거리오차 합(47.4 km)/ 지진발생횟수(16회) = 2.96 ※ 북한에서 발생한 지진은 평가대상에서 제외 |
지진 관측망 장애 시간 |
15.65 |
5.83 |
○ 실적산식 : ∑ 자료 미수신 시간 / N - 자료 미수신 시간 : 지진속도 관측자료가 미수신된 시간 - N : 속도지진관측소 48개소 (초광대역 1개소, 광대역 11개소, 단주기 31개소, 시추공지진계 5개소) |
- 115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아이티지진, 시흥지진, 북핵 3차 핵실험 가능성으로 OO 위기대응 실무 매뉴얼 및 국가지진 센터 매뉴얼의 보강 필요 - 15분 이내 특이사항 발생만을 통보함으로 긴급 상황 대처 어려움 |
○ OO위기대응 실무 매뉴얼 개정(교과부 원자력통제팀)에 따른 국가지진센터 운영 매뉴얼 수정 (‘10.01.14) - 10분이내 유관기관에 특이사항 발생 통보 - 유관 보고기관 확대(1개소→4개소 BH, 국정원, 외교부, 교과부)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BH 상황실, 국정원, 국방부 합동참모본부, 정보사 ○ 교육과학기술부 원자력통제팀 ○ 소방방재청 재해경감과 ○ 방송통신위원회 비상기획관실 ○ 지질자원연구원 |
○ 실시간 지진상황시스템 구축 - 인공 및 자연지진 발생시 신속한 상황 전파 및 정보 전달체계 구축 - 지진관측망도 표출, 통보창, 지진감지 관측소 표시 ○ 정부부처 북핵관련 합동훈련 공조(5.18) - 참여기관 : 교과부, 지질자원연, 원자력안전기술원, 원자력통제기술원, 항우연, 원자력연구원 ○ 지진 및 지진해일 대비 2010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 실시(5.13) - 지진 및 지진해일 도상 훈련 실시 ○ 재난방송 자동자막송출 훈련 실시(5.13) ○ 지진분석기술회의 개최(2.19) - 2009년 지진연보 작성을 위한 회의 |
- 116 -
기후과학국
2010년도 상반기 성과점검회의
• 기후정책과 117
• 기후예측과133
• 한반도기상기후팀137
• 기후변화감시센터140
|
Ⅰ- 2 주요정책① : 기후변화 국가대응 인프라 강화 |
□ 목 적
○ 국가차원의 기후변화 저감‧적응 대책 수립 지원을 위한 기후변화 국가 대응 실용적 인프라 강화
○ 기후변화과학 주관 부처로서 범정부 녹색성장 추진의 국내외 선도적 역할
○ 기후변화에 대한 전 국가적 관심 증가에 따른 대국민과 언론 홍보 강화
□ 주요내용 및 성과
○ 범정부 저탄소 녹색성장 지원을 위한 기후변화대응 관련 국가 역량 강화
— 기후업무 발전 종합계획(2010~2014) 수립‧시행(1월) 및 세부이행계획 수립(4월)
— 기후변화과학 역량 강화를 위한 기후업무 관련 법령 및 훈령 개정 계획 수립(2월)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하위법령에 기후변화과학 분야 반영(기후변화감시‧예측‧제공‧활용능력 제고에 관한 사항)(4.4)
— 범정부 녹색성장 정책 활성화를 위한 청 내 ‘녹색성장 추진관’ 토론회 개최(2월)
— 기후변화감시 역량 강화를 위한 한반도 주변해역 기후변화감시 공동관측 수행(3월)
— 국가식량안보 정책 지원 강화를 위한 국가농림기상센터 발전방안 마련 및 상세 맞춤형 농림기상 서비스 시스템 구축(3.31)
— 고품질 기후변화과학 정보 생산‧제공 역할을 수행할 ‘기후변화과학연구원(가칭)’ 신설 기획연구 추진(4.23)
— 국가 기후변화 대응 정책 발굴을 위한 기후자문협의회 개최(5월)
— 선진국 수준의 기후변화감시 기술 확보를 위한 WMO 주관 온실가스, 강수화학 등 국제공동비교실험 참여(5월)
— 기후변화감시 역량 강화를 위한 ‘기후변화감시 기초과정’ 개설‧운영(5월)
- 117 -
○ 범지구적 기후변화대응 노력에 적극 동참을 통한 국제사회의 선도적 기여
— 기후변화과학 분야 전문가 발굴을 위한 한국기후변화협의체 개최 및 IPCC 제5차 평가보고서 및 특별보고서 작성 관련 전문가 발굴 추천(3월)
※ IPCC 제5차 평가보고서 발간(‘13~’14년)에 참여할 전문가 7명 선정 예정(WGI 2명, WG II 2명, WG III 3명)
— 제32차 IPCC 총회의 성공적 개최를 위한 세부이행계획 수립 및 청내‧외 추진기획단 회의 개최(4월)
— 기후변화 관련 국제활동 강화를 통한 국가 위상 제고
※ WMO 전지구 기후서비스에 대한 체계 구축(GFCS) 고위급 T/F 참석(1.10~14), 제15차 WMO기후위원회 참가(2.19~24), 제18차 GEO 집행위원회 참가(3.22~23), UN기후변화 제2차 협상회의 참석(5.31~6.9)
○ 기후변화과학 및 녹색성장 관련 정책‧홍보 기능의 강화
— 기후변화감시 홍보 관련 리플릿 발간‧배포(2월)
— 기후변화 이해확산을 위한 전문가 초청 강연 개최(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박태주 원장, 3월)
— 기후변화과학 관련 대국민 이해도 제고를 위한 기후변화뉴스레터(3월, 6월), 기후변화감시뉴스레터(3월, 6월, 웹진), 이상기후뉴스레터(3월, 6월, 웹진) 발간
— WMO 전지구 기후보고서 국문발간‧배포(4월)
— 기후변화과학 홍보를 위한 각종 강연(10건) 및 지자체 순회 교육 실시(5월)
— 기후변화 관련 대국민 이해도 제고를 위한 ‘기후변화 그것이 알고 싶다’ 발간(6월)
- 118 -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계 획 |
추 진 실 적 |
비고 |
1월 |
○ 기후업무발전종합계획(2010~2014) 수립‧시행 |
○ 기후업무발전종합계획(2010~2014) 수립(1.29) |
정상 |
2월 |
○ 기후관련 업무규정 개정 계획 수립 |
○ 기후관련 업무규정 개정 계획 수립(2.3) |
정상 |
5월 |
○ 기후자문협의회 개최 |
○ 기후자문협의회 개최 결과 보고(5.28) |
정상 |
6월 |
○ IPCC 전문가 발굴 추천 |
○ IPCC 제5차 평가보고서 작성 관련 전문가 발굴 추천(3.11, IPCC 사무국) |
정상 |
6월 |
○ UNFCCC 과학기술자문부속회의 (SBSTA- 32) 참가 |
○ UNFCCC 과학기술자문부속회의에 참석하여 소관분야 전문 작성보고 및 대응(5.30~6.11) |
정상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기후업무관련 정책 채택율(%) |
75% |
50% (상반기) |
○ 상세 기후전망서비스 제공 확대 - 지역별 장기예보 및 계절기상예보 확대‧시행 ○ 범부처 녹색성장 정책의 활성화 강화 - 지역 기후변화 활성화를 위해 지역 기후변화 담당자 지정‧운영 |
기후변화 관련 전문가 확보율(%) |
45% |
42% (상반기) |
○ IPCC 관련 기후변화 전문가 발굴 추천 - 총 42명(WG I 9명, WG II 15명, WG III 18명) |
기후변화과학 국민 인지도(%) |
51% |
- |
○ 기후변화과학 대국민 인지도는 대변인실의 연말 여론조사 결과 반영 예정 |
- 119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범부처 녹색성장 정책의 효율적 추진을 위해 지방청으로 업무 확대를 통한 조직적 대응 필요 - 지방 녹색성장 활성화 및 상세기후전망서비스 수요 증가로 인한 기능 확대 및 역할 강화 필요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물순환시스템이 변하면서 가뭄, 홍수가 빈발함에 따라 국가차원의 수문관련 대책 마련 필요 |
○ 범부처 녹색성장 정책의 성공적 이행 및 지역 기후변화 활성화를 위한 전담부서 신설 추진 - 「녹색성장추진관」토론 및 활성화(2.11)를 통해 기후변화에 대해 효율적‧실질적 대응 방안 모색 ※ 기후과학국 내 ‘한반도기상기후팀’ 신설(4.13) - 상세기후전망서비스 제공을 위해 장기예보 확대 및 계절기상예보 지방청 확대 시행(4.30) ※ 관련 내용: ‘기후업무규정’ 개정 예정(6월말) ○ 수문기상 및 수문기후업무의 효율적‧체계적 대응을 위한 ‘수문기후전담반’ 설치‧운영(4.30) - 기후과학국 내 ‘수문기후전담반’ 4인 구성‧운영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 시행령」부처 검토 및 의견 제출 ○ 제32차 IPCC 총회 개최를 위한 관계부처와의 추진기획단 구성‧운영 - 녹색성장 홍보 등 성공적 개최를 위해 관계부처 참여 ○ UN기후변화 제2차 협상 회의 대응 및 국제동향 파악 ○ 기후변화 문제가 전지구적 차원의 중대 관심사로 부상함에 따라 적극적인 국가 기후변화 대응 정책 모색 및 활동 전개 |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 시행령」에 기후변화과학분야 반영(4.4) - 기후변화감시‧예측‧제공‧활용능력 제고에 관한 사항 반영 ○ 제32차 IPCC 총회의 성공적 개최를 위한 범부처 추진기획단 실무자 회의 개최(3.23) - 제32차 IPCC 총회 국내유치에 따른 기후변화 관련 부처(12개 부처)의 협력방안 도출 및 홍보 극대화를 위한 방안 모색 ○ UN기후변화 제2차 협상 회의 참석 및 소관분야 대응 - 환경부, 지경부, 기상청 등 총 38명의 정부대표단에 포함되어 '연구 및 체계적 관측‘의 주관부처로서 회의 참석 및 대응(5.30~6.11, 독일 본) ○ 기후업무에 대한 정책 추진 내실화를 도모하고 기후변화 대응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 한국기후변화협의체(KPCC)(3.23) 및 기후자문협의회 개최 (5.28)를 통한 적극적 대응 정책 발굴 모색 |
- 120 -
Ⅰ- 2 주요정책② : 기후변화 국가대응 연구개발 강화 |
□ 목 적
○ 기후변화 대응 전략 수립의 근간인 기후변화 과학정보 생산‧제공‧활용을 위한 기반기술개발 및 정보 활용도 제고
○ 국가 기후변화 적응‧완화‧국제협상 등 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후변화 과학정보 산출 및 활용 기반을 통해 녹색성장 정책의 성공적 이행에 기여
□ 주요내용 및 성과
○ 온실가스 원격 관리시스템 개발
— 기후변화감시를 위한 온실가스 관측은 전문적 측정기술과 함께 원격지 관측이 필수적이나, 전문 고급인력의 수급과 운영에 어려움이 있음. 2009년 기후 R&D 연구 성과로 온실가스 원격 관리시스템을 개발함으로써 온실가스 관측 운영 폭을 대폭 향상함
— 개발된 시스템은 울릉도 기상대에 설치, 안면도 기후변화감시센터에서 원격관리를 통해 자료품질을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있음
○ 남극(세종기지) 온실가스 관측시스템 설치 및 기상청 자료전송 체계 완료
— 우리나라 온실가스 관측 자료의 통합 허브 역할 수행을 위한 기반 구축 : 안면도, 제주 고산, 울릉도, 남극의 온실가스 자료 DB 구축
○ 웹 기반 기후변화 시나리오 정보 제공시스템 구축 및 서비스 실시(4.1)
— 기후변화 과학정보에 대한 활용도 확대와 서비스 만족도 제고
- 121 -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계 획 |
추 진 실 적 |
비고 |
1월 |
○ 2009년 기후변화 R&D 추진중간 점검 |
○ 2009년 기후변화 R&D 지정과제 중간발표회 개최(1.22) - (목적) ‘09년 예상 연구성과에 대한 사전점검을 통하여, ’10년도 기후 R&D 정책 및 홍보계획과 ‘11년도 예산확보 전략수립의 자료로 활용 - (내용) 일시/장소/참석자 : 2010.1.22 14:00~18:30/4층 국제회의실/청내외 48명 - (근거자료) 기후정책과- 278호(2010.1.27) |
정상 |
○ 2010년 기후변화 미래포럼 추진 세부계획 수립 |
○ 2010년 “기후변화와 미래“ 포럼 추진계획 수립(1.5) - (목적) 기후변화에 대한 이해 확산과 기상청 기후변화 업무 주도적 역할(Leadership) 회복 - (내용) 청내 명칭공모를 통한 확정, 2010년 주제 확정(기후변화와 지역산업), ‘10년도 지역별 행사 주제 및 일정 확정 등 - (근거자료) 기후정책과- 278호(2010.1.27) |
정상 |
|
2월 |
○ 국가표준 기후변화 시나리오 인준기준 및 인준절차 확립 |
○ 국가표준 기후변화 시나리오 인준 권고기준 및 절차 확립(2.26) - (목적)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활용도 증대 - (내용) 국가표준 시나리오에 대한 배출시나리오, 공간영역, 시공간분해능, 적분기간, 산출변수 등에 대한 기준 확정 - (근거자료) 기후정책과- 575호(2010.2.26) |
정상 |
3월 |
○ 2010년 기후변화 R&D 사업 착수보고회 |
○ 2010년 제1차 선정 기후 R&D 핵심추진 9개 과제(2,769백만원)에 대한 과제담당부서지정(3.18) 후 각 과제별 착수결과 보고(3.31) - (내용) 과제담당부서의 핵심추진과제 예상 연구성과 목표 정리 보고 - (근거자료) 기후정책과- 844호(2010.3.18), 기후정책과- 991호(2010.3.31) |
정상 |
4월 |
○ 2009년 기후변화 R&D 사업 최종 평가 |
○ 2009년 추진 기후 R&D 사업에 대한 과제담당부서의 연구성과 정리 보고(4.23) - (내용) 남극 온실가스 관측시스템 구축 및 기상청 자료 전송체계 확립, 온실가스 관측 원격관리시스템 개발 및 구축, 기후변화 적응(농림분야)분야 지원을 위한 웹 기반 서비스 시스템 구축 및 서비스 실시(4.1) 등 - (근거자료) 기후정책과- 1300호(2010.4.23) |
정상 |
- 122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연구과제 실용화율 |
67% |
44% (상반기) |
○ (목표치) 신규지표로 ‘13년 목표치(9건)에 대한 당해연도 목표 달성율(%) : ’10년 목표 6건 ○ (실적) 2009년 R&D 성과로 4건의 주요 실용화 성과 도출(2010.6월 기준) ※ ‘10년도 하반기 사업을 통하여 최종목표 달성 예정 - 온실가스 관측 원격관리시스템 개발 및 구축(울릉도 설치) - 남극 온실가스 관측시스템 구축 및 기상청 자료 전송체계 확립 - 웹 기반 기후변화 예측정보 서비스 시스템 구축 및 서비스 실시 - 지구시스템 모델개발에서 해양- 해빙모듈 개발 완료 |
기후변화 시나리오 활용지수 |
67% |
205% |
○ (목표치) ‘06년 활용건수(4건) 기준으로 매년 50% 향상. 즉 ‘13년 목표치(18건)에 대한 당해연도 목표 달성율(%) : ’10년 목표 12건 ○ (실적) 205%(‘10년 6월 현재 제공 실적 39건) 2009년까지 오프라인으로 제공되는 시나리오 정보가 2009년 R&D 연구 성과로 웹기반으로 서비스를 실시하면서 시나리오 활용사례가 대폭 증가됨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기후 R&D의 연구기획 및 집행 시 타부처와의 중복성 문제 제기 - 2011년 예산 확보(155억원 추진)를 위한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예산 설명 시 교과부의 기초과학 연구와의 중복성 문제 제기 |
○ 기상청 R&D 정책부서와의 지속적 의견교환을 통하여, 기후 R&D의 목표와 국립기상연구소, 교과부와의 역할구분을 명확히 함 - 교과부 : 기초연구 - 기후 R&D : 목적기초 원천연구 - 국립기상연구소 : 현업화 실용화 연구 ○ 이를 근거로, ‘10년도 기후 R&D 연구사업 평가지표에 현업화, 실용화 항목을 평가 항목으로 포함(6.11, 기후 R&D KICK OFF 회의) ※ 기상지진기술개발 사업과 평가항목의 차별화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환경부 기후변화 적응 계획 수립 시 기후변화 과학분야에 대한 협력 - 기후변화 적응 계획상에서 기후변화 감시, 예측 등의 과학부분에 대한 부처간 역할 조율 |
○ 환경부 기후변화 적응 계획 수립 시 기상청 협력 (10.5∼) - 기후변화 감시/예측분야, 건강분야에서 폭염분야, 재난재해 분야에서 기상재해 분야 등에 대한 기상청 추진 사업 반영 |
- 123 -
Ⅰ- 2 일반재정① : 기후변화감시 |
□ 목 적
○ 한반도 기후변화감시망 보강 등으로 기후변화감시 강화 및 관측 분석 요소의 확대
○ WMO 지구대기감시 국제 프로그램에 적극 참여 등 국제협력을 통한 전지구 환경변화에 공동 대응
○ 대기의 화학적 조성 및 물리적 특성에 대한 관측과 과학적 정보제공 및 대기의 장기간 변화에 대한 징후를 조기에 파악하여 미래의 지구환경을 예측
- 기후변화 감시 인프라 강화 및 지상관측, 고층타워, 항공기, 위성, 선박 등을 이용한 3차원 입체관측 체계 구축
- 기후변화감시 요소의 확대 및 무인 및 원격감시 기술의 지속적인 개발을 통한 기술선진화
○ 범정부 차원의 기후변화 적응 저감 정책지원을 위한 기후변화과학정보(감시, 예측) 생산 제공(저탄소 녹색성장 지원)
□ 주요내용 및 성과
○ 기후변화 감시 기술의 선진화 도모
— 세계표준센터 공동 유치 및 온실가스 측정기술 교류 등을 위한 한국표준과학연구원과 MoU 체결(5.11)
— WMO 온실가스측정 세계표준센터 유치를 위한 학술용역 계약체결/한국표준과학연구원
○ 한반도 기후변화감시 관측망 보강
— 한반도 지구대기감시 측정을 위한 관측장비 가스크로마토그래프 등 5종 장비 도입 중
— 기후변화감시 관측망(위탁 및 보조관측소) 지도점검을 통한 고품질의 지구대기감시자료 생산
⋇ 기본관측소(기후변화감시센터, 포항기상대), 보조관측소(강원(청), 울릉도(기), 목포(기), 울진(기), 고산(기)),
위탁관측망(연세대(오존, 플럭스), 광주과기원(에어러솔), 서울대(온실가스))
○ 기후변화감시 분야의 대국민 이해확산 및 홍보 강화
— 기후변화정보센터(www.climate.go.kr) 콘텐츠 업데이트
— 2009년 기후변화관측 결과 보고서 발간, 주요결과 관보 공고 등
— “기후변화 그것이 알고 싶다” 어린이용 홍보 책자 발간
○ 지구대기감시 관련 유관기관 등 협력 강화
— 한반도 기후변화감시 협력강화를 위한 학연관 합동 워크숍 개최(5.10), 지구대기감시 관계관 회의 개최(5.11)
- 124 -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계 획 |
추 진 실 적 |
비고 |
3월 |
○ WMO 온실가스 측정 세계표준센터 유치를 위한 계획 수립 |
○ WMO 온실가스측정 세계표준센터 유치를 위한 성공적인 연구용역사업 수행으로 2013년 불화합물 계통의 세계표준센터 유치하고자 계획 수립 ※ 관련 근거 기후정책과- 967(2010.03.30) ○ 세계표준센터 유치를 위한 한국표준과학연구원과 업무협약(5.18) ※ 관련 근거 기후정책과- 1638(2010.05.19) |
정상 |
○ 지구대기감시장비 도입 계획 수립 |
○ 국제 기후변화협약 대응에 필요한 고품질의 기후변화감시 자료의 지속적 생산 및 고품질 자료생산에 필요한 기후변화감시 장비도입의 체계적 관리를 위하여 도입 계획 수립 ※ 관련 근거 기후정책과- 77(2010.01.12) |
정상 |
|
4월 |
○ 지구대기감시 관측망 지도 점검 기본 계획 수립 |
○ 기후변화감시망 관측 장비의 효율적 관리 및 운영자의 측정‧분석능력향상을 통한 고품질의 기후변화감시자료 생산을 위해 2010년 기후변화감시망(위탁관측소) 지도점검 계획 수립 ※ 관련 근거 기후정책과- 664(2010.02.08) ○ 지도점검 실시 - 제1차 기후변화감시 관측망 지도점검 실시[기후변화감시센터- 522(2010.03.10)] - 제2차 기후변화감시 관측망 지도점검 실시[기후변화감시센터- 871(2010.04.21)] |
정상 |
○ 한반도 기후변화 협력 강화를 위한 전문가 회의 계획 수립 |
○ 학연관 기후변화감시 분야 공동 협력방안 검토 및 기후변화감시(WMO 지구대기감시 프로그램)분야 발전 방안 모색을 위한 워크숍 개최 계획 수립 ※ 관련 근거 기후정책과- 1353(2010.04.27) ○ 워크숍 개최 결과 보고[기후정책과- 1631(2010.05.19)] |
정상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기후변화 분석자료 활용률(%) |
70 |
- |
○ 2009년 지구대기감시 보고서 발간 ○ 2009년 지구대기감시결과 관계관 회의 및 기후변화 전문가 워크숍 개최 ○ 2009년 지구대기감시결과 관보 게재 ○ 기후변화감시 언론 홍보 등 ※ GAW(지구대기감시) 자료센터 등록 분석 요소수가 산출되는 8월 이후 가능 |
기후변화 감시일일 자료생산 비용(원) |
14,000 |
- |
○ 기후변화감시 물질의 관측을 위한 장비 도입 ○ 지구대기감시 노후장비 교체로 인한 기후변화물질 결측 최소화 ※ 연말 실적 산출 |
- 125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수요자 중심의 가치 있는 정보생산을 위한 기후변화 감시 기술의 선진화 필요 - 온실 가스 등 감시요소를 활용한 기후변화 원인물질 통합 분석 시스템 구축 - 국내 기후변화감시 관련 분야별 인력풀 조성을 위한 전문교육 실시 ○ “한반도 온실가스 농도 증가율 전지구적 평균보다 높아“ 보도자료 배포(3.13) ○ 한반도에서 유출되는 온실가스 등 post- 2012 대비를 위한 체계적 관측의 필요성 대두 |
○ 전문가 및 일반인을 대상으로 전문교육 실시를 통한 관측 및 분석기술 전수 - 기본 및 보조관측소 운영요원에 대한 지구대기감시물질 측정 교육 실시 (5.24- 5.26) - 자연과학전공(제주대) 교수 및 대학생을 대상으로 기후변화교육과정 운영(5.20) ○ 언론을 통하여 한반도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국민들에게 인식 ○ 울릉도 기후변화감시 관측소 설립을 위하여 ‘11년 예산작업 착수(문제사업으로 신규 신청 중)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 불화합물계 세계표준센터 유치(2013년) 및 온실가스 측정기술 교류 - 온실가스 측정기술(수불화탄소) 개발(8월) |
○ 기상청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업무협약(MoU) 체결(5.18) ○ 기상청 직원(지구대기감시업무)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견학 실시(5.11) ○ 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서 개발한 온실가스 원격관리시스템 시험운영 ○ 온실가스 측정 세계표준센터 유치를 위한 유관기관 방문(기후정책과- 866(2010.03.18) |
○ 극지연구소 - 극지기후에 대한 공동 관측 및 관측기술 공유 - 극지연구소 기상청 위탁관측소 지정을 통한 극지 기후변화감시 자료 공유 |
○ 극지 기후연구 워크숍 참가 하여 극지 기후변화 연구 강화 방안 도출 및 쇄빙연구선 탑재 라이다 활용 방안 모색(6.9 / 극지연구소) ○ 극지연구소의 북극해 탐사선 아라온호를 이용하여 북극항로의 온실가스 샘플링 실시 (7.1- 7.13) ○ 극지연구소(남극) WMO(세계기상기구) GAW(지구대기감시) 관측소 등록 추진(2010.12) |
- 126 -
Ⅳ- 1 주요정책②: 지구관측그룹(GEO) 활동 강화 |
□ 목 적
○ 범 세계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전지구관측시스템(GEOSS) 구축사업의 적극적 참여를 통한 한국의 역할과 기여도 정립
○ 국내외 지구관측그룹(GEO) 활동 활성화와 홍보 강화
□ 주요내용 및 성과
○ 국내 GEO 관계부처와의 유기적 연계 및 협력 강화
— GEO 주관부처 변경 관련 기상청, 환경부, 교과부 3자간 입장 조율
※ 기상청 주관으로 북경 장관급 회의 준비 및 실제적 GEO 업무를 추진하고 현행 체제는 명목상 유지하되 향후 직제 개정 시 이의 명문화 추진
— 북경 장관급 회의 대비 우리나라 실질적 참여방안 및 국내 지구관측자료의 분야별 연계‧통합과 활용방안 모색
※ 청내 GEO 워크숍(4.14) 및 범부처 워크숍(6.17)을 통해 자료 활용 방안과 부처별 역할 분담방안 협의
○ GEO 및 GEOSS 국제협력 강화
— 제18차 GEO 집행위원회(3월) 참가 및 활동, GEO 분담금 공여(5월)를 통한 GEO 의사결정과정에서의 한국의 역할 및 위상강화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계 획 |
추 진 실 적 |
비고 |
1월 |
○ GEO 한국사무국 운영계획 수립 |
○ GEO 한국사무국 운영계획 수립(1.19) |
정상 |
3월 |
○ 국내 GEOSS 추진체계 재정비 |
○ 국내 GEOSS 추진체계 정비결과 보고(3.31) |
정상 |
6월 |
○ GEO 사업계획 우리나라 참여과제 발굴 |
○ GEO 사업계획(2009~2011) 우리나라 참여과제 발굴 협조(3.10) ○ 범부처 GEO 워크숍을 통한 부처별 GEO 사업참여 방안 논의(6.17) 및 사업발굴 보고(6.30) |
정상 |
○ GEO 분담금 공여 등 기여활동 강화 |
○ 2010년도 GEO 분담금(84백만원) 납부 완료(5.10) 및 공여내역 GEO 사무국 보고 |
정상 |
- 127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지구관측그룹 국제 프로그램 참여 과제 수(누적) |
18 |
17 (상반기) |
○ 상반기 GEO 국제프로그램 우리나라 신규 참여과제 1건 발굴 보고(6.30) - 신규 1과제: 아시아지역 우주기반 관측역량 강화 시연사업 ※ 하반기에 추가로 신규 참여과제 1건 이상 발굴 추진 예정 |
GEOSS 구축 및 이행관련 정책 발굴율(%) |
66.7 |
- |
○ 하반기 국가대응전략위원회 개최 시 ‘10년 목표치 3건 중 2건 이상 안건 채택 예정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국내외 GEO 및 GEOSS 활동 활성화를 위한 관계부처 조정‧협조체계 강화 필요 |
○ GEO 업무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GEO 주관부처 변경 협의 추진 - 교과부와 협의(1차: 2.10, 2차: 4.9) 및 교과부 검토의견 접수(4.26) - 제3차 전지구관측 실무대책위원회 회의(5.11) ‧부처별 입장 차이로 기상청, 교과부, 환경부간 추가 협의 및 의견 조율 후 차기 실무대책위원회에서 재심의 추진 - 교과부와 사전 협의(5. 31.) ‧기상청 주관으로 북경 장관급 회의 준비 및 실제적 GEO 업무를 추진하고 현행 체제는 명목상 유지하기로 함 - 환경부와 협의 및 기상청, 환경부, 교과부 3자간 담당 국장급 협의(6월 하순) ‧기상청의 실질적 GEO 주관부처 역할 수행을 지원하고 향후 직제 개정 수요시 이의 명문화 추진을 합의토록 유도할 예정 |
○ 북경 장관급 회의 대비 우리나라 실질적 참여강화 필요성과 국내 지구관측자료의 분야별 연계‧통합과 활용도 제고 요구 |
○ 청내 GEO 관련부서 워크숍(4.14) 및 범부처 GEO 워크숍(6.17) 개최 - 국내 지구관측자료의 분야별 연계‧통합과 활용도 제고방안 및 부처별 GEO 사업발굴과 역할분담 방안 논의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국내 GEO 유관부처 - 교육과학기술부, 농림수산식품부, 지식경제부, 보건복지가족부, 환경부, 국토해양부, 소방방재청, 농촌진흥청, 산림청 등 |
○ 국내 GEOSS 활동 활성화를 위한 관계부처 협력 강화 - 교과부와 협의(1차: 2.10, 2차: 4.9) 및 교과부 검토의견 접수(4.26) - 제3차 전지구관측 실무대책위원회 회의(5.11), 교과부와 사전 협의(5. 31.), 환경부 협의 및 기상청, 환경부, 교과부 3자간 담당 국장급 협의(6월 하순) - 청내 GEO 관련부서 워크숍(4.14) 및 범부처 GEO 워크숍(6.17) 개최 |
- 128 -
Ⅳ- 1 R&D① : 아ㆍ태지역 기후네트워크 구축 |
□ 목 적
○ 아ㆍ태지역의 기후변동 및 이상기후로 인한 자연재해 피해 경감을 위한 기후정보서비스 제공과 핵심 분석/예측 기술 개발 보급
○ 기후변화 과학분야 선도센터 역할 수행을 위한 기후변동/변화 예측 응용 및 적응기술 개발과 정보생산 역량 강화
□ 주요내용 및 성과
○ APCC 안정적 운영과 발전을 위한 법적‧제도적 기반 구축 추진
— 기상법 개정 추진을 통해 APCC 출연금 지급 법적 근거와 센터 연구개발 확대 기반 마련 중
※ 현재 기상법 개정안은 부처 의견조회, 부패영향평가, 정책통계기반 평가를 거쳐 6월 중 입법예고 예정
— 기상청 직제 및 사무분장 규정 개정에 따른 APCC 지도‧감독 기능 강화
※ APCC 경영혁신을 통한 외연 확대, 조직발전을 주도할 소장 체제 운영(4.20)과 센터 정관 및 운영관련 제규정 재정비, 효율적 평가‧관리방안 내부 검토(4월)
○ 기후변화 대응 외부 환경변화 요구를 반영한 APCC 연구개발 역량 강화 추진
— 2010년도 R&D 협약 체결 전에 연구계발계획서에 대한 사전 충분한 검토를 통해 기상청 수요 선제적 기술 및 기후변화 정보서비스 기술개발 내용을 반영한 R&D 협약 체결(1.22) 및 성과점검(4.30)
○ APCC의 동아시아 기후변화 과학 선도센터 역할 수행을 위한 인프라 강화 추진
— 기후변화 정보서비스 기술개발 내용 R&D 협약 반영과 2011년도 관련 예산(40억) 증액 추진 중
— 센터의 새로운 비전과 미션 정립, 인력과 조직 확충 등 APCC 발전방안 수립 추진 중
※ 한국기후변화과학연구원 설립 타당성 검토 기획연구(2010. 4.23~11.22/100백만원/한국행정연구원) 과제와 연계 추진
○ APCC 연구개발 역량 확대를 통한 센터 자체 재원조달 활동 강화
— APEC 운영기금의 지속적 확대(’09년: $89,000, '10년: 100,000$), ‘11년: $120,000 신청중) 및 국내외 유관기관 수탁과제 수행을 통한 재원확보(약 225백만원) 및 다양화 추진
- 129 -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계 획 |
추 진 실 적 |
비고 |
1월 |
○ 연차실적계획 조정 및 협약 체결 |
○ 기상청과 APCC 업무협의회(1.4) - 2010년도 연구개발계획서 검토 및 조율 ○ 2010년도 APCC 연구개발사업 R&D 협약 체결(1.22) - 출연금 1차분 12억원 지급(1.25) - 주관 연구책임자 변경 등 R&D 협약 변경 및 2차 출연금 6억 지급(6월) |
정상 |
2월 |
○ 연구개발사업 관련 회의 |
○ APCC 현안사항 논의를 위한 기상청과 APCC간 실무협의회(2.8) |
정상 |
4월 |
○ 연구개발사업 1/4분기 실적보고 |
○ APCC 연구개발사업 추진실적 성과 점검계획 수립(4.26) ○ APCC 연구개발사업 1분기 실적보고(4.30) |
정상 |
5월 |
○ 국제공동연구사업 협약 체결(위탁) |
○ 일본전력중앙연구소와 일본 전력 수요예측을 위한 계절 기후예측 응용기술 공동연구과제 수탁 및 협약 체결(4.15) - 기간/금액: 2010. 4.16~2011.3.31 / 5백만엔 ○ 미국 하와이 대학과 APCC 계절예측 및 평가시스템 공동연구사업 위탁 및 협약 체결(4.30) - 기간/금액: 2010. 5.1~2011. 4.30 / 1억 5천만원 |
정상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APEC 회원국 제공 기후예측정보의 회원국 활용 만족도(%) |
80 |
- |
○ 2010년도 APEC 기후심포지엄(6.20~6.24, 부산 APCC) 행사시 회원국 대표단 대상 설문조사 결과에 따라 실적치 반영 |
응용 및 핵심기술 개발 달성도(점수) |
95 |
- |
○ 연말 연차계획 대비 실적 달성도에 대한 관련 전문가 평가 결과에 따라 실적치 반영 |
1억원당 학술지 논문 게재건수 |
0.60 |
0.10 (상반기) |
○ 예산 1억원당 Impact Factor 순위 보정값을 적용한 학술지에 SCI 논문(2건) 게재 - 0.10=2건×0.90 / 18억 ※ 국제공동연구사업 본격 수행과 연말 성과 도출로 SCI 논문 게재 목표실적 달성 예상 |
국제교류 및 협력강화 정도(점수) |
740 |
380 (상반기) |
○ 국제공동연구(일본중앙전력연구소, 하와이대학) 2건, 국제회의(2010년 APEC 기후심포지엄) 1건 등 총 3건(가중치 0.6) 및 국제학술회의 발표 5건(가중치 0.4) - 380=[(3×0.6)+(5×0.4)]×100 ※ 하반기 연구개발성과의 실적 가시화에 따른 국제학술회의 발표 건수 증가로 목표실적 달성 예상 |
- 130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국회 등 이해관계자의 APCC 출연금 지급 법적근거 부족 지적 - 2010년도 예산 국회 예결위 심의(’09. 12. 14.)시 이용섭 의원이 APCC에 대한 출연금 지급근거가 불명확함을 지적한 바 있으며 이에 대해 기상법 개정 추진을 통해 이를 조치할 것임을 답변 |
○ 기상법 개정을 통한 APCC 법적 기반 강화 추진 - APCC 출연금 지급 근거를 명확히 함으로써 국회 지적사항 해소 및 센터 연구개발 확대 기반 구축 ※ 현재 기상법 개정안은 부처 의견조회, 부패영향평가, 정책통계기반평가를 거처 6월중 입법예고 예정 |
○ 비영리 법인의 지도‧감독 기능 이관에 따른 소관 법인 관련 업무 관장 - 기상청과 그 소속기관 직제 개정(2010. 4. 20.), 기상청 사무분장 규정 개정에 따라 (재)APEC 기후센터 법인 업무 기후정책과로 이관 |
○ (재)APEC 기후센터 지도‧감독 기능 강화 - APCC 경영혁신을 통한 외연 확대 및 발전을 주도할 소장체제 운영(4.20) - APCC 정관 및 센터 운영 관련 특히, 평가, 연봉(성과금), 직원 정년 등 제 규정 재정비 및 효율적 평가‧관리방안 내부 검토(4월) |
