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도 상반기
성과점검회의
2010. 6
|
|||||||
■ 대변인 - 감사담당관 - 운영지원과 ▬ 대변인 1 ▬ 감사담당관 10 ▬ 운영지원과 13 ■ 기획조정관 ▬ 기획재정담당관 16 ▬ 행정관리담당관 27 ▬ 인력개발담당관 32 ▬ 국제협력담당관 41 ■ 예보국 ▬ 예보정책과 45 ▬ 예보기술팀 55 ▬ 국가태풍센터 58 ■ 수치모델관리관 ▬ 수치모델개발과 64 ▬ 수치자료응용과 74 ▬ 슈퍼컴퓨터운영과 78 |
■ 관측기반국 ▬ 관측정책과 85 ▬ 해양기상과 97 ▬ 기상기술과 102 ■ 지진관리관 ▬ 지진정책과 111 ▬ 지진감시과 114 ■ 기후과학국 ▬ 기후정책과 117 ▬ 기후예측과 133 ▬ 한반도기상기후팀 137 ▬ 기후변화감시센터 140 ■ 기상산업정보화국 ▬ 기상산업정책과 145 ▬ 기상자원과 157 ▬ 정보통신기술과 163 |
|
|||||||
■ 국립기상연구소 ▬ 연구기획운영팀169 ▬ 정책연구과177 ▬ 예보연구과180 ▬ 기후연구과183 ▬ 지구환경시스템연구과190 ▬ 황사연구과193 ▬ 응용기상연구과196 ■ 국가기상위성센터 ▬ 위성기획팀205 ▬ 위성운영팀215 ▬ 위성분석팀218 ■ 기상레이더센터 ▬ 레이더운영팀 222 ▬ 레이더분석팀 225 |
■ 항공기상청 ▬ 기획운영과 231 ▬ 예보과 234 ▬ 정보지원과 237 |
대변인- 감사담당관- 운영지원과
2010년도 상반기 성과점검회의
• 대 변 인 1
• 감사담당관10
• 운영지원과13
|
Ⅴ- 4- 주요정책① : 언론과의 스킨쉽 강화 |
□ 목 적
○ 다양한 언론매체 종사자와의 커뮤니케이션 강화를 통한 기상정책 및 기상과학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바른 보도를 유도
□ 주요내용 및 성과
○ 시의성 있는 아이템 발굴 및 사전 기사소재거리 제공
— 슈퍼컴퓨터센터, 국가기상위성센터, 강릉기상레이더 등 언론인 프레스투어(3회)
— 여름철 날씨전망 등 기상청출입기자 정책브리핑(3회), 통신해양기상위성 발사의 의미 등 언론사 오피니언 정책간담회(3회)
— 시간과 싸우는 지진통보 등 언론매체 기고(37건), 국내 첫 기상위성 천리안 발사 등 181건 보도자료 배포
○ 언론(방송)인 기상과학 교육실시
— 예보용어의 이해 등 신규출입기자 언론인기상과학 교실(4회)
— [기상‧기후 현상의 이해] 기상방송인 간담회 및 교육실시(2회)
○ 지역언론 및 전문분야 종사자 기상홍보 강화
— 슈퍼컴퓨터센터, 국가기상위성센터 등 지역언론사 초청 프레스투어(1회)
— 지역기상방송사 기상캐스터 등 기상방송인 간담회 및 교육실시(1회)
○ 방송매체를 통한 다가서는 기상홍보 강화
— 세계 기상의날 특집 영상물 제작 방영
‧예보의 불확실성, 첨단과학의 한계 등(KBS과학카페)
‧날씨관련 가요(17곡) ‘가요무대’ 제작방영(KBS), ‘생방송 오늘’ 기상업무 소개
‧예보의 생산과정 및 에피소드 소개 : 기상캐스터 출연(KBS교양프로그램)
- 1 -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계 획 |
추 진 실 적 |
비고 |
2월 |
○ 봄철 예보브리핑 |
○ 봄철 예보브리핑 실시 : 2.23 / 연합뉴스 등 8개사 10명 - 봄철 날씨전망, 서울시내 천식가능지수 서비스 실시 등 |
정상 |
3월 |
○ 프레스 투어 |
○ 국가기상슈퍼컴퓨터센터 프레스투어 실시 : 3. 3 / 경향신문 등 10개사 12명 - 슈퍼컴퓨터와 일기예보, 새로운 수치예보모델 구축 등 현장설명 ○ 지역언론사 슈퍼컴퓨터센터, 위성센터 프레스투어 실시 : 4. 13 / 국제신문 등 29개사 33명 - 슈퍼컴퓨터와 일기예보, 기상위성발사의 의미 등 현장설명 ○ 강릉레이더관측소 프레스투어 실시 : 5. 19 / 연한뉴스 등 6개사 6명 - 강릉레이더 가동식, 구름물리선도센터 등 현장설명 |
정상 |
○ 언론사 오피니언리더 간담회 |
○언론사 논설위원(오피니언) 정책간담회 실시 : 2.5 / 조선일보 등 12개사 16명 - 겨울 한파와 폭설 분석, 미니빙하기와 지구기후역사,적설예보등 기상정책 주요사항 ○언론사 사회부장단(오피니언) 정책간담회 실시 : 3.18 / YTN 등 12개사 - 슈퍼컴 3호기 도입과 수치예보모델의 전면교체 등 기상정책 주요사항 설명 |
정상 |
|
○ ‘세계기상의 날’ 특집방송 제작 |
○ ‘세계기상의 날 특집방송’ 제작 방영 : 3. 20(토) 19:00~ / KBS 1TV - 기상정보의 중요성과 예보의 불확실성, 첨단과학의 한계 등 영상물 제작 방영 |
정상 |
|
5월 |
○ 여름철 예보 및 방재대책 브리핑 |
○ 여름철 예보 및 방재대책 브리핑 실시 : 5.24 / 서울신문 등 13개사 13명 - 여름철 날씨전망, 여름철 방재기상대책 등 설명 |
정상 |
6월 |
○ 기상방송인 간담회 |
○ TV 기상캐스터 간담회 실시 : 2. 27 / 전국 공중파TV 기상캐스터 50명 - 기상/기후 현상에 대한 이해, 기상청장과의 대화, 시설견학 등 ○ 기상방송인 간담회 실시 : 6. 17 / TV, 날씨ON, 케이웨더 등 기상캐스터 21명 - 응용기상지수의 활용, 예보용어의 이해 등 설명 및 질의응답 |
정상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기상관련 언론관계자 기상청인식도(%) |
80 |
- |
○ 본청 및 전국 주요기상관서 출입기자 대상 기상청 인식도 조사 - 이메일 설문조사(상반기 / 5.31- 6.11), 조사결과 분석 중 |
기상 관련기사 보도율(%) |
65 |
연지표 |
○ 중앙일간지(10개사)와 통신사(2개)의 기상관련 보도건수 매일 모니터링 진행중 - 연간목표치임 |
- 2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대국민 기상서비스 만족도 조사실시 - 기상예보에 대한 기대수준은 높으나 국민이 원하는 기대수준에 도달하지 못함 - 국민들의 기상정보 습득매체 종사자의 기상과학 이해도가 필요함 ○ 기상과학에 대한 국민적 인식 부족으로 오해발생 - 고가 장비인 슈퍼컴퓨터 등 도입에 대한 예보정확도 향상 기대 - 외국인 기상전문가 영입으로 단기간내 좋은 품질의 기상서비스를 요구 |
○ 기상정보의 선제적 제공 등 언론인과의 유대강화로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긍정적 보도를 유도하여 기상과학의 대중화 구현 - 기상이슈, 주요정책 정책브리핑 실시(3회) - 언론사 오피니언 리더 및 기상청 출입기자 간담회 실시(6회) - 시의성 있는 보도자료 제공(181건) 및 잘못된 보도의 정정 조치(3회) ○ 기상과학의 불확실성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 확산 - 슈퍼컴센터, 국가위성센터 등 언론관계자의 현장방문 긍정적 보도 유도(4회) - 외국인 기상전문가의 선진기상기술 설명 등 언론브리핑 확대 실시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전략적 정부 정책홍보를 위한 관련기관 협조체계 강화 - BH 뉴미디어홍보비서관실, 문화체육관광부와 지속적인 간담 및 업무협의회 참석 - 각 신문 및 방송사 등 언론기관과의 커뮤니케이션 활성화 - 서강대학교, 윤디자인연구소(뉴미디어 환경변화 홍보전략 용역업체) - 행정안전부 행사참여(기상홍보관 운영) - 동호인 단체 및 민간포털 협조체계 강화 |
○ 정책홍보 담당자 워크숍, 교육 및 대변인 간담회 참석 - 위젯 활용방안 협의회(BH), 정책홍보워크숍 및 홍보전문과정교육참석(문화부), 대변인 간담회(격월, 문화부) - 언론(방송)사 간부 대상 간담회(청장‧차장‧단장‧국실장 등) 개최(3회) - 신임 출입기상 대상 교육 및 기상방송인 간담회 개최(6회) - 서강대 과학문화아카데미 ‘과학커뮤니케이션 과정’ 이수(2회, 8명) - ‘뉴미디어 환경변화에 대한 홍보전략 마련’ 연구과제 수행 (윤디자인연구소) - 어린이안전퀴즈대회(행안부), 국제역사기록문화전(국가기록원) - 파워블로거 초청 간담회 실시(블로그 운영자 5인) |
- 3 -
Ⅴ- 4- 일반재정① : 대국민 기상인식 제고 |
□ 목 적
○ 기상상황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효율적인 대처를 위해 기상정책을 정확히 알림
○ 기상예보에 대한 한계성 등 대국민 이해도 증진
□ 주요성과
○ 언론과의 커뮤니케이션 강화
— 여름철 날씨전망 등 기상청출입기자 정책브리핑(3회)
— 통신해양기상위성 발사의 의미 등 언론사 오피니언 정책간담회(3회) 및 슈퍼컴퓨터센터, 국가기상위성센터, 강릉레이더 관측소 등 언론인 프레스투어(3회)
— 실시간 언론매체 모니터링으로 잘못된 보도내용 정정(삭제) 조치(3회)
— 시간과 싸우는 지진통보 등 언론매체 기고(37건), 국내 첫 기상위성 천리안 발사 등 181건 보도자료 배포
— 지역언론 및 전문분야 종사자 기상홍보 강화
‧슈퍼컴퓨터센터, 국가기상위성센터 등 지역언론사 초청 프레스투어(1회)
‧ 지역기상방송사 기상캐스터 등 기상방송인 간담회 및 교육실시(1회)
— 방송매체를 통한 다가서는 기상홍보 강화
‧세계 기상의날 특집 영상물 제작 방영 : 과학카페, 가요무대, 생방송 오늘, 교양프로그램
‧지역방송사 기상캐스터 등 기상방송인 간담회 및 교육실시(1회)
○ 대국민 커뮤니케이션 활동 확대
— 상반기 기상업무 대국민 만족도 조사 실시(1회) : 일반인, 유관기관, 언론인 등
— 기상정책에 대한 국민 의견수렴을 위한 기상고객협의회 개최(1회)
— ‘하늘사랑’ 기관소식지 및 e- 뉴스 웹진발행(월 1회), 뉴스레터 발행(월 2회), 제2기 블로그기자단 운영 등 온라인 홍보 강화
— 대설, 황사, 집중호우, 폭염 등 위험기상 재해예방 공익캠페인 전개
— 대국민 소통을 위한 블로그, 트위터, 미투데이 운영
- 4 -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실 적 |
비고 |
2월 |
○언론사 논설위원(오피니언) 정책간담회 실시 : 2.5 / 조선일보 등 12개사 16명 - 겨울 한파와 폭설 분석, 미니빙하기와 지구기후역사,적설예보등 기상정책 주요사항 ○ 봄철 예보브리핑 실시 : 2.23 / 연합뉴스 등 8개사 10명 - 봄철 날씨전망, 서울시내 천식가능지수 서비스 실시 등 ○ TV 기상캐스터 간담회 실시 : 2. 27 / 전국 공중파TV 기상캐스터 50명 - 기상/기후 현상에 대한 이해, 기상청장과의 대화, 시설견학 등 |
정상 |
3월 |
○봄철 황사피해예방 공익광고 캠페인 실시(3- 5월 / 1일 1회이상) - 정부기관 및 지자체 보유 전광판, 지역케이블 방송사 등 ○ 국가기상슈퍼컴퓨터센터 프레스투어 실시 : 3. 3 / 경향신문 등 10개사 12명 - 슈퍼컴퓨터와 일기예보, 새로운 수치예보모델 구축 등 현장설명 ○언론사 사회부장단(오피니언) 정책간담회 실시 : 3.18 / YTN 등 12개사 - 슈퍼컴 3호기 도입과 수치예보모델의 전면교체 등 기상정책 주요사항 설명 ○ ‘세계기상의 날 특집방송’ 제작 방영 : 3. 20(토) 19:00~ / KBS 1TV - 기상정보의 중요성과 예보의 불확실성, 첨단과학의 한계 등 영상물 제작 방영 |
정상 |
4월 |
○ 국민들의 기상청에 대한 주요관심사항 설문조사(3.22- 4.30 / 4,320명) ○ 지역언론사 슈퍼컴퓨터센터, 위성센터 프레스투어 실시 : 4. 13 / 국제신문 등 29개사 33명 - 슈퍼컴퓨터와 일기예보, 기상위성발사의 의미 등 현장설명 |
정상 |
5월 |
○ 강릉레이더관측소 프레스투어 실시 : 5. 19 / 연한뉴스 등 6개사 6명 - 강릉레이더 가동식, 구름물리선도센터 등 현장설명 ○여름철 예보 및 방재대책 브리핑 실시 : 5.24 / 서울신문 등 13개사 13명 - 여름철 날씨전망, 여름철 방재기상대책 등 설명 ○제1차 기상고객협의회 개최(5.27 / 보라매병원 등 18명) - 주요 기상정책 설명, 의견수렴 및 토의 등으로 국민의견 수렴 |
정상 |
6월 |
○ 2010 기상업무 상반기 기상서비스 만족도 설문조사(5.31- 6.11) - 대상 : 일반인, 유관기관, 언론관계자 등 7,700명 - 기상예보서비스, 홍보활동인지도, 동네예보, 언론인 기상청인식도 등 ○ 기상방송인 간담회 실시 : 6. 17 / TV, 날씨ON, 케이웨더 등 기상캐스터 21명 - 응용기상지수의 활용, 예보용어의 이해 등 설명 및 질의응답 ○ 뉴미디어 환경소재를 활용한 온라인 대국민소통 강화 실시(6.21~) - 트위터, 미투데이, 블로그 등 /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감성적 기상과학 용어 활용 |
정상 |
- 5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PCRM 개봉률(%) / 연중지표 |
36 |
- |
○ 주요정책 고객대상(6,200명) 기상이슈, 기상정책 이메일 송부 - 상반기 발송건수 대비 개봉건수 확인 중 |
시민기자 활동지수(건/월1인당) / 연중지표 |
2 |
- |
○ 기상청 대표 블로그 기사게재 현황 실시간 모니터링 - 월평균 2.5건 게재 진행 중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온라인을 통한 정보 이용 급증 및 네티즌들의 기상에 대한 관심‧비판 고조 ○ 뉴미디어(블로그, 트위터, 미투데이 등)가 중요한 정책홍보 수단으로 부상 |
○ SNS 등 뉴미디어 환경변화에 대한 홍보전략 방안 마련 연구과제 수행(3.30- 11.30) ○ 파워블로거 초청 기상청의 뉴미디어 환경대응 방안 토의(5.26) ○ 기상청 감성 홍보를 위한 트위터, 미투데이 운영(6.21∼)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분기별 정책홍보추진 실적 집계 및 분기평가 수행 - 분기별로 각 국‧실 및 소속기관의 정책홍보 추진실적을 평가하고 홍보수요를 반영 ○ 상‧하반기 정책고객의 만족도와 니즈를 조사 - 기상이해 증진을 위한 콘텐츠에 대한 만족도 조사 및 기상정책 고객의 다양한 니즈를 조사 ○ 지자체의 기상정보 수요 증대에 따른 기상홍보 제휴 - 광역자치단체 및 지자체의 기상정보 수요가 증대됨에 따라, 기상이해 증진을 위한 홍보콘텐츠 제공 필요 |
○ 국무총리실 홍보평가팀 - 정부업무평가 중 홍보평가에 대한 평가지침 수령 및 기상청 전파, 홍보평가 수행 ○ 환경부, 농림수산식품부, 국토해양부 등 연계홍보 강화 - 기상정보의 공통적 활용과 기상홍보강화를 위한 주기적인 연계홍보 추진 - 문화부 및 정부 보유매체에 대한 지속적인 홍보 추진 - PCRM 정책고객서비스의 연계 강화 ○ 지자체에 대한 지속적인 기상홍보 콘텐츠 공급 - 기상홍보 콘텐츠의 제휴를 통한 콘텐츠공급 확대 - 집중호우, 태풍, 황사, 기후변화, 동네예보 등 위험기상 대응요령과 기상정책 등 전광판 통해 지속적인 캠페인 전개 |
- 6 -
자체주요업무 : 기상청 이미지 제고를 위한 국민과의 소통강화 |
□ 목 적
○ 기상정보에 대한 국민들과의 소통부족과 기대욕구에 대한 충족이 미흡하여 기상예보에 대한 막연한 불신과 국민체감만족도 차이 발생에 대한 신뢰도 제고
○ 기상과학의 불확실성에 대한 국민적 이해도 제고를 위한 전략적 홍보방안 마련 필요
□ 주요성과
○ 계절별 위험기상 재해예방 동영상 제작 및 공익캠페인 전개
— 대설, 황사, 집중호우, 폭염 동영상물 정부 및 지자체 전광판, 케이블 TV 등 활용
○ 다양한 매체를 통한 기상정책 홍보
— 예보의 중요성, 첨단과학의 한계 등 제작방영(KBS과학카페/3월)
— 통신해양기상위성 홍보영상물 제작 방영(YTN/2개월, KTX/2개월)
— 기상예보의 이해 등 3건 기상청 감성이미지 광고(전국의 지하철 객차/2개월)
— 세계기상의 날, 지역별 행사장 등 기상사진전 실시(수시)
○ 온라인을 통한 대국민 소통강화
— ‘하늘사랑’ 기상소식지 웹진 및 뉴스레터 발행(매월)
—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기상과학 블로그 운영(제2기 블로그 기자단 운영)
— 트위터, 미투데이를 통한 기상청 감성 홍보 실시
○ 기상업무에 대한 대국민 만족도 조사 및 기상고객과의 소통
— 기상서비스 만족도 조사 실시 : 일반국민, 유관기관, 언론인(5.31- 6.11 / 7,700명)
— 국민이 바라는 주요관심사항 설문조사 실시 : 전 국민(3.22- 4.30 / 4,320명)
— 기상고객협의회 실시로 기상정책에 대한 국민의견 수렴 : 5.27 / 18명
— 소설가협회회원 초청 간담회 실시로 기상관련 소재거리 제공 : 6.28 /42명
- 7 -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계 획 |
추 진 실 적 |
비고 |
2월 |
○ 상반기 정책홍보 연찬회 개최계획 수립 및 실시 |
○ 2010년 상반기 정책홍보연찬회 개최계획 수립(2.3) 및 실시(2.18- 19) - 장소 / 참석자 : 쉐르빌 호텔(경기 소재) / 본청 및 소속기관 홍보담당자 62명 - 내용 : 변화하는 홍보환경 대응방안, 기상청의 주요정책의 전략적 홍보방안 마련 대국민 만족도 조사의 객관성 확보방안 마련 |
정상 |
3월 |
○ 방송사(KBS, YTN) 정책홍보물 제작 및 지하철 공익광고 제작 |
○ ‘세계기상의 날 특집방송’ 제작 방영 : 3. 20(토) 19:00~ / KBS 1TV - 기상정보의 중요성과 예보의 불확실성, 첨단과학의 한계 등 영상물 제작 방영 ○ 통신해양기상위성 홍보용 동영상 제작 : 3.. 5(국기기상위성센터/ YTN) - 국가기상위선센터 현장스케치, 영상물 편집 등 ○ 동네예보, 지진‧지진해일, 일기예보 등 기상청 감성 지하철광고물 제작(3.12- 30/한국언론진흥재단) |
정상 |
○ 기상사진전 개최 및 제2기 시민기자(블로그기자단) 선발 |
○세계 기상의 날 행사연계 2010년도 기상사진전 개최(3.23- 28/6일간) - 2010 기상사진 우수작(50점) / 6,154명 관람(국립과천과학관) ○ 제2기 기상청 블로그기자단 선발(3.19) - 모집기간(3.6- 13), 인원(10명), 방법(홈페이지 및 블로그) |
||
4월 |
○ 황사피해 예방 홍보물 제작 및 공익캠페인 실시 |
○봄철 황사피해예방 공익광고 동영상 방영의뢰(2.10- 25) - 공익광고 실시기간 : 3월- 5월(1일 1회이상) - 정부기관 및 지자체 보유 전광판, 지역케이블 방송사 등 |
정상 |
○ 제2기 시민기자(블로그기자단) 운영(4- 9월) |
○제2기 기상청블로그 기자단 발대식 및 운영계획 수립(4.1) ○표준기상관측소 방문 및 정기회의(5.7) : 추풍령기상대, 와인코리아 / 블로그기자 6인 참석 |
||
○ 기관이미지 제고 지하철 공익광고 실시(4- 5월) |
○기상청 감성이미지 지하철 공익광고 실시 - 기간 / 내용 : 4.8- 6.7(2개월) / 동네예보, 지진 및 지진해일, 일기예보 / 전국 지하철(5개지역) - ‘지하철 속 기상청을 찾아라’ 이벤트 실시(4.21- 5.31/2,569명 클릭후 25명 응모) |
||
6월 |
○ 폭염 피해예방 홍보물 제작 및 공익캠페인 실시 |
○ 폭영 피해예방 동영상 제작(5.20- 6.15) - 인기개그맨 출연으로 대중적 관심 유도(방송용 60초, 전광판용 20초) ○폭영 피해예방 동영상 공익광고 방영의뢰(6.16- 21) - 공익광고 실시기간 : 7월- 8월(1일 1회이상), 정부기관 및 지자체 보유 전광판, 지역케이불 방송사 등 |
정상 |
○ 기상서비스 만족도 조사 및 기상고객협의회 개최 |
○ 2010년 상반기 기상서비스 만족도 조사실시(5.31- 6.11) - 일반국민, 유관기관, 언론인 7,700명 / 전화, 홈페이지 방문자, 이메일 - 기상예보서비스, 홍보활동인지도, 동네예보 활용도, 언론관계자 기상청 인식도 * 국민들의 기상청에 대한 주요관심사항 설문조사(3.22- 4.30 / 4,320명) ○ 2010년 제1차 기상고객협의회 개최(5.27 / 외부위원 18명) - 주요 기상정책 설명, 의견수렴 및 토론 등 |
- 8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기상청 홍보활동 인지도(%) |
63.0 |
- |
○ 기상서비스 만족도 조사실시(상반기, 하반기) - 국민들에 대한 기상과학 홍보활동(TV, 신문, 지하철 등 기상정보를 많이 접하는 매개체 활용) |
시민기자 활동지수(건/월1인당) / 연중지표 |
2 |
- |
○ 기상청 대표 블로그 기사게재 현황 실시간 모니터링 - 월평균 2.5건 게재 진행 중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새로운 기상정책 추진시 전략적 홍보 필요 - 정책추진시 다양한 홍보매체를 통한 홍보 및 광고 - 예보의 불확실성과 기상과학의 한계성 지속적 홍보 - 위험기상재해 피해예방 지속적 실시 ○기상업무 대국민 만족도 조사개선을 위한 의견수렴 - 연찬회 개최, 설문조사내용 해당부서 의견수렴 ○내부 직원에 대한 홍보역량 제고 필요 - 홍보전문가 초청, 외부 위탁교육 실시 등 ○기상고객협의회를 통한 국민의견 수렴 |
○ 기상청 기관이미지 제고 - 기상청 홍보동영상 제작활용, 기관이미지 지속적 광고(지하철 등) - 뉴미디어 환경변화에 따른 홍보전략 연구용역 추진 - 위험기상재해 피해예방 공익캠페인 실시(황사, 집중호우, 폭염 등) ○ 만족도 조사개선을 위한 관련부서 의견수렴 - 기상정책홍보 연찬회(2.18- 19), 실태조사 및 설문조사시 관련부서 의견수렴(3회) ○ 내부직원 홍보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실시 - 서강대 커뮤니케이션 리더십과정 교육(2회 8명) - 기상과학의 전략적 홍보방안 컨설팅 실시(2회) ○ 2010년 제1차기상고객협의회 실시 - ‘보라매병원’ 등 다양한 계층의 기상정책 의견수렴(1회)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전략적 정부 정책홍보를 위한 관련기관 협조체계 강화 - BH 뉴미디어홍보비서관실, 문화체육관광부와 지속적인 간담 및 업무협의회 참석 - 각 신문 및 방송사 등 언론기관과의 커뮤니케이션 활성화 - 서강대학교, 윤디자인연구소(뉴미디어 환경변화 홍보전략 용역업체) - 행정안전부 행사참여(기상홍보관 운영) - 동호인 단체 및 민간포털 협조체계 강화 |
○ 정책홍보 담당자 워크숍, 교육 및 대변인 간담회 참석 - 위젯 활용방안 협의회(BH), 정책홍보워크숍 및 홍보전문과정교육참석(문화부), 대변인 간담회(격월, 문화부) - 언론(방송)사 간부 대상 간담회(청장‧차장‧단장‧국실장 등) 개최(3회) - 신임 출입기자 대상 언론인 과학교실 및 기상방송인 간담회 개최(6회) - 서강대 과학문화아카데미 ‘과학커뮤니케이션 과정’ 이수(2회, 8명) - ‘뉴미디어 환경변화에 대한 홍보전략 마련’ 연구과제 수행(윤디자인연구소) - 어린이안전퀴즈대회(행안부), 국제역사기록문화전(국가기록원) 참여 - 파워블로거 초청 간담회 실시(1회/블로그 운영자 5인) |
- 9 -
|
Ⅴ- 2- 주요정책④ : 법치행정 원칙확립과 적극행정을 위한 감사운영 |
□ 목 적
○ 사전예방 및 제도개선 중심의 감사를 통한 기상업무의 효율성 향상
○ 자체감사의 전문성 향상 및 사업부서와의 소통을 강화하여 적극행정 지원
○ 감사활동의 결과 및 만족도를 성과목표로 설정하여 감사결과 품질 제고
□ 주요내용 및 성과
○ 자체감사 운영계획 수립 (감사운영기본계획_3.2, 부패방지청렴정책 추진계획_2.26)
— 엄정한 자체감사로 법치행정 원칙 확립 (부산지방기상청, 항공기상청 등 17개 대상 기관 중 9개 기관 실시)
— 사전예방 및 제도 개선 중심 질적 감사 운영 (제도개선 : ‘09년도 9건 → ’10년도 목표를 14건으로 설정)
— 엄정한 공직기강 및 윤리의식 확립을 위한 기강 점검 실시 (설 연휴,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기간 등 19개 기관 점검)
○ 자체감사의 전문성 및 실효성 확보를 위한 감사기구 독립 (직제개정, 4.13)
— 차장직속으로 감사담당관실 직제개정으로 공공감사에 관한 법률 시행관련 조직기반 구축
○ 현안사항 조사 및 개선방안 수립(청‧차장 지시사항)
— 기상장비 구매‧용역사업 조사 및 개선방안, 초과근무 실태 조사, 기상대 지역기상서비스 활동 평가
○ 기관 청렴도 향상을 위한 제도 운영
— 평가업무의 공정성 및 투명성 확보를 위한 입찰제안서 평가위원 전체를 외부위원으로 선정(3.15)
‧ 상반기 실 적 : 5개 사업 평가위원 선정 지원
— 2010년 기상청 청렴도 향상을 위한 기상관서장 교육
‧ 대상/내용: 본청 주무과장 및 전국기상관서장, 작년도 측정내용 분석 및 청렴도 향상방안
— 청렴옴부즈만 제도 관련 운영계획 초안 마련(공직기강 및 부패방지 T/F회의 의견수렴, 6.17)
‧ 주요사업 추진과정 모니터링 및 합목적성을 확인하여 청렴이미지 제고, ‘기상청 청렴옴부즈만’ 구성 준비 (9월 예정)
- 10 -
○ 감사를 통한 제도개선 추진
— 소속기관 정기종합감사시 수감기관과의 현안문제 소통을 통한 적극적 제도개선 추진
‧ 상반기 감사 중 14개 과제 발굴, 관련부서 협의 및 제도개선 T/F 검토를 거쳐 개선안 마련(하반기)
○ 국민신문고 참여민원 관리체계 강화
— 국민신문고 홈페이지와 기상청 대표 홈페이지 연계 통합 (5.21), 불만민원, 정책제안, 빈발민원 개선안 마련(6.16)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계 획 |
추 진 실 적 |
비고 |
3월 |
○ 2010년도 자체감사 운영계획 수립 |
○ 제도개선 중심 현지감사 실시 자체감사운영계획 수립 (.3..2) - 17개 소속기관, 한국기상산업진흥원 감사실시, 공직기강 확립, 기관 청렴도 향상방안 |
정상 |
5월 |
○ 국민과의 소통강화를 위한 국민신문고의 기관 홈페이지 통합 |
○ 국민권익위원회 국민신문고 홈페이지와 기상청 홈페이지 참여민원 통합 - 국민신문고 운영 실태점검 및 개선방안 마련 (5.12) - 기상청 대표홈페이지 및 소속기관 홈페이지 국민신문고 통합 운영 (5.21) - 국민신문고 민원처리실태 분석 및 동네예보개선 관련 국민의 소리 동향 처리 (5.30) |
정상 |
6월 |
○ 감사를 통한 제도개선 추진계획 수립 |
○ 조직 내 소통 활성화 및 적극행정을 위한 제도개선계획(안) 수립 (6.15) - 공직기강 및 부패방지 T/F회의시 각 국‧실 의견 수렴(6.16), 6월 중 시행 - 직원 개인의 제도개선안을 공론화 하여 정책으로 발전되는 시너지 창출 |