○ 국가 기후변화 대응 정책 및 전략 수립을 위한 핵심 기초자료로 기후변화 과학정보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나 이의 효과적 대응을 위한 과학적 연구와 지원체제 부족 - 국가 정책수요자의 요구에 적극적으로 부응할 수 있는 신뢰도 높은 기후변화 과학정보 생산‧지원체계 구축 필요 |
○ 2010년도 APCC 연구개발계획서에 기존 기후예측 중심 기술개발과 서비스에서 기후변화과학정보 생산 및 서비스 개발 관련 내용을 반영한 R&D 협약 체결(1.22) - 기존 아태 기후정보서비스 고도화 이외에 기상청 수요 선제적 기술 및 기후변화 대응 국가정책 지원을 위한 기후변화정보 서비스 기술개발 내용 강화 ※ 2011년도 R&D 예산요구서에 관련 예산(40억) 증액 요구 중 ○ 녹색성장 5개년 계획의 세부과제(10- 4- 4)에 반영된 APEC 기후센터(APCC)를 동아시아 국가들과 함께 기후변화에 대처하고 녹색성장을 주도해 갈 수 있는 동아시아 기후변화과학 선도센터로 육성 추진 - 센터의 새로운 비전과 미션 정립, 인력과 조직 확충 등 APCC 발전방안 수립중 ※ 한국기후변화과학원 설립 타당성 검토 정책연구과제와 연계 |
○ 예산당국의 정부 R&D 출연금 재원부담 경감을 위해 센터 자체 재원조달 활동 요구 - 센터의 자체 재원조달분은 APEC 운영기금 이외에 국내외 유관기관 협력사업 수행을 통해 전체의 약 20%를 차지하나 향후 그 비중을 50%이상으로 확대할 예정 |
○ 센터 연구개발 역량 확대를 통한 자체 재원조달 활동 강화 - APEC 운영기금의 지속적 확대 ‧$39,000(‘06), $59,000('07), $79,000('08), $89,000('09), $100,000('10), $120,000('11, 신청중) - 일본전력중앙연구소 국제공동연구비 확보(‘10년, 5백만엔) - 기타 국내 유관기관 수탁과제 수행 ‧수자원공사 가뭄관리예보체계 2차년도 사업(20백만원, '09.12.15~'10.10.10) ‧국립농업과학원 작황예측기술 개발 1차년도 사업(90백만원, '10.1.1~12.31) ‧교과부 초중등 녹색교육사업(50백만원, ‘09.11.25~'10.8.31)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기후변화 과학분야 부서별 역할분담 수립(‘09.7) - (기후과학국) 기후변화과학 연구개발 업무 기획‧조정 및 총괄 - (국립기상연구소) 기후변화 예측기술의 실용화 연구사업의 주도적 담당과 기후변화 적응분야 지원을 위한 응용‧활용기술개발 사업 병행 - (기후과학연구관리단) 기후변화 목적기초‧원천 기술개발 사업 수행 ※ 한국기상산업진흥원을 전문기관으로 지정하고, 산하에 관리단을 둠 - (APCC) 고가치 기후변화예측 정보의 생산‧관리‧제공을 위한 연구개발사업 수행 ○ 녹색성장 국가전략 및 5개년 계획상의 “APCC를 동아시아 기후변화선도센터로 육성” 세부과제(10- 4- 4) 반영 |
○ 부서별 역할분담에 따른 센터 연구개발 활동 강화 - 기상청과 APCC 업무협의회(1.4) 개최 등을 통해 2010년도 연구개발계획서 조율 - R&D 협약 체결(1.22) 및 1차 출연금 12억원 지급 - APCC 현안사항 논의를 위한 기상청과 APCC간 실무협의회(2.8) - APCC 연구개발사업 1사분기 실적보고(4.30) - 하와이 대학과 APCC 계절예측 및 평가시스템 공동연구사업 위탁 및 협약 체결(4.30) - 주관연구책임자 변경 등 R&D 협약 변경 및 2차 출연금 6억원 지급(6월) ○ APCC의 새로운 미션 수행과 이를 위한 인력과 조직 확충 등 발전방안 수립 추진 중 - 1차 초안 작성 및 검토(6월) ※「한국기후변화과학연구원」설립 타당성 검토 기획연구과제와 연계 추진 중 |
○ 국내외 유관기관과의 과학기술네트워크 협력 강화 - (국외) APEC 회원국 16개 기후예측선도센터, WMO, GEO APN, CRIEPI 등 - (국내) 기상청, BH, 녹색성장위원회, 외교통상부, KOICA, 교육과학기술부, 기획재정부, 환경부, 국토해양부, 농림수산식품부 등 |
○ 2010년도 APEC 기후심포지엄 개최 - 기간/장소: 2010. 6.20~6.24 / 부산 APCC - 참석자: 21개 회원국 실무단 및 과학자문위원회 위원 등 100여명 ※ 금년 심포지엄은 역학 계절예측에 관한 한미 공동워크숍과 병행 개최됨 |
- 131 -
|
Ⅲ- 2 주요정책② : 수요자 중심의 장기예보 서비스 제공 |
□ 목 적
○ 상세하고 다양한 기후정보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부합하는 수요자 중심의 장기예보 서비스 구현
○ 이상기후 및 기후변화에 공동 대응할 수 있는 국제 네트워크 형성과 선도적 역할로 기후 분야의 국제적 위상 제고
○ 여러 부처에 분산된 수문‧가뭄 업무의 효율적 수행을 위한 부처 간 국가 수문업무의 유기적 협력 체계 구축
□ 주요내용 및 성과
○ 장기예보업무의 전문성 제고를 위해 계절 장기예보관제 도입
— 장기예보능력 향상과 조사‧분석‧검증 업무의 내실을 기하기 위하여 장기예보관의 하절기/동절기 교대근무 실시
○ 장기예보의 정확도 향상과 활용도 증대를 위한 기술 고도화 추진
— 지역 장기예보 및 계절기상예보의 전국적 확대 시행
— 영국 기상청과 현업용 공동 계절예측시스템 구축과 운영에 관한 협약 체결
— 통합 모델을 이용한 현업모델(GDAPS) 3개월 전망 현업운영모델 체계 개선
— WMO 표준 검증자료 생산, 세계 검증센터에 검증자료 등록과 검증보고서 발간
— 한‧중‧일 장기예보 전문가 합동회의 참가 및 기후예측전문가 회의 실시를 통해 취합된 자료의 장기예보 반영
— 장기예측자료 생산센터(GPC) 역할 수행 및 WMO 장기예보 선도센터(LC- LRFMME)로서의 WMO 회원국 대상 자료 활용기술 지원
○ 국가 수문‧기상 발전 중장기 계획 수립
— 국내 수문‧기상분야 연계 추진방향, 및 통합시스템 구축
— 국토해양부, 한국수자원공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등 유관기관과의 정책협의회, 워크숍 등을 통한 부처간 공동사업 발굴‧추진
- 132 -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계 획 |
추 진 실 적 |
비고 |
1월 |
○ 계절예보관제 시행 ○ 수자원공사와 실무협의회 구성 |
○ 장기예보관의 하절기/동절기 교대근무 실시 - 계절적 특성화된 전문 예보능력 향상 도모, 장기예보 분석‧검증서 작성 및 브리핑 실시의 내실화 제고 ○ 기상청과 한국수자원공사간 기상수문 협력을 위한 실무협의회 구성 (1.7) - 의장 2인(기후예측과장, 한국수자원공사 물관리센터장)을 포함한 12인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 |
정상 |
2월 |
○ 여름철 기후전망 발표 |
○ 봄철(3~5월) 장기예보 및 여름철 기후전망(6~8월) 발표 (2.23) - 대언론 정책브리핑 실시 및 예보자료집 발간 |
정상 |
3월 |
○ WMO 장기예보 선도센터(LC- LRFMME)와 GPC 활동 강화 ○ 국토해양부 수자원 협의회 참여 |
○ 봄철 장기예측자료 생산센터(GPC) 자료 수집‧표준화‧표출 ○ 국가 수자원 장기종합계획 마련을 위한 수자원 협의회 - 1차 : 최근 사회‧경제여건 및 기후변화 여건을 반영한 수정계획 검토(3.26) - 2차 : 수자원공급 분야 기상조절기술 등 기상청 소관사항 반영(5.6) |
정상 |
4월 |
○ 한‧중‧일 장기예보 회의 참석 |
○ 제12차 한‧중‧일 장기예보 전문가 합동회의 참가 (4.6~4.8, 중국 북경) - 동아시아지역 여름철 몬순 예측을 통한 ’10년 여름철 전망 토의 |
정상 |
5월 |
○ 지역 장기예보 및 계절기상예보 확대 시행 ○ 장기예보 검증보고서 발간 ○ WMO 장기예보 선도센터 (LC- LRFMME)와 전지구 장기예측자료 생산센터(GPC) 활동 강화 ○ 수자원공사와 실무협의회 개최 |
○ 5개 지방기상청 기후과 및 5개 특정보기상대에서 관할 지역 장기예보와 계절기상예보 생산, 발표 - 지역 기후업무 활성화 워크숍 및 실무자 교육 실시 (5.13∼14, 대전지방기상청) ○ 장기예보 검증 및 WMO 표준 검증체계에 따른 장기예측모델 자료 검증(5.28) ○ WMO 회원국 대상 장기예측, 기후예측 기술교육 및 기술이전 - 남아시아지역 기후전망포럼(SASCOF- 1) 참석 (4.13- 15), - WMO '아프리카‘ 기상재해 대응능력 배양과정’ 교육 (5.28) ○ 기상청- 한국수자원공사와 실무협의회 개최 (5.27) - 안건 : 위성자료를 이용한 수문정보 제공 및 활용기술 개발 등 기관별 5~7개 안건 |
정상 |
6월 |
○ 한‧영 공동 계절예측시스템 구축에 관한 협약 체결 ○ WMO 장기예보 선도센터(LC- LRFMME)와 GPC 활동 강화 ○ 수문기상업무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 |
○ 현업용 계절예측 정보의 개발과 제공을 위하여 영국 기상청과 한영 공동 계절예측시스템의 구축에 관한 협약(Arrangement) 체결 (6.21, 영국 기상청) ○ 여름철 장기예측자료 생산센터(GPC) 자료 수집‧표준화‧표출 ○ 기후변화 대응 수문‧기상 통합시스템 구축 및 추진방안(5개년) 마련 |
정상 |
- 133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장기예보 정확도(%) |
43.8 |
35.4 (상반기) |
○ 1개월전망의 기온예보 정확도 (6월 17일 현재, 정확도 = 적중횟수/총예보횟수×100 = 17/48×100 = 35.4) - 48번의 예보 중 17번 적중 |
WMO 장기예보 선도센터 활동지수 |
51.7 |
34.3 (상반기) |
○ 상반기 활동지수 달성도 (활동지수 = A/12 × 20 + B/5 × 40 + C/10 × 40 = 34.3) - WMO GPC 수(A) 11개, 사용 중인 예측기법 수(B) 1개, 국내외 교육지원 현황(C) 2건 |
국가 수문기상 협력 체계 구축 지수(%) |
67.0 |
45.8 (상반기) |
○ 국가수문기상 협력체계 구축지수 (구축지수 = (A/6+B/12)/2*100 = (1/6+9/12)/2*100 = 45.8%) - [A] 유관기관 협의체 구성 및 운영 1건, [B] 수문관련 회의 개최 또는 참석 9회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WMO 장기예보 선도센터 홍보 및 교육 요청 - WMO에서 선도센터 자료 활용을 위한 홍보 활동 및 교육 요청 ○ 세계기상기구(WMO) 수문분야 동향 파악 - 제13차 수문위원회(‘08) 회의 결과, 제12차 수문위원회(’04)에서 향후사업으로 선정한 ‘수문예보와 재해관리’에서 재해관리 부분을 ‘물과 기후’로 옮겨 ‘물, 기후, 위기관리’로 조정 - 제3차 세계기후회의(WCC)에서 “기후서비스의 전지구적 프레임워크(Global Framework for Climate Services, GFCS)”가 제안됨 ○ 국토해양부의 ‘하천법’ 개정(안)에 갈수예보 포함 ○ WMO 제13차 수문위원회 및 GRDC(전지구하천유출자료센터)로부터 우리나라 하천유출 자료 요청 받음 |
○ 선도센터 홍보 및 기술교육 실시 - 남아시아지역기후전망포럼(SASCOF)에 참석하여 선도센터 교육 및 홍보(2010.4.12∼16) - 개도국 대상 연수과정(KOICA)에서 기후예측기술 교육(2010.5.28) ○ WMO 수문분야 동향 및 WCC 제안사항으로부터 기상청 수문기후분야 방향 설정 - ‘물, 기후, 위기관리’ 및 ‘수문예보’분야에 초점 - 기후전망과 수문전망의 결합을 통해 GFCS 구현에 기여 ○ 하천법 개정(안) 검토의견 제출 - 갈수예보(기상법22조 기후전망에 포함) 및 가뭄(직제령상 기상청 소관) 삭제 요청 ○ 국토해양부에 WMO GRDC의 우리나라 하천유출자료 현행화 요청 |
- 134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계절 전망과 관련된 학계, 연구소 간의 협조체계 지속 - 학계, 연구소, 공군 등 국내 기후전문가로 구성된 기후예측전문가 회의 실시 - 유관기관 초청특강 및 세미나 발표 ○ 장기예보를 위한 국제적인 협조 - 한·중·일 장기예보 전문가 합동 회의 참가 ○ 한- 동아프리카 협력체계 구축 - GPC 및 선도센터 자료 제공, 기후예측 기술 교육 실시 ○ 국토해양부, 한국수자원공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등 유관기관과 업무협의 |
○ 계절 전망을 위한 기후예측전문가 회의 개최 및 장기예보 유관기관 홍보 - 기후예측과 주관의 2010년 봄철 및 여름철 기후예측전문가 회의 실시(2/17, 5/18) - 한국농어촌공사(5.28), 국립원예특작과학원(6.10), 한국가스공사(6.22) 강의 및 자료제공 ○ 한·중·일 장기예보 전문가 합동회의 참석 및 발표, 토의(4.6∼4.8) - 여름철 전망, 엘니뇨/라니냐 현황과 전망 등 발표, 논의 ○ 한- 동아프리카 MoU 체결(4.12∼17) - GPC 및 선도센터 자료 제공, 기후예측 기술 교육 실시 합의 ○ 기상청- 한국수자원공사 실무협의회 개최(5.27), 제1차 및 제2차 수자원 협의회 참석(3.26, 5.6) 기상청- 한국건설기술연구원간 협력 사업 발굴을 위한 협의회 개최(6.16) |
- 135 -
|
Ⅳ- 2 주요정책① : 남북기상통합 기반 구축 |
□ 목 적
○ 북한지역 기상재해 피해의 반복과 한반도 기상‧기후변화에 대한 조기 공동대응 필요
— 예보수준이 낮고 방재시스템이 미비한 북한의 기상업무수행 기반을 강화함으로써 재해대응능력을 높이고 남한에 있어서도 예보정확도 향상을 도모함으로서 남북의 상생공영발전과 남북기상통합에 대비
— 기후변화대응 등 협력을 통하여 환경위기 극복을 위한 공동 노력
○ 남북기상협력 추진체제‧전략 강화 등을 통한 남북기상협력 활성화와 남북기상협력사업의 지속적인 추진을 통한 남북기상격차 해소
— 예측 불가한 남북관계 대비 남북기상협력 추진체제 정비와 추진전략 상시 현재화
— 기상재해저감 공동협력기반 조성과 남북기상협력 사업의 실질적 성과 달성, 북한예보기술 축적과 기상지원 강화
□ 주요내용 및 성과
○ 남북기상협력 추진체제와 전략 강화
— 자문위원회(외부 전문가)와 기획단(청내 전문가) 상시 가동(연2회 이상, 현안발생시 수시)
— 정책연구 추진(과제명/연구기관/연구기간: 남북한 기상의 균등화비용 산출에 관한 연구/과학기술정책연구원/4.21~10.18)
— 기획단원 역량강화 전문교육 실시, 워크숍 개최
○ 북한 예보기술 축적 및 기상지원 강화
— 북한지역 27개 지점 동네예보와 주요 5대도시 주간예보 생산, 북한예보업무매뉴얼 작성, 북한의 기후 특징 분석
— 북한예보서비스 콘텐츠 확장, 위험기상 모니터링, 사후분석을 통한 예보기술 향상, 남북공유하천(임진강) 수해방지사업 참여
- 136 -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계 획 |
추 진 실 적 |
비고 |
2월 |
○ 남북기상협력 추진계획 수립 |
○ 2010년 남북기상협력 추진계획 수립 - (내용) 2010년도 남북기상협력 업무의 성공적 수행과 성과목표 달성을 위하여 남북기상협력 추진계획 수립 - (근거자료) 예보정책과- 705호(2010.2.26) |
정상 |
2월 |
○ 남북협력기획단 및 자문위 운영계획 수립 |
○ 2010년도 남북기상협력 기획단 및 자문위원회 운영계획 수립 시행 - (내용) 2010년도 남북기상협력 추진을 위한 과제의 발굴, 활성화 대책과 전략의 자문, 검토 등을 위한 청내 기획단 및 외부 자문위원회 운영계획 수립 - (근거자료) 예보정책과- 704호(2010.2.24) ○ 2010년도 남북기상협력 기획단 및 자문위원회 운영계획 재수립 - (내용) 4월 북한기상전담팀(예보국)이 한반도기상기후팀(기후과학국)으로 확대‧개편됨에 따른 운영계획 재수립 - (근거자료) 한반도기상기후팀- 212호(2010.5.28) |
정상 |
3월 |
○ 남북기상통합 비용산출 정책연구 시행 |
○ 2010년 남북기상협력 정책연구용역 시행 - (목적) 남북의 기상업무 환경 및 기술력의 격차해소에 소용되는 비용규모의 산정을 통한 통일대비 기상청 발전방향을 모색하고 남북기상협력에 대한 국민공감대 형성 - (내용) 과제명/연구자 : 남북한 기상의 균등화비용 산출에 관한 연구/과학기술정책연구원 - (근거자료) 예보정책과- 612호(2010.2.18), 711호(2010.2.26), 751호(2010.3.2), 759호(2010.3.3), 1281호(2010.4.7), 1355호(2010.4.13), 1469호(2010.4.21), 서울지방조달청 정보기술용역과- 10222(2010.4.15), 운영지원과- 4924(2010.5.10) |
정상 |
5월 |
○ 상반기 남북기상협력 기획단 및 자문위 개최 |
○ 2010년도 상반기 남북기상협력 기획단 및 자문위원회의 개최 - (목적) 남북기상협력 실적 및 계획발표, 자문위원회 및 기획단 운영방침 소개 및 종합토론 - (내용) 일시/장소/참석자 : 2010.5.31 16시/5층 회의실/20인(외부 자문위원 포함) - (근거자료) 한반도기상기후팀- 210호, 211호(2010.5.28), 한반도기상기후팀- 245호(2010.6.3) |
정상 |
6월 |
○ 남북문제 전문가 초청세미나 개최 |
○ 남북문제 전문가 초청세미나 개최 - (목적) 북한 과학기술체계의 형성, 남북과학기술협력창구 구성과 현황에 관한 초청세미나 - (내용) 일시/장소 : 2010.6.25 10시/4층 소의실 - (근거자료) 한반도기상기후팀- 346호(2010.6.17) |
정상 |
- 137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남북기상협력 활성화율 |
100% |
100% |
○ 2010년 남북기상협력 추진계획 수립 ○ 2010년도 남북기상협력 기획단 및 자문위원회 운영계획 수립 시행 ○ 2010년도 남북기상협력 기획단 및 자문위원회 운영계획 재수립 ○ 2010년도 상반기 남북기상협력 기획단 및 자문위원회의 개최 ○ 남북문제 전문가 초청세미나 개최 ○ 관계부처 협의건수(국정원, 통일부, 국토해양부, 한국수자원공사)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2008년 이후 계속된 남북관계 경색상황이 크게 개선되지 않음에 따라 외부상황 등을 극복하기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여 왔음 - 추진체제 정비, 전문역량 강화, 전략의 보완 등을 통해 향후 남북기상협력의 활성화를 위한 토대를 강화 ○ 황강댐 무단방류사건(2009. 9.6)을 계기로 북한 업무 전담부서 필요성 제기 - 북한기상전담팀 구성(북한 중단기 예보 확대), 서울‧경기북부 재해 경감 노력 ○ 천안암 피격 사건(2010.3.26) 발생, 직제개편에 따른 전담조직 소속 변경에 따라 기 수립된 남북기상협력 계획 변경 |
○ 2010년부터 남북관계에 관한 정부정책기조에 적극 동참 - 자문위원회 의견 수렴, 정책연구 등을 통한 향후 통일 대비 북한의 예보정확도 향상, 기후변화 지원 방안 구체화 - 임진강 수해방지사업, 그린한반도 추진전략(녹색성장 위원회)에 적극 참여하여 실질적 협력성과 창출 도모 ○ 2010년도 남북기상협력 계획 재수립 - 4월 북한기상전담팀(예보국)이 한반도기상기후팀(기후과학국)으로 확대‧개편됨에 따른 운영계획 재수립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국정원, 통일부, 국토해양부등과 북한 기상‧기후정보 제공 서비스체제 구축 ○ 남북기상협력 자문위원회와 민간분야 전문그룹 참여, 기획단 전문교육, 과제 발굴 및 정책자문 등 협조체제 구축 (자문위 개최, 전문 강연 등) |
○ 임진강 수해방지 사업 등 남북관련 관계부처 회의 참석(통일부 남북경협과, 1.28 / 통일부 남북회담본부, 4.12 / 국토해양부 4.19), 북한지역 기온‧강수량‧이상기상 분석 자료 제공(3월~) ○ 분야별 북한 전문가(통일연구원, 고려대 국가안보전략연구소, 농촌경제연구원 등)를 자문위원으로 위촉하여 남북기상협력에 대한 자문 |
- 138 -
|
자체주요업무 : 한반도 기후변화감시 능력 강화 |
□ 목 적
○ 고품질 기후변화감시 관측자료 생산으로 국가 기후변화 대응 정책 지원
○ 동아시아 기후변화감시 선도적 역할 수행을 위한 감시기술 역량 고도화
□ 주요내용 및 성과
○ 「2009 지구대기보고서」발간(6개 분야 36요소 수록) 및 보도자료 발표(6월)
— 기후변화 원인물질 대기조성변화에 대한 종합정보 제공으로 범정부 기후변화 대응능력 향상
○ 온실가스 중앙 분석실 운영(이산화탄소 관측에 필요한 3차 표준가스 자체 검정기술 확보 및 예산절감)
— 상반기 이산화탄소 3차 표준가스 검교정‧공급(안면도, 고산)(3월)
○ 기후변화감시 관측자료 품질 향상을 위한 기후변화감시망 지도점검 및 교육실시(상반기 1회)
— 기본관측소 1소, 보조관측소 5소, 위탁관측소 4소에 대한 담당자 장비운영교육 및 점검
○ 3차원 입체 관측망 확보를 위한 기후변화감시 특별관측 실시
— 서해상(2회 : 3.13∼15, 6.17∼18/기상 2000호), 남해상(6.24∼25/국립수산과학원과 공동관측), 온실가스 캐니스터 샘플링(흑산도 : 4.12∼14)
— (결과) 서해상 : 북동풍 지속시 및 고위도로 갈수록 온실가스 고농도, 에어러솔 : 내륙근처 및 파고가 높을 때 질량농도 높음
흑산도 : 이산화탄소, 메탄은 동 시간 평균값(안면도)보다 낮으며, 아산화질소는 높음, 서해(6.17~18), 남해(6.24~25)분석결과(7월)
○ 온실가스 분석용 캐니스터 전처리과정 시스템 개선 및 실시제안 등록(4월)
— 전처리 소요시간 약 70% 단축 : 30시간/1통(연간160통) (질소세척 약 6시간, 진공압축 약 24시간) → 6통/30h 처리
○ 녹색성장 지원을 위한 리플릿 홍보 및 워크숍 · 교육 실시
— 분기별 기후변화감시 뉴스레터 발간(웹진 창간), 홍보용 팸플릿 제작(국,영문)
— 기후변화감시 지방청 순회 세미나 실시(6월) : 항공청(5.28), 광주청(6.10∼11), 부산청(6,17∼18), 강원청(6.24∼25)
— 기후변화감시 협력강화를 위한 학 · 연 · 관 워크숍 개최(5.10/대전/52명 참석)
— 현장 맞춤형 「기후변화감시 기초과정」교육 운영(5.24∼26/보조관측소 담당자 등 18명)
○ 『제주 고산 기후변화감시소 운영 최적화 방안』 관련 비교관측(2010)
— 슈퍼사이트(고산)와 기후변화감시소 온실가스 · 강수화학 비교 관측으로 고품질 기후변화감시 자료생산 도모
— (결과) 1/4분기 : CO2(- 0.4ppm), CH4(0.3ppb), N2O(- 1.2ppb)로 CH4가 고산기상대보다 높게 나타남
- 139 -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계 획 |
추 진 실 적 |
비고 |
2월 |
○ 온실가스 중앙분석실 운영계획 수립 |
○ 2010년 중앙검정실 3차 표준가스 운영계획 수립(2. 1) - 이산화탄소 관측에 필요한 3차 표준가스 검정기술 확보로 관측기술 자립도 향상 - 상반기 CO2 3차 표준가스 검교정 및 공급(안면도, 고산)(3월) |
정상 |
○ 기후변화감시관측망 지도점검 계획 수립 |
○ 관측자료 품질 향상 위한 기후변화감시망 지도점검 계획 수립(2.3) 및 완료(6.11) - 기본관측소 1소, 보조관측소 5소, 위탁관측소 4소에 대한 장비운영 지도점검 완료 |
정상 |
|
3월 |
○ 온실가스 선박특별관측 계획수립 |
○ 서해해상 기후변화감시를 위한 선박특별관측 계획 수립(3.5) 및 보도자료발표(3.11) - 서쪽에서 유입되는 온실가스,에어러솔 농도관측(서해11개 지점)(3.13∼15) - (결과) 온실가스 : NE풍 지속시와 고위도로 갈수록 고농도관측, 에어러솔: 내륙근처와 파고가 높을 때 질량농도 높음 - 서해상(6.17~18), 남해상(6.24~25)의 관측된 분석결과(7월 발표) |
정상 |
○ 온실가스 샘플링 네트워크 확대 계획 수립 |
○ 2010년 캐니스터 온실가스 샘플링 네트워크 확대 계획 수립(3.30) — 온실가스 캐니스터 샘플링관측(흑산도, 백령도) ‧흑산도:「세계표준센터유치」용역사업에 포함(6월~11월); 울릉도(CRDS:4.30설치, 원격자동관측)에서 대체 ‧백령도:「온실가스원격관측시스템 개발」R&D사업(1차: ‘09.4.22~’10.4.21(울릉도), 2차: ‘10.4.22~’11.4.21) * 2007(제주도‧울릉도), 2008(울릉도), 2009(백령도‧대관령) 에 캐니스터 샘플링 및 관측수행 |
정상 |
|
4월 |
○ 캐니스터 전처리시스템 개선 및 실시제안 등록 |
○ 온실가스 분석용 캐니스터 전처리과정 시스템 개선 및 실시제안 등록 - 1회 1통→1회 6통 처리(전처리 소요시간 약 70%단축), 공무원 실시제안 등록(4.27) |
정상 |
○ WMO/WDCPC 강수화학 국제비교실험 참여 ※ WDCPC : World Data Center For Precipitation Chemistry |
○ 강수화학 분석능력 국제적 신뢰도 확보를 위한 국제비교 실험 참여 - 주관 : WMO/WDCPC, 샘플시료 도착(5.27), 분석결과 통보(6.24) |
외부요인지연 |
|
○ 배경지역 캐니스터 샘플링 조사(흑산도) |
○ 2010년 캐니스터 온실가스 샘플링 확대 실시(4.12~13) - 온실가스감시 최적 관측망 구축을 위한 주요지역 플라스크 관측 및 분석 - 캐니스터 공기 샘플링 : 4.12(17:00), 4.13(08:00, 12:00, 17:00) - (결과) 흑산도(기) : CO2, CH4는 동 시간 평균값(안면도)보다 낮고, N2O는 높음 |
정상 |
|
5월 |
○ 기후변화감시 전문가 워크숍 및 관계관 회의 개최 |
○ 한반도 기후변화감시 협력강화를 위한 학·연·관 워크숍 개최(5.10, 대전) - ‘09년 지구대기감시 관측결과 최종검토 및 기후변화감시 전문가 상호 최신 정보 교류 - 외부 전문가 및 GAW업무담당자 52명 참석(5.11은 기후정책과 주관) |
정상 |
○ 기후변화감시 기초과정 교육 프로그램 운영 |
○ 「기후변화감시 기초과정」교육 운영(5.24~26) - 한반도 기후변화감시 및 국제 동향, 분야별 관측실습, 자료관리 및 활용 등 - GAW 보조관측소 등 기후변화감시업무 담당자 18명 참석 |
정상 |
|
6월 |
○ 2009 지구대기감시보고서 발간 |
○ 「2009 지구대기감시보고서」 발간(6.30) - 수록내용 : ‘09년 기후변화감시 관측자료 분석(온실가스 등 6개 분야 36요소(2요소 확대) - 관보 및 인터넷 등재, 보도자료 1건 발표 |
정상 |
○ 지연사유 : 강수화학 국제비교실험 주최기관인 WMO/WDCPC에서 샘플시료 지연 송부(당초 3월 중순→5월 27일), 6월 24일에 주최기관으로 통보(8월말 결과 발표)
- 140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 기후변화감시 분석자료 생산율(%) |
70 |
36 (상반기) |
○ 「2009 지구대기감시보고서」발간(6.30) - 수록내용 : 기후변화 원인물질인 온실가스 등 6개 분야 36요소 관측자료 분석(2요소 추가) ○ 기후변화감시자료 품질향상을 위한「기후변화감시 기초과정」교육 운영 - 일정/장소/대상 : 5.24∼26/기후변화감시센터/보조관측소 등 기후변화감시업무담당자 18명 - 한반도 기후변화감시 및 국제 동향, 분야별 관측실습, 자료관리 및 활용 등 |
○ 기후변화감시분석향상도(%) (강수화확) |
84 |
47.7 (상반기) |
o 강수화학 관련 전문가 초청 세미나 개최(3.26) - 참석자 : 원광대학교 강공언 교수 등 14명, 내용 : 강수화학 정도관리 및 분석기술 공유 o 강수화학 분석능력 국제적 신뢰도 확보를 위한 국제비교 실험 참여 - 주관 : WMO/WDCPC, 샘플시료 도착(5.27), 분석결과 통보(6.24) ※ 현재 강수화학 국제비교실험 진행 중(8월 말 완료 예정) o 강수화학 관측자료 품질향상을 위한 보조관측소 특별 지도점검 및 담당자 교육 - 고산기상대(3.5) 울진기상대(4.12), 울릉도기상대(6.10) |
○ 기후변화감시자료 품질향상도(%) (온실가스) |
53.0 |
53.36 (상반기) |
o 중앙검정실 3차 표준가스 검정 실시(2.1) - 이산화탄소 관측에 필요한 3차 표준가스 검정기술 자체 확보 o 온실가스 분석용 캐니스터 전처리과정 개선 및 실시제안 등록 - 1회 1통→1회 6통 처리(전처리 소요시간 약 70%단축), 실시제안 등록(4.27) |
○ 자외선자료 품질향상도(%) |
76.86 |
76.04 (상반기) |
o 고품질 자외선 감시자료 생산을 위한 보조관측소 지도점검 및 담당자 교육 - 목포기상대(3.4), 고산기상대와 고산기후변화감시소(3.5), 강원청(4.11), 포항기상대(4.12) o 관측 자료의 국제적 신뢰도를 향상시키고자 위한 일본기상청과 자외선 감시업무 기술교류 - 장소/일시 : 일본기상청 지구환경해양부/5.25 |
- 141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기후변화감시업무는 기상업무와는 판이함에도 2008년 3월부터 대부분 기상직이 업무를 수행하고, 또한 감시업무가 고도 · 전문화를 요함에도 잦은 인사이동으로 인해 직원의 전문성 확보가 미비한 실정임 |
○ 직원의 업무 분야별 전문성 확보를 위해 정기적으로 외부 전문가를 초청하여 세미나 개최 - 에어러솔 라이다전문가 초청 세미나(1.20.)- 공주대 김용기 교수 등 전문가 3명 - 강수화학 전문가 초청 세미나(2.18.)- 서울대 강경식 교수등 전문가 2명 - 대기화학 데이터 정도관리 세미나(3.26)- 원강보건대학 강공언 교수 - 에어러솔 복사강제력 관련 세미나(4.21.)- 서울대 감상우 박사 등 2명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기후변화감시영역 확대를 위한 유관기관 선박특별공동 관측 추진 - 극지연구소 아라온호를 활용한 북극항로 온실가스 공동관측 협의 - 국립수산과학원 탐구 3호를 활용한 남해상 온실가스 관측 협의 |
○ 북극항로 온실가스 공동관측을 위한 아라온호 장비 설치 - 일자/관측자 : 6.24(목)/극지연구소 유영준 박사(관측대행- 샘플링 방법 교육) - 온실가스 관측을 위한 흡입고, 펌프, 캐니스터 20개 아라온호 탑재 ※ 항로/일정 : 인천→알래스카/7.1∼13 ○ 온실가스 3차원 입체관측을 위한 국립수산과학원과 공동관측 실시 - 일자/항로/관측선 : 6.28∼30/부산→제주/국립수산과학원 탐구 3호 - 남해상 항로별 5개 지점을 선정하여 온실가스 캐니스터 샘플링 및 분석 |
- 142 -
기상산업정보화국
2010년도 상반기 성과점검회의
• 기상산업정책과 145
• 기상자원과157
• 정보통신기술과163
|
Ⅱ- 1- 주요정책① : 생활기상정보 서비스 다양화 |
□ 목 적
○ 기상정보 서비스 수요 증가에 따른 맞춤형 기상정보 개발과 다양한 매체를 통한 사용자 편의의 전달체계 구축
○ 개인에 맞는 다양한 생활기상정보의 확대‧제공을 통한 국민의 삶의 질 향상
□ 주요내용 및 성과
○ 저출산‧고령화 사회에 대비한 기상분야 대응기반 마련과 장애인, 노약자 등 사회적 약자에 대한 특화된 기상서비스 지원
— 사회적 약자를 위한 특화기상정보(꽃가루농도 위험지수)서비스 제공
— 보건기상지수 활용 향상 및 개선사항 발굴을 위한 유관기관 의견 수렴
○ 고객 맞춤형 상세 생활기상정보 서비스 기반 조성
— 상세지역(읍‧면‧동 단위) 생활기상정보 제공(기존171개 지점 → 3,795개 지점)
○ 교통안전을 위한 특화기상정보 전달체계 구축
— 고속도로 및 철도기상지수 시험운영
— 정보시스템 공동 활용을 위한 관련기관 협력 네트워크 구축 (교통안전공단과 MOU체결)
○ 생활기상지수 활용에 대한 국민의 정보 이해도 및 활용도 제고
— 동시동보시스템(FAX)을 통한 계절별 생활기상정보를 매일 제공, 보도자료(2회) 및 기상포커스 등재(2회)
- 145 -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계 획 |
추 진 실 적 |
비고 |
1월 |
○ 고속도로 및 철도기상지수 시험운영 ○ 동네예보 기반 상세지역 생활기상정보 제공 |
○ 내부망을 통한 고속도로 및 철도기상지수 시험운영 실시 중(1.1부터) - 교통분야 산업기상지수 운영계획 보고(1.7) ○ 동네예보 기반 상세지역 생활기상정보 제공(1.15일부터) - 기존 171개 지점 => 현재 3795개 지점(대상 : 생활기상지수 6종 및 산업기상지수 23종) |
정상 |
4월 |
○ 사회적 약자를 위한 특화기상정보 서비스 |
○ 사회적 약자를 위한 특화기상정보 서비스(꽃가루 농도 위험지수 제공(4.1일부터)) - 기상청 홈페이지(생활과 산업→보건기상지수→꽃가루농도위험지수)를 통해 서비스 중 |
정상 |
5월 |
○ 보건기상지수 활용 향상 및 개선사항 발굴을 위한 유관기관 의견 수렴 |
○ 의견수렴 실시(5.20 ~5. 26(1주일) - 대상 : 주요 유관기관 39소(행정기관 12소, 언론기관 10소, 기상관련회사 17소) |
정상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생활기상정보유용성 |
76.0 |
- |
○ 생활기상정보 서비스 만족도 조사(11월 예정) 결과에 따른 실적치임 |
생활기상정보 활용율 |
5.4 |
3.64 |
○ 홈페이지 접속자수 9.1만명(6월15일까지) × 40% = 3.64점 (목표 12.1만명) ○ 생활기상정보 전달 대상 누적건수 0 × 60% = 0점 (목표 1건) |
- 146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저출산ㆍ고령화 사회에 대비한 기상분야 대응기반 마련과 장애인, 노약자 등 사회적 약자에 대한 특화된 기상서비스 미흡 ○ 동네예보 시행에 따른 상세한 보건기상지수 서비스 필요성 대두 ○ 생활기상지수 활용에 대한 국민의 정보 이해도 및 활용도 부족 |
○ 사회적 약자에 대한 특화된 기상서비스 추진 및 방안 모색 - 꽃가루 농도 위험지수 제공(4.1부터) - 민감‧취약계측에 대한 자외선지수 영향도 분석 연구 추진(CATER 사업) - 보건기상지수 활용 향상 및 개선사항 발굴을 위한 유관기관 의견 수렴 ○ 상세지역 보건기상지수 제공 - 서울특별시 상세지역 천식가능지수 제공(3.8부터) ○ 생활기상지수 활용에 대한 국민의 정보 이해도 및 활용도 제고를 위한 홍보 - 동시동보시스템(FAX)을 통해 계절별 생활기상정보를 제공(3.30부터) - 보도자료(2회) 및 홈페이지 기상포커스를 통한 홍보(2회)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생활, 보건, 산업 등 생활기상정보와 관련된 기관과의 협조체계 구축 - 한국농어촌공사 : 기상정보를 활용한 농어촌 녹색성장 협력 강화 - 교통안전공단 : 교통안전과 관련된 기상정보 공동 활용방안 및 양기관 협력 - 식품의약품안전청 : 식중독 지수 공동제공 - 보건복지부(질병관리본부) : 보건기상지수 개선을 위한 기상자료 지원 |
○ 한국농어촌공사와의 실무회의 개최 및 MOU체결 - 실무회의 2회(3.29, 4. 1) - MOU 체결(5.11) ○ 교통안전공단과의 실무회의 개최 및 MOU체결 - 실무회의 3회(4.21, 5. 7, 5.17) - MOU 체결(5.31) ○ 식중독 지수 제공 관련 업무협의(1. 26) - 식중독 지수 공동제공에 따른 홍보 방안 등 ○ 보건기상지수 개선을 위한 기상정보 제공 및 업무 협의 - 상세지역 천식가능지수 개선을 위한 기상자료 지원 및 모형식 개발 참여(2.23) |
- 147 -
Ⅲ- 1- 주요정책① : 기상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기반 강화 |
□ 목 적
○ 한국기상산업진흥원(이하 “진흥원”이라 한다)이 법정기관화 됨에 따라 진흥원이 기상청을 대신하여 효율적인 업무수행을 할 수 있는 체제 구축
○ 기상정보제공업무에 대한 효율성 및 서비스 제고와 기상정보의 체계적 관리‧유통
- 기상정보의 활용을 촉진시켜 기상에 의존도가 높은 산업분야의 서비스 창출과 산업자원의 활용가치 향상
○ 민간부분 관련단체(기상사업자, 대학교, 수요자 등)와 지속적인 상호 정보교류 및 의견 수렴을 통하여 기상산업의 활성화 및 경쟁력 제고
○ 기상산업진흥법 제정에 따른 기상산업 진흥 기본 정책 마련
- 기상산업진흥 마스터플랜 제시 및 전략 개발
□ 주요내용 및 성과
○ 한국기상산업진흥원 개원식(1.12)
—보도자료 및 정책포털에 게재
○ 날씨경영 상담 창구 개설 운영(1.19)
—기상컨설팅 활성화를 위한 계획수립('09.11.30), 기상청 홈페이지 배너 신설 및 내용 작성('09.12월~‘10. 1월)
○ 기상사업체 지도 검사(1.22~3.4)
— 기상사업체 지도 검사 계획 수립(1.13), 기상사업체 현지 방문 조사 결과 보고(3.10)
○ 기상산업발전협의회 개최(3.30, 6.24)
— 제1회 협의회 개최 계획 수립(3.5) 및 결과보고(4.1), 제2회 협의회 개최 계획 수립(5.25)
○ 대한민국기상정보대상 시상, 기상산업발전 심포지엄 개최(6.24)
— 계약체결(3.18), 중간보고회(6.1), 기상정보대상 심사평가(6.10), 시상식 및 심포지엄 개최(6.24)
- 148 -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계 획 |
추 진 실 적 |
비고 |
1월 |
○ 한국기상산업진흥원 개원식 ○ 날씨경영 상담 창구 개설 운영 |
○ 진흥원(송월동) 개원식(1.12) - 보도자료(1.12) 및 정책포털에 게재(1.20) ○ 계획수립('09.11.30), 홈페이지 배너 신설 및 내용 작성('09.12~‘10. 1), 운영시작(1.19) |
정상 |
3월 |
○ 기상사업체 지도 검사 |
○ 지도 검사 계획 수립(1.13), 현지 방문 조사 결과 보고(18곳 조사, 3.10) |
정상 |
5월 |
○ 기상산업발전 협의회 개최 |
○ 제1회 기상산업발전 협의회 개최 계획 수립(3.5), 개최(3.30), 결과보고(4.1) ○ 제2회 기상산업발전 협의회 개최 계획 수립(5.25), 개최(6.24) |
정상 |
6월 |
○ 대한민국기상정보대상 시상, 기상산업발전 심포지엄 개최 |
○ 제5회 대한민국 기상정보대상 공모 및 심사 - 심사 개요 : 6.10/ 공모 총 18편 신청 ○ 제5회 대한민국 기상정보대상 시상 - 일자 및 시상 : 6..24 / 대상(한국철도공사) 등 8점 ○ 기상산업 발전을 위한 심포지엄 - 일자 및 장소 : 6.24 / 한국언론진흥재단 프레스센터 (20층 국제회의장) |
정상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기상사업체 수(개) |
17 |
- |
○ 연말 기준임으로 해당 사항 없음 |
기상기술 활용건수(건) |
1 |
- |
○ 연말 기준임으로 해당 사항 없음 |
진흥원 예산(백만원) |
1,668 |
- |
○ 연말 기준임으로 해당 사항 없음 |
- 149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기상사업자 지도점검 실시 - 기간 / 대상 : 1.22~3.4 / 기상사업자 17개사 - 의견 : 관(기상청)과 민(기상사업자) 간의 역할 분담 강화, 기상정보 무료인식 개선 및 홍보, 기상산업진흥법(기상사업자 제도)에 대한 홍보 강화 ○ 기상산업 네트워크 및 홍보 강화 - 기상산업발전을 위한 각계 인사가 참여한 협의회 구성 및 운영(청장 지시, '09.10월 주간업무 구두 지시) - 다양한 방법을 통한 적극적인 날씨경영 홍보(국장 지시, ‘09.11월 주간업무 구두 지시) ○ 한국기상산업진흥원 관리·감독 지침 마련 - 법정기관 이후 자율경영 및 책임경영 토대로 경영의 합리화 및 운영의 투명성 제고를 위해 주무관청의 효율적인 관리·감독 필요성 대두(1.11 청장 지시) ○ 기상산업발전협의회에서 논의된 주요 안건들의 추진상황 피드백 실시 |
○ 민·관 역할 분담에 대한 기준서 마련 - 제1회 기상산업발전협의회(3.30) 안건 상정 및 기상사업자 의견수렴(3~4월) - 외국(미국, 일본) 사례 조사(4~5월) 및 내부조율(5월) - 제2회 기상산업발전협의회(6.24) 안건 상정하여 확정 ○ 날씨경영 상담전화 및 우수사례 적극 홍보 - 기상산업발전협의회 구성('09.11.2) 및 운영(‘09.11.30, '10.3.30, 6.24) - 날씨경영 배너 신설, 날씨경영 상담전화 운영 등(1~12월) - 기업임직원, 유관기관 직원 등에게 날씨경영과 기상산업진흥법 시행에 대한 기상정보 가치 홍보 강화(3월, 4월, 서울·부산상공회의소) ○ 한국기상산업진흥원 관리·감독 지침 시행 - 타 부처 사례조사(환경관리공단, 한국시설안전공단) - 정책간담회 상정(1.28) 및 정부법무공단 의견조회(2.4) - 관리·감독 지침 시행(2.12) ○ 협의회 개최 시 주요 논의된 안건들에 대해 조치사항 및 추진실적 보고(3.30, 6.24) - 기상산업육성에 관한 정책 수립 시 의견 반영 및 발전 도모 - 사례 : “기상장비 구매규격서” 기상사업자 의견수렴('09.12.21~24), 평가표 공개('09.12.31)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한국기상산업진흥원 - 기상산업진흥 5개년 계획(안) 마련 - 진흥원 제도 등 관리강화 방안 마련 및 시행 ○ 기업임직원 대상 교육 협조 ○ 기상산업진흥 기본계획 연구용역 전문가 자문단 구성 |
○ 한국기상산업진흥원 - 기상산업진흥 기본계획 연구용역 사업(3~8월) - 진흥원 관리강화 방안 청장님 보고 및 시행(5~6월) ○ 기업임직원 CEO 대상 날씨경영 특강(3.25, 4.15, 4.21) - 대한상공회의소 회원업체 CEO 200여명 참석 ○ 기상산업진흥 기본계회 수립을 위한 자문회의(4.20) |
- 150 -
Ⅲ- 1- 재정① : 기상산업 활성화 및 기상서비스 확대 |
□ 목 적
○ 기상정보제공업무에 대한 효율성 및 서비스 제고와 기상정보의 체계적 관리·유통
- 기상정보의 활용을 촉진시켜 기상에 의존도가 높은 산업분야의 서비스 창출 및 산업자원의 활용가치 향상
○ 기상산업진흥법 제정에 따른 기상산업 진흥 기본 정책 마련
- 기상산업진흥 마스터플랜 제시 및 전략 개발
○ 기상정보 전달 수준의 향상으로 대국민서비스 만족도 제고
□ 주요내용 및 성과
○ 기상산업 진흥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용역 추진
— 연구용역 계획 수립(1.20), 중간보고회(5.27)
○ 기상자료 제공업무 위탁 운영(1~12월)
—한국기상산업진흥원과 계약체결(2.1), 기상사업자 간담회 개최 계획 수립(2.1) 및 개최(2.19)
○ 콜센터 운영을 위한 위탁업체와 서비스 수준협약(SLA) 체결
○ 콜센터의 생산성 및 품질향상을 위한 관리방안 수립
- 품질운영 관련 콜센터 운영수준 진단 실시
○ 콜센터 이용자 만족도 조사 실시
- 상담결과 확인을 통해 사용자 만족도 실시, 결과 환류로 고객만족 서비스 실현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계 획 |
추 진 실 적 |
비고 |
1월 |
○ 기상산업진흥 기본계획 연구용역 계획 수립 ○ 기상자료 제공업무 위탁 운영 |
○ 연구용역 계획수립(1.20) ○ 기상자료 제공업무 계약 계획 수립(1.15) |
정상 |
2월 |
○ 기상사업자 간담회 개최 |
○ 개최 계획 수립(2.1), 간담회 개최(2.19) |
정상 |
3월 |
○ 위탁업체와 서비스 수준협약(SLA) 체결 |
○ 위탁업체와 서비스 수준협약(SLA) 체결(3.30) |
정상 |
5월 |
○ 기상산업진흥 기본계획 연구용역 중간보고회 개최 |
○ 개최(5.27), 개최 결과보고(6.1) |
정상 |
6월 |
○ 콜센터 이용자 만족도 조사 실시 ○ 기상콜센터 운영수준 진단 실시(상반기) |
○ 상반기 이용자 고객만족도 실시(5.21~6.1) - 대상 : 고객 1,088명 / 응답 416명 / 응답율 38.2% - 만족도 결과 : 86.5% ○ 상반기 운영수준 진단 실시(6.30) - 평가기준 : 생산성, 상담품질, 관리능력 |
정상 |
- 151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기상정보제공 적시성 (장애시간 감소율) |
590분 |
○ 연말 기준임으로 해당 사항 없음 |
|
콜센터상담원 1인당 일 평균 상담 건수(회) |
105 |
○ 연말 기준임으로 해당 사항 없음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기상사업자 지도점검 실시 - 기간 / 대상 : 1.22~3.4 / 기상사업자 17개사 - 의견 : 관(기상청)과 민(기상사업자) 간의 역할 분담 강화, 기상정보 무료인식 개선 및 홍보, 기상산업진흥법(기상사업자 제도)에 대한 홍보 강화 ○ 기상산업 네트워크 및 홍보 강화 - 기상산업발전을 위한 각계 인사가 참여한 협의회 구성 및 운영(청장 지시, '09.10월 주간업무 구두 지시) - 다양한 방법을 통한 적극적인 날씨경영 홍보(국장 지시, ‘09.11월 주간업무 구두 지시) ○ 한국기상산업진흥원 관리·감독 지침 마련 - 법정기관 이후 자율경영 및 책임경영 토대로 경영의 합리화 및 운영의 투명성 제고를 위해 주무관청의 효율적인 관리·감독 필요성 대두(1.11 청장 지시) ○ 일별/월별 콜센터 상담내역 및 고객의 소리 분석 ○ 기상콜센터 상담사 사기진작 방안 마련 지시(1.29) |
○ 민·관 역할 분담에 대한 기준서 마련 - 제1회 기상산업발전협의회(3.30) 안건 상정 및 기상사업자 의견수렴(3~4월) - 외국(미국, 일본) 사례 조사(4~5월) 및 내부조율(5월) - 제2회 기상산업발전협의회(6.24) 안건 상정하여 확정 ○ 날씨경영 상담전화 및 우수사례 적극 홍보 - 기상산업발전협의회 구성('09.11.2) 및 운영(‘09.11.30, '10.3.30, 6.24) - 날씨경영 배너 신설, 날씨경영 상담전화 운영 등(1~12월) - 기업임직원, 유관기관 직원 등에게 날씨경영과 기상산업진흥법 시행에 대한 기상정보 가치 홍보 강화(3월, 4월, 서울·부산상공회의소) ○ 한국기상산업진흥원 관리·감독 지침 시행 - 타 부처 사례조사(환경관리공단, 한국시설안전공단) - 정책간담회 상정(1.28) 및 정부법무공단 의견조회(2.4) - 관리·감독 지침 시행(2.12) ○ 분석 결과의 관련부서 통보 및 조치(예보정책과 등 전국 기상관서) ○ 기상콜센터 상담사 사기진작 방안 수립 및 시행(2월~4월) |
- 152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한국기상산업진흥원 - 기상산업진흥 5개년 계획(안) 마련 - 진흥원 제도 등 관리강화 방안 마련 및 시행 ○ 기업임직원 대상 교육 협조 ○ 국민권익위원회 중앙행정기관 콜센터 통합 정보전략계획 수립 추진 |
○ 한국기상산업진흥원 - 기상산업진흥 기본계획 연구용역 사업(3~8월) - 진흥원 관리강화 방안 청장님 보고 및 시행(5~6월) ○ 기업임직원 CEO 대상 날씨경영 특강(3.25, 4.15, 4.21) - 대한상공회의소 회원업체 CEO 200여명 참석 ○ 정부콜센터 통합운영 연구용역 추진 협조 - 사업 설명회 참가 (3.16) - 기상콜센터 방문 및 인터뷰 (4.1) - 중간 설명회 참가 (6.4) |
- 153 -
Ⅱ- 2- 정보화② : 기상정보응용시스템 |
□ 목 적
○ 수요자 지향의 특화된 특화기상정보 개발과 능동적 전달체계 구축을 통한 대국민 기상서비스 만족도 향상
— 민간부문 응용기상기술 지원을 통한 기상서비스 향상 기반 조성을 위한 산업 응용 콘텐츠 개발
— 경제성장 지원을 위한 기상정보의 고부가가치화
○ 통계 간행물 개선을 통한 기후자료 서비스 만족도 향상과 기상정보 활용도 제고
— 문숫자 위주의 기존 통계 간행물을 수요자의 가독성과 편리성을 고려해 개선
— 기후자료 활용범위 확대에 따른 다양한 통계 간행물 발간
○ 저비용의 항공기 기상관측을 이용한 고층관측 강화로 재해기상 감시 및 예보능력향상과 항공 기상정보 서비스 개선
— 항공기상예보 능력향상을 위한 수치예보 입력자료 활용 및 국제항공자료교환을 통한 국제위상 제고
□ 주요내용 및 성과
○ 응용기상정보시스템 운영
— 산업기상정보 생산시스템 생산 및 제공 프로세스 유지보수(계획 수립(1.7), 유지보수 계약(2.1))
— 프로세서 개선을 위한 간담회 개최(5.11)
○ 기후자료보존시스템 운영
— 기후통계분석기법 개발 및 통계간행물 개선(Ⅳ) 사업 추진
· 내용 : 평년값 산출 프로그램 개발, 해양기상관측연보 그래픽 개발 등(사업계획 수립(2.5) 및 착수보고회 개최(5.11))
— 기후자료 대국민 서비스체계 개발 사업
· 내용 : 기상민원 서비스 추가, 이용자 편의성 및 DB구조 개선 등(사업계획 수립(2.9), 착수보고회 개최(5.3))
— 기후보존시스템 유지보수 사업 추진(사업계획 수립(1.15), 제안서 평가회 개최(2.2))
— 통계 간행물 개선을 위한 설문조사 실시(6.17~22) 및 분석
— 정기 통계 간행물 발간 및 배포(기상연보 등 5종)
- 154 -
○ 항공기 기상관측자료 수집 및 활용체계 구축(AMDAR 사업)
— 항공기기상관측자료 수집‧활용을 위한 2차 실무자회의 개최(3.18)
— 항공기 기상관측자료의 확대 활용(기존 14대 => 19대 )(4.21부터)
— 아시아나 항공기 관측자료 추가 GTS 국제방송 실시(6.1일부터)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실 적 |
비고 |
1월 |
○ 산업기상정보 생산시스템 생산 및 제공 프로세스 유지보수 계획 수립(1.7) ○ 기후자료보존시스템 유지보수 사업 계획 수립(1.15) |
정상 |
2월 |
○ 기후자료보존시스템 유지보수 제안서 평가회 개최(2.2) ○ 기후통계분석 기법 개발 및 통계간행물 개선(Ⅳ) 사업 계획 수립(2.5) ○ 기후자료 대국민 서비스 체계 개발 사업 계획 수립(2.9) |
정상 |
3월 |
○ 항공기기상관측자료 수집‧활용을 위한 실무자 회의 개최(3.18) |
정상 |
4월 |
○ 항공기 기상관측자료의 확대 활용(기존 대한항공 14대에 아시아나항공 5대 추가(4.21부터)) ○ 기후자료 대국민 서비스 체계 개발 사업 착수보고회 개최(4.30) |
정상 |
5월 |
○ 기후자료 대국민 서비스 체계 개발 사업 착수보고회(5.3) ○ 기후통계분석 기술개발 및 통계간행물 개선(Ⅳ) 사업 착수보고회(5.11) ○ 기상산업정보 생산시스템 유지보수용역 간담회 개최(5.11) |
정상 |
6월 |
○ 아시아나 항공기 관측자료 GTS 국제방송 실시(6.1부터) ○ 통계간행물 개선을 위한 설문조사 실시(6.17∼22) |
정상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개선 간행물 고객의 평가 점수 |
84 |
- |
○ 금년 4분기 중 개선 간행물 고객평가 설문조사 실시 예정 |
- 155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생활기상지수 활용에 대한 국민의 정보 이해도 및 활용도 부족 ○ AMDAR 사업 시행에 따른 관측 확대와 자료 활용 대책 마련 필요 ○ ‘09년 통계 간행물 개선 만족도 조사’ 이후에도 수요자 요구사항에 대한 지속적 모니터링 필요 - ‘09년 만족도 조사 결과 수요자 97% 이상이 통계 간행물의 그래픽 확대 및 분포도 추가에 만족감 표시 - 통계간행물의 내용과 활용이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어 고객 요구사항 변화에 대한 면밀한 조사분석 요구 |
○ 응용기상정보시스템을 통한 계절별 생활기상정보를 생산 제공 - 동시동보시스템(FAX)을 통해 계절별 생활기상정보를 제공(3.30부터) ○ 항공기 기상관측자료의 확대 및 활용책 마련 - 아시아나 항공사의 항공기 5대 사업 참여(4.21부터) - 아시아나 항공기 관측자료 추가 GTS 국제방송 실시(6.1일부터) ○ 통계 간행물의 가독성을 높이고 고품질 통계자료 수요자의 요구를 수용한 서비스 체계 구축 추진 및 고객 만족도 향상 노력 - 기후통계분석 기법개발 및 통계간행물 개선(ⅳ) 사업을 착수(5.11)하고, 기상통계 분석 시스템 그래픽 개선과 심층 통계분석자료 개발 추진 - 향후 한국기후표, 해양기상관측 연보 등 통계간행물 발간시 직접 활용 체계 마련 - 해양기상관측연보, 한국기후표 등 통계 간행물 인지도 및 활용도 설문조사 실시(6.16~22) ○ 인쇄매체 중심의 기존 통계 간행물을 디지털매체로 전환을 촉진하고 광매체 활용에 대한 이용자의 선호도를 조사하여 정책에 반영 - ‘09년도 정기간행물 CD 수요량 조사(5.) - 기상청 대표 홈페이지에 PDF형태의 통계 간행물을 게재하여 이용자 접근성 강화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국적항공사(아시아나)와의 추가 AMDAR 사업 이행 체계 구축 ○ 기후정보를 직접 활용하는 관학연산 각 분야 기관에 대한 기후 통계 간행물 제공 - 감사원, 국토해양부, 국회도서관, 농림수산식품부, 국방부 등 주요부처 41개 기관 - 주요대학 및 도서관, 공공기관 등 140여개 기관 ○ 정책고객 여론조사 주관부처와 협조체계 구축 - 문화체육관광부(PCRM 주관) : 통계 간행물 관련 각종 설문조사 실시(고객만족도, 자료 활용도 등) |
○ MOU에 따른 실무자 협의(3.18) 및 아시아나 항공기 추가 참여 ○ 기상연월보 등 각종 통계 간행물의 정기적 배포 - 기상자료를 정책결정, 학술연구, 산업정보 등에 활용(상반기 중 17회 배포) ○ PCRM을 활용한 통계 간행물 개선 설문조사 실시 및 분석(6.17~22) - 해양기상관측연보, 한국기후표 등 통계 간행물 인지도, 활용도 조사 - 4분기 중 통계 간행물 고객만족도 조사 예정 |
- 156 -
|
Ⅴ- 1- 주요정책② : 국가 기상관측자료의 품질 강화 |
□ 목 적
○ 관측기관 자료관리의 통합관리 및 공동활용을 통한 중복투자 방지와 예산절감
○ 부처간 공동협력과 역량강화로 국가기상자료 품질강화를 통해 품질향상 및 활용성 증대
○ 품질관리 기술 지도를 통한 기상자료 품질관리 인식 강화
□ 주요내용 및 성과
○ 유관기관 자료를 포함한 통합품질관리로 국가기상관측자료 품질 신뢰도 향상
— 품질관리 대상 확대(유관기관, 해양, 농업, 세계기상 등)와 통합한 기상자료 품질관리 강화 방안 수립(1.15)
— 국가 기상관측자료 표준화 및 공동활용 체계 구축 관측기관 합동 워크숍 개최(6.17~18)
‧’10년도 국가기상관측자료 품질관리 계획, 품질등급관리, 메타정보관리시스템 구축 등 설명 및 협의
※ 유관기관 품질관리 대상 확대(5.31 / ‘09년 : 6개 기관, ’10년 10개 기관
○ 국가기후자료 관리 방안 및 활용 극대화 기반 마련
— 국가기후자료센터 설립을 위한 외부전문가(3인) 초청회의 개최(2.17)
— 국가기후자료센터 신설 추진계획(안) 수립(3.30)
— 기후정보와 기상산업 활성화 워크숍 개최(4.7)
— 국가기후자료센터 설립 추진 TFT 구성‧운영(4.30) 및 회의개최(2회)
○ 국가기후자료 대국민서비스 확대 및 체계 개선
— 온라인 이용 활성화 및 수수료 감면 등을 포함한 민원서비스 선진화 계획 수립(3.31)
— 기후자료 대국민서비스 체계 개선 사업 수행(4.30)
— 기후통계분석 기술개발 및 통계 간행물 개선 사업 수행(5.10)
— 기상역사자료 전시회 개최(3.23~28) 및 2010 국제기록문화 전시회 참가(6.1~6)
- 157 -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계 획 |
추 진 실 적 |
비고 |
1월 |
○ 통합품질관리체계 구축 사업계획 수립 |
○ 유관기관 자료를 포함한 국가기상관측자료 통합품질관리 계획 수립 — 통합 기상자료(유관기관, 해양, 농업, 세계기상 등) 품질관리 강화 방안 수립(1.15) |
정상 |
3월~ 4월 |
○ 대상기관 품질검사 적용 및 품질수준 조사 |
○ 국가기상관측자료 품질검사 및 활용관련 의견수렴 - 한국기상학회 춘계학술대회 기상분과 특별 세션 개최(4.22~23) - 국가기후정보의 효율적 활용과 대국민 서비스 확대를 위한 의견 수렴 ○ 국가기후자료 품질관리 강화 및 활용극대화 추진 - 국가기후자료센터 설립 추진계획(안) 수립(3.30) - 국가기후자료센터 설립 추진 TFT 구성(4.30) |
정상 |
5월 |
○ 대상기관과의 품질관리 협의(‘10년도 대상 기관 선정 등) |
○ 2010년도 기상관측자료 공동활용 대상기관 추가확대 계획 보고(5.20) - ‘10년도 「공동활용시스템」구축 대상기관 선정방법 및 계획 등 ○ 기상관측자료 공동활용을 통한 품질강화 계획 및 협조요청(5.31) - 대상 : 서울시 등 9개 지자체, 국립공원관리공단 등 총 10개 기관 ○ 국가기후자료센터 설립 추진 TFT 회의 개최(2회) - 1차 실무반 회의 : 5.13, 2차 추진반 회의 : 6.18 ○ 품질관리 대상기관 협의(6.17~18) - 2010년 기상관측자료 공동활용 대상기관 추가확대 계획 수립(5.20) - ’10년도 국가기상관측자료 품질관리 계획, 품질등급관리, 메타정보관리시스템 구축 등(6.17) |
정상 |
6월 |
○ 품질등급 평가시스템 설계 협의 |
○ ’10년도 국가기상관측자료 품질관리 계획, 품질등급관리 체계 등 협의 - 협의부서 : 정보통신기술과, (주)오픈베이스 ※ 국가 기상관측자료 표준화 및 공동 활용체계 구축 관련 관측기관 합동 워크숍 참석(6.17~18.) |
정상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국가기상자료 품질관리 참여율(%) |
60 |
- |
○ 기상관측자료 공동활용 대상기관 10개소 선정(서울시 등 지자체 9소, 국립공원관리공단) - 2010년 공동활용 대상기관 확대 계획 수립 및 대상기관에 품질관리 계획 통보 ※ 산출식 : (품질관리수행지점수)/(전체지점수)×100 ※ 기상청과 26개 유관기관에서 생산되는 관측자료의 품질관리 수행 지점수 비율( 전체: 3,642지점) |
※연평가로 실적치는 연말에 산출
- 158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국가기후자료의 품질관리 강화 및 체계적 관리‧활용성 극대화 등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전담부서 설립 방안 모색 필요 - 기후정보와 기상산업 활성화 워크숍 개최(4.7) - 한국기상학회 춘계학술대회 기상분과 기후분야 특별세션 개최(4.22~23) |
○ 국가기후자료센터 설립 추진기반 마련 - 국가기후자료센터 신설 추진계획(안) 수립(3.30) - 국가기후자료센터 설립 추진 TFT 구성(4.30) - 국가기후자료센터 설립 추진 TFT 회의 개최(1차 실무반 5.13, 2차 추진반 6.18) ○ 국가기후자료센터 설립 전문가 토의 및 의견 수렴 - 국가기상관측자료 표준화 및 공동활용체계 구축 관련 관측기관 합동 워크숍 참석(6.17~18.)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유관기관 26개기관, 관측정책과, 정보통신기술과와 유기적 협조체제 구축 - 환경부, 농촌진흥청, 기상청, 산림청, 국토해양부 등 26개 기관 ○ 공동활용과 통합품질관리의 필요성과 효과에 대한 지속적인 홍보 및 교육 활동 등 강화 - 국가기상관측자료 품질관리 및 품질등급시스템 구축 등 |
○ 국가기상관측자료 표준화 및 공동활용체계 워크숍 개최(6.17~18) ○ 국가기후자료 품질관리 대상기관 선정 통보(10개 기관) ○ 기상관측표준화 위원회 추진(2회) - 2010년 공동활용시스템 구축 10개 대상기관 선정 방법 등(4.21) - 2010년도 관측기관별 품질관리 계획 보고(4.21) - 2010년 공동활용시스템 구축 10개 대상기관 선정(6월 말) ‧서울시 등 9개 지자체, 국립공원관리공단 등 총 10개 기관 ○ 자동기상관측장비 첨단화 TFT 참석 및 발표(3.11~12.) ○ 기술관측기술 발전을 위한 연찬회 참석 및 발표(5.13~14.) |
- 159 -
자체주요업무 : 고품질의 기후자료 서비스 확대 |
□ 목 적
○ 새로운 관측장비 도입 및 유관기관 관측자료 공동활용에 따른 기상자료 품질관리 강화 필요
— 기상자원과의 주요 고유업무인 품질검사(QC) 업무를 확대‧강화하여 국가기후자료센터 설립에 대비
○ 장기간 기후변화 모니터링, 경향 등을 분석한 신개념 기후지도 개발로 녹색성장에 기여
— 매 10년마다 발간하는 한국의 기후 특성에 대한 분석 및 기후도 발간
□ 주요내용 및 성과
○ 국가기상관측자료의 통합 품질관리 강화 방안(1.15) 마련으로 품질관리체계 기반 조성
— 품질관리 대상기관 추가(6개 기관→16개 기관) 및 요소 확대(2종(‘09년) → 5종(’10년))
○ 국가기후자료의 대국민서비스 개선 및 확대 기반 마련
— 서비스 요소 확대 및 수수료 감면 등을 포함한 민원서비스 선진화 계획 수립(3.31)
— 기후자료 대국민서비스 체계 개선 사업 수행(4.30)
— 기후통계분석 기술개발 및 통계 간행물 개선 사업 수행(5.10)
— 기온, 강수량 등 주요 요소에 대한 계절별/월별 기후특성 분석
- 160 -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계 획 |
추 진 실 적 |
비고 |
1월 |
○ 기상자료 품질강화 방안 수립 ○ QC 대상 관측자료 확대(AWS) |
○ 기상자료 품질강화 계획 수립(1.15) - 품질검사 담당인력 증원, 품질검사 기상관측자료 확대(2종→5종), 타부처 관측자료 현황 수집 및 관리 등 |
정상 |
2월 |
○ QC 대상 관측자료 확대(계절자료) |
○ 계절자료에 대한 품질관리 확대 - 기상자료 품질강화 계획 수립(1.15 )/ *계절자료 품질관리 분기별 연4회 시행 - 계절자료 품질관리 실시에 따른 계절관측지침 일부 개정(2.8) - ‘08~’09년 계절관측자료 입력 완료 ○ 연간 기상자료 비실시간 품질검사 계획 수립 및 시행(2.23) - 지상(ASOS, AWS), 고층(레윈존데) 등 기상자료에 대한 체계적 품질관리 실시 |
정상 |
5월 |
○ 2009년 기후특성 분석 보고서 발간 |
○ ‘09년 주요 기상특성 보고서 발간(5.20) - 기온, 강수량 등 기상요소에 대한 연/월/계절별 주요특성 분석 기술노트 발간 ○ 국가기후지도 개발 추진 TFT 구성(5.20) 및 운영(실무반 7인) - 1차 회의(5.27) : 현황 및 동향 분석 업무분담 등 6건 ○ 기후통계분석 기법 개발 및 통계 간행물 개선사업(Ⅳ) 착수보고회 개최(5.10) - 기후 평년값 산출 프로그램 개발, 해양기상관측연보 그래픽 개발 등 |
정상 |
○ QC 대상 관측자료 확대(농업기상자료) |
○ 농업기상관측자료 품질관리 계획 수립(5.20) - 농업기상관측자료 중 지상기상관측요소에 대한 시범 품질관리 |
정상 |
|
6월 |
○ 기온 기후지수 개발 |
○ 국가기후지도의 기온 기후지수 개발 추진(6.24) - 극한기후지수 및 기온지수 32종 검토(국가기후지도개발 TFT 3차 회의시) ○ 국가기후지도 개발 추진 TFT 회의 실시(2차: 6.11‧3차: 6.24) - 베이스맵, 기후요소 등 5과제 발표, 기후요소‧지수, 주제도 표현 등 검토 |
정상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기상자료품질관리 확대율(%) |
37 |
40.5 |
○ 기상자료품질관리 확대율 = (9/16)*50%+(4/16)*50%=0.41(41%) - 산출식 : [실시간품질관리 자료종류수/ 전체 자료종류수] × 50% + [비실시간 품질관리자료 종류수/전체자료종류수] × 50%(전체자료종류수:16종) |
국가기후지도 개발 진척도(%) |
60 |
- |
○기후지수 개발 달성율은 100% 달성, 평가위원회 평가 연말 시행 계획 ※ 산출식 : 기후지수 개발 달성율 × 70% + 평가위원회 평가 × 30% |
- 161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국가기후자료의 품질 고도화를 통해 기상정보의 고부가가치화 필요성 대두 - 국가기상관측자료의 공동활용과 체계적 관리를 통해 중복투자로 인한 예산 낭비 요인 제거 - 국가 기상관측시설의 활용도 증대 및 품질관리 기술지원 필요 |
○ 통합 기상자료 품질강화 및 효율적 관리 체계 구축 - 품질관리 기관 확대 및 요소추가 - ‘10년 상반기 품질관리 확대 자료 : AWS(1월), 계절자료(2월), 농업기상자료(5월) - 국가기상자료의 체계적 관리를 위한 국가기후자료센터 설립 계획 수립(3.30) - 국가기후자료센터 설립을 위한 TFT 구성(4.30) 및 운영(회의 2회 개최) ○ 품질관리 고도화 및 기상정보 활용 활성화를 위한 의견수렴 - 기후정보와 기상산업 활성화 워크숍(4.7) - 한국기상학회 춘계학술대회 기상분과 기후분야 특별세션 개최(4.22~23) - 국가기상관측자료 표준화 및 공동활용체계 구축 관련 관측기관 합동 워크숍 개최(6.17~18.)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26개 유관기관, 관측정책과, 정보통신기술과, 응용기상연구과 - 국가기상관측자료 공동활용체계 구축 및 품질관리 강화 등 |
○ 2010년 공동활용 대상기관 확대 계획 수립 및 대상기관에 품질관리 계획 통보 - 대상 : 서울시 등 9개 지자체, 국립공원관리공단 등 총 10개 기관 ○ 품질관리 관련 연찬회 참석 및 발표 - 기상관측기술 발전 연찬회 : 기상관측자료의 정확도 확보 품질관리 등 발표 - 국가 기상관측자료 표준화 및 공동 활용체계 구축 관련 관측기관 합동 워크숍 발표 |
- 162 -
|
Ⅴ- 2- 주요정책③ : 정보통신기술(ICT) 고도화를 통한 기상정보 서비스 선진화 |
□ 목 적
○ 현 정부의 녹색성장 3대분야 10대 정책에 따른 기상청 그린 IT 체계 구축
○ 신개념 첨단관측기술의 적용과 다학제, 관련 유관기관 공동이용 체제 구현
○ 최신 IT 기술을 활용하고 기술간 융합을 통해 대국민을 위한 새로운 서비스 모델 창출
□ 주요내용 및 성과
○ IP- USN 통합관측환경 구축을 위한 관계기관 협의로 2010년 학·관의 관측자료 공동활용 방안 도출(2.9)
— 2010년 IP- USN 통합관측환경에 수용하게 될 생태, 농업, 산립, 환경 분야에 대한 관측수요 조사 및 공동활용 방안 협의
○ IP- USN 사업계획(안) 수립 및 제출을 통한 2010년 사업 추진(3.29)
○ 소셜네트워크 서비스인 트위터를 통해 기상 특·정보 실시간 서비스(4.8)
○ 기상청 비전 완수를 위한 2011년도 국가정보화 시행계획 수립(4.30)
○ 차세대 통합기상 IT인프라 구축 정보화전략계획(ISP) 수립 착수회의 개최를 통해 향후 일정, 준비사항 등 협의(5.27)
○ 기상관측/수집 체계 효울화 기술 검증을 위한 사물지능통신 선도시범사업 확정 및 계약체결(5.7)
○ 전자정부지원사업 지원 대상 과제 확정을 통한 기상분야 보안관제센터 구축사업 착수(5.13)
○ 기상청 통신장비 교체·보강 구축사업 계약 의뢰로 노후 통신 장비 교체를 위한 사업 추진(6.1)
○ USN 기반 통합기상관측환경 구축 사업 계약 체결(6.8) 및 착수보고회(6.18)를 통한 향후 추진 계획 확정
- 163 -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계 획 |
추 진 실 적 |
비고 |
2월 |
○ IP- USN 사업 관련기관 협의 |
○ IP- USN 통합관측환경 구축을 위한 관계기관 협의(2.9.) - 2010년 IP- USN 통합관측환경에 수용하게 될 생태, 농업, 산림, 환경 분야에 대한 관측수요 조사 밀 공동활용 방안 협의 - 충남대학교, KISTI, 기상청 등 관·학·연 8개 기관 15명 |
정상 |
3월 |
○ IP- USN 사업 계획 수립 ○ 전기관 스마트폰 분배 완료 ○ 사물통신망 본청 플렛폼 구축 및 시범운영 |
○ IP- USN 사업계획(안) 수립 및 제출(3.29.) - “USN 기반 통합기상관측환경 구축”사업 사업계획(안) 한국정보화진흥원 제출 ○ 전기관 스마트폰 분배 완료(3.31) - 스마트폰 청사내 구내전화로 사용할 수 있는 통합 통신환경 구성 완료 및 단말기 1차 분배 완료 ○ 사물지능통신망(O2N) 플랫폼 구축 및 19개 사이트 시범운영(3.31) - 기상관측과 사물지능통신망 연동으로 기상관측망 첨단화 및 관리 체계 고도화 |
정상 |
5월 |