정상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감사만족도 |
74.2점 |
연 지표 |
○ 감사활동의 성과관리를 통한 능동적 feedback 감사 운영을 위한 만족도 조사 실시 (12월) - 합리성, 적시성, 감사업무역량 등 설문평가결과를 감사업무에 환류 (‘09년 : 73.8→ ’10년 : 74.2) |
감사를 통한 제도 및 업무 개선 건수 |
14건 |
연 지표 |
○ 사전예방, 불합리하고 비효율적인 제도개선 중심 감사운영 성과 달성 ○ 자체감사시 제도개선과제 수집, 담당부서 및 제도개선 T/F검토를 통한 개선 추진 (‘09년 : 9건→ ’10년 14건) |
기관 청렴도 |
8.93점 |
연 지표 |
○ 기관 청렴도 제고를 위한 청렴교육 운영 (현안맞춤형 교육, 부패방지 T/F를 통한 청렴홍보 활동) - 국민권익위원회 주관 11월 중 평가실시 (‘09년 : 8.73점, 16위/39개 기관→’10년 8.93점) |
- 11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공공감사에 관한 법률 시행 (2010. 7.1) - 자체감사기구 설치 의무화, 감사업무의 전문성‧독립성 확보 및 감사절차 표준화를 통하여 자체감사 활동의 품질 확보 (감사원) ○ 기상장비구매 및 유지보수용역사업에 대한 한국기상산업진흥원과 대행역무계약 (기상산업진흥원) |
○ 공공감사에 관한 법률 시행기반 구축 - 감사담당관실신설로 감사부서 독립(4.13) - 감사운영규정 제정 및 감사자문위원회 구성 준비 (감사원 설명회 후 추진, 6월~7월) ○ 장비구매 및 유지보수 용역사업 현황을 조사‧분석하여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을 마련(5.11~6.11) - 유지보수용역 원가계산 표준화, 유지보수용역계약방식 변경, 대행역무사업에 대한 기상청의 역할정립 등 개선방안 등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자체감사의 독립성과 전문성을 높이고, 감사원과 자체감사 간의 협력과 지원을 통해 공공감사 전반의 효율성 제고 추진 (감사원) ○ 감사원의 적극행정 면책제도 운영을 통한 적극행정 분위기 확산 (감사원) ○ 부패방지 정책 추진 및 청렴도 제고 (국민권익위원회) - 부패 취약분야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해 공공행정의 책임성과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한 청렴옴부즈만 제도 도입 - 반부패ㆍ청렴 캠페인 브랜드「청렴韓세상」적극 홍보 |
○ 기상청 감사운영규정제정, 감사전문위원회 구성 등 법률시행 협력 - 공공감사에 관한 법률 추진 T/F 설명회 참석 및 감사실무자 업무협의 (6.28) ○ 실지감사 계획을 수감기관 통보시 「면책제도 안내문」 명시 (‘10.5 ) - 『적극행정 일하는 분위기 조성』을 위한 감사를 통한 제도개선 계획 마련 ○ 기상청 청렴옴부즈만 제도 도입계획(안) 마련, 국민권익위원회 옴부즈만 인력 pool 구성 협조 협의 (5.20) - 청렴한 기관이미지 제고를 위한 현안 맞춤형 교육 괒정신설 (청렴 강사지원 요청) - 공문서 및 인쇄홍보물 표기, 청렴韓세상 인터넷 홍보배너 게시(6.8) |
- 12 -
|
Ⅴ- 2- 주요정책② : 체계적인 인력양성 프로그램 운영 |
□ 목 적
○ 중ㆍ단기예보분야 지정자에 대한 해당분야 보직으로 전문성과 능력개발을 도모하고, 해당분야 장기근무 여건 조성
○ 예보분야의 전문가 양성과 역량향상을 위하여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 필요
□ 주요내용 및 성과
○ 예보분야 근무체계 개선으로 장기보직 유도를 통한 전문가 육성
— 2010년도 중단기예보전문분야 본격운영
○ 중단기예보전문분야 외 타 분야 경력개발제도 확대운영
— 기상예보군(중단기예보분야), 기상관측군(기상관측, 원격탐측, 지진 전문분야)
○ 선진 예보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장기과정 신설 운영
— 예보관 실무과정 개설‧운영(동네예보관 17명/4개월(사이버교육 1개월, 집합교육 3개월:3.2~6.30)
- 13 -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계 획 |
추 진 실 적 |
비고 |
1월 |
○ 예보관 장기교육과정 세부운영 계획수립 |
○ 예보관 장기교육(실무‧전문)과정 세부운영계획(안) 보고(1.25) - 실무과정 : 본청 및 지방청 동네예보관/3월〜6월(4개월)/17명 - 전문과정 : 본청 및 지방청 방재예보관/8월〜11월(4개월)/12명 |
정상 |
2월 |
○ 경력개발제도 확대운영 계획(안) 의견수렵 |
○ 경력개발제도 확대운영 계획(안) 의견수렵(3. 24) |
지연 |
3월 |
○ 경력개발제도 확대운영 계획 수립 ○ 예보관 장기 실무과정 운영(3~6월) |
○ 경력개발제도 확대운영 계획 수립(3. 31) - 정원배정표 계급별 직무직위에 따라 대상직위 지정(관측, 지진, 원격탐측분야) ○ 예보관 실무과정 교육생 선발 및 교육운영 - 교육생 선발(17명:남 8, 여 9명)‧통보(2.17) 및 집합교육 입교안내 통보(3.25) - 사이버강의(3.2~3.31) 및 집합교육(4.5~6.30) 실시 |
정상 |
4월 |
○ 전문분야 직위(7~5급) 지정 실태조사 |
○ 전문분야 직위(7~5급) 지정 실태조사(4.27) - 전 전문분야별 적정인원 지정을 위하여 기관별, 부서별, 직급별 수요 실태 |
정상 |
6월 |
○ 전문분야 직위지정(분야별, 부서별, 직급별) |
○ 전문분야 직위지정(관측, 지진, 원격탐측 / 6.25) - 확대전문분야별 원할한 경력개발을 위한 기관별, 부서별 직급별 적정 직위(자리수) 지정 |
정상 |
○ 지연사유
— 2010년도 성과상여금 및 성과연봉 지급계획 수립 등으로 경력개발제도 확대운영 계획 의견수렴(안) 작성 지연
○ 조치계획(또는 지연 완료사항 작성)
—2010년도 성과상여금 및 성과연봉 지급후 의견 수렴 실시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CDP 연계 보직 적합률(중단기예보분야) |
70% |
67.3% (6월말) |
○ 중단기예보전문분야 대상 보직율 - 67.3%(본청 71.9%, 부산청 40%, 광주 82.6%, 대전청(77.4%), 강원청(73%), 제주청(87.5%), 항공청(50%) |
CDP 연계 교육과정 이수율 (중단기예보분야) |
50% |
27.3% (6월말) |
○ 기상청 예보전문교육(집합 또는 사이버) 등 이수 실적(1~6월) - 67명/245명 = 27.3% |
- 14 -
○ 목표 미달성 사유
— 직제개정 및 그에 따른 인사이동에 의해 일부기관(부산청, 항공청) 보직율 저조
○ 조치계획
— 하반기 인사시 중단기예보전문분야로 지정되어 있는 직원들을 전문직위에 보직 예정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직제개정 및 인사이동에 따른 중단기예보분야 직위변동 상황 발생 - 196직위 → 165직위(31개직위 감소) ○ 기후변화와 예보스킬 향상을 위한 실무내용 뿐만 아니라 정책 및 전략에 대한 교육 수요발생 |
○ 중단기예보 전문분야직위 재지정(5. 20) ○ 기후변화 및 예보스킬 향상을 위한 특별강연 실시 - 자연과 인간 그리고 기후변화 : 정순갑 강원대학교 기후변화과학원 초빙교수(6.22) - 예보관의 과거 현재 미래 : 홍윤 (재)한국기상기후아카데미원장(6.24)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중단기예보전문분야의 경력개발제도 실적 타부처 전파(해양경찰청) - 해양경찰청 인사교육담당관실의 관계관 4인 기상청 방문 전파 ○ 도산서원선비문화수련원의 정신수련을 통한 변화관리 능력향상 |
○ 해양경찰청의 경력개발제도 추진계획 수립 ○ 변화관리 능력향상을 위한 선비문화 체험교육 실시 - 일시/장소/대상 : 4.27~4.28/도산서원선비문화수련원/예보관실무과정 교육생 17명 - 교육내용 : 유교문화 이해, 현대사회 엘리트와 선비정신, 문화재 및 유적지 탐방 |
- 15 -
기획조정관
2010년도 상반기 성과점검회의
• 기획재정담당관 16
• 행정관리담당관27
• 인력개발담당관32
• 국제협력담당관41
|
Ⅴ- 2- 주요정책① : 선진 기상서비스를 위한 정책수립 및 이행 강화 |
□ 목 적
○ 기상선진국 진입을 위한 전략적 신규과제 발굴과 성공적 이행을 위한 행정기반 구축
○「기상업무 발전 기본계획 '10년도 시행계획」 및 「'10년도 성과관리 시행계획」의 체계적 추진을 통한 기관성과 극대화
○ 조직의 전략 실행 도구로서의 성과관리체계 고도화와 이를 통한 적극적 기상정책 이행
□ 주요내용 및 성과
○ 정책이슈에 대한 선제적 대응으로 기상정책 추진의 효율성 및 합목적성 확보(기획재정담당관)
— BH, 환경부, 국회 등에 대한 주기적 현안보고 강화('10년 상반기 총 10회, '09년 상반기 총 5회)
○ 정부시책 및 사회적 여건 변화에 따른 신규정책 수립 및 전략과제 발굴(기획재정담당관)
— 기상산업 및 기상과학 육성 2020 초안 마련(7월 중 BH 보고 예정), 기상서비스 산업 활성화 방안 제출(기재부 서비스경제과, 3월)
○ 기관성과 및 정책효과 극대화를 위한 '10년도 성과평가계획 수립 및 구성원에 대한 성과관리체계 이해 확산(행정관리담당관)
— '10년도 성과평가계획 수립(2월), 성과관리 전문 교육과정 운영(2월), 직제개정 사항 반영(4월), 소속기관 순회설명회(5월)
○ 기상선진화 10대과제의 체계적 이행기반 강화 및 분야별 세부사업 추진방안 지원(기상선진화담당관)
— 서울특별시 업무협약(2월), 기상선진화를 위한 정책토론회(3월), 기상선진화 포럼(6월), 예보기술세미나 및 강연(13회), 기상담론(6회)
○ 창의적 아이디어 발굴 지원을 위한 선진 기상기술 동향 및 정책 대응방안 제공(정책연구과)
— 선진 기상기술‧정책 동향 제공(매주), 정책정보노트 및 기상기술정책지 발간(4회), 기후산업과 기상정보 활성화 워크숍 개최(4월)
- 16 -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계 획 |
추 진 실 적 |
비고 |
2월 |
○ 정성평가와 보상제도를 보완하는 내부 성과평가 계획 수립 |
○ 2010년도 부서 및 소속기관 성과평가 계획 수립(행정관리담당관- 648/'10.2.25) - 의견수렴(1.20~1.27), 사전설명(1.21), 수정안 의견수렴(2.5), 성과관리위원회 심의ㆍ확정(2.11) |
정상 |
○ 성과관리 전문과정 개발 계획 수립 |
○ 성과관리 전문과정을 현안맞춤형 교육으로 개발ㆍ신청(행정관리담당관- 432/‘10.2.5) - 성과관리제도의 이해와 합리적이고 전략적인 성과지표 도출 ※ 인력개발담당관실 심의결과 성과관리 전문과정 현안맞춤형 교육으로 인정(인력개발담당관- 452/‘10.218) |
정상 |
|
3월 |
○ 핵심정책에 대한 진단ㆍ분석 계획 수립 |
○ “기관 핵심정책의 진단분석과 정책개선방안 연구” 사업 추진계획 수립(행정관리담당관- 641/'10.3.2) - 핵심정책에 대한 진행단계별 진단ㆍ분석으로 정책의 문제점을 조기에 파악하여 정책효과 극대화 |
정상 |
5월 |
○ 제1차 성과관리 전문과정 운영 |
○ 제1차 성과관리 전문과정 결과 보고서 제출(행정관리담당관- 614/'10.2.25) - 교육기간/장소/참석자 : 2.19, 2.22~23/대림교육연수원/총53인 |
정상 |
6월 |
○ 기상업무 발전 기본계획 '09년 추진실적 작성과 국회 제출 |
○제289회 임시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제출(4.19) - 12개 부처 의견수렴 및 추진실적 취합('09.12.9~‘10.1.18), 보고서 발간(4.9) |
정상 |
○ 선진화 10대과제 세부실천계획 상반기 실적 점검 |
○ 관계 부서 공동 점검회의를 통한 상반기 추진실적 점검(기상선진화담당관- 1333/'10.6.22) - 점검회의(6.24), 세부실천계획 점검 결과 보고(6.28) |
정상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신규전략과제 개발률(%) |
50 |
- |
- 년 평가 지표로 해당 없음 |
중장기 계획 실행률(%) |
94.7 |
- |
- 년 평가 지표로 해당 없음 |
핵심 기상기술력 향상률(%) |
100 |
- |
- 년 평가 지표로 해당 없음 |
성과관리제도 운영만족도(%) |
67.1 |
- |
- 년 평가 지표로 해당 없음 |
- 17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정부방침(국가고용전략회의)에 따라 일자리 창출 과제 발굴이 필요 |
○ 당초 국가고용전략회의에서 기상청은 일자리 관련 부처에서 제외됨 (7개 부처만 해당) - 환경부를 통해 기재부 서비스경제과에 우리 청의 계획 제시(기획재정담당관, 2.26) - 기획재정부에서 제출과제(기상서비스 산업 활성화를 통한 일자리 창출) 검토 후 관련 회의에 기상청의 직접 참여를 요청(기상산업정책과장 참석) ※ 기재부 안에 반영되어 향후 개최되는 국가고용전략회의에서 확정 예정 |
○ 국가의 장기 비전으로 정부부처와 지자체 등에서 관련 분야의 2020계획을 수립(IT특보의 기상산업 육성 2020 계획 요청(4.2)) |
○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상산업 및 기상과학 육성 2020 초안 마련(6.21) - 추진방향 설정(4.5), 관련부서 TFT 구성(4.8), 연찬회 실시(4.27~29) ※ 정책간담회 검토 후 7월 중 BH 보고 예정 |
○ 예산 조기집행 방침 및 조직 개편에 따른 신규 정책연구 필요 |
○ 정책연구 용역사업 운영실태 및 추진상황 점검(매월) ○ 낙찰차액을 이용하여 기상레이더 최적 스켄 전략수립 방안연구 지원 |
○ 해외 기상청의 예산, 조직 등 현황과 선진 기상기술 동향, 정부정책 동향 등에 대한 정보수요 발생 |
○ 정부에서 추진하는 정책동향을 전 직원에게 전파(주간 및 월간 회의) - 정책보고건수 : 총 185건(1월 32건, 2월 32건, 3월 33건, 4월 30건, 5월 36건, 6월 22건) ○ 미국(NOAA), 일본의 예산, 조직과 세계기상기술동향 등에 관한 정보노트 발간(2.19, 3.17) ○ 관측, 예보, 기후, 정보화, 기술역량 분야 44개 소분류체계에 대한 적절성 검토(6.15) - 기상서비스 분류체계 전개 및 국내 기상기술력 평가 연구 추진 |
- 18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도시기상관측망 구축 및 기후친화적 도시관리 등을 위한 협조 체계 |
○ 서울특별시 MOU 체결(2.8), 세부 협력방안 논의 및 워크숍 개최(3.18) |
○ 기상선진화 10대과제의 효율적 추진을 위한 협조 체계 |
○ 기상선진화를 위한 정책토론회 개최(3.31) - BH, 환경부, 국회, 행안부, 기재부 등의 관계자, 한국기상학회장 등의 학계 인사 |
○ 정부업무평가 주안점 파악 및 기상업무 이해증진을 위한 성과관리 주관부처와의 협조체계(국무총리실 정책분석평가실) |
○ 국무총리실 주관 설명회(3.25.), 워크숍(6.21)등 2회 참여, 방문 업무협의(5.3) - 정부업무평가 방향 파악, 기관의 업무특성 설명 |
○ 효율적 국정관제 관리와 연두업무보고 내용에 대한 상반기 특정평가 과제 선정협의 (국무총리실 국정과제관리과, 환경정책과) |
○ '10년도 상반기 특정평가를 위한 대상과제 선정(3.4) 및 과제별 추진계획(3.30) 제출 - 예보정확도 향상, 기상서비스 선진화 등 6개 분야에서 총 18개 과제 |
- 19 -
자체주요업무 : 기상업무 선진화 실현을 위한 예산확보 및 능동적 대국회 활동강화 |
□ 목 적
○ 2012년 기상 기술력 세계 6위 달성, 21세기 미래지향적 선진기상 인프라 구축, 대국민 기상서비스 만족도 제고 등에 대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현안분야에 대한 예산확보
○ 대국회 업무의 능동적인 대처와 협력 강화로 국회의 건전한 정책제언을 정책에 반영토록하고, 우리청의 정책 및 사업의 추진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기상업무 발전에 기여
□ 주요내용 및 성과
○ 중기사업계획(‘10~’14) 수립 및 제출(1.31.)
— 사업부서 요구 : 연평균 18.8% 증 → 최종 조정 : 연평균 13.0% 증
(단위 : 백만원)
구 분 |
‘10~’14 중기사업계획(안) |
비 고 |
||||
‘10 |
‘11 |
‘12 |
‘13 |
‘14 |
||
당초(’09~’13) |
247,029 |
267,234 |
293,457 |
277,117 |
연평균 5.4% 증 |
|
사업부서요구(1.12) |
474,155 |
512,508 |
505,077 |
491,774 |
연평균 18.8% 증 |
|
최종조정(1.26) |
376,902 |
432,737 |
426,340 |
399,160 |
연평균 13.0% 증 |
○ ’11년도 주요 현안예산 확보 추진
— 2011년도 예산확보전략 발표회 개최 : 2.26.~3.5. / 5층 회의실 / 12개 부서, 72개 사업의 현황, 예산의 필요성 설명 등
— 2011년도 정보화 예산설명회 참석 : 4.6. / 재정부 / 2011년도 정보화예산 개요 설명 및 주요 현안 토론
— 『’11년도 예산안 효율적 편성을 위한』 주무부서 전략회의 개최 : 5.12./5층 국제회의실/2011년도 현안 및 문제사업 발굴
▪ 추가 요구 문제사업 : 총 59개 사업, 188,946백만원 발굴 조정 중
— 2011년도 예산안 편성 사업구조조정 추진팀 회의 개최 : 5.24.~26. / 4층 회의실 / 2011년도 예산안 편성, 현안사업 설명 등
— 대외 활동
- 20 -
▪ 청장님 재정부 방문 2회(1.18. 연구개발예산과 직원 오찬 / 5.27. 예산실장 오찬)
▪ 차장, 선진화단장, 기획조정관 등 간부 기획재정부 방문 실적 : 총 37회(6.23. 현재)
○ 2011 지출한도 확정(6.3.)
— ’10년도 247,029백만원 → ’11년도 249,118백만원(전년대비 2,089백만원, 0.85% 증 / 완료사업 감안 전년대비 14,142백만원, 5.7% 증)
※ 완료사업 : 12,053백만원(기상관측선 건조 8,439백만원, 교육생기숙사 신축 3,614백만원)
※ 타부처 지출한도 : 전년대비 환경부 ▵3.0% 감, 식약청 ▵12.2% 감
— 주요 증액사업 : WRC 설립(3,640 → 8,891백만원), 기상관측표준화(6,350 → 7,500백만원), 지진관측망 보강(2,550 → 3,500백만원), 연안관측망 구축(2,242 → 2,658백만원), 기후변화 국가정책지원(R&D)(6,780 → 8,891백만원)
○ 2010년 국회 임시회에 대한 능동적 대응
— 환노위 업무보고 : 3회(2. 24, 4.15, 6.21)
— 2‧4‧6월 임시국회 업무보고관련 정책대비 및 선제적 질의자료 작성
— 보좌진 업무설명 : 4.14(야당/지진관련), 4.19(환노위 법안소위/우주기상업무법), 6.16(야당/주요업무), 6.17(여당/주요업무)
— 환노위 및 예결위 위원 등의 요구자료 제출(58건)
○ 국회 환노위 행정실 및 의원실과의 상시적 협력 강화
— 국회개원 기념 환노위 및 소관부처 단합대회 참가(5.31/북한산) 등 환노위 행정실 직원과 상시 협력관계 유지
— 여당보좌진 현장시찰 지원(1.11~12/안면도 일원) 등 환노위 위원실 기상청 담당 보좌진과 협력관계 유지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계 획 |
추 진 실 적 |
비고 |
1월 |
○ 중기사업계획(‘10∼14) 수립 |
○ 중기사업계획서(‘10∼14) 제출 - ‘10년도 예산 247,029 → ’11년도 376,902백만원 요구(전년대비 129,873 증 / 52.6% 증) |
정상 |
○ 제286회 국회(임시회) |
○ 국회 환노위 여당 보좌진 현장시찰 지원(1.11~12/안면도 일원) ○ 국회 환노위, 예결위 위원 등의 요구자료 제출(2건) |
- |
|
2월 |
○ 중기예산 심의 |
○ 일반사업 심의 : 2.25. 10:50∼12:00 - '10년도 68,570 → ‘11년도 59,433백만원(전년대비 ▵9,137 / ▵13.3%) * 2개 완료사업 12,053 백만원 감안 : 기상관측선 건조 8,439 / 교육생 기숙사 신축 3,614 |
정상 |
○ 임시회 대비 업무보고 준비 |
○ ‘09년도 국정감사결과 시정 및 처리요구에 관한 조치결과 제출(3.9, 이메일, 환경부 통합 제출) ○ 제287회 임시국회 상임위원회 업무보고 - 환경노동위원회 업무보고(2.24 10:00/국회 환노위 회의실) - 정책대비(2.10) 및 선제적 질의(2.12) 자료 작성 ○ 국회 환노위, 예결위 위원 등의 요구자료 제출(5건) |
정상 |
|
3월 |
○ 중기예산 심의 |
○ R&D 심의 : 3.4. 17:40∼18:30 - '10년도 45,282 → ‘11년도 43,021백만원(전년대비 ▵2,261 / ▵5.0%) ○ 정보화 심의 : 3.9. 15:40∼18:40 - '10년도 43,947 → ‘11년도 41,932백만원(전년대비 ▵2,015 / ▵4.6%) ○ 문제사업 심의(정보화) : 3.25. 10:00∼12:00 - 계수 변동없음 ○ 문제사업 심의(일반) : 3.26. 10:00∼12:00 - '10년도 68,570 → ‘11년도 63,851백만원(전년대비 ▵4,719 / ▵6.9%) ○ 문제사업 심의(R&D) : 3.31. 10:00∼12:00 - '10년도 45,282 → ‘11년도 44,471백만원(전년대비 189 / 0.4% 증) |
정상 |
○ 제288회 국회(임시회) |
○ 국회 환노위 미상정 법안 예비검토회의 지원(3.26, 국회 환노위 소회의실) - 대상법안 : 「기상법」, 「기상산업진흥법」, 「우주기상업무법」등 ○ 국회 환노위, 예결위 위원 등의 요구자료 제출(12건) |
- |
|
4월 |
○ 중기사업계획(시안) 및 ’11년도 지출한도 확정 |
○ 중기사업계획(시안) 확정(6.3.) - ‘10년도 247,029 / ’11년도 249,118 / ’12년도 278,388 / ’13년도 271,079 / ’14년도 280,399 ○ ‘11년도 지출한도 확정(6.3.) - 249,118백만원(전년대비 2,089백만원 증 / 0.85% 증 |
지연 |
○ 임시회 대비 자료 준비 |
○ 09년도 국정감사결과 시정 및 처리결과 점검, 제출(4.2, 이메일, 환경부 통합 제출) ○ 제289회 임시국회 상임위원회 업무보고 - 환경노동위원회 업무보고(4.15 10:00/국회 환노위 회의실) - 야당 보좌진 지진현안 설명(4.14) - 정책대비 자료 수정 보완(4.14) ○ 권성동 의원 ‘재해기상연구센터 설립’ 대정부질문에 따른 업무지원 ○ 우주기상업무법 국회 입법 지원 : 환노위 법안상정(4.16), 법안소위 보좌진 설명(4.19) ○ 국회 환노위, 예결위 위원 등의 요구자료 제출(6건) |
정상 |
|
5월 |
○ ‘11년도 예산안 자체 조정 및 편성 |
○ ‘11년도 예산안 효율적 편성을 위한 ’주무부서 전략회의‘ 개최 - 일시/장소 : 2010.5.12. 10:30∼11:30/4층 국제회의실 - 참석자/내용 : 기획조정관, 국실 주무과장, 소속기관(영상회의시스템 참석) / ‘11예산안 효율적 편성을 위한 전략방안 강구 ○ 2011년도 예산안 편성관련 자체 심의기구 구성 및 운영(내부결재 기획재정담당관- 1436/5.14.) - 예산안 편성심의회 : 기획조정관(위원장). 위원(각 국실장) - 국·실 예산전략협의회 : 기획재정담당관(위원장), 위원(각 국실 주무과장) - 사업편성·구조조정 추진팀 : 기획재정담당관실 예산담당 4명 ○ ‘11년도 예산안 편성 사업편성·구조조정 시행회의 개최 - 기간 : 5.24.∼5.26. / 대상 : 본청 및 소속기관 / 내용 : ‘11년도 예산편성 사업내용 설명, 조정 |
정상 |
○ 임시회 대비 자료 준비 |
○ 권성동 의원 ‘재해기상연구센터 설립’ 대정부질문에 따른 후속조치 업무지원 - 업무협의 : 5.4 / 국회회관 834호/고경전 비서관, 관련부서 담당(이영곤, 김용진, 신언성) ○ 업무협의 : 환노위 행정실(5.11), 환노위 위원실 보좌진(5.12) ○ 국회 환노위, 예결위 위원 등의 요구자료 제출(18건) |
정상 |
|
6월 |
○ ‘11년도 예산안 자체 조정 및 편성 |
○ ‘11년도 예산확보 전략회의 개최 - 일시/장소 : 6.9. 15:00∼16:30 / 5층 회의실 / 참석 : 25명(소속기관 영상회의) - 내용 : ‘11년도 문제사업 분석 및 예산확보 추진전략 강구 ○ 2011년도 예산편성 관련 부처합동 연찬회 참석 - 일시/장소 : 6.17. 10:00∼15:00 / 중앙공무원교육원 / 참석 : 기획재정담당관 등 3명 - 내용 : ‘11년도 예산편성 방향 및 행정사항 ○ ‘11년도 예산요구서 작성 및 검토, 보완(6.3.∼6.24. / 예산담당 직원) ○ ‘11년도 예산요구서 내부결재 추진(6.25.∼6.29) |
정상 |
○ ‘11년도 예산안 기획재정부 제출 |
○ 2011년도 예산요구서 제출 - 기획재정부 / 6.30. |
정상 |
|
○ 임시회 대비 자료 준비 |
○ 09년도 국정감사결과 시정 및 처리결과 점검, 제출(6.7, 이메일, 환경부 통합 제출) ○ 제291회 임시국회 상임위원회 업무보고 - 환경노동위원히 업무보고(6.21 10:30/국회 환노위 회의실) - 보좌진 업무설명(야당 6.16, 여당 6.17), 기상산업 활성화관련 업무협의(6.10, 강성천 의원) - 현안보고 등 지원 : 6.14(환노위 위원장 등/청장님), 6.9(이미경‧이범관 의원/차장님) - 정책대비 자료 수정 보완(6.19) ○ 국회 환노위, 예결위 위원 등의 요구자료 제출(12건) |
정상 |
- 21 -
○ 지연사유
— 국가재정법 제29조 2항에 의거 기획재정부장관은 예산안 편성지침과 연도별 지출한도를 매년 4월 30일까지 각 부처에 통보해야 함. 그러나 올해는 6월 2일 지방선거 관계로 6월 3일 통보받음. 이는 정부의 주요 정치일정과 관계되는 사항임.