○ 통합기상 IT 인프라 구축 ISP 사업 착수 ○ 보안관제센터 구축사업 착수 |
○ 차세대 통합기상 IT 인프라 구축 정보화전략계획(ISP) 수립 착수회의 개최(5.27) - 실무추진단원을 대상으로 각 부서에 대한 사전준비사항, 인터뷰 일정 등 회의 개최 ○ 기상분야 보안관제센터 구축사업 추진 확정을 통한 사업 착수(5.13) - 2010년도 전자정부지원사업으로 선정된 보안관제센터 구축 제안요청서 한국정보화진흥원 제출 |
정상 |
6월 |
○ 기상청 통신망 개선 사업 착수 |
○ 기상관측 통신망 개선을 위한 사물지능통신망(O2N) 도입 사업 착수(6.10) - 새로운 기상청 통신망 도입 추진을 위한 관계자 회의(매주 월/사업자, 한국기상산업진흥원 등) ○ 기상청 통신장비 교체·보강 구축사업 조달계약 의뢰(6.1.) - 기상청의 노후화된 통신장비 교체 보강 사업 추진 ○ IP- USN 기반 통합기상관측환경 구축사업 착수보고회(6.18) - 기상청 무선통신망 기반의 통합기상관측환경 구축사업 향후 추진계획 및 방향 발표 |
정상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기상정보 신규 서비스 개발 실적 |
2 |
2 |
○ 날씨 위젯 서비스(2010.01.15) - 홈페이지 방문 없이 내 PC에서 실시간 날씨를 볼 수 있는 실시간 날씨 서비스 ○ SNS 서비스(2010.4.8) - 소셜네트워킹 서비스인 트위터와 미투데이를 통한 특·정보 제공 |
기상정보 통신체계 고도화 실적 |
10 |
0 |
○ 사물지능통신망 전환을 위한 사업 착수(6.10) - 기상관측/수집 체계 효율화를 위한 사물지능통신 선도 시범 사업 선정(5.7) 및 착수 |
○ 목표 미달성 사유 : 기상정보 통신체계 고도화는 사업 완료 후 연말에 최종 실적치 제시 가능
- 164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트위터, 미투데이 등 소셜네트워킹 서비스를 통한 각종 정보 공유서비스 확산 - 스마트폰과 인터넷으로 편리하게 이용 ○ 무선망 기반의 사물지능통신망 제반 기술은 친환경적이고 경제성이 뛰어남 - 정부의 Green IT 정책에 부함 |
○ 소셜네트워킹 서비스를 위한 기상 특·정보 서비스 실시(4월) - 기상청에서 발표하는 호우, 강풍, 황사, 지진 등 각종 기상속보 및 특보 실시간 제공 ○ 방송통신위원회의 차세대 무선통신 기반 구축 실용모델로 지원예산 확보(3억원,5월) - 기상관측/수집 체계 효율화를 위한 사물지능 통신 기반기술 검증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USN 통합관측환경 구축을 위한 협의회 개최(2.9.) - 기상청, 한국생태관측대네트워크(KEON) 주관으로 기상, 기후, 생태, 농업, 산립, 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통합관측 및 관측자료 활용 방안 협의 |
○ 기상, 기후, 생태, 농업, 산립, 환경 분야에 대한 관측 및 관측자료 활용 협의 - 생태·환경센서 도입의 원칙, 도입예산 생태·환경 센서 개요 등 안내 - 협의 결과를 2010년 사업에 최대한 반영하며, 구체적인 사업 내용 결정을 위한 실무 협의 진행 |
○ 정보통신 인프라 선진화 및 운영 기반 강화를 위한 예산 확보 노력 - 전자정부지원사업 유치를 통한 지속적인 예산 확보 노력 - KS 텔레콤과의 업무협약(‘09.10)을 바탕으로 모바일오피스 구축 협의 |
○ 국가기상관측자료표준화 및 공동활용체계구축 사업 등 전자정부 지원사업 6건 77.1억원 확보 ○ 모바일오피스 추진 관련 민간부문 투자 유치 45억원 |
- 165 -
Ⅴ- 2- 정보화① : 기상정보교환시스템 운영 |
□ 목 적
○ 기상분야 세계 6위권 도약을 위한 최적의 통합 기상 IT인프라 구축
○ 기상정보 수집, 처리, 분배를 위한 초고속 정보통신망의 안정적 운영
○ 초단기 예측정확도 개선을 위한 실황예보용 기상분석시스템 개발 및 개발도상국에 대한 기상분석 기술 이전
□ 주요내용 및 성과
○ 육군 적설관측자료 활용을 위한 업무협의(1.20)
○ 기상청 개편 홈페이지 대국민서비스 계획(안) 수립(1.15)
○ 4대강 16개 주요 공사지역 특화 기상정보 제공(1.29)
○ 국가 기상관측자료 표준화 및 공동활용 체계 구축 사업계획 수립을 위한 합동회의 개최(2.4)
○ 모바일 기상서비스체계 구축사업 계획(안) 수립(2.26)
○ WMO 정보시스템조정그룹(ICG- WIS) 제 6차 회의 개최(2.22∼2.26)
○ 동네예보 GIS(지리정보시스템) 서비스를 제공(3.3)
○ 2010년도 국가기상관측자료 표준화 및 공동활용체계 구축 사업계획서 작성 및 제출(3.10)
○ 모바일 기상서비스 체계 구축사업 착수보고회 개최(5.18)
○ 신예보기술국제협력사업 실시계획 수립(6.15)
○ 국가 기상관측자료 표준화 및 공동활용 체계 구축사업 계약체결(6.16) 및 관측기관 합동 워크숍(6.17∼18)
○ 2010년 기상분석시스템 사용자 워크숍 개최(6.24∼6.25)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실 적 |
비고 |
1월 |
○ 육군 적설관측자료 활용을 위한 업무협의(1.20) - 육군에서 관측하여 활용하고 있는 적설관측자료를 공군 73 기상전대를 경유하여 실시간 제공받기 위한 업무협의 ○ 기상청 개편 홈페이지 대국민서비스 계획(안) 수립(1.15) - 새로운 기상청 홈페이지의 안정적 서비스를 위한 시험운영을 완료하고 대국민 서비스 실시 ○ 4대강 16개 주요 공사지역 특화 기상정보 제공(1.29) - 동네예보, 주간예보, 불쾌지수, 열시 등 공정관리에 필요한 기상정보 제공 - 4대강 살리기 통합사업관리시스템(FIMS)를 통한 실시간 기상정보 제공 |
정상 |
2월 |
○ 국가 기상관측자료 표준화 및 공동활용 체계 구축 사업계획 수립을 위한 합동회의 개최(2.4) - 2010년 전자정부지원사업 사업계획(안) 공유 및 검토 관측정책과, 기후예측과 등 10개 부서 15명 참석 ○ 모바일 기상서비스체계 구축사업 계획(안) 수립(2.26) - 스마트폰 등 다양한 매체에 적합한 서비스 발굴·적용하여 유비쿼터스 기상서비스 기반 구축 및 국민 편의성 제고를 위한 계획 수립 ○ WMO 정보시스템조정그룹(ICG- WIS) 제 6차 회의 개최(2.22∼2.26) - WMO 정보시스템 기술개발 현황점검 및 상위 회의 보고서 작성을 위한 회의로 독일기상청 국장, 기본체계위원회(CBS) 의장 등 WMO 기술위원회 대표 8인, 각 분야별 전문가 13인 참가 |
정상 |
3월 |
○ 동네예보 GIS(지리정보시스템) 서비스 제공(3.3) - 동네예보를 지리정보시스템과 연동하여 제공하는 맞춤형 기상정보로 지도 위에 시도와 읍면동의 날씨와 기온을 나타냄 ○ 2010년도 국가기상관측자료 표준화 및 공동활용체계 구축 사업계획서 작성 및 제출(3.10) - 관측자료 표준화, 통합적 품질관리 환류체계 구축,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기상·기후 고급 분석정보 서비스 구축 계획 수립 및 정보화진흥원 제출 |
정상 |
5월 |
○ 모바일 기상서비스 체계 구축사업 착수보고회 개최(5.18) - 모바일 웹사이트 개선,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개발, 앱(APP) 경진대회 개최 등 향후 추진계획 발표 |
정상 |
6월 |
○ 신예보기술국제협력사업 실시계획 수립(6.15) - 대내·외 사용자 교육 및 워크숍을 통해 시스템 활용도 제고, 신규기능 추가 및 개선을 통해 개발도상국에 대한 기상분석기술 지원 강화 ○ 국가 기상관측자료 표준화 및 공동활용 체계 구축사업 계약체결(6.11) 및 관측기관 합동 워크숍(6.17∼18) - 사업대상 유관기관과의 유기적인 협조체계 구축 및 사업수행에 필요한 주요 결정사항 협의·조정 |
정상 |
- 166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기상자료수집·처리확대 건수 |
700 |
0 |
○ “국가 기상관측자료 표준화 및 공동활용 체계 구축” 사업 계약 체결(6.11) 및 추진 - 워크숍 개최(6.17∼18)를 통한 사업 추진방향, 사업내용 등 착수보고 |
○ 목표 미달성 사유
— 사업 완료 후 연말에 최종 실적치 제시 가능
- 167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통신사업자가 2009년말 국내에 도입·보급하기 시작한 아이폰으로 촉발된 스마트폰의 인기 - 외국의 날씨정보 애플리케이션이 앱스토어를 통해 확산 이용되고 있음 ○ 개발도상국 지원을 위한 기상분석시스템 필요 - 아시아, 아프리카 등 개발도상국을 위한 예보시스템 개발 및 지원 필요성 대두 ○ 긴급 지진정보와 태풍, 집중호우, 폭설 등의 기상상황 시 홈페이지 접속자 폭증 - 긴급한 기상상황 시 인터넷 서비스 접속 응답시간 지연 발생 ○ 직제 개정에 따른 본청 개인 PC 부족현상 발생(4월) - 본청 인원 증원에 따른 본청 개인 PC 부족 |
○ 국내 스마트폰 환경에 적합한 날씨정보 콘텐츠 개발·보급 필요 - 모바일 기상서비스체계 구축사업 추진(2월) ○ 개발도상국에 대한 기상분석기술 지원 강화를 위한 실시계획 수립(6월) - 기상청의 기상기술과 경헙을 개발도상국에 다각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사업 추진 ○ 홈페이지 인터넷 서비스의 안정적 지원을 위한 접속자 부하 분산 서비스 운영 - 홈페이지 CDN 서비스를 통한 접속자 부하 분석 서비스 실시(3월) ○ 축소 및 페지된 부서의 PC 본청 재분배(4월)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제 6차 세계기상기구 정보시스템조정그룹(ICG- WIS) 회의 개최(2.22∼2.26) - 독일기상청 국장, 기본체계위원회(CBS) 의장 등 WMO 기술위원회 대표 8인, 각 분야별 전문가 13인 참가 |
○ 세계기상기구 정보시스템조정그룹 회의 개최를 통한 기상청 역할과 위상 제고 - 향후 GTS를 대체하게 될 새로운 WMO 정보시스템 체계에서의 정보시스템 운영정보 및 관련동향 정보 확보 |
○ 국가 기상관측자료 표준화 및 공동 활용체계 구축 사업 관련 관측기관 합동 워크숍 개최(6.17∼6.18) - 사업수행과 관련된 유기적인 협조체계 구축 |
○ 사업대상 유관기관과 정보공유 및 주요 결정사항을 협의·조정 - 사업 현황, 추진방향, 사업내용 등 정보를 공유하고 기상관측표준화 실무위원회 개최를 통한 구축 대상기관 선정 |
- 168 -
국립기상연구소
2010년도 상반기 성과점검회의
• 연구기획운영팀 169
• 정책연구과177
• 예보연구과180
• 기후연구과183
• 지구환경시스템연구과190
• 황사연구과193
• 응용기상연구과196
|
Ⅴ- 3- 주요정책② : 기상연구 실용성 확보 강화 |
□ 목 적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기후변화예측 핵심기술 등 국가적 수요에 따른 연구와 초단기‧동네예보, 태풍‧황사‧지진‧해양 등 예보업무현장에서의 기상연구 수요를 반영한 현업지원기술개발을 위한 연구 강화
○ 집중호우, 황사, 파랑 등 재해기상 및 기후변화예측에 대한 실용적 연구성과를 도출하고 연구개발 수요처와의 신속한 환류를 통한 연구성과의 실용화를 위해 적극 노력
□ 주요내용 및 성과
○ 위험기상 등의 예측능력 향상을 위한 현업 실용화 기술 개발 및 개선을 위한 연구(18개 과제, 본청 현업부서 및 항공지방기상청 요청)
— KLAPS의 초단기 기상분석 및 예측시스템 개선 (6.15.17:30 시범운영)
— 파랑실황도 개발 및 현업화 : 현업운영 중인 파랑예측시스템에 매 3시간 간격의 파랑실황도 산출(5.19 06:00, 종합기상정보시스템 표출)
— 동아시아 황사 관측망 운영 기술 지원 : 한‧중 황사관측소 운영자 교육(1.27~2.5/중국 14인, 국내 5인)
— 황사장기예보를 위한 통계모델 시스템 구축 및 현업이관(6월 3주) 등
※ 18개 과제 중 현업 이관 및 완료과제 5과제, 총 진척률 67%
○ 지역 기상특성 연구역량 강화를 위한 현장연구 수행(14개 과제, 17개 본청 및 지방청 부서 수행)
— 연합과제 : 서울‧경기 위험기상 개념모델개발(예보국), 3차원 분석시스템을 활용한 개념모델 개발연구(6개 지방청)
— 동해안 연안 파랑 특성 분석, 적설자동관측장비별 자료 비교 연구, 황사 육안판독기술 개발 등 지역별 위험기상 특성 반영 연구
- 169 -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계 획 |
추 진 실 적 |
비고 |
1월 |
○ 현장 및 현업화 과제 추진계획 수립 |
○ 2010년 현장 및 현업화 과제 추진과제수립 통보(연구기획운영팀- 250, '10.1.18) - 관련 : 국립기상연구소 연구개발사업 관리규정(기상청 훈령 제 635호, '09.09.15) 및 연구기획운영팀5599- ('09.12.31) - 현업화 연구과제(18개 과제), 현장연구과제(14과제, 118백만원) ○ 2010년 소속기관 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 알림(기상기술과- 229, '10. 1.22) - 내용 : 연구개발사업 심의위원회(‘10.01.14 ~ 01.19)를 통하여 수립한 「소속기관 연구개발사업 ’10년 시행계획(안)」알림, 현장 및 현업화 연구과제 사업 내용 반영 |
정상 |
○ ‘기상과학발전위원회’ 구성 |
○ 학계·언론계 등 외부인사 중심으로 ‘기상과학발전위원회’ 구성·운영으로 연구조직 강화 필요성 확보(정책연구과- 1993, ‘09.12.18 정책연구과- 1015, ’10. 5.28, /정책연구과- 325 , ‘10. 2.25, 총 3회 개최) |
||
2월 |
○ 현장연구과제 수행 |
○ 2010년 현장 및 현업화 과제 추진과제수립 통보(연구기획운영팀- 250, '10.1.18)에 따라 2월부터 10월까 과제 수행 |
정상 |
3월 |
○ 국립기상연구소 조직 발전방안 마련 |
○ 범부처적인 기상R&D 강화를 위한「국립기상과학원 조직발전방안」마련 (연구기획운영팀- 1881,'09. 5. 8/청장님 내부결재) - 내용 : 기상예보 선진화, 기후변화 대응, 미래 녹색산업 성장, 위험기상 대비를 효율적으로 실천하기 위한 행정인프라 구축 추진 ○ 국립기상과학원 조직발전방안(수정 보완) 마련 제출‧통보(연구기획운영팀- 1008,1009/'10. 3. 4) - 내용 : 현 국립기상연구소(1팀 6과 70명) → 국립기상과학원(2부 9과 2센터 약 128명 수준) - 협조부서 : 행정관리담당관실 |
정상 |
6월 |
○ 현장 및 현업화 과제 성과도출 워크숍 |
○「2010년 상반기 현장 및 현업화 과제 성과도출을 위한 워크숍」개최 및 결과 보고(연구기획운영팀- 2714, 2845, 2846, 3131/ ‘10. 5.28, 6.7, 6.23) - 일시/장소 : /‘10. 6.15. 09:30~17:30/사학연금관리공단 2층 회의실(여의도 소재) - 참석자 : 본청 및 지방청 연구과제 실무자, 기상기술과 R&D 담당자, 국립기상연구소 연구책임자 및 관리자 등 60명 - 목적 : 창의적이고 내실 있는 2011년도 현장 및 현업화 과제 실용적 연구과제 도출 실용적 연구성과 도출을 위한 현장연구 및 현업화 과제 중간 점검 연구소 및 본청‧지방청 부서원과의 원활한 의견소통의 장 마련 |
정상 |
- 170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현업화 연구 수용률 |
70 |
78 |
○ 1, 2차 수요조사 수행(연구기획운영팀- 822, ‘09.2.26, 연구기획운영팀- 4935, ’09.11.25) 및 심의 결과 통보(연구기획운영팀- 5599, ‘09.12.31) - 현업화 연구 총 수요건수 : 23건 (1차 수요조사 결과 : 7건, 2차 수요조사 결과 : 16건) - 수용율 : 18건/23건 |
현장연구 수용률 |
42 |
58 |
○ 1, 2차 수요조사 수행(연구기획운영팀- 822, ‘09.2.26, 연구기획운영팀- 4935, ’09.11.25) 및 심의 결과 통보(연구기획운영팀- 5599, ‘09.12.31) - 현장연구과제 총 수요건수 : 24건 (1차 수요조사 결과 : 10건, 2차 수요조사 결과 : 14건) - 수용율 : 14건/24건 |
실용화 연구 만족도 |
82.50 |
82.61 (상반기) |
○상반기 현업 및 현장연구과제 실용화 만족도 조사(연구기획운영팀- 3131, ‘10. 6. 23) - 관련 : 「2010년 상반기 현장 및 현업화 과제 성과도출을 위한 워크숍」결과보고 - 워크숍 개최 후 과제 담당자 대상으로 4개분야 7개항에 대한 설문 조사 실시 - 만족도 결과 : 82.61%(19명 만족 / 23명 설문응답 / 대상 : 본청 및 지방청 예보, 관측 관련 직원 등 과제 담당자)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2009년 현장 및 현업화 과제 성과도출을 위한 워크숍」,「기상연구 조직발전 및 R&D 활성화 워크숍」 개최 결과보고 시 본청 현업부서와의 상호 의사소통 부재로 인한 장애 존재(연구기획운영팀- 2232, ‘09.6.1/ 연구기획운영팀- 3354, 3615, ‘09.08.10, ’09.08.28) - 본청 현업업무의 의견 수렴 및 연구 참여 기회 확대 필요 - 연구과제수 및 예산 지원 확대 필요 ○「2010년 상반기 현장 및 현업화 과제 성과도출을 위한 워크숍」개최 등으로 과제 진행 모니터링 수행(6.15) - 조직 및 인사개편 등으로 인한 연구 지속 수행의 어려움, - 연구비 집행 및 연구원 활용에 관한 여러움 - 연구정보 및 자료 공유/ 연구방향 등에 관한 어려움 |
○ 연구소와 본청 현업부서간 소통의 길 확대 - 「2009년 기상연구 주요성과 분야별 설명회」 개최를 통한 연구분야별 주요성과에 대하여 본청 관련부서와의 공유 및 현업화 과제 발굴도모(‘01.4.15~/부서별 개최) (연구기획운영팀- 1953, ’10.4.19) - 현장 및 현업화 과제 수요조사 확대 : 1회/년, 상반기 → 2회/년, 상하반기 과제형식의 진화 : 단년도‧단일기관→다년도‧연합기관 권장 과제 수 및 예산 지원 확대: 28건(113백만원) →32건(118백만원) 소통의 길 확대 : 각 업무별 의견 수렴 및 다수의 의견을 듣기 위하여 워크숍, 의견 조사 등 - 국립기상연구소 팀제 운영을 통한 본청 협업부서와 연계하여 각 카운터 파트별로 개편 및 인력배치로 현업지원 극대화(연구기획운영팀- 2463, ‘10.05.17) ※ 많은 사람들의 의견을 듣고, 반영함으로써 연구업무 개선뿐만 아니라 상호 이해와 신뢰 제고에 도움 ○ 워크숍 등을 통하여 반영된 건의 사항에 따른 조치방안 강구 추진(연구기획운영팀- 3131, ‘10. 6. 23) - 연구수행을 위한 인센티브 방안 마련 등으로 동기부여 검토 추진 - 연구비 집행 및 연구원 활용에 관한 여러움 : 관련 담당부서와의 협의에 의해 원활한 집행 지원 및 연구원 업무 조정 - 연구정보 및 자료 공유/ 연구방향 등에 관한 어려움 : 연구소 담당자와의 직‧간접적인 의견 교류 기회 제공(세미나, 회의, 교육 등) |
- 171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기상청 관측기반국 기상기술과의 「R&D 역량 확충을 통한 기상기술 역량강화」를 위한 공조 체계 구축 - 기상업무발전 기본계획(‘07~’11) 및 성과관리 전략계획(‘07~’11)의 전략체계 하에서 수립 ○ 2011년 기상청 현안업무 수행 및 실용화 기술 확보 등을 위한 기상연구 R&D 예산 중장기 재정계획 수립 및 예산확보방안 방안 마련(기상청 기획조정관 기획조정담당관/기획재정부) |
○ 기상청 R&D 사업 기획, 심의 및 평가 등 공조 - 2010년 소속기관 연구개발사업 심의 및 시행계획 수립(기상기술과- 229, '10. 1.22) - 2010년 연구용역사업 심의위원회 개최결과 통보(기상기술과- 5620, ‘09.12.31) - 기상 R&D 연찬회 개최 참석(4.14~16/ 대전리베라호텔): 기본연구개발 사업 발전 방향 및 기상업무 규정, 2011년 예산 확보 전략 등 토의(기상기술과- 1139, ‘10.04.08, 기상기술과- 1420, 2010.04.27) ‧현업화‧실용화 지원강화를 위한 실적위주의 선정‧결과평가로 변경 ‧연구소 수행 연구사업 정의 및 규정 제‧개정 필요 요청 ○ 2011년 기상연구 R&D 예산 확보(안) 수립(메모보고,기획개정담당관- 6.16) - 내용 : 2010년 132억원 대비 2011년 예산 507억원(300% 증) ‧기상조절기술사업(예비타당성 사업, 80억원) ‧도시기상 및 권역별 수문기상 기술개발(60억원) ‧재해기상연구센터 설립운영(65억원) 등 - 6.4 국과위 세부사업 사전설명회(선진기상기술개발)/기상기술과 메모보고- 6.1 - 6.24 기재부 세부사업 예산설명회(선진기상기술개발 등 5개 사업)/기획재정담당관실 메모보고- 6.20 |
- 172 -
Ⅴ- 3- R&D② : 기상업무지원 기술개발 |
□ 목 적
○ 재해성 기상(집중호우, 황사, 폭설 등)에 대한 단·중기 예보능력 향상 제고
○ 진보된 수치예보기술 연구개발을 통한 독자수치예보모델 개발 토대 마련
○ 국가 차원의 기후변화 대응 전략 수립을 위한 기후변화 과학정보 산출
○ 관측과 예측 선순환체계 구축을 통한 관측시스템의 패러다임 전환
○ 주요 현안에 대한 정책적 대응방안 연구
□ 주요내용 및 성과
(예보기술 지원 및 활용 연구)
○ 관측기술기반의 재해기상 예측능력 향상 연구
— 도시기상 감시 및 예측기술 개발을 위한 대도시 초단기 감시능력 강화 및 예측기술 고도화 계획 수립(1월), 수증기 분포 감시능력 강화를 위한 GPS 수신기 설치(인천, 서울/6월)
— 산악지형이 유발하는 위험기상 매커니즘 분석을 위한 고밀도 산악 집중관측 실시계획 수립(5월)
— 제3차 THORPEX 워크숍 및 제7차 아시아지역위원회 개최(6.3~5/하얏트리젠시제주)
— 수치예보모델 구름물리과정 검증용 관측시스템 기반구축을 위한 라이더식 운고계 도입 완료(6월) 및 구름레이더 도입 추진(4월~)
○ 통합모델(UM) 개선 지원 연구
— 통합모델 지면자료 개선효과 및 강수과정 물리과정 검증,
— 지역통합모델의 물리과정 세부 최적화 실험 수행과 격자규모의 비현실적인 대류성 강수현상 개선연구 진행
(기후변화 예측 기술 지원 및 활용 연구)
○ 국가 표준 기후변화 시나리오 개발 추진
— 지구시스템모델(HadGEM2- AO) 이용, 관측강제력에 대한 150년 전지구 현재 기후변화 시나리오 생산
— 한반도 장기 지역 기후자료 분석을 통한 지역 기후변화 평가 및 기후변화 이해하기 자료집[VI: 제주의 기후변화,VII: 강원의 기후변화] 발간
— 3개월 예측시스템 운영과 예측자료 제공 및 계절기상전망을 위한 지원
— 2010년 범부처 녹색기술포럼 개최 지원(3월) 및 제 5차 한‧러 공동 기후변화 워크숍 개최(5.26- 27/제주 칼호텔)
○ 수요자 맞춤형 기후변화 시나리오 지원 및 활용 시스템 개발
— 기후변화에 따른 남부 연안도시의 대응을 위한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 가공 및 제공(국토연구원)
(관측기술 지원 및 활용 연구)
○ 지구관측위성 자료를 이용한 기후감시정보의 산출기술 연구
— 지구관측위성을 이용한 북극해빙 감시체계의 구축(5월)
- 173 -
— 고분해적외분광간섭계(FT- IR) 도입, 설치, 시험운영 완료 : 기후변화감시센터 설치(안면도, 3월), 집중관측 수행 (5.25- 29.)
○ 레이더 활용기술 개발과 수문 기반 자료 산출
— 수문 감시용 레이더- AWS 강우강도 누적 표출시스템 현업화 : 임진강 유역 강수감시체계 구축을 위한 자료 지원(기후예측과), - 레이더- AWS 일 누적 강수량 표출시스템 현업화(‘10. 06)
○ 해양변화의 감시기술 개발과 해양기상예측시스템 현업운영과 개선
— 파랑실황도 현업 체계 구축 (COMIS 표출)과 연안 파랑 예측 개선(동네예보 표출)(5월)
(황사감시 예측 기술 지원 및 활용 연구)
○ 동아시아 황사종합감시‧분석을 통한 황사예보 지원
— 제4기 황사해외 모니터(몽골 및 중국 거주 59명) 운영(2월)
— MODIS AOD와 예측장을 활용한 연무/황사 예상 이동경로 표출(3월)
○ 봄철 황사전망 예측 지원(2월) 및 황사농도단기예측모델(UM- ADAM, 슈퍼컴 3호기) 현업화(6월)
(지진감시 기술 지원 및 활용 연구)
○ 지진관측 표준화를 위한 제주 지진관측소 상시미동 관측 실시(4월) 및 청양 지자기 자료를 활용한 자기폭풍 감시기술 개발(6월)
○ 북한 인공지진에 대한 일본 및 중국 지진파형 특성 분석(5월)
(기상기술전략개발 연구)
○ 주요 현안에 대한 정책적 대응방안 제시를 위한 동향 조사 및 자료 발간
— 기상기술‧정책 정보 동향 조사(주1회/1월~6월), 「정책정보노트」3회 발간, 「기상기술정책지」2회 발간
○ 기상정보 가치에 대한 사회적 인식 제고를 위한 「기후산업과 기상정보 활성화 워크숍」개최(4.7)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연구성과 현업화 수 |
28 |
32 |
○ 2010년 현장 및 현업화 연구과제 심의 결과 통보(연구기획운영팀- 5599, ‘09.12.31) - 초단기 기상분석 및 예측시스템 개선 및 한‧영 공동 기후예측시스템 구축, 파랑실황도 현업 체계 구축과 연안 파랑 예측 개선, 광대역지진센서(CMG3T) 관측특성 비교 연구 등 총 32건 진행 수행 |
국가기술개발건수 |
2 |
12월 평가 |
○ 결과 지표로서 12월말 누적 평가 예정 |
SCI급 게재 논문수(건) |
16 |
9 (상반기) |
○ 기후변화 3건, 관측기술 및 지진감시기술 지원‧활용 등 총 9건 게재 |
- 174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해외 기상청의 예산, 조직, 인력 현황에 대한 정보 수요 발생 ○ 선진 기상기술 동향에 대한 정보 수요 발생 ○ CMIP5, 전지구 기후변화 시나리오 표준 양식에 따른 제출 요청(WMO) - 전지구 기후변화 시나리오 객관성 확보 및 IPCC 5차 평가보고서 기여를 위한 CMIP5 참여, 이에 따른 표준 양식에 따른 자료 제출 요청 ○ 한영 공동 계절예측시스템 구축 및 운영을 위한 협정체결 추진과정의 이견 발생 - 협정서 초안의 위약금 항목에 따른 협정체결 지연 ○ 해남 국가 위험기상 집중관측 센터 내 관측부지 협소 및 장비운영시스템 설치 부적합 - 일부 관측장비는 인근 부지를 임차하여 사용 중이며, 관측장비 운영공간이 가건물 내에 설치되어 안정된 운영을 위해 보다 나은 관측환경으로의 이전이 필요 ○ 통합모델(UM)의 현업운영에 따른 시급한 개선 필요 인식 - 수치모델관리관실과의 업무협의를 통해 통합모델의 격자규모 이상과다 강수모의에 대한 문제점 인식 ○ 서울 황사감시센터(송월동)의 관측시설(옥상- 컨테이너)의 개선을 통한 안정적 관측환경개선 필요 |
○ 정보노트 발간 - NOAA의 예산 조직 등에 관한 정보노트 발간(정책연구과- 293/‘10.02.19) - 일본 기상청 예산 조직 등에 관한 정보노트 발간(정책연구과- 476/‘10.03.17) ○ “세계기상기술동향”에 관한 정보노트 발간(정책연구과- 1100/‘10.06.09) ) ○ 전세계 전지구 기후변화 시나리오 산출을 위한 프로젝트 CMIP5의 요구에 따른 산출 자료 종류, 시간, 포맷 등 변경 제출 ○ 협정서 내용 중 위약금 조항에 관한 한영 기상청간 의견 조율 및 합의 도출(기후연구과 메모보고 ‘10.6.7, ’10.5.27, ‘10.5.26 등 다수) - 위약금 액수와 보험보증 조항 삭제 합의 및 영국기상청 담당자와 원격협의 - 차장님 영국기상청 방문시 협정서 체결예정(‘10.6.21) ○ 해남 국가 위험기상 집중관측 센터의 보성이전 추진(예보연구과- 123/‘09.1.23), (예보연구과- 2185/‘09.11.10) - ‘10년 2월 수직측풍장비 이전계약 체결을 시작으로 오토존데, 운고계 설치 등 이전 추진 중 ○ 통합모델(UM)의 격자규모 이상 과다 강수모의 원인규명 및 개선연구 착수(5월) - 통합모델의 강수모의 관련 모든 물리변수에 대한 모델계산과정 조사 ○서울 황사감시센터(송월동)의 관측환경 개선(6월) - 옥상 창고를 관측실로 개조 활용(소음방지, 천공, 전기, 수도 공사 실시) |
- 175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THORPEX 국제관측프로그램과 관련하여 워크숍 및 회의 개최(6.3~5/하얏트리젠시제주)(예보연구과- 1365/10.06.09) - 목적 : 아시아 지역내 THORPEX 회원국 간 자국 프로그램 진행상황 소개 및 토의 수치예보모델, 자료동화, 관측기술 연구의 효율적 협력체계 구축 - 주요결론 : ARC 내에서 GIFS- TIGGE와 NWP분야의 실무그룹을 구성하여 ARC 활동과 향후 협력을 강화/ ARC의 TIGGE 관련 자료를 개도국 위험기상연구에 지원하여 남아시아지역 기상예보 지원 |
○ 중국, 일본, 대만, 미국, 러시아, WMO 등 관계기관과 재해성 기상현상 관측 및 예측성 향상부분에 대한 협조체계 강화 |
○ 국가녹색성장위원회 주관 국가 녹색성장전략 및 5개년 계획 추진 - 실천과제 3- 1- 3, 3- 1- 4 추진(기후정책과- 446,‘10,2,11) ○ 기상청 기후변화 대응 역량 강화 협력 - 시나리오 제공을 위한 웹서비스 구축 및 활용을 위한 협조 체계 구축 ○ 기후과학국과의 업무협조 정례화 - 3개월 예측자료 제공 및 기후예측전문가 회의 참여 현행 유지 - 장기예보 토의 참석 정례화(월 1회) - 기후변화 진단 및 예측에 관한 과제발굴위원회 참여 |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국가 녹색성장 전략 5개년 계획에 따른 예측기술 확보 및 시나리오 개발 추진 - 월별 추진 실적 제출(메모보고) 및 매주 녹색성장 홍보 실적과 계획제출(메모보고) ○ 기상청 기후변화 대응 역량 강화 협력 - 웹기반 기후변화 시나리오 서비스 제공 운영 지원 (기후정책과- 2812,‘09.12.31/ 기후정책과- 778,’10.3.16) ○ 지역 기후업무 활성화 워크숍 및 실무자 교육 공동주최(기후연구과- 1006/‘10.5.12) - 일시/장소: 2010.5.13~14/대전지방기상청 - 주요내용: 지역 기후업무 및 지역 장기예보 발전방안 도출(기후예측과- 998/ ‘10.5.7, 한반도기상기후팀- 146/’10.5.20, 기후예측과- 1200/‘10.5.26) |
○ 녹색성장위원회와 기상청의 공동 주최로 기후변화‧녹색성장 정책 홍보 및 대국민 이해 증진을 위한 포럼 개최(기상청 기후정책과, 국립기상연구소 정책연구과) |
○ 제1회 기후변화와 미래 포럼 개최(2.09.(화) 11:00~14:00/소공동 롯데호텔) - 발표주제/발표자 : 기후변화와 녹색산업 / ①한화진 청와대 환경비서관 ②황진택 삼성지구환경연구소 상무 - 참석자 : 산업, 학계, 언론, NGO 등 오피니언 리더 70여명 등 |
○ 기상청 주최, 지방청과 국립기상연구소의 공동주관으로 기상청의 기후변화∙녹색성장 업무의 소개 및 대국민 이해 증진(정책연구과- 416.‘10.03.10) |
○ 제2회 기후변화와 미래 포럼(3. 30.(화), 10:30~13:00/해운대) - 주제 및 발표자 : 기후변화와 해양산업(K. Crawford 선진화 추진단장김수암 부경대학교 자원생물학과교수) ○ 제3회 기후변화와 미래 포럼(4. 14(수) 11:00~13:30/광주) - 주제 및 발표자 : 기후변화와 에너지산업(권원태 기후연구과장 문승현 광주과학기술원 교수) ○ 제4회 기후변화와 미래 포럼(5. 25(화) 17:00~20:30/제주) - 주제 및 발표자 : 기후변화와 농업발전 (기상청 기후연구과장 권원태, 온난화대응농업연구센터장 임한철) |
- 176 -
|
자체주요업무 : 다학제적 기상정책·전략 개발을 위한 기반 강화 |
□ 목 적
○ 정책‧기술환경 변화와 기상기술 수요다양화에 따른 다학제적 기술 정책연구 및 개발 강화
□ 주요내용 및 성과
○ 다학제적 정책 연구 강화를 위한 정보‧지식 네트워크 강화
— 기상기술‧정책 정보 동향 조사(주1회/1월~6월)
— 「정책정보노트」3회 발간
— 「기상기술정책지」2회 발간
○ 기상‧기후변화에 대한 커뮤니티 형성 및 미래 전략분야 발굴
— 기후변화 과학 및 영향에 대한 대국민 인식과 이해 증진을 위한 「기후변화와 미래포럼」4회 개최
— 미래 정책‧전략 커뮤니테이션 특강 2회 개최
— 기상과학발전방안 수립을 위한 기상과학발전위원회 2회 개최
○ 기상정보 가치에 대한 사회적 인식 제고 방안 마련
— 기상산업 활성화 기반조성을 위한 「기후정보와 기상산업 활성화 워크숍」개최
— 국내 기상기술력 평가를 위한 조사 분석 연구
○ 실용적인 기상 정책‧기획연구 수요조사
— 기상정책연구 수요자 간담회 개최
- 177 -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계 획 |
추 진 실 적 |
비고 |
1월 |
○ 기상정책연구 수요자 간담회 개최 |
○ 기상정책 연구 수요자 간담회 개최(1.21)(정책연구과- 122, ‘10.01.21) - 2010년 기상정책연구 과업지시서 검토 및 추진계획 공유 |
정상 |
2월 |
○ 제6회 미래 정책전략커뮤니케이션 특강 개최 ○ 제1회 기후변화와 미래포럼 개최 ○ 제2회 기상과학발원위원회 개최 ○ 기상정책정보노트(10- 1) 발간 |
○ 제6회 미래 정책전략커뮤니케이션 특강 개최(2.3)(정책연구과- 231, ‘10.02.08) ○ 제1회 기후변화와 미래포럼 개최(2.9)(정책연구과- 251, ‘10.02.11) ○ 제2회 기상과학발원위원회 개최(2.25)(정책연구과- 361, ‘10.03.03) ○ 기상정책정보노트(10- 1) 발간(2.18)(정책연구과- 293, ‘10.02.19) |
정상 |
3월 |
○ 기상정책정보노트(10- 2) 발간 ○ 제2회 기후변화와 미래포럼 개최 ○ 기상기술정책지(2010년3월호) 발간 |
○ 기상정책정보노트(10- 2) 발간(3.16)(정책연구과- 476, ‘10.03.17) ○ 제2회 기후변화와 미래포럼 개최(3.30)(정책연구과- 622, ‘10.04.07) ○ 기상기술정책지(2010년3월호) 발간(3.29)(정책연구과- 566, ‘10.03.31) |
정상 |
4월 |
○ 기상산업 활성화 기반조성을 위한 워크숍 개최 ○ 제3회 기후변화와 미래포럼 개최 ○ 기상정책정보노트(10- 3) 발간 |
○ 기상산업 활성화 기반조성을 위한 워크숍 개최(4.7)(정책연구과- 652, ‘10.04.13) ○ 제3회 기후변화와 미래포럼 개최(4.14) (정책연구과- 722, ‘10.04.21) ○ 기상정책정보노트(10- 3) 발간(6.9)(정책연구과- 1100, ‘10.06.09) |
정상 정상 지연 |
5월 |
○ 제4회 기후변화와 미래포럼 개최 ○ 제7회 미래 정책전략커뮤니케이션 특강 개최 ○ 제3회 기상과학발원위원회 개최 |
○ 제4회 기후변화와 미래포럼 개최(5.25)(정책연구과- 1066, ‘10.06.06) ○ 제7회 미래 정책전략커뮤니케이션 특강 개최계획(5.31)(정책연구과- 1063, ‘10.06.06) ○ 제3회 기상과학발원위원회 개최(5.28)(정책연구과- 1065, ‘10.06.06) |
정상 |
6월 |
○ 기상기술정책지(2010년6월호) 발간 ○ 제5회 기후변화와 미래포럼 개최 |
○ 기상기술정책지(2010년6월호) 발간(6.28)(정책연구과- 955, ‘10.05.19) ○ 제5회 기후변화와 미래포럼 개최(6.30) |
정상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녹색성장 정책홍보 및 대국민 인식도 제고(%) |
83 |
12월 평가 (결과지표) |
○ 기후변화와 미래포럼 이해도 및 만족도 조사 |
정책연구 지원 만족도(%) |
94.0 |
12월 평가 (결과지표) |
○ 기상기술정책지에 대한 내부 및 외부 평가위원의 종합적 평가 결과 - 정보의 필요성(가중치 4), 정보의 중요성(가중치 5), 정보의 시의성 및 적절성(가중치 3), 정보의 전문성(가중치5), 정보의 파급효과(가중치3) 등 5개 평가항목을 5개의 평가등급 |
- 178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기상기술정책정보에 대한 정책 수요 증가 |
○ 기상기술정책정보 서비스 DB 기능 개선 및 디자인 재구축(정책연구과- 848, ‘10.05.06/정책연구과- 1148, ‘010.06.17) |
○ 해외 기상청의 예산, 조직, 인력 현황에 대한 정보 수요 발생 |
○ 정보노트 발간 - NOAA의 예산 조직 등에 관한 정보노트 발간(정책연구과- 293, ‘10.02.19) - 일본 기상청의 예산 조직 등에 관한 정보노트 발간(정책연구과- 476, ‘10.03.17) |
○ 선진 기상기술 동향에 대한 정보 수요 발생 |
○ 정보노트 발간 - “세계기상기술동향”에 관한 정보노트 발간 (정책연구과- 1100, ‘10.06.09) |
○ 기후변화와 미래 포럼의 성공적 개최를 위한 관계관들의 이행 증진 필요 |
○ 기후변화와 미래 포럼의 관계관 희의 개최 (정책연구과- 416, ‘10.03.10) - 행사 주제 및 일정 등의 조율, 연구소의 지원 가능 사항, 언론 홍보 방식 등 성공적 포럼 개최를 위한 다양한 논의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녹색성장위원회와 기상청의 공동 주최로 기후변화‧녹색성장 정책 홍보 및 대국민 이해 증진을 위한 포럼 개최(기상청 기후정책과, 국립기상연구소 정책연구과) |
○ 제1회 기후변화와 미래 포럼 개최 - 발표주제/발표자 : 기후변화와 녹색산업 / ①한화진 청와대 환경비서관 ②황진택 삼성지구환경연구소 상무 - 일시/장소 : 2010.02.09.(화) 11:00~14:00/소공동 롯데호텔 - 참석자(외부참석자) : 산업, 학계, 언론, NGO 등 오피니언 리더 70여명 |
○ 기상청 주최, 지방청과 국립기상연구소의 공동주관으로 기상청의 기후변화∙녹색성장 업무의 소개 및 대국민 이해 증진 |
○ 제2회 기후변화와 미래 포럼 - 일시/장소/참석자 : 3. 30.(화), 10:30~13:00/해운대 그랜드호텔(6층 에메랄드홀)/108명 - 주제 및 발표자 : 기후변화와 해양산업(K. Crawford 선진화 추진단장김수암 부경대학교 자원생물학과교수) ○ 제3회 기후변화와 미래 포럼 - 일시/장소 : 2010. 4. 14(수) 11:00~13:30/광주 라마다플라자호텔 (5층) - 주제 및 발표자 : 기후변화와 에너지산업(권원태 기후연구과장 문승현 광주과학기술원 교수) - 참석자(143명) ○ 제4회 기후변화와 미래 포럼 - 일시/장소/참석자 : 2010. 5. 25(화) 17:00~20:30/제주 칼호텔(2층 대연회장)/103명 - 주제 및 발표자 : 기후변화와 농업발전 (기상청 기후연구과장 권원태, 온난화대응농업연구센터장 임한철) |
- 179 -
|
Ⅰ- 1- 주요정책⑥ : 초단기예보시스템 개발 |
□ 목 적
○ 초단기 위험기상에 대한 신속성, 적시성, 예측성을 갖춘 초단기 예보시스템의 개발
— 국정과제(2- 7- 32) 기상예보의 선진화 「동네예보(WID) 서비스 개선」추진
— 기상선진화를 위한 10대 우선과제 「5- 1 초단기예보시스템 개발」추진
○ 3시간 간격으로 발표하는 단기 예보와 이음새 없는 예보를 위해 초단기예보(1∼3시간) 지원
□ 주요내용 및 성과
○ 초단기 동네예보의 대국민 시범서비스 개시(6.15)
— 매 1시간 마다 실황 및 초단기예보(1〜3시간) 생산 및 지원
· 초단기 실황요소(7개) : 강수량, 하늘상태, 강수형태, 기온, 풍향, 풍속, 습도
· 초단기 예보요소(3개) : 강수량, 하늘상태, 강수형태
○ 초단기 기상분석 및 예측시스템(KLAPS 3.0) 개발(6.1) 및 현업화 완료(6.15)
— 통합모델과 연계체계 구축, 레이더 처리과정 개선, 비단열 초기화 과정 개선 등
— 실황분석을 위한 구름분석 강화, 강수분석 개선 등
— 2010년 4월 강수유무 정확도(ACC) : 1시간 예측 96.2%, 2시간 예측 95.8%, 3시간 예측 95.3%
— KLAPS 3.0 슈퍼컴퓨터 3호기 이식 및 현업화 완료(6.15)
○ 초단기 강수확률예측시스템 구축 완료(5.31)
— 강수에코의 시·공간 규모별 생존 주기를 고려한 강수확률예측시스템 개발
— 종합기상정보시스템(COMIS) 연계를 내부시험운영 중
○ 위험기상 입체분석을 위한 2009년도 고해상도 재분석 자료 생산(4.28)
— 1시간 간격의 5km 해상도 재분석자료 생산 및 WebFAS 활용을 위한 배포
- 180 -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계 획 |
추 진 실 적 |
비고 |
2월 |
○ 초단기 예측모델 개선계획 수립 |
○ 동네예보 실황 및 초단기예보 지원계획 수립 (예보연구과- 386, ‘10.2.24) - 동네예보 실황지원, 이음새 없는 동네예보를 위한 초단기예보 지원 계획 수립 |
정상 |
3월 |
○ 통합모델의 현업운영에 따른 연동체계 구축 |
○ 초단기예측시스템 통합모델 연통체계 구축 (예보연구과- 718, ‘10.3.31) - 통합모델 예측결과 변환 및 KLAPS 연동체계 구축 - GDAPS 결과와 비교해 통합모델을 사용한 경우 해수면기압의 예측성 향상 |
|
4월 |
○ 레이더 자료 처리 및 비단열 초기화과정 개선 |
○ 레이더자료 처리 및 비단열 초기화기법 개선 (예보연구과- 991, ‘10.4.28) - 겨울철 레이더 반사도 임계치 조절 - 위성자료를 이용한 구름분석 과정 개선을 통한 초기화 과정 개선 |
정상 |
○ 2009년도 고해상도 재분석 자료 생산 |
○ 2009년도 고해상도 재분석 자료 생산 및 배포 (예보연구과- 989, ‘10.4.28) - KLAPS 기반의 1시간 간격, 5km 해상도의 3차원 재분석 자료 2009년도분 생산 - 종합기상정보시스템(COMIS)를 통한 사용자 배포 |
||
5월 |
○ 동네예보 실황제공 체계 구축 |
○ 동네예보 실황제공 체계 구축 (예보연구과- 1259, ‘10.5.31) - KLAPS기반의 실황분석 체계 구축(실황 7개 요소) - 실황제공을 위한 내부 시험운영 실시(‘10.5.17 14:30부터) ○ 초단기 강수예측향상을 위한 예측모델 물리과정 개선 (예보연구과- 1262, ‘10.5.31) - 초단기 예측모델의 물리과정개선, 배경장 생산시 4차원자료동화적용 등 - 동네예보 초단기 예보지원을 위한 시험운영 |
정상 |
6월 |
○ 2009년도 위험기상연감작성 |
○ 2009년도 재분석 자료를 사용한 위험기상 구조 및 메커니즘 분석 - 2009년도 위험기상 사례(집중호우 등)에 대한 구조 및 메커니즘 분석 정리 |
정상 추진중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초단기예측시스템의 예측숙련도(%) |
27.1 |
12월 평가 (결과지표) |
○ 초단기 기상분석 및 예측시스템의 개선을 통한 예측성능향상 - KLAPS 3.0 개발완료 및 현업화 - 개선된 기상분석 및 예측시스템을 이용한 초단기 동네예보서비스 실시 |
고해상도 재분석 자료 생산 및 활용도 지수 |
15 |
12월 평가 (결과지표) |
○ 2009년도 고해상도 재분석 자료 생산 - 1시간 간격, 5km 해상도의 3차원 분석장 생산 및 배포 |
- 181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동네예보가 성공적으로 안착한 것으로 평가되나, 기상실황에 대한 정보제공 미비로 예보에 대한 신뢰도가 저하될 가능성 상존 - 기술개발 정도와 제반여건을 고려하여 초단기 동네예보서비스 시행시기 조정 필요 ○ 초단기 예보요소 중에서 적설에 대한 예측은 난해한 문제로 이에 대한 현 기술수준의 점검 및 시행가능시기 조절 필요 |
○ 예보국과의 주요현안에 대한 업무협의 (예보연구과- 122,‘10.1.19) - 초단기 동네예보서비스를 상반기(6월) 중으로 앞당겨 시행요구 ○ 동네예보 실황 및 초단기예보 지원계획 수립 (예보연구과- 386, ‘10.2.24) - 동네예보 실황지원, 이음새 없는 동네예보를 위한 초단기예보 지원 계획 수립 - 기존에 12월중 시행 예정이던 계획을 6월중으로 조기 달성계획 수립 ○ 초단기 예보시스템 개발을 위한 자문회의 (예보연구과- 394,‘10.2.25) - 레이더를 이용한 강설추정, 예측 문제점 및 자료동화를 위한 품질관리 알고리즘 개발 관련 자문 - 2010년 겨울철 방재기간을 대비하여 우선 강수유형판별 알고리즘 개선에 주력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초단기예보시행을 위한 TFT(‘10.3- 12) (예보정책과- 1267, ’10.4.7) - ‘10년 6월 초단기예보서비스 시행을 효과적 추진 - 예보정책과 주관으로 관련 부서 매주 점검 회의 ○ 초단기예보를 위한 기상레이더센터, 국가기상위성센터와 업무연계 - 초단기 강수예측시스템(실황예보)의 예측자료 제공 및 검증 - 기상레이더 품질관리프로그램 공동 활용 및 전략공유 등 - 하늘상태 산출개선을 위한 국가위성센터 프로그램 공유 ○ 국가기상슈퍼컴퓨터센터 추진기획단의 응용모델이식지원반 활동 - 초단기 기상분석 및 예측시스템(KLAPS 2.2)의 슈퍼컴 이식 지원 ○ 국토부 한강홍수통제소, 소방방재청 국립방재연구소와 돌발홍수예측모델 공동 개발 - 기상청 초단기 예측자료를 이용한 하천, 산지돌발홍수 예측시스템 연계기술 개발 |
○ 초단기 기상분석 및 예측시스템 개발, 개선(KLAPS 3.0) - 초단기 동네예보서비스를 위한 개발, 개선 완료 (예보연구과- 1283, ‘10.6.1) - 예보관을 대상으로 한 교육(지경노 등) 및 개선요구 반영 ○ 초단기예보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는 기상레이더, 위성 관측자료 처리 기술 공유 - 초단기강수예측모델(MAPLE) 결과의 기상레이더센터 제공 및 검증 - 기상레이더 품질관리프로그램 제공 및 기술공유 (예보연구과- 576, ’10.3.16, 관측운영과- 867, ‘10.3.19) - 하늘상태 산출코드 요청 및 기술공유 (예보연구과- 853, ‘10.4.15) ○ 초단기 기상분석 및 예측시스템의 슈퍼컴 이식(KLAPS 2.2) - 통합모델과 연동된 KLAPS 2.2의 슈퍼컴 3호기 이식 관련 업무 협조 ○ 초단기 수문방재시스템 개발을 위한 유관기관과 연계기술 개발 - KLAPS 예측자료를 활용한 한강홍수통제소 유역돌발홍수시스템 개발 협의 - 국립방재연구소 초단기 강수예측모델(MAPLE) 과 연동된 여름철 산간계곡 홍수위험 예측시스템개발(보도자료: 소방방재청, ‘10.5.30) |
- 182 -
|
Ⅰ- 2- 주요정책③ : 기후변화 예측정보 생산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지원 |
□ 목 적
○ 국가 기후변화 대응 및 지원을 위한 국가 표준 기후변화 시나리오 개발
— 국정과제(2- 7- 32) 기상‧기후산업 육성 「기후변화과학분야 역량강화」추진
— 국가 녹색성장 전략 및 5개년 계획(3- 1- 3) 추진 및 27대 핵심 국가녹색기술포함
○ 지구시스템모델 개발을 통한 미래 기후 예측 능력 강화
— 국가 녹색성장 전략 및 5개년 계획(3- 1- 4) 추진 및 27대 핵심 국가녹색기술포함
□ 주요내용 및 성과
○ 국가 표준 기후변화 시나리오 개발
— 지구시스템모델(HadGEM2- AO) 이용, 관측강제력에 대한 150년 전지구 현재 기후변화 시나리오 생산
※ 영국 해들리센터와 공동으로 전지구 기후변화 시나리오 개발을 위한 국제 프로젝트(CMIP5) 수행 중
— 한반도 장기 지역 기후자료 분석을 통한 지역 기후변화 평가 및 기후변화 이해하기 자료집[VI: 제주의 기후변화,VII: 강원의 기후변화] 발간
— 한반도 극한 기후 특성 분석 및 극한 강수 빈도 분석을 위한 통계기법 개발
— 한반도 기후에 영향을 미치는 제트 기류 변화 분석
○ 지구시스템모델 개발을 통한 미래 기후 예측 능력 강화
— 대기- 해양- 해빙 결합 개선 추진 및 육상 탄소순환 결합 평가를 위한 식생 연변화 강제력 실험 수행
— 관측경계자료를 사용한 10년 규모 장기적분을 위한 지역기후모델 실험 설계 및 시험 적분 수행
— 육상 탄소순환과정 및 황순환과정 모듈 개발 추진
- 183 -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계 획 |
추 진 실 적 |
비고 |
1월 |
○ 기본 연구개발 과제 시행 계획 수립 |
○ 국가기후변화시나리오 및 지구시스템모델 개발을 위한 연구개발 과제 시행계획 수립 (메모- ‘10.1.12/기상기술과- 229, ‘10.1.22) |
정상 |
○ 한‧영 과학계획서에 따른 분기보고서 작성 |
○ 한‧영 과학계획서에 따른 지구시스템 모델 개발 현황 및 계획에 관한 분기보고서 작성 (기후연구과- 149, ’10.1.25) |
정상 |
|
2월 |
○ 기후변화 이해하기VI- 제주의 기후변화- 발간 |
○ 제주시를 중심으로 제주지역 기후변화 분석 및 자료집 발간 (기후연구과- 378, ‘10.2.25) - 제주시 76년간 1.6℃상승 등 제주 기후요소 변화 평가, 현상일수, 제주고 기후분포특성 분석 ○ 기후변화 이해하기VI 및 보도자료 배포로 기후변화 홍보(보도자료, ‘10.5.24) - 경향신문 등 12건 보도 및 제5회 기후변화와 미래포럼 연계, 제주의 기후변화 발표(‘10.5.25) |
정상 |
3월 |
○ 국제공동연구 계획 수립 |
○ 기후변화 연구 협력 활성화 및 선진기후모델 개발을 위한 국제공동연구계획 수립(기후연구과- 593,‘10.3.24) - 선진기후모델 개발을 위한 한‧영, 한‧호 협력 강화 및 기후변화 시나리오 산출 및 분석 기술 향상을 위한 한‧일 협력 추진, 한러 워크굡 개최 추진 |
정상 |
4월 |
○ 효율적 과제 수행을 위한 학술용역 착수 |
○ 2010년도 과제 수행을 위한 학술용역사업 착수보고서 개최(기후연구과- 728,‘10.4.7) 및 착수 - RCP 고해상도 기후변화 시나리오 생산 등 5개 과제 착수 |
정상 |
5월 |
○ 기후변화 이해하기VII- 강릉의 기후변화- 발간 |
○ 강릉시를 중심으로 한 강원 기후변화 분석 및 자료집 발간(기후연구과- 1161,‘10.5.31) - 98년간 1.2℃ 기온 상승 및 228mm 강수량 증가 |
정상 |
6월 |
○ 한영 공동협력기반 12개월 예측시스템 구축 |
○ UM 활용 12개월 예측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반모델의 슈퍼컴 3호기 장착 및 최적화 수행 (6월 중 문서화 예정) - 대기- 해양결합모델(HadGEM3)의 슈퍼컴 3호기 기반 최적화 수행 및 작업 환경 구축 |
정상 추진중 |
- 184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기후변화 시나리오 개발 실적 (건수) |
1 |
연평가 (결과지표) |
○ 전지구 기후변화 시나리오 산출을 작업 수행 - 전지구 규모에 대한 표준 프로토콜(변수, 포맷 등) 작성 - 135 km 해상도에 대한 전지구 관측 강제력에 근거한 현재 기후변화 시나리오 생산 |
통합지구시스템모델개발 진척도 |
40 |
연평가 (결과지표) |
○ 통합지구시스템모델 개발을 위한 육상 탄소순환 결합 평가 - 육상 탄소순환 결합 평가를 위한 식생 연변화 강제력 실험 설계 및 적분 수행 - 육상 탄소순환모듈 개선 및 기후모의 평가를 위한 학술용역 추진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기후변화 이해하기 VI 제주의 기후변화 배포 시기 조절 - 기후변화 홍보 극대화를 위한 자료 배포 조정 필요 ○ 녹색성장과제 “국가 표준 기후변화 시나리오 생산 및 제공”이 중점 추진과제로 선정 (메모, ‘10.2.23) - 이 과제와 연계 추진 중인 3- 1- 3이 중점 추진과제로 선정됨에 따라 계획 수정 및 보완 필요 ○ 전지구 기후변화 시나리오 객관성 확보 및 IPCC 5차 평가보고서 기여를 위한 CMIP5 참여, 이에 따른 표준 양식에 따른 자료 제출 요청 ○ 기후변화 시나리오 신뢰도 향상을 위한 지표 식생 복원을 위한 기획연구 추진 ○ 지구시스템모델의 단위 기후과정 모듈 개발을 위한 “과제발굴연구회” 추진 |
○ 기후변화와 미래 포럼 개최와 연계 기후변화 이해하기 배포(정책연구과- 487,‘10.3.17) - 기후변화 홍보 극대화를 위해 기후변화와 미래포럼과 연계, 보도자료 및 자료집 배포 ○ “국가 표준 기후변화 시나리오 생산 및 제공”이 2010년 중점 추진과제로 선정에 따른 추진계획 작성 및 제출(메모, ‘10.2.23) - 추진 일정 및 세부 추진 계획 보완 제출 및 월별 추진 실적 제출 ○ 전세계 전지구 기후변화 시나리오 산출을 위한 프로젝트 CMIP5의 요구에 따른 산출 내용(자료 종류, 산출 시간, 최중출력물 포맷 등) 변경 ○ 기후변화 시나리오 신뢰도 증진을 위한 “동아시아 지표 식생 변동자료 복원 및 예측”을 위한 기획 연구 추진 및 계약 체결(기후연구과- 1176,‘10.6.4) ○ 지구시스템모델 세부 기술개발 전략 보완을 위해 기술 개발 로드맵 구축 및 2011년도 신규 연구개발과제 도출을 위한 “과제발굴연구회” 추진 |
- 185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녹색위 주관 국가 녹색성장전략 및 5개년 계획 추진 - 실천과제 3- 1- 3, 3- 1- 4 추진(기후정책과- 446,‘10,2,11) ○ 기상청 기후변화 대응 역량 강화 협력 - 시나리오 제공을 위한 웹서비스 구축 및 활용을 위한 협조 체계 구축 - 제32차 IPCC 총회 개최를 위한 TFT (기후정책과- 1114,‘10.4.9) - 기후업무발전 종합기본계획 수립 - 국립기상연구소 연구성과 설명회 정례화 ○ 정부부처 및 유관기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협조 - 국가기후변화적응센터 기후변화 적응대책 포럼 지원(국가기후변화적응센터- 697,‘10.3.29) - 국가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기본계획 수립(환경부 기후변화협력과- 889,‘10.4.15)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국제 기구 및 사업과 연계 - IPCC(UN 기후변화위원회), WMO WCRP |
○ 국가 녹색성장 전략 5개년 계획에 따른 예측기술 확보 및 시나리오 개발 추진 - 월별 추진 실적 제출및 매주 녹색성장 홍보 실적과 계획제출(메모보고) ○ 기상청 기후변화 대응 역량 강화 협조 - 웹기반 기후변화 시나리오 서비스 제공 운영 지원 (기후정책과- 2812,‘09.12.31/ 기후정책과- 778,’10.3.16) - 제32차 IPCC 총회 개최를 위한 TFT 참여 및 업무 수행(기후연구- 741,‘10.4.9) - 기후업무발전 종합 계획‧세부계획 수립 참여 (메모보고) - 기후분야 연구 성과 설명회를 통한 기상연구개발 사업의 체계적, 효율적 관리체계 마련(기후연구과- 902/‘10.4.26) ○ 정부부처 및 유관기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협조 - 국가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전문가 활동, 기본계획 작성(기후정책과- 1248,‘10.420) 및 검토(메모보고)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국제 기구 및 사업과 연계 실적 - IPCC 기후변화영향평가를 위한 자료/시나리오 지원 태스크그룹(TGICA) 위원 (메모,‘10.3.25) - IPCC(UN 기후변화위원회) 제5차 평가보고서 작성을 위한 저자 선정(메모,‘10.5.23) - 전지구 기후변화 시나리오 산출을 위한 세계기상기구 산하 국제 프로젝트 WMO/WCRP/WGCM CMIP5 참여(cmip- pcmdi.llnl.gov/cmip5) - 지역기후변화시나리오 산출을 위한 국제 프로젝트 WMO/WCRP CORDEX 참여 |
- 186 -
자체주요업무 : 단기 기후예측시스템 개발 연간진척도 |
□ 목 적
○ 대기- 해양 결합모델 기반의 기후예측 기술선진화 및 상세 기후전망 서비스 확대
— 대기- 해양 결합모델(한영 공동 계절예측시스템) 기반의 3∼12개월 기후예측시스템 개발
— 상세 지역기후전망 지원을 위한 지역기후 예측시스템 개발
— 확률예보를 위한 기후모델 후처리기법개발
□ 주요내용 및 성과
○ 국립기상연구소 3개월 예측시스템 운영을 통한 현업지원
— 앙상블계절예측시스템 운영을 통한 3개월 예측자료 생산 및 관련부서(기후예측과, APEC 기후센터) 제공 (월 1회)
— 기후예측전문가 회의 참석, 발표, 예보 토의(2, 5월) 및 장기예보 현업지원 강화를 위한 관련부서 업무회의(3, 6월)
○ 결합모델 기반 12개월 예측시스템 구축을 위한 모델 기후값 생산
— 과거 기후값 생산을 위한 모델코드 및 작업환경 슈퍼컴 3호기 구축(6월)
— 상세 장기예측을 위한 지역기후모델 슈퍼컴퓨터 3호기 장착(6월)
○ 확률예측을 위한 기후모델 후처리기법 개발
— 과업지시서 및 사업제안서 심의, 조달계약 추진(2월) 및 착수보고회 개최(4월)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계 획 |
추 진 실 적 |
비고 |
매월 (1∼6월) |
○ 3개월 예측시스템운영 및 예측자료 제공 |
○ 국립기상연구소 앙상블계절예측시스템을 이용한 3개월 예측자료 생산 및 관련부서 제공(기후연구과- 82/‘10.1.14, 288/’10.2.12, 498/‘10.3.12, 783/’10.4.14, 1021/‘10.5.14, 1255/’10.6.14) - 제공변수: 강수량, 해면기압, 850 hPa 기온 및 바람, 500 hPa 지위고도, 200 hPa 바람 - 제공부서: 기후과학국 기후예측과, APEC 기후센터 - 제공방법: 인트라넷 서버를 통한 이미지자료/ftp 전송을 통한 디지털자료 |
정상 |
2월 |
○ 2010년 봄철 기후예측전문가 회의 참석 및 발표 |
○ 2010년 봄철 기상전망을 위한 기후예측전문가 회의 참석, 발표, 토의(기후예측과- 227/‘10.2.4) - 일시/.장소: 2010.2.17(수) 14:00∼16:00/국제회의실 - 주요내용: 2010년 봄철 기상전망, 엘니뇨/라니냐 및 황사 전망 발표 및 토의 |
정상 |
3월 |
○ 장기예보 현업지원을 위한 관련부서 업무회의 |
○ 장기예보 현업지원을 위한 업무회의 개최(기후연구과- 639/‘10.3.29) - 일시/장소: 2010.3.30(화) 11:00∼12:00/8층회의실 - 주요내용: 3개월예측결과 제공 및 한영 공동기후예측시스템 구축에관한 논의 |
정상 |
4월 |
○ 학술용역연구 착수 |
○ 학술용역연구조달계약추진(기후연구과- 255/‘10.2.8) 및 착수보고회 개최(기후연구과- 728/‘10.4.7) - 과제명: 확률예측을 위한 기후모델후처리기법개발(II) - 일시/장소: 2010.4.8(목)/14:00∼18:00 - 연구책임자: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오희석교수 |
정상 |
5월 |
○ 2010년 여름철 기후예측전문가 회의 참석 및 발표 |
○ 2010년 여름철 기상전망을 위한 기후예측전문가 회의 참석, 발표, 토의(기후예측과- 985/‘10.5.6) - 일시/.장소: 2010.5.18(화) 14:00∼16:00/5층 회의실 - 주요내용: 2010년 봄철 기후특성, 여름철 기상전망, 엘리뇨/라니냐 전망 발표 및 토의 |
정상 |
6월 |
○ 장기예보 현업지원을 위한 관련부서 업무회의 |
○ 장기예보 현업지원을 위한 업무회의 개최(기후연구과- 1244/‘10.6.11, 1262/’10.6.14) - 일시/장소: 2010.6.11(금)/13:30∼14:30/기후과학국 - 참석자: 기후과학국장, 기후예측과장, 기후연구과 담당연구관 등 5인 - 주요내용: 현업지원 현황점검, 장기예보 현업지원 강화 |
정상 |
○ 과거기후값 생산을 위한 모델코드 및 작업환경 최적화 |
○ 대기- 해양결합모델(HadGEM3) 코드 및 작업환경 최적화(6월중 문서화 예정) - 대기모델 코드 최적화 및 기후예측과 제공(기후연구과- 1221/‘10.6.9) - 대기- 해양결합모델 코드최적화 및 앙상블예측자료 생산을 위한 물리과정 및 작업환경 구축 |
정상 |
|
○ 상세장기예측을 위한 지역기후모델 슈퍼컴3호기 장착 |
○ 통합모델(UM)기반 지역기후모델의 슈퍼컴퓨터 3호기 장착(6월 중 문서화 예정) - HadGEM3 대기모델 버전 7.4 기반의 지역기후모델을 슈퍼컴퓨터 3호기에 장착 |
정상 |
- 187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단기 기후예측시스템 개발 연간 진척도 |
50 |
36 (상반기) |
○ 대기- 해양 결합모델 수퍼컴 3호기 장착 - 모델코드 최적화 및 대기모델 기후예측과 제공(기후연구과- 1221/‘10.6.9) - 앙상블 예측자료 생산을 위한 물리과정 설정 등 작업환경 구축 ○ 통합모델(UM)기반 지역기후모델의 슈퍼컴퓨터 3호기 장착(6월 중 문서화 예정) - HadGEM3 대기모델 버전 7.4 기반의 지역기후모델을 슈퍼컴퓨터 3호기에 장착 |
- 188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한영 공동 계절예측시스템 구축 및 운영을 위한 협정체결 추진과정의 이견 발생 - 협정서 초안의 위약금항목에 따른 협정체결 지연 - 의견 조율을 위한 영국기상청 담당자와 원격회의 추진 |
○ 협정서 내용 중 위약금 조항에 관한 한영 기상청간 의견 조율 및 합의 도출(기후연구과 메모보고 ‘10.6.7, ’10.5.27, ‘10.5.26 등 다수) - 위약금 액수 및 이를 위한 보험보증 조항 삭제 합의 - 양측 상호간 손실, 손해에 따른 책임이 없음을 협정서내에 명시하고, 불가피할 경우 원만한 해결을 위한 협의를 수행한다는 조항으로 대치 - 차장님 영국기상청 방문시 협정서 체결예정(‘10.6.21)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국립기상연구소 연구성과 설명회 정례화 - 기후분야 연구 성과 설명회를 통한 기상연구개발 사업의 체계적, 효율적 관리체계 마련 ○ 기후과학국과의 업무협조 정례화 - 3개월 예측자료 제공 및 기후예측전문가 회의 참여 현행 유지 - 장기예보 토의 참석 정례화(월 1회) - 기후변화 진단 및 예측에 관한 과제발굴위원회 참여 |
○ 국립기상연구소(기후분야) 연구성과 설명회(기후연구과- 902/‘10.4.26) - 일시/장소: 2010.4.26(월)/1층회의실 - 참석자: 기후정책과장, 기후예측과장, 기후연구과장 등 15인 - 주요내용: 2009년 기상연구 주요성과 설명 및 기후과학국 주요업무소개 ○ 지역 기후업무 활성화 워크숍 및 실무자 교육 공동주최(기후연구과- 1006/‘10.5.12) - 일시/장소: 2010.5.13~14/대전지방기상청 - 주요내용: 지역 기후업무 및 지역 장기예보 발전방안 도출 (기후예측과- 998/‘10.5.7, 한반도기상기후팀- 146/’10.5.20, 기후예측과- 1200/‘10.5.26) ○ 기후변화대응 역량강화를 위한 “기후업무발전 종합계획(안)” 수립 지원(청장님 업무보고, 기후과학국, ‘10.6.15) - 기후업무발전 종합계획의 세부추진계획(2- ①, 2- ③)에 “한영 공동 계절예측시스템” 및 “상세 계절예측시스템 구축” 업무 반영 |
- 189 -
|
자체주요업무 : 레이더- 해양 현업 활용기술 개발 |
□ 목 적
○ 현업용 도플러 레이더를 이용한 기상정보 산출 기술 개발
○ 현업 파랑 예측시스템의 성능 향상
□ 주요내용 및 성과
○ 현업용 도플러 레이더를 이용한 바람장 산출 기법 개발
— 다중 레이더 바람장 산출 기술 개발 착수보고회 개최(4월)
— 이중편파레이더 집중관측 계획수립(2월, 6월) 및 수행(3월, 8월)
— 현업기반 X- 밴드 이중편파레이더 자료 표출 시스템 구축 및 시험운영(6월)
○ 현업 파랑 예측시스템의 성능 향상
— 전지구 파랑모델 자료 입력을 위한 UM 전처리 과정 구축(2월)
— 현업 파랑 실황도 산출 체계 구축(5월), 동네 예보용 연안 파랑 예측 자료의 개선(5월)
— 파랑모델 예측성능 비교를 위한 전세계 부이 관측자료(약 220개소) 분석(1~12월)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계 획 |
추 진 실 적 |
비고 |
1월 |
○이중편파레이더 강설관측 계획 수립 및 수행 |
○ 이중편파레이더 강설관측 계획 수립 및 수행(지구환경시스템연구과- 75, ‘10.01.12) - 강설관측 수행(대관령 KT타워, 1.19 - 3.18) |
정상 |
2월 |
○2009년도 파랑예측 시스템 검증보고서 작성 ○수치 파랑모델 개선 진척도(슈퍼컴추진기획단) 보고 |
○ 2009년도 파랑모델 검증결과서 제출(지구환경시스템연구과- 235, ‘10.02.01) ○ 슈퍼컴 사용자 지원회의 및 추진단 점검회의 보고(주1회 메모보고, 응용모델이식지원반) |
정상 |
4월 |
○다중레이더 바람장 산출 기술개발 착수 보고회 개최 |
○ 다중레이더 바람장 산출 기술개발 착수 보고회 개최(지구환경시스템연구과- 936, ‘10.04.13) - 일시/장소: 2010년 4. 12.(월)/기상청 8층 회의실 - 참석자: 레이더운영팀장, 지환과장 등 15명 |
정상 |
6월 |
○X- 밴드 이중편파레이더 자료표출 시스템 시험운영 ○UM 과학계획서 분기보고서 제출 |
○ X- 밴드 이중편파레이더 자료표출 시스템 시험운영 - 아중편파레이더 자료 D/B 구축, 자료표출 시스템 초기 버전 구축(6.16) ○ 영국기상청과의 과학계획서 이행에 따른 분기보고서(파랑모델분야)제출(지구환경시스템연구과 - 1318, ‘10.05.19) |
정상 |
- 190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레이더 바람장 추정 정확도 |
4.6 |
12월 평가 (결과지표) |
○ 다중레이더 바람장 산출 알고리즘 개발 - 레이더 자료 전처리 과정 구축, - 다중레이더 수평바람장 산출 알고리즘 개발 - 가상바람장을 이용한 산출 알고리즘 검증 |
수치 파랑모델 정확도 |
76.0 |
12월 평가 (결과지표) |
○ 전지구 파랑예측시스템 개선 - UM통합모델자료 입력을 위한 전처리 과정 구축, - UM통합모델기반 파랑예측시스템 시험운영 - 파랑모델 72시간 예측결과와 전지구 부이관측 유의파고를 이용한 예측도 검증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2010년 여름철 북한지역 강수 감시 필요성 대두 ○ 기상레이더센터 설립에 따른 업무협조 |
○ 레이더 강수량을 이용한 북한지역 강수 감시 - 임진강 상류지역 레이더 강수 감시(한반도기상팀), - 레이더- AWS 누적강수량 자료 제공(6월) ○ 기상레이더센터 설립에 따른 워크숍 참가 및 발표 - 레이더품질향상 방안마련 워크숍(레이더분석팀- 186 (2010.5.28) |
- 191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통합모델(UM) 연동 해양기상모델의 현업운영을 위한 프로그램 제공 요청(슈퍼컴퓨터운영과) ○ 동네예보 제공 지역파랑모델 유의파고 예측자료 개선 요청(예보총괄과) ○ 이중편파레이더 활용기술 공동개발 및 연구(레이더분석팀) |
○ 현업운영에 사용될 전체/단위 프로그램 수정·제공 및 표출 그래픽개선·제공 ○ 수심에 따른 해상풍의 강도조절을 통한 지역 파랑예측시스템 개선 - 동네예보 파고예상도 개선보고(지경노, 2010.4.27) ○ 이중편파레이더 활용기술 개발 관련 정책 회의 - 레이더분석팀- 129(2010.5.18), 레이더분석팀- 175 |
- 192 -
|
Ⅰ- 1- 주요정책④ : 황사 감시와 예측능력 향상 |
□ 목 적
○ 동북아시아 황사감시 및 예측능력 향상으로 황사예보정확도 향상
○ 황사피해방지종합대책(2008. 05., 기상청 등 정부관계부처 합동)
—2012년까지 황사예보 정확도 70% 달성(최근 5년간 평균 예보정확도 62% 수준임)
□ 주요내용 및 성과
○ 황사전문예보관(6명) 일일근무편성 운영(‘09.12.~’10.5.)