○ 조치계획
— 지출한도 통보날짜가 4월 40일에서 6월 3일로 지연됨에 따라 이에 대한 대응조치로 “ ‘11년도 예산안 효율적 편성을 위한 주무부서 전략회의” 및 “‘11년도 예산확보 전략회의” 등을 개최하여 비공식 확인 지출한도 내역 통보와 이에 따른 추가 소요 예산요구 사업을 발굴하여 일정 지연에 대비함.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기상예산확보액 (억원) (일반회계) |
2,669 |
2,.412 |
○ ‘11년도 지출한도(6.3.) 통보받은 현재 목표치 대비 ▵257억원 미달 - 향후 문제사업 심의 등을 통하여 2011년도 우리청 목표액 3,500억원 달성에 매진하겠음. |
대국회 대응도(%) |
66.87 |
- |
○ 2010년도 국정감사에서 예상정책질의(정책질의 대비자료, 선제적질의 요구자료) 중 실제 적중이 67% 이상이 될 수 있도록 환노위 보좌진과 협력관계 유지에 매진하겠음 |
○ 목표 미달성 사유
- 22 -
— 최종 목표달성 일정이 연말이므로 중간(6월 현재) 단계에서 목표 달성 분석결과 문제없다고 판단됨.
○ 조치계획
— 2차례 자체 예산확보 전략회의 개최를 통하여 추가 소요되는 문제사업을 발굴하여 지속적으로 기획재정부와 협의를 진행 중 있음.
- 추가요구 문제사업 : 총 59개 사업, 188,946백만원
. 추가요구 분야별 내용
구 분 |
일반사업 |
R&D |
정보화 |
합 계 |
신규사업 |
3/20,700 |
9/62,350 |
3/11,510 |
15/94,560 |
증액사업 |
8/45,115 |
11/33,843 |
3/5,790 |
22/84,748 |
소액심사대비 |
12/5,137 |
3/1,385 |
7/3,116 |
22/9,638 |
합 계 |
23/70,952 |
23/97,578 |
13/20,416 |
59/188,946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정부의 2011년도 재정운영방향 제시에 따른 대응 - 재정지출 생산성 제고를 위한 Ten- Ten 전략 . 재정지출 10% 줄이고, 지출원칙 10가지 지키기 - 페이고(Paygo.Pay as you go) : 신규 의무 지출 때 기존사업의 세출구조조정 도는 별도의 재원대책 제시 |
○ ‘11년도 예산안 효율적 편성을 위한 ’주무부서 전락회의‘ 및 ’예산확보 전략회의‘를 개최하여 정부의 2011년도 예산편성 기본방향 전달 및 우리청의 대응전략 강구 < 우리청 대응실적 > - 추가 요구된 문제사업 사전 발굴 추진 : 59개 사업, 188,946백만원 - 효율적 예산편성을 위한 자체 심의기구 구성 및 운영 : 5.14. - ‘11년도 예산안 편성 사업편성·구조조정 추진팀 회의 개최 : 5.24.∼26. |
○ 현안업무에 대한 국회 대응 |
○ 초단기 예보 및 레이더통합운영(입법조사처 최준영 입법조사관) - 업무협의(1.6, 3.11) 및 자료 제출(1.8) - 강릉레이더가동식 참석(5.19) ○ 우주기상업무법(안) 추진 업무협의 - 현안보고(2.4, 환노위 수석), 업무협의 및 만찬(3.26, 환노위 수석전문위원 및 입법조사관) - 업무설명(4.19, 환노위 법안소위 보좌관), 업무협의(5.10, 환노위 수석전문위원) ○ 지진업무 업무설명 : 4.14(야당 보좌진) |
○ 제18대 후반기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구성에 따른 대응 |
○ 국회 방문 업무협의 - 청장님 : 6.14(환노위 위원장 현안보고, 각 위원실 인사) - 차장님 : 6. 9(이미경‧이범관 의원 업무협의, 환노위 각 위원실 인사) - 기획조정관 : 청‧차장님 수행, 6.9(환노위 수석전문위원) ○ 환노위 보좌진 업무설명회 개최 : 야당(6.16), 여당(6.17) |
○ 권성동 의원의 4월 대정부질문(‘재해기상연구센터 설립 필요’)에 대한 대응 |
○ 고경전 비서관(권성동 의원)과 업무추진 방향 논의(5. 4) ○ 국립기상연구소 조직 발전방안에 반영(5.28 / 행안부 제출) ○ 재해기상 연구센터’ 설립을 위한 T/F 구성 및 운영(5.20, 6.25) |
- 23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관련 기상청 관련사업 현황 조사 |
○ ’11년도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관련 기상청 사업현황 조사 - 22개 사업, 77,931백만원 |
○ 100대 국정과제 관련 기상청 관련사업 현황 조사 ① 기상예보의 선진화 ② 기상·기후산업 육성 ③ 대기오염 예·경보제 확대 |
○ ‘11년도 국정과제 기상청 관련사업 조사 - 26개 사업, 140,818백만원 |
○ 기상선진화 10대 과제관련 예산소요 내역조사 |
○ ‘11년도 40개 사업, 162,907백만원 |
- 24 -
|
자체주요업무과제: 창의실용 공직문화 조성, 조직기반 마련 및 법적‧제도적 기반 강화 |
□ 목 적
○ 2010년 기상청 변화관리 목표 『함께하는 창의실용, 신뢰받는 성과창출』 달성
○ 기관의 핵심정책 지원을 위한 조직체계 전략화 구축
○ 변화하는 기상행정 환경의 변화에 법적‧제도적으로 신속하고 적절하게 대응
□ 주요내용 및 성과
○ 활력있는 직장만들기를 위한 소통 강화
— 땡큐쿠폰제 개선(2월), “친구같은 아빠되기(Friendy)”“하루10분의기적”등 한울타리 프로그램 개선(5월), 두레박모임(6월)
— 기상청CEO리더십 워크숍 및 다산유적지 탐방(2월), 선비문화 체험(과장급, 기상대장)
○ 창의역량 향상을 위한 제안제도 활성화
— 제안담당자 교육(워크숍 및 영상회의), 순회설명회(5월), 제36회 기상업무개선발표회 개최(6월)를 통한 우수제안 발굴
○ 기상행정조직‧인력의 효율적 운영을 통한 기상행정서비스 제고
— 기상행정조직 개편(4월)
‧ 해양기상관측선, 고산기후변화감시 인력 8명 증원(1,295명 → 1,303명)
‧ 기상레이더센터, 예보기술팀, 한반도기상기후팀 신설
‧ 특‧정보기상대 조정(10소→5소), 지방청 하부조직 명칭변경(방재기상과→예보과, 동네예보과→기후과) 등 특별지방행정기관 정비
‧ “영역기상방송” 기능을 본청(해양기상과)으로 이관하여 해양기상서비스 기능을 강화
— 조직‧인력의 체계적 관리를 위한 중기인력운영계획('10~'14) 수립‧운영(4월)
— 조직의 성과향상 및 역량 제고를 위한 자체 총액인건비제 운영계획 수립(6월)
— 탄력적 인력운영을 위한 「유동정원제」 운영계획 수립(6월)
○ 법‧제도의 합리적 개정을 통한 기상정책 추진 강화
- 25 -
— 「기상법 시행규칙」일부개정(환경부령 제371호, 2010.5.28)
‧ 기상현상에 관한 증명 및 자료제공 수수료 면제기관 확대
‧ 기상현상에 관한 증명 및 자료제공 수수료 요율의 합리적 조정
— 기상행정환경 변화에 따른 훈령 일괄개정 2건, 훈령 심사 15건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계 획 |
추 진 실 적 |
비고 |
1월 |
○ 2010년 입법계획 수립(1월) ○ 2010년 훈령 등 행정규칙 정비계획 수립 |
○ 2010년 입법계획 제출(2009.12.18/환경부) - 기상법 일부개정계획 1건 ○ 2010년 훈령 등 행정규칙 정비계획(1.22) - 훈령 및 고시 제‧개정 계획 33건 |
정상 |
2월 |
○ 땡큐 쿠폰제 운영계획 수립 |
○ 땡큐 쿠폰제 운영계획 수립(2.3, 행정관리담당관- 397) - 2009년도 실시결과 분석 및 제도보완 ㆍ부여기준 개선 및 부여수량 축소, 그룹별 우수부서 선정으로 부서내 경쟁 완화 |
정상 |
3월 |
○ 변화관리 추진조직 정비 및 워크숍 개최 |
○ 변화관리 추진조직 정비 및 워크숍 개최(3.16~17, 행정관리담당관- 750) - 변화관리 추진조직 재구성 : 두레박팀ㆍ변화요원ㆍ기상대 제안담당자 등 40여명 - 내용 : 소통 강화 및 즐거운 조직문화 형성을 위한 방안 탐색 및 공유 등 |
정상 |
4월 |
○ 기상행정조직 개편 및 직제 개정 |
○ 기상청과 그 소속기관 직제(대통령령 제22115호, 2010.04.13 공포‧시행) 및 동 직제시행규칙(환경부령 제368호, 2010.04.13 공포‧시행) 일부개정 |
정상 |
○ 2010~2014년 중기인력운영계획 수립 (2011년 소요정원(안) 수립 포함) |
○ 조직‧인력의 체계적 관리를 위한 2011년 소요정원 및 2010~2014년 중기인력운영계획 수립 (4.30, 행정관리담당관- 1268) |
정상 |
|
○ 기상법 및 기상법 시행규칙 일부개정안 관계부처 협의, 부패영향평가(4월) |
○ 기상법 및 기상법 시행규칙 일부개정안 의견조회(3.23~4.2/전부처) ○ 기상법 및 기상법 시행규칙 일부개정안 부패영향평가(3.25~4.2/국민권익위원회) - 평가결과 개선요구사항 없음 |
정상 |
|
5월 |
○ “한울타리” 활성화 방안 수립 |
○ 한울타리 프로그램 활성화 계획 수립(5.27, 행정관리담당관- 1702) - 부서원회식책임제, 즐거운 퇴근길 등 총 5개 프로그램 설정 - 다양한 포상방법 및 포상규모 확대로 참여율 제고 |
정상 |
○ 소속기관 순회설명회 개최 |
○ 행정관리 순회설명회 개최(5.18~5.26, 행정관리담당관- 1340) - 2010년도 조직운영, 변화관리, 성과평가, 추진방향 전반에 관한 설명회 실시 |
정상 |
|
○ 기상법 시행규칙 일부개정안 입법예고 ○ 기상법 시행규칙 일부개정안 규제심사 |
○ 기상법 시행규칙 일부개정안 입법예고(4.6~4.25) ○ 기상법 시행규칙 일부개정안 규제심사대상 사전심사(4.19~4.20/규제개혁위원회) - 심사결과 규제심사 비대상 ○ 기상법 시행규칙 일부개정안 법제처 심사(4.28~5.18) |
기상법 시행규칙 정상 |
|
○ 기상법 일부개정안 입법예고 ○ 기상법 일부개정안 규제심사 |
○ 기상법 일부개정안 규제심사대상 사전심사(4.19~4.20/규제개혁위원회) - 심사결과 규제심사 비대상 |
기상법 지연 |
|
6월 |
○ 제36회 기상업무개선발표회 개최 |
○ 제36회 기상업무개선발표회 개최(6.10) - 우수상 4건 및 우량상 3건 선정(제안심사위원회에서 확정 예정) |
정상 |
○ 조직의 성과향상 및 역량 제고를 위한 총액인건비제 내실화 |
○ 총액인건비제 운영 TFT 구성‧운영(5.17, 행정관리담당관- 1490) - TFT 회의 3회 개최(5.25, 6.8, 6.25) |
정상 |
|
○ 기상법 시행규칙 일부개정령 공포‧시행 |
○ 기상법 시행규칙 일부개정령 공포‧시행(환경부령 제371호, 5.28) |
기상법 시행규칙 정상 |
|
○ 기상법 일부개정안 법제처 심사 |
○ 기상법 일부개정안 통계기반 정책관리 예비평가(5.12~5.20/통계청) - 평가결과 실질평가 불필요 |
기상법 지연 |
|
9월 |
○ 탄력적 인력운영을 위한 「유동정원제」운영 |
○ 「유동정원제」운영 계획 수립(6.16, 행정관리담당관- 1886) - 본청 및 소속기관(기상레이더센터 및 항공기상청 제외) 총 28명을 유동정원으로 운영 |
정상 |
○ 지연사유
— 기상법 개정 추진의 지연(외부환경변화에 의한 지연사유 발생)
‧ 기상법 일부개정안 중 “우주기상” 조항에 대하여 방통위와 교과부 등과 합의점을 찾지 못함
○ 조치계획
— 우주기상 조항 수정안 마련 및 관계부처 협의
‧ 우주기상에 관한 기상청의 업무범위에 대하여 조정안을 마련하여 방통위 등과 협의
‧ 최종 협의가 타결(결렬)될 경우, 우주기상 조항을 수정(삭제)하여, 6월 말에 입법예고 추진
- 26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변화관리 역량수준 향상정도(%) |
62.0 |
- |
○ 하반기 그룹웨어 설문조사를 통한 변화관리 역량 향상정도 측정 예정(11월) |
기능ㆍ인력의 효율적 활용도 |
6.69 |
- |
○ 과별 정원 배정표의 변동사항을 반영한 전환 재배치 실적 도출 예정(12월) |
행정규칙 심사요청의 기일내 회신율 |
94.2 |
100.0 |
○ 행정규칙 심사의뢰 15건(훈령 14건, 고시 1건) - 기일 내 회신 15건 |
기상관련 법령 제‧개정시 의견반영율 |
10.0 |
6.2 |
○ 의견조회34건, 의견제출 3건, 의견반영 0건 - 저탄소 녹색성장기본법 시행령 제정안, 과학기술기본법 시행령 일부개정안, 하천법 일부개정안 |
○ 목표 미달성 사유
— 의견반영 건수의 획득은 전적으로 법령 제‧개정안 주관 부처의 결정에 의존하며, 부처간 협의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차관회의 및 국무회의에서 그 법령 제‧개정안에 대해서 불이익을 줄 수 있는 권한이 없다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음
○ 조치계획
— 의견제출 부서에 인센티브 강화를 통해 법령 제‧개정안에 대한 관심도 제고 확보
— 법령 개정안 주관 부처와의 지속적 협의 실시를 통한 우리청 의견 반영에 노력
- 27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창의실용에 기반한 제도개선 업무 추진이 행정안전부 주관에서 자율적 운영으로 전환되면서 추진력 제고(동기부여)를 위한 방안 마련이 필요해졌고, 국민제안규정 개정으로 생활공감 정책의 발굴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국민ㆍ공무원제안제도 참여 통로 확대 필요성 증대 - 구성원이 부담없이 참여할 수 있는 공직문화 프로그램 개발 및 누구나 쉽게 할 수 있는 제안분위기 조성 ○ “유동정원제 자체운영계획”에 따른 전환배치 계획을 「2011년 소요정원」 산정에 반영하도록 정부조직지침이 변경됨에 따라 유동정원제의 조기 시행 불가피 - “유동정원제 자체 운영계획” 제출 시기 변경(당초:7월 이후→6월) ※ 근거 : 행정안전부 조직기획과- 1515(5.26) ○ 법령 제‧개정 소요기간 단축을 위하여 규제심사 과정 효율화 방안 모색 필요 |
○ 구성원들이 즐겁고 편리하게 변화관리에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한울타리, 땡큐 쿠폰 등) 운영 및 국민들의 기상정책에 참여할 수 있는 통로 확대를 위한 제안활성화 계획 수립 - 즐거운 공직문화, 가정친화적 공직문화 조성을 위한 한울타리 프로그램 운영 - 구성원들의 의견 수렴을 통해 국민 눈높이 정책을 구현하기 위한 제안제도 운영 및 국민제안 프로젝트(동상이몽)을 통해 국민이 기상정책에 참여할 수 있는 통로 확대 ○ 유동정원제 자체 운영계획 수립 및 시행(6.16, 행정관리담당관- 1886) - 유동정원제 운영계획 확정‧통보(6.16) - 유동정원 배정요구서 취합(6.23) - 정원 조정을 위한 정원조정회의 개최(6.30) - 정원배정표 개정‧통보(7월 초) ○ 법령 제‧개정 절차 소요기간 단축 노력 - 규제대상 사전심사를 통하여 입법예고 이후에 실시하는 규제심사를 생략함으로써 법령 개정 절차의 소요기간을 크게 단축함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변화관리 및 제안제도 운영 주관부처와 협조체계 구축 - 행정안전부(제도총괄과) 컨설팅 및 협조체계 구축 ㆍ 정부의 창의실용 제도개선 주요 시책 파악 및 우리 청 변화관리 추진계획에 대한 이해 증진 - 변화관리 우수사례 공유 및 벤치마킹 ○ 기상행정조직 개편 및 직제 개정 - 국정과제 이행 등 시급한 기상기술 수요에 대응하기 위하여 기상과학 선진화 기반 강화 ‧ 행정안전부(경제조직과) : 조직개편 및 직제 개정 방향 협의 ‧ 법제처(사회문화법제국) : 직제 시행규칙 개정에 따른 법적근거 마련 |
○ 행정안전부 주요 시책 및 활동성과 공유 - 제안활성화 워크숍(3.2) 참석을 통해 '09년 제안제도 운영성과 및 '10년 제안제도의 시책 공유 - 변화관리 추진조직 워크숍(3.16~17) 시 행정안전부 제안담당사무관 초청강연 등을 통해 제안제도에 대한 이해 공유 - 지식행정시스템의 제도개선 우수사례 공유 및 벤치마킹을 통한 2010년도 기상청 변화관리 추진계획 수립 ○ 기상행정조직 개편 및 직제 개정 협의(총14회) ○ 직제 시행규칙 개정에 따른 법적근거 협의(총6회) - 직제 시행규칙에 조직개편 사항 반영 |
- 28 -
|
Ⅴ- 4- 주요정책② : 기상과학문화 확산 |
□ 목 적
○ 기상과학이 국민들의 생활 속에 뿌리내릴 수 있도록 다양한 기상과학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
○ 알기 쉬운 실험실습과 과학시설 견학 및 체험학습을 통한 기상과학 꿈나무 육성과 기상과학문화 확산
□ 주요내용 및 성과
○ 읍면동 생활과학교실 운영
— 2010년도 읍면동 생활과학교실 운영사업 협약(6.18)
○ 찾아가는 날씨체험캠프 운영
— 충남 태안군 소원초등학교 등 총 9개 학교 운영, 338명 참여
○ 기상교육 종합콘텐츠 경진대회 실시
— 기본계획 수립(1.28), 작품접수 : 온대저기압 교육용 자료 등 2작품 접수(6월 21일 현재)
○ 기자, 기상캐스터 등 기상언론인을 위한 전문교육프로그램 개설
— 기상방송인 전문과정 운영 : 전국 TV 기상캐스터 24명(2.27)
○ 수치예보관련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국내 연수 지원
— 위탁교육기관 선정(2.10), 교육훈련생 20명 선발(3.17), 상반기 집합교육(3.22~4.30) 및 현장 실무교육 중(5.3~12.17)
- 29 -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계 획 |
추 진 실 적 |
비고 |
1월 |
○ 수치예보 전문기술인력 위탁교육기관 선정 |
○ 수치예보 전문기술인력 민간위탁교육기관 선정 - 기상청 홈페이지 공개모집(1.26∼2.5), 제안설명회 및 평가(2.9) - 민간위탁교육기관 선정 : (재)한국기상기후아카데미(2.10) |
지연 |
○ 기상교육 종합콘텐츠 경진대회 계획 수립 |
○ 제1회 기상콘텐츠 경진대회 기본계획 수립(1.28) - 기상교육 종합콘텐츠 경진대회 준비회의 개최(1.26) |
정상 |
|
2월 |
○ 수치예보 전문기술인력 교육생 모집 및 교육 실시 |
○ 수치예보 전문기술인력 교육생 모집 및 교육 실시 - 교육생 모집 홈페이지 공고 : 1차(2.22), 2차(3.5) - 교육훈련생 모집 완료 : 20명(3.17) - 상반기 집합교육 계획 수립(3.18) 및 교육 실시(3.22∼4.30) |
지연 |
○ 날씨체험캠프 운영대상학교 선정 |
○ 날씨체험캠프 운영대상학교 선정 - 2010년도 찾아가는 날씨체험캠프 운영 참가대상 공모(2.3∼17) - 창기초등학교 등 18개 기관 선정(2.26) |
정상 |
|
3월 |
○ 기상언론인 전문교육프로그램 교육생 선발 및 강사 선정 |
○ 기상방송인 전문과정 운영 계획 변경(2.25) - 교육일정(교과목 및 강사) 수립, 교육생(기상방송인) 26명 선발 |
정상 |
4월 |
○ 기상언론인 전문교육프로그램 운영 |
○ 기상방송인 전문과정 운영(2.27) - 전국 TV 기상캐스터 24명 - 기상방송인 간담회와 기상방송인 전문과정 병행 추진위해 일정 변경(조기 추진) |
정상 |
6월 |
○ 기상교육 종합콘텐츠 경진대회 작품접수 |
○ 기상교육 종합콘텐츠 경진대회 작품접수 - 제1회 기상콘텐츠 경진대회 작품공모 홈페이지 공고(5.26) - 접수기간 : 6.1∼6.30 - 접수방법 : 인터넷(기상청 홈페이지), 우편 |
정상 |
○ 지연사유
— 수치예보 전문기술인력 위탁교육기관 선정
ㆍ ‘09년도 사업 공모 시에도 사단법인 기상과학아카데미 1개 기관만이 응모함에 따라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 26조 제1항 제8호의 규정에 따라 수의계약으로 사업을 추진하였음
ㆍ 금년에도 1개 기관만이 응모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조기사업 추진을 위해 공모를 거치지 않고, 수의계약으로 위탁교육기관을 선정코자 하였으나 “수치예보 전문기술인력 양성사업 세부추진계획(‘10.1.26)” 과정에서 보다 투명한 사업추진을 위해 공개모집으로 방침이 결정되어 공모(1.26~2.5)와 평가(2.9)에 따른 소요기간으로 위탁교육기관 선정이 지연됨
- 30 -
— 수치예보 전문기술인력 교육생 모집 및 교육실시
ㆍ 위탁교육기관 선정 지연(2.10)과 1차 교육생 모집공고(2.22)시 신청자 미달(모집자 20명, 신청자 14명)로 2차 모집공고(3.5)를 실시함에 따라 교육생 선발 및 교육일정이 전체적으로 지연됨
○ 조치계획(지연 완료사항)
— 수치예보 전문기술인력 위탁교육기관 선정
ㆍ 기상청 홈페이지 공개모집(‘10.1.26~2.5)
ㆍ 제안설명회 및 평가회 개최(2.9)
ㆍ 위탁교육기관 최종선정(2.10)
— 수치예보 전문기술인력 교육생 모집 및 교육실시
ㆍ 교육생 모집 홈페이지 공고 : 1차 공고(2.22), 2차 공고(3.5)
ㆍ 교육생 모집완료 : 20명(3.7)
ㆍ 상반기 집합교육 계획 수립(3.18) 및 교육 실시(3.22~4.30)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대국민 특성화교육 참여자수 |
150 |
113 |
○ 상반기 대국민 특성화교육 : 3개 과정 운영 - 기상방송인 전문과정 : 24명 참여 - 관측표준화 교육과정(1차) : 집합 교육 39명 참여, 사이버 교육 30명 참여 - 수치예보 전문기술인력 양성과정 : 20명 참여 |
날씨체험캠프 참여자 만족도 |
80 |
77.8 |
○ 상반기 날씨체험캠프 운영 : 9개 기관(338명) - 참가기관 중 만족도 90점 이상 기관 7개 기관(77.8%) |
○ 목표 미달성 사유(외부 환경변화에 의한 목표 미달성시 사유 작성, 평가주기가 반기인 경우)
— 평가주기가 연간이므로 하반기 교육운영을 통하여 목표치달성이 가능함
○ 조치계획
— 목표치 달성에 차질 없도록 교육운영에 만전을 기하겠음
- 31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수치예보 전문기술인력 교육생 모집 인원 미달 - 교육생 모집 인원 20명, 지원자 14명 ○ 기상교육 종합콘텐츠 경진대회 준비회의 개최 - 대회 명칭 변경, 대회 규모 확대, 심사 강화 등 의견 수렴 ○ 수치예보 전문기술인력 교육훈련생 효율적 운영 방안 요구(실무교육기관) |
○ 2차 모집공고(3.5) - 기상청 홈페이지를 통한 2차 모집(3.5∼3.12) - 추가 지원자 12명, 총 26명의 지원자 중 심사를 거쳐 20명 교육생 선발(3.17) ○ 기상콘텐츠 경진대회 기본 계획(1.28)에 반영 - 대회명칭 변경 : 기상교육 종합콘텐츠 경진대회 → 기상콘텐츠 경진대회 - 대회규모 확대 : 2개 분야로 나누어 운영, 수상자 총 14명(분야별 7명) - 심사 강화 : 예선 및 본선 심사 운영, 외부 인사 50% 운영 ○ 수치예보 전문기술인력 교육생 실무교육관련 회의개최(4.20) - 교육훈련생 운영관리지침 설명, 2009년도 실무교육 운영사례 공유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2010년 읍면동 생활과학교실 운영사업 협약(6.18) - 협약기간 : ‘10.5.14∼’11.3.11 |
○ 2010년도 읍면동 생활과학교실 운영을 위한 재단 지원금 확보 - 한국과학창의재단 지원금 90,000천원(1차 지원금 수령 58,500천원, 6.9) |
- 32 -
Ⅴ- 4- 정보화① : 기상교육 e- 러닝 체제구축 |
□ 목 적
○ 기상교육용 콘텐츠 개발을 통한 온라인 원격교육 강화 및 대기과학 지식보급으로 기후변화 이해 및 대국민기상서비스 기여
○ 다양한 교육영상 자료 제공(플래시 애니메이션 개발) 및 학습으로 청소년들의 기상과학 문화 확산 및 창의적인 인재육성에 기여
○ 상시학습체제 및 도서벽지 등 지방근무자를 위한 온라인 교육의 활성화 및 확대
□ 주요내용 및 성과
○ 사이버교육용 기상교육 콘텐츠(코스웨어) 개발 추진
— 기후변화 과학, 기후변화 국제적 대응, 기후변화 시나리오(신규 콘텐츠 3개 개발)
○ 기상과학 학습자료 플래시 애니메이션 제작(하늘에선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을까요 ?)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계 획 |
추 진 실 적 |
비고 |
1월 |
○ 기상교육 이러닝 체제구축 사업 추진계획 수립 |
○ 기상교육 이러닝 체제구축 사업 추진계획 수립(1.22) - 사업추진 기본계획 및 콘텐츠 개발 추진 내용 및 일정 등 |
정상 |
3월 |
○ 조달청 계약 - 기후변화과학 등 콘텐츠(3개), 플래시 에니메이션(1개) |
○ 기상교육이러닝 콘텐츠 개발사업 용역계약 체결(조달청, 3.29) - 사업기간 : 3.29~10.25(7개월) / 예산 : 136백만원 / 용역업체 : (주)메디오피아테크 ※ 제안서 평가(7개 업체, 3.24) |
정상 |
4월 |
○ 착수보고회 |
○ 기상교육이러닝 콘텐츠 개발사업 착수보고회 개최(4.8) - 사업추진 수행계획서 및 계약관련 주요추진사항 발표(외부위원 2인, 검토위원 3인) |
정상 |
6월 |
○ 중간보고회(1차) |
○ 기상교육이러닝 콘텐츠 개발사업 중간보고회 개최(6.17) - 그간(3개월) 주요추진사항 및 정책모니터링 실시 |
정상 |
- 33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사이버교육 콘텐츠 개발 |
3개 |
0 |
○ 기상교육 온라인 콘텐츠 개발 중(신규 3개)이며 사업계획에 따라 차질없이 수행되고 있음 - 기후변화 과학, 기후변화 국제적 대응, 기후변화 시나리오(사이버교육용 코스웨어) |
○ 목표 미달성 사유(외부 환경변화에 의한 목표 미달성시 사유 작성, 평가주기가 반기인 경우)
— 평가주기가 연간이며 현재 콘텐츠 개발이 계획대로 차질 없이 수행되고 있음
○ 조치계획