— 야간 및 휴일 근무를 포함한 24시간 상시 황사예보지원
— 황사실황 감시와 종합분석 : 황사분석서 제공(190회) 및 상세브리핑 실시
— 중국 기상청 황사예보 및 기상정보 입수‧번역 제공(27회)
○ 제4기 황사해외모니터(아르고스) 확대 운영(2~6월)
— ‘09년 47명 → ’10년 59명 확대(몽골 29명, 중국 30명 - 봉사단원, 현지 유학생, 교민 등 )
— 황사발원지 및 이동경로상의 현지정보 입수‧제공(340건)
※ 활동우수자 20인 선정(기상청장상 10명, 그 외 우수자 10명 선정)(6월)
○ ‘10년 봄철 황사전망 생산 및 지원 : 황사 계절예측시스템 운영(2월)
— 황사 장기예측 역학 모델(UM) : 모델 해상도 N96(192×145, 38층), 20개 앙상블 실험 활용
— 황사 장기예측 통계모델 : 황사발원지 지상기온, 강수량, 강설량, 지상풍속 기후자료 활용
○ ‘10년 봄철 황사‧연무의 물리‧화학 특성 분석(5월)
— 장비 / 항목 : 다단입자채집기, 시료 용액화 장치 등 / 입자크기별 질량농도, 시간별 PM10 농도 등
- 193 -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계 획 |
추 진 실 적 |
비고 |
2월 |
○ 한‧중 황사공동관측소 운영자 교육 |
○ 한‧중 황사공동관측소 운영자 교육 실시(2월/황사연구과- 267,’10.2.10/관측운영과- 609,’10.2.26) - 기간/대상 : ‘10. 1.27~2.5(10일간, 40시간)/29명(중국 14인, 한국 5인) - 내용 : 황사관측장비(PM10, 시정계등) 관측원리, 운영, 활용사례 등 |
정상 |
○ 황사 전문예보관 운영 |
○ 황사전문예보관(6명) 운영(1월∼5월/황사연구과- 2551,‘09.12.29/ 황사연구과- 200,’10.2.1/황사연구과- 376, ’10.2.26/황사연구과- 655,’10.3.31/황사연구과- 923,’10.5.3) - 황사분석서 현업 제공(190회) 및 중국 기상청 황사예보 현업 제공(27회) |
정상 |
|
○ 황사 계절예측시스템 시험 운영 |
○ 황사 계절예측시스템 운영 : ‘10년 봄철 황사전망 지원(2월/황사연구과- 340,’10.2.22) - 황사 장기예측 역학모델(UM), 통계모델 운영 |
정상 |
|
3월 |
○ 황사 해외모니터(아르고스) 시행 |
○ 황사해외모니터 모집 및 위촉(59명, 2월/황사연구과- 245,’10.2.5) - 해외 거주 황사 해외모니터(몽골- 29명, 중국- 30명)가 현지 황사정보 제공(340건) ○ 황사해외모니터 활동우수자 선발·포상(6월) - 기상청장상 및 부상 수여(10인) |
정상 |
5월 |
○ 서울 황사감시센터 운영 (황사의 물리, 화학 특성 분석) |
○ ‘10년 황사‧연무의 물리화학 특성 분석 결과 보고(5월/황사연구과- 1155,’10.5.28) - 때/곳 : ‘10, 3월 / 서울황사감시센터(송월동) - 장비 : 다단입자채집기, 시료 용액화 장치 등 - 항목 : 입자크기별 질량, 이온(8종) 농도, 시간별 PM10 농도 등 |
정상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황사예보정확도(%) |
67.5 |
71.4 |
○‘10년 상반기 11차례의 황사발생에 대해 71.4%의 황사예보정확도 달성 - 임계성공지수(CSI, %)=H/(H+M+F)*100=45/(45+5+13)=71.4 ※ 황사 예보하고 황사 관측된 경우 (H) : 45회 황사 예보하지 않았으나 황사 관측된 경우(M) : 5회 황사 예보하였으나 황사 관측되지 않은 경우(F) : 13회 |
황사정보 실시간 서비스 제공 건수 |
0.9 |
0.81 (상반기) |
○ ‘10년 상반기 총 11회의 황사가 발생하여 수신대상자 13,646명에게 13회의 문자메시지를 발송하여 121,724건의 문자 수신 성공율 달성 ○ 황사정보 실시간 서비스 제공 지수 = (121,724/11) × (1/13,646) = 0.81
R : 황사정보 수신 성공자수(명):121,724, S 황사정보 수신대상자 총수(명):13,646, N:황사발생 횟수(회) : 11회 |
- 194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최근 대도시 연무현상증가로 연무기상정보 요구 증대되고 있음. - 연구용 황사입자계수기의 내륙 대도시지역 추가 설치 필요 ○ 통합모델 예측 기상장(슈퍼컴 3호기)을 활용한 황사농도단기예측모델(UM- ADAM)에 대한 예보관 교육 필요 ○ 슈퍼컴 3호기에서 황사농도단기예측모델의 현업운영을 위한 모듈 개발 필요 - 통합모델용(UM) 황사농도단기예측모델(UM- ADAM) 개발 - 예측결과의 그래픽 표출시스템 개발 ○ 서울 황사감시센터(송월동)의 관측시설(옥상- 컨테이너)의 개선을 통한 안정적 관측환경개선 필요 |
○ 황사입자계수기 추가 설치 지점 선정을 위한 현지조사 및 관련부서 협의(4월/황사연구과- 831,’10.4.22) - 현지환경조사 : 4.6~4.7(대구, 진주) - 관련부서회의 : 예보정책과, 관측운영과 등 (4.16 / 대구 선정) ※ 대구지역의 연무발생일수가 진주보다 2배정도 많아 최적의 후보지로 선정 ○ 통합모델(UM)을 이용한 황사예측모델 개발 교육(5월/황사연구과- 1008,’10.5.12) - 일시/장소 : 5,12,13,15,18(4회)/국가기상센터(소속기관 영상회의) - 내용 : UM- ADAM 소개 및 활용방법 ○ 황사단기예측모델(UM- ADAM)과 그래픽표출시스템 개발 및 이관계획 협의(6월/황사연구과- 1255,’10.6.11) - 모델(UM- ADAM)결과 및 표출시스템 결과 분석 - 향후 현업화를 위한 운영 일정‧방안 협의 ○서울 황사감시센터(송월동)의 관측환경 개선(6월/황사연구과- 1286,’10.6.16) - 옥상 창고를 관측실로 개조 활용(소음방지, 천공, 전기, 수도 공사 실시)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소방방재청 황사피해 조사사업 참여(3월) - 목적 : 대규모 황사발생시 국가적 차원의 신속한 대응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 기상연구 황사분야 주요성과의 체계적 관리와 활용 촉진 등 관리체계 마련(4월) - 본청 관련부서와의 주요성과 공유 및 연구협력방안 모색 ○「황사연구단」활동(5월) - 관련기관 : 기상청, 환경부, 지식경제부, 국립산립과학원 등 - 황사연구단 확대 개편 및 추진 방향 협의 ○「대기오염 측정망」운영 관련 부처와의 연계 - 관련부서 : 환경부, 지자체, 한국환경공단 등 |
○ 황사발생지역 현지조사 실시(소방방재청 기후변화대응과- 978,’10.3.30) - 참여기관 : 소방방재청 기후변화대응과, 방재연구소, 국립기상연구소 황사연구과 - 기간/지역/조사방법 : 4.6~7/대구, 진주/주민면담 및 설문조사 ○ 국립기상연구소(황사분야) 연구성과 설명회 개최(황사연구과- 891,’10.4.29) - 일시/장소 : 4.29(목)/회의실(1층) - 참석자(9명) : 예보상황과장, 예보정책과 및 기후예측과 주무사무관 등 ○「황사연구단」워크숍 참석(국립환경과학원 대기환경연구과- 1210,’10.5.12) - 일시/장소/참석자 : 5.25/과천 시민회관 /기상청, 환경부 등 30여명 - 발표 : 황사예측모델 개발‧개선(전영신) - 내용 : 분야별 황사대책 추진성과 및 확대개편 방향 협의 ○「대기오염 측정망 운영자」연찬회 참석(환경부 기후대기정책과- 1583,’10.4.19) - 일시/장소/참석자 : 5.27~28/경주/환경부, 시도담당자(16), 한국환경공단 등 - 발표 : 2010년 봄철 황사 현황 및 분석(김승범) - 내용 : 대기오염 측정망 운영관련 정책 방향 및 향후 발전 방향 |
- 195 -
|
Ⅲ- 2- 주요정책① : 기상‧기후정보를 이용한 기상자원지도 작성 |
□ 목 적
○ 녹색성장의 실질적 지원을 위한 기상자원지도 개발과 발전단지 맞춤형 기상예측 기술 개발
□ 주요내용 및 성과
○ 풍력- 기상자원지도 구축 시스템 및 그 구축방법 특허 출원(3.2), (응용기상연구과- 626,‘10.03.16)
○ 풍력- 기상자원지도 설계, 개발 및 서비스에 관한 ISO 인증 획득(3.29), (보도자료: 4.7)
○ 기상자원지도의 대국민 서비스 체계 구축
— 기상자원지도 홈페이지(www.greenmap.go.kr)를 통한 자료 제공(1.21 개설 이후 접속자수 : 약 13,000명)
— 학위논문 연구지원을 위한 수치 기상자원지도 자료제공(총 10회: 서울시립대, 에너지관리공단, 전북대 등)
— 기상산업 활성화를 위한 수치 기상자원지도 DB 제공(한국기상산업진흥원)
○ 북한 4km 해상도 태양- 기상자원지도 개발(5.31), (응용기상연구과- 1394/‘10.06.01)
○ 북한 및 전구 풍력- 기상자원지도 작성
— 4km 해상도 겨울철(12월~2월) 및 봄철(3월~5월) 북한 풍력- 기상자원지도 작성 완료
— 1° 해상도 2003년 전구 풍력- 기상자원지도 작성
○ 두산중공업(주)과의 업무협약 체결(4.26), (응용기상연구과- 1067/‘10.04.28)
— 두산 중공업 보유 마스트 관측자료 입수
— 풍력- 기상자원지도 활용 비즈니스 모델 개발을 위한 업무 협력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계 획 |
추 진 실 적 |
비고 |
2월 |
○ 풍력자원지도 ISO 인증을 위한 계획 수립 |
○ ISO 인증 획득을 위한 사업계획(안) 수립(2.2)(응용기상연구과- 244,‘10.02.02) 및 인증 획득(3.29) |
정상 |
5월 |
○풍력자원 검증을 위한 관측수행 착수 |
○ 풍력- 기상자원지도 개선을 위한 관측 현황 및 특별관측 계획 수립(5.31)(응용기상연구과- 1395/‘10.06.01) - 윈드 라이다 관측 수행 - 특별관측 계획 수립(10월 중, 강원도 산악지역 예정) ※두산중공업과의 MoU를 통한 두산중공업 보유 마스트 관측자료 입수 : MoU체결(4.26), 실무협의회개최(5.12), 남서해안 관측자료 입수(5.19) |
정상 |
- 196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기상자원지도 완성도(%) |
48 |
12월 평가 (결과지표) |
○ 4km 해상도 북한 태양- 기상자원지도 작성 완료(5.31) (응용기상연구과- 1394/‘10.06.01) ○ 1km 해상도 북한 풍력- 기상자원지도 50% 작성 완료(12월∼5월) ○ 연구지원 건수 : 총 10건(서울시립대, 에너지관리공단, 전북대, 공주대 등) ○ 기상자원지도 홈페이지 접속 건수 : 약 13,000명(1.21∼6.18)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풍력- 기상자원지도 개선을 위한 특별관측 계획의 개선 필요 - 다양한 지형에서의 관측 및 비교를 통한 검증 효율성 향상이 필요 |
○ 두산중공업과의 업무협약을 통해 우리나라 96개 지점의 마스트 관측자료 확보 ○ 비교 검증을 위한 특별관측계획 수립 - 지역 및 시기 : 지형에 따라 풍황 변화가 급격한 강원도 산악지역, 10월 |
○ 기상자원지도 개발 절차의 체계화 필요 - 보다 정교하고 넓은 영역의 기상자원지도가 요구됨에 따라 업무의 효율화 |
○ 풍력- 기상자원지도 ISO인증의 조기 달성 |
○ 국내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해외진출 등 산업 활성화를 위한 기상기술 개발의 필요성 증대 |
○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해외 진출을 위한 1차 입지선정에 필요한 전지구 영역의 1°해상도 풍력- 기상자원지도 제작 - 현재 2003년도에 대한 전지구 풍력- 기상자원지도 제작완료 - 10년의 기후값이 반영된 풍력- 기상자원지도 제작 중 |
○ 기상자원지도 정보의 사용 요구도 증가에 대한 대응 필요 |
○ 풍력- 기상자원지도 제작 특허 출원(응용기상연구과- 626/‘10.03.16) - 자원지도 정보공유에 대한 제약을 없애고, 수치 기상자원지도 제공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두산중공업과의 업무협약 체결 - 협력분야 : 학술정보 교류, 기술자문, 관측자료 및 연구기자재 공동활용, 상호연구 |
○ 두산중공업의 마스트 관측자료 확보 ○ 두산공공업의 풍력발전 예정지를 단지예보 시험지역으로 선정하여 단지예보 기술 개발의 발판을 마련함 |
- 197 -
Ⅲ- 2- 주요정책③ : 기상조절기술 개발 |
□ 목 적
○ 지속적 기상조절(인공강우) 실험 실시로 인공강우기술력 강화
□ 주요내용 및 성과
○ 인공강우의 통계적 유의성 확보를 위한 인공강우 실험횟수 강화
— 강화된 인공강우 비행실험(3→6차례) 실시[2.10(1회), 2.12(2회), 2.16(1회), 3.7(2회), 3.8(2회), 4.23(1회)]
○ 2010년 인공강우 비행실험 결과 보도자료 발표(6.14)
— 성공률이 기존의 기록과 유사하며, 이는 인공강우 비행실험기술이 점차 안정화되고 있음를 나타냄
※ 실험성공률: '08- '09년 43%(AgI 3회효과/7회) → '10년 44%(연소탄 4회 효과/9회)
— 인공증우량 : 기존대비 약 63% 향상
※ 평균 인공증우량: '08- '09년 0.57 mm → '10년 0.93 mm
○ 인공강우에 의한 대기질 세정효과의 가능성 확인
— 일시/지역/효과 : 2.12,4.23 /수도권 일대/4.23 안성(하개정) 2 ㎜의 인공우에 의한 세정효과 확인
— 염화칼슘 시딩에 의한 대기환경적 영향은 거의 없음
○ 인공강우 핵심기술 시험연구
— 임의풍향 인공강우 비행실험 및 검증 기술(PCT 국제특허출원, ‘09.11) 시험: 동풍이외의 풍향에서 55%(5회/9회, ’08~‘10년) 인공강우 효과 확인
— 레이더를 이용한 경로역추적기술 개발 및 시험: 연구소 이동식 레이더의 바람장을 이용한 강수구름 역추적 기술의 개발로 인공강우 효과 확인
- 198 -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계 획 |
추 진 실 적 |
비고 |
1- 5월 |
○ 임대항공기를 이용한 목표지역 인공강우 실험 실시 |
○ 인공강우 비행실험 실시 - 목표지역: 용평, 안동댐상류, 수도권일대 - 실험횟수: 6차례 비행 9회 인공강우 실험 실시 |
정상 |
6월 |
○ 안개저감 실험 계획 수립 및 실험 착수 |
○ 안개저감 실험 계획 수립(6월) - 안개저감 지상실험 및 첨단항공장비 구름(안개)내부 활용성 시험연구 |
정상 |
7월 |
○ 2010년 동계 비행/지상 인공강우 실험결과 발표 |
○ 2010년 비행 인공강우 실험결과 발표: 기상학회(5.13), 보도자료(6.14) ○ 2010년 지상 인공강우 실험결과 발표: 기상학회(5.13) |
정상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기상조절 실험 성공률(%) |
30 |
35 |
○ 기존대비 유사한 인공강우 비행실험 성공률로 안정적 기술단계 진입(1- 5월, 기상청 보도자료, 6.16)) - 43%(AgI 3회효과확인/7회실험, '08- '09년) →44%(4회효과확인/9회실험,‘10년) ※ 실험효과확인: 시딩지역대비 목표지역 연직구름 및 지상강수 증가확인 등의 방법 ○ 인공강우 기반기술 확보를 위한 지상실험 실시(1- 3월,응용기상연구과- 2337(‘09.12.02), 응용기상연구과- 978(’10.4.20)) - 32%(8회 효과확인/25회실험, ‘10년) ○ 성과지표 목표인공강우 비행 및 지상실험 총괄성공률 - 인공강우 실험 성공률35%(12회 효과확인/34회실험) 확보 |
기상조절 기술 개발률 |
40 |
30 (상반기) |
○ 국가지적재산권 확보를 위한 특허 출원 - 국내특허 출원 2건: 전천 구름수액량 연직산출시스템 및 방법(특허출원10- 2010- 0048566, ‘10.5.25)), 3차원 레이저 어레이부가 구비된 강수입자밀도 관측시스템(특허출원10- 2010- 0054814, ‘10.6.10) - PCT 세계특허출원 1건: 워터 커튼에 의한 도로의 안개차례방법 및 시스템(세계특허출원 PCT/KR2010/003894) |
- 199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기상조절기술 개발사업 예비타당성 조사사업 대응을 위한 자문위원 필요 - 예비타당성 평가사업의 원활한 진행 및 기술의견 수렴을 위한 전문가 자문위원 활용 필요 |
○ 기상조절기술개발 전문가 자문 위원 구성 및 회의 (응용기상연구과- 125, ‘10.1.8) - 오성남, 염성수 (연세대), 류찬수(조선대) 등 7명 자문 |
○ 기상조절기술개발의 체계적 연구를 위한 학술용역사업 필요 - 기상조절기술의 타당성, 경제성 등을 위한 객관적 자료 분석 |
○ 기상조절기술개발 관련 학술용역 사업 착수보고회 실시(응용기상연구과- 1028, ‘10.4.26) - ‘기상항공장비 및 기상조절기술개발 타당성 연구’ 학술용역 실시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녹색성장 환경부 실천과제 “기상조절기술개발” 수행(‘10. 1) - 환경부 녹색성장 실천을 위한 주요과제로 기상조절기술개발 연구 추진 |
○녹색성장기술 관련 업부 협조 수행 - 제 2회 녹색성장 추진관 토론회 참가 (기후정책과- 433, ‘10.2.11) |
○ 기상조절기술개발을 위한 관련기관 의견 수렴 - 경상북도 도청 관련 부서 방문 및 의견 교환 (‘10.5.12) - 기상조절기술(안개저감) 활용 분야 의견 수렴 (‘10.5.27) |
○ 기상조절기술 활용 관련 기관과 협의 추진 - 한국공항공사의 안개저감 기술 필요성을 공문으로 발송함 (한국항공공사- 안전보안실- 3831‘10.5.27) - 서울시청 인공강우기술관련 자료제공(서울시청 권영아박사(e- mail로 제공,‘10.6.8) |
- 200 -
Ⅴ- 3- R&D③ : 선진기상기술개발 |
□ 목 적
○ 미래 기상업무 발전을 선도하는 핵심 기상기술개발
□ 주요내용 및 성과
(선진기상기술개발연구)
○ 초단기 기상분석 및 예측시스템 고도화
— 초단기 기상분석 및 예측시스템 개선 : 구름분석과정, 비단열 초기화 과정 등 개선
— 초단기 강수확률예측시스템 구축 및 초단기 낙뢰예측모델 원형개발
○ 통합 지구시스템모델 개발 추진
— 대기- 해양- 해빙 결합 개선 및 육상 탄소순환모듈 결합 평가를 위한 장기적분 실험 설계‧적분 수행
— 지역기후모델 장기적분을 위한 실험 설계 및 관측 경계자료 사용 시험적분 수행
○ 시공간 고해상도 분석체계 및 응용기상기술 개발
— 고해상도(100m, 1시간 간격) 농업기상자료 분석시스템 구축 및 시험운영
— 도시기후분석시스템 입력자료 고도화(1m 해상도 건물) 수행 및 검증을 위한 도시기상 관측 계획 수립
○ 첨단 기상관측장비 개발
— 하늘상태자동관측시스템 시험 운영 및 개선
— 세계특허를 가진 첨단우량계 구축을 위한 설계 추진
(녹색성장 지원기술개발연구)
○ 풍력- 기상자원지도 특허출원(3.2) (응용기상연구과- 626, ‘10.03.16) 및 ISO 인증 획득(3.29) (보도자료: 4.7)
○ 북한 4km 해상도 태양- 기상자원지도 개발(5.31), (응용기상연구과- 1394/‘10.06.01)
○ 기상자원지도의 대국민 서비스 체계 구축(홈페이지구축, 학위논문지원(10회), 수치기상자원지도DB제공(한국기상산업진흥원))
○ 구름자원활용을 위한 인공강우실험 강화(3 → 6차례), 실험성공률 향상(43% → 44%)
- 201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국내외 학술지 게재 논문 수(건) |
1.3 |
1.7 (상반기) |
○ 초단기 기상분석 및 예측시스템 고도화 분야 SCI 3편 게재(APJAS 2편, Advances in Meteorology 1편) ○ 지구시스템모델개발 분야 SCI 2편 투고 중 ○ 신생활 기술개발분야 국내논문1편 게재 ○ 구름자원활용 기술관련 국내논문 3편(2편게재, 1편게재 확정), SCI 1편(개재) ○ 녹색성장 논문 실적 국내논문1편 게재(대기지) |
특허출원 수(건) |
3 |
3 (상반기) |
○ 전천구름수액량 연직 산출시스템 및 방법 (특허출원, ‘10.5.25) ○ 3차원 레이저 어레이부가 구비된 강수입자 밀도관측 시스템 (특허출원, ‘10.6.10) ○ 워터커튼에 의한 도로의 안개 차폐방법 및 시스템 (PCT, '10.6.17) ○ 풍력- 기상자원지도 구축 시스템 및 그 구축방법 (특허출원, ‘10.3.2.) (응용기상연구과- 626,’10.03.16) |
국제공동연구 건수 |
3.7 |
3.7 (상반기) |
○ 캐나다 맥길대학교와 초단기 예보 보정시스템 개발 공동연구 추진(신규) ○ 기후모델링 관련 한영협력 수행(1건) - 한영협력 관련 기후분야 과학계획서 이행 분기보고서 2편(1월, 5월) 및 실적보고서 1편(2월) 제출 - 6월 말까지 실적보고서 2편 더 제출 예정 ○ 신생활산업기상 관련 국제 공동과제 계속 수행(2건) - 한미공동 고온건강경보시스템 개발(III) 수행 - 한독공동 서울 기후분석 소프트웨어 개발(III) 수행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동네예보가 성공적으로 안착한 것으로 평가되나, 기상실황에 대한 정보제공 미비로 예보에 대한 신뢰도가 저하될 가능성 상존 |
○ 동네예보 실황 및 초단기예보 지원계획 수립 (예보연구과- 386, ‘10.2.24) - 동네예보 실황지원, 이음새 없는 동네예보를 위한 초단기예보 지원 계획 수립 - 기존에 12월중 시행 예정이던 계획을 6월중으로 조기 달성계획 |
○ 기후변화과학연구관리단 사업 수행에 따른 2011년도 연구개발 내용 조정 필요 |
○ 지구시스템모델의 단위 기후과정 성분모델의 개발을 위한 중장기 계획 보완 필요 - 세부 기술개발 전략 보완이 필요함에 따라 기술 개발 로드맵 구축 및 2011년도 신규 연구개발과제 도출을 위한 “과제발굴연구회” 추진(기상기술과- 1829, ‘10.5.28) |
○ 다양한 응용기상정보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핵심 기상기술 및 기상산업 활용기술 개발의 전략적 추진 필요 - 기존 전략연구('07)에 따른 대규모 투자 지연으로 중기 전략계획의 수정이 필요 |
○ 기존 사업의 전략 체계에 대한 보완 - 응용기상연구개발과제의 도출 “과제발굴연구회” 추진(기상기술과- 1829, ‘10.5.28) - 도시기상, 도로기상 등 정보기술 개발을 위한 기획연구 (기상기술과- 1800, ‘10.5.26) |
○ 하늘상태자동관측시스템 개선사항 토의 필요 |
○ 하늘상태자동관측시스템의 관측 및 표출 분야 개선 보안 - 기존 시범운영중인 시스템의 관측기기 및 S/W 보완 기술 협의 |
○ 풍력- 기상자원지도 개선을 위한 특별관측 계획의 개선 필요 - 다양한 지형에서의 관측 및 비교를 통한 검증 효율성 향상 필요 |
○ 두산중공업과의 업무협약을 통해 우리나라 96개 지점의 마스트 관측자료 확보 ○ 비교 검증을 위한 특별관측계획 수립 - 지역 및 시기 : 지형에 따라 풍황 변화가 급격한 강원도 산악지역, 10월 |
○ 기상자원지도 개발 절차의 체계화 필요 - 보다 정교하고 넓은 영역의 기상자원지도가 요구됨에 따른 업무의 효율화 |
○ 풍력- 기상자원지도 ISO인증의 조기 달성 |
○ 국내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해외진출 등 산업 활성화를 위한 기상기술 개발의 필요성 증대 |
○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해외 진출을 위한 1차 입지선정에 필요한 전지구 영역의 1°해상도 풍력- 기상자원지도 제작 중 - 2003년 전지구 풍력- 기상자원지도 제작완료 및 10년 기후값 자원지도 제작 중 |
○ 기상자원지도 정보의 사용 요구도 증가에 대한 대응 필요 |
○ 풍력- 기상자원지도 제작 특허 출원(응용기상연구과- 626/‘10.03.16) - 자원지도 정보공유에 대한 제약을 없애고, 수치 기상자원지도 제공 |
○ 아이슬란드 화산재 영향에 대한 국민적 관심도 증가로 인한 연무 현상 제반의 홍보 필요 |
○ 기존의 연무 리플렛 내용 보완 및 재인쇄 - 아이슬란드 화산의 개요 및 영향에 대한 내용 추가 및 재인쇄 (2000부) |
○ 구름자원 활용을 위한 기상조절기술개발 예비타당성 사업 진행을 위한 자문위원회 구성 필요 |
○ 기상조절기술개발 전문가 자문 위원 구성 및 회의(응용기상연구과- 125,‘10.1.8) - 오성남, 염성수 (연세대), 류찬수(조선대) 등 7명 자문 |
- 202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초단기예보를 위한 기상레이더센터 업무연계 - 초단기 강수예측시스템(실황예보)의 예측자료 제공 및 검증 - 기상레이더 품질관리프로그램 공동 활용 및 전략공유 등 |
○ 초단기예보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는 기상레이더, 위성 관측자료 처리 기술 공유 - 초단기강수예측모델(MAPLE) 결과의 기상레이더센터 제공 및 검증 - 기상레이더 품질관리프로그램 제공 및 기술공유 (예보연구과- 576, ’10.3.16, 관측운영과- 867, ‘10.3.19) |
○ 녹색위 및 환경부의 기후변화 대응 정책의 세부이행과제 추진 |
○ 녹색성장 5개년 계획 및 국가 기후변화 적응 기본계획의 이행과제 추진 - 월별/분기별 추진 실적 제출(1,2,3월) 및 녹색성장 주간 정책 및 홍보 실적 제출(1.21, 2.10, 3.22, 메모보고) |
○ “기후변화와 건강” 관련 협조체계 구축 |
○ 녹색성장위원회 “기후변화와 건강관리 실행계획”의 폭염 부분 등 작성 참여(녹색성장위원회- 1277, ‘10.06.15) ○ 보건복지부 “기후변화 건강영향” 기획과제 공동연구 참여(질병관리본부 전염병관리과- 1293, ‘10.06.18) ○ 서울시와의 업무협약(2.8)에 따른 관련 회의 개최(기상선진화담당관- 262 ‘10.02.08) - 서울기후분석 소프트웨어 개선을 위한 입력자료(Biotop) 협의(5.10) 등 2회 |
○ 시공간 고해상도 농업기상분석을 위한 경기도농업기술원과의 업무협약 체결(4.29) - 협력분야 : 관측자료 공유, 고해상도 농업기상 기술 공동 개발 등 |
○ 업무협약(응용기상연구과- 1083(2010.04.29))에 따른 실무협의회 개최(5.19) - 경기도 농업AWS자료 전송 및 시험분석자료 생산 |
○ 두산중공업과의 업무협약 체결 - 협력분야 : 학술정보 교류, 기술자문, 관측자료 및 연구기자재 공동활용, 상호연구 |
○ 두산중공업의 마스트 관측자료 확보 ○ 두산공공업의 풍력발전 예정지를 단지예보 시험지역으로 선정하여 단지예보 기술 개발의 발판을 마련함 |
- 203 -
국가기상위성센터
2010년도 상반기 성과점검회의
• 위성기획팀 205
• 위성운영팀215
• 위성분석팀218
|
V- 1- 주요정책③ : 선진기상위성서비스 구현을 위한 기술기반 고도화 |
□ 목 적
○ 천리안위성 기상자료처리시스템의 정규생산체계, 현업 및 비상운영체계 구축
○ 천리안위성 자료 정규서비스를 위한 인프라 보강과 서비스 개선
○ 천리안위성 기상관측자료 품질관리 체계 구축
○ 국제협력을 통한 선진기술 도입 및 개도국 지원
□ 주요내용 및 성과
○ 천리안위성 기상자료처리시스템 정규생산체계, 현업 및 비상운영체계 구축
— 기상산출물 16종 심층 분석 수행(2.26) 및 현업산출물과 상호비교 분석(5.31) (위성기획팀, 위성분석팀)
— 기상요소별 국내외 사용자에 대한 영상 서비스 계획 수립(4.30) (위성기획팀, 위성분석팀)
— 천리안위성 기상임무의 성공적 수행을 위한 "천리안위성 기상업무 자문위원회" 구성(5.31) (위성운영팀)
○ 인프라 보강 및 서비스 개선
— 전기설비 이중화, 낙뢰보호설비, 위성자료 DBㆍ웹서비스 통합 및 지상국 스토리지 보강 사업 진행 중 (위성기획팀, 위성운영팀)
— 일본 기상위성 운영전환(MTSAT- 2)에 대비한 수신 및 처리, 서비스체계 변경 (6.30 예정) (위성기획팀, 위성운영팀, 위성분석팀)
○ 천리안위성 기상관측자료 품질관리 체계 구축
— 전지구위성상호검정시스템 프로그램을 통한 국제공동 기상위성자료 검정 전략 수립(2.11) (위성기획팀, 위성운영팀)
○ 국제협력을 통한 선진 기술 도입 및 개도국 지원
— "기상위성자료활용 및 교육프로그램 운영 기술 습득" 국외단기 부처 맞춤형과정 연수(‘09.12.31 ~ ’10.2.24, 3인) (위성기획팀, 위성분석팀)
— 녹색성장위원회에 “동아시아 기후파트너십” 2010년 사업제안서 제출(위성운영팀- 323, ‘10.6.9)
- 205 -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계 획 |
추 진 실 적 |
비고 |
2월 |
○ 전지구위성자료상호검정시스템(GSICS) 연구 및 자료실무그룹 합동회의 참가 ○ 기상자료처리시스템 위성산출물 영상 및 검증 결과 분석보고 |
○ GSICS 구축을 위한 제5차 연구실무그룹회의 및 제4차 자료실무그룹회의 참가 - 일시/장소 : 2.9.~11.(3일)/프랑스 툴루즈 ○ 기상자료처리시스템 16종 기상산출물 분석영상 및 검증결과 심층 분석 수행 - 분석기간 : 2009년 3~12월(10개월) - 통신해양기상위성 기상산출물별 운영서비스 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 |
정상 정상 |
4월 |
○ 기상자료처리시스템 위성산출물별 운영서비스계획 수립 ○ 통신해양기상위성 발사 |
○ 통신해양기상위성 발사 후 기상 수치예보 지원 및 국내외 사용자에 대한 운영서비스 계획 수립(4.30) ○ 외부 요인(선행 발사체의 발사 지연)으로 통신해양기상위성 발사 지연됨 |
정상 지연 |
5월 |
○ 통신해양기상위성 운영위원회 구성 |
○「천리안위성 기상업무 운영규정」제정(5.31) - 기상청 내부의 의견조회(5.14~18)를 통한 의견수렴 후 운영위원회 등 천리안위성 운영방안 수립 ○ 천리안위성 기상업무 자문위원회 구성(5.31) - 구성 : 위원장 1인 포함 12인 - 업무 : 천리안위성 기상업무 및 업무지원의 효율적 추진 |
정상 |
6월 |
○ 일본정지위성(MTSAT2)을 이용한 기상자료처리 현업시스템 구축 |
○ 대체위성을 이용한 위성자료 서비스 체계 구축(6.30) - MTSAT- 2 위성자료 수신시험 및 자료처리/서비스 전환 준비 |
정상 |
○ 지연사유
— 선행 발사체(Ariane V194)의 3차례 발사 지연에 따른 천리안위성 발사 지연
○ 조치사항
— 선행발사체의 문제 수정여부에 대해 위성개발전문기관(한국항공우주연구원)을 통해 모니터링 및 보고조치 시행
— 통신해양기상위성이 프랑스령 기아나 꾸르 우주센터에서 6월24일 성공적으로 발사(완료)
- 206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위성자료확대 및 기술개발실적(건) |
7 |
4 |
○ 초단기예보활용을 위한 위성자료를 이용한 하늘상태 산출코드 개선 및 제공 (예보연구과) - 예보연구과- 853 (2010.04.15), 위성자료분석팀- 639 (2010.04.19) ○ 기상청 대표 홈페이지 위성자료 서비스 개선 (국민신문고, 민원, 해양기상과) - 위성분석팀- 527 (2010.03.31), 위성시스템운영팀- 717 (2010.04.07) ○ 구름분석작성법 의견 수렴 및 개선 (메모보고(2010.6.11.) 및 6월말 완료예정) ○ WindSAT, ASCAT 자료 표출 및 이를 이용한 태풍분석 서비스 제공 (시험운영 중, 6월말 완료예정) - 위성분석팀- 206 (2010.05.28) |
위성자료 개발기술 향상률 |
34 |
- |
○ 목표 미달성 사유
— 연목표임
○ 조치계획
— 통신해양기상위성의 성공적인 발사 및 운영, 위성산출물 사용자 요구사항 수렴, 국민신문고 등을 통한 서비스 개선 과정에서 기술개발실적 목표치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
— MTSAT- 1R 위성의 수명종료 및 일본 정지위성의 대체 운영(MTSAT2, ‘10.7월) 준비와 함께 대기운동벡터 산출알고리즘 개선 작업이 수행되었으며, 향후 MTSAT- 2 자료를 이용하여 개선 향상률 평가 예정
- 207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일본 현업 정지궤도기상위성 임무전환 - 2010년 7월 1일 03UTC부터 현행 MTSAT- 1R에서 MTSAT- 2 위성으로 임무전환 |
○ 위성영상 및 위성관측자료의 무중단 기상지원을 위한 대응 - MTSAT- 2 자료 수신 및 연속적 영상 서비스 준비 - MTSAT- 2 자료처리 및 분석자료 산출시스템 구축 및 서비스 준비 ○ MTSAT- 2 샘플자료의 사전입수 및 활용 - 일본 기상위성센터에 요청하여 MTSAT- 2 정규 및 집중관측자료 사전입수 - HRIT 자료 변환 및 자료 특성 분석 - 분석자료 산출 알고리즘 조정 및 자료처리시스템 구축에 활용 |
○ 위성자료 활용성 확대를 위한 수치예보지원 체계 기반 강화 - 2009년 기획연구과제 ‘기상위성의 활용성 확대 및 연구개발 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연구’는 위성자료 활용성 증대 필요성 제기 - 기상슈퍼컴 센터의 개소 및 UM 현업화 등에 따른 수치예보 자료동화를 위한 위성자료 지원 필요성 증대 |
○ 수치예보지원 위성 산출물의 정확도 정보 제공기반 구축 - 대기운동벡터 산출 정확도 확보를 위한 천리안위성의 최적 운영스케줄 시험 절차 수립 - 대기운동벡터 산출 정보제공시스템 개발 - 수치예보 지원 및 국내외 사용자에 대한 운영서비스 계획 수립 및 관련부서 협조체계 강화를 위한 실무협의 추진 중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통신해양기상위성 발사 운영에 따른 유관기관과의 협조체계 구축 - 위성개발기관 및 운영기관 등(아스트륨(사), 항공우주연구원, 한국해양연구원)과의 위성운영 및 비상시 대처 방안 모색 ○ 기상위성 관측자료 품질관리를 위한 국제공동 GSICS 협력체계 - 미국, 유럽, 일본 등의 위성선진국과의 위성자료 검정 기술 교류 |
○ 천리안위성 발사 운영 준비 체계 구축 - 유관기관과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한 연락책 단일화 - 기관별 궤도상운영 준비단 구성 ○ 통신해양기상위성 가시채널 검정 정확도 확보 전략 수립 - 연구 및 자료 합동실무회의 참여(2.9~11) - 전지구위성상호검정시스템 실무그룹 웹미팅 참여 |
- 208 -
Ⅴ- 1- R&D① : 기상관측위성개발 |
□ 목 적
○ 통신해양기상위성 천리안의 후속 위성인 정지궤도복합위성 2호의 기상관측 시스템 개발로, 우리나라 주변의 위험기상 조기탐지 임무의 연속성 확보
○ 천리안위성의 기상임무를 안정적으로 운영 및 위성자료 활용 고도화를 위한 기상위성운영 전문기관으로서 국가기상위성센터 운영
○ 독자기상위성 운영을 기반으로 위험기상 현상과 기후변화 감시를 위한 차세대 기상위성활용 기술 개발 및 서비스 제공
□ 주요내용 및 성과
○ 후속 기상위성개발사업 기획 및 추진 (위성기획팀)
— ’09년 예비타당성 조사의 지적사항을 반영한 경제성 분석 자료 보강(‘09.12.28, 위성개발기획팀- 2095)
— 정지궤도복합위성개발사업 2010년 예비타당성 조사를 위한 관계부처 회의 및 집체작업 참가 (총 10여 차례, ‘10.3~’10.6)
— 후속 기상위성 개발사업 계획에 대한 국과위 설명(6.16) 및 수시예비타당성 조사 착수(6.17)
○ 천리안위성 기상임무 수행을 위한 국가기상위성센터 운영 안정화
— 지상국시스템 통합유지보수 용역사업 추진(위성시스템운영팀- 1314, ’09.12.31)
— 전력설비 이중화구축 설계완료(위성개발기획팀- 1116, ‘10.4.9) 및 본공사 착수(위성기획팀- 440, ‘10.6.7)
— 위성자료 DB·웹서비스 통합 및 지상국 스토리지 보강 용역사업 추진 (위성운영팀- 410, ‘10.6.18)
— 천리안위성 지상국 궤도상시험(IOT) 기본계획 수립(위성운영팀- 5, ‘10.4.30)
○ 독자기상위성 활용기술 개발 추진
— 국가기상위성센터 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 수립 및 연구개발 용역사업 심의회 개최(위성개발기획팀- 196, ’10.1.22)
— 총 5개의 연구개발 용역사업 착수 및 추진 (위성개발기획팀- 1273, ‘10.4.23; 위성기획팀- 70, ‘10.5.7; 위성자료분석팀- 735, ’10.4.28; 위성자료분석팀- 736, ’10.4.28; 위성자료분석팀- 751, ‘10.4.29)
— 기상위성분야 협력연구기관 지정 및 운영사업 연구분야 선정(위성기획팀- 227, ‘10.5.20)
- 209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기상위성 운영 지상국 고도화(건) |
24 |
12 |
○ 지상국 운영 기술 고도화 6건 - NOAA ATOVS 자료처리프로그램 업데이트(위성시스템운영팀- 555/‘10.03.19), 통해기 영상전처리시스템(IMPS) S/W 업데이트 및 시험(위성시스템운영팀- 692/’10.04.02), 국가기상위성센터 위성시스템 시각동기화 개선(위성시스템운영팀- 727/‘10.04.12), 천리안위성 관제 S/W 업그레이드 및 정상운용검증시험(위성시스템운영팀- 765/’10.04.13), 국가기상위성센터 연구용 서버 업그레이드(위성운영팀- 11/‘10.05.03), 국가기상위성센터 Terrascan S/W 업그레이드(위성운영팀- 313/‘10.06.08) ○ 지상국 운영 체계 고도화 3건 - 위성 웹 시스템 개발환경 및 백업환경 구축(위성시스템운영팀- 64/‘10.01.12), 통해기 지상국간 전용회선 대역폭 확대 및 백업망 구성(위성시스템운영팀- 374/‘10.02.24), 천리안위성 지상국간 영상회의시스템 및 핫라인 구축(위성운영팀- 390/’10.06.17.) ○ 위성자료 제공 및 서비스 추가‧개선 등 3건 - 대국민 홈페이지 현행화 및 개선(위성시스템운영팀- 80/‘10.01.14), 홈페이지 보안체계 강화(행정전자서명)(위성시스템운영팀- 81/‘10.01.14), 위성자료 태풍분석 서비스 강화를 위한 위성센터- 태풍센터 간 IP 화상전화기 구축(위성운영팀- 311/‘10.06.08) |
기술문서생산 건수 |
15 |
0 |
- |
학술지 논문 게재 건수 |
3/4 (SCI/기타) |
3/0 |
○ SCI 저널논문 3편 - 게재(2편) :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14, 2010 pp.1136~1140),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Vol. 31, No. 10, 2010, pp.2709~2716) - 게재예정(1편) : Journal of Hydrology지에 게제 승인(2010. 5.) |
○ 목표 미달성 사유(외부 환경변화에 의한 목표 미달성시 사유 작성, 평가주기가 반기인 경우)
— 위성센터 운영을 위한 대부분의 용역사업 및 기상위성자료 활용기술 개발사업이 2/4분기 착수되어 하반기에 성과실적 산출 예정
○ 조치계획
— 해당사항 없음
- 210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통신해양기상위성 발사의 지연과 후속위성사업 미착수 - 선행 발사체의 기기적인 문제로 인하여 통신해양기상위성의 발사도 3개월 순연됨 - 통해기의 순연에 따른 정지궤도복합위성개발사업의 예비타당성 조사 지연 ○ 12차 통신해양기상위성개발사업 추진위원회에서 관련부처 공동운영규정을 확정하지 못함에 따라 위성운영 전문기관 지원사업 추진 지연 |
○ 천리안위성의 발사체(Ariane 195)에서는 유사한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도록 위성개발전문기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을 통한 모니터링 수행 - ’10년 4월, 기상관측위성개발사업 개발위원회를 개최하여 결과 및 후속조치 보고 ○ 상반기 예비타당성조사에는 미반영되었으나, 부처간 협의를 통해 수시 예비타당성 조사 착수(‘10.6) ○ 위성발사 이후 추진위원회를 통해 제도를 마련하고, 기상청 자체적인 운영규정을 마련함으로써 제도적 근거 마련 |
○ 연구개발사업 성격 강화를 위한 성과지표 조정 - 기상위성개발 관련 R&D 과제의 통합에 따른 연구개발사업의 성격 강화를 위한 성과지표 조정 요구(4월) |
○ 기술문서 생산건수 목표치를 당초 10건에서 15건으로 상향조정(4월) - ’09년 계획서 제출시에는 ’10년도에 통신해양기상위성 후속사업이 착수를 전망하고 설정한 지표였으나, 후속위성사업 착수 지연에도 불구하고 도전적으로 목표치 설정 |
○ 기상위성분야 협력연구기관 지정 및 운영사업 추진의 제도적 기반 취약으로 인한 사업추진 지연 |
○ 청내 관련부서와의 협의 및 자문위원회 개최를 통해 첫해 사업 추진방안 마련 - 과제 공모를 통해 총 18건의 신청을 접수, 이중 2개분야 선정(5월)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위성발사 관련 대언론 대응을 위한 부처간 협력 - 부처공동의 위성발사 홍보를 위한 인터넷 명칭공모 및 프레스킷 제작 - 위성발사 성공을 위한 위성발사관리단 구성 |
○ ’10.2.19~3.10 대국민 명칭공모를 통해 총 5,348건의 응모를 접수, 이중 ‘천리안’을 통신해양기상위성의 명칭으로 선정 ○ 주관부서인 교육과학기술부 과학기술정책실장을 단장으로 기상청 3인을 포함한 발사관리단의 위성발사장소 방문, 발사준비사항 점검 수행 |
○ 정지궤도복합위성 예비타당성조사를 위한 4개부처 협의 - 교육과학기술부, 국토해양부, 환경부와 공동으로 ’09년 11월부터 대응준비 |
○ 수시예비타당성조사를 위한 공동의 기획연구 보고서 작성 - ’09년 지적사항을 반영한 각 부처별 경제적 타당성 및 기술적 타당성에 대한 기획연구 수립 및 공동의 보고서 제작 집체작업 실시 (3~5월 동안 총 5차례) |
○ 위성자료의 아시아지역의 활용확대 및 국가간 협력강화를 위한 WMO 시범사업 추진 - 우리청과 일본 기상청 공동으로 아시아지역의 기상위성 자료 확대를 위한 정보공유의 협력틀 구축(’09.10) |
○ 상반기에 두차례 뉴스레터 발간을 통해 통신해양기상위성의 홍보 및 일본 MTSAT- 2 위성의 임무전환에 대한 정보 공유 -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의 통신해양기상위성의 역할에 대한 국제적인 인식 제고 |
- 211 -
자체주요업무 : 우주기상 기반 구축 |
□ 목 적
○ 기상청 우주기상 업무 연구개발 능력 및 현업체계 확보
○ 안정적인 독자 기상위성 서비스를 위한 우주기상 관측 및 예측체계 구축
○ 전지구위성항법시스템(GNSS) 관측자료의 우주기상 분야 활용성 확대 추진
○ 우주기상업무 수행을 통한 기상청 업무 영역 확대 및 위상 제고
□ 주요내용 및 성과
○ 기상청 우주기상 업무 연구개발 능력 및 현업체계 확보
— 우주기상업무 추진을 위한 우주기상 정의에 관한 학계 의견 수렴(4.27)
— 우주기상 핵심 기술 확보를 위한 위성센터 협력연구기관 지정과제에 우주기상분야 선정(5.19)
○ 우주기상 관측 및 예측체계 구축
— 후속위성 우주환경 관측 탑재체 확보를 위한 방송통신위원회와의 합의(3.23)
○ 국내 GNSS 상시관측자료의 우주기상 분야 활용성 확대
— 천문연구원 GNSS 상시관측소 관측자료 자동수집 테스트 시스템 구축(6.7)
— 국토지리정보원 보유 GNSS 실시간 관측자료 공동활용 합의(5.24)
- 212 -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계 획 |
추 진 실 적 |
비고 |
3월 |
○ GNSS 관측 자료 수집 체계 구축을 위한 계획 수립 |
○ GNSS 관측자료 수집 체계 구축 - GNSS 상시관측자료 공동활용을 위한 유관기관협의, 자료수집 및 DB구축 계획 수립(3.31) |
정상 |
4월 |
○ 우주기상 워크숍 참가 및 선진국 업무현황 조사 |
○ 우주기상 워크숍 참가 및 선진국 업무현황 조사 - 우주기상 워크숍 참가 및 발표(기상청의 우주기상업무 현황에 관하여, 4.27~30, 미국) - 미국, 독일, 유럽, 일본의 최근 우주기상 동향 조사 |
정상 |
6월 |
○ 관측자료 공동활용을 위한 유관기관 협의회 구성 |
○ 제7차 기상청 국토부 정책협의회 안건 상정(6.15) - GNSS 관측자료 품질향상 및 공동활용 확대 방안 마련 ○ 관측자료 공동활용을 위한 유관기관 협의회 구성 - 한국천문연구원, 국토지리정보원, 위성항법중앙사무소, 해양조사원 등 실무협의회 구성 |
정상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우주기상 관측기반 구축지수 |
0.25 |
0.01 |
○ GNSS 상시관측소 자료 자동수집 시험 시스템구축을 통한 자료수집 - 천문연구원 1개소(대전관측소) GNSS 자료 준실시간 수집 |
○ 목표 미달성 사유(외부 환경변화에 의한 목표 미달성시 사유 작성, 평가주기가 반기인 경우)
— 현재 실적은 중간실적으로 연말에는 천문연구원 및 국토해양부 자료의 준실시간 자료 수집으로 목표달성 예상됨
○ 조치계획
— 성과의 조기달성을 위해 기추진중인 국토지리정보원, 해양조사원 등과의 GNSS 상시관측자료 조기 수집을 위한 실무 협의회 활동 강화 계획
- 213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관측자료 공동활용을 위한 유관기관 협의회 구성의 지연 가능성 검토 - 유관기관 실무협의회 위원 선정에 대한 의사결정 지연 - GNSS 보유기관의 고유목적사용으로 자료공유에 대한 이해부족 |
○ GNSS 보유기관에 대한 공동활용 효과 이해 제고 - 국토지리정보원과의 2차에 걸친 업무협의를 통해 상호이해 증진 - 기상청(지진정책과), 공군, 위성항법중앙사무소, 해양조사원 등과의 실무협의회 구성을 위한 사전접촉 추진 ○ 기상청·국토해양부 정책협의회 GNSS관련 안건 제의 - 국토지리정보원, 위성항법중앙사무소 등 국토해양부 산하 기관의 GNSS 상시관측자료의 원활한 공동활용을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 |
○ 우주기상법 제정 및 기상법 개정 과정에서 기상청의 전문성 부족 지적 - 우주기상업무 추진을 위한 전문인력 및 기술확보 필요 |
○ 위성센터 협력연구기관 사업의 주제로 우주기상 분야 제안 및 선정(5.20) - 우주기상분야의 기초기술 및 향후 현업 예측업무를 추진하기 위한 연구개발 사업관리 계획 수립 ○ ’우주기상예보를 위한 우주기상 예측모델 개발(I)‘과제에 대한 심의 완료(6.16)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천문연구원과의 양해각서(MoU) 후속조치 - GPS 가강수량 산출시스템 구축 및 우주기상 발전을 위한 관측자료의 공유 |
○ 천문연구원 상시관측소 9개소 자료 제공 협조 - 1개소 관측자료 제공 및 기술적 문제 해결후 나머지 8개소 제공예정 |
○ 관측자료 공동활용을 위한 유관기관 협의회 구성 |
○ GNSS 공동활용을 위한 유관기관 실무 협의회 - 천문연구원, 국토지리정보원, 위성항법중앙사무소, 해양조사원 등 실무협의회 구성 |
○ 우주기상관련 국제협력 |
○ 미국 우주기상예보센터(SWPC) 방문(1.21) - SWPC 업무현황 파악 및 모델개발 현황조사 |
○ 기상청 우주기상 업무 근거 마련을 위한 본청 협력 |
○ 우주기상법안 제정 및 기상법 일부개정을 위한 자료제공 - 청내 담당부서(관측정책과 및 규제법무팀)의 관련업무 추진 지원 - 우주기상 정의에 대한 학계(천문학회 및 우주과학회) 의견조회 및 제공 - 우주기상법에 대한 타부처 의견 공동자료 작성 제공 |
- 214 -
|
자체 주요업무 : 통신해양기상위성 운영 안정화 및 위성자료 서비스 강화 |
□ 목 적
○ 선진 위성자료 서비스 구현을 위한 위성자료 관리체계 및 서비스 품질 강화 및 지상국 운영ㆍ자료서비스 국제공조
○ 천리안위성 지상국 운영 및 궤도상시험 수행과 외국위성시스템의 안정적 운영을 위한 시스템 및 체계 정비
□ 주요내용 및 성과
○ 위성자료 관리체계 및 서비스 품질 강화 및 지상국 운영ㆍ자료서비스 국제공조
— 위성자료 서비스 품질 강화를 위한 의견 수렴 및 분석(09.10.26., 12.3.), 국가기상위성센터 홈페이지 홍보갤러리 구축(5.6.)