— 철저한 사업을 사업기간(3.29~10.25) 내 콘텐츠 개발이 완료되도록 추진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기상교육 e- 러닝 체제구축 사업 신규 개발 콘텐츠 분야의 외부전문가 등의 사업관련 의견수렴 필요 - 대기과학분야 교수 및 관련 전문가 등 |
○ 효율적인 기상교육 e- 러닝 체제구축 사업을 위하여 외부 전문가(교수진, 검토위원)구성으로 객관성 및 전문성 확보와 다양한 교육영상 자료 개발에 관한 의견개진 등 집행과정의 합리성 강화 - 기상교육 e- 러닝콘텐츠 개발사업 검토회의 개최(2.9, 실무전문가 6인) - 외부전문가(2인) 및 전문 검토위원(3인) 제안서 평가(3.24)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국가정보화 전략사업과 연계하여 2010년 국가정보화시행계획 반영으로 수요자 중심의 교육시스템 체제강화를 위한 직무능력 향상 및 교육훈련비 절감 등에 노력 ○ 과학기술부(평생교육진흥원)의 학점은행제 대기과학 전공과정 운영에 필요한 사이버콘텐츠 활용 |
○ 2010년 국가정보화시행계획 반영(행안부, 4.30)하여 정책추진 및 성과평가를 받고 있음(정보통신기술과- 1435, 3.31) - 기상교육 e- 러닝시스템 구축(중장기 개발전략 등) ○ 2010년 봄학기 학점은행제 대기과학 전공과정 교육 콘텐츠 활용(열대기상학 등 3개과목) 및 중앙공무원교육원과의 협조체계를 통한 사이버 콘텐츠의 공동 활용 - 2010년도 봄학기 학점은행제 대기과학 전공과정 운영계획 수립보고(인력개발담당관- 357, 1.25) |
- 34 -
자체주요업무 : 기상선진화를 위한 기상업무역량 향상 교육 및 인프라 강화 |
□ 목 적
○ 교육훈련을 통한 핵심전문가 육성과 조직활성화로 기상선진화 구현
□ 주요내용 및 성과
○ 새로운 조직에 대한 신규자들의 적응력 향상 및 공직가치 함양
— ‘10년 9급 공채시험 합격자 대상 신규직원 조직적응 교육과정 운영
○ 경력개발제도(CDP)와 연계한 예보‧관측‧항공‧지진 등 분야별 전문교육을 통한 핵심전문가 육성
— 예보관 실무과정, 기상관측 실무과정 등 8개 과정 운영
○ 리더십교육과정을 통한 조직활성화 및 셀프리더십 향상
—중간관리자 대상 창조리더십과정 등 3개 과정 운영
○ 수요자의 눈높이에 맞춘 특별 교육프로그램을 통한 기상교육서비스 제공
—기상방송인 전문과정, 기상관측표준화과정, 방재기상과정
○ 국제 기상협력 및 개도국 대상 선진기술교육훈련 지원을 통한 국격제고
—한‧중 황사공동관측망 운영자 과정, 남아시아 8개국 대상 ICT(정보통신기술)를 이용한 기상업무향상과정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계 획 |
추 진 실 적 |
비고 |
1 |
○ 봄학기 학점은행제 대기과학 전공과정 운영계획 수립 및 교육생 모집 공고 |
○ 봄학기 학점은행제 대기과학 전공과정 운영계획 수립 및 교육생 모집 공고(2.9) - 교육기간/입학정원/입학자격 : 3월〜6월(4개월)/과목당 40명/기상청 직원 및 일반인 |
지연 |
2 |
○ 봄학기 학점은행제 대기과학 전공과정 교육생 선발 ○ 기상관측 실무과정 운영 ○ 기상행정 실무과정 운영 |
○ 봄학기 학점은행제 대기과학 전공과정 교육생 확정 통보 - 총 102명(내부직원 56명, 위촉연구원 3명, 청원경찰 3명, 일반인 1명) ○ 기상관측 실무과정 운영 - 기간/장소/수료인원 : 2.8〜2.10/시청각실/7급 이하 28명 ○ 기상행정 실무과정 운영 - 기간/장소/수료인원 : 2.22〜2.26/지식경제공무원교육원/7급 이하 19명 |
정상 |
3 |
○ 봄학기 학점은행제 대기과학 전공과정 운영 ○ 교수역량향상과정 운영 ○ 지진대응실무과정 운영 ○ 기상정보통신과정 운영 |
○ 봄학기 학점은행제 대기과학 전공과정 운영 - 기간/과목수 : 3월〜6월(4개월, 야간과정)/열대기상학 등 3과목 ○ 교수역량향상과정 운영 : 기간/장소/수료인원 : 3.3〜3.5/다울관/내부강사 17명 ○ 지진대응실무과정 운영 : 기간/장소/수료인원 : 3.8〜3.10/다울관/7급 이하 18명 ○ 기상정보통신과정 운영 : 기간/장소/수료인원 : 3.22〜3.26/드림관/7급 이하 16명 |
정상 |
4 |
○ 신규자 조직적응능력향상 과정 운영 ○ 항공기상 전문과정 운영 ○ 기후변화예측과정(사이버) 운영 |
○ 신규자 조직적응능력향상 과정 운영 - 기간/장소/교육인원 : 4.12〜7.9/‘10년도 기상청 9급 공채시험 합격자 30명 ※ 4.12〜6.4 집합교육, 6.7〜7.2 현장실습, 7.3〜7.9 과정마무리 ○ 항공기상 전문과정 운영 : 기간/장소/수료인원 : 4.5〜4.9/시청각실/항공기상청 직원 12명 ○ 기후변화예측과정(사이버) 운영 : 기간/수료인원 : 4.5〜4.22/87명 ○ 예보관 실무과정 운영 : 기간/장소/수료인원 : 3.2〜6.30/채운관/6〜8급 동네예보관 17명 |
정상 |
5 |
○ 레이더관측기술과정 운영 ○ 조직활성화과정 운영 ○ 창조리더십과정 운영 ○ 기상자료처리법 및 실습과정(사이버) 운영 |
○ 레이더관측기술과정 운영 ; 기간/수료인원 : 5.5〜5.18/기상레이더센터, 레이더관서 담당자 등 75명 ※ 기상레이더센터 신설에 따른 주 교육대상자들의 집합교육 참여 여건이 원활하지 않아 사이버교육으로 변경 운영 ○ 조직활성화과정 운영 : 기간/장소/수료인원 : 5.19〜5.20/천안 국학원/6급 이하 27명 ○ 창조리더십과정 운영 : 기간/장소/수료인원 : 5.27〜5.28/천안 국학원/4〜5급 중간관리자 21명 ○ 기상자료처리법 및 실습과정(사이버) 운영 : 기간/수료인원 : 5.5〜5.18/92명 ○ 방재기상과정 운영 : 기간/장소/수료인원 : 6.14〜6.16/드림관/방재담당 공무원 12명 |
|
6 |
○ ICT 기상업무향상 과정 |
○ ICT 기상업무향상과정 운영 - 기간/장소/수료인원 : 5.1〜5.30/사이버강의실/남아시아 8개국 15명 ※ 국제협력담당관실 주관 타 연수과정과 기간 중복을 피하기 위해 조기 운영 |
정상 |
○ 지연사유
— 결재과정에서 교육대상자를 일반인까지 확대하라는 청장지시로 학점은행제 주관부처인 교육인적자원부와 협의절차로 인하여 일정이 다소 지연됨
○ 조치계획(또는 지연 완료사항 작성)
— 교육인적자원부와 긴밀한 협의를 통하 교육대상자를 일반인까지 확대하도록 합의하여 교육생을 모집함
- 35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교육만족도 |
90.0 |
93.1 |
○ 상반기 과정별(집합교육) 교육만족도 평균 93.1로 목표치 90.0 대비 3.1점 초과 달성 - 기상관측 실무과정 78.6, 기상행정 실무과정 94.7, 교수역량 향상과정 : 94.1, 항공기상 전문과정 100, 조직활성화과정 100, 창조리더십과정 94.4, 지진대응 실무과정 94.4, 정보통신 실무과정 87.5, ICT 기상업무향상과정 94.1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기상레이더센터 신설과 레이더관서 정원조정 등 기상청 조직개편(4.13)으로 인해 주 교육대상인 레이더업무 종사자들의 집합교육 참여가 어려워짐 |
○ 레이더관측기술과정을 집합교육에서 사이버교육으로 변경 운영 - 교육기간/수료인원 : 5.5〜5.18/기상레이더센터, 레이더관서 담당자 등 75명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외교통상부 산하기관인 한국국제협력단(KOICA)와 MOU 체결(‘09.10.21) |
○ ‘10년도 기상청- KOICA 정례 협의회 개최 - 일시/장소/내용 : 2.8 / KOICA 연수센터 / ‘09년도 연수 평가결과 및 개선점, ’10년 연수사업 계획 등 ○ ICT를 이용한 기상업무향상과정 위탁 운영 - KOICA의 남아시아지역협력연합(SAARC) 국가 지원 특별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남아시아 8개국 15명을 대상으로 ICT 연수과정(5.1〜5.30) 운영 - KOICA에서 과정 설문 등 객관적 평가 실시 및 환류 |
- 36 -
|
주요정책 : 국제무대 역할신장과 기상분야 국가브랜드 강화 |
□ 목 적
○ WMO 등 국제기구가 추진하는 국제기상협력 사업의 주도적 참여를 통해 역할을 신장
○ 각종 국제기구 임원 진출을 통한 선도적 지위를 강화
○ 국제회의 국내 유치‧지원을 통해 기상청 브랜드 제고
○ 협력대상 범위 확대 추진을 통해 국가별로 성과실익 있는 분야에 집중하는 차별화 전략으로 양국협력 효율성 제고
○ 개도국을 대상으로 한 기술지원 등의 역량 배양 지원활동을 통하여 개도국의 지구 기후변화 공동 대처 동참 유도
□ 주요내용 및 성과
○ 세계기상기구(WMO) 활동‧역할 신장
— 제43차 태풍위원회 국내 유치(2011. 1. 17~21/제주)
— RA Ⅱ 지역 기상청장 기술회의 유치(11.29~12.3/부산)
— 제62차 WMO 집행이사회 참가(6.8~18/스위스 제네바)를 통한 집행이사 활동 및 사이드미팅을 통한 양국협력 활동 강화
— 제15차 WMO 기후위원회(2.19~24, 터키), 제14차 항공기상위원회(2.3~10/홍콩) 참가
○ 양국간 협력 업무
— 한- 중 지방기상청간 협력회의 개최(부산청- 절강성, 광주청- 요녕성, 대전청- 천진시, 강원청- 길림성, 제주청- 강소성)
— 제6차 한- 러 기상협력 회의 개최(5.24~28/서울)
○ 개도국 기상업무 현대화를 위한 국제협력 지원
— 아프리카 기상관련 장관회의에서 동아프리카 10개국과 기후변화 적응기술에 관한 양해각서 체결(4.14/케냐 나이로비)
○ KOICA를 통한 개도국 기술개발 지원
— 아프리카지역 기상재해 대응능력 배양과정(5.16~6.5/서울) 및 ICT 이용 기상업무 향상과정(5.1~30/서울) 운영
- 37 -
○ 양국 협력을 통한 개도국 기상업무 지원
— 베트남 기상업무 현대화 지원 사업 계획 수립 및 이행 협의
▪ 기상재해경감시스템 구축 지원, 기상전문인력 양성 지원 등 5개 과제(3년간)
▪ 한- 베트남 기상연구소 간 MOU 체결(3.11/하노이), 광주지방기상청- 베트남남부수문기상센터 간 MOU 체결 (3.2/호치민), 양국 기상전문가 교환 등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계 획 |
추 진 실 적 |
비고 |
1월 |
○ 제42차 태풍위원회 참가(제43차 태풍위원회 국내 유치) ○ 국가간 기상협력회의 개최 일정 협의 ○ 베트남기상청 현대화사업 지원 계획 수립 및 이행 협의 |
○ 제42차 태풍위원회 참가(제43차 태풍위원회 국내 유치) - 기간/장소/참가자 : 1.25- 29/싱가포르/예보국장 등 9명 ○ 국가간 기상협력회의 개최 일정 협의 - 제6차 한·러, 제4차 한·몽, 제6차 한·호 기상협력회의 개최 시기 협의(1.11) - 협의 결과 : 한·러(5.24- 28/서울), 한·몽(8.16- 18/서울), 한·호(10.25- 27/서울) ○ 베트남기상청 현대화 지원사업 계획 수립 및 이행 협의 - 베트남 기상업무 현대화 지원사업 기본계획 수립(2009.12.30) - 베트남 기상업무 현대화 지원 계획 보고 및 관련 부서 의견 수렴(1.15/국제회의실) - 베트남 기상업무 현대화 지원 사업 이행 계획 수립(3.29) |
정상 정상 정상 |
2월 |
○ WMO 항공기상위원회 참가 ○ WMO 기후위원회 참가 |
○ WMO 항공기상위원회 참가 - 기간/장소/참가자 : 2.2.- 10/중국 홍콩/항공기상청장 등 3인 ○ WMO 기후위원회 참가 - 기간/장소/참가자 : 2.19- 24/터키 안탈리아/차장 등 5명 |
정상 정상 |
4월 |
○ KOICA 연수사업 실시(아프리카지역 기상재해 대응능력배양 과정) |
○ 동아프리카 지역 10국 기후예측응용센터(ICPAC)과의 기후변동‧변화 적응 기술에 관한 양해각서 체결 - 일시/장소/참가자 : 4.14/케냐 나이로비/기상청장 등 4명 ○ KOICA 연수사업 실시(아프리카지역 기상재해 대응능력배양 과정) - 기간/장소/참가자 : 5.16- 6.5/서울/아프리카 10국 10명 |
정상 지연 |
5월 |
○ KOICA 연수사업 실시(ICT 이용 기상업무 향상과정) ○ ASEAN 기상 및 지구물리 위원회 참가 |
○ KOICA 연수사업 실시(ICT 이용 기상업무 향상과정) - 기간/장소/참가자 : 5.1- 30/서울/남아시아 8개국 15명 ○ ASEAN 기상 및 지구물리 위원회 참가 - 기간/장소/참가자 : 5.9- 14/베트남 다낭/기상사무관 김성헌 |
정상 정상 |
6월 |
○ 제62차 WMO 집행이사회 참가 ○ 베트남기상청 기술 지원(초청 3건, 방문 2건) |
○ 제62차 WMO 집행이사회 참가 - 기간/장소/참가자 : 6.8- 18/스위스 제네바/청장 등 5인 ○ 베트남기상청 기술 지원(초청 3건, 방문 2건) - 초청(기간/인원) : 예보시스템(4.26- 30/Mr. Tuan 등 2명), 기후자료관리(4.26- 30/Mr. Thang 등 2명), 응용기상서비스(4.26- 30/Ms. Thao 2명) - 방문 : 베트남 기상재해경감시스템 구축 실무전문가 회의 개최(2.8- 12./김영화 등 5명), 광주지방기상청- 베트남남부수문기상센터 간 기상협력 MOU 체결 및 제1차 협력회의 개최(3.1- 5/광주지방기상청장 등 6명), 한- 베트남 기상연구소간 MOU 체결(국립기상연구소장 등 7명/3.8- 12.) |
정상 정상 |
- 38 -
○ 지연사유
— 한- 아프리카 기상협력 회의(4.13~16/케냐 나이로비)에서 양 기관 합의를 통해 KOICA 초청연수사업(아프리카지역 기상재해 대응능력배양 과정)을 5월로 연기
- 39 -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국제기구 활동 지수(%) |
63 |
65 |
○ 국제회의 참가 : 제42차 태풍위원회(1.25- 29/싱가포르), WMO 항공기상위원회(2.2- 10/홍콩), WMO 기후위원회(2.19- 24/안탈리아), 제62차 WMO 집행이사회(6.8- 18/제네바) ⇒ 4건/4건 ○ 전문가회의 참석 : 7/8 ○ 발언건수 : 30/104 × 산출식 : [(A×0.5+B×1.0+C×1.5)/3]×100 - A : 회의참석 건수/국제회의 수 - B : 전문가회의 참석 건수/회의건수 - C : ∑과학기술관련의제 발언건수/∑국제회의 과학기술관련의제 수 |
양국간 합의사항 이행율(%) |
69 |
70 |
○ 중국 : 7/11, 미국 : 1/1, 독일 : 1/1, 몽골 : 0/0, 베트남 : 5/7 ※ 산출식 : 양국간 합의사항 이행율 = [연간 합의사항 이행건수/연간합의사항 이행 계획 건수]×100% |
개도국 지원 활동 지수 |
112 |
85점 |
○ KOICA 연수사업 실시 - 아프리카지역 기상재해 대응능력배양 과정(3주/10명) ⇒ 1건×15점 = 15점 - ICT 이용 기상업무 향상과정(4주/15명) ⇒ 1건×15점 = 15점 ○ 기상청 자체 개도국 지원 사업 - 초청 : 예보시스템(4.26- 30/Mr. Tuan 등 2명), 기후자료관리(4.26- 30/Mr. Thang 등 2명), 응용기상서비스(4.26- 30/Ms. Thao 2명), 한- 중 지방기상청 간 기술 교류(광주- 요녕성, 부산- 절강성, 제주- 강소성) ⇒ 6건×5점 = 30점 - 방문 : 베트남 기상재해경감시스템 구축 실무전문가 회의 개최(2.8- 12/김영화 등 5명), 광주지방기상청- 베트남남부수문기상센터 간 기상협력 MOU 체결 및 제1차 협력회의 개최(3.1- 5/광주지방기상청장 등 6명), 한- 베트남 기상연구소간 MOU 체결(국립기상연구소장 등 7명/3.8- 12), 한- 중 지방기상청 간 기술 교류(대전- 천진시, 강원- 길림성) ⇒ 5건×5점 = 25점 ※ 산출식 : ∑(7A+B+C) - A : KOICA 국내 초청연수사업 실적(건수×가중치) (가중치 : 1주 이상 5점, 2주 이상 10점, 3주 이상 15점) - B : KOICA 프로젝트형 사업 실적(건수×30점) - C 기상청 자체 개도국 지원 사업(건수×5점) (내용 : 파견, 초청) |
— 아프리카지역 기상재해 대응능력배양 과정 실시 완료 : 5.16~6.5/서울/아프리카 10개국 10명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세계기상기구(WMO)에서 아프리카 기상관련 장관회의(4.12~16)에 기상청 참가 요청 (ICPAC/1707, 2010.3.17) ○ 동아프리카 기후예측응용센터(ICPAC)에서 한국기상청의 지원 협력 요청 |
○ 아프리카 기상관련 장관회의 참가(4.12- 16/케냐 나이로비/기상청장 등 4명) - 녹색성장 정책과 아프리카 협력사항에 관한 발표 - 기상청의 선도 기상기술력 홍보(현지 신문 보도) ○ 동아프리카 지역 10국 기후예측응용센터(ICPAC)과의 기후변동‧변화 적응 기술에 관한 양해각서 체결(4.14/케냐 나이로비) - KOICA 연수사업 아프리카지역 기상재해 대응능력배양 과정 개최 시기 연기(4월→5월) ‧ 아프리카 참가국의 의견을 연수과정에 반영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지식경제부의 ‘퇴직전문가 해외파견사업’ 참여 |
○ 지식경제부의 ‘퇴직전문가 해외파견 사업’ 참여를 통한 개도국 지원 사업 추진 - 베트남, 필리핀, 몽골, 케냐 기상청에 퇴직 기상인 파견 추진(하반기 파견 예정) |
- 40 -
예 보 국
2010년도 상반기 성과점검회의
• 예보정책과 45
• 예보기술팀55
• 국가태풍센터58
|
Ⅰ- 1- 주요정책③ : 위험기상 대비 정책능력 강화 |
□ 목 적
○ 신속한 위험기상 정보제공과 수요자 중심의 기상 서비스 제공으로 기상예보에 대한 만족도 제고
○ 위험기상 사전대비 능력강화를 위한 방재기상대책 수립‧시행과 유관기관 협력 강화
○ 예보업무 프로세스 개선과 예보 가이던스 제공을 통한 예보관 예보업무 전담시간 확보 및 예보정확도 향상
□ 주요내용 및 성과
○ 수요자 중심의 기상정보 서비스 강화로 국민의 안전 확보
— 명절, 새해맞이 등 인구 이동이 급증하는 기간에 특별 기상지원을 강화하여 위험기상으로 인한 사고위험에 사전대비
— 방재유관기관, 국립공원관리공단 방재담당자 등 낙뢰정보 수신기관 확대(1,189 ⇒ 2,081, 75% 확대)로 낙뢰피해예방에 기여
○ 3차례의 전국예보관계관회의를 통해 2010년 여름 달라지는 방재기상 대책을 공유하고 차질 없이 추진하기 위한 이해 확산
○ ‘선제적 방재기상업무 수행을 통한 위험기상 예보정확도 100% 도전’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여름철 방재기상업무 추진
— 위험기상 감시, 예보정확도 향상, 대국민 소통 강화를 위한 방안 마련과 2010년 여름 달라지는 주요 방재기상대책 수립
○ 대설특보구역 세분화 대상지역에 대한 만족도 조사결과(대체로 찬성 이상 94%)에 따라 호우, 강풍 등 9개 특보에 대해 확대 적용
○ 2012년 안개특보 정상운영을 위해 관측망, 연구개발 등 전반적 사항에 대한 종합 대책의 단계적 추진 및 안개특보 시험운영을 통한 지역별 안개 특성에 대한 노하우 축적
- 45 -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계 획 |
추 진 실 적 |
비고 |
2월 |
○ 국민과의 소통강화 계획 수립 |
○ 국민과의 소통강화 계획 수립(2.26.) - 설‧추석 연휴, 대학수학능력시험, 새해맞이 해돋이/해넘이 등 국민의 관심이 큰 기간에 대한 차별화된 기상정보 제공 |
정상 |
4월 |
○ 예보관계관 회의 개최 |
○ 제1차 전국예보관계관회의 개최(3.2.) - 본청 및 소속기관 예보관계 부서장 등 35명 참석 - 산악기상예보, 초단기예보 시행, 안개특보 추진현황 등 발표 및 토의 ○ 제2차 전국예보관계관회의 개최(5.6.~7.) - 본청 및 소속기관 예보관 등 55명 참석 - 각 국‧실 및 소속기관 방재기상 대책, 여름철 방재기상업무지침 개정(안) 등 발표 및 토의 ○ 예보관 워크숍 개최(5.27.~5.28.) - 본청 및 소속기관 예보관 등 55명 참석 - 위험기상별 개념모델 초단기예보 적용 및 “4대강 살리기” 특별 기상지원 적용방안 토의 등 |
정상 |
5월 |
○ 여름철 방재기상대책 수립‧시행 |
○ 여름철 방재기상대책 보고회 및 선포식(5.17.) - 초단기예보 시행 등 올 여름 달라지는 주요대책 보고 및 기상재해 다짐대회 개최 ※ 다짐구호 : “선제적 방재기상업무 수행으로 위험기상 예보정확도 100%에 도전“ |
정상 |
6월 |
○ 대설특보 시범운영 결과분석 ○ 산지와 평지의 호우특성을 반영한 호우특보 세분화 시험운영 ○ 안개특보 시험운영 확대계획 수립 |
○ 대설특보구역 세분화 시범운영 결과보고(5.17.) - 시범운영(‘09.12.22~’10.4) 및 만족도 조사 결과 분석 ○ 호우, 강풍 등 9개 특보에 대해 산지와 평지의 특성을 반영하여 시범운영 실시(5. 25) - 강원도, 경북북동산간 14개 시‧군 ○ 안개특보 시행 종합대책 수립 및 안개특보 시험운영 확대계획 수립‧통보(4.5) - 안개특보 기준 설정, 관측망 확보, R&D, 유관기관 협력 등 |
정상 |
- 46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유관기관 정보제공 서비스 만족도(%) |
80.0 |
- |
○ 상반기, 하반기 2회 실시, 7월 상반기 만족도 결과 발표 |
기상특보 만족도(%) |
69.0 |
- |
○ 상반기, 하반기 2회 실시, 7월 상반기 만족도 결과 발표 |
○ 목표 미달성 사유 : 평가주기가 반기로 7월 이후 실적 산출 가능
○ 조치계획 : 해당사항 없음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대설특보구역 세분화 시범운영 결과를 반영한 특보 시험운영 확대 필요성 대두 ○ 3월까지 단기 및 주간예보의 정확도가 ‘09년 대비 하락 ○ 주말 및 주초 예보에 대한 정확도 향상 필요 ○ 일기예보안내전화(131) 행정동 변경 요청(민원 해결) ○ 초단기예보 시범운영에 따른 유관기관과 국민의 이해 필요 |
○ 시험운영 결과 대체로 찬성이 94%로 나타나 시험운영 확대 실시 - 호우, 강풍 등 9개 특보로 확대하여 산지와 평지 특성을 반영한 특보 시범운영 실시(5. 25) ○ 예보관계관 회의 및 주례예보점검회의를 통해 검증결과 분석 자료 제공하여 예보정확도 목표치를 달성할 수 있는 방안 제시 및 토의 ○ 예보브리핑 공휴일 확대 실시(6.19.~) - 기상현상 변화가 심해짐에 따라, 예보 결정을 위한 다양한 의견 수렴 ○ 행정동 변경사항을 파악하여 일기예보안내전화 적용 - 322개 행정동 반영(예: 영월군 서면 ⇒ 영월군 한반도 면) ○ 기상사업자 설명회 개최(5.12, 11개 기관), 131 콜센터 설명회 개최(6.1) ○ 언론 및 BH 등 외부기관 정책설명회에 초단기예보 홍보 실시 |
- 47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한국도로공사 - 기상정보와 교통정보 동시제공을 위한 협조체계 구축 - 안개특보 시행을 위한 유관기관 실무위원회 위원 ○ 국토해양부 - 4대강 살리기 사업 추진본부와 기상정보 지원 체계 구축 - 안개특보 시행을 위한 유관기관 실무위원회 위원 ○ 방재관련 유관기관 방재기상업무협의회 운영 ○ 안개특보 시행을 위한 유관기관 실무협의회 구성(15개, 기관 22명) ○ 공군 제73기상전대와 업무협의회 |
○ 설 연휴 특별 기상지원 실시(2.9~16) - 기상청 홈페이지 특별 기상지원에서 기상정보와 함께 교통정보 제공 ○ “고속도로 안개관리 종합 대책” 용역사업 자문 - 해외사례, 특보 발표기준 변경, 특보종류, 안개정보 생산 현황 등 설명 ○ 기상 예‧특보‧정보 지원을 위한 홈페이지 구축 및 비상연락망 구성‧운영 ○ 도로교통 안전관련 시설물 구축 현황 파악 - 전국지차체 ITS 구축현황, 안개관측장비, CCTV 운영현황 및 추가설치 계획 파악 ○ “2010년 여름철 방재기상업무협의회” 개최(5.11) - 4대강 살리기 추진본부, 국토해양부, 환경부 등 8개 기관 방재담당자 참석 - 기상재해 최소화를 위한 유관기관과의 업무공유 ○ 실무위원회 개최(6.29. 예정) - 안개특보 시행 종합대책 검토 및 유관기관 시정 관측망 공유, 법제도 개선 협의 ○ 기상청·공군 제73 기상전대 업무협의회 개최(6.17) - 기상전대 6명 참석/ 안개 실황감시 및 예측, FAS 활용현황 등 업무 공유 및 논의 |
- 48 -
Ⅱ- 1- 주요정책① : 맞춤형 기상정보 전달체계 구축 |
□ 목 적
○ 24시간 실시간 기상정보 제공과 쌍방향 전달체계 구축을 통한 기상재해 최소화
○ IT 기술을 활용한 영상, 음성, 문자 등 유비쿼터스 기반의 전달체계 구축을 통한 기상정보 사각지대 해소
○ 예보정확도와 국민의 만족도간 차이 개선을 국민과 언론과의 소통강화
□ 주요내용 및 성과
○ 4대강 살리기 사업, 전국동시 지방선거 등 2010년 국가적 주요 업무에 대한 기상지원
— 사업의 원만한 진행과 위험기상의 사전 대비를 위한 유관기관과의 협조체계 강화
○ 날씨의 영향을 많이 받는 출퇴근 시간대에 대한 날씨변화 시나리오 정보제공(04시, 16시)
- 언론과 유관기관에 날씨변화 시나리오를 사전 제공함으로써 출퇴근 시간 조정, 교통안전 등의 사전대응으로 사회적 비용 감소
○ 등산에 필요한 산악기상정보를 제공(3.29.~)하여 레저 활동 편익증진 및 안전사고 방지
— 국립공원, 도립공원, 군립공원 등 주요 산 77개 지점(기존 44개 지점)
○ 인터넷기상방송(날씨ON)의 콘텐츠 보강을 통한 기상정보 서비스 강화
— “여름철 방재대책기간 인터넷기상방송 특화서비스 제공”(6.15~, 정보화 과제)에 활용
○ 매주 2회(화, 목)의 주말예보 전담반 운영으로, 홈페이지 등을 통해 상세 주말기상정보 제공하여 날씨정보 활용방향 제시
○ 기상상황 변화에 대한 사전 시나리오와 사후 분석정보를 언론사에 제공하여 기상지식 이해 확산과 소통 강화
○ 기상콜센터의 생산성과 품질의 향상을 위한 관리방안 수립 및 시행(기상산업정책과)
— 기상콜센터 위탁운영업무 서비스 수준 합의 및 운영수준 진단 실시
- 49 -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계 획 |
추 진 실 적 |
비고 |
1월 |
○ 4대강 사업 공구별 특화된 기상서비스 제공 |
○ 4대강 살리기 국책사업 기상정보 지원계획 수립(1.19) 및 정보제공(1.29) - 주요 공사현장별 동네예보, 주간예보, 기상정보, 산업기상정보 지수와 위험기상정보 등 제공 - 4대강 살리기 통합사업관리시스템(FIMS)을 통한 실시간 지원 |
정상 |
2월 |
○ 맞춤형 특별기상 지원계획 수립 ○ 출퇴근시간을 중심으로 기상정보 제공 정례화 |
○ 맞춤형 특별기상 지원 계획 수립(2.26) - 4대강 살리기 사업, 삼일절, 4.19행사 등 국가 주요 행사 기상지원 ○ 출퇴근기상정보 제공 계획 통보(2.26) - 출퇴근시간(06~09시, 18~21시)의 기온, 강수 등 기상요소 변화와 도로여건 등을 반영한 기상정보 제공(일 2회 04시, 16시) |
정상 |
3월 |
○ 날씨ON 콘텐츠 다양화를 위한 계획 수립 |
○ 날씨ON 콘텐츠 다양화 계획 수립(3.26) - 출퇴근 기상정보, 어린이 기상교실 등 콘텐츠 추가 제공 - 여름철 방재대책기간 “인터넷기사방송” 특화서비스화 병행 추진 |
정상 |
5월 |
○ 통보시스템 통합화 및 자동화 |
○ 통보시스템 통합화 및 자동화 결과보고(5.28) - 종합기상정보시스템(COMIS- 3)과 연계한 통보시스템 자동화 체계 구축 |
정상 |
6월 |
○ 기상콜센터 운영수준 진단 실시(상반기)(기상산업정책과) |
○ 상반기 이용자 고객만족도 실시(5.21~6.1) - 대상 : 고객 1,088명 / 응답 416명 / 응답율 38.2% - 만족도 결과 : 86.5% ○ 상반기 운영수준 진단 실시(6.30 예정) - 평가기준 : 생산성, 상담품질, 관리능력 |
정상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기상콜센터 이용자 만족도 |
86.8 |
- |
○ 상반기, 하반기 2회 실시 |
인터넷기상방송 만족도 |
71.2 |
- |
○ 상반기, 하반기 2회 실시, 6월 말 ~ 7월 초 상반기 만족도 조사 실시 |
○ 목표 미달성 사유 : 평가주기가 반기로 7월 이후 실적 산출 가능
○ 조치계획 : 해당사항 없음
- 50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산악 인구 증가에 따라 산악기상정보 수요 충족 필요 - 월 1회 이상의 등산인구 1,500만명(산림청 조사결과) ○ 국민과의 소통강화를 위해 기상대 통보업무 수행 필요성 제기 ○ 방재정책 결정권자에 대한 기상정보 제공 필요성 제기 ○ 초단기예보의 대국민 전달방법 강구 필요 ○ 천안함 피격사건에 따른 기상정보 지원 필요 ○ 일별/월별 콜센터 상담내역 및 고객의 소리 분석 ○ 기상콜센터 상담사 사기진작 방안 마련 지시(1.29) |
○ 상세한 산악기상정보 제공 및 산악예보 지점 확대 - 동네예보 요소 제공, 지점 확대(44개 지점 ⇒ 77개 지점) ○ 기상대에서 통보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통보시스템 개선 - 통보기관 확대 : 기존 11개관서 ⇒ 49개관서 확대 - 통보시스템 개선을 통한 원클릭 통보체계 구축 ○ 일 2회 오늘과 내일의 날씨 문사서비스 실시(4.27.) ○ 기상청 홈페이지를 통한 정보 전달체계 구축 - 홈페이지에 초단기 예보 및 그래픽 정보 제공 ○ 천안함 피격사건 관련 백령도 주변 해상 기상지원(2건/매일) ○ 분석 결과의 관련부서 통보 및 조치(전국 기상관서) ○ 기상콜센터 상담사 사기진작 방안 수립 및 시행(2월~4월) - 계획 수립(2.16)/상담사 현장 투어 4회 실시(2~3월)/근무환경 개선(3~4월) - 특별 기상교육 실시(3회, 4.19~21)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4대강 살리기 추진단과의 협조체계 구축 ○ 정부기관과의 협조체계 구축 - BH 의전실/비서실, 행전안전부의 의전실 등 ○ 국민권익위원회 중앙행정기관 콜센터 통합 정보전략 계획수립 협조 |
○ 4대강 살리기 공사현장 기상정보 제공 - 직접 방문 업무협의(1.21)/4대강 유역별 ‘기상지원 전담제’ 운영(4.23) - 4대강 살리기 통합사업관리시스템에 초단기예보 표출(6.18) ○ 기상정보 지원으로 3.1절 기념식장 사전 변경(유관순기념관→독립기념관) ○ 국가적 행사에 기상정보 지원으로 기상청 위상 강화 - 나로호 위성발사, 현충일 등 국가적 행사 일에 기상정보 지원 ○ 정부콜센터 통합운영 연구용역 추진 협조 - 사업 설명회 참가(3.16.)/기상콜센터 방문 및 인터뷰(4.1.)/중간 설명회 참가(6.4.) |
- 51 -
Ⅱ- 1- 정보화① : 예보 및 통보체계 개선 |
□ 목 적
○ 정확한 기상정보 제공을 위한 예보시스템 개선
— 시간적, 공간적으로 상세하고 정량적인 기상예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동네예보 통계모델 개발 및 예보시스템 구축
○ 기상과학에 대한 이해증진과 국민과의 소통강화로 기상예보에 대한 만족도 향상
- 실시간 기상정보 전달을 위한 인터넷기상방송(날씨ON) 운영
□ 주요내용 및 성과
○ 동네예보 서비스 개선을 위한 예보지원시스템 구축
— 0~3시간 예보를 위한 초단기예보 편집기 개발 및 현업화(6.15)로 단시간에 발생하는 기상현상에 대한 지원 강화
— 전국 통보 네트워크와 지방청 동시동보시스템 구축을 통한 통보전달의 신속성 확보
○ 인터넷기상방송(날씨ON) 시스템 운영과 홈페이지 기능 강화(예보기술팀)
— 다양한 생활기상정보와 주말날씨 전망, 위험기상 발생시의 행동요령 등을 포함하는 여름철 방재대책기간 인터넷기상방송 특화서비스 제공(6.15~)으로 날씨정보의 실용성 강화
— 장비보강을 통한 화질개선으로 이용자의 서비스 만족도 향상에 기여
○ 선진예보시스템 구축(2010~2014)을 위한 최종 로드맵 마련 및 1차년도 사업 착수(예보기술팀)
— 1차년도 사업 : 선진예보 요소기술 알고리즘 및 예보관 훈련시스템 프로토타입 개발, 초단기예보 표출 및 전달서비스 개발, 수요자 중심 쌍방향 전달서비스 구축, 그래픽기상정보 표출시스템 개발, 예‧특보 평가‧검증시스템 구축 등
- 52 -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실 적 |
비고 |
1월 |
○ 선진예보시스템 구축사업 추진 업무협의(1.8) - 사업수행에 필요한 하드웨어 수급 관련 토의 ○ 선진예보시스템 구축 추진기획단 구성 운영 계획 수립(1.18) - 단장, 단원(7인), 실무반(12인)으로 구성 |
정상 |
2월 |
○ 선진예보시스템 적합성 검토 전문가 회의(2.10) ○ 선진예보시스템 구축사업 조달계약 의뢰(2.17) |
정상 |
3월 |
○ 동네예보 발전방안 마련을 위한 업무협의(3.4) - 동네예보 발전방안 마련, 관련부서 중점추진과제 점검 ○ 여름철 방재대책기간 날씨ON 특화서비스 제공(6.15~) - 전문 아나운서와 PD 충원(4명 ⇒ 8명) - 생활기상, 주말 날씨, 출퇴근 날씨정보, 어린이 기상교실 등 콘텐츠 확대 |
정상 |
4월 |
○ 선진예보시스템 구축 사업 제안서 평가(4.1) ○ 선진예보시스템 구축 1차년도 시범사업 계약체결(4.8) - 계약상대자 / 기간 : (주)LG CNS / 2010.4.9~11.30) ○ 초단기 예보를 위한 동네예보편집기 개발 계획 수립(4.23) |
정상 |
5월 |
○ 선진예보시스템 구축사업 워크숍 개최(5.6) - 사업 상세설계에 대한 심층 토의 ○ 선진예보시스템 구축사업 추진 보고회 개최(5.26) - 세부사업 설명 및 추진전략 보고 |
정상 |
6월 |
○ 선진예보시스템 구축 추진기획단 회의 개최(6.1) - 4대 우선과제 추진사항 검토 ○ 선진예보시스템 구축 1차년도 시범사업 감리용역 착수보고회 개최(6.1) ○ 여름철 방재대책기간 인터넷기상방송 특화서비스 착수보고회 개최(6.11) ○ 인터넷기상방송(날씨ON) 신규 기상캐스터 교육 계획 및 실시(6.14~25) ○ 초단기 동네예보시스템 지원기술 개발 및 실시간 운영(6.15) - 단기 및 초단기 동네예보용 편집기 개발 / 초단기예보용 수치모델(KLAPS)와 연동 및 초단기 예보 생산체계 구축 ○ 인터넷기상방송(날씨ON) 고화질 영상변환 장비 도입(6.21) |
정상 |
- 53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동네예보 모델기온 예보오차(C) |
2.38 |
2.54 (‘10.1~5) |
○ 통합모델 기반 기온 동네예보모델 개발 및 현업운영(2010.5.14) - 전국 237개 지점에 대한 3시간/최고/최고기온 예측자료 생산 및 예보관 제공 |
인터넷기상방송방문자수 |
1,410천명 |
782천명 (6.20현재) |
○ 6.20일 현재 목표치의 절반이상을 상회하는 실적 |
○ 목표 미달성 사유
— 겨울/봄철은 기온변동이 심하여 예측이 어려운 계절이며, 실적치는 동기간 작년 대비 동일 수준
○ 조치계획
— 2010년 5월부터 통합모델을 이용한 동네예보모델 적용하여, 예보정확도 향상될 것으로 예상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인터넷기상방송 날씨ON 방문자수의 지속적 증가에 따라 전달매체로서의 중요성 인식 ○ 기상대 통보업무 실시에 따른 통보시스템 개선 필요성 |
○ 인터넷기상방송 날씨ON의 기능 강화를 위한 방안 모색 - 날씨ON 모니터링 강화 - 외부방송 제작전문가(KBS 김철수 PD)의 초청강의(5.11) ○ 모든 기상대에서 통보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시스템 개선 - 통보기관 확대(기존 11개 ⇒ 49개) 및 자동화(원클릭에 의한 통보)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기상선진화담당관의 기상선진화를 위한 10대 우선과제 중 예보분야로 ‘선진예보시스템 구축’사업 추진 |
○ 선진예보시스템 구축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의(수시) - 관련부서 국‧실장, 실무자 등으로 구성된 선진예보시스템 구축 추진기획단 운영(1.18) - 선진예보시스템 적합성 검토 전문가 회의(2.10) - 선진예보시스템 구축사업 워크숍 개최(5.6) 및 추진기획단 회의 개최(6.1) |
- 54 -
|
Ⅱ- 1- 주요정책④ : 예보 역량향상 기반 조성 |
□ 목 적
○ 예보의 최종판단은 예보관의 역량향상이 매우 중요함에 따라, 예보에 대한 실시간 검증과 환류를 통한 정확도 향상을 도모하고, 예보관이 예보업무에 전념할 수 있도록 예보업무 프로세스 개선
□ 주요내용 및 성과
○ 예‧특보에 대한 환류정보 제공으로 예‧특보 운영의 효율성 제고(예보정책과)
— 기상특보 실시간 자동 검증시스템 구축을 통한 환류정보 제공으로 예보관의 특보 운영 능력 향상 도모
— 예보관이 개인별로 본인의 예보 검증‧분석할 수 있는 검증시스템 구축을 통하여 예보관에게 유용한 환류정보 제공
○ 지‧경‧노와 주례예보점검회의를 정기적으로 개최하여 전 기상관서 직원들이 체득한 예보기술과 각종 정보의 상호 공유 기회로 활용
○ 위험기상 분석결과 지원으로 예보 서비스 능률 향상
— 열대야, 폭염, 안개 통계분석 결과를 예보관에게 제공(5.28)하여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
— 131 콜센터 상담자 대상으로 위험기상 관련 세미나를 실시(6.1)하여 여름철 상담에 필요한 근거자료 제공
○ 선진기상에 대한 예보의 접목 및 외부전문가 세미나를 통해 예보역량 향상 기반 마련
— 선진화추진단장(Forecasting Techniques for Lake Effect Snowfall 외 4건) 및 한국기상전문인협회 2인(춘천지방 안개예측 방안) 세미나
○ 장마 모니터링을 통해 현황과 전망을 제공하여 예보관이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지원
○ 위험기상 예상 시 유사사례를 제공함으로써 과거사례에 대해 상호 공유하여 예보정확도 향상을 도모
○ 우리나라 호우개념모델에 대한 정리 및 예보관 의견 검토를 통해 예보관 능력 향상을 도모
- 55 -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계 획 |
추 진 실 적 |
비고 |
2월 |
○ 특보평가 실시간 환류체계 구축 ○ 지‧경‧노 및 주례예보점검회의 개최계획 수립 |
○ 특보검증(평가) 실시간 환류체계 구축(2.26) - 11종 특보 발표값, 관측값, 정확도 검증값 등 표출 ○ 2010년 주례예보점검회의 운영 계획 수립(1.7) - 매월 둘째, 넷째 주 화요일 개최 ○ 2010년 지‧경‧노 추진계획 수립(1.12) - 2월~11월(8월 제외) 첫째, 셋째 주 화요일 개최 - 현재(6.22)까지 11회 개최, 총 25과제 발표 ○ 선진예보 소개 및 적용 위한 선진화추진단장(4회) 세미나 발표 ○ 위험기상 예상 시 유사사례 제공(총 6건) |
정상 |
3월 |
○ 예·특보 검증방법 개선안 마련 |
○ 예‧특보 검증방법 개선(안) 마련(3.29) - 특보 검증 제외지점의 검증 검토, 검증지수 도입, 초단기예보 검증 등 ○ 한국기상전문인협회 2인 발표 |
정상 |
5월 |
○ 예보관평가 실시간 환류체계 구축 |
○ 예보관검증(평가) 실시간 환류체계 구축(5.28) - 동네예보 12개 요소에 대한 발표값, 관측값, 오차 검증값 등 예보관 본인의 예보 검증 ○ 예보관에 대해 장마모니터링 자료, 장마현황 및 전망 제공 - 장마모니터링(일본) 결과 제공(5~6월, 4건) - 장마현황 및 전망에 대해 제공(6월, 1건) ○ 호우개념모델에 대한 정리 및 예보관 의견 검토(5.31, 6.16) |
정상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주간예보 정확도(강수유무, %) |
79.7 |
79.3 ('10.1~5.) |
○ 목표값 0.4%p 미달성, - 평가주기(반기) 종료 이전 실적임(5개월) |
단기예보 만족도(%) |
69.3 |
○ 상반기, 하반기 2회 실시, 7월 상반기 만족도 결과 발표 |
○ 목표 미달성 사유 : 겨울에서 초봄에 걸친 잦은 강수로 인한 강수유무 정확도 하락
○ 조치계획
— 평가주기(반기)가 종료되기 이전으로(5개월 실적) 향후 7개월간의 집중적 모니터링 필요
— 예보관에게 예보정확도에 대한 환류 정보 제공을 통하여 목표 달성 도모
- 56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특보구역세분화 확대('10.5)로 인한 특보검증시스템의 특보구역 및 지점 조정 필요 ○ 정확한 예보판단 및 서비스를 위한 참고자료의 부족 ○ 잦은 대설과 봄철 많은 비로 인한 대응 |
○ 특보구역 관련 테이블 내용 조정으로 ‘특보구역세분화’ 정책에 반영(6월 말 예정) ○ 열대야, 폭염, 안개 통계분석 결과 등 위험기상 자료 제공 - 분석결과 예보관 제공(5.28) - 131 콜센터 상담자 대상으로 위험기상 관련 세미나 실시(6.1) ○ 대내‧외의 유기적 대응 - 위험기상에 대한 유사사례의 지원을 통해 예보관의 효율적 대처 지원(6건) - 보도자료(23건) 및 기자 간담회자료(5건) 제공을 통해 유기적인 언론대응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예‧특보 검증시스템의 구축 및 현업화를 위한 정보통신기술과와의 협조체계 구축 |
○ 특보검증시스템 및 예보(관) 검증시스템의 종합기상정보시스템 구축(1월) |
- 57 -
|
Ⅰ- 1- 주요정책⑤ : 태풍 감시와 예측능력 향상 |
□ 목 적
○ 태풍전용모델 개발 등 국내외 기술협력 강화와 선진기술 확보를 위해 지속적 노력 필요
○ 보다 신속 정확한 태풍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태풍정보 활용도 증대와 수요자 중심의 태풍정보 서비스 제공
□ 주요내용 및 성과
○ 상시 4단계 태풍업무(태풍발생 감시- 분석- 예보- 평가) 환류체계 구축
— 태풍예보 기술노트 발간(2.18) : 2008~2009년도 태풍감시 및 예보 사례 분석
— 태풍재해보고서 (2.26) : 2007년 제11호 태풍 나리 피해사례 상세 분석
— 2010년 현안 맞춤형 교육실시(교육과정명 : 태풍예보 위성 활용)
‧ 위성관련 전문가 초청, 태풍전문 교육과정 실시(3.9~11)
— 태풍 분석과 예보 상세브리핑, 태풍예보 세미나 개최(9회)
— 태풍정보생산 모의훈련 실시(4.12, 4.16) : 태풍발생 전 태풍정보생산 및 백업체계를 점검
— '09년 태풍분석보고서 발간(4.23) : 2009년도 발생한 22개 태풍현황 및 분석자료집
— 2010년 여름철 태풍예측자료 생산 및 기후예측전문가 회의 발표(5.18)
— 태풍전용 모델을 이용한 태풍 5일 예보 계획 수립(2.26) 및 5일 예보 시스템 구축 중간점검(6.29)
— 태풍전문 자체 생산 환경 구축 : 관련부서 협의(6.4) 후 현업운영 시험
— 내풍기술연구단과 태풍 재해 대응 공동 워크숍 및 전문가 자문회의 개최(6.9~10/서귀포 칼호텔)
— 태풍연구 학습모임 활성화 : 지식마루 커뮤니티 운영(태풍을 연구하는 사람들) / 25인
○ 능동적 국제협력을 통한 국가태풍센터 위상 정립
— 제42차 태풍위원회 총회 참가(1.25~29/싱가포르)
‧ 제43차 태풍위원회 총회(’11.1월) 한국 유치
— 베트남 기상업무 현대화 지원 사업(2.2~6/베트남 기상청) : TAPS공동 연구개발
— 미공군과의 기상협력(태풍분야) 회의개최(5.19/국가태풍센터) : 미공군, JTWC 협력강화
- 58 -
— 한미 기상협력 후속조치에 따른 태풍관련 선진기관 기술방문(5.24~28/미국 볼더)
‧ NOAA ESRL의 태풍자료동화 시스템 기술동향 파악 및 기술이전 방안 모색
— 국외전문가 초청 세미나
‧ 3.30 / Dr. Steven Cocke (미국 플로리다대학교 대기해양연구소) : 허리케인 예측모델의 태풍적용 모델 개선 및 포팅
‧ 5.31 / Prof. Pao- Shin Chu (미국 하와이대학교) : 북태평양 극한지수를 이용한 강수변화 전망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계 획 |
추 진 실 적 |
비고 |
1월 |
○ 태풍위원회 총회 참석 |
○ 제42차 태풍위원회 총회 참가(1.25~29/싱가포르) - 제43차 태풍위원회 총회(’11.1월) 한국 유치 |
정상 |
2월 |
○ 태풍 5일 예보 시스템 구축 계획 수립 |
○ 태풍 5일 예보 시스템 구축 계획 수립(2.26) - UM 배경장 기반의 TWRF에 의한 앙상블 5일 예보 시스템을 구축 |
정상 |
3월 |
○ 태풍분석 및 예측시스템(TAPS) 개선 착수 |
○ 태풍분석 및 예측시스템(TAPS) 개선 - 과업지시서검토(1.18),조달청 및 기상청 공고(2.26), 입찰제안서 평가(3.26) - 태풍 예측 정확도 향상, 태풍분석 및 예보 시스템을 개선, 태풍 통계지표 등 보완 추진 |
정상 |
5월 |
○ 태풍정보생산 모의훈련 실시 ○ 국외 태풍관련 기관 방문 |
○ 태풍정보생산 모의훈련 실시(4.12, 4.16) - 대상 : 국가기상센터, 국가기상위성센터, 국가태풍센터 ○ 태풍관련 선진기관 기술방문(5.24~28/미국 볼더) - 한미 기상협력 후속조치에 따른 태풍관련 선진기관 기술방문 |
정상 |
6월 |
○ 태풍 5일 예보 시스템 구축 중간점검 |
○ 태풍 전용 모델을 이용한 태풍 5일 예보 시스템 구축 중간점검(6.29) - 2010년 제1호 태풍 오마이스 사례 |
정상 |
- 59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태풍예보정확도 (km, 48시간 태풍진로 절대오차) |
207㎞ |
- |
○ 1호 태풍 “오마이스“ 발생후 42시간 만에 열대저압부로 약화 |
태풍 전용모델예보 정확도 (48시간 태풍진로 오차) |
326㎞ |
- |
○ 1호 태풍 “오마이스“ 발생후 42시간 만에 열대저압부로 약화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태풍정보생산 모의훈련 실시 - 태풍발생 및 여름철 방재대책기간 전 태풍정보 생산 및 백업체계 점검 ○ 보다 안정적인 태풍분석자료 제공을 위한 태풍전문의 독립적 생산 필요 - 현재까지는 3시간 분석일기도 생산 시 태풍관련 분석자료로 국외(일본 RSMC)에서 입수되는 태풍전문을 사용 |
○ 태풍정보 생산 및 협조체제 점검, 국가태풍센터 태풍정보생산 불가능에 대비한 백업체계 구축 (4.12, 4.16) - 국가태풍센터, 국가기상센터, 국가기상위성센터 ○ 3시간 일기도 생산 지원을 위한 「국내 태풍전문 생산」협의(6.4) - Comis- 3내 태풍전문 입력 환경 구축하여 태풍전문 정식 제공(6.28 예정) |
- 60 -
Ⅰ- 1- 재정① : 국가태풍센터 운영 |
□ 목 적
○ 안정적인 태풍예측서비스 제공을 위한 국가태풍센터의 효율적인 운영과 체계적인 예산집행
□ 주요내용 및 성과
○ 안정적인 태풍예측서비스 제공
— 태풍예보 기술노트 발간(2.18), 태풍재해보고서 (2.26)
— 태풍 감시 분석(수시) 및 태풍 정보생산 발표
— 태풍 사례분석 및 '09년 태풍분석보고서 발간(4.23)
— 태풍전문가 초청 각종 세미나 개최로 태풍선진예보기술공유
‧ 국외전문가 초청 세미나(3.30/Dr. Steven Cocke (미국 플로리다대학교 대기해양연구소), 5.31/ Prof. Pao- Shin Chu (미국 하와이대학교))
‧ 내풍기술연구단과 태풍 재해 대응 공동 워크숍 및 전문가 자문회의 개최(6.9~10/서귀포 칼호텔)
○ 국가태풍센터의 효율적인 운영
— 태풍센터 근무환경 개선
‧ 국가태풍센터 부대시설공사(순찰로 조경공사, 4.15~ )
— 태풍예측관련 장비의 안정적 운영
‧ 전산보조 연구원 상시 근무(1.1~ )
— 태풍청사관련 각종설비관리용역
‧ 유지보수 상시 근무(2.16~ )
- 61 -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실 적 |
비고 |
1월 |
○ 태풍예보 세미나 개최(1.12): 2010년 국가태풍센터 운영방안, 태풍정보시스템 개선 과업지시서 내용검토 ○ 태풍 감시 분석(수시) ○ 태풍예측관련 장비의 안정적 운영 |
정상 |
2월 |
○ 능동적 국제협력을 통한 국가태풍센터 위상 정립 — 베트남 기상업무 현대화 지원 사업(2.2~6/베트남 기상청) : TAPS공동 연구개발 ○ 태풍예보 기술노트 발간(2.18), 태풍재해보고서 (2.26) ○ 태풍예보 세미나 개최(2회): 기상청 정보통신센터 추진 업무(2.5), 다중모델앙상블 태풍예측시스템 구축 방안(2.18) |
정상 |
3월 |
○ 태풍 정보생산 발표(제1호 태풍 오마이스) ○ 국외전문가 초청 세미나(3.30/Dr. Steven Cocke (미국 플로리다대학교 대기해양연구소) ○ 태풍예보 세미나 개최(3회): 베트남 태풍예보업무 현황 및 협력방안(3.4), 태풍 이동방향에 따른 강수특성(3.17), 태풍 재해특성 분석(2007년 태풍 나리 사례)(3.30) |
정상 |
4월 |
○ 태풍 사례분석 및 '09년 태풍분석보고서 발간(4.23) ○ 태풍센터 근무환경 개선 - 국가태풍센터 부대시설공사(순찰로 조경공사, 4.15~ ) ○ 2010년 제 1호 태풍 ‘오마이스’태풍예보 분석(4.28) |
정상 |
5월 |
○ 태풍전문가 초청 각종 세미나 개최로 태풍선진예보기술공유 - 국외전문가 초청 세미나(5.31/ Prof. Pao- Shin Chu (미국 하와이대학교)) ○ 능동적 국제협력을 통한 국가태풍센터 위상 정립 — 미공군과의 기상협력(태풍분야) 회의개최(5.19/국가태풍센터) : 미공군, JTWC 협력강화 ○ 태풍예보 세미나 개최(5.25): 위성영상을 이용한 태풍 온대저기압화 판정 |
정상 |
6월 |
○ 내풍기술연구단과 태풍 재해 대응 공동 워크숍 및 전문가 자문회의 개최(6.9~10/서귀포 칼호텔) ○ 태풍예보 세미나 개최(2회): 태풍 5일예보 정보생산 등 3과제(6.11), TWRF를 이용한 태풍 앙상블예측시스템 구축(6.22) |
정상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태풍예보정확도 (%, 48시간 태풍진로 상대오차) |
96% |
- |
○ 1호 태풍 “호마이스“ 발생후 42시간 만에 열대저압부로 약화 |
- 62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
○ 태풍발생 전 태풍정보 생산 및 백업체계 점검 필요 |
○ 태풍정보생산 모의훈련 실시 - 태풍정보 생산 및 협조체제 점검, 국가태풍센터 태풍정보생산 불가능에 대비한 백업체계 구축 (4.12, 4.16) - 참여기관 : 국가태풍센터, 국가기상센터, 국가기상위성센터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국가태풍센터와 국가기상위성센터 현안교육 실시 ○ 2010년 태풍방재대책 협의회 개최 ○ 국가기상위성센터- 국가태풍센터 업무지원 및 협조체제 강화(5.26) |
○ 국가태풍센터에서는 태풍예보 전문성 확보 및 태풍 예측능력 향상을 위한 현안맞춤형 교육과정 「태풍예보 위성활용」 개최 - 일시/장소 : 3.9~11./국가태풍센터 ○ 태풍방재업무의 효과적 수행을 위한 유관기관과 협력방안 마련 - 일시/장소 : 4.5~6./국가태풍센터 ○ 여름철 방재기간 및 태풍발생을 대비하여 태풍정보 생산 등 업무지원을 위한 국가태풍센터- 국가기상위성센터 간 IP 화상전화기 설치(5.26) |
- 63 -
수치모델관리관
2010년도 상반기 성과점검회의