— 아시아태평양 위성자료 교환ㆍ활용 회의(2.17.~19) : 중국 측에 FENGYUNcast(위성방송) 수신시스템 도입 관련 지원 요청 등
— 위성자료 상호검정 실무그룹 회의(2.9.~11.) : 천리안위성 Spectral Response Function (SRF) 자료 제공 관련 논의 등
— 지역간 ATOVS 자료 재분배 실무그룹회의(3.22.~24.) : 천리안위성 개발현황 및 자료서비스 계획 발표 등 위성자료 공유 및 협력 논의
○ 안정적 운영을 위한 시스템 및 체계 정비
— MAC Address 현행화 등 천리안위성 궤도상시험 대비 보안강화계획 수립(5.15.)
— 천리안위성의 안정적 운영을 위한 기상청 훈령 제659호「천리안위성 기상업무 운영규정」제정(5.31.)
— 통해기 위성자료 수신 및 활용 지원을 위한 천리안위성 중/소규모 수신시스템 시제품(Prototype) 개발(5.3)
○ 지상국 궤도상시험 준비 및 수행
— 지상국시스템 특별점검, 수신/전처리시스템 비상운영 훈련(4.22.~23.) 실시, 천리안위성 지상국 궤도상시험(IOT) 기본계획 수립(4.30)
- 215 -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계 획 |
추 진 실 적 |
비고 |
1월 |
○ 통해기 운영 안정화 및 위성자료 서비스 강화 계획 수립 |
○ 2010년 국가기상위성센터 연구개발사업 위성시스템운영팀 시행계획 수립(위성운영팀- 66(2010.1.12.)) - 위성자료 DBㆍ웹서비스 통합, 통해기 궤도상 시험 지원시스템 개발 등 |
정상 |
4월 |
○ 통해기 지상국 궤도상시험 계획 수립 |
○ 통신해양기상위성 궤도상시험 및 정규운영 지원시스템 구축사업 추진계획(위성시스템운영팀- 142(2010.01.22.)) ○ 천리안위성 지상국 궤도상시험(IOT) 기본계획(위성운영팀- 5(2010.4.30.)) - 발사전 단계 등 총 12단계 시험계획 수립 및 시스템별 시험사항 정리 |
정상 |
6월 |
○ 통해기 지상국 운영기관 간 협력체계 구축 |
○ 국가기상위성센터- 항공우주연구원 간 영상회의 시스템 개통(위성운영팀 - 214(2010.05.25.)) ○ 천리안위성 지상국 운영실무회의(위성운영팀- 메모 천리안위성 지상국 운용실무자 업무회의 결과보고(2010.6.17.)) |
정상 |
○ 통해기 가시채널 최초영상 수신 및 생성 |
○ 영상전처리시스템 S/W 시험(3.25.)(위성시스템운영팀- 692(2010.04.05.)) ○ 관제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및 검증(4.9.)(위성시스템운영팀- 765(2010.04.14.)) ○ 천리안위성 안테나/송수신 시스템 수신기능 시험 완료(위성시스템운영팀- 824(2010.04.21)) ○ 천리안위성 안테나/송수신시스템 비상운용 훈련 실시(위성운영팀- 12(2010.05.03.)) |
지연 |
○ 지연사유 : 천리안위성 발사 순연에 따라 가시채널 최초영상 수신 지연
○ 조치계획 : 위성센터 지상국 시스템의 운영준비 강화 및 천리안위성의 발사(6.24 발사 예정) 후 가시채널 최초영상을 수신 준비
- 216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기상위성 운영 지상국 고도화 |
24 |
13 |
○ 지상국 운영 정책 고도화 1건 : 천리안위성 기상업무 운영규정 훈령제정(위성운영팀- 253(2010.5.31.) ○ 지상국 운영 기술 고도화 8건 : 홈페이지 보안체계 강화(행정전자서명)(위성시스템운영팀- 81(2010.01.14.)), NOAA ATOVS 자료처리프로그램 업데이트(위성시스템운영팀- 555(2010.03.19.)), 통해기 영상전처리시스템(IMPS) S/W 업데이트 및 시험(위성시스템운영팀- 692(2010.04.02.)), 국가기상위성센터 위성시스템 시각동기화 개선(위성시스템운영팀- 727(2010.04.12.)), 천리안위성 관제 S/W 업그레이드 및 정상운용검증시험(위성시스템운영팀- 765(2010.04.13.)), 국가기상위성센터 연구용 서버 업그레이드(위성운영팀- 11(2010.05.03.)), 국가기상위성센터 Terrascan S/W 업그레이드(위성운영팀- 313(2010.06.08.)), MTSAT- 2위성으로 전환에 대비한 시스템 구성계획 수립(위성운영팀- 166(2010.05.19.)) ○ 지상국 운영 체계 고도화 4건 : 위성 웹 시스템 개발환경 및 백업환경 구축(위성시스템운영팀- 64(2010.01.12.)), 현업 업무일지 수정 및 시간대별 처리업무 추가운영(위성시스템운영팀- 65(2010.01.12.)), 통해기 지상국간 전용회선 대역폭 확대 및 백업망 구성(위성시스템운영팀- 374(2010.02.24.)), 천리안위성 지상국간 영상회의시스템 및 핫라인 구축(위성운영팀- 390(2010.06.17.)) |
위성자료서비스 고도화 |
6 |
4 |
○위성자료 제공 및 서비스 추가‧개선, 위성자료 사용자 확대 등 5건 : 대국민 홈페이지 현행화 및 개선(위성시스템운영팀- 80(2010.01.14.)), 국가기상위성센터 홈페이지 홍보갤러리 개발(위성운영팀- 52(2010.05.07.)), 위성센터- 태풍센터 간 IP 화상전화기 구축을 통한 태풍분석 서비스 강화(위성운영팀- 311(2010.06.08)), 인하대와의 업무협약 체결을 통한 실시간 자료제공(위성시스템운영팀- 444(2010.03.09)) |
- 217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천리안위성 발사 지연 - 3월로 예정된 위성발사 일자 지연으로 궤도상시험 등 각종 시험에 차질이 발생했으며 이에 대한 대응이 필요 |
○ 안정적 궤도상시험을 위해 추가 시스템별 상세 시험계획 수립 및 실시 : 안테나송수신시스템 시험(3.9.~4.9.)(위성시스템운영팀- 824(2010.04.21.)), 영상전처리시스템 S/W 시험(3.25.)(위성시스템운영팀- 692(2010.04.05.)), 관제S/W 업그레이드ㆍ 검증(4.9.)(위성시스템운영팀- 765 (2010.04.14.)), 방송자료(xRIT) 생성ㆍ분배시스템 지상국 궤도상시험 계획 수립(위성운영팀- 358(2010.06.11.)), 지상국 궤도상시험 운영 교육(6.15.~7.1.), 안테나/송수신시스템 비상운용 훈련(위성운영팀- 12(2010.05.03.)) |
○ 일본 MTSAT- 1R 위성에서 MTSAT- 2위성으로 전환 대응 필요 |
○ 수신시스템 업그레이드 등 MTSAT- 2위성 수신시스템 준비계획 수립(위성운영팀- 165(2010.05.19)) |
○ 천리안위성 운영 임박 - 천리안위성 궤도상시험 및 운영 준비 필요 |
○ 천리안위성 발사전 운영교육 실시(2010. 6.15~7.1.) - 안테나ㆍ관제ㆍRF, 영상전처리시스템, 위성방송자료(xRIT) 생성ㆍ분배 시스템 등(위성운영팀- 391(2010.06.18.)) ○ 궤도상시험 준비 일일점검회의 실시(2010.5.10~) 및 궤도상시험 전용공간 마련(메모- IOT수행 성공기원 모임 알림) |
○ 인사이동 및 연구원 채용에 따른 신규자의 업무 적응 필요 |
○ 통해기 기상자료 검ㆍ보정 기술세미나 개최계획 수립(위성시스템운영팀- 177(2010.01.29)) 및 실시(1월~6월) |
- 218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효율적 위성운영 및 위성자료 서비스를 위한 위성선진국과의 협력체계 구성 - 러시아 : Electro 위성(정지궤도 기상위성) 자료 교환 및 관련 정보 공유 등 - 일본 : 정지궤도 기상위성 운영 기술교류 및 기술공유 - 중국 : FENGYUNcast 자료 수신 등 위성 운영 및 활용 분야 기술 교류 - 인도 : 한ㆍ인도 위성자료 협조체계 구축 |
○ 러시아 : 위성자료 교환, 위성발사후 정보교환 합의(국제협력담당관- 375(2010.06.03.)) ○ 일본 : 일본기상위성센터 방문 합의(7.26~28 예정)(국제협력담당관- 162(2010.05.17.)) ○ 중국 : 중국전문가 초청 요청(위성시스템운영팀- 831(2010.04.12)) ○ 인도 : 협력과제 국제협력담당관실 제출(위성시스템운영팀- 321(2010.02.19.)) |
○ 효율적 기상위성 운영을 위한 국내 협력체계 구축 - 항공우주연구원 : 위성운영 협력 |
○ 국가기상위성센터- 항공우주연구원 간 영상회의 시스템 개통(위성운영팀- 214(2010.05.25.)) |
○ 예보지원을 위한 기상청내 부서간 협조체계 - 국가태풍센터 : 태풍예보 관련 위성자료 지원 - 수치모델관리관 : 수치예보 관련 위성자료 지원 - 황사연구과 : 황사관련 위성자료 제공 |
○ 국가기상위성센터와- 국가태풍센터 간 화상전화 개통(위성운영팀- 311(2010.06.08.)) ○ 국가태풍센터로 태풍분석용 위성자료(MTSAT- 1R위성) 제공(위성시스템운영팀- 802(2010.04.20.)) ○ 통합수치예보모델 활용 위성자료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방안 수립(위성시스템운영팀- 1313(2009.12.31.)) ○ 황사연구과로 MODIS 위성자료 제공(위성시스템운영팀- 24(2010.01.04.)) |
○ 위성업무 관련 부처간 협력 - 국토해양부 : 양 부처간 천리안위성 기상위성자료 및 해양위성자료 공유 |
○ 제 7차 기상청‧국토해양부간 정책협의회 안건 제출(위성운영팀- 363(2010.6.14.)) |
○ 기상ㆍ기후 산업 육성(국정과제)을 위한 산관협력 - (주)솔탑 : 천리안위성용 중소규모 위성수신시스템 국산화 |
○ 광대역 디지털 수신기 시제품 개발 등 완료(위성운영팀- 9(2010.05.03)) ※ 향후 계획 : 광대역 디지털 수신기 및 중/소규모 수신시스템 완제품 개발 등 수행 |
○ 위성분야 협력을 위한 학관 협력: 인하대학교 공과대학 |
○ 상호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위성시스템운영팀- 444(2010.03.09)) |
○ 기상위성운영기술 개선 및 발전을 위한 협력 : 협력연구기관을 통한 핵심기술 확보 |
○ 위성영상처리 분야 과업지시서 제출(위성운영팀- 386(2010.06.15)) |
- 219 -
|
자체 주요업무 : 독자기상위성 분석활용기반 구축 및 예보지원강화 |
□ 목 적
○ 천리안위성 기상자료처리시스템 현업운영기반 구축을 통한 독자위성자료처리 능력 확보와 활용도 제고
○ 위성활용 예측정보 산출기술개발을 통한 위험기상 사전대응시간 확보와 예보지원능력 강화
○ 위성분석 및 표출기법 개선으로 위성자료 활용효과 극대화
□ 주요내용 및 성과
○ 독자위성자료 처리능력 확보와 활용도 제고
— 천리안위성과 현업 운영중인 MTSAT 위성 분석영상과의 상호검증시스템 구축(6.15)
— 사용자 요구사항 수렴 및 환류체계 구축을 위한 위성산출물 기술자문협의회 구성‧운영(3.25, 4.27)
○ 위성활용 예측정보 산출기술개발을 통한 위험기상 사전대응시간 확보와 예보지원능력 강화
— 극궤도 위성자료를 융합한 위성예측영상 생산시험 및 운영환경 구축(6.23)
— 태풍예보 위성활용능력향상을 위한 현안 맞춤형 교육실시(3.9- 11) 및 사용자 요구사항 반영(6.23)
— 강풍반경 개선을 위한 2009년 6개 태풍사례 분석 보고서 작성(6.25)
○ 위성분석 및 표출기법 개선으로 위성자료 활용효과 극대화
— 동네예보와 안개특보지원을 위한 안개분석영상 사용자 요구사항 의견 수렴(3.16)
— 항공기상청과 안개표출 개선, 항공기 착빙고도 정보 등 항공기상예보 지원용 위성산출물 개발과 연구협력 합의(6.10)
— 대화형 위성자료분석시스템 구름분석정보 개선안 마련, 예보관 의견 수렴 및 반영 완료(6.18)
- 220 -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계 획 |
추 진 실 적 |
비고 |
1월 |
○ 유럽기상위성센터 NWCSAF와 기술협의 및 선진기술동향 파악 |
○ WMO 위성고위 정책회의 참가 및 EUMETSAT NWCSAF와의 기술협의를 통한 선진 기술동향 조사(위성개발기획팀- 178/01.20,위성기획팀- 566/06.15) ○ 미국 NOAA의 기상위성센터(NESDIS) 위성자료를 이용한 초단기 예보 활용 및 응용 기술개발 및 산출물 현황 조사(메모보고/01.14) |
정상 |
2월 |
○ 위성자료분석 및 예보분야 서비스개발 사업 추진 계획수립 |
○ 2010년도 국가기상위성센터 연구개발사업 위성자료분석팀 시행 계획(안) 수립(위성자료분석팀- 88/01.18) - 위성자료분석 및 예보분야 서비스개발 사업 등 추진계획 수립 |
정상 |
4월 |
○ 사용자 요구사항 분석 및 수렴을 위한 관련기관 협의 |
○ 국가태풍센터와 태풍분석 정확도 향상을 위한 업무협력 추진 - 『태풍예보 위성활용』교육 수행 및 위성활용 태풍분석기술 개선 등 현안사항에 대한 사용자 요구사항 수렴(위성자료분석팀- 442/3.17) ○ 위성자료 산출물 기술자문협의회 구성 및 자문회의 개최(위성자료분석팀- 499/3.25, 위성자료분석팀- 738/4.29) ○ "위성영상 및 안개탐지영상 표출 개선"을 위한 의견 수렴(위성자료분석팀- 426/3.16) |
정상 |
6월 |
○ 태풍분석 정확도개선을 위한 태풍사례분석 |
○ 강풍반경 개선을 위한 2009년 6개 태풍사례분석 결과 보고(6.25) |
정상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위성 분석콘텐츠 개발 및 개선 실적 |
1.0 |
0.24 |
○ 개발 또는 개선실적 목표 건수 대비 실적건수 - 현업화 완료(2/3*0.25)+사용자회의 포럼개최(1/3*0.15)+ 학술회의 논문 발표(2/4*0.05)=0.24 |
태풍강도분석 정확도 향상 |
0.75 |
0.74 |
○ 6월까지 발생한 1개의 태풍사례에 대한 일본태풍센터 발표자료와의 태풍강도 분석오차(RMSE) |
안개예보 정확도 개선 |
27.5 |
25.9 |
○ 6월 중순까지 안개탐지영상과 지상관측자료(목측 및 시정계)와 비교한 정확도 산출비(%) |
○ 목표 미달성 사유(외부 환경변화에 의한 목표 미달성시 사유 작성, 평가주기가 반기인 경우)
— 하반기에 대부분의 성과실적이 산출되므로 연말까지 목표달성이 가능함
○ 조치계획
— 태풍강도분석 최신 알고리즘 구축 및 안개탐지 분석영상개선
- 221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금년 태풍 동향 및 안개특보제 실시예정에 따른 위성분석 지원 요구 - 안개 : 동네예보 지원 및 안개특보제 실시 예정에 따른 지원 - 태풍 : 금년 태풍발생 증가 예상(언론보도)에 따른 국가기상위성센터와 국가태풍센터간 위성, 태풍전문가 교류 및 협력 강화에 대한 예보국 요구 ○ 천리안위성 운영에 대비한 위성분석자료 서비스체계 구축 필요 - 천리안 위성산출물 검증 - 천리안 위성 발사에 따른 사용자 홍보 강화 ○ WMO를 비롯한 전세계 기후, 수문, 항공 등 응용분야 확대 필요성 증가 - 항공기상예보지원 요구 - 위성자료의 수문분야 협력방안 협의에 대한 기후과학국 요구 ○ 인사이동 및 위성센터 연구원 충원에 따른 신규자 교육 필요 |
○ 안개와 태풍분석 지원 강화 - 안개 : "위성영상 및 안개탐지영상 표출 개선"을 위한 의견수렴 결과 보고(위성자료분석팀- 426/03.16) 및 2010년 용역사업에 반영 - 태풍 : 국가태풍센터와의 업무협의회 개최(위성자료분석팀- 238/2.11) 및 위성을 이용한 태풍 분석 서비스 개선 계획 수립(위성분석팀- 206/5.28) ○ 천리안 위성산출물 검증 및 사용자 홍보강화 - 천리안위성 기상산출물 검증 보고서 작성 및 보고회개최(위성분석팀- 295/6.15) - 기상위성테크놀로지 발간으로 사용자 홍보 강화(2월) ○ 수문, 항공기상 등 응용분야 지원 확대 - 항공기상청과의 위성정보 서비스 업무협력회의 개최 (위성분석팀- 298/6.15) - 기상청- 수자원공사(위성분석팀- 72/5.12), 기상청- 건설기술연구원 (6.15) 및 기상청- 국토해양부 실무협의회(위성분석팀- 330/6.21) 안건제출 및 협의회 참석 ○ 위성영상분석능력 향상 세미나 계획안 수립 및 실시 (위성분석팀- 70/ 5.11)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선진 위성활용기관과 국제협력 ○ 유관기관과의 업무협력회의 안건 발굴 및 참석 ○ 국가태풍센터, 항공기상청과의 협력체계 ○ 천리안위성 기후 활용을 위한 전문가들 의견수렴 |
○ 유럽기상위성센터 초단기예보지원 사용자 워크숍 참석(4.25~4.30) 및 발표(위성자료분석팀- 608/4.12) ○ 수자원공사(수문 분야 위성활용) 및 건설기술연구원(수문, 환경, 에너지 분야 )과의 업무협력회의 참가 및 위성활용 협력방안 협의(위성분석팀- 72/5.12, 메모보고/6.15) ○ 국가태풍센터 및 항공기상청과의 위성정보서비스 업무협력회의 개최 및 후속조치 추진(위성자료분석팀- 238/2.11, 위성분석팀- 298/6.15)) - 태풍특별대응반 구성에 위성전문가 참여 ○ COMS 위성자료 기후 및 응용분야 활용 확대를 위한 포럼 개최 (위성분석팀- 346/6.23) |
- 222 -
기상레이더센터
2010년도 상반기 성과점검회의
• 레이더운영팀 222
• 레이더분석팀225
|
Ⅴ- 1- 주요정책① : 국가 레이더 공동 활용기반 구축 |
□ 목 적
○ 기관별 산재한 기상‧강우 레이더 자원의 범정부적 공동활용 체계를 구축하여 위험기상 등 기상재해 경감
— 국내 26개소(기상청 12, 공군 9, 미공군 2, 국토부 2, 나로우주센터 1) 운영 중. 향후 14개소(국토부 10, 서울시 4) 설치 예정
□ 주요내용 및 성과
○ 기상레이더센터 조직 신설(4.13) 및 운영(4.30), 개소식 개최(5.26) (레이더운영팀&레이더분석팀)
○ 레이더 관측자료 공동활용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반 마련 (레이더운영팀)
— 유관기관 레이더자료 검증 및 활용계획 수립(1.28)
— 레이더관계관 회의 개최(3.25), 기상청- 국토해양부 간 레이더자료 공동활용을 위한 실무협의회 구성(3.22) 및 1차 회의(4.14)
— 레이더 관측자료의 공동활용을 위한 유관기관 회의 개최(4.9)
— 기상- 강우레이더 융합행정을 위한 국방부‧국토해양부‧기상청‧행정안전부 간 업무협약 체결(6.30)
○ 레이더 운영 인력의 역량 강화 및 전문화 (레이더운영팀&레이더분석팀)
— 레이더 인력 역량 강화 방안 수립(1.19)
— 국내외 레이더전문가 초청세미나 개최(4.27, 6.17), 레이더 선진기술 습득 및 기술 공유를 위한 자체세미나 개최(정기)
— 미국 오클라호마대학교 레이더분야 국외훈련프로그램 연수(연 2회), 레이더자료 품질향상 방안 마련을 위한 워크숍(5.20)
○ 레이더 관측의 첨단화‧선진화 추진 (레이더운영팀&레이더분석팀)
— 레이더 관측의 첨단화‧선진화 및 국가레이더운영센터 신설‧운영방안에 관한 연구용역 수행(’09. 7.20~’10. 4.19)
— 레이더운영 효율화 및 기상선진화 달성을 위한 레이더업무발전계획 수립(3.12)
— 한‧미 레이더 운영기술 공유 및 양국 간 협력업무 협의(5.14)
— 레이더 관측 정확도 향상 및 운영 효율성 증대를 위한 레이더 첨단화 ‧선진화 구축 중장기 계획 수립(5.28)
— 레이더중앙관제시스템 구축 계획 수립(6.30)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 222 -
월 |
추 진 계 획 |
추 진 실 적 |
비고 |
1월 |
○ 레이더전문인력 교육계획 수립 ○ 레이더자료 공동활용방안 마련 |
○ 2010년도 레이더 인력 역량 강화 방안 수립(관측운영과- 168/’10. 1.19) ○ 유관기관 레이더자료 검증 및 활용 계획(안)(관측운영과- 289/’10. 1.28) - 유관기관의 레이더 관측자료를 검증‧분석을 통하여, 레이더 관측자료의 공동활용 기반 마련 |
정상 |
2월 |
○ 레이더운영센터 운영세부계획 수립 |
○ 레이더운영센터 세부운영계획 수립(관측운영과- 615/’10. 2.26) - 센터 운영방향, 주요 임무 및 기능, 중점 추진과제 등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운영 기반 마련 |
정상 |
3월 |
○ 레이더 이중화시스템 구축 계획 수립 ○ 레이더자료 공동활용 실무협의회 구성 |
○ 레이더 이중화시스템 구축 계획 수립(관측운영과- 971/’10. 3.30) - 이중화시스템 구축 방안, 이중편파레이더로 교체, 기상레이더 통합운영 구축 방안 검토 등 ○ 레이더자료 공동활용 실무협의회 구성 알림(관측운영과- 969/’10. 3.30) - 레이더 운영기관 간의 관측자료 교환 및 공동활용 실무사항을 협의‧조정하기 위한 실무협의회 구성‧운영 |
정상 |
4월 |
○ 레이더 원격감시‧제어시스템 구축을 위한 현장조사 ○ 레이더 첨단화‧선진화 관련 정책연구 수행‧완료 |
○ 레이더 원격감시‧제어시스템 구축을 위한 현장조사(관측운영과- 1240/’10. 4.21) - 원격제어 대상 : 레이더, 발전기, UPS, 한전 메인 스위치, ATS 동작, 화재 및 침입자 자동감시 ○「레이더 첨단화‧선진화 및 국가레이더운영센터 신설 등에 연구」수행‧완료(관측운영과- 971/’10. 3.30) - 연구기간/개발비 : 2009. 7.20~2010. 4.19(9개월) |
정상 |
5월 |
○ 레이더 첨단화‧선진화 구축 중장기 계획 수립 |
○ 레이더 첨단화‧선진화 구축 중장기 계획 수립(레이더운영팀- 272/’10. 5.28) - 단계별 추진전략 : 1단계(중기/2010~2014년) - 레이더업무 선진화 기반 조성 |
정상 |
6월 |
○ 레이더 원격감시‧제어시스템 구축(안) 마련 ○ 레이더운영센터 신설 |
○ 레이더 중앙관제시스템 구축 계획 수립(6.30) - 레이더 중앙관제시스템 구성방안, 소요예산, 추진일정 등 ○ 기상레이더센터 신설(대통령령 제22115호, 2010. 4.13 공포‧시행, 환경부령 제368호, 2010. 4.13 공포‧시행) - 기상레이더세터 개소식 개최(레이더운영팀- 260/’10. 5.28) |
정상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국가기상레이더공동활용율(%) |
58.3 |
(연말 제시) |
○ 유관기관 레이더자료 검증 및 활용계획 수립(1.28) ○ 2010년도 레이더관계관 회의를 통한 기상레이더자료의 실시간 수집‧활용 강화 방안 협의(3.25) ○ 기상청- 국토해양부 간 레이더자료 공동활용을 위한 실무협의회 구성(3.22) 및 1차 회의(4.14) ○ 레이더 관측자료의 공동활용 유관기관 회의 개최(4.9) ○ 국토해양부 레이더자료 품질관리 적용(6.18) ○ 기상- 강우레이더 융합행정을 위한 국방부‧국토해양부‧기상청‧행정안전부 간 업무협약 체결(6.30) |
레이더관측 품질개선도 |
0.49 |
0.20 |
○ 레이더 관측정확도 개선을 위한 관측파라미터 조사 계획(안) 수립(5.18) ○ 레이더자료 품질향상 방안 마련을 위한 워크숍 개최(5.20) ○ 레이더 첨단화‧선진화 구축 중장기 계획 수립(5.28) ○ 레이더 최적 스캔전략 수립을 위한 정책연구용역사업 추진계획 수립(6.18) |
- 223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레이더운영센터 신설추진단 TF('09.5.11) ⇒ 기상레이더센터 조직 신설('10.4.13) - 대통령령 제22115호, 2010. 4.13 공포‧시행 |
○ 기상레이더센터 운영(4.30) - 레이더업무 조기 안정화 및 정착을 위한 기상레이더센터 업무활성화 방안 보고(5.7) - 기상레이더센터 개소식(5.26) - 레이더 첨단화‧선진화 구축 중장기 계획 수립(5.28) |
○ 레이더자료의 표준화 및 운영경비 절감 추진 |
○ 기상레이더 도입 기종의 통일 추진 - 조달청(외자장비과)과 장기계속계약 방안 협의(6.16) - 기획재정부 예산확보 협의(6.24)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기상청- 국토해양부 간 레이더자료 공동활용을 위한 실무협의회 구성(3.22) |
○ 레이더 관측자료의 공동활용 추진 - 유관기관 레이더자료 검증 및 활용계획 수립(1.28) - 2010년도 레이더관계관 회의 개최(3.25) - 기상청- 국토해양부 간 레이더자료 공동활용을 위한 실무협의회 개최(4.14) - 레이더 관측자료의 공동활용 회의 개최(4.9) |
○ 기상- 강우 레이더 융합행정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6.30) - 협약기관 : 국방부, 국토해양부, 기상청, 행정안전부 |
○ 국방부‧국토해양부‧기상청‧행정안전부 간 기상- 강우레이더 융합행정 추진 - 융합행정체계 구축을 위한 실무회의(5.19) 및 합동 현장방문(5.26) - 업무협약 체결을 위한 실무회의 개최(6.17) - 기상- 강우레이더 융합행정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6.30) |
- 224 -
|
Ⅰ- 1- 주요정책① : 위험기상 실시간 감시 체계 구현 |
□ 목 적
○ 한반도로 접근해오면서 발달하는 위험기상(태풍, 집중호우 등)으로 인한 피해 규모가 증가 추세에 있음
○ 위험기상을 조기에 탐지하고 신속하게 분석‧예측이 가능하도록 지상, 고층, 해양, 레이더 관측망 확대 및 관측기술의 고도화 필요성 대두
□ 주요내용 및 성과
○ 레이더자료 분석‧예측 능력 향상과 위험기상 조기 감시강화 (레이더분석팀)
— 레이더 강설 분석 기능 강화를 위한 반사도 영상 및 강설 합성영상 표출(1.25)
— 레이더자료 활용기술개발 중기 계획 수립(3.31) 및 한국형 레이더자료 분석 프로그램 개발 계획 수립(4.20)
— 고품질 레이더자료 생성을 위한 품질 향상 기법 개선
· 국내외 레이더 전문가 초청 세미나 개최 2회(4.27, 6.17) 및 레이더 자료 품질 향상 방안 마련을 위한 워크숍 개최(5.20)
· 위성 및 AWS 자료를 이용한 레이더 채프에코 영상 제거 알고리즘 개발(6.30)
— 레이더 영상자료 표출 기법 개선 및 접근성 강화
· 레이더자표 품질관리 알고리즘 처리 체계 개선 및 QC 합성 영상 프로세서 세분화를 통한 표출 시간 단축(6.17)
· 3차원 레이더 바람장 등 19종의 고급 영상 자료, 레이더 PAIR 영상을 종합 기상 정보 시스템에 표출(6.18)
— 정량 강수 예측시스템(VSRF, MAPLE)의 격자체계, 도메인 영역 등 시스템 통합표출 체계 구현(6.30)
○ 지상관측 공백지역 위험기상 실시간 감시기능 강화 (레이더분석팀)
— 서해에서 진입하는 강수시스템의 감시를 위한 중국기상청의 선양 레이더 자료 추가 수집 및 한중합성영상 생성(4.20)
— 내륙지역의 레이더 관측공백 지역 해소를 위한 국토해양부 비슬산 레이더 자료 품질관리 수행(6.18.)
— 임진강 유역 강수 감시체계 구축을 위한 레이더- AWS 누적강수량 표출(6.30.)