• 수치모델개발과 64
• 수치자료응용과74
• 슈퍼컴퓨터운영과78
|
Ⅰ- 1- 주요정책② : 위험기상 예측모델 개발 |
□ 목 적
○ 단시간에 좁은 지역에서 발생하는 집중호우, 폭설, 강풍 등 위험기상 현상으로 인한 피해 증가
○ 이와 같은 국지적인 위험기상 현상을 신속‧정확하게 예측하기 위해서는 고성능의 수치예보모델이 필수적임
○ 그러나 기존의 수치예보모델로는 시‧공간적으로 상세한 위험기상 현상을 예측하기에는 한계성 존재
○ 따라서 영국기상청으로부터 도입한 통합모델 기반으로, 레이더와 같이 시‧공간적으로 조밀한 관측자료를 활용하는 고해상도의 위험기상 예측모델을 구축하고, 이를 계산 능력이 보강된 슈퍼컴퓨터에서 운영하여,
○ 위험기상 예측능력을 향상하고자 함
□ 주요내용 및 성과
○ 위험기상 예측모델의 전체 체계 구성과 이에 수반되는 기반자료들의 최적화
— 통합모델(UM 12㎞ L38)로부터 경계장을 제공받고, 자체 예측자료(배경장으로 사용)에 3차원 변분법을 이용하여 관측 자료를 동화하는 시스템 구성(2.24)
▪3시간 간격으로 자체 분석을 수행하며, 매 3시간 마다 12시간 예측자료 생산
— 예측모델의 수평 및 연직 해상도를 증가하면서도, 예측자료 생산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체계 구성(4.20)
▪가변격자체계를 도입하여 주요 예보 대상 영역은 조밀하게, 그 외 지역은 성글게 격자를 구성하여 계산 경제성 고려(모델 가장자리 ▪수평해상도는 1.5㎞로 연직 층수는 38㎞ 고도까지 70층으로 보강
▪가변격자체계를 도입하여 주요 예보 대상 영역은 조밀하게, 그 외 지역은 성글게 격자를 구성하여 계산 경제성 고려(모델 가장자리에서는 가변격자로 12㎞(지역모델)부터 1.5㎞(위험기상모델 해상도)까지 연속적으로 변함)
— 지형, 해륙구분, 지표, 식생 등의 자료를 최적화하여 지표- 대기 상호 과정 강화(6.25 예정)
○ 기상청 레이더 자료의 통합모델 활용 및 자료동화 감시 체계 구축
— 통합모델의 관측자료 전처리 시스템에 기상청 레이더(UF) 활용 체계를 구축하고, 처리된 결과의 감시 체계 구축 중
- 64 -
— 레이더 자료의 지속적인 감시로 품질 향상을 위한 토대 마련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계 획 |
추 진 실 적 |
비고 |
2월 |
○ 위험기상 예측모델 구축 계획 수립 |
○ 계획 수립 완료(2.24) - 위험기상 예측모델의 전체 얼개 구성: 자료동화 방법(3차원 변분법), 분석주기(3시간), 레이더 자료동화(시선속도), 예측주기 및 기간(매 3시간마다 12시간 예측) 등 결정 - 주요 예보영역과 수퍼컴 자원 등을 고려한 모델 영역 결정 |
정상 |
3월 |
○ 기상청 레이더 활용체계 구축 계획 수립 |
○ 계획 수립 완료(3.15) - 레이더 시선속도를 활용하기위한 관측자료 전처리 과정(OPS) 개선 단‧중기 계획 수립 - 레이더 자료 입력, 대표 관측값 만들기, 솎아내기 등에 관한 방안 조사 및 적용 방안 결정 - 전처리된 레이더 자료의 모니터링 방안 검토 |
정상 |
4월 |
○ 위험기상 모델의 해상도 등 최적화 |
○ 모델 해상도 등 최적화 완료(4.20) - 한반도와 중국일부 지역을 포함한 모델 영역 결정 - 예측능력 향상과 효율적인 전산자원 활용을 고려하여 가변격자 체계 사용 결정 - 연직으로는 38㎞까지 70층으로 구성되며, 수평해상도는 1.5㎞. 모델 가장자리에서는 가변격자로 12㎞(지역모델)부터 1.5㎞(위험기상모델 해상도)까지 연속적으로 변함 |
정상 |
6월 |
○ 위험기상모델을 위한 기반자료 최적화 |
○ 지면과 생물권자료 최적화 완료 (6.25 예정) - 위험기상모델에 적합한 지표 식생, 토지 활용도, 잎면적 지수의 계절 변동, 지형 등의 자료 생산 방안 결정 - 자료동화에 필요한 배경오차(모델 오차) 사용 및 개선 방안 결정 |
정상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 65 -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예측모델 정교화 지수 (=수평해상도 증가지수*0.5+ 비종관자료 활용 증가율*0.5) |
0.65 |
- |
○ 신규지표이며, 연말에 산출되는 지표임 ○ 수평해상도 증가지수 - 기존 고해상도모델의 수평해상도: 5km, 위험기상모델 해상도: 1.5km ∴ 1.5 / 5.0 = 0.3 ○ 비종관 자료 활용 증가율 - 기존 고해상도 모델과 동일한 자료 종류와 수를 활용 (모델이 변경되는 상황에서 동일한 자료 활용 보장) ∴1.0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위험기상모델의 수평해상도 증가로 예측자료 생산시간 지연 예상 - 예보관의 분석 시간(활용 가능시간) 확보를 위한 경제적 계산 기술 개발 필요 |
○ 예측 정확도는 확보하면서 계산 시간 단축 방안 마련 - 한반도와 인근해역 등 주 예측 영역은 1.5㎞ 해상도를 유지하고, 경계로 진행하면서 해상도가 성글어지는 가변격자 체계 도입 |
○ 영국기상청의 관측자료 전처리과정에 기상청레이더 입력과정의 부재 인지 - 자체 기술력으로 개발 불가피 |
○ 기상청레이더자료(UF형식)를 입력하기위해 OPS내 과정 개발 - 새로운 프로그램 작성 및 OPS내 접목 완결성 점검 - 그 밖의 형식 자료 (NetCDF 등) 입력에 대한 가능성 포함 |
○ 일부 레이더 관측소가 산에 위치하여, 하층 바람의 관측 공백 지역 발생 - 대기 하층의 수렴 및 발산의 정확한 관측은 호우시스템 발달의 중요한 요인 |
○ 유관기관의 레이더 자료 활용 방안 구축 - 공군, 수자원 공사, 국토해양부의 레이더 자료의 특성 분석 - 활용 가능한 자료의 입력 체계 구축(.OPS내)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 66 -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영국 및 호주기상청과의 협조체제 강화 |
○ 영국기상청 레이더 반사도 동화 전문가이며 (4.30) 레이더자료 생산 팀장인 Dr. Nicolas Gaussiat(4.26- 27)의 기상청 방문으로 기술 교류 강화(‘4.30) ○ 전처리된 레이더 시선속도의 점검을 위한 모니터링 체계 구축 시 영국기상청 협조(이메일 및 자료 교환, Dr. David Simonin) ○ 호주기상청에 레이더 강수자료 동화 기술 자문(Dr. Peter Steinle 방문, 5.31- 6.1)(6.4) |
○ 국가기상레이더 센터 및 수자원공사와의 협조체제 강화 |
○ 레이더 자료의 품질관리 강화를 위한 워크숍(5.20) 및 (부)정기적인 실무협의 - 수치모델 자료로서의 요구 사항 요청 및 시선속도의 품질 검사 방안 제안 ○ 고해상도‧고품질 강수예측 자료 제공 등을 위한 수자원공사와의 실무 협의 강화(5.27) |
○ 수치자료응용과와 협조체체 강화 |
○ 관측자료 전처리, 배경오차 생산 등 위험기상 예측모델 구축에 필요한 사항들에 대한 기술 교류 및 논의(수시) |
- 67 -
Ⅱ- 1주요정책③ : 수치예보모델 성능 향상 |
□ 목 적
○ 수치예보 모델의 성능 향상을 위해 ‘08년 도입한 선진 수치예보시스템인 영국통합모델을 ’10년 새로운 슈퍼컴퓨터 3호기에서 공식 수치예보모델로 현업운영
○ 향후 한반도 영역의 재해기상 예측모델의 개발 등 고품질의 수치예보 자료를 생산하기 위한 전지구모델의 해상도 개선 등 기반 조성
○ 예보 활용도가 높은 지역예보모델의 단시간 예측능력향상을 위한 동아시아 지역 및 우리나라의 관측 자료를 활용한 순환예측체계의 구축
□ 주요내용 및 성과
○ 통합모델을 슈퍼컴 3호기 초기분에서 현업운영 개시(5.14) (슈퍼컴퓨터운영과 협조)
— 5월 기존 전지구예보모델 대비 약 18.8% 예측성능 향상(북반구 5일 예측 500hPa 지위고도 기준, 시험기간 : 5.1~5.31)
— 향후 슈퍼컴퓨터 3호기 최종분 운영 시 안정적 수치예보시스템 운영을 위한 기술 습득 기반 마련
○ 동아시아지역 지표자료 동화시스템 구축을 통한 통합모델 예측성능 향상 기반 조성
— 동아시아 지역 상세 토양수분 및 해수면온도, 해빙자료 산출
○ 통합모델 기반 고해상도 전지구 예측 시험 수행을 위한 초기버전 구축 (슈퍼컴퓨터운영과 협조)
— 모델 해상도는 수평 40km 50층(상단은 63km)에서 수평 25km 70층(상단은 80km)으로 강화하고, 관련 모델 운영 환경 구축
- 68 -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계 획 |
추 진 실 적 |
비고 |
1월 |
○ 통합모델 현업운영 및 성능개선 계획 수립 |
○ 통합모델(전지구 및 지역, 전지구 앙상블) 현업운영 및 개발계획 수립(1.29) - 전지구예보모델(UM N320 L50) 현업구축 및 해상도증가를 위한 계획 수립 - 지역통예보델(UM 12km L38) 현업구축 및 예측 성능 향상 계획 수립 - 전지구 앙상블 시스템(EPS N320 L50) 시험운영 및 예보관 지원 계획 수립 |
정상 |
3월 |
○ 전지구 및 지역 통합모델 3호기 시험운영 |
○ 통합모델(전지구 및 지역)을 포함한 수치예보시스템 시험운영(3.22) - 슈퍼컴 3호기 초기분에서 통합모델을 이용한 전자구 및 지역 예보 모델 운영체계 구축 - 국내입수 관측 자료를 이용한 전지구 순환예측시스템 시험운영 및 예측결과 제공(3.22 09시) - 전지구 예측 및 초기장을 사용한 동아시아지역 12km 해상도의 통합모델 시험운영 |
정상 |
5월 |
○ 전지구 및 지역통합모델의 현업운영 |
○ 슈퍼컴퓨터 3호기 초기분 기반 통합 수치예보 모델 운영(5.13) - 슈퍼컴 3호기 초기분에서 통합모델 현업 운영체계 구축 - 통합모델의 현업운영(5.14) - 통합모델 현업운영을 위한 운영 매뉴얼 작성 및 제공 |
정상 |
6월 |
○ 동아시아지역 지표자료 동화과정 시험구축 |
○ 아시아지역 지표면 분석과정 구축 완료(6.15) - 신규버전 지면분석 프로그램 슈퍼컴 3호기 초기분에 이식완료 - 동아시아지역 상세 해수면온도, 해빙, 토양수분 등 지표면 분석과정 구축 - 지역 순환예측시스템과 연동을 위한 계획 수립 |
정상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수치예보모델 중층고도 정확도 개선율(%) |
4.3% |
24% |
○ 여름철과 겨울철 각 1개월 평균 기존 현업모델(T426 L40)대비 개선모델(통합모델 버전 7.5) 5일 예측 500hPa 고도 오차 개선율의 평균 - 겨울철(2010년 1월) 개선율(현업오차: 75m, 개선모델 : 57m) ○ 향후 여름철 오차 계산 후 목표치 달성여부 최종 계산 |
수치예보모델 해수면기압 정확도 개선율(%) |
3.7% |
33% |
○ 여름철과 겨울철 각 1개월 평균 기존 현업모델(T426 L40)대비 개선모델 3일 예측 해면기압 오차 개선율의 평균 - 겨울철(2010년 1월) 개선율(현업오차: 4.3hPa, 개선모델 : 2.9hPa) ○ 향후 여름철 오차 계산 후 목표치 달성여부 최종 계산 |
- 69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현업 수치예보시스템 변경에 따른 모델 예측 결과에 대한 낮은 예보관의 인지도 - 예보관에게 통합모델 예측 경향에 대한 정보전달 필요 ○ 기존 예보관에게 지원된 수치예측 자료 중 일부가 통합모델에서 제공되지 않음 - 구름변수 및 대류에너지 등 통합모델에서 제공되지 않는 자료 추가 생산 필요 |
○ 통합모델 현업운영에 따른 예보부서 대상 예보관교육(5.10) - 5.11~14(4회) 통합모델 운영 계획 및 예보관 지원을 위한 일기도 생산 계획 교육 ○ 통합모델 활용도 증대를 위한 예측경향도 및 분석서 제공 - 전지구 예보모델의 예측 경향 분석을 지원하기 위한 예측 경향도 제공(3.17) - 수치예측자료의 예보활용도 제고를 위한 수치모델 예측분석서 제공(5.28) ○ 통합모델출력자료 개선 및 개발 계획 수립(6. 1) - 구름변수 지원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제공 - 통합모델 결과를 이용한 예보관 지원용 출력자료 개발 계획 수립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영국기상청 및 호주기상청 - 통합모델 개선을 위한 초기자료 및 실험 수행 정보 교류 - 개선된 통합모델 프로그램 입수 및 개선방향 의견 교류 ○ 현업용 수치예보시스템 개발 관련 부서 - 슈퍼컴 3호기 초기분에서 현업 수치예보시스템 구축 및 안정적 운영을 위한 협의 |
○ 공동 기술협력 및 자료공유체계 운영 - 안정적 자료 입수를 위한 영국기상청 현업시스템으로 자료제공 시스템 전환 - 기술습득을 위한 장단기 해외 파견 추진(9월 중) - 해외전문가 초청을 통한 기술 습득(6.3) ○ 슈퍼컴 3호기 도입 추진기획단을 통한 관련부서 협의(주 1회) - 슈퍼컴 3호기 초기분 기반 현업운영 수치예보시스템 구축 문제점 토의 및 상호 일정 점검 - 안정적 수치예보시스템 운영을 위한 정보 교류 |
- 70 -
Ⅱ- 1정보화① : 수치예보시스템 개선 |
□ 목 적
○ 기상청의 수치예보모델 및 전‧후처리 시스템의 개발‧개선과 운영기술 고도화로 고품질 수치예측자료를 생산하고 예보지원 함으로써 예보정확도 향상에 기여
○ 국내‧외 선진 수치예측기술의 실용화 기반을 구축하여 미래형 수치예보 시스템을 확보함으로써 기상기술 선진국 진입의 기술적 기반 마련
□ 주요내용 및 성과
○ 통합모델 개선을 위한 용역사업 추진
— “차세대 수치예보모델 개선 (2차년도)” 용역사업 계약 (3.25) 및 착수보고회 (4.7)
— “차세대 수치예보 전후처리시스템 개선 (2차년도)” 용역사업 계약 (3.31) 및 착수보고회 (4.5)
○ 통합모델 운영에 따른 수치예측자료 예보지원 강화
— 슈퍼컴 3호기(초기분) 기반 통합모델(UM N320L50, UM 12kmL38) 현업운영 개시 (5.14)
— 통합모델 예측경향 정보공유 및 수치모델 예측분석서 제공 (3.22, 5.28)
— 통합모델 예측특성 분석과 예측성능 점검 및 정보공유 (매월)
○ 통합모델 활용도 제고를 위한 대내외 교육과 효과 홍보
— 통합모델의 예보활용도 제고를 위한 예보관 교육
⋅ 수치모델 예측경향자료 활용 교육 및 예보관 의견 수렴 (3.23~3.25, 4.19~4.21)
⋅ 통합모델 운영체계 교육 및 예보관 의견 수렴 (5.11~5.14, 5.27~5.28)
— 한국기상학회 봄 학술발표회에 통합모델 관련 발표를 통한 모델개발 정보공유와 의견 수렴 (4.29~4.30)
- 71 -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실 적 |
3월 |
○ 통합모델 예측경향 예보지원 - 통합모델을 이용한 지점별 강수 예측경향자료 예보지원 개시 (3.22) - 예보관 대상 통합모델 예측경향자료 활용 교육 (3.23~3.25) |
3월 |
○ 통합모델 개선을 위한 용역사업 계약 체결 - “차세대 수치예보모델 개선(II)" 사업 계약 체결 (3.25) - ”차세대 수치예보 전후처리시스템 개선(II)" 사업 계약 체결 (3.31) |
5월 |
○ 수치모델 예측분석서 예보지원 - 슈퍼컴 3호기 기반 전지구 및 지역 예보모델 운영 개시(5.14)에 따라 통합모델 예보활용도 제고를 위한 수치모델 예측분석서의 정규생산 및 예보지원 개시 (5.28) |
6월 |
○ 통합모델 예측성능 점검 - 월별 통합모델의 강수예측 특성 및 정량검증결과 분석 (매월)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전지구 통합모델 예측성능 |
65 |
78.8 |
○ 성과지표 : 통합모델과 유럽중기예보센터(ECMWF)의 북반구 대기중층고도 3일 예측 오차 비율 [%] - 기상청 통합모델 예측오차 : 26.92m (1~5월) - 유럽중기예보센터 예측오차 : 21.20m (1~5월) - 실적치 : 21.20/26.92 * 100 = 78.8% (달성율 : 121.2%) |
- 72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통합모델의 안정적 운영을 위해 모니터링 및 장애대응방안 필요 - 슈퍼컴 3호기(초기분)의 하드웨어 안정성 및 통합모델의 운영 안정성에 대한 모니터링과 장애 발생 시 최단시간에 조치할 수 있는 지침 필요성 제기 ○ 현업 수치예보시스템의 교체에 따른 예보관의 적응기간 단축과 새로운 수치예측자료의 활용도 제고를 위한 홍보 및 교육 필요성 제기 |
○ 슈퍼컴 3호기 기반 수치모델 안정성 일일 모니터링체계 구축과 장애조치 매뉴얼 발간 - 슈퍼컴 3호기 초기분에 이식된 수치예보시스템 시험운영 기간동안 통합모델과 전‧후처리과정 및 각종 응용모델의 정상수행 여부 및 문제점 파악을 위한 모니터링 체계 운영 (관련부서 공동운영) - 통합모델의 장애발생 시 수치예보시스템 현업자가 즉각 조치할 수 있도록 단계별 장애조치 매뉴얼 발간 및 배포 ○ 통합모델의 대내‧외 홍보, 활용교육 및 의견수렴체계 강화 - 수치예측자료의 수요자인 예보부서를 대상으로 현업 수치예보시스템의 변경‧개선사항 등에 교육 실시와 정보 공유 - 통합모델 예측자료의 활용도 제고를 위하여 예측경향도, 예측분석서 등 예보지원 자료 개발과 예보관 의견수렴 강화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수치자료응용팀, 슈퍼컴퓨터운영팀 - 슈퍼컴 3호기 기반 통합모델 이식과 운영체계 구축, 안정적 운영을 위한 업무협조 ○ 본청 및 지방청 예보 관련부서 - 통합모델 예측자료의 효율적 예보지원을 위한 예보관 교육 및 의견환류 ○ 영국기상청 및 호주기상청 - 통합모델 시험운영 및 개선실험을 위한 초기자료‧관측자료 정규입수 - 통합모델과 전처리과정 개선을 위한 공동협력 |
○ 슈퍼컴 3호기 기반 수치예보시스템 구축 및 운영을 위한 업무협조 - ‘슈퍼컴퓨터 사용자 지원을 위한 정기모임’(매주) 운영 - 슈퍼컴 3호기 기반 수치예보시스템의 운영안정성 모니터링 체계 구성 및 운영 ○ 통합모델 운영체계와 새로운 예보지원 자료의 활용교육, 통합모델 예측성능 및 예측특성 등 예보관을 위한 정보 공유와 적극적 의견 환류 추진 ○ 공동 기술협력 및 자료공유체계 운영 - 영국 기상청과 장애대응 협력체계 강화로 안정적 자료입수 가능 - 기술이전을 위한 국외 단기파견과 전문가 초청 |
- 73 -
|
Ⅱ- 1주요정책② : 자료동화시스템과 수치자료 활용기술 개선 |
□ 목 적
○ 수치예보모델에 입력되는 관측자료의 활용증대 및 자료동화시스템 개선을 통한 수치예보모델의 성능 개선
○ 동네예보시스템 및 수치예보 후처리과정 개선을 통한 예보지원체계 강화
□ 주요내용 및 성과
○ 통합모델 기반의 단기 동네예보용 통계모델(MOS) 개발 및 현업운영(5.14)
— 기존 통계모델 대비 기온오차 0.5℃ 감소, 강수확률 및 하늘상태 정확도 각각 5%, 4% 향상
○ 통합모델 기반의 4차원 자료동화 및 모델출력자료 표출체계 현업운영(5.14)
— 관측자료의 활용 증대(선진국대비 약 81%) 및 수치예보성능 향상에 기여
— 슈퍼컴 3호기에서 통합모델의 예상일기도 정규 생산 개시 및 예보관 제공 시간 50분 단축
○ 초단기 동네예보 지원을 위한 수치예보 가이던스 생산 및 현업 지원체계 구축(6.15)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계 획 |
추 진 실 적 |
비고 |
2월 |
○ 통합모델 기반 자료동화체계 개선계획 수립 |
○ 통합모델 기반 자료동화체계 개선계획 수립(2.26) - 관측자료 추가입수 및 활용증대 방안, 통합모델 기반 자료동화시스템 현업운영 계획, 자료동화 선진기술 습득 및 환류방안 등 |
정상 |
○ 그래픽자료 분할 생산체계 구축 및 시험운영 |
○ 통합모델 그래픽 분할 생산체계 구축 및 시험운영(2.22) - 통합모델 수행과 그래픽처리 과정의 동시 운영체계 구축 |
정상 |
|
3월 |
○ 통합모델 자료동화체계의 슈퍼컴 3호기 이식 및 시험운영체계 구축 |
○ 통합모델 자료동화체계의 슈퍼컴 3호기 이식 및 시험운영체계 구축(3.22) - 자료해독, DB 구축, 품질검사, 4차원 분석, 지표자료동화과정 3호기 구축 및 모델과의 연동 |
정상 |
○ 국제협력을 통한 동네예보기술 상호 교환 |
○ 국제협력을 통한 해외 동네예보용 통계분석기술과 편집기술 조사(3.26) - 미국기상청 방문 및 미국기상청의 디지털예보 기술 조사(방문기간 : 2010.3.16- 18.) |
정상 |
|
5월 |
○ 통합모델 자료동화체계의 슈퍼컴 3호기 현업운영체계 구축 |
○ 통합모델 자료동화체계의 슈퍼컴 3호기 현업운영체계 구축(5.14) - 일 4회 통합모델 기반 자료동화 순환예측체계 현업구축(40km, 50층, 10.5일 예보) 및 예보지원 |
정상 |
○ 통합모델 기반의 동네예보모델 현업운영 체계 구축 ○ 통합모델용 그래픽을 슈퍼컴 3호기 이식 및 현업운영체계 구축 |
○ 통합모델 기반 동네예보용 통계모델(MOS) 개선 및 현업운영체계 구축(5.14) - 강수확률, 최고기온 등 통계모델 개발 및 현업 시행 ○ 통합모델 출력자료 표출체계의 슈퍼컴3호기 이식 및 현업운영체계 구축(5.14) - 슈퍼컴 3호기에서 분석 및 예상일기도 등 수치예보자료 그래픽시스템 이식 |
정상 |
|
6월 |
○ 자료동화체계 변경이력관리를 위한 지침서(이식 매뉴얼) 작성 |
○ 자료동화체계 변경이력관리를 위한 지침서 작성(6.30) - 영국 최신 버전의 입수 및 적용방법, 매뉴얼 작성 방법, 소스프로그램 이력관리 방법 |
정상 |
○ 초단기예보 기술과 동네예보 연동(12월) |
○ 초단기 동네예보시스템 지원기술 개발 및 실시간 운영(6.15) - 단기 및 초단기 동네예보용 편집기 개발 / 초단기예보용 수치모델(KLAPS)와 연동 및 초단기 예보 생산체계 구축 |
정상 |
- 74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자료동화 수치예보 정확도 개선율(%) |
2 |
1.54 |
○ 통합모델의 위성자료 활용 개선(4.14) - 위성자료로부터 산출되는 바람장 자료 개선(통합모델 배경장 활용 및 개선된 알고리듬 적용) - 개선된 위성 바람장 자료를 통합모델에 동화하여 모델 성능개선 |
선진국 대비 관측자료 수치예보 활용율(%) |
82 |
80.7 (2010. 5) |
○ 위성자료 추가처리(GPSRO, MODIS, EARS, 약7.5%) 및 관측지점정보 현행화(약 0.5%) (6.14) - 09년 12월 72.7% → '10년 5월 80.7% ※ 하반기에 SSMIS, WINDSAT 등 위성자료 추가 예정 |
동네예보모델 기온오차(℃) |
2.38 |
2.54 (2010.1~5) |
○ 통합모델 기반 기온 동네예보모델 개발 및 현업운영(2010.5.14) - 전국 237개 지점에 대한 3시간/최고/최고기온 예측자료 생산 및 예보관 제공 ※ 겨울/봄철은 기온 변동이 심함 |
동네예보모델 강수유무 정확도(%) |
29.5 |
37.7 (2010.1~5) |
○ 통합모델 기반 강수형태 동네예보모델 개발 및 현업운영(2010.5.14) - 전국 237개 지점에 대한 강수형태를 통한 강수유무 예측자료 생산 및 예보관 제공 ※ 봄철은 주기적인 강수 시스템이 자주 영향을 미치는 편임 |
- 75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슈퍼컴 3호기에서 통합모델 운영시작(3.22)에 따른 관측자료 모니터링 웹페이지 개설 - 미국 기상위성(GOES- E) 위성대체(12→13)에 따른 위성바람자료 미생산(4.15) - 고층자료의 DB 입력오류(5.4) - 미국 AQUA 위성의 복사량(AIRS) 자료 채널번호 변경 예고(5.18)에 따른 조치 - 미국 극궤도 위성(NOAA17)의 지역수신 복사량(RARS) 자료 오류(5.30) - 유럽 수직측풍장치 및 항공기자료 입전 오류(6.10) |
○ 영국과의 비교, 외국 위성센터 모니터링 등을 통해 신속히 우리 시스템에 반영 - 위성 대체에 따른 변동사항을 반영하여 안정화 검사 후 시스템에 반영(5.1) - 정보통신센터와의 유기적 협조하에 신속하게 정상복원 - 관측자료 전처리 프로그램을 수정하여 적시 대응(5.19) - NOAA 17호에 NOAA18자료가 통합되어 비롯된 오류로 관련부서에 자료생산과정 검토 요청(6.1) - 슈퍼컴센터와 협조하여 자료수집서버의 경로를 수정하여 해결(6.10) |
○ 외부기관으로부터의 수치예보자료 지원 요구 - 한국방송공사(KBS)로부터 히말라야 안나푸르나 등반팀 지원을 위한 기상자료 제공 요구 - 항공우주연구원으로부터 나로호 발사를 위한 기상지원 의뢰(5.7) |
○ 자료 적시제공으로 대국민 기상서비스 제고(예보정책과 협조) - 안나푸르나 지점의 연직시계열 및 등반 고도별 기상예측자료 제공(3.12~5.28) - 나로도 지역에 대한 예상단열선도 및 연직시계열 COMIS3 제공(5.10~6.10) |
○ 한‧베트남 간의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로의 격상(2009. 10. 대통령 베트남 방문시)에 따른 개발‧과학기술협력 강화의 일환으로 베트남의 기상업무 현대화 지원 추진 |
○ 재해기상시연사업(SWFDP) 일환으로 베트남기상청에 통합모델자료 지원 - 통합모델 수치예측자료를 베트남 기상청에 실시간 제공(2010.6말) |
○ 짧은 시간에 발생하는 위험기상에 적극 대응하기 위하여 초단기예보 조기 시행 - 시행시기를 2010년 12월에서 6월로 앞 당겨, 2010년 여름철부터 대국민 서비스 |
○ 초단기 예보시스템 지원기술 조기 개발 및 현업운영 - 용역사업 조기 발주 및 개발 일정조정을 통한 초단기예보 편집기 조기 개발(4.12) - 초단기 예보시스템 시험 운영(5.17) 및 현업운영 개시(6.15) |
- 76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통합모델(UM) 현업운영에 따른 수치예보 및 동네예보 자료의 예보 지원체계 강화 - 협력부서: 예보정책과, 예보상황과, 지방기상청(대) 예보부서, 국가태풍센터 |
○ 예보관 실무교육 및 의견수렴을 위한 간담회 - 통합모델 현업운영대비 예보실무자 교육 4회 실시(5.11~14) 및 예보상황과와의 간담회(6.4) ○ 태풍분석업무의 효율적 지원을 위한 태풍분석일기도 개선 및 제공(남쪽 및 동서경계 확장, 4.15) |
○ 관측자료 활용증대를 위한 관련부서 협력 강화 - 국가기상위성센터, 정보통신센터 |
○ 통합모델 관측자료 활용증대를 위한 관련부서 회의(1.22) - 대상: 수치자료응용과, 정보통신기술과, 국가기상위성센터 - 성과: 회의결과를 토대로 관측자료 추가확보 및 입전 장애 해결 공조 ⇒ 영국대비 관측자료 활용율 증대(1월 74% → 5월 80.7%) |
○ 천리안 위성 활용 기반기술 구축을 위한 협력강화 - 국가기상위성센터, 국립기상연구소 |
○ 천리안위성 관측자료의 통합모델 입력 효과에 대한 사전 민감도 시험 수행 (4.15) - 위성바람장 산출 알고리듬 개발(지구환경시스템연구과) - 일본 기상위성에 알고리듬 적용 및 실시간 바람장 산출(국가기상위성센터) - 통합 모델에서의 알고리듬 성능평가(수치자료응용과) |
- 77 -
|
Ⅴ- 2- 정보화② : 기상용 슈퍼컴퓨터 운영 |
□ 목적
○ 슈퍼컴퓨터의 H/W 및 S/W를 효율적으로 운영하여 안정적인 수치예보자료 제공
○ 통합모델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슈퍼컴퓨터 3호기 운영 및 관리
○ 슈퍼컴퓨터 3호기로 안정적 전환을 위한 2호기 시스템의 병행 운영
□ 주요내용 및 성과
○ 고해상도 수치모델 운영 및 개발 지원을 위한 슈퍼컴 3호기 도입 및 설치
- 슈퍼컴 3호기 준비시스템(인터림) 검사검수 완료(3.25)
- 3호기가 운영될 국가기상슈퍼컴퓨터센터 준공 완료 및 준공식 개최(3.29)
- 슈퍼컴 3호기 초기분 통관(2.09), 오창 센터로 이동(2.10) 및 설치 완료(3.11)
2개월 이상의 안정도 검사를 거쳐 검사검수 완료(6.04)
○ 3호기 초기분에서 통합모델 기반의 수치예보 현업운영체계 구축
- 3호기 초기분 시스템에 수치예보모델 설치 및 시험운영 실시(3.22, 00UTC 부터)
- 3호기 초기분 시스템에서 수치예보모델 현업운영 실시(5.14, 00UTC 부터)
○ 슈퍼컴 2호기 활용을 위한 기본계획 보완 추진(5.28)
- ‘10.11.30일까지 기존 수치예보 병행 운영, ’10.12월 오창 센터로 이전
- ‘11년부터 국가표준 기후변화 시나리오 산출용 등의 용도로 활용
○ 슈퍼컴센터 정보보호시스템 구축 사업 추진
- 계약 체결(4.27) : LG엔시스(계약금액 2,549,763,500원)
- 정보보호 시스템 구축관련 착수보고회 개최(5.10)
- 슈퍼컴센터 정보보호 구축관련 업무협의(5.19, 5.26, 6.08)
- 슈퍼컴 정보보안 컨설팅 시스템 진단 및 Network 기반 구축작업(6.16~6.18)
- 78 -
○ 국가기상슈퍼컴퓨터센터(오창) 운영 및 시설관리
- 센터 시설물 유지관리를 위한 용역계약 체결
○ 슈퍼컴센터 정보보호시스템 구축 사업 추진
- 계약 체결(4.27) : LG엔시스(계약금액 2,549,763,500원)
- 정보보호 시스템 구축관련 착수보고회 개최(5.10)
- 슈퍼컴센터 정보보호 구축관련 업무협의(5.19, 5.26, 6.08)
- 슈퍼컴 정보보안 컨설팅 시스템 진단 및 Network 기반 구축작업(6.16~6.18)
○ 국가기상슈퍼컴퓨터센터(오창) 운영 및 시설관리
- 센터 시설물 유지관리를 위한 용역계약 체결
: 시설물유지관리용역(1.27), 청소관리용역(1.26), 방화관리용역(3.17), 승강기유지보수용역(4.1)
- 소방정밀점검 실시(5.18) 및 소방교육 실시(6.16)
- 시설물 안전관리자 선임 및 운용교육 이수(전기, 가스, 승강기, 방화관리자)
○ 국가기상슈퍼컴퓨터센터 홍보 실적
- 오창 센터 방문자 수 : 645명 (청내 직원: 318명, 외부인원: 327명 / 총22회 : 1.29~6.21)
: 시설물유지관리용역(1.27), 청소관리용역(1.26), 방화관리용역(3.17), 승강기유지보수용역(4.1)
- 소방정밀점검 실시(5.18) 및 소방교육 실시(6.16)
- 시설물 안전관리자 선임 및 운용교육 이수(전기, 가스, 승강기, 방화관리자)
○ 국가기상슈퍼컴퓨터센터 홍보 실적
- 오창 센터 방문자 수 : 645명 (청내 직원: 318명, 외부인원: 327명 / 총22회 : 1.29~6.21)
- 79 -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실 적 |
비고 |
3월 |
○ 슈퍼컴 3호기 초기분시스템 설치완료(3.11) - 계산시스템(XT5), 전후처리서버(4조), 로그인서버(2조), 디스크저장장비(2PB), 테이프백업장비(4PB) |
정상 |
○ 3호기 초기분 기반 수치예보 시험운영 실시(3.22,00UTC부터)(3.21) - 대상 : 통합모델(UM N320 L50, UM 12km L38), KWRF, 파고모델, 폭풍해일모델 등 |
정상 |
|
○ 슈퍼컴 3호기 인터림 시스템 검사 및 검수 완료(3.25) |
정상 |
|
○ 국가기상슈퍼컴퓨터센터 준공식 개최(3.29,14시) - 참석 : 환경부장관, 충북도지사, 조달청장, 공군기상전대장 등 |
정상 |
|
○ 3호기 관리자 교육 실시 - 대상자 / 기간 : 오하영, 김정훈, 장민수, 김진영 / 3.31~4.16 (17일간) - 교육장소 : 미국 위스콘신주 크레이 제작사 교육센터 |
정상 |
|
4월 |
○ 슈퍼컴퓨터센터 정보보호시스템 구축사업 계약체결(4.27) |
정상 |
5월 |
○ 수치예보 현업화 워크숍 개최 - 기간/장소/참석자 : 5.6~5.7 / 오창 국가기상슈퍼컴퓨터센터 / 수치모델관리관 외 15명 |
정상 |
○ 3호기 초기분 기반 수치예보 현업운영 실시(5.14,00UTC부터) - 목적 : 통합모델 현업운영 추진 점검과 최종 준비 - 대상 : 전구/지역 통합모델, KWRF, 파고모델, 폭풍해일모델 등 |
정상 |
|
○ 슈퍼컴 2호기 활용 기본계획 보완 수립(5.28) |
정상 |
|
6월 |
○ 슈퍼컴 3호기 초기분 시스템 검사 및 검수 완료(6.4) |
정상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달성도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슈퍼컴퓨터 3호기 CPU 사용율 |
목표치 : 43.1% |
○ 슈퍼컴 3호기 초기분 검사검수후(6월) CPU 사용율 계산중 |
- 80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2010.11.30 이후 슈퍼컴퓨터 2호기 활용 계획 수립 필요 - ‘09.11월 슈퍼컴 2호기 활용 청내외 수요조사 실시 - ‘09.11월 국립기상연구소(기후연구과)에서 국가표준 기후변화 시나리오 산출용으로 수요조사서 제출 |
○ 2호기 처리 및 활용을 위한 관련 부서 의견수렴, 사용자 요구사항 반영(3.22, 5.14) ○ 슈퍼컴 2호기 활용 기본계획 보완 추진(5.28) - ‘10.11.30일까지 수치예보 병행 운영, ‘10.12월 오창 센터로 이전 - ‘11년 부터 국가표준 기후변화 시나리오 산출 등의 용도로 활용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슈퍼컴퓨터센터 추진기획단을 통한 관련 부서간 협조 체계 구축 - 수치모델개발과, 수치자료응용팀, 운영지원과, 정보통신기술과, 기후예측과, 예보연구과, 황사연구과, 기후연구과 등 ○ 공군제73기상전대와 업무협약(MOU, 2003.09.18)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과 업무협약(MOU, 2007.08.01) |
○ 추진기획단 점검회의 개최(1월~6월, 총14회) ○ 공군제73기상전대와 업무 협의 - 슈퍼컴퓨터3호기 설치과정 견학 및 설치정도 습득(02.11) - 국가슈퍼컴퓨터센터 운영 현황 파악을 위한 업무 협의(03.25)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과 업무 교류 - 한국 슈퍼컴퓨팅 협의회 참석(06.24~25) |
- 81 -
자체주요업무 : 슈퍼컴퓨터 활용 능력 향상 |
□ 목적
○ 슈퍼컴 3호기 도입으로 기존의 벡터방식(2호기)에서 병렬방식으로 전환에 따른 슈퍼컴 사용자/개발자에 대한 관련 기술 지원
○ 슈퍼컴퓨터 관련 기술의 빠른 발전에 따른 수치예보모델 개발자에 대한 최신 병렬화기술 등 프로그램 개발 기술 지원
○ 슈퍼컴퓨터 관리 및 운영자와 수치예보모델 개발자 및 사용자간에 원활한 의사소통을 지원하여 슈퍼컴퓨터 활용 효율성 향상
□ 주요내용 및 성과
○ 고해상도 수치모델 운영 및 개발 지원을 위한 슈퍼컴 3호기 도입 및 설치
- 3호기가 운영될 국가기상슈퍼컴퓨터센터 준공 완료 및 준공식 개최(3.29)
- 슈퍼컴 3호기 초기분 설치 완료(3.11) 및 검사검수 완료(6.4)
- 매주 슈퍼컴퓨터센터 추진기획단 점검회의 개최(1~6월, 총14회)
○ 3호기 기반의 수치예보모델 현업운영체계 구축
- 3호기 초기분 시스템에 수치예보모델 설치 및 시험운영 실시(3.22, 00UTC 부터)
- 3호기 초기분 시스템에서 수치예보모델 현업운영 실시(5.14, 00UTC 부터)
○ 수치예보모델 프로그램 기술 지원 (총17건 접수) - 전화 및 이메일접수건 제외
No |
부서 |
접수일자 |
진단 및 처리 내용 |
완료일자 |
1 |
수치모델개발과 |
1월 20일 |
앙상블에서 Segmentation Fault 에러 발생 |
2월 2일 |
2 |
수치자료응용팀 |
1월 21일 |
UMVAR 480개 이상의 CPU 사용 가능과 최적화 |
3월 9일 |
3 |
기후연구과 |
1월 26일 |
HadGEM3 N96L85를 기반으로 한 GloSea4 최적화 |
5월 20일 |
4 |
수치모델개발과 |
2월 2일 |
ETKF에서 입력자료가 있는 경우 Seg. Fault 발생 |
2월 4일 |
5 |
기후예측과 |
2월 18일 |
장기예측모델용 GDAPS 최적화 및 병렬화 |
5월 19일 |
6 |
수치자료응용팀 |
3월 4일 |
전후처리시스템에 ODB 및 자료 처리 포팅 |
3월 18일 |
7 |
수치자료응용팀 |
3월 3일 |
인터림에 UMVAR 24.3 버전 포팅 |
3월 30일 |
8 |
수치모델개발과 |
3월 19일 |
KWRF POST 과정 최적화 |
5월 20일 |
9 |
수치자료응용팀 |
3월 24일 |
전후처리시스템에서 OPS 수행시 MPI_Bsend 오류 |
3월 30일 |
10 |
수치자료응용팀 |
3월 24일 |
OPS에서 obstore 생산 부분 병렬화 |
6월 15일 |
11 |
기후연구과 |
4월 9일 |
HadGEM3에서 3개월 적분중 모형 중단 디버깅 |
5월 20일 |
12 |
수치모델개발과 |
4월 16일 |
MOGREPS 7.5 버전 최적화 |
6월 20일 |
13 |
수치모델개발과 |
5월 12일 |
초기분에서 ETKF 수행이 느려지는 현상 |
6월 1일 |
14 |
수치자료응용과 |
5월 13일 |
UMVAR vn26.1 포팅 및 최적화 |
진행중 |
15 |
수치모델개발과 |
6월 15일 |
UM vn7.5 N512L70의 IO 디버그 및 최적화 |
진행중 |
16 |
기후연구과 |
6월 16일 |
HadGEM3에서 auto- resubmit 디버깅 |
6월 25일 |
17 |
기후연구과 |
6월 16일 |
HadGEM3 N96L38 디버깅 및 최적화 |
진행중 |
- 82 -
○ 슈퍼컴 3호기의 효율적 운영지원을 위한 워크숍 및 교육
- 슈퍼컴 3호기 관리자 교육 실시 (4인, 3.31~4.14, 미국 크레이 제작사 교육센터)
- 슈퍼컴 3호기 초기분 기반 수치예보 현업화 준비를 위한 워크숍 개최 (5.6~5.7, 수치모델관리관외 15명, 오창센터)
- 2010년도 슈퍼컴퓨터 사용자 워크숍 개최(6.30~7.1, 본청/지방청 및 관련기관 약 70여명, 대전 리베라호텔)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계 획 |
추 진 실 적 |
비고 |
3월 |
○ 슈퍼컴퓨터 3호기 초기분 설치 완료 |
○ 슈퍼컴 3호기 초기분시스템 설치완료(3.11) - 계산시스템(XT5), 전후처리서버(4조), 로그인서버(2조), 디스크저장장비(2PB), 테이프백업장비(4PB) |
정상 |
○ 3호기 초기분 기반 수치예보 시험운영 |
○ 3호기 초기분 기반 수치예보 시험운영 실시(3.22,00UTC부터) - 대상 : 전구/지역 통합모델, KWRF, 파고모델, 폭풍해일모델 등 |
정상 |
|
○ 국가기상슈퍼컴퓨터센터 준공식 |
○ 국가기상슈퍼컴퓨터센터 준공식 개최(3.29,14시) - 참석 : 환경부장관, 충북도지사, 조달청장, 공군기상전대장 등 |
정상 |
|
○ 슈퍼컴퓨터 3호기 관리자 교육 |
○ 3호기 관리자 교육 실시 - 대상자 / 기간 : 오하영, 김정훈, 장민수, 김진영 / 3.31~4.16 (17일간) - 교육장소 : 미국 위스콘신주 크레이 제작사 교육센터 |
정상 |
|
5월 |
○ 3호기 초기분 기반 수치예보 현업화 워크숍 |
○ 수치예보 현업화 워크숍 개최 - 기간/장소/참석자 : 5.6~5.7 / 오창 국가기상슈퍼컴퓨터센터 / 수치모델관리관 외 15명 |
정상 |
○ 3호기 초기분 기반 수치예보 현업운영 |
○ 3호기 초기분 기반 수치예보 현업운영 실시(5.14,00UTC부터) - 대상 : 전구/지역 통합모델, KWRF, 파고모델, 폭풍해일모델 등 |
정상 |
|
6월 |
○ 2010년도 슈퍼컴퓨터 사용자 워크숍 |
○ 슈퍼컴퓨터 3호기와 통합모델 운영정보 공유, 효율적 활용방안 모색 - 일시 / 대상 : 6.30~7.01 / 기상청 및 공군, 관련대학 슈퍼컴 사용자 70명 내외 |
정상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달성도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사용자 지원 만족도 |
목표치 : 상반기 만족도의 105% |
○ 7월중 상반기 사용자 지원 결과에 대한 만족도 조사 예정 |
- 83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초단기예보 상반기 시행 정책 결정(예보정책과, 4.06) - 동네예보와 연계하여 실황과 1시간 간격 예보를 통하여 이음새 없는 예보시스템 구축 ○ 초단기예보 시행을 위한 협조 요청 - 초단기예보 시행을 위하여 기존 KLAPS 2.2버전을 3.0으로 업그레이드하여 시험 및 현업운영을 할 예정 - 이에 필요한 슈퍼컴 자원 제공과 기술 및 운영 지원 요청 (예보정책과, 5.17) - KLAPS3.0 협업화 요청(예보정책과, 6.03) |
○ 초단기예보 추진 TFT 참여(예보정책과, 4.06) - 기획단(이희상 과장), 실무반(이정환 서기관) ○ 초단기예보 시험운영을 위하여 슈퍼컴퓨터 3호기 초기분 자원 제공(5.17~) - 대상모델 및 작업 : KLAPS 3.0 모델 시험운영 ○ 초단기예보 현업운영을 위하여 KLAPS 3.0 모델 현업 설치(6.8~6.11) - 예보연구과와 공동으로 6.8~6.11(4일간) KLAPS 3.0을 슈퍼컴 3호기 초기분에 현업 설치 작업 수행 ○ KLAPS 3.0 모델 슈퍼컴 3호기 초기분에서 현업 운영 실시(6.15, 00UTC~)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슈퍼컴퓨터센터 추진기획단을 통한 관련 부서간 협조 체계 구축 - 수치모델개발과, 수치자료응용팀, 운영지원과, 정보통신기술과, 기후예측과, 예보연구과, 황사연구과, 기후연구과 등 |
○ 추진기획단 점검회의 개최(1월~6월, 총14회) ○ 기후연구과 기후예측모델 및 시나리오생산모델 3호기 구축을 위한 협의(4.27) ○ 유관기관(정보통신기술과) 및 기상사업자(기상산업정책과)에 통합모델 결과 제공(5.14) ○ 위성기상산출물 생산을 위한 통합모델 자료제공요청 (위성분석팀, 5.19) - 5월 19일부터 위성기상산출물 생산용 통합모델 자료 제공 ○ 황사모델 3호기 초기분 설치를 위하여 황사연구과와 공동 작업 수행(6.16) |
- 84 -
관측기반국
2010년도 상반기 성과점검회의
• 관측정책과 85
• 해양기상과97
• 기상기술과102
|
Ⅴ- 1- 주요정책① : 기상관측 첨단화와 표준화 |
□ 목 적
○ 기상관측의 첨단화와 목측관측의 자동화로 고품질의 실시간 기상관측자료의 안정적 생산
※ ‘2009~2013 기상관측 발전 기본계획’의 실천
○ 한정된 국가자원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부처간 협력 증대
— 기상관측시설의 표준화와 기상관측자료의 공동 활용 강화
○ 정확한 관측자료의 생산기반 마련을 위한 관측장비의 성능 검증 시스템 구축
— 기상관측장비 성능시험을 위한 표준관측시설 조성
□ 주요내용 및 성과
○ 첨단기상관측장비의 도입 및 목측관측요소의 자동화로 고품질 기상관측자료의 안정적 생산
— 선진국의 자동기상관측망 현황 및 통계자료 조사(1.8)
— 자동기상관측장비 첨단화를 위한 TFT 구성(2.4) 및 연찬회 개최(3.11~12)
— 수동 및 목측관측장비의 첨단화를 위한 기본계획 수립(3.31) 및 13개 기상장비업체를 대상으로 사업설명회 개최(4.21)
○ 관측기관의 견학의 장으로 활용할 표준화 시범기상관측시설 4개소 조성
— 대전광역시 세천지점 및 광주광역시 광산지점 2개소 조성 완료(6.22)
— 서울특별시 하늘공원 내에 1개소 조성 협의 중, 충북 음성지점 1개소 국유지 관리환 추진 중
○ USN 기술을 이용한 통합형 자동기상관측장비 현장 시험
— 추풍령 표준기상관측소 내에 시스템 설치(4.16) 및 시험 운영 중
○ 관측장비 성능 시험을 위한 비교관측 및 표준관측소 환경조성
— 추풍령 표준기상관측소 실험동 증축 및 옹벽공사 설계용역(2.24~4.12) / 공사 조달공고 중
— 기상장비 비교관측 및 성능시험 방법 도출에 관한 연구(5.31~12.15, 강릉원주대학교)
— 도시‧산악지역 시범관측망 시험운영 계약 체결(6.17, 을지로 주변 및 관악산 정상)
- 85 -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계 획 |
추 진 실 적 |
비고 |
1월 |
○ 공동협력기상관측소 설립 계획 수립 |
○ 최적 운영 계획 수립(1.15) - ‘16년까지 19개소 운영 계획 포함 |
정상 |
2월 |
○ '09년 하반기 기상관측시설 표준화 등급 평가 |
○ '09년도 하반기 기상관측시설 등급평가 실시('09.12.23~‘10.2.28) - '09년 12월말 기준 총 대상시설 3,338개소 중 우수등급 이상 1,900개소(57%) - 기상관측표준화실무위원회에 안건 상정(3.16) |
정상 |
○ 공동협력기상관측소 실무위원회 개최 |
○ 정선군공동협력기상관측소 설립 실무위원회 개최(2.11) |
정상 |
|
3월 |
○ 표준화 시범기상관측시설 조성 계획 수립 |
○ 4개소 조성 계획 수립(관측정책과- 899, 3.22) - 광역지자체 4개 지역 대상(인천‧광주‧대전‧충북 지역) |
정상 |
○ 차세대 지상관측장비 설계 |
○ TFT 구성(2.24) 및 워크숍 개최 결과 보고(3.29) - 통신방식을 포함한 기상센서의 개선 방식 등 설계 |
정상 |
|
4월 |
○ 지상기상관측장비 첨단화 추진계획 수립 |
○ 자동기상관측장비 첨단화 기본계획(안) 수립(3.31) - 각종 센서의 관측방식 변경 및 연차별 계획 포함 |
정상 |
○ 공동협력기상관측소 관측환경조사 |
○ 정선군공동협력기상관측소 관측환경 조사(2.11) ○ 광양시공동협력기상관측소 관측환경 조사(4.23) |
정상 |
|
○ 기상관측표준화위원회 개최 |
○ 제5회 기상관측표준화위원회 개최(1.6~15, 서면) - 심의안건 1건, 보고안건 1건 의결 처리 ○ 제6회 기상관측표준화위원회 개최(4.21) - 심의안건 2건, 보고안건 1건 의결 처리 |
정상 |
|
5월 |
○ 재해성 기상현상 집중관측 계획 수립 |
○ 수도권 지역 위험기상현상 구조 관측 및 조기감시 기능 강화 계획 수립(예보연구과- 1265, 5.31) - 하절기동안 서울 외곽 지역 고층관측(세 지점) 및 서울 내 GPS 가강수량 관측 등 |
정상 |
6월 |
○ 표준화 시범기상관측시설 조성 점검 |
○ 조성 점검(6.15) 및 결과 보고(관측정책과- 2134, 6.22) - 2개소 조성 완료(대전 세천지점, 광주 광산지점), 조성예정 2개소 조성계획 및 향후 일정 점검 |
정상 |
- 86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기상관측표준화율(%) |
60 |
연지표 |
○ 연 지표로 현재 타 관측기관의 상반기 실적을 확인하고 있음(7월중 집계 예정). |
기상관측첨단화율(%) |
10 |
연지표 |
○ '10년도 첨단관측장비 도입을 위한 구매규격서 작성 완료(6.17) |
관측정보의 단기예보정확도 개선효과(강수유무)(%) |
1.5 |
연지표 |
○ 하반기 평가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사물지능통신망(O2N) 도입 계획 수립(정보통신기술과, 3.31) - 자동기상관측자료 수집체계를 유선망에서 사물통신망으로 변경 ○ 표준화 시범기상관측시설 설치 예정지역의 실사 - '10년도 설치계획(4개소) 지역 중 인천광역시 설치장소의 미흡 |
○ 기상관측망 고도화를 위한 관련부서 회의 개최 2회(4.8, 5.27) - 자동기상관측장비 첨단화 및 사물지능통신망 도입의 효율적인 연계방안 검토 ○ 표준화 시범기상관측시설 조성 적정 지역 물색 - 서울특별시 마포구 소재 하늘공원을 대상으로 선정 및 협조 요청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26개 관측기관 간 관측표준화 사안 검토를 위한 위원회 구성 - 국가기관(4), 지방자치단체(16), 공공기관(6) ○ 기상청- 서울특별시간 업무협약(2.8)으로 도시관리를 위한 도시기상관측 기준 마련 - USN 기술을 활용한 기상‧수문‧환경 등 통합 관측환경 구축 |
○ 제8회(3.24) 및 제9회(6.17) 기상관측표준화실무위원회 개최 - 제8회 : 위원회 상정안건 3건 검토 및 사전 조정 - 제9회 : 위원회 상정안건 1건 검토 및 사전 조정 ○ 도시‧산악기상 시범관측망 구축을 위한 설치장소 선정 협조(6.16) - 을지로 주변지역 및 관악산 등산로에 USN 관측장비 설치 |
- 87 -
Ⅴ- 1- 일반재정① : 지상기상 및 지진관측망 확충 |
□ 목 적
○ 고품질의 기상관측자료 생산을 위한 지상기상관측망 확충 및 노후 장비의 성능 보강으로 예보정확도 향상에 기여
○ 황사관측공백지역에 관측장비 확충 및 조기경보 체제 구축을 통해 예보정확도 향상
○ 신속하고 정확한 지진분석‧통보체계 구축을 통해 지진재해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 보호
□ 주요내용 및 성과
○ 기상재해 대처능력 향상과 예보 지원을 위한 노후화된 자동기상관측장비 교체 추진 [관측정책과]
— 선진국의 자동기상관측망 현황 및 통계자료 조사(1.8)
— 수동 및 목측관측장비의 첨단화를 위한 기본계획 수립(3.31) 및 13개 기상장비업체를 대상으로 사업설명회 개최(4.21)
— 구매 규격서 작성 완료(6월)
○ 안개관측장비 2010년도 도입분 26대 조달 입찰(6.14) [관측정책과]
○ 한중 황사공동관측소 운영자 교육 실시(1.27~2.5) [국립기상연구소 황사연구과]
— 대상/내용 : 중국 황사관측담당자 14인 / 황사장비 관측원리, 운영, 활용사례 등
○ 국내 황사관측망 유지관리 및 환경개선을 위한 황사관측장비 정기점검 실시(3~7월) [국립기상연구소 황사연구과]
○ 국가 지진관측망의 확충 및 보강 [지진정책과]
— 2010년도 지진관측망 확충 및 보강계획(안) 수립(1.14)
— 2010년도 제1차 지진 및 지진해일 관측기관협의회 개최(5.27)
— 지진 및 지진해일 관측망 종합계획(2010~2014) 수립(6월말 예정)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 황사관측자료 수집률(%) |
98.4 |
98.0 |
○ 전국 28개소의 5분자료 수집율 계산(‘10년 5월까지) |
○ 지상기상관측 1분자료 실시간 제공율(%) |
99.6 |
99.6 |
○ 전국 544개소 AWS에 대한 사전 예방정비로 실시간 자료 제공율 목표 달성(‘10년 5월까지) |
- 88 -
○ 무인 및 위탁관측소(영덕, 청원 등)의 자료 수집율이 다소 낮아 5월까지 황사관측자료 수집율이 목표치에 약간 미달하나 관측장비 특별 유지보수(7월)가 끝나면 하반기 중에는 목표치를 달성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선진국의 자동기상관측망 현황 및 통계자료 필요 - 기상선진국의 기상관측장비(자동기상관측장비, 자동적설관측장비 등) ○ 기상관측장비의 실시간 모니터링 및 관측자료 품질관리 효율적 운영 필요 - 관측자료 품질관리 권한을 일선관서로 변경하였으나 부작용 우려 ○ 유관기관 관측자료 활용을 위한 품질관리 강화 필요 |
○ 자동기상관측장비 첨단화를 위해 미국, 일본 등 선진국의 현황 및 통계자료 조사 - 미국, 일본, 유럽, 프랑스, 스위스, 호주 등의 자동기상관측장비, 자동적설관측장비 등 ○ 자동기상관측장비 운영 및 품질관리체계 개선 계획 수립 - 서울기상관측소를 전국 기상관측장비 감시센터로 운영 및 품질관리 승인 권한 재조정 - 방재기상대책 강화를 위한 실무지도점검(5.17~5.25) ○ 유관기관 관측자료의 품질강화를 위해 합동 워크숍, 교육 등 실시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방재 유관기관 관측자료 품질관리체계 구축 협력 ○ 한‧중 황사공동관측소 운영자 교육 협력 운영 ○ 지진 및 지진해일 관련 유관 관측기관 협의 |