○ 레이더 관측의 첨단화‧선진화를 통한 위험기상 실시간 감시 강화 (레이더운영팀)
- 225 -
— 낙뢰 등 위험기상시 무중단 운영을 통한 기상레이더 운영 강화(4.12)
— 강원 영동 및 동해상의 위험기상 감시 강화를 위한 강릉레이더 현업 운영(5.1)
— 레이더 첨단화‧선진화 구축 중장기 계획 수립(5.28) 및 레이더 중앙관제시스템 구축 계획 수립(6.30)
○ 한반도 주변 해역의 위험기상감시 강화 (해양기상과)
— 해양기상관측망 확충 계획 수립(2.10.) 및 해양기상관측자료의 실시간 품질관리 강화
— 고층 및 해양 종합기상관측용 신규 관측선(기상1호, 498톤) 건조 추진(6월 현재 공정률 : 62.6%)
○ 한반도 고층대기 관측망 확충과 고층자료 활용성 제고 (관측정책과)
— 울릉도 고층관측소 신설 현장조사 계획 수립(5.24)
— 울릉도 기상대 현장 실사(5.27~28) 및 울릉도 고층관측 환경 현장조사 결과 보고(5.31)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계 획 |
추 진 실 적 |
비고 |
2월 |
○ 고층관측자료 품질향상 계획 수립 ○ 해양기상관측망 확충 계획 수립 |
○ 고층기상관측자료 품질향상 추진계획 수립(관측운영과- 607, 2010.02.26) - 고층기상관측자료 자료품질 개선 착수보고회 개최(3.11) ○ 해양기상관측망 확충 계획 수립(해양기상과- 297, 2010.02.01) - 연안바다 중심의 소형 파고부이관측망 구축 및 장주기파 감시를 위한 연안방재관측시스템 구축 - 노후 장비 지속적 교체 및 운영, 타 기관 해양관측자료 공유 확대 |
정상 |
4월 |
○ 레이더자료 활용기술개발 중기계획 수립 |
○ 레이더자료 활용기술개발 중기계획 수립(관측운영과- 994, 2010.03.31) - 관측 자료 품질관리와 바람 및 강수 자료 개선 등을 통한 레이더 활용 기술의 선진화 - 범국가적 레이더자료의 공동 활용 체계 구축 |
정상 |
5월 |
○ 울릉도 고층관측소 신설 현지조사 |
○ 울릉도 고층관측소 신설 현장조사 계획 수립관측정책과- 1703 (2010.05.25) ○ 울릉도 기상대 현장 실사(5.27~28) 및 울릉도 고층관측 환경 현장조사 결과 보고(5.31) |
정상 |
6월 |
○ 레이더- AWS 누적 강수량 산출시스템 개발 추진 |
○ 레이더- AWS 누적 강수량 산출시스템 개발 추진(6.30) - 임진강 유역 강수 감시체계 구축을 위한 레이더- AWS 누적강수량 표출 |
정상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레이더 강수량 추정 정확도 |
88.0 |
88.2 |
○ 레이더 강우량 추정 정확도: 전년대비 2%상승(86.3%→88.2%) - 지상 AWS 우량과 레이더에서 추정한 강우량의 정확도 비교(5월까지 실적) |
해상 위험기상 감시율 |
95.0 |
96.8 |
○ 해상특보 발표 기여율 : 전년대비 1.9% 상승(94.7% → 96.8%) - 해역별 해양관측장비(부이, 등표, 파랑계) 정상 가동률 95.6%(5월까지 평균 가동률) |
- 226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분산된 레이더 운영 인력을 활용한 레이더 자료 분석 기능 강화 요구 (기상선진화를 위한 10대 우선 과제 - 레이더자료의 국가적인 공동활용체계 구축) ○ 관측 전략 및 자료 품질 개선, 초단기 모델 활용 방안 등 요구 (레이더 자료 사용자 협의회 구성 및 운영) ○ 초단기 예보 및 수치모델의 원활한 입력을 위한 고품질의 레이더 자료 생성 필요 (레이더 자료의 품질관리 강화를 위한 워크숍(5.20) 및 (부)정기적인 실무협의) ○ 북한지역 및 임진강 유역의 강수량 실시간 감시체계 필요(유관기관 협의) |
○ 기상레이더 센터 운영 - 기상 레이더센터 개소식(5.26) 및 레이더 첨단화·선진화 구축 중장기 계획 수립(5.28) ○ 초단기 예보 및 수치모델 성능 향상을 위한 수치모델개발과, 예보연구과 등과 레이더자료 품질향상 등 협력 ○ 초단기 정량강수예측시스템(VSRF, MAPLE) 시스템 성능평가 및 통합표출 체계 구축 완료(6.30) ○ 레이더 실시간 자료를 활용한 임진강 상류 지역 누적강수량 실시간 표출(6.30)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레이더 자료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유관기관 협력 - 레이더 자료 공동 활용을 위한 국토해양부 등과 협력 ○ 수문분야의 레이더 강수량 자료의 활용 극대화를 위한 유관기관 협력 - 레이더 강수량 자료의 실시간 제공 및 유역강수량 산출을 위한 건설기술연구원, 한국 수자원공사와 협력 |
○ 국토해양부 레이더 자료 활용(6.11) - 국토해양부 비슬산 레이더 자료 실시간 품질관리 수행 ○ 한국수자원공사 및 건설기술연구원과의 협력 활성화 위한 협의회 참석(5.27, 6.16) - 레이더 강우량 자료를 이용한 유역‧면적강우량 생성 및 정보 공유 - 레이더 강우량 자료를 이용한 침수 및 홍수예측 등 활용 방안 협의 |
○ 분야별 선박 건조위원회 운영 - 건조위원 : 한국해양대학교, 충남대학교, 선박안전기술공단, 서해어업지도선사무소, 중소조선연구원, 국토해양부, 한국해양연구원, 군산대학교, 국립해양조사원, 해군, 기상청 |
○ 해양기상관측선 건조위원회 위원 변경(5.3.) ○ 신규 관측선(기상1호) 공정 중간보고회 개최(6.18.) - 1, 2차년도 추진실적 및 2차년도 월별 추진계획 점검 - 탑재장비 제작사 변경에 따른 업체 선정 |
- 227 -
Ⅴ- 1- 정보화① : 관측 자료 수집망 운영 |
□ 목 적
○ 레이더 자료의 활용성 증대를 위하여 레이더자료의 최적화시스템을 구축하여 위험 기상 분석능력 및 조기감시 기능 강화
○ 황사 관련 자료를 총괄 수집, 분류 관리하여 황사예보 및 대책 수립에 유기적으로 검색 활용할 수 있는 황사자료 종합DB 구축
○ 신속한 지진통보 및 지진해일 예·경보체계 구축으로 지진·지진해일 재해 경감
— 지진관측망 점검 강화로 지진관측자료 수집률 향상
□ 주요내용 및 성과
○ 레이더 자료 최적화 시스템 개발 용역 사업 추진(레이더분석팀)
— 레이더 위험기상분석시스템 개발 과제 계약 체결(5.24, 71백만원)
— 초단기 정량강수예측시스템(VSRF, MAPLE) 시스템 성능평가 및 통합표출 체계 구축 완료(6.30)
· 초단기 정량강수예측 시스템과 우량계 강수자료의 공간/시간 검증자료 표출
· 초단기 정량강수예측자료에 대한 통계적 검증 분석 자료 표출
○ 황사자료 품질 고도화 용역 사업 추진(황사연구과)
— 황사 사례별 DB 구축 과제 계약 의뢰(5.13, 48백만원)
○ 신속한 지진정보 전파체계 보강(지진감시과)
— 지진분석시스템 보완 및 지진정보 전파체계 강화 계획 수립 및 지진통보용 동보보드 구매 계약 체결(6.21)
— 지진자료수집 및 분석프로그램 업그레이드 계획 수립 및 구매 요청(6.11)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실 적 |
비고 |
1월 |
○ 2010년 레이더 연구용역사업 추진계획 수립(1.19) |
정상 |
○ 지진통보시스템 동시동보 시스템 보강 계획 수립(1.14) |
||
2월 |
○ 2010년도 관측기반국 연구용역심의 소위원회 개최 (2.18) |
정상 |
○ 지진분석 시스템 보강 사업 계획 수립(2.4) |
||
3월 |
○ 2010년도 연구 용역과제(레이더) 추진을 위한 원가계산 의뢰(3.8) ○ 2010년도 연구 용역과제(레이더) 조달 계약 요청(3.22) |
정상 |
○ 지진통보시스템용 동시동보 팩스시스템 구매 요청(3.25) |
||
5월 |
○ 2010년도 연구 용역과제(레이더) 입찰제안서 평가(5.3) ○ 2010년도 연구 용역과제(레이더) 계약 체결(5.24, 71백만원) |
정상 |
○ 2010년도 연구 용역과제(황사) 과업 지시서 심의 의뢰(5.13) ○ 2010년도 연구 용역과제(황사) 조달 계약 요청(5.25) |
||
6월 |
○ 레이더 위험기상분석시스템 개발용역(레이더) 착수보고회 개최(6.3) |
정상 |
- 228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레이더 강수량 추정 정확도 |
88.0 |
88.2 |
○ 레이더 강우량 추정 정확도: 전년대비 2%상승(86.3%→88.2%) - 지상 AWS 우량과 레이더에서 추정한 강우량의 정확도 비교(5월까지 실적) |
지진통보신속도(%) |
95.2 |
100 |
○ 지진속보 1회 2분내 발표, 지진통보 16회 5분내 발표 성공(북한지진제외) - 신속도 = { (1/1) x 0.3 + (16/16) x 0.7 } x 100 = 100 ※ 실적산식 : 신속도(%) = { (x/X)×0.3 + (y/Y)×0.7 } × 100 - x : 2분이내 지진속보 발표횟수 - X : 총 지진속보 발표횟수 - y : 5분이내 지진통보 발표횟수 - Y : 총 지진통보 발표횟수 |
지진발생 위치정확도(km) |
4.15 |
2.96 |
○ 지진속보 1회, 지진통보 16회 발표 - 정확도 = 지진통보 거리오차 합(47.4 km)/ 지진발생횟수(16회) = 2.96 ※ 북한에서 발생한 지진은 평가대상에서 제외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레이더 자료의 품질 향상 및 활용 확대를 위한 본청 및 지방청 예보부서와 협의 필요(예보관 대상 레이더 활용에 관한 설문 조사, 5.13~5.23) ○ 초단기 정량 강수 예측시스템(VSRF, MAPLE) 시스템 검증 표출 시스템 개발 필요(레이더 자료 사용자 협의회 운영) |
○ 레이더자료 활용 개선을 위한 예보관 설문조사 결과 분석(5.28) - 레이더 영상자료 표출 기법 개선 및 접근성 강화(6.18) ○ 초단기 정량강수예측시스템(VSRF, MAPLE) 시스템 성능평가 및 통합표출 체계 구축 완료(6.30) - 초단기 정량강수예측 시스템과 우량계 강수자료의 공간/시간 검증자료 표출 - 초단기 정량강수예측자료에 대한 통계적 검증 분석 자료 표출 |
○ 황사예보현업지원시스템 운영에서의 문제점 및 개선점 도출 - 과거 황사발생시 일기도 유형 및 농도관측자료 조회에 어려움이 있음 - 복합적 표출기능, 이용방법 및 도움말 기능 필요 |
○「황사사례별 DB 구축」 규격서 반영 - 황사사례별 DB를 황사예보현업지원시스템과 연계 구축 - 예보관용 도움말 기능 추가로 사용자의 편리성 도모 |
○ 아이티지진, 시흥지진, 북핵 3차 핵실험 가능성으로 OO 위기대응 실무 매뉴얼 및 국가지진 센터 매뉴얼의 보강 필요 - 15분 이내 특이사항 발생만을 통보함으로 긴급 상황 대처 어려움 |
○ OO위기대응 실무 매뉴얼 개정(교과부 원자력통제팀)에 따른 국가지진센터 운영 매뉴얼 수정(1.14) - 10분이내 유관기관에 특이사항 발생 통보 - 유관 보고기관 확대(1개소→4개소 BH, 국정원, 외교부, 교과부) |
- 229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수문분야의 레이더 강수량 자료의 활용 극대화를 위한 유관기관 협력 - 레이더 강수량 자료의 실시간 제공 및 유역강수량 산출을 위한 건설기술연구원, 한국 수자원공사와 협력 ○ 수치모델개발과, 예보기술팀 및 예보연구과와 협력 - 초단기 예보 및 수치모델 성능 향상을 위한 레이더자료 품질향상 방안 협의 |
○ 건설기술연구원과 협력 활성화 위한 협의회 참석(6.16) - 레이더 실시간 자료를 활용한 임진강 상류 지역 강수량 준 실시간 감시체계 구축 - 레이더- AWS 누적 강수량 표츌 추진(6.30) ○ 레이더 사용자 협의회 구성, 워크숍 및 실무협의회 개최 - 초단기 예보 및 수치모델의 원활한 입력을 위한 고품질의 레이더 자료 생성 |
○ BH 상황실, 국정원, 국방부 합동참모본부, 정보사 ○ 교육과학기술부 원자력통제팀 ○ 소방방재청 재해경감과 ○ 방송통신위원회 비상기획관실 |
○ 실시간 지진상황시스템 구축 - 인공 및 자연지진 발생시 신속한 상황 전파 및 정보 전달체계 구축 - 지진관측망도 표출, 통보창, 지진감지 관측소 표시 ○ 정부부처 북핵관련 합동훈련 공조(5.18) - 참여기관 : 교과부, 지질자원연, 원자력안전기술원, 원자력통제기술원, 항우연, 원자력연구원 ○ 지진 및 지진해일 대비 2010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 실시(5.13) - 지진 및 지진해일 도상 훈련 실시 ○ 재난방송 자동자막송출 훈련 실시(5.13) |
- 230 -
항공기상청
2010년도 상반기 성과점검회의
• 기획운영과 231
• 예 보 과234
• 정보지원과237
|
자체주요업무 : 국제표준의 항공기상인력 역량 강화 |
□ 목 적
○ WMO의 “항공기상종사자 자격기준 강화” 방침(WMO- No. 258 및 보충정보(Supplement))에 따라 자체 “항공기상인력 역량강화 프로그램”을 마련‧운영함으로써 미래지향적 인력 양성
— 자격기준 : 항공예보관은 기상학 학사이상의 자격 및 WMO에서 정한 소정의 교육훈련과정 이수
□ 주요내용 및 성과
○ 국제적 환경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항공기상인력의 역량강화를 위한 기반조성 및 관심제고
— 자격 및 교육훈련 강화, 어학능력 향상 등 항공기상 역량강화 프로그램 마련‧시행(‘09.12)
— 전 직원 관심제고 및 성과창출을 위한 역량강화 프로그램 설명 및 토론회 개최(1월)
○ 항공기상인력의 교육훈련 강화
— 항공기상인력의 자격 및 교육 현황분석(교육이수율 85%, 1월)에 따른 교육이수율 향상 교육과정 운영
▪ 신규‧전입직원 대상 항공기상초급과정 운영(2월 4명 교육, 5월 7명 교육)
▪ 인력개발담당관실과 현안맞춤형 교육과정 운영 협의 및 교육실시(14명 이수, 5월)
▪ 인력개발담당관실 주관 항공기상 사이버교육 콘텐츠 구축에 따른 교육 실시(3월)
○ 항공기상인력의 자격기준 향상
— 대기과학 학위취득을 위한 봄 학기 학점은행제 대기과학 전공과정에 31명 수강 참여(3~6월)
○ 국제표준의 선진항공기상기술 역량강화를 위한 항공기상기술 및 규정검토 실무단 운영
— ICAO 부속서(Annex) 3 국‧영문 번역판 발간(4월)
- 231 -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계 획 |
추 진 실 적 |
비고 |
1월 |
○ 항공기상 역량강화를 위한 직원토론회 개최 |
○ "항공기상 역량강화 프로그램"에 관한 전 직원 관심제고를 위한 설명회(토론 포함) 개최(1.6) - 자체 영상회의시스템을 활용 소속기관 참여 |
정상 |
2월 |
○ 항공기상인력 자격 및 교육 강화를 위한 본청 관계부서 협의 ○ 봄 학기 학점은행제 대기과학 전공과정 교육생 추천 |
○ 항공기상인력 자격 및 교육 강화를 위해 인력개발담당관실과 협의(2월) - 공항기상실 근무 직원의 학점은행제 대기과학 전공과정 참여, 현안맞춤형 교육과정 운영 등 협의 ○ 봄 학기 학점은행제 대기과학 전공과정 교육생 32명 추천(2.18) |
정상 |
4월 |
○ 자체 직원 어학능력시험 실시계획 수립 |
○ 직원 어학능력 향상을 위한 어학능력시험 응시계획 수립(5.18) |
지연 |
5월 |
○ ICAO 부속서(Annex)3 국‧영문 번역판 발간 ○ 현안 맞춤형 교육과정 운영 |
○ ICAO 부속서(Annex)3 국‧영문 번역판 발간 및 소속기관 배포(4.26) ○ 현안 맞춤형 교육과정 운영(5.26~28 / 14명 교육) - 과정명 : 항공관측기술 전문과정 |
정상 |
○ 지연사유
— 전 직원의 어학능력시험 응시료 전액을 지급하기 위하여 총액인건비제 운영계획과 연계하여 추진하고자 어학능력시험 응시계획 수립 일정 지연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WMO 교육이수율 |
87.0 |
84.9 (6월말) |
○ 교육이수율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 개설 및 운영 - 항공기상초급과정 운영(2회 11명 교육), 현안맞춤형 교육과정 운영(14명 이수) |
- 232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직원 어학능력 향상에 능동적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예산지원이 요구됨 - 학원수강 및 시험응시료 등 예산지원 |
○ 의도적 절감에 의한 총액인건비제 재원을 활용하여 능력개발비 지원 - 전 직원 설명회 및 토론회를 통한 동의 ⇒ 학원수강료 일부지원, 시험응시료 전액지원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WMO에서는 항공기상종사자의 자격기준을 강화하고자 관련지침을 개정 추진 (2011년 예정) - 항공예보관 자격기준 : 기상학 학사 이상의 자격 및 WMO에서 정한 소정의 교육 훈련과정 이수 ○ 항공기상종사자의 자격 및 교육훈련 충족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실시 (인력개발담당관실 협조) |
○ WMO 제14차 항공기상위원회 주요 핵심의제로 상정(‘10. 2 / 항공기상청장 정부수석 대표 참석) ○ 항공기상인력의 자격 강화를 위해 “학점은행제 대기과학 전공과정” 확대 운영 협의 ○ 항공기상인력의 교육훈련 강화를 위해 “현안맞춤형 교육과정” 운영 협의 |
- 233 -
|
자체주요업무 : 항공위험기상(강풍)에 대한 예측능력 향상 |
□ 목적 및 배경
○ 산업활동과 레저활동의 증가로 항공기 이용이 늘어나면서 항공기 이‧착륙에 매우 위협적인 요소인 윈드시어(강풍) 예측의 중요성이 증대
○ 따라서 상세하고 세밀한 선행현상 분석을 통한 정량적인 강풍 예측 가이던스 마련이 시급한 실정
□ 주요내용 및 성과
○ LLWAS(Low Level Windshear Alert System)를 활용한 저층윈드시어 연구(Ⅱ)_현장연구과제
— 윈드시어 관련 항공기 사고 분석(1957년 ~ 2009년) → 완료
— 관측자료 통계분석 : 2005년 ~ 2009년(5년) → 완료
— 저층 윈드시어 관련한 항공기사고 사례분석 → 연구 중
— 저층 윈드시어 예보가이던스 개발 → 8월 ~ 10월
○ KLAPS(Korea Local Analysis and Prediction System)를 활용한 인천공항 위험기상분석(강풍사례)_공동현장연구과제
— 강풍사례에 대하여 KLAPS을 이용한 다양한 분석과 정리 → 연구 중
— 위험기상 개념 모델 정립을 위한 사례 선별 및 분석 → 연구 중
— 강풍사례에 대한 위험기상 개념 모델 정립 및 개발 → 10월 ~ 11월
- 234 -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계 획 |
추 진 실 적 |
비고 |
1월 |
○ 현장연구과제 연구 계획 및 수립 |
○ 2010년도 현장연구과제 추진계획서 제출(1.11) |
정상 |
2월 |
○ 현장연구과제 업무분장 및 주요내용 논의 ○ 공동현장과제 연구 계획 및 수립 |
○ 2010년 2월 현장연구과제 연구원 회의개최(2.26) - 2010년도 현장연구과제 일정 및 업무분장 분배 ○ 2010년 지방청 및 항공청 공동 현장연구과제 세부추진계획(2.16) |
정상 |
4월 |
○ 관측자료 분석 및 항공기 사고 사례 조사 |
○ 3월 현장연구과제 연구원 회의 개최(3.24) - 윈드시어 관련 항공기 사고 조사 분석 |
정상 |
5월 |
○ LLWAS 설치 공항 현지 조사 ○ 공동현장연구 중간보고회 |
○ 2010년도 항공기상 예보기술 지도 및 점검 계획(5.31) - LLWAS 설치 공항(양양, 제주) 현지 점검 ○ 2010년도 현장연구과제 1차 워크숍 개최 알림(5.25) - KLAPS를 활용한 인천공항 위험기상분석(강풍사례) |
지연 정상 |
○ 지연사유
— 예산 부족 및 예산의 중복 집행을 피하기 위해 항공기상 예보기술 지도 및 점검 시 실시하기로 5월 31에 계획을 세워 6월에 실시하였음
○ 조치계획
— 양양공항(6.21~22), 제주공항(6.23~24) 현지조사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항공위험기상(강풍)에 대한 예측능력 향상 |
69.4 |
75.0 |
○ 인천공항 강풍경보 월별 점수 및 1월~5월 누적 평균 - 1월 평균 : 62.72 - 3월 평균 : 77.03 - 4월 평균 : 75 - 5월 평균 : 78.75 - 1월~5월 누적 평균 : 75.0 ※ 2월에는 강풍경보 발표사례가 없었음 |
- 235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LLWAS(Low Level Windshear Alert System)를 활용한 저층윈드시어 연구(Ⅱ)_현장연구과제 - LLWAS의 저층윈드시어 탐측자료 현황 분석 미흡 - 국내 저층윈드시어 관련 선행연구 자료 부족 |
- LLWAS 저층윈드시어 탐측자료 통계분석 및 특성연구 - 외국의 저층윈드시어 연구자료 수집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국립기상연구소 응용기상연구과 R&D사업과 연계_현장연구 - LLWAS(Low Level Windshear Alert System)를 활용한 저층윈드시어 연구(Ⅱ) ○ 국립기상연구소 예보연구과와 공조연구 - 3차원 분석시스템을 활용한 개념모델 개발연구(Ⅳ) ‧ KLAPS를 활용한 인천공항 위험기상분석(강풍) |
- 항공기상 전문가 워크숍 공동 개최(5.24) - 현장 및 현업화 과제 성과도출 워크숍 참석 및 발표(6.15) - 2010년도 현장연구과제 1차 워크숍 개최 참석 및 발표(6.3~4) |
- 236 -
|
Ⅱ- 2- 정보화① : 항공기상정보시스템 운영 |
□ 목 적
○ 항행안전을 위한 고품질 항공기상정보 생산 및 안정적인 정보시스템 운영
○ 항공기상정보 자료교환 국제기준 이행율 향상을 위한 항공기상전문 전송 프로그램 알고리즘 개선
□ 주요내용 및 성과
○ 업무편의성 제고 및 고품질 항공기상정보 생산을 위한 시스템 개선 추진 (26백만원)
— 안정적인 시스템 운영 및 업무편의성 위한 인터넷, 인트라넷 콘텐츠 보완
— 민관군 등 조종사 기상관측보고 수집체계 강화를 위해 PIREP 입력 프로그램 개발
○ 항공기상전문 전송 프로그램의 품질관리 및 처리환경 개선 (28백만원)
— 국내외 항공기상전문 오류분석 및 보완 알고리즘 설계로 국제규정 이행률 향상 제고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계 획 |
추 진 실 적 |
비고 |
2~3월 |
○ 사업 추진계획 수립 - 사업명 : 인트라넷 홈페이지 및 관련 S/W 개선 용역 (26백만원) - 사업명 : 항공고정통신망(AFTN) 및 항공기상자료 처리프로그램 개선 (28백만원) |
○ 2010년 항공기상청 주요사업 계획 수립 반영 (2.1) ○「인트라넷 홈페이지 및 관련 S/W 개선 용역」추진계획 수립 (3.5) 및 원가계산 - 사업제안서 작성 및 건국대 산학협력단 원가계산 의뢰(3.19) ○「항공고정통신망(AFTN) 및 항공기상자료처리 프로그램 개선」추진계획 수립 (4.6) 및 원가계산 - 사업제안서 작성 및 건국대 산학협력단 원가계산 의뢰(4.19) |
정상 |
4월 ~12월 |
○ 계약업체 선정 및 사업추진 |
○「인트라넷 홈페이지 및 관련 S/W 개선용역」계약체결 및 착수보고회 개최(4.26) - 업체명 : (주)이젠인포텍, 사업기간: 4.21~12.15 ○「항공고정통신망(AFTN) 및 항공기상자료처리 프로그램 개선」용역 계약체결 및 착수보고회 개최(5.14) - 업체명 : (주)이니텔, 사업기간 : 5.13~11.30 |
정상 |
- 237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ICAO(국제민간항공기구) 규정에 부합하는 항공기상 정보처리 역량 ‧전문전송 누락 및 지연건수 |
91건 이하 |
23건 (1~5월) |
○ ICAO에서 권고하는 의무전송 항공기상정보(예보 및 관측)에 대한 국제 전송률 평가 ○ 2010년 항공기상정보 총 의무전송 건수 (105,032건) - 인천(21,900), 김포‧제주(10,220), 김해(6,935), 무안‧울산(7,665), 청주‧대구‧광주(6,205), 여수‧사천(6,174), 포항(5,764), 양양(3,650)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국제규정 준수 및 충실한 이행으로 항공기상업무 국제적 우위 선도 - ICAO(국제민간항공기구), IATA(국제항공운송협회) 등에서는 각 국의 기상전문을 샘플링하고 모니터링하여 국가별 기상정보 품질도를 자체 평가함 |
○ 항공기상청에서 생산‧전송되는 모든 기상전문에 대한 품질관리 및 오류사항 점검 ‧지도 (정보지원과 수행) - 해당부서 및 소속기관 평가에 전문 지연‧누락율 반영 |
○ 공항별 항공기상관측 실무자 직접 면담 통한 현안문제 토의 - 항공기상전문 전송 프로그램 기존 문제사항 제기 및 실무자 의견 수렴 |
○항공기상관측 기술지도(4.26~5.4) 및 장비운영 실무자 회의 개최(5.11)시 현업의견 수렴 후 프로그램 개선 반영 추진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PIREP(조종사관측보고) 자료 입력시스템 개선을 위한 수요자(조종사) 협력체계 마련 - 프로그램 개발시 삼성테크윈(주) 민간항공사 조종사의 지속적인 보완의견 제기 - 항공종사자의 적극적인 관측자료 입력 협조 |
○ 저고도 항행분야 항공기상 콘텐츠 개선을 위한 활용자(민간항공사) 회의 개최 - 기존 콘텐츠 개선의견 수렴 및 PIREP(조종사관측보고) 자료 수집활용 협의 - 일시/장소/참석 : 5.18 / 삼성테크윈(주) / 조종사(12인), 운항관리사(4인) |
- 238 -
Ⅴ- 2- 재정⑥ : 항공기상장비 보강 및 운영 |
□ 목 적
○ 항공안전 및 저탄소 녹색성장 기반 마련을 위한 실용적기상서비스 강화
— 항공운항에 필요한 기상정보 제공의 정확성, 적시성 확보와 표준화된 기상시설의 운영
○ 항행 위험기상 탐지능력 향상을 위한 최적관측망 구성 및 신속한 위기대응 시스템 구축
□ 주요내용 및 성과
○ 국토해양부와 협력사업으로 항행안전 기상시설 개선 추진
— 인천공항 AMOS(공항기상관측장비) 2조 교체 추진 중 (국토해양부 예산 1,374백만원)
— 제주공항 AMOS(공항기상관측장비) 1조 교체 추진 중 (국토해양부 예산 1,400백만원)
○ 인천공항 제3활주로 저층난류감시 최적화 기반 마련을 통한 위험기상 탐지능력 제고
— 환경조사를 통한 장비 설치 최적장소 선정 완료 (5.12)
— 인천공항 윈드시어 탐지장비 신설 추진 (1,185백만원)
○ 해무유입 및 공항주변 기상상태 실시간 감시체계 강화
— 인천공항(48백만원), 울산‧양양공항(55백만원) 원격 안개감시용 CCTV 5대 확충 및 신설
— 전국 공항 원격안개감시 관측망 구축 추진
○ 효율적 장비 유지관리 및 신속한 장애복구 수행을 위한 전문용역 계약 추진
— 김해‧여수공항 윈드프로파일러 유지보수용역 계약 추진 (기상산업진흥원 / 1,200백만원)
- 239 -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계 획 |
추 진 실 적 |
비고 |
1~ 6월 |
○ 항공기상장비 보강 및 운영 계획 수립 ○ 효율적인 사업수행을 위한 유관기관 업무협약 ○ 설치 환경조사 ○ 구매의뢰 및 계약체결 ○ 사업 추진 |
○ 2010년 항공기상청 주요사업 계획 수립 반영 (2월) - 사업별 세부추진 일정 및 예산투자 계획 등 ○인천공항 3활주로 윈드시어 탐지장비 신설 - 인천공항 제3활주로 윈드시어 탐지장비 신설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1월, 서울지방항공청) - 유관기관 합동 설치환경 조사 (2~3월) - 설치장소 적지 선정을 위한 Site Survey 계약(4월) 및 결과보고 (5월) - 인천공항 3활주로 윈드시어 탐지장비 설치사업 조달공고 (6월) ○인천공항 및 제주공항 AMOS 교체 - 제주공항 AMOS 교체 관련 업무협약 체결(2월, 부산지방항공청) - 사업별 유관기관 공동 TFT 구성(2~3월) - 인천 및 제주공항 기상장비별 센서 등 교체사업 추진 (2~12월) ○원격 안개감시용 CCTV 설치 - 공항별 CCTV 설치장소 선정을 위한 환경조사 실시 (4월) - 계약체결 및 사업추진(6월) ○김해 여수공항 윈드프로파일러 유지보수 계약 추진 - 유지보수 적정 비용산정을 위한 원가계산(4월, 감우회) - 유지보수 전문업체 선정을 위한 조달공고 (5~6월) |
정상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항공기상정보 제공 중단시간 최소화 |
190시간 이하 |
39.3시간 (1~5월) |
○ 관측장비의 실시간 정보제공에 대한 평가 - 장비 장애시간 최소화로 연속성 있는 항공기상정보 생산 기여 - 공항별 장애시간 인천:4.7, 김포:9.6 제주:4.3, 울산:1.0, 무안:5.7, 여수:12.4, 양양:1.7) |
- 240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항공기상청 → 한국기상산업진흥원 역무대행 - 물품구매, 용역계약, 검정 등의 업무가 3월부터 한국기상산업진흥원에서 역무대행으로 추진 |
○ 역무대행 업무 수행을 위해 지도 및 관리 직원 파견 - 기간 : 1.25~5.31 (1인, 한국기상산업진흥원 상주 근무)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2010년도 국토해양부 기상시설 보강 예산」집행 추진 - 항행안전을 위한 인천 및 제주공항 AMOS 교체 |
○ 사업계획 수립 및 설치 등 효율적인 업무 추진을 위한 유관기관과의 업무협력 - 항공기상청~부산지방항공청 업무협약서(MOU) 체결(1.21) 및 공동 TFT 구성 |
- 241 -
자체주요업무 : 관측기술 및 장비운영 역량 강화 |
□ 목 적
○ 관측기술 및 장비운영 역량 강화로 위험기상 탐지 및 대처 능력 향상
○ 대외협력, 기술지식 공유를 통한 항공기상 관측 및 장비운영 분야 전문인력 양성
□ 주요내용 및 성과
○ 대외 협력(민‧관‧군)을 통한 효율적인 항공기상정보 생산 기반 마련
— 유관기관(산림청, 해양경찰청, 삼성테크윈)과 공조하여 저고도 항공기 탑승관측 실시
— 항공기상관측 장비 합동점검 실시 및 상호 전문가 교류 (군‧학계 항공기상장비 담당자)
— 항공기상정보 공동 활용체계 마련을 위한 군과의 업무협의 실시
○ 관측 및 장비운영 실무능력 강화를 위한 전문교육과정 개설, 기술교류, 연구회 운영
— 현안맞춤형 항공기상관측기술 전문과정 개설, 항공기상장비운영 관계관 회의 개최
— 장비운영 역량강화를 위한 유관기관(육군, 공군) 전문가 교류 및 자체 기술연구회 운영
○ 항공관측자료 품질관리 체계 확립 및 공항기후자료 관리역량 강화
— 공항별 관측 및 공항별 기후통계 평가방법 개선, WMO, ICAO 국제기준 근거한 공항별 기후자료집 발간
○ 항공기상관측업무 선진화를 위한 중장기 로드맵 수립
— 항공기상관측망 확충, 위험기상탐지능력향상 및 활용기술 개발, 품질관리체계 마련등 선진화 계획 수립
○ 중요 항행 위험기상정보 공유를 위한 업무 개선
— 전세계 화산재정보 자동 수신 체계 마련 추진
- 242 -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계 획 |
추 진 실 적 |
비고 |
3월 |
○ 항공기상관측망 확충 및 보강 계획 수립 ○ 유관(민간)기관과의 대외 협력계획 수립 및 업무협약 체결 ○ 유관기관 협조 탑승관측 계획 수립 |
○ 2010년 항공기상청 주요사업 계획 수립 반영 (2월) - 자체 추진과제명 : 항공기상관측망 확충 및 보강 ○ 항공기상관측장비(AMOS, TDWR) 유관기관 및 학계 합동점검 계획 수립 (3.3) ○ 2010년도 항공기 탑승관측 실시 계획 수립(1.20) - 저고도 항행용 PIREP 수집을 위한 산림청 업무협의 (1.27) |
정상 |
4월 |
○ 관측 및 장비운영 기술서 발간 계획 수립 ○ 기술세미나 및 기술지도 계획 수립 ○ 유관기관 장비운영 전문가 합동 기술교류 |
○ 공항별 기후자료집 발간계획 수립(4.12) 및 배부 (5월) - 「2009년도 공항기후자료집」 - 300부 (배부처:국내 관련기관, ICAO 지역사무소, WMO 항공기상담당, 해외주요공항) ○ 항공기상장비운영 역량강화를 위한 자체 기술세미나 실시 계획 수립 시행(3.11) - COP 개설, 관측 및 전산장비 운영 지식공유, 기술노트 발간 등 - 2010년도 상반기 항공기상관측 기술지도 계획 수립 (4.14) ○ 항공기상관측장비 민‧.군 기술교류 실시 (3.29~4.1, 4.29~30) - AMOS 및 TDWR 정비, 자료처리 기술 교육 |
정상 |
5월 |
○ 유관기관 협조 항공기 탑승관측업무 수행(5월) |
○ 저고도 항공기 탑승관측 소속기관 확대 실시 (3..23, 3.25) - 강원내륙(산림청 협조), 서해남부해상(해양경찰청) - 항공기상 콘텐츠 개선을 위한 활용자(조종사) 협의회 개최 (5.18) |
정상 |
6월 |
○ 관측 및 장비운영 현지 기술지도(6월) |
○ 2010년도 상반기 항공기상관측 기술지도 실시 (4.26~5.4) - 김포, 양양, 무안, 광주, 여수공항 5소 |
정상 |
- 243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관측기술역량 및 장비운영 역량 강화 계획대비 달성도 |
2 |
1 |
○ 관측기술 및 장비운영 역량강화 관련 기술노트, 연구보고서, 지침서, 통계자료집 등의 발간 실적 - 공항별 기후통계 보고서 발간(5월) |
8 |
5 |
○ 관측 및 장비 관련 기술모임 및 지도 실적 - 관측기술교육(4월), 관측 및 장비운영 관계관회의(5월), 관측 및 장비관련 전문교육(항공기상초급과정, 현안맞춤형 항공관측 교육, 항공기상정보 활용자교육 등) 기술연구모임(3~5월) |
|
4 |
- |
○ 항공기상장비 신설‧보강 등 장비운영 환경 선진화 실적 (※ 업무특성을 감안 2010.12월 실적 제출) |
|
5 |
4 |
○ 관측기술 및 장비운영 관련 대외협력 실적 - 항공기상관측장비 합동점검 및 전문가 교류(3월, 4월), 활용자회의(5월), 군(육군, 공군)과의 업무협의(6월)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항행 위험기상정보 적시 수집‧제공을 위한 자동 수신체계 구축 필요성 대두 - 최근 아이슬란드 화산재정보 수집과 관련 기존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정보에 한정된 지역 센터 시스템 체계의 개선 ○ 저고도 항공기 운항증가 및 항공기상정보 수요 증대에 따른 저고도 분야 기상 콘텐츠 보완 및 개발 시급 |
○ 아시아 태평양 화산재주의보 지역센터인 도쿄에 전 세계 화산재정보 관련 신속한 자료 제공 요청 및 시스템 보완 유도 (5.7) - 항공고정통신망을 이용한 자동 수신기반 마련 추진 중 ○ 저고도 항공기 기상지원 강화를 위해 육군에서 보유하고 있는 150소 지점의 항공기상관측자료 공동 활용체계 구축 및 저고도 항행용 기상콘텐츠 개발 추진 - 군(육군본부, 육군항공작전사령부, 공군)과의 업무협의 실시(6.14)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기상법 제 10조에 근거, 실효성 있는 탑승관측 수행을 위해 산림청‧해양경찰청 등 국가기관 업무 공조 ○ 기상청~공군과의 업무협약 이행 - 상호 장비운영 관련 전문가 및 기술교류 |
○ 탑승관측시 협조기관 항공기 지원 - 산림청( 3.23, 강원내륙), 해양경찰청(3.25, 서해남부해상) ○ AMOS(공항자동기상관측장비) 및 TDWR(공항기상레이더) 관련 합동점검 실시 - 공군 2인 내방 합동점검 및 실무교육 (3.29~3.31) |
- 24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