○ 방재 유관기관의 기상관측자료 품질관리 강화를 위한 교육운영(6.9- 6.11) - 공공기관, 지자체 등 유관기관의 기상관측업무 종사자를 대상으로 교육 실시 ○ 한‧중 황사공동관측소 운영자 교육 실시(1.27~2.5) - 대상/내용 : 중국 황사관측담당자 14인/황사관측장비(PM10) 관측원리, 운영 등 ○ ‘10년도 제1차 지진 및 지진해일 관측기관협의회 개최(5.27) - 관측망 종합계획, 지진해일 관측장비 성능·규격 등 주요현안 심의 및 협의 (국립해양조사원 등 9개 기관) |
- 89 -
Ⅴ- 1- 일반재정③ : 고층기상관측망 확충 |
□ 목 적
○ 고밀도 고층입체 감시망 구축으로 집중호우, 태풍 등 위험기상으로 인한 기상재해 경감에 기여
○ 기상레이더 관측의 첨단화‧선진화를 통해 태풍, 집중호우 등 위험기상으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 보호
□ 주요내용 및 성과
○ 고층기상관측자료 품질 향상 및 활용기반 확대 [관측정책과]
— 중규모 기상현상의 입체적 감시 및 분석능력 향상을 위한 고층기상관측자료 품질향상 추진계획 수립(2.26)
— 고층기상관측자료 품질관리 개선을 위한 연구용역 추진(‘10.3.1~’12.2.29)
— 고층기상관측장비 표준규격(고시) 일부개정 추진계획 수립(4.15)
— 라디오존데 관측자료의 품질 확보를 위해 WMO 국제비교관측(7.12~31) 지원계획 수립(4.15)
○ 고층기상관측장비 운영 효율화 [관측정책과]
— 측기모델 변경에 따른 자료 연속성 평가 활용을 위한 라디오존데 비교관측 실시(‘09.9.8~’10.3.2)
— 라디오미터의 효율적 운영 및 장애 최소화를 위한 제작사 정기점검 실시(3.15~19)
— 여름철 방재기간 대비 고층기상관측장비 사전점검 실시(5.1~5.13)
— 울릉도 고층기상관측서 신설을 위한 관측환경 현장조사(5.26~28)
○ 레이더 관측의 첨단화‧선진화 추진 [기상레이더센터 레이더운영팀]
— 레이더 관측 정확도 향상 및 운영 효율성 증대를 위한 레이더 첨단화 ‧선진화 구축 중장기 계획 수립(5.28)
— 레이더 중앙관제시스템 구축 계획 수립(6.30)
— 기관별 운영 중인 레이더의 범정부적 관측체계 구현을 위한 「기상- 강우 레이더 융합행정 업무협약」체결(6.30)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 고층관측자료의 수치예보제공율(%) |
92.2 |
99.3 |
○ 방재기간 대비 고층기상관측장비(9개소) 사전점검으로 자료제공율 초과 달성(‘10년 5월까지) |
○ 레이더관측 정확도(%) |
82 |
78.6 |
○ 레이더관측 정확도 향상 추진 - 레이더자료 활용기술 개발 계획(3.30) 및 레이더자료 품질관리 고도화 계획(6.23) 수립 - 레이더 관측정확도 개선을 위한 관측파라미터 조사 계획(안) 수립(5.18) |
- 90 -
○ 목표 미달성 사유
— 레이더관측정확도는 레이더강우량 추정정확도(60%)와 호우특보정확도(40%)의 합산으로 산출되는 지표로, 겨울 및 봄철 강수와 호우특보 발표건수가 적어 목표치에 미달이나, 최종 연 평가 시에는 목표치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고층기상관측자료의 품질향상 및 활용 확대를 위한 대책 마련 필요 ○ 최근 도입된 고층기상관측자료의 특성 분석 및 활용방안 마련 필요 ○ 기상레이더센터 조직 신설(4.13) |
○ 고층기상관측자료 품질향상 추진계획 수립(2.26) - 한반도 고층대기 통합관측시스템 구축 및 고층기상관측자료의 수치모델 활용 확대 ○ 고층기상관측자료 품질관리 개선을 위한 연구용역 수행(3.12) ○ 기상레이더센터 개소(5.26) 및 레이더 첨단화‧선진화 구축 중장기 계획 수립(5.28)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고층기상관측자료의 공동 활용을 위한 유관기관 협력 ○ 학계와 고층기상관측장비 성능평가 및 기술 자문을 위한 협조 체계 구축 ○ 기상- 강우 레이더 융합행정을 위한 업무협력 추진 ○ 레이더자료의 표준화 및 운영경비 절감 추진 |
○ 고층기상관측 수증기량 산출시스템 구축을 위한 협력 - 한국천문연구원, 국토지리정보원, 국토해양부 등과 업무 협의 - 라디오존데 관측자료 품질 강화를 위한 WMO 국제비교관측 지원(4.15) ○ 한국교원대학교, 서울대학교 등과 고층기상관측장비 성능 및 자료 활용 협의 ○ 국방부‧국토해양부‧기상청간 기상- 강우레이더 융합행정 추진 - 융합행정체계 구축을 위한 실무회의(5.19) 및 합동 현장방문(5.26) - 기상- 강우레이더 융합행정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6.30) ○ 기상레이더 도입 기종의 통일 추진을 위한 조달청과 장기계속계약 방안 협의(6.16) |
- 91 -
Ⅴ- 1- 일반재정④ : 국가기상관측의 표준화 |
□ 목 적
○ 기상청 등 27개 관측기관에서 수행하고 있는 기상관측표준화로 국가적 기상관측자료의 공동활용 체계 구축
○ 국가 기상관측장비의 체계적 관리 및 기상측기의 적합성 판정을 통한 관측 자료의 신뢰성 확보
○ 국제공인 교정기관 운영 및 시설 운영
□ 주요내용 및 성과
○ 기상청 관측시설의 표준화
— 관측환경 개선 6개소 완료 및 추진 중 48개소(금년 중 총 110개소)
— 관측환경 개선을 위한 부지 구입 추진(매입완료 1, 부지매입 추진 중 7, 관리환 취득 추진 중 2)
— 자동기상관측장비(AWS) 강수량계 바람막이 100개소 설치
○ 타 관측기관 기술지원을 위한 청내 기술지원반 구성 및 워크숍 개최(2.25~26)
○ 표준기상관측소의 일사비교측정시스템 구축
— 기준일사계(절대복사계) 도입을 위한 조달 공고(6.21, 수량 1식/ 60백만원)
○ 기상관측의 고도화 기반 조성
— 실험동(성능시험실, 열린 실험실 등) 증축 설계 용역(2.24~4.12) 및 조달공고(6.14)
○ 국가 교정기관 운영 및 검‧교정 장비 보강
— 온도 시험장비(정밀온도 브릿지) 조달 공고(6.10, 수량 1식/70백만원), 무게식 강수량계 3종 조달 계약(6.30, 45백만원)
- 92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표준화대상기관 방문 지도율(%) |
31 |
연지표 |
○ 표준화 시범기상관측시설 조성 완료(2개소/4개소) - 대전광역시 세천지점, 광주광역시 광산지점 |
○ 목표 미달성 사유 및 조치계획 : 해당사항 없음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한국기상산업진흥원의 대행역무사업 승인(3.19) - 기상측기 검정업무 위탁에 따른 검정업무 개선 필요 |
○ 기상측기 검정업무 개선 계획 수립‧시행(3.29) - 검정 유효기간 현실화, 검정장비 활용방안 마련, 지상기상관측지침 개정 등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관측환경 개선을 통한 양질의 관측 자료 공동활용 - 광주광역시 농업기술센터 내설치 AWS 지상화 |
○ 표준화 시범기상관측시설 조성 완료 - 건물 옥상에 설치된 관측시설을 관측환경이 양호한 지상의 일정 부지(225㎡) 조성을 통해 이전 설치 |
- 93 -
자체주요업무 : 관측자료 신뢰도 제고 및 수치모델 활용 확대 |
□ 목 적
○ 고품질, 고분해능 기상관측자료 생산을 위한 첨단 자동기상관측장비 도입으로 관측자료의 신뢰도 제고
○ 기상관측망 설치ㆍ운영을 국가기관 직접 관리방식에서 민간위탁 방식으로 전환하여 행정ㆍ경영의 효율성 극대화
○ 고층 입체감시망 구축과 고품질 관측 자료 생산을 통한 위험기상감시능력 제고로 기상재해 경감에 기여
□ 주요내용 및 성과
○ 자동기상관측장비 첨단화 추진 [관측정책과]
— 자동기상관측장비 첨단화를 위한 TFT 연찬회 개최(3.11~12)
— 자동기상관측장비 첨단화 기본계획 수립(3.30)
— 구매 규격서 작성 완료(6월)
○ 기상관측장비 구매·유지보수 민간위탁 추진 [관측정책과]
— 기상관측장비 구매‧유지보수 대행역무사업 계약 체결(2.24)
— 대행역무 세부사업 수행을 위한 대행역무사업 세부사업집행계획 수립(3.18)
— 기상관측장비 구매‧유지보수 대행역무사업의 중간점검 및 평가 실시(6.15)
○ 한반도 고층대기 관측망 확충과 고층기상관측자료 활용성 제고 [관측정책과]
— 기상현상의 입체적 감시 및 분석능력 향상을 위한 고층기상관측자료 품질향상 추진계획 수립(2.26)
— 항공기 기상관측자료 수집 확대(14대⇒19대/4.21) 및 GTS 국제방송 실시(6.1~)
- 94 -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계 획 |
추 진 실 적 |
비고 |
2월 |
○ 고층기상관측자료 품질향상계획 수립 |
○ 고층기상관측자료 품질향상 추진계획 수립(2.26) - 한반도 고층대기 통합관측시스템 구축, 고층기상관측자료 수치모델 활용 확대 및 품질관리 |
정상 |
3월 |
○ 기상관측장비 구매·유지보수역무대행계약 체결 |
○ 기상관측장비 구매‧유지보수 대행역무사업 계약 체결(2.24) |
정상 |
○ 고층기상관측자료 자료품질관리 개선연구과제 착수보고 |
○ 고층기상관측자료 품질관리 개선 연구용역 착수보고회 개최(3.11) - 연구기간/연구개발비 : ‘10.3.1- ’11.2.28 / 68백만원 |
정상 |
|
4월 |
○ 기상관측망 설치·운영지침 발간 |
○ 기상관측망 설치·운영지침 발간(4.12) |
정상 |
○ 자동기상관측장비 첨단화를 위한 관련부서 회의 및 워크숍 개최 |
○ 자동기상관측장비 첨단화를 위한 TFT 연찬회(3.11~12) ○ 자동기상관측장비 첨단화 기본계획 수립(3.30) |
정상 |
|
○ 아시아나항공 항공기기상관측자료 추가 수집 및 활용 서비스 |
○ 항공기 기상관측자료 수집‧활용 실무자회의 개최(3.18) ○ 항공기 기상관측자료 활용 확대(4.21) |
정상 |
|
5월 |
○ 울릉도 고층기상관측소 신설 현지조사 |
○ 울릉도 고층기상관측소 신설을 위한 관측환경 현장조사(5.26- 28) |
정상 |
6월 |
○ 자동기상관측장비 첨단화 구매규격서 작성 및 구매 발주 |
○ 자동기상관측장비 첨단화 구매규격서 작성 - 작성 완료 및 장비도입심의위원회 개최(6.17/한국기상산업진흥원) |
정상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 지상 기상관측자료 품질도 |
96.0 |
99.7 |
○ 신속한 대응으로 실시간 제공율 향상 |
○ 고층기상관측자료 수치예보모델 제공률 |
91.3 |
99.3 |
○ 고층기상관측자료 품질향상 추진 및 품질관리 개선을 위한 연구용역 수행 |
- 95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기술의 발달과 행정‧경영의 효율성 극대화를 위하여 공공부분의 관리가 국가기관 직접 관리방식에서 민간위탁 방식으로 변화 |
○ 기상관측망 설치 및 운영 민간위탁 추진 - 기상관측장비 구매‧유지보수 대행역무사업 계약 체결(2.24) — 대행역무 세부사업 수행을 위한 대행역무사업 세부사업집행계획 수립(3.18) — 기상관측장비 구매‧유지보수 대행역무사업의 중간점검 및 평가 실시(6.15)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항공기 기상관측자료 수집‧활용 협력 증진을 위한 협약 체결(‘09.11.24) - 기상청- 아시아나항공(주) MoU 체결 |
○ 항공기 기상관측자료 14대에서 19대로 수집 및 활용 확대 - 아시아나항공(주)과 항공기 기상관측자료 수집 및 활용을 위한 2차 실무자협의 개최(3.18) - 아시아나항공(주)의 항공기 5대 기상관측자료 수집 및 활용(4.21) - GTS 국제방송 실시(6.1) |
- 96 -
|
Ⅱ- 2- 주요정책② : 해양기상 서비스 강화 |
□ 목 적
○ 해양기상기술 향상 및 해양기상서비스 발굴을 통한 수요자 중심의 서비스 개선 및 고객 만족 실현
— 영역기상방송(WE- FAX) 개선, 연근해 선박 기상정보 발표 및 연안실황정보 휴대폰 서비스 등을 통한 해양기상정보 서비스 강화
○ 해양기상관측망 확충 및 유관기관 협력을 통한 해양감시능력 향상
— 해양 유관기관과의 관계 증진을 통한 공동 관측망 운영 및 자료 공유 확대
○ 해양기상정보에 대한 신뢰도 향상과 대기- 해양 종합 감시체계 구축으로 해상교통안전 및 수난사고 안전사고 경감에 기여
□ 주요내용 및 성과
○ 해양기상서비스 향상 중점 추진과제 발굴을 통한 수요자 중심의 새로운 해양기상정보 서비스 기반 구축
— 연근해 선박 기상정보 및 해양기상 수치예측정보 개발‧제공, 지역특성에 맞는 맞춤형 해양기상서비스 실시
○ 해양 관계기관, 학계 및 원양 선박(자원관측선박 선사) 등과의 활발한 교류를 통한 부족한 해양관측자료 공유 확대 추진
— 국토해양부(15개소/항로표지자료), 한국해양연구원(6개소/부이, 해양기지자료 등), 국립해양조사원(5개소/항로표지자료)
○ 해양 유관기관과의 관측자료 공유를 통한 국가 공동해양관측망 구축 기반 조성 및 중복투자 방지를 통한 예산절감 효과
— 타 기관 해양기상관측망 공동 활용으로 해양관측장비 설치 비용 49억 절감(부이 4대, 등표 22대)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계 획 |
추 진 실 적 |
비고 |
2월 |
○ 영역기상방송 개선 TFT 회의 개최 |
○ 영역기상방송 발전 기획단 TFT 회의 개최(2회/1.27, 3.26, 6.1) - 편집일기도, 파랑실황도 개선 추진 및 영역기상방송 콘텐츠 개선사항 검토 |
정상 |
3월 |
○ 유관기관 해양기상관측자료 공유 확대 |
○ 유관기관 해양기상관측자료 공유 확대 및 활용 - 국토해양부(15개소), 한국해양연구원(6개소), 국립해양조사원(5개소) 관측자료 COMIS- 3 표출 ○ 유관기관 해양기상관측자료 공유 실적 보고(3.31) |
정상 |
5월 |
○ 해양관계기관 회의 개최(타부처) |
○ 해양기상 관계기관 회의 개최(5.25/국토해양부 등 6개 기관) - 기관별 해양기상관측망 구축 현황 및 계획, 관측자료 공동활용에 따른 품질관리 방안 검토 |
정상 |
6월 |
○ 자원관측선박(VOS) 선사 간담회 |
○ 자원관측선박 선사 간담회 개최(2.24/고려해운(주), 한진해운(주), 현대상선(주)) - 선박기상관측법, 2010년도 운영계획 및 참여선박 특별서비스 현황 점검 및 토의 |
정상 |
- 97 -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해양기상서비스 지수 |
80.0 |
81.1 |
○ 해양기상서비스 지수 : 81.1%(5월까지 실적) - 선박기상정보 정확도(35%) : 전년대비 약 20% 상승(42.6% → 51.1%) - 정보제공 실적(35%) : 연근해 선박기상정보 제공 100%(총 5회) - 관측정보 품질도(30%) : 5월까지 실적(94.19%)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연근해 및 원해역 항행 선박 설문조사('09.11.23.~12.6.) 시 고객 의견 수렴 - 지역별, 산업별 해양정보 수요고객 요구(특성에 맞는 해양정보 제공 요청) - 다양한 해양정보 수요고객을 고려하지 못한 일방적 형태의 해양기상서비스 제공에 따른 정보실효성 및 만족도 저하 ○ 영역기상방송(WE- FAX) 개선을 위한 설문조사('09.11.23.~12.6.) 실시 - 조사대상 : 국립해양조사원, 어업지도사무소(서해, 동해), 해양경찰청, 해군 등 5개 관공서, 수협, 한국선주협회, 여객선사 등 단체(총 160명) - 내용 : 서비스 이용실태, 주 이용정보, 정보별 만족도 및 개선사항 등(총 19개 항목) - 개선의견 : FAX 수신기 기능 향상, WE- FAX 해상도 개선, 구역별 세밀한 정보 제공, 실시간 정보 제공 등 ○ 육상에 비해 부족한 해양기상관측장비로 인해 제기되는 지자체의 관측망 확대 요구 - 울릉군(재난안전관리과)의 울릉도 해양기상관측부이 신설 건의 민원 제기(4.12.) |
○ 의견 수렴 및 환류를 통한 수요자 중심의 다양한 해양기상정보 서비스 발굴‧제공 - 전국 19개 해양기상대의 특성을 살린 “로컬 해양기상정보” 발굴 추진(2.23.) - 연근해 선박기상정보 제공(1.29∼/매월) - 해양기상 수치예측 정보 서비스 시행(4.20∼/매일 15시/이메일) ‧제공기관 : 해양경찰청, 해군, 국립수산과학원, 수산업협동조합, 한국해운조합, 어업지도사무소 ○ 영역기상방송(WE- FAX) 개선을 위한 설문조사(11.23.~12.6.)에 따른 의견 수렴 및 환류 - 설문결과 분석을 통한 영역기상방송 발전 기획단 TFT 운영으로 단계적 개선 추진 - 영역기상방송(WE- FAX) 방송 콘텐츠 개선을 위한 TFT 구성 및 운영(3회) ‧연근해 파랑실황도 개발 완료(5월) 및 편집일기도 개선 추진 - 실시간 해양관측자료 및 예측정보 제공을 위한 서비스 개발 추진 ‧ ‘IT기반 해양 기상정보 수신기 개발’ 제안 발표회 개최(5.25.) ○ 울릉도∼독도 항로 및 울릉도 연안해상의 부이 설치 계획 추진(5.13., 6.17.) - 독도 연안 부이 설치(‘10년 8월 설치 예정/장주기파 탐지용) - 울릉도~독도 항로(NOMAD부이) 및 울릉도 연안(파고부이/'11년 설치 예정) |
- 98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기상청- 국립수산과학원간의 한국해양자료센터(KODC) 공동운영 협약을 통한 해양자료의 공동 운영 기반 구축 ○ 해양 유관기관과의 해양기상관측자료 공유를 위한 기반 구축 - 협력기관 : 국토해양부, 국립해양조사원, 국립수산과학원, 한국해양연구원 |
○ 한국해양자료센터 공동운영 실무협의회(5.13.) - 공동운영 세부절차, 교환자료 종류 및 방법, 적조관련 협조사항 등 협의 ○ 적조확산 예측 및 모델 개발 지원을 위한 업무협의(6.18.) - ‘해상풍‧파고 실황 및 예상도’ 수치자료 등 기상청 자료 제공(7월 제공 예정) ○ 국토해양부, 국립해양조사원, 국립수산과학원 등 해양유관기관과의 자료 공유 확대 - 한국해양자료센터(KODC) 공동운영 협약 체결(1.25.) - 해양 관계기관 회의 개최(5.25.)를 통한 관측자료 공유 및 품질관리 방안 검토 ‧자료 공유 현황 : 국토해양부(15개소), 한국해양연구원(6개소), 국립해양조사원(5개소) - 자원관측선박 선사 간담회(2.24)를 통한 국내 자원관측선박 증설을 위한 협의(5.4.) |
- 99 -
Ⅴ- 1- 일반재정② : 해양기상관측망 확충 |
□ 목 적
○ 한반도 주변해역에 대한 기상감시를 위해 해양기상관측망의 단계적 확충 및 체계적 운영
○ 고품질의 실시간 해양기상관측자료를 예보관에 제공하여 기상재해 예방 및 예보정확도 향상에 기여
○ 해양, 수산, 해운 등 분야 국민들에게 신속 정확한 해양기상관측자료 제공으로 어업, 선박 안전운항 등에 기여
□ 주요내용 및 성과
○ 해양기상관측망 확충 추진
— 파고 부이 구축 사업 조달 계약 의뢰(6.11./7개소)
○ 연안방재관측시스템 구축 추진
— 연안방재관측시스템 구축 계약 체결(6.15./6개소) 및 사업 착수보고회 개최(6.30.)
○ 해양기상관측선(150톤급 1척) 운영 관리(8항차(운항일수 70일) 운항 중)
— 파고부이 설치 예정지 환경 조사, 세계기상의 날 기념 특집 방송(과학영상물 제작), 기상예보 지원 실시간 해양기상관측 및 기상특성조사 등 연구사업 지원
□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목표치 |
실적치 |
성과지표 목표 달성 내용 |
해양기상관측자료 품질도 |
94.9 |
94.2 |
○ 자료 품질도(5월까지 실적) : 부이(7개소 : 94.42%, 등표(8개소 : 93.95%) - 충 수집가능 자료건수(부이 : 200,463건, 등표 : 187,761건) - 정상자료건수(부이 : 189,268건, 등표 : 176,407건) |
○ 목표 미달성 사유 및 조치계획
— 5월까지 위성통신 장애에 따른 자료전송지연으로 실시간 품질검사가 미 실시되어 결측 처리된 건수가 발생하여 목표치를 달성하지 못하였으나 지속적인 모니터링 강화로 하반기에는 목표치를 초과 달성할 것임
- 100 -
□ 집행과정의 전략적 대응실적
○ 행정여건ㆍ상황변화 파악 및 대응실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 |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실적 |
○ 육상에 비해 부족한 해양기상관측장비로 인해 제기되는 지자체의 관측망 확대 요구 - 울릉군(재난안전관리과)의 울릉도 해양기상관측부이 신설 건의 민원 제기(4.12.) ○ 연안방재관측시스템 등 유관기관과의 협조를 통한 해양관측망 확충 관련 유관기관 및 해당 소속기관의 부정적 의견 ○ 해양기상관측망 신설에 따른 설치 환경 선정상의 문제점 발생. - 파고부이, 연안방재관측시스템(파고계, CCTV, 전광판) 설치장소, 무선국허가, 행정기관 인허가 등 제반 사항을 고려한 최적의 선정 장소 확보의 어려움 ○ 해양기상관측망 운영 현황 파악 요청(4.1./국토해양부) |
○ 울릉도∼독도 항로 및 울릉도 연안해상의 부이 설치 계획 추진(5.13.) - 울릉도~독도 항로(NOMAD부이/'11년 예정) 및 울릉도 연안(파고부이/'10년 하반기 설치 예정) ○ 육상에 비해 부족한 해양관측자료 확보를 위한 기상청의 노력과 설치장비를 통해 얻게 될 이점 등에 대한 지속적인 유관기관 홍보(4회) ○ 파고부이 및 연안방재관측시스템 설치를 위한 의견수렴 결과, 설치 지점 선정(3.10.) - 장비 설치 환경 조사 실시(연안방재:2.24.~3.9./파고부이:2.24.~3.19.)에 따른 각 지방청 및 소속 해안기상대, 한국산업진흥원 등에 세부협조 사항 요청 - 설치지점 환경조사 결과 보고(4.20./파고부이, 연안방재관측시스템) ○ 장비별 해양기상관측망 현황, 단계별 확충 계획 및 해양기상관측망 구성‧운영 관련 법령 안내(4.7./국토해양부) |
○ 관련기관‧정책과의 연계실적
구축된 협조체계 |
협 조 실 적 |
○ 해양관측장비 설치를 위한 관련 유관기관과의 협조 체계 - 설치 예정지역 지자체 : 파고부이 설치에 따른 상호협조 사항 등 ○ 연안방재관측시스템 구축을 위한 관련 유관기관 및 소속기관과의 협조 체계 - 지자체, 항만청, 해양경찰청, 산림청 등 : 장비 설치와 관련한 제반사항 협의 - 대전청(서산, 보령) 및 광주청(군산, 정읍, 고창, 목포) 관할 소속 해당 해안기상대 : 해당 유관기관과의 협조 요청 |
○ 파고부이 설치를 위한 공유수면 사용 협의(2회/4.22, 4.26.) - 설치 예정지역 및 장비 등에 대한 정보 제공(태안군 등 7개 지자체) ○ 연안방재관측시스템 구축을 위한 관련 유관기관 협의(4회/4.22, 4.26., 5.7., 5.17.) - 장비설치 예정지점의 토지 및 시설(물) 사용 승인 신청 관련 상호 협조 사항(지자체, 항만청, 해양경찰청, 산림청 등) - 소속 해안 기상대 : 연안방재관측시스템(파고계, CCTV, 전광판) 설치 예정지점, 해당 유관기관 담당자 및 협의사항 등 정보 제공 |
- 101 -
|
Ⅲ- 1- 주요정책② : 기상장비산업 육성 |
□ 목 적
○ 기상장비 산업 육성 및 국산화를 통해 고품질의 기상관측정보 생산과 국가 경쟁력 제고
—기상장비 국산화에 따른 수입 대체효과 및 기상장비 기술개발 시너지 강화
○ 산ㆍ학ㆍ연ㆍ관 협업네트워크 구축 및 기상장비 기술개발 인프라 조성을 통한 기상장비 산업 진흥 및 활성화 도모
□ 주요내용 및 성과
○ 기상장비 신기술 동향파악을 위한 “기상장비육성 세미나” 개최
— (주)한국옵티마(6.8) 등 월1회 총6회 개최, 참여인원 121명
○ 기상산업 진흥 및 활성화 기반 마련을 위한 산업기술 분류체계에 “기상기술 분야” 등재
— 등재분야 : 기상장비산업기술, 기상서비스산업기술(4.1, 지식경제부 고시)
○ 기상장비 미래 유망기술 과제로 “과제발굴연구회” 참여ㆍ운영
— 중기청 : 대기 지상관측 국산화 연구회 참여(6.1~10.31), 기상청 : MEMS 기반 차세대 기상감지 소자 연구회 등 2개 연구회 운영(6.1~9.30)
○ 기상장비 산업 육성전략 등 국산화 중장기 로드맵 마련을 위한 기획연구 완료(3.16)
○ 국내 기상장비 산업 관련 단체의 기술개발 현황분석을 위한 “기상장비 기술동향집” 발간ㆍ배부
— 산ㆍ학ㆍ연 등 57개 단체에 대한 국산품 개발ㆍ제조실적 등 보유 핵심기술 수록(150부)
○ 기상장비 기술개발 인프라 조성을 위한 유관부처(중기청) 정부출연금의 기상산업 지원
— 구매조건부 사업(신규 2건, 7.7억원), 중소기업 기술혁신 개발사업(신성장동력 분야 3건, 15억원), 중소기업 서비스 연구 개발사
(녹색기상 신서비스분야 1건, 1.5억원)
○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및 “지식경제기술혁신평가단” 평가위원에 기상전문가 참여를 통해 기상분야 역량확대 추진(총 18명)
- 102 -
□ 세부추진계획 대비 추진실적
월 |
추 진 계 획 |
추 진 실 적 |
비고 |
1~ 11월 |
○ 유관부처 산업지원 관련 사업 발굴 및 참여 지원 |
○ 중기청 “중소기업 기술혁신 개발사업” 선도과제에 기상청 제출과제 채택 및 사업자 참여 - 제안과제 채택(2.22, 3개 과제), 기상사업자 신청(3.28), 최종평가 후 사업자 선정(6.16, 3개사) ○ 중기청 “중소기업 서비스 연구개발사업” 기상청 제출과제 채택 및 사업자 참여 - 제안과제 채택(3.31, 1개 과제), 기상사업자 신청(4.29), 최종평가 후 사업자 선정(6.7, 1개사) ○ 지경부 “산업기술 분류체계”에 기상기술 등재 - 기상장비산업기술, 기상서비스산업기술(4.1, 지식경제부 고시) ○ 지경부 및 중기청 산업지원 관련 평가 